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381A -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 Google Patents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381A
KR20220027381A KR1020200108130A KR20200108130A KR20220027381A KR 20220027381 A KR20220027381 A KR 20220027381A KR 1020200108130 A KR1020200108130 A KR 1020200108130A KR 20200108130 A KR20200108130 A KR 20200108130A KR 20220027381 A KR20220027381 A KR 20220027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wheelchair
control uni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8700B1 (en
Inventor
백혜진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700B1/en
Publication of KR2022002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3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5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wheelchair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9Antislip compos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by patient's head, eyes, facial muscles or vo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provided with safety features, which automatically adjusts an amount of anti-skid liquid in winter in accordance with an amount of snow to prevent the wheelchair from slipping, thereby improving safety. According to a slope of a facility, installation of inclined pads is requested so that safety of the wheelchair can be improved.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safety features comprises: a control device installed on a main frame or seat frame of the wheelchair to control spraying of the anti-skid liquid and an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spray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request an inclined pad or to reserve the use of a wheelchair lift; and an anti-skid liquid spraying unit that sprays the anti-skid liquid on a main wheel of the wheelchai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Description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본 발명은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겨울철에는 적설량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의 분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휠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시설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 패드의 설치를 요청하여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particularly in winter,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fall to prevent the wheelchair from slipping,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installing an inclined pad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facility It relates to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to improve safety by requesting the.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이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주로 사용하는 용도이나, 근래에는 연세가 많이 드신 어르신들이 이동수단의 일환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일상생활에서도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heelchairs are mainly used by patients with mobility difficulties, but in recent years, elderly people are using them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y are also used for sitting for a long time in daily life.

이러한 휠체어를 이용하여 도로를 이동하는 경우, 겨울철과 같이 눈이 내리거나 쌓이는 경우, 사용자가 스스로 조심을 하면서 운전을 하는 방법 이외에 안전을 위해 별다른 안전장치를 제공해주지는 못하여, 사용자의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using such a wheelchair to move on the road, when snow falls or accumulates, such as in winter, the user cannot provide any other safety device for safety other than the method of driving while taking care of himself, so the user's safety is threatened. This happens.

또한, 시설의 경사가 안전에 위험한 경사도를 가질 경우에도, 안전을 위해 별다른 방법이 없으며, 이 경우에도 오로지 사용자가 휠체어 운전에 만전을 기하여 안전을 스스로 도모할 수 밖에 없다.In addition, even if the slope of the facility has a slope that is dangerous for safety, there is no special method for safety, and in this case, only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promote safety by doing everything possible to drive a wheelchair.

한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지하철과 같은 장소에서 리프트를 이용할 경우, 지하철의 리프트 사용 시설에서 호출 등을 통해 역무원과 통화를 하여 리프트 사용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을 받은 역무원은 사용자가 호출한 위치로 이동하여 리프트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using a wheelchair uses a lift in a place such as a subway, he calls a station attendant through a call or the like at a lift using facility of the subway and requests the use of the lift. Upon receiving such a request, the station attendant moves to the location called by the user and operates the lift to allow the user to move in a wheelchair.

이러한 리프트 사용 방법은 휠체어 사용자가 현장에 도착한 후, 호출을 통해 역무원과 통화를 하고, 역무원이 해당 위치로 이동한 후 리프트를 조작해주는 방식이므로, 절차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리프트 요청부터 사용시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This method of using a lift is a method in which a wheelchair user arrives at the site, makes a call with a station attendant, and operates the lift after the station attendant moves to the appropriate location. The disadvantage is that it takes a lot of time.

