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888A -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의 인그레스와 디그레스 백홀 rlc 채널 사이의 맵핑 - Google Patents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의 인그레스와 디그레스 백홀 rlc 채널 사이의 맵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888A
KR20220024888A KR1020227002329A KR20227002329A KR20220024888A KR 20220024888 A KR20220024888 A KR 20220024888A KR 1020227002329 A KR1020227002329 A KR 1020227002329A KR 20227002329 A KR20227002329 A KR 20227002329A KR 20220024888 A KR20220024888 A KR 2022002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etwork
identifier
iab
r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004B1 (ko
Inventor
우메르 테예브
군나르 밀드히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2002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 중앙화된 유닛(CU)을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IAB 네트워크에서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랭크(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노드는 제1노드의 차일드 노드(child node)이다. 이러한 방법은, 제2노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2노드와 제3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2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노드는 제2노드의 차일드 노드이고 제2요청은 제2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1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는 제1과 제2BH RLC 채널 모두와 관련된다. 다른 실시예는 IAB 네트워크에서 중간 노드에 대한 보완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의 인그레스와 디그레스 백홀 RLC 채널 사이의 맵핑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가능한 무선 통신 자원이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와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트래픽 백홀(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로/이로부터) 사이에서 공유되는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R)서로도 언급되는 현재 5세대("5G")의 셀룰러 시스템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되고 있다. NR은 다수의 및 실질적으로 다른 사용 케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최대 유연성을 위해서 개발되었다. 이들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머신 타입 통신(MTC),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사이드 링크 장치 대 장치(D2D) 및 그 밖의 다른 사용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 1은, 차세대 RAN(NG-RAN)(199) 및 5G 코어(5GC)(198)로 이루어지는, 5G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하이-레벨 뷰를 나타낸다. NG-RAN(199)은, 인터페이스(102, 152) 각각을 통해서 접속된 gNB(100, 150)와 같은 하나 이상의 NG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5GC에 접속된 g노드B들(gNB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gNB(100, 150)는 각각의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5GC(198)에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gNB(100, 150)는 각각의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5GC(198) 내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평면 기능(UPF들)에 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네트워크 기능(NF)이 세션 관리 기능(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을 포함하는 5GC(198)에 포함될 수 있다.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부 배치에 있어서, 5GC(198)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Evolved Packet Core)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는, LTE(Long-Term Evolution) E-UTRAN(Evolved UMTS RAN)과 함께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gNB(100, 150)는 각각의 S1-C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EPC(198)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들)에 접속할 수 있다. 유사하게, gNB(100, 150)는, 각각의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EPC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 게이트웨이(SGW들)에 접속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gNB는 gNB들(100 및 150) 사이의 Xn 인터페이스(140)와 같은 하나 이상의 Xn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NG-RAN에 대한 무선 기술은 흔히 "뉴 라디오(NR)"로서 언급된다. UE에 대한 NR 인터페이스와 관련해서, 각각의 gNB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또는 그 조합을 지원할 수 있다.
NG-RAN(199)은 무선 네트워크 계층(RNL)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계층(TNL) 내에 계층화된다. NG-RAN 아키텍처, 즉, NG-RAN 논리적인 노드 및 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RNL의 부분으로서 규정된다. 각각의 NG-RAN 인터페이스(NG, Xn, F1)에 대해서, 관련된 TNL 프로토콜 및 기능성이 특정된다. TNL은 사용자 평면 트랜스포트 및 시그널링 트랜스포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gNB는 "AMF 영역" 내의 모든 5GC 노드에 접속되는데, 이는, 3GPP TS 23.501(v15.5.0)에서 규정된다. NG-RAN 인터페이스의 TNL 상의 CP 및 UP 데이터에 대한 보안 보호가 지원되면, NDS/IP(3GPP TS 33.401(v15.8.0))가 적용되어야 한다.
도 1에 나타낸 NG-RAN 논리적인 노드(및 3GPP TS 38.401(v15.6.0) 및 3GPP TR 78.801(v14.0.0)에서 설명)는 중앙 유닛(CU 또는 gNB-CU) 및 하나 이상의 분산된 유닛(DU 또는 gNB-DU)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gNB(100)는 gNB-CU(110) 및 gNB-DU(120 및 130)를 포함한다. CU(예를 들어, gNB-CU(110))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호스팅하고 DU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양한 gNB 기능을 수행하는 논리적인 노드이다. DU(예를 들어, gNB-DU(120, 130))는, 하위 계층 프로토콜을 호스팅하고 기능적인 분할 옵션에 의존해서, gNB 기능의 다양한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는 분권화된 논리적인 노드이다. 따라서, 각각의 CU 및 DU는 처리 회로, 송수신기 회로(예를 들어, 통신을 위한), 및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하는 그들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중앙 유닛" 및 "중앙화된 유닛"은 용어 "분산된 유닛" 및 "분권화된 유닛"과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gNB-CU는, 도 1에 나타낸 인터페이스(122 및 132)와 같은 각각의 F1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gNB-DU에 접속한다. 그런데, gNB-DU는 단일 gNB-CU에만 접속될 수 있다. gNB-CU 및 접속된 gNB-DU(들)는 gNB로서 다른 gNB 및 5GC에만 보인다. 즉, F1 인터페이스는 gNB-CU를 넘어 보이지 않는다.
더욱이, gNB-CU와 gNB-DU 사이의 F1 인터페이스가 특정되고 및/또는 다음 일반적인 원리에 기반한다:
· F1는 오픈 인터페이스이다;
· F1 지원은 각각의 엔드포인트 사이의 시그널링 정보만 아니라 각각의 엔드포인트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교환을 지원한다;
· 논리적인 스탠드포인트로부터, F1은 엔드포인트 사이의 포인트 투 포인트 인터페이스이다(엔드포인트 사이의 물리적인 직접 접속의 부재에도);
· F1은 각각의 F1-AP 프로토콜 및 F1-U 프로토콜(NR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로서도 언급)로의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 분할을 지원해서, gNB-CU가 또한 CP 및 UP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 F1은 무선 네트워크 계층(RNL)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계층(TNL)을 분리한다;
· F1은 사용자-장비(UE) 관련된 정보 및 비-UE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 F1은 새로운 요건, 서비스 및 기능에 대해서 미래 증거(future proof)로 규정된다.
· gNB는 X2, Xn, NG 및 S1-U 인터페이스가 종단하고, DU와 CU 사이의 F1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3GPP TS 38.473(v15.6.0)에 규정되는 F1-A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F1-U 프로토콜은 3GPP TS 38.425(v15.6.0)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사용자 데이터 흐름 관리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F1-U 프로토콜 데이터는, 3GPP TS 29.281(v15.6.0)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GTP-U 프로토콜에 의해서, 특히, "RAN Container" GTP-U 확장 헤더에 의해서 전달된다. 즉,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통한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통한 GTP-U 프로토콜은 F1 인터페이스 상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반송한다. 2개의 노드 사이의 GTP-U "터널"은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IP 어드레스 및 UDP 포트 번호로 각 노드에서 식별된다. GTP-U 터널은 GTP-U 엔티티들 사이에서 패킷을 포워딩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더욱이, CU는 RRC 및 PDCP와 같은 프로토콜을 호스팅할 수 있는 반면, DU는 RLC, MAC 및 PHY와 같은 프로토콜을 호스팅할 수 있다. 그런데, CU에서 RRC, PDCP 및 RLC 프로토콜의 부분을 호스팅하는(예를 들어, ARQ(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기능) 한편, MAC 및 PHY와 함께 DU에서 RLC 프로토콜의 나머지 부분을 호스팅하는 것 같은, CU와 DU 사이의 프로토콜 분포의 다른 변형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CU는 RRC 및 PDCP를 호스팅할 수 있고, 여기서, PDCP는 UP 트래픽 및 CP 트래픽 모두를 핸들링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CU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을 호스팅하고 DU에서 다른 프로토콜을 호스팅하는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중앙화된 제어 평면 프로토콜(예를 들어, PDCP-C 및 RRC)은 중앙화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예를 들어, PDCP-U)과 다른 CU에서 호스팅될 수 있다. 또한, 특히, CU-CP 기능(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위한 RRC 및 PDCP를 포함) 및 CU-UP 기능(사용자 평면을 위한 PDCP를 포함)으로의 gNB-CU의 분리를 지원하는 것을 3GPP RAN3 워킹 그룹(WG)에서 합의했다. 도 2는 2개의 DU, CU-CP 및 하나 이상의 CU-UP를 포함하는 일례의 gNB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 CU-CP는 gNB에서 다수의 CU-UP와 관련될 수 있다. CU-CP 및 CU-UP는 3GPP TS 38.463(v15.4.0)에 특정된 바와 같이 E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E1-A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서로 통신한다. 더욱이, CU와 DU 사이의 F1 인터페이스(도 1 참조)는 DU와 CU-CP 사이의 F1-C와 DU와 CU-UP 사이의 F1-U로 기능적으로 분할한다. 도 2에 나타낸 분할 gNB 아키텍처에 대한 3개의 배치 시나리오는 3GPP TR 38.806(v15.0.0)에서 규정된다.
· 시나리오 1: CU-CP 및 CU-UP 중앙화된
· 시나리오 2: CU-CP 분산된 및 CU-UP 중앙화된;
· 시나리오 3: CU-CP 중앙화된 및 CU-UP 분산된.
더 많은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 또는 마이크로 기지국)의 배열을 통한 고밀도화는, 주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증가하는 사용에 의해서 도출되는, 이동성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및/또는 커패시티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서 채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밀리미터파(mmw) 대역에서 더 많은 스펙트럼의 가용성에 기인해서, 이 대역에서 동작하는 작은 셀을 배치하는 것은 이들 목적을 위한 매력적인 배치 옵션이다. 그런데, 광 섬유로 오퍼레이터의 백홀 네트워크에 작은 셀을 접속하는 정상적인 접근은 매우 비싸고 비실용적이 될 수 있다. 작은 셀을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무선 링크를 채용하는 것은 더 저렴하고 더 실용적인 대안이다.
이러한 접근은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 네트워크인데, 여기서,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의 백홀 네트워크에 작은 셀을 접속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액세스(예를 들어, 무선 장치 또는 UE에 의한)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무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IAB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Rel-10의 범위에서 초기에 연구되었다. 그 작업은 LTE eNB와 UE 모뎀의 기능을 갖는 RN(Relay Node)에 기반한 아키텍처를 생산했다. RN은 나머지 네트워크로부터 RN을 숨기는 S1/X2 프록시 기능성을 갖는 도너 eNB에 접속된다. 그 아키텍처는, 도너 eNB가 RN의 배후의 UE를 인식하고 CN으로부터 동일한 도너 eNB 상에서 도너 eNB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소정의 UE 이동성을 숨길 수 있게 한다. Rel-10 스터디 동안, 다른 아키텍처도 고려되었는데, 예를 들어, 여기서, RN은 도너 gNB에 더 투명하고 및 분리의 독립형 P/S-GW 노드를 할당했다.
또한, 유사한 IAB 옵션은 5G/NR 네트워크에 대해서 고려될 수 있다. LTE와 비교한 하나의 차이는 상기된 gNB-CU/DU 분할 아키텍처인데, 이는, 덜 시간 크리티컬한 RRC/PDCP 프로토콜 미만으로부터 시간 크리티컬한 RLC/MAC/PHY 프로토콜을 분리한다. 유사한 분할이 IAB 네트워크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LTE와 비교해서 NR에서의 다른 IAB-관련된 차이는 다수의 홉을 지원 및 리던던트 경로를 지원한다.
IAB 네트워크에서 다른 엔드 사용자 트래픽(예를 들어, UE로부터)의 QoS(Quality of Service) 우선 순위를 지원하기 위해서, IAB 네트워크에서(예를 들어, 노드들 사이에서) 각각의 홉에 대한 다른 백홀(BH) RLC 채널에 대한 엔드 사용자 트래픽이 필요하다. 각각의 BH RLC 채널은 LCID(Logical Channel ID)와 관련된다. CU-DU 분할 아키텍처에 있어서, 다양한 메시지가 UE 베어러를 설정 및 수정하기 위해서 CU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DU는, 소정의 이들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서, 이들 베어러에 할당된 LCID(들)를 포함해서, 설정할 수 있었던 베어러의 리스트로 응답한다. 그런데, 다수의 홉을 갖는 IAB 네트워크에 적용할 때, 이 베어러 설정 절차는 상당한 지연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엔드 사용자 경험을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들 및 IAB 노드를 무선 네트워크에 통합하는데 있어서의 다른 어려움을 해결함으로써, IAB 솔루션의 다른 장점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IAB 네트워크 내의 중앙화된 유닛(CU)에 대한 방법(예를 들어, 절차)을 포함한다.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IAB 네트워크 내의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노드는 제1노드의 차일드 노드(child node)이다. 또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제2노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2노드와 제3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2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노드는 제2노드의 차일드 노드이다. 제2요청은 제2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1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Data Radio Bearer)는 제1과 제2BH RLC 채널 모두와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요청은 UE와 관련된 콘텍스트 설정 요청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이 될 수 있고, 제1식별자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제1노드에, 제1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1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하는 동작은, 제1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1요청에 응답해서 제1노드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식별자는 제1노드와 관련된 분산 유닛(DU)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제2요청은 제2노드와 관련된 DU에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1요청은 제1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하는 동작은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1식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음은: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하고, 여기서, 또 다른 BH RLC 채널 및 제1BH RLC 채널은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동일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관련되며; 또는
· 제1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요청은, 제1요청에 대한 제1노드로부터의 응답에 대해서 기다리지 않고, 제2노드에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제2BH RLC 채널의 제2식별자를 결정하는 것, 및, 제3노드(즉, 제2노드의 차일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3노드와 제4노드 사이에 제3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3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노드는 제3노드의 차일드 노드이다. 제3요청은 제3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2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하는 동작은, 제2요청에 응답해서 제2노드로부터 제2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2요청은 제2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하는 동작은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2식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음은: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제1식별자와 동일;
·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하고, 여기서, 또 다른 BH RLC 채널 및 제2BH RLC 채널은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동일한 DRB와 관련되며; 또는
· 제2BH RLC 채널과 관련된 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에 대한 방법(예를 들어, 절차)을 포함한다.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와 패런트 노드(예를 들어, 중간 노드의)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IAB 네트워크에서 중간 노드와 차일드 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관련(1250)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하나를 통해서 DRB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및 DRB와 제1 및 제2식별자를 관련시키는 것에 기반해서,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다른 것을 통해서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노드는 이동 단말(MT) 부분 및 분산된 유닛(DU)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은 MT 및 DU 부분 중 하나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고 MT 및 DU 부분 중 다른 것에 의한 전송을 위해서 포워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CU로부터, 중간 노드와 차일드 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은 UE와 관련된 콘텍스트 설정 요청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이 될 수 있고, 제1식별자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가 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하는 동작은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서 제1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할당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하는 동작은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서 제2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할당하는 동작은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2식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음은: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제1식별자와 동일;
· DRB와 관련된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 또는
· 제2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하는 동작은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1식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음은: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DRB와 관련된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 또는
· 제1BH RLC 채널과 관련된 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CU에,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응답은 제2식별자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예시적인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CU, IAB 노드 등 또는 그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예시적인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러한 네트워크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은 간략히 이하 기술된 도면의 다음 상세한 설명을 읽음에 따라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gNB의 분할 중앙화 유닛(CU)-분산된 유닛(DU) 분할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5G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하이-레벨 뷰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분할 CU-DU 아키텍처 내의 제어 평면(CP) 및 사용자 평면(UP)을 나타낸다.
