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766A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Google Patent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766A
KR20220027766A KR1020210109642A KR20210109642A KR20220027766A KR 20220027766 A KR20220027766 A KR 20220027766A KR 1020210109642 A KR1020210109642 A KR 1020210109642A KR 20210109642 A KR20210109642 A KR 20210109642A KR 20220027766 A KR20220027766 A KR 2022002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afer
bonding
displacemen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타카 오츠카
타카시 나카미츠
슈헤이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7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185Joining of semiconductor bodies for junction formation
    • H01L21/187Joining of semiconductor bodies for junction formation by direct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207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omprising a chamber adapted to a particular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characterized by movements or sequence of movemen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Provided is technology capable of improving the throughput of a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The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onnection apparatus, a carrying apparatus and a control apparatus. The connection apparatus connect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manufacture a combined substrate. The connec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holding part, a second holding part and a moving mechanism. The first holding part holds the first substrate from an upper side. The second holding part holds the second substrate from a lower side. The moving mechanism moves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parts between a substrate delivery position and a connection position. The control apparatus leads the carrying apparatus to arrive at a substrate carry-in/carry-out position after when the carrying apparatus starts to move from the substrate carry-in/carry-out position for the connection apparatus, and also, at the same time as or before when the relative positions to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parts are returned to the substrate delivery position.

Description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본 개시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method.

특허 문헌 1 ~ 3에 기재된 접합 시스템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합하여, 중합 기판을 제작한다. 접합 시스템은, 표면 개질 장치와, 표면 친수화 장치와, 접합 장치와, 반송 장치를 구비한다. 표면 개질 장치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개질한다. 표면 친수화 장치는, 개질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친수화한다. 접합 장치는, 친수화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합하여, 중합 기판을 제작한다. 반송 장치는, 제 1 기판, 제 2 기판 및 중합 기판을 반송한다.In the bonding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are bonded to each other to produce a polymerized substrate. A bonding system is equipped with a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a surface hydrophilization apparatus, a bonding apparatus, and a conveyance apparatus.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modifies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apparatus hydrophilizes the modified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 bonding apparatus bonds the hydrophilized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produce a polymerized substrate. The transport device transports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olymerization substrate.

일본특허공개공보 2018-010922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8-010922 일본특허공개공보 2018-026414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8-026414 일본특허공개공보 2018-093018호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8-093018

본 개시의 일태양은, 기판 처리 장치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throughput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본 개시의 일태양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접합 장치와, 반송 장치와,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접합 장치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합하여, 중합 기판을 제작한다.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접합 장치에 대한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반입, 그리고 상기 중합 기판의 반출을 행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접합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접합 장치는, 제 1 유지부와, 제 2 유지부와,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지부는, 상기 제 1 기판을 상방으로부터 유지한다. 상기 제 2 유지부는, 상기 제 2 기판을 하방으로부터 유지한다.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와의 상대 위치를 기판 전달 위치와 접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접합 장치에 대한 기판 반입반출 위치로부터 이동 개시한 후로서, 또한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와의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기판 전달 위치로 돌아옴과 동시에, 또는 돌아오기 전에,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 도착시킨다.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onding apparatus, a conveying apparatus, and a control apparatus. The bonding apparatus bonds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produce a polymerized substrate. The conveying apparatus carries i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into the bonding apparatus, and carries out the polymerized substrate. The said control apparatus controls the said bonding apparatus and the said conveyance apparatus. The said bonding apparatus contains a 1st holding|maintenance part, a 2nd holding|maintenance part, and a moving mechanism. The first holding unit holds the first substrate from above. The second holding unit holds the second substrate from below. The said moving mechanism mov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aid 1st holding part and the said 2nd holding part between a board|substrate delivery position and a bonding positio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fter the transport device starts moving from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nding device,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holding part and the second holding part returns to the substrate transport position; Simultaneously or before returning, the conveying device is brought to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본 개시의 일태양에 따르면, 기판 처리 장치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roughpu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일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판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반송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위치 조절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접합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접합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 1 유지부 및 제 2 유지부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단계(S109)의 상세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의 (A)는 접합의 진행 개시 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의 (B)는 접합의 진행 도중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의 (C)는 접합의 진행 완료 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접합의 진행 속도의 이방성(異方性)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노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반송 장치에 대하여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반송 장치에 대하여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반송 장치에 대하여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a conveyance apparatus.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sition adjusting device.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a bonding apparatus.
Fig. 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ding device of Fig. 7;
FIG.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holding part and the second holding part of FIG. 7 .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s of step S109 of FIG. 4 .
Fig.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at the start of bonding, Fig.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the middle of bonding, and Fig. 11(C) is at the completion of bonding.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 example.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anisotropy of advancing speed|rate of joining.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 example of a nozzle.
14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xample of timing for transmitting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transport apparatus.
15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iming for transmitting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arrying apparatus.
16 is a flowchart showing a third example of timing at which a prepar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arrying apparatus.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수평 방향, Z축 방향은 연직 방향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structure, and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omitted. In addition,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ar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re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Z-axis direction is a vertical direc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 처리 장치(1)는, 제 1 기판(W1)과 제 2 기판(W2)을 접합하여, 중합 기판(T)을 제작한다. 제 1 기판(W1)은, 예를 들면 실리콘 웨이퍼 또는 화합물 반도체 웨이퍼 등의 반도체 기판에 복수의 전자 회로가 형성된 기판이다. 또한, 제 2 기판(W2)은, 예를 들면 전자 회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베어 웨이퍼이다. 또한 제 2 기판(W2)도, 제 1 기판(W1)과 마찬가지로, 전자 회로가 형성된 기판이어도 된다. 제 1 기판(W1)과 제 2 기판(W2)은 대략 동일 직경을 가진다. 화합물 반도체 웨이퍼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GaAs 웨이퍼, SiC 웨이퍼, GaN 웨이퍼 또는 InP 웨이퍼이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bonds the first substrate W1 and the second substrate W2 to form a polymerization substrate T. The first substrate W1 is a substrat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circuits are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such as a silicon wafer or a compound semiconductor wafer, for example. The second substrate W2 is, for example, a bare wafer on which no electronic circuit is formed. In addition, similarly to the 1st board|substrate W1, the 2nd board|substrate W2 may be a board|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nic circuit was formed. The first substrate W1 and the second substrate W2 have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lthough the compound semiconductor waf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y are a GaAs wafer, a SiC wafer, a GaN wafer, or an InP wafer.

이하, 제 1 기판(W1)을 '상 웨이퍼(W1)'라 기재하고, 제 2 기판(W2)을 '하 웨이퍼(W2)', 중합 기판(T)을 '중합 웨이퍼(T)'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웨이퍼(W1)의 판면 중, 하 웨이퍼(W2)와 접합되는 측의 판면을 '접합면(W1j)'이라 기재하고, 접합면(W1j)과는 반대측의 판면을 '비접합면(W1n)'이라 기재한다. 또한, 하 웨이퍼(W2)의 판면 중, 상 웨이퍼(W1)와 접합되는 측의 판면을 '접합면(W2j)'이라 기재하고, 접합면(W2j)과는 반대측의 판면을 '비접합면(W2n)'이라 기재한다.Hereinafter, the first substrate W1 will be referred to as 'upper wafer W1', the second substrate W2 will be referred to as 'lower wafer (W2)', and the polymerized substrate T will be referred to as 'polymerized wafer (T)'. There are cases. As shown in Fig. 3, among the plate surfaces of the upper wafer W1, the plate surface on the side to be bonded to the lower wafer W2 is described as a 'bonding surface W1j', and the plat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onding surface W1j is It is described as 'non-bonding surface (W1n)'. In addition, among the plate surfaces of the lower wafer W2, the plate surface on the side bonded to the upper wafer W1 is described as a 'bonded surface (W2j)', and the plat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onded surface (W2j) is referred to as a 'non-bonded surface ( W2n)'.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처리 장치(1)는, 반입반출 스테이션(2)과, 처리 스테이션(3)을 구비한다. 반입반출 스테이션(2) 및 처리 스테이션(3)은, X축 정방향을 따라, 반입반출 스테이션(2) 및 처리 스테이션(3)의 순서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또한, 반입반출 스테이션(2) 및 처리 스테이션(3)은 일체적으로 접속된다.As shown in FIG. 1 ,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carry-in/out station 2 and a processing station 3 . The carrying-in/out station 2 and the processing station 3 are arranged in order of the carrying-in/out station 2 and the processing station 3 along the X-axis positive direction. In addition, the carrying-in/out station 2 and the processing station 3 are integrally connected.

반입반출 스테이션(2)은, 배치대(10)와, 반송 영역(20)을 구비한다. 배치대(10)는, 복수의 배치판(11)을 구비한다. 각 배치판(11)에는, 복수 매(예를 들면, 25 매)의 기판을 수평 상태로 수용하는 카세트(C1, C2, C3)가 각각 배치된다. 카세트(C1)는 상 웨이퍼(W1)를 수용하는 카세트이며, 카세트(C2)는 하 웨이퍼(W2)를 수용하는 카세트이며, 카세트(C3)는 중합 웨이퍼(T)를 수용하는 카세트이다. 또한 카세트(C1, C2)에 있어서,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는, 각각 접합면(W1j, W2j)을 상면으로 한 상태에서 방향을 일치시켜 수용된다.The carrying-in/out station 2 includes a mounting table 10 and a carrying area 20 . The mounting table 10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plates 11 . Cassettes C1, C2, and C3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or example, 25) substrates in a horizontal state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each of the placement plates 11 . The cassette C1 is a cassette accommodating the upper wafer W1, the cassette C2 is a cassette accommodating the lower wafer W2, and the cassette C3 is a cassette accommodating the polymerization wafer T. Further, in the cassettes C1 and C2,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accommoda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bonding surfaces W1j and W2j as the upper surfaces, respectively.

반송 영역(20)은, 배치대(10)의 X축 정방향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반송 영역(20)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21)와, 이 반송로(21)를 따라 이동 가능한 반송 장치(22)가 마련된다. 반송 장치(22)는, X축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고 또한 Z축 둘레로 선회 가능하며, 배치대(10) 상에 배치된 카세트(C1 ~ C3)와, 후술하는 처리 스테이션(3)의 제 3 처리 블록(G3)과의 사이에서, 상 웨이퍼(W1), 하 웨이퍼(W2) 및 중합 웨이퍼(T)의 반송을 행한다.The conveyance area|region 20 is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X-axis positive direction side of the mounting table 10. As shown in FIG. In such a transport region 20 , a transport path 21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transport device 22 movable along the transport path 21 are provided. The conveying device 22 is movable also in the X-axis direction and is pivotable around the Z-axis, and includes cassettes C1 to C3 disposed on the mounting table 10 and a processing station 3 to be described later. 3 Between the processing block G3, the upper wafer W1, the lower wafer W2, and the superposed|polymerized wafer T are conveyed.

또한, 배치대(10) 상에 배치되는 카세트(C1 ~ C3)의 개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치대(10) 상에는, 카세트(C1, C2, C3) 이외에, 문제가 생긴 기판을 회수하기 위한 카세트 등이 배치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cassettes C1 to C3 arranged on the mounting table 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Moreover, on the mounting table 10, in addition to the cassettes C1, C2, and C3, a cassette for recovering a defective substrate or the like may be disposed.

