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602A -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602A
KR20220027602A KR1020200108687A KR20200108687A KR20220027602A KR 20220027602 A KR20220027602 A KR 20220027602A KR 1020200108687 A KR1020200108687 A KR 1020200108687A KR 20200108687 A KR20200108687 A KR 20200108687A KR 20220027602 A KR20220027602 A KR 20220027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ase
cover
sterilization
mas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667B1 (ko
Inventor
이건왕
김호중
김태준
최치영
홍성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는, 마스크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마스크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를 살균하는 살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중심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돌출부와, 가장자리 부분이 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STERILIZING CASE FOR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해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장치이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은 필터로 형성된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하면서 병균, 먼지 등은 마스크의 몸체에 의해 필터링된다.
한편, 마스크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은 마스크의 몸체에 부착되어 마스크 몸체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착된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거나 또는 세척장치를 통해 세척하여야 한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6963호(공개일:2019년04월05일)에는 "마스크 청소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마스크 청소 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마스크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모듈과, 상기 마스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되는 살균모듈과, 상기 공기 유동구에 인접 배치되는 필터, 및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필터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발생모듈과 송풍팬이 구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구를 통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고 정화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살균모듈 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진동발생모듈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의해 마스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공기와 함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 청소 장치는 진동발생모듈이 구동되는 과정에서 진동에 의해서 마스크의 위치가 이동 및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즉, 진동발생모듈의 떨림에 의하여 마스크가 접히거나 마스크의 내면이 고르게 펴지지 않게 되므로, 살균모듈에 의한 살균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마스크의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없으므로, 마스크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를 보관함과 동시에 살균이 가능한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가 보관되는 위치를 가이드해 줌으로써 마스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살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마스크의 부분이 집중적으로 살균되도록 하여, 살균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는, 마스크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마스크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를 살균하는 살균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착면은, 중심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돌출부와, 가장자리 부분이 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스크 장치의 중심 부분은 안착면의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마스크 장치의 양단부는 안착면의 함몰부에 의해 안착 및 지지되면서, 마스크 장치가 살균 케이스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실링부)를 향하여 자외선 살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마스크의 부분이 집중적으로 살균되어 살균시간이 대폭 단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는, 지면에 지지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살균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자외선 램프의 설치 높이를 제공하는 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안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커버 안착부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 리브 및 상기 커버 안착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후단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 리브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단 리브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회전하여 닫힐 때, 상기 케이스 커버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커버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잠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 리브의 돌출 높이는, 상기 후단 리브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전단 리브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커버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는, 사람의 안면을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 및 상기 마스크 몸체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사람의 안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호흡 공간을 형성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내부에 상기 호흡 공간을 형성하도록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돌출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는, 상기 호흡 공간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장치가 살균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마스크 장치의 실링부 내측이 용이하게 살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실링부)가 살균 케이스의 안착면 중심 부분에서 형성된 돌출부에 지지되고, 마스크 장치의 양단부가 안착면의 양측 함몰부에 지지되므로, 마스크 장치의 보관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고 마스크 장치가 살균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마스크 장치가 보관된 상태에서 마스크 장치의 내면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장치가 제공되므로, 마스크 장치의 내면에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마스크 장치의 실링부를 지지하는 돌출부에는 살균 장치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통과되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살균 장치가 위치되므로, 살균이 필요한 마스크 부위를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서 신속한 살균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살균 장치가 마스크 장치의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서 동작될 수 있으므로, 마스크 장치의 내측 부분이 골고루 광 살균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균일도(광 균일도)가 향상되고 광 집중에 따른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8-8'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는 내부에 마스크 장치(1)를 보관하여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고,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지지하는 케이스 바디(61)와,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지면에 놓여서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지지하는 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의 수용공간(6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일측에 힌지(63)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 가장자리에 힌지(63)로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의 수용공간(60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모두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내부가 비어있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62)는 하단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단부 또는 상부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에 안착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수용공간(601)이 노출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수용공간(601)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커버 안착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안착부(611)는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하부가 안착 또는 지지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 안착부(611)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며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하부가 상기 커버 안착부(611)의 단차 부분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상기 커버 안착부(6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 리브(612) 및 후단 리브(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 리브(612)는 상기 커버 안착부(611)의 전방 또는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브이고, 상기 후단 리브(613)는 상기 커버 안착부(611)의 후방 또는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브이다. 상기 전단 리브(612)와 후단 리브(613)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전단 리브(612)가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전방의 반대방향 즉, 상기 후단 리브(613)가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는 전후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폭(W)과, 양측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이(L)를 가지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 리브(612)는 상기 커버 안착부(6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전단 리브(612)의 돌출 높이는, 상기 후단 리브(613)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 리브(612)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거치된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단 리브(612)는 상부가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단 리브(612)는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단 리브(612)는 반원 또는 반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단 리브(612)의 라운드진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하부가 놓일 수 있다.
