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596A -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596A
KR20220027596A KR1020200108674A KR20200108674A KR20220027596A KR 20220027596 A KR20220027596 A KR 20220027596A KR 1020200108674 A KR1020200108674 A KR 1020200108674A KR 20200108674 A KR20200108674 A KR 20200108674A KR 20220027596 A KR20220027596 A KR 2022002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fire
information
user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2515B1 (en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호 filed Critical 정성호
Priority to KR102020010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515B1/en
Publication of KR2022002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which uses a player device including a training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 fire hydrant, a virtual reality (VR) headgear, and the like, and a simulation device acquiring user training status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and providing fire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fire environments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to provide various fire training content to users in real-time in various places and environments, thereby enabling the users to easily learn fire drills for various fire situations and systematically managing and providing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including a body, a handle, a safety pin, and a spray nozzle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a simulation device interlocked with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wirelessly or through a wire, and providing fir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through a display; and a management serve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imulation device to receive fire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store and manage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database. The simulation device includes a camera, detects the user's approach through the camera and acquires the user's face, movement, and action image information to perform analysis through a preset analysis program on the basis of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thereby generating and providing corresponding fir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Description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센서가 구비된 훈련용 소화기, 소화전, VR 헤드기어 등을 포함한 플레이어 장치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훈련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각종 화재 환경에 따른 소방 훈련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장소 및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각종 소방 훈련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종 화재 상황에 대한 소방 훈련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별 훈련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player device including a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 fire hydrant, VR headgear, and the like, and a camera to obtain train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By using a simulation device that provides fire-fighting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fire environments through a display, various fire-fighting training contents are provided to users in real time in various places and environments, so that users can easily learn fire-fighting training for various fire situations. It is about a technology that can help and systematically manage and provide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화재 발생시 초기 진압을 위해 대부분의 건물에는 소화기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보통 화재사고에 직면하게 되면 당황하거나 소화기 장치 사용이 미흡하여 화재를 손쉽게 제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In case of fire, most buildings are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for early extinguishing. However, when the general public is faced with a fire accident,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not easy to suppress the fire because of the panic or insufficient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소방 훈련 시스템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그 일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13837호의 가상 소화기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입체 3D 시뮬레이션 가상 소화기 장치 사용 체험 시스템 기술을 들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fire training system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so far, and an example of which is the virtual fire extinguisher device of Korean Patent No. 10-1513837 and the stereoscopic 3D simulation virtual fire extinguisher device use experience system technology using the same. there is.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에게 실제 소화기의 구조와 사용법이 같은 유사한 가상 소화기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소화기에 익숙해지고 가상 소화기 장치 사용법을 익히도록 하고 있다.The prior art provides a user with a similar virtual fire extinguisher device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usage of an actual fire extinguisher, so that the user can become familiar with the fire extinguisher and learn how to use the virtual fire extinguisher device.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화기 장치는 물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분말소화기, 포말소화기, 하론소화기, 투척식소화기, 옥내소화전, 옥외소화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 각 장소별 환경에 맞는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소정의 가상 소화기를 이용하여 훈련할 경우 실제 화재 발생 시 현장에 비치되어 있는 소화기를 제대로 다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general, fire extinguishers are composed of various types such as water fire extinguishers,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s, powder fire extinguishers, foam fire extinguishers, Halon fire extinguishers, thrown fire extinguishers, indoor fire hydrants, outdoor fire hydrants, etc.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case of training using a predetermined virtual fire extinguisher,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handle the fire extinguisher provided at the site in case of an actual fire.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2070641호의 화재진압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화재 현장의 화재 종류에 대응하는 소화기를 선택하여 소화기의 작동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As a prior art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e suppression learning system and method technology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70641 have been developed. It gives you the skills to learn how.

한편, 상기 화재진압 학습시스템 기술의 경우, 단순히 사용자의 소화기 작동 정보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하는 훈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고 있을 뿐, 사용자의 위치나 움직임 및 얼굴 표정 등 사용자의 훈련 상태 정보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화재 장소 및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 요령 등의 대처 방법 등을 직접 훈련받기에는 부족한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e suppression learning system technology, trai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simply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user's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training stat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location, movement, and facial expression Since it cannot be confirm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sufficient to receive direct training on coping methods such as specific action tips for each fire location and situation.

또한, 소방 훈련 이후의 별도의 관리 시스템이 없어 사용자가 자신의 훈련 결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관리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 단순히 일회성 소방 교육에 그치게 되어 소방 훈련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management system after the fire drill,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check and manage their training result information in real time is not provided.

무엇보다 일반적인 화재 대피, 화재 진압 등의 소방 교육의 경우, 별도의 교육 및 훈련 시간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수동적 훈련 학습을 수행하고 있는바, 이에 사용자가 각종 화재 상황에서의 소방 훈련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환경에서의 소방 훈련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여 능동적인 훈련을 학습할 수 있는 소방 방재 시스템 기술이 요구된다. Above all, in the case of firefighting education such as general fire evacuation and fire suppression, a separate education and training time is provided for the user to perform passive training and learning, so that the user can naturally acquire firefighting training in various fire situations. There is a need for a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technology that can learn active training by inducing interest in firefighting training in a corresponding environment to users in various places.

