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195A -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195A
KR20220026195A KR1020200106933A KR20200106933A KR20220026195A KR 20220026195 A KR20220026195 A KR 20220026195A KR 1020200106933 A KR1020200106933 A KR 1020200106933A KR 20200106933 A KR20200106933 A KR 20200106933A KR 20220026195 A KR20220026195 A KR 2022002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food
terminal
purchas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앤미래
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앤미래, 최경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앤미래
Priority to KR102020010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195A/ko
Publication of KR2022002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구매 단말에서 촬영되거나 저장된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하여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고, 서버에서 복수의 판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고, 건강식품 정보와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제공한 판매자에 대한 평점과 구매 후기와 평균 배송일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 정보를 구매 단말에 제공하고, 구매 단말에서 복수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 및 배송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키고 구매자가 용이하게 건강식품을 구매할 수 있고, 구매자 중심의 거래 방식을 통해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penmarket Service by Using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매 단말에서 촬영되거나 저장된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하여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고, 서버에서 복수의 판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고, 건강식품과 그 판매자에 대한 평점과 구매 후기와 평균 배송일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 정보를 구매 단말에 제공하고, 구매 단말에서 복수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 및 배송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구매 방식은 복수의 건강식품 제공 업체가 서버에 등록한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다수의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에서 선택된 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일반 구매 방식의 경우, 소비자가 다수의 건강식품 제공 업체 또는 판매자를 확인하고, 판매 정보를 개별적으로 확인한 후 제품을 구매하여야 함에 따라 전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복잡성과 함께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일반 구매 방식의 경우, 제품과 관련한 정보를 건강식품 제공 업체에 의해 결정되므로 매매의 중심이 건강식품 제공 업체인 판매자에게 설정되어 있어, 소비자는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제품 관련 정보에 의해서만 구매를 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 단말에서 촬영되거나 저장된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하여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고, 서버에서 복수의 판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고, 건강식품 정보와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제공한 판매자에 대한 평점과 구매 후기와 평균 배송일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 정보를 구매 단말에 제공하고, 구매 단말에서 복수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 및 배송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리 등록된 다수의 판매 단말 중에서 구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견적 의뢰를 요청하기 위한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표시하고, 판매자 입력에 따른 상기 구매 단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판매 단말; 상기 서버로 전송된 건강식품 정보를 분산저장하는 분산저장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 중에서 구매자 선택에 따른 제 1 구매 정보, 수량 정보, 배송지 정보 및 상기 구매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구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매 단말에서 촬영되거나 저장된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하여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고, 서버에서 복수의 판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고, 건강식품 정보와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제공한 판매자에 대한 평점과 구매 후기와 평균 배송일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 정보를 구매 단말에 제공하고, 구매 단말에서 복수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 및 배송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키고 구매자가 용이하게 건강식품을 구매할 수 있고, 구매자 중심의 거래 방식을 통해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화면이 표시된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구매 단말(100), 서버(200) 및 복수의 판매 단말(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구매 단말(100) 및 상기 판매 단말(3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매 단말(100), 상기 서버(200) 및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 각각은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각 단말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건강식품 구매를 위한 전용 앱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건강식품 구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구매 단말(10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해당 구매 단말(100)에 설치된 전용 앱을 이용해서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정보는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의 이름, 주소(또는 배송지 정보), 연락처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은 견적 요청을 위한 견적 요청 항목(또는 메뉴/버튼), 상기 서버(200)에 등록된 파트너 관계의 판매자가 제공하는 건강식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파트너즈 항목, 상기 서버(200)에서 건강식품 카테고리별로 이전에 판매된 건강식품을 제공하기(또는 보여주기) 위한 니즈딜(NIZDEAL) 항목, 사용자(또는 구매자)의 견적 의뢰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견적 수신함 항목(예를 들어 진행 중인 견적 의뢰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지금 견적 항목, 견적이 완료된 지난 견적을 확인하기 위한 지난 견적 항목 등의 서브 항목 포함), 사용자의 구매 내역이나 취소/반품/교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마이페이지 항목(예를 들어 구매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구매 내역 항목, 