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622A - 단열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622A
KR20220027622A KR1020200108716A KR20200108716A KR20220027622A KR 20220027622 A KR20220027622 A KR 20220027622A KR 1020200108716 A KR1020200108716 A KR 1020200108716A KR 20200108716 A KR20200108716 A KR 20200108716A KR 20220027622 A KR20220027622 A KR 2022002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door
insulating
window
in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531B1 (ko
Inventor
엄영재
Original Assignee
엄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재 filed Critical 엄영재
Priority to KR102020010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5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프레임과 구조 실란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실내측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단열 프레임과 구조 실란트의 구성이 유리창을 지지함으로써 유리창이 실내측 프레임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유리창과 실내측 프레임 상호 간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의 중심영역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중심개방부와 상기 상면의 측부영역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측부영역 지지부가 형성된 실내측 프레임과, 상기 중심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과, 상기 중심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 단열재와, 상기 측부영역 지지부 상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 상기 유리창 및 상기 단열 프레임과, 상기 실내측 프레임, 상기 유리창 및 상기 패드 단열재를 결합시키는 구조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 창호 프레임{Insulation windows frame}
본 발명은 단열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프레임과 구조 실란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실내측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단열 프레임과 구조 실란트의 구성이 유리창을 지지함으로써 유리창이 실내측 프레임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유리창과 실내측 프레임 상호 간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한 장의 유리를 갖는 창호는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좋지 못하므로 어느 정도의 단열이나 방음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이중유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은 도어나 창, 실내의 내부 칸막이 등을 시공할 때 통상 사각체의 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이중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은 상기 이중유리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실내측 프레임 및 실외측 프레임에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창호용 프레임은 일체형의 금속재 판재로 구성됨으로써 열전도가 잘되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창호용 프레임과 이중유리를 연결하며, 이 경우 결합부재에 의한 열전도에 의하여 단열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결합과정이 수행되야 하므로 이중유리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3990호(발명의 명칭: 기밀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유리창 프레임, 공고일: 2012년 09월 12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 프레임과 구조 실란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실내측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단열 프레임과 구조 실란트의 구성이 유리창을 지지함으로써 유리창이 실내측 프레임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유리창과 실내측 프레임 상호 간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의 중심영역이 개방되는 중심개방부와 상기 상면의 측부영역을 지지하는 측부영역 지지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프레임과, 상기 중심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과, 상기 중심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 단열재와, 상기 측부영역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 상기 유리창 및 상기 단열 프레임과, 상기 실내측 프레임, 상기 유리창 및 상기 패드 단열재를 결합시키는 구조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실내측 프레임은 상기 측부영역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아존 배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아존 배치부 내측에는 아존부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이격된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 패널 삽입부와, 상면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이격된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 패널 삽입부 및 상기 제1 패널 삽입부와 상기 제2 패널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 삽입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 단열재와, 상기 제1 패널 삽입부와 상기 제2 패널 삽입부에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는 2개의 알루미늄 복합패널과,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 상기 유리창 및 상기 단열 프레임과,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 상기 유리창 및 상기 패드 단열재를 결합시키는 구조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와,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되, 상면의 중심영역에 형성되는 프레임 지지부와 상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실란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과,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과, 상기 실란트 지지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과 상기 유리창을 결합시키는 구조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가 연결되는 영역 중 상부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제1 실리콘 결합부와,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가 연결되는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가 연결되는 영역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고,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단열 프레임과 구조 실란트가 실내측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 개재되어, 실내측 프레임으로부터 유리창을 지지함으로써 유리창이 실내측 프레임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유리창과 실내측 프레임 상호 간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실내측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를 지지하는 단열 프레임이 일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유리창과 실내측 프레임 사이에 에어 갭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단열 성능이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단열 부재가 실내측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 