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263A -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 Google Patents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263A
KR20220026263A KR1020200107079A KR20200107079A KR20220026263A KR 20220026263 A KR20220026263 A KR 20220026263A KR 1020200107079 A KR1020200107079 A KR 1020200107079A KR 20200107079 A KR20200107079 A KR 20200107079A KR 20220026263 A KR20220026263 A KR 2022002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piece
consumption
bar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784B1 (en
Inventor
박병교
Original Assignee
박병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교 filed Critical 박병교
Priority to KR102020010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784B1/en
Publication of KR2022002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7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honeycomb gripper for simply extracting honeycombs from beeh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automatic honeycomb gripper comprises: first tongs (100) in which a first tong piece (120) and a second tong piece (130) are disposed; second tongs (200) in which a third tong piece (220) and a fourth tong piece (230) are disposed to be pivotally coupled in an X shape around a second rotational part (2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ngs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grip bar (300); and a pressing and fixing elastic material (400).

Description

반자동 소비 집게 {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

본 발명은 반자동 소비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밀 또는 내검 작업을 위해 양봉통에서 소비를 간편하게 뽑아 올리고, 밀랍으로 엉겨 붙은 소비와 소비를 간편하게 분리하고, 작업자가 별도의 가압력을 집게에 가하지 않아도 픽업된 소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 1 집게, 제 2 집게, 파지바 및 가압고정탄성재가 포함되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pull out consumption from a bee bin for milling or internal inspection work, to easily separate consumption and consumption entangled with beeswax, and the operator does not apply a separate pressing force to the tongs. It relates to providing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that includes a first tong, a second tong, a grip bar and a pressure fixing elastic material so as to fix the picked up consumption even without it.

일반적으로 양봉 벌집은 인간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서 꿀벌을 치며 얻어지므로 자연산에 비하여 공급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공급되는 대부분의 벌꿀은 주로 양봉 벌집에서 얻어지는 양봉꿀이며, 이러한 양봉꿀은 인공적으로 밀랍을 사용하여 기초가 되는 소초를 만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된 나무틀인 소광에 붙인 소비를 제작하며, 하나 소비의 양면에는 개략 6600개 정도의 소방이 형성되어 있어서 여왕벌이 알을 낳거나 일벌이 새끼를 키우며 꿀과 화분 등을 저장하게 되는바, 이러한 소비 수개가 수납된 벌통에 꿀벌을 치면서 꿀벌이 다양한 꽃에서 채집하여 소비에 저장시켜 놓은 벌꿀을 원심분리 등을 이용한 각종 채밀기로 채밀(採蜜)하여 벌꿀을 얻고 있다In general, beekeeping honeycombs are artificially made by humans and obtained by beating bees, so the supply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natural ones. Therefore, most honey supplied is mainly beekeeping honey obtained from beekeeping beehives. It produces sows that are attached to a rectangular wooden frame, called sogwang, and there are approximately 6600 fire stations on both sides of one sobbi, so that the queen bee lays eggs, the worker bees raise their young, and honey and pollen are stored. As a result, honey is obtained by bees collecting honey from various flowers and storing it for consumption with various milling machines using centrifugal separation, etc.

소비의 소방에 각각 저장된 꿀을 채밀기로 채밀하기 위해서는 벌통에 일정 간격으로 수납된 소비를 낱개로 인출시켜서 채밀기 내부로 일일이 투입해야 하며, 이때 벌통에 수개가 수납된 각 소비의 양면에는 꿀벌들이 각종 꽃으로부터 채집하여 저장한 벌꿀과 이러한 벌꿀이 저장된 각 벌개를 일벌에 의해서 밀랍으로 덮은 밀개가 가득하여 마주보는 소비가 서로 달라붙어 굳어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렇게 벌통에 수납된 상태에서 벌꿀 등에 의해서 상호 달라붙어 있는 수개의 소비를 단순히 손을 이용하여 낱개로 인출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랐던 것이다.In order to harvest the honey stored in the firefighting department with a sieving machine, the consumption stored in the hive must be withdrawn individually at regular intervals and put into the sieving machine one by one. In most cases, the honey collected and stored from flowers and the honey bees stored in these honey bees are covered with beeswax by the worker bees, and the consumption of the opposite consumption sticks to each other and hardens. It was quite difficult to withdraw several consumption items that were stuck together simply by hand.