처리 스테이션(3)에는, 예를 들면 3 개의 처리 블록(G1, G2, G3)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처리 스테이션(3)의 배면측(도 1의 Y축 정방향측)에는, 제 1 처리 블록(G1)이 마련되고, 처리 스테이션(3)의 정면측(도 1의 Y축 부방향측)에는, 제 2 처리 블록(G2)이 마련된다. 또한, 처리 스테이션(3)의 반입반출 스테이션(2)측(도 1의 X축 부방향측)에는, 제 3 처리 블록(G3)이 마련된다.The processing station 3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three processing blocks G1 , G2 , G3 . For example, a first processing block G1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processing station 3 (the Y-axis positive side in FIG. 1 ), and the front side of the processing station 3 (the Y-axis negative side in FIG. 1 ). ), a second processing block G2 is provided. In addition, a third processing block G3 is provided on the processing station 3 on the carry-in/out station 2 side (X-axis negative direction side in FIG. 1 ).

또한, 제 1 처리 블록(G1) ~ 제 3 처리 블록(G3)으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반송 영역(60)이 형성된다. 반송 영역(60)에는, 반송 장치(61)가 배치된다. 반송 장치(61)는, 예를 들면 연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연직축 둘레로 이동 가능한 반송 암을 가진다. 또한, 반송 장치(61)의 상세는, 도 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Moreover, the conveyance area|region 60 is formed in the area|region surrounded by the 1st process block G1 - the 3rd process block G3. In the conveyance area 60,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arrange|positioned. The conveying apparatus 61 has a conveying arm which is movable about a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axis, for example. In addition, the detail of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mentioned later using FIG.

반송 장치(61)는, 반송 영역(60) 내를 이동하여, 반송 영역(60)에 인접하는 제 1 처리 블록(G1), 제 2 처리 블록(G2) 및 제 3 처리 블록(G3) 내의 정해진 장치로 상 웨이퍼(W1), 하 웨이퍼(W2) 및 중합 웨이퍼(T)를 반송한다.The conveying apparatus 61 moves within the conveyance area 60 , and is set in the first processing block G1 , the second processing block G2 , and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adjacent to the conveyance area 60 . The upper wafer W1, the lower wafer W2, and the polymerization wafer T are transferred to the apparatus.

제 1 처리 블록(G1)에는, 표면 개질 장치(33)와, 표면 친수화 장치(34)가 배치된다. 표면 개질 장치(33)는,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 및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을 개질한다. 표면 친수화 장치(34)는, 개질된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 및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을 친수화한다.In the first processing block G1 , a surface modification device 33 and a surface hydrophilization device 34 are disposed.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modifies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device 34 hydrophilizes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modified upper wafer W1 and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예를 들면, 표면 개질 장치(33)는, 접합면(W1j, W2j)에 있어서의 SiO2의 결합을 절단하고, Si의 미결합수를 형성하여, 그 후의 친수화를 가능하게 한다. 표면 개질 장치(33)에서는, 예를 들면 감압 분위기 하에 있어서 처리 가스인 산소 가스가 여기되어 플라즈마화되고, 이온화된다. 그리고, 산소 이온이,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 및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에 조사됨으로써, 접합면(W1j, W2j)이 플라즈마 처리되어 개질된다. 처리 가스는, 산소 가스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질소 가스 등이어도 된다.For example,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cut|disconnects the bond of SiO2 in the bonding surfaces W1j, W2j, forms unbonded water of Si, and enables subsequent hydrophilization. In the surface modifying device 33 , for example, in a reduced pressure atmosphere, oxygen gas, which is a processing gas, is excited to be plasmaized and ionized. Then, oxygen ions are irradiated to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whereby the bonding surfaces W1j and W2j are plasma-treated and modified. The processing gas is not limited to oxygen gas, and may be, for example, nitrogen gas or the like.

표면 친수화 장치(34)는, 예를 들면 순수 등의 친수화 처리액에 의해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 및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를 친수화한다. 표면 친수화 장치(34)는, 접합면(W1j, W2j)을 세정하는 역할도 가진다. 표면 친수화 장치(34)에서는, 예를 들면 스핀 척에 유지된 상 웨이퍼(W1) 또는 하 웨이퍼(W2)를 회전시키면서, 당해 상 웨이퍼(W1) 또는 하 웨이퍼(W2) 상에 순수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순수가 접합면(W1j, W2j) 상을 확산되고, Si의 미결합수에 OH기가 붙어, 접합면(W1j, W2j)이 친수화된다.The surface hydrophilization device 34 hydrophilizes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with a hydrophilization treatment liquid such as pure water, for example.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device 34 also has a role of cleaning the bonding surfaces W1j and W2j. In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device 34, for example, while rotating the upper wafer W1 or the lower wafer W2 held by the spin chuck, pure water is supplied onto the upper wafer W1 or the lower wafer W2. . Thereby, pure water diffuses on the bonding surfaces W1j and W2j, OH groups attach to the Si unbound water, and the bonding surfaces W1j and W2j become hydrophilic.

제 2 처리 블록(G2)에는, 접합 장치(41)와, 기판 온조(溫調) 장치(42)가 배치된다. 접합 장치(41)는, 친수화된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접합하여, 중합 웨이퍼(T)를 제작한다. 기판 온조 장치(42)는, 접합 전의 상 웨이퍼(W1) 및 접합 전의 하 웨이퍼(W2)를 각각 온도 조절한다. 또한 접합 장치(41)의 상세는, 도 7 ~ 도 9를 이용하여 후술한다.In the second processing block G2 , a bonding device 41 and a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42 are disposed. The bonding device 41 bonds the hydrophilized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to produce a superposed wafer T.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ler 42 temperature-controls the upper wafer W1 before bonding and the lower wafer W2 before bondin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etail of the bonding apparatus 41 is mentioned later using FIGS. 7-9.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처리 블록(G3)에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위치 조절 장치(51) 및 트랜지션 장치(53, 54)가 이 순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 3 처리 블록(G3)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배치 장소는, 도 2에 나타내는 배치 장소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조절 장치(51)는,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수평 방향의 방향을 조절한다. 또한, 위치 조절 장치(51)는, 상 웨이퍼(W1)를 상하 반전하여,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을 하향으로 한다. 트랜지션 장치(53)에는, 상 웨이퍼(W1)가 일시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트랜지션 장치(54)에는, 하 웨이퍼(W2) 또는 중합 웨이퍼(T)가 일시적으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 in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51 and the transition devices 53 , 54 are stacked in this order from above to below. In addition, the arrangement place of each device in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place shown in FIG. 2 .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51 adjusts the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 Further,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51 inverts the upper wafer W1 up and down so that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faces downward. In the transition device 53 , the upper wafer W1 is temporarily disposed. Further, in the transition device 54 , the lower wafer W2 or the superimposed wafer T is temporarily disposed.

기판 처리 장치(1)는 제어 장치(9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90)는, 예를 들면 컴퓨터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91)와,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92)를 구비한다. 기억 매체(92)에는, 기판 처리 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각종의 처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 장치(90)는, 기억 매체(9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91)에 실행시킴으로써, 기판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control apparatus 90 . The control device 90 is, for example, a computer, and include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91 and a storage medium 92 such as a memory. The storage medium 92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various processes executed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 The control device 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by causing the CPU 91 to execute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92 .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기판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101 ~ S109)는, 제어 장치(90)에 의한 제어 하에서 실시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ubstrate process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Steps S101 to S109 shown in FIG. 4 are performed under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90 .

먼저, 복수 매의 상 웨이퍼(W1)를 수용한 카세트(C1), 복수 매의 하 웨이퍼(W2)를 수용한 카세트(C2) 및 빈 카세트(C3)가, 반입반출 스테이션(2)의 배치대(10) 상에 배치된다.First, a cassette C1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upper wafers W1, a cassette C2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ower wafers W2, and an empty cassette C3 are placed on the mounting table of the carrying-in/out station 2 (10) is placed on top.

이어서, 반송 장치(22)가, 카세트(C1) 내의 상 웨이퍼(W1)를 취출하여, 처리 스테이션(3)의 제 3 처리 블록(G3)의 트랜지션 장치(53)로 반송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트랜지션 장치(53)로부터 상 웨이퍼(W1)를 취출하여, 제 1 처리 블록(G1)의 표면 개질 장치(33)로 반송한다.Next, the transfer apparatus 22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in the cassette C1 and transfers it to the transition apparatus 53 of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of the processing station 3 .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from the transition apparatus 53 , and transfers it to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of the first processing block G1 .

이어서, 표면 개질 장치(33)가,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을 개질한다(단계(S101)). 접합면(W1j)의 개질은, 접합면(W1j)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표면 개질 장치(33)로부터 상 웨이퍼(W1)를 취출하여, 표면 친수화 장치(34)로 반송한다.Then,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reforms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step S101). Modification of the bonding surface W1j is performed in the state facing the bonding surface W1j upward.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from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 and transfers it to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apparatus 34 .

이어서, 표면 친수화 장치(34)가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을 친수화한다(단계(S102)). 접합면(W1j)의 친수화는, 접합면(W1j)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표면 친수화 장치(34)로부터 상 웨이퍼(W1)를 취출하여, 제 3 처리 블록(G3)의 위치 조절 장치(51)로 반송한다.Then,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device 34 hydrophilizes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step S102). Hydrophilization of the bonding surface W1j is performed in the state facing the bonding surface W1j upward.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from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apparatus 34 , and transfers it to the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51 of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

이어서, 위치 조절 장치(51)가, 상 웨이퍼(W1)의 수평 방향의 방향을 조절하고, 상 웨이퍼(W1)의 상하를 반전시킨다(단계(S103)). 그 결과, 상 웨이퍼(W1)의 노치(N)(도 12 참조)가 정해진 방위로 향해지고,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이 아래로 향해진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위치 조절 장치(51)로부터 상 웨이퍼(W1)를 취출하여, 제 2 처리 블록(G2)의 기판 온조 장치(42)로 반송한다.Next,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51 adjust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pper wafer W1, and reverse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wafer W1 (step S103). As a result, the notch N (refer to Fig. 12) of the upper wafer W1 is directed in a predetermined orientation, and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is directed downward. Thereafter, the transfer device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from the position adjustment device 51 , and transfers it to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ler 42 of the second processing block G2 .

이어서, 기판 온조 장치(42)가, 상 웨이퍼(W1)의 온도를 조절한다(단계(S104)). 상 웨이퍼(W1)의 온조는,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기판 온조 장치(42)로부터 상 웨이퍼(W1)를 취출하여, 접합 장치(41)로 반송한다.Then,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ler 42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wafer W1 (step S104).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upper wafer W1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faces downward.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from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42 , and transfers it to the bonding apparatus 41 .

상 웨이퍼(W1)에 대한 상기의 처리와 병행하여, 하 웨이퍼(W2)에 대한 하기의 처리가 실시된다. 먼저, 반송 장치(22)가, 카세트(C2) 내의 하 웨이퍼(W2)를 취출하여, 처리 스테이션(3)의 제 3 처리 블록(G3)의 트랜지션 장치(54)로 반송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트랜지션 장치(54)로부터 하 웨이퍼(W2)를 취출하여, 제 1 처리 블록(G1)의 표면 개질 장치(33)로 반송한다.In parallel with the above processing for the upper wafer W1, the following processing for the lower wafer W2 is performed. First, the transfer apparatus 22 takes out the lower wafer W2 in the cassette C2 and transfers it to the transition apparatus 54 of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of the processing station 3 .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lower wafer W2 from the transition apparatus 54 , and transfers it to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of the first processing block G1 .

이어서, 표면 개질 장치(33)가,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을 개질한다(단계(S105)). 접합면(W2j)의 개질은, 접합면(W2j)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표면 개질 장치(33)로부터 하 웨이퍼(W2)를 취출하여, 표면 친수화 장치(34)로 반송한다.Next,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reforms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step S105). The modification of the bonding surface W2j is performed in the state facing the bonding surface W2j upward.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lower wafer W2 from the surface modification apparatus 33 , and transfers it to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apparatus 34 .