도 3은 3GPP TR 38.874에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독립형 모드에서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 대한 참조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예시적인 IAB 사용자 평면(UP)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5a-c는 다양한 예시적인 IAB 제어 평면(CP)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6은 IAB 노드를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G-RAN)에 통합하는 예시적인 절차를 나타낸다.
도 7a와 7b는 IAB-도너 DU로부터 UE 및/또는 중간 IAB 노드로의 다운링크(DL) 방향에서의 패킷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8a 및 8b는 UE 및/또는 중간 IAB 노드로부터 IAB-도너 DU로의 업링크(UL) 방향에서 패킷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UE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 사이의 일대일(1:1) 매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UE DRB와 BH RLC 채널 사이의 다대일(N:1) 매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IAB 네트워크 내의 중앙화된 장치(CU)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일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UE의 일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에 기술된 네트워크 노드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사용 가능한 일례의 가상화 환경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17은,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및/또는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18-21은,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및/수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더 완전히 기술될 것이다. 이들 설명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주제를 설명하는 예의 방법을 제공하고,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에만 주제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논의된 장점에 따라서 다양한 구현의 동작을 도시하는 예가 이하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다른 의미가 이것이 사용되는 콘텍스트로부터 명확히 주어지지 않는 한 및/또는 이로부터 의미되지 않는 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그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서 해석되는 것이다. "a/an/the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를 언급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소정의 방법의 단계 및/또는 절차는,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는 또는 선행하는 것으로서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히 순서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및/또는, 암시적으로 단계는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거나 또는 선행해야 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소정의 실시예의 소정의 형태는, 적합한 경우,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정의 실시예 중 소정의 장점은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될 수 있다. 포함된 실시예의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다음 용어는 이하 제공된 설명을 통해서 사용된다:
· 무선 액세스 노드(Radio Access Node): 본 개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노드"(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RN 노드")는,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내의 소정의 노드가 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노드의 일부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기지국(예를 들어, 3GPP 5세대(5G) NR 네트워크 내의 뉴 라디오(NR: New Radio) 기지국(gNB) 또는 3GPP LTE 네트워크 내의 향상된 또는 진화된 노드B(eNB), 고-전력 또는 매크로 기지국, 저-전력 기지국(예를 들어, 마이크로, 피코, 펨토, 또는 홈 기지국 같은),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노드(또는 MT 또는 DU와 같은 그 컴포넌트), 전송 포인트, 원격 무선 유닛(RRU) 또는, 및 릴레이 노드를 포함한다.
· 코어 네트워크 노드(Core Network Node):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소정 타입의 노드이다.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예는,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게이트웨이(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세션 관리 기능(AMF), 사용자 평면 기능(UPF), 서비스 능력 노출 기능(SCEF) 등을 포함한다.
·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본 개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무선 장치"(또한, 간략히 "WD")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즉, 셀룰러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서빙되는) 소정의 타입의 장치이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파, 무선파, 적외선의 파, 및/또는 에어를 통해서 정보를 운반하기 적합한 다른 타입의 신호를 사용해서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용어 "무선 장치"는 "사용자 장비"(또는, 간단히 "UE")와 본 개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무선 장치의 일부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스마트 폰, 모바일 폰, 셀 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데스크탑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PDA), 무선 카메라, 게이밍 콘솔 또는 장치, 뮤직 스토리지 장치, 재생 기기, 웨어러블 장치,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태블릿, 랩탑, 랩탑 매립된 장비(LEE), 랩탑 탑재된 장비(LME), 스마트 장치, 무선 고객 구내 장비(CPE), 모바일 타입 통신(MTC) 장치, 사물 인터넷(IoT) 장치, 차량-탑재된 무선 단말 장치, 이동 단말(MT) 등을 포함한다.
· 무선 노드: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무선 노드"는, "무선 액세스 노드"(또는 동등한 용어) 또는 "무선 장치"가 될 수 있다.
· 네트워크 노드: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동등한 용어) 또는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상기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부분인 소정의 노드이다. 기능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장치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및/또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관리)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 장치와 및/또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장비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장비이다.
· 노드: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용어 "노드"(접두어 없음)는 무선 액세스 노드(또는 동등한 용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RAN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내의 또는 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노드가 될 수 있다.
· 패런트 노드(Parent Node):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용어 "패런트 노드"(또는 "패런트 IAB")는 IAB 네트워크 내의 특별한 IAB 노드로부터 바로 업스트림인 노드로 언급한다(예를 들어, IAB 노드는 도너 gNB에 한 홉 더 인접). 그렇게 하더라도, 예를 들어, 도너 gNB에 대한 다수의 홉이 있으면, 패런트 노드는 네트워크 내의 특별한 노드로부터 업스트림인 노드 중 하나만이 될 수 있다.
· 차일드 노드(Child node):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용어 "차일드 노드"(또는 "차일드 IAB 노드')는 IAB 네트워크 내의 특별한 IAB 노드로부터 바로 다운스트림인 노드로 언급한다(예를 들어, IAB 노드는 도너 gNB로부터 한 홉 더 이격). 그렇게 하더라도, 예를 들어, 서빙된 UE 대한 다수의 홉이 있으면, 패런트 노드는 네트워크 내의 특별한 노드로부터 업스트림인 노드 중 하나만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주어진 설명은 3GPP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3GPP 용어 또는 3GPP 용어와 유사한 용어가 흔히 사용되는 것에 유의하자. 그런데, 본 개시에 개시된 개념들은 3GPP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한 없이,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de 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마이크로파 액세스에 대한 월드와이드 인터오페라빌리티(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울트라 이동 광대역(UMB: Ultra Mobile Broadband) 및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이, 또한, 본 개시에서 기술된 개념, 원리 및/또는 실시예로부터 이익이 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장치 또는 네크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 및/또는 동작은 복수의 무선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걸쳐서 분산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셀"이 본 개시에서 사용되지만, (특히, 5G NR에 대해서) 빔은 셀 대신 사용될 수 있고, 본 개시에 기술된 개념은 셀 및 빔 모두에 동등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U-DU 분할 아키텍처에서 상기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다양한 메시지가 UE 베어러를 설정 및 수정하기 위해서 CU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DU는, 소정의 이들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서, 이들 베어러에 할당된 LCID(들)를 포함해서, 설정할 수 있었던 베어러의 리스트로 응답한다. 그런데, 다수의 홉을 갖는 IAB 네트워크에 적용할 때, 이 베어러 설정 절차는 상당한 지연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엔드 사용자 경험을 저하할 수 있다. 이는 이하 더 상세히 논의되는데, IAB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프로토콜의 설명이 뒤따른다.
도 3은 3GPP TR 38.874(버전 0.2.1)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독립형 모드에서 IAB 네트워크(300)에 대한 참조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IAB 네트워크는 하나의 IAB-도너(340) 및 다수의 IAB 노드(311-315)를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는, NG-RAN과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399))의 부분이 될 수 있다. IAB 도너(340)는 CU(330)에 접속된 DU(321, 322)를 포함하는데, 이는 기능 CU-CP(331) 및 CU-UP(332)에 의해서 표현된다. IAB 도너(340)는 나타낸 CU 기능성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CN)(350)와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IAB 노드(311-315)는 하나 이상의 무선 백홀 링크(본 개시에서 "홉(hop)"으로도 언급)를 통해서 IAB 도너(donor)에 접속한다. 특히, 각각의 IAB 노드(311-315)의 모바일-종단(MT, "이동 단말"로서도 언급) 기능은 패런트 노드의 대응하는 "업스트림"(또는 "노스바운드(northbound)") DU 기능을 향한 무선 백홀 링크의 무선 인터페이스 계층을 종단한다. 이 MT 기능성은 UE가 IAB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과 유사하고, 실제로, 3GPP에 의해서 ME(Mobile Equipment)의 부분으로서로 특정되었다.
도 3의 콘택스트에 있어서, 업스트림 DU는 IAB 도너(340)의 DU(321 또는 322) 및, 일부 경우, IAB 도너(340)로부터 "다운스트림"(또는 "사우스바운드(southbound)")인 중간 IAB 노드의 DU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더 특정된 예로서, IAB 노드(314)는 IAB 노드(312) 및 DU(321)로부터 다운스트림이고, IAB 노드(312)는 IAB 노드(314)로부터 업스트림이지만 DU(321)로부터 다운스트림이며, DU(321)는 IAB 노드(312 및 314)로부터 업스트림이다. IAB 노드(311-315)의 DU 기능성은, 또한, UE를 향한 무선 액세스 링크의 무선 인터페이스 계층(예를 들어, DU를 통한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및 각각의 패런트 IAB 노드의 대응하는 업스트림 MT 기능을 향한 백홀 링크를 종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IAB-도너(340)는 gNB-DU(321-322), gNB-CU-CP(331), gNB-CU-UP(332)와 같은 세트의 기능 및 가능하게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단일 논리 노드로서 처리될 수 있다. 일부 배치에 있어서, IAB 도너(IAB-donor)는 이들 기능에 따라서 분할될 수 있는데, 이들 모두는 3GPP NG-RAN 아키텍처에 의해서 허용된 바와 같이, 동일 위치된 또는 비-동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IAB 도너와 현재 관련된 일부 기능은, 이러한 기능이 IAB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으면, IAB 도너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GPP IAB 사양은 NR에서 규정된 기존 기능 및 인터페이스를 재사용한다. 특히, 기존 MT, gNB-DU, gNB-CU, UPF, AMF, 및 SMF만 아니라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NR Uu(MT와 gNB 사이), F1, NG, X2 및 N4가 IAB 아키텍처에 대한 베이스라인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IAB-노드 DU는 F1*으로서 언급되는, F1의 수정된 형태를 사용해서 IAB-도너 CU에 접속한다. F1*의 사용자 평면 부분("F1*-U"로서 언급)은 서빙 IAB 노드 상의 MT와 IAB 도너 상의 DU 사이의 무선 백홀 상의 RLC 채널을 통해서 진행한다.
도 4 및 5는 3GPP Rel-16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IAB 사용자 평면(UP) 및 제어 평면(CP) 프로토콜 스택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프로토콜 스택은 3GPP Rel-15에서 현재 CU-DU 분할 사양을 재사용하고, 여기서, 전체 사용자 평면 F1-U(GTP-U/UDP/IP)는 IAB 노드(예를 들어, 정상적인 DU)에서 종료되고, 전체 제어 평면 F1-C(F1-AP/SCTP/IP)는 또한 IAB 노드(또한, 정상적인 DU와 같은)에서 종단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네트워크 도메인 보안(NDS)은 UP 트래픽과 CP 트래픽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서 채용되었다: UP용 IPsec, CP용 데이터그램 트랜스포트 계층 보안(DTLS). IPsec는 DTLS 대신 CP 보호를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새로운 BAP(Backhaul Adaptation Protocol) 계층이 IAB 노드와 IAB 도너에서 도입되었다. BAP 계층은 적합한 다운스트림/업스트림 노드로 패킷을 라우팅한다. 또한, BAP 계층은 UE 베어러 데이터를 적합한 백홀 RLC 채널(이하 "백홀 RLC 베어러"라고도 함)에 매핑할뿐 아니라 중간 IAB 노드의 인그레스와 엔그레스 백홀 RLC 채널 사이에 매핑한다. BAP 계층은 베어러들의 엔드 투 엔드 QoS 요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IAB 도너 및 UE 모두는 항상 PDCP, RLC, 및 MAC 계층을 가질 것이고, 반면 중간 IAB 노드는 RLC 및 MAC 계층만을 가질 것이다. 도 4의 각각의 PDCP 전송기 엔티티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PDCP SDU(Service Data Unit)를 수신하고, RLC 계층에 전달하기 전에, 각각의 SDU에 시퀀스 넘버(SN)를 할당한다. discardTimer는, 또한, PDCP SDU가 수신될 때, 시작된다. discardTimer가 만료될 때, PDCP SDU는 폐기되고 폐기 인디케이션은 하위 계층에 송신된다. 응답해서, RLC는, 가능하면, 대응하는 RLC SDU를 폐기할 것이다.
도 4의 각각의 PDCP 수신기 엔티티는, 이것이 아웃-오브-오더(out-of-order)로 패킷을 수신할 때, 재정렬 타이머(예를 들어, t-reordering)를 시작한다. t-reordering이 만료할 때, PDCP 엔티티는 상부 계층(예를 들어, 수신 윈도우의 하위 측면)에 전달하지 않은 제1PDCP SDU의 값을 표시하는 가변 RX_DELIV를 업데이트한다.