한국등록특허 제10-151383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3837 한국등록특허 제10-207064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7064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종 센서를 구비한 종류별 소화기, 소화전, VR 헤드기어, 콘트롤러 등의 플레이어 장치와, 사용자의 훈련 동작이나 움직임, 안면 및 얼굴 표정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소화기 장치, 카메라 장치와 IoT기반으로 연동하여 사용자의 훈련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시뮬레이션 장치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현장 및 화재 상황에 대한 화재 진압, 화재 대피 등의 소방 훈련 기술을 실시간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player device such as a fire extinguisher, fire hydrant, VR headgear, controller, etc. for each typ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nd a user's training action or movement, for recognizing facial and facial expressions Through a simulation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and a display that provides fire fighting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s training status inform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camera device and the camera device based on IoT, users can perform fire suppression, fire evacuation, etc. for various sites and fire situations. We want to make it possible to acquire firefighting training skills in real time.

또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이나 움직임, 얼굴 표정, 생김새 등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반응 정보 및 관심도 정보 등의 사용자별 성향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소방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소방 훈련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In addition, by acquiring imag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motion, movement, facial expression, and appearance through the camera, it analyzes the user's propensity such a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reaction information, and interest information to provide systematic fire training content and fire training efficiency want to increase

또한, 사용자별 훈련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필요한 훈련 및 화재대처능력 보강 등 유저별 맞춤 안전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managing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into big data,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ustomized safety consulting service for each user, such as additional training and fire response reinforcement required for users.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몸체, 손잡이, 안전핀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훈련용 소화기 장치,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소화기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소방 훈련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별 소방 훈련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얼굴, 움직임 및 동작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방 훈련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ire extinguisher device for training including a body, a handle, a safety pin and a spray nozz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wirelessly or wiredly interlocked with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the training A simulation device that provides fire drill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through a display,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fire training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imulation device, stores it in a database, and manages it The simulation device includes a camera, detects the user's approach through the camera, acquires the user's face, movement, and motion image information, and analyzes it through a preset analysis program based on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d provides fir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은 각종 센서를 구비한 종류별 소화기, 소화전, VR 헤드기어, 콘트롤러 등의 다양한 플레이어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종 화재 상황에 맞는 플레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비상 대피 등의 대처 방법을 습득하게 하고, 더욱 사실적이고 실감있게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rs with various player devices such as fire extinguishers, fire hydrants, VR headgear, and controllers for each typ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so that the user can use player devices suitable for various fire situations.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students to learn coping methods such as fire suppression and emergency evacuation, and training more realistically and realistically.

또한, 카메라를 통해 소방 훈련 콘텐츠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의 얼굴 표정, 위치 및 움직임 등의 훈련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훈련 상황에 따른 가이드를 제시해주어 체계적인 소방 훈련을 받도록 하여 사용자의 소방 훈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hecking the train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facial expressions, positions, and movements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fire drill content through the camera in real time, a guide according to the user's training situation is presented to receive systematic fire training.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또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안면 인식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 정보에 맞는 소방 훈련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소방 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sing the user's fac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the user's gender, age, etc. are identified throug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user's interest is aroused by providing fire training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s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actively fire the fire. It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training.

또한,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인터렉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소방 훈련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도 및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user's interest and concentration by providing various fire training contents through a display capable of two-way interaction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또한, 사용자별 훈련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서버를 구축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훈련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훈련 스타일 및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고 즐겁게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ollecting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building and managing a big data server, users can easily check their training information, and by using big data, customized training contents considering the train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are provided.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and more enjoyable for users to participate in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의 훈련용 소화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n IoT-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re extinguisher device for training of an IoT-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touch screen of a simulation device of an IoT-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10)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20)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10, 20)의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10, 20)의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터치스크린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oT-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system diagram showin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of the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10,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IoT-based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touch screen of the simulation device 200 of the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10, 20, and FIG. 5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10)은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를 포함한 플레이어 장치와, 시뮬레이션 장치(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IoT-based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yer device including a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a simulation device 200 , and a management server 300 .

