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752A - 바코드 및 피어 리뷰의 사용에 의해 공급망을 트래킹 및 트레이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코드 및 피어 리뷰의 사용에 의해 공급망을 트래킹 및 트레이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752A
KR20220023752A KR1020217034451A KR20217034451A KR20220023752A KR 20220023752 A KR20220023752 A KR 20220023752A KR 1020217034451 A KR1020217034451 A KR 1020217034451A KR 20217034451 A KR20217034451 A KR 20217034451A KR 20220023752 A KR20220023752 A KR 20220023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mobile device
digital signature
location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박상신
Original Assignee
네오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네오톤 아이엔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1/04701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40602A1/en
Publication of KR2022002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acilitating integration of the record carrier with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f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04L9/3239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involving non-keyed hash functions, e.g. modification detection codes [MDCs], MD5, SHA or RIPE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바코드 및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사용함으로써 패키지의 공급망을 트래킹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본 방법들은 적어도 초기 위치에서 바코드를 발급 및 스캔하는 단계, 바코드를 제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도록 바코드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패키지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바코드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는 단계,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그리고 바코드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키지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될 때까지 트래킹이 계속된다. 유효성 검사된 데이터는 트래킹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제3자에 의해 추가로 확인된다.

Description

바코드 및 피어 리뷰의 사용에 의해 공급망을 트래킹 및 트레이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관련 출원들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08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68,220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이에 의해 참조로 통합된다.
본 개시는 2차원 바코드(즉, QR 코드) 및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사용함으로써 공급망(supply chain)에서 패키지들을 트래킹(tracking)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트래킹 정보는 디지털 서명들에 의해 검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증된 정보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공급망에는 다양한 엔티티들 및 트랜잭션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엔티티들은 판매자들, 구매자들, 유통업자들, 공급업자들, 물류 서비스 제공자들과 같은 플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잭션들은 제조, 구매, 판매, 픽업, 배달(delivery), 반품, 데이터 전송, 송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엔티티들 및 트랜잭션들로 인해 공급망은 매우 복잡할 수 있다. 게다가, 품목 픽업 및 배달 상황들에 있어서의 이동성 및 유연성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US 10949417 B2(2021.03.16)
위의 사정에서, 이러한 트랜잭션 프로세스들에 있어서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품목 보안 및 검증을 위한 새로운 기법들 및 접근법들이 필요하다.
초기 값을 갖는 바코드를 발급하는 단계; 초기 위치에 위치되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하는 단계;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패키지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도록 바코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바코드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unpair)하는 단계; 초기 위치에 위치되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 중간 위치에 도착되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바코드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는 단계; 중간 위치에 위치되는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를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 최종 위치에 도착되는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바코드를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는 단계; 최종 위치에 위치되는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를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및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4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고, 바코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일 예가 개시된다.
초기 값을 갖는 바코드를 발급하도록 구성되는 메인(main)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초기 위치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바코드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 패키지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 및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도록 바코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바코드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초기 위치에 위치되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및 바코드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중간 위치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바코드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 제 3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중간 위치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및 바코드를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 3 모바일 디바이스는 최종 위치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되,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바코드를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 제 4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최종 위치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및 바코드를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4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바코드를 비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해시 참조 포인터(hash reference pointer)들을 이용하여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그리고 제3자 사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함으로써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유효성 검사되는 데이터의 확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4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 예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이점들 및 특징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보여질 때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품목 보안 및 검증을 위한 새로운 기법들 및 접근법들을 이용함으로써, 트랜잭션 프로세스들에 있어서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노드들 및 에지들을 갖는 단순화된 공급망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픽업 트랜잭션 및 배달 트랜잭션에 대한 코드, 그리고 이러한 트랜잭션들에 대한 유효성 검사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일 트랜잭션의 스마트바코드(SmartBarcode)를 인코딩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잭션 해시(transaction hash)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페어링/페어링 해제 활동들을 갖는 일련의 트랜잭션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페어링/페어링 해제 활동들을 갖는 일련의 트랜잭션들의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서명들에 의한 트랜잭션들 및 유효성 검사들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 데이터 유형들 및 제약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Directed Acyclic Graph) 상의 트랜잭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및 관련 프로세스의 설명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잭션들 및 관련 코드들의 시계열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개시에서는 바코드(예컨대, QR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공급망의 복잡성을 완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이 설명된다. 본 발명은 또한 스마트폰 및 그것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실시간 트래킹 시스템에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보다 완전하게 설명되는데, 여기에는 본 발명들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실제로, 이들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적용 가능한 법적 요건들을 만족시키도록 제공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대안적 그리고 접속사적 의미 모두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및 "예시의"라는 용어들은 품질 레벨을 나타내지 않는 예들에 사용된다. 같은 숫자는 전체에 걸쳐 같은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조 물품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애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프로그램 모듈들, 스크립트들, 소스 코드, 프로그램 코드, 목적 코드, 바이트 코드, 컴파일된 코드, 해석된 코드, 기계 코드, 실행가능 명령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여기에서는 실행가능 명령들, 실행용 명령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여기에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유사한 용어들로도 지칭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모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들을 포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스토리지(SSS: Solid-State Storage)(예컨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State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카드(SSC: Solid State Card)), 솔리드 스테이트 모듈(SSM: Solid State Module), 엔터프라이즈 플래시 드라이브(enterprise flash drive), 자기 테이프, 또는 임의의 다른 비일시적 자기 매체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또한, 펀치 카드, 종이 테이프, 광학 마크 시트(또는 홀 패턴 또는 기타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표시를 갖는 임의의 다른 물리적 매체),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W(Compact Disc-ReWritable),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 디스크(BD: Blu-ray Disc), 임의의 다른 비일시적 광 매체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또한, 판독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가능형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직렬, NAND, NOR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 멀티미디어 메모리 카드(MMC: Multimedia Memory Cards), 보안 디지털(SD: 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SmartMedia 카드, CF(CompactFlash) 카드, 메모리 스틱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또한, 전도성 브리징 랜덤 액세스 메모리(CBRAM: Conductive-Bridging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PRAM: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FeRAM: Ferroelectric Random-Access Memory),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Access Memory), 자기저항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MRAM: Magneto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저항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실리콘 산화물-질소 산화물-실리콘 메모리(SONOS: 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memory), 부동 접합 게이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FJG RAM: Floating Junction Gate Random Access Memory), 밀리피드 메모리(Millipede memory), 레이스트랙 메모리(racetrack memory)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고속 페이지 모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FPM DRAM: Fast Page Mod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확장 데이터 출력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DO DRAM: Extended Data-Ou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더블 데이터 속도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 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더블 데이터 속도 유형 2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2 SDRAM: Double Data Rate type two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더블 데이터 속도 유형 3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3 SDRAM: Double Data Rate type thre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램버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RDRAM: 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트윈 트랜지스터 RAM(TTRAM: Twin Transistor RAM), 사이리스터 램(T-RAM: Thyristor RAM), 제로 커패시터(Z-RAM: Zero-capacitor), 램버스 인라인 메모리 모듈(RIMM: Rambus In-line Memory Module), 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IMM: Dual In-line Memory Module), 단일 인라인 메모리 모듈(SIMM: Single In-line Memory Module), 비디오 랜덤 액세스 메모리(VRAM: Video Random Access Memory), 캐시 메모리(다양한 레벨들을 포함),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 메모리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사용하는 실시예들이 설명되는 경우, 다른 유형들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이 위에서 설명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을 대체하거나 이에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또한 방법들, 장치들, 시스템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컴퓨팅 엔티티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실행하는 장치, 시스템,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팅 엔티티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실시예 및/또는 특정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순서도 예시들의 각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전체 하드웨어 실시예, 하드웨어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조합 및/또는 실행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서 명령들, 동작들, 단계들, 및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유사한 단어들(예컨대, 실행가능 명령, 실행용 명령,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수행하는 장치들, 시스템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컴퓨팅 엔티티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코드의 취출, 로드 및 실행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한 번에 하나의 명령이 취출, 로드 및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명령들이 함께 취출, 로드 및/또는 실행되도록 취출, 로드 및/또는 실행이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은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에 지정되는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구체적으로 구성된 머신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은 지정된 명령들, 동작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지원한다.
