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157A -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 Google Patents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157A
KR20220021157A KR1020200101624A KR20200101624A KR20220021157A KR 20220021157 A KR20220021157 A KR 20220021157A KR 1020200101624 A KR1020200101624 A KR 1020200101624A KR 20200101624 A KR20200101624 A KR 20200101624A KR 20220021157 A KR20220021157 A KR 20220021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autism spectrum
spectrum disorder
disorder
so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진
이현아
강원국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157A/ko
Publication of KR2022002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려견과 친해지는 친해지기 단계; 반려견과 사회적기술을 익히는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 및 상기 사회적기술을 일반화하는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타액 내 옥시토신 호르몬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반려견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감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Educational system for improv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ing an effect of increasing oxytocin hormone}
본 발명은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과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이러한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로 인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 향상 효과를 향상시킨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초기 아동기부터 상호 교환적인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지속적인 손상을 보이는 한편 행동 패턴, 관심사 및 활동의 범위가 한정되고 반복적인 것이 특징인 신경 발달 장애의 한 범주이다. DSM-IV와 ICD-10에서는 광범위성 발달 장애 범주 하에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레트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은 광범위성 발달 장애 등으로 구분했다. 하지만 최근 출시된 DSM-5에서는 이들을 각기 독립된 장애가 아닌 동일한 연속선상에서 자폐 상태의 심각도나 지능 및 심리 사회적 발달의 정도에 따라 발현되는 임상 양상에 차이가 있다고 보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개정했다. 또한, 이 장애에 지능의 손상, 의학적 또는 유전적 상태나 환경적 요인 등이 수반되는지 여부, 이 장애와 연관된 다른 신경 발달 장애 또는 정신 행동 장애, 운동 장애가 있는지 여부 등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초기 발달 단계에서부터 대인 관계에 관심이 부족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양상, 언어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부적절하고 독특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양상, 그리고 관심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특이하며 엉뚱한 반복 행동을 보이는 양상 등이 지속되어 부적응을 초래하는 경우를 일컫는 ‘자폐’라는 말은 일반인도 익숙하게 접하는 정신 장애 관련 용어 중 하나이다.
자폐증이 독립적인 정신 장애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43년 캐너(Kanner)의 <정서적 접촉에서의 자폐적 장해(Autistic Disturbance of Affective Contact)>라는 논문에서 비롯된다. 캐너는 대인 관계 문제,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 반복적인 행동 패턴 등을 보이는 아동들의 사례를 보고하며 ‘초기 유아기 자폐증(early infantile autism)’이라고 명명했다. 이 논문에 자극을 받아 많은 아동 정신병리학자들이 자폐증의 개념 및 정의, 주요 증상, 원인, 경과, 평가 방법, 치료 기법 등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렇지만 정신 장애 진단 분류 체계에서는 여전히 소아기에 나타나는 정신증(psychotic symptoms)과 자폐증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별도의 장애로 볼 것인지에 대해 논란이 많았다.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의 공인 진단 분류 체계인 DSM-II(APA, 1968)조차 자폐증을 여전히 ‘조현병, 소아기형(Schizophrenia, childhood type)’에 포함시켰다.
자폐증의 다양한 임상 양상을 아우르는 ‘광범위성 발달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가 독립적인 진단명으로 공인된 것은 DSM-III(1980)에서이다. 이후 DSM-IV(2000) 및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에서 공인한 ICD-10(WHO, 1992)에서도 ‘광범위성 발달 장애’의 범주 하에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레트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광범위성 발달 장애’ 등을 포함했다. 나아가 최근 개정된 DSM-5(2013)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로 통합했다.
DSM-IV의 자폐성 장애 및 DSM-5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다만 개인의 지적 능력, 심리-사회적 발달 수준, 생활 연령, 공병하는 다른 장애, 제공받은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 지지 체계 및 생활 환경 등에 따라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임상 양상과 증상의 심각도에 차이가 있다.
