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714A -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714A
KR20220024714A KR1020227001846A KR20227001846A KR20220024714A KR 20220024714 A KR20220024714 A KR 20220024714A KR 1020227001846 A KR1020227001846 A KR 1020227001846A KR 20227001846 A KR20227001846 A KR 20227001846A KR 20220024714 A KR20220024714 A KR 2022002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mponent
encoding
image
en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릭스 앙리
고든 클레어
Original Assignee
폰데이션 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폰데이션 비-컴 filed Critical 폰데이션 비-컴
Publication of KR2022002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이 제안되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방법은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것을 수반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압축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압축 표준들 이를테면, HEVC(예컨대,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Coding Tools and Specification"(Matthias Wien, Signal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2015)에서 설명된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및 포스트-HEVC 표준들은 기준 이미지로부터 인코딩될 이미지의 부분을 예측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이것은 고려된 영역과 동일한 이미지(인트라(INTRA) 예측 모드) 또는 비디오 시퀀스의 다른 이미지(인터(INTER) 예측 모드)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BDPCM("Block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이라 불리는 블록 엘리먼트 예측 모드는 그의 이웃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값(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픽셀의 값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모드의 상이한 대안들이 존재한다. 제1 대안은 "CE8-related: Quantized residual BDPCM, Marta Karczewicz, Video Experts Team (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14th Meeting: Geneva, CH, 19-27 March 2019"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양자화된 잔차의 예측에 기초한다. 제2 대안은 "CE8: BDPCM with horizontal/vertical predictor and independently decodable areas (test 8.3.1b), Mohsen Abdoli, Gordon Clare, F
Figure pct00001
lix Henry, Pierrick Philippe, Joint Video Experts Team (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13th Meeting: Marrakech, MA, 9-18 Jan. 201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려된 영역 부근에 로케이팅되는 재구성된 픽셀들의 값들에 기초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미지는 휘도(luminance)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chrominance)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방법은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BDPCM 모드를 사용하는 것은 이미지 압축 이득을 개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개별적으로 또는 모든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들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비-제한적이고 유리한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될 때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색차 컴포넌트들이 미리 결정된 기준을 충족할 때 BDPCM 모드가 적용되는 그러한 색차 컴포넌트들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2개의 컴포넌트들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때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된다.
기준은 또한 인코딩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선택을 표시하는 인코딩 기준일 수 있다. 예컨대,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이러한 선택은 비디오 시퀀스의 분석으로부터 발생한다. 따라서 인코더의 선택은 비디오 시퀀스의 하나 또는 여러 이미지들에서 픽셀 강도 분포, 즉 각각의 광 강도에 대한 픽셀들의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 즉 통계 그래프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하는 것은,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BDPCM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될 때, BDPCM 모드의 사용을 시그널링하는 표시자가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인코딩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방법은,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 및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하는 것, 그리고 평가 결과의 함수로서,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BDPCM 모드를 평가하는 것은 평가 결과가 만족스러운 경우 BDPCM 모드를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미지 압축 이득이 개선된다. 따라서 BDPCM 모드를 적용하는데 적절하지 않은 색차 컴포넌트들은 평가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제외(set aside)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DPCM 모드 및 다른 모드는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될 때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컴포넌트들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때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은 이미지 샘플링 포맷을 시그널링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들의 크기들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는 한편으로는 BDPCM 모드에 따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모드에 따라 색차 컴포넌트의 고려된 블록을 인코딩하는 것, 그리고 다른 미리 결정된 기준(예컨대, 레이트-왜곡 비용)의 함수로서, BDPCM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블록 또는 다른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블록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휘도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 및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의 함수로서,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모드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포넌트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가지며, 이미지 인코딩은 블록별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이미지 인코딩은 컴포넌트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은 고려된 이미지에 대해,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1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 그리고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제1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BDPCM 모드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됨을 표시하는,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표시자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BDPCM 모드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을 표시하는, 상기 블록과 관한 표시자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는 다른 색차 컴포넌트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제2 색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BDPCM 모드가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관한 상기 정보는 BDPCM 모드가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해 선택됨을 표시하는 표시자, 및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한 블록 예측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향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은 엘리먼트들로 형성되고,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블록을 인코딩하는 것은,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에 대해,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잔차의 양자화된 값을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값은 포지션이 주어진 방향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기준 엘리먼트와 고려된 엘리먼트의 값 사이의 차이의 양자화된 값에 대응하고, 제2 값은 상기 다른 엘리먼트와 주어진 방향에 의해 시그널링된 다른 기준 엘리먼트 사이의 차이의 양자화된 값에 대응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휘도 및 색차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갖고, 방법은, 휘도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 및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하는 것, 및
평가 결과의 함수로서,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BDPCM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정보는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에 관한 것이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해 선택된 모드가 BDPCM 모드임을 표시하는 표시자 및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한 블록 예측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향 표시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방법은,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미지는 상기 색차 컴포넌트(또는 "제1" 색차 컴포넌트)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제2 색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때, 상기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은 또한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는지를 표시하는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로부터의 상기 디코딩된 값은 또한 개개의 블록 예측자들로부터 상기 방향의 함수가 상기(제1)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디코딩하도록 허용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방법은, 인코딩 기준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 그리고 인코딩 기준이 충족됨을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이 표시하는 경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마지막 2개의 위에서 언급된 양상들에 대해, 이미지는 다른 색차 컴포넌트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제2 색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은 또한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는지를 표시하는 위해 사용되고, 제2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상기 값은 또한 개개의 블록 예측자들로부터 상기 방향의 함수가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디코딩하도록 허용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다른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 표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 기준은 예컨대,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스트림을 인코딩한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선택을 표시할 수 있다.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이 선택은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분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방법은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1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 그리고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제1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BDPCM 모드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디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표시자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이미지는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갖는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방법은, 인코딩 기준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 그리고 인코딩 기준이 충족됨을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이 표시하는 경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휘도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제2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안하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디바이스는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안하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디바이스는,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첨부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컬러 포맷을 예시한다.