도 4의 각각의 RLC 전송기 엔티티는 상위 계층(예를 들어, PDCP)으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SDU와 시퀀스 번호를 관련시킨다. 애크날리지먼트 모드(AM; acknowledged mode) 동작에서, RLC 전송기는 전송기에 의해서 송신된 RLC PDU에 대한 상태 보고를 전송하도록 RLC 수신기에 요청하기 위한 폴 비트(poll bit)를 설정할 수 있다. 폴 비트를 설정함에 따라서, RLC 전송기가 타이머(예를 들어, t-pollRetransmit)를 시작한다. 이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RLC 전송기는 폴 비트를 다시 설정할 수 있고, 애크날리지먼트를 기다리고 있었던 이들 PDU를 재전송할 수 있다.
한편, RLC 수신기는, RLC PDU가 아웃 오브 시퀀스로 수신될 때, 타이머(예를 들어, t-reassembly)를 시작할 것이다. 미싱(missing) PDU는 RLC 시퀀스 번호에서의 갭에 기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 기능은 PDCP의 t-reordering 타이머와 유사하다. AM 동작 동안 t-reassembly가 만료할 때, RLC 수신기는 RLC 전송기에 의한 재전송을 트리거하기 위해서 상태 보고를 전송할 것이다.
도 4의 MAC 전송기 엔티티가 전송을 위해서 상위 계층(예를 들어, RLC)으로부터 SDU를 수신하면, 대응하는 MAC PDU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그랜트를 요청할 수 있다. MAC 전송기는 스케줄링 요청(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BSR)를 송신함으로써, 자원 그랜트를 요청할 수 있다.
도 5a-5c는, 3GPP Rel-16 IAB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사용된 3개의 다른 예시적인 CP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5a는 IAB 도너 CU와 UE 사이의 CP를 나타내는데, 이는, 최고 레벨에서, PDCP에 의해서 반송된 RRC 프로토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위 계층 아래에는 UE와 서빙 IAB-노드 DU 사이의 RLC만 아니라 서빙 IAB 노드 MT와 IAB-도너 CU 사이의 F1-AP가 있다.
도 5b는 IAB 도너 CU와 IAB 노드 MT 사이의 CP를 나타내는데, 이는, 도 5a에 나타낸 IAB 도너 CU와 UE 사이의 CP와 기능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도 5c는 최고 레벨에서 F1-AP를 활용하는 IAB 도너 CU와 IAB-노드 DU 사이의 CP를 나타낸다. 이 트래픽은 IAB 도너 CU와 대응하는 IAB 노드 MT 사이에서 DTLS/SCTP/IP를 통해서 반송된다.
설정 및 구성(configuration)("통합"이라고 통칭함)은 IAB 노드의 동작의 제1단계이다. 일례의 통합 절차는 다음 동작을 포함한다.
1. MT 설정
a. MT가 패런트 노드를 선택한다(절차는 FFS).
b. MT가 AMF로 인증(Uu 절차)
c. AMF는 gNB에서 MT를 인가(RAN3 #103에서 합의된 시그널링)
d. gNB가 MT와 SRB를 수립(Uu 절차)
e. gNB는 MT와 DRB 및 PDU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Uu 절차; 필요하면, FFS). PDU 세션은 OAM 접속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IAB 노드는, 먼저, RRC 설정 절차를 사용해서 자체의 MT 기능성을 접속할 것이다. RRC 접속 설정 후, IAB 노드의 MT 기능성은 NAS 레벨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지만 PDU 세션 수립은 요구되지 않는다. NAS 등록 후, IAB 노드에 대한 UE 콘텍스트는 RAN에서 생성될 수 있다(PDU 세션 자원 없이). 이 방식으로, IAB 노드에 대한 소정의 SMF/UPF 기능성을 지원할 필요는 없다. NAS Rel-15는 이미 NAS 등록을 PDU 세션 수립으로부터 분리해서, PDU 세션을 설정하지 않고 등록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PDU 세션 자원 없이 RAN에서 UE 콘텍스트를 설정한다.
2. 백홀 설정
a. IAB 노드 MT와 패런트 노드 사이의 BH RLC 채널의 수립.
· RAN2는, 이 구성이 CU-CP(예를 들어, RRC를 사용하는)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했다.
· MT의 CU-CP는, MT가 UE가 아닌 IAB 노드에 속하는 것을 알 필요가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MT 인가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RAN3 #103에서 합의되었다).
· 더욱이, BH RLC 채널은 IAB 노드 MT와 패런트 노드에서 대응하는 우선 순위/QoS 클래스로 마킹되어야 한다.
b. IAB 노드 MT와 IAB-도너 DU 사이의 적응 라우트(들)의 수립.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 IAB 노드 MT 및 IAB-도너 DU에 대한 적응 라우팅 식별자(들)의 구성(RAN2; FFS),
· 새로운 라우팅 식별자에 대한 모든 IAB 노드의 앤세스터( ancestor) 노드에 대한 라우팅 엔트리의 구성(RAN2; FFS),
c. 적응 인터페이스를 위한 IAB 노드에 IP 어드레스를 할당, 이는, 적응 라우트를 통해서 유선 프론트홀(fronthaul)로부터 라우팅 가능하다.
· IP 어드레스는 IAB-도너 DU에 특정되어야 하므로, CU는 이 특정 IAB-도너 DU와 새로운 적응 라우트를 통해서 IAB 노드로 IP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IAB-도너 DU는 모든 디센던트(descendant) IAB 노드에 대한 유선 프론트홀로부터 라우팅할 수 있는 IP 어드레스의 풀(pool)을 지원해야 한다.
· IP 할당이 CU에 의해서 수행되면, CU는 IAB 노드에 대한 IAB-도너-DU의 사용 가능한 IP 어드레스 풀을 알아야 한다.
· IP 할당이 IAB-도너-DU 상에서 DHCP 프록시와 함께 DHCPv4/6을 통해서 수행되면, TR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적응 계층의 상단의 ARP/NDP의 트랜스포트 메커니즘이 규정될 필요가 있다.
· IP 어드레스 할당에 대한 다른 옵션이 있을 수 있다.
IAB 노드에 대한 UE 콘텍스트가 RAN에서 설정되면, RAN은 IAB 노드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백홀 베어러를 수립할 것이다. IAB 노드가 IAB-도너 노드와 직접 통신하지 않지만 다른 (이미 어태치된/접속된) IAB 노드를 통해서 통신하는 경우, 모든 중간 IAB 노드에서의 포워딩 정보는 새로운 IAB 노드의 설정에 기인해서 업데이트될 것이다.
3. DU 설정
a. DU는 적응 계층 상의 IP를 사용해서 F1-C 및 셀 활성화를 수립한다(TS 38.401 절 8.5에서 규정된 절차: F1 스타트업 및 셀 활성화).
b. 이는, 백홀 IP 계층을 통한 IAB-노드 DU에 대한 OAM 지원을 포함한다.
오퍼레이터의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성을 수립한 후, DU가 F1 SETUP REQUEST 메시지를 그 대응하는 CU, 예를 들어, IAB-CU에 송신할 수 있기 전에, OAM에 의해서 IAB 노드 DU 기능성 및 그 셀/섹터가 구성해야 한다. IAB에 대한 권고된 아키텍처 옵션은 IAB 노드에 대한 전체 IP 접속을 지원하므로, OAM에 대한 CN에서 특별한 PDU 세션을 수립하기 위해서 MT 기능성에 의존하는 대신, DU 기능성이 OAM에 대한 직접 IP 접속성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IAB 노드의 DU 기능성을 구성한 후, IAB 노드는 DU로서 동작하게 되고, UE는 다른 gNB와 구별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소정의 다른 DU/gNB와 같은 UE를 서빙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CN 개입 없이 RAN에서 내부적으로 IP 어드레스 할당을 관리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따라서, 상기 베이스라인은, MT가 PDU 세션을 수립하지 않고 IP 어드레스 할당 후 DHCP-기반 IP 어드레스 할당 및 OAM을 설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전반적인 IAB 노드 통합 절차의 3개의 부분이 이하 논의된다.
초기 IAB 노드 액세스를 위한 절차는 IAB 노드 요건을 이행하기 위해서 약간의 수정과 함께 UE 개시 액세스 흐름에 기반할 수 있다. 한편, IAB-노드 DU 셀의 활성화에 대해서, TS 38.401에 규정된 F1 스타트업 및 셀 활성화 절차는 그대로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를 고려해서, 도 6은 분리 gNB(gNB-CU(630), gNB-DU(620))를 포함하는 NG-RAN으로 IAB 노드(610, MT 및 DU 포함)를 통합하기 위한 일례의 절차를 나타낸다. 도 6은 5GC에서 AMF(640)와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및 이하 기술된 동작이 순차적으로 넘버링되지만, 이 넘버링은 다르게 특별히 표시되지 않는 한, 소정의 특별한 순서로 발생하게 동작을 제한하기보다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1. IAB 노드(예를 들어, MT)는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gNB-DU로 송신한다.
2. gNB-DU는 RRC 메시지를 포함하고, IAB 노드가 허락되면, INITIAL UL RRC TRANSFER 메시지 내의 NR Uu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하위 계층 구성이 gNB-CU에 전송된다. INITIAL UL RRC TRANSFER 메시지는 gNB-DU에 의해서 할당된 C-RNTI를 포함한다.
3. gNB-CU는 IAB 노드에 대한 gNB-CU UE F1AP ID를 할당하고 IAB 노드를 향한 RRCSetup 메시지를 생성한다. RRC 메시지는 DL RRC MESSAGE TRANSFER 메시지 내에 캡슐화된다.
4. gNB-DU는 RRCSetup 메시지를 IAB 노드에 송신한다.
5. IAB 노드는 gNB-DU에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내의 S-NSSAI IE는 IAB 노드를 표시한다.
6. gNB-DU는 UL RRC MESSAGE TRANSFER 메시지 내에 RRC 메시지를 캡슐화하고, 이를 gNB-CU에 송신한다.
7. gNB-CU는 INITIAL UE MESSAGE를 AMF에 송신한다. 이는, IAB 노드만을 서빙하는 전용의 AMF가 될 수 있다.
이 점에서, IAB 노드는 PDU 세션을 수립하지 않고 등록(인증 및 키 생성을 포함)을 수행할 것이다.
8. AMF는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를 gNB-CU에 송신한다.
9. gNB-CU는 gNB-DU에서 IAB 노드 콘텍스트를 수립하기 위해서 IAB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에서 SecurityModeCommand 메시지를 캡슐화할 수도 있다.
10. gNB-DU는 SecurityModeCommand 메시지를 IAB 노드에 송신한다.
11. gNB-DU는 IAB CONTEXT SETUP RESPONSE 메시지를 gNB-CU에 송신한다.
12. IAB 노드는 SecurityModeComplete 메시지로 응답한다.
13. gNB-DU는 UL RRC MESSAGE TRANSFER 메시지 내에 RRC 메시지를 캡슐화하고, 이를 gNB-CU에 송신한다.
14. gNB-CU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생성하고 DL RRC MESSAGE TRANSFER 메시지 내에 이를 캡슐화한다. RRCReconfiguration는 하나 이상의 IAB 백홀 베어러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15. gNB-DU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IAB 노드에 송신한다.
16. IAB 노드는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gNB-DU에 송신한다.
17. gNB-DU는 UL RRC MESSAGE TRANSFER 메시지 내에 RRC 메시지를 캡슐화하고, 이를 gNB-CU에 송신한다.
18. gNB-CU는 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이 점에서, IAB 노드는 gNB-CU를 향한 TNL 접속성(예를 들어, IAB-DU에 대한)을 생성 및 TNL 어드레스(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및 포트)를 할당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백홀 베어러를 설정할 것이다. 다음으로, IAB 노드(예를 들어, DU)는 3GPP TS 38.401(v15.6.0)에서 기술된 F1 스타트업 및 셀 활성화 절차를 활용해서 그 셀을 활성화하고 동작하게 된다. 그 셀을 활성화한 후, IAB 노드는 동작하고 DU를 통해서 UE들을 서빙할 수 있다. UE는 3GPP TS 38.401(v15.6.0)에 기술된 UE 개시 액세스 절차를 통해서 IAB 노드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운 BAP(Backhaul Adaptation Protocol) 계층이 IAB 노드와 IAB 도너에서 도입되었다. BAP 계층은 패킷을 적합한 다운스트림 및 업스트림 노드로 라우팅하고, UE 베어러 데이터를 적합한 백홀 RLC 채널에 매핑하며, 중간 IAB 노드에서 인그레스와 엔그레스 백홀(BH) RLC 채널 사이에 매핑한다.
BAP("적응 계층"으로서도 언급)가 완전히 특정되지 않았지만, 3GPP RAN2 WG에서 다수의 합의가 도출되었다. UE 베어러 데이터를 적합한 백홀 RLC 채널에 매핑하는 기능에 추가해서, 적응 계층의 전송(TX) 부분이 라우팅 및 베어러 매핑을 수행하는 한편, 적응 계층의 수신(RX) 부분은 "디-매핑(de-mapping)"을 수행하는 것에 합의했다. 더욱이,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은 IAB 노드에 의해서 중계되는 패킷에 대해서 적응 계층의 RX 부분으로부터 적응 계층(다음 홉에 대한)의 TX 부분으로 포워드된다.
그런데, 어떻게 프로토콜 엔티티를 모델화할지, 예를 들어, DU와 MT에 대한 분리할지 또는 조합될지 및 이들 부분이 F1-AP 또는 RRC를 통해서 구성될지의 FFS(for further study)가 있다. 그렇더라도, IAB-노드 프로토콜 스택의 MT 및 DU 부분 모두에서 BAP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에 관한 참가자들 중의 의견 일치가 있다. 이 방식으로 BAP 계층을 모델링하는 것은 적응 계층의 라우팅 및 매핑 기능성들의 실현을 용이하게 한다.
2개의 BAP 엔티티의 동작을 논의하기 전에, 고려할 초기 측면은, IAB 노드의 MT 부분에 대한 CP/UP 트래픽을 반송하는 무선 베어러(RLC)가 BH RLC 채널로부터 분리해서 핸들링되어야 한다. BH RLC 채널은 IAB-노드 DU 부분으로/으로부터 트래픽을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이는, IAB 노드에 의해서 서빙된 UE에 대해서 또는 차일드 IAB 노드에 대해서 의도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이 측면은, 적어도, RB 및 BH RLC 채널이 다른 논리 채널 ID를 채용함으로써 분리해서 핸들링되여야 하는 것으로 제안한다.