DSM-IV-TR(2000)
자폐성 장애(Autistic Disorder)
A. (1), (2), (3)에서 총 6개 (또는 그 이상)항목, 적어도 (1)에서 2개 항목, (2)와 (3)에서 각각 1개 항목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질적인 장해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마주치기, 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해
(b)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예: 관심의 대상을 보여주거나, 가져오거나, 지적하지 못함)
(d) 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받는 상호 교류의 결여
(2) 질적인 의사소통 장해는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구두 언어 발달의 지연 또는 완전한 발달 결여(몸짓이나 흉내 내기와 같은 의사소통의 다른 방법에 의한 보상 시도가 수반되지 않음)
(b) 적절하게 말을 하는 경우,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의 현저한 장해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나 괴상한 언어의 사용
(d) 발달 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의 결여
(3)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 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한 가지 이상의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착
(b) 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예: 손이나 손가락으로 딱딱 때리기나 틀기, 또는 복잡한 몸 전체 움직임)
(d) 대상의 부분에 지속적으로 몰두
B. 다음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기능이 지연되거나 비정상적이며, 3세 이전에 시작된다.
(1) 사회적 상호작용,
(2) 사회적인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
(3) 상징적 또는 상상적 놀이.
C. 장해가 레트 장애 또는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DSM-5(2013)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 다양한 맥락에 걸쳐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함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현재 또는 과거에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표현됨(예시된 내용은 증례 중 하나일 뿐 절대적인 것은 아님).
1. 사회적-정서적 상호작용 및 범위에서의 결함.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사회적 접근; 상호 주고 받는 대화를 정상적으로 나누지 못함; 관심이나 감정, 정서를 공유하지 못함; 사회적 상호작용을 개시 또는 반응하지 못함.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의 결함. 예를 들어,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잘 통합하지 못함; 눈맞춤과 신체적 언어 사용이 비정상임 또는 제스처 이해와 사용에서의 결함; 얼굴 표정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전반적으로 결여.
3. 관계를 발달시키고 유지하고 이해함에 있어서 결함. 예를 들어,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 맞게 행동을 조정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임; 상상 놀이를 공유하거나 친구 사귀기에 어려움을 보임; 또래들에 대한 흥미 결여.
현재의 심각도에 대한 세분화:
심각도(severity)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손상 및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에 근거함
B.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이나 관심, 활동이 현재 또는 과거에 다음과 같은 항목들 중 적어도 두 가지 이상으로 표현됨(예시된 내용은 증례 중 하나일 뿐, 절대적인 것은 아님).
1. 상동증적, 반복적인 동작 운동, 사물의 사용 또는 언어 사용(예를 들어, 단순 상동증적 운동; 장난감을 줄 세워 놓음; 사물을 툭툭 던짐; 반향어증; 개인 특유의 문구 사용 등).
2. 같은 방식을 요구함, 일상적 활동을 융통성 없이 고수함, 의례적인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행동 패턴(예를 들어, 사소한 변화에도 극도로 고통스러워 함; 변화를 어려워함; 사고방식이 경직되어 있음; 의례적인 행동; 매일 같은 길로만 다니려고 하거나 같은 음식만 먹으려고 함).
3. 흥미가 매우 제한적이며 고정되어 있는데, 흥미의 강도나 초점 면에서도 비정상임(예를 들어, 특이한 사물에 대해 강한 애착 또는 집착을 보임; 흥미가 지나치게 한정되어 있고 반복적임).
4. 감각 입력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거나 과소 활성화됨. 또는 환경 내에서 특정 감각 양상에 특이한 관심을 보임(예를 들어, 고통/온도에 명백하게 무관심함; 특정 소리, 재질에 혐오 반응을 보임; 사물을 지나치게 냄새 맡거나 만짐; 빛이나 움직임을 주시하고 시각적으로 즐김).
현재의 심각도에 대한 세분화:
심각도(severity)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손상 및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에 근거함
C. 초기 발달 기간 동안 증상이 나타나야 함(다만, 제한된 능력을 넘어서는 사회적 요구가 있어야 비로소 명백하게 나타날 수 있음 또는 이후에 학습한 전략을 사용해 가장할 수 있음).
D.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현재 기능 중 여타의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손상을 초래함.
E. 이러한 장해가 지적 장애(지적 발달 장애) 또는 전반적 발달 지연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지적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흔히 동반되어 나타남;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지적 장애,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함께 진단내리려면, 예상되는 일반적인 발달 수준 이하여야 함.