도 2는 주어진 컬러 포맷에 따른 상이한 컬러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디코딩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은 주어진 컬러 표준(예컨대, "YUV" 또는 "YCbCr" 표준)에 대해, 이미지의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들에 적용되기 쉬운 상이한 샘플링 패턴들을 예시한다. 통상적으로,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여기서 Y로 표시됨)(이하 "휘도 컴포넌트" 또는 단순화를 위해 "루마(luma)"라 칭함), 및 2개의 색차 컴포넌트들(이하 "색차 컴포넌트" 또는 단순화를 위해 "크로마(chroma)"라 칭함)을 포함한다. 이러한 후자는 도 1에서 각각 Cb 및 Cr로 표시된다.
도 1은 2개의 픽셀들 x 2개의 픽셀들의 2개의 블록들을 형성하는 8개의 픽셀들(Pxi)로 구성된 이미지 영역에 대해, 샘플링 패턴과 각각 연관된 3개의 포맷들을 예시한다. 인간 시각은 밝기보다 컬러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휘도 정보보다 더 적은 색차 정보는 일반적으로 이미지의 지각된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그런 상태로 유지된다.
소위 4:4:4 제1 포맷 또는 제1 구조에서, 컴포넌트 중 어떤 것도 서브샘플링되지 않는다. 각각의 픽셀(Pxi)은 3개의 컬러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소위 4:2:2 제2 포맷에서, 색차 컴포넌트들은 하나 걸러 하나의 픽셀에 대해 서브샘플링된다.
소위 4:2:0 제3 포맷에서, 4개의 픽셀들(2 픽셀들× 2 픽셀들)로 형성된 블록의 1픽셀의 색차 컴포넌트들만을 유지한다.
다른 포맷들이 존재하고, 앞서 제공된 예들은 총망라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4:2:0 포맷에 대해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색차 컴포넌트(Cb, Cr)가 서브샘플링될 때, 그의 크기는 휘도 컴포넌트(Y)의 크기보다 작다. 예컨대, 4:2:0 포맷에 대해, 색차 컴포넌트들(Cb, Cr)의 크기는 휘도 크기에 대해 4로 나눠진다.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BLC)로 파티셔닝된다. 블록 파티셔닝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컴포넌트들 각각에 대해 동일하거나 하나 또는 일 세트의 컴포넌트들에 대해 구체적일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서, 단계(E1)에서, 특히 미리 결정된 기준(CT)이 충족될 때, 소위 BDPCM("Block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모드에 따라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것이 제안된다.
대안으로서, BDPCM 모드가 예컨대, 디폴트로 적용될 수 있다.
BDPCM 모드를 색차에 적용하는 것은 데이터 압축 레이트를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인코딩 방법의 복잡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특정 기준이 충족될 때 이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이한 가능한 기준들이 이하 설명된다.
이들 소위 인코딩 기준들은 압축 그 자체의 품질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고려사항들 이를테면, 인코딩 시간, 인코딩될 콘텐츠의 유형에 대한 해당 도구의 관련성, 에너지 소비 또는 목표 데이터 레이트(이 목록은 총망라하는 것이 아님)에 기초하여 도구를 사용할지 여부에 대한 인코더의 판단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인코딩 기준은 하나의 콘텐츠로부터 다른 콘텐츠로 또는 목표 성능과 관련하여 변경되기 쉬운 인코딩 콘텍스트와 관련하여 인코더의 일반적인 선택이다. 따라서 이는 고려된 블록 특유의 로컬 정보에만 기초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내려진 구현의 선택으로부터 비롯되는 기준과 상이하다.
위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BDPCM 모드의 여러 대안들이 존재한다.
앞서 언급된 논문 "CE8-related: Quantized residual BDPCM"에서 설명된 제1 대안(R-BDPCM이라 불림)에서, 블록의 휘도 컴포넌트가 BDPCM 모드에 따라 인코딩될 때, 방향 정보(예컨대, 표시자)는 고려된 휘도 블록에 대해 인코딩된다. 표시자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나타낸다.
이 제1 대안에서, INTRA 유형의 예측은 먼저 고려된 블록의 엘리먼트들에 대해 이루어진다. 이 예측은 HEVC 표준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블록에 대한 방향 표시자가 수평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수평 INTRA 예측이 적용되는데. 즉, 고려된 블록(또는 그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의 엘리먼트의 값은 이 엘리먼트 좌측 상의 이웃 엘리먼트의 값으로부터 예측된다. 그렇지 않으면, 수직 INTRA 예측이 적용되는데. 즉, 고려된 블록(또는 그의 컴포넌트 중 하나)의 엘리먼트 값은 이 엘리먼트 위의 이웃 엘리먼트 값으로부터 예측된다. 블록의 라인 i와 열 j 상에 로케이팅된, 고려된 예측 블록의 휘도 컴포넌트 엘리먼트 값은 P(i,j)로 표시되며, 하나의 블록의 엘리먼트들은 라인들 및 열들로 구성된다(i 및 j는 정수임).
