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155A - 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 Google Patents

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155A
KR20220026155A KR1020200106854A KR20200106854A KR20220026155A KR 20220026155 A KR20220026155 A KR 20220026155A KR 1020200106854 A KR1020200106854 A KR 1020200106854A KR 20200106854 A KR20200106854 A KR 20200106854A KR 20220026155 A KR20220026155 A KR 2022002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scale
steel sheet
value
steel plate
pick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7419B1 (en
Inventor
강성규
김용희
김윤겸
박진형
최명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419B1/en
Publication of KR2022002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1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9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 G01N21/293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with colour charts, graduated scales or turr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1Colorimeters; Construc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of a steel sheet for rapidly and quantitatively predicting a residual scale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of a steel sheet comprises: a pickling processing unit for pickling a steel sheet; a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measuring a colorimetric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including a non-contact colorimete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teel sheet;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predicting a residual scale amount from the colorimetric value.

Description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철강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 및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eel manufactu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plate and a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plate.

슬라브를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을 수행하여 냉연강판을 형성한다. 열간 압연에 의하여 형성된 열연강판에서는, 고온 하에서 표면의 철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 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산화철 피막은 스케일(Scale)로 지칭된다. 냉연강판의 표면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냉간압연을 수행하기 전에 열연강판을 산세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스케일을 염산 등의 산과 화학반응을 시켜 제거한다. 상기 산세공정 이후에도, 강판의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스케일은 냉연강판의 외관 품질 저하, 도금성 악화 및 내식성 저하 등과 같은 표면 품질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연강판의 표면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산세공정 이후 남아있는 잔류 스케일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산세 처리후의 강판의 품질은 냉연강판의 표면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냉연강판의 스케일 결함이 발생하고 사후에 대응하면, 냉연강판의 대량 불량으로 확대될 우려가 있으므로, 산세 품질을 압연 공정 중에 실시간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The slab is hot rolled and cold rolled to form a cold rolled steel sheet. In a hot-rolled steel sheet formed by hot rolling, iron on the surface reacts with oxygen under high temperature to form an iron oxide film, and this iron oxide film is referred to as a scale. In order to secure the surface quality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the hot-rolled steel sheet is subjected to a pickling process before performing cold rolling, and the scale is removed by chemical reaction with an acid such as hydrochloric acid. Even after the pickling process, residual scal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may cause surface quality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deterioration of plating properties, and deterioration of corrosion resistanc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urface quality of cold-rolled steel sheets, it is essential to accurately measure and manage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remaining after the pickl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the steel sheet after the pickling treatment can determine the surface quality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If a scale defect occurs in the cold-rolled steel sheet and responds afterward, there is a risk of expanding to a mass defect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ickling quality in real time during the rolling process.

