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897A - 위생 마스크 - Google Patents

위생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897A
KR20220026897A KR1020200108010A KR20200108010A KR20220026897A KR 20220026897 A KR20220026897 A KR 20220026897A KR 1020200108010 A KR1020200108010 A KR 1020200108010A KR 20200108010 A KR20200108010 A KR 20200108010A KR 20220026897 A KR20220026897 A KR 2022002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bias
wearing
shielding par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102020010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897A/ko
Priority to PCT/KR2020/014371 priority patent/WO2022045438A1/ko
Publication of KR2022002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위생 마스크를 개시한다.
그러한 위생 마스크는, 인체의 입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가림부와, 인체의 코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며 하부 둘레부 측이 상기 제1 가림부의 상부 둘레부 측과 제1 바이어스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제2 가림부와, 인체의 턱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며 상부 둘레부 측이 상기 제1 가림부의 하부 둘레부 측과 제2 바이어스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제3 가림부, 그리고 상기 제1 바이어스부 및 상기 제2 바이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며 마스크 착용과 부합하는 상태로 인체의 귀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 걸쳐지기 위한 착용 걸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생 마스크{SANITARY MASK}
본 발명은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 마스크는 인체 호흡기(예: 비말)를 통한 각종 바이러스 감염이나, 대기 중의 미세 먼지 유입 등을 차단 및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타인과의 대면 접촉이 이루어지는 환경이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환경에서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서, 타인의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은 물론이거니와, 자신의 호흡기를 통해서 타인에게 바이러스가 쉽게 전염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생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각종 바이러스 차단과 부합하는 안정적인 필터링 성능이 요구되며, 더 나아가서는 착용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더욱이, 장기간 동안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환경에서는 위생 마스크의 착용 시간도 그 만큼 늘어나게 되므로, 착용감 향상을 구현함으로서 마스크의 장시간 착용에 따른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마스크의 상품성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마스크의 착용감 저하 현상은, 마스크의 둘레부 중에서 상부와 하부 끝단 측이 안면 측으로 과다하게 당겨지면서 코 부분이나 턱 부분의 통증 유발을 유도하게 되는 마스크의 구조적인 문제가 주된 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133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층 더 향상된 착용감 구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인체의 입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가림부;
인체의 코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며, 하부 둘레부 측이 상기 제1 가림부의 상부 둘레부 측과 제1 바이어스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제2 가림부;
인체의 턱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며, 상부 둘레부 측이 상기 제1 가림부의 하부 둘레부 측과 제2 바이어스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제3 가림부; 및
상기 제1 바이어스부 및 상기 제2 바이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며, 마스크 착용과 부합하는 상태로 인체의 귀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 걸쳐지기 위한 착용 걸이부;
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가림부, 제2 가림부 및 제3 가림부 측이 마스크 형태를 이루도록 제1 바이어스부 및 제2 바이어스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 바이어스부들 측에는 착용 걸이부가 일체로 연결 형성된 구조를 제공하므로, 이러한 마스크 구조에 의하면, 특히 마스크 착용시 착용 걸이부의 당김 작용에 의해 마스크 둘레부 일부(예: 상부 구간, 하부 구간)가 안면을 과다하게 압박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한층 더 안정적인 착용감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제3 가림부(30), 및 착용 걸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마스크 형성과 부합하는 각각의 가림 면적을 가지며,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마스크 본체(M)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제1 가림부(10)는 인체의 입 부분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제1 가림부(10)를 사이에 두고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어 인체의 코 부분과 턱 부분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가림 원단(S1)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가림 원단(S1)은 통기성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섬유 원단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인체 호흡기를 통한 각종 바이러스 감염의 차단은 물론이거니와, 대기 중의 미세먼지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필터링 기능 구현과 부합하는 레이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가림 원단(S1)에 의해 필터(F) 전체 또는 일부가 가려지는 형태의 레이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림부(10)는 도 3에서와 같이 가림 원단(S1) 측이 외피 역할이 가능하게 필터(F) 측과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필터(F)의 일면은 가려지고, 타면은 노출된 형태의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F)는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 차단 및 미세 먼지의 유입 차단과 부합하는 필터링 기능을 갖는 시트 형태의 필터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가림 원단(S1)이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각각 대칭 모양을 가지며 대칭 경계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접혀져서 외피 및 내피를 형성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필터(F) 전체가 감싸여지는 형태의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의 둘레부 구간은 예를 들어, 통상의 봉제 작업 또는 접착(예: 핫멜트) 작업 방식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으며,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의 둘레부 중에서 접힘 구간은 단순 접힘 상태로만 마감 처리된다.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의 둘레부 마감 처리 부분은 요구되는 여건에 따라 원단 둘레부 끝단 측이 안쪽으로 1회 이상 접혀진 시접 상태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림부(20) 내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착용 지지구(22)가 배치될 수 있다.