둘째로, 각각의 엘리먼트 P(i,j)의 예측 잔차(RES1)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RES1(i,j) = P(i,j) - PRED1(i,j)
여기서 PRED1(i,j)는, 정의된 예측 방향이 수평인 경우 P(i,j) 좌측 상의 엘리먼트 REFLEFT(i,j)와 동일한 예측자 또는 정의된 예측 방향이 수직인 경우, P(i,j) 위의 엘리먼트 REFTOP(ij)와 동일한 예측자이다.
그 후, 계산된 예측 잔차 RES1(i,j)은 엘리먼트 P(i,j)에 대해 QRES1(i,j)로 표시된 양자화된 잔차로 양자화된다.
이전 INTRA 예측이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 소위 잔차 값들 R(i,j)은 다음과 같이 획득된다:
R(i,0) = QRES1(i,0)
R(i,j) = QRES1(i,j) - QRES1(i,j-1) 여기서 j≠0.
이전 INTRA 예측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 값들 R(i,j)은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R(0,j) = QRES1(0,j)
R(i,j) = QRES1(i,j) - QRES1(i-1,j) 여기서 i≠0.
그 후, 모든 값들 R(i,j)은 예컨대, HEVC 표준의 잔여 계수들의 인코딩과 같은 알려진 수단에 의해 인코딩된다.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디코딩 동안, 스트림에서 송신된 예측 방향이 수평인 경우, 양자화된 잔차 QRES1(i,j)은 다음과 같이 재구성된다:
Figure pct00002
디코딩 동안, 예측 방향이 수직인 경우, 양자화된 잔차 QRES1(i,j)은 다음과 같이 재구성된다:
Figure pct00003
픽셀 P(i,j)의 재구성된 버전 REC1(i,j)은 그 후, 예측 방향 및 양자화된 잔차 QRES1(i,j)로부터, 예측자 PRED1(i,j)에 QRES1(i,j)의 역양자화 값을 추가함으로써 재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논문 "CE8: BDPCM with horizontal/vertical predictor and independently decodable areas (test 8.3.1b)" 설명된 제2 대안(S-BDPCM이라 불림)에서, 방향 정보(예컨대, 표시자)가 또한 고려된 블록의 휘도 컴포넌트에 대해 인코딩된다. 마찬가지로, 표시자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나타낸다.
이 대안에서, 엘리먼트들은 정의된 순서로 잇따라 프로세싱된다. 방향 표시자가 수평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좌측 상의) 블록의 제1 열의 모든 엘리먼트들이 먼저 프로세싱되고, 그 후 제2 열의 모든 샘플들이 프로세싱되는 식으로 블록의 마지막 열까지 계속된다. 하나의 열 내에서, 엘리먼트들은 병렬로 또는 무관한 순서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측자 엘리먼트 PRED2(i,j)라 불리는 기준 엘리먼트는 j번째 열의 i번째 라인 상에 로케이팅된 고려된 블록의 엘리먼트를 예측하도록 허용한다. 우리는 다음을 획득하였다:
PRED2(i,0) = REFLEFT(i)
PRED2(i,j) = REC2(i,j-1) 여기서 j≠0, 여기서
REFLEFT(i)는 블록의 좌측 상의 그리고 i번째 라인 상의 기준 엘리먼트(즉, 디코딩된 이웃 블록에 속함)이고,
REC2(i,j-1)는 i번째 라인 및 (j-1)번째 열(즉, 고려된 엘리먼트의 바로 좌측) 상에 로케이팅된 고려된 블록의 재구성된 엘리먼트이다.
방향 표시자가 수직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상단의) 블록의 제1 라인의 모든 엘리먼트들이 프로세싱되고 그 후 제2 라인의 모든 샘플들이 프로세싱되는 식으로 마지막 라인까지 계속된다. 동일한 라인 내에서, 엘리먼트들은 병렬로 또는 무관한 순서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려된 블록의 j번째 열의 i번째 라인 상에 로케이팅된 엘리먼트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자 엘리먼트 PRED2(i,j)라 불리는 기준 엘리먼트는 다음과 같이 획득된다:
PRED2(0,j) = REFTOP(j)
PRED2(i,j) = REC2(i-1,j) 여기서 i≠0, 여기서
REFTOP(i)는 j번째 열 상의 그리고 고려된 블록 위에 있는 기준 엘리먼트(즉, 디코딩된 이웃 블록에 속함)이다.
REC2(i-1,j)는 (i-1)번째 라인 및 j번째 열(따라서 현재 엘리먼트 바로 위)에 로케이팅된 고려된 블록의 디코딩된(또는 재구성된) 엘리먼트이다.
그 후, 대응하는 잔차 RES2(i,j)는 PRED(i,j)과 고려된 블록의 j번째 열의 i번째 라인 상에 로케이팅된 엘리먼트의 오리지널 값 간의 차이에 의해 계산된다.
잔차 RES2(i,j)는 양자화된 잔차: QRES2(i,j)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양자화된다.
