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838A -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838A
KR20220027838A KR1020217040217A KR20217040217A KR20220027838A KR 20220027838 A KR20220027838 A KR 20220027838A KR 1020217040217 A KR1020217040217 A KR 1020217040217A KR 20217040217 A KR20217040217 A KR 20217040217A KR 20220027838 A KR20220027838 A KR 2022002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mmunication device
tdls
frame
direc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잔 치트라카르
레이 후앙
요시오 우라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2002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장치는, 제1 채널에서 AP(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로서, 동작 시에, 상기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와, 상기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상기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생성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제2 채널의 사용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며, 추가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개시는,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6GHz대와 같은 규제된 대역에 있어서의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FCC(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언라이센스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6GHz대를 개방했다. 6GHz대는, IEEE 802.11ax(HE), IEEE 802.11be(EHT), 3GPP의 5G 규격 등과 같은, 향후의 무선 규격에 있어서의 스루풋 목표를 달성할 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의 유저를 보호하기 위하여, FCC는, 최신의 NPRM(규칙 제정안 고시: Notice for Proposed Rulemaking)에 있어서, 이하의 규칙을 제안하고 있다.
U-NII-5 및 U-NII-7 서브밴드는, 고레벨의 가용성을 유지해야 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포인트간 마이크로파 링크에 의하여 다용된다. 그 때문에, 이들 서브밴드에서는, U-NII-1 및 U-NII-3대의 전력 레벨을 사용하는 「표준 전력 액세스 포인트(AP)」만이, AFC(자동 주파수 조정: Automated Frequency Coordination) 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된 주파수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U-NII는, 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의 약기이다.
U-NII-6 및 U-NII-8 서브밴드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존의 수신기의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되지 않아, AFC의 사용이 곤란한 장소에 있어서, 이동국에 의하여 사용된다. 그 때문에, 이들 서브밴드에서는, U-NII-2대의, 보다 낮은 전력 레벨을 사용하는, 옥내의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만 허가되어도 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표준 전력 AP 또는 저전력 AP 중 어느 하나의 제어하에서, 6GHz대 전체에 걸쳐 동작하는 것이 허가되어도 된다.
그러나, 6GHz대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논의되고 있지 않다. 특히, U-NII-5 및 U-NII-7 서브밴드에서는, 디바이스가 AFC 시스템과 직접 접속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이렉트 링크 통신에 관한 디바이스가 어떻게 동작할 가능성이 있는지가 불명확하다.
따라서, 6GHz대에 있어서의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실현 가능한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특성은, 첨부된 도면 및 본 개시의 배경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기여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채널에서 AP(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로서, 동작 시에, 상기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와, 상기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상기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제2 채널의 사용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추가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AP(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로서, 동작 시에, 다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TDLS 송신을 위한 TXOP(송신 기회)를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TDLS RTS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AP로부터 TDLS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요구한 TXOP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채널에서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AP(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 시에,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의 사용을 요구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채널이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하여 사용되어도 되는지 아닌지를, 주파수 조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정하고, 추가로, 상기 판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상기 판정에 근거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AP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AP(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 시에, 다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송신을 위한 TXOP(송신 기회)를 상기 AP에 요구하는 TDLS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동작 시에, TDLS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AP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요구한 TXOP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와,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며, 상기 제2 채널의 사용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제2 채널상의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태는, 시스템,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되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다. 이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 개의 실시형태 및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하여 각각 제공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하여 반드시 모두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도면과 함께, 예시만을 목적으로 한 이하에 기술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보다 잘 이해되어, 용이하게 파악될 것이다.
도 1a는 2개의 단말(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b는 인프라 스트럭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2개의 단말(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의 개략도이다.
도 1c는 Wi-Fi 다이렉트(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2개의 단말(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의 오프 채널에 있어서의 TDLS 설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의 오프 채널에 대한 TDLS 채널 전환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TDLS 다이렉트 링크 설정을 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채널 사용 허가를 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c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에 응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에 있어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트래픽 스트림의 설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에 있어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멀티 밴드 트래픽 스트림의 설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파라미터 세트(Parameter Set) 엘리먼트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ADDTS 요구(Add Traffic Stream Request) 프레임 및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 동작 지시에 이용되는 정지 동작(Cease Operation) 엘리먼트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TXOP(송신 기회: Transmission Opportunity)에 있어서의 2개의 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b는제2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의 대체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TDLS 버퍼 스테이터스를 보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액션(TDLS Action)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TDLS RTS(송신 요구: Request to Send) 프레임, 및 TDLS CTS(송신 승인: Clear to Send)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TXOP에 있어서의 2개의 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장치의 개략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당해 통신 장치는, AP 또는 STA로서 실행되어도 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방법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면, 통신 장치 또는 단말(ST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면 AP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렉트 링크 통신에 참가할 수 있는 멀티 밴드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면 STA의 참조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예시만을 목적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문자는, 동일한 요소 또는 동등한 것을 가리킨다.
이하의 단락에서는,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P) 및 단말(STA)을 참조하여, 몇 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IEEE 802.11(Wi-Fi) 테크놀로지에 있어서, STA라고도 불리는 단말은, 802.11 프로토콜의 사용에 대응하고 있는 통신 장치이다. IEEE 802.11-2016의 정의에 근거하여, STA는, 와이어리스 미디어(WM)에 대하여 IEEE 802.11에 준거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층(PHY)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떠한 디바이스여도 된다.
예를 들면, STA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PC), 휴대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환경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Wi-Fi 전화기여도 된다. STA는, 고정식이어도 되고 이동식이어도 된다. WLAN 환경에서는, 「STA」, 「와이어리스 클라이언트」, 「유저」, 「유저 디바이스」, 「노드」라는 용어가 자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동일하게, IEEE 802.11(Wi-Fi) 테크놀로지에 있어서 WAP(wireless access point)라고도 불리는 AP는, WLAN 내의 STA가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이다. AP는 통상, 스탠드얼론 디바이스로서(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라우터에 접속하지만, 라우터와 일체화, 또는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WLAN 내의 STA는, 경우에 따라 AP로서 동작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또 동일하다. 이것은, IEEE 802.11(Wi-Fi) 테크놀로지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가, STA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와 AP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의 양방을 구비해도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는, 실제의 WLAN 조건 및/또는 요건에 근거하여, STA 모드와 AP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다이렉트 링크 통신(피어 투 피어, 또는 디바이스간 통신이라고도 불린다)에는, 많은 이점이 있다. IEEE 802.11 WLAN 등의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비록 통신에 관한 2개의 디바이스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802.11에서는 BSS(기본 서비스 세트: Basic Service Set)라고 불리는) 경우에서도, 모든 통신이 액세스 포인트(AP)를 경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간 통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IEEE 802.11z 개정으로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가 도입되었다. TDLS는, 투과적으로 AP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프레임에 캡슐화된 셋업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때문에 「터널(tunneling)」이라는 용어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 및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 프레임과 같은, TDLS의 설정에 관한 모든 관리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 내에 캡슐화되기 때문에, TDLS의 설정은, AP에 대하여 완전히 투과적이다. 실제, AP는, TDLS 대응일 필요조차 없는 경우가 있다. TDLS를 사용하는 2개의 디바이스간의 통신 링크는, TDLS 다이렉트 링크, 또는 단순하게, TDLS 링크로서 알려져 있다. 2개의 디바이스간의 패킷은, TDLS 링크를 통하여 직접 교환되고, AP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TDLS에서는 패킷 송신을 절반으로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TDLS 링크는, 특히 2개의 디바이스가 서로 AP보다 비교적 가까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DLS 링크에서는, AP와의 무선 링크와 비교하여, 디바이스간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보다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a는, 2개의 비AP STA간의 다이렉트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개략도(100)이다. STA(104)는, STA(104)와 STA(106)의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설정하기 위하여, (송신 경로(1a 및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AP(102)를 통하여 STA(106)에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STA(106)는, TDLS 요구 프레임의 수신에 따라, (송신 경로(2a 및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P(102)를 통하여 STA(104)에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 및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 프레임은, TDLS를 설정하기 위한 관리 프레임이며, 데이터 캡슐화되어 AP와의 사이에서 직접 송신되기 때문에, TDLS 설정은 AP(102)에 대하여 투과적이다. TDLS가 설정되면, 2개의 STA(104, 106)는,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다이렉트 링크는, BSS(베이스 채널)의 동작 채널과는 상이한 채널로 전환되어도 되고, 상이한 대역상에 있어도 되며, 그와 같은 다이렉트 링크 채널은, 「오프 채널」이라고 불린다.