취소/반품/교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취소/반품/교환 항목 등의 서브 항목 포함), 공지 사항이나 문의 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고객 센터항목(예를 들어 공지 사항 확인을 위한 공지 항목, 자주 묻는 질문 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FAQ 항목, 1:1로 문의하고 답변을 확인하기 위한 1:1 항목 등의 서브 항목 포함), 개인 정보나 앱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 설정 항목(예를 들어 개인 정보 수정을 위한 개인 정보 항목, 앱 환경 설정을 위한 어플 환경 설정 항목 등의 서브 항목 포함), 사용자(또는 구매자)가 건강식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자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입점신청안내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구매 단말(100)에 설치된 전용 앱(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는 해당 구매 단말(100)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통해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건강식품을 서로 다른 방향 및 각도에서 촬영하여 획득하는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상기 구매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방향 및 각도에서 촬영하여 획득된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이때, 해당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가 동일한 경우 또는,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90%) 이상인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첫 번째 건강식품 이미지와 다른 각도 및/또는 방향에서 촬영된 건강식품 이미지의 입력(또는 선택)을 안내하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중에서 첫 번째 건강식품 이미지와 다른 두 번째 건강식품 이미지를 획득(또는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매 단말(100)은 단일 건강식품 이미지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의 건강식품명이나 건강식품 종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가 상기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및 상기 건강식품 설명 중 어느 하나의 정보만 포함하더라도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전송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번호 등을 포함하는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등록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매 단말(100)은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 요청이 정상적으로 상기 서버(200)에 접수(또는 등록)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에 특정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기 위해서 상기 특정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해당 특정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정보 수신 및 해당 구매 정보 수신에 따른 해당 특정 건강식품의 구매 기능(또는 결제 기능) 또는 구매 취소 기능 등을 수행 완료할 때까지 새로운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의 전송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매 단말(100)에서 한 번에 1건씩의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의 전송 및 그에 따른 구매 정보 수신 등을 수행함에 따라, 해당 구매 단말(100)에서 무분별하게 복수의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는 경우를 방지하며, 그로 인한 서버(20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구매 단말(100)에서 복수의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미리 설정된 추가 견적 요청에 따른 비용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한 이후, 해당 추가 견적 요청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앞서 전송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 정보(또는 견적서)는 임의의 판매 단말(300)에서 제공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제공한 판매 단말(300)을 통해 판매된(또는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300)과 관련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교환/환불 건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에 의해 설정된 견적 마감 시간 정보(또는 남은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마감 시간까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한 건 이상의 구매 정보를 상기 구매 단말(100)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자동 보류 처리하고,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견적 요청 기능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견적 요청 기능이 자동 보류 처리된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전용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견적 수신함 항목의 서브 항목인 지난 견적 항목을 통해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확인(또는 표시/관리)하고, 상기 확인된 지난 견적 항목에 저장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근거로 다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 요청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또는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 요청을 다시 진행하는 경우,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는 상기 전용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견적 수신함 항목의 서브 항목인 지난 견적 항목에서 상기 지금 견적 항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구매 단말(100)에 표시되는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매 정보(또는 선택된 특정 구매 정보), 수량 정보(또는 구매 수량), 배송지 정보,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즉, 상기 구매 단말(100)에 표시되는 복수의 구매 정보의 일측에 표시되는 특정 구매 정보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구매하기 항목(또는 구매하기 메뉴/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구매하기 항목에 대응하는 특정 구매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수량 정보(또는 구매 수량), 배송지 정보 등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배송지 정보는 해당 구매 단말(100)이 상기 서버(200)에 회원 가입 시 미리 등록한 사용자 정보(또는 개인 정보)와 연동하여 자동 입력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구매하기 항목에 대응하는 특정 구매 정보,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수량 정보(또는 구매 수량), 배송지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상기 특정 구매 정보를 제공한 판매 단말(300)과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구매 단말(100)(또는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서버(200)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구매 단말(100)에서 니즈딜(NIZDEAL) 항목의 건강식품 카테고리별로 판매된 건강식품을 확인하거나 또는 재구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판매 단말(300)로부터 배송되는 건강식품을 