한편, 휠체어에 대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215호에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ology for a wheelchai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56215.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압력 전도성 필름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압력(체압)을 측정하고 신체압력이 설정된 기준 이상이면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보호 조치를 취함으로써 환자의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창 방지용 IoT 휠체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measures the patient's body pressure (body pressure) using a pressure conductive film, and when the body pressure is higher than a set standard, it is transmitted to the patient management server to take protective measur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edsores in patients. We provide an IoT wheelchair device for preventing bedsores.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도 환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안전조치만이 가능하며, 시설의 경사도가 심한 경우에도 안전을 도모해줄 수 없으며, 지하철 리프트 사용시에도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주지 못한다.However, even in this prior art, only safety measures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are possible, safety cannot be promoted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facility is severe, and convenience cannot be provided to users even when using a subway lif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21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62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휠체어 사용상의 문제점과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겨울철에는 적설량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의 분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휠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하도록 한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in general wheelchair use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conventional problems, and in winter, the amount of anti-skid liquid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fall to prevent the wheelchair from slipping, thereby improving safe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설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 패드의 설치를 사전에 요청하여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to improve safety by requesting the installation of a slope pa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fac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철 이용 시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을 사전 예약하여 편리하게 지하철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so that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pre-booking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when using the subwa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휠체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 분사 및 분사량을 제어하고, 경사 패드를 요청하거나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을 예약하는 제어장치;a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wheelchair to control the injection and injection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o request an inclined pad or reserve the use of a wheelchair lift;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휠체어의 메인 바퀴에 미끄럼 방지액을 분사하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를 포함하고,Comprising an anti-skid liquid spraying unit for spraying an anti-skid liquid to the main wheel of the wheelchai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상기 제어장치는,The control device is

미끄럼 방지액 분사를 설정하거나 경사 패드 요청 또는 리프트 예약을 설정하는 조작부;a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anti-skid liquid spray, requesting an inclined pad, or setting a lift reservation;

인공위성을 통해 현재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a GPS module for acquiring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artificial satellite;

상기 조작부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분사가 설정되거나 경사 패드 요청이 발생하거나 리프트 예약이 요청되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적설량에 따른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을 제어하거나 경사 패드 설치를 요청하거나 리프트 예약을 요청하는 제어부; When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is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a slope pad request occurs, or a lift reservation is requeste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and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amou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or the slope pad a control unit requesting installation or requesting a lift reservation;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상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적설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거나, 경사 패드 설치의 요청정보를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리프트 사용의 예약정보를 지하철 서버로 전송하고, 기상센터 서버 또는 시설 관리 서버 또는 지하철 서버의 응답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snow is obtain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weather center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 of a center server,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or a subway server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신호를 상기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에 전달하는 분사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the anti-slip liquid injection unit.

상기에서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송출하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 조절 음성 또는 경사 패드 요청 음성 또는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amount control voice sent by the user, the inclined pad request voice, or the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voice, and transmits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do.

상기에서 제어부는,In the above, the control unit is

상기 조작부를 통해 조작되는 미끄럼 방지액 설정 정보, 경사 패드 요청 정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 정보를 확인하는 조작정보 확인부;an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inclined pad request information, and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information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설정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기상 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적설량을 확인하고, 적설량 확인정보를 분사량 제어부에 전달하는 적설량 확인부;When the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heck unit, the snow load check unit checks the amount of snow in conjunction with the weather center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check amount of snow to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상기 적설량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적설량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에 따른 분사량 조절신호를 상기 분사량 조절부에 전달하는 분사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anti-skid liquid spray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confirmed by the snow load check unit and transmit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to the spray amount adjustment unit.

상기에서 제어부는,In the above, the control unit is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를 통해 경사 패드 요청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시설 정보 및 도착 예정정보를 기초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시설관리 서버로 전송토록 하는 경사 패드 요청부;When the slope pad request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arrival schedul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generated slope pad is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a slope pad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request information to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를 통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지하철 역사 정보 및 도착 예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역사의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 예약정보를 지하철 서버로 전송토록 하는 리프트 예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based on the subway station information and arrival schedul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of the station is generated, and interlock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ift reservation unit to transmit the use reserv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wheelchair lift to the subway server.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철에는 적설량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의 분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휠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heelchair from sliding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fall in winter to ensure safe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문 시설의 출입로 경사도에 따라 경사 패드의 설치를 사전에 요청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afety of the wheelchair user can be secured by requesting the installation of the slope pa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isiting fac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철 이용 시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을 사전 예약함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게 지하철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booking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when using the subwa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subway wheelchair lift while minimizing the waiting time for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에서 미끄럼 방지액이 분사된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의 제어장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anti-skid liquid is sprayed in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device for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에서 미끄럼 방지액이 분사된 상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의 제어장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nti-skid liquid is sprayed in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trol device for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block diagram.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1)는 메인 프레임(10)을 포함한다.A wheelchair 1 with a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 .

