KR102438007B1 - 맞춤형 신경 자극기 - Google Patents

맞춤형 신경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007B1
KR102438007B1 KR1020200109072A KR20200109072A KR102438007B1 KR 102438007 B1 KR102438007 B1 KR 102438007B1 KR 1020200109072 A KR1020200109072 A KR 1020200109072A KR 20200109072 A KR20200109072 A KR 20200109072A KR 102438007 B1 KR102438007 B1 KR 10243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electrode
control electrode
detachable
external audi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286A (ko
Inventor
송재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0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는,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에 결합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에 접촉되는 조절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신경 자극기{Adjustable and detachable nerve stimulator}
맞춤형 신경 자극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거리 또는 방향 조절이 가능하고 탈부착 가능한 전극을 구비하여 상이한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맞추어 전극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가 개시된다.
미주신경은 뇌신경들 중의 하나로서 뇌로부터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 분포한다. 이와 같이 여러 중요한 기관들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은 인두의 수축근과 후두의 속근육을 제어하고, 심장박동, 창자의 연동운동, 땀 분비 등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우울증 및 뇌전증 외에도 이명, 치매, 인지기능감소, 퇴행성 뇌질환 및 만성 통증 등 다양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을 통해 전기자극기를 미주신경에 부착 및 이식하는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KR20170034624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거리 또는 방향 등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고 탈부착 가능한 전극을 구비하여 이개 또는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는,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에 결합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에 접촉되는 조절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1 조절전극;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2 조절전극;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3 조절전극; 및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외이도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4 조절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전극은 상기 이궁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조절전극은,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에 결합되는 삽입 부재; 상기 삽입 부재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궁과 접촉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이궁을 밀착 접촉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제2 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전극부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회전축과 동축인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부재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본체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억지 끼워맞춤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탈부착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전극부는,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1 탈부착전극; 이주 또는 이당과 접촉하는 제2 탈부착전극; 이궁과 접촉하는 제3 탈부착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탈부착전극, 제2 탈부착전극 및 제3 탈부착전극은 각각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탈부착전극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탈부착전극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탈부착전극 또는 상기 제3 탈부착전극 중 어느 하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고리 부재; 및 상기 고리 부재 내측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이개의 형상에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대응 톱니와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고리 부재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에 의하면,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거리 또는 방향 등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고 탈부착 가능한 전극을 구비하여 이개 또는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좌측 자극기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제1 조절전극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제1 조절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조절부에 의한 제2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를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분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1)의 좌측 자극기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1)는 제1 본체부(11), 제2 본체부(12), 조절전극부(13) 및 조절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11)는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체부(11)는 후두부를 둘러싸는 밴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부(11)는 양 단부가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귀에 안정적으로 걸쳐질 수 있다.
제2 본체부(12)는 제1 본체부(11)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본체부(11)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절전극부(13)는 좌측 및 우측의 제2 본체부(12)에 각각 결합되고,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여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전극부(13)는 사용자마다 상이한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맞춤형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조절전극부(13)는 제2 본체부(12)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조절부(14)는 제1 본체부(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14)는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제2 본체부(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전극부(13)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부(14)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1)는 조절전극부(13)를 사용자마다 상이한 형상의 이개 또는 외이도에 밀착 접촉시키기 위해, 조절전극부(13)의 거리 또는 방향 등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1)는 조절전극부(13)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 안쪽 사이즈에 따라 최적의 크기를 갖는 조절전극부(13)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조절전극부(13)의 거리 또는 방향 등의 위치 조절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1)의 조절전극부(13)의 제1 조절전극(131)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제1 조절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의 조절부에 의한 제2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조절전극부는 제1 조절전극(131), 제2 조절전극(132), 제3 조절전극(133) 및 제4 조절전극(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절전극(131), 제2 조절전극(132), 제3 조절전극(133) 및 제4 조절전극(134)은 각각 제2 본체부(12) 상에 결합되어 있으며, 자극할 부위에 따라 각각 제2 본체부(12)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조절전극(131)은 제2 본체부(12)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절전극(131)은 도 3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2 본체부(12)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이궁의 형상에 따라 제2 본체부 상에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조절전극(132)은 제2 본체부(12)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조절전극(133)은 제2 본체부(12)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조절전극(134)은 제2 본체부(12) 상에서 외이도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조절전극(131), 제2 조절전극(132), 제3 조절전극(133) 및 제4 조절전극(134)은 각각 제2 본체부(12)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 안쪽 사이즈에 따라 최적의 크기를 갖는 전극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조절전극(131)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1)의 