도 7a와 7b는 IAB-도너 DU로부터 UE 및/또는 중간 IAB 노드로의 DL 방향으로 패킷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도 8a 및 8b는 UE(들) 및/또는 중간 IAB 노드로부터 IAB-도너 DU로의 UL 방향으로 패킷의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특히, 도 7a 및 8a는 패킷의 각각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7b 및 8b는 DL 및 UL 케이스에 대한 중간 IAB 노드 BAP 계층에서 각각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다음 설명에 대한 콘텍스트를 제공한다.
DL 패킷이 IAB-도너 DU에 도착할 때(예를 들어, 도너 CU로부터), 이는, 도너 DU에 MT BAP 계층이 없으므로, DU 상위 계층에 의해서 먼저 처리된다. 패킷이 IAB-도너 DU에 직접 접속된 UE를 대상으로 하거나 또는 이것이 IAB-도너 DU를 대상으로 하는 F1-AP 트래픽이면, 상위 계층(UP에 대한 IP/UDP/GTP-U, CP에 대한 IP/SCTP/F1-AP)으로 포워드된다. 그렇지 않고, 패킷 목적지가 더 다운스트림이면, DU BAP 계층으로 포워드된다.
DL 패킷이 백홀 RLC 채널을 통해서 중간 IAB 노드(예를 들어, 패런트 IAB 노드 또는 IAB-도너 DU로부터)에 도착할 때, 이는, MT BAP 계층에 의해서 먼저 처리된다. 패킷이 IAB 노드의 DU에 직접 접속된 UE를 대상으로 하거나 또는 이것이 IAB 노드의 DU를 대상으로 하는 F1-AP 트래픽이면, 상위 계층(UP에 대한 IP/UDP/GTP-U, CP에 대한 IP/SCTP/F1-AP)으로 포워드된다. 그렇지 않고, 패킷의 목적지가 더 다운스트림이면, 이는, DU BAP 계층으로 포워드된다.
위에서, (IAB 도너 또는 IAB 노드) DU BAP 계층은 패킷이 포워드되어야 하는 라우트(예를 들어, 그 다운스트림 노드로의)를 통해서 결정될 것이고, 그 라우트 내의 어떤 BH RLC 채널이 패킷을 포워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이 BH RLC 매핑을 위한 입력 정보는 RAN2에서 계속 논의한다.
UL 패킷이 백홀 RLC 채널을 통해서 차일드 IAB 노드로부터 IAB-도너 DU에 도착할 때, 이는, DU BAP 계층에 의해서 먼저 처리된 후 도너 CU로 포워드된다. 도너 DU가 최대 하나의 도너 CU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라우팅 기능성이 요구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자.
패킷이 UL 방향의 중간 IAB 노드에 도착할 때, 이것이 백홀 RLC 채널을 통해서 차일드 IAB 노드로부터 오면, 이는, IAB-노드 DU의 BAP 계층에 의해서 먼저 처리된다. 모든 UL 패킷이 도너 CU에 포워드될 예정이므로, 패킷은 MT BAP 계층으로 패스된다. 반면, 패킷이 IAB 노드에 직접 접속된 UE로부터의 것이거나 또는 IAB 노드로부터 기원하는 F1-AP 트래픽이면, 이는, 상위 계층(UP의 경우 IP/UDP/GTP-U, CP의 경우 IP/SCTP/F1-AP)에 의해서 먼저 처리된 후, IAB 노드의 MT BAP 계층으로 포워드된다.
UE로부터의 트래픽에 대해서, IAB 노드는 UE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를 BH RLC 채널(들)에 매핑할 필요가 있다. 이 동작에 대한 2개의 옵션: 일대일 매핑 및 다대일 매핑이 있다. 도 9는 UE DRB와 BH RLC 채널 사이의 일대일(1:1) 매핑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옵션에서, 각각의 UE DRB는 IAB 노드(910)로부터 IAB 노드(920)로의 제1홉 상의 분리의 BH RLC 채널 상에 매핑된다. 더욱이, 각각의 BH RLC 채널은 IAB 노드(920)로부터 도너 IAB 노드(930)(CU 및 DU를 포함)로부터 후속 홉에 대한 분리의 BH RLC 채널 상에 매핑된다. 이와 같이, 수립된 BH RLC 채널의 수는 수립된 UE DRB의 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BH RLC 채널이 단일 BH 논리 채널 내로 멀티플렉싱되면, UE 및/또는 DRB 식별자가 요구될 수 있다. 타입 및 배치(예를 들어, 적응 계층 헤더 내)는 아키텍처/프로토콜 옵션에 의존한다.
도 10은 UE DRB와 BH RLC 채널 사이의 다대일(N:1) 매핑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옵션에서, 7개의 UE DRB는 베어러 QoS 프로파일과 같은 특정 파라미터에 기반해서 IAB 노드 910과 920 사이의 3개의 BH RLC 채널 상에서 멀티플렉싱된다. 홉 카운트와 같은 다른 정보가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UE에 속하는 다수의 DRB는 단일 BH RLC 채널 상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BH RLC 채널로부터의 패킷은 다음 홉 상에서 다른 BH RLC 채널 상에 매핑될 수 있다(예를 들어, IAB 노드(920)로부터 도너 IAB 노드(930)로). 특별한 BH RLC 채널에 매핑된 모든 트래픽은 에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동일한 QoS 처리를 수신한다. Rel-16에서 1:1 및 N:1 매핑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3GPP RAN2에서 합의했다.
도 1-2에 나타낸 CU-DU 분할 아키텍처에 있어서, F1-AP UE 콘텍스트 설정 요청 및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는 UE 베어러를 설정 및 수정하기 위해서 UE에 의해서 사용된다. CU는, 이하 테이블 1의 UE 콘텍스트 설정 요청의 관련 부분에 의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러에 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유사한 정보가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에서도 제공된다). 테이블 2는 UE 콘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QoS Flow Level QoS Parameters 정보 엘리먼트(IE)에 대한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이 IE는 QoS 흐름에 대해서 또는 DRB에 대해서 적용되는 QoS를 규정한다. 마찬가지로, 테이블 3 및 4는 QoS 흐름 레벨 QoS 파라미터 IE에 포함된 동적 5QI 디스크립터 및 비-동적 5QI 디스크립터에 대한 예시적인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이들 IE는, DL 및 UL에 대해서, 비-표준화된/비-사전-구성된 및 표준화된/사전-구성된 5QI에 대한 QoS 특성을 표시한다.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서, DU는 DU가 설정할 수 있었던 베어러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응답만 아니라 이것이 이들 베어러에 할당된 LCID를 송신할 것이다. LCID-대-베어러 관련은 DU 구성에 기반하는데, 여기서, DU는 5QI와 같은 베어러와 관련된 QoS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LCID를 결정할 수 있다.
테이블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테이블 2.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테이블 3.
Figure pct00006
테이블 4.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다른 엔드 사용자 트래픽의 QoS 우선 순위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엔드 사용자 트래픽을 다른 BH RLC 채널에 매핑하는 것이 필요한데, 각각은 다른 LCID와 관련된다.
본 출원인의 U.S. 예비 출원 62/871,848은, 어떻게 IP 흐름 라벨(주어진 엔드 사용자 흐름과 관련된)이 IAB 네트워크에서 1:1 베어러 매핑을 위해서 사용 및 시그널링되는지를 논의한다. 또한, 그 출원은, 어떻게 IP 흐름 라벨-대-LCID 매핑 정보가 도너 DU(DL 매핑을 위한)에 송신 및 액세스 IAB 노드(UL 매핑을 위한)에 송신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또한, 그 출원은, 레거시 LCID 할당이 사용되었다고 상정하고(즉, DU가 BH RLC 채널에 대한 LCID를 할당), 및 중간 IAB 노드에서 동일한 LCID가 인그레스 및 에그레스 채널에 대해서 사용될 것으로 상정하므로, 매핑 정보는 중간 노드에 통신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각각의 IAB 노드가 설정되는 BH RLC 채널에 대해서 다른 LCID 값을 할당할 수 있으므로, 암시적 매핑 정보가 중간 IAB 노드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상정할 수 없다.
1:1로 매핑되는 UE 베어러가 설정될 때, 전용의 BN RLC 채널은 도너 DU와 액세스 IAB 노드 사이의 각각의 홉에 대해서 설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DU 콘텍스트 수정 메시지를 도너 DU만 아니라 각각의 중간 IAB 노드에 송신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출원 62/871,848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1DL 홉 상의 BH RLC 채널과 관련되는 IP 흐름 라벨은 도너 DU에 UE 콘텍스트 수정 메시지에서 통신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너 DU는 미래의 DL 패킷을 설정되는 이 BH RLC 채널에 대한 그 흐름 라벨과 매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중간 IAB 노드에서, 흐름 라벨은, 인그레스로부터 에그레스 BH RLC 채널로의 베어러 매핑이 LCID에 기반해서 수행되므로, 관련 없다. 예를 들어, 매핑은 동일한 LCID를 갖는 인그레스와 에그레스 BH RLC 채널 사이에서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중간 노드는 인그레스 BH RLC 채널 LCID로부터 에그레스 BH RLC 채널 LCID로의 매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IAB 노드는, 이들이 인그레스 대 엔그레스 채널을 매핑하는 것에만 관심 있기 때문에, 매핑의 타입을(예를 들어, 1:1 대 N:1)을 인식할 필요는 없다.
도너 DU(및 중간 IAB-노드 DU 부분)가, 이들이 이들의 차일드 노드를 DRB에 대한 현재 노드로서 설정하는 BH RLC 채널의 LCID를 선택했다면, 각각의 IAB 노드는 1:1 매핑되는 하나의 UE 베어러를 위해서 설정되는 BH RLC 채널에 대해서 다른 LCID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CU는 LCID를 얻기 위해서 도너 DU 및 중간 IAB 노드로부터 UE 콘텍스트 수정 응답 메시지를 기다려야 하고, 그 다음, 이는, 이들 LCID를 관련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중간 IAB 노드에 추가적인 구성 메시지를 송신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CU는 한 번에 하나의 BH RLC 채널을 설정할 수 있고, 다음 홉에 대한 또 다른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하나의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으로부터 응답을 기다린다. 어느 경우든, 많은 홉이 포함되는 경우, 상당한 레이턴시가 1:1의 매핑된 DRB를 설정하기 위해서 도입될 수 있다. 유사한 문제는, 각각의 차일드 노드가 그들 자체의 LCID를 자유롭게 할당할 수 있을 때 차일드 IAB 노드에 새로운 N:1 매핑된 베어러를 추가할 때 발생한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3개의 홉 IAB 네트워크, IAB3-IAB2-IAB1-도너 DU 도너 CU를 고려하자. 1:1 또는 N:1 매핑된 베어러의 경우, 3개의 BH RLC 채널(예를 들어, 도너 DU-IAB1, IAB1-IAB2, IAB2-IAB3)은 도너 DU, IAB1-DU, 및 IAB2-DU에 각각의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설정되어야 한다. 결과의 UE 콘텍스트 수정 응답 메시지에서, 도너 DU, IAB1-DU, 및 IAB2-DU는 설정되는 대응하는 BH RLC 채널에 할당된 LCID를 CU에 통보할 것이다(즉, LCIDa, LCIDb, LCDc 각각). 그 다음, CU와 중간 IAB 노드 사이의 추가적인 시그널링은 그들의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IAB 노드에 알리는 것이 요구된다(즉, LCIDa를 LCIDb에 매핑하는 IAB1, LCIDb를 LCIDc에 매핑하는 IAB2 등). 하나의 단점은, 상당한 지연이 IAB 네트워크의 베어러에 대한 설정 절차에서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차례로, 엔드-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실시예는, 다중-홉 IAB 네트워크에서 BH RLC 채널의 더 빠른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이들 및 다른 문제, 차이, 및/또는 이슈를 개시한다. 매우 높은 레벨에서, 처음 개시된 기술은, DU가 레거시 CU-DU 배열에서와 같이, LCID 할당을 수행하지만, IAB 노드에 송신된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메시지는, 현재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메시지에 의해서 설정되고 있는 BH RLC 채널과 관련되도록 BH RLC 채널을 설정할 때, 수신 IAB 노드의 패런트 노드에 의해서 사용된 LCID 값을 포함한다. 이 경우, 추가적인 레이턴시는 하나의 새로운 BH RLC 채널만을 설정할 때 발생하지 않는다.
매우 높은 레벨에서, 제2개시된 기술은, 도너 CU가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절차에서 BH RLC 채널(들)에 대해서 사용되는 LCID(들)를 선택하고, 도너 DU 및 중간 IAB 노드에 선택된 LCID 값(들)을 통신하게 한다. 이는, 병렬로 도너 DU 및 각각의 중간 IAB 노드에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데, 이에 의해서, 다수의 홉을 포함하는 새로운 베어러의 설정에 포함된 레이턴시를 감소시킨다. DU가 LCID를 선택하는 레거시 경우와 달리, 도너 DU와 중간 IAB 노드는 설정되고 있는 BH RLC 채널에 대해서 CU에 의해서 표시된 LCID를 간단히 사용할 것이다. 그 방식으로, 추가적인 시그널링은 요구되지 않고, BH RLC 채널이 설정될 때, 각각의 중간 IAB 노드에서 매핑 정보는 이미 알려진다. 제2기술은 개별적으로 또는 제1기술과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개시된 실시예는, 다중-홉 IAB 네트워크에서 베어러 및 자체의 관련된 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서 요구된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총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서, 현재 솔루션과 비교해서 엔드 사용자 경헙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메시지에서 패런트 노드에 의해서 BH RLC 채널에 대해서 사용된 LCID를 차일드 노드에 포함시키는 것은, IAB 노드의 차일드 노드를 향해서 설정되고 있는 BH RLC 채널과 동시에 중간 IAB 노드에서 베어러 매핑이 수행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패런트 및 차일드 BH RLC 채널이 설정된 후 가외의 베어러를 송신할 필요를 회피시킨다.