종래의 잔류 스케일 양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표면 광택도 측정법, 이미지 분석법 및 육안 판별법 등이 있다. 상기 표면 광택도 측정법은, 광택도계로부터 얻어지는 광택도 값이 소재의 표면 조도에 의한 변동이 심한 한계가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법은, 시편을 전처리 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상기 육안 판별법은, 정량적인 판단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a conventional method for evaluating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there are a surface gloss measurement method, an image analysis method, a visual discrimination method, and the like. The surface glossiness measurement method has a limit in that the glossiness value obtained from the glossmeter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material. The image analys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pre-process the specimen. The visual discrimina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sent a quantitative judgment standard.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37220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137220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잔류 스케일량을 신속하고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for rapidly and quantitatively predicting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tasks are exemplar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은, 강판을 산세 처리하는 산세 처리부; 상기 강판의 표면의 표색값을 측정하고, 상기 강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비접촉식 색측계를 포함하는 표색값 측정부; 및 상기 표색값으로부터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of the steel sheet,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for pickling the steel sheet; a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colorimetric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includes a non-contact colorimet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teel plate;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predicting a residual scale amount from the color spac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표색값으로부터 상기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predict the residual scale amount from the color space value by us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spac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spac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providing i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산세 처리부는, 상기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파쇄하는 스케일 파쇄구역; 상기 강판을 산세하는 산세구역; 상기 강판을 물로 세척하는 수세구역; 및 상기 강판을 건조하는 건조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the scale crushing zone for crushing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 pickling zone for pickling the steel plate; a washing zone for washing the steel plate with water; and a drying zone for drying the steel she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색값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표색값은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space value measured by the color space valu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hite value, a red-green value, and a yellow-blu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색값 측정부는,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색측계; 및 상기 색측계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colorimeter reciprocally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nd a transfer means for reciprocating the colorime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색값 측정부는, 상기 강판의 폭에 대하여 중앙에 고정된 중앙 색측계; 및 상기 중앙 색측계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한 쌍의 이동 색측계들; 및 상기 한 쌍의 이동 색측계들을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includes: a central colorimeter fixed to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steel sheet; and a pair of moving colorimet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colorimeter and reciprocally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nd a transfer means for reciprocating the pair of moving colorimet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색값 측정부는,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색측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lorimeters arranged in a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할 경우,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은, 강판의 표색값과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취득하고, 상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예측대상 강판의 측정된 표색값을 이용하여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대상 강판의 잔류 스케일량을 실시간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대상 강판의 품질 검사를 강화할 수 있고, 품질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of the steel sheet acqui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color value of the steel sheet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uses the correlation using the measured color color value of the steel sheet to be predicted. The residual scale amount can be predic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quantitatively predicting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of the steel sheet to be predicted simply and quickly in real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quality inspection of the steel sheet to be predict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quality los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산세 공정 후 색측계를 이용하여 강재의 품질을 정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색측계는 강재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면서 측정하는 프레임 적용이 가능하고, 또는 정해진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중앙의 색측계는 고정하고, 양쪽 엣지 부분에서 강판의 폭에 따라 폭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식 색측계들을 함께 구성하여 총 세 영역을 함께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색측계의 측정 면적에 따라, 강판의 폭 전체를 동시에 측정하는 설치도 가능하다. 또한, 측정된 표색값을 강종 별로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산 농도, 철 농도, 인히비터 농도, 온도, 속도 등과 같은 산세 조건을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측정 거리 편차에 대한 측정값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quality of the steel using a colorimeter after the pickling process. The colorimeter can be applied to a frame that measures while reciproc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or it can be measured by fixing it at a specific location. Alternatively, the colorimeter in the center may be fixed and a total of three areas may be measured together by configuring movable colorimeters that can measure the width chang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teel sheet at both edge portion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area of the colorimeter,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entire width of the steel shee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n order to constantly manage the measured colorimetric value for each steel type, pickling conditions such as acid concentration, iron concentration, inhibitor concentration, temperature, speed, etc. may be linked and controlled.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measurement distance using a laser rangefind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measurement value error for the measurement distance devi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산세 정도에 따른 강판의 품질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 품질을 측정할 수 있고, 강판의 표면 품질 측정을 통하여 최종 강판의 품질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결함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하여, 품질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대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의 산세 조건 최적화를 통한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산세 온도, 산 농도 등에 대한 강종별 민감도를 도출해서 최적의 조건으로 산세처리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적정한 산세 속도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산세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판의 표면 품질을 육안으로 관찰하던 부분을 개선하므로, 작업자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수작업에 의한 측정 변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ickling, the surface quality can be measured, and the quality of the final steel sheet can be predicted in advance through the surface quality measurement of the steel sheet, or a pre-response to defects is possible. As a result, quality costs can be reduced and mass defect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by optimizing the pickling conditions of the steel sheet, and by deriving the sensitivity for each steel type to pickling temperature and acid concentration, etc., pickling treatment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can save energy. In addition, since an appropriate pickling rate can be derived, the pickling rate can be improved, and productivity of the steel shee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portion used for visually observing the surface quality of the steel sheet is improved, operator fatigue can be reduced, and measurement fluctuations caused by manual work can be minimized.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에서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에서 잔류 스케일량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사용된 이미지 분석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강판의 백색값과 잔류 스케일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의 산세 처리부 및 표색값 측정부를 구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의 표색값 측정부에 포함된 색측계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산세 침지 시간에 따른 강판의 표면 색상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산세 침지 시간에 따른 잔류 스케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예측 잔류 스케일량을 비교한 그래프들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providing a steel sheet in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shee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nalysis method used to quantify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in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whit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of the steel plate obtained by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and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of the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colorimeter included in a colorimetric value measurement unit of a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hotographs showing the surface color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ickling immersion time obtained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idual scale amount according to the pickling immersion time obtained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graph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amount of residual scale and a white value obtained by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6 are graphs comparing the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predicted residual scale amount obtained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as to more fully and complete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 fully conve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Furthermore, various element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산세공정 이후 강판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스케일량을 표면 색 측정을 통해 신속하고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산세 정도 측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ickling that can quickly and quantitatively predict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after the pickling process through surface color measur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S1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S100)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S100)은,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S110); 상기 강판의 표면의 제1 표색값을 측정하는 단계(S120); 상기 강판의 표면에서의 잔류 스케일량을 측정하는 단계(S130); 상기 제1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취득하는 단계(S140); 예측대상 강판의 표면의 제2 표색값을 측정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제2 표색값을 상기 상관관계에 대입하여, 상기 예측대상 강판의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sheet ( S100 ) includes providing a steel sheet ( S110 ); measuring a first colorimetric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S120); measuring the residual scale amount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S130); obta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colorimetric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S140); measuring a second colorimetric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o be predicted (S150); and predicting the residual scale amount of the prediction target steel sheet by substituting the second colorimetric value into the correlation (S160).

상기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S110)는 하기의 도 2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p of providing the steel plate (S110)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FIG. 2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S100)에서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S11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110) of providing a steel plate in the method (S100)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plat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S110)는, 열연강판을 제공하는 단계(S111); 및 상기 열연강판을 산에 침지하여 산세처리하는 단계(S1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step of providing the steel sheet (S110) includes: providing a hot-rolled steel sheet (S111); and immersing the hot-rolled steel sheet in acid for pickling treatment (S112).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표색값을 측정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제2 표색값을 측정하는 단계(S150)는, 비접촉식 색측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steps of measuring the first colorimetric value ( S120 ) and measuring the second colorimetric value ( S150 ) may be performed using a non-contact colorimeter.