현재, AP는 TDLS 설정/사용을 제어하지 않는다. 그러나, 6GHz대에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AP의 제어하에 있는 동안만, 6GHz대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다. 5GHz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대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TDLS 이니시에이터 STA는 DFS 오너(DO)로서 동작하지만, 6GHz대에서는, TDLS STA에 그와 같은 대응 기능이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대역/채널에 있어서, AP가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보다 제어할 수 있는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의 수순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확장 기능없이는, TDLS와 같은 다이렉트 링크는, 6GHz대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AP는, 6GHz대의 일부의 서브밴드(예를 들면, U-NII-5 및 U-NII-7)에서 동작할 때, 허용되는 동작 주파수 및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AFC 데이터베이스(Automatic Frequency control Database)를 참조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그와 같은 AP는, ADD(AFC 데이터베이스 의존: AFC Database Dependent) 유효화 STA라고 불려도 되고, 그와 같은 AP에 관련지어진 비AP STA는, ADD 의존 STA라고 불려도 된다. 비AP STA는, 유효화 STA에 의하여 「유효화」된 경우에만, 이들 서브밴드상의 채널에서 통신할 수 있어도 되고, 그와 같은 비AP STA는, AP의 「제어하에 있다」고 되어도 된다. AP는, 채널상에서 정기적으로 유효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예를 들면, 비컨 프레임에 그와 같은 유효화 신호를 포함시킴으로써, 유효화를 필요로 하는 채널상에 그 존재를 통지할 수 있다.
2개의 ADD 의존 STA는, 베이스 채널상에서 TDLS 다이렉트 링크를 교섭하는 경우, AP 링크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송신 파라미터를,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송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b는, 채널·인프라 스트럭처·네트워크에 있어서의 2개의 단말(STA)간의 TDLS 다이렉트 링크 통신의 개략도(110)이다. TDLS의 다른 이점으로서는, TDLS가 AP에 대하여 투과적이므로, 양방의 디바이스가 AP보다 고도의 케이퍼빌리티에 대응하는 경우, TDLS 링크는, AP에 의하여 서포트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보다 높은 케이퍼빌리티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AP(112)는 802.11ac에만 대응하지만, 2개의 TDLS 디바이스가 양방 모두, 최신의 802.11ax 개정에 대응하는 경우도 있고, 그 경우, 그들의 디바이스는 다이렉트 링크에서, 보다 높은 802.11ax의 데이터 레이트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디바이스가 멀티 밴드 디바이스이며, 5GHz대(베이스 채널)에서 AP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양방의 디바이스가 6GHz대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AP 자체는 6GHz대에서 동작하지 않아도, 2개의 디바이스는 TDLS 링크를 6GHz대의 보다 넓은 채널(오프 채널 TDLS 링크)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P(112)는, AFC 데이터베이스(118)를 참조하여, 허용되는 동작 주파수 및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해도 된다. 그리고, ADD 의존 STA(114, 116)간의 TDLS 링크가 BSS의 동작 채널에 있는 경우, 즉, 다이렉트 링크가 베이스 채널상에 있는 경우, STA(114, 116)는, AP 링크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송신 파라미터를, TDLS 링크상의 송신에 사용해도 된다. 도 1b에서는, AP와 AFC 데이터베이스의 사이에 다이렉트 링크가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AP는, AFC 데이터베이스 내의 채널의 여유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AFC 시스템을 통해도 된다. 혹은, AP와 AFC 데이터베이스의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어도 되고, 특정의 지오로케이션에 있어서의 채널(주파수 사용)의 여유 상황에 관한 모든 결정이 AFC 시스템에 의하여 행해져도 된다.
단, 2개의 비AP STA가, TDLS 다이렉트 링크를, 베이스 채널이 아닌 6GHz대의 채널로 설정 또는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이하의 규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관련되는 AP는, ADD 유효화 STA로 한다.
TDLS 이니시에이터 STA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을 AP에 송신함으로써, AP로부터, 다이렉트 링크를 위하여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요구한다.
AP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응답한다.
다이렉트 링크는, AP로부터 SUCCESS의 스테이터스를 포함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만, 베이스 채널이 아닌 6GHz대의 채널로 설정/전환되어도 된다.
도 1c는, Wi-Fi 다이렉트(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2개의 단말(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의 개략도(120)이다. TDLS 링크는, Wi-Fi Alliance Wi-Fi 다이렉트 네트워크와 같은, 일시적인 와이어리스 네트워크 내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네트워크는, 하나의 디바이스가 「그룹 오너」(GO)로서 동작하고, 종래의 AP를 필요로 하지 않는 디바이스간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도 1c에서는, 스마트폰(122)은 GO로서 동작하고, Wi-Fi 대응 프린터(124) 및 Wi-Fi 대응 디지털 카메라(126)는, GO와 Wi-Fi 다이렉트 커넥션을 형성함으로써 Wi-Fi 다이렉트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GO는 AP로서 동작하고, 디지털 카메라(126)가 인쇄를 위하여 프린터(124)로 직접 사진을 송신할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126)와 프린터(124)의 사이에 TDLS 링크를 확립해도 된다. 여기에서도, 디지털 카메라(126)와 프린터(124)의 양방이 멀티 밴드 디바이스이며, 양방 모두 6GHz대에 대응하는 경우, 2개의 디바이스는, TDLS 링크를 6GHz대의 보다 넓은 채널(오프 채널 TDLS 링크)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스마트폰(122)은,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고, (AFC 시스템을 통하여) AFC 데이터베이스(128)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한, ADD 유효화 STA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2개의 TDLS 디바이스가 6GHz대의 U-NII-5 및 U-NII-7 서브밴드 내의 채널에 있어서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허가를 낼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의 오프 채널에 있어서의 TDLS 설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AP(202)는, ADD 유효화 STA여도 된다. 비AP STA(204) 및 비AP STA(206)는, 6GHz대의 채널에 있어서 AP(202)에 관련지어진다.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비AP STA(204) 및 비AP STA(206)는, BSS의 동작 채널과는 상이한 채널에서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6GHz대에 있어서의 규제 요건 때문에, 채널상에서의 어떠한 송신 전에, AFC 시스템으로부터 채널의 여유 상황을 확인하는 것을 필수로 해도 된다. TDLS 이니시에이터 STA인 비AP STA(204)는, AP(202)에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208)을 송신함으로써, 비AP STA(206)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6GHz대에 있어서의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는 것의 허가를 AP(202)로부터 요구할 수 있다. 채널은, 예를 들면, AP(202)와, STA(204, 206)의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6GHz대의 베이스 채널과는 상이한, 6GHz대의 U-NII-5 또는 U-NII-7 서브밴드의 채널이어도 된다.
AP(202)는, STA(204)로부터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208)을 수신한 후, 요구된 채널의 여유 상황에 관하여, (예를 들면, AFC 시스템을 통하여) AFC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한다. 성공의 경우, AP(202)는, 요구된 채널이 다이렉트 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SUCCESS의 스테이터스를 포함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210)을 STA(204)에 송신해도 된다. 그리고, STA(204)는, AP(202)를 통하여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212)을 STA(206)에 송신함으로써, 요구된 채널상에서의 STA(206)와의 다이렉트 링크의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STA(206)는,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 프레임(214)을, AP(202)를 통하여 STA(204)에 송신함으로써 응답해도 된다. 그 후, STA(204)는, TDLS 설정 확인(TDLS Setup Confirm) 프레임(216)을, AP(202)를 통하여 STA(206)에 송신하여, 6GHz대의 요구된 채널상에서, TDLS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된다. 요구된 채널이 AFC 데이터베이스의 체크에 의하여 이용 불가인 실패의 경우, AP(202)는, 요구된 채널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으로의 사용이 각하(却下)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실패의 스테이터스(예를 들면, TDLS_CHANNEL_USE_DENIED)를 포함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210)을 STA(204)에 송신해도 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의 오프 채널에 대한 TDLS 다이렉트 링크 채널 전환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이 예에서는, 비AP STA(304, 306)는, 5GHz대의 채널상에서 AP(302)에 관련지어지며, 베이스 채널상에서 이미 TDLS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STA(304)는, 다이렉트 링크를 6GHz대의 오프 채널로 전환하고자 하고 있다. 그래서, TDLS 이니시에이터 STA인 STA(304)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308)을 AP(302)에 송신함으로써, STA(306)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6GHz대의 다른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AP(302)로부터 요구할 수 있다. 채널은, 예를 들면, AP(302)와, STA(304, 306)의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5GHz대의 베이스 채널과는 상이한 6GHz대의 채널이어도 된다.
