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471A - Elevator wire clamp - Google Patents

Elevator wire c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471A
KR20220025471A KR1020200106217A KR20200106217A KR20220025471A KR 20220025471 A KR20220025471 A KR 20220025471A KR 1020200106217 A KR1020200106217 A KR 1020200106217A KR 20200106217 A KR20200106217 A KR 20200106217A KR 20220025471 A KR20220025471 A KR 20220025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wire
fixing
elevato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5781B1 (en
Inventor
오태순
Original Assignee
오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순 filed Critical 오태순
Priority to KR102020010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781B1/en
Publication of KR2022002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wire clamp, which comprises: a first fixing clamp fixed to one end of a wire; a second fixing clam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clamp to bind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wire; a clamp case member install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clamps; and a wire support member having one side installed on the case member, and the other side installed on a frame of an elevator. The wire can be more firmly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clamps, and the wire can be fixed regardless of a direction in which a load is applied by upper and lower bodies of the second fixing clamp. Also, the wire can be fixed without slipping due to expansion of a contact surface by the second fixing clamp.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Elevator wire clamp}Elevator wire clamp {Elevator wire clamp}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that can bind wires installed in an elevator simply and firmly.

일반적으로 고층건물 및 아파트의 목적층으로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는 운반물을 싣는 상자부분인 케이지(cage)와, 케이지를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풀리와 모터가 설치된 권양기(捲楊機), 가이드 레일(안내궤도), 권양기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케이지의 무게와 상대적으로 매달려 움직이는 카운터 웨이트, 케이지와 카운터 웨이트를 연결하여 권양기의 회전 바퀴에 걸리는 와이어로프(wire rope)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elevators that move people or cargo to the destination floor of high-rise buildings and apartments include a cage, which is a part of a box for loading, and a hoist with a drive pulley and a motor installed to move the cage up and down; It consists of a guide rail (guide track), a counterweight that hangs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cage to reduce the load on the hoist, and a wire rope that connects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and is hung on the rotating wheel of the hoist.

엘리베이터는 모터에 의해 권선된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 상하로 승강시키게 되므로 와이어 로프의 견고한 결속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Since the elevator moves up and down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rope wound by the motor, the strong binding of the wire rop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safety of the elevator.

통상 와이어 로프의 말단부(모터에 권취되는 않는 반대쪽 단부)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콘크리트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데, 와이어 로프를 구조물에 고정시킬 때 와이어 로프 화스너(10)가 사용된다.Usually, the distal end of the wire rope (opposite end not wound on the motor) is firmly fixed to the elevator structure (concrete or frame), and a wire rope fastener 10 is used when fixing the wire rope to the structur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 화스너(10)는 상/하부가 통해진 화스너 하우징(10a)에서 화스너 하우징(10a)의 하측 부분은 깔대기를 약간 눌러 놓은 것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경이 하측으로 점차 작아지게 이루어져 있고, 화스너 하우징(10a)의 상측 부분은 화스너 하우징(10a)속으로 밴더(12, bander)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1 and 2, the wire rope fastener 10 has a shape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astener housing 10a are passed through,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er housing 10a is shaped like a funnel is slightly pressed. The lower side is made small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astener housing 10a is opened so that the bander 12 can enter and exit the fastener housing 10a.

밴더(12)는 화스너 하우징(10a)의 하부 내경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테두리면에 와이어 로프(20)의 원주면이 삽입되는 반원형 홈(12a)이 마련되어 있다.The bender 1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inner diameter of the fastener housing 10a, and a semicircular groove 12a into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rope 20 is inserted is provided on the edge surface thereof.

와이어 로프(20)는 통상 인장강도가 우수한 강선으로 제조된 것이 사용되며, 엘리베이터의 적절한 승하강 이동을 위해 복수개의 가닥이 사용된다.The wire rope 20 is usually made of a steel wire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a plurality of strands are used for proper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or.

와이어 로프(20)와 화스너(10)의 연결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01)을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너트(14)로 체결하여 고정한 뒤 와이어 로프(20)를 화스너(10) 하우징(10a)속으로 관통시킨 뒤 와이어 로프(20)를 밴더(12)의 테두리 둘레에 휘감아 밴더(12)를 화스너 하우징(10a)속으로 삽입하여 화스너 하우징(10a) 밖으로 빠져 나온 와이어 로프(20)를 클램프(21)(나선이 형성된 밴드와 너트로 와이어 로프를 결속함)로 견고히 체결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ire rope 20 and the fastener 10 are connected by fastening the fixing shaft 101 to the elevator structure with a nut 14 and then fixing the wire rope 20 with the fastener 10. ) After penetrating into the housing 10a, the wire rope 20 is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bender 12, and the bender 12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housing 10a. 20) is firmly fastened with a clamp 21 (which binds the wire rope with a spiral band and a nut).