접촉식 색측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판의 전체 폭에 대한 측정이 어려우며, 강판 제조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강판에 접촉식 색측계를 접촉시키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따라서 실시간 측정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반면, 비접촉식 색측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를 강판의 폭의 길이로 확장하여 측정이 가능하고, 또한, 광학을 이용하여 강판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강판에 대한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contact colorimet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entire width of the steel sheet, and during the steel sheet manufacturing process,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tact the contact colorimeter to a continuously moving steel sheet, and thus real-time measurement is impossible. there i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 non-contact colorimeter, measurement is possible while mov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and measurement is possible by extending the sensor to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in real time on the moving steel plate.

상기 제1 표색값과 상기 제2 표색값은 백색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표색값과 상기 제2 표색값은 백색값(L*), 적록값(a*) 및 황청값(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lor space value and the second color space value may include a white value. Alternatively, the first colorimetric value and the second colorimetric valu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hite value (L * ), a red-green value (a * ), and a yellow-blue value (b * ).

상기 백색값(L*), 상기 적록값(a*) 및 상기 황청값(b*) 은 CIE L* a* b* 기준에 따라서 설정될 수있다. 상기 백색값(L*)은 순수 흑색을 0으로 하고, 순수 백색을 100으로 설정하여 명도를 분류한 값일 수 있다. 적록값(a*)은 양(+)의 값은 적색으로 하고, 음(-)의 값은 녹색으로 설정하여 적록 채도를 분류한 값일 수 있다. 황청값(b*)은 양(+)의 값은 황색으로 하고, 음(-)의 값은 청색으로 설정하여 황청 채도를 분류한 값일 수 있다.The white value (L * ), the red-green value (a * ), and the yellow-blue value (b * ) may be set according to CIE L * a * b * standards. The white value (L * ) may be a value obtained by classifying brightness by setting pure black to 0 and pure white to 100. The red-green value (a * ) may be a value obtained by classifying red-green saturation by setting a positive (+) value to red and a negative (-) value to green. The yellow-blue value (b * ) may be a value obtained by classifying yellow-blue saturation by setting a positive (+) value to yellow and a negative (-) value to blu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강판의 표면에서의 잔류 스케일량을 측정하는 단계(S130)는, 상기 강판의 표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후, 이미지 분석법을 통하여 상기 잔류 스케일을 정량화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상기 잔류 스케일을 정량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step of measuring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on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 S130 ) may be performed by photographing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with a digital camera, and then quantifying the residual scale through an image analysis method. there is.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a case of applying various methods capable of quantifying the residual scale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에서 잔류 스케일량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사용된 이미지 분석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nalysis method used to quantify a residual scale amount in a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강판의 원본 사진을 취득하고, 상기 원본 사진을 8비트 이미지로 변환한다. 이어서, 상기 8비트 이미지에서 색측계 측정영역을 추출한다. 이어서, 상기 색측계 측정영역에서 특정 값을 기준으로 흑색과 백색을 구분하고, 흑색 픽셀을 카운트한다. 카운트된 흑색 픽셀은 잔류 스케일량에 대응된다.Referring to FIG. 3 , an original photo of the steel sheet is obtained, and the original photo is converted into an 8-bit image. Then, a colorimetric measurement area is extracted from the 8-bit image. Then, black and white are divided based on a specific value in the colorimetric measurement area, and black pixels are counted. The counted black pixels correspond to the residual scale amoun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강판의 백색값과 잔류 스케일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진들이다.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whit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of the steel plate obtained by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강판의 산세처리 조건을 변화시켜, 강판 표면의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을 변화시켰다. 흑색 영역은 백색값이 46.95로서 가장 낮았으며, 잔류 스케일량은 42.3%로 가장 높았다. 청색 영역은 백색값이 59.24로서 중간 값이고, 잔류 스케일량은 26.6%로 중간 값이었다. 적색 영역은 백색값이 61.09로서 가장 높았으며, 잔류 스케일량은 1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백색값과 잔류 스케일량은 서로 관련성이 있고, 예를 들어 반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산세 침지시간이 길어지면, 백색값이 증가되고, 잔류 스케일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된다.Referring to FIG. 4 , by changing the pickling treatment conditions of the steel sheet,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white value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were changed. In the black region, the white value was the lowest at 46.95,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was the highest at 42.3%. In the blue region, the white value was 59.24, which was an intermediat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was 26.6%, which was an intermediate value. In the red region, the white value was the highest at 61.09,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was the lowest at 11.4%. Accordingly, the whit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are rela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may have an inverse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if the pickling immersion time is increased, the white value is increased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is decreas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취득하는 단계(S140)에서,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잔류 스케일량(%)과 상기 제1 표색값에 대하여 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in the step of acqui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colorimetric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 S140 ), the correlation is linear with respect to the residual scale amount (%) and the first colorimetric value. correlation can be shown.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제1 표색값 중에 백색값 만을 이용하여 수립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상관관계는, The correlation may be established using only a white value among the first colorimetric values, for example, the correlation may be

[잔류 스케일량(%)] = X - Y [L*] [Residual scale amount (%)] = X - Y [L * ]

(여기에서, 180 < X < 500, 2.5< Y < 9 이고, L* 은 백색값임) 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here, 180 < X < 500, 2.5 < Y < 9, and L * is a white value).