이어서, 표면 친수화 장치(34)가,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을 친수화한다(단계(S106)). 접합면(W2j)의 친수화는, 접합면(W2j)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표면 친수화 장치(34)로부터 하 웨이퍼(W2)를 취출하여, 제 3 처리 블록(G3)의 위치 조절 장치(51)로 반송한다.Next,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device 34 hydrophilizes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step S106). Hydrophilization of the bonding surface W2j is performed in the state facing the bonding surface W2j upward.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lower wafer W2 from the surface hydrophilization apparatus 34 , and transfers it to the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51 of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

이어서, 위치 조절 장치(51)가, 하 웨이퍼(W2)의 수평 방향의 방향을 조절한다(단계(S107)). 그 결과, 하 웨이퍼(W2)의 노치(N)가 정해진 방위로 향해진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위치 조절 장치(51)로부터 하 웨이퍼(W2)를 취출하여, 제 2 처리 블록(G2)의 기판 온조 장치(42)로 반송한다.Next,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51 adjust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ower wafer W2 (step S107). As a result, the notch N of the lower wafer W2 is orien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reafter, the transfer device 61 takes out the lower wafer W2 from the positioning device 51 , and transfers it to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ler 42 of the second processing block G2 .

이어서, 기판 온조 장치(42)가, 하 웨이퍼(W2)의 온도를 조절한다(단계(S108)). 하 웨이퍼(W2)의 온조는,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 후, 반송 장치(61)가, 기판 온조 장치(42)로부터 하 웨이퍼(W2)를 취출하여, 접합 장치(41)로 반송한다.Then,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ler 42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wafer W2 (step S108).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lower wafer W2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faces upward.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lower wafer W2 from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ler 42 , and transfers it to the bonding apparatus 41 .

이어서, 접합 장치(41)가,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접합하여, 중합 웨이퍼(T)를 제작한다(단계(S109)). 이 후, 반송 장치(61)가, 접합 장치(41)로부터 중합 웨이퍼(T)를 취출하여, 제 3 처리 블록(G3)의 트랜지션 장치(54)로 반송한다.Next, the bonding apparatus 41 bonds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to produce a superposed wafer T (step S109). Thereafter, the transfer apparatus 61 takes out the polymerization wafer T from the bonding apparatus 41 , and transfers it to the transition apparatus 54 of the third processing block G3 .

마지막으로, 반송 장치(22)가, 트랜지션 장치(54)로부터 중합 웨이퍼(T)를 취출하여, 배치대(10) 상의 카세트(C3)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Finally, the transfer device 22 takes out the polymerization wafer T from the transition device 54 , and transfers it to the cassette C3 on the mounting table 10 . Thereby, a series of processing ends.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반송 장치(61)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 장치(61)는, 제 1 유지부(62a)와, 제 1 유지부(62a)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 2 유지부(62b)와, 제 1 구동부(64)를 구비한다. 제 1 유지부(62a)는, 제 2 유지부(62b)의 상방에 대향 배치된다. 제 2 유지부(62b)는, 단계(S103) 전에,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을 위로 향해, 상 웨이퍼(W1)를 유지한다. 한편, 제 1 유지부(62a)는, 상기 단계(S103) 후, 상기 단계(S109) 전에,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을 아래를 향해, 상 웨이퍼(W1)를 유지한다. 또한, 제 2 유지부(62b)는, 상기 단계(S109) 전에,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을 위로 향해, 하 웨이퍼(W2)를 유지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an example of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provided with the 1st holding part 62a, the 2nd holding part 62b provided below the 1st holding part 62a, and the 1st drive part 64. As shown in FIG. The first holding portion 62a is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holding portion 62b. The second holding unit 62b holds the upper wafer W1 with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facing upward before step S103 . On the other hand, the first holding unit 62a holds the upper wafer W1 with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facing downward after the step S103 and before the step S109 . In addition, the second holding part 62b holds the lower wafer W2 with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facing upward before the step S109.

제 1 유지부(62a)는, 흡인관(62a1)을 개재하여 진공 펌프(62a2)와 접속되고, 진공 펌프(62a2)의 작동에 의해 상 웨이퍼(W1)를 진공 흡착한다. 한편, 제 2 유지부(62b)는, 흡인관(62b1)을 개재하여 진공 펌프(62b2)와 접속되고, 진공 펌프(62b2)의 작동에 의해 하 웨이퍼(W2)를 진공 흡착한다.The first holding part 62a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62a2 via the suction pipe 62a1, and vacuum-sucks the upper wafer W1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62a2.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lding part 62b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62b2 via the suction pipe 62b1, and vacuum-sucks the lower wafer W2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62b2.

제 1 구동부(64)는, 제 1 유지부(62a) 및 제 2 유지부(62b)에 접속된다. 제 1 구동부(64)는, 제 1 유지부(62a) 및 제 2 유지부(62b)를 구동하여, 기대(65)에 대하여 연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연직축 둘레로 일체적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 1 구동부(64)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모터 등의 구동원 및 벨트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64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ding unit 62a and the second holding unit 62b. The first driving unit 64 drives the first holding unit 62a and the second holding unit 62b to move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base 65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vertical axis. Moreover, although the illustration is abbreviate|omitted, the 1st drive part 64 contains drive sources, such as a motor, a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s, such as a belt.

반송 장치(61)는, 접합 장치(41)에 대하여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를 반송할 시에, 제 1 유지부(62a)에 의해 상 웨이퍼(W1)를 유지하고, 제 2 유지부(62b)에 의해 하 웨이퍼(W2)를 유지하여,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를 2 매 함께 반송한다.The transfer apparatus 61 holds the upper wafer W1 by the first holding unit 62a when transferring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to the bonding apparatus 41 , The lower wafer W2 is held by the two holding units 62b, and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transported together.

또한, 반송 장치(61)는 제 3 유지부(62c)와, 제 4 유지부(62d)와, 제 2 구동부(66)를 더 구비한다. 제 4 유지부(62d)는, 제 3 유지부(62c)의 상방에 대향 배치된다. 제 3 유지부(62c)는, 상기 단계(S109) 후에, 상 웨이퍼(W1)를 위로 향해, 중합 웨이퍼(T)를 유지한다. 한편, 제 4 유지부(62d)는, 테스트용의 웨이퍼를 유지한다.Moreover, the conveying apparatus 61 is provided with the 3rd holding part 62c, the 4th holding part 62d, and the 2nd drive part 66 further. The fourth holding portion 62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third holding portion 62c. The third holding part 62c holds the superimposed wafer T with the upper wafer W1 facing upward after the step S109. On the other hand, the fourth holding part 62d holds a wafer for testing.

제 3 유지부(62c)는, 흡인관(62c1)을 개재하여 진공 펌프(62c2)와 접속되고, 진공 펌프(62c2)의 작동에 의해 예를 들면 중합 웨이퍼(T)를 진공 흡착한다. 제 4 유지부(62d)는, 흡인관(62d1)을 개재하여 진공 펌프(62d2)가 접속되고, 진공 펌프(62d2)의 작동에 의해, 테스트용의 웨이퍼를 진공 흡착한다.The third holding part 62c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62c2 via the suction pipe 62c1, and vacuum-sucks the polymerized wafer T, for example,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62c2. A vacuum pump 62d2 is connected to the fourth holding part 62d via a suction pipe 62d1, and the vacuum pump 62d2 operates to vacuum-suck the test wafer.

제 2 구동부(66)는, 제 3 유지부(62c) 및 제 4 유지부(62d)에 접속된다. 제 2 구동부(66)는, 제 3 유지부(62c) 및 제 4 유지부(62d)를 구동하여, 기대(65)에 대하여 연직 방향, 수평 방향 및 연직축 둘레로 일체적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 2 구동부(66)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모터 등의 구동원 및 벨트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66 is connected to the third holding unit 62c and the fourth holding unit 62d. The second driving unit 66 drives the third holding unit 62c and the fourth holding unit 62d to move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base 65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vertical axis. In addition, although the illustration is abbreviate|omitted, the 2nd drive part 66 contains drive sources, such as a motor, a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s, such as a belt.

반송 장치(61)는, 제 1 유지부(62a) 및 제 2 유지부(62b)에 의해, 접합 장치(41)에 대한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반입을 행하고, 제 3 유지부(62c)에 의해, 접합 장치(41)에 대한 중합 웨이퍼(T)의 반출을 행한다. n(n은 1 이상의 자연수) 회째의 접합으로 제작된 중합 웨이퍼(T)의 반출과, n+1 회째의 접합으로 접합되는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반입이 연속하여 행해진다. 또한, 반송 장치(61)의 구성은,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transfer apparatus 61 carries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into the bonding apparatus 41 by the first holding part 62a and the second holding part 62b, and the third The superposition|polymerization wafer T i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bonding apparatus 41 by the holding|maintenance part 62c. The unloading of the superimposed wafer T produced by the n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bonding and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bonded by the n+1th bonding are successively performed. .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위치 조절 장치(51)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치 조절 장치(51)는, 기대(51a)와,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를 흡착 유지하여 회전시키는 유지부(51b)와,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노치(N)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51c)와, 기대(51a)를 반전시키는 기대 반전부(51d)를 가진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6, an example of the position adjustment device 51 is demonstrated.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51 includes a base 51a, a holding part 51b for adsorbing and holding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nd rotating them, and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It has the detection part 51c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notch N, and the base inversion part 51d which inverts the base 51a.

유지부(51b)가 상 웨이퍼(W1)를 흡착 유지하여 회전시키면서, 검출부(51c)가 상 웨이퍼(W1)의 노치(N)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노치(N)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 웨이퍼(W1)의 수평 방향의 방향이 조절된다. 하 웨이퍼(W2)의 수평 방향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조절된다.While the holding unit 51b adsorbs and holds the upper wafer W1 and rotates it, the detection unit 51c detects the position of the notch N of the upper wafer W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notch N is adjuste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wafer W1 is adjuste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ower wafer W2 is also adjusted similarly.

기대 반전부(51d)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을 구비하여, 기대(51a)를 상하 반전시키고, 유지부(51b)에 유지된 상 웨이퍼(W1)를 상하 반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이 하향이 된다.The base inverting unit 51d includes, for example, a motor, to vertically invert the base 51a, and vertically invert the upper wafer W1 held by the holding unit 51b. Thereby,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becomes downward.

이어서, 접합 장치(41)의 일례에 대하여 도 7 ~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장치(41)는, 내부를 밀폐 가능한 처리 용기(210)를 가진다. 처리 용기(210)의 반송 영역(60)측의 측면에는 반입반출구(211)가 형성되고, 당해 반입반출구(211)에는 개폐 셔터(212)가 마련된다. 상 웨이퍼(W1), 하 웨이퍼(W2) 및 중합 웨이퍼(T)는, 반입반출구(211)를 거쳐 반입반출된다.Next, an example of the bonding apparatus 41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7-9. As shown in FIG. 7 , the bonding device 41 includes a processing container 210 that can seal the inside. A carry-in/out port 211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10 on the conveyance area 60 side, and an opening/closing shutter 212 is provided at the carrying-in/out port 211 . The upper wafer W1 , the lower wafer W2 , and the superimposed wafer T are carried in and out through the carry-in/out port 211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용기(210)의 내부에는, 상 척(230)과 하 척(231)이 마련된다. 상 척(230)은,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을 아래로 향해, 상 웨이퍼(W1)를 상방으로부터 유지한다. 또한, 하 척(231)은, 상 척(230)의 하방에 마련되고,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을 위로 향해, 하 웨이퍼(W2)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한다.As shown in FIG. 8 , an upper chuck 230 and a lower chuck 231 are provided inside the processing container 210 . The upper chuck 230 holds the upper wafer W1 from above with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facing down. In addition, the lower chuck 231 is provided below the upper chuck 230 ,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faces upward, and holds the lower wafer W2 from below.