주의: DSM-IV의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또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 광범위성 발달 장애로 확실하게 진단받은 사람이라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진단내릴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에 현저한 결함을 보이지만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준거의 다른 증상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에 대해 평가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세분화할 것:
지적 손상이 동반됨 또는 동반되지 않음
언어 손상이 동반됨 또는 동반되지 않음
익히 알려진 의학적 또는 유전적 상태나 환경적 요인과 연관됨
(부호화 주의 사항: 관련된 의학적 또는 유전적 상태를 확인하여 추가적으로 부호화할 것)
다른 신경 발달 장애, 정신 장애 또는 행동 장애와 연관됨
(부호화 주의 사항: 관련된 신경발달 장애, 정신 장애 또는 행동 장애를 확인하여 추가적으로 부호화할 것)
긴장증이 있음(다른 정신 장애와 관련된 긴장증의 준거를 참고할 것)
(부호화 주의 사항: 긴장증의 공병이 확인되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연관된 긴장증에 대해 293.89[F06.1]을 추가 부호화할 것)
DSM-5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캐너(Kanner)의 초기 유아기 자폐증에서부터 통용되는 고기능 자폐, 비전형적인 자폐증이라든지 DSM-IV의 아스퍼거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광범위성 발달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등을 모두 아우른다(APA, 2013).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이와 같이 자폐 관련 장애들을 별개의 독립적인 장애가 아닌 동일한 연속선상에서 자폐 상태의 심각도나 지능 및 심리 사회적 발달의 정도에 따라 발현되는 임상 양상에 차이가 있다고 본다.
특히 사회적 의사소통 및 제한적, 반복적 행동에 따라 심각도를 세 단계로 구분하는데, 수준 3은 “매우 많은 도움과 지지가 필요함”, 수준 2는 “상당한 도움과 지지가 필요함”, 수준 1은 “도움과 지지가 필요함”이다. 또한 지능의 손상, 의학적 또는 유전적 상태나 환경 요인 등이 수반되는지 여부, 이 장애와 연관된 다른 신경 발달 장애 또는 정신 행동 장애, 운동 장애가 있는지 여부 등에 따라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세분화한다.
이전 자폐성 장애 진단 준거에서는 핵심 증상 중 하나인 의사소통의 질적인 이상과 관련해 언어 능력의 제한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했으나, DSM-5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취약성을 더 광의의 개념으로 기술하며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문제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하고 있다. 또한 반향어를 비롯한 상동증적 언어 사용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 중 한 양상으로 보았다. 한편, 다른 증상 없이 사회적 상황에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만 보이는 경우에는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 범주에 속하는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로 분류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발병 연령과 패턴이 중요하다. 이에 해당하는 증상은 일반적으로 12-24개월 무렵에 나타나며, 지능을 비롯한 발달이 매우 더딘 경우라면 12개월 이전에도 알아차릴 수 있다. 하지만 영유아기 때 나타나는 증상은 만 2세 이후 나타나는 증상보다 더 미묘하고 알아차리기 어려우며, 막연히 걱정이 되더라도 아직 어리기 때문이라고 여기며 두고 보는 경우가 많다. 초기 아동기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회가 늘면서부터 증상은 더 명백하게 드러난다. 대개는 언어 발달의 지연이 가장 먼저 눈에 띄며, 이후 사회적 관심이 부족하다거나 특이하게 논다든지 독특한 의사소통 패턴을 보이는 등 상호작용의 문제가 드러난다.
독특하고 반복적인 행동도 만 2세경부터 눈에 띄기 시작해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점 더 분명해지는데, 특정 활동을 지나치게 선호한다거나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것(같은 음식, 같은 놀이, 같은 TV 프로그램 등)을 즐긴다. 초기 아동기에서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무렵까지는 이와 같은 증상이 점점 더 심해지기도 하지만, 일정 수준의 학습, 보상 전략 습득이 이루어지면서 대개는 발달적 향상을 보인다. 다만, 연령에 비례해 발달하는 속도가 더디다 보니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기에 이르러서도 연령에 기대되는 사회적 행동이나 직업 역할 수행은 어리고 미숙하다.