메인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공지된 휠체어 프레임이나 의자 등과 같은 형태로, 복수의 다리(12A)를 포함하는 좌석 프레임(12)과, 상기 좌석 프레임(12)의 후방에 손잡이(14A)를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상기 좌석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사용자의 팔과 손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 프레임(12B)이 구비된다.The main frame 10 is in the form of a generally known wheelchair frame or chair, and a seat frame 12 including a plurality of legs 12A, and a handle 14A at the rear of the seat frame 12. and a backrest frame (14). Armrest frames 12B on which the user's arms and hands can be placed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아울러, 상기 좌석 프레임(12)에 구비되는 전방/후방의 각 다리(12A)에 이동을 위한 각각의 바퀴(13)가 설치된다. 바퀴(13)는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메인 바퀴(13A)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보조 바퀴(13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퀴(13)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wheel 13 for movement is installed on each leg 12A of the front/rear provided in the seat frame 12 . The wheel 13 may include a main wheel 13A for moving the wheelchair and an auxiliary wheel 13B for changing the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13 is provided in plurality.

또, 상기 각 바퀴에는 이동 후 정시지 회전을 제지하는 통상적인 스토퍼(stopper,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In addition, each wheel i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stopper (not shown) for stopping the stop rotation after movement.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소정 위치 또는 상기 좌석 프레임(12)의 소정 위치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 분사 및 분사량을 제어하고, 경사 패드를 요청하거나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을 예약하는 제어장치(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장치(20)가 좌석 프레임(12)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frame 10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t frame 12, a control device ( 20) is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device 20 is installed on the seat frame 12 .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 또는 좌석 프레임(12)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어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휠체어(1)의 메인 바퀴(13A)에 미끄럼 방지액을 분사하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31, 32)가 구비된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31, 32)는 2개의 메인 바퀴에 미끄럼 방지액을 각각 분사할 수 있도록 좌석 프레임 또는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frame 10 or the seat frame 12 , an anti-skid liquid is sprayed onto the main wheels 13A of the wheelchair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20 . Injection parts 31 and 32 are provided. Here, the anti-skid liquid spraying units 31 and 32 are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eat frame or the main frame so that the anti-skid liquid can be sprayed to the two main wheels, respectively.

상기 제어장치(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액 분사를 설정하거나 경사 패드 요청 또는 리프트 예약을 설정하는 조작부(21), 인공위성을 통해 현재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23), 상기 조작부(21)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분사가 설정되거나 경사 패드 요청이 발생하거나 리프트 예약이 요청되면, 상기 GPS 모듈(23)을 통해 현재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적설량에 따른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을 제어하거나 경사 패드 설치를 요청하거나 리프트 예약을 요청하는 제어부(25), 상기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기상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적설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25)에 전달하거나, 경사 패드 설치의 요청정보를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리프트 사용의 예약정보를 지하철 서버로 전송하고, 기상센터 서버 또는 시설 관리 서버 또는 지하철 서버의 응답 정보를 상기 제어부(25)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24), 상기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신호를 상기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31, 32)에 전달하는 분사량 조절부(28)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ontrol device 20 includes an operation unit 21 for setting an anti-skid liquid injection or setting a slope pad request or lift reservation, and a GPS module for acquiring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satellites. (23), when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is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a slope pad request occurs, or a lift reservation is requeste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23, and the The control unit 25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nti-skid liquid sprayed, requesting the installation of an inclined pad, or requesting a lift reserv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weather center serv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 obtain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snow and sends it to the control unit 25 or transmits the request information for installing the slope pa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transmits reservation information for use of the lift to the subway server, and 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weather center server or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or the subway server to the control unit 25 communication module 24, including an injection quantity control unit 28 that transmits an injection quantity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njection quantity of the anti-skid liqui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 to the anti-slip liquid injection units 31 and 32 can do.

또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26),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2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26 in which a control program and control information are stored, and a power supply unit 27 for supplying driving power.