상 척(230)은, 처리 용기(210)의 천장면에 마련된 지지 부재(280)에 지지된다. 한편, 하 척(231)은, 당해 하 척(231)의 하방에 마련된 제 1 하 척 이동부(291)에 지지된다.The upper chuck 230 is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280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10 . On the other hand, the lower chuck 231 is supported by the first lower chuck moving part 291 provided below the lower chuck 231 .

제 1 하 척 이동부(29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 척(231)을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 1 하 척 이동부(291)는, 하 척(231)을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한 연직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first lower chuck moving unit 291 moves the lower chuck 2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irst lower chuck moving unit 29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the lower chuck 23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be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axis.

제 1 하 척 이동부(291)는, 당해 제 1 하 척 이동부(291)의 하면측에 마련되고,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한 쌍의 레일(295)에 장착된다. 제 1 하 척 이동부(291)는, 레일(29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레일(295)은, 제 2 하 척 이동부(296)에 마련된다.The first lower chuck moving unit 29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first lower chuck moving unit 291 and is attached to a pair of rails 295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first lower chuck moving part 291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295 . The rail 295 is provided in the second lower chuck moving part 296 .

제 2 하 척 이동부(296)는, 당해 제 2 하 척 이동부(296)의 하면측에 마련되고,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한 쌍의 레일(297)에 장착된다. 제 2 하 척 이동부(296)는, 레일(297)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즉 하 척(231)을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레일(297)은, 처리 용기(210)의 저면에 마련된 배치대(298) 상에 마련된다.The second lower chuck moving unit 29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econd lower chuck moving unit 296 and is mounted on a pair of rails 297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second lower chuck moving unit 296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297 , that is, to move the lower chuck 231 in a horizont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pair of rails 297 are provided on the mounting table 298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10 .

제 1 하 척 이동부(291)와 제 2 하 척 이동부(296)로, 이동 기구(290)가 구성된다. 이동 기구(290)는, 상 척(230)과 하 척(231)의 상대 위치를, 기판 전달 위치와 접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The first lower chuck moving unit 291 and the second lower chuck moving unit 296 constitute the moving mechanism 290 . The moving mechanism 290 mov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chuck 230 and the lower chuck 231 between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and the bonding position.

기판 전달 위치는, 상 척(230)이 상 웨이퍼(W1)를 반송 장치(61)로부터 수취하고, 또한, 하 척(231)이 하 웨이퍼(W2)를 반송 장치(61)로부터 수취하고, 하 척(231)이 중합 웨이퍼(T)를 반송 장치(61)로 전달하는 위치이다. 기판 전달 위치는, n(n은 1 이상의 자연수) 회째의 접합으로 제작된 중합 웨이퍼(T)의 반출과, n+1 회째의 접합으로 접합되는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반입이 연속하여 행해지는 위치이다. 기판 전달 위치는,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위치이다.In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upper chuck 230 receives the upper wafer W1 from the transfer apparatus 61 , and the lower chuck 231 receives the lower wafer W2 from the transfer apparatus 61 , and the lower chuck 231 receives the lower wafer W2 from the transfer apparatus 61 , It is a position where the chuck 231 transfers the polymerization wafer T to the transfer device 61 .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is the unloading of the superimposed wafer T produced by the n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bonding and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bonded by the n+1 bonding. This posi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is, for example, a position shown in FIGS. 7 and 8 .

반송 장치(61)는, 상 웨이퍼(W1)를 상 척(230)으로 전달할 시에, 상 척(230)의 바로 아래로 진입한다. 또한, 반송 장치(61)는, 중합 웨이퍼(T)를 하 척(231)으로부터 수취하고, 하 웨이퍼(W2)를 하 척(231)으로 전달할 시에, 하 척(231)의 바로 위로 진입한다. 반송 장치(61)가 진입하기 쉽도록, 상 척(230)과 하 척(231)은 옆으로 비켜져 있고, 상 척(230)과 하 척(231)의 연직 방향의 간격도 크다.When transferring the upper wafer W1 to the upper chuck 230 , the transfer device 61 enters directly under the upper chuck 230 . In addition, when the transfer device 61 receives the polymerization wafer T from the lower chuck 231 and transfers the lower wafer W2 to the lower chuck 231 , it enters directly above the lower chuck 231 . . The upper chuck 230 and the lower chuck 231 are set aside so that the conveying device 61 can easily enter,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lower chuck 231 is also large.

한편, 접합 위치는,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하여, 접합하는 위치이다. 접합 위치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위치이다. 접합 위치에서는, 기판 전달 위치에 비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와의 간격이 좁다. 또한, 접합 위치에서는, 기판 전달 위치와는 달리, 연직 방향에서 봤을 때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가 중첩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nding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made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bonded. A bonding position is a position shown in FIG. 9, for example. In the bonding position, compared with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arrow. Further, in the bonding position, unlike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overlap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동 기구(290)는, 상 척(230)과 하 척(231)의 상대 위치를, 수평 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양 방향)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동 기구(29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 척(231)을 이동시키지만, 하 척(231)과 상 척(230)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도 되며, 양자를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이동 기구(290)는, 상 척(230) 또는 하 척(231)을 연직축 둘레로 회전시켜도 된다.The moving mechanism 290 mov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chuck 230 and the lower chuck 2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oth direction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moving mechanism 290 moves the lower chuck 231 in this embodiment, either the lower chuck 231 and the upper chuck 230 may move, and it may move both. In addition, the moving mechanism 290 may rotate the upper chuck 230 or the lower chuck 231 around a vertical axis.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척(230)은, 복수(예를 들면 3 개)의 영역(230a, 230b, 230c)으로 구획된다. 이들 영역(230a, 230b, 230c)은, 상 척(230)의 중심부로부터 주연부를 향해 이 순으로 마련된다. 영역(230a)은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 형상을 가지고, 영역(230b, 230c)은 평면에서 봤을 때 환상 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FIG. 9 , the upper chuck 2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or example, three) regions 230a, 230b, and 230c. These regions 230a , 230b , and 230c are provided in this order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chuck 230 . The region 230a has a circular shape in a plan view, and the regions 230b and 230c have an annular shape in a plan view.

각 영역(230a, 230b, 230c)에는, 흡인관(240a, 240b, 240c)이 각각 독립하여 마련된다. 각 흡인관(240a, 240b, 240c)에는, 상이한 진공 펌프(241a, 241b, 241c)가 각각 접속된다. 상 척(230)은, 각 영역(230a, 230b, 230c)마다, 상 웨이퍼(W1)를 진공 흡착 가능하다.In each area 230a, 230b, 230c, suction pipe 240a, 240b, 240c is provid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Different vacuum pumps 241a, 241b, 241c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suction pipe 240a, 240b, 240c. The upper chuck 230 can vacuum the upper wafer W1 for each of the regions 230a, 230b, and 230c.

상 척(230)에는, 연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복수의 유지 핀(245)이 마련된다. 복수의 유지 핀(245)은, 진공 펌프(246)에 접속되고, 진공 펌프(246)의 작동에 의해 상 웨이퍼(W1)를 진공 흡착한다. 상 웨이퍼(W1)는, 복수의 유지 핀(245)의 하단에 진공 흡착된다.The upper chuck 2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taining pins 245 that are vertically movable.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45 ar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246 and vacuum the upper wafer W1 by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246 . The upper wafer W1 is vacuum-adsorbed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45 .

복수의 유지 핀(245)은, 하강함으로써, 상 척(230)의 유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그 상태에서, 복수의 유지 핀(245)은, 상 웨이퍼(W1)를 진공 흡착하고, 반송 장치(61)로부터 수취한다. 이 후, 복수의 유지 핀(245)이 상승하여, 상 웨이퍼(W1)가 상 척(230)의 유지면에 접촉된다. 이어서, 상 척(230)은, 진공 펌프(241a, 241b, 241c)의 작동에 의해, 각 영역(230a, 230b, 230c)에 있어서 상 웨이퍼(W1)를 수평으로 진공 흡착한다.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45 protrude from the holding surface of the upper chuck 230 by descending. In this state,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45 vacuum-suck the upper wafer W1 and receive it from the transfer device 61 . After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45 are raised so that the upper wafer W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surface of the upper chuck 230 . Next, the upper chuck 230 vacuum-sucks the upper wafer W1 horizontally in each of the regions 230a, 230b, and 230c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s 241a, 241b, and 241c.

또한, 상 척(230)의 중심부에는, 당해 상 척(230)을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43)이 형성된다. 관통홀(243)에는, 후술하는 압동부(250)가 삽입 관통된다. 압동부(250)는, 하 웨이퍼(W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 웨이퍼(W1)의 중심을 눌러, 하 웨이퍼(W2)에 접촉시킨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243 penetrating the upper chuck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chuck 230 . A pressing part 2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43 . The pressing part 250 presses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lower wafer W2 to contact the lower wafer W2 .

압동부(250)는, 압동 핀(251)과, 당해 압동 핀(251)의 승강 가이드인 외통(252)을 가진다. 압동 핀(251)은, 예를 들면 모터를 내장한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관통홀(243)에 삽입 관통되어, 상 척(230)의 유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 웨이퍼(W1)의 중심을 누른다.The pushing part 250 has the pushing pin 251 and the outer cylinder 252 which is the raising/lowering guide of the said pushing pin 251. The push pin 251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43 by a driving unit (not shown) having a built-in motor, for example, and protrudes from the holding surface of the upper chuck 230 , and the upper wafer W1 . Press the center of

하 척(231)은, 복수(예를 들면 2 개)의 영역(231a, 231b)으로 구획된다. 이들 영역(231a, 231b)은, 하 척(231)의 중심부로부터 주연부를 향해 이 순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영역(231a)은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 형상을 가지고, 영역(231b)은 평면에서 봤을 때 환상 형상을 가진다.The lower chuck 23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eg, two) regions 231a and 231b. These regions 231a and 231b are provided in this order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chuck 231 toward the periphery. In addition, the region 231a has a circular shape in a plan view, and the region 231b has an annular shape in a plan view.

각 영역(231a, 231b)에는, 흡인관(260a, 260b)이 각각 독립하여 마련된다. 각 흡인관(260a, 260b)에는, 상이한 진공 펌프(261a, 261b)가 각각 접속된다. 하 척(231)은, 각 영역(231a, 231b)마다, 하 웨이퍼(W2)를 진공 흡착 가능하다.In each region 231a, 231b, suction pipes 260a, 260b are provid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Different vacuum pumps 261a and 261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s 260a and 260b. The lower chuck 231 can vacuum the lower wafer W2 for each of the regions 231a and 231b.

하 척(231)에는, 연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복수의 유지 핀(265)이 마련된다. 하 웨이퍼(W2)는, 복수의 유지 핀(265)의 상단에 배치된다. 또한 하 웨이퍼(W2)는, 복수의 유지 핀(265)의 상단에 진공 흡착되어도 된다.The lower chuck 2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taining pins 265 that are vertically movable. The lower wafer W2 is dispos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 In addition, the lower wafer W2 may be vacuum-adsorbed to the upper end of the some holding pin 265 .