AP(302)는, STA(304)로부터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308)을 수신한 후, 요구된 채널의 여유 상황에 관하여, AFC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한다. 성공의 경우, AP(302)는, 요구된 채널이 다이렉트 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SUCCESS의 스테이터스를 포함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310)을 STA(304)에 송신해도 된다. 그리고, STA(304)는, TDLS 채널 전환 요구(TDLS Channel Switch Request) 프레임(312)을 STA(306)에 송신함으로써, 6GHz대의 요구 채널로의 STA(306)와의 다이렉트 링크의 전환을 개시할 수 있다. STA(306)는, SUCCESS의 스테이터스로 STA(304)에 TDLS 채널 전환 응답(TDLS Channel Switch Response)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응답하고, TDLS 다이렉트 링크는 6GHz대의 요구 채널로 전환된다. 요구된 채널이 AFC 데이터베이스의 체크에 의하여 이용 불가인 실패의 경우, AP(302)는, 요구된 채널로의 다이렉트 링크를 전환이 각하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실패의 스테이터스를 포함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310)을 AP(304)에 송신해도 된다.
STA(204, 304)(TDLS 이니시에이터 STA)가, (예를 들면, 셀룰러 인터넷 링크를 통하여)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6GHz대에 있어서의 오프 채널의 사용에 관하여, AFC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체크하는 능력을 갖는 경우, AP(202, 302)로부터 허가를 요구할 필요는 없고, 오프 채널로의 다이렉트 링크의 설정/전환을 직접 행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TDLS 다이렉트 링크 설정을 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400)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400)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STA(204)에 의하여, AP(202)를 통하여 STA(206)에 송신되는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212)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40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하나 또는 복수의 어드레스(Address) 필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 HT 제어(HT Control) 필드, 카테고리(Category) 필드, TDLS 액션(TDLS Action)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임의 선택으로 목표 채널(Target Channel) 필드, 임의 선택으로 광대역 채널 전환(Wide Bandwidth Channel Switch) 엘리먼트 필드, 및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목표 채널(Target Channel) 필드는, 동작 클래스(Operating Class) 필드, 및 채널 번호(Channel Number)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채널 번호(Channel Number) 필드는, 요구된 다이렉트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을 나타내도 된다. 목표 채널(Target Channel) 필드 및 광대역 채널 전환(Wide Bandwidth Channel Switch) 엘리먼트 필드는, 베이스 채널과는 상이한 채널상에서의 TDLS 설정을 요구하기 위하여,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400)에 존재해도 된다. 또, 광대역 채널 전환(Wide Bandwidth Channel Switch) 엘리먼트 필드는,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400)이, 20MHz보다 넓은 채널을 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존재해도 된다.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TDLS 링크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그 주파수 대역상의 STA의 MAC 어드레스가, 베이스 채널이 존재하는 대역과 상이한 경우, 다른 대역상의 MAC 어드레스도,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피어 STA가 TDLS 설정 요구를 수용한 경우, TDLS 설정 요구 응답(TDLS Setup Request Response) 프레임에 그 외의 대역상에서의 자신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해도 된다. 필요하다면, 상이한 채널에서의 TDLS 링크의 설정에 의하여, 다른 채널에서의 TPK(TDLS PeerKey) 시큐리티 어소시에이션의 설정도 트리거되어도 된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채널 사용 허가를 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410)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41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STA(204, 304)에 의하여 AP(202, 302)에 송신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208, 308)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41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하나 또는 복수의 어드레스(Address) 필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 HT 제어(HT Control) 필드, 카테고리(Category) 필드, TDLS 액션(TDLS Action)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 필드, 임의 선택으로 디바이스 정보(Device Information) 필드, 목표 채널(Target Channel) 필드, 임의 선택으로 광대역 채널 전환(Wide Bandwidth Channel Switch) 엘리먼트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디바이스 정보(Device Information) 필드는, 제1 디바이스 ID(First Device ID) 필드, 제1 디바이스 위치(First Device Location) 필드, 제2 디바이스 ID(Second Device ID) 필드, 및 제2 디바이스 위치(Second Device Location)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디바이스 ID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FCC ID여도 되고, 그 디바이스가 그 채널에서 사용되어도 될지 어떤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AFC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동일하게, 디바이스 위치(Device Location) 필드는,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예를 들면, 위도, 경도, 및, 임의 선택으로 안테나의 높이의 정보를 제공해도 된다. 목표 채널(Target Channel) 필드는, 동작 클래스(Operating Class) 필드 및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요구된 채널을 식별하는 채널 번호(Channel Number) 필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20MHz보다 넓은 채널을 요구하는 경우에, 광대역 채널 전환(Wide Bandwidth Channel Switch) 엘리먼트 필드가 존재해도 된다. 디바이스 위치 정보는, 요구된 채널상의 어느 하나의 TDLS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이, 주변에서 동작하는 라이센스 유저에 대하여 간섭을 줄 수 있는지 어떤지를 계산하기 위하여, AFC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AFC 시스템의 이와 같은 판정에는, 라이센스 유저의 수신 안테나, 및 지형(지방, 도시, 준도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많은 요인을 고려해도 된다. AFC 시스템이, 요구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 송신이, 주변의 라이센스 유저에게 어떠한 간섭도 주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요구된 채널의 사용이 허가되어도 된다. 또는, AFC 시스템은, 요구 채널상의 AP에 의한 송신이 라이센스 유저에게 간섭을 주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 간섭 계산을 행하기 위하여 AP에 관한 정보(위치, 안테나의 높이 등)를 사용함으로써 간섭 계산을 간략화할 수 있고,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즉, TDLS STA)에 의한 송신도, 라이센스 유저에게 간섭을 주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도 4c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410)에 응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420)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4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AP(202, 302)에 의하여 STA(204, 304)에 송신되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210, 310)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42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하나 또는 복수의 어드레스(Address) 필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 HT 제어(HT Control) 필드, 카테고리(Category) 필드, TDLS 액션(TDLS Action)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스테이터스(Status) 필드, 최대 전력 레벨(Maximum Power Level) 필드, 유효 기간(Validity Period) 필드, 임의 선택으로 대체 채널(Alternate Channel) 필드, 임의 선택으로 광대역 채널 전환(Wide Bandwidth Channel Switch) 엘리먼트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스테이터스(Status) 필드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으로 요구된 채널이 다이렉트 링크 통신으로 사용 가능한 경우는 「SUCCESS」를 나타내고,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으로 요구된 채널(예를 들면,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의 채널 번호(Channel Number) 필드로 나타난 채널)가 다이렉트 링크 통신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TDLS_CHANNEL_USE_DENIED」를 나타내도 된다. 스테이터스가 SUCCESS가 아닌 경우, AP는,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다른 채널을 추천하기 위하여,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에 대체 채널(Alternate Channel) 필드 및 광대역 채널 전환(Wide Bandwidth Channel Switch) 엘리먼트를 포함시켜도 된다. 또,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420)은, 적용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예를 들면, 최대 송신 전력(Maximum Transmit Power) 레벨), 및 채널의 사용을 위한 유효 기간 등을 포함해도 된다.
최대 전력 레벨(Maximum Power Level) 필드는, 0.5dBm의 단위로, 채널 번호(Channel Number) 필드에 나타난 채널상에서 송신되는 것이 허가된 최대 전력을 나타내도 된다. 유효 기간(Validity Period) 필드는, 채널 사용 허가(Channel Use Permission)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내도 된다. STA는, 유효 기간의 만료 시에, 예를 들면, 관련지어진 AP에 다른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관련지어진 AP로부터 재차 허가를 요구하게 되어 있다.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Response) 프레임은, 데이터 캡슐화없이 AP와의 사이에서 직접 송신된다고 이해되어도 된다.
또한, 비AP STA는, 6GHz대의 TDLS 다이렉트 링크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트래픽 스트림(TS)을 설정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의 채널에 있어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TS의 설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STA(504)는, ADDTS 요구(Add Traffic Stream Request) 프레임(508)을 AP(502)에 송신할 수 있다.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508)은,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STA(504)는, TDLS에 대한 TS의 통지와, 이니시에이터 STA(예를 들면, STA(504)) 및 수신 측 STA(예를 들면, STA(506))의 어드레스의 식별을 위하여,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508)에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를 포함시켜도 된다. AP(502)가 TS를 허가하는 경우, AP(502)는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TS를 작성한다. TDLS 링크에 관한 양방의 STA에 대한 정보를 가짐으로써, AP는 보다 적절한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P는, 2개의 STA가 서로 물리적으로 근접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 다이렉트 링크에 대하여 보다 많은 송신 기회를 제공할 수 있거나, 서로 떨어져 있는 STA간의 트래픽 설정 요구를, 다른 STA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부할 수 있거나 한다.