그리고 화스너 하우징(10a)의 상측 개구부(도면부호 없음)속으로 고정축(11)을 삽입한 뒤, 고정축(11)에 관통하도록 고정핀(13)을 화스너 하우징(10a)을 가로질러 연결하면, 고정축(11)과 화스너(10) 및 와이어 로프(20)가 연결된다.Then, after inserting the fixing shaft 11 into the upper opening (no reference numeral) of the fastener housing 10a, the fixing pin 13 is connected across the fastener housing 10a to penetrate the fixing shaft 11. , the fixed shaft 11 and the fastener 10 and the wire rope 20 are connected.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보호 13은 고정축(11)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탄력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축(1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다.1 and 2, the drawing protection 13 is a spring that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fixed shaft 11 so that the fixed shaft 11 can be elastically fixed to the concrete structure.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와이어 로프는 엘리베이터(도면에는 미도시) 및 무게추(도면에는 미도시)의 하중압이 내재되므로 와이어 로프는 화스너 하우징(10a)밖으로 항시 인장되므로 밴더(12)에 내재된 인장력에 의해 와이어 로프(20)를 화스너 하우징(10a)의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된다.Since the wire rop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load pressure of the elevator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weight (not shown in the drawing) inherent in the wire rope, the wire rope is always pulled out of the fastener housing 10a, so the tensile force inherent in the bender 12 Thus, the wire rope 2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astener housing 10a.

그러나 엘리베이터는 과도한 인원이 탑승하거나 고중량의 화물이 적재되기도 하고, 정전 혹은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운행중인 엘리베이터가 돌발적으로 정지하기도 하며, 또 엘리베이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와이어 로프가 늘어나는 등 복합적이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와이어 로프(20)는 화스너(10)에서 조금씩 빠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때때로 과도한 인장력이 와이어 로프(20)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면 와이어 로프(20)의 일부가 파절되기도 한다.However, in elevators, there are complex and various causes such as excessive number of people boarding or heavy cargo being loaded, the elevator in operation is abruptly stopped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power outage or fire, and the wire rope is stretched due to long-term use of the elevator. By this, a problem occurs that the wire rope 20 is pulled out little by little from the fastener 10, and sometimes when an excessive tensile force is momentarily applied to the wire rope 20, a part of the wire rope 20 is fractured.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는 엘리베이터의 수시 점검에서 확인되고, 또 엘리베이터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 로프가 사용되므로 여러 가닥의 와이어 로프가 각 화스너에서 동시에 빠질 확율은 크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는 큰 인명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이고, 또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 있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와이어 로프 결속용 화스너가 요구되고 있다.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confirmed in the frequent inspection of the elevator, and since several strands of wire rope are used in the elevator, the probability that several strands of wire rope will fall out of each fastener at the same time is not high, but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can lead to a major human accident. It is a potential hazard that can cause, and it is also a factor that lowers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elevator, so a more reliable elevator wire rope binding fastener is require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프 결속용 화스너'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fastener for binding a wire rope in an elevator'.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프 결속용 화스너는 엘리베이터 와이어 로프의 일단을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와이어 로프 결속용 화스너에 있어서, 상하가 통해진 하우징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테이퍼져 내경이 점점 작아지고, 하우징의 타측은 개방된 된 화스너와, 테두리면에 와이어 로프를 수용하는 반원형 홈과 상기 테이퍼진 화스너 하우징의 내면에 상응하는 단면구조를 지니고 와이어 로프의 인장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 V자형 홈을 구비하는 분할된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진 밴더 및 상기 V자형 홈에 결합되어 와이어 로프의 인장력에 의해 삽입되어 분할된 양 몸체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쐐기로 구성된다.In the elevator wire rope binding fastener for fixing one end of the elevator wire rope to the elevator structure, the elevator wire rope binding fasten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below, wherein one side of the housing through which the top and bottom passes are tapered at a certain angle so that the inner diameter is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has an open fastener, a semi-circular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wire rope on the edge surface, and a cross-sect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apered fastener housing. It consists of a bander consisting of a pair of divided bodies having a shape groove, and a wedge coupled to the V-shaped groove and insert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wire rope to expand the divided bodie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내진 다단 웨이브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s a 'seismic multi-stage wave clamp'.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내진 다단 웨이브 클램프는 양단부에 좌우로 관통되면서 상방 개구(開口)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로프(wire rope)가 안착되는 한 쌍의 지지홈과, 전후 단부에 U자형 볼트의 각 단부가 삽입되되 상기 각 지지홈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하 관통형 삽입홀을 갖는 n(단, n은 2이상의 정수임)개의 클램프바디(clamp body) 및 상기 각 클램프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부에 좌우로 관통되면서 상방 개구되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 보다 바닥이 높게 위치하게 되는 안착라운드홈을 갖는 n-1개의 서포트바디(support body)를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진다.The seismic multi-stage wave clamp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is formed to open upward while penetrating left and right at both ends, a pair of support grooves in which a wire rope is seated, and each end of a U-shaped bolt at the front and rear ends n (where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hav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penetrating insertion holes disposed between the respective support grooves and disposed between each clamp body and each clamp body, It is formed to be opened upward while penetrating from side to side, and it consists of a unit body (U) including n-1 support bodies having a seating round groove whose bottom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upport groove.