복수의 유지 핀(265)은, 상승함으로써, 하 척(231)의 유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그 상태에서, 복수의 유지 핀(265)은, 하 웨이퍼(W2)를 반송 장치(61)로부터 수취한다. 이 후, 복수의 유지 핀(265)이 하강하여, 하 웨이퍼(W2)가 하 척(231)의 유지면에 접촉된다. 이어서, 상 척(230)은, 진공 펌프(261a, 261b)의 작동에 의해, 각 영역(231a, 231b)에 있어서 하 웨이퍼(W2)를 수평으로 진공 흡착한다.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protrude from the holding surface of the lower chuck 231 by rising. In this state,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receive the lower wafer W2 from the transfer device 61 . After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are lowered so that the lower wafer W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surface of the lower chuck 231 . Next, the upper chuck 230 vacuum-sucks the lower wafer W2 horizontally in each of the regions 231a and 231b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s 261a and 261b.

이어서, 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도 4의 단계(S109)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반송 장치(61)가,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서, 접합 장치(41)에 대한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반입을 행한다(단계(S111)). 기판 반입반출 위치는, 처리 용기(210)의 외부의 위치로서, 처리 용기(210)의 반입반출구(211)에 인접하는 위치이다. 단계(S111) 시, 상 척(230)과 하 척(231)의 상대 위치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기판 전달 위치이다.Next, with reference mainly to FIGS. 10 and 11, the detail of step S109 of FIG. 4 is demonstrated. First, the transfer apparatus 61 carries i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into the bonding apparatus 41 at the 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step S111)) . The substrate carry-in/out position is a position outside the processing container 210 and is adjacent to the loading/unloading port 211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10 . In step S111 ,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chuck 230 and the lower chuck 231 are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s shown in FIGS. 7 and 8 .

구체적으로, 먼저, 반송 장치(61)가, 상 척(230)의 바로 밑으로 상 웨이퍼(W1)를 반입한다. 이어서, 복수의 유지 핀(245)이, 하강하여, 상 웨이퍼(W1)를 반송 장치(61)로부터 수취한다. 이 후, 복수의 유지 핀(245)이 상승하여, 상 웨이퍼(W1)가 상 척(230)의 유지면에 접촉된다. 이어서, 상 척(230)이, 상 웨이퍼(W1)를 상방으로부터 유지한다.Specifically, first, the transfer device 61 carries the upper wafer W1 directly under the upper chuck 230 . Next,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45 descend to receive the upper wafer W1 from the transfer device 61 . After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45 are raised so that the upper wafer W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surface of the upper chuck 230 . Next, the upper chuck 230 holds the upper wafer W1 from above.

이어서, 반송 장치(61)가, 하 척(231)의 바로 위로 하 웨이퍼(W2)를 반입한다. 이어서, 복수의 유지 핀(265)이, 상승하여, 하 웨이퍼(W2)를 반송 장치(61)로부터 수취한다. 이 후, 복수의 유지 핀(265)이 하강하여, 하 웨이퍼(W2)가 하 척(231)의 유지면에 접촉된다. 이어서, 하 척(231)이, 하 웨이퍼(W2)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한다.Next, the transfer device 61 carries the lower wafer W2 directly above the lower chuck 231 . Next,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are raised to receive the lower wafer W2 from the transfer device 61 . After that,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are lowered so that the lower wafer W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surface of the lower chuck 231 . Next, the lower chuck 231 holds the lower wafer W2 from below.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상 척(230)과 하 척(231)의 상대 위치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기판 전달 위치로부터, 도 9에 나타내는 접합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S112)). 그 결과,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그 간격은, 예를 들면 80 μm ~ 200 μm이다. 또한, 연직 방향에서 봤을 때, 상 웨이퍼(W1)의 얼라이먼트 마크와, 하 웨이퍼(W2)의 얼라이먼트 마크가 중첩된다.Next, the moving mechanism 290 mov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chuck 230 and the lower chuck 231 from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shown in Figs. 7 and 8 to the bonding position shown in Fig. 9 (step S112). )). As a result,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The space|interval is 80 micrometers - 200 micrometers, for example. Further, when view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he alignment mark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alignment mark of the lower wafer W2 overlap.

이어서, 진공 펌프(241a)의 작동이 정지되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230a)에 있어서의 상 웨이퍼(W1)의 진공 흡착이 해제된다. 이 후, 압동부(250)의 압동 핀(251)이 하강하고, 상 웨이퍼(W1)의 중심을 눌러, 하 웨이퍼(W2)에 접촉시킨다(단계(S113)). 그 결과,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중심끼리가 접합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241a is stopped, and as shown in FIG. 11A , the vacuum suction of the upper wafer W1 in the region 230a is canceled. Thereafter, the pressing pin 251 of the pressing unit 250 descends, pressing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to contact the lower wafer W2 (step S113). As a result, the centers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joined.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과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은 각각 개질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접합면(W1j, W2j) 간에 반데르발스력(분자간력)이 발생하여, 당해 접합면(W1j, W2j)끼리가 접합된다. 또한,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과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은 각각 친수화가 끝났으므로, 친수기(예를 들면 OH기)가 수소 결합하여, 접합면(W1j, W2j)끼리가 강고하게 접합된다.Since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are each modified, first, a van der Waals force (intermolecular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bonding surfaces W1j and W2j. Thus, the bonding surfaces W1j and W2j are joined to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are each hydrophilized, hydrophilic groups (for example, OH groups) are hydrogen-bonded, and the bonding surface W1j, W2j) are strongly bonded to each other.

이어서, 진공 펌프(241b)의 작동이 정지되어,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230b)에 있어서의 상 웨이퍼(W1)의 진공 흡착이 해제된다. 이어서, 진공 펌프(241c)의 작동이 정지되어,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230c)에 있어서의 상 웨이퍼(W1)의 진공 흡착이 해제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241b is stopped, and as shown in FIG. 11B , the vacuum suction of the upper wafer W1 in the region 230b is canceled. Nex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241c is stopped, and as shown in FIG. 11C , the vacuum suction of the upper wafer W1 in the region 230c is canceled.

이와 같이, 상 웨이퍼(W1)의 중심으로부터 주연을 향해, 상 웨이퍼(W1)의 진공 흡착이 단계적으로 해제되고, 상 웨이퍼(W1)가 하 웨이퍼(W2)에 단계적으로 낙하되어 접촉한다. 그리고,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은, 중심으로부터 주연을 향해 순차 진행된다(단계(S114)). 그 결과, 상 웨이퍼(W1)의 접합면(W1j)과 하 웨이퍼(W2)의 접합면(W2j)이 전면에서 접촉하고,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가 접합되어, 중합 웨이퍼(T)가 얻어진다. 이 후, 압동 핀(251)은, 원래의 위치까지 상승된다.In this way,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 the vacuum suction of the upper wafer W1 is released step by step, and the upper wafer W1 drops stepwise to the lower wafer W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it. Then, bon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proceeds sequentially from the center toward the periphery (step S114). As a result, the bonding surface W1j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bonding surface W2j of the lower wafer W2 contact from the front side,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bonded, and the polymerization wafer ( T) is obtained. Thereafter, the push pin 251 is rais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상 척(230)과 하 척(231)의 상대 위치를, 도 9에 나타내는 접합 위치로부터,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기판 전달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S115)). 예를 들면, 이동 기구(290)는, 먼저 하 척(231)을 하강시켜, 하 척(231)과 상 척(230)의 연직 방향의 간격을 넓힌다. 이어서, 이동 기구(290)는, 하 척(231)을 옆으로 이동시켜, 하 척(231)과 상 척(230)을 옆으로 비켜 놓는다.Next, the moving mechanism 290 mov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chuck 230 and the lower chuck 231 from the bonding position shown in Fig. 9 to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shown in Figs. 7 and 8 (step S115). )). For example, the moving mechanism 290 lowers the lower chuck 231 first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chuck 231 and the upper chuck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Next, the moving mechanism 290 moves the lower chuck 231 laterally to set the lower chuck 231 and the upper chuck 230 aside.

이어서, 반송 장치(61)가,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서, 접합 장치(41)에 대한 중합 웨이퍼(T)의 반출을 행한다(단계(S116)). 구체적으로, 먼저, 하 척(231)이, 중합 웨이퍼(T)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어서, 복수의 유지 핀(265)이, 상승하여, 중합 웨이퍼(T)를 반송 장치(61)로 전달한다. 이 후, 복수의 유지 핀(265)이, 원래의 위치까지 하강한다.Next, the transfer apparatus 61 carries out the polymerization wafer T to the bonding apparatus 41 at the 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step S116). Specifically, first, the lower chuck 231 releases the holding of the polymerization wafer T. Next,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are raised to transfer the superimposed wafer T to the transfer device 61 . Thereafter, the plurality of holding pins 265 descen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또한 반송 장치(61)는, n(n은 1 이상의 자연수) 회째의 접합으로 제작된 중합 웨이퍼(T)의 반출과, n+1 회째의 접합으로 접합되는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반입을 연속하여 행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61 transports the superimposed wafer T produced by bonding at the 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times, and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to be joined by bonding at the n+1 time. ) is carried in continuously.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변위 검출부(220)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위 검출부(220)는, 상 웨이퍼(W1)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점에서, 상 척(230)에 대한 상 웨이퍼(W1)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검출한다. 변위 검출부(220)는, 상 웨이퍼(W1)의 상 척(230)으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해도 되고,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의 접촉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상 웨이퍼(W1)가 상 척(230)으로부터 이탈하고 나서 하 웨이퍼(W2)에 접촉할 때까지는, 타임 래그가 있다. 상 웨이퍼(W1)가 하 웨이퍼(W2)에 접촉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간격이 정해진 간격이 된다.Next, an example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detects a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upper wafer W1 with respect to the upper chuck 230 at a point away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ay detec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wafer W1 from the upper chuck 230 , or may detect a contact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In addition, there is a time lag from the time the upper wafer W1 detaches from the upper chuck 230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wafer W2 . When the upper wafer W1 contacts the lower wafer W2,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becomes a predetermined distance.

변위 검출부(220)는,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 검출부(220)는, 기체를 흡인하는 또는 토출하는 노즐(221)을 포함한다. 노즐(221)의 선단은, 상 척(230)의 유지면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상 웨이퍼(W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includes a nozzle 221 that sucks in or discharges gas. The tip of the nozzle 221 is disposed above the holding surface of the upper chuck 230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wafer W1 .

변위 검출부(220)는, 노즐(221)의 기체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한다. 노즐(221)이 기체를 흡인하는 경우도, 노즐(221)이 기체를 토출하는 경우도,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가 좁을수록, 기체의 유동 저항이 올라가므로, 기체의 유량이 줄어든다. 기체의 유량과 거리와의 관계는 미리 실험에 의해 구해지고, 기억 매체(92)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 이용한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by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gas of the nozzle 221 . Whether the nozzle 221 sucks the gas or the nozzle 221 discharges the ga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is narrower, the flow resistance of the gas increases. the flow rate is redu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s flow rate and the distance is obtained in advance by an experiment,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92 is read and used.

또한 변위 검출부(220)는, 초음파, 광 또는 화상으로,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변위 검출부(220)는, 초음파 또는 광을 상 웨이퍼(W1)에 조사하고, 그 반사파 또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 측정 방식은 예를 들면 공초점 방식, 분광 간섭 방식 또는 삼각 측거 방식 등이다. 광원은 LED 또는 레이저 등이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using ultrasonic waves, light, or an image. For example,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irradiates ultrasonic waves or light to the upper wafer W1 , receives the reflected wave or reflected light,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 The measurement method is, for example, a confocal method, a spectral interference method, or a triangulation method. The light source is an LED or a laser or the like.