또, AP(502)는,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510)을 STA(504)에 송신하여,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510) 내에 TDLS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를 포함해도 된다. TS가 쌍방향인 경우, STA(504)는, TDLS 설정 확인(TDLS Setup Confirm) 프레임(512)을 STA(506)에 송신하여, STA(506)에 TS 설정이 성공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TDLS 설정 확인(TDLS Setup Confirm) 프레임(512)은, TS의 TSPEC(Traffic Specification), TID(Traffic ID)를 통지해도 된다. 혹은, STA(506)는, TS 설정을 반대 방향으로 반복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STA(504)와 STA(506)의 사이에, 이미 TDLS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2개의 STA(504, 506)는, TDLS 링크를 위한 트래픽 스트림의 설정이 성공한 직후에 TDLS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TS의 설정이 성공한 후, TID에 속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514)이,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TDLS 다이렉트 링크에 TS가 필요한 경우, TDLS TS 설정이 실패하면 TDLS 다이렉트 링크상의 데이터 프레임 송신은 허가되지 않는다. AP(502)에 의한 TS의 설정에 의하여, AP(502)는 비AP STA(504, 506)간의 통신 트래픽에 대한 제어를 확립할 수 있고, 이것은 유리하다.
BSS의 동작 채널이 5GHz 또는 2.4GHz대이며, TDLS 다이렉트 링크가 6GHz대의 채널로 전환되는 경우(오프 채널의 경우), TDLS의 TS는 6GHz대로 설정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의 TDLS TS 설정은 BSS의 동작 채널상에서 행해진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6GHz대 오프 채널에 있어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트래픽 스트림의 설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STA(604)는, BSS 동작 채널상에서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608)을 AP(602)에 송신할 수 있다.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608)은,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STA(604)는, TDLS에 대한 TS의 통지와, 이니시에이터 STA(예를 들면, STA(604)) 및 수신 측 STA(예를 들면, STA(606))의 어드레스의 식별을 위하여,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608)에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를 포함시켜도 된다. 또,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608)은, 6GHz대와, 6GHz대로 전환되는 채널을 나타내는 멀티 밴드 엘리먼트를 포함해도 된다. AP(602)가 TS를 허가하는 경우, AP(602)는 6GHz대에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TS를 작성한다.
또, AP(602)는, BSS 동작 채널상에서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610)을 STA(604)에 송신하여,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610) 내에 TDLS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를 포함해도 된다. 또,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610)은, 6GHz대로 전환되는 채널을 나타내는 멀티 밴드 엘리먼트를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STA(604)는, TDLS 설정 확인(TDLS Setup Confirm) 프레임(612)을, AP(602)를 통하여(즉, 데이터 프레임에 캡슐화하여) STA(606)에 송신하여, STA(606)에 TS 설정이 성공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TDLS 설정 확인(TDLS Setup Confirm) 프레임(612)은, TS의 TSPEC(Traffic Specification), TID(Traffic ID)를 통지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STA(504)와 STA(506)의 사이에, 이미 TDLS 다이렉트 링크가 6GHz 채널상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TS의 설정이 성공한 후, TID에 속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614)이,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송신되어도 되고, 그때 STA(604) 및 STA(606)는, AP(602)에 대하여 PS(파워 세이브) 모드여도 된다. AP(602)에 의한 TS의 설정에 의하여, AP(602)는 비AP STA(604, 606)간의 통신 트래픽에 대한 제어를 확립할 수 있고, 이것은 유리하다.
AP는, 6GHz대의 비컨/프로브 응답(Beacon/Probe Response)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EDCA 파라미터 세트(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Parameter Set) 엘리먼트 내의 AC(액세스 카테고리)의 파라미터 레코드(Parameter Record) 필드에 「TDLS ACM」비트를 설정함으로써, 6GHz대의 AC에는 TDLS TS 설정이 필요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EDCA 파라미터 세트(EDCA Parameter Set) 엘리먼트(700)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EDCA 파라미터 세트(EDCA Parameter Set) 엘리먼트(700)는, 엘리먼트 ID(Element ID) 필드, 길이(Length) 필드, QoS 정보(QoS Info) 필드, 갱신 EDCA 정보(Update EDCA Info) 필드, AC_BE 파라미터 레코드(AC_BE Parameter Record) 필드, AC_BK 파라미터 레코드(AC_BK Parameter Record) 필드, AC_VI 파라미터 레코드(AC_VI Parameter Record) 필드, 및 AC_VO 파라미터 레코드(AC_VO Parameter Record)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AC_BK 파라미터 레코드(AC_BK Parameter Record) 필드는, ACI/AIFSN 필드, ECWmin/ECWmax 필드, 및 TXOP 리밋(TXOP Limit)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ACI/AIFSN 필드는, AIFSN 서브필드, ACM 서브필드, ACI 서브필드, 및 TDLS ACM 서브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TDLS ACM 서브필드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6GHz대에 있어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상의 데이터 송신은, (그 AC를 위한 ACM 비트의 설정에 관계없이) STA가 그 AC용의 TDLS TS를 AP라고 설정한 후에만 허가된다. 한편, TDLS ACM 서브필드 비트가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 TS 설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6GHz대의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이, 그 AC에 대하여 허가된다. TDLS ACM 서브필드에 의하여, AP는, 비AP STA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보다 제어할 수 있고, 이것은 유리하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800) 및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802)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80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STA(504, 604)에 의하여 AP(502, 602)에 송신되는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508, 608)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80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어드레스(Address) 1(RA) 필드, 어드레스(Address) 2(TA) 필드, 어드레스(Address) 3(BSSID) 필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 HT 제어(HT Control) 필드, 카테고리(Category) 필드, QoS 액션(QoS Action)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TSPEC 엘리먼트 필드,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5 및 도 6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은, AP가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TS를 설정하는 것을 요구하기 위하여, 이니시에이터 STA에 의하여 AP에 송신된다.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802)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AP(502, 602)에 의하여 STA(504, 604)에 송신되는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510, 610)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802)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어드레스(Address) 1(RA) 필드, 어드레스(Address) 2(TA) 필드, 어드레스(Address) 3(BSSID) 필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 HT 제어(HT Control) 필드, 카테고리(Category) 필드, QoS 액션(QoS Action)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스테이터스코드(Status Code) 필드, TS 지연(TS Delay) 필드, TSPEC 엘리먼트 필드,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5 및 도 6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은, TS가 설정된 것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AP에 의하여 이니시에이터 STA에 송신된다. TDLS 다이렉트 링크는, ADDTS 요구/응답(ADDTS Request/Response) 프레임 내에서, 엘리먼트 ID(Element ID) 필드, 길이(Length) 필드, BSSID 필드, TDLS 이니시에이터 STA 어드레스(TDLS Initiator STA Address) 필드, 및 TDLS 수신 측 STA 어드레스(TDLS Responder STA Address) 필드를 포함하는(또는, 그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는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 필드에 의하여 식별되어도 된다.
AP는, STA에 보내는 브로드캐스트/유니캐스트 프레임 내에 정지 동작(Cease Operation) 엘리먼트를 포함시킴으로써, 6GHz대의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관련지어진 비AP STA에 지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 정지 동작 지시는, (예를 들면, AFC 데이터베이스의 변화에 의하여) 스펙트럼의 프라이머리 유저를 검출했을 때, AFC 시스템으로부터의 지시가 있었을 때, 또는, 그 외 동일한 상황일 때에, AP에 의하여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그와 같은 요건은, 진행 중의 모든 송신을 즉석에서 정지하는 것을 포함해도 되고, 유해한 간섭으로부터 스펙트럼의 라이센스 유저를 보호하기 위하여, 규제 기관에 의하여 명령되어도 된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 동작 지시에 사용되는, 정지 동작(Cease Operation) 엘리먼트(900)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정지 동작(Cease Operation) 엘리먼트(900)는, 엘리먼트 ID(Element ID) 필드, 길이(Length) 필드, 확장 엘리먼트 ID(Extended Element ID) 필드, BSSID 필드, 대역 ID(Band ID) 필드, 동작 클래스(Operating Class) 필드, 동작 채널(Operating Channel) 필드, 및 이유 코드(Reason Code)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대역 ID(Band ID) 필드(존재하는 경우), 동작 클래스(Operating Class) 필드, 및 동작 채널(Operating Channel) 필드는 모두, 정지 동작이 적용되는 주파수 대역 및 채널을 식별한다. 이유 코드(Reason Code) 필드는, STA가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요구하는 이유를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면, 「0」의 값은 프라이머리 또는 라이센스된 사용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고, 「1」의 값은 채널의 사용이 AFC 시스템에 의하여 AFC 데이터베이스로 허가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내며, 그 외의 2부터 255의 값은 다른 이유때문에 예약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다른 이유로서, 채널의 라이센스 유저가 AFC 시스템에 간섭 보고를 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STA는, 정지 동작(Cease Operation) 엘리먼트(900)와 함께 AP로부터 정지 동작 지시를 수신하면, 지시된 채널에 있어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상의 모든 동작을 정지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 다이렉트 링크를 절단 하는 것, 또는 다이렉트 링크에 관련지어진 TDLS TS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AP는, 정지 동작 지시를 사용함으로써 6GHz대의 TDLS 다이렉트 링크 설정/송신을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AP는, TDLS 다이렉트 링크이더라도, 데이터 프레임의 스케줄링된 송신만을 허가해도 되며, 그 때문에, TDLS 데이터 프레임 송신은, AP로부터의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의 수신을 필요로 해도 된다. TDLS STA에 대하여 TDLS 링크를 위한 TS 설정을 요구함으로써, AP는 TDLS 링크에서의 송신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지만, 일부의 규제 영역에서는, AP는, 어느 STA가, 언제 무선 매체상에서 송신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훨씬 엄격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에서는, AP는 컨텐션 베이스의 송신(예를 들면, EDCA)을 모두 무효로 하고, AP에 의하여 스케줄링된 송신만을 허가해도 된다. TDLS 이니시에이터 STA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면, TXOP 기간 내에,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TDLS 수신 측 STA에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TXOP에 있어서의 2개의 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AP(1002)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008)을 생성하여, STA(1004)에 송신할 수 있다. STA(1004)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008)을 수신하고, SIFS(Short Interframe Spacing)(1010)의 후, TXOP(1016)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TDLS 데이터(TDLS Data) 프레임(1012)을 STA(1006)에 송신한다. STA(1006)는, 확인 응답 프레임(1014)(ACK 프레임 또는 BlockAck 프레임)을 STA(1004)에 송신함으로써, AP(1004)로부터 수신한 각 TDLS 데이터 프레임(1012)에 대하여 확인 응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008)은, STA(1004)의 MAC 어드레스, 허가 액세스 카테고리(AC), 및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은, 당해 MAC 어드레스에 송신되며, 당해 허가 AC 또는 보다 높은 AC로 특정된 TID에 근거하여, 또,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은, 당해 최대 송신 전력 레벨보다 작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다.