수령하는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 구매 후기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 구매 후기,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배송 건강식품에 대한 건강식품에 문제가 있는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판매 단말(300)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교환 신청 기능, 반품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판매 단말(300)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배송 건강식품에 대한 교환 또는 반품에 따라 해당 건강식품의 교환 신청에 따른 상태 확인 기능, 반품 신청에 따른 상태 확인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을 상기 서버(200)에 요청한 이후,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정보(또는 견적서) 수신(또는 도착) 알람 기능, 결제 기능 수행 후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배송 상태 확인 기능, 해외 배송 건강식품의 경우 배송 및 통관에 따른 배송 상태 확인 기능, 해당 건강식품의 취소/반품에 따른 취소/반품에 대한 결제 기능 취소에 의한 처리 결과 확인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 상기 판매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과의 연동에 의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구매자(또는 소비자)와 판매자로 구분하여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구매자와 판매자에 따라 해당 구매 단말(100)에 전용 앱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200)는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가 건강식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자(또는 소비자)로 회원 가입하는 경우, 건강식품 구매에 최적화된 전용 앱을 상기 구매 단말(100)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구매 단말(10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추후 해당 구매자로 회원 가입한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가 건강식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자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건강식품 판매에 최적화된 전용 앱을 상기 구매 단말(100)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구매 단말(1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강식품 구매용 전용 앱과 건강식품 판매용 전용 앱을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전용 앱의 경우 건강식품 구매 기능 및 건강식품 판매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구매 단말(100) 및 상기 판매 단말(300)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전용 앱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구매 기능을 위한 사용자 정보, 판매 기능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용 앱의 기능 중 일부를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매 기능을 위한 사용자 정보로 상기 전용 앱에 로그인하는 경우, 상기 건강식품 구매 기능 및 건강식품 판매 기능을 모두 포함한 전용 앱의 기능 중 건강식품 판매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건강식품 구매 기능만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며, 판매 기능을 위한 사용자 정보로 상기 전용 앱에 로그인하는 경우, 상기 건강식품 구매 기능 및 건강식품 판매 기능을 모두 포함한 전용 앱의 기능 중 건강식품 구매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건강식품 판매 기능만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 정보 등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판매 단말(300)과의 연동에 의해, 상기 판매 단말(300)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판매 단말(300)의 사용자가 건강식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자(또는 건강식품 제공자)로 회원 가입하는 경우, 건강식품 판매에 최적화된 전용 앱을 상기 구매 단말(100)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구매 단말(10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판매 단말(300)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 정보 등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번호 등을 포함하는 등록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등록 알림 메시지를 상기 구매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또는 저장된) 다수의 판매 단말(300) 중에서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 단말(300)을 확인(또는 검색)한다. 이때, 상기 판매 단말(300)은 해당 서버(200)에 건강식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로 등록 시, 해당 판매 단말(300)의 판매자가 취급하는 건강식품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를 미리 서버(200)에 등록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과정 또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에 대한 구문 분석 과정을 통해 해당 건강식품의 제조사/종류 및/또는 건강식품명을 확인하고, 상기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건강식품의 제조사/종류 및/또는 건강식품명에 대응하는 건강식품 카테고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또는 저장된) 다수의 판매 단말(300) 중에서 상기 확인된 건강식품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 단말(300)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또는 검색된) 복수의 판매 단말(300)에 견적 의뢰를 요청하기 위한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또는 견적 의뢰 푸시 알람 정보)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번호, 요청 시점의 날짜 및 시각 정보, 견적 마감 시간 정보(또는 남은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판매 단말(300)에서 미리 등록한 정보 수신 상태에 따라 문자 메시지, SNS, 이메일 형태로 해당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해당 판매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또는 상기 요청 시점의 날짜 및 시각 정보/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전송하거나 생성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견적 요청 응답 기준 시간(예를 들어 30분)을 반영하여 해당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따른 견적 마감 시간 정보(예를 들어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견적 요청 응답 기준 시간이 반영된 시간 정보)를 생성(또는 설정)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에서 이전에 구입한 건강식품을 재구매하거나 또는 특정 판매자를 선택(또는 지정)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구매 단말(100)에서 이전에 구입한 건강식품을 판매한 판매자에 대응하는 판매 단말(300) 또는 특정 판매자에 대응하는 판매 단말(300)에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단독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앞서 전송된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응답하여 복수의 판매 단말(3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복수의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하는 해당 판매 단말(300)에 미리 설정된 포인트(또는 마일리지)를 제공(또는 