착용 지지구(22)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형태가 용이하게 변형되고, 그 변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 지지구(22)는 마스크 착용시 사용자의 밴딩 조작에 의해 인체의 코 부분에 더욱 안정적으로 걸쳐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제1 가림부(10),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를 형성하는 상태로 서로 연결되면서 마스크 본체(M)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는 후술하는 착용 걸이부(40) 측과 연계하여 마스크 착용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바이어스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바이어스부(B1)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 가림부(10) 및 제2 가림부(20) 측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이들의 둘레부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바이어스 원단(S2)이 덧대어지면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바이어스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바이어스부(B2)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 가림부(10) 및 제3 가림부(30) 측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이들의 둘레부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바이어스 원단(S2)이 덧대어지면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이어스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 처리된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 측을 경계로 하여 펼침 또는 접힘 조작될 수 있다.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의 바이어스 원단(S2)은 가림 원단(S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어스 원단(S2)은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시접 처리된 상태로 덧대어지면서 바이어스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는 세 개의 가림부(10, 20, 30)들이 하나의 마스크 본체(M)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형성되되,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마스크 전체 둘레부 중에서 상부와 하부 측을 벗어나서 이들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이어스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이와 같은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의 구조에 의하면, 바이어스 구간을 따라 형성되는 덧댐 구조에 의해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 본체(M)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형태 안정성(볼륨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마스크 뒤쪽에는 상대적으로 호흡 공간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M)의 둘레부 중에서 상부 및 하부 둘레부 측은 제2 가림부(20) 및 제3 가림부(30) 측의 가림 원단(S1)이 단순하게 접혀진 상태로 마감 처리되어 있으므로, 시접 처리된 상태로 바이어스 원단(S2)이 덧대어진 형태의 바이어스 구간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이 구현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M) 측에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 간을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제3 바이어스부(B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이어스부(B3)는 마스크 본체(M)의 좌,우 양쪽 둘레부 측에 바이어스 원단(S2)이 감싸여지는 상태로 덧대어지면서 바이어스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이어스부(B3)의 바이어스 원단(S2)은 예를 들어,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 측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시접 처리된 상태로 덧대어지면서 바이어스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바이어스부(B3)는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 간의 간격 유지가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마스크 본체(M)의 형태 안정성 확보와 더욱 부합하는 바이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착용 걸이부(40)는 마스크 본체(M)의 착용과 부합하도록 인체의 양쪽 귀(P1) 또는 뒷머리(P2) 둘레부 측에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착용 걸이부(40)는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 측과 연계되어 연결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착용 걸이부(4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착용 끈(42)과, 이 착용 끈(42) 측에 배치되는 연결 클립(4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착용 끈(42)은 마스크 본체(M)의 좌,우 측에서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 단부 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각각 형성된다.