데이터 프레임의 EDCA 베이스의 송신은,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는 허가되지 않는다. 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이와 같은 트리거된 송신은, TDLS 다이렉트 링크가 베이스 채널 내에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 때문에, 6GHz대의 오프 채널에 대한 TDLS 채널 전환이 허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AP(1002)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008)의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TDLS TS의 파라미터, 및 TDLS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TDLS Buffer Status Report)를 사용해도 된다.
도 11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100)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10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008)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10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RA 필드, TA 필드,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 유저 정보(User Info) 필드, 패딩(Padding)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RA 필드는, 예를 들면, TDLS 이니시에이터 STA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것은 데이터 프레임(1012)을 송신하는 STA(1004)의 MAC 어드레스이다.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는, 트리거 타입(Trigger Type) 필드를 포함해도 되고, 트리거 타입(Trigger Type) 필드는, 프레임이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값 「8」을 포함해도 된다. 공통 정보(Common Info) 필드 내의, 트리거 타입(Trigger Type) 필드 및 CS 요구(CS Required) 필드를 제외한 다른 필드는 모두 예약되어 있어도 된다. 트리거 의존 공통 정보(Trigger Dependent Common Info) 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유저 정보(User Info) 필드에는, AID 12 필드와 트리거 의존 유저 정보(Trigger Dependent User Info) 필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하나의 유저 정보(User Info) 필드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AID 12 필드는, TDLS 이니시에이터 STA의 AID로 설정되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것은 STA(1004)의 AID이다. 트리거 의존 유저 정보(Trigger Dependent User Info) 필드는,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 허가 AC(Allowed AC) 필드, 및 최대 전력 레벨(Maximum Power Level) 필드를 더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는, 예를 들면, TDLS 수신 측 STA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것은, 데이터 프레임(1012)을 수신하는 대상인 STA(1006)의 MAC 어드레스이다. 트리거 의존 유저 정보(Trigger Dependent User Info) 필드의, 다른 모든 필드는 예약되어 있어도 된다.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100)을 수신하는 TDLS 이니시에이터 STA는, 허가 AC(Allowed AC) 필드에 나타나는 AC, 또는 다른, 우선도가 보다 높은 AC로부터의 TID 중 어느 하나로부터, TDLS 수신 측 STA에 보내는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이 허가되어도 된다.
도 11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의 대체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의 포맷은, 대체로서,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10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형식으로 간략화할 수 있다.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102)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RA 필드, TA 필드, 트리거 타입(Trigger Type) 필드, CS 요구(CS Required) 필드, 허가 AC(Allowed AC) 필드, 최대 전력 레벨(Maximum Power Level) 필드,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따라서, 도 10의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008)은, 간략화된 TDLS 트리거 프레임(1102)의 형식이어도 된다.
또, STA가 자신의 TDLS 버퍼 스테이터스를 AP에 보고하기 위하여, 새로운 TDLS 액션(TDLS Action) 프레임(TDLS Buffer Status Report)이 정의되어도 된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TDLS 버퍼 스테이터스를 보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TDLS 액션(TDLS Action) 프레임(1200)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TDLS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TDLS Buffer Status Report) 프레임(120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어드레스(Address) 1 필드, 어드레스(Address) 2 필드, 어드레스(Address) 3 필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 HT 제어(HT Control) 필드, 카테고리(Category) 필드, TDLS 액션(TDLS Action) 필드,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 필드, 하나 또는 복수의 TDLS 버퍼 스테이터스(TDLS Buffer Status)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각 TDLS 버퍼 스테이터스(TDLS Buffer Status) 필드는, TID 필드 및 큐 사이즈(Queue Size)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TDLS 액션(TDLS Action) 필드는, 액션 프레임이 TDLS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TDLS Buffer Status Report)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예를 들면 「11」의 값을 가져도 된다.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엘리먼트 필드는, TDLS 링크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TID는, TDLS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TID를 나타내도 된다. 큐 사이즈(Queue Size) 필드는, TDLS 피어 STA에 보내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TID의 큐 사이즈를 나타내도 되고, QoS 제어(QoS Control) 필드의 큐 사이즈(Queue Size) 서브필드와 동일한 부호화를 이용해도 된다.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하여 TS가 설정되는 경우, TID 필드는 TSID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TDLS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TDLS Buffer Status Report) 프레임(1200)은, 데이터 캡슐화없이 AP와의 사이에서 직접 송신되어도 된다. AP는, 6GHz 대역에서의 TDLS 송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TDLS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TDLS Buffer Status Report) 프레임(1200)에 있어서 제공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1100, 1102)을 동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고, 이것은 유리하다.
AP는, 예를 들면, 비컨/프로브 응답(Beacon/Probe Response) 프레임의 확장 대응 기능(Extended Capabilities) 필드에 있어서, 6GHz의 TDLS 다이렉트 링크에 TS 설정이 필요할지 어떤지(비트 #83), 및/또는 6GHz의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데이터 프레임 송신에 트리거(Trigger) 프레임이 필요할지 어떤지(비트 #84)를 통지할 수 있다. 이하의 표 1은, 상기의 요건을 통지하기 위하여, 비컨/프로브 응답(Beacon/Probe Response) 프레임의 확장 대응 기능(Extended Capabilities) 필드에 있어서, AP를 사용할 수 있는 비트의 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AP는, 6GHz대에서의 TDLS 다이렉트 링크 송신을 유효하게 하는 요건을 보다 제어할 수 있고, 이것은 유리하다.
비트 정보 비고
38 TDLS의
금지
TDLS 금지(TDLS Prohibited) 서브필드는, TDLS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TDLS가 금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이, TDLS가 허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0이 필드로 설정된다.
39 TDLS
채널 전환
의 금지
TDLS 채널 전환 금지(TDLS Prohibited) 서브필드는, TDLS의 채널 전환의 이용이 금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TDLS 채널 전환이 금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이, TDLS 채널 전환이 허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0이 필드로 설정된다.
??
83 6GHz에서의
TDLS TS
설정의
필요성
6GHz에서의 TDLS TS 설정의 필요성(TDLS TS Setup Required in 6GHz) 서브필드는,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데이터 프레임 송신(임의의 AC) 전에, 이 대역(베이스 채널 또는 오프 채널 중 어느 하나)에서, TDLS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트래픽 스트림(TS)을, AP라고 설정할 필요가 있는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데이터 프레임 송신 전에, 그 링크를 위한 TS가 AP라고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이 필드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이 설정된다.
84 6GHz에서는트리거된
TDLS만
허가
6GHz에서는 트리거된 TDLS만 허가(Only Triggered TDLS Allowed in 6GHz) 서브필드에서는, EDCA 송신이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 허가되는지, 또는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모든 데이터 프레임 송신 전에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이 필요할지 어떤지를 나타낸다.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모든 데이터 프레임 송신 전에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이 필드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이 설정된다.