적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전송한 복수의 판매 단말(300) 중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예를 들어 3번째 순서) 이내에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하는 판매 단말(300)에만 상기 포인트를 제공하여, 상기 구매 단말(100)에 빠른 시간 내에 건강식품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또는 저장된) 판매 단말별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및 평균 배송일 정보 중에서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해당 판매 단말(300)을 통해 판매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또는 평가 정보),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정보, 상기 확인된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300)을 통해 판매된(또는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300)과 관련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등을 포함하는 구매 정보(또는 견적서)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0)는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배송 단말별로 각각의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상기 구매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판매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한 직후 바로 상기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구매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견적 마감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마감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을 대상으로 한 건강식품 정보 수신을 종료하며, 해당 견적 마감 시간 이내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식품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 정보를 상기 구매 단말(100)에 제공하며, 상기 견적 마감 시간 정보에 따른 견적 마감 시간이 지난 후 다른 특정 판매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식품 정보는 폐기(또는 반송)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구매 정보(또는 복수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구매 정보), 수량 정보, 배송지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과 상기 특정 구매 정보를 제공한 판매 단말(300)과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구매 단말(100)(또는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구매 단말(100) 및 상기 판매 단말(300)에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정보, 상기 수량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 등을 해당 건강식품의 판매자로 선택된(또는 선정된) 특정 판매 단말(3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 구매 후기,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판매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 상기 판매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해당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해당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후기,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건강식품 정보 등을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카테고리에 등록(또는 관리/업데이트)한다.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구매 단말(100), 상기 서버(200), 다른 판매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건강식품 판매(또는 구매자 중심의 건강식품 견적에 따른 건강식품 판매)를 위한 전용 앱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건강식품 판매(또는 구매자 중심의 건강식품 견적에 따른 건강식품 판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판매 단말(30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상기 판매용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은 건강식품에 대한 새로운 견적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새로운 견적 항목(또는 메뉴/버튼), 구매자(또는 고객)가 직접 판매처를 선택하여 특정 건강식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다이렉트 견적 항목, 견적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에 최신 등록한 건강식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참여한 견적 항목, 견적 요청에 응답하여 견적을 포기하거나 건강식품 정보를 등록한 모든 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지난 견적 항목,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 건강식품 정보를 근거로 실제 결제 기능이 수행된 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며 건강식품 배송에 따른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신규 주문 항목, 상기 견적 요청에 응답한 건강식품 정보 등록에 따라 적립되는 포인트를 확인하며 해당 포인트의 현금 출금을 요청하기 위한 마일리지 항목, 공지 사항이나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등록하기 위한 공지 사항 항목, 개인 정보나 앱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 설정 항목(예를 들어 개인 정보 수정이나 결제 금액에 대한 비용 처리와 관련한 정보 수정을 위한 개인 정보 항목, 앱 환경 설정을 위한 어플 환경 설정 항목 등의 서브 항목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이후, 상기 판매 단말(300)은 해당 판매 단말(300)의 판매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른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한다(또는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건강식품 정보는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예를 들어 건강식품에 대한 크기 정보, 색상 정보 등 포함), 가격 정보, 할인 정보(예를 들어 사은품 정보, 추가 할인 혜택 정보 등 포함), 배송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해당 건강식품을 취급하는 판매 단말(300)의 판매자가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 내의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 설명 등을 확인한 후,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예를 들어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 등 포함)를 제공함에 따라,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공되는 건강식품 정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매 단말(300)의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미리 설정된 포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판매 단말(300)은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견적 제공을 포기하며,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견적 제공을 포기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견적 제공을 포기한 경우, 상기 판매 단말(300)은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상기 판매 단말(300)에 설치된 해당 전용 앱의 미리 설정된 지난 견적 항목으로 이동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정보, 상기 판매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전송된 