또한,소비는 채밀 뿐만 아니라 상태 점검과 청소등을 위하여 양봉인들이 수시로 뽑거나 들어 올려야 할 필요가 양봉 작업의 주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consumption is the main task of beekeeping work that beekeepers need to frequently pull or lift for condition inspection and cleaning as well as harves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벌통에 수납된 수개의 소비의 상태를 확인하는 내검 또는 소비에 벌꿀이 차서 채밀이 필요할 시 벌통에서 상호 벌꿀이나 밀랍 등에 의해서 달라붙은 수개의 소비를 낱개로 집어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툴로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6-0000001호에서는 도 18 에 도싣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는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와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교차위치되어 제1집게부(A)와 제2집게부(B)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 및 상기 제1유동가압대와 제2고정가압대의 상측부와 제1고정가압대와 제2유동가압대의 상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손잡이(150,160)로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단순 집게형태의 인출용 툴에 의해서는 벌꿀이나 밀랍에 의해서 상호 달라붙은 소비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손으로 심하게 흔들어 주지 않으면 수개의 소비가 다 함께 들리게 되며, 이웃하여 달라붙은 소비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소비를 집은 후 떨어질 때까지 심하게 흔들어야 하는 등의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낮으므로 채밀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word that checks the status of several consumptions stored in the hive or when the consumption is filled with honey and needs to be harvested, several consumptions stuck to each other by honey or beeswax from the hive can be picked up individually and withdrawn. As a tool,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6-0000001,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bars 110 and 120 having fingers for gripping the consumption at the lower end as shown in FIG. 18 and gripping the consumption at the lower e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bands 130 and 140 each having fingers for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bands that are intersect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 members to form the first clamp unit (A) and the second clamp unit (B), and the The technology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andles 150 and 160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es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es, respectively, is disclosed, but these simple tongs Consumption that adheres to each other by honey or beeswax does not fall with the tool for withdrawal, so if you do not shake it vigorously, you will hear all the consumptions together. It takes a lot of force and time, such as shaking vigorously until it falls off, and the workability is remarkably low.

또한, 소비를 들어 올린 후에도 제 1 및 제 2 손잡이(150, 160)에 계속하여 가압력을 가하는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소비가 집게에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양봉 작업자의 손아귀 힘을 계속 필요로하여, 작업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after lifting the consumption, the consumption is fixed to the tongs only when the state in which the pressing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50 and 160 is maintained. The height problem arises.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001호, 2016년01월04일 공개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6-0000001, published on January 04, 20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밀 또는 내검 작업을 위해 양봉통에서 소비를 간편하게 뽑아 올리고, 밀랍으로 엉겨 붙은 소비와 소비를 간편하게 분리하고, 작업자가 별도의 가압력을 집게에 가하지 않아도 픽업된 소비를 고정할 수 있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r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to easily pull out consumption from the bee bin for milling or internal sword work, to easily separate consumption and consumption clogged with beeswax, and a work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capable of fixing the picked up consumption without applying a separate pressing force to the ton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1 집게편(120)과 제 2 집게편(1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동부(110)의 하부 내측에 제 1 집게공간(1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1 집게(100)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회동부(2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3 집게편(220)과 4 집게편(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동부(210)의 하부 내측에 제 2 집게공간(2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집게(200)로 소비를 간단하게 픽업 할 수 있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arranged to be pivotally coupled in an X-shape arou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 The first tongs 100 provided so that the first tongs space 140 is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ngs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ird tongs 220 and the fourth tongs 230 are arranged so as to be rotationally coupled to the shape, and the second tongs ( 200)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 that can easily pick up consump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집게편(130)의 상부와 상기 제 4 집게편(23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파지바(320)와 상기 제 1 파지바(310)의 후방 하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집게편(120) 및 상기 제 3 집게편(220)을 서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3 파지바(330)으로 구비되는 파지바(300)로 파지 시직시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gripper 310 and the second tongs piece ( The second grip bar 320 and the first grip bar 310 intersecting the upper portion of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tongs piece 230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 bar 310, the rear of the first grip bar 310 A grip bar ( 300)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forceps that can effectively distribut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user's palm and fingers when starting the gri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회동부(110) 또는 제 2 회동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부에 배치되는 탄성재중심결합부(410)를 통해 탄성재의 중심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재중심결합부(410)에서 상기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2 집게(200)의 하부 위치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재외측가압부(420)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탄성재(400)로 소비 픽업 후, 사용자의 가압력이 없어도 소비를 집게에 고정하도록 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enter of the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hrough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art 410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nd The first tongs space 140 and the elastic material outer pressing portion 420 disposed outside the lower position of the first tongs 100 and the second tongs 200 in the elastic re-centering coupling portion 410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that allows the consumption to be fixed to the tongs even without the user's pressing force after consumption is picked up by the pressure fixing elastic material 400 provide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ongs space 240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하부 종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의 상부에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소비 고정력이 높아지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141 is provided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and the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in which the second consumption upper locking protrusion 14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141 to face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consumption fixing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과 상기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의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소비마찰돌기(143)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더 구비되어 픽업된 소비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ide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between the first terminal locking projection 141 and the second consumption upper locking projection 142.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in which a plurality of consumption friction protrusions 143 are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picked up consumption is firmly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2 파지바(320)가 상기 제 3 파지바(330)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과의 거리가 충분히 이되도록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 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파지결합돌출(121,221)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cond grip bar 32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hird grip bar 330 and the first grip bar 310 has a sufficient distance to the first grip bar 310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in which the user's pressing force is evenly distributed by further provided with gripping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ongs piece 120 and the upper rear of the third tongs piece 220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파지바(300) 외측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랍제거칼(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밀랍제거칼(340)은 상기 제 1 집게편(120)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편(341)과 상기 본체편(341)의 외측에서 상하 확장되는 날개편(342)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42)의 종단에는 밀랍 제거를 위한 밀랍칼날(343)로 구비되어 밀랍으로 덩어리진 소비를 간편하게 분리하도록 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clude a wax removal knife 340 protruding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grip bar 300 , wherein the wax removal knife 340 includes the first tongs piece 120 . A body piece 341 coupled to and extending outwardly and a wing piece 342 extending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iece 341 are provided, and a beeswax blade 343 for removing wax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g piece 342 . ) to provide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that are provided to easily separate the lumped consumption with beeswax.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반자동 소비 집게는 먼저, 제 1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1 집게편(120)과 제 2 집게편(1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동부(110)의 하부 내측에 제 1 집게공간(1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1 집게(100);를 포함할 수 있다.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first,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so as to be pivotally coupled in an X-shape arou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 ) is disposed and the first tongs 100 is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tongs space 140 is formed inside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 1 집게(100)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회동부(2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3 집게편(220)과 4 집게편(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동부(210)의 하부 내측에 제 2 집게공간(2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집게(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tongs 220 and the fourth tongs 230 are arranged to be rotatably coupled in an X-shape around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ngs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tongs 200 provided such that a second tongs space 240 is formed inside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