상기 후단 리브(613)는 상기 커버 안착부(61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후단 리브(613)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전단 리브(612)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단 리브(613)는 상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하부가 놓일 수 있다. 상기 후단 리브(613)에는 힌지(63)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63)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63)는 상기 후단 리브(613)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체결되기 위한 커버 결합부(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614)는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 결합부(614)는 상기 힌지(63)가 설치된 상기 후단 리브(613)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전단 리브(6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614)는 상기 전단 리브(612)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커버 결합홈(614a)과, 상기 커버 결합홈(614a)의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 조작부(6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614a)은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일부는 상기 커버 결합홈(614a)의 내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614a)은 상기 전단 리브(612)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조작부(614b)는 상기 커버 결합홈(614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조작부(614b)는 상기 케이스 커버(62)를 상기 커버 결합홈(614a)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상기 커버 결합홈(614a)에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일부가 상기 커버 결합홈(614a)의 내측에 위치된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에 상기 케이스 커버(62)의 일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조작부(614b)를 조작(가압)하면, 상기 케이스 커버(62)에 결합된 체결부의 결합이 분리되면서,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외부로부터 케이블 또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단자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단자부(615)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 단자부(615)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커넥터 단자부(615)에 접속되면,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의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에는 전원 및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회로부품과,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안착되는 안착면(616)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면(616)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착면(616)은 상기 커버 안착부(611)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616)은 평면부가 아닌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해지는 라운드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면(616)은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안착부(616)는 중심 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616a)와, 양측 부분이 하부로 함몰되는 함몰부(6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16)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 부분이 상기 돌출부(616a)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 부분이 상기 함몰부(616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616b)는 상기 안착면(616b)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 부분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는 케이스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61a)와, 상기 외부 케이스(61a)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면(616)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6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61b)는 상기 외부 케이스(61a)의 상부 또는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61a)와 상기 내부 케이스(61b) 사이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도 6의 6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61b)는 개구부(6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17)는 상기 내부 케이스(61b)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면(616)의 중심부에는 일정 폭을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개구부(6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17)는 후술될 살균 장치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통과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에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살균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 장치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개구부(617)를 통과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내측으로 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개구부(617)는 상기 돌출부(616a)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개구부(617)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17)가 상기 돌출부(616a)의 중심에 형성되는 이유는, 보관된 마스크 장치(1)의 중심부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 부분에는 사람의 얼굴에 밀착되며 호흡 공간을 형성하는 실링부(50)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616a)에 개구부(617)가 형성될 경우, 살균이 필요한 실링부(50)의 외측 및 내측 부분이 집중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 장치(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64)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놓인 마스크 장치(1)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64)는 상기 외부 케이스(61a)와 내부 케이스(61b)가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 설치공간(6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64)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 장치(64)는 기판(641)과, 상기 기판(641)에 실장되는 자외선 램프(6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자외선 살균 광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LED에서 발생하는 광은 UV-C 파장의 자외선일 수 있다. 즉,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자외선 살균 성능이 강한 UV-C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표면에 있는 균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에 마스크 장치가 보관된 모습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7-7'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8-8'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에는 마스크 장치(1)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에 형성된 안착면(616)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커버(62)가 회전하여 닫히면 상기 마스크 장치(1)가 밀폐되어 보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16)에 안착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부(실링부)가 상기 안착면(616)의 돌출부(616a)에 지지되고,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단부가 상기 안착면(616)의 함몰부(616b)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616a)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실링부(50)의 내측을 지지하고, 상기 함몰부(616b)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함몰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의 내부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고,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사람의 안면을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사람의 안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호흡 공간(41)을 형성하는 실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1면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제2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중심 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내부에 호흡 공간(41)을 형성하도록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가 상기 안착면(616)에 안착되면,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돌출부(616a)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단부는 상기 함몰부(616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돌출부(616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40)의 내부 즉, 상기 호흡 공간(41)은 상기 개구부(617)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내부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 장치(64)가 배치된다.