일 예로, 도 1을 참조하면, 플레이어 장치로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를 제공하고,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와 시뮬레이션 장치(200)를 서로 연동시켜,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방 훈련용 콘텐츠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학습하고자 하는 소방 훈련용 콘텐츠를 선택하여 안내되는 훈련 정보에 따라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를 작동시켜 화재 진압 훈련을 체험하거나 또는 비상 대비 훈련을 체험할 수 있다. 이렇게 수행된 사용자의 훈련 관련 정보들은 관리서버(300)로 전송되며, 관리서버(300)에서는 사용자별 훈련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 ,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is provided as a player device, and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and the simulation device 2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display the touch screen of the simulation device 200 . When content for fire training is provided through can experience The user's training-related information perform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can store and manage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2를 참조하면,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a, 100b, 100n)를 포함한 플레이어 장치와 시뮬레이션 장치(200a, 200b, 200n)는 장소마다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시뮬레이션 장치(200a, 200b, 200n)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소방 훈련용 콘텐츠에 다중 접속하여 협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as another embodiment, the player device and the simulation device 200a, 200b, 200n including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s 100a, 100b, 100n are installed in plurality for each place, and each simulation device 200a , 200b, and 200n) are linked through a network so that multiple users can multiple access the same content for fire training to perform cooperative training.

즉, 해당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어 한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소화기와 소화전 등 화재 구역별로 필요한 소화 장치가 다른점을 고려하여 이에 따른 협동 훈련을 습득할 수 있도록 다중 접속용 소방 훈련용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in one building, multiple access fire training for content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를 포함한 플레이어 장치, 시뮬레이션 장치(200) 및 관리서버(3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player device including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the simulation device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는 몸체(101), 손잡이(102), 안전핀(미도시) 및 분사 노즐(103)을 포함하고,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 내부에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전원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5,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includes a body 101, a handle 102, a safety pin (not shown) and a spray nozzle 10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at least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and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may include a sensor unit 110 , a communication unit 120 , a power supply unit 130 , and a control unit 140 .

센서부(110)는 상기 몸체(101), 손잡이(102), 안전핀 및 분사 노즐(103)의 위치 및 동작 상태 정보를 감지하며, 이때 센서부(110)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근거리 센서, 접촉 센서, 압력 센서, 연기 센서 및 열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detects the posi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101, the handle 102, the safety pin and the injection nozzle 103, and the sensor unit 110 is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short-distance sensor, It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a pressure sensor, a smoke sensor, and a thermal sensor.

즉,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는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감지하고, 근거리 센서는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가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200)로의 접근을 감지하며, 연기 센서 및 열감지 센서는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의 화재 진압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and the short-range sensor detects the approach of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to the simulation device 200, a smoke sensor and The heat sensor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fire suppression setting of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이때, 센서부(110)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들은 몸체(101) 내부 이외에도 손잡이(102)나 안전핀 및 분사노즐(103)에 인접하여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를 다루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10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handle 102 or the safety pin and the injection nozzle 103 in addition to the inside of the body 101, so that the user can learn how to handle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It can be configured to train.

예를 들면, 소방 훈련용 콘텐츠들 중, 사용자가 안전핀 뽑기 훈련 콘텐츠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경우, 안전핀 위치에 접촉 센서 등의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감지 센서를 통해 안전핀의 제거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센싱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시뮬레이션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여 시뮬레이션 장치(200)에서 안전핀 제거 상태를 확인하여 다음의 훈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nd executes safety pin pulling training contents among fire training contents, a detection sensor such as a contact sensor is provided at the safety pin position to detect whether the safety pin is remov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By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simulation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safety pin removal state is checked in the simulation device 200 to provide the following training information.

또한, 소방 훈련용 콘텐츠들 중, 사용자가 분사하기 훈련 콘텐츠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경우, 손잡이(102) 위치에 압력 센서 등의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감지 센서를 통해 손잡이(102)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센싱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시뮬레이션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여 시뮬레이션 장치(200)에서 손잡이(102)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다음의 훈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executes the spraying training content among the fire training contents, a detection sensor such as a pressure sensor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102 to detect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102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Then, the sensed sen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imulation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handle 102 in the simulation device 200 to provide the following training information.

통신부(120)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하여 센서부(110)를 통해 감지한 각종 센싱 정보들을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와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various types of sensing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10 to the simulation device 200 in connection with the simulation device 200 by wire or wirelessly.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information with the simulation device 200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or Bluetooth.

전원부(130)는 온오프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110) 및 통신부(120)에 전원을 제공하며,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되거나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30 is provided with an on/off button, provides power to the sensor unit 1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 and may be charged with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o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부(110), 통신부(120) 및 전원부(13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센싱된 각종 센싱 정보들을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10,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power unit 130, respectively, and transmits various types of sensing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the simulation device ( 200) to control the transmission.

이러한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는 물 분무, 연기 분무, 레이저 분무 등 사용자가 분무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물 분무식 소화기 방식의 경우 상기 몸체 내에 물이 주입되고, 공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손잡이 개폐 동작시 물 분무식 방사가 이루어진다.This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is made so that a user can select a spray type such as water spray, smoke spray, laser spray, etc. In the case of a water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method, water is injected into the body, and compressed air through an air compressor is injected, and water spray type radiation is mad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연기 분무식 소화기 방식의 경우, 상기 몸체 내에 포그액이 주입되고, 공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손잡이 개폐 동작시 연기 분무식 방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포그액은 인체 무해한 약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a smoke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fo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body, and compressed air is injected through an air compressor to generate smoke spray type radiation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Here, the fog solution may be made of a drug harmless to the human body.

