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837A - 배터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터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837A
KR20220020837A KR1020217042998A KR20217042998A KR20220020837A KR 20220020837 A KR20220020837 A KR 20220020837A KR 1020217042998 A KR1020217042998 A KR 1020217042998A KR 20217042998 A KR20217042998 A KR 20217042998A KR 20220020837 A KR20220020837 A KR 2022002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urrent collector
battery pack
assembl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닉 스푸너
Original Assignee
배터리 그래핀 코포레이션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9902102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9902102A0/en
Application filed by 배터리 그래핀 코포레이션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배터리 그래핀 코포레이션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1 집전체가 제공된다. 배터리 팩은 배터리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2 집전체를 더 포함한다. 집전체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배터리 팩은 나사 또는 다른 나사식 체결구에 대한 필요 없이 집전체를 함께 끼워맞춤으로써 조립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조립체
본 발명은 배터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선행 기술에 대한 언급은 선행 기술이 통상적인 일반 상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승인 또는 어떠한 형태의 제안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간주되어서도 안 된다.
배터리 클램셸(battery clamshell)은 전기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조립체의 유형이다. 클램셸은 상단과 하단에 용접 탭이 있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를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층이 제공되며, 사행 냉각 시스템(serpentine cooling system)이 클램셸을 통해 이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생산 비용이 효율적이며 더 간단한 도구, 더 적은 조립 작업 및 더 적은 부품을 필요로 하는 덜 복잡한 배터리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팩이 제공되는데, 배터리 팩은,
배터리;
배터리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1 집전체;
배터리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2 집전체; 및
집전체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배터리 팩은 나사 또는 다른 나사식 체결구(threaded fastener)에 대한 필요 없이 집전체들을 함께 스냅 끼워맞춤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집전체들은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와 전기 접속된 상태로 함께 스냅 체결된다.
체결 수단은 임의 선택적으로(optionally) 스냅 체결 수단(snap fastening means)일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슬라이드, 래치(latch), 또는 서멀플래스트(thermalplast)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냅 체결 수단은 집전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post)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포스트는 인접한 배터리들에 의해 형성된 간극 사이로 연장될 수도 있다. 각 포스트는 압착 가능하게(squeezably) 집전체를 관통하여 삽입하기 위한 탄성 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정점(tapered apex)을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는 분할될 수도 있다. 각각의 포스트는 다른 집전체로부터 고정적으로(fixedly)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른 집전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스냅 체결 수단은 해제 가능할 수도 있다. 스냅 체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수형 및 암형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집전체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집전체는 내층; 및 내층에 인접한 외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집전체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 대 금속 용접 작업을 피할 수 있으므로, 조립 동안 큰 비용 절감을 나타내고 보다 용이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허용한다.
내층은 전기 전도성일 수 있으며 전극과 맞물릴 수도 있다. 내층은 열전도성일 수도 있다. 내층은 폴리머 재료, 그래핀, 금속 분말, 니켈 및/또는 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외층은 비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팩 하우징이 제공되는데, 배터리 팩 하우징은,
배터리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1 집전체;
배터리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2 집전체; 및
집전체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팩 하우징용 집전체가 제공되는데, 집전체는 그래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배터리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1 집전체를 배터리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2 집전체에 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각각의 집전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형성하는 것의 단계는 내층과 외층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최초에 고체 패널을 형성하는 것, 및 그 후에 유리하게는 전기 전도율을 증가시키는 액체를 고체 패널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배터리 조립체는,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의 제 2 전극에 그리고 히트싱크(heatsink) 또는 열 블록(thermal block)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으로 및 열적으로 전도성인 집전체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립체는 클램쉘보다 덜 복잡하여 더 적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사행 냉각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집전체는 그래핀을 포함한다. 집전체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집전체는 3000W/mK 초과의 열전도율을 가질 수도 있다. 집전체의 전기 전도율은 100% 국제 연동 표준(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 IACS)을 초과할 수도 있다.