상기 살균 장치(64)는 기판(641)과, 상기 기판(641)에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641) 및 상기 기판(641)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지지부(643)는 상기 기판(64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자외선 램프(641)의 설치 높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판 지지부(643)는 상기 케이스 바디(61)의 하부에서 일정 폭을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 지지부(643)의 상부에는 상기 기판(642)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지지부(643)에는 상기 살균 장치(64)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 지지부(643)는 배터리로 제공되어, 상기 기판(641)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기판(6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지지부(643)는 상기 외부 케이스(61a)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지지부(643)는 상기 외부 케이스(61a)의 바닥면 일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지지부(643)에 의해서,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상기 개구부(617)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상기 개구부(617)의 중심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램프(642)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개구부(617)를 통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중심부 즉, 상기 실링부(40)의 내부(호흡공간)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광 살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 및 상기 실링부(40)와의 이격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램프(642)와 상기 마스크 몸체(10) 간의 이격 거리가 너무 멀면, 상기 실링부(40)에 대한 살균이 잘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안쪽면에 대한 살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자외선 램프(642)와 상기 마스크 몸체(10) 간의 이격 거리가 가까우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안쪽면에 대한 살균이 잘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실링부(40)에 대한 살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면 중심부와 제1거리(L1) 만큼 이격되고, 상기 실링부(40)의 내주면과는 제2거리(L2)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거리(L1)는 상기 제2거리(L2)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거리(L1)는 상기 제2거리(L2)의 1.5배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거리(L1)는 35.9mm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거리(L2)는 20.3mm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거리(L1)가 상기 제2거리(L2)의 1.5배 이상의 길이로 설계되는 이유는, 상기 자외선 램프(642)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량이, 반경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량 보다 많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 램프(642)의 위치 설계에 의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 및 상기 실링부(40)의 내면에 대한 광균일도가 향상되어 살균 균일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10) 및 실링부(40)의 표면이 자외선 노출에 의하여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제1높이(H1)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단부의 높이보다는 높은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상기 실링부(40)의 최하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램프(642)는 상기 수직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60)의 전방으로 제3거리(L3)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40)는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나, 전후 방향으로는 비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40)의 전후방 형상 또는 호흡 공간(41)의 체적에 따른 위치 설계가 필요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높이(H1)는 30.4mm로 설계되고, 상기 제3거리(L3)는 12.3mm로 설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결합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후방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는 마스크 장치(1)의 배면이 위치하는 방향을 정의하며,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은 외부로 노출되는 마스크 장치(1)의 전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방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실링 브라켓(30)과 실링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실링부(40)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을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으로부터 분리 시,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지지되며, 상기 실링부(4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에 호흡을 위한 호흡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서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는 제1필터 장착부(21)와 제2필터 장착부(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된 마스크 장치(1)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좌측)과 우측 방향(우측)을 정의한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된 마스크 장치(1)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상방)과 하측 방향(하방)을 정의한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는 제1필터 커버(25)가 장착되고,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는 제2필터 커버(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의 내측에는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필터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커버(25)에는 제1공기 유입구(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 커버(26)에는 제2공기 유입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 상기 제1필터 커버(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상기 제2필터 커버(26)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상기 제1필터 커버(25) 및 상기 제2필터 커버(26)의 상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5,26)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 장착부(21,22)를 마주하는 면을 저면으로 정의하고,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면을 상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저면과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면을 측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가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에 제공될 경우에,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 하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21,22)에 지지되며,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 상부에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b), 및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b),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 커버(25) 및 상기 제2필터 커버(26)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95)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5)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조작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5)는 상기 필터 커버(25,26)의 개구를 통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걸이 장착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제공되는 걸이 장착부를 제1걸이 장착부(108a)라 정의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제공되는 걸이 장착부를 제2걸이 장착부(108b)라 정의한다.