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579A -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579A
KR20220021579A KR1020200102281A KR20200102281A KR20220021579A KR 20220021579 A KR20220021579 A KR 20220021579A KR 1020200102281 A KR1020200102281 A KR 1020200102281A KR 20200102281 A KR20200102281 A KR 20200102281A KR 20220021579 A KR20220021579 A KR 2022002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service
user
us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무공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to KR102020010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579A/ko
Publication of KR2022002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적 소재가 가공된 콘텐츠 서비스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 회원 계정 식별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에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조회, 참여 및 평가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조회한 조회자들의 콘텐츠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에 대한 영상처리를 시행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들의 투표 결과를 집계하고, 조회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집계하며,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를 집계하여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트래킹 정보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고정된 컴퓨터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뿐 아니 라 이동단말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의 이용율이 급증하고 있고 이에 힘입어 이동단말을 위한 통신 서비스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잇다.
이러한 컴퓨터 및/또는 이동단말을 위한 통신 서비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개인이 제작한 콘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고, 서로의 평가나, 조회수, 좋아요 횟수 등을 기록하여 공유하는 참여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가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콘텐츠 전문 제작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도 충분히 자체 제작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단순한 텍스트나 이미지가 아닌 영상 콘텐츠의 공유서비스로 발전되고 있으며, 수와 그 종류는 방대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 및 업로드하는 하나의 주체의 계정에서만 게시물 등록 및 관련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유사한 다른 영상 콘텐츠와의 상대적 비교 평가를 하는 것이 객관적이거나 직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는 특정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등에 대하여 영상 콘텐츠를 이용하여 대중과 같은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에 관한 대결을 신청하거나 대결 신청을 받는 기능 등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이고 공정한 객관적 평가를 받거나 그 우위를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개개인의 영상 콘텐츠만을 제작 및 업로드할 수 있을 뿐, 특정 사용자의 영상 콘텐츠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릴레이 형식으로 콘텐츠를 이어가거나 콜라보 형식으로 팀업을 꾸려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영상 콘텐츠 비교서비스와 영상 콘텐츠 릴레이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 및 구현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를 통해,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이 가능하도록 콘텐츠가 제작되며, 이에 대한 반응이 평가되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화적 소재가 가공된 콘텐츠 서비스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 회원 계정 식별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에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조회, 참여 및 평가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조회한 조회자들의 콘텐츠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에 대한 영상처리를 시행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들의 투표 결과를 집계하고, 조회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집계하며,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를 집계하여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트래킹 정보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를 통해,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이 가능하도록 콘텐츠가 제작됨으로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편리하게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회자들이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의 콘텐츠 영상 등에 대한 반응(조회, 평가, 좋아요, 공유 등)을 입력하여 실시간 결과값을 도출해낼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상 및 참여자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영상 콘텐츠 및 참여자들에 대한 비교에 따른 상대적이고 공정한 객관적 평가를 받을 수 있게 하여 그 우위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콘텐츠 영상과 참여자들을 기획사에서 조회 후 기획사에 적합한 인재를 발굴 및 컨택하여 일반인들이 오프라인 오디션장을 찾아다니며 응시하지 않고도 데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콘텐츠 및 콘텐츠 서비스 정보의 용어에 대하여 정의한다.