기본 관념들 및 개념들
본 개시는 바코드 및 피어 리뷰(peer review)의 사용에 의한 공급망에 대한 트래킹 및 트레이싱(tracing)에 관한 것이다. 공급망에 대한 트래킹 및 트레이싱에 사용될 바코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예컨대, 스마트폰들)에 의해 수행될 다수의 기능들을 제공하므로 "스마트바코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바코드" 및 "스마트바코드"는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 용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에서의 이러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 용어들의 범위들을 불명확함 없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마트바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이고, 따라서, 스마트바코드는 웹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QR 코드는 고정되고 일정한 값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QR 코드는 가변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변 값은 QR 코드와 연결되는, 그리고 각 트랜잭션 후에 백엔드(backend)에서 업데이트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QR 코드 자체는 또한 새로운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새로운 트랜잭션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도록 재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스마트바코드는 그 순간에서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캡처하는 각 트랜잭션으로부터 스마트바코드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함으로써 고유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마트바코드는 이미지들, 비디오들, 음성들과 같은 임의의 유형들의 데이터와 쌍을 이루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기존 코드 시스템들(전통적인 바코드들, HS 코드들, 일련 번호들 및 문자들 등)과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바코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다양한 정보와 일대 다의 관련성을 갖는다. 스마트바코드는 상이한 정보 또는 상이한 데이터베이스들로의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은 공급망에 대한 트래킹 및 트레이싱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스마트바코드 및 내장된 정보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 또는 디바이스들과 용이하게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에서, 다양한 유형들의 데이터 엔트리가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시간 계산 유닛 및 위치 측정 유닛(예컨대, GPS 센서)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각 트랜잭션의 시간 및 위치 데이터가 캡처 및 기록될 수 있다.
공급망에는 다양한 엔티티들 및 트랜잭션들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노드들 및 방향성 에지들이라는 두 가지 요소들로 공급망 네트워크를 나타냄으로써 이러한 공급망 네트워크를 단순화한다.
● 노드들: 플레이어들 - 네트워크 사용자들 및 서비스 제공자들 등
● 방향성 에지들: 트랜잭션들(값 전송), 예컨대, 구매, 판매, 배달 등.
공급망 네트워크에서의 플레이어들은 "노드들"로 간주될 수 있고 트랜잭션들은 "에지들"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노드들 및 에지들을 갖는 예시적인 단순화된 공급망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잭션은 에지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노드들로 구성된다. 임의의 사용자에게는 "발송자(SENDER)" 및 "수취자(RECEIVER)"라는 두 가지 주요 역할들이 있다. 플레이어들은 또한 구매자, 판매자, 배달원(delivery person) 등과 같은 그들 자신의 칭호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망을 인식하여, 바코드 및 피어 리뷰의 사용에 의해 공급망에 대한 트래킹 및 트레이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픽업 트랜잭션 및 예시적인 배달 트랜잭션에 대한 코드, 그리고 이러한 트랜잭션들에 대한 유효성 검사들을 나타낸다.
두 가지 예제 트랜잭션들과 관련되는 코드들은 해시 값으로 JSON 형식 및 SHA-256을 사용한다.
도 2와 관련되는 제 1 예제 트랜잭션에서, William Morgan은 판매자인 Chris Hamill의 스토어로부터 구매한 사람들을 위해 iPhone들 및 AirPod들의 상자들을 픽업한 배달원이라고 가정한다. 픽업 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은 코드들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도 2와 관련되는 제 1 예제 트랜잭션에서, 배달원인 William Morgan의 역할은 "수취자"로서 인식되고, 판매자인 Chris Hamill의 역할은 "발송자"로서 인식된다. "수취자" 및 "발송자"라는 두 명의 사용자들에 의해 트랜잭션들이 유효성 검사될 때, 트랜잭션 해시가 생성 및 고정되어 보안이 유지된다.
도 3과 관련되는 제 2 예제 트랜젝션에서, 구매자인 Michael Homler가 판매자인 Chris Hamill의 온라인 스토어에서 iPhone을 주문했다고 가정한다. 배달원인 William Morgan은 도 2와 관련되는 제 1 예제 트랜잭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Chris Hamill의 스토어로부터 품목들을 픽업했다. 도 3과 관련되는 제 2 예제 트랜잭션에서, William Morgan의 역할은 "발송자"이고, 구매자이자 "수취자"인 Michael Homler에게 iPhone을 배달한다. 배달 시에는, 도 3에서 나타낸 코드들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랜잭션에 대한 유효성 검사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서명들(공동 서명자들), 배달 시간 및 날짜, 배달 위치(GPS 좌표), 제공자 정보와 같은 배달된 품목에 대한 세부 정보를 내장하는 해시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해시 함수는 함수 입력보다 짧은 함수 출력을 갖는 압축 함수이다. 고정 길이의 문자열들에 (거의) 임의적인 길이를 입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을 목적으로, "
Figure pct00001
" 는 해시 함수이라고 하며, 여기서 D 그리고 R 은 각각 H 의 도메인 및 범위이다. 그런 다음, 임의의 키
Figure pct00002
에 대해, H K 하에서의 사전 이미지 집합 y 는,
Figure pct00003
이며, 일반적으로 암호화 해시 반전(cryptographic hash inversion)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SHA1 함수는,
Figure pct00004
이고, 여기서 SHA는 보안 해시 알고리즘을 의미하며;
Figure pct00005
는 길이가 l보다 작은 모든 문자열 집합을 나타내며 이 함수는 거의 임의적인 길이의 문자열들로부터 160비트(SHA1의 경우)까지의 매핑을 갖는다. 해시 함수들의 다양한 패밀리들이 존재함에 유의한다.