레이저 분무식 소화기이며, 상기 몸체 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 조사부, 레이저 빔 조사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레이저의 조사 영역에서 좌표를 인식하여 검출하기 위한 좌표 검출부가 구비되어 화재 진압 체험이 가능하다.It is a laser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and a laser beam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a laser beam inside the body,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laser beam irradiation area, and a coordinate detection unit for recognizing and detecting coordinates in the laser irradiation area are provided to experience fire suppression This is possible.

플레이어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 이외에도, 각종 센서 및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200)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소방 훈련 콘텐츠 실행 시 구동되는 소화전 장치(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player device is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and communication modules and is interlocked with the simulation device 200, and a fire hydrant device (not shown) that is driven when a user executes fire training content is provided. may additionally be included.

또한,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며, 영상 표시부를 통해 VR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VR 헤드 기어(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VR 헤드기어는 상기 시뮬레이터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표시부에 소방 훈련용 콘텐츠용 VR 영상 정보를 나타내주어, 더욱 실감있는 체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VR headgear (not shown) that is mounted on the user's head and provides VR image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display unit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and the VR headgear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ator device to display content for fire drills on the image display unit. VR im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for a more realistic experience environment.

더하여 별도의 조작이 가능한 콘트롤러(미도시)를 추가 구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게임 등의 다양한 방식의 소방 훈련용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an be operated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content for fire training in various ways, such as game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본체, 디스플레이 모듈(210),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220),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230), 통신모듈(240), 메모리(25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and 5, the simulation device 200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module 210, a camera for detecting a pedestrian 220, a camera 230 for user recognition, a communication module 240, a memory 25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processor 260 .

또한, 다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입력부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소방 훈련에 대한 각종 안내 음성 및 음향 정보를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안내 도우미 없이도 용이하게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또한, 인쇄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의 소방 훈련 완수시 이수증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may be included to receive user information. In addition, by providing various kinds of guidance voice and sound information for fire drills including the speaker unit through the speaker unit, the user can easily complete the training without a separate guide assista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and provide a certificate of completion upon completion of the user's fire drill by additionally including a printing unit.

본체는 판넬 또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터치스크린(211)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입력받고, 소방 훈련용 콘텐츠에 대한 영상 정보를 터치스크린(211)을 통해 제공한다.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nel or a case, and the display module 210 is provid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a touch screen 211 is provided to receive user's touch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for content for fire drills. is provided through the touch screen 211 .

여기서, 터치스크린(211)은 패널의 각 모서리에 센서(21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좌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Here, the touch screen 211 is provided with a sensor 212 at each corner of the panel, it can sense the user's touch coordinate information to receive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220)는 본체 상부에 구비되며, 본체의 주변을 촬영하여,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설치된 지역의 주변 보행자의 통행량을 측정하기 위한 주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220 for detecting pedestrians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by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obtain peripheral image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raffic of pedestrians in the area where the simulation device 200 is installed.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230)는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얼굴 표정, 움직임 및 동작 영상 정보를 촬영하여, 시뮬레이션 장치(200)에 관심을 보이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위한 사용자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 camera 230 for user recogni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by photographing image information of a user's facial expression, movement, and mo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user image information for facial recognition of a user showing interest in the simulation device 200 . can

통신모듈(240)은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의 통신부(1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에서 측정된 각종 센싱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기초로 생성되는 사용자별 훈련 관련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 통신하여 전송해줄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로부터 기기 내부의 각종 프로그램의 설정을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4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100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th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100, and is generated based on this for each user Training-relat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 In addition, command information for updating or changing settings of various programs inside the devic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

메모리(250)는 각종 소방 훈련용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별 훈련 관련 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때 상기 소방 훈련용 콘텐츠 정보에는 지하철, 학교, 아파트, 공장, 사무실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상황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별 훈련 관련 정보에는 사용자별 개인 신상 정보, 얼굴 이미지 정보, 소방 훈련 이력 정보 등 사용자의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memory 250 stores various data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for various fire drills and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Training scenario information for a fire situation may be included, and the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user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user, face image information, and fire drill history information.

마이크로프로세서(260)는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터치스크린(21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 상기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 영상 정보, 상기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230)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영상 정보 및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훈련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방 훈련용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통해 제공한다.Microprocessor 26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user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211 of the display module 210,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edestrian detection camera 220, Analyze the user's training state information through a preset analysis program based on the use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camera 230 and the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and respond accordingly content information for fire training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210 .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60)는 상기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보행자 감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통행량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보행자 통행량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25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해줄 수 있다.That is, the microprocessor 260 counts the pedestrian traffic by using a preset pedestrian detection program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edestrian detection camera 220, and transmits the counted pedestrian traffic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 25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transmitted.