콘텐츠는 문화적 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매체에 체화한 무형의 결과물로서, 여기서 문화적 소재란 우리 일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 가공은 기획자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통해 제시되는 일련의 스토리텔링 방법을 뜻한다. 이러한 가공은 매체를 염두에 두어야 하며, 매체는 콘텐츠를 담아내는 방식이자 통로이다. 콘텐츠는 인쇄 출판 미디어, 전자 미디어, 시각에 소구하는 영상 미디어, 그리고 최근의 뉴미디어만이 아니라, 인간의 신체와 감각기관의 기능을 확장한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는 도구적, 방법적 차원에서 사람들의 소통을 위한 모든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예로서 출판, 만화, 영화, 방송, 광고, 애니메이션, 음악, 게임, 웹, 애플리케이션, 이러닝, 캐릭터, 공연, 전시 및 박물관, 테마파크, 축제, 이벤트, 투어리즘 등이 콘텐츠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정보라 함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로서, 콜아웃(call-out) 콘텐츠 또는 팀업(team-up) 콘텐츠로 게시물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콜아웃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1인 대 1인, 1인 대 다수, 및 팀/그룹(team/group) 대 팀/그룹(team/group) 대결을 신청하거나 지목하는 형식으로 장치 또는 서버 내에서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고, 팀업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불특정 다수의 여러 인원이 참여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장치 또는 서버 내에서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등의 주제별 정보를 포함한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의 콘텐츠로 제공되어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편리하게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네트워크(20), 데이터베이스(30)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 데이터 베이스(30)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공중망(Public network)과의 연결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중망은 국가 혹은 통신 기간 사업자가 구축 및 관리하는 통신망으로, 일반적으로 전화망, 데이터망, CATV망 및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이 타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중망을 네트워크(20)로 대체하여 표기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참여자 및 콘텐츠 콘텐츠 조회자 등으로서, 다수의 일반 사용자들의 단말이며, 상기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회원 계정 식별 정보 등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회원 계정 식별 정보는 설계에 따라 적어도 일반 사용자, 기획사 소속자 및 콘텐츠아이템 제공자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회원들에 따라 수집되는 식별 정보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요청하는 정보에 따라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 중 사용자는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또는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다루기로 한다.
네트워크(2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2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별 정보(예컨대, 로그인 정보, 신상 정보, 프로필 정보 등)와 주제별 정보(예컨대,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등)를 포함하는 대결 콘텐츠, 릴레이 콘텐츠, 챌린지 콘텐츠, 콜라보 콘텐츠 및 팀업 콘텐츠 등을 사용자가 조회, 제작 및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템플릿 및 프레임 등이 저장되며, 각 콘텐츠별로의 투표 결과 집계치가 저장될 수도 있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운영하는 운영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한 별도의 콘텐츠 서비스 기능 모듈을 포함하여 콘텐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웹서버, 메신저서버, 웹애플리케이션서버, 콘텐츠아이템제공서버 및 기획사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이 네트워크(20)를 통해 접속하였을 시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웹서버를 통해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웹 사이트는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그래픽 환경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메신저서버는 사용자 단말(10)들끼리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웹애플리케이션서버는 웹서버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에서 등록한 콘텐츠나 기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단말을 통해 대결, 릴레이, 챌린지, 콜라보 및 팀업 등의 방법으로 참여하여 등록한 콘텐츠를 각 콘텐츠의 성질에 따라 템플릿 및 인터페이스를 수정하여 여러가지 모드의 콘텐츠가 제작되도록 데이터베이스(30)의 연동과 로직에 의한 연산 처리가 필요한 요청에 대해 규칙에 따라 트랜잭션을 수행하고 결과 정보를 반환 할 수 있다. 콘텐츠아이템제공서버는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콘텐츠에 색다른 효과를 입힐 수 있도록 여러 이모티콘, 모션, 시각, 필터,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아이템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아이템 조회, 아이템 효과 미리보기, 아이템 구매 및 아이템 효과 적용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기획사서버는 기획사 관련자, 소속자 등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및 참여자들을 조회한 뒤 콘텐츠 제작자 및 참여자들에게 메신저서버를 통해 컨택(contack), 온라인 오디션 제안 등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기획사서버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온라인 공개 오디션을 개최 및 제안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오디션과 관련된 인터페이스, 참여자, 조회자, 콘텐츠 등을 직접 관리하여 수정, 제작, 제어할 수 있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의 관리하에 관리자 권한이 부여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 영상처리부(43), 트래킹 정보 처리부(45) 및 제어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가 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데이터 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및 템플릿 구성에 맞춰 제작된 결과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는 대결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으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따라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호출 