디코딩 동안, 디코더로 송신된,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양자화된 잔차는 그 후 역양자화되어 역양자화된 잔차: DQRES2(i,j)를 획득한다.
고려된 엘리먼트의 재구성된 값 REC2(i,j)는 다음 공식: REC2(i,j) = PRED2(i,j) + DQRES2(i,j), PRED2(i,j)에 따라 획득된다. REC2(i,j)는 엘리먼트 프로세싱 순서에서 다음 엘리먼트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위에서 언급된 대안들에서 사용된 양자화가 균일 스칼라 양자화인 경우, 제1 및 제2 대안들은 동등하다는 점에 유의하자. 실제로 예측이 수평이고(수직 예측의 경우 추론이 동일함) 균일 스칼라 양자화가 양자화 피치δ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제1 대안에 따라 재구성된 엘리먼트 REC1(i,j)가 작성된다:
Figure pct00004
제2 대안에 따르면, 재구성된 엘리먼트 REC2(i,j)는 다음과 같이 작성된다:
Figure pct00005
따라서, 둘 모두의 경우들에서, 재구성된 엘리먼트는 기준 엘리먼트 REFLEFT(i)의 값과 동일하며, 이 값에는 이전에 재구성된 엘리먼트들의 양자화된 잔차 값들의 합을 양자화 피치와 곱한 값이 더해진다. 이하, BDPCM이라는 단어는 대안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차별 없이 나타내는 데 사용될 것이다.
충족되는 미리 결정된 기준(CT)은 이미지 컬러 포맷과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 또는 여러 이미지들 또는 모든 이미지들이 서브샘플링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여러 이미지들의 색차 컴포넌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인코딩은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미리 결정된 기준(CT)은 하나 또는 여러 이미지들의 전체 콘텐츠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의 콘텐츠의 함수일 수 있다. 전체 콘텐츠는 예컨대,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인코더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분석 결과의 함수로서, 인코더는 인코딩 모드를 구현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예컨대,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컴포넌트가 "Screen Content"와 같은 특정 포맷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색차 컴포넌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인코딩은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미리 결정된 기준은 BDPCM 모드가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생성되는 이득, 즉 이 이득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은지 여부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기준들의 목록은 총망라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충족될 때,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인코딩을 수반하는,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단계(E1)에 더하여,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BDPCM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단계(E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정보는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활성화될 때 BDPCM 모드가 해당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을 표시하는 블록 레벨(즉, 고려된 블록에 관한)의 이진 표시자일 수 있다.
더욱이,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관한 정보는 또한 양 색차 컴포넌트들이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갖는 경우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해서도 유효할 수 있다. 단일 표시자는 제1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의 레벨에서 시그널링된다. 즉, 하나의 표시자는 BDPCM 모드가 한편으로는 (제1)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또는 제2) 색차 컴포넌트에서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지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직 또는 수평인 예측 방향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전 표시자에 관해서는, 방향 정보는 제1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서만 시그널링된 이진 표시자일 수 있고,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해 또한 유효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는 특히 기준(CT)이 충족되는 경우, BDPCM 모드 및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E10)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단계(E10)는 기준(CT)에 독립적일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휘도 및 색차 컴포넌트들의 파티셔닝이 동일한 경우, 대응하는 휘도 블록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선택된 모드는 그 후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기 위해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모드는 예컨대, HEVC 표준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INTRA 예측만을 갖는 인코딩 모드 또는 INTER 예측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평가는 한편으로는 BDPCM 모드에 따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모드에 따라 고려된 블록의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BDPCM 모드 또는 다른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은 다른 미리 결정된 기준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이 다른 미리 결정된 기준은 예컨대, 레이트-왜곡 비용일 수 있다. 이 비용이 주어진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이 경우 BDPCM 모드는 고려된 블록의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그 후, 단계(E11)는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한 다른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인코딩 정보를 포함한다. 역으로, 단계(E12)는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BDPCM 모드를 나타내는 인코딩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들(E11 및 E12)은 기준(CT)을 나타내는 정보 - 후자가 이전 단계에서 고려된 경우 - 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충족되는 기준이 휘도 및 색차 컴포넌트에 대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라면, 단계들(E11 및 E12)은 이미지 샘플링 포맷을 시그널링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포맷이 4:4:4임을 이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이 포맷에서 컬러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크기를 갖기 때문에 기준(CT)이 충족된다. 예컨대,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들이 잠재적으로 포맷 4:4:4 또는 포맷 4:2:0일 수 있는 경우, 정보는 활성화될 때 이미지(또는 시퀀스 레벨에서 사용되는 경우 시퀀스)가 포맷 4:4:4임을 시그널링하는 이진 표시자일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 블록의 여러 컴포넌트들의 인코딩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인코딩은 여기에서 컴포넌트별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컴포넌트의 모든 블록들은 다른 컴포넌트의 블록들을 인코딩하기 전에 인코딩된다. 이 실시예는 컴포넌트들이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지 않는 경우에 특별히 적응된다.
제1 단계(E400)에서, 제1 컴포넌트, 예컨대, 휘도 컴포넌트가 고려된다. 그 후, 이 선택된 휘도 컴포넌트에 대해, 제1 블록이 고려된다( E401). 이는 단계(E402)에서 선택된 방법에 따라 인코딩된다. 예컨대, 방법은 BDPCM 모드 및 다른 모드를 평가하고 그 후, 최저 레이트-왜곡 비용을 생성하는 인코딩된 블록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T2) 동안, 인코딩된 블록이 컴포넌트의 마지막 블록이라는 것이 체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휘도 컴포넌트의 모든 블록들이 인코딩될 때까지 단계(E403)에서 다음 블록이 프로세싱된다.