즉, 착용 끈(42)은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의 바이어스 구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착용 끈(42)은 바이어스 구간으로부터 바이어스 원단(S2)이 일체로 연장되는 상태로 형성되거나, 바이어스 구간 단부 측과 봉제나 접착 작업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 끈(42)은 마스크 본체(M)의 착용시 사용자의 인체 귀(P1) 부분에 걸려질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착용 끈(42)은 예를 들어, 가림 원단(S1)이나 바이어스 원단(S2)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의 원단이 통상의 봉제 작업을 거쳐서 끈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이외에도 별도의 제직 작업을 거쳐서 신축성을 갖는 끈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클립(44)은 도 1에서와 같이 마스크 본체(M)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착용 끈(42) 측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조작될 수 있는 클립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결 클립(44)은 도 7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홈부(C1) 및 돌기부(C2)의 끼움 결합에 의한 걸림 접촉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조작될 수 있는 암,수 형태의 클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클립(44)의 재질은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용 걸이부(40)는 요구되는 착용 여건에 따라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인체의 양쪽 귀(P1) 또는 뒷머리(P2)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걸려지면서, 사용자의 입, 코 및 턱 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마스크 본체(M)의 착용 상태가 유지되도록 잡아줄 수 있다.
특히, 착용 끈(42)은 마스크 본체(M) 측의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의 바이어스 구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므로, 마스크 본체(M)의 착용감 향상과 부합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이러한 착용 끈(42)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귀(P1) 부분에 걸려진 상태로 마스크 본체(M)가 착용될 때, 마스크 전체 둘레부 중에서 상,하부 둘레부 끝단 측이 과다하게 당겨지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안면 중에서 코 또는 턱 부분의 피부 통증이나 피로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에 의해 가림부(10, 20, 30)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마스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특히 두 개의 바이어스부(B1, B2)에 의해 마스크 착용시 볼륨감이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한층 향상된 착용감이 부여될 수 있는 마스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도 1에서와 같이 보조 필터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필터부(50)는 마스크 본체(M)의 필터링 기능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조 필터부(50)는 도 10에서와 같이 마스크 본체(M) 측에 수납 공간(D)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두 개의 덮개(52)와, 이 두 개의 덮개(52)의 수납 공간(D) 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필터(F1)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덮개(52)는 마스크 본체(M)의 안쪽면 측에서 제1 가림부(10)의 노출된 필터(F) 측을 덮는 상태로 형성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두 개의 덮개(52)는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되, 전체 둘레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부분이 벌려지거나 포개어지는 상태로 개폐 조작되면서 개방 가능한 수납 공간(D)이 확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덮개(52)는 제1 바이어스부(B1) 및 제2 바이어스부(B2)의 형성시, 바이어스 구간과 대응하는 둘레부 측이 함께 덧대어지는 상태로 마스크 본체(M) 측에 연결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덮개(52) 측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닫힘 유도구(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닫힘 유도구(54)는 고무 자석(磁石)이 사용될 수 있다.
닫힘 유도구(54)는 두 개의 덮개(52) 측에 각각 배치되되, 이 덮개(52)들의 개폐 조작시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달라붙으면서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서로 잡아주는 역할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보조 필터(F1)는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 차단 및 미세 먼지의 유입 차단과 부합하는 필터링 기능을 갖는 시트 형태의 필터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척 방식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특성의 필터를 선정하여 사용하면 좋다.