여기에,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집게편(130)의 상부와 상기 제 4 집게편(23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파지바(320)와 상기 제 1 파지바(310)의 후방 하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집게편(120) 및 상기 제 3 집게편(220)을 서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3 파지바(330)으로 구비되는 파지바(3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31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disposed to 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tongs piece 220 . At a rear lower position of the second gripper bar 320 and the first gripper bar 310 inters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tongs piece 230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per bar 310, the second gripper The first clamping piece 120 and the third clamping piece 220 are cross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lamping bar 310 and the third clamping bar 330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lamping bar 300, including; can do.

또한, 상기 제 1 회동부(110) 또는 제 2 회동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부에 배치되는 탄성재중심결합부(410)를 통해 탄성재의 중심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재중심결합부(410)에서 상기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2 집게(200)의 하부 위치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재외측가압부(420)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탄성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hrough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ortion 410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on portion 110 or the second rotation portion 210 of the rotation portion, and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ortion. In (410), the first tongs space 140 and the second tongs space ( It may include a; pressurized fixing elastic material 400 that is provide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240).

이때,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은, 하부 종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의 상부에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are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141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terminal locking projection 141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sumption upper locking projections 142 are provided in a shape facing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은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과 상기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의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소비마찰돌기(143)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is a consumption friction protrusion inwardly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engaging projection 141 and the second consumption upper engaging projection 142 ( 143)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ieces are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상기 제 2 파지바(320)는 상기 제 3 파지바(330)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과의 거리가 충분히 이되도록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 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파지결합돌출(121,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ripper bar 32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hird gripbar 330 and the first gripper piece 120 of the first gripper piece 120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gripper bar 310 is sufficien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re further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 the upper rear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third tongs piece 220 .