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상방 및 우측 하방에 제공되고,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상방 및 좌측 하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하기 위한 끈 또는 줄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끈 또는 줄 등은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를 연결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걸이 장착부(108b)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렇기에,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을 공기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내부는 밀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호흡 공간으로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로부터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가 들이마시며 호흡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는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로 유입되어 여과된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1공기 토출구(129a)와,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입되어 여과된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2공기 토출구(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토출구(129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 토출구(129b)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제1공기 토출구(129a)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출구(154,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공기 유출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과하여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 및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 중 하나 이상에는 체크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연결하는 유동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센서 장착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에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호흡 시 상기 호흡 공간의 압력 변화가 일정하게 감지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센서 장착부(109)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커넥터 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마스크 장치(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195)와 상기 커넥터는 전원 모듈에 연결되어 있기에,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전원 모듈이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크 장치의 작동 시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필터 커버(25,26)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251,261)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은 화살표 "A"로 나타낸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가 다양한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로 구성되기에, 외부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a,26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b,261b),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c,26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가 형성되는 필터 커버(25,26)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기에, 외부 공기를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으로부터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 커버(25,26)와 필터 장착부(21,22)의 내측에 위치하는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 커버(25,26)를 상기 마스크 장치(1)로부터 분리 시 교체 가능하다.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팬 모듈 및 에어 덕트부를 통과한 후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낸다. 상기 호흡 공간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실링부(4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면,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외부 공간과 구분되는 독립된 호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가 들이쉬고,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공기 유출구(154,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호흡 공간과 연통되는 제1공기 유출구(154)와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2공기 유출구(155)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는 유동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C"로 나타낸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D"로 나타낸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 및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 중 하나 이상에는 체크 밸브가 제공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마스크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마스크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를 살균하는 살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중심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돌출부와, 가장자리 부분이 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 장치의 중심부로 향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지면에 지지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살균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자외선 램프의 설치 높이를 제공하는 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 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안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커버 안착부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 리브; 및
    상기 커버 안착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후단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 리브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가 제공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리브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회전하여 닫힐 때, 상기 케이스 커버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부가 형성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리브의 돌출 높이는, 상기 후단 리브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전단 리브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부가 삽입되는 커버 결합홈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사람의 안면을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 및
    상기 마스크 몸체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사람의 안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호흡 공간을 형성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내부에 상기 호흡 공간을 형성하도록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호흡 공간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KR1020200108687A 2020-08-27 2020-08-27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KR102597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687A KR102597667B1 (ko) 2020-08-27 2020-08-27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687A KR102597667B1 (ko) 2020-08-27 2020-08-27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02A true KR20220027602A (ko) 2022-03-08
KR102597667B1 KR102597667B1 (ko) 2023-11-03

Family

ID=8081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687A KR102597667B1 (ko) 2020-08-27 2020-08-27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90A (ko) *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90A (ko) *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667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270B1 (ko) 마스크 장치
EP3673960A2 (en) Mask device
KR102665529B1 (ko)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8364B1 (ko) 마스크 장치
KR102309925B1 (ko) 마스크 장치
CN113856080B (zh) 口罩装置
CN113749327A (zh) 口罩装置
CN113749328A (zh) 口罩装置
CN113854670A (zh) 口罩装置
KR20200080110A (ko) 마스크 장치
KR102307772B1 (ko) 마스크 장치
KR102597667B1 (ko) 마스크용 살균 케이스
KR102416882B1 (ko) 마스크 장치
KR102306067B1 (ko) 마스크 유닛
CN116940401A (zh) 口罩装置
CN113750390B (zh) 口罩装置
KR20210151512A (ko) 마스크 장치
KR20220063015A (ko) 웨어러블 공기 청정기
KR102485422B1 (ko) 마스크 장치
KR102418314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4130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4576B1 (ko) 마스크 장치
KR20230013350A (ko) 마스크 장치
CN115633813A (zh) 口罩装置
KR20230013346A (ko) 마스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