스마트바코드 시스템 및 그것의 근본 알고리즘
1. 실용 모바일 기반의 트래킹 솔루션 및 IoT 센서 네트워크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일 트랜잭션의 스마트바코드를 인코딩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각 트랜잭션에서, 배송 시간(shipping time) 및 도착 시간의 추정치들은 트랜잭션들을 관리하는 트래킹 및 트레이싱 시스템에 의해 다시 계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트래킹 및 트레이싱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트랜잭션들과 관련되는 모든 유형들의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정보는 해시로 암호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해시 값들은 초기 바코드 하에서 직렬로 링크될 수 있는데, 이는 해시의 시계열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는 본 개시의 스마트바코드를 설명하는 한 방식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랜잭션과 관련되는 데이터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1) 사용자(들): 전역 고유 식별자(GUID: Globally Unique IDentifier); (2) 품목(들): 품목 번호(제공자에 따라 다름); (3) 시간(10자리수(digit)들): 에포크 타임스탬프(Epoch timestamp), 예컨대, 1585772130(휴먼(Human) 데이터 2020년 4월 1일, 08:15:30 PM(GMT)으로부터 변환됨); (4) 위치: GPS 좌표(소수점 도(Decimal Degrees)) - 위도 및 경도 소수점 도(각 소수점 이하 5자리); (5) 트랜잭션: 해시 - 단일 트랜잭션에 대해 다수의 해시 값들이 존재한다면 최신 해시만이 사용된다(이전 해시는 그것으로부터 트레이싱 가능).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트랜잭션: 해시"에서, 도 5에 나타낸 알고리즘 1이 사용될 수 있다.
2. UHF RFID 태그들의 유무에 관계없이 바코드를 사용하는 스마트 시스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트래킹 및 트레이싱 솔루션을 위해, 본 개시는 바코드들 및 UHF RFID 태그들(Ultra-High-Frequency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s)의 조합에 기초한 모바일 기반의 보다 스마트한 트래킹 및 트레이싱 시스템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보다 실용적인 사용을 위해, 본 개시는 QR(Quick Response) 코드로도 알려진 2차원 바코드를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 장점들 및 고유성들은 다음과 같다: (a) 트랜잭션당 QR 코드 표준들 및 고유 URL; (b) 스마트폰들을 통한 임의의 유형들의 데이터의 페어링 능력; (c) 단일 바코드와 다양한 데이터 집합들 간의 일대다 관련성; (d) 트래킹 및 트레이싱 정보는 스마트폰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음; (e) 정보는 이해 관계자들 간에 용이하게 공유될 수 있음.
도 4에 나타낸 흐름도는 다음과 같이 추가로 설명된다:
단계 1에서는, 바코드에 대한 초기 값과 그 바코드에 대응하는 웹 앱(web app) 주소에 대해 무작위의 URL이 생성된다.
단계 2에서는, 바코드 활성화를 위해, 제 1 사용자(배송업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시스템에 의해 판매자 및 구매자 정보(즉, 배송 및 도착 세부사항)의 입력이 수신된다. 배달될 물품 상에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다면, 판매자 및 구매자 정보는 또한 RFID 태그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자 및 구매자 정보는 SAER(Shipping and Arrival Estimation with RFID) 함수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단계 3에서는, 각 트래킹 지점마다, 새로운 데이터가 삽입된다(RFID 태그 내장형 바코드의 경우 반자동 프로세스). 각 사용자에게는 키 공간
Figure pct00006
로부터 키가 부여되며, 올바른 키만이 수락될 수 있다. 키 생성들은 CSPRNG(cryptographically secure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에 기초한 UID(사용자 식별) 함수에 기인한다. 이것은 비트들을 개별적으로 암호화한다(즉, 스트림 암호들(stream ciphers))
Figure pct00007
,
Figure pct00008
,
Figure pct00009
는 일반 텍스트 x 와 암호 텍스트(cyphertext) y 와 키 스트림 비트들 k 를 각각 나타낸다. 그런 다음, 암호화
Figure pct00010
이고, 암호 해독
Figure pct00011
이다. 각 비트는 비밀 키 스트림 비트를 부가함으로써 암호화된다. 타임스탬프가 찍힌 위치 데이터를 갖는 아이덴티티가 요청될 것이며 이는 데이터 매트릭스
Figure pct00012
이되, 여기서,
Figure pct00013
은 모두 열(column) 벡터이다.
단계 4에서는, HC(Hash Conversion)에 의해 바코드의 해시 값이 계산되고, 각 트래킹 지점에서 도 5에 나타낸 알고리즘 1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단계 5에서는, 모든 최신 정보가 안전하게 저장된다.
3. IoT(사물인터넷) 트래킹 시스템 구현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기반의 솔루션의 편리한 채택을 위해, 본 개시는 이해 관계자들에 의해 소유되는 센서들 및 상용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설비되는 시스템 쌍들인 IoT 센서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네트워크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a) 각 패키지에 부착되는 RFID 태그: 각 패키지는 내부의 두꺼운 폴리스티렌 폼 컨테이너 및 외부 배송 상자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배송 유닛에서 절연된다.
(b) 센서들 및 RFID 스캐너가 설비되는 시스템: 초고주파 RFID 판독기는 작업자들과의 부가적인 상호작용 없이 RFID 태그 패키지들의 로드/언로드를 트래킹하는 것을 허용한다. 시스템 센서들은 중요 환경 요인들(예컨대, 배송될 품목 또는 배송 중인 품목 주변의 온도 및 습도)을 주기적으로 수집한다. 시스템은 네트워크에서의 IoT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c) IoT 디바이스들(예컨대,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IoT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노드들에 대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중앙 서버에 대한 노드 인터페이스로서 작동한다. 부가적으로, IoT 디바이스들 상에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은 수동 데이터 입력을 허용한다.
널리 채용된 HF 또는 표준 RFID보다 UHF RFID를 선택하면, 공급망 변화들에 대한 물류 산업의 저항으로부터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대 물류에서 파괴적 기술들의 채택 레벨은 공급망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많이 다르다. 예를 들어, 국제 유통업자들은 일반적으로 신선도 모니터링 및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는 트래킹 솔루션들을 가지고 있지만, 규정들에 의해 요청되지 않는 한, 실시간 트래킹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반면에, 라스트 마일 배달(last mile delivery)을 수행하는 현지 유통업자들 및 회사들은 종종 이러한 풍부한 정보가 부족하고 트래킹 정보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이는 이러한 유통업자들이 변화에 대해 거부감을 갖기 때문이며, 또한 완전히 투명한 트래킹을 확립하기 위해 더 큰 유통업자들과 연결해도 별다른 인센티브들을 느끼지 못하고 작동하는 그들의 "양호한 구형 처리 모델"을 고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종이 기반의 트랜잭션 인보이스들조차도 이러한 회사들에서는 여전히 일반적이다. 장거리 UHF 기반의 RFID 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차량들에 설치하고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페어링하면, 이러한 현지 유통업자들의 기존 워크플로우들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한 트래킹 정보의 기대되는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4. 페어링이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트래킹 및 트레이싱
체인화된 프로세스가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임의의 배달 프로세스에는 항상 공통 컴포넌트들이 존재한다: 언제(배달 시간들), 어디서(배달 위치들), 누가(배달원들, 소비자들, 생산자들, 판매자들 등), 무엇(물품들, 패키지들, 컨테이너들 등). 보다 실용적인 적용을 위해, 본 개시는 트래킹 및 트레이싱을 위한 다수의 트랜잭션들의 연결을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이터 페어링/페어링 해제"를 도입한다.