이때, 상기 파지바(30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파지부(320)의 외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파지보호재(3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ip bar 30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elastic gripping protective material 311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grip bar 310 and the second grip part 320. can

또 한편, 상기 파지바(300)는 외측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랍제거칼(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밀랍제거칼(340)은 상기 제 1 집게편(120)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편(341)과 상기 본체편(341)의 외측에서 상하 확장되는 날개편(342)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42)의 종단에는 밀랍 제거를 위한 밀랍칼날(34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ip bar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eswax removal knife 340 protruding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on the outside, wherein the wax removal knife 340 is coupled to the first tongs piece 120 . A main body piece 341 extending outward and a wing piece 342 extending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iece 341 are provided, and a beeswax blade 343 for removing wax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g piece 342.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이에 본 발명은 반자동 소비 집게를 제공하여,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첫째, 채밀 또는 내검 작업을 위해 양봉통에서 소비를 간편하게 뽑아 올리고, 밀랍으로 엉겨 붙은 소비와 소비를 간편하게 분리하고, 작업자가 별도의 가압력을 집게에 가하지 않아도 픽업된 소비를 힘들이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easily pull up consumption from the bee bin for harvesting or internal inspection work, to easily separate consumption and consumption entangled with beeswax, and to fix the picked consumption without effort without the operator applying a separate pressing force to the tongs. .

둘째, 제 1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1 집게편(120)과 제 2 집게편(1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동부(110)의 하부 내측에 제 1 집게공간(1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1 집게(100)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회동부(2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3 집게편(220)과 4 집게편(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동부(210)의 하부 내측에 제 2 집게공간(2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집게(200)로 소비를 간단하게 픽업 할 수 있다.Second,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disposed so as to be pivotally coupled in an X-shape arou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 and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dispos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 The first tongs 100 provided to form one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pivoting part 2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ngs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in an X-shape. A third tongs piece 220 and a fourth tongs piece 230 are disposed and consumption is reduced with the second tongs 200 provided such that a second tongs space 240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 Easy to pick up.

셋째,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집게편(130)의 상부와 상기 제 4 집게편(23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파지바(320)와 상기 제 1 파지바(310)의 후방 하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집게편(120) 및 상기 제 3 집게편(220)을 서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3 파지바(330)으로 구비되는 파지바(300)로 파지 시직시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Thi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31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31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disposed to intersec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tongs piece 220 . The second grip bar 320 and the first grip bar 310 inters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tongs piece 230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 bar 310 at a rear lower position of the first grip bar 310 When gripping with the grip bar 300 provided with the third grip bar 330 that crosses the tongs piece 120 and the third tongs piece 220 and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 bar 310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user's palm and fingers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넷째, 상기 제 1 회동부(110) 또는 제 2 회동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부에 배치되는 탄성재중심결합부(410)를 통해 탄성재의 중심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재중심결합부(410)에서 상기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2 집게(200)의 하부 위치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재외측가압부(420)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탄성재(400)로 소비 픽업 후, 사용자의 가압력이 없어도 소비를 집게에 고정할 수 있다.Fourth, the center of the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hrough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art 410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or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the elastic re-centering coupling part In (410), the first tongs space 140 and the second tongs space ( After consumption pick-up with the pressing fixing elastic material 400 provide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240), consumption can be fixed to the tongs even without the user's pressing force.

넷째,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하부 종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의 상부에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소비 고정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Fourth, a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141 is provid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and the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14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The two consumption upper locking projections 142 are provided in a shape facing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consumption fixing force.

다섯째,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과 상기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의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소비마찰돌기(143)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더 구비되어 픽업된 소비가 견고하게 고정된다.Fifth, the consumption friction protrusion inwardly between the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141 and the second consumption top locking protrusion 142 of the first clamp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 space 240 ( 143) A plurality of pieces are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picked up consumption is firmly fixed.

여섯째, 상기 제 2 파지바(320)가 상기 제 3 파지바(330)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과의 거리가 충분히 이되도록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 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파지결합돌출(121,221)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Sixth, the second grip bar 32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hird grip bar 330 and the distance from the first grip bar 310 is sufficiently large. The gripping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re further provided to protrude in the upper rear direction of the upper part and the third tongs piece 220, so that the user's pressing force is evenly distributed.