프로세싱된 컴포넌트가 마지막 컴포넌트가 아닌 경우(테스트 T3),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제1 색차 컴포넌트가 단계(E404)에서 획득된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컴포넌트의 제1 블록이 단계(E401)에서 선택된다. 그 후, 이 블록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 중 하나에 따라 인코딩된다. 인코딩은 여기서 미리 결정된 기준(CT)의 함수일 수 있다. 예컨대, 이 색차 컴포넌트의 인코딩은 전체 비디오 시퀀스의 또는 이미지의 컬러 포맷이 4:4:4인 경우 BDPCM 모드 및 다른 모드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색차 컴포넌트 및 휘도 컴포넌트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경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은 휘도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예컨대,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선택된 모드가 BDPCM 모드인 경우, 이는 디폴트로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다.
이전과 같이, 색차 컴포넌트의 프로세싱된 블록이 마지막 블록이 아닌 경우(테스트 T2), 프로세스는 다음 블록(E403)으로 계속된다. 마지막 컴포넌트의 모든 블록들이 프로세싱될 때까지(테스트 T3),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비디오 시퀀스를 형성하는 모든 이미지들에 대해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도 7은 이미지의 블록의 여러 컴포넌트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인코딩은 본원에서 블록별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블록의 모든 컴포넌트들은 다음 블록을 인코딩하기 전에 인코딩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컴포넌트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갖는다.
단계(E500) 동안, 제1 블록이 획득된다(예컨대, 이미지의 좌측 상단에 로케이팅됨). 블록 프로세싱 순서는 여기에서 알려져 있을 것이다. 이 블록의 휘도 컴포넌트는 단계(E501)에서 인코딩된다. 그 후, 이 블록의 제1 색차 컴포넌트는 잠재적으로 기준(CT)의 함수로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에 따라 단계(E502)에서 인코딩된다.
제2 색차 컴포넌트는 잠재적으로 기준(CT)의 함수로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에 따라 단계(E503)에서 인코딩된다. 대안으로서, 블록의 제1 색차 컴포넌트에 대해 사용되는 인코딩 모드는 디폴트로 블록의 제2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싱된 블록이 마지막 블록이 아닌 경우(테스트 T5), 다음 블록이 고려된다. 프로세스는 마지막 블록까지 반복된다.
대안으로서, 색차 컴포넌트 및 휘도 컴포넌트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다면, 블록 휘도를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를 사용하여 블록 색차들이 인코딩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휘도 컴포넌트를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가 BDPCM 모드인 경우, 이 모드는 블록 색차 컴포넌트들을 인코딩하는 데 자동으로 사용된다.
대안으로서, 고려된 블록의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이 병렬로 인코딩된다.
비디오 시퀀스를 형성하는 모든 이미지들에 대해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코딩은 특히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또는 전체 비디오 시퀀스에 대해, 기준(CT)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의 인코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비디오 시퀀스의 (모든) 이미지들의 또는 이미지의 컬러 포맷의 표시자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자는 입력 이미지가 포맷 4:2:0(기준(CT)이 충족되지 않음) 또는 포맷 4:4:4(기준(CT)이 충족됨)임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제1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제1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를 인코딩한다.
제1 및 제2 정보는 더 나은 역학을 위해 비디오 시퀀스의 각각의 이미지 또는 전체 비디오 시퀀스에 관할 것일 수 있다.
BDPCM 모드가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제2 정보가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블록에 대한 표시자가 인코딩될 수 있다. 이 표시자는 활성화되면 해당 블록에 대해 BDPCM 모드가 사용됨을 시그널링한다.
도 10은 이미지 레벨에서 이러한 제1 및 제2 정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여기에서 4개의 표시자들(FL1, FL2, FL3 및 FL4)이 고려된다. 표시자(FL1)가 활성화될 때(= 1), 이 경우 BDPCM 모드는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표시자(FL2)가 활성화될 때(=1), 이 경우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BDPCM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자(FL2)가 활성화될 때,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표시자(FL4)는 BDPCM 모드가 해당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1) 또는 사용되지 않음(=0)을 시그널링한다. 다른 표시자(FL3)는 다른 인코딩 모드의 사용을 시그널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다른 인코딩 모드가 디폴트 모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어떠한 표시자도 사용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이미지(IM1)에 대해, 표시자들(FL1, FL2) 둘 모두가 활성화된다. 이 이미지(IM1)의 휘도 컴포넌트(Y)의 하나의 블록에 대한 표시자들(FL3 및 FL4)은 그 후, BDPCM 모드가 관련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을 표시하는 값들(0 및 1)을 각각 취할 수 있다. 이 이미지(IM1)의 색차 컴포넌트(여기서 Cb)의 블록에 대한 표시자들(FL3 및 FL4)은 BDPCM 모드가 관련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을 각각 표시하는 값들("0" 및 "1")을 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이미지(IM2)에 대해, 표시자(FL1)만이 활성화된다. 표시자(FL2)는 비활성화된다. 이 이미지(IM1)의 휘도 컴포넌트(Y)의 하나의 블록에 대한 표시자들(FL3 및 FL4)은 그 후, BDPCM 모드가 관련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을 각각 표시하는 값들(0 및 1)을 취할 수 있다. 표시자(FL2)가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BDPCM 모드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자(FL3)만이 이미지(IM2)의 색차 컴포넌트(여기서는 Cb)의 블록에 대해 인코딩된다. INTRA 모드가 이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을 시그널링하는 표시자(FL3)가 활성화된다. 비활성화될 때, 다른 인코딩 모드(예컨대, INTER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색차 컴포넌트의 이 블록에 대해 어떠한 표시자도 인코딩되지 않는다. 인코딩 모드는 디폴트 모드이다.