및 지정하여 해당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대결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자신의 콘텐츠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대결 및 배틀을 신청할 수 있도록 공개 배틀 모드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협력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을 동일 구간 참여 모드 또는 릴레이 참여 모드로 참여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실시간 모드로 진행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가 구축될 수도 있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동일 구간 참여 모드는, 첫번째 방식으로 팀업 만들기, 즉,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참여자들을 호출, 지정 및 공개적 모집 등을 하여 자신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을 참여하도록 하게하고, 두번째 방식으로 팀업 신청하기, 즉, 사전에 업로드된 팀업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참석할 수 있도록 팀업을 신청하거나 콘텐츠 제작자가 허용하는 사용자들에 한하여 팀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들을 참여하게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릴레이 참여 모드는 콘텐츠의 연속 구간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구간별로 참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30)에 기저장되어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제작한 특정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구간별로 주어진 할당량을 연속으로 이어받아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콘텐츠의 할당량이 모두 채워지면 각 사용자들이 참여한 구간별 콘텐츠를 영상처리부(43)에서 하나의 영상으로 편집하여 뮤직비디오, 웹드라마 등의 형식으로 영상이 제작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43)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에서 조회, 참여, 평가 등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43)는 사용자가 참여한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의 콘텐츠 영상을 하나, 2분할, 다분할 또는 접합 등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처리부(43)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콘텐츠 영상을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동일 주제에 대한 콘텐츠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화면은 콘텐츠에 참여한 사용자 수에 따라 2분할 처리되거나 다분할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팀업 콘텐츠 서비스 실시간 모드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이 참여한 경우, 참여자들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자동 다분할 처리되거나 영상들이 순서에 따라 이어지도록 접합 영상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팀업 콘텐츠 서비스가 실시간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영상처리부(43)에서 자동으로 맞춤, 추천 프레임을 지정하여 참여자들의 영상을 다분할 영상처리, 접합 영상처리하거나,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최초로 참여한 사용자가 다수 개의 분할 프레임, 접합 프레임 중 선호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에 맞춰 참여자들의 콘텐츠 영상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43)는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하단에 "좋아요" 또는 하트, 별, 엄지를 치켜세운 손가락 등 콘텐츠 조회자들의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클릭(즉, 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사용자)들의 반응 결과, 즉, 영상처리부(43)에서 구성한 아이콘을 조회자(사용자)가 클릭하여 투표한 결과를 각각 집계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조회자(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판단하여 이를 집계할 수도 있고,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 또한 집계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인기 콘텐츠, 추천 콘텐츠 등으로 조회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다 객관적으로 각 사용자들의 특기(콘텐츠)를 판단 및 평가 받을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를 통해 높은 평가를 받은 특정 사용자 정보 및 특정 콘텐츠 정보는 기획사서버에 송신되어 기획사는 발굴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도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는 기획사서버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오디션이 개최되었을 경우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를 통해 집계된 정보를 가지고 우승자를 가려내거나 상금을 분배하는 등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 서비스를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7)는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템플릿 및 프레임 설계, 콘텐츠 서비스의 송수신, 콘텐츠에 대한 트래킹 집계 정보 수집, 영상처리 등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 영상처리부(43) 및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회원 계정 식별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회원 계정 식별 정보는 회원들별로 수집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적어도 일반 사용자, 기획사 소속자 및 컨테츠아이템 제공자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송신된 회원 계정 식별 정보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S100).
이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로서, 콜아웃(call-out) 콘텐츠 또는 팀업(team-up) 콘텐츠로 게시물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콜아웃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1인 대 1인, 1인 대 다수, 또는 팀/그룹(team/group) 대 팀/그룹(team/group) 대결을 신청 또는 지목하는 형식으로 인터페이스가 구축될 수 있고, 팀업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불특정 다수의 여러 인원이 참여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등의 주제별 정보를 포함한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의 콘텐츠로 제공되어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편리하게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다(S200).