상기 클램프바디의 지지홈과 상기 서포트바디의 안착라운드홈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로프가 U자형 볼트에 체결된 너트 조임 시 하강되는 U자형 볼트에 의해 가압되면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클램프바디의 지지홈에서 일자 형태를 이루다가 상기 서포트바디의 안착라운드홈 측으로 상승하고 다시 지지홈 측으로 하강하는 사인 웨이브 커브(sinewaves curve) 형태로 이루어진다.When the support groove of the clamp body and the wire rope disposed along the seating round groove of the support body are pressed by the U-shaped bolt that is lowered when tightening the nut fastened to the U-shaped bolt, the support groove of the clamp body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is made in the form of a sinewave curve that rises toward the seating round groove side of the support body and descends again toward the support groove side after forming a straight line in the .

상기 클램프바디와 상기 서포트바디는 [주조, 단조, 절삭가공]의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제조공법에 의해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클램프바디와 상기 서포트바디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의 형상을 이루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살빼기용 공간부(S)가 형성된다.The clamp body and the support body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by one type of manufacturing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of [casting, forging, and cutting], and the clamp body and the support body form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Doe, along the perimeter a plurality of space for losing weight (S) is formed.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1605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6052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819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81948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5346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5346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를 제1 클램프에 의해 1차로 고정시킨 다음 제2 클램프에 의해 2차로 고정시킴으로써 하중이 많이 걸리는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fix the wire of the elevator that takes a lot of load more firmly by first fixing the wire by the first clamp and then fixing the second by the second clamp. It is to provide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that makes it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와 제2 클램프가 테이퍼면에 의해 와이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와이어의 이탈 또는 분리를 방지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in which the case and the second clamp more firmly fix the wire by the tapered surface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는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클램프(110);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제2 고정클램프(130);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의 외측에 설치되는 클램프 케이스부재(150); 일측이 상기 케이스부재(150)에 설치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vator wir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fixing clamp 110 fixed to one end of the wire; a second fixing clamp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to bind the wir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 a clamp case member 15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 One side is installed on the case member 150, the other side is a wire support member 170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클램프본체(111); 상기 클램프본체(111)의 외면에 고정볼트(113)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구멍(112); 상기 체결구멍(112)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13);를 포함하며,The first fixing clamp 110 includes a clamp body 111 in which a hollow is formed so that the wire is inserted; a fastening hole 112 formed so that a fixing bolt 113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and a fixing bolt 113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2 to fix the wire.

상기 체결구멍(112)은 상기 클램프본체(111)의 외면에 등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113)는 등각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구멍(112)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 are formed at an equal ang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and the fixing bolts 113 are fastened to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 formed at an equal angle to fix the wire. do.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제1 클램프(131), 제2 클램프(132), 제3 클램프(133)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상기 분할 형성된 클램프(131, 132, 133)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본체(134)와,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본체(135)로 이루어지며,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divided into a first clamp 131 , a second clamp 132 , and a third clamp 133 ,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ncludes the divided clamp 131 , It consists of an upper body 134 formed on one side of 132, 133, and a lower body 135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제1 클램프(131), 상기 제2 클램프(132) 및 상기 제3 클램프(133)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34)와 상기 하부본체(135) 사이에 형성되는 스냅링홈부(134); 상기 제1 클램프(131) 내지 상기 제3 클램프(133)의 상기 상부본체(134)에 상기 케이스부재(150)의 내면에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경사면(138); 상기 제1 클램프(131) 내지 상기 제3 클램프(133)의 상기 하부본체(135)에 상기 제1 클램프부재(10)에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면(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lamp 131 , the second clamp 132 , and the third clamp 133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134 and the lower body 135 to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snap ring groove portion 134; The upper body 134 of the first clamp 131 to the third clamp 133 is sli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member 150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press and fix the wire. inclined surface 138; The lower body 135 of the first clamp 131 to the third clamp 133 is slid on the first clamp member 10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press and fix the w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139).