(패키지들, 운송업자들, 위치들 등에 대한) 부분 순서(Partial order) 관계들은 보다 효율적인 동작들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작은 패키지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큰 컨테이너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예컨대, 배달원)가 이러한 작은 패키지들의 모든 바코드들을 스캔할 필요가 있다면 그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팔레트(pallet)(소형 패키지들의 상위집합(superset))를 한 번 스캔하면, 포함된 모든 패키지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어야 한다. 각 트래킹 지점의 데이터 엔트리에 대해, 패키지의 임의의 트랜잭션들은 그것의 하위집합들 및 상위집합들로만 업데이트될 수 있는 한편, 동일한 안티체인(antichain)에서의 컴포넌트들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관련 집합 동작들은 공급망에서 물류 및 보다 효율적인 트래킹 동작들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페어링/페어링 해제 활동들을 갖는 일련의 트랜잭션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적인 페어링/페어링 해제 활동들의 세부사항은 또한 도 7에 나타나 있다.
패키지들의 실시간 위치 모니터링
일단 패키지의 스마트바코드가 활성화되면(패키지가 배달될 때 비활성화될 때까지), (패키지와 연관되는) 네트워크 사용자들은 그들의 구매된 품목들이 이동 및 위치되고 있는 장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GPS 트래커와 같은 부가적인 디바이스들 없이도, 실시간으로 패키지를 트래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요 아이디어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임의의 스마트폰은 위치들을 기록하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들을 푸시할 수 있으므로, (배달원용) GPS 트래커로서의 스마트폰.
- 일반적으로, GPS 트래커들은 무겁고 비싸다.
- 각 패키지에 개별 GPS 트래킹 디바이스를 넣을 방법이 없다.
● 역할들 및 커맨드들에 기초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모바일 앱을 사용)
- 스마트폰을 GPS 트래커로서 활성화: (수취자로서의) 배달원은, 판매자로부터 픽업 시 스마트바코드를 스캔한 후,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디지털 서명(해시))를 수행한다. 연관된 패키지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에 연결되게 된다.
- 스마트폰을 GPS 트래커로서 비활성화: (발송자로서의) 배달원은, 구매자에게 배달(또는 드롭오프(DROP-OFF)) 시 스마트바코드를 스캔한 후,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디지털 서명(해시))를 수행한다. 연관된 패키지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연결 해제되게 된다.
● GPS는 업데이트들과 함께 실시간으로(예컨대, 10초마다) 배송된 품목들의 위치를 찾는다.
● 당신의 주문품들이 특정 위치에 언제 도착하는지 또는 특정 위치를 언제 떠나는지 알려 주는 알림들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유형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되어 트래킹 및 트레이싱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i) 네이티브 모바일 앱(Native Mobile App)
- GPS 및 카메라 기능들과 같은 시스템 리소스에 대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액세스
- 오프라인 작업 가능
(ii) 웹 앱(반응형 모바일 웹사이트)
- 모든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하며 사용자들은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
- 웹 앱은 네이티브 모바일 앱보다 덜 안전하므로 판독 전용이다.
위의 모바일 앱에 의해 패키지들에 대한 트랜잭션 유효성 검사로부터 실시간 트래킹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간 트래킹을 위해 웹 앱은 주로 구글 맵(Google Maps), 애플 맵(Apple Maps) 등과 같은 몇몇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에 의한 데이터 디스플레이에 사용된다.
트래킹 및 트레이싱 동작들을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제공될 수 있다:
● 우리의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작업
● 정확한 위치들의 정밀 파악
● 추가 디바이스들을 구축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없음
● 업데이트를 위한 효율성(새로운 진보된 특징들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없음)
● 용이하게 구성 가능한 인터페이스
● 관리 및 운영 시스템들의 통합
● 네트워크에서의 관련 사용자들에 대한 알림 및/또는 리마인더(인앱 통지 또는 텍스트)
● 전 세계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음.
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스마트폰만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시간 GPS 트래킹 능력을 갖는 일반적인 바코드 스캐너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바코드: 트랜잭션 흐름들 및 디지털 서명들(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유효성 검사)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서명들에 의한 트랜잭션들 및 유효성 검사들의 흐름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잭션에는 두 가지 역할이 존재한다. "발송자" 및 "수취자" 트랜잭션 유효성 검사는 그들의 양방 모두의 디지털 서명들을 필요로 하며, 유효성 검사 후, 트랜잭션 정보는 하이브리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된다. 각 트랜잭션은 그것 자체의 시간 및 위치 스탬프를 갖는다. 유효성 검사된 모든 데이터 집합들은 이후 섹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의 피어들에 의해 승인될 필요가 있다.
아래에는, 패키지 트래킹 프로세스의 단계들이 설명된다.
시간 t0: 스마트바코드 - 2019년 12월 1일 오후 3시, 위치 1에서 활성화
단계 1. 새로운 스마트바코드를 발급하고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스캔한다.
- 그것이 스마트폰 카메라에 의해 스캔되면 웹 앱 링크가 팝업될 것이다.
단계 2.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품목들, 배송 인보이스 문서 등을 사진 촬영한다.
단계 3. (만일 몇몇 부가적인 정보가 존재한다면) 데이터의 입력들
- (인쇄된 인보이스) 인쇄된 인보이스를 스캔함으로써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가져온 다음, 필요한 경우(받아들일 수 없는 제품의 경우), 가져온 데이터를 수정
- (인쇄된 인보이스) 수동 입력(시스템에 사전 구축된 템플릿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
- (인쇄 유무에 관계없는 온라인 인보이스) 공급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자동 가져오기
단계 4. 유효성 검사를 위해 (가져오거나 삽입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단계 5. 디스플레이된 데이터가 완전하고 정확한지 다시 검사. 모든 것이 정상이면 단계 6으로 이동. 그렇지 않으면, 단계 2로 이동
단계 6. 모든 정보가 올바르다고 보여진다고 승인하기 위해 디지털 서명이 필요하다. 디지털 서명은 개인 키(private key), 역할("발송자" 또는 "수취자"), 시간 및 위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역할은 "발송자"이다.
패키지가 픽업 또는 드롭오프될 때 각 트랜잭션에 대해 다음의 업데이트들이 이루어질 것이다.
시간 t 1 : 스마트바코드 - 2019년 12월 1일 오후 4시, 위치 1로부터의 픽업 시에 업데이트
단계 1. 위치 1로부터의 픽업 시에 배달원 1이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스마트바코드를 스캔한다.