또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송출하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 조절 음성 또는 경사 패드 요청 음성 또는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제어부(25)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20 recognizes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amount control voice sent by the user, the inclined pad request voice, or the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voice, and voice recognition to deliver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25 . It may further include a part 22 .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조작부(21)를 통해 조작되는 미끄럼 방지액 설정 정보, 경사 패드 요청 정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 정보를 확인하는 조작정보 확인부(25a),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25a)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설정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24)을 통해 기상 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적설량을 확인하고, 적설량 확인정보를 분사량 제어부(25c)에 전달하는 적설량 확인부(25b), 상기 적설량 확인부(25b)에 의해 확인된 적설량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에 따른 분사량 조절신호를 상기 분사량 조절부(28)에 전달하는 분사량 제어부(25c)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 includes an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for confirming the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the inclined pad request information, and the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which are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 When the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An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25c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anti-skid liquid spray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confirmed by the snow load confirmation unit 25b, and transmit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to the injection amount adjustment unit 28 can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25a)를 통해 경사 패드 요청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성 인식부(22)를 통해 인식된 시설 정보 및 도착 예정정보를 기초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24)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시설관리 서버로 전송토록 하는 경사 패드 요청부(25d),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25a)를 통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성 인식부(22)를 통해 인식된 지하철 역사 정보 및 도착 예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역사의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24)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 예약정보를 지하철 서버로 전송토록 하는 리프트 예약부(25e)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lope pad request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the control unit 25 requests installation of the slope pad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arrival schedul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 . Using the wheelchair lift through the slope pad request unit 25d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check unit 25a that generate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24 Whe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based on the subway station information and arrival schedul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at the station is generated, and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24,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lift reservation unit (25e) for transmitting the use reserv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wheelchair lift to the subway serv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wheelchair with the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이하 "휠체어"라고 명명함)(1)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휠체어(1)를 이용하여 이동할 때, 눈이 내리거나 적설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 위험하다고 생각되면, 제어장치(20)의 조작부(21)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분사를 설정한다. 사전에 제어장치(20)의 전원 버튼이 온 상태로 조작되어 전원부(27)를 통해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사용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First, when a user using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wheelchair") (1) moves using the wheelchair (1), if it is considered dangerous because the road is slippery due to snow or snow,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is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of the control device 20 .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button of the control device 20 is operated in an on state in advance to supply dr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7 . Hereinafter, a user means a user using a wheelchair.

여기서 조작부(21)에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를 위한 온/오프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는 온/오프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미끄럼 방지액 분사를 설정하거나, 미끄럼 방지액 분사를 해제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unit 21 is provided with an on/off button for spraying the anti-skid liquid, and the user can simply set the spray of the anti-slip liquid or release the spray of the anti-slip liquid simply by operating the on/off button. there is.

조작부(21)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분사로 설정되면, 제어부(25)의 조작정보 확인부(25a)는 이를 인지하고, 적설량 확인부(25b)에 미끄럼 방지액 설정정보를 전달한다.When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is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of the control unit 25 recognizes this and transmits the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snow load confirmation unit 25b.

상기 적설량 확인부(25b)는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25a)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설정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24)을 통해 기상 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적설량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GPS 모듈(23)을 통해 현재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러한 시각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적설량 확인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26)를 통해 기상센서 서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24)에 전달한다.When the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the snow load checking unit 25b checks the snow load in conjunction with the weather center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4. To this e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acquired through the GPS module 23 , snow load confi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uses the weather sensor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emory 26 . to (24).

상기 통신 모듈(24)은 기상센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기상센터 서버에 접속하고, 적설량 확인 정보를 기상센터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24)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통상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4 connects to the meteorological center server through a network using the weather center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snow load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meteorological center server.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24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t since it is usually used outdoors in many cases, it is assumed that it is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기상센터 서버는 수신한 적설량 확인 정보를 통해 휠체어가 있는 위치를 인지하고, 해당 위치의 현재 적설량을 확인하여 적설량 정보를 제어장치(20)로 전송한다.The weather center server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wheelchair through the received snow load confirmation information, checks the current snow load at the location, and transmits the snow load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20 .

상기 제어장치(20)의 통신 모듈(24)은 기상센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적설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설량 확인부(25b)에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4 of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s the snow loa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ather center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snow load check unit 25b.

상기 적설량 확인부(25b)는 수신한 적설량 정보를 분사량 제어부(25c)에 전달한다.The snow load amount confirmation unit 25b transmits the received snow load amount information to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25c.

상기 분사량 제어부(25c)는 전달받은 적설량 정보를 기초로 메모리(26)에 저장된 적설량-분사량 제어 값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적설량에 대응하는 분사량 제어 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적설량-분사량 제어 값 룩-업 테이블은 사전에 실험을 통해 적설량에 따른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을 결정해 놓은 제어 값이다.The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25c searches the snow load-injection amount control value look-up table stored in the memory 26 based on the received snow load information, and extract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snow load amount. Here, the snow load-injection control value look-up table is a control value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anti-slip liquid spray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through an experiment in advance.