건강식품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포인트(또는 마일리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수신한 복수의 판매 단말(300) 각각은 해당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응답하여 구매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하여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자 중심의 건강식품 견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해당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응답하여 구매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자 중심의 건강식품 견적 기능을 포기(또는 미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적 마감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마감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판매 단말(300)은 견적 마감이 종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상기 판매 단말(300)에 설치된 해당 전용 앱의 미리 설정된 지난 견적 항목으로 이동하여 관리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매 단말(300)에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 등은 상기 서버(200)에 의해 확인(또는 검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과정 또는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에 대한 구문 분석 과정을 통해 해당 건강식품의 제조사, 건강식품 종류,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 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해당 건강식품의 제조사, 종류,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 등을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판매 단말(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매 단말(300)에서는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포함된 해당 건강식품의 제조사, 종류,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 등을 확인하고, 잘못된 정보에 대한 수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구매 단말(100)과 상기 서버(200)와 상기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구매 단말(100)(또는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상기 구매 정보, 상기 수량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구매 정보를 제공한 복수의 판매 단말(300) 중에서 상기 구매 단말(100)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의 판매자로 최종 선택된(또는 선정된) 단말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구매 정보, 수량 정보, 배송지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배송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판매 단말(300)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배송 중인 건강식품에 대한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건강식품의 배송이 완료된 후, 상기 판매 단말(3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평가 정보, 상기 판매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판매된 건강식품은 상기 서버(200) 내의 건강식품 카테고리별로 자동으로 등록된다.
이와 같이, 구매 단말에서 촬영되거나 저장된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하여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고, 서버에서 복수의 판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고, 건강식품 정보와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제공한 판매자에 대한 평점과 구매 후기와 평균 배송일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 정보를 구매 단말에 제공하고, 구매 단말에서 복수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매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 및 배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구매 단말(100)은 상기 구매 단말(100)에 설치된 전용 앱(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는 해당 구매 단말(100)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통해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건강식품을 서로 다른 방향 및 각도에서 촬영하여 획득하는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상기 구매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방향 및 각도에서 촬영하여 획득된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이때, 해당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가 동일한 경우 또는,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90%) 이상인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첫 번째 건강식품 이미지와 다른 각도 및/또는 방향에서 촬영된 건강식품 이미지의 입력(또는 선택)을 안내하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중에서 첫 번째 건강식품 이미지와 다른 두 번째 건강식품 이미지를 획득(또는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견적 요청 완료에 따른 등록 알림 메시지(610)를 표시한다(S21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또는 저장된) 다수의 판매 단말(300) 중에서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 단말(300)을 확인(또는 검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또는 상기 요청 시점의 날짜 및 시각 정보/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전송하거나 생성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견적 요청 응답 기준 시간(예를 들어 30분)을 반영하여 해당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따른 견적 마감 시간 정보(예를 들어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견적 요청 응답 기준 시간이 반영된 시간 정보)를 생성(또는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10개의 판매 단말(예를 들어 제 1 판매 단말 내지 제 10 판매 단말)에 해당 모니터와 관련한 견적 의뢰를 요청하기 위한 제 1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각각 전송한다(S220).
이후,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각각 표시(또는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견적 의뢰 알람 정보(700)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견적 의뢰 알람 정보(700)는 상기 제 1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예를 들어 상기 제 1 건강식품 이미지, 상기 제 2 건강식품 이미지, 상기 모니터와 관련한 설명 내용, 상기 건강식품 카테고리 정보 등 포함), 상기 제 1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번호(예를 들어 #574771), 견적 요청 시점의 날짜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8.04.28 15:47), 견적 마감 시간 정보(예를 들어 남은 시간: 28분 23초)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견적 마감 시간 정보는 상기 제 1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서 수신한 시점(또는 시각 정보)과 현재 날짜 및 시각 정보와 미리 설정된 견적 요청 응답 기준 시간(예를 들어 30분)에 따라 실시간으로 남은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S230).