마이크로프로세서(260)는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230)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안면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태 및 얼굴 표정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판단하며, 판단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소방 훈련용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로 자동 제공할 수 있다.The microprocessor 260 determines the user's gender and age by recognizing the user's face shape and facial expression using a preset face recognition program based on use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camera 230, , content information for fire training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user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display module 210 .

또한, 상기 안면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얼굴 정보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인식한 사용자 사용자의 얼굴 카운팅 정보 및 얼굴 이미지 관련 정보를 통신모듈(25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해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unt user fac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program, and transmit the recognized user face counting information and face image rel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50 . .

마이크로프로세서(260)는 상기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230)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모션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한 훈련에 따른 움직임 및 동작 관련 정보들을 통신모듈(25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해줄 수 있다.The microprocessor 260 recognizes the user's position, movement and motion using a preset motion recognition program based on the use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camera 230, and moves according to the recognized training. and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50 .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60)는 상기 모션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동작 정보가 기설정된 훈련 동작 범위를 벗어나면 사용자가 해당 훈련 단계를 재수행하도록 하여 해당 훈련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icroprocessor 260 causes the user to re-perform the corresponding training step when the user's position, movement, and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program is out of the preset training motion range so that the training can be completed. do.

또한,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기준 정보에 미치지 못하면 해당 훈련 단계를 재수행하도록 한다.In addition, based on the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if 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is not reached, the corresponding training step is re-performed.

여기서 소화기 동작 정보에는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의 각 센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서값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260)는 상기 복수의 센서값을 기초로, 기설정된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소방 훈련 콘텐츠 수행에 대한 소화량, 진압시간, 적중률, 보너스 점수 및 최종 평가점수를 산출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Here, the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values measured by each sensor of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A rating can be given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suppression time, hit rate, bonus score, and final evaluation score for the corresponding fire drill content performance.

상기 소방 훈련 콘텐츠 수행에 따른 소화량, 진압시간, 적중률, 보너스 점수 및 최종 평가점수의 산출 설정은 소방 훈련 콘텐츠의 관리자로부터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etting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suppression time, hit rate, bonus score, and final evaluation scor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fire drill content may be preset by the manager of the fire drill content, and may be updated or changed by the manager.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260)를 통해 수행된 사용자별 각종 훈련 관련 정보들은 통신모듈(25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되어 빅데이터화되어 관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performed through the microprocessor 26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50 and converted into big data and manag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움직임 및 동작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정보를 기설정된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방 훈련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mul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btains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s facial expression, movement, and operation when a user's approach is detected so as to perform the function of digital signage, and uses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fir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by analyzing through a preset analysis program.

즉, 예를 들면 지하철, 쇼핑몰 등등 다양한 공공 장소에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설치되고, 해당 위치를 지나가는 보행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영상을 제공하여 관심을 유도하고, 이때 지나가던 보행자가 시뮬레이션 장치에 접근하면, 접근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화재에 대한 소방 훈련 시작 여부 물어보고, 사용자가 수락하면 소방 훈련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해 선택 정보를 입력 받아 해당 소방 훈련 콘텐츠를 실행하여 화재 진압 및 대피 방법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That is, for example, the simulation device 200 is installed in various public places such as subways, shopping malls, etc., and when a pedestrian passing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detected, an image of a fire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place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to induce interest, At this time, when a passing pedestrian approaches the simulation device, it recognizes the face of the approaching user and asks whether or not to start firefighting training. By executing the training contents, it is possible to learn fire suppression and evacuation methods.

다시 말해서, 사용자들에게 화재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고 흥미를 유발시켜서 소방 훈련을 유도함으로써, 별도의 훈련 정책이나 제도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생활속에서 소방 방재 훈련을 하도록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by inducing fire drills by making users interested in and arousing interest in fire, it is possible to naturally conduct fire drills in daily life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training policy or system.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200)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아날로그 사이니지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아날로그 사이니지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디지털 사이니지의 시청효과 측정 실증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mul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of a digital signage function, and additionally analyzes the user's interest in the display module of the analog signage function and the display module of the analog signage function By additionally including a camera for user recognition for this purpose,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digital signage viewing effect measurement verification system.

관리서버(300)는 정보 송수신부(310), 데이터베이스(320), 웹 서비스부(330) 및 정보 분석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unit 310 , a database 320 , a web service unit 330 , and an information analyzing unit 340 .

정보 송수신부(310)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200)와 무선 통신하여 각종 소방 훈련 관련 정보를 전송받고, 각종 소방 훈련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The information transceiver 3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imulation device 200 to receive various types of fire training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various types of fire training content related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정보 송수신부(310)를 통해 전송된 각종 소방 훈련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저장하며, 여기서 각종 소방 훈련 관련 정보에는 보행자의 통행량 관련 정보,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 움직임 및 동작 관련 정보, 사용자별 소방 훈련 콘텐츠 수행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 장치(100)를 포함한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 정보 및 수행 이력 정보 등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320 converts and stores various kinds of fire drill-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ceiver 310 into big data, where various fire drill-related information includes pedestrian traffic information, user's face image information, movements and motion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related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performanc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layer device including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100 for training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each user's fire drill content may be stored.