분사량 제어부(25c)은 적설량에 대응하는 분사량 제어 값을 추출하면, 이를 기초로 분사량 조절신호를 생성하여 분사량 조절부(28)에 전달한다.When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25c extracts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snow, it generate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based on this and transmits it to the injection amount adjustment unit 28 .

상기 분사량 조절부(28)는 상기 제어부(25)로부터 출력되는 미끄럼 방지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31, 32)의 분사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31, 32)를 제어한다. 여기서 분사량 조절신호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31, 32)의 노즐 개폐량 또는 분사 압력일 수 있다. 미끄럼 방지액은 자동차 타이어 등에 분사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액체로서, 기존 알려진 미끄럼 방지액을 이용한다.The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28 generate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of the anti-slip liquid injection units 31 and 32 using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5 to prevent slipping The liquid ejection units 31 and 32 are controlled. Here,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may be the nozzle opening/closing amount or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units 31 and 32 . The anti-skid liquid is a liquid that prevents sliding by spraying on automobile tires, etc., and a known anti-skid liquid is used.

한편, 사용자는 방문하고자 하는 시설에 도착하여, 출입로의 경사로를 확인하고 경사도가 높아 미끄러질 위험이 많다고 생각되면, 조작부(21)를 통해 경사 패드 요청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시설에 도착하기 이전에 도착 예정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경사 패드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rrives at a facility to visit, checks the ramp of the access road, and if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slipping due to a high slope, a slope pad reques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21 . Here, it is also possible to request a slope pad in advance based 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before arriving at the facility.

이렇게 조작부(21)를 통해 경사 패드 설치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25)의 조작정보 확인부(25a)는 이를 확인하고, 경사 패드 요청부(25d)에 이를 알린다. 여기서 경사 패드 설치 요청 시 해당 시설의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데,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21)를 통해 출입 시설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많은 정보 입력으로 불편함이 따른다.When a request for installing the slope pad is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in this way,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of the control unit 25 confirms the request, and notifies the slope pad request unit 25d. Here, when requesting the installation of the slope pa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must be input. In this case, the user can also input the information of the access facility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but this is inconvenient due to the input of a lot of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좀 더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서, 음성 인식 방법을 이용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more convenience to the user, a voice recognition method is used.

예컨대, 경사 패드 요청부(25d)는 조작정보 확인부(25a)를 통해 경사 패드 설치 요청이 발생하면 음성 인식부(22)를 통해 인식된 음성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음성 인식은 알려진 다양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21)를 통해 경사 패드의 설치 요청을 설정하고, 음성으로 해당 시설의 정보 즉, 위치나 방문 시간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울 시청을 방문하거나 방문할 예정이고, 서울 시청의 출입로의 경사가 높아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면, 서울 시청과 방문 시간 또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한다.For example, the gradient pad request unit 25d checks the recognized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 when a request for installing the gradient pad is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The voice recognition may use various known voice recognition algorithms. Here, the user may set a request for installation of the inclination pad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21 , and input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facility, ie, location or visit time information, by voice. In other words, if you are visiting or plan to visit Seoul City Hall, and there is a risk of slipping due to the high slope of the entrance road to Seoul City Hall, the visit time o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ith Seoul City Hall is input by voice.

즉, 상기 경사 패드 요청부(25d)는 상기 음성 인식부(22)를 통해 인식된 시설 정보 및 도착 예정정보 등을 기초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24)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시설관리 서버로 전송한다.That is, the slope pad request unit 25d generates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arrival schedul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 , and interworks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24 to generate the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The generated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시설 관리 서버는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방문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경사 패드 설치 담당자에게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전달한다. 경사 패드 설치 담당자는 이러한 요청을 단말기 등을 통해 확인하고, 현재 위치에서 요청이 발생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경사 패드를 설치해주고, 추후 방문 예정이면 방문 예정 시간을 맞추어 경사 패드를 해당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Upon receiving the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checks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visit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person in charge of installing the slope pad. The person in charge of installing the gradient pad checks these requests through a terminal, etc., and if a request occurs at the current location, moves to the appropriate location and installs the gradient pad. do.