표시자들(FL1, FL2)의 사용은 BDPCM 모드가 이미지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 휘도 및/또는 색차의 각각의 블록에 대한 표시자를 인코딩(그 후 디코딩)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 및 도 7에 대한 참조가 재차 이루어진다. 이들 도면들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코딩은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또는 전체 비디오 시퀀스에 대해, 휘도 및 색차들에 대해 컴포넌트의 파티셔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시자는 휘도 컴포넌트에 대한 제1 파티셔닝 및 2개의 색차 컴포넌트들에 대한 제2 파티셔닝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들의 인코딩은 BDPCM 모드가 컴포넌트에 대해 선택되는 경우 인코딩 방향(수직 또는 수평)을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향은 휘도 블록 및 단일 색차 컴포넌트에 대해 인코딩될 수 있다.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인코딩된 방향은 디폴트로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해 유효하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코딩은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구성된, 이미지에 관한 제1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 그리고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제1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구성된,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정보는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사용되는 모드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자 및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사용되는 모드를 표시하는 제2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정보는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사용되는 모드 및 색차 컴포넌트(들)의 블록에 대해 사용되는 모드를 표시하는 단일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정보는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사용되는 모드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자 및 양 색차 컴포넌트들의 블록에 대해 사용되는 모드를 표시하는 단일 제2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들)를 나타내는 인코딩된 데이터의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2개의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이들 도면들은 각각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에 대응한다.
먼저, 디코딩이 컴포넌트별로 이루어지는 도 8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실시예는 이전에,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컴포넌트가 속한 이미지(또는 비디오 시퀀스)에 관한 제1 인코딩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E59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정보는 도 10의 표시자(FL1)에 대응한다.
일단 디코딩된 제1 정보가,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가 디코딩된다. 도 10의 표시자(FL2)에 대응하는 이 제2 정보는, BDPCM 모드가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었음을 표시한다.
대안으로서, 이전 단계(E599)는 미리 결정된 기준, 예컨대, 고려된 이미지(또는 비디오 시퀀스의 모든 이미지들)의 컬러 포맷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컬러 포맷의 함수로서, BDPCM 모드는 블록의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기 위해 사용되었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응하는 정보는 이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디코딩될 수 있다.
이 이전 단계(E599)(이는 선택적일 수 있음) 후에, 디코딩은 여기에서 컴포넌트별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컴포넌트의 모든 블록들은 다른 컴포넌트의 블록들을 디코딩하기 전에 디코딩된다.
제1 단계(E600)에서, 제1 컴포넌트, 예컨대, 휘도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인코딩된 데이터가 고려된다. 그 후, 이 휘도 컴포넌트에 대해, 단계(601)에서 디코딩 순서에서 제1 블록의 인코딩된 데이터가 고려된다. 단계(E602) 동안, 휘도 컴포넌트의 이 블록에 대해, 그것이 BDPCM 모드 또는 다른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정보(예컨대, 도 10의 표시자들(FL3, FL4))가 디코딩될 수 있다.
정보의 값의 함수로서, 휘도 컴포넌트 블록은 하나의 모드 또는 다른 모드로 디코딩된다. 테스트(T6) 동안 디코딩된 블록이 프로세싱된 컴포넌트의 마지막이 아니라는 것이 체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휘도 컴포넌트의 모든 블록들이 디코딩될 때까지, 프로세스는 단계(E603)에서 다음 블록으로 계속된다.
프로세싱된 컴포넌트가 마지막 것이 아닌 경우(테스트 T7),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제1 색차 컴포넌트의 인코딩된 데이터가 단계(E604)에서 획득된다. 유사하게, 새로운 컴포넌트의 제1 블록에 관한 인코딩된 데이터는 단계(E601)에서 선택된다. 고려된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사용된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디코딩될 수 있다(예컨대, 도 10의 표시자(FL3) 또는 표시자들(FL3, FL4)). 단계(E599)에서 디코딩된 제2 정보에 의해 허용되는 경우,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이 정보는 BDPCM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단계(E599)에서 디코딩된 제2 정보에 의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이 정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E599)에서 디코딩된 제2 정보에 의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사용되는 인코딩 모드는 디폴트로 일 모드, 예컨대, INTRA 모드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색차 컴포넌트 및 휘도 컴포넌트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경우, 색차 블록은 휘도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사용된 모드를 사용하여 디코딩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색차 컴포넌트의 프로세싱된 블록이 마지막 블록이 아닌 경우(테스트 T6), 프로세스는 다음 블록(E603)으로 계속된다. 마지막 컴포넌트의 모든 블록들이 프로세싱될 때까지(테스트 T7),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프로세스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모든 인코딩된 데이터가 프로세싱되는 방식으로 여기에서 반복된다.