사용자는 이처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수신받아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로 송신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데이터 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및 템플릿 구성에 맞춰 제작된 결과물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S300).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는 대결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으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S310).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따라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대결모드를 선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11).
만약,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지정모드로 대결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호출 및 지정하여 대결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12).
또한, 사용자가 배틀 허용 공개 배틀 모드로 대결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에 대해 불특정 다수의 인원이 대결 및 배틀 등을 허용하도록 공개 배틀 모드로 영상이 업로드 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할 수 있다(S313).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협력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으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실시간 모드로 진행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가 구축될 수도 있다(S320).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따라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협업모드를 선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21).
만약, 사용자가 협업모드 중 동일 구간 참여 모드를 선택했을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첫번째 방식으로 팀업 만들기, 즉,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참여자들을 호출, 지정 및 공개적 모집 등을 하여 자신의 영상에 참여자들을 참여하도록 하게하고, 두번째 방식으로 팀업 신청하기, 즉, 사전에 업로드된 팀업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참석할 수 있도록 팀업을 신청하거나 영상 제작자가 허용하는 사용자들에 한하여 팀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들을 참여하게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22).
또한, 사용자가 협업모드 중 릴레이 참여모드를 선택했을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콘텐츠의 연속 구간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구간별로 참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30)에 기저장되어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제작한 특정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구간별로 주어진 할당량을 연속으로 이어받아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콘텐츠의 할당량이 모두 채워지면 각 사용자들이 참여한 구간별 콘텐츠를 하나의 영상으로 편집하여 뮤직비디오, 웹드라마 등의 형식으로 영상이 제작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23).
이는 후술되는 콘텐츠 서비스 영상처리(S400) 단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특정 사용자 지정모드(S312), 배틀 허용 공개모드(S313), 동일구간 참여모드(322) 및 릴레이 참여모드(S323)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러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 및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영상처리부(43)에서 콘텐츠 서비스를 영상처리 하도록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43)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에서 조회, 참여, 평가 등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작하고, 사용자가 참여한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하나, 2분할, 다분할 또는 접합 등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처리부(43)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영상을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동일 주제에 대한 콘텐츠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화면은 콘텐츠에 참여한 사용자 수에 따라 2분할 처리되거나 다분할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팀업 콘텐츠 서비스 실시간 모드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이 참여한 경우, 참여자들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자동 다분할 처리되거나 영상들이 순서에 따라 이어지도록 접합 영상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팀업 콘텐츠 서비스가 실시간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영상처리부(43)에서 자동으로 맞춤, 추천 프레임을 지정하여 참여자들의 영상을 다분할 영상처리, 접합 영상처리하거나,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최초로 참여한 사용자가 다수 개의 분할 프레임, 접합 프레임 중 선호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에 맞춰 참여자들의 영상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43)는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하단에 "좋아요" 또는 하트, 별, 엄지를 치켜세운 손가락 등 조회자들의 콘텐츠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클릭(즉, 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400).