아울러 시설 관리 서버는 경사 패드 설치 요청에 따른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20)의 통신 모듈(24)은 경사 패드 설치 요청에 따른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사 패드 요청부(25d)에 전달한다. 이로써 경사 패드 요청부(25d)는 경사 패드의 요청에 대하여 해당 시설 관리 서버에 접수되었다는 것을 인지한다. 필요에 따라 별도의 표시장치나 알람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사 패드의 응답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device 20 . The communication module 24 of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installing the slope pad and transmits it to the slope pad request unit 25d. Accordingly, the gradient pad request unit 25d recognizes that the request for the gradient pad has been receiv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If necessary, a separate display device or an alarm device may be used to notify the user of response information of the inclination pad.

한편, 사용자는 지하철과 같은 시설 이용 시, 휠체어 리프트를 사용하고자 하면 사전에 사용 예약할 수 있다. 즉, 이용하고자 하는 지하철 역사의 정보와 게이트 정보를 확인하고, 조작부(21)를 통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을 설정한다.Meanwhile, if a user wants to use a wheelchair lift when using a facility such as a subway, he or she can make a reservation in advance. That is, the information of the subway station to be used and the gate information are checked, and the reservation for using the wheelchair lift is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

이렇게 조작부(21)를 통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이 발생하면, 제어부(25)의 조작정보 확인부(25a)는 이를 확인하고, 리프트 예약부(25e)에 이를 알린다. 여기서 리프트 사용 예약 시 해당 역사 및 게이트 등의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데,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21)를 통해 해당 역사 및 게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많은 정보 입력으로 불편함이 따른다.When a reservation for using a wheelchair lift occurs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in this way,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of the control unit 25 confirms this and notifies the lift reservation unit 25e thereof. Here, when making a reservation for using the lift, information such as the station and the gate must be input. In this case, the user can also input the station and gate information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21 , but this is inconvenient due to input of a lot of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좀 더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서, 음성 인식 방법을 이용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more convenience to the user, a voice recognition method is used.

예컨대, 리프트 예약부(25e)는 조작정보 확인부(25a)를 통해 리프트 예약 요청이 발생하면 음성 인식부(22)를 통해 인식된 음성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음성 인식은 알려진 다양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21)를 통해 리프트 사용 예약을 설정하고, 음성으로 해당 시설의 정보 즉, 지하철 역정보 및 게이트 위치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울역을 이용하고 3번 게이트로 이동할 예정이면, 서울역과 3번 게이트 도착 시간정보 등을 음성으로 입력한다.For example, when a lift reservation request is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a, the lift reservation unit 25e checks the voic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 . The voice recognition may use various known voice recognition algorithms. Here, the user may set a reservation for use of the lift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 and inpu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ie, subway station information and gate location information, by voice. In other words, if you plan to use Seoul Station and go to Gate 3, input the arrival time information of Seoul Station and Gate 3 by voice.

상기 리프트 예약부(25e)는 상기 음성 인식부(22)를 통해 인식된 지하철 역정보 및 게이트 정보 등을 기초로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24)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정보를 지하철 서버로 전송한다.The lift reservation unit 25e generates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information based on subway station information and gat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 , and works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24 to link the generated wheelchair The reservation information for using the lift is transmitted to the subway server.

지하철 서버는 수신한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지하철 역 및 게이트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지하철 역사 관리자에게 휠체어 사용 예약정보를 전달한다. 해당 역사의 휠체어 리프트를 담당하는 담당자는 이러한 요청을 단말기 등을 통해 확인하고, 사용자가 예약한 시간에 맞추어 미리 휠체어 리프트를 사용자가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When the subway server receives the received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information, it checks the subway station and gate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wheelchair use reserv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manage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wheelchair lift at the station confirms this request through a terminal, etc., and moves the wheelchair lift to a location where the user can use it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time reserved by the user.