85~n 예약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TDLS 송신의 요구 및 승인을 위하여, 새로운 RTS(송신 요구: Request to Send) 및 CTS(송신 승인: Clear to Send) 프레임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TDLS RTS 프레임(1300), 및 TDLS CTS 프레임(1302)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TDLS RTS 프레임(1300)은, 다른 STA(예를 들면, TDLS 수신 측 STA)와의 TDLS 송신을 위한 TXOP를 요구하기 위하여, TDLS 이니시에이터 STA로부터 관련지어진 AP에 송신되어도 된다. TDLS RTS 프레임(1300)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RA 필드, TA 필드,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RA 필드는, 예를 들면, TDLS 이니시에이터 STA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어도 되고,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는, TDLS 수신 측 STA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어도 된다. TDLS RTS 프레임은,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를 포함하는 부분이 통상의 RTS 프레임과 상이하다.TDLS CTS 프레임(1302)은, AP가 TDLS 송신을 허가하는 경우, AP에 의하여 TDLS 이니시에이터 STA에 송신되어도 된다. TDLS CTS 프레임(1302)은,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 RA 필드,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 및 FCS 필드를 포함해도(또는, 그들로 구성되어도) 된다. TDLS RTS 프레임(1300)의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와 동일하게, TDLS CTS 프레임(1302)의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는, TDLS 수신 측 STA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어도 된다. TDLS CTS 프레임은, 수신처 MAC 어드레스(Destination MAC address) 필드를 포함하는 부분이 통상의 CTS 프레임과 상이하다.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은, AP와의 RTS/CTS 교환 후에만 허가될 수 있다. 또, TDLS 다이렉트 링크가 베이스 채널에 있는 경우에만 송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6GHz대의 오프 채널로의 TDLS 채널의 전환은 허가되지 않는다. RTS/CTS 교환에 의하여, AP는 6GHz대에 있어서의 TDLS 송신을 동적으로 허가/거부할 수 있고, 이것은 유리하다. TDLS 링크에서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이 RTS와 CTS의 수순을 사용하는 것의 하나의 이점은, AP의 TDLS 링크에 관한 스케줄링 부하가 없어져, TDLS 이니시에이터 STA(이 예에서는 STA1(1404))가 TDLS TXOP의 개시를 행하면서도, AP는 여전히, TDLS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송신이 허가되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엄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TXOP에 있어서의 2개의 STA간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로이다. STA(1404)는, STA(1406)와의 TDLS 송신을 위한 TXOP(1416)를 요구하기 위하여, TDLS RTS 프레임(1408)을 생성하여, AP(1402)에 송신할 수 있다. TDLS RTS 프레임(1408)은, 도 13에 나타내는 TDLS RTS 프레임(1300)의 형식을 취할 수 있고, STA(1406)의 MAC 어드레스와 같은, STA(1406)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해도 된다. 그리고, AP(1402)는, TDLS RTS 프레임(1408)을 수신하면, 송신을 허가하기 위하여, TDLS CTS 프레임(1410)을 생성하여, STA(1402)에 송신할 수 있다. TDLS CTS 프레임(1410)은, 도 13에 나타내는 TDLS CTS 프레임(1302)의 형식을 취할 수 있고, STA(1406)의 MAC 어드레스와 같은, STA(1406)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해도 된다. 그리고, STA(1404)는, TDLS CTS 프레임(1410)을 수신한 후, 요구 TXOP(1416)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1412)을 STA(1406)에 송신할 수 있다. STA(1406)는, 확인 응답 프레임(1414)을 STA(1404)에 송신함으로써, 각 데이터 프레임에 대하여 확인 응답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STA(1404) 및 STA(1406)의 양방이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즉, 파워 세이브 모드는 아니다)고 가정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장치(1500)의, 부분적으로 구획된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1500)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AP 또는 STA로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1500)는, 회로(1514),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1502), 적어도 하나의 무선 수신기(1504),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512)(간략화를 위하여, 도 15에는 도해(圖解)를 목적으로서 안테나는 하나만 그려져 있다)를 포함해도 된다. 회로(1514)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506)를 포함해도 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506)는,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태스크(무선 네트워크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장치와의 통신의 제어를 포함한다)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지원하에서 실행할 때에 사용된다. 회로(1514)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 처리부(1510)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506)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1502)를 통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되는 프레임(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가 STA인 경우는,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 프레임,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 및 TDLS RTS 프레임, 또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가 AP인 경우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 EDCA 파라미터 세트(EDCA Parameter Set) 엘리먼트 프레임, 정지 동작 지시(cease operation instruction) 프레임,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 TDLS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TDLS Buffer Status Report) 프레임, 및 TDLS CTS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를 제어해도 되고, 또,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506)의 제어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수신기(1504)를 통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가 STA인 경우는, TDLS 채널 사용 허가 응답(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sponse) 프레임, ADDTS 응답(ADDTS response) 프레임, EDCA 파라미터 세트(EDCA Parameter Set) 엘리먼트 프레임, 정지 동작 지시(cease operation instruction) 프레임,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 TDLS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TDLS Buffer Status Report) 프레임, 및 TDLS CTS 프레임, 또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가 AP인 경우는, TDLS 설정 요구(TDLS Setup Request) 프레임,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 프레임, TDLS 채널 사용 허가 요구(TDLS Channel Use Permission Request) 프레임, ADDTS 요구(ADDTS request) 프레임, 및 TDLS RTS 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 처리부(1510)를 제어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 처리부(151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506)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1500)의 스탠드얼론 모듈이어도 된다. 혹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 처리부(151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506)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기능 모듈의 배치는 플렉시블이며, 실제의 요구 및/또는 요건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데이터 처리, 스토리지, 및 다른 관련되는 제어 장치를, 적절한 회로 기판 및/또는 칩 세트에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작 시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1502), 적어도 하나의 무선 수신기(1504),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512)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506)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통신 장치(1500)는, 동작 시에,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는, 제1 채널에서 AP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STA여도 되고, 회로(1514)(예를 들면, 회로(1514)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는, 동작 시에, 통신 장치(1500)와, 다른 통신 장치와, 상기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생성해도 된다. 무선 송신기(1502)는, 동작 시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상기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해도 된다. 무선 수신기(1504)는, 동작 시에, 상기 제2 채널의 사용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해도 되고, 통신 장치(1500)는 추가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이렉트 링크는, TDLS 다이렉트 링크여도 된다.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최대 송신 전력 레벨 및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사이의 통신은, 상기 유효 기간의 만료 시에 정지된다.
또, 무선 수신기(1504)는 추가로, 상기 AP로부터 정지 동작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통신 장치(1500)는, 상기 정지 동작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통신을 정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회로(1514)(예를 들면, 회로(1514)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는,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ADDTS 요구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도 되고, 무선 송신기(1502)는 추가로,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트래픽 스트림의 설정을 상기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ADDTS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되며, 무선 수신기(1504)는 추가로, 상기 트래픽 스트림이 설정된 것을 뒷받침하는 ADDTS 응답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무선 송신기(1502)는 추가로, 상기 트래픽 스트림에 속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는, STA여도 되고, 무선 수신기(1504)는, 동작 시에,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해도 되며, 무선 송신기(1502)는, 동작 시에,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해도 된다.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예를 들면, TDLS 트리거(TDLS Trigger) 프레임이어도 된다.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MAC 어드레스와, 허가 AC(액세스 카테고리)와,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MAC 어드레스에 송신되며, 상기 허가 AC 또는 보다 높은 AC로 특정된 TID(트래픽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최대 송신 전력 레벨보다 작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다. 또, 무선 송신기(1502)는, 또한, TID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보내진, 버퍼 데이터의 크기를 보고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 프레임을, 상기 AP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는, AP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STA여도 되고, 회로(1514)(예를 들면, 회로(1514)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는, 동작 시에, 다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TDLS RTS 프레임을 생성해도 된다. 무선 송신기(1502)는, 동작 시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TDLS 송신을 위한 TXOP(송신 기회)를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TDLS RTS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해도 된다. 무선 수신기(1504)는, 동작 시에, 상기 AP로부터 TDLS CTS 프레임을 수신해도 되고, 무선 송신기(1502)는 추가로,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요구한 TXOP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는, 제1 채널에서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AP여도 되고, 무선 수신기(1504)는, 동작 시에,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의 사용을 요구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수신해도 된다. 회로(1514)는, 동작 시에,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채널이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하여 사용되어도 되는지 아닌지를, 주파수 조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정해도 된다. 회로(1514)(예를 들면, 회로(1514)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는 추가로, 상기 판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무선 송신기(1502)는, 동작 시에,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상기 판정에 근거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해도 된다.
상기 주파수 조정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AFC 데이터베이스여도 된다.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최대 송신 전력 레벨 및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사이의 통신은, 상기 유효 기간의 만료 시에 정지된다.