지적 능력 및 언어 능력은 예후에 매우 중요하다. 지능을 비롯해 여타 발달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학령기 동안 습득한 지식, 보상 전략을 바탕으로 학교 장면과 같이 구조화된 상황에서 어느 정도 적응해 나가기 때문에 성인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적응상의 문제가 두드러지고 뒤늦게 치료 장면을 찾기도 한다. 이에 비해 지적 장애나 언어 장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이로 인해 사회적 기술이나 보상 전략 습득에 더 큰 어려움이 초래되어 예후가 좋지 않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폭넓게 진단할 경우, 여러 국가에서 유병율이 1% 정도로 보고되며, 남성이 여성보다 4배 이상 많다. 임상 장면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여아에서 남아보다 지적 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다만, 이와 관련해서는 지적 장애나 언어 문제가 동반되지 않는 자폐 스펙트럼 여아의 경우 남아보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문제나 상호 교환적 의사소통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 드러나 치료 장면을 적게 찾을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APA, 2013).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병인이 명확히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의학적 상태(예: 간질) 또는 유전적 상태(예: 레트 증후군, 취약성 X 증후군, 다운 증후군), 환경적 요인(예: 태내 알코올 증후군, 출생시 저체중 등) 등의 취약성이 확인되었으며, DSM-5에서는 이에 따라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을 세분화하도록 했다. 최근의 신경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원시적 반사 반응, 거두증(macrocephaly), 뇌 형태 및 세포 구조의 변화, 얼굴 지각을 담당한다고 알려진 방추상 안면 영역(fusiform face region)의 반응성 감소 등이 보고되었다(Martin & Volkmar, 2007).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해 약물 치료를 포함해 행동 수정 기법, 교육적 개입, 정신 치료, 식이 요법 등 다양한 영역의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개입 기법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다만, 기본적인 사회적 의사소통 및 대인 관계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부적절한 행동 문제를 감소시키고 적응 행동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행동 수정 기법이 유용하다. 특히,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매우 구체적이고 행동적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주양육자가 조력자로 참여하여 장기간 유지할 때 효과적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국내의 장애 판정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보건복지부, 2013).
◎1급: ICD-10의 진단 기준에 의한 전반성 발달 장애(자폐증)로 정상 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IQ 70 이하이며,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전반적 발달 척도(GAS) 점수가 20 이하인 사람.
◎2급: ICD-10의 진단 기준에 의한 전반성 발달 장애(자폐증)로 정상 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IQ 70 이하이며,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전반적 발달 척도(GAS) 점수가 21~40인 사람
◎3급: ICD-10의 진단 기준에 의한 전반성 발달 장애(자폐증)로 정상 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IQ 71 이상이며,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전반적 발달 척도(GAS) 점수가 41~50인 사람
자폐성 장애의 판정을 위해서는 의료 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소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이때, 해당 전문의는 원인 질환 등에 대해 충분한 치료 후에도 장애가 고착되었음을 진단서, 소견서, 진료 기록 등으로 확인해야 한다.
자폐성 장애는 ICD-10에 근거해 자폐성 장애의 진단명을 확인함과 동시에 전문의의 임상적 판단 또는 자폐증 평정 척도(K-CARS)를 비롯해 다양한 자폐성 척도를 사용한 심각도 평정을 통해 자폐성 장애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이로 인한 정신적 능력의 장애 상태를 확인하여 종합적인 등급을 판정한다.
앞에서 기술한 자폐성 장애의 진단 및 재판정 시기는 다음과 같다.
◎전반성 발달 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최소 만 2세 이상)에서 장애를 진단한다.
◎만 6세 미만에서 지적 장애 판정을 받았다면 만 6세 이상~만 12세 미만에서 재판정을 실시해야 한다. 만 6세 이상~만 12세 미만 기간에 최초로 지적 장애 판정 또는 재판정을 받았더라도 향후 지적 장애 상태의 변화가 예상된다면, 만 12세 이상~만 18세 미만에 재판정을 받아야 한다.
◎수술, 치료, 의료적 조치 등으로 기능 회복이 예상되는 경우 장애 판정을 처치 후로 유보해야 한다. 단, 1년 이내에 국내 여건 또는 장애인의 건강 상태 등으로 인해 수술이나 치료 등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예외로 하되, 필요한 시기를 지정하여 재판정하도록 한다.
◎향후 장애 정도의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반드시 재판정을 받도록 한다. 재판정의 시기는 최초 진단일로부터 2년 이상 경과한 후로 하며, 2년 이내에 장애 상태의 변화가 예상될 때에는 장애 진단을 유보해야 한다.
◎재판정이 필요한 경우 장애 진단을 하는 전문의는 장애 진단서에 그 시기와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치료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약물 투여를 통해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특허문헌 1 참조).