단계 2. 옵션: 배달원의 스마트폰이 GPS 트래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 실시간 위치는 웹 앱 상에서 검사될 수 있다.
단계 3. 역할: 수취자(이전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자의 역할은 발송자임에 유의)
단계 4. 수취자의 디지털 서명은 유효성 검사를 위해 필요하다(개인 키,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 포함).
시간 t 2 : 스마트바코드 - 2019년 12월 2일 오전 8시, 위치 2에서 드롭오프 시에 업데이트
단계 1. 위치 2에서의 드롭오프 시에 배달원 1은 모바일 앱 단계 2를 사용하여 스마트바코드를 스캔한다. 배달원의 스마트폰이 GPS 트래커로서 사용되었다면, 그것은 드롭오프 시 비활성화될 것이다.
단계 3. 역할: 발송자(이전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자의 역할은 수취자임에 유의)
단계 4. 발송자의 디지털 서명은 유효성 검사를 위해 필요하다(개인 키,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 포함).
시간 t 3 : 스마트바코드 - 2019년 12월 2일 오전 11시, 위치 1로부터의 픽업 시에 업데이트
단계 1. 위치 2로부터의 픽업 시에 배달원 2가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스마트바코드를 스캔한다.
단계 2. 옵션: 배달원의 스마트폰이 GPS 트래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3. 역할: 수취자(이전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자의 역할은 발송자임에 유의)
단계 4. 수취자의 디지털 서명은 유효성 검사를 위해 필요하다(개인 키,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 포함).
시간 t 4 : SmartBarcode - 최종 목적지로 배송 시에 업데이트: 위치 3, 2019년 12월 2일 오후 5시
단계 1. 위치 3(최종 목적지)에서의 (구매자를 위한) 드롭오프 시에 배달원 2는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스마트바코드를 스캔한다.
단계 2. 배달원의 스마트폰이 GPS 트래커로서 사용되었다면, 그것은 드롭오프 시 비활성화될 것이다.
단계 3. 역할: 발송자(이전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자의 역할은 수취자임에 유의)
단계 4. 발송자의 디지털 서명은 유효성 검사를 위해 필요하다(개인 키,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 포함).
시간 t 5 : 스마트바코드 - 2019년 12월 2일 오후 7시, 위치 3에서 비활성화
단계 1. 구매자가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하여 패키지 상의 스마트바코드를 스캔하여, 웹 앱으로 이어진다.
단계 2. 역할: 수취자(이전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자의 역할은 발송자임에 유의)
단계 3. 수취자는 확인 버튼(개인 키,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명)을 클릭한 후, 스마트바코드를 비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단계들에서, 시스템은 트랜잭션 유효성 검사의 각 시점
Figure pct00014
,
Figure pct00015
=0, ...,5 에서 디지털 서명(개인 키, 역할, 시간 및 위치 데이터)을 요청한다. 각 유효성 검사는 단지 몇 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하이브리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 하이브리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소개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잭션은 디지털 서명들을 통해 모바일 앱 상에서 유효성 검사된 후, 네트워크로부터 한 명 이상의 제3자 사용자(피어)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트래킹 및 트레이싱 시스템의 사용자에게만 신뢰 가능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확인된 데이터만이 웹 앱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트랜잭션들을 유효성 검사할 때,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분산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제공한다:
● 스마트폰들에 기초한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 각 피어는 (본 애플리케이션에서 설명되는 해시 재귀 알고리즘에 의해) 최소한의 수의 해시 값들만을 저장하면 된다.
● 회사는 종래의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에 의해 역 복호화를 제공하여, 피어들이 요청할 때 그들의 원래 입력 값들의 전체 이력을 얻을 수 있다(유료 서비스).
본 개시는 개별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관점으로부터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제시한다. 이전의 섹션에서 설명된 프레임워크는 기존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와 통합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네트워크 사용자들은 그들 자신의 트랜잭션들만 저장하면 되는 회사들 또는 개인 사업체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트랜잭션들을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개인 키가 필요할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 데이터 유형들 및 제약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도시한다.
제품 데이터 집합들이 중요하며 가장 중요한 트랜잭션은 도 9에 나타낸 점선 박스에서의 배달이다. 따라서, 점선 박스에서의 정보는 확인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부가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제안한다:
각 배달은 판매자(발송자 또는 배달원)와 구매자(수취자) 양방 모두에 의해 유효성 검사된다. 이 유효성 검사는 배달의 시간 및 날짜, 위치(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제공자 정보 및 출처들과 같은 배달 세부사항을 승인하는 디지털 서명들(공동 서명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효성 검사된 정보는 투명성을 위해 피어들에 의해 검증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부가될 것이다.
이러한 변경되지 않은 데이터는 메인(종래의) 데이터베이스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양방 모두에 의해 유지 관리될 것이며, 해시 참조 포인터들이 이 둘을 연결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들은 시스템 액세스에 대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해서라도 침해될 수 없거나 조작될 수 없는 메인 하이브리드 데이터베이스의 일부일 뿐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선택된 데이터만이 다른 사람들과 공유되도록 보장하고, DLT의 포함에 의해 보안을 부가하고, 중앙 집중식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용자들과 공유될 수 있는 정보는 필수적이며 검증 가능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배달이 발생할 때, 대응 제품들로부터의 사진들은 인보이스들과 함께 네트워크에 업로드되어야 한다. 이 정보는 대응 위치들 및 타임스탬프들에 자동으로 링크된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은 제품들을 배달 또는 수취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업로드한 후, 네트워크에서의 피어들은 데이터 정확도를 검사한다. 모든 것이 올바르다면, 데이터가 검증되고 최종으로 마킹된다. 따라서, 검증되고 진실된 정보만이 고객들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정확성을 검사하는 피어들은, 유효성 검사될 트랜잭션에서 수취자도 발송자도 아닌 공급망에 연루된 플레이어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이 발송자이고 구매자가 수취자인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할 때, 공급망의 플레이어들 중 하나이지만 트랜잭션에서 수취자도 아니고 발송자도 아닌 판매자는 제3자가 되어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판매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판매자는 패키지, 배달원 및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므로, 판매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배달원과 구매자 간의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판매자가 발송자이고 배달원이 수취자인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할 때, 공급망의 플레이어들 중 하나이지만 트랜잭션에서 수취자도 아니고 발송자도 아닌 구매자는 제3자가 되어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매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구매자는 패키지, 배달원 및 판매자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므로, 구매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구매자와 배달원 간의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트래킹 및 트레이싱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는 트랜잭션들을 유효성 검사할 제3자일 수 있다. 구매자는 패키지, 배달원 및 판매자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므로, 구매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판매자, 배달원과 구매자 간의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효성 검사될 트랜잭션은 패키지의 위치, 픽업 시간, 드롭오프 시간 및 트랜잭션의 플레이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레이어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위의 유효성 검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람 얼굴 인식 기능, 물체 이미지 인식 기능 및 위치 식별 기능이 사용되어, 트랜잭션들의 유효성 검사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유효성 검사는 시간 제한을 갖는다. 시간 제한이 만료될 때까지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가 완료되지 않으면,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플레이어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통지 메시지가 자동으로 발송될 수 있다. 이 동작을 통해 공급망의 프로세스 도중의 오류가 플레이어들에 의해 즉시 주목될 수 있다.