일곱째, 상기 파지바(300) 외측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랍제거칼(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밀랍제거칼(340)은 상기 제 1 집게편(120)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편(341)과 상기 본체편(341)의 외측에서 상하 확장되는 날개편(342)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42)의 종단에는 밀랍 제거를 위한 밀랍칼날(343)로 구비되어 밀랍으로 덩어리진 소비를 간편하게 분리하도록 한다.Seventh, a wax removal knife 340 protruding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outside the grip bar 300 is further provided, and the wax removal knife 340 is coupled to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extends outward. A main body piece 341 which becomes a main body piece 341 and a wing piece 342 extending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iece 341 are provided, and a beeswax blade 343 for removing wax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g piece 342 to remove the beeswax. Make it easy to separate lumpy consump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에 밀랍도가 부가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로 여러개의 집게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다.
도 6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다.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와 종래의 소비 집게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선출원 문건에서 발췌한 발췌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to 3 are 3D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3D view for explaining the content of adding a degree of beeswax to the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3D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improving the fixing force with a plurality of tongs as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5 are 3D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3D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cerpt from an earlier application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nd the conventional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에 밀랍도가 부가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로 여러개의 집게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고, 도 6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며,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이고,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소비 집게와 종래의 소비 집게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선출원 문건에서 발췌한 발췌도면이다.1 to 3 are 3D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tent in which a beeswax degree is added to a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3D drawing for explaining, Figure 5 is a 3D drawing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improving the fixing force with a plurality of tongs with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15 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3D drawing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nd FIGS. 16 and 17 are 3D drawings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using the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n excerpt from an earlier application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nd the conventional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자동 소비 집게는 먼저,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1 집게편(120)과 제 2 집게편(1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동부(110)의 하부 내측에 제 1 집게공간(140)이 형성되는 제 1 집게(10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집게(100)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회동부(2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3 집게편(220)과 4 집게편(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동부(210)의 하부 내측에 제 2 집게공간(240)이 형성되는 제 2 집게(200)가 구비되어 판상형인 소비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집게부로 파지할 수로 구비되어 픽업된 소비의 중심 유지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first tongs piece 120 to be pivotally coupled in an X-shape about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s a center. The first tongs 100 in which the second tongs 130 are disposed and the first tongs space 140 is formed inside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re provided, and from the first tongs 100 A third tongs piece 220 and a fourth tongs piece 230 are arranged to be pivot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n X-shape around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is A second tongs 200 having a second tongs space 240 formed therein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grip the plate-shaped consumption with a plurality of to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it is easy to maintain the center of the picked up consumption. .

이때,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집게편(130)의 상부와 상기 제 4 집게편(23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파지바(320)와 상기 제 1 파지바(310)의 후방 하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집게편(120) 및 상기 제 3 집게편(220)을 서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3 파지바(330)로 파지바(300)가 구비되어 소비 픽업시 후술되는 가압탄성고정재(400)으로 부터 발생되는 저항력을 3개로 이루어지는 상기 파지바(300)이 골고루 분산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bar 31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disposed to 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tongs piece 220 . The second grip bar 320 and the first grip bar 310 inters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tongs piece 230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 bar 310 at a rear lower position of the first grip bar 310 The grip bar 300 is provided as a third grip bar 330 that crosses the tongs piece 120 and the third tong piece 220 and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 bar 310, so that when picking up consumption The holding bar 300 made of three resists generated from the pressurized elastic fixing material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venly distributed.

여기서, 상기 제 1 회동부(110) 또는 제 2 회동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부에 배치되는 탄성재중심결합부(410)를 통해 탄성재의 중심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재중심결합부(410)에서 상기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2 집게(200)의 하부 위치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재외측가압부(420)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가압고정탄성재(400)가 구비되어 소비 픽업시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상기 제 1 및 2 집게(100,200)가 벌어지도록 하고, 소비를 집게로 집은 이후에는 상기 가압고정탄성재(400)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 1 및 2 집게(100,200)가 오므라져서 소비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center of the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hrough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art 410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or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nd the elastic re-centering coupling part. In (410), the first tongs space 140 and the second tongs space ( 240) so as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fixed elastic material 400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ongs 100 and 200 are opened by the user's pressing force when consumption is picked up, and after the consumption is picked up with the tongs, the pressing fixed elastic The first and second tongs 100 and 200 are re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sh 400 to fix consumption.

즉, 단 한번의 가압으로 소비를 집고 소비가 집혀진 상태에서 내검과 채밀 작업 도중에는 별도의 가압력 없이 소비가 상기 제 1 및 2 집게(100,200)에 집혀져 있어 양봉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되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sumption is picked up by a single pressurization and the consumption is picked up by the first and second tongs 100 and 200 without a separate pressing force during the inner sword and milling ope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consumption is pinched, so that the beekeeping operation is carried out easily.