다만, 약물 치료는 약물의 지속적인 투여에 따라 부작용에 대한 부담이 있고, 약물 투여량을 줄이거나 끊었을 때 발생하는 부작용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이에 스스로 학습하거나 매체 등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치료를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그 예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를 위한 게임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가 존재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실질적으로 치료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지표가 없고,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함에 따라 사람이나 동물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공감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2016-0088886 A (2016. 07. 26.) KR 10-2018-0128733 A (2018. 12. 04.)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보건복지부 (2013년).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3-56호. 장애등급판정기준.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68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2nd edition (DSM-II). Washington DC: APA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ition (DSM-III). Washington DC: APA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text revision(DSM-IV-TR). Washington DC: APA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Washington DC: APA press. Martin, A., & Volkmar, F.R. (2007년). Lewis’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 comprehensive textbook, 4th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년).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이부영, 우종인, 이철 옮김 (1994년). ICD-10 정신 및 행태장애 임상기술과 진단 지침. 서울: 일조각].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반려견과 함께하는 동물교감치유 방식의 교육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이러한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로 인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 향상 효과를 향상시킨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은 반려견과 친해지는 친해지기 단계; 반려견과 사회적기술을 익히는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 및 상기 사회적기술을 일반화하는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친해지기 단계는, 반려견과 인사를 나누는 안녕단계; 자신의 이름표를 목에 걸고, 반려견의 이름표를 반려견에게 걸어주는 이름단계; 및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반려견을 쓰다듬는 쓰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는, 반려견의 신체 부위별 사진을 본 다음 해당 부위를 만져보고, 팀원과 함께 반려견의 부위별 사진으로 퍼즐 맞추는 스킨십단계; 반려견에게 간식을 준 다음, 간식을 종이컵에 숨기고 간식을 찾도록 하는 보물찾기단계; 상담사와 함께 리드 줄을 잡고 반려견과 함께 걸은 뒤 다음 순서의 팀원에게 바톤터치하는 터치단계; 동물 인형을 만져보고 이름을 말한 다음, 이와 함께 미로를 통과하여 집 찾아주는 미로단계; 미션이 기재된 주사위를 던지고, 해당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단계; 및 반려견과 눈을 맞추며 교감하는 교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미션은 반려견 쓰다듬기, 반려견과 악수하기, 반려견에게 간식주기, 반려견 안아주기, 반려견과 눈맞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는, 반려견과 산책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반려견과 산책하는 소풍단계; 공의 촉감을 느껴보고, 반려견에게 공을 던진 뒤 반려견이 공을 물어오면 이를 받고 반려견을 쓰다듬으면서 간식을 주는 공놀이단계; 및 활동 동영상을 보고 반려견과 함께 찍은 사진으로 액자를 꾸민 뒤 반려견과 상담사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는 추억놀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장치는 상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의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타액 내 옥시토신 호르몬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반려견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감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친해지기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사회적 기술 척도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옥시토신 변화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지,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과 친해지는 친해지기 단계(S10); 반려견과 사회적기술을 익히는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S20); 및 상기 사회적기술을 일반화하는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친해지기 단계(S10)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동(이하 ‘대상아동’이라 한다)과 반려견의 교감을 형성하기 위한 첫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친해지기 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과 인사를 나누는 안녕단계(S11); 자신의 이름표를 목에 걸고, 반려견의 이름표를 반려견에게 걸어주는 이름단계(S12); 및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반려견을 쓰다듬는 쓰담단계(S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녕단계(S11)는 대상아동이 반려견과 인사를 나누는 단계로서, 상담사가 대상아동과 반려견을 대면하도록 한 다음, 대상아동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다. 상담사는 대상아동에게 반려견과 함께 할 시 지켜야할 규칙들을 알려주고, 반려견이 좋아하는 인사법을 알려준 뒤 인사하도록 한다. 안녕단계(S11)는 대상아동이 규칙이나 지시를 따름에 따라 협동능력을 증진시킨다.
이름단계(S12)는 대상아동이 자신의 이름표를 만든 뒤 자신의 목에 걸도록 하고, 대상아동들의 팀을 구성한 다음 팀별로 반려견의 이름표를 만들도록 한 뒤 이를 반려견에게 걸어주도록 한다. 이때 변려견의 이름을 부르면서 간식을 준 뒤에 이를 실시할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름단계(S12)는 대상아동이 자신의 이름을 소개함으로써 자기주장능력을 증진시킨다.