개재되되, 단열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어 유리창을 지지함으로써, 유리창으로부터 실내측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단열 프레임에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재가 삽입됨으로써 유리창으로부터 실내측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실내측 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단열 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실내측 프레임, 단열 프레임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실내측 프레임, 단열 프레임 및 단열 부재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실내측 프레임(1100), 단열 프레임(1200), 단열 부재(1300) 및 구조 실란트(1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한 유리창(W)을 지지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을 설명하기 앞서 상기 유리창(W)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창(W)은 이중창 구조로 형성되며, 2개의 창(W1, W2), 제2 실리콘 결합부(S2) 및 스페이서(SP)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창(W1, W2)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실리콘 결합부(S2)는 상기 2개의 창(W1, W2)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2개의 창(W1, W2)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2개의 창(W1, W2) 사이로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SP)는 상기 2개의 창(W1, W2)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실리콘 결합부(S2)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창(W1, W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2개의 창(W1, W2)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두개의 상기 유리창(W)의 단부 영역과 결합되어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상기 유리창(W)이 마주보는 면의 일측에는 제1 실리콘 결합부(S1) 및 완충재(B)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실리콘 결합부(S1)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유리창(W)의 단부 사이 영역 중 상부 영역,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창에 배치될 때 외기가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전방영역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유리창(W) 단부의 일부분을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상기 유리창(W) 사이로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재(B)는 상기 유리창(W)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상기 유리창(W)이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재(B)의 형상은 상기 완충재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재(B) 형상의 예시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창(W)의 단부 사이에 단열 프레임(1200)의 일부분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완충재(B)는 상기 유리창(W)과 상기 단열 프레임(1200) 사이의 간격만큼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열 프레임(1200)과 상기 유리창(W) 간의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창(W)의 단부 사이에는 다른 구성이 배치되지 않아, 상기 유리창(W)의 단부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완충재(B)는 상기 유리창(W)의 단부 사이의 간격만큼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리창(W) 간의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실내측 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은 건물 내부에서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은 실내측 프레임 몸체(1110)와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112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11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1120)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1110)를 기준으로 상단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되,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1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즉 중심영역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중심개방부(1130)에는 상기 단열 프레임(1200)과 상기 단열 부재(1300)가 삽입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1120)의 상부면은 후술하는 상기 구조 실란트(14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부영역 지지부(1121)로 형성된다.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은 알루미늄, SUS와 같은 금속 재질 또는 이에 상응하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은 재질에 따라 압출, 포밍을 통해 구조적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단열 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프레임(1200)은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에 형성된 상기 중심개방부(1130)에 삽입되어 별도의 결합부재의 의하여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과 상기 유리창(W)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 프레임(1200)은 제1 단열 프레임(1210) 내지 제3 단열 프레임(1230)과 프레임 결합부재(1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은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1110)의 상부의 중심부에 접촉되어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은 제1 단열 프레임 몸체부(1211) 및 제1 단열 프레임 돌출부(1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몸체부(1211)는 상기 중심개방부(1130)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몸체부(1211)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프레임 홀(1211h)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홀(1211h)에서 에어 갭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몸체부(1211)에 상기 프레임 홀(1211h)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와 실내 사이의 열기 및 냉기가 열전달 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상승시켜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돌출부(1212)는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몸체부(1211)를 기준으로 상단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ㄱ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돌출부(1212)에 의하여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이 삽입되는 제3 단열 프레임 삽입부(12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돌출부(1212)는 상기 유리창(W)과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유리창(W)과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 상호 간 열의 전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의 높이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11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유리창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온도가 