상기 케이스부재(1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51); 상기 케이스본체(151)의 일측에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가 슬라이딩 되면서 압착되게 형성되는 전방경사부(152); 상기 케이스본체(151)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핀(153);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핀(153)과 교차되게 형성되는 슬릿홈부(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member 15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e case body 151 is hollow formed through the wire; a front inclined portion 152 formed to be compressed while sliding the second fixing clamp 130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151; a coupling pin 153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se body 151 so that the wire support member 170 is coupled; and a slit groove portion 155 formed to cross the coupling pin 153 so that the wire support member 170 is fitted thereinto.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는 상기 케이스부재(150)에 결합되게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71); 상기 고정플레이트(171)에 형성되는 결합구멍(172); 상기 고정플레이트(17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173); 상기 고정로드(173)에 형성되는 나사부(174);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75);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제1 받침판(176);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제2 받침판(177);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상기 제2 받침판(177)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 support member 170 includes a fixing plate 171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ase member 150; a coupling hole 172 formed in the fixing plate 171; a fixing rod 173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171 to a predetermined length; a screw portion 174 formed on the fixing rod 173; a fixing bolt 175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174; a first support plate 176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174; a second support plate 177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7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174; and a spring (178)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76)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에 의하면, 제1 고정클램프 및 제2 고정클램프에 의해 와이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제2 고정클램프의 상부본체 및 하부본체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고, 제2 고정클램프에 의한 접촉면의 확대로 와이어를 미끄러짐(슬립)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wir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an be more firmly fixed by the first fixing clamp and the second fixing clamp, and the load b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second fixing clamp. The wire can be fixed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applied, and the effect that the wire can be fixed without slipping (slip) is obtained by expanding the contact surface by the second fixing clamp.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에 의하면, 3개로 분할된 제2 클램프에 의해 와이어와 클램프를 보다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와이어 지지부재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제1 받침판과 제2 받침판에 의해 스프링의 길이를 가변시켜 충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wire clamp for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and the clamp can be more easily coupled by the second clamp divided into three, the shock can be alleviated by the spring installed on the wire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spring by the second support plate, the effect of reducing the impact is obtained.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와이어 로프 결속용 화스너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스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illustrating a fastener for binding a conventional elevator wire rope;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stener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9;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1;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because the embodiments are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becaus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는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제2 고정클램프(130)와,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의 외측에 설치되는 클램프 케이스부재(150)와, 일측이 상기 클램프 케이스부재(150)에 설치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170)를 포함한다.The elevator wire clam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ing clamp 110 fixed to one end of a wir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to secure the wir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 A second fixing clamp 130 for binding, a clamp case member 150 installed outside the first fixing clamp 110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and one side of the clamp case member 150 and a wire support member 17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elevato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is It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는 와이어(1)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고정클램프(130)와,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와 제2 고정클램프(130)의 외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부재(150) 및 상기 케이스부재(150)에 결합되는 와이어 지지부재(170)로 이루어진다.3 to 6, the elevator wire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ing clamp 110 fixed to the end of the wire 1, and the first fixing clamp 110. A second fixing clamp 130 installed on one side, a case member 15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 and a wire coupled to the case member 150 . It consists of a support member (170).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클램프본체(111)와, 상기 클램프본체(111)의 외면에 고정볼트(113)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구멍(112)와, 상기 체결구멍(112)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13)를 포함한다.The first fixing clamp 110 includes a clamp body 111 in which a hollow is formed so that the wire is inserted, and a fastening hole 112 in which a fixing bolt 113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and ,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2 and includes a fixing bolt 113 for fixing the wire.

상기 체결구멍(112)은 상기 클램프본체(111)의 외면에 등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113)는 등각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구멍(112)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게 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 are formed at an equal ang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 and the fixing bolts 113 are fastened to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 formed at an equal angle to fix the wire.