쓰담단계(S13)는 대상아동들의 순서를 정한 뒤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반려견을 쓰다듬도록 한다. 처음에는 머리, 등, 발과 같이 반려견의 신체 부위별로 부드럽게 만져보도록 하고, 반려견을 쓰다듬는 법을 알려준 뒤 쓰다듬도록 한다. 쓰담단계(S13)는 대상아동이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면서 자아통제능력을 증진시킨다.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S20)는 반려견과 함께 사회적기술을 익히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S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의 신체 부위별 사진을 본 다음 해당 부위를 만져보고, 팀원과 함께 반려견의 부위별 사진으로 퍼즐 맞추는 스킨십단계(S21); 반려견에게 간식을 준 다음, 간식을 종이컵에 숨기고 간식을 찾도록 하는 보물찾기단계(S22); 상담사와 함께 리드 줄을 잡고 반려견과 함께 걸은 뒤 다음 순서의 팀원에게 바톤터치하는 터치단계(S23); 동물 인형을 만져보고 이름을 말한 다음, 이와 함께 미로를 통과하여 집 찾아주는 미로단계(S24); 미션이 기재된 주사위를 던지고, 해당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단계(S25); 및 반려견과 눈을 맞추며 교감하는 교감단계(S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킨십단계(S21)는 반려견의 신체 부위별 사진을 보고, 해당 부위를 부드럽게 만져보고, 반려견의 부위별 사진으로 퍼즐을 맞춘다. 이때 퍼즐을 맞추는 것은 팀별로 나누어서 진행하여 친구와 협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자아통제능력을 증진시킨다.
보물찾기단계(S22)는 반려견을 쓰다듬으면서 반려견에게 간식을 준 다음, 간식을 종이컵에 숨기고 간식을 찾도록 한다. 간식을 숨긴 뒤 찾도록 하는 것은 순서를 정한 뒤 차례대로 진행하여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도록 함으로써 자아통제능력을 증진시킨다.
터치단계(S23)는 상담사와 함께 반려견에게 묶여있는 리드 줄을 잡은 다음, 반려견과 함께 걸은 뒤 손을 이용하여 다음 순서의 대상아동에게 바톤터치를 한다. 터치단계(S23)를 통해서 대상아동이 규칙과 상담사의 지시 등을 잘 따르도록 하여 협동능력을 증진시킨다.
미로단계(S24)는 대상아동이 부드러운 동물 인형을 만져보고 동물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 다음, 동물인형과 함께 미로를 통과한 다음 동물의 집을 찾아준다. 미로단계(S24)에 앞서 미로를 먼저 간단하게 설계하고 집을 준비해둔다. 미로단계(S24)를 통해서 대상아동이 상담사의 지시를 잘 따르도록 하여 협동능력을 증진시킨다.
미션단계(S25)는 대상아동이 차례대로 주사위 던지기 놀이를 하는 단계로서, 주사위에는 반려견과 함께하는 여러가지 미션이 기재된다. 가령, 미션은 반려견 쓰다듬기, 반려견과 악수하기, 반려견에게 간식주기, 반려견 안아주기, 반려견과 눈맞추기 등과 같이 대상아동이 반려견과 이미 수행했던 행동을 중심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션단계(S25)를 진행하면서 대상아동은 자기의 차례를 기다림으로써 자아통제능력을 증진시킨다.
교감단계(S26)는 반려견과 눈을 맞추며 교감하는 단계이다. 대상아동이 상담사와 함께 반려견과의 교감을 하는 중간에 ‘앉아’,‘손’,‘기다려’와 같이 반려견에게 명령을 할 수 있는 것들을 시도해본다. 교감단계(S26)를 진행하면서 대상아동은 반려견과 호흡을 맞추면서 협동능력을 증진시킨다.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S30)는,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S20)에서 습득한 반려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응용하여 수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S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과 산책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반려견과 산책하는 소풍단계(S31); 공의 촉감을 느껴보고, 반려견에게 공을 던진 뒤 반려견이 공을 물어오면 이를 받고 반려견을 쓰다듬으면서 간식을 주는 공놀이단계(S32); 및 활동 동영상을 보고 반려견과 함께 찍은 사진으로 액자를 꾸민 뒤 반려견과 상담사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는 추억놀이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풍단계(S31)는 반려견과 함께 산책하는 단계로서, 대상아동은 산책 전에 상담사로부터 주의사항을 전달받고, 산책하는 방법을 알아본 다음 산책을 진행한다. 소풍단계(S31)는 대상아동이 규칙과 상담사의 지시 등을 잘 따르도록 하여 협동능력을 증진시킨다.
공놀이단계(S32)는 공의 촉감을 느껴보고, 반려견에게 공을 던진 뒤 반려견이 공을 물어오면 이를 받고 반려견을 쓰다듬으면서 간식을 주는 단계이다. 공놀이단계(S32)는 대상아동이 활동에 스스로 참여함으로써 자기주장능력을 증진시킨다.
추억놀이단계(S33)는 친해지기 단계(S10),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S20) 및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S30)를 진행하면서 기록된 영상을 시청하고, 반려견과 함께 찍은 사진으로 액자를 꾸민 다음, 반려견과 상담사에게 감사의 인사를 한다. 추억놀이단계(S33)를 통해 고마운 마음을 표현함으로써 자기주장능력을 증진시킨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장치는 교육을 가이드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고, 이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의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이외에 스피커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의 각 단계가 안내될 수도 있다.