직접적으로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은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과 결합되어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은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에 의해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앞서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1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1),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2) 및 제3 단열 프레임 돌출부(1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1)는 상기 제3 단열 프레임 삽입부(1213)에 삽입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1)의 양단부가 상기 제3 단열 프레임 삽입부(12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과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이 결합되며,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2)는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1)의 중심부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단열 프레임 돌출부(1233)는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2)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1)의 일부와 타부 각각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2)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 단열 프레임 돌출부(1233)에 의하여 상기 제2 단열 프레임이 삽입되는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부(12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은 폴리아미드 단열재로 구성됨으로써, 알루미늄, SUS와 같은 금속 재질 또는 이에 상응하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과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 사이에 전달되는 열의 전도율을 낮춤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유리창(W)으로부터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도율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은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2)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인 U자 형으로 형성되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단열 프레임 돌출부(12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2)는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의 형상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돌출부(1221)는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부(123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과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1232)의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단열 프레임(1220)의 중심 영역은 상기 제1 실리콘 결합부(S1) 및 상기 완충재(B)에도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재(1240)는 제1 단열 프레임(1210), 상기 제3 단열 프레임(1230) 및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1110)를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과 상기 단열 프레임(12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실내측 프레임, 단열 프레임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실내측 프레임, 단열 프레임 및 단열 부재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단열 프레임(1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되, 후술하는 단열 블력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리창(W)으로부터 상기 단열 프레임(1200)을 통해 전달되어 이동하는 열기 또는 냉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 프레임(1200)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단열 프레임(1200) 사이에는 에어 갭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 갭은 외부와 실내의 열기 및 냉기가 열전달 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상승시켜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열 부재(1300)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에 형성된 상기 중심개방부(1130)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과 상기 유리창(W)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단열 프레임(1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단열 부재(1300)는 패드 단열재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 단열재의 하부는 상기 중심개방부(1130)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1110)의 상단과 접촉하며, 상기 패드 단열재의 상부는 상기 유리창(W)과 접촉하며, 이때, 상기 패드 단열재의 높이는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열 프레임(1210)이 상기 유리창(W)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조 실란트(1400)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1120), 구체적으로 상기 측부영역 지지부(1121)의 상면과 상기 유리창(W) 사이에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 상기 유리창(W) 및 상기 단열 프레임(1200)과,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 상기 유리창(W) 및 상기 패드 단열재를 결합시킨다.
상기 구조 실란트(1400)가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1120)와 상기 유리창(W)을 결합시킴으로써, 종래 유리창(W)을 지지하기 위한 단열 창호 프레임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실외측 프레임의 구성 없이도 유리창(W)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기 실내층 프레임과 상기 유리창(W) 사이에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단열성을 상승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에서 상술한 실내측 프레임(2100), 단열 프레임(2200), 단열 부재(2300) 및 구조 실란트(2400)를 포함함으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한 유리창(W)을 지지하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2100)의 구조 및 단열 부재(230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내측 프레임(2100)은 사각형 형상의 실내측 프레임 몸체(2110)를 기준으로 상기 측부영역 지지부(도 5의 1121와 동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존 배치부(214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아존 배치부(2140)의 높이는 상기 패드 단열재(23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단열 부재(2300)는 패드 단열재(2310)와 아존부(232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 단열재(2310)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패드 단열재로 구성된 단열 부재(13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아존부(2320)는 상기 아존 배치부(214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아존부(2320)가 상기 단열 부재(2300)에 포함되어 유리창(W)의 외부와 내부의 열기 및 냉기가 열전달 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된다.