콘텐츠 서비스 영상처리 단계(S400)가 끝나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때,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사용자)들의 반응 결과, 즉, 영상처리부(43)에서 구성한 아이콘을 조회자(사용자)가 클릭하여 투표한 결과를 각각 집계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조회자(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판단하여 이를 집계할 수도 있고,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 또한 집계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인기 콘텐츠, 추천 콘텐츠 등으로 조회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다 객관적으로 각 사용자들의 특기(콘텐츠)를 판단 및 평가 받을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를 통해 높은 평가를 받은 특정 사용자 정보 및 특정 콘텐츠 정보는 기획사서버에 송신되어 기획사는 발굴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도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는 기획사서버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오디션이 개최되었을 경우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를 통해 집계된 정보를 가지고 우승자를 가려내거나 상금을 분배하는 등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 서비스를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S500).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해당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장치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내부에 여러 콘텐츠가 추가 및 수정되어 제공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형식과 형태 및 플랫폼 등이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화면은 상단부(11)에 Main, Voice, Action 및 Text의 아이콘이 배치되고, 본문부(12)에는 각 분야별 콘텐츠의 인기 차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하단부(13)에는 홈(집 모양 아이콘), 검색(돋보기 아이콘), 콘텐츠 서비스 참여(+ 모양 아이콘), 알림 메시지(종 모양 아이콘) 및 마이페이지(사람 모양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본문부(12)는 사용자가 클릭하는 상단부(11) 및 하단부(13)의 아이콘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이 반영된 화면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단부(11)에서 콘텐츠 서비스를 Voice, Action 및 Text만으로 설정하였으나, 설계에 따라서는 상술한 콘텐츠 서비스 외에도 다른 분야의 수많은 콘텐츠 서비스가 아이콘으로 추가, 수정 및 삭제될 수 있으며, 하단부(13)의 아이콘 또한 상단부(11)의 아이콘과 동일하게 추가, 수정 및 삭제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화면 상단부(11)에 표시된 Main, Voice, Action 및 Text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Main 아이콘 화면에서 Voice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경우, Voice 아이콘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이 본문부(12)에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Voice 아이콘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은 예를 들어 더빙씬 아이콘(12a) 및 커버송 아이콘(12b)일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중 어느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만약 더빙씬 아이콘(12a)을 선택한다면, 다시 본문부(12)는 도 5b처럼 상기 더빙씬 아이콘(12a)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으로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문부(12)에 표시된 도전 아이콘(12a-1)을 클릭하여 더빙씬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전 아이콘(12a-1)을 클릭하였을 경우, 본문부(12)는 더빙씬 콘텐츠 서비스에 해당하는 영상과 대사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영상을 보며 대사를 녹음할 경우, 음성 녹음이 가능하도록 녹음 아이콘(12a-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음성 녹음은 사용자 단말(10)에 기설치된 마이크 모듈을 통해 가능하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문부(12)에 표시된 비디오 업로드 아이콘(12a-3)을 통해 직접 영상을 녹화할 수 있으며, 도 7b에 표시된 것 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의 대사를 녹음할 수 있도록 구간 설정 아이콘(12a-4)으로 음소거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음소거 구간에 자신의 음성을 녹음하고 싶은 경우, 도 7c에 표시된 녹화 아이콘(12a-5)를 클릭하여 녹음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영상 녹화는 사용자 단말(10)에 기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녹음 또는 녹화한 음성과 영상을 본문부(12)의 한 구간에 표시된 박스창(12a-6)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음성은 사용자 단말(10)에 기설치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청취 가능하다. 만약, 사용자가 녹음 및 녹화한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재녹화 아이콘(12a-7)을 클릭하여 이전의 도 7의 과정으로 돌아가 재녹음 및 재녹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박스창(12a-6)에 표시된 음성 및 영상이 마음에 들 경우 다음 아이콘(12a-8)을 클릭하여 도 8b처럼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본문부(12)는 사용자가 영상의 제목 및 설명을 기재할 수 있도록 TEXT 박스창(12a-9)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든 과정을 마친 후 더빙씬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하고 싶다면, 업로드 아이콘(12a-10)을 클릭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더빙씬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상술된 도 4 내지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또 다른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콘텐츠 서비스와 분야 및 인터페이스 구성만 다를 뿐, 내용은 동일하므로 도 9 내지 도 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문화적 소재가 가공된 콘텐츠 서비스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 회원 계정 식별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에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조회, 참여 및 평가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조회한 조회자들의 콘텐츠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에 대한 영상처리를 시행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 단계;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들의 투표 결과를 집계하고, 조회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집계하며,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를 집계하여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트래킹 정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적 소재가 가공된 콘텐츠는,
    적어도 인쇄 출판 미디어, 전자 미디어, 시각에 소구하는 영상 미디어, 뉴미디어, 인간의 신체와 감각기관의 기능을 확장한 미디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로서, 대결 구조 형식의 콜아웃(call-out) 콘텐츠 및 협력 구조 형식의 팀업(team-up)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콜아웃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1인 대 1인, 1인 대 다수, 및 팀/그룹(team/group) 대 팀/그룹(team/group) 대결을 신청하거나 지목하는 형식, 팀업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불특정 다수의 여러 인원이 참여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는,