종래의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제안된 DLT 시스템은 관련 정보를 변경할 가능성을 제거하고 트레이싱 능력과 투명성을 보장함으로써 공급망에 이러한 특성들을 제공한다.
2. 분산원장과 그것의 시스템과의 관계
일반적인 블록체인 구조에서, 블록은 트랜잭션 집합이며 그것의 포괄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은 엘리먼트들로 구성된다: (a) 이전 블록에 대한 포인터를 갖는 블록 헤더(해시), 타임스탬프, 논스(nonce)(숫자는 한 번만 사용됨) 및 머클 루트(Merkle root)(일 블록에서의 모든 트랜잭션들의 해시). (b) 다수의 트랜잭션들을 포함하는 블록 본문. 블록체인은 해시 함수들에 의해 링크되는 블록들의 단일 체인이며 각 블록은 다수의 트랜잭션들의 일 집합이다. 그러므로, 블록체인은 완전히 순서화된 집합이다. 트랜잭션은 값의 전송, 그리고 소스 및 목적지 주소들과 같은 다양한 작동들을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Directed Acyclic Graph) 상의 트랜잭션 예들을 도시한다.
일부 상황들에서는, DAG 기반의 시스템이 공급망을 트래킹 및 트레이싱하는 데 편리하다. 트랜잭션들을 모니터링, 트래킹 및 트레이싱하는 데 그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노드들 1-4가 4개의 상이한 제조업자들 또는 판매자들의 트랜잭션들을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물류 회사는 공급업자들(예: 유통업자들, 도매업자들)에게 패키지를 배달하고, 그들의 관련 트랜잭션들은 노드 5와 노드 6으로 나타나 있다. 노드 7은 구매자(예컨대, 소매업자들 또는 소비자들)이다. 이 프레임워크에서는 일련의 트랜잭션들이 손실되지 않는다.
연속 트랜잭션들에 의한 정보 접근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표기법들을 사용하기로 한다: I k = {노드 k 의 트랜잭션 정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드 7은 이전 6개의 모든 노드들 및 자신의 정보를 갖고, 노드 6은 노드 4, 노드 3 및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고, 노드 5는 노드 2, 노드 1 및 자신의 정보를 포함한다. k = 1, … , 7 에 대해서는, A k 는 노드 k 의 관점에서 모든 선조 노드(ancestor node)들의 합집합(union)을 지정한다. 이 예는 다음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16
...(1)
Figure pct00017
...(2)
따라서,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은 하위집합 관계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18
...(3)
Figure pct00019
그리고
Figure pct00020
(A 5 A 6 는 비교 불가능함)인데, 왜냐하면 그들은 부분적으로만 순서화되기 때문이며; A 1 , ... , A 4 도 또한 비교 불가능하다. 본 개시는 부분순서집합(poset)들과 관련하여 몇몇 기본적인 정의들 및 관념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S 의 2개의 엘리먼트들 xyx ≤ y 또는 yx 라면, 비교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xy 는 비교 불가능하다. 모든 엘리먼트 쌍들이 비교 가능하다면, S 는 ≤에 대해 완전히 순서화된다. 부분순서집합 S 에서의 체인(또는 완전히 순서화된 집합 또는 선형으로 순서화된 집합)은 하위집합 C ⊆ S 이므로, C 에서의 임의의 2개의 엘리먼트들은 비교가능하다(A 체인은 시퀀스임). 부분순서집합 S 에서의 안티체인은 하위집합 A ⊆ S 이므로, A 에서의 2개의 엘리먼트들은 모두 비교 가능하지 않다.
위의 관념들을 사용하여, 그 예의 7개의 트랜잭션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21
...(4)
여기서,
Figure pct00022
는 엘리먼트들이 비교 불가능한 안티체인을 나타내는데, 즉, 노드들 간에 링크(또는 해시 포인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동일한 안티체인에서의 엘리먼트들이 공유되는 정보는 존재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DAG 기반의 DLT는 잠재적인 보안 문제점들을 갖는다. 많은 실무자들 및 연구자들이 이미 지적했던 바와 같이, 수많은 하위트리들(다른 사람에 의해 "액세스 불가능한" 그룹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DAG는 최종 확인 가능성들의 관점에서 극도로 광범위하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서브트리들을 이용하여, 무의미한 트랜잭션들은, 트랜잭션들의 유효성에 대한 사전 조사가 없는 경우, 점선 원 노드들의 그룹에 의해 "발급 및 승인"될 수 있다. 이것은 임의의 분산식 피어 투 피어 시스템에서 중요한 이전 트랜잭션들의 유효성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는 데 주요 장애물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는 솔루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동일한 안티체인에서의 엘리먼트들 간의 통신을 얻기 위해 검증 프로세스를 재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정보 단절(위의 식들 (1)-(4)로부터의 안티체인 및 서브트리 문제)을 극복할 것을 제안한다. 본 개시는 프로세스를 두 부분, 즉, DAG에서의 유효성 검증 및 블록체인에서의 확인으로 분할한다. 위치(DAG)에서 유효성이 검증되면, 트랜잭션들이 네트워크(블록체인)에 부가되고 확인을 기다리는 메모리 풀(memory pool)에서의 마지막 트랜잭션까지 자동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트랜잭션들에 대한 최종 확인이 풀 노드(full node)에 의해 이루진 다음, 블록이 생성된다. 이러한 풀 노드의 역할은 비트코인의 채굴자들의 역할과 유사하며, 이러한 확인 프로세스는 (DAG에 기초하지 않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만 존재하는 풀 노드에 의해 수행된다. 최종 확인이 완료될 때, 풀 노드들에게 보상들이 주어진다.
데이터 보호 및 개인 정보 보호
본 개시에서, 데이터집합은 다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 사용자: GUID
● 품목(들): 품목 번호(제공자에 따라 다름)
● 시간(10자리): 에포크 타임스탬프, 예컨대, 1585772130(휴먼 데이터 2020년 4월 1일 오후 08:15:30(GMT)로부터 변환됨)
● 위치: GPS 좌표(소수점 도) - 위도 및 경도 소수점 도(각 소수점 이하 5자리)
● 트랜잭션: (도 5에 나타낸 알고리즘 1에 의한) 해시 - 단일 트랜잭션에 대해 다수의 해시 값들이 존재한다면, 최신 해시만이 사용될 것이다(이전 해시가 그것으로부터 트레이싱될 수 있음).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 및 관련 프로세스의 설명들을 나타낸다.