변위 검출부(220)는,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를 측방으로부터 촬상하고, 그 화상을 화상 처리하여,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해도 된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ay image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from the side, image the image, and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

변위 검출부(220)는, 상 웨이퍼(W1)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그 수광량으로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해도 된다. 상 웨이퍼(W1)는, 상 척(230)으로부터 이탈하고 나서, 하 웨이퍼(W2)에 접촉할 때까지의 도중에, 비스듬하게 된다. 이 때, 반사광의 수광량이 일시적으로 내려간다. 반사광의 수광량과 거리와의 관계는 미리 실험에 의해 구해지고, 기억 매체(92)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 이용한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ay receive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upper wafer W1 , and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based on the received light amount. The upper wafer W1 is slanted from the time it detaches from the upper chuck 230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wafer W2 . At this tim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of the reflected light temporarily decr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and the distance of the reflected light is obtained in advance by an experiment,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92 is read and used.

변위 검출부(220)는, 변위 검출부(220)와 상 웨이퍼(W1)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해도 된다.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가 좁을수록, 변위 검출부(220)와 상 웨이퍼(W1)의 갭이 좁아, 정전 용량이 커진다. 정전 용량과 거리와의 관계는 미리 실험에 의해 구해지고, 기억 매체(92)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 이용한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by measuring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and the upper wafer W1 .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decreases, the gap between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and the upper wafer W1 becomes narrower, and thus the capacitance incr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acitance and the distance is obtained in advance by an experiment, an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92 is read and used.

또한 변위 검출부(220)는, 상 척(230)과 상 웨이퍼(W1)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단순히 상 척(230)에 대한 상 웨이퍼(W1)의 이탈을 검출해도 된다. 단, 상 웨이퍼(W1)가 상 척(230)으로부터 이탈하고 나서 하 웨이퍼(W2)에 접촉할 때까지는, 타임 래그가 있다.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이탈을 검출하는 경우에 비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촉하는 타이밍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huck 230 and the upper wafer W1 , and may simply detec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wafer W1 from the upper chuck 230 . However, there is a time lag from the time the upper wafer W1 detaches from the upper chuck 230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wafer W2 .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distance, the timing of contact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can be accurately detected as compared to the case of detecting deviation.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의 진행 속도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도 12에 있어서, 해칭으로 나타내는 영역 A는, 어느 타이밍에 접합이 끝난 영역이다. 도 12에 있어서, (100)은 면 지수이며, [0-11], [001], [011] 및 [010]은 방향 지수이다. 밀러 지수가 음인 것은, 통상, 숫자 위에 '-'(바)를 부여함으로써 표현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숫자의 앞에 음의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표현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밀러 지수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것이다.The advancing speed of bon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may have anisotropy as shown in FIG. In FIG. 12, the area|region A shown by hatching is an area|region which has been joined at a certain timing. 12, (100) is a plane index, and [0-11], [001], [011], and [010] are direction indices. A negative Miller exponent is usually expressed by adding a '-' (bar) above the number, bu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expressed by adding a negative sign in front of the number. The Miller index shown in Fig. 12 is that of a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의 진행 속도는, 90° 주기로 변화한다. 이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영률, 푸아송비 및 전단 탄성 계수가 90°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이다.The advancing speed of bon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changes with a 90 degree cycle. This is because the Young's modulus, Poisson's ratio, and shear modulus of the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change at a 90° cycle.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 검출부(220)는, 접합의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방위와, 접합의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린 방위의 양방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접합의 진행 속도의 이방성을 검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displacement detection part 220 is provided in both the direction with the fastest advancing speed of bonding, and the direction with the slowest advancing speed of bonding. Thereby, the anisotropy of the advancing speed|rate of bonding can be detected.

변위 검출부(220)는, 접합의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방위에 복수 마련되고, 상 웨이퍼(W1)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점에서, 상 웨이퍼(W1)의 하방 변위를 검출한다. 이에 의해, 가장 빠른 진행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detects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upper wafer W1 at a plurality of points prov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nding speed is fastest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is different. Thereby, the fastest progress speed can be detected.

또한, 변위 검출부(220)는, 접합의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린 방위에 복수 마련되고, 상 웨이퍼(W1)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점에서, 상 웨이퍼(W1)의 하방 변위를 검출한다. 이에 의해, 가장 느린, 동일한 방위에 있어서의 진행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detects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upper wafer W1 at a plurality of points prov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nding progress speed is slowest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is different. . Thereby, the slowest advancing speed in the same direction can be detected.

변위 검출부(220)는,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90)로 송신한다. 제어 장치(90)는, 변위 검출부(220)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이 중심으로부터 주연을 향해 진행되는 것을 감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90)는, 복수의 변위 검출부(220)에 의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의 진행 속도를 구하고, 또는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device 90 . The control device 90 monitors that the bon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dvanc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periphery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90 uses the plurality of displacement detection units 220 to determine the advancing speed of bonding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or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splicing of W2) is successful.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여, 반송 장치(61)에 대하여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의 제 1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단계(S201 ~ S208)는, 제어 장치(90)에 의한 제어 하에서 실시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1st example of the timing which transmits a preparation instruction|command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Steps S201 to S208 shown in FIG. 14 are performed under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90 .

먼저, 압동부(250)가 상 웨이퍼(W1)의 중심의 누름을 개시한다(단계(S201)). 구체적으로, 압동부(250)의 압동 핀(251)이 하강 개시된다. 이 후, 제어 장치(90)는, 단계(S201)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타이머로 계측한다.First, the pressing part 250 starts pressing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step S201). Specifically, the pressing pin 251 of the pressing unit 250 is started to descend.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90 measures the elapsed time from step S201 with a timer.

이어서, 제어 장치(90)는, 단계(S201)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S202)).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S202), NO), 제어 장치(90)는 단위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계(S202)를 재차 실시한다.Next, the control device 90 checks whether or not a set time has elapsed from step S201 (step S202). When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step S202, NO), the control device 90 executes the step S202 again after the lapse of the unit time.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단계(S202), YES),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와의 접합이 충분히 진행되어 있으므로, 상 척(230)이 상 웨이퍼(W1)의 주연의 유지를 해제한다(단계(S203)). 그 결과, 상 웨이퍼(W1)의 주연이 하 웨이퍼(W2)의 주연에 낙하하여 접촉하고, 접합의 진행이 완료되어, 중합 웨이퍼(T)가 얻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tep S202, YES), since bonding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has sufficiently progressed, the upper chuck 230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release the maintenance (step S203). As a result,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fall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lower wafer W2, and advancing of bonding is completed, and the superposition|polymerization wafer T is obtained.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하 척(231)의 이동을 개시한다(단계(S204)). 하 척(231)은, 접합 위치로부터 기판 전달 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한다. 먼저, 하 척(231)은, 하강되고, 이어서 옆으로 비켜 놓아진다.Then, the movement mechanism 290 starts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204). The lower chuck 231 starts moving from the bonding position toward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First, the lower chuck 231 is lowered and then set aside.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하 척(231)의 이동을 완료한다(단계(S205)). 하 척(231)은, 기판 전달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후, n 회째의 접합으로 제작된 중합 웨이퍼(T)의 반출과, n+1 회째의 접합으로 접합되는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반입이 연속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이하,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이라고도 기재한다.Then, the moving mechanism 290 completes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205). The lower chuck 231 stops at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reafter, the unloading of the superposed wafer T produced by the n-th bonding and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bonded by the n+1-th bonding are successively performed. This series of operations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205))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하 척(231)의 이동 완료 전에, 반송 장치(61)에 준비 지령을 송신해 둔다. 이하,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ontrol device 90 completes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in order to shorte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205) to the start of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Before that, a prepar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veying apparatus 61 . Hereinafter, the timing of transmitting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먼저, 제어 장치(90)는, 압동부(250)에 의한 누름의 개시(단계(S201))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S206)).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S206), NO), 제어 장치(90)는 단위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계(S206)를 재차 실시한다.First, the control device 90 checks whether or not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pressing by the pressing unit 250 (step S201) (step S206). When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step S206, NO), the control device 90 executes the step S206 again after the lapse of the unit time.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단계(S206), YES), 제어 장치(90)는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한다(단계(S207)). 반송 장치(61)는, 준비 지령을 수신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기판 온조 장치(42)로부터 취출하여,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tep S206, YES), the control device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ing device 61 (step S207). Upon receiving the preparation command, the transfer device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from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42, and starts moving toward the substrate carry-in/out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 do.

또한, 기판 온조 장치(42)는 없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장치(61)는, 준비 지령을 수신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위치 조절 장치(51)로부터 취출하여,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한다.In addition, the board|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42 may not be needed. In this case, when the transfer device 61 receives the preparation command,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taken out from the positioning device 51, and the 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is determined. start moving towards

이어서, 반송 장치(61)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한다(단계(S208)). 반송 장치(61)의 이동 완료(단계(S208))의 타이밍이,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205))의 타이밍과 동시 또는 전이면, 대기 시간이 제로가 되어, 접합 장치(41)의 가동률이 향상된다.Next, the conveyance apparatus 61 completes the movement to the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tep S208). If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movement of the conveying apparatus 61 (step S208) is the same as or before the timing of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205), the waiting time becomes zero, and the bonding apparatus ( 41), the utilization rate is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압동부(250)에 의한 상 웨이퍼(W1)의 누름(단계(S201))을 트리거로서,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여,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킨다.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205)) 후에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키는 경우에 비해, 하 척(231)의 이동 완료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기판 처리 장치(1)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transport device 61 by triggering the pressing of the upper wafer W1 by the pressing unit 250 (step S201), and the transport device (61) is started to move toward the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ransfer device 61 is started to move toward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after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is completed (step S205)),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the upper wafer W1 is The waiting time until the start of carrying in etc. can be shortened, and the throughpu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can be improved.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205))와 동시 또는 전에, 즉, 하 척(231)이 기판 전달 위치로 돌아옴과 동시 또는 전에,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 도착시킨다. 하 척(231)의 이동 완료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제로로 할 수 있어, 기판 처리 장치(1)의 스루풋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90 controls the transfer device 61 simultaneously with or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205), that is, simultaneously with or before the lower chuck 231 returns to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board arrives at the loading/unloading positio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to the start of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can be made zero, and the throughpu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can be improved more.

제어 장치(90)는, 압동부(250)에 의한 상 웨이퍼(W1)의 누름의 개시(단계(S201))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여,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킨다. 준비 지령의 송신을 적당히 지연시킴으로써, 반송 장치(61)의 이동 완료(단계(S208))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61)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transport device 61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pressing of the upper wafer W1 by the pressing unit 250 (step S201), and the transport device ( 61) is started to move toward the substrate carry-in/out position. By appropriately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preparation comm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device 61 (step S208) to the start of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or the like. Therefore, the operation rate of the conveying apparatus 61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emperature changes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can be suppressed.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반송 장치(61)에 대하여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의 제 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단계(S301 ~ S309)는, 제어 장치(90)에 의한 제어 하에서 실시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5, the 2nd example of the timing which transmits a preparation instruction|command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Steps S301 to S309 shown in FIG. 15 are performed under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90 .

먼저, 압동부(250)가 상 웨이퍼(W1)의 중심의 누름을 개시한다(단계(S301)). 구체적으로, 압동부(250)의 압동 핀(251)이 하강 개시된다.First, the pressing part 250 starts pressing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step S301). Specifically, the pressing pin 251 of the pressing unit 250 is started to descend.