아울러 지하철 서버는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에 따른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20)의 통신 모듈(24)은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에 따른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리프트 예약부(25e)에 전달한다. 이로써 리프트 예약부(25e)는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 요청이 해당 지하철 서버에 접수되었다는 것을 인지한다. 필요에 따라 별도의 표시장치나 알람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의 응답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bway server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device 20 . The communication module 24 of the control device 20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of the wheelchair lift use and transmits it to the lift reservation unit 25e. As a result, the lift reservation unit 25e recognizes that the request for reservation of use of the wheelchair lift has been received by the corresponding subway server. If necessary, a separate display device or an alarm device may be used to notify the user of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액을 메인 바퀴에 분사하여 사용자가 눈이 오거나 적설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prays an anti-skid liquid to the main wheel at the request of a user using a wheelchair so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wheelchair even in snowy or snowy conditions.

또한, 특정 시설의 이용 시 출입로의 경사가 높을 경우에는 경사 패드의 설치를 자동으로 요청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지하철 등의 역사에서 휠체어 리프트 이용 시에도 사전에 사용 예약을 통해 리프트 대기 시간도 절약하면서 편리하게 리프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using a specific facility, if the incline of the access road is high, it can automatically request the installation of a slope pad to promote user safety. It saves time and allows you to use the lift conveniently.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1: 휠체어
10: 메인 프레임 12: 좌석 프레임
12A: 다리 12B: 팔걸이 프레임
13: 바퀴 13A: 메인 바퀴
13B: 보조 바퀴 14: 등받이 프레임
14A: 손잡이 20: 제어장치
21: 조작부 22: 음성 인식부
23: GPS 모듈 24: 통신 모듈
25: 제어부 25a: 조작정보 확인부
25b: 적설량 확인부 25c: 분사량 제어부
25d: 경사 패드 요청부 25e: 리프트 예약부
28: 분사량 조절부 31, 32: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
1: wheelchair
10: main frame 12: seat frame
12A: Leg 12B: Armrest frame
13: wheel 13A: main wheel
13B: auxiliary wheel 14: backrest frame
14A: knob 20: control device
21: control unit 22: voice recognition unit
23: GPS module 24: communication module
25: control unit 25a: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5b: snow amount confirmation unit 25c: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25d: inclined pad request unit 25e: lift reservation unit
28: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31, 32: anti-skid liquid injection unit

Claims (4)

휠체어의 메인 프레임 또는 좌석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 분사 및 분사량을 제어하고, 경사 패드를 요청하거나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을 예약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휠체어의 메인 바퀴에 미끄럼 방지액을 분사하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를 설정하거나 경사 패드 요청 또는 리프트 예약을 설정하는 조작부;
인공위성을 통해 현재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
상기 조작부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분사가 설정되거나 경사 패드 요청이 발생하거나 리프트 예약이 요청되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적설량에 따른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을 제어하거나 경사 패드 설치를 요청하거나 리프트 예약을 요청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상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적설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거나, 경사 패드 설치의 요청정보를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리프트 사용의 예약정보를 지하철 서버로 전송하고, 기상센터 서버 또는 시설 관리 서버 또는 지하철 서버의 응답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신호를 상기 미끄럼 방지액 분사부에 전달하는 분사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a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or seat frame of the wheelchair to control the amount of spraying and spraying of the anti-skid liqui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requesting an inclined pad or reserving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and
Comprising an anti-skid liquid spraying unit for spraying an anti-skid liquid to the main wheel of the wheelchai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is
a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anti-skid liquid spray, requesting an inclined pad, or setting a lift reservation;
a GPS module for acquiring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artificial satellite;
When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is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a slope pad request occurs, or a lift reservation is requeste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and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amou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or the slope pad a control unit requesting installation or requesting a lift reserv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snow is obtain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weather center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 of a center server,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or a subway server to the control unit;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unit.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송출하는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 조절 음성 또는 경사 패드 요청 음성 또는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anti-skid liquid injection amount control voice sent by the user or the inclined pad request voice or the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voice, and transmits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safet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조작되는 미끄럼 방지액 설정 정보, 경사 패드 요청 정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 정보를 확인하는 조작정보 확인부;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를 통해 미끄럼 방지액 설정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기상 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적설량을 확인하고, 적설량 확인정보를 분사량 제어부에 전달하는 적설량 확인부;
상기 적설량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적설량에 따라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미끄럼 방지액 분사량에 따른 분사량 조절신호를 상기 분사량 조절부에 전달하는 분사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inclined pad request information, and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information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When the anti-skid liquid setting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heck unit, the snow load check unit checks the amount of snow in conjunction with the weather center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check amount of snow to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Safet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anti-skid liquid spray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confirmed by the snow amount confirmation unit, and transmits an injection amoun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mount of the anti-skid liquid to the injection amount control unit. wheelchair.
청구항 3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를 통해 경사 패드 요청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시설 정보 및 도착 예정정보를 기초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경사 패드 설치 요청정보를 시설관리 서버로 전송토록 하는 경사 패드 요청부;
상기 조작정보 확인부를 통해 휠체어 리프트 사용 예약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지하철 역사 정보 및 도착 예정정보를 기초로 해당 역사의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생성한 휠체어 리프트의 사용 예약정보를 지하철 서버로 전송토록 하는 리프트 예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When the slope pad request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slope pad installation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arrival schedul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generated slope pad is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a slope pad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request information to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Whe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based on the subway station information and arrival schedul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use of the wheelchair lift of the station is generated, and interlock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ift reserv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wheelchair lift use reservation information to a subway server.