추가적인 레이턴시 감소는, 도너 CU(IAB 노드의 도너 DU 또는 DU 부분 대신)가 IAB 네트워크에서 BH RLC 채널의 LCID를 할당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동일한 LCID가 모든 관련된 BH RLC 채널에 대해서 사용될 것이므로, 그들의 인그레스 및 에그레스 RLC 채널을 관련시키기 위해서 중간 IAB 노드를 향해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매핑하는 추가적인 베어러는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모든 UE 콘텍스트 수정 메시지를 병렬로 송신하고 레이턴시를 더욱 감소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서, 용어 "설정(setup)" 및 "구성(configuration)"은 다르게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경우, 또는 라벨 또는 네임(예를 들어, 특정 메시지의)의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도너 CU와 관련해서 설명된 기능성은,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분할-CU 아키텍처의 CU-CP 부분(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BH RLC 채널 LCID는 DU 부분, 예를 들어, IAB 노드의 도너 DU 또는 DU 부분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IAB 노드에 송신된 UE 콘텍스트 설정 (수정) 메시지는, 현재 차일드 노드에 대해서 설정되고 있는 BH RLC 채널과 관련되는 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서 IAB 노드의 패런트에 의해서 사용되었던 LCID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는 상기된 예시적인 3개의 홉 IAB 네트워크(즉, IAB3-IAB2-IAB1-도너 DU-도너 CU)를 참조해서 설명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도너 CU는 도너 DU로부터 UE 콘텍스트 수정 응답 메시지에서 도너-DU와 IAB1 사이의 제1홉에서 사용된 LCID(예를 들어, LCIDa)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CU는 IAB1로 송신된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에 LCIDa를 포함시킬 것이다. 차례로, IAB1은 설정되는 대응하는 BH RLC 채널에 대해서 LCIDb를 선택하고, LCIDa/LCIDb 매핑 정보를 세이브할 것이다. 후속해서, IAB1은 LCIDa를 통해서 다운스트림 노드로부터 들어오는 패킷을 업스트림 노드를 향하는 LCIDb로 매핑할 것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IAB1은 도너 CU에 UE 콘텍스트 수정 응답 메시지에서 LCIDb를 표시하고, 도너 CU는 다음 IAB 노드에 UE 콘텍스트 수정 설정 메시지에서 LCIDb를 표시할 것이다. 이 방식으로, 중간 IAB 노드 내의 매핑 정보는, BH RLC 채널이 다운스트림 노드를 향해서 설정되고 있을 때 동시에 수행된다.
변형에 있어서, 성능을 더 최적화하기 위해서, 도너 CU는, 이것이 DU 부분이 이전에 설정되었던 BH RLC 채널의 MT 부분을 설정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IAB1에 송신할 때 동시에 IAB1를 향해서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RRC 메시지는, 또한, BH RLC 채널의 LCID(예를 들어, LCIDa)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메시지(RRC 또는 F1)가 먼저 도착하는지에 관계없이, IAB1은, F1 메시지가 RRC에서 시그널링되었던 것과 동일한 LCID를 포함하므로, 베어러 사이의 매핑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 다음, 병렬 핸들링이 IAB2 등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는, CU로부터 도너 DU 및 다중-홉 IAB 네트워크에서 백홀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모든 중간 노드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3GPP TS 38.473(v15.6.0) § 9.2.2.7에 규정된 바와 같이, 기존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들에 의해서 더 설명될 수 있다. 아래 테이블 5는, 이들 실시예에 따라서 수정될 수 있는 이 메시지의 관련 부분을 나타낸다.
특히, 리스트, 설정되는 BH RLC 채널 설정 리스트, BH RLC 채널 수정 리스트, 및 BH RLC 채널 릴리스 리스트가 추가된다. 각각의 리스트는 리스트를 포함하는 각각의 BH RLC 채널에 대한 IE들을 포함한다. 설정(또는 셋업이라 함) 또는 수정되는 각각의 BH RLC 채널에 대한 IE는 채널(CH) ID, QoS 파라미터, 및 QoS 매핑 정보를 포함한다. 릴리스되는 각각의 BH RLC 채널에 대한 IE는 CH ID만 포함한다. 유사한 예시적인 수정/추가가, 3GPP TS 38.473(v15.6.0) § 9.2.2.1에 규정된 바와 같이, CU로부터 DU로 송신된 기존 UE 콘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수행될 수 있다.
테이블 5.
Figure pct00009
테이블 6은 테이블 5에 나타낸 QoS 매핑 정보의 일례의 구조를 더 도시한다. 이는, 설정되고 있는 백업 RLC 채널이 매핑되어야 하는 패런트(또는 즉시 업스트림) 백홀 RLC 채널의 LCID를 포함한다.
테이블 6.
Figure pct00010
상기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BH RLC 채널 LCID는 도너 CU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는데, 이는, UE 콘텍스트 설정 또는 UE 콘텍스트 수정 절차에서 도너 DU 및 중간 IAB 노드에 선택된 LCID(들)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 콘텍스트 수정(설정) 메시지는 도너-DU와 각 중간 IAB 노드에 병렬로(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는데, 이는, 새로운 베어러의 설정에 대한 레이턴시를 감소시킨다. LCID의 레거시 DU 할당과 달리, 도너 DU와 중간 IAB 노드(들)는 설정되고 있는 BH RLC 채널에 대해서 CU에 의해서 표시된 LCID를 간단히 사용할 것이다. 그 방식으로, 추가적인 시그널링은 요구되지 않고, BH RLC 채널이 설정될 때, 각각의 중간 IAB 노드에서 매핑 정보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 실시예는, 도너 CU가 UE DRB과 또는 QoS "클래스(class)"와 관련되는 모든 BH RLC 채널에 동일한 LCID 값을 할당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CU는 중간 IAB 노드에 차일드 노드 BH RLC 채널 LCID만을 송신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동일한 LCID가 패런트 노드에 대응하는 BH RLC 채널에 대해서 사용되는 것을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UE 베어러 또는 QoS 클래스와 관련되는 모든 BH RLC 채널 상에서 동일한 LCID를 사용할 수 없으면, CU는 BH RLC 채널에 대한 BH RLC 채널에 대해서 사용되는 LCID 값과 함께 패런트 노드에 대한 BH RLC 채널에 대해서 사용되는 LCID 값을 명시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BH RLC 채널에 대한 LCID의 도너 CU 할당은 DRB에 대한 LCID의 DU(예를 들어, 도너 DU 또는 IAB-노드 DU 부분) 할당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LCID 범위가 DRB에 대한 DU 할당 및 BH RLC 채널에 대한 CU를 할당을 위해서 예약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CU로부터 도너 DU 및 다중-홉 IAB 네트워크에서 백홀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모든 중간 노드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3GPP TS 38.473(v15.6.0) § 9.2.2.7에 규정된 바와 같이, 기존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들에 의해서 더 설명될 수 있다. 아래 테이블 7는, 이들 실시예에 따라서 수정될 수 있는 이 메시지의 관련 부분을 나타낸다. 특히, 리스트, BH RLC 채널 설정 리스트, BH RLC 채널 수정 리스트, 및 BH RLC 채널 릴리스 리스트가 추가된다. 각각의 리스트는 테이블 5와 관련해서 상기된 대응하는 리스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테이블 7
Figure pct00011
테이블 8은 테이블 7에 나타낸 QoS 매핑 정보의 일례의 구조를 더 도시한다. 이는, 설정되고 있는 RLC 채널에 대해서 사용되는 LCID를 포함한다.
테이블 8
Figure pct00012
이들 실시예는 도 11-12를 참조해서 더 도시될 수 있는데, 이들은, CU 및 중간 IAB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을 각각 묘사한다. 다르게 말하면, 이하 기술되는 동작의 다양한 형태는 상기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응한다.
특히, 도 11은,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 내의 CU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예시적인 방법은, 상기된 또는 본 개시의 다른 도면과 관련해서 기술된 도너 CU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1에 나타낸 예시적인 방법은 본 개시에 개시된 다른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도 12)을 보완해서, 이들이 본 개시에 개시된 이익, 장점, 및/또는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협동해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이 특별한 순서로 특정 블록에 의해서 도시되지만, 블록에 대응하는 동작은 나타낸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나타낸 것과 다른 기능성을 갖는 블록 및/또는 동작으로 조합 및/또는 분할될 수 있다. 옵션의 블록 및/또는 동작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블록 1120의 동작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CU는 IAB 네트워크 내의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예를 들어, LCID)를 결정할 수 있다. 제2노드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차일드 노드(child node)"의 의미에 따라서, 제1노드의 차일드 노드이다. 또한, 예시적인 방법은, 블록 113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CU는 제2노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2노드와 제3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2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3노드는 제2노드의 차일드 노드이다. 제2요청은 제2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1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Data Radio Bearer)는 제1과 제2BH RLC 채널 모두와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요청은 UE와 관련된 콘텍스트 설정 요청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이 될 수 있고, 제1식별자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블록 111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CU는, 제1노드에, 제1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1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1120의 결정하는 동작은 서브-블록 1121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CU는 제1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1요청에 응답해서 제1노드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식별자는 제1노드와 관련된 분산된 유닛(DU)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제2요청은 제2노드와 관련된 DU에 (예를 들어, 블록 1130에서)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1요청(예를 들어, 블록 1110에서 송신된)은 제1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1120의 결정하는 동작은 서브-블록 1122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CU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1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하고, 여기서, 또 다른 BH RLC 채널 및 제1BH RLC 채널은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동일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관련되며; 또는
· 제1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요청은, 제1요청에 대한 제1노드로부터의 응답(예를 들어, 블록 1110에서 송신된)을 기다리지 않고, 제2노드에 (예를 들어, 블록 1130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적인 방법은 블록 1140-115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1140에서, CU는 제2BH RLC 채널의 제2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 1150에서, CU는, 제3노드(즉, 제2노드의 차일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3노드와 제4노드 사이에 제3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3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4노드는 제3노드의 차일드 노드이다. 제3요청은 제3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2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1140의 결정하는 동작은 서브-블록 1141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CU는 (예를 들어, 블록 1130에서 송신된) 제2요청에 응답해서 제1노드로부터 제2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2요청은 제2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1140의 결정하는 동작은 서브-블록 1142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CU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2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고, 다음은: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제1식별자와 동일;
·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하고, 여기서, 또 다른 BH RLC 채널 및 제2BH RLC 채널은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동일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관련되며; 또는
· 제2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에 대한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예시적인 방법은, 상기된 또는 본 개시의 다른 도면과 관련해서 기술된 IAB 노드, 또는 이러한 노드(예를 들어, DU 및/또는 MT)의 컴포넌트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2에 나타낸 예시적인 방법은 본 개시에 개시된 다른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도 11)을 보완해서, 이들이 본 개시에 개시된 이익, 장점, 및/또는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협동해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이 특별한 순서로 특정 블록에 의해서 도시되지만, 블록에 대응하는 동작은 나타낸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나타낸 것과 다른 기능성을 갖는 블록 및/또는 동작으로 조합 및/또는 분할될 수 있다.  옵션의 블록 및/또는 동작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블록 122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패런트 노드"의 의미에 따른,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와 패런트 노드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블록 123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차일드 노드"의 의미에 따른,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와 차일드 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에 제2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블록 125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관련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블록 1260-127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1260에서, 중간 노드는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하나를 통해서 DRB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1270에서, 중간 노드는, 제1 및 제2식별자를 DRB와 관련시키는 것에 기반해서,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다른 것을 통해서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포워드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노드는 이동 단말(MT) 부분 및 분산된 유닛(DU)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은 MT 및 DU 부분 중 하나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고 MT 및 DU 부분 중 다른 것에 의한 전송을 위해서 포워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블록 121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CU로부터, 중간 노드와 차일드 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은 UE와 관련된 콘텍스트 설정 요청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이 될 수 있고, 제1식별자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가 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1220의 결정하는 동작은 서브-블록 1221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예를 들어, 블록 1210에서 송신된) 제2R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서 제1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1230의 할당하는 동작은 다른 서브-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1230의 할당하는 동작은 블록 1232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중간 노드는 (예를 들어, 블록 1210에서 수신된) 제2BH RLC 채널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서 제2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블록 1230의 할당하는 동작은 블록 1231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2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고, 다음은: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제1식별자와 동일;
· DRB와 관련된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 또는
· 제2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1220의 결정하는 동작은 블록 1222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1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고, 다음은:
·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 DRB와 관련된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 또는
· 제1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블록 1240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 노드는, CU에,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고, 여기서, 응답은 제2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가 소정의 적합한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소정의 적합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예의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해서 기술된다. 단순화를 위해서, 도 13에 나타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1306), 네트워크 노드(1360 및 1360b) 및 WD(1310, 1310b, 및 1310c)만을 묘사한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장치들 사이의 또는 무선 장치와 랜드라인 전화기,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엔드 장치와 같은 또 다른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적합한 소정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포넌트의, 네트워크 노드(1360) 및 무선 장치(WD)(1310)는 추가적인 세부 사항으로 묘사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장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또는 이를 통해서 제공된 서비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에 통신 및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타입의 통신, 원격 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 및/또는 이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 표준 또는 다른 타입의 사전 규정된 규칙 또는 절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실시예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유니버셜 이동 원격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및/또는 다른 적합한 2G, 3G, 4G, 또는 5G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 IEEE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표준, 및/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블루투스 Z-웨이브(Wave) 및/또는 지그비(ZigBee) 표준과 같은 소정의 다른 적합한 무선 통신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1306)는 하나 이상의 백홀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및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360) 및 WD(1310)는 이하 더 상세히 기술된 다양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장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함께 작업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제어기, 무선 장치, 중계국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한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이에 참가할 수 있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액세스 포인트(AP)(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BS)(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 노드B, 진화된 노드B(eNB) 및 NR 노드B(gNB))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이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또는, 달리 말하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에 기반해서 분류될 수 있고, 그러면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으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릴레이 노드 또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도너 노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화된 디지털 유닛 및/또는 때때로 원격 무선 헤드(RRH; remote radio unit)로서 언급되는 원격 무선 유닛(RRU; Remote Radio Head)과 같은 분배된 무선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또는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 무선 유닛은, 안테나 통합된 무선(antenna integrated radio)으로서 안테나와 통합되거나 또는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분배된 무선 기지국의 부분은 분배된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에서 노드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또 다른 예는, MSR BS와 같은 다중 표준 무선(MSR) 장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 기지국 송수신기(BTS),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다중-셀/멀티캐스트 코디네이션 엔티티(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SC, MME), O&M 노드, OSS 노드, SON 노드, 포지셔닝 노드(예를 들어, E-SMLC) 및/또는 MD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아래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가상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그런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액세스를 갖는 무선 장치를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무선 장치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제공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소정의 적합한 장치(또는 장치의 그룹)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1360)는 처리 회로(1370),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 인터페이스(1390), 보조 장비(1384), 전력 소스(1386), 전력 회로(1387), 및 안테나(1362)를 포함한다. 도 13의 예의 무선 네트워크 내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1360)가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도시된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음에도, 다른 실시예는 다른 조합의 컴포넌트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본 발명에 개시된 태스크, 형태, 기능 및 방법 및/또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소정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노드(1360)의 컴포넌트는 더 큰 박스 내에 위치된 또는 다수의 박스 내에 내포된 단일 박스로서 묘사되는 한편, 특히,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도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다른 물리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는 다수의 분리의 하드드라이브만 아니라 다수의 RA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1360)는, 각각이 그들 자체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는, 다수의 물리적인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노드B 컴포넌트 및 RNC 컴포넌트, 또는 BTS 컴포넌트 및 BSC 컴포넌트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360)가 다수의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BTS 및 BSC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소정 시나리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리의 컴포넌트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 중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RNC는 다수의 노드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고유한 노드B 및 RNC 쌍은, 일부 예에 있어서, 단일의 분리의 네트워크 노드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1360)는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는 듀플리케이트될 수 있고(예를 들어, 다른 RAT에 대해서 분리의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 일부 컴포넌트는 재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1362)가 RAT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360)는, 또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1360) 내에 통합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다수의 세트의 다양한 도시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네트워크 노드(1360) 내의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및 다른 컴포넌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처리 회로(13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하는, 계산하는,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1370)에 의해서 수행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 내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137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 및,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137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컴퓨팅 장치, 자원,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1360) 컴포넌트(예를 들어,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 단독으로 또는 이와 함께 네트워크 노드(1360)의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논의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기능, 또는 이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370)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 또는 처리 회로(137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370)는 시스템 온 어 칩(SOC: system on a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더 특정 예로서, 매체(1380) 내에 저장된 명령(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도 언급)은, 처리 회로(1370)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노드(1360)를 구성할 수 있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37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3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3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74)는 분리의 칩(또는 칩의 세트), 보드(boards), 또는 무선 유닛 및 디지털 유닛과 같은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13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74)는 동일한 칩 또는 칩의 세트, 보드, 또는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eNB 또는 다른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제공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 또는 처리 회로(1370) 내의 메모리 상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137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은 분리의 또는 이산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137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하던지, 처리 회로(1370)는 상기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1370) 단독 또는 네트워크 노드(136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로서 네트워크 노드(136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는, 제한 없이, 영구 스토리지, 고체 상태 메모리, 원격 탑재된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플래시 드라이브, CD(Compact Disk)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장치 판독 가능한 및/또는 처리 회로(13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137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및, 네트워크 노드(1360)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는 처리 회로(1370)에 의해서 이루어진 소정의 계산 및/또는 인터페이스(1390)를 통해서 수신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370) 및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8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390)는, 네트워크 노드(1360), 네트워크(1306) 및/또는 WD(1310) 사이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390)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예를 들어, 유선 접속을 통해서 네트워크(1306)에 송신 및 이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포트(들)/단말(들)(139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390)는, 또한, 안테나(1362)에 결합될 수 있는, 또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 부분이 될 수 있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는 필터(1398) 및 증폭기(139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는 안테나(1362) 및 처리 회로(1370)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는 안테나(1362)와 처리 회로(137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어야 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는 필터(1398) 및/또는 증폭기(1396)의 조합을 사용해서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그 다음, 안테나(1362)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362)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1370)로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1360)는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대신, 처리 회로(137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 없이 안테나(1362)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또는 일부 RF 송수신기 회로(1372)는 인터페이스(1390)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1390)는 무선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단말(1394),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2), 및 RF 송수신기 회로(1372)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1390)는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74)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이다.