도 9는 이미지의 블록의 여러 컴포넌트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디코딩은 본원에서 블록별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블록의 모든 컴포넌트들은 다음 블록을 디코딩하기 전에 디코딩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컴포넌트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방법은 위에서 언급된 단계(E599)와 유사한 이전 단계(E69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전 단계(E699)(선택적일 수 있음) 후에, 제1 블록에 대응하는 인코딩된 데이터가 획득된다(E700). 블록 프로세싱 순서는 여기에서 알려져 있을 것이다. 휘도 컴포넌트를 인코딩하기 위해 사용된 인코딩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예컨대, FL3, FL4)가 디코딩된다. 이 블록의 휘도 컴포넌트는 이 디코딩된 인코딩 모드 정보로부터 단계(E701)에서 디코딩된다.
그 후, 관련 블록의 색차 컴포넌트를 인코딩하기 위해 사용된 인코딩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예컨대, FL3, FL4, 또는 FL3만)가 디코딩된다.
대안으로서, 휘도 컴포넌트의 디코딩 동안 디코딩된 정보는, 관련 블록의 모든 컴포넌트들에 대해 일 모드가 디폴트가 됨으로써 또는 예컨대, 그것이 2비트로 인코딩된 경우 고려된 블록의 색차 컴포넌트의 인코딩 모드를 또한 표시할 수 있다.
이 블록의 제1 색차 컴포넌트는 이제 디코딩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모드를 사용하여 단계(E702)에서 디코딩되며, 여기서 이 모드는 BDPCM 모드일 수 있다.
제2 색차 컴포넌트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에 따라 단계(E703)에서 디코딩된다. 대안으로서, 블록의 제1 색차 컴포넌트에 대해 사용되는 인코딩 모드는 자동으로 블록의 제2 색차 컴포넌트를 디코딩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싱된 블록이 마지막 블록이 아닌 경우(테스트 T5), 다음 블록이 고려된다. 프로세스는 마지막 블록까지 반복된다.
대안으로서, 고려된 블록의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이 병렬로 디코딩된다. 프로세스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모든 인코딩된 데이터가 프로세싱되는 방식으로 여기에서 반복된다.
도 11에 의해 예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법의 단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구현된다. 그 목적을 위해, 인코딩 디바이스(800) 또는 디코딩 디바이스(900)는 종래의 컴퓨터의 아키텍처를 가지며, 특히 메모리(MEM)(801, 901), 프로세싱 유닛(UT)(802, 902)를 포함하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P1)가 장착되고 메모리(MEM)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Pg)(803)에 의해 안내된다(piloted). 컴퓨터 프로그램(Pg)은 프로그램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위에서 설명된 인코딩 또는 디코딩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초기화 시에, 컴퓨터 프로그램(Pg)의 코드 명령들은 예컨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전에 RAM에 로딩된다. 프로세싱 유닛(UT)의 프로세서는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Pg)의 명령들에 따라 이러한 상이한 대안들에서 위에서 설명된 인코딩 또는 디코딩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한다.
디바이스(800, 900)는 적어도 단말(ET)의 다음 모듈들과 협력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 이진 스트림 또는 압축된 파일(FC)이 원격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유선 네트워크 또는 헤르츠 네트워크에서 송신되게 하는 데이터 송신/수신 모듈(E/R); 및
- 인코딩될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의 시퀀스, 획득된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파일 또는 디코딩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의 시퀀스를 저장하기 위한 모듈(M).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800) -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됨 - 는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인코딩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800) -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됨 - 는,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 및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의 함수로서,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인코딩된 것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900)가 개시되고,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디바이스는,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물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다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6)

  1.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상기 방법은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E1)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미리 결정된 기준(CT)이 충족될 때 상기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상기 인코딩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선택을 표시하는 인코딩 기준인,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선택은 상기 비디오 시퀀스의 분석으로부터 발생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컴포넌트들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때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BDPCM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될 때, 상기 BDPCM 모드의 사용을 시그널링하는 표시자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인코딩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8.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 및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E10)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의 함수로서,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E11, E12)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BDPCM 모드 및 상기 다른 모드는 미리 결정된 기준(CT)이 충족될 때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평가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컴포넌트들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때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CT)이 충족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샘플링 포맷을 시그널링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들의 크기들을 표시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는 한편으로는 상기 BDPCM 모드에 따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다른 모드에 따라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고려된 블록을 인코딩하는 것, 그리고 다른 미리 결정된 기준의 함수로서, 상기 BDPCM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블록 또는 상기 다른 모드에 따라 인코딩된 블록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상기 BDPCM 모드 및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의 함수로서,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모드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4. 제8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인코딩은 블록별로 이루어지는(E500-E504),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5. 제8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인코딩은 컴포넌트별로 이루어지는(E400-E404),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6.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고려된 이미지에 대해,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상기 제1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됨을 표시하는,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표시자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8.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상기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됨을 표시하는, 상기 블록과 관한 표시자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1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다른 색차 컴포넌트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제2 색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대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해 선택됨을 표시하는 표시자, 및 상기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한 블록 예측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향 표시자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20. 제1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블록은 엘리먼트들로 형성되고, 상기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블록을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에 대해,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잔차의 양자화된 값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포지션이 주어진 방향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기준 엘리먼트와 고려된 엘리먼트의 값 사이의 차이의 양자화된 값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값은 상기 다른 엘리먼트와 상기 주어진 방향에 의해 시그널링된 다른 기준 엘리먼트 사이의 차이의 양자화된 값에 대응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21.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휘도 및 색차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갖고,
    상기 방법은,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 및 상기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다른 모드를 평가하는 단계, 및