    적어도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주제별 정보의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형식의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는,
    주제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적어도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는,
    사용자가 콜아웃 콘텐츠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호출 및 지정하여 해당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대결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거나,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자신의 콘텐츠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대결 및 배틀을 신청할 수 있도록 공개 배틀 모드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는,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동일 구간 참여 모드 또는 릴레이 참여 모드로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는,
    동일 구간 참여 모드를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참여자들을 호출, 지정 및 공개적 모집하여 자신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을 참여하도록 하게 하는 팀업 신청하기 및 사전에 업로드된 팀업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참석할 수 있도록 팀업을 신청하거나 콘텐츠 제작자가 허용하는 사용자들에 한하여 팀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팀업 신청하기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단계는,
    릴레이 참여 모드를 사용자가 콘텐츠의 연속 구간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구간별로 참여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되, 서버 내에 기저장되어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제작한 특정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구간별로 주어진 할당량을 연속으로 이어받아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단계는,
    사용자들이 참여한 콘텐츠 영상을 실시간 및 자동으로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하나, 2분할, 다분할 또는 접합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하거나, 콘텐츠 서비스를 최초로 참여한 사용자가 다수 개의 분할 프레임 및 접합 프레임 중 선호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에 맞춰 참여자들의 콘텐츠 영상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단계는,
    사용자들이 참여한 콘텐츠를 뮤직비디오 및 웹드라마 형식으로 영상이 제작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단계는,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하단에 조회자들의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클릭(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항 및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정보 처리 단계는,
    조회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판단된 조회수, 조회자들이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 및 조회자들이 영상처리부에서 구축한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투표한 결과를 각각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정보 처리 단계는,
    집계된 조회수, 공유횟수 및 선호도 투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인기 콘텐츠 및 추천 콘텐츠로 조회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콘텐츠를 객관적으로 판단 및 평가받을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02281A 2020-08-14 2020-08-14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1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81A KR20220021579A (ko) 2020-08-14 2020-08-14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81A KR20220021579A (ko) 2020-08-14 2020-08-14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579A true KR20220021579A (ko) 2022-02-22

Family

ID=8049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281A KR20220021579A (ko) 2020-08-14 2020-08-14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1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38B1 (ko) 2023-04-07 2024-01-29 주식회사 카페노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38B1 (ko) 2023-04-07 2024-01-29 주식회사 카페노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packaging, and sharing social content and social affiliations
JP6101973B2 (ja) ボイスリンクシステム
US201403518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mposite broadcast with moderation mechanism for multiple media feeds
JP2015018563A (ja) 通信方法、システムおよび製品
Carter Digital Humanities
KR20040010694A (ko)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서비스 시스템, 이용자 단말용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2004248145A (ja) 多地点通信システム
Bouwman et al.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cenarios matter: research into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home environment in 2010
KR20220021579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Zelenkauskaite Value of user-generated content: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social and mobile media in two Italian radio stations
KR20220021595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Nansen et al. Digital ethnographic techniques in domestic spaces: Notes on methods and ethics
KR20220021599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021574A (ko) 기록매체
KR20220021593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21604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20021575A (ko) 기록매체
KR20220021577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1603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KR20220033908A (ko) 콘텐츠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20021602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033898A (ko) 콘텐츠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20033901A (ko) 콘텐츠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20033909A (ko) 콘텐츠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20021600A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