안테나(1362)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362)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90)에 결합될 수 있고,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1362)는, 예를 들어, 2GHz와 66GHz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방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성의 안테나는 소정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별한 영역 내에서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패널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사용은 MIMO로서 언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1362)는 네트워크 노드(136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네트워크 노드(136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1362), 인터페이스(1390), 및/또는 처리 회로(13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동작 및/또는 소정의 획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장치,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테나(1362), 인터페이스(1390), 및/또는 처리 회로(13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장치,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
전력 회로(1387)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 또는 이에 결합될 수 있고,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네트워크 노드(1360)의 컴포넌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회로(1387)는 전력 소스(1386)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소스(1386) 및/또는 전력 회로(1387)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적합한 형태로(예를 들어,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필요한 전압 및 전류 레벨에서) 네트워크 노드(136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소스(1386)는, 전력 회로(1387)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360) 내에 포함, 또는 이에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360)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입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에 접속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 전력 소스는 전력을 전력 회로(1387)에 공급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력 소스(1386)는 전력 회로(1387)에 접속된 또는 이것 내에 통합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 형태의 전력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외부 전력 소스 실패의 경우 백업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광전지의 장치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36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기능성 및/또는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를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기능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소정의 측면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는 도 13에 나타낸 것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360)는, 네트워크 노드(1360) 내로 정보의 입력을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는 및 네트워크 노드(1360)로부터 정보의 출력을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예를 들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또는 장비 제조업체의 공인 직원,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노드(1360)에 대한 진단, 메인터넌스, 수리, 및 다른 관리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 및/또는 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장치(WD, 예를 들어, WD(1310))는, 직접적인 휴먼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D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해서, 트리거될 때, 사전 결정된 스케줄 상에서 네트워크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WD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스마트 폰, 모바일 폰, 셀 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데스크탑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PDA), 무선 카메라, 게이밍 콘솔 또는 장치, 뮤직 스토리지 장치, 재생 기기, 웨어러블 장치,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태블릿, 랩탑, 랩탑 매립된 장비(LEE), 랩탑 탑재된 장비(LME), 스마트 장치, 무선 고객 구내 장비(CPE), 모바일 타입 통신(MTC) 장치, 사물 인터넷(IoT) 장치, 차량-탑재된 무선 단말 장치 등을 포함한다.
WD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X(vehicle-to-everything)에 대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써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경우, D2D 통신 장치로서 언급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예로서, IoT(internet of Things)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감시 및/또는 측정을 수행하고 이러한 감시 및/또는 측정의 결과를 또 다른 WD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할 수 있는 머신 또는 다른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WD는, 이 경우, 머신-투-머신(M2M) 장치가 될 수 있고, 이는, 3GPP 콘텍스트에서 MTC 장치로서 언급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한 예로서, WD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머신 또는 장치의 특별한 예는, 센서, 전력 미터와 같은 미터링 장치, 산업 기계, 또는,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텔레비전 등), 퍼스널 웨어러블(예를 들어, 시계,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 등)이다. 다른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그 동작 상태 또는 그 동작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감시 및/또는 보고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무선 접속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장치는 무선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이동(mobile; 모바일)일 수 있고, 이 경우, 이는 또한 이동 장치 또는 이동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장치(1310)는 안테나(1311), 인터페이스(1314), 처리 회로(1320),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 보조 장비(1334), 전력 소스(1336) 및 전력 회로(1337)를 포함한다. WD(1310)는, 소수만을 언급해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WiMAX,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WD(1310)에 의해서 지원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도시된 컴포넌트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WD(1310) 내의 다른 컴포넌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안테나(1311)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인터페이스(1314)에 접속된다. 소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1311)는 WD(1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WD(131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1311), 인터페이스(1314), 및/또는 처리 회로(13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WD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및/또는 안테나(1311)는 인터페이스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314)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2) 및 안테나(1311)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2)는 하나 이상의 필터(1318) 및 증폭기(131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4)는 안테나(1311) 및 처리 회로(1320)에 접속되고, 안테나(1311)와 처리 회로(132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2)는 안테나(1311) 또는 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D(1310)는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처리 회로(132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311)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1322)는 인터페이스(1314)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어야 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2)는 필터(1318) 및/또는 증폭기(1316)의 조합을 사용해서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그 다음, 안테나(1311)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311)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31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1320)로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13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컴퓨팅 장치의 조합, 자원, 또는 단독으로 또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30)와 같은 다른 WD(1310) 컴포넌트와 조합해서 WD(1310)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논의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또는 이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320)는, 본 발명에 개시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30) 또는 처리 회로(132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매체(1330) 내에 저장된 명령(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도 언급)은, 처리 회로(1320)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 장치(1310)를 구성할 수 있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1320)는 하나 이상의 RF 송수신기 회로(13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32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1310)의 처리 회로(1320)는 SO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13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3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326)는 하나의 칩 또는 칩세트 내에 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1322)는 분리의 칩 또는 칩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132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24)는 동일한 칩 또는 칩세트 상에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3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13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13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1326)는 동일한 칩 또는 칩세트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1322)는 인터페이스(1314)의 부분이 될 수 있다. RF 송수신기 회로(1322)는 처리 회로(1320)에 대한 RF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에 의해서 수행되는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가 될 수 있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30)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13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이 분리의 또는 이산의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132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 하던지, 처리 회로(1320)는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1320) 단독 또는 WD(131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로서 WD(131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처리 회로(13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하는, 계산하는,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1320)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WD(1310)에 의해서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132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 및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3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알고리즘,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132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30)는, 컴퓨터 메모리(즉,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즉,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즉, CD(Compact Disk) 또는 DVD), 및/또는 처리 회로(13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장치 판독 가능한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1320) 및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133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는 휴먼 사용자가 WD(1310)와 상호 작용하도록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같은 많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는 사용자에 대한 출력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WD(1310)에 대한 입력을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호 작용의 타입은 WD(1310) 내에 인스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의 타입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D(1310)가 스마트폰이면, 상호 작용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될 수 있고; WD(1310)가 스마트 미터이면, 상호 작용은 사용(예를 들어, 사용된 갤런 수)를 제공하는 스크린 또는 가청 경보(예를 들어, 스모크가 검출되면)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통해서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는 WD(1310) 내로의 정보의 입력을 허용 및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회로(1320)가 입력 정보를 처리하게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도록 처리 회로(1320)에 접속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근접 또는 다른 센서, 키/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다른 입력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는, 또한, WD(131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고 처리 회로(1320)가 WD(1310)로부터의 정보를 출력하게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회로, USB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32)의,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를 사용해서, WD(1310)는 엔드 사용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이들이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으로부터 이익을 갖도록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한다.
보조 장비(1334)는, 일반적으로, WD에 의해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더 특정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측정을 행하기 위한 특화된 센서, 유선 통신과 같은 추가적인 타입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비(1334)의 컴포넌트의 포함 및 타입은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전력 소스(1336)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 광전지의 장치 또는 전력 셀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WD(1310)는, 본 개시에 기술된 또는 표시된 소정의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 소스(1336)로부터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WD(1310)의 다양한 부분에 전력 소스(1336)로부터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 회로(13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337)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337)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WD(1310)는 입력 회로 또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전기 출구와 같은)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전력 회로(1337)는,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 소스(1336)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1336)의 차징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전력 회로(1337)는, WD(1310)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한 공급을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전력 소스(1336)로부터의 전력에 대한 소정의 변환 또는 다른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측면에 따라서 UE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관련 장치를 소유 및/또는 동작하는 휴먼 사용자의 의미에서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대신, UE는, 특정 휴먼 사용자(예를 들어, 스마트 스프링클러 제어기)와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또는 초기에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휴먼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의도하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사용자(예를 들어, 스마트 전력 미터)의 이익과 관련될 수 있지만 또는 사용자의 이익을 위해서 동작될 수 있지만 엔드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위해서 의도되지 않은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UE(14200)는, NB-IoT UE, 머신 타입 통신(MTC) UE, 및/또는 향상된 MTC(eMTC) UE를 포함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서 식별된 소정의 UE가 될 수 있다. UE(1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과 같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서 통신하기 위해서 구성된 하나의 예의 WD를 나타낼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어 WD 및 UE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가 UE임에도, 본 개시에 기술된 컴포넌트는 WD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반대도 가능하다.