웹 서비스부(330)는 상기 정보 송수신부(310)를 통해 온라인 상에 웹 및 어플리케이션(App)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웹에 접속하거나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면 해당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훈련 관련 정보를 언제든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web service unit 330 provides a web and an application online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unit 310, and when the user accesses the online web or downloads and executes a dedicated application, the user is trained on the web page. A web service may be provided so that relevant information can be easily checked at any time.

사용자의 훈련 관련 정보에는 사용자의 개인 신상 정보, 훈련 이력 정보, 훈련 실제 영상 정보, 훈련 단계별 결과 정보, 훈련 능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정보 등 훈련 관련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user's training-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train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raining history information, training actual video information, training step result information, and solu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raining ability.

정보 분석부(3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빅데이터 정보를 기설정된 머신런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훈련 성향 정보, 사용자별 맞춤 훈련 콘텐츠 정보, 지역별 소방 훈련 통계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40 may analyze the training propens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the customize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the regional fire drill statistics information by using the bi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20 using a preset machine learning program. .

즉, 사용자들의 나이 및 성별 등의 기본 신상 정보 및 학습관리시스템(LMS)과 내용관리시스템(CMS)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훈련 진행 상황을 기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별 훈련 취약점이나 강점 등의 훈련 성향 정보을 분석하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별 맞춤 훈련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며, 또한, 보행자 통행량 정보 및 사용자 얼굴 영상 정보에 대한 카운팅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로 소방 훈련 관심도 및 훈련 레벨 정보 등의 통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basic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users' age and gender,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are linked to record the user's training progress to manage user data to build big data, and to By analyzing training propensity information such as training weaknesses and strengths, customize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is created for each user to provide a solution, and also, by using counting information on pedestrian traffic information and user face image information, the level of interest in fire drills and Various analyzes using big data can be performed by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raining level information.

한편, 상기 관리서버(300)에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구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기기 고장 및 소방 훈련 콘텐츠 에러를 포함한 오류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부(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각종 이상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 기기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동 녹화 장치가 구비되어 추후 A/S 시 녹화내용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unit (not shown) that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simulation device 200 in real time to check errors including device failures and fire training content errors in real tim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various abnormal situations, thereby increasing device management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an automatic recording devic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corded contents during A/S in the future and cope with it easi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10, 20)은 각종 센서를 구비한 종류별 소화기, 소화전, VR 헤드기어, 콘트롤러 등의 다양한 플레이어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종 화재 상황에 맞는 플레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비상 대피 등의 대처 방법을 습득할 수 있고, 더욱 사실적이고 실감있게 훈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10,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rs with various player devices such as fire extinguishers, fire hydrants, VR headgear, and controllers for each typ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You can learn how to deal with fire suppression and emergency evacuation by using a player device suitable for various fire situations, and you can train more realistically and realistically.

또한, 카메라를 통해 소방 훈련 콘텐츠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의 얼굴 표정, 위치 및 움직임 등의 훈련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훈련 상황에 따른 가이드를 제시해주어 체계적인 소방 훈련을 받도록 하여 사용자의 소방 훈련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checking the train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facial expressions, positions, and movements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fire drill content through the camera in real time, a guide according to the user's training situation is presented to receive systematic fire trai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안면 인식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 정보에 맞는 소방 훈련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소방 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In addition, using the user's fac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the user's gender, age, etc. are identified throug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user's interest is aroused by providing fire training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s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actively fire the fire. can participate in training.

또한,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양방향 인터렉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소방 훈련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도 및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interest and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various fire training contents through a display capable of interactive interaction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또한, 사용자별 훈련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서버를 구축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훈련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훈련 스타일 및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고 즐겁게 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llecting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user, building and managing a big data server, users can easily check their training information, and by using big data, customized training contents considering the train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are provided. By providing it, the user can participate in the training more easily and happily.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20 :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
100 : 훈련용 소화기 장치
101 : 몸체, 102 : 손잡이, 103 : 분사노즐
110 : 센서부, 120 : 통신부, 130 : 전원부, 140 : 제어부
200 : 시뮬레이션 장치
210 : 디스플레이 모듈, 220 :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
230 :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 240 : 통신모듈
250 : 메모리, 260 : 마이크로프로세서
300 : 관리서버
310 : 정보 송수신부,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웹 서비스부, 340 : 정보 분석부
10, 20: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100: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101: body, 102: handle, 103: spray nozzle
110: sensor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power unit, 140: control unit
200: simulation device
210: display module, 220: camera for pedestrian detection
230: camera for user recognition, 240: communication module
250: memory, 260: microprocessor
300: management server
310: information transceiver, 320: database
330: web service unit, 340: information analysis unit

Claims (20)