또한,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제1 표색값에서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수립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상관관계는, In addition, the correlation may be established by using at least one or both of a white value, a red-green value, and a yellow-blue value in the first colorimetric value, for example, the correlation is

[잔류 스케일량(%)] = C - D [L*] + E[a*] + F [b*][Residual scale amount (%)] = C - D [L * ] + E[a * ] + F [b * ]

(여기에서, 150 < C < 300, 2.8 < D < 4.5, -10 < E < 4, -10 < F < 3 이고, L* 은 백색값, a*는 적록값 및 b*는 황청값임) 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here, 150 < C < 300, 2.8 < D < 4.5, -10 < E < 4, -10 < F < 3, L * is the white value, a * is the red-green value, and b * is the yellow-blue value) can have a relationship.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은 다양한 조성을 가지는 강판에 대한 표색값과 잔류 스케일량에 대한 상관관계를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강판의 표색값을 측정하여 잔류 스케일량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고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stablish a correlation between colorimetric values and residual scale amounts for steel sheets having various compositions as a database. Using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predict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in real time by measuring the colorimetric value of a desired steel shee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구현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에 설명되는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plate implement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described below is exemplary,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00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100)은, 강판을 산세 처리하는 산세 처리부(110); 상기 강판의 표면의 표색값을 측정하는 표색값 측정부(120); 및 상기 표색값으로부터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하는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한다.5, th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100 of the steel sheet,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110 for pickling the steel sheet; a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120 for measuring a colorimetric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a data processing unit 130 for predicting a residual scale amount from the color space value.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100)은 상기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저장하고, 데이터 처리부(13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100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unit 140 that sto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spac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provides i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

표색값 측정부(120)는 상기 강판의 표면의 표색값을 측정하는 색측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강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비접촉식 색측계를 포함하는 표색값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색값 측정부(120)는 측정된 상기 표색값의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색값 측정부(120)와 데이터 처리부(130)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may include a colorimeter for measuring the colorimetric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may include a colorimetric value measurer including a non-contact colorimeter disposed apart from the steel sheet. The color space value measurement unit 120 may provide the measured color space value information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 To this end,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데이터 처리부(130)는 표색값 측정부(120)로부터 상기 표색값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표색값으로부터 상기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상관관계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거나, 또는 하기의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lor space value from the color space value measurement unit 120 .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may predict the residual scale amount from the color space value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spac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The correlation may be input by a user or may be provided by data stored in the following database unit 140 .

상기 상관관계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에 의하여 취득될 수 있다.The correlation may be obtained by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shee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데이터 처리부(130)와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30)와 데이터베이스부(140)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방식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130 and the database unit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lternatively,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and the database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omputer system, or may be configured as various types of computer system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100)의 산세 처리부(110) 및 표색값 측정부(120)를 구현한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110 and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of the system 100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강판(M)은 산세 처리부(110) 및 표색값 측정부(120)를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강판(M)은 열간압연부(미도시)에서 열간압연된 후에 연속 공정에 의하여 산세 처리부(110)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강판(M)은 표색값 측정부(120)를 지나간 후에, 연속 공정에 의하여 냉간압연부(미도시)에서 냉간압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teel plate M continuously transports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110 and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 Although not shown, the steel sheet M may reach the pickling treatment unit 110 by a continuous process after being hot-rolled in a hot rolling unit (not shown). In addition, the steel sheet M may be cold rolled in a cold rolling unit (not shown) by a continuous process after passing through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

산세 처리부(110)는, 강판(M)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파쇄하는 스케일 파쇄구역(111); 강판(M)을 산세하는 산세구역(112); 강판(M)을 물로 세척하는 수세구역(113); 및 강판(M)을 건조하는 건조구역(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ickling processing unit 110, the scale crushing zone 111 for crushing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M); Pickling section 112 for pickling the steel plate (M); a washing zone 113 for washing the steel plate M with water; and a drying zone 114 for drying the steel plate 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산세 처리부(110)에서 산세 처리된 강판(M)은 표색값 측정부(120)에서 표면의 표색값이 측정될 수 있다. 표색값 측정부(120)는 색측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강판(M)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비접촉식 색측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색값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상기 표색값은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or space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M pickled by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110 may be measured by the color space value measuring unit 120 .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may include the colorimeter 150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contact colorimet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eel plate M . The color space value measured by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hite value, a red-green value, and a yellow-blue valu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100)의 표색값 측정부(120)에 포함된 색측계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colorimeter included in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ement unit 120 of the system 100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를 참조하면, 표색값 측정부(120)는, 강판(M)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색측계(151); 및 색측계(151)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강판(M)의 폭방향은 상기 강판의 이동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이송 수단(160)은 다양한 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측계(151)가 이송 수단(160)에 의하여 강판(M)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강판(M)의 표색값을 측정하므로, 강판(M)의 표면 전체에 대한 표색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7 ,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includes a color meter 151 that is reciprocally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M; and a transfer unit 160 for reciprocating the colorimeter 151 .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M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The conveying means 160 may include various conveying means. In this way, since the colorimeter 151 measures the color space value of the steel plate M while reciprocally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M by the transfer means 160, the color space value for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el plate M is calculated. It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도 7의 (b)를 참조하면, 표색값 측정부(120)는, 강판(M)의 폭에 대하여 중앙에 고정된 중앙 색측계(152); 중앙 색측계(152)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강판(M)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한 쌍의 이동 색측계들(153, 154); 및 한 쌍의 이동 색측계들(153, 154)을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중앙 색측계(152)가 강판(M)의 폭방향의 중앙에 고정되어 강판(M)의 중앙부의 표색값을 하고 측정하고, 한 쌍의 이동 색측계들(153, 154)이 이송 수단(160)에 의하여 강판(M)의 폭의 절반 영역에 대하여 강판(M)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강판(M)의 표색값 측정하므로, 강판(M)의 표면 전체에 대한 표색값을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includes a central colorimeter 152 fixed to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M; a pair of moving colorimeters 153 and 154 disposed on both sides around the central colorimeter 152 and reciprocally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M; and a transport unit 160 for reciprocally transporting the pair of moving colorimeters 153 and 154 . In this way, the central colorimeter 152 is fixed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M to measure and measure the colorimetric valu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plate M, and a pair of moving colorimeters 153 and 154 are transported Since the color value of the steel plate M is measured while reciproc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M with respect to the half region of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M by means 160, the color space value for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el plate M is calculated It can be quickly measured in real time.

