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657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657A
KR20220020657A KR1020200101246A KR20200101246A KR20220020657A KR 20220020657 A KR20220020657 A KR 20220020657A KR 1020200101246 A KR1020200101246 A KR 1020200101246A KR 20200101246 A KR20200101246 A KR 20200101246A KR 20220020657 A KR20220020657 A KR 2022002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oud
air
outdoor unit
guide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정호종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0657A/ko
Publication of KR2022002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써.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의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팬; 및 상기 복수의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면패널; 상기 상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송풍팬 각각을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및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사이에서 상기 상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의 외주면을 타고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사이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유동의 교란을 방지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의 형성위치는 실외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의 면적 또는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흡입구가 커지면 전열면적이 증가하여 좋은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구에는 흡입그릴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 10-0593079 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기술은 실외열교환기(11), 흡입그릴(12), 그리고 하우징을 구성하는 측면프레임(13), 전면상부패널(14a), 전면하부패널(14b) 및 상부패널(15)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상면패널(15)의 상측에 쉬라우드(16)와 토출그릴(17)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 쉬라우드(16)가 하우징 및 열교환기(1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실외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정한 공간에 실외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쉬라우드(16)가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설치공간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열교환기(11)의 면적과 크기가 작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쉬라우드(16')와 상면패널(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쉬라우드(16')를 상기 상면패널(15')에 형성된 토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š, 송풍팬(18')은 상기 쉬라우드(16')의 내측에 배치되고, 쉬라우드(16')의 상단의 높이가 열교환기(11)의 상단의 높이와 같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와 관련하여 공기 유동 해석의 결과를 타나낸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쉬라우드(16')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16')의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도 3의 X)과, 상기 제1 공간(X)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복수의 쉬라우드(16') 각각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도 3의 Y)에서 공기 유동의 교란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공간(X)과 제2 공간(Y)에서는, 복수의 송풍팬(18')으로 인해 유동하는 공기가 서로 충돌함으로 인하여 공기 유동의 정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결국, 공기의 유동량 감소와 열교환 에너지 손실로 이어지게 될 뿐 아니라, 진동으로 인한 소음도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93079 호 (등록일자 2006년 06월 16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쉬라우드 부근에서 공기 유동간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동 손실과 열교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쉬라우드를 제공하여 실외기 설치에 관련된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열교환기의 열교환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쉬라우드와,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의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팬과, 상기 복수의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면패널과, 상기 상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송풍팬 각각을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쉬라우드바디와,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사이에서 상기 상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의 외주면을 타고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사이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은, 상기 쉬라우드바디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은,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으로 이격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양측으로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외주면을 타고 상기 제1 가이드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외주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평탄부와, 상기 복수의 평탄부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복수의 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연장되되,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에 연결되어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내부로 안내하는 디바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연장되고,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내부로 안내하는 디바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에는, 상기 상면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토출구 사이에 인접한 위치 및/또는 상기 상면패널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스엔진 히트펌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쉬라우드 부근에서 공기 유동간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동 손실과 열교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쉬라우드를 제공하여 실외기 설치에 관련된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열교환기의 열교환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공기유동으로 인하여 쉬라우드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과제의 해결 수단이나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또 다른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상면패널과 쉬라우드의 분리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쉬라우드에 대하여 공기 유동 해석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가 포함하는 쉬라우드와 열교환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측면에서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라우드와 송풍팬이 설치되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라우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쉬라우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쉬라우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쉬라우드의 제1 가이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쉬라우드의 제2 가이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의 쉬라우드의 함몰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측면에 흡입구(22)가 형성되는 하우징(H)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H)은 실외기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은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H)은 측면패널(24)과 측면프레임(24a) 및 상부프레임(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24)은 측면프레임(24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측면패널(24) 및 상기 측면프레임(24a)의 상측에 상부프레임(25)이 결합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는 측면프레임(24a)과 상부프레임(2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는 하우징(H)의 적어도 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프레임(24a)의 사이에 상기 흡입구(22)를 형성하는 흡입그릴(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22)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21)가 배치된다. 흡입구(22)가 하우징(H)의 복수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21)는 "ㄱ" 또는 "ㄷ" 또는 "ㅁ"자 등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져, 상기 흡입구(22)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22)는 열교환기(21)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1)는 상기 흡입그릴(2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1)에는 냉매가 유동하여 실외열교환기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H)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이 수행되어 냉동사이클이 구동되도록 압축기(미도시)와 팽창장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실내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쉬라우드(30)는, 하우징(H)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토출구(30h, 도 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0)는 상기 상부프레임(2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0)는 하우징(H)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면패널(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31)은 하우징(H)의 상면을 구성하며, 상기 복수의 토출구(30h)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0h)에는 토출그릴(35)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복수의 토출구(30h)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흡입구(22)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30h)의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팬(4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는 상기 복수의 송풍팬(45)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구(30h), 송풍팬(45) 및 모터(41)는 각각 두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출구(30h), 송풍팬(45) 및 모터(41) 등이 두 개씩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기 구성들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터(41)는 모터마운트(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마운트(42)는 마운트브라켓(43)과 결합되어, 상기 모터(41)를 상기 상부프레임(25)에 지지할 수 있다.
쉬라우드(30)는 상면패널(3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송풍팬(45)를 각각 둘러싸는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바디(32)는 하우징(H)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5)은 상기 쉬라우드(30)의 상면패널(31)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5)은 상기 상면패널(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상면패널(31)의 하측에서, 상기 상면패널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5a)가 형성되어, 상기 상면패널(3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쉬라우드(30)를 참조하면, 상기 쉬라우드(30)는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의 사이에서 상기 상면패널(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331)는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의 사이에 이격된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서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331)는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의 외주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331)는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의 외주면을 타고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의 사이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F1)를 토출구(30h)로 안내할 수 있다(도 10 참조).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331)는 서로 이격된 쉬라우드바디(32)의 사이에서 공기가 충돌하여 와류가 형성되거나, 공기 유동이 상기 공간에서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21)의 상단은, 상기 쉬라우드바디(3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21)의 상단이 쉬라우드바디(32)보다 높게 배치된다는 것은, 열교환기(21)의 상단의 높이가 쉬라우드바디(32)의 상단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열교환기(21)의 상단이 쉬라우드바디(32)보다 높게 배치된다는 것은, 열교환기(21)의 상단의 높이가 쉬라우드바디(32)의 무게중심의 높이보다 높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기(21)의 상단은, 쉬라우드바디(32)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21)는 쉬라우드바디(32) 상단부터 하단까지 마주볼 수 있다. 열교환기(21)는 쉬라우드바디(3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부프레임(25)은, 열교환기(21)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1)의 상단부로부터 쉬라우드(30)의 측면을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F1)를 쉬라우드(30)의 외주면을 따라 재1 가이드(331)로 안내되도록 하여 토출구(30h)를 향해 유동시키는 바, 유동의 적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쉬라우드(30)가 하우징(H)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열교환기(21)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은, 상기 열교환기(2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제2 가이드(3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4)는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하여 외측을 돌출되어,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양측으로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의 외주면을 타고 상기 제1 가이드(331)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도 11 참조).
상기 제1 가이드(34)는 상기 제1 가이드(331)에 대향하여 상기 열교환기(21)를 마주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331)에 대향하는 위치는, 어느 한 쉬라우드바디(32)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이드(331)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하우징(H)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S)에 인접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32)는 열교환기(21)의 상단부를 향하여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30h) 각각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평탄부(321)와, 상기 복수의 평탄부(321)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복수의 곡면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쉬라우드바디(32)는 벨마우스(bell-mout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공기(F3) 중, 상기 쉬라우드바디(32)로 유입되는 공기(F3)의 유량이 많아질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되어 쉬라우드바디(32)의 외주면에 충돌하는 공기(F1)가 평탄부(321)와 곡면부(322)를 타고 제1 가이드(331)로 안내되면서, 곡면부(322)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F3)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바, 유동 교란과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유동(F1)이 제1 가이드(331)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30)는, 상기 제1 가이드(331)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공기(F2)를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의 내부로 안내하는 디바이더(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더(332)는 상기 제1 가이드로(331)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연장되되, 상기 복수의 곡면부(322) 각각에 연결되어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34)는, 상기 제1 가이드(33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32)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곡면부(322)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34)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대한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상면패널(31)에는, 상기 상면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311, 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11, 312)는 상면패널(31)의 사출성형 시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패널(31)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11, 312)가 상면패널(31)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며 쉬라우드(30)에 충돌함에 따라 쉬라우드(30)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고,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311, 312)는, 상기 토출구(30h) 사이에 인접한 위치 및/또는 상기 상면패널(31)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H: 하우징
21: 열교환기
22: 흡입구
30: 쉬라우드
31: 상면패널
32: 쉬라우드바디
331: 제1 가이드
332: 디바이더
34: 제2 가이드
41: 모터
45: 송풍팬