도 14에 있어서, UE(14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405),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1409),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411),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417), 리드-온리 메모리(ROM)(1419), 및 스토리지 매체(142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1415), 통신 서브시스템(1431), 전력 소스(1433), 및/또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1401)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매체(14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4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25), 및 데이터(142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1421)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UE는 도 14에 나타낸 모든 컴포넌트를 활용할 수 있거나, 또는 서브세트의 컴포넌트만을 활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 사이의 통합의 레벨은 하나의 UE로부터 또 다른 UE로 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소정의 UE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전송기, 수신기 등과 같은 컴포넌트의 다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처리 회로(1401)는 컴퓨터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14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구현된 상태 머신(예를 들어, 이산 로직, FPGA, ASIC 등)과 같은 메모리 내에 머신 판독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 머신 명령; 적합한 펌웨어와 함께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하나 이상의 저장된 프로그램, 적합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일반 목적 프로세서; 또는 상기 소정의 조합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소정의 순차적인 상태 머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401)는 2개의 중앙 처리 유닛(CPU)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적합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405)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또는 입력 및 출력 장치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4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405)를 통해서 출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입력 장치와 동일한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E(1400)에 대한 입력 및 이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액추에이터, 에미터, 스마트카드, 또 다른 출력 장치,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UE(1400)는, 사용자가 UE(1400) 내에 정보를 캡처하게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405)를 통해서 입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터치 민감한 또는 존재 민감한 디스플레이, 카메라(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등이다.), 마이크로폰, 센서,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패드, 스크롤 휠, 스마트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 민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서 용량성 또는 저항성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틸트(tilt) 센서, 포스(force) 센서, 자력계, 광학 센서, 근접 센서, 다른 유사 센서,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광학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RF 인터페이스(1409)는 전송기(송신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컴포넌트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411)는 네트워크(1443a)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443a)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원격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443a)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411)는, 이더넷, TCP/IP, SONET, ATM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수신기 및 전송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14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예를 들어, 광학, 전기적 등)에 적합한 수신기 및 전송기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은 회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RAM(1417)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의 스토리지 또는 캐싱을 제공하기 위해서 처리 회로(1401)에 버스(1402)를 통해서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OM(14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 회로(14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1419)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의 키 스트로크의 기본 입력 및 출력(I/O), 스타트업, 또는 수신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에 대한 불변의 낮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421)는 RAM, ROM,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EEPROM), 마그네틱 디스크, 광학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 내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14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42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위젯(widget) 또는 가젯(gadget) 엔진 또는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25), 및 데이터 파일(14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421)는, UE(1400)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소정의 다양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25)은, 프로세서(1401)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UE(1400)를 구성할 수 있는 명령(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도 언급)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421)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USB 플래시 드라이브,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thumb) 드라이브, 펜 드라이브, 키 드라이브, HD-DVD(high-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광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Blu-Ray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HDDS) 광 디스크 드라이브, 외부 DIMM(mini-dual in-line memory module), 동기의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외부 마이크로-DIMM SDRAM, 구독자 아이덴티티 모듈 또는 제거 가능한 사용자 아이덴티티(SIM/RUIM) 모듈과 같은 스마트카드 메모리, 다른 메모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인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421)는, UE(1400)가 데이터를 오프-로드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해서 일시적인 또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하게 허용 및/또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제품은, 스토리지 매체(1421) 내에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처리 회로(1401)는 통신 서브시스템(1431)을 사용해서 네트워크(14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443a) 및 네트워크(1443b)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이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1431)은 네트워크(1443b)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431)은, IEEE 802.14, CDMA, WCDMA, GSM, LTE, UTRAN, WiMax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또 다른 WD, UE,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치의 하나 이상의 원격 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RAN 링크(예를 들어, 주파수 할당 등)에 적합한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성 각각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송기(1433) 및/또는 수신기(1435)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송수신기의 전송기(1433) 및 수신기(1435)는 처리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143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보이스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블루투스, 니어-필드 통신과 같은 단거리 통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GPS의 사용과 같은 위치 기반 통신, 또 다른 유사 통신 기능,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431)은 셀룰러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GPS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443b)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원격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443b)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및/또는 니어-필드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전력 소스(1413)는 UE(1400)의 컴포넌트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UE(1400)의 하나의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UE(1400)의 다수의 컴포넌트를 가로질러 파티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소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1431)은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처리 회로(1401)는 버스(1402)를 통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는, 처리 회로(1401)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기능성은 처리 회로(1401)와 통신 서브시스템(1431) 사이에서 파티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비계산적으로 집중적인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계산적으로 집중적인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될 수 있는 가상화 환경(150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화는, 가상화 하드웨어 플랫폼, 스토리지 장치 및 네트워킹 자원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장치의 가상의 버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가상화는 노드(예를 들어, 가상화 기지국 또는 가상화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장치(예를 들어, UE, 무선 장치 또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통신 장치) 또는 그 컴포넌트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처리 노드 상에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기능, 가상의 머신 또는 컨테이너를 통해서) 기능성의 적어도 부분이 하나 이상의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되는 구현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노드(1530)에 의해서 호스팅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환경(1500)에서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에 의해서 실행된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가상의 노드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아닌 또는 무선 접속성을 요구하지 않는 실시예에 있어서(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노드는 전적으로 가상화될 수 있다.
기능은,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의 일부 형태, 기능, 및/또는 이익을 구현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520)(이는,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인스턴스, 가상의 기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의 노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 등으로 불릴 수 있다)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520)은 처리 회로(1560) 및 메모리(159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1530)를 제공하는 가상화 환경(1500)에서 구동한다. 메모리(1590)는, 이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1520)이 본 개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처리 회로(15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1595)을 포함한다.
가상화 환경(1500)은, COTS(commercial off-the-shelf) 프로세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ASIC), 또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처리 회로가 될 수 있는, 세트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회로(1560)를 포함하는 일반 목적 또는 특별한-목적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치(또는 노드)(1530)를 포함한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처리 회로(1560)에 의해서 실행된 명령(1595) 또는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지속적인 메모리가 될 수 있는 메모리(159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1595)은, 처리 회로(1560)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노드(1520)를 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도 언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또한, 하드웨어 노드(1530)에 의해서 호스팅되는 가상의 노드(들)(1520)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8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서도 공지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들)(15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또한, 내부에 처리 회로(15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595)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지속적인, 머신-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1590-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1595)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 계층(1550)(또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로서 언급된)을 예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소정의 타입의 소프트웨어, 가상의 머신(1540)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만 아니라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된 기능, 형태 및/또는 이익을 실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머신(1540)은, 가상의 처리, 가상의 메모리, 가상의 네트워킹 또는 인터페이스 및 가상의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가상화 계층(1550) 또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가상의 기기(1520)의 예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1540) 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구현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작 동안, 처리 회로(1560)는 소프트웨어(1595)를 실행해서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화 계층(1550)을 인스턴스화는데, 이는, 때때로, 가상의 머신 모니터(VMM)로서 언급될 수 있다. 가상화 계층(1550)은 가상의 머신(1540)에 대한 네트워킹 하드웨어 같이 보이는 가상의 오퍼레이팅 플랫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웨어(1530)는 일반적인 또는 특정 컴포넌트를 갖는 독립형의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하드웨어(1530)는 안테나(15225)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화를 통해서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드웨어(1530)는 하드웨어의 더 큰 클러스터의 부분이 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 또는 고객 구내 장비(CPE)에서와 같이), 여기서 많은 하드웨어 노드는 함께 작업하고, 관리 및 오케스트레션(MANO)(15100)을 통해서 관리되고, 이는, 다른 것 중에서, 애플리케이션(1520)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감독한다.
하드웨어의 가상화는, 일부 콘텍스트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로서 언급된다. NFV는, 데이터 센터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및 고객 구내 장비가 될 수 있는, 산업 표준 대용량 서버 하드웨어, 물리적인 스위치, 및 물리적인 스토리지 상에 많은 네트워크 장비 타입을 통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NFV는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스트럭처와 관련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머신(1540)은, 이들이 물리적인, 비가상화 머신 상에서 실행되었던 것 같이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물리적인 머신의 소프트웨어 구현이 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의 머신(1540), 및 가상 머신을 실행하는 하드웨어(1530)의 부분은, 이것이 그 가상의 머신에 전용인 하드웨어 및/또는 그 가상 머신에 의해서 다른 가상의 머신(1540)과 공유된 하드웨어이면, 분리의 가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VNE)를 형성한다.
여전히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VNF)은 하드웨어 네트워킹 인프라스트럭처(1530)의 상단에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1540)에서 구동하는 특정 네트워크 기능을 핸들링하는 것을 담당하고, 도 15의 애플리케이션(1520)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전송기(1522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1521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152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15225)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유닛(15200)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드웨어 노드(1530)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능력을 가상의 노드에 제공하기 위해서 가상의 컴포넌트와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노드는 본 개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UE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시그널링은 하드웨어 노드(1530)와 무선 유닛(15200)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시스템(15230)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1611) 및 코어 네트워크(1614)를 포함하는 3GPP-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16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611)는 N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복수의 기지국(1612a, 1612b, 1612c)을 포함하고, 각각은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1613a, 1613b, 1613c)을 규정한다. 각각의 기지국(1612a, 1612b, 1612c)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1615)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1614)에 접속 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1613c)에 위치된 제1UE(1691)는 대응하는 기지국(1612c)에 무선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페이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리지 영역(1613a) 내의 제2UE(1692)는 대응하는 기지국(1612a)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다. 복수의 UE(1691, 1692)가 이 예에서 도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유일한 UE가 커버리지 영역에 있거나 또는 유일한 UE가 대응하는 기지국에 접속하는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1610)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된 서버, 분산형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 팜(server farm) 내의 처리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1630)에 자체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16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권 또는 제어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또는 서비스 제공자 대신 동작될 수 있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1610)와 호스트 컴퓨터(1630) 사이의 접속(1621, 1622)은 코어 네트워크(16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630)로 직접 연장하거나 또는 옵션의 중간 네트워크(1620)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1620)는 공공,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있다면, 중간 네트워크(1620)는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 네트워크(1620)는 2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 도 16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UE(1691, 1692)와 호스트 컴퓨터(1630) 사이의 접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성은 OTT(over-the-top) 접속(1650)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630) 및 접속된 UE(1691, 1692)는, 액세스 네트워크(1611), 코어 네트워크(1614), 소정의 중간 네트워크(1620) 및 가능한 또 다른 인프라스트럭처(도시 생략)를 중간자로서 사용해서, OTT 접속(1650)을 통해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1650)은 OTT 접속(1650)이 통과하는 참가하는 통신 장치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하는 의미에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612)은 접속된 UE(1691)에 포워딩(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호스트 컴퓨터(1630)로부터 기원하는 데이터를 갖는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관해서 통지받지 않거나 통지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1612)은 호스트 컴퓨터(1630)를 향해서 UE(1691)로부터 기원하는 인출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인식할 필요는 없다.
선행하는 문단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에 따른, 예의 구현이, 이제, 도 17를 참조해서 기술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1700)에서, 호스트 컴퓨터(1710)는 통신 시스템(17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7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17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1710)는 스토리지 및/또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17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처리 회로(1718)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710)는 호스트 컴퓨터(171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171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7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7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7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712)은 UE(1730) 및 호스트 컴퓨터(17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1750)을 통해서 접속하는 UE(17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712)은 OTT 접속(1750)을 사용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700)은, 원격 통신 시스템 내에 제공되고 이것이 호스트 컴퓨터(1710) 및 UE(173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1725)를 포함하는 기지국(1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1725)는 통신 시스템(17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726)만 아니라 기지국(1720)에 의해서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도 17에서 도시 생략)에 위치된 UE(1730)와 적어도 무선 접속(1770)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17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26)는 호스트 컴퓨터(1710)에 대한 접속(17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1760)은 직접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는 원격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17에 도시 생략)를 통과 및/또는 원격 통신 시스템 외측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1720)의 하드웨어(172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17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720)은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 접속을 통해서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172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1721)는, 처리 회로(1728)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1720)을 구성할 수 있는 명령(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도 언급)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700)은 이미 언급된 UE(173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하드웨어(1735)는, UE(1730)가 현재 위치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과 무선 접속(1770)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1737)를 포함할 수 있다. UE(1730)의 하드웨어(173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173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UE(1730)는 UE(173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173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7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7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7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732)은, 호스트 컴퓨터(1710)의 지원과 함께, UE(1730)를 통해서 휴먼 또는 비휴먼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710)에 있어서, 실행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712)은 UE(1730) 및 호스트 컴퓨터(17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1750)을 통해서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7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클라언트 애플리케이션(17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7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17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732)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해서 이것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1731)는, 또한, 처리 회로(1738)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예를 들어, 절차)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UE(1730)를 구성할 수 있는 명령(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도 언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1710), 기지국(1720) 및 UE(1730)가, 각각 도 17의 호스트 컴퓨터(1230), 기지국(1712a, 1712b, 1712c) 중 하나 및 UE(1791, 1792) 중 하나와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즉, 이들 엔티티의 내부 작업은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7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17에 있어서, OTT 접속(1750)은, 소정의 중간 장치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및 이들 장치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 없이, 기지국(1720)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710)와 UE(1730)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기 위해서 추상적으로 그려졌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UE(1730)로부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1710)를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또는 모두로부터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OTT 접속(17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해서) 이것이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행할 수 있다.
UE(1730)와 기지국(1720) 사이의 무선 접속(1770)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른다.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접속(1770)이 최종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접속(1750)을 사용해서 UE(1730)에 제공된 OTT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특히,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UE)와 5G 네트워크 외부의 OTT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와 같은 다른 엔티티 사이의 데이터 세션과 관련된 그들의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의 엔드-투-엔드 서비스의 품질(QoS)을 감시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대한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장점은 5G/NR 솔루션의 시의 적절한 설계, 구현 및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세션 QoS의 유연하고 시의 적절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5G/NR이 구상하고 OTT 서비스의 성장에 대해서 중요한 커패시티, 처리량, 레이턴시 등에서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측정 절차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하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네트워크 동작 측면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해서, 호스트 컴퓨터(1710)와 UE(1730) 사이의 OTT 접속(17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옵션의 네트워크 기능성이 더 있을 수 있다. OTT 접속(17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성은 호스트 컴퓨터(1710)의 소프트웨어(1711) 및 하드웨어(1715)로 또는 UE(1730)의 소프트웨어(1731) 및 하드웨어(1735), 또는 모두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도시 생략)는 OTT 접속(1750)이 통과하는 통신 장치 내에 또는 통신 장치와 관련해서 배치될 수 있고, 센서는 상기 예시된 감시된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또는 소프트웨어(1711, 1731)가 감시된 양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인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 OTT 접속(17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세팅, 선호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1720)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1720)에 알려지지 않거나 또는 감지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 및 기능성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실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17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인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은, 이것이 전파 시간, 에러 등을 감시하는 동안 OTT 접속(1750)을 사용해서 메시지, 특히, 빈(empty) 또는 '더미(dummy)'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소프트웨어(1711, 173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다른 도면을 참조해서 기술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8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18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810의 서브단계 18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8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18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전송에서 반송했던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전송한다. 단계 184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본 개시의 다른 도면을 참조해서 기술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9를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단계 19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옵션의 서브단계(도시 생략)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9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전송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해서 통과할 수 있다. 단계 19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본 개시의 다른 도면을 참조해서 기술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발명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20을 참조하는 것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201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2020에 있어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2020의 서브단계 202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2010의 서브단계 20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반응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되었던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서브단계 2030에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방법의 단계 204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본 개시의 다른 도면을 참조해서 기술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21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2110(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에서,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212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21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서 개시된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은 단순히 공개의 원칙을 나타낸다.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은 본 개시의 교시의 면에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명백하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개시에 명시적으로 표시되거나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본 개시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다양한 시스템, 배열, 및 절차를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고안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서로 함께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이해되는 것과 교환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유닛은, 전자, 전기 장치 및/또는 전자 장치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의미하는 것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 장치, 모듈, 프로세서, 메모리, 로직 고체 상태 및/또는 이산 장치, 본 개시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각각의 태스크, 절차, 계산,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및/또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적합한 단계, 방법, 형태, 기능, 또는 이익은, 하나 이상의 가상의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인 유닛 또는 모듈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의 장치는 다수의 이들 기능적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능적인 유닛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특별한-목적의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리드-온리-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장치, 광학 스토리지 장치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원격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만 아니라, 본 개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각각의 기능적인 유닛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장치(device) 및/또는 장치(apparatus)는 반도체 칩, 칩세트, 또는 이러한 칩 또는 칩세트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장치 또는 장치의 기능성이 하드웨어 구현되는 대신, 프로세서 상에서의 실행을 위한 또는 구동되는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외하지 않는다. 더욱이, 장치 또는 장치의 기능성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소정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장치 또는 장치는, 또한, 서로 기능적으로 협동하는 또는 서로 독립하는 다수의 장치 및/또는 장치의 어셈블리로서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장치 및 장치는 장치 또는 장치의 기능성이 유지되는 한 시스템을 통해서 분포되는 양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장치 또는 네크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은 복수의 무선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걸쳐서 분배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기술된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장치의 기능은 단일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실제로, 다수의 물리적인 장치 중에 분배될 수 있다.