제1 조절전극(131)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조절전극(131)은 삽입 부재(1311), 연장 부재(1312) 및 접촉 부재(13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부재(1311)는 제2 본체부(12)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본체부(12)의 둘레에는 레일 구조의 홈과 같은 가이드(G)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부재(1311)는 이러한 가이드(G)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부재(1311)는 가이드(G)를 따라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2 본체부(12)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연장 부재(1312)는 삽입 부재(1311)로부터 제2 본체부(12)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부재(1312)는 예를 들어, 원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부재(1313)는 연장 부재(1312)의 단부로부터 제2 본체부(12)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부재(1313)는 이궁과 접촉할 수 있으며, 곡선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조절전극(131)은 삽입 부재(1311)가 가이드(G)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이궁의 형태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부재(1313)가 이궁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조절전극(131)의 단독 위치 조절에 더하여, 조절전극부(13)는 조절부(14)에 의해 전체적으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조절부(14)는 제1 조절부재(미 도시) 및 제2 조절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는 제2 본체부(12)의 회전축과 동축일 수 있다.
제2 조절부재(142)는 제1 본체부(1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조절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절부재(142)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1 본체부(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조절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2 본체부(1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결국, 제2 본체부(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조절전극(131), 제2 조절전극(132), 제3 조절전극(133) 및 제4 조절전극(134)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조절부재(143)의 회전에 의해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제2 조절부재(143)를 회전시켜 조절전극부(13)가 이개 또는 외이도에 밀착 접촉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2)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2)를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2)의 분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신경 자극기(2)는 본체부(21) 및 탈부착전극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는 이개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21)에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홈 또는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탈부착전극부(22)가 결합될 수 있다.
탈부착전극부(22)는 본체부(21)에 결합될 수 있고,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여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탈부착전극부(22)는 제1 탈부착전극(221), 제2 탈부착전극(222) 및 제3 탈부착전극(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탈부착전극(221)은 외이도와 접촉하는 전극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탈부착전극(221)은 본체부(21)의 돌출 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탈부착전극(221)은 본체부(21)로부터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1 탈부착전극(221)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이도의 형태에 따라 제1 탈부착전극(221)을 알맞은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탈부착전극(221)은 자바라 겹침 구조로 형성되어서, 외이도 크기에 따라 축소되거나 확장될 수도 있다.
제2 탈부착전극(222)은 이주 또는 이당과 접촉하는 전극이다.
제2 탈부착전극(222)은 본체부(21)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탈부착전극(222)은 이주 또는 이당과 밀착 접촉하도록 본체부(21)에 대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제3 탈부착전극(223)은 이궁과 접촉하는 전극이다.
제3 탈부착전극(223)은 본체부(21)에 형성된 또 다른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탈부착전극(223)은 이궁과 밀착 접촉하도록 본체부(21)에 대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탈부착전극(222) 또는 제3 탈부착전극(223) 중 적어도 하나는 고리 부재 및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탈부착전극(222)은 고리 부재(2221) 및 결합 부재(22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 부재(2221)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탈부착전극(222)이 최적으로 이주 또는 이당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일 측이 타 측보다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 부재(2221)는 본체부(21)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리 부재(2221)는 본체부(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주 또는 이당의 형상에 따라 고리 부재(2221)를 회전시켜 돌출된 부분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결합 부재(2222)는 고리 부재(2221)의 내측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의 결합 홈에는 이러한 결합 부재(2222)와 대응되는 형상의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2222)는 본체부(21)에 형성된 대응 톱니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부재(2222)는 고리 부재(222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탈부착전극(222)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으면, 결합 부재(2222)의 톱니 구조에 의해 제2 탈부착전극(222)은 본체부(21)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탈부착전극(222)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결합 부재(2222)는 본체부(21)의 대응 톱니를 넘어 다음 대응 톱니의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탈부착전극(223) 또한 고리 부재(2231) 및 결합 부재(22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리 부재(2231)는 고리 부재(2221)와 유사하지만 제3 탈부착전극(223)이 최적으로 이궁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길쭉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궁의 형상에 따라 고리 부재(2231)를 회전시켜 길쭉한 부분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결합 부재(2232)는 결합 부재(2222)와 동일하게 고리 부재(2231)의 내측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의 또 다른 결합 홈에는 이러한 결합 부재(2223)와 대응되는 형상의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2232)는 본체부(21)에 형성된 대응 톱니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부재(2232)는 고리 부재(223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3 탈부착전극(223)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으면, 결합 부재(2232)의 톱니 구조에 의해 제3 탈부착전극(223)은 본체부(21)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탈부착전극(223)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결합 부재(2232)는 본체부(21)의 대응 톱니를 넘어 다음 대응 톱니의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결합 부재(2222, 2232) 또는 본체부(21)의 대응 톱니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제2 탈부착전극(222) 또는 제3 탈부착전극(223)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할 때 제2 탈부착전극(222) 또는 제3 탈부착전극(223)이 회전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리 또는 방향 등이 조절되는 제1 탈부착전극(221), 제2 탈부착전극(222) 및 제3 탈부착전극(223)은 이개 또는 외이도에 밀착 접촉하여 각 부분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탈부착전극들은 본체부(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마련된 탈부착전극 중 알맞은 크기의 탈부착전극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신경 자극기(2)는 개개인의 귀 모양에 따른 맞춤형 전기 자극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체부(21)의 내부에는 소리 자극을 출력하여 신경을 자극하는 음향출력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전극부(22)에 의한 전기 자극에 추가로, 음향 자극에 의하여 사용자에 대한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맞춤형 신경 자극기
11: 제1 본체부
12: 제2 본체부
13: 조절전극부
131: 제1 조절전극
1311: 삽입 부재
1312: 연장 부재
1313: 접촉 부재
132: 제2 조절전극
133: 제3 조절전극
134: 제4 조절전극
14: 조절부
142: 제2 조절부재
2: 맞춤형 신경 자극기
21: 본체부
22: 탈부착전극부
221: 제1 탈부착전극
222: 제2 탈부착전극
2221: 고리 부재
2222: 결합 부재
223: 제3 탈부착전극
2231: 고리 부재
2232: 결합 부재