    평가 결과의 함수로서,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BDPCM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정보는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에 관한 것이며,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해 선택된 모드가 상기 BDPCM 모드임을 표시하는 표시자 및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에 대한 블록 예측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향 표시자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23.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디코딩(E601, E701)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색차 컴포넌트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제2 색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은 또한 상기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는지를 표시하는 위해 사용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상기 값은 또한, 개개의 블록 예측자들로부터, 상기 방향의 함수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디코딩하도록 허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26.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상기 방법은, 인코딩 기준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 기준이 충족됨을 상기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이 표시하는 경우,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다른 색차 컴포넌트와 동일한 파티셔닝을 갖는 제2 색차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은 또한 상기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는지를 표시하는 위해 사용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상기 값은 또한 개개의 블록 예측자들로부터 상기 방향의 함수가 상기 다른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제2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을 디코딩하도록 허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29.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다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0.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기준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한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선택을 표시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에 의해 동작되는 선택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분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2.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상기 방법은,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1 정보(FL1)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상기 제1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적어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FL2)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이미지의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디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상기 이미지에 관한 제2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BDPCM 모드가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블록을 디코딩하는데 사용됨을 표시하는,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표시자(FL4)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4.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동일한 블록 파티셔닝을 갖는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인코딩 기준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 기준이 충족됨을 상기 정보로부터 디코딩된 값이 표시하는 경우,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블록 및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블록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상기 휘도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제2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5.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800)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
  36.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900)로서,
    상기 이미지는 휘도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및 색차를 나타내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블록들로 파티셔닝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색차 컴포넌트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해, 소위 BDPCM 모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227001846A 2019-06-25 2020-06-24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 KR20220024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6871A FR3098073B1 (fr) 2019-06-25 2019-06-25 Procédé de codage et de décodage d’une image d’une séquence vidéo et dispositif associé
FRFR1906871 2019-06-25
PCT/EP2020/067741 WO2020260412A1 (fr) 2019-06-25 2020-06-24 Procédé de codage et de décodage d'une image d'une séquence vidéo et dispositif associ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714A true KR20220024714A (ko) 2022-03-03

Family

ID=6807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846A KR20220024714A (ko) 2019-06-25 2020-06-24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68889A1 (ko)
EP (1) EP3991433A1 (ko)
JP (1) JP2022539552A (ko)
KR (1) KR20220024714A (ko)
CN (1) CN114051729A (ko)
BR (1) BR112021025469A2 (ko)
FR (1) FR3098073B1 (ko)
WO (1) WO2020260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9480B2 (ja) * 2020-01-10 2024-04-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ルマ成分及びクロマ成分に対するbdpcmに基づく画像デコード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004A (en) * 2014-10-06 2016-04-13 Canon Kk Residual colour transform signalled at sequence level for specific coding modes
FR3046321B1 (fr) * 2015-12-29 2018-01-26 B<>Com Procede de codage d'une image numerique, procede de decodage, dispositifs, terminal d'utilisateur et programmes d'ordinateurs associes
US20200322599A1 (en) * 2016-05-28 2020-10-08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current picture referencing for video coding using affine motion compensation
FR3053555A1 (fr) * 2016-06-29 2018-01-05 B<>Com Procede de codage d'une image numerique, procede de decodage, dispositifs, terminal et programmes d'ordinateurs asso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9552A (ja) 2022-09-12
CN114051729A (zh) 2022-02-15
US20220368889A1 (en) 2022-11-17
WO2020260412A1 (fr) 2020-12-30
FR3098073B1 (fr) 2021-09-24
BR112021025469A2 (pt) 2022-05-17
FR3098073A1 (fr) 2021-01-01
EP3991433A1 (fr)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1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lette coding with cross block prediction
US10104378B2 (en) Residual colour transform signalled at sequence level for specific coding modes
US8150178B2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311402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977048B2 (en) Method medium system encoding and/or decoding an image using image slices
EP1696674A2 (en) Color image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correlation between chrominance components
GB2567249A (en) New sample sets and new down-sampling schemes for linear component sample prediction
US8204136B2 (en) Image encoding apparatus
EP2003897A9 (en) Imag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211128A (zh) 自适应色度下采样和色彩空间转换技术
CN101352046A (zh) 图像编码/解码方法与装置
US11445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prediction fusion in image and video coding
KR20120116936A (ko) 영상 블록 코딩 및 재구성 방법
JP2006148892A (ja) 画像データの符号化方法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201810186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0186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45209B1 (ko)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15728A1 (en) Improved escape value coding methods
KR20220024714A (ko)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
US10827179B2 (en)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image parameters, device for coding and decoding image parameters and computer programs corresponding thereto
US10425645B2 (en) Encoder optimizations for palette encoding of content with subsampled colour component
US202002881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picture
US2022010386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ding and decoding a data stream representative of at least one image.
US20230164310A1 (en) Bitstream decoder
KR102543086B1 (ko) 화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