조립체는 선형 어레이(linear array)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들은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집전체는 어레이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집전체는 배터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풋(foot)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집전체는 제 2 전극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암(arm)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집전체는 접착제에 의해 제 2 전극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제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집전체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립체는 지지체에 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쿨러(cool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냉각 조립체는 액체 또는 열전 냉각을 통합하는 블록 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케이스는 전기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인접한 케이스와 맞물리거나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 1 전극은 음극일 수 있는 반면에, 제 2 전극은 양극일 수도 있다. 각 배터리는 건전지 배터리(dry cell battery)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립체는 전기 자동차에 사용될 수도 있다. 조립체는 고정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조립체는 유인 또는 무인 항공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조립체는 집전체에 대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 탭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연결된 배터리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블록이 제공된다. 배터리 조립체들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배터리 조립체들은 접착제로 함께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제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은 배터리의 열(row)을 구획하는 집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이 배터리 조립체는,
제 1 전극을 포함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의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전기적으로 및 열적으로 전도성인 집전체를 포함한다.
임의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가 전기 절연성 열 인터페이스 재료(electrically insulating thermal interface material)의 층을 통해 집전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배터리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
배터리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한다.
히트싱크는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관은 각각의 배터리와 정렬될 수도 있다. 히트싱크는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관과 리셉터클은 일체로 형성될(예컨대, 몰딩될) 수도 있다. 리셉터클은 열전도성이지만 전기 절연체일 수도 있다. 히트싱크는 배터리의 각자의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자는 리셉터클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히트싱크는 클램프(clamp)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 실시예 및 변형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히 이해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은 앞선 발명의 요약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은 다수의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전기 자동차 배터리 조립체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블록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체결 수단을 보여주는 도 3의 배터리 팩의 하우징 부분의 상단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팩의 체결된 부분을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자동차 배터리 조립체(100)가 제공된다. 조립체(100)는 음의 (제1) 전극을 형성하는 외부 원통형 케이스(104)를 갖는 리튬 이온 원통형 전지(102)를 포함한다. 각각의 케이스(104)는 전기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집전체(106)와 맞물리거나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조립체(100)는 배터리(102)의 중심을 따라 이어지는 양의 (제2) 전극들을 상호 연결하는 전기적으로 및 열적으로 전도성인 집전체(106)를 더 포함한다. 히트싱크(106)는 구리 또는 등가 재료의 성능을 충족시키거나 능가하도록 설계된 그래핀 및 폴리머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조립체(100)는 클램쉘보다 덜 복잡하여 더 적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집전체(106)의 우수한 열전도율로 인해 사행 냉각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조립체(100)는 전기적으로 병렬인 배터리들(102)의 선형 어레이를 포함하고, 양의 히트싱크(106)는 음의 케이스(104)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집전체(106)는 음의 케이스를 집전체(106)로부터 절연하기 위해, 배터리(102) 어레이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전기 절연성 백킹 시트(backing sheet)(108)로 라이닝되어 있다.
일체로 형성된 히트싱크(106)는 또한 냉각 플레이트 또는 2차 히트싱크(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할 목적으로 주 연결 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풋을 포함할 수도 있다. 풋은 수동적으로 냉각되는 모듈(100)과 일반적으로 외부 블록의 형태를 취하는 능동적으로 냉각되는 2차 히트싱크 사이의 열교(thermal bridge)의 역할을 한다. 능동적으로 냉각되는 블록은 풋에 통합될 수 있다. 히트싱크(106)의 상단부는 배터리(102)의 각자의 양극에 결합하기 위한 단자를 갖는 암(112)을 포함한다. 암(112)은 그래핀을 포함한 접착제에 의해 양극에 전기 전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조립체(100)는 또한 풋 지지부(110)에 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쿨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쿨러는 액체 또는 열전 냉각 시스템을 통합한 블록 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배터리 조립체들(1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블록(200)을 도시한다. 배터리 조립체들(100)은 그래핀을 포함한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기적 직렬로 함께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조립체(100)의 히트싱크(106)는 다음 조립체(100)의 케이스(104)에 부착된다. 히트싱크(106)는 교호로 배치되어 배터리(102) 열들을 구획한다.