다르게 규정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공통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 및 관련 기술의 콘텍스트에서의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본 개시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포함하는 본 발명 개시에서 소정의 용어는, 소정 인스턴스(예를 들어, "데이터" 및 "정보")에서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및/또는 서로 동의어가 될 수 있는 다른 용어)는 본 개시에서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단어가 동의어로 사용되지 않도록 의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이 본 개시의 참조에 의해서 명시적으로 통합되지 않은 범위까지, 이는, 그 전체 내용에 있어서 본 개시에 통합된다. 참조된 모든 공개는 그들 전체 내용이 본 개시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개시에 기술된 기술 및 장치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다음의 예들을 포함한다:
A1.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 백홀 채널을 수립하기 위해서 중앙화된 유닛(CU)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IAB 네트워크 내의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제2노드는 제1노드에 관련해서 다운스트림인, 결정하는 것; 및
제2노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2노드와 제3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2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3노드는 제2노드와 관련해서 다운스트림이고; 및
제2요청은 제2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1식별자를 포함한다.
A2. 실시예 A1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는 제1과 제2BH RLC 채널 모두와 관련된다.
A3. 실시예 A1-A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1식별자 결정하는 것은, 제1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1요청에 응답해서 제1노드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A4. 실시예 A3의 방법에 있어서,
제1식별자는 제1노드와 관련된 분산된 유닛(DU)으로부터 수신되고; 및
제2요청은 제2노드와 관련된 DU에 송신된다.
A5. 실시예 A1-A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2노드로부터, 제2BH RLC 채널의 제2식별자는 수신하는 것; 및
제3노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3노드와 제4노드 사이의 제3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3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4노드는 제3노드와 관련해서 다운스트림이고; 및
제3요청은 제3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2식별자를 포함한다.
A6. 실시예 A1-A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1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pool)로부터 제1식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A7. 실시예 A6의 방법에 있어서,
제1노드에,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에 제1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1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1요청은 제1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1식별자를 포함한다.
B1.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 백홀 채널을 수립하기 위해서 중간 노드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IAB 네트워크 내의 중앙화된 유닛(CU)으로부터,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와 다운스트림 노드 사이의 제2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
제2BH RLC 채널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것;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와 업스트림 노드 사이의 제1BH RLC 채널과 관련된 제1식별자를 수신하는 것; 및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 모두를 관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B2. 실시예 B1의 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다른 것을 통한 전송을 위해서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하나를 통해서 수신된, DRB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B3. 실시예 B1-B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1식별자는 요청에서 수신되고; 및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은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제2식별자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B4. 실시예 B3의 방법에 있어서,
CU에,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응답은 제2식별자를 포함한다.
B5. 실시예 B1-B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2BH RLC 채널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은 제2BH RLC 채널에 수신된 제1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을 포함한다.
B6. 실시예 B1-B2에 있어서,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 모두는 요청에서 수신된다.
C1.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CU)으로서, CU는:
하나 이상의 분산된 유닛(DU)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회로;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처리 회로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는 실시예 A1-A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C2.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CU)으로서, CU는 실시예 A1-A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배열된다.
C3.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CU)의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실시예 A1-A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CU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4.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CU)의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실시예 A1-A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CU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1.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간 노드로서, 중간 노드는:
중앙화된 장치(CU) 및 하나 이상의 다른 IAB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처리 회로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는 실시예가 B1-B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2.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간 노드로서, 중간 노드는 실시예 B1-B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배열된다.
D3.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간 노드의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실시예 B1-B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중간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D4.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간 노드의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실시예 B1-B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중간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laims (29)

  1.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 중앙화된 유닛(CU)을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IAB 네트워크 내의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를 결정(1120)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제2노드는 제1노드의 차일드 노드인, 결정하는 단계; 및
    제2노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2노드와 제3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2요청을 송신(1120)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3노드는 제2노드의 차일드 노드이고; 및
    제2요청은 제2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1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는 제1과 제2BH RLC 채널 모두와 관련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요청은 UE와 관련된 콘텍스트 설정 요청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이고; 및
    제1식별자는 논리적 채널 식별자(LCID)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노드에, 제1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1요청을 송신(111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식별자를 결정(1120)하는 단계는, 제1요청에 응답해서 제1노드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1121)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식별자는 제1노드와 관련된 분산된 유닛(DU)으로부터 수신되고; 및
    제2요청은 제2노드와 관련된 DU에 송신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제1요청은 제1식별자를 포함하고; 및
    제1식별자를 결정(1120)하는 단계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1식별자를 선택(1122)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음은: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하고, 여기서, 또 다른 BH RLC 채널 및 제1BH RLC 채널은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동일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관련되며; 또는
    제1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2요청은, 제1요청에 대한 제1노드로부터의 응답에 대해서 기다리지 않고 제2노드에 송신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BH RLC 채널의 제2식별자를 결정(1140)하는 단계; 및
    제3노드에, IAB 네트워크 내의 제3노드와 제4노드 사이의 제3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3요청을 송신(115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4노드는 제3노드의 차일드 노드이고; 및
    제3요청은 제3BH RLC 채널과의 관련을 위한 제2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2식별자를 결정(1140)하는 단계는, 제2요청에 응답해서 제2노드로부터 제2식별자를 수신(1141)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제2요청은 제2식별자를 포함하고; 및
    제2식별자를 결정(1140)하는 단계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2식별자를 선택(1142)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음은: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제1식별자와 동일;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하고, 여기서, 또 다른 BH RLC 채널 및 제2BH RLC 채널은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동일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관련되며; 또는
    제2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인, 방법.
  12.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에서 중간 노드를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와 패런트 노드 사이의 제1백홀 무선 링크 제어(BH RLC) 채널의 제1식별자를 결정(1220)하는 단계;
    IAB 네트워크 내의 중간 노드와 차일드 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에 제2식별자를 할당(1230)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장비(UE)와 CU 사이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와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관련(1250)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하나를 통해서, DRB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1260)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식별자를 DRB와 관련(1250)시키는 단계에 기반해서, 제1 및 제2BH RLC 채널 중 다른 것을 통해서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127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중간 노드는 이동 단말(MT) 부분 및 분산된 유닛(DU) 부분을 포함하고;
    데이터 패킷은 MT 및 DU 부분 중 하나에 의해서 수신되며; 및
    데이터 패킷은 MT 및 DU 부분 중 다른 것에 의한 전송을 위해서 포워드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U로부터, 중간 노드와 차일드 노드 사이의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121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요청은 UE와 관련된 콘텍스트 설정 요청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이고; 및
    제1식별자는 논리적 채널 식별자(LCID)인,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1식별자를 결정(1220)하는 단계는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서 제1식별자를 수신(1222)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1식별자를 결정(1220)하는 단계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1식별자를 선택(1221)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음은: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DRB와 관련된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 또는
    제1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식별자를 제2BH RLC 채널에 할당(1230)하는 단계는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서 제2식별자를 수신(1232)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식별자를 제2BH RLC 채널에 할당(1230)하는 단계는 다음 중 하나에 따라서 제2식별자를 선택(1231)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음은:
    사용 가능한 BH RLC 식별자의 풀로부터;
    제1식별자와 동일;
    DRB와 관련된 또 다른 BH RLC 채널의 식별자와 동일; 또는
    제2BH RLC 채널과 관련된 서비스의 품질(QoS) 파라미터에 기반하는 것인,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CU에, 제2BH RL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124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응답은 제2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22.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CU)(110, 330, 930, 1360, 1530, 1612, 1720)으로서, CU는:
    IAB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311-315, 910, 9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1390, 1570, 15200, 1727); 및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1370, 1560, 1728)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처리 회로 및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
  23.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UE)(110, 330, 930, 1360, 1530, 1612, 1720)으로서, CU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배열되는, 중앙화된 유닛.
  24.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CU)(110, 330, 930, 1360, 1530, 1612, 1720)의 처리 회로(1370, 1560, 1728)에 의해서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CU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1380, 1590).
  25.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중앙화된 유닛(CU)(110, 330, 930, 1360, 1530, 1612, 1720)의 처리 회로(1370, 1560, 1728)에 의해서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CU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595, 1721).
  26.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 중간 노드로서의 동작하기 위해서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311-315, 920, 930)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화된 유닛(CU)(110, 330, 930, 1360, 1530, 1612, 1720) 및 하나 이상의 다른 IAB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1314, 1390, 1409, 1431, 15200, 1727, 1737);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1320, 1370, 1401, 1560, 1728, 1738)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처리 회로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는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7.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 중간 노드로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311-315, 920, 930)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배열되는, 네트워크 노드.
  28.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 중간 노드로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311-315, 920, 930)의 처리 회로(1320, 1370, 1401, 1560, 1728, 1738)에 의해서 실행될 때,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1330, 1380, 1421, 1590).
  29.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300)에서 중간 노드로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311-315, 920, 930)의 처리 회로(1320, 1370, 1401, 1560, 1728, 1738)에 의해서 실행될 때,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1424, 1595, 1721, 1731).
KR1020227002329A 2019-08-15 2020-07-14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의 인그레스와 디그레스 백홀 rlc 채널 사이의 맵핑 KR102592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7429P 2019-08-15 2019-08-15
US62/887,429 2019-08-15
PCT/SE2020/050733 WO2021029804A1 (en) 2019-08-15 2020-07-14 Mapping between ingress and egress backhaul rlc channels i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888A true KR20220024888A (ko) 2022-03-03
KR102592004B1 KR102592004B1 (ko) 2023-10-19

Family

ID=7172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329A KR102592004B1 (ko) 2019-08-15 2020-07-14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의 인그레스와 디그레스 백홀 rlc 채널 사이의 맵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56619B2 (ko)
EP (1) EP4014675B1 (ko)
KR (1) KR102592004B1 (ko)
CN (1) CN114258731B (ko)
CA (1) CA3147811A1 (ko)
CO (1) CO2022000078A2 (ko)
WO (1) WO2021029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521B2 (en) * 2021-01-20 2024-02-27 Maveni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qu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user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intelligent controller
US11812346B2 (en) * 2021-03-12 2023-11-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US11843971B2 (en) * 2021-10-14 2023-12-12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enablement of RLC mode based on UE RF conditions
WO2024016323A1 (en) * 2022-07-22 2024-01-25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bs in an iab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6707B2 (en) 2014-03-13 2017-03-14 Intel Corporation Bearer mobility and splitting in a radio access network-based,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having an integ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264622B2 (en) 2017-03-17 2019-04-16 Ofinno Technologies, Llc Inactive state data forwarding
US10873479B2 (en) 2017-08-03 2020-12-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forwarding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via multi-layer tunneling and centralized control
CN109803453B (zh) 2017-11-17 2023-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通信设备及其通信系统
WO2019216670A1 (en) * 2018-05-09 2019-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data through iab nodes in 5g communication networks
CN110475382A (zh) * 2018-05-11 2019-11-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无线回程节点的承载映射方法、无线回程节点和施主基站
CN110475351A (zh) * 2018-05-11 2019-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的方法和设备
CN113875285B (zh) * 2019-03-28 2024-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平面信令传输的回传承载的管理
EP3997956A2 (en) 2019-07-09 2022-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pping information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US11483731B2 (en) * 2019-08-14 2022-10-25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for packet forwarding on wireless backhaul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906069 (2019.05.03.)* *
3GPP R2-1906076 (2019.05.03.)* *
3GPP R2-1906576 (2019.05.03.)* *
3GPP R3-185999 (2018.09.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9804A1 (en) 2021-02-18
CN114258731A (zh) 2022-03-29
CA3147811A1 (en) 2021-02-18
US20220272774A1 (en) 2022-08-25
US11856619B2 (en) 2023-12-26
EP4014675B1 (en) 2023-11-22
EP4014675A1 (en) 2022-06-22
KR102592004B1 (ko) 2023-10-19
CN114258731B (zh) 2024-04-26
CO2022000078A2 (es)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2883B2 (ja) 統合アクセス・バックホール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適合レイヤ・セットアップ及び構成
US11375557B2 (e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assignment i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s
US11659447B2 (en) Flow control for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s
EP3738401B1 (en) Packet forwarding i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s
US20220201777A1 (en) Enhanced Handover of Nodes i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s - Control Plane (CP) Handling
US11516829B2 (en) Enhanced uplink scheduling i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s
JP7449309B2 (ja) 統合アクセスバックホー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ルチコネクティビティをサポートするアップリンクルーティングを可能にすること
KR102592004B1 (ko) 통합된 액세스 백홀(iab) 네트워크의 인그레스와 디그레스 백홀 rlc 채널 사이의 맵핑
JP7374220B2 (ja) Iabノードにおけるベアラマッピング
US20230247495A1 (en) Iab node handover in inter-cu migration
WO2021025604A1 (en) Implicit indication of centralized unit (cu)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capability
US20210297892A1 (en) Integrated Access Backhaul Nodes that Support Multiple Mobile Terminations
US20210258832A1 (en) QoS Mapping for Integrated Access Backhaul Systems
US20220295579A1 (en) Supporting iab cp signaling over l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