상기 클램프본체(11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본체(111)에는 다수의 체결구멍(112, 도 10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12)에는 고정볼트(113)가 체결된다.The clamp body 11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hollow so that a wire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 (refer to FIG. 10 ) are formed in the clamp body 111 , and the fastening holes 112 . ), the fixing bolt 113 is fastened.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공에는 와이어(1)를 끼워 넣은 다음 다수의 고정볼트(113)에 의해 제1 고정클램프(110)와 와이어(1)를 고정하게 된다.The first fixing clamp 11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wire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then the first fixing clamp 110 and the wire 1 are fixed by a plurality of fixing bolts 113. do.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의 일면에는 제2 고정클램프(130)가 안착되게 내측으로 경사진 안착면(114)이 형성된다.An inwardly inclined seating surface 114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to seat the second fixing clamp 130 .

이러한 안착면(114)은 제2 고정클램프(130)의 하부경사면(139)이 안착되며,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의 하부경사면(139)이 안착되면서 제2 고정클램프(130)가 와이어(1)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게 된다.In this seating surface 114,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9 of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seated,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connected to the wire while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9 of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seated. (1) is pressed more firmly.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제1 클램프(131), 제2 클램프(132), 제3 클램프(133)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상기 분할 형성된 클램프(131, 132, 133)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본체(134)와,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본체(135)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divided into a first clamp 131 , a second clamp 132 , and a third clamp 133 ,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ncludes the divided clamp 131 , It consists of an upper body 134 formed on one side of 132, 133, and a lower body 135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제1 클램프(131), 상기 제2 클램프(132) 및 상기 제3 클램프(133)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34)와 상기 하부본체(135) 사이에 형성되는 스냅링홈부(134)와, 상기 제1 클램프(131) 내지 상기 제3 클램프(133)의 상기 상부본체(134)에 상기 케이스부재(150)의 내면에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경사면(138)과, 상기 제1 클램프(131) 내지 상기 제3 클램프(133)의 상기 하부본체(135)에 상기 제1 클램프부재(10)에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면(139)을 포함한다.The first clamp 131 , the second clamp 132 , and the third clamp 133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134 and the lower body 135 to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The snap ring groove portion 134 and the upper body 134 of the first clamp 131 to the third clamp 133 sl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member 150 to press and fix the wire. An upper inclined surface 138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It includes a lower inclined surface 139 tha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pressed and fixed.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제1 클램프(131), 제2 클램프(132) 및 제3 클램프(133)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분할된 3개의 클랭프(131~133)는 스냅링(137)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다.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divided into a first clamp 131 , a second clamp 132 , and a third clamp 133 , and the three divided clamps 131 to 133 include a snap ring 137 . ) are combined into one.

상기 3개로 이루어진 클램프(131~133)는 케이스부재(150)에 밀착되는 상부본체(134)와,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의 안착면(114)에 밀착되는 하부본체(135)로 이루어진다.The three clamps 131 to 133 include an upper body 134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se member 150 and a lower body 135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4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 .

상기 상부본체(134)와 하부본체(135) 사이에는 3개로 분할된 클램프(131~133)를 하나로 결합되게 스냅링홈부(136)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링홈부(136)에 결합되는 스냅링(137)이 구비된다.A snap ring groove 136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134 and the lower body 135 so that the clamps 131 to 133 divided into three are combined into one, and a snap ring 137 coupled to the snap ring groove 136. this is provided

상기 상부본체(134)에는 케이스부재(15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상부경사면(138)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35)에는 안착면(114)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하부경사면(139)이 형성된다.The upper body 134 has an upper inclined surface 138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case member 150 , and the lower body 135 has a lower inclined surface 139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seating surface 114 . this is formed

상기 케이스부재(1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51)와, 상기 케이스본체(151)의 일측에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가 슬라이딩 되면서 압착되게 형성되는 전방경사부(152)와, 상기 케이스본체(151)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핀(153)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핀(153)과 교차되게 형성되는 슬릿홈부(155)를 포함한다.The case member 15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ase body 151 is hollow so that the wire passes therethrough,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sli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151 and is compressed. A front inclined portion 152 formed so as to be formed, a coupling pin 153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se body 151 so that the wire support member 170 is coupled thereto, and the wire support member 170 so that the wire support member 170 is fitted. It includes a slit groove portion 155 formed to cross the coupling pin 153 .

상기 케이스부재(15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케이스본체(151)와, 상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경사부(152)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51)에는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결합되게 결합핀(153)이 구비된다.The case member 150 is formed of a case body 151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front inclined portion 152 inclin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and a wire support member 170 is coupled to the case body 151 . A coupling pin 153 is provided.

상기 전방경사부(152)는 제2 고정클램프(130)의 상부경사면(138)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ront inclined portion 152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8 of the second fixing clamp 130 .