또, 회로(1514)(예를 들면, 회로(1514)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는 추가로, 정지 동작 지시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무선 송신기(1502)는 추가로,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생성한 정지 동작 지시를 송신하여,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통신의 정지를 지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회로(1514)(예를 들면, 회로(1514)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는 추가로, 상기 다른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무선 송신기(1502)는 추가로, 상기 생성된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예를 들면, TDLS(TDLS Trigger) 트리거 프레임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500)는,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AP여도 되고, 무선 수신기(1504)는, 동작 시에, 다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TDLS 송신을 위한 TXOP를 상기 AP에 요구하는 TDLS RTS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회로(1514)(예를 들면, 회로(1514)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신호 생성부(1508))는, 동작 시에, TDLS CTS 프레임을 생성해도 된다. 무선 송신기(1502)는, 동작 시에,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해도 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요구한 TXOP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방법의 플로를 나타내는 도(1600)이다. 스텝 1602에 있어서,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와,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이 생성되어도 된다. 스텝 1604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AP에 송신되어도 된다. 스텝 1606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의 사용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이 상기 AP로부터 수신되어도 된다. 스텝 1608에 있어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개시되어도 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디바이스(1700), 예를 들면, STA와 같은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통신 장치의 개략예와 동일하게, 도 17의 개략예에 있어서의 통신 디바이스(17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수신기(간략화를 위하여, 무선 송신기 및 수신기는 도 17에는 그려져 있지 않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702)와, 회로(1704)를 포함한다. 회로(1704)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또는 CPU(1706)를 포함해도 되고, CPU(1706)는,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태스크(다른 STA 또는 AP 등의 다른 통신 장치와의 통신의 제어를 포함한다)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지원하에서 실행할 때에 사용된다.
회로(1704)는, 자신의 지오로케이션 위치의 위도, 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1700)의 위치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모듈(1708)을 더 포함해도 된다. 일부의 규제 영역에서는, 위치 정보는,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STA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채널을 결정하기 위하여, AFC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회로(1704)는, 다른 STA와의 다이렉트 링크에 사용되는 채널의 선택이나, 각 채널의 채널 사용 유효 기간의 추적 등을 행하는 채널 선택 모듈(1710)을 더 포함해도 된다. 또, 당해 모듈은,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채널 사용에 관하여, 관련지어진 AP로부터의 채널 사용 허가 응답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회로(1704)는, 다이렉트 링크 및 대응하는 트래픽에 관한 관련 정보, 예를 들면, 다이렉트 링크에 할당된 채널 및 그 유효 기간, 다이렉트 링크에 할당된 트래픽 스트림 파라미터, 다양한 다이렉트 링크의 버퍼 스테이터스, 및 다른 동일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다이렉트 링크 레코드 모듈(1712)을 더 포함해도 된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디바이스(1800), 예를 들면 AP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통신 장치의 개략예와 동일하게, 도 18의 개략예에 있어서의 통신 디바이스(18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수신기(간략화를 위하여, 무선 송신기 및 수신기는 도 18에는 그려져 있지 않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802)와, 회로(1804)를 포함한다. 회로(1804)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또는 CPU(1806)를 포함해도 되고, CPU(1806)는,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태스크(STA 또는 다른 AP 등의 다른 통신 장치와의 통신의 제어를 포함한다)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지원하에서 실행할 때에 사용된다.
회로(1804)는, AFC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고, AFC 시스템 및 AFC 데이터베이스로의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는, AFC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1814)을 더 포함해도 된다. AFC 시스템과의 실제의 통신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도 된다. 회로(1804)는, AP의 지오로케이션 위치의 위도, 경도 정보, 및 지상으로부터의 AP의 위치 자세를 포함할 수 있는, AP 디바이스의 위치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모듈(1808)을 더 포함해도 된다. 위치 정보는, AP 및 AP에 관련지어진 STA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채널을 결정하기 위하여, AFC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회로(1804)는, AP에 관련지어진 STA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는 채널의 관리(채널상의 유효화 신호의 송신, 채널 사용 유효 기간의 추적 등을 포함해도 된다)를 행하는 채널 관리 모듈(1810)을 더 포함해도 된다. 또, 당해 모듈은,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채널의 사용에 관하여, 관련지어진 STA로부터의 채널 사용 허가 요구를 처리하여, AFC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계 제휴해도 된다. 회로(1804)는, 다이렉트 링크 및 대응하는 트래픽에 관한 관련 정보, 예를 들면, 다이렉트 링크에 할당된 채널 및 그 유효 기간, 다이렉트 링크에 할당된 트래픽 스트림 파라미터, 다양한 다이렉트 링크의 버퍼 스테이터스, 및 다른 동일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다이렉트 링크 레코드 모듈(1812)을 더 포함해도 된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멀티 밴드 디바이스, 예를 들면 ST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멀티 밴드 디바이스는, 각 주파수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STA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 밴드 디바이스가 5GHz대 및 6GHz대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각 STA가 각각 MAC층 및 PHY층, 및 관련지어진 엔티티를 갖는, 5GHz STA(STA(1902) 등) 및 6GHz STA(STA(1904) 등)를 구비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각 STA는, 각각의 MLME(MAC층 관리 엔티티: MAC Layer Management Entity) 및 PLME(PHY 관리 엔티티: PHY Management Entity)를 통하여 각 대역의 MAC층 및 PHY층으로의 액세스할 수 있는, 단말 관리 엔티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각 STA의 MAC SAP(Service Access Point)는, 상위층의 프로토콜에, 대역 고유의 MAC 서브레이어 및 PHY 서브레이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종래의 802.11 네트워크에서는, AP 디바이스와 비AP 디바이스가 양방 모두 멀티 밴드 디바이스이더라도, 그들은, 각 주파수 대상의 별개의 STA로서 보여지고, 5GHz의 비AP STA는 5GHz의 AP STA와 관련지어질 것이, 6GHz의 비AP STA는 6GHz의 AP STA와 관련지어질 것이 요구된다. AP가 싱글 밴드 디바이스(예를 들면, 802.11ac AP)이며, 5GHz대에서만 동작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비AP 디바이스는, AP와의 통신을 위하여 자신의 6GHz STA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2개의 이와 같은 비AP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6GHz STA간에 TDLS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6GHz대에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5GHz의 비AP STA가, 6GHz STA 대신에, 다른 6GHz STA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6GHz대의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AP에 요구할 수 있다. 6GHz STA에 의하여 사용되는 MAC 어드레스가, 5GHz STA에 의하여 사용되는 MAC 어드레스와 상이한 경우, AP는, 다이렉트 링크를 추적하기 위하여, 6GHz의 MAC 어드레스의 기록을 유지해도 된다.
EHT AP 및 대부분의 EHT비AP STA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에 대응하는 멀티 밴드 디바이스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각 주파수 대역은 각각, MAC층 및 PHY층, 및 관련지어진 엔티티를 갖고 있고, 802.11에서는, 비록 동일한 물리 디바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어도, 각 주파수 대역에 연결된 엔티티는 별개의 STA로서 취급된다. 혹은, 멀티 밴드 디바이스를 동작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수에 관계없이, 각 디바이스는, 하나의 통일된 MAC 어드레스와, 대역 ID 및 채널 번호에 의하여 구별된 다양한 주파수상의 통신 링크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고도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인용예의 대부분은, IEEE 802.11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는, 예를 들면, LTE-Advanced 네트워크 또는 향후의 5G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D2D 통신(디바이스간 통신: 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위한 셀룰러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UE(단말: User Equipment)는, 2개의 셀룰러 UE간의 6GHz대의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서비스 제공을 받고 있는 기지국(예를 들면, eNodeB)에 채널 사용 허가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근접하고 있는 다른 UE와의 D2D 통신을 위한 채널 사용 허가를, 그 기지국으로부터 요구할 수 있다. 기지국은, UE로부터 채널 사용 허가 요구를 수신하면, 요구된 채널의 여유 상황에 관하여(예를 들면, AFC 시스템을 통하여) AFC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한다. 성공의 경우, 기지국은, 요구된 채널이 D2D 통신에 이용 가능한 것을 통지하기 위하여, SUCCESS의 스테이터스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을 UE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UE는, 다른 UE와의 D2D 통신을 위한 채널의 사용을 개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연계 제휴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LSI는 개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해도 된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하여 LSI로 치환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통신 장치라고 총칭)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트랜시버)와 처리/제어 회로를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기와 송신기, 또는 그들을 기능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송신기, 수신기)는, RF(Radio Frequency) 모듈과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해도 된다. RF 모듈은, 증폭기, RF 변조기/복조(復調)기, 또는 그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통신 장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기(휴대전화, 스마트폰 등), 태블릿, 퍼스널·컴퓨터(PC)(랩톱, 데스크톱, 노트북 등), 카메라(디지털·스틸/비디오·카메라 등), 디지털·플레이어(디지털·오디오/비디오·플레이어 등),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웨어러블·카메라, 스마트워치, 트래킹 디바이스 등), 게임·콘솔, 디지털·북·리더, 텔레헬스·텔레메디슨(원격 헬스케어·약물 처방) 디바이스, 통신 기능이 있는 탈 것 또는 이동 수송 기관(자동차, 비행기, 배 등), 및 상술한 각종 장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휴대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할 수 없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홈·디바이스(가전 기기, 조명 기기, 스마트 미터 또는 계측 기기, 컨트롤·패널 등), 자동 판매기, 그 외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사물(Things)」도 포함한다.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통신 위성 시스템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더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본 개시에 기재되는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것 같은, 컨트롤러나 센서가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상기의 비한정적인 각종 장치와 통신을 행하거나, 혹은 이들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그 외 모든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이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형태 중 몇 개의 특성은 디바이스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있지만, 대응하는 특성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방법에도 적용되고, 반대도 동일하다.