물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장치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에 출력을 위한 인풋 장치, 메모리 장치, 연산처리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담사가 교육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에 따라 대상아동의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교육 실시
이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교육방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 실험집단(n=6) 대상자 통제집단(n=6)
학년 성별 장애명 학년 성별 장애명
A 2 자폐성장애 2급 1 자폐성장애 2급
B 2 자폐성장애 2급 1 자폐성장애 2급
C 3 자폐성장애 1급 2 자폐성장애 2급
D 4 자폐성장애 2급 4 자폐성장애 2급
E 6 자폐성장애 1급 6 자폐성장애 1급
F 6 자폐성장애 2급 6 자폐성장애 2급
실험예 1. 사회적 기술 척도 평가
사회적 기술 척도 평가는 실험·통제, 사전·사후 검사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설계 모형은 다음과 같다.
대상 사전 실험처지 사후
실험집단 O1 X O2
통제집단 O3 O4
X :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 실시
O1: 실험집단 사전검사 O2: 실험집단 사후검사
O3: 통제집단 사전검사 O4: 통제집단 사후검사
실험 참여자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한 후, 두 집단에서 동일하게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집단에는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해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프로그램도 제공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적용 후 두 집단에서 동일하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두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결과에 대해 비교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실험집단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척도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표 3 및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전 평균 12.33에서 사후 평균 19.17로 사전보다 사후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z=-2.00, p<.05).
반면 통제집단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척도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사전 평균 11.67에서 사후 평균 12.83으로 사전보다 사후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z=-.81, n.s.). 이를 통해 동물매개교육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예 2. 호르몬 검사
참여 아동의 침(타액, saliva) 수집을 실험집단(experiment group)과 통제집단(control group) 두 집단에 동일한 시간대에 실시하였다. 참여 아동들은 침 채취 30분 전에 음료수와 음식의 섭취를 금지시켰다. 침의 채취는 미리 준비한 무균 5 ml falcon tube를 이용하여 참여 아동들이 tube 안에 침을 뱉게 하여 수집한 후 측정시간은 반드시 기록하고, 수집된 침을 담은 tube는 분석 시 까지 -80℃ 이하 냉동보관 하였다. 침의 호르몬 농도 키트는 상용화된 ELISA kit를 구입하여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Oxytocin 검사는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타액을 얻어 EnZo Life Sciences Inc. Oxytocin ELISA kit (Catalog #: ADI-900-153A, USA, NY)를 사용하여 ELISA reader(Spectra max 190, Moleular devices, Sunnyvale, CA) 를 이용하여 405 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참여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타액을 이용한 호르몬 검사 사전 ·사후 변화사전과 사후차이는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Group Control Experiment N p
pre post pre post
B 17.36±0.89 17.24±0.63 13.05±0.18 18.76±0.17* 6 0.05
B군 Control group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B군의 사전검사 점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7.36±0.89에서 15.63±0.34으로 상승되었고, Experiment Group 사전·사후 검사 결과 13.05±0.18에서 18.76±0.17로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Experiment Group의 사전검사결과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P<0.05).
애정의 Biomarker로 알려진 oxytocin을 참여한 특수아동의 사전 및 사후 검사 시기에 채취한 침에서 호르몬 검사를 수행한 결과 반려견 교감교육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에서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oxytocin 증가가 확인되어 반려견과 함께하는 동물교감치유가 참여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옥시토신 호르몬 분비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물교감치유가 정서적으로 안정을 준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는 있으나, 개별사례 중심이 많고 과학적인 효과 검증과 임상학적 접근이 미흡한 상황인데 본 발명에서 개발한 동물교감치유 모델을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 적용한 결과, 사회성 향상 효과를 증명하였다.