상기 결합판(153)은 케이스본체(1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53)을 분리 및 고정시킬 수 있게 고정핀(154)이 구비된다.The coupling plate 15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151 , and a fixing pin 154 is provided to separate and fix the coupling pin 153 .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51)에는 와이어 지지부재(170)의 고정플레이트(171)를 간편하게 끼워 넣을 수 있게 슬릿홈부(155)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t groove 155 is formed in the case body 151 so that the fixing plate 171 of the wire support member 170 can be easily inserted therein.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는 상기 케이스부재(150)에 결합되게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7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71)에 형성되는 결합구멍(17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7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173)와, 상기 고정로드(173)에 형성되는 나사부(174)와,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75)와,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제1 받침판(176)와,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제2 받침판(177)와,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상기 제2 받침판(177)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78)을 포함한다.The wire support member 170 includes a fixing plate 171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ase member 150 , a coupling hole 172 formed in the fixing plate 171 ,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xing plate 171 . A fixing rod 173 extending with a length of a first support plate 176 to be used, a second support plate 177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7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astened to the screw part 174, the first support plate 176 and the second and a spring 178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lates 177 .

상기 고정플레이트(171)에는 케이스부재(150)와 결합되게 결합구멍(15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152)에는 결합핀(153)이 끼워져 결합된다.A coupling hole 152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171 to be coupled to the case member 150 , and a coupling pin 153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52 .

또 상기 고정플레이트(171)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로드(17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로드(173)에는 고정볼트(175) 및 받침판(176, 177)을 체결합 수 있게 나사부(17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fixing rod 17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71 , and the fixing rod 173 has a screw portion for fastening the fixing bolt 175 and the supporting plates 176 and 177 to the fixing rod 173 . 174 is formed.

상기 나사부(174)의 선단에는 고정볼트(175)가 체결되고,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제2 받침판(177)은 나사부(174)에 이격되게 체결된다.A fixing bolt 175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screw portion 174 , and the first support plate 176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7 are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174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제2 받침판(177)에는 스프링(178)이 설치된다.A spring 178 is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76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7 .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elevator wire clam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입체도이다.7 is a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는 와이어(1)의 선단에 제1 고정클램프(110)를 고정한다.7 and 8 , the elevator wire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first fixing clamp 110 to the tip of the wire 1 .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는 체결구멍(112)에 고정볼트(113)를 체결하며, 고정볼트(113)에 의해 와이어(1)가 고정된다.The first fixing clamp 110 fastens the fixing bolt 113 to the fastening hole 112 , and the wire 1 is fixed by the fixing bolt 113 .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3개로 분할된 제1 클램프(131) 내지 제3 클램프(133)를 와이어(1)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냅링홈부(136)에 스냅링(137)을 결합시킨다.The second fixing clamp 130 has the first clamp 131 to the third clamp 133 divided into thre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1, and the snap ring 137 is coupled to the snap ring groove portion 136. make it

이때 상기 하부경사면(139)은 제1 고정클램프(110)의 안착면(114)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경사면(138)이 형성된 상부본체(134)는 케이스부재(150)의 전방경사부(152)에 대응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9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surface 114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 and the upper body 134 on which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8 is formed is a front inclined portion of the case member 150 . It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152).

즉,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의 하부본체(135)는 제1 고정클램프(110)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의 상부본체(134)는 케이스부재(150)의 전방경사부(152)에 대응되게 설치된다.That is, the lower body 135 of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clamp 110 , and the upper body 134 of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the case member 150 . It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inclined portion 152 of the.

아울러 상기 케이스부재(150)에는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결합되는데, 상기 와이어지지부재(170)의 결합구멍(172)에는 결합핀(153)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53)은 고정핀(154)에 의해 케이스부재(15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wire support member 170 is coupled to the case member 150, a coupling pin 153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72 of the wire support member 170, and the coupling pin 153 is a fixing pin. It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ase member 150 by the (154).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9, and FIG. 11 is a wire clamp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받침판(176)의 상면에는 엘리베이터(미도시)에 고정된 프레임(2)이 설치된다.9 to 12 , a frame 2 fixed to an elevato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76 .

상기 제2 받침판(177)에는 엘리베이터에 의한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와이어(1)는 와이어 지지부재(170)는 하강하게 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재(150)가 하강된다.As the load by the elevator is appli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77, the case member 150 descends as the wire 1 and the wire support member 170 descend.

이에 따라 케이스부재(150)는 하강되면서 제2 고정클램프(150)의 상부경사면(138)이 압착되고, 이에 3개로 분할된 클램프(131~133)의 상부본체(134)가 와이어(1)를 향해 중앙으로 이동되면서 와이어(1)를 압착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case member 150 is lowere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8 of the second fixing clamp 150 is compressed, and the upper body 134 of the clamps 131 to 133 divided into three is connected to the wire 1 . As it moves toward the center, the wire 1 is compressed.