블록(200) 내의 전방 및 후방 조립체(100)는 집전체에 대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 탭(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블록(200)은 일반적으로 절연체(202)로 오버몰딩되어 연결 탭을 노출된 상태로 남긴다.
모듈형 블록(200) 및 모듈 조립체(100)는 공지된 배터리에 비해 대략 15%의 에너지/단위 질량 개선(160Wh/kg에서 > 220Wh/kg으로) 및 대략 25%의 체적 에너지 밀도 이득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200) 및 조립체(100)는 공지된 각형 모듈과 비교할 때 최대 20%의 상당한 비용 절감을 제공한다.
도 3은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300)을 도시한다. 배터리 팩(300)은 배터리(302)의 2차원 어레이를 포함한다. 배터리(302)의 음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해 하부 집전체(304a)가 제공된다. 배터리 팩(300)은 또한 배터리(302)의 양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상부 집전체(304b)를 포함한다.
도 4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전체(304a, 304b)를 중간의 배터리(302)와 전기 접속한 상태로 함께 스냅 체결하기 위해 스냅 체결 수단(400)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배터리 팩(300)은 나사 또는 다른 나사식 체결구에 대한 필요 없이 집전체(304)를 함께 스냅 끼워맞춤함으로써 조립된다.
도 3으로 돌아가서, 각각의 집전체(304)는 내층(306), 및 내층(306)에 인접한 외층(308)을 포함한다.
내층(306)은 전기 전도성이고 배터리 전극과 맞물린다. 내층(306)은 또한 열전도성이다. 특히, 내층(306)은 그래핀과 니켈 및/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분말이 첨가된 폴리머 베이스 재료를 포함한다.
외층(308)은 비 전기 전도성 재료(즉, 절연체)로 형성된다. 외층(308)은 폴리머에 그래핀을 포함한 첨가제를 사용하여 크기나 무게를 더하지 않고 케이싱 부품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외층(308)은 집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배터리 전지 단자로부터의 열 방출을 개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냅 체결 수단(400)은 집전체(304) 사이에서 연장되는 포스트(402)를 포함한다. 포스트(402)는 어레이 내의 인접한 배터리들(302)에 의해 형성된 간극 사이로 연장된다. 각각의 포스트(402)는 압착 가능하게 상부 집전체(304b)의 구멍(406)을 관통하여 삽입하기 위한 탄성 헤드(404)를 포함한다. 헤드(404)는 구멍(406)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정점을 포함하고, 두 개의 헤드 절반부가 반대쪽에서 다시 분리되기 전에 구멍(406)을 통과할 때 합치도록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포스트(402)는 하부 집전체(304a)로부터 고정적으로 연장되고, 하부 집전체(304a)와 일체로 형성(즉, 몰딩)된다. 따라서, 배터리 팩 하우징은 두 부분만을 포함한다. 헤드(404)의 밑면은 집전체(304)의 부주의한 분리를 막는다. 그러나, 스냅 체결 수단(400)은 해제 가능하며, 그로 인해 헤드(404)를 압축하여 구멍(406)으로부터 의도적으로 헤드(404)를 빼내기 위해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04b)는, 상부 플레이트(304a)에 조립되었을 때 "수형" 부분(404)의 상단을 압착하여 상부 플레이트(304b)가 제거되게 하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여, 상부 플레이트(304b) 또는 하부 플레이트(304a)의 구조적 완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거될 수 있다.
배터리 팩(300)은 기존의 여러 배터리 케이스 부품의 기능을 하나로 결합하고,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고,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고,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에서 용접 가능한 탭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여러 조립 프로세스를 없앤다.