이때,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에는 하부 종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의 상부에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은 또한,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과 상기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의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소비마찰돌기(143)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더 구비되어 픽업된 소비 고정력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are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141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and the first terminal locking protrusion 141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 2 Consumption upper engaging projections 142 are provided in a shape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are also the first end engaging projection 141 and the second consumption A plurality of consumption friction projections 143 in the inner direction between the upper end locking projections 142 are further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picked-up consumption fixing force is increased.

한편, 상기 제 2 파지바(320)는 상기 제 3 파지바(330)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과의 거리가 충분히 이되도록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 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파지결합돌출(121,221)이 더 구비되고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파지부(320)의 외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파지보호재(311)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이 가장 많이 미치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부터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ripper bar 32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hird gripbar 330 and the first gripper piece 120 of the first gripper piece 120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gripper bar 310 is sufficient. The gripping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re further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 the upper rear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third tongs piece 220, and ar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gripper bar 310 and the second gripper portion 320 are provided. An elastic gripping protective material 311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otect the user's palm and fingers from the elastic force gener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user's pressing force is most applied.

또 한편, 상기 파지바(300)에는 외측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랍제거칼(3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bar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eswax removal knife 340 that is formed to protrude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on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밀랍제거칼(340)은 상기 제 1 집게편(120)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편(341)과 상기 본체편(341)의 외측에서 상하 확장되는 날개편(342)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42)의 종단에는 밀랍 제거를 위한 밀랍칼날(343)로 구비되어 소비를 상기 제 1, 2 집게(100,200)으로 들어 올리기전에 소비와 소비 사이가 밀랍으로 들러 붙어 있는것을 간편하게 떼어내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wax removal knife 34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iece 341 coupled to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extending outwardly and a wing piece 342 extending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iece 341 . and a beeswax blade 343 for removing the beeswax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g piece 342, so that before lifting the consump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tongs 100 and 200, it is easy to peel off the adhesive between consumption and consumption with beeswax to make it pay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자동 소비 집게를 활용하면, 채밀 또는 내검 작업을 위해 양봉통에서 소비를 간편하게 뽑아 올리고, 밀랍으로 엉겨 붙은 소비와 소비를 간편하게 분리하고, 작업자가 별도의 가압력을 집게에 가하지 않아도 픽업된 소비를 힘들이지 않고 고정할 수 있으며, 제 1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1 집게편(120)과 제 2 집게편(1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동부(110)의 하부 내측에 제 1 집게공간(1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1 집게(100)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회동부(2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3 집게편(220)과 4 집게편(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동부(210)의 하부 내측에 제 2 집게공간(2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집게(200)로 소비를 간단하게 픽업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집게편(130)의 상부와 상기 제 4 집게편(23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파지바(320)와 상기 제 1 파지바(310)의 후방 하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집게편(120) 및 상기 제 3 집게편(220)을 서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3 파지바(330)으로 구비되는 파지바(300)로 파지 시직시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회동부(110) 또는 제 2 회동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부에 배치되는 탄성재중심결합부(410)를 통해 탄성재의 중심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재중심결합부(410)에서 상기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2 집게(200)의 하부 위치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재외측가압부(420)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탄성재(400)로 소비 픽업 후, 사용자의 가압력이 없어도 소비를 집게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하부 종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의 상부에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소비 고정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으며,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과 상기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의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소비마찰돌기(143)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더 구비되어 픽업된 소비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 2 파지바(320)가 상기 제 3 파지바(330)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과의 거리가 충분히 이되도록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 