특정의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는, 광범위하게 설명한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경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져도 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 있어서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제1 채널에서 AP(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로서,
    동작 시에, 상기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와, 상기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상기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제2 채널의 사용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추가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최대 송신 전력 레벨 및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사이의 통신은, 상기 유효 기간의 만료 시에 정지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링크는,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인,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AP로부터 정지 동작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지 동작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통신을 정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추가로,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ADDTS(Add Traffic Stream) 요구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위한 트래픽 스트림의 설정을 상기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ADDTS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트래픽 스트림이 설정된 것을 뒷받침하는 ADDTS 응답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트래픽 스트림에 속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MAC 어드레스와 허가 AC(액세스 카테고리)와,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MAC 어드레스에 송신되며, 상기 허가 AC 또는 보다 높은 AC로 특정된 TID(트래픽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최대 송신 전력 레벨보다 작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되는, 통신 장치.
  8.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TID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보내진, 버퍼 데이터의 크기를 보고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버퍼 스테이터스 보고 프레임을, 상기 AP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9. AP(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로서,
    동작 시에, 다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TDLS 송신을 위한 TXOP(송신 기회)를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TDLS RTS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AP로부터 TDLS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요구한 TXOP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0. 제1 채널에서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AP(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 시에,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의 사용을 요구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와,
    동작 시에,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채널이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의하여 사용되어도 되는지 아닌지를, 주파수 조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정하고, 추가로, 상기 판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상기 판정에 근거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AP.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최대 송신 전력 레벨 및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사이의 통신은, 상기 유효 기간의 만료 시에 정지되는, AP.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통신 장치에 정지 동작 지시를 송신하여, 상기 다이렉트 링크에서의 통신의 정지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AP.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다른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AP.
  14.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AP(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 시에, 다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송신을 위한 TXOP(송신 기회)를 상기 AP에 요구하는 TDLS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동작 시에, TDLS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생성하는 회로와,
    동작 시에,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AP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TDLS CTS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요구한 TXOP 내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TDLS 다이렉트 링크상에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AP.
  15.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와, 제1 채널과는 상이한 제2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2 채널을 사용하는 허가를 AP에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채널 사용 허가 요구 프레임을 상기 AP에 송신하며,
    상기 제2 채널의 사용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채널 사용 허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링크에서 상기 제2 채널상의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방법.
KR1020217040217A 2019-07-04 2020-04-23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20027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906255QA SG10201906255QA (en) 2019-07-04 2019-07-04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enhanced direct link communication
SG10201906255Q 2019-07-04
PCT/SG2020/050249 WO2021002802A1 (en) 2019-07-04 2020-04-23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enhanced direct link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838A true KR20220027838A (ko) 2022-03-08

Family

ID=7410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217A KR20220027838A (ko) 2019-07-04 2020-04-23 확장 다이렉트 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12513A1 (ko)
EP (1) EP3994951A4 (ko)
JP (1) JP7490676B2 (ko)
KR (1) KR20220027838A (ko)
CN (1) CN114009140A (ko)
MX (1) MX2021015558A (ko)
SG (1) SG10201906255QA (ko)
WO (1) WO2021002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8582B2 (en) * 2019-11-11 2023-10-03 Intel Corporation Secure location measurement sharing
US11849407B2 (en) * 2020-05-12 2023-12-19 Intel Corporation Power spectral density limit for 6 GHz
CN112911687B (zh) * 2021-01-29 2022-11-15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终端与接入设备建立连接的方法、无线局域网及存储介质
CN115987429A (zh) * 2021-10-14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指示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WO2023113370A1 (ko) * 2021-12-14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의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409619B2 (ja) 2022-04-26 2024-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240039666A1 (en) * 2022-07-29 2024-02-0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er-to-peer services when station is temporarily unavailable on primary band due to subband tran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8603A1 (en) * 2007-11-28 2009-05-28 Qualcomm Incorporated Protection for direct link setup (dls)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01557330B (zh) * 2008-04-08 2012-08-1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支持省电模式的方法、系统及终端
WO2010030136A2 (en) * 2008-09-11 2010-03-18 Lg Electronics Inc. Power management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KR101511386B1 (ko) * 2008-10-15 201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WO2010128823A2 (en) * 2009-05-08 2010-11-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cynchronous direct link setup in wlan system
WO2011093642A2 (ko) * 2010-01-26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화이트스페이스 내에서 스테이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683715B2 (ja) 2010-11-16 2015-03-11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ダイレクトリンクオペレーション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01935B1 (ko) * 2011-02-25 2018-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Tdls를 통한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으로의 채널 스위칭
KR101235907B1 (ko) * 2011-08-24 2013-02-21 주식회사 플라스포 풍력발전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9402240B2 (en) 2013-01-28 2016-07-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9705656B2 (en) * 2013-05-03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er-to-peer and AP traffic multiplexing
CN105940727B (zh) * 2014-02-04 2019-11-01 Lg电子株式会社 在wlan中基于功率节省模式的操作方法和设备
CN105940728B (zh) * 2014-02-11 2019-07-02 Lg电子株式会社 无线lan中基于功率节省模式的操作方法和设备
US9585159B2 (en) * 2014-12-19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dual-band relay
EP3245820A1 (en) * 2015-01-13 2017-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ordination using the ue application
US20160337899A1 (en) * 2015-05-13 2016-11-1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trigger
US10187773B1 (en) * 2015-07-25 2019-01-22 Gary M. Zalewski Wireless coded communication (WCC) devices with power harvesting power sources for monitoring state data of objects
AU2015404488B2 (en) * 2015-07-31 2019-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369268A4 (en) * 2015-10-27 2019-06-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LATERAL BINDING STAMP MEMORY STATE REPORT IN DEVIC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D2D) AND DEVICE THEREOF
GB2552200B (en) * 2016-07-13 2021-05-12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quantity of data to be transmitted in a wireless network
WO2018236422A1 (en) * 2017-06-19 2018-12-27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ORDINATED PAIR-PAID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802A1 (en) 2021-01-07
JP7490676B2 (ja) 2024-05-27
MX2021015558A (es) 2022-02-16
SG10201906255QA (en) 2021-02-25
EP3994951A4 (en) 2022-08-24
CN114009140A (zh) 2022-02-01
JP2022539490A (ja) 2022-09-12
US20220312513A1 (en) 2022-09-29
EP3994951A1 (en)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90676B2 (ja) 拡張ダイレクトリンク通信のための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TWI748981B (zh) 頻譜管理裝置和方法、電子裝置和方法以及無線通信系統
US20230328589A1 (en)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CN106576219B (zh) 用于设备到设备邻近服务通信的接入类禁止的方法和装置
KR10191326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채널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47098B2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561117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능동 검색 방법
WO2016062213A1 (zh) 用于无线通信的基站侧和用户侧的装置与方法
WO2020090548A1 (ja) 基地局、端末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70026819A1 (en) Out-of-band hidden node detection
JP2022542229A (ja) 6GHz帯の周波数調整を行う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2052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140003326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변경 방법
US10051556B2 (en) Method for scanning for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system
US20220132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operating stations on an extreme high throughput link
US201600365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link in wireless lan system
US9191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 contact verification signal regarding available channels in a plurality of lo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118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wireless base station antennas to support macro base station MIMO communications with user equipment devices
RU2815440C2 (ru) Аппарат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вязи по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прямой линии связи
CN113873547A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KR102203231B1 (ko) 다중망 병합 전송을 위한 단말, 그리고 이의 동작 방법
US20220141801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KR20140032895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능동 검색 방법
WO2023202774A1 (en) License-exempt frequency band control of wireless links
KR20240054187A (ko)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의 스케줄링의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