전술한 컴포넌트들은 직렬로 링크되어 있지만, 순서화, 즉, 숫자들과 문자들의 조합은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보안을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자체 조합 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보호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j 는 "품목과 그것의 첫 번째 트랜잭션의 조합"을 의미하고, t 는 시간 A j,t 가 시간 t 에서 j 에 대한 실제 데이터가 되도록 하는 그들의 대응 시점들을 나타낸다. 보호된 데이터의 경우, 본 개시는 A 대신 P를 사용하는데, 즉, P j,t 는 시간 t 에서 j 에 대한 보호된 데이터이다. 이것은 시계열 데이터인데, 포장으로부터 도착까지 각 품목이 안전하게 트래킹 및 트레이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알고리즘에 의해, 본 개시는, 주어진 롤링 윈도우 크기 m에 대한 모든 J 시계열들에 대한 보호된 시계열 데이터의 행렬인, 치환 행렬(permutation matrix) P를 찾을 수 있으므로, A' 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시계열 데이터 보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행렬 곱셈에 의해 완결된다:
Figure pct00023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024
...(5)
그리고,
Figure pct00025
...(6)
이다.
실제 시계열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행렬 곱셈에 의해 간단히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026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코딩 프로세스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단순하지만, 모든 시퀀스는, 일치되어야 하는 치환 행렬들이므로, 가능한 공격자(attacker)들(또는 비사용자들)에게는 매우 어렵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잭션들 및 관련 코드들의 시계열의 예들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바코드는 웹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게다가, 변수 값은, QR 코드와 연결되는, 그리고 각 트랜잭션 후에 백엔드에서 업데이트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값일 수 있으며, 또는 QR 코드 자체는 또한 새로운 트랜잭션에 대한 응답으로 재생성되어, 새로운 트랜잭션에 관련되는 새로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수 값들의 예들은 도 13에 나타나 있다.
도 13의 예들에서, 품목 상에는, 상세한 제품 정보를 나타내는 최상위 코드(제품의 초기 코드)가 부착된다. 가장 업데이트된 코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품목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코드는 네트워크 사용자들에 의한 적합한 트랜잭션 검증 및 확인 프로세스 후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최상위 코드 다음의 코드들은 업데이트된 코드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예컨대, 스마트폰)는 통신 유닛(101), 메모리(102), 프로세서(103), 적어도 하나의 센서(104) 및 디스플레이(105)를 포함한다.
통신 유닛(101)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들(예컨대, 트래킹 및 트레이싱 관리 디바이스)과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유닛(101)은 다른 디바이스들과 근거리 무선(또는 라디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유닛(101)은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표준들과 호환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유닛(101)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유닛(101)에는 이더넷 단말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유닛(101)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포함하는 상이한 통신 표준들과 호환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유닛(101)은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킹 및 트레이싱 관리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유닛(101)은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킹 및 트레이싱 관리 디바이스(200)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킹 및 트레이싱 관리 디바이스(200)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는 트래킹 및 트레이싱 관리에 사용될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02)는 센서(104)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트래킹 및 트레이싱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명령도 또한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는 자기 디스크들, 광 디스크들, 또는 테이프와 같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이다. 메모리(102)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제거 가능식 및 제거 불가능식 매체들을 포함한다. 메모리(102)는 RAM, ROM, 전기적 소거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k)들 또는 기타 광학 저장소,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프로세서(103)에 의해 액세스되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3)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각 컴포넌트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3)는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MicroProcessor Unit),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CU: MicroController Unit),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본 발명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3)는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104)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04)는 패키지의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이미지 센서(예컨대, 카메라)일 수 있다. 다른 가능성들 중에서도, 스테레오 카메라들, 깊이 센서들, LIDAR들, 레이더들 및/또는 적외선 센서들과 같은 이미지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다양한 센서들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지자기(geomagnetic)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와 같은 다른 유형들의 센서들도 또한 포함되어, 패키지 정보 및/또는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05)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모듈 또는 햅틱 모듈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3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링크(e-링크) 디스플레이와 같은 임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독특한 특징들 및 기술적 사상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존재하도록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컴퓨터에 의해 실행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됨)에 저장되는 트래킹 및 트레이싱 관리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코드 및 섹션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들은 프로세서(103)에 의해 실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키보드, 마우스, 펜, 사운드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등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피커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들)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의 다양한 엘리먼트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엘리먼트들,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또는 양방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의 예들은, 구조적 부재들, 로직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프로세서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회로들, 프로세서들, 회로 엘리먼트들(예컨대, 트랜지스터들, 저항들,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등), 집적 회로들,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메모리 유닛들, 로직 게이트들, 레지스터들, 반도체 디바이스, 칩들, 마이크로칩들, 칩셋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의 예들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프로그램들, 애플리케이션들, 컴퓨터 프로그램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시스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램들, 머신 프로그램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모듈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기능들, 방법들, 절차들,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들, 명령 집합들, 컴퓨팅 코드, 컴퓨터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컴퓨터 코드 세그먼트들, 단어들, 값들, 기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예들은 문서들의 계약들 및 실행에 관한 것이지만. 전술한 예들은 제조, 공급망 애플리케이션들, 경매들 및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들, 광고 및 미디어 판매들, 헬스케어 및 교육, 재고 관리, 사물 인터넷/스마트 디바이스/자율 디바이스들, 은행 및 금융 서비스들, 전자 상거래, 서비스업(hospitality), 법 집행, 정부 운영들, 보험 등과 같은 다른 영역들에서도 유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바코드 및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사용함으로써 패키지의 공급망을 트래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초기 값을 갖는 상기 바코드를 발급하는 단계;
    초기 위치에 위치되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패키지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바코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unpair)하는 단계;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
    중간 위치에 도착되는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는 단계;
    상기 중간 위치에 위치되는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
    최종 위치에 도착되는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는 단계;
    상기 최종 위치에 위치되는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4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고, 상기 바코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QR 코드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키지의 트랜잭션의 배송 시간 및 도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서명, 상기 제 2 디지털 서명, 상기 제 3 디지털 서명 및 상기 제 4 디지털 서명은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개인 키(private key) 및 역할과, 상기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가 유효성 검사될 때, 상기 유효성 검사의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바코드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간격으로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특정 간격으로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정보의 링크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지털 서명 및 상기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는 상기 바코드의 유효성 검사가 완료될 때, 제 1 배달 트랜잭션 해시(hash)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지털 서명 및 상기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는 상기 바코드의 유효성 검사가 완료될 때, 제 2 배달 트랜잭션 해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달 트랜잭션 해시 데이터 및 상기 제 2 배달 트랜잭션 해시 데이터는 상기 바코드 하에 직렬로 링크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검사 단계들 각각은,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패키지 및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는 해시 함수에 의해 처리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 함수는 함수 입력보다 짧은 함수 출력을 갖는 압축 함수인,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판매자 디바이스로서 인식되고,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는 배달 디바이스들로서 인식되며, 상기 제 4 모바일 디바이스는 구매자 디바이스로서 인식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동작들 각각은,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패키지에 부착되는 UHF RFID(Ultra-High-Frequency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스캔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정보는 상기 패키지, 판매자, 배달 엔티티 및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단계들 각각은, 해시 변환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삽입하도록 상기 바코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중요 환경적 요인들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검사 단계들 각각은,
    유효성 검사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3자로부터 상기 유효성 검사된 데이터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트랜잭션 트래킹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확인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상기 제3자는 상기 유효성 검사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해시 값들을 갖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데이터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유효성 검사된 다른 확인된 데이터로의 링크 정보를 갖는, 방법.