도 7의 (c)를 참조하면, 표색값 측정부(120)는, 강판(M)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색측계들(155)을 포함한다. 복수의 색측계들(155)은 강판(M)의 표색값을 강판(M)의 폭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강판(M)의 표면 전체에 대한 표색값을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송 수단(16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장치가 상대적으로 간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 the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olor meters 155 arranged in a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M.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colorimeters 155 may simultaneously measure the color space value of the steel sheet 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M as a w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measure the color space value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el sheet (M) in real time. In this case, since the conveying means 160 is not included, the apparatus can be relatively simple.

상술한 바와 같은 표색값 측정부에서의 색측계의 배치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rrangement of the colorimeter in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as described above is exemplar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험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xperimental examples are presen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are only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먼저, 열연강판을 준비한다. 표 1은 상기 열연강판의 강종 및 두께를 나타낸다. First, a hot-rolled steel sheet is prepared. Table 1 shows the steel type and thickness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구분division 강종steel grade 두께 (mm)thickness (mm) 실험예1Experimental Example 1 극저연질재very low soft material 4.54.5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35K 급35K class 4.04.0 실험예3Experimental Example 3 45K 급45K class 3.43.4 실험예4Experimental Example 4 60K 급60K class 3.03.0 실험예5Experimental Example 5 80K 급80K class 3.63.6

이어서, 상기 열연강판을 염산에 침지하여 산세 모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산세 모사실험은, 침지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열연강판의 표면의 스케일 제거 정도를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잔류 스케일의 양을 변화시켰다. 일반적으로, 침지 시간을 증가시키면, 잔류 스케일의 양이 감소된다. 상기 산세 모사 실험에서, 염산 농도는 100 g/L, 산세 온도는 85 ℃, 인히비터(inhibitor)는 0.3 wt%, 침지시간은 2초 내지 30초이었다.Then, the hot-rolled steel sheet was immersed in hydrochloric acid to perform a pickling simulation experiment. In the pickling simulation experiment, the degree of scale removal on the surfac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was changed by changing the immersion time, and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was changed accordingly. In general, increasing the immersion time reduces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In the pickling simulation experiment, the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was 100 g/L, the pickling temperature was 85 °C, the inhibitor was 0.3 wt%, and the immersion time was 2 to 30 seconds.

이어서, 상기 강판을 비접촉식 색측계를 이용하여 강판 표면의 표색값을 측정한다. 상기 표색값은 백색값(L*)을 포함하거나 또는 백색값(L*), 적록값(a*) 및 황청값(b*)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에서 상기 비접촉식 색측계의 이격 거리는 90 mm이었고, 측정 면적은 직경 25.4mm 원의 면적이었다.Then, the color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measured using a non-contact colorimeter. The color space value may include a white value (L * ) or a white value (L * ), a red-green value (a * ), and a yellow-blue value (b * ) together.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non-contact colorimeter from the steel sheet was 90 mm, and the measurement area was the area of a circle with a diameter of 25.4 mm.

상기 비접촉식 색측계의 경우에는, 광원의 빛 세기와 샘플에서 반사된 빛 세기를 동시에 측정하므로, 시간, 파장에 따른 광원의 세기, 검출기 감응 변화 등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고, 주변 밝기, 환경 변화 영향 없이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비접촉식 색측계는 예시적이며, 강판의 표면에 접촉하여 작동하는 접촉식 색측계를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In the case of the non-contact colorimeter, since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intensity reflected from the sample are simultaneously measured,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ime and wavelength, changes in detector sensitivity, etc.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and changes in ambient brightness and environment It can be measured without influence. However, the non-contact colorimeter is exemplary, and a case of using a contact-type colorimeter operat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상기 색측계를 측정한 상기 강판의 표면 이미지를 고성능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법을 통하여 잔류 스케일량을 정량화하였다. 상기 이미지 분석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Then, the surface image of the steel sheet, which was measured with the colorimeter, was taken with a high-performance digital camera, and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was quantified through an image analysis method for the captured image. The image analysis method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이어서, 상기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취득하였다.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에 대한 상관관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상관관계는 상기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을 조합한 것에 대한 상관관계일 수 있다.T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spac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was obtained by using a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correlation may be a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a white value. Alternatively, the correlation may be a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a combination of a white value, a red-green value, and a yellow-blue value.