이때, 상기 아존부(2320)의 재질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존부(2320)의 재질은 상술한 재질 이외의 단열성능을 가지며 온도에 따른 기계적 성질이 양호한 재질이면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 실란트(2400)는 상기 아존 배치부(2140)의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1100)과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동시에 고정결합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에서 상술한 실내측 프레임(3100), 단열 프레임(3200), 단열 부재(3300) 및 구조 실란트(3400)를 포함함으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한 유리창(W)을 지지하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3 실시예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3100)의 구조 및 단열 부재(330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내측 프레임(3100)은 상면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되,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돌기(3151') 사이에 형성된 제1 패널 삽입부(3151)와, 상면의 타측부로부터 돌출되되,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돌기(3152') 사이에 형성된 제2 패널 삽입부(3152)와, 상기 제1 패널 삽입부(3152)와 상기 제2 패널 삽입부(3152) 사이에 프레임 삽입부(3153)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 부재(3300)는 패드 단열재(3310)와 알루미늄 복합패널(33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3330)은 2개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제1 패널 삽입부(3151) 및 상기 제2 패널 삽입부(3152)에 삽입되되,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상판(3331), 알루미늄 하판(3332) 및 난연심재(3333)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상판(3331)과 상기 알루미늄 하판(3332) 사이에 난연심재(3333)가 삽입되어 단열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화기에 의하여 쉽게 연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해 가스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패드 단열재(3310)와 상기 단열 프레임(3200)은 상기 프레임 삽입부(3153)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3100)과 결합되며, 제3 실시예에서의 상기 패드 단열재(3310)와 상기 단열 프레임(3200)은 각각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패드단열재로 구성된 단열부재(1300) 및 단열 프레임(12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구조 실란트(3400)는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3330) 및 상기 패널 삽입부(3150)와 상기 유리창(W)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3330) 및 상기 실내측 프레임(3100)과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동시에 고정결합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에서 상술한 실내측 프레임(4100), 단열 부재(4300) 및 구조 실란트(4400)를 포함함으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기 위한 유리창(W)을 지지하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제4 실시예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4100)의 구조, 단열 부재(4300) 및 단열 프레임(420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41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4120)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4110) 상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되,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4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후술하는 단열 부재(4300)가 안착되는 프레임 안착부(4130)에 해당한다.
상기 단열 부재(4300)는 알루미늄 복합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 부재(4300)는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4120) 사이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부(4130)의 전체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 몸체(4110)를 풀커버(Full-cover)함으로써 유리창으로부터 전달되는 외기가 상기 실내측 프레임(4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단열 부재(4300)는 상면의 중심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단열 프레임(4200)이 결합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면의 양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조 실란트(4400)가 결합되는 실란트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 프레임(4200)은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면에 배치되며, T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단열부재 접촉부(4210) 및 돌출부(4220)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부재 접촉부(4210)는 상기 단열 부재(4300)의 중심영역인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접촉되도록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220)는 상기 단열 부재(4300)의 중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구조 실란트(4400)는 상기 단열 부재(4300)의 상기 실란트 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유리창(W)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4100)과 상기 유리창(W)을 지지하며 동시에 고정결합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0, 2100, 3100, 4100: 실내측 프레임
1110, 2110, 3110, 4110: 실내측 프레임 몸체
1120, 4120: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
1130: 중심개방부
2140: 아존 배치부
3151: 제1 패널 삽입부
3152: 제2 패널 삽입부
1200, 2200, 3200: 단열 프레임
1210: 제1 단열 프레임
1211: 제1 단열 프레임 몸체부
1211h: 프레임 홀
1212: 제1 단열 프레임 돌출부
1213: 제3 단열 프레임 삽입부
1220: 제2 단열 프레임
1221: 제2 단열 프레임 돌출부
1230: 제3 단열 프레임
1231: 제1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
1232: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돌기
1233: 제3 단열 프레임 돌출부
1234: 제2 단열 프레임 삽입부
1240: 프레임 결합부재
1300, 2300, 3300, 4300: 단열 부재
2310, 3310: 패드 단열재
2320: 아존부
3330: 알루미늄 복합패널
3331: 알루미늄 상판
3332: 알루미늄 하판
3333: 난연심재
1400, 2400, 3400: 구조 실란트
4130: 프레임 안착부
4210: 단열부재 접촉부
4220: 돌출부
W: 유리창
W1, W2: 창
S2: 제2 실리콘 결합부
S1: 제1 실리콘 결합부
SP: 스페이서
B: 완충재

Claims (5)

  1.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의 중심영역이 개방되는 중심개방부와 상기 상면의 측부영역을 지지하는 측부영역 지지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프레임;