몸체, 손잡이, 안전핀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훈련용 소화기 장치;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소화기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소방 훈련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및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별 소방 훈련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얼굴, 움직임 및 동작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방 훈련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At least on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including a body, a handle, a safety pin and a spray nozz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a simulation device that is wirelessly or wire-linked with the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and provides fire drill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through a display;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fire training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imulation device, stores it in a database, and manages it;
It consists of
The simulation device includes a camera, detects the user's approach through the camera, acquires the user's face, movement, and motion image information, and analyzes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through a preset analysis program based on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to respond accordingly An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d provides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는,
상기 몸체, 손잡이, 안전핀 및 분사 노즐의 위치 및 동작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하기 위한 통신부;
온오프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 및 통신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 통신부 및 전원부의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the handle, the safety pin, and the injection nozzle;
a communication unit for interworking with the simulation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 power supply unit having an on/off button and providing power to the sensor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ignals from the sensor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거리 센서, 접촉 센서, 압력 센서, 연기 센서 및 열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short-distance sensor, a contact sensor, a pressure sensor, a smoke sensor and a heat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는 물 분무식 소화기이며, 상기 몸체 내에 물이 주입되고, 공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손잡이 동작시 물 분무식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for training is a water spray fire extinguisher, and water is injected into the body, compressed air is injected through an air compressor, and water spray type radiation is made when the handle is operated. train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는 연기 분무식 소화기이며, 상기 몸체 내에 포그액이 주입되고, 공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손잡이 동작시 연기 분무식 방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포그액은 인체 무해한 약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is a smoke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a fo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body, compressed air is injected through an air compressor, and smoke spray type radiation is made when the handle is operated, and the fog liquid is a medicine harmless to the human body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는 레이저 분무식 소화기이며, 상기 몸체 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 조사부, 레이저 빔 조사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레이저의 조사 영역에서 좌표를 인식하여 검출하기 위한 좌표 검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is a laser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and a laser beam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inside the body,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laser beam irradiation area, and a coordinate detection unit for recognizing and detecting coordinates in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시뮬레이션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소방 훈련용 콘텐츠에 다중 접속하여 협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simulation devices may be installed, and each simulation device is linked through a network so that multiple users can multiple access to the same fire training content to perform cooperative training. train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는,
본체;
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입력받고, 소방 훈련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며, 본체 주변을 이동하는 보행자 영상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얼굴 표정, 움직임 및 동작 영상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며,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각종 소방 훈련용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별 훈련 관련 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 상기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 영상 정보, 상기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영상 정보 및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훈련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방 훈련용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ion device is
main body;
a display module provid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touch screen to receive user's touch information and provide content for fire drills;
a camera for detecting pedestrian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for capturing image information of pedestrians moving around the main body;
a camera for user recognition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capture image information of a user's facial expression, movement, and motion;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device, 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for various fire drills and trai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user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edestrian detection camera, use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camera, and the training a microprocessor that analyzes the user's training state information through a preset analysis program based on the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and provides corresponding fir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module;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보행자 감지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보행자 감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통행량을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icroprocessor is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edestrian detection camera, IoT-based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unting the amount of pedestrian traffic by using a preset pedestrian detection progra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안면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태 및 얼굴 표정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판단하며, 판단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소방 훈련용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자동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icroprocessor is
Based on the use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camera, the user's face shape and facial expression are recognized by using a preset face recognition program to determine the user's gender and age, and the determined user information An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for fire training to the display modul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안면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얼굴 정보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icroprocessor is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unting the user fac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progra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영상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모션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동작을 인식하고, 기설정된 훈련 동작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훈련 단계를 재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icroprocessor is
Based on the use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camera, the user's position, movement, and motion are recognized using a preset motion recognition program, and if out of the preset training operation range, the corresponding training step is re-performed.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소화기 동작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기준 정보에 미치지 못하면 해당 훈련 단계를 재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icroprocessor is
Based on the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for training, if the preset reference information is not reached, the corresponding training step is re-perform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동작 정보에는 상기 훈련용 소화기 장치의 각 센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서값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e extinguisher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values measured by each sensor of the fire extinguisher device for training.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센서값을 기초로, 기설정된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소방 훈련 콘텐츠에 대한 소화량, 진압시간, 적중률, 보너스 점수 및 최종 평가점수를 산출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icroprocessor calculates the fire extinguishing amount, suppression time, hit rate, bonus score, and final evaluation score for the fire training content through a preset calculation program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or values to give a grade based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training syste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다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 소방 훈련에 대한 각종 안내 음성 및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부, 사용자의 소방 훈련 완수시 이수증을 제공하기 위한 인쇄부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ain body consists of a plurality of buttons,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a speaker unit for providing various guidance voice and sound information for fire drills, and a printing unit for providing a certificate of completion upon completion of the user's fire training.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각종 소방 훈련 관련 정보를 전송받고, 각종 소방 훈련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송수신부;
상기 정보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각종 소방 훈련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정보 송수신부를 통해 온라인 상에 웹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소방 훈련 이력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의 각종 훈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 정보를 기설정된 머신런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훈련 성향 정보, 사용자별 맞춤 훈련 콘텐츠 정보, 지역별 소방 훈련 통계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n information transceiver f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fire drill-related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imul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various types of fire training contents-related information;
a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fire drill-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ceiver into big data;
a web service unit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train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user's fire drill history information by providing a web online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ceiver; and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raining propens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customized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regional fire drill statistical information by using the bi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with a preset machine learning program;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기기 고장 및 소방 훈련 콘텐츠 에러를 포함한 오류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링부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includes a monitoring unit for real-time monitoring of the operation of the simulation device to check errors including device failures and fire training content errors in real time.
제 1항에 있어서,
각종 센서 및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소방 훈련 콘텐츠 실행 시 구동되는 소화전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comprising various sensors and communication modules, interlocking with the simulation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fire hydrant device driven when a user executes fire training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며, 영상 표시부를 통해 VR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VR 헤드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기반의 소방방재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IoT-based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that is mounted on the user's head and additionally includes a VR headgear that provides VR image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display unit.