배터리 팩(300) 디자인은 각각의 배터리 전지 주위에 최대 5개의 고정 지점을 제공하고, 외부 체결구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고, 배터리 전지의 수명의 종료시에 부품들의 재사용을 허용하고, 케이스 부품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배터리 팩을 수리할 수 있고, 여러 조립 프로세스를 없애고, 조립 중 조립 직원에 대한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배터리 모듈(300)의 전체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배터리 팩(300)의 조립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방법은 내층(306)과 외층(308)을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동등한 집전체(304)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내층(306)은 최초에 고체 패널을 형성하고 그 후에 유리하게는 전기 전도율을 증가시키는 액체를 고체 패널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다음에 본 방법은 배터리(302)의 음극과 맞물리는 하부 집전체(304a)를, 체결 수단(400)을 사용하여, 배터리(302)의 양극과 맞물리는 상부 집전체(304b)에 스냅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는 조립된 배터리 팩(300)을 도시하는데, 회색 박스(500)는 배터리 팩(300)의 전체 크기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조립체(100)와 유사한 다른 배터리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조립체(100')는 외부 원통형 케이스(104)를 갖는 배터리(102)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100')는 배터리(102)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는 히트싱크(106')를 포함한다.
히트싱크(106')는 배터리(102)를 수용하기 위한 C자형 리셉터클(600)을 포함하는데, 이는 배터리 전지(102)의 중심 또는 샤프트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가장 고온인 전지 탭에 더 가까이 있다. 히트싱크(106')는 C자형 리셉터클(600)의 외면 둘레로 연장되며 냉각 유체(604)를 이송하기 위한 관형 도관(602)을 더 포함한다. 도관(602)은 각각의 배터리(102)와 정렬된다.
도관(602) 및 리셉터클(600)은 열전도성이지만 전기 절연체인 폴리머 재료로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도관(602)과 리셉터클(600)은 구조적으로 견고한 히트싱크(106')에 기여한다.
히트싱크(106')는 양 단부에서 배터리(102)의 각각의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전기 전도성 금속 단자(604a, 604b)를 더 포함한다. 단자(604)는 탄성 리셉터클(600) 내에 압입되고, 각각의 배터리 전극과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히트싱크(106')는 배터리(102)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를 형성하고, 나사 또는 다른 체결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이는 비용, 복잡성 및 부품 수를 줄인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실시예 및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배터리 블록이 임의의 폭 또는 깊이로 쉽게 제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히트싱크(106)는 사출 성형에 의해, 아크릴 플라스틱을 압연함으로써, 또는 3D 프린팅 공정을 통해 그래핀 및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냅 체결 수단은 슬라이드, 래치 또는 서멀플래스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체결 수단은 슬라이딩식, 압축식, 팽창식, 금속성, 접착식, 또는 변형식 체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전체(304)는 휘어서, 분할되지 않은 포스트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법령에 따라, 본 발명은 구조적 또는 방법론적 특징에 다소 특유한 언어로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수단은 본 발명을 시행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도시되거나 기술된 특정한 특징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곳에서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특정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Claims (29)

  1. 배터리 팩(battery pack)에 있어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1 집전체;
    상기 배터리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2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들은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와 전기 접속된 상태로 함께 체결되는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접전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인접한 배터리들에 의해 형성된 간극 사이로 연장되는
    배터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포스트는 압착 가능하게(squeezably) 집전체를 관통하여 삽입하기 위한 탄성 헤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정점(tapered apex)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분할되거나, 또는 상기 집전체는 휘어서, 분할되지 않은 포스트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팩.
  8.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포스트는 동일한 집전체로부터 고정적으로(fixedly) 연장되는
    배터리 팩.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포스트는 동일한 집전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해제 가능한
    배터리 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수형 및 암형 부분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집전체는 그래핀 및/또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집전체는 내층, 및 상기 내층에 인접한 외층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전기적으로 및/또는 열적으로 전도성이며, 상기 전극과 맞물리는
    배터리 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폴리머 재료, 그래핀, 금속 분말, 니켈 및/또는 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비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17. 배터리 팩 하우징에 있어서,
    배터리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1 집전체;
    상기 배터리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2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하우징.
  18. 배터리 팩 하우징용 집전체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집전체.