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파지결합돌출(121,221)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며, 상기 파지바(300) 외측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랍제거칼(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밀랍제거칼(340)은 상기 제 1 집게편(120)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편(341)과 상기 본체편(341)의 외측에서 상하 확장되는 날개편(342)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42)의 종단에는 밀랍 제거를 위한 밀랍칼날(343)로 구비되어 밀랍으로 덩어리진 소비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By using the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onsumption is easily pulled out from the bee bin for milling or internal inspection, and consumption and consumption clogged with beeswax are easily separated, and the operator can separate Even without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tongs, the picked up consumption can be fixed without effort, and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pivot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n X-shape arou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 The first tongs 100 and the first tongs 100 provided so that a first tongs space 140 is formed inside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nd the first tongs 10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ngs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ird tongs piece 220 and the fourth tongs piece 230 are arranged to be rotationally coupled in an X-shape around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nd a second tongs space ( The consumption can be simply picked up with the second tongs 200 provided so that 240) is form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tongs piece 220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 second gripping bar 310 and a second gripping ba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ping bar 310 while cro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ripper piece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gripper piece 230 to be At the lower rear position of the bar 320 and the first gripper bar 310 , the first clamping piece 120 and the third clamping piece 220 cross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first gripper bar 310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alm and fingers of the user when the grip bar 300 is provided as a third grip bar 330 disposed, and the first rotation part 110 or the second rotation part The center of the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hrough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art 410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rotating parts of 210, and the first tongs 100 and the second In the elastic material outer pressing part 420 disposed outside the lower position of the tongs 200, the After consumption is picked up with the pressing fixing elastic material 400 provide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consumption can be fixed to the tongs even without the user's pressing force, A first longitudinal locking protrusion 141 is provided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lamping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ing space 240 , and a second consumption upper obstacl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ngitudinal engaging projection 141 . The protrusions 142 are provided in a shape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consumption fixing force is increased. A plurality of consumption friction protrusions 143 in the inner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consumption upper locking projections 142 are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irmly fix the picked up consumption, and the second holding bar 320 is the 3 Afte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tongs piece 220 so as to b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3 gripping bars 330 and to have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first gripping bars 310 . Gripping coupling protrusions 121 and 221 are further provi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user's pressing force is evenly distributed, and a wax removal knife 340 protruding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outside the grip bar 300 is further provided. The removal knife 34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iece 341 extending outwardly coupled to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a wing piece 342 extending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iece 341, and the wing piece The end of 342 is provided with a beeswax blade 343 for removing the beeswax,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consumption of lumps of beeswax.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corresponding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 1 집게
110 ... 제 1 회동부
120 ... 제 1 집게편
130 ... 제 2 집게편
140 ... 제 1 집게공간
141 ... 제 1 종단걸림돌출
142 ...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
143 ... 소비마찰돌기
200 ... 제 2 집게
210 ... 제 2 회동부
220 ... 제 3 집게편
230 ... 제 4 집게편
240 ... 제 2 집게공간
300 ... 파지바
310 ... 제 1 파지바
311 ... 파지보호재
320 ... 제 2 파지바
330 ... 제 3 파지바
340 ... 밀랍제거칼
341 ... 본체편
342 ... 날개편
343 ... 밀랍칼날
400 ... 가압고정탄성재
410 ... 탄성재중심결합부
420 ... 탄성재외측가압부
100 ... first tongs
110 ... 1st rotation
120 ... the first tongs
130 ... the second tongs
140 ... first clamp space
141 ... 1st end jamming protrusion
142 ... 2nd top consumption obstacle protrusion
143 ... Consumption friction projection
200 ... second tongs
210 ... 2nd rotation
220 ... the third tongs
230 ... the 4th tongs
240 ... second clamp space
300 ... Fajiva
310 ... 1st Phageba
311 ... gripping protective material
320 ... 2nd Phageba
330 ... the third phajiba
340 ... wax removal knife
341 ... main body
342 ... wing piece
343 ... wax blade
400 ... Pressurized fixed elastic material
410 ... elastic re-center coupling part
420 ... elastic material external pressure part