이어서, 변위 검출부(220)가, 상 웨이퍼(W1)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점에서, 상 척(230)에 대한 상 웨이퍼(W1)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검출한다(단계(S302)). 변위 검출부(220)는, 상 척(230)에 대한 상 웨이퍼(W1)의 이탈을 검출해도 되고,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촉을 검출해도 된다.Next,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detects a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upper wafer W1 with respect to the upper chuck 230 at a point away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step S302 ).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may detect separation of the upper wafer W1 with respect to the upper chuck 230 , or may detect a contact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

이 후, 제어 장치(90)는, 단계(S302)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타이머로 계측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변위 검출부(220)의 수 및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리 설정되어, 기억 매체(92)에 기억된다. 미리 설정된 모든 변위 검출부(220)가 변위를 검출하면, 타이머에 의한 계측이 시작된다.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90 measures the elapsed time from step S302 with a timer. Although the number and combination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s 220 used her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y are set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92 . When all the preset displacement detection units 220 detect displacement, measurement by a timer is started.

이어서, 제어 장치(90)는, 단계(S302)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S303)).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S303), NO), 제어 장치(90)는 단위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계(S303)를 재차 실시한다.Next, the control device 90 checks whether or not a set time has elapsed from step S302 (step S303). When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step S303, NO), the control device 90 executes the step S303 again after the lapse of the unit time.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단계(S303), YES),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와의 접합이 충분히 진행되어 있으므로, 상 척(230)이 상 웨이퍼(W1)의 주연의 유지를 해제한다(단계(S3)04). 그 결과, 상 웨이퍼(W1)의 주연이 하 웨이퍼(W2)의 주연에 낙하하여 접촉하고, 접합의 진행이 완료되어, 중합 웨이퍼(T)가 얻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tep S303 , YES), since bonding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has sufficiently progressed, the upper chuck 230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Release the maintenance of (step S3 04). As a result,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fall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lower wafer W2, and advancing of bonding is completed, and the superposed|polymerized wafer T is obtained.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하 척(231)의 이동을 개시한다(단계(S305)). 하 척(231)은, 접합 위치로부터 기판 전달 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한다. 하 척(231)은, 하강되고, 이어서 옆으로 비켜 놓아진다.Then, the movement mechanism 290 starts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305). The lower chuck 231 starts moving from the bonding position toward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lower chuck 231 is lowered and then set aside.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하 척(231)의 이동을 완료한다(단계(S306)). 하 척(231)은, 기판 전달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후, n 회째의 접합으로 제작된 중합 웨이퍼(T)의 반출과, n+1 회째의 접합으로 접합되는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반입이 연속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이하,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이라고도 기재한다.Then, the moving mechanism 290 completes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306). The lower chuck 231 stops at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reafter, the unloading of the superposed wafer T produced by the n-th bonding and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bonded by the n+1-th bonding are successively performed. This series of operations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306))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하 척(231)의 이동 완료 전에, 반송 장치(61)에 준비 지령을 송신해 둔다. 이하,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ontrol device 90 completes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in order to shorte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306) to the start of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Before that, a prepar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veying apparatus 61 . Hereinafter, the timing of transmitting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먼저, 제어 장치(90)는, 변위 검출부(220)에 의한 변위의 검출(단계(S302))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S307)).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S307), NO), 제어 장치(90)는 단위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계(S307)를 재차 실시한다.First, the control device 90 checks whether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displacement detection by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step S302) (step S307). When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step S307, NO), the control device 90 executes the step S307 again after the lapse of the unit time.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단계(S307), YES), 제어 장치(90)는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한다(단계(S308)). 반송 장치(61)는, 준비 지령을 수신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기판 온조 장치(42)로부터 취출하여,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tep S307, YES), the control apparatus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step S308). Upon receiving the preparation command, the transfer device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from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42, and starts moving toward the substrate carry-in/out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 do.

또한, 기판 온조 장치(42)는 없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장치(61)는, 준비 지령을 수신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위치 조절 장치(51)로부터 취출하여,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한다.In addition, the board|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42 may not be needed. In this case, when the transfer device 61 receives the preparation command,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taken out from the positioning device 51, and the 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is determined. start moving towards

이어서, 반송 장치(61)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한다(단계(S309)). 반송 장치(61)의 이동 완료(단계(S309))의 타이밍이,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306))의 타이밍과 동시 또는 전이면, 대기 시간이 제로가 되어, 접합 장치(41)의 가동률이 향상된다.Next, the conveyance apparatus 61 completes the movement to the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tep S309). If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device 61 (step S309) is the same as or before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306), the waiting time becomes zero, and the bonding apparatus ( 41), the utilization rate is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변위 검출부(220)에 의한 변위의 검출(단계(S302))을 트리거로서,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여,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킨다.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306)) 후에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키는 경우에 비해, 하 척(231)의 이동 완료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기판 처리 장치(1)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transport device 61 by triggering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to detect the displacement (step S302), and control the transport device 61 . A movement is started toward the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ransfer device 61 is started to move toward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after the lower chuck 231 has been moved (step S306), the lower chuck 231 starts moving after the upper wafer W1 is moved. The waiting time until the start of carrying in etc. can be shortened, and the throughpu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can be improved.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306))와 동시 또는 전에, 즉, 하 척(231)이 기판 전달 위치로 돌아옴과 동시 또는 전에,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 도착시킨다. 하 척(231)의 이동 완료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제로로 할 수 있어, 기판 처리 장치(1)의 스루풋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90 controls the transfer device 61 simultaneously with or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306), that is, simultaneously with or before the lower chuck 231 returns to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board arrives at the loading/unloading positio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to the start of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can be made zero, and the throughpu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can be improved more.

제어 장치(90)는, 변위 검출부(220)에 의한 변위의 검출(단계(S302))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반송 장치(61)에 준비 지령을 송신하여,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킨다. 준비 지령의 송신을 적당히 지연시킴으로써, 반송 장치(61)의 이동 완료(단계(S309))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61)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transport device 61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from detection of the displacement by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step S302), and carries the transport device 61 in and out of the substrate. Start moving towards the position. By appropriately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preparation comm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device 61 (step S309 ) to the start of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 etc. . Therefore, the operation rate of the conveying apparatus 61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emperature changes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can be suppressed.

변위 검출부(220)를 이용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의 진행을 감시할 수 있다. 접합의 진행을 감시할 수 없는 경우, 압동부(250)에 의한 상 웨이퍼(W1)의 누름 개시(도 14의 S201)부터, 상 척(230)에 의한 상 웨이퍼(W1)의 주연의 유지 해제(도 14의 S203)까지의 대기 시간을, 안전을 생각하여 길게 설정하게 되어 버린다. 변위 검출부(220)를 이용하여 접합의 진행을 감시하면, 쓸데없는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f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is used, the progress of bonding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can be monitored. When the advancing of bonding cannot be monitored, from the start of pressing the upper wafer W1 by the pressing part 250 ( S201 in FIG. 14 ), the holding of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by the upper chuck 230 is released. The waiting time up to (S203 in Fig. 14) is set to be long in consideration of safety. If the progress of bonding is monitored using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 a useless waiting time can be shortened.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반송 장치(61)에 대하여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의 제 3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단계(S401 ~ S408)는, 제어 장치(90)에 의한 제어 하에서 실시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6, the 3rd example of the timing which transmits a preparation instruction|command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Steps S401 to S408 shown in FIG. 16 are implemented under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90 .

먼저, 압동부(250)가 상 웨이퍼(W1)의 중심의 누름을 개시한다(단계(S401)). 구체적으로, 압동부(250)의 압동 핀(251)이 하강 개시된다. 이 후, 제어 장치(90)는, 단계(S401)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타이머로 계측한다.First, the pressing part 250 starts pressing the center of the upper wafer W1 (step S401). Specifically, the pressing pin 251 of the pressing unit 250 is started to descend.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90 measures the elapsed time from step S401 with a timer.

이어서, 제어 장치(90)는, 단계(S401)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S402)).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S402), NO), 제어 장치(90)는 단위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계(S402)를 재차 실시한다.Next, the control device 90 checks whether a set time has elapsed from step S401 (step S402). When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step S402, NO), the control device 90 executes the step S402 again after the lapse of the unit time.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단계(S402), YES),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와의 접합이 충분히 진행되어 있으므로, 상 척(230)이 상 웨이퍼(W1)의 주연의 유지를 해제한다(단계(S403)). 그 결과, 상 웨이퍼(W1)의 주연이 하 웨이퍼(W2)의 주연에 낙하하여 접촉하고, 접합의 진행이 완료되어, 중합 웨이퍼(T)가 얻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tep S402, YES), since bonding between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has sufficiently progressed, the upper chuck 230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release of the maintenance (step S403). As a result, the periphery of the upper wafer W1 fall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lower wafer W2, and advancing of bonding is completed, and the superposition|polymerization wafer T is obtained.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하 척(231)의 이동을 개시한다(단계(S404)). 하 척(231)은, 접합 위치로부터 기판 전달 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한다. 하 척(231)은, 하강되고, 이어서 옆으로 비켜 놓아진다.Next, the movement mechanism 290 starts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4). The lower chuck 231 starts moving from the bonding position toward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lower chuck 231 is lowered and then set aside.

이어서, 이동 기구(290)가 하 척(231)의 이동을 완료한다(단계(S405)). 하 척(231)은, 기판 전달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후, n 회째의 접합으로 제작된 중합 웨이퍼(T)의 반출과, n+1 회째의 접합으로 접합되는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반입이 연속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이하,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이라고도 기재한다.Then, the moving mechanism 290 completes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5). The lower chuck 231 stops at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reafter, the unloading of the superposed wafer T produced by the n-th bonding and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bonded by the n+1-th bonding are successively performed. This series of operations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405))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하 척(231)의 이동 완료 전에, 반송 장치(61)에 준비 지령을 송신해 둔다. 이하,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ontrol device 90 completes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in order to shorte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5 ) to the start of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 etc. Before that, a prepar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nveying apparatus 61 . Hereinafter, the timing of transmitting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먼저,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개시(단계(S404))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S406)).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S406), NO), 제어 장치(90)는 단위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계(S406)를 재차 실시한다.First, the control device 90 checks whether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4) (step S406). When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step S406, NO), the control device 90 executes the step S406 again after the lapse of the unit time.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단계(S406), YES), 제어 장치(90)는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한다(단계(S4)07). 반송 장치(61)는, 준비 지령을 수신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기판 온조 장치(42)로부터 취출하여,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tep S406, YES), the control device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ing device 61 (step S4)07. Upon receiving the preparation command, the transfer device 61 takes out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from th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42, and starts moving toward the substrate carry-in/out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 do.

또한, 기판 온조 장치(42)는 없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장치(61)는, 준비 지령을 수신하면,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를 위치 조절 장치(51)로부터 취출하여,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한다.In addition, the board|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42 may not be needed. In this case, when the transfer device 61 receives the preparation command,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are taken out from the positioning device 51, and the 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is determined. start moving towards

이어서, 반송 장치(61)는, 기판 반입반출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한다(단계(S408)). 반송 장치(61)의 이동 완료(단계(S408))의 타이밍이,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405))의 타이밍과 동시 또는 전이면, 대기 시간이 제로가 되어, 접합 장치(41)의 가동률이 향상된다.Next, the conveyance apparatus 61 completes the movement to the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tep S408). If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device 61 (step S408) is the same as or before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5), the waiting time becomes zero, and the bonding apparatus ( 41), the utilization rate is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개시(단계(S404))를 트리거로서,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여,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킨다.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405)) 후에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키는 경우에 비해, 하 척(231)의 이동 완료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기판 처리 장치(1)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ontrol apparatus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with the movement star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4) as a trigger, and the conveyance apparatus 61 carries in a board|substrate. The movement is started toward the unloading pos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ransfer device 61 is started to move toward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after the lower chuck 231 has been moved (step S405)),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the upper wafer W1 The waiting time until the start of carrying in etc. can be shortened, and the throughpu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can be improved.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완료(단계(S405))와 동시 또는 전에, 즉, 하 척(231)이 기판 전달 위치로 돌아옴과 동시 또는 전에,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 도착시킨다. 하 척(231)의 이동 완료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제로로 할 수 있어, 기판 처리 장치(1)의 스루풋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90 controls the transfer device 61 at the same time or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5), that is, at the same time or before the lower chuck 231 returns to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board arrives at the loading/unloading positio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to the start of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etc. can be made zero, and the throughpu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can be improved more.