이후, 상기 판매 단말(300)은 해당 판매 단말(300)의 판매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른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한다(또는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건강식품 정보는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명, 건강식품 고유 코드, 옵션 정보(예를 들어 건강식품에 대한 크기 정보, 색상 정보 등 포함), 가격 정보, 할인 정보(예를 들어 사은품 정보, 추가 할인 혜택 정보 등 포함), 배송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정보, 상기 판매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수신한 복수의 판매 단말(300) 각각은 해당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응답하여 구매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하여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자 중심의 건강식품 견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해당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응답하여 구매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자 중심의 건강식품 견적 기능을 포기(또는 미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제 1 판매 단말에서 해당 모니터와 관련한 견적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터치에 따라 상기 도 7에 도시된 참여 항목(710)이 선택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해당 모니터와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800)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건강식품 정보, 상기 제 1 판매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S24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앞서 전송된 견적 의뢰 알람 정보에 응답하여 복수의 판매 단말(3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복수의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또는 저장된) 판매 단말별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및 교환/환불 건수 중에서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해당 판매 단말(300)을 통해 판매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또는 평가 정보),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교환/환불 건수 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건강식품 정보, 상기 확인된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300)을 통해 판매된(또는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300)과 관련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교환/환불 건수 등을 포함하는 구매 정보(또는 견적서)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0)는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배송 단말별로 각각의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상기 구매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판매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건강식품 정보를 수신한 직후 바로 상기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구매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구매 정보는 건강식품 견적 가격에 따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제공되거나(또는 표시되거나) 또는, 최신 판매 건강식품이나 최신 정보(예를 들어 최신 평점, 최신 구매 후기, 최신 판매 정보 등 포함)에 따라 정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견적 마감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마감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300)을 대상으로 한 건강식품 정보 수신을 종료하며, 해당 견적 마감 시간 이내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식품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 정보를 상기 구매 단말(100)에 제공하며, 상기 견적 마감 시간 정보에 따른 견적 마감 시간이 지난 후 다른 특정 판매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식품 정보는 폐기(또는 반송)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제 1 건강식품 정보, 상기 확인된 제 1 평점, 제 1 구매 후기, 제 1 평균 배송일 정보, 제 1 판매횟수, 제 1 교환/환불 건수 등을 포함하는 제 1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제 1 구매 정보 내지 제 10 구매 정보를 상기 제 1 구매 단말에 전송한다(S250).
이후, 상기 구매 단말(100)은 앞서 전송된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방식(예를 들어 건강식품 견적 가격에 따른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 등 포함)으로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앞서 전송된 제 1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2건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2건의 구매 정보를 수신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900)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해당 견적 요청 건과 관련해서 수신한 견적 건수에 대한 정보(900)와 함께 견적 마감까지 남은 시간 정보(91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상기 견적 마감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마감 시간 이내에 상기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견적 건수를 누적하여 관리(또는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매 단말(100)은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구매 단말(100)에 표시되는 복수의 구매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매 정보(또는 선택된 특정 구매 정보), 수량 정보(또는 구매 수량), 배송지 정보,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즉, 상기 구매 단말(100)에 표시되는 복수의 구매 정보의 일측에 표시되는 특정 구매 정보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구매하기 항목(또는 구매하기 메뉴/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구매하기 항목에 대응하는 특정 구매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수량 정보(또는 구매 수량), 배송지 정보 등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배송지 정보는 해당 구매 단말(100)이 상기 서버(200)에 회원 가입 시 미리 등록한 사용자 정보(또는 개인 정보)와 연동하여 자동 입력 처리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건강식품의 판매자가 해외에 있는 경우, 해당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가 미리 발급받은 통관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야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구매하기 항목에 대응하는 특정 구매 정보,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수량 정보(또는 구매 수량), 배송지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제 1 구매 단말에 표시되는 복수의 구매 정보의 일측에 표시되는 제 1 구매 정보와 관련한 제 1 구매하기 버튼(1110)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해당 모니터의 수량과 배송지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1200, 1300)을 표시한다. 이때, 해당 모니터의 판매자가 해외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수입 통관 절차를 위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관 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1400)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 1 배송지 정보, 제 1 수량 정보(예를 들어 1개), 상기 선택된 제 1 구매하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구매 정보, 상기 제 1 구매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주문 완료 정보(1500)를 표시한다(S27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구매 정보(또는 복수의 구매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구매 정보), 수량 정보, 배송지 정보,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과 상기 특정 구매 정보를 제공한 판매 단말(300)과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구매 단말(100)(또는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구매 단말(100) 및 상기 판매 단말(300)에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정보, 상기 수량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 등을 해당 건강식품의 판매자로 선택된(또는 선정된) 특정 판매 단말(300)에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구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구매 정보, 상기 제 1 배송지 정보, 상기 제 1 수량 정보(예를 들어 1개), 상기 제 1 구매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제 1 구매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 서버, 상기 제 1 구매 단말 및 상기 제 1 판매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해당 모니터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제 1 구매 단말과 상기 제 1 판매 단말에 각각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모니터의 배송을 위해서 상기 제 1 구매 정보, 상기 제 1 배송지 정보, 상기 제 1 수량 정보 등을 상기 제 1 판매 단말에 제공한다(S280).