Claims (9)

  1.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에 결합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에 접촉되는 조절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하며,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1 조절전극;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2 조절전극;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3 조절전극; 및
    상기 제2 본체부 상에서 외이도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결합된 제4 조절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전극은 상기 이궁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제1 조절전극은,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에 결합되는 삽입 부재;
    상기 삽입 부재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궁과 접촉하는 접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2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이궁을 밀착 접촉시키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제2 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전극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

  5.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에 결합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에 접촉되는 조절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하며,
    상기 제1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제2 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전극부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회전축과 동축인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조절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부재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전극부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억지 끼워맞춤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
  7.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탈부착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전극부는,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1 탈부착전극;
    이주 또는 이당과 접촉하는 제2 탈부착전극;
    이궁과 접촉하는 제3 탈부착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탈부착전극, 제2 탈부착전극 및 제3 탈부착전극은 각각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부착전극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탈부착전극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부착전극 또는 상기 제3 탈부착전극 중 어느 하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고리 부재; 및
    상기 고리 부재 내측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이개의 형상에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대응 톱니와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고리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맞춤형 신경 자극기.
KR1020200109072A 2020-08-28 2020-08-28 맞춤형 신경 자극기 KR10243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72A KR102438007B1 (ko) 2020-08-28 2020-08-28 맞춤형 신경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72A KR102438007B1 (ko) 2020-08-28 2020-08-28 맞춤형 신경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86A KR20220028286A (ko) 2022-03-08
KR102438007B1 true KR102438007B1 (ko) 2022-08-30

Family

ID=8081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072A KR102438007B1 (ko) 2020-08-28 2020-08-28 맞춤형 신경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63B1 (ko) * 2022-06-15 2023-06-21 주식회사 뉴로그린 자극 인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2114A1 (en) * 2014-06-13 2015-12-17 Nervana, LLC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US20200094054A1 (en) * 2018-09-24 2020-03-26 Vivek Sharma Auricular nerve stimulation to address patient disord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166B1 (ko) 2015-09-21 2018-02-02 이원준 다기능 선풍기
JP2020529240A (ja) * 2017-07-31 2020-10-08 ザ・フェインスタイン・インスティチュート・フォー・メディカル・リサーチThe Feinstein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耳介刺激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2114A1 (en) * 2014-06-13 2015-12-17 Nervana, LLC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US20200094054A1 (en) * 2018-09-24 2020-03-26 Vivek Sharma Auricular nerve stimulation to address patient disord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86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71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ar-arranged transcutaneous vagus nerve stimulation
US8751020B2 (en) Electrode arrangement
Del Bo et al. Hearing aids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Carlson et al. Cochlear implantation: current and future device options
ES2964217T3 (es) Pulsos trifásicos para reducir los efectos secundarios no deseables en implantes cocleares
KR101468355B1 (ko) 음향 및 전기 복합 자극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
Cohen Cochlear implant candidacy and surgical considerations
WO2009037689A3 (en) Electrical stimulation in the middle ear for treatment of hearing related disorders
US10986453B2 (en) Variable transducer fixation
JP2011527907A (ja) 人工聴覚器官及び人工聴覚器官を使用する方法
EP3744307A1 (en) Hearing training device
KR102438007B1 (ko) 맞춤형 신경 자극기
Van de Berg et al. The vestibular implant: hearing preservation during intralabyrinthine electrode insertion—a case report
Ito et al. Suppression of tinnitus by cochlear implantation
US9888978B2 (en) Template for bilateral symmetric stimulator fixation/implantation
US20230330411A1 (en) Close-contact type nerve stimulator
KR102438009B1 (ko) 밀착형 신경 자극기
CN107847735A (zh) 避免电极阵列从耳蜗迁移的电极引线
WO2022045403A1 (ko) 맞춤형 신경 자극기
US2020033834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tinnitus with transtympanic electrical stimulation
JP2023096856A (ja) 磁気誘治療具。
US9717907B2 (en) Radio frequency (“RF”) power leve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a cochlear implant system
Franz et al. Implantation of the Melbourne/Cochlear multiple-electrode extracochlear prosthesis
US20240173543A1 (en) Vagus nerve stimulator
KR102400957B1 (ko) 체성이명 치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