  20. 바코드를 사용함으로써 패키지의 공급망을 트래킹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초기 값을 갖는 상기 바코드를 발급하도록 구성되는 메인(main)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초기 위치에서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하는 것;
    상기 패키지의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바코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unpair)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및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
    제 3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및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상기 패키지의 위치를 트래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는 최종 위치에서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되,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 해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상기 제 3 모바일 디바이스;
    제 4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최종 위치에서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 및
    상기 바코드를 상기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 4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4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그리고 상기 바코드를 비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는, 해시 참조 포인터(hash reference pointer)들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그리고 제3자 사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유효성 검사되는 데이터의 확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4 모바일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17034451A 2020-08-20 2021-08-20 바코드 및 피어 리뷰의 사용에 의해 공급망을 트래킹 및 트레이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37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68220P 2020-08-20 2020-08-20
US63/068,220 2020-08-20
PCT/US2021/047018 WO2022040602A1 (en) 2020-08-20 2021-08-20 Methods and system of tracking & tracing for supply chain by the use of barcode and peer revie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752A true KR20220023752A (ko) 2022-03-02

Family

ID=8026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451A KR20220023752A (ko) 2020-08-20 2021-08-20 바코드 및 피어 리뷰의 사용에 의해 공급망을 트래킹 및 트레이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8563B2 (ko)
JP (1) JP2022540973A (ko)
KR (1) KR202200237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1527B2 (en) 2018-11-07 2024-01-02 Circlesx Llc Financial swap payment structure method and system on transportation capacity unit assets
US11880883B2 (en) 2016-09-15 2024-01-23 Circles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olocation portfolio exchanges
US20190228351A1 (en) 2018-01-23 2019-07-25 Erik M. Simpson Electronic forward market exchange for transportation seats and capacity in transportation spaces and vehicles
US11215466B2 (en) 2016-09-15 2022-01-04 Circlesx Llc Route community objects with price-time priority queues for transformed transportation units
US11810023B2 (en) 2018-10-22 2023-11-07 Circlesx Llc System and method for a transportation or freight capacity exchange for one or more transportation or freight capacity units
US11740777B2 (en) 2016-09-15 2023-08-29 Circlesx Llc Multi-dimension information service helmet method and system
US11790382B2 (en) 2016-09-15 2023-10-17 Circlesx Llc Method to transmit geolocation exchange based markets
US20190272589A1 (en) 2016-09-15 2019-09-05 Erik M. Simpson Securitization of transportation units
US10460520B2 (en) 2017-01-13 2019-10-29 Simpsx Technologies Llc Computer ball device for mixed reality,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US11823090B2 (en) 2016-09-15 2023-11-21 Circlesx Llc Transportation and freight and parking and tolling and curb capacity unit IPO method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9417B2 (en) 2018-11-26 2021-03-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Blockchain augmente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based system for dynamic supply chain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1938A1 (en) * 2011-08-11 2013-02-14 Jie Lin Dynamic Mobile Interaction Using Customized Interfaces
US9110608B2 (en) * 2011-09-30 2015-08-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mobile printing
US20150149775A1 (en) * 2012-09-02 2015-05-28 POWA Technologies (Hong Kong)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Secure Email
US8533075B1 (en) * 2013-02-13 2013-09-10 AgileQ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dical track and trace
US20160210547A1 (en) * 2015-01-16 2016-07-21 Vattaca, LLC Identification Tag with Magnet Attachment and System for Supply Chain Management
KR20160106305A (ko) * 2015-03-02 2016-09-12 (주) 케이유플러스 리얼 타임 택배 위치 추적 방법 및 그 위치 추적 시스템
WO2017103674A1 (en) * 2015-12-17 2017-06-22 Infinity Cube Ltd.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feedback generation using video processing and object tracking
US20180260800A1 (en) * 2017-03-07 2018-09-13 Walmart Apollo, Llc Unmanned vehicle in shopping environment
US20180284093A1 (en) * 2017-03-29 2018-10-04 Innit International S.C.A. Trusted Food Traceability System and Method and Sensor Network
CN107085781A (zh) * 2017-05-09 2017-08-22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属性加密的物流方法
US11004028B2 (en) * 2017-05-26 2021-05-11 Chris Broveleit Blockchain-based logistics systems
US10777316B2 (en) * 2017-08-18 2020-09-15 Serotonin, Inc. Method for tracking consumption of supplements by a user
WO2019068021A1 (en) * 2017-09-28 2019-04-04 Gate Labs Inc.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6473899B1 (ja) * 2017-12-29 2019-02-27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複合コードパターン、生成装置、読み取り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32101B2 (en) * 2018-10-17 2021-02-23 Elliot Klein Blockchai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location of time-crucial shipments according to expectation and smart contracts
US10708965B1 (en) * 2019-02-02 2020-07-07 Roambee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based asset pairing and provisioning
CN116569272A (zh) * 2020-06-26 2023-08-08 中尺度技术有限责任公司 全球生物监测和响应系统
US20220012686A1 (en) * 2020-07-13 2022-01-13 A'kela Kirby Package Delivery Notification and Confir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9417B2 (en) 2018-11-26 2021-03-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Blockchain augmente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based system for dynamic supply chain tr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8563B2 (en) 2022-03-29
JP2022540973A (ja) 2022-09-21
US20220058458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563B2 (en) Methods and system of tracking and tracing for supply chain by the use of barcode and peer review
US11922363B2 (en) Counterparty physical proximity verification for digital asset transfers
CA3068935C (en) Immutable electronic platform for insurance selection
US20200364817A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system or device for recording supply chain information on a distributed ledger in a peer to peer network
US101764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providing provenance of product using blockchain
US20200111107A1 (en) Unauthorized product detection techniques
CA3068853A1 (en) Verifiable parcel distributed ledger shipping and tracking system
US10685318B2 (en) Concepts for address prediction or correction
US20230092012A1 (en) Adding Additional Value to NFTs
US8849724B2 (en) Shipping container reuse recommendation system
Vyas et al. Blockchain and the supply chain: concepts, strategi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CN11322119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字资产处理方法及装置
US20200051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recall using blockchain
Chaves et al. Breakthrough towards the internet of things
JP6861327B1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umar et al. IoT–smart contracts in data trusted exchange supplied chain based on block chain
JP2018180823A (ja) 倉庫管理方法及び倉庫管理システム
WO2022040602A1 (en) Methods and system of tracking & tracing for supply chain by the use of barcode and peer review
US202200126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tracing
US10687374B1 (en) Peer-to-peer attribution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WO2021124425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Pranesh et al. RFID based markov chain model for automotive supply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