이어서, 다른 강판인 예측대상 강판의 표면의 표색값을 측정하고, 상기 표색값을 상기 상관관계에 대입하여, 상기 예측대상 강판의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하였다. 상기 예측대상 강판은 열간압연 및 산세처리를 수행한 열연강판일 수 있다.Next, the color color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o be predicted, which is another steel sheet, was measured, and the color value was substituted into the correlation to predict the residual scale amount of the steel sheet to be predicted. The prediction target steel sheet may be a hot-rolled steel sheet subjected to hot rolling and pickling treatment.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산세 침지 시간에 따른 강판의 표면 색상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8 and 9 are photographs showing the surface color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ickling immersion time, obtained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산세 침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표면 색상이 흑색에서 백색에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은 동일한 강판에서 각 산세 침지시간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반복 수행한 후 잔류 스케일량의 평균 값을 취득하였다.8 and 9, as the pickling immersion time in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color approaches from black to white. The experiment was repeated 3 times for each pickling immersion time on the same steel plate. After repeated execu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residual scale amount was obta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산세 침지 시간에 따른 잔류 스케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residual scale amount according to the pickling immersion time obtained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산세 침지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잔류 스케일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산세 침지시간이 10초 내지 15초 사이에서 또는 5초 내지 10초 사이에서 잔류 스케일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 9 및 도 10에서 상기 시간 범위에서 표면의 명도가 급격하게 증가한 결과와 일치한다.Referring to FIG. 10 , as the pickling immersion time increased,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decreased. In particular, when the pickling immersion time was between 10 seconds and 15 seconds, or between 5 seconds and 10 seconds, the amount of residual scale decreased sharply.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in which the brightness of the surface sharply increased in the time range in FIGS. 9 and 10 .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11 is a graph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residual scale amount and a white value obtained using a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은 선형적이고 음(-)의 기울기를 가지는 관계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잔류 스케일량이 증가되면, 백색값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it can be seen that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white value have a linear relationship with a negative slop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as the residual scale amount increases, the white value decreases.

실험예1에서, 상기 관계는 [L*] = 73.14 - 0.3159 x [잔류 스케일량(%)] 이고, R2 = 96% 로 산출되었다. 실험예2에서, 상기 관계는 [L*] = 67.37 - 0.3453 x [잔류 스케일량(%)] 이고, R2 = 96% 로 산출되었다. 실험예3에서, 상기 관계는 [L*] = 64.33 - 0.3231 x [잔류 스케일량(%)] 이고, R2 = 96% 로 산출되었다. 실험예4에서, 상기 관계는 [L*] = 52.99 - 0.09032 x [잔류 스케일량(%)] 이고, R2 = 96% 로 산출되었다. 실험예5에서, 상기 관계는 [L*] = 51.65 - 0.2004 x [잔류 스케일량(%)] 이고, R2 = 96% 로 산출되었다. 상술한 관계들로부터, 표 2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In Experimental Example 1, the relationship was [L * ] = 73.14 - 0.3159 x [residual scale amount (%)], and R 2 = 96%. In Experimental Example 2, the relationship was [L * ] = 67.37 - 0.3453 x [residual scale amount (%)], and was calculated as R 2 = 96%. In Experimental Example 3, the relationship was [L * ] = 64.33 - 0.3231 x [residual scale amount (%)], and was calculated as R 2 = 96%. In Experimental Example 4, the relationship was [L * ] = 52.99 - 0.09032 x [residual scale amount (%)], and R 2 = 96%. In Experimental Example 5, the relationship was [L * ] = 51.65 - 0.2004 x [residual scale amount (%)], and was calculated as R 2 = 96%. From the above-described relationships, a correlation in Table 2 can be derived.

표 2는 도 11의 결과로부터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 사이의 상관관계 및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의 조합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표 2에서, L* 은 백색값, a*는 적록값 및 b*는 황청값이다.Table 2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white valu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combination of the white value, the red-green value, and the yellow-blue value from the result of FIG. 11 . In Table 2, L * is a white value, a * is a red-green value, and b * is a yellow-blue value.