    상기 중심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
    상기 중심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 단열재; 및
    상기 측부영역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 상기 유리창 및 상기 단열 프레임과, 상기 실내측 프레임, 상기 유리창 및 상기 패드 단열재를 결합시키는 구조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프레임은,
    상기 측부영역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아존 배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아존 배치부 내측에는 아존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3.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이격된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 패널 삽입부와, 상면의 타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이격된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 패널 삽입부 및 상기 제1 패널 삽입부와 상기 제2 패널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 삽입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프레임;
    상기 프레임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
    상기 프레임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 단열재;
    상기 제1 패널 삽입부와 상기 제2 패널 삽입부에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는 2개의 알루미늄 복합패널; 및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 상기 유리창 및 상기 단열 프레임과,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 상기 유리창 및 상기 패드 단열재를 결합시키는 구조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4. 복수개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와, 상기 실내측 프레임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부를 포함하는 실내측 프레임;
    상기 프레임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되, 상면의 중심영역에 형성되는 프레임 지지부와 상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실란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과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열 프레임; 및
    상기 실란트 지지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과 상기 유리창을 결합시키는 구조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가 연결되는 영역 중 상부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제1 실리콘 결합부; 및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가 연결되는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유리창의 단부가 연결되는 영역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고,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0200108716A 2020-08-27 2020-08-27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55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716A KR102552531B1 (ko) 2020-08-27 2020-08-27 단열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716A KR102552531B1 (ko) 2020-08-27 2020-08-27 단열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22A true KR20220027622A (ko) 2022-03-08
KR102552531B1 KR102552531B1 (ko) 2023-07-06

Family

ID=8081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716A KR102552531B1 (ko) 2020-08-27 2020-08-27 단열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929B1 (ko) * 2022-10-07 2023-04-12 주식회사 위드플러스에스 친환경 커튼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90B1 (ko) 2012-03-23 2012-09-18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기밀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유리창 프레임
KR200471987Y1 (ko) * 2014-01-10 2014-04-04 (주)가경건설산업 강성이 보강된 커튼월
KR101750037B1 (ko) * 2015-08-06 2017-06-22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원터치 탈착 방식의 커튼 월 마감커버
KR101932658B1 (ko) * 2017-06-06 2018-12-26 정경예 단열 창호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90B1 (ko) 2012-03-23 2012-09-18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기밀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유리창 프레임
KR200471987Y1 (ko) * 2014-01-10 2014-04-04 (주)가경건설산업 강성이 보강된 커튼월
KR101750037B1 (ko) * 2015-08-06 2017-06-22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원터치 탈착 방식의 커튼 월 마감커버
KR101932658B1 (ko) * 2017-06-06 2018-12-26 정경예 단열 창호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929B1 (ko) * 2022-10-07 2023-04-12 주식회사 위드플러스에스 친환경 커튼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531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658B1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101848850B1 (ko) 방음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20220027622A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848856B1 (ko)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42358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101562333B1 (ko) 창호의 코너용 단열프레임
US20180223589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KR102058920B1 (ko) 레일은폐형 창호에 설치되는 은폐판의 단열구조
KR102347365B1 (ko) 2중 단열 커튼월
KR101963356B1 (ko) 건물용 조립식 3중유리창호
KR102394343B1 (ko) 풍하중에 유리 탈락의 안정성이 강화된 끼움구조와 다양한 두께의 유리를 끼울 수 있는 고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2200996B1 (ko) 창호용 프레임
KR200497787Y1 (ko) 유리창 수평 지지프레임
KR200497584Y1 (ko) 유리창 수직 지지프레임
KR20180061535A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101898222B1 (ko) 코너 및 문틀을 위한 단열 프레임 조립체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102286240B1 (ko) 내진 및 내화 안정성이 확보된 단열 커튼월 창
KR20240029702A (ko) 단열 기능이 향상된 이중 유리 구조의 미서기창 구조
KR101966881B1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359629B1 (ko) 단열 커튼월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1959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향상된 측부단열 부재를 갖는 단열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