Claims (11)

  1.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의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팬; 및
    상기 복수의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면패널;
    상기 상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송풍팬 각각을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및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사이에서 상기 상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의 외주면을 타고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사이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은,
    상기 쉬라우드바디보다 높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은,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으로 이격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양측으로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외주면을 타고 상기 제1 가이드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외주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평탄부와, 상기 복수의 평탄부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복수의 곡면부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연장되되,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에 연결되어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내부로 안내하는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연장되고, 공기를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의 내부로 안내하는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쉬라우드바디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곡면부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패널에는,
    상기 상면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토출구 사이에 인접한 위치 및/또는 상기 상면패널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200101246A 2020-08-12 2020-08-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20020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246A KR20220020657A (ko) 2020-08-12 2020-08-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246A KR20220020657A (ko) 2020-08-12 2020-08-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657A true KR20220020657A (ko) 2022-02-21

Family

ID=8047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246A KR20220020657A (ko) 2020-08-12 2020-08-1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06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079B1 (ko) 2004-01-15 2006-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079B1 (ko) 2004-01-15 2006-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427B1 (ko) 팬 가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외기
AU2009297727B2 (en) Indoor unit for floor mounted air conditioner
EP3070410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50133077A (ko) 송풍팬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
CN108626798B (zh) 空气调节器
KR2017002014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13905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8005159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US11085654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220020657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WO2005040689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200039355A (ko) 공기조화기
KR20190141479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1419941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06621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1012986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100789817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US7930897B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10085093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05040686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JP5558449B2 (ja)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45237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