이후,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상기 구매 정보, 상기 수량 정보, 상기 배송지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구매 정보를 제공한 복수의 판매 단말(300) 중에서 상기 구매 단말(100)에 의해 해당 건강식품의 판매자로 최종 선택된(또는 선정된) 단말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구매 정보, 수량 정보, 배송지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배송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제 1 구매 정보, 제 1 수량 정보, 제 1 배송지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구매 정보, 제 1 수량 정보, 제 1 배송지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모니터에 대한 배송 기능을 수행한다(S290).
이후, 상기 구매 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판매 단말(300)로부터 배송되는 건강식품을 수령하는 경우, 상기 구매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 구매 후기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구매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 구매 후기,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구매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판매 단말(또는 해당 제 1 판매 단말과 관련한 특정 배송업체/배송자)로부터 배송되는 해당 모니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해당 제 1 구매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모니터와 관련한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제 1 평가 정보, 제 1 구매 후기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구매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제 1 평가 정보, 제 1 구매 후기, 상기 제 1 구매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S300).
또한, 해당 건강식품의 배송이 완료된 후, 상기 판매 단말(3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판매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평가 정보, 상기 판매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판매된 건강식품은 상기 서버(200)에 건강식품 카테고리별로 자동 등록된다.
일 예로, 상기 제 1 구매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판매 단말(또는 해당 제 1 판매 단말과 관련한 특정 배송업체/배송자)로부터 배송되는 해당 모니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해당 제 1 판매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모니터와 관련한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제 2 평가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판매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제 2 평가 정보, 상기 제 1 판매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S31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매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 구매 후기, 상기 구매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판매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 상기 판매 단말(3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해당 판매 단말(3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해당 구매 단말(100)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후기, 해당 건강식품에 대한 건강식품 정보 등을 해당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카테고리에 등록(또는 관리/업데이트)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구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제 1 평가 정보, 제 1 구매 후기, 상기 제 1 구매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제 1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모니터와 관련한 제 1 구매 후기, 해당 제 1 판매 단말에서 제공한 제 1 건강식품 정보 등을 해당 모니터와 관련한 건강식품 카테고리(예를 들어 TV/모니터)에 등록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판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제 2 평가 정보, 상기 제 1 판매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제 2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320).