구분division 상관관계correlation 실험예1Experimental Example 1 백색White [잔류 스케일량(%)] = 225 - 3.04 [L*][Residual scale amount (%)] = 225 - 3.04 [L * ] 조합Combination [잔류 스케일량(%)] = 219-3.15[L*]+2.67[a*]+2.15[b*][Residual scale amount (%)] = 219-3.15[L * ]+2.67[a * ]+2.15[b * ]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백색White [잔류 스케일량(%)] = 195 - 2.84 [L*][Residual scale amount (%)] = 195 - 2.84 [L * ] 조합Combination [잔류 스케일량(%)] = 166-3.19[L*]+3.98[a*]-2.27[b*][Residual scale amount (%)] = 166-3.19[L * ]+3.98[a * ]-2.27[b * ] 실험예3Experimental Example 3 백색White [잔류 스케일량(%)] = 195 - 3.01 [L*][Residual scale amount (%)] = 195 - 3.01 [L * ] 조합Combination [잔류 스케일량(%)] = 202-2.95[L*]-1.09[a*]+0.97[b*][Residual scale amount (%)] = 202-2.95[L * ]-1.09[a * ]+0.97[b * ] 실험예4Experimental Example 4 백색White [잔류 스케일량(%)] = 480 - 8.9 [L*][Residual scale amount (%)] = 480 - 8.9 [L * ] 조합Combination [잔류 스케일량(%)] = 298-4.1[L*]-9.94[a*]-9.78[b*][Residual scale amount (%)] = 298-4.1[L * ]-9.94[a * ]-9.78[b * ] 실험예5Experimental Example 5 백색White [잔류 스케일량(%)] = 248 - 4.75 [L*][Residual scale amount (%)] = 248 - 4.75 [L * ] 조합Combination [잔류 스케일량(%)] = 246-4.47[L*]-2.08[a*]-1.51[b*][Residual scale amount (%)] = 246-4.47[L * ]-2.08[a * ]-1.51[b * ]

표 2를 참조하면,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식 1과 같다.Referring to Table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white value is as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잔류 스케일량(%)] = X - Y [L*] [Residual scale amount (%)] = X - Y [L * ]

(여기에서, 180 < X < 500, 2.5< Y < 9 이고, L* 은 백색값임) (where 180 < X < 500, 2.5 < Y < 9, and L * is the white value)

또한,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식 2와 같다.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white value, the red-green value, and the yellow-blue value 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식 2><Equation 2>

[잔류 스케일량(%)] = C - D [L*] + E[a*] + F [b*][Residual scale amount (%)] = C - D [L * ] + E[a * ] + F [b * ]

(여기에서, 150 < C < 300, 2.8 < D < 4.5, -10 < E < 4, -10 < F < 3 이고, L* 은 백색값, a*는 적록값 및 b*는 황청값임)(Where, 150 < C < 300, 2.8 < D < 4.5, -10 < E < 4, -10 < F < 3, L * is the white value, a * is the red-green value, and b * is the yellow-blue value)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취득한,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예측 잔류 스케일량을 비교한 그래프들이다.12 to 16 are graphs comparing the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predicted residual scale amount obtained using the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scale of a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6에서, (a)는 표색값으로 백색값을 적용한 경우이고, (b)는 표색값으로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을 조합하여 적용한 경우이다.12 to 16 , (a) is a case where a white value is applied as a color space value, and (b) is a case where a combination of a white value, a red-green value, and a yellow-blue value is applied as a color space value.

도 12 내지 도 16 각각의 (a)를 참조하면, 실제 측정한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백색값을 이용하여 예측한 예측 잔류 스케일량이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a) of each of FIGS. 12 to 16 , it can be seen that the actually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predicted residual scale amount predicted using the white val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tch very well.

또한, 도 12 내지 도 16 각각의 (b)를 참조하면, 실제 측정한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을 이용하여 예측한 예측 잔류 스케일량이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each of FIGS. 12 to 16, the actually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predicted residual scale amount predicted using the white value, the red-green value, and the yellow-blue val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good. coincidence can be seen.

표 3은 도 12 내지 도 16의 실험예들에서 측정 잔류 스케일량과 예측 잔류 스케일량에 대한 R2 및 평균 제곱근 편차(RMSE)를 나타내는 표이다. Table 3 is a table showing R 2 and root mean square deviation (RMSE) for the measured residual scale amount and the predicted residual scale amount in the experimental examples of FIGS. 12 to 16 .

구분division R2 R 2 평균 제곱근 편차(RMSE)Root Mean Squared Deviation (RMSE) 실험예1
(도 12)
Experimental Example 1
(Fig. 12)
백색White 95.0%95.0% 7.1%7.1%
조합Combination 96.4%96.4% 6.8%6.8% 실험예2
(도 13)
Experimental Example 2
(Fig. 13)
백색White 97.6%97.6% 6.4%6.4%
조합Combination 98.8%98.8% 4.1%4.1% 실험예3
(도 14)
Experimental Example 3
(Fig. 14)
백색White 97.1%97.1% 6.2%6.2%
조합Combination 98.4%98.4% 4.5%4.5% 실험예4
(도 15)
Experimental Example 4
(Fig. 15)
백색White 80.4%80.4% 19.9%19.9%
조합Combination 97.5%97.5% 7.1%7.1% 실험예5
(도 16)
Experimental Example 5
(Fig. 16)
백색White 95.1%95.1% 9.1%9.1%
조합Combination 95.3%95.3% 8.9%8.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belongs.