제어 장치(90)는, 하 척(231)의 이동 개시(단계(S404))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여, 반송 장치(61)를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킨다. 준비 지령의 송신을 적당히 지연시킴으로써, 반송 장치(61)의 이동 완료(단계(S408))부터, 상 웨이퍼(W1)의 반입 등의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61)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 웨이퍼(W1) 및 하 웨이퍼(W2)의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control apparatus 90 transmits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transfer apparatus 61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movement of the lower chuck 231 (step S404), and the transfer apparatus 61 sets the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tart moving towards By appropriately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preparation comm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aiting time from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device 61 (step S408 ) to the start of the loading of the upper wafer W1 , and the like. Therefore, the operation rate of the conveying apparatus 61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emperature changes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can be suppressed.

또한 제어 장치(90)는, 압동부(250)에 의한 상 웨이퍼(W1)의 누름의 개시(단계(S201)), 변위 검출부(220)에 의한 변위의 검출(단계(S302)), 및 하 척(231)의 이동 개시(단계(S404))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로서,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면 된다. 제어 장치는, 단계(S201, S302 및 S404)로부터 선택되는 2 개 이상을 트리거로서,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해도 된다. 트리거의 수 및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리 설정되어, 기억 매체(92)에 기억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90 includes the initiation of pressing of the upper wafer W1 by the pressing unit 250 (step S201), the detection of the displacement by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step S302), and the low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transmit a preparation instruction|comman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using at least one of the movement start (step S404) of the chuck|zipper 231 as a trigger. Th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 preparation command to the conveying device 61 by triggering two or more selected from steps S201, S302, and S404. Although the number and type of trigger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y are set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92 .

제어 장치(90)는, 적어도 변위 검출부(220)에 의한 변위의 검출(단계(S302))을 트리거로서,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 검출부(220)는, 상 웨이퍼(W1)와 하 웨이퍼(W2)의 접합의 진행을 감시할 수 있다. 접합의 진행 상황에 따른 타이밍에, 반송 장치(61)로 준비 지령을 송신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apparatus 90 transmits a preparation instruction|comman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as a trigger at least detection of displacement by the displacement detection part 220 (step S302).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220 can monitor the progress of bonding of the upper wafer W1 and the lower wafer W2 . A preparation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veyance apparatus 61 at the timing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bonding.

제어 장치(90)는, 압동부(250)에 의한 상 웨이퍼(W1)의 누름의 개시(단계(S201))로부터 설정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변위 검출부(220)에 의해 변위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접합의 진행에 문제가 생겼다고 판단하고, 준비 지령의 송신을 금지한다. 이 후, 제어 장치(90)는, 기판 처리 장치(1)의 사용자에 대하여 알람을 알려도 된다.When the control device 90 does not detect the displacement by the preset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within a set time from the start of the pressing of the upper wafer W1 by the pressing unit 250 (step S201), the control device 90,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progress of splicing, and transmission of the preparation command is prohibited.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90 may notify the user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of an alarm.

또한, 제어 장치(90)는,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방위의 변위 검출부(220)와,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린 방위의 변위 검출부(220)의 양방에서 변위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접합의 진행에 문제가 생겼다고 판단하고, 준비 지령의 송신을 금지한다. 이 후, 제어 장치(90)는, 기판 처리 장치(1)의 사용자에 대하여 알람을 알려도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device 90 does not detect displacements in both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in the direction having the fastest moving speed and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220 in the direction having the slowest moving speed, there is a problem in advancing the bonding. is determined to have occurred, and transmission of the preparation command is prohibited.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90 may notify the user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of an alarm.

또한 제어 장치(90)는, 다른 센서 등으로 반송 장치(61)의 이동에 지장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준비 지령의 송신을 재개해도 된다.In addition, if the control apparatus 90 confirms that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apparatus 61 does not interfere with another sensor etc., it may restart transmission of a preparation instruction|command.

이상, 본 개시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의 실시 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 수정, 치환, 부가, 삭제 및 조합이 가능하다.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etc.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which concern on this indication were described,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etc.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dditions, deletions, and combin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Naturally, they also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15)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합하여, 중합 기판을 제작하는 접합 장치와,
상기 접합 장치에 대한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반입, 그리고 상기 중합 기판의 반출을 행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접합 장치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 장치는, 상기 제 1 기판을 상방으로부터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기판을 하방으로부터 유지하는 제 2 유지부와,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와의 상대 위치를 기판 전달 위치와 접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접합 장치에 대한 기판 반입반출 위치로부터 이동 개시한 후로서, 또한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와의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기판 전달 위치로 돌아옴과 동시에 또는 돌아오기 전에,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 도착시키는, 기판 처리 장치.
a bonding apparatus for bon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produce a polymerized substrate;
a transport device for loa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into the bonding device and unloading the polymerized substrat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bonding device and the conveying device;
The bond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first substrate from above, a second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second substrate from below, and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first holding part and the second holding part.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between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and the bonding positio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fter the transport device starts moving from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nding devic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holding part and the second holding part returns to the substrate transport positio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makes the said conveyance apparatus arrive at the said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simultaneously or before retur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장치는, 상기 제 2 기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제 1 기판의 중심을 눌러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시키는 압동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점에서 상기 제 1 유지부에 대한 상기 제 1 기판의 하방으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동부에 의한 상기 제 1 기판의 누름,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한 상기 변위의 검출 및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한 상기 상대 위치의 상기 접합 위치로부터 상기 기판 전달 위치로의 이동 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로서,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키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nding apparatus includes: a pressing part that presses the center of the first substrate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substrate to contact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first holding part at a point away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substrate. a displacem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first substrate;
The said control apparatus is at least among pressing of the said 1st board|substrate by the said pushing part, detection of the said displacement by the said displacement detection part, and the start of movement from the said bonding position to the said board|substrate delivery position of the said relative position by the said moving mechanism.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starts moving the said conveyance apparatus toward the said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using one as a trig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복수 마련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점에서 상기 변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접합의 진행 속도를 구하는 또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접합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detects the displacement at a plurality of points having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substrate,
wherein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by a plurality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s, a progress rate of bonding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or determines whether bonding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is successful. Devic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접합의 진행 속도는 이방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방위와 상기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린 방위의 양방에 마련되는, 기판 처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advancing speed of the bonding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has anisotropy,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both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speed is the fastest and the moving speed is the slowest directio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동부에 의한 상기 제 1 기판의 누름의 개시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키는,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aid control apparatus causes the said conveyance apparatus to start moving toward the said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after a set time elapses from the start of the press of the said 1st board|substrate by the said press pa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1 점 이상에서의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한 상기 변위의 검출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키는,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aid control apparatus causes the said conveyance apparatus to start moving toward the said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after a set time elapses from detection of the said displacement by the said displacement detection part at one or more points|piec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한 상기 상대 위치의 상기 접합 위치로부터 상기 기판 전달 위치로의 이동 개시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 개시시키는,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aid control apparatus causes the said conveyance apparatus to start moving toward the said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after set time elapses from the start of movement from the said bonding position of the said relative position by the said movement mechanism to the said board|substrate delivery position.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and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first substra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부는 기체를 흡인하는 또는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노즐의 기체의 유량을 검출하여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holding part includes a nozzle for sucking or discharging gas,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detects a flow rate of the gas of the nozzle to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first substra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초음파, 광 또는 화상으로,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first substrate by ultrasonic waves, light, or an imag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제 1 기판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그 수광량으로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변위 검출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first substrate,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first substrate by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or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and the first substrate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and the first substrat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제 1 유지부에 대한 상기 제 1 기판의 이탈을 검출하는, 기판 처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and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detects separation of the first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ld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동부에 의한 상기 제 1 기판의 누름의 개시로부터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변위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변위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지령의 송신을 금지하는, 기판 처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id control apparatus commands the said conveyance apparatus to move toward the said board|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when the said displacement detection part does not detect the said displacement within a set time from the start of pressing of the said 1st board|substrate by the said push part.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hat prohibits the transmission 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방위의 상기 변위 검출부와 상기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린 방위의 상기 변위 검출부의 양방에서 상기 변위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지령의 송신을 금지하는, 기판 처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when not detecting the displacement in both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in the direction having the fastest traveling speed and the displacement detecting unit in the direction having the slowest traveling speed, move the conveying device toward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hat prohibits transmission of a command to mov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판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접합하는 기판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로부터 이동 개시한 후로서, 또한 상기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2 유지부와의 상기 상대 위치가 상기 기판 전달 위치로 돌아옴과 동시에 또는 돌아오기 전에,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기판 반입반출 위치에 도착시키는 것을 가지는, 기판 처리 방법.
A substrate processing method for bon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using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mprising:
After the transfer device starts moving from the substrate carrying-in/out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or before returning to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holding part and the second holding part return to the substrate transfer position. and making it arrive at the substrate loading/unloading position.
KR1020210109642A 2020-08-27 2021-08-19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2022002776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3924 2020-08-27
JP2020143924A JP7467285B2 (en) 2020-08-27 2020-08-27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766A true KR20220027766A (en) 2022-03-08

Family

ID=8044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642A KR20220027766A (en) 2020-08-27 2021-08-19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67285B2 (en)
KR (1) KR20220027766A (en)
CN (1) CN114121716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0922A (en) 2016-07-12 2018-01-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Substrate transporting device and bonding system
JP2018026414A (en) 2016-08-09 2018-02-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Bonding device and bonding system
JP2018093018A (en) 2016-12-01 2018-06-1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Joining device, joining system, join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0922A (en) 2016-07-12 2018-01-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Substrate transporting device and bonding system
JP2018026414A (en) 2016-08-09 2018-02-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Bonding device and bonding system
JP2018093018A (en) 2016-12-01 2018-06-1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Joining device, joining system, join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7285B2 (en) 2024-04-15
JP2022039090A (en) 2022-03-10
CN114121716A (en)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554B1 (en) Bonding apparatus, bonding system, bonding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895183B1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layer thicknesses and defects in a wafer stcak
CN107611060B (en) Joining system
KR102010095B1 (en) Peeling device, peeling system, peeling method, and computer recording medium
KR102342998B1 (en)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bonding system
KR101208137B1 (en) probe device
TWI750146B (en) Substrate bonding device and substrate bonding method
JP6145415B2 (en) Peeling method, program, computer storage medium, 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system
KR20180007315A (en) Bonding system
KR20130141616A (en) Release device, release system, release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20027766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TW202127512A (en) Substrate bonding device and method
JP2024071759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2020141034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joining method
JP2012004490A (en) Substrate conveying apparatus and substrate conveying method
WO2021177466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22082007A (en) Joining device and joining method
TW202331888A (en)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JP2016111032A (en) Inter-device transfer unit and inter-device transfer system
JP2023041017A (en) Conveying apparatus and peeling apparatus
JP2018010923A (en) Substrate deliver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