또한 상기 와이어(1)가 상승되는 경우에도 와이어(1)가 상승됨에 따라 제1 고정클램프(110)가 상승되고, 제1 고정클램프(110)의 안착면(114)에는 하부본체(135)의 하부경사면(139)이 압착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wire 1 is raised, the first fixing clamp 110 is raised as the wire 1 is raised, and the lower body 135 is on the seating surface 114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 The lower inclined surface 139 is compressed.

이에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와이어(1)의 상승 또는 엘리베이터의 하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제1 고정클램프(110) 및 제2 고정클램프(130)가 와이어(1)에 밀착된다.Accordingly, as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ing of the wire 1 or the load of the elevator, the first fixing clamp 110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1 . .

이와 같이 제2 고정클램프(130)가 와이어(1)에 밀착되어 와이어(1)를 견고하게 압착 고정시키게 되며, 제2 고정클램프(130)에 의해 와이어(1)의 슬립 없이 와이어(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1 to firmly press and fix the wire 1 , and the wire 1 is secured without slipping of the wire 1 by the second fixing clamp 130 . It can be fixed firmly.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1 고정클램프 111: 클램프본체
112: 체결구멍 113: 고정볼트
114: 안착면
130: 제2 고정클램프 131: 제1 클램프
132: 제2 클램프 133: 제3 클램프
134: 상부본체 135: 하부본체
136: 스냅링홈부 138: 상부경사면
139: 하부경사면
150: 케이스부재 151: 케이스본체
152: 전방경사부 153: 결합핀
154: 고정핀 155: 슬릿홈부
170: 와이어 지지부재 171: 고정플레이트
172: 결합구멍 173: 고정로드
174: 나사부 175: 고정볼트
176: 제1 받침판 177: 제2 받침판
178: 스프링
110: first fixing clamp 111: clamp body
112: fastening hole 113: fixing bolt
114: seating surface
130: second fixing clamp 131: first clamp
132: second clamp 133: third clamp
134: upper body 135: lower body
136: snap ring groove 138: upper inclined surface
139: lower slope
150: case member 151: case body
152: front inclined portion 153: coupling pin
154: fixing pin 155: slit groove portion
170: wire support member 171: fixed plate
172: coupling hole 173: fixed rod
174: screw 175: fixing bolt
176: first support plate 177: second support plate
178: spring