본 발명은 커팅부, 제 1 트랜스퍼 및 제 2 트랜스퍼, 콤바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부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조각들을 생성하고,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조각들의 어드레스는 복수 개의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팅부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고려하여 조합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합 규칙은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각각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하여 분할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제 1 트랜스퍼는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은 각각 부여된 어드레스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해 전송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에 대응되는 조합 규칙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의 전송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조합 규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Claims (7)

  1. 미리 등록된 다수의 판매 단말 중에서 구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견적 의뢰를 요청하기 위한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표시하고, 판매자 입력에 따른 상기 구매 단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판매 단말;
    상기 서버로 전송된 건강식품 정보를 분산저장하는 분산저장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 중에서 구매자 선택에 따른 제 1 구매 정보, 수량 정보, 배송지 정보 및 상기 구매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구매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판매 단말별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및 교환/환불 건수 중에서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을 통해 판매된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및 교환/환불 건수를 확인하고, 상기 건강식품 정보, 상기 확인된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을 통해 판매된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및 교환/환불 건수를 포함하는 상기 구매 정보를 상기 구매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 단말과 상기 제 1 구매 정보를 전송한 제 1 판매 단말과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는,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 건강식품과 관련한 설명 내용 및 건강식품과 관련한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건강식품 이미지는,
    구매하고자 하는 건강식품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향 및 각도에서 촬영하여 획득된 건강식품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는,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 상기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견적 번호, 요청 시점의 날짜 및 시각 정보 및 견적 마감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 단말에서 미리 등록한 정보 수신 상태에 따라 문자 메시지, SNS 및 이메일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상기 판매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서버에 의해,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다수의 판매 단말 중에서 구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건강식품 견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판매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복수의 판매 단말에 견적 의뢰를 요청하기 위한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매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견적 의뢰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판매 단말에 의해, 판매자 입력에 따른 상기 구매 단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판매 단말별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및 교환/환불 건수 중에서 상기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을 통해 판매된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및 교환/환불 건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 정보, 상기 확인된 건강식품 정보를 전송한 판매 단말을 통해 판매된 건강식품에 대한 평점, 구매 후기, 평균 배송일 정보, 판매횟수 및 교환/환불 건수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를 상기 구매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구매 정보 중에서 구매자 선택에 따른 제 1 구매 정보, 수량 정보, 배송지 정보 및 상기 구매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구매 단말과 상기 제 1 구매 정보를 전송한 제 1 판매 단말과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구매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판매 단말 중에서 최종 판매자로 선정된 제 1 구매 정보를 전송한 제 1 판매 단말에 상기 구매 정보, 상기 수량 정보 및 상기 배송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판매 단말에 의해, 상기 구매 정보, 상기 수량 정보 및 상기 배송지 정보를 근거로 건강식품에 대한 배송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건강식품에 대한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될 때, 상기 구매 단말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 및 구매 후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식품에 대한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될 때, 상기 제 1 판매 단말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 1 판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 1 구매 단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구매 후기 및 상기 건강식품에 대한 건강식품 정보를 상기 건강식품과 관련한 건강식품 카테고리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06933A 2020-08-25 2020-08-25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6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33A KR20220026195A (ko) 2020-08-25 2020-08-25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33A KR20220026195A (ko) 2020-08-25 2020-08-25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195A true KR20220026195A (ko) 2022-03-04

Family

ID=8081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933A KR20220026195A (ko) 2020-08-25 2020-08-25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61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4A1 (ko) 2021-11-10 2023-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이차전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주액기 입구 구조물
KR20230154127A (ko) * 2022-04-30 2023-11-07 김수미 다이어트 식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4A1 (ko) 2021-11-10 2023-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이차전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주액기 입구 구조물
KR20230154127A (ko) * 2022-04-30 2023-11-07 김수미 다이어트 식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723B2 (en) Smart shopping cart with E-wallet store injection search
US2021035800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sonalization and enhancement of a marketplace
US20180285987A1 (en) Social checkout widget generation and integ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30246218A1 (en) Remote third party payment of in-store items
KR102106578B1 (ko) 음식배달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9526B1 (ko) 더치 페이 시스템
CN112308552A (zh) 医保药品的下单方法和装置
KR20220026195A (ko) 단말기를 활용한 건강식품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2106148A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KR10230046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3567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946552B1 (ko) 구매자 중심의 상품 견적을 이용한 오픈 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78463A1 (en) Referral based marketing system
US20190259083A1 (en) Method for participating in friend's purchase process by directly pushing product to friend's account page
US101340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letion of item purchases without merchant interaction
CN116228358A (zh) 购物订单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400828B1 (ko) 예술 창작물의 소유자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702971A (zh) 不動產自售的使用者設備及系統
CN111242715A (zh) 一种订单处理方法及其设备、计算机存储介质
CN112766969A (zh) 移动支付方法及系统、支付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36263A (ko) 인터넷을 통한 농산물 직거래 시스템
KR20000058311A (ko)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배송시간 결정시스템
KR2016000098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14468A (ko) 쇼핑벨 - 바코드인식 기능, 제품 검색과 제품 추천 기능, qr코드 생성 및 결제 기능, 진동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쇼핑 서비스 기기
KR102280438B1 (ko)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