이러한 보조 필터부(50)는 마스크 본체(M) 측에 보조 필터(F1)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마스크의 필터링 기능 향상과 부합하는 상태로 필터층을 추가로 레이어링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10: 제1 가림부 20: 제2 가림부
30: 제3 가림부 40: 착용 걸이부
M: 마스크 본체 B1: 제1 바이어스부
B2: 제2 바이어스부

Claims (9)

  1. 인체의 입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가림부;
    인체의 코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며, 하부 둘레부 측이 상기 제1 가림부의 상부 둘레부 측과 제1 바이어스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제2 가림부;
    인체의 턱 부분과 대응하는 가림 면적을 가지며, 상부 둘레부 측이 상기 제1 가림부의 하부 둘레부 측과 제2 바이어스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제3 가림부; 및
    상기 제1 바이어스부 및 상기 제2 바이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며, 마스크 착용과 부합하는 상태로 인체의 귀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 걸쳐지기 위한 착용 걸이부;
    를 포함하는 위생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림부는,
    가림 원단과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가림 원단과 상기 필터 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겹쳐진 상태의 레이어층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림부 및 상기 제3 가림부는,
    가림 원단과 필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가림원단 측이 상기 필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접혀져서 겹쳐진 상태의 레이어층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 걸이부는,
    착용 끈과, 이 착용 끈 측에 배치되는 연결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착용 끈은,
    상기 제1 바이어스부 및 상기 제2 바이어스부의 바이어스 구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태로 인체의 귀 부분 또는 뒷머리 부분에 결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클립은,
    돌기부 및 홈부의 끼움 결합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암,수 클립 형태로 이루어지는 위생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생 마스크는, 보조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필터부는,
    상기 제1 가림부 측에 개폐 가능한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덮개와, 이 두 개의 덮개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 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위생 마스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덮개는,
    상기 제1 가림부의 안쪽면 측을 덮는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되, 전체 둘레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부분이 벌려지거나 포개어지는 상태로 상기 수납 공간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부는,
    상기 두 개의 덮개 측과 대응하는 닫힘 유도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닫힘 유도구는,
    상기 두 개의 덮개의 개폐 조작시 서로 분리 가능하게 달라붙으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위생 마스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닫힘 유도구는,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달라붙는 고무 자석을 사용하는 위생 마스크.
KR1020200108010A 2020-08-26 2020-08-26 위생 마스크 KR20220026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010A KR20220026897A (ko) 2020-08-26 2020-08-26 위생 마스크
PCT/KR2020/014371 WO2022045438A1 (ko) 2020-08-26 2020-10-21 위생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010A KR20220026897A (ko) 2020-08-26 2020-08-26 위생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897A true KR20220026897A (ko) 2022-03-07

Family

ID=8035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010A KR20220026897A (ko) 2020-08-26 2020-08-26 위생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26897A (ko)
WO (1) WO202204543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336A (ko) 2013-11-29 2016-08-02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00U (ko) * 2008-12-31 2010-07-08 김승봉 방한용 마스크
KR101860354B1 (ko) * 2016-08-30 2018-05-24 (주)씨앤투스성진 필터 교체형 방진 마스크
KR101952636B1 (ko) * 2016-09-26 2019-02-27 문형식 공기 정화 마스크
KR20180094624A (ko) * 2017-02-16 2018-08-24 윤현주 필터교체형 마스크
KR200487185Y1 (ko) * 2017-03-09 2018-08-20 베이스식스 리미티드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336A (ko) 2013-11-29 2016-08-02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438A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804B1 (ko)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KR20080088708A (ko) 필터 삽입식 마스크
KR101171703B1 (ko) 코주머니형 마스크
KR102568995B1 (ko) 마스크
TW201318665A (zh) 摺疊式之立體口罩
JP3681222B2 (ja) マスク
WO2011052454A1 (ja) マスク
KR101343880B1 (ko) 마스크
KR20220026897A (ko) 위생 마스크
KR200433854Y1 (ko) 일회용 방진 마스크
KR200493073Y1 (ko) 마스크 고정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JP3161944U (ja) マスク
KR102624660B1 (ko) 마스크
JP3161074U (ja) マスク
CN213128106U (zh) 口罩
KR20150145520A (ko) 코마스크
KR101920146B1 (ko) 황사주름마스크
JP3216529U (ja) マスク
CN211747147U (zh) 无耳带口罩
KR102568990B1 (ko) 마스크
KR102667364B1 (ko) 위생 마스크용 지지패드
JP3231145U (ja) マスク
JP3221095U (ja) 立体不織布マスク
JP3233269U (ja) インナー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