Claims (5)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클램프(110);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제2 고정클램프(130);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의 외측에 설치되는 클램프 케이스부재(150);
일측이 상기 케이스부재(150)에 설치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
A first fixing clamp 110 fixed to one end of the wire;
a second fixing clamp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to bind the wir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
a clamp case member 15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xing clamp 110 and the second fixing clamp 130 ;
Elevator wire clamp comprising a; one side is installed in the case member 150, the other side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elevator wire support member (1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클램프(110)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클램프본체(111);
상기 클램프본체(111)의 외면에 고정볼트(113)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구멍(112);
상기 체결구멍(112)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13);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멍(112)은 상기 클램프본체(111)의 외면에 등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113)는 등각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구멍(112)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clamp 110 includes a clamp body 111 in which a hollow is formed so that the wire is inserted;
a fastening hole 112 formed so that a fixing bolt 113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and a fixing bolt 113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12 to fix the wire.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holes 112 are formed at an equal ang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amp body 111,
The fixing bolt 113 is fastened to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 formed at an equal angle to fix the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제1 클램프(131), 제2 클램프(132), 제3 클램프(133)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는 상기 분할 형성된 클램프(131, 132, 133)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본체(134)와,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본체(1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클램프(131), 상기 제2 클램프(132) 및 상기 제3 클램프(133)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상부본체(134)와 상기 하부본체(135) 사이에 형성되는 스냅링홈부(134);
상기 제1 클램프(131) 내지 상기 제3 클램프(133)의 상기 상부본체(134)에 상기 케이스부재(150)의 내면에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경사면(138);
상기 제1 클램프(131) 내지 상기 제3 클램프(133)의 상기 하부본체(135)에 상기 제1 클램프부재(10)에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면(1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divided into a first clamp 131 , a second clamp 132 , and a third clamp 133 ,
The second fixing clamp 130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134 formed on one side of the divided clamps 131, 132, 133, and a lower body 135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first clamp 131, the second clamp 132, and the third clamp 133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134 and the lower body 135 so as to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snap ring groove portion 134;
The upper body 134 of the first clamp 131 to the third clamp 133 is sli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member 150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wire can be pressed and fixed. inclined surface 138;
The lower body 135 of the first clamp 131 to the third clamp 133 is slid on the first clamp member 10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press and fix the wire. Inclined surface (139); Elevator wire clamp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1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51);
상기 케이스본체(151)의 일측에 상기 제2 고정클램프(130)가 슬라이딩 되면서 압착되게 형성되는 전방경사부(152);
상기 케이스본체(151)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핀(153);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가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핀(153)과 교차되게 형성되는 슬릿홈부(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member 15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e case body 151 is hollow formed through the wire;
a front inclined portion 152 formed to be compressed while sliding the second fixing clamp 130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151;
a coupling pin 153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se body 151 so that the wire support member 170 is coupled;
Elevator wire clamp comprising a; slit groove portion (155) formed to cross the coupling pin (153) so that the wire support member (170)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170)는 상기 케이스부재(150)에 결합되게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71);
상기 고정플레이트(171)에 형성되는 결합구멍(172);
상기 고정플레이트(17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173);
상기 고정로드(173)에 형성되는 나사부(174);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75);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제1 받침판(176);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나사부(174)에 체결되는 제2 받침판(177);
상기 제1 받침판(176)과 상기 제2 받침판(177)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support member 170 includes a fixing plate 171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ase member 150;
a coupling hole 172 formed in the fixing plate 171;
a fixing rod 173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171 to a predetermined length;
a screw portion 174 formed on the fixing rod 173;
a fixing bolt 175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174;
a first support plate 176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174;
a second support plate 177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7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174;
Elevator wire clamp comprising a; spring (178)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76)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7).
KR1020200106217A 2020-08-24 2020-08-24 Elevator wire clamp KR102465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217A KR102465781B1 (en) 2020-08-24 2020-08-24 Elevator wire c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217A KR102465781B1 (en) 2020-08-24 2020-08-24 Elevator wire c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71A true KR20220025471A (en) 2022-03-03
KR102465781B1 KR102465781B1 (en) 2022-11-10

Family

ID=8081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217A KR102465781B1 (en) 2020-08-24 2020-08-24 Elevator wire c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7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8518A (en) * 2008-06-11 2009-12-24 Hitachi Ltd Rope end fixing device
KR20150016052A (en) 2013-08-03 2015-02-11 서원봉 Fastening device for wire rope of elevator
KR20190053466A (en) 2017-11-10 2019-05-20 다이텍연구원 Holding clamp of elevator rope comprising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KR102081948B1 (en) 2019-09-19 2020-02-26 손석환 Seismic waves c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8518A (en) * 2008-06-11 2009-12-24 Hitachi Ltd Rope end fixing device
KR20150016052A (en) 2013-08-03 2015-02-11 서원봉 Fastening device for wire rope of elevator
KR20190053466A (en) 2017-11-10 2019-05-20 다이텍연구원 Holding clamp of elevator rope comprising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KR102081948B1 (en) 2019-09-19 2020-02-26 손석환 Seismic waves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781B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632850C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EP1273695A4 (en) Rope, and elevator using the same
US20020154944A1 (en) Elevator load bearing termination assembly
EP1953108B1 (en) Lift and method for surveillance of this lift
US20160355378A1 (en)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WO2003000581A8 (en) Elevator
CA2439181A1 (en)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arranging a drive engine of a lift installation
JP2003519610A (en) Terminating device for tension members
US4842101A (en) Elevator system
US2017018995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pe Terminal Equip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Elevator
KR102465781B1 (en) Elevator wire clamp
KR102469349B1 (en) Lift fall protection device
KR890002051B1 (en) Elevator hoist apparatus
JPH05213560A (en) Linear motor type elevator
JP2007209136A (en) Communication cable fixing tool
JP6779192B2 (en) Wedge type rope stopper
JP6541699B2 (en) Anti-seismic device for counterweight of elevator and installation method of anti-seismic device for counterweight of elevator
KR101826881B1 (en) derailment prevention structure of counter weight for elevator equipped with a seismic capability
JP6382391B1 (en) Elevator counterweight frame reinforcement support device and elevator balance weight frame reinforcement mounting method
JP7226622B1 (en) wire rope fixing device
EP1803676A1 (en) Elevator apparatus
JP7468604B1 (en) Elevator guide rail support structure and elevator guide rail installation method
WO2003043921A1 (en) Elevator
JP7178590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0309478A (en) Compensating rope pull-up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