KR1020200108130A 2020-08-26 2020-08-26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KR102388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30A KR102388700B1 (en) 2020-08-26 2020-08-26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30A KR102388700B1 (en) 2020-08-26 2020-08-26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381A true KR20220027381A (en) 2022-03-08
KR102388700B1 KR102388700B1 (en) 2022-04-21

Family

ID=8081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130A KR102388700B1 (en) 2020-08-26 2020-08-26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70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40A (en)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팬택 Wheel chair transfer mean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KR101022534B1 (en) * 2010-04-16 2011-03-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erver for in-door location-based service with wpan for electric wheelchairs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440054B1 (en) * 2013-05-03 2014-09-17 자동차부품연구원 Electric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44133A (en) * 2013-10-16 2015-04-24 현대다이모스(주) Control method of slip preventing device for vehicle
KR20180056215A (en) 2016-11-18 2018-05-28 유영배 Wheelchair Device
KR102130168B1 (en) * 2019-03-25 2020-07-03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Traffic weak person escort system and method in a subway st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40A (en)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팬택 Wheel chair transfer mean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KR101022534B1 (en) * 2010-04-16 2011-03-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erver for in-door location-based service with wpan for electric wheelchairs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440054B1 (en) * 2013-05-03 2014-09-17 자동차부품연구원 Electric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44133A (en) * 2013-10-16 2015-04-24 현대다이모스(주) Control method of slip preventing device for vehicle
KR20180056215A (en) 2016-11-18 2018-05-28 유영배 Wheelchair Device
KR102130168B1 (en) * 2019-03-25 2020-07-03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Traffic weak person escort system and method in a subway st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mart Autonomous wheelchair controlled by voice commands-aided by tracking system(Iraqi Journal of Computers, Communications, Control & Systems Engineering(IJCCCE), 2019, Volume 19, Issue 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700B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5636B2 (en) Stair lift and method of operating a stair lift
US20170354564A1 (en) Mobile walker, monitoring and information system with a mobile walk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walker
WO2006073944A3 (en) Building escape railing system
WO2008116963A1 (en) Elevator system
KR102388700B1 (en) Wheelchairs with safety features
DE29720939U1 (en) Safety device for stair climbing devices
CN106038101A (en) Wheelchair vehicle provided with control device
US11052003B2 (en) Wheelchair with integrated transfer device
ES2366436T3 (en) AUTOMATIC OPERATION OF A LOW SPEED PASSENGER CONVEYOR.
EP1787883B1 (en) Vehicle with two boarding levels and a barrier free transit for wheelchairs between said levels
WO2007060503A3 (en) Station for providing a wheelchair
KR20200074551A (en) Electric wheelchair on which assistant can board and drive
Lenker et al. Vehicle design
KR20190051423A (en) (bus ride gui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KR10142829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kneeling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13885704B (en) Man-machine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for blind guiding vehicle
KR200295718Y1 (en) Convenience handicapped friend exclusive subway use tool
KR102000364B1 (en) Apparatus for tilted conveyor of boading bridge
JP2002045402A (en) Wheelchair
KR200246164Y1 (en) Electric railroad getting on and off step for wheelchair exclusive use for handicapped person
EP3906911A1 (en) Mechanism for moving wheelchair wheels rearward
JP2023114107A (en) Walking assistant tool
Rueger Platform-based devices for accessible railway boarding
JP3204218U (en) Transfer machine
GB2381110A (en) Hospital bed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