KR1020200108674A 2020-08-27 2020-08-27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KR102452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674A KR102452515B1 (en) 2020-08-27 2020-08-27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674A KR102452515B1 (en) 2020-08-27 2020-08-27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96A true KR20220027596A (en) 2022-03-08
KR102452515B1 KR102452515B1 (en) 2022-10-07

Family

ID=8081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674A KR102452515B1 (en) 2020-08-27 2020-08-27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51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902A (en) * 2008-08-11 2010-02-19 한국기계연구원 Multi-system for fire simul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KR20100108686A (en) * 2009-03-30 2010-10-08 이종선 An embedded system for a language education
KR101513837B1 (en) 2014-11-12 2015-04-21 박종민 Imagine fire extinguisher, and stereoscopic 3D-experiencing system of imagine fire extinguisher using the same
KR20160018231A (en) * 2014-08-08 2016-02-17 오욱진 Apparatus for training fire fighting education and evaction guide including fire extinguisher and fireplug simulator
KR20160109066A (en) * 2015-03-09 2016-09-21 (주)굿게이트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corresponding to disaster based virtual reality using the same
KR20180049582A (en) * 2016-11-03 2018-05-1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KR102070641B1 (en) 2018-03-27 2020-01-29 주식회사 제이에스에이치 Fire fighting train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902A (en) * 2008-08-11 2010-02-19 한국기계연구원 Multi-system for fire simul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KR20100108686A (en) * 2009-03-30 2010-10-08 이종선 An embedded system for a language education
KR20160018231A (en) * 2014-08-08 2016-02-17 오욱진 Apparatus for training fire fighting education and evaction guide including fire extinguisher and fireplug simulator
KR101513837B1 (en) 2014-11-12 2015-04-21 박종민 Imagine fire extinguisher, and stereoscopic 3D-experiencing system of imagine fire extinguisher using the same
KR20160109066A (en) * 2015-03-09 2016-09-21 (주)굿게이트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corresponding to disaster based virtual reality using the same
KR20180049582A (en) * 2016-11-03 2018-05-1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KR102070641B1 (en) 2018-03-27 2020-01-29 주식회사 제이에스에이치 Fire fighting train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515B1 (en)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48120B (en) Fire escape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somatosensory technology
CN103226390B (en) The virtual reality system of panorama type fire emergent escaping
KR100911719B1 (en) Game 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US20190126145A1 (en) Exercise motion system and method
WO2019019404A1 (en) Safety education system based on image simulation technology
Vichitvejpaisal et al. Firefighting simulation on virtual reality platform
JP3948202B2 (en) Evacuation virtual experience system
KR101824083B1 (en) Fire extinguisher for training of virtual reality
KR101711412B1 (en) Apparatus for training fire fighting education and evaction guide including fire extinguisher and fireplug simulator
KR102212241B1 (en) Fire fighting experience system based on mixed reality
Arias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in the study of Human Behavior in Fire: Pursuing realistic behavior in evacuation experiments
CN111612672A (en) Emergency drilling system
KR102452515B1 (en) Fire preven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iot
EP2284820A1 (en) Method for training the use of fire-fighting equipment
KR102215205B1 (en) Training material system for measuring fire fighting training, and method for measuring fire fighting training using the system
US20180280748A1 (en) Training system
CN111612671B (en) Emergency drilling system
John et al. Smartsenior’s interactive trainer-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system for a home-based fall-prevention training for elderly people
CN107812338A (en) A kind of fire extinguisher teaching of use system
Stroe et al. FireEscape: a gamified coordinative aproach to multiplayer fire-safety training
KR20220063049A (en) Fire safety inspection education system using AR technology
US20230241453A1 (en) Exercise motion system and method
KR102669924B1 (en) Virtual reality-based fire response experience system
KR102457790B1 (en) Kiosk Apparatus for Safety Experie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u et al. How individuals sense environments during indoor emergency wayfinding: an eye-tracking invest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