Claims (6)

제 1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1 집게편(120)과 제 2 집게편(1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회동부(110)의 하부 내측에 제 1 집게공간(1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1 집게(100);
상기 제 1 집게(100)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회동부(210)를 중심으로 X 자 형상으로 회동 결합되도록 제 3 집게편(220)과 4 집게편(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동부(210)의 하부 내측에 제 2 집게공간(2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집게(200);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집게편(130)의 상부와 상기 제 4 집게편(230)의 상부를 서로 가르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파지바(320)와 상기 제 1 파지바(310)의 후방 하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집게편(120) 및 상기 제 3 집게편(220)을 서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3 파지바(330)으로 구비되는 파지바(300); 및
상기 제 1 회동부(110) 또는 제 2 회동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부에 배치되는 탄성재중심결합부(410)를 통해 탄성재의 중심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재중심결합부(410)에서 상기 제 1 집게(100)와 상기 제 2 집게(200)의 하부 위치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재외측가압부(420)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탄성재(400);를 포함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second tongs piece 130 are disposed so as to be rotationally coupled in an X-shape arou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 and the first tongs are inside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 The first tongs 100 are provided so that the space 140 is formed;
A third tongs piece 220 and a fourth tongs piece 230 are disposed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in an X-shape around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ngs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 second tongs 200 provided such that a second tongs space 240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part 210;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bar 3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ongs piece 130 and the fourth portion are disposed to 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tongs piece 220 . A second gripper bar 320 inters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ongs piece 230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ping bar 310 and the first gripper piece at a rear lower position of the first gripping bar 310 a grip bar 300 provided with a third grip bar 330 that crosses the 120 and the third tongs piece 220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ip bar 310; and
The center of the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hrough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art 410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on part 110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210, and the elastic re-center coupling part 410 ), the first tongs space 140 and the second tongs space 240 in the elastic material outer pressing part 420 disposed outside the lower position of the first tongs 100 and the second tongs 200. Including;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은,
하부 종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의 상부에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lamp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 space 240 are,
A first terminal locking projection 141 is provided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consumption upper locking projection 142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locking projection 141 to face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공간(140)과 상기 제 2 집게공간(240)은,
상기 제 1 종단걸림돌출(141)과 상기 제 2 소비상단걸림돌출(142)의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소비마찰돌기(143)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lamp space 140 and the second clamp space 240 are,
A plurality of consumption friction projections 143 in the inward direction between the first end stopping protrusion 141 and the second consumption upper stopping projection 142 are further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지바(320)는,
상기 제 3 파지바(330)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과의 거리가 충분히 이되도록 상기 제 1 집게편(120)의 상부와 상기 제 3 집게편(220)의 상부 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파지결합돌출(121,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grip bar 320,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the third tongs piece 220 ar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hird gripping bar 330 and have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first gripping bar 310 .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engagement protrusion (121,221) is further provided to protrude in the upper rear direction,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바(30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파지바(310)와 상기 제 2 파지부(320)의 외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파지보호재(3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rip bar 300,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gripping protective material 311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gripping bar 31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320,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바(300)는,
외측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랍제거칼(3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밀랍제거칼(340)은 상기 제 1 집게편(120)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편(341)과 상기 본체편(341)의 외측에서 상하 확장되는 날개편(342)이 구비되고 상기 날개편(342)의 종단에는 밀랍 제거를 위한 밀랍칼날(34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소비 집게.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p bar 300,
A beeswax removal knife 340 protruding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on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The wax removal knife 34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iece 341 coupled to the first tongs piece 120 and extending outwardly and a wing piece 342 extending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iece 341, and the The end of the wing piece 34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eeswax blade 343 for removing wax,
Semi-automatic consumption tongs.

KR1020200107079A 2020-08-25 2020-08-25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KR1024357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79A KR102435784B1 (en) 2020-08-25 2020-08-25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79A KR102435784B1 (en) 2020-08-25 2020-08-25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263A true KR20220026263A (en) 2022-03-04
KR102435784B1 KR102435784B1 (en) 2022-08-23

Family

ID=8081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79A KR102435784B1 (en) 2020-08-25 2020-08-25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7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01U (en) 2014-06-24 2016-01-04 이천호 Honeycomb nippers for apiculture
KR20160002897U (en)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Tongs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KR101863256B1 (en) * 2016-12-26 2018-06-29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Gripper for bee com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01U (en) 2014-06-24 2016-01-04 이천호 Honeycomb nippers for apiculture
KR20160002897U (en)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Tongs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KR101863256B1 (en) * 2016-12-26 2018-06-29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Gripper for bee com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784B1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0586A1 (en) Bale splitting attachment
KR102435784B1 (en)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CN101897302A (en) Comb frame and comb foundation sheet
CN206699360U (en) A kind of full-automatic Machine for husking bean pod
KR200481444Y1 (en) Tongs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US439578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beehive boxes
US4061387A (en) Net-raising tool
CN104145851A (en) Royal jelly extracting tool for bee keeping
CN209156032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hredder
KR102000623B1 (en) A set of rollers for peeling chives and peeler
JP3196081U (en) Honeybee parasite mite extermination tool
CN211020070U (en) Tea-picking device
CN210168505U (en) Raspberry thresher
CN215124683U (en) Tea leaf picking anti-dropping glove
CN202390594U (en) Rack of carding machine for carding textile fiber
CN111102072B (en) Agricultural machine dust cover
RU209877U1 (en) FRAME GRIP FOR HIVE FRAME
CN221010862U (en) Corn harvester
CN107488893A (en) A kind of cotton loosing machine
CN214413768U (en) Device for removing stamens of artificial pollination of tea trees
KR101366476B1 (en) separation type clamper
CN218042515U (en) Pyrethrum reaps steamer tray
KR200461955Y1 (en) a pollen-collecting equipment
JP2012147720A (en) Weed removal device
JP3137356U (en) Honey remov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