또한 침 타액을 이용한 타액 안의 옥시토신 호르몬 분석으로 본 발명에서 개발한 동물교감치유 모델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옥시토신 호르몬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개발한 동물교감치유 모델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옥시토신 호르몬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옥시토신 호르몬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Claims (6)

  1. 반려견과 친해지는 친해지기 단계;
    반려견과 사회적기술을 익히는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 및
    상기 사회적기술을 일반화하는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해지기 단계는,
    반려견과 인사를 나누는 안녕단계;
    자신의 이름표를 목에 걸고, 반려견의 이름표를 반려견에게 걸어주는 이름단계; 및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반려견을 쓰다듬는 쓰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회적기술 익히기 단계는,
    반려견의 신체 부위별 사진을 본 다음 해당 부위를 만져보고, 팀원과 함께 반려견의 부위별 사진으로 퍼즐 맞추는 스킨십단계;
    반려견에게 간식을 준 다음, 간식을 종이컵에 숨기고 간식을 찾도록 하는 보물찾기단계;
    상담사와 함께 리드 줄을 잡고 반려견과 함께 걸은 뒤 다음 순서의 팀원에게 바톤터치하는 터치단계;
    동물 인형을 만져보고 이름을 말한 다음, 이와 함께 미로를 통과하여 집 찾아주는 미로단계;
    미션이 기재된 주사위를 던지고, 해당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단계; 및
    반려견과 눈을 맞추며 교감하는 교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션은 반려견 쓰다듬기, 반려견과 악수하기, 반려견에게 간식주기, 반려견 안아주기, 반려견과 눈맞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회적기술 일반화 단계는,
    반려견과 산책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반려견과 산책하는 소풍단계;
    공의 촉감을 느껴보고, 반려견에게 공을 던진 뒤 반려견이 공을 물어오면 이를 받고 반려견을 쓰다듬으면서 간식을 주는 공놀이단계; 및
    활동 동영상을 보고 반려견과 함께 찍은 사진으로 액자를 꾸민 뒤 반려견과 상담사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는 추억놀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방법의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장치.

KR1020200101624A 2020-08-13 2020-08-13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KR20220021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24A KR20220021157A (ko) 2020-08-13 2020-08-13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24A KR20220021157A (ko) 2020-08-13 2020-08-13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57A true KR20220021157A (ko) 2022-02-22

Family

ID=8049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624A KR20220021157A (ko) 2020-08-13 2020-08-13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11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886A (ko) 2013-12-13 2016-07-26 피에르 파브르 메디카먼트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도파민 d3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크로모네 유도체
KR20180128733A (ko) 2017-05-24 2018-12-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를 위한 게임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886A (ko) 2013-12-13 2016-07-26 피에르 파브르 메디카먼트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도파민 d3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크로모네 유도체
KR20180128733A (ko) 2017-05-24 2018-12-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를 위한 게임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68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2nd edition (DSM-II). Washington DC: APA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ition (DSM-III). Washington DC: APA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text revision(DSM-IV-TR). Washington DC: APA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년).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Washington DC: APA press.
Martin, A., & Volkmar, F.R. (2007년). Lewis’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 comprehensive textbook, 4th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년).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이부영, 우종인, 이철 옮김 (1994년). ICD-10 정신 및 행태장애 임상기술과 진단 지침. 서울: 일조각].
보건복지부 (2013년).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3-56호. 장애등급판정기준.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rkin Videogames and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Waters et al. Threat-based cognitive biases in anxious children: comparison with non-anxious children before and after cognitive behavioural treatment
Carr et al.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Sigafoos et al. Addressing sequelae of developmental regression associat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of behavioral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studies
Pekarsky Effect of the child directed interaction phase of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on behavioral impulsivity in young children
Beattie The effect of yoga lessons on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Little et al. Multimodal mind/body group therapy for chronic depression: a pilot study
KR20220021157A (ko) 옥시토신 호르몬 증가효과를 갖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선용 교육시스템
Rice Engagement during animal-assisted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wanepoel Primary Caregivers'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with Autis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Kjose Post-assault recovery in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The role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Aboulafia Social stories: Efficacy and generaliz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gbenkemdi et al.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depression among parents living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tellectual disability)
Wills-Jackson Implementing gameplay skills to increase eye contact and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and comorbid disabilities
Demark Awareness of auditory-visual temporal synchrony by young children with autism or language delays.
Morrison Children with autism in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parental stress,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he reliability of a child development inventory
Schmidt The Impa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elf-validation, and suicidality among earthquake-Affected Adolescents in Nepal
Calki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Ethnically Diverse Populations
Van Zyl A dance programme to enhance gross motor skills and body awareness of selected children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odriguez Operant and respondent procedures to establish social stimuli as reinforcers in children with autism
Akhavan The Efficacy of Neur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Autism
Posthumus Preventive effects and cost-effectiveness of the Incredible Years program for parents of preschoolers with aggressive behavior
Waters et al. Take action practitioner guidebook
Oakley The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Jamaican Mothers on Autism Spectrum Disorders
Goldstein et al. Autism spectrum disorder enters the age of multidisciplinary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