  19.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제 1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1 집전체를 상기 배터리의 제 2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제 2 집전체에 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내층과 외층을 결합합으로써 각각의 집전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바람직하게는 최초에 고체 패널을 형성하고 그 후에 유리하게는 전기 전도율을 증가시키는 액체를 상기 고체 패널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방법.
  21. 배터리 조립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을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각각의 배터리와 정렬되는
    배터리 조립체.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열전도성이지만 전기 절연체인
    배터리 조립체.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일체로 형성된 도관 및 배터리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체.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배터리의 각각의 전극과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조립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리셉터클 내에 매립되어 있는
    배터리 조립체.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배터리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clamp)인
    배터리 조립체.
KR1020217042998A 2019-06-17 2020-06-16 배터리 조립체 KR20220020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9902102 2019-06-17
AU2019902102A AU2019902102A0 (en) 2019-06-17 A battery assembly
AU2019904000A AU2019904000A0 (en) 2019-10-24 A battery assembly
AU2019904000 2019-10-24
PCT/AU2020/050604 WO2020252520A1 (en) 2019-06-17 2020-06-16 A battery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37A true KR20220020837A (ko) 2022-02-21

Family

ID=7403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998A KR20220020837A (ko) 2019-06-17 2020-06-16 배터리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38966A1 (ko)
EP (1) EP3984079A4 (ko)
KR (1) KR20220020837A (ko)
CN (1) CN114041235A (ko)
AU (1) AU2020297180A1 (ko)
CA (1) CA3142053A1 (ko)
WO (1) WO2020252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338A1 (de) * 2021-02-02 2022-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EP4305700A1 (en) * 2021-03-10 2024-01-17 Battery Graphene Corp Pty Ltd Battery assembly
AU2021101290A4 (en) * 2021-03-12 2021-05-06 Battery Graphene Corp Pty Ltd A Batter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6440A (en) * 1987-02-05 1989-02-21 Cni Lantern battery substitute
US8951675B2 (en) * 2011-10-13 2015-02-10 Apple Inc. Graphene current collectors in batter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E102012110644A1 (de) * 2012-11-07 2014-05-08 Bmz Batterien-Montage-Zentrum Gmbh Elektrisches Energiespeichermodul
JP6258082B2 (ja) * 2014-03-10 2018-01-10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CN206639851U (zh) * 2017-03-15 2017-11-14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KR102043969B1 (ko) * 2017-04-18 2019-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2520A1 (en) 2020-12-24
EP3984079A4 (en) 2023-07-12
CA3142053A1 (en) 2020-12-24
CN114041235A (zh) 2022-02-11
AU2020297180A1 (en) 2021-12-23
EP3984079A1 (en) 2022-04-20
US20220238966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9314B2 (ja) バスバーアセンブリ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20020837A (ko) 배터리 조립체
CN107369863B (zh) 子组件和具有该子组件的电池组件
US11398663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nd battery pack
KR101326196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CN101997099B (zh) 具有提高的散热效率的电池组
EP3989342A1 (en) Battery module having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automobile
CN110100351A (zh) 包括具有百叶窗翼片形状的导热媒介的电池组
EP2763214A1 (en) Battery module having novel structure
KR20190122407A (ko)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2059077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KR102317639B1 (ko) 인서트 사출된 버스바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EP2500958A1 (en) Secondary battery
KR102116187B1 (ko) 개선된 셀홀더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용 배터리팩
CN209747613U (zh) 电池模组
CN111418090A (zh) 包括模块汇流条的电池模块
CN105390650B (zh) 单池连接器以及电池模块、电池、电池系统、运输工具和用于制造电池模块的方法
KR101699865B1 (ko) 직접 연결 방식의 전압 센싱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0164235B2 (en) Battery assembly including multi-row battery interconnection member
KR102108648B1 (ko) 터미날리테이너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용 배터리팩
AU2021101028A4 (en) A battery assembly
US20230344060A1 (en) A battery block
EP3540820B1 (en) Battery pack
EP3792992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module housing
KR101859684B1 (ko)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