100: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110: 산세 처리부,
111: 스케일 파쇄구역, 112: 산세구역,
113: 수세구역, 114: 건조구역,
120: 표색값 측정부,
130: 데이터 처리부, 140: 데이터베이스부,
150, 151, 152, 153, 154, 155: 색측계,
160: 이동 수단, M: 강판,
100: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110: pickling processing unit;
111: scale crushing zone, 112: pickling zone,
113: washing area, 114: drying area,
120: color space measurement unit;
130: data processing unit, 140: database unit;
150, 151, 152, 153, 154, 155: colorimeter,
160: means of transportation, M: steel plate,

Claims (8)

강판을 산세 처리하는 산세 처리부;
상기 강판의 표면의 표색값을 측정하고, 상기 강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비접촉식 색측계를 포함하는 표색값 측정부; 및
상기 표색값으로부터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Pickling processing unit for pickling the steel sheet;
a colorimetric valu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colorimetric value of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includes a non-contact colorimet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teel plate;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predicting a residual scale amount from the color space value;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표색값으로부터 상기 잔류 스케일량을 예측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predicts the residual scale amount from the color space value us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spac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색값과 상기 잔류 스케일량의 상관관계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 space value and the residual scale amount and providing i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 처리부는,
상기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파쇄하는 스케일 파쇄구역;
상기 강판을 산세하는 산세구역;
상기 강판을 물로 세척하는 수세구역; 및
상기 강판을 건조하는 건조구역;을 포함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ickling processing unit,
a scale crushing zone for crushing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 pickling zone for pickling the steel plate;
a washing zone for washing the steel plate with water; and
A drying zone for drying the steel sheet; including,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색값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표색값은 백색값, 적록값 및 황청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or space value measured by the color space value measuremen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white value, a red-green value, and a yellow-blue value,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색값 측정부는,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색측계; 및
상기 색측계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ement unit,
a color meter reciproc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nd
Containing; convey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colorimeter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색값 측정부는,
상기 강판의 폭에 대하여 중앙에 고정된 중앙 색측계; 및
상기 중앙 색측계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한 쌍의 이동 색측계들; 및
상기 한 쌍의 이동 색측계들을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ement unit,
a central colorimeter fixed to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and
a pair of moving colorimeters disposed on both sides around the central colorimeter and reciprocally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and
Containing, convey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pair of moving colorimeters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색값 측정부는,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색측계들;을 포함하는,
강판의 잔류 스케일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orimetric value measurement unit,
Containing; a plurality of color meters arranged in a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Steel plate residual scale prediction system.
KR1020200106854A 2020-08-25 2020-08-25 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KR102407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854A KR102407419B1 (en) 2020-08-25 2020-08-25 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854A KR102407419B1 (en) 2020-08-25 2020-08-25 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155A true KR20220026155A (en) 2022-03-04
KR102407419B1 KR102407419B1 (en) 2022-06-10

Family

ID=8081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854A KR102407419B1 (en) 2020-08-25 2020-08-25 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4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120A (en) * 2001-02-06 2002-08-23 Nkk Corp Diagnostic method for rust stabilization
JP3919267B2 (en) * 1996-10-31 2007-05-23 栗田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condition of steel
KR20100137220A (en)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엔케이 Apparatus for desulfurization and denitrification from exhaust gas of a ship
KR20140065500A (en) * 2012-11-15 2014-05-3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measuring remain scale and the method thereof
JP2018146567A (en) * 2017-03-03 2018-09-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Surface quality det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9267B2 (en) * 1996-10-31 2007-05-23 栗田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condition of steel
JP2002236120A (en) * 2001-02-06 2002-08-23 Nkk Corp Diagnostic method for rust stabilization
KR20100137220A (en)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엔케이 Apparatus for desulfurization and denitrification from exhaust gas of a ship
KR20140065500A (en) * 2012-11-15 2014-05-3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measuring remain scale and the method thereof
JP2018146567A (en) * 2017-03-03 2018-09-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Surface quality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419B1 (en)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113B2 (en) Surface state monitoring apparatus for metallic body and surface state monitoring method for metallic body
US8506159B2 (en) Method for detecting defect in material and system for the method
US10267747B2 (en) Surface defect inspecting device and method for steel sheets
US50919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surfaces for contrast variations
KR101956488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shape of metal body, and method for inspecting shape of metal body
US20120189189A1 (en) Optical inspection optimization
KR20230017312A (en) Metal strip surface inspection device, surface inspec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407419B1 (en) System of estimating residual scale in rolled steel sheet
JP2011191252A (en) Surface quality evaluation method of metal and surface quality evaluation apparatus of metal
WO2015198401A1 (en) Method for setting inspection condition for fastener element, and method for inspecting fastener element
JP2018146567A (en) Surface quality detection method
JP6969500B2 (en) Good / bad judgment method and good / bad judgment device for the surface of dull finish material
JP4108403B2 (en) Aluminum extruded sectio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70087828A (en) Method for measuring oil layer of strip
KR20220161062A (en) Method of controlling pickling process and system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41703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urface defect
JPH06160298A (en) Automatic color tone deciding method
De Kerf et al. Quantitative detection of corrosion minerals in carbon steel using shortwave infrared hyperspectral imaging
KR102609380B1 (en) Smart pickling process control method
JP2005315748A (en) Data compression method,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defect inspection device
JPH09101265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al plate for surface defect
JP2018151351A (en) Surface quality evaluation method using coloring method for stainless steel
JP3318393B2 (en) Measuring method of element concentration on surface of alloy
CN116067891A (en) Meat marinating on-line detection system based on polarization image sensing and application thereof
JPH08145911A (en) Automatic method for inspection of surface defect of al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