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000A - 업무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업무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000A
KR20220020000A KR1020200100389A KR20200100389A KR20220020000A KR 20220020000 A KR20220020000 A KR 20220020000A KR 1020200100389 A KR1020200100389 A KR 1020200100389A KR 20200100389 A KR20200100389 A KR 20200100389A KR 20220020000 A KR20220020000 A KR 20220020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work
list
charge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880B1 (ko
Inventor
명완철
Original Assignee
명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완철 filed Critical 명완철
Priority to KR1020200100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8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1)에 있어서,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특정 공간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담당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의 상황을 확인,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와,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에 설치되고, 해당 업무실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해당 업무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업무 스케줄을 상황에 맞게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 및 상기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와,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 간, 실시간 업무 상황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통신되어, 정보가 교환, 동기화되도록 하는 라우터통신장치(300);로 구성되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의 최적화된 업무 환경을 도모하고,
담당자에 의해 특정 업무를 수용하는 수요자는, 자신이 담당자로부터 수용해야 할 특정 업무 목록 및 업무의 스케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담당자의 업무 관리의 용이성과, 수요자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 작성의 용이성과 더불어, 작성, 계획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이 담당자 및 수요자가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담당자의 체계적인 업무 관리의 용이성과, 수요자의 만족도에 대한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업무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see the works}
본 발명은,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 목록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을 용이하게 작성하고, 작성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실시간 현황을, 담당자, 수요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업무를 위한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도록 함은 물론, 이를 통한 업무 관리의 용이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업무의 수행을 위해 동일한 특정 공간을 동시에 사용하는 다수의 담당자 및 수요자들에게는, 자신이 담당해야 할 업무 또는, 자신이 받아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를 함께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담당자와 수요자들 간, 업무를 공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즉, 계획된 업무가 변경되거나, 담당자 및 수요자가 업무를 편집하게 되면, 이를 재차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업무의 공유 및 설정(편집)에 대한 작업은, 다수의 담당자 및 수요자들이 공유하는 업무가 다양하고 복잡할 경우에는, 그 문제점은 더 깊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업무 관리의 공유와 설정(편집), 계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업무에 해당되는 담당자 및 수요자가 업무에 대해 직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5822호의 "무선 호출 및 타이머 일체형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호출기와, 상기 다수의 호출기에 의한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여부를 알리고, 상기 호출기가 설치된 베드별로 시간을 다수 설정하여 각각 관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기를 포함하여, 다수의 장소에 설치된 호출기의 호출과 각 호출기가 설치된 장소의 시간 관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선 호출 및 타이머 일체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8029호의 "병원 운영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2'라 함.)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병실 또는 치료실의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환자의 응급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암 환자와 같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병원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특정 공간에서 진행되는 업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기술적 개념이 유사, 동일하지만, 진행되는 업무의 종류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은 상이하다.
즉, 포괄적인 기술적 개념만 유사, 동일할 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이로 인해 발휘되는 효과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와 대비할 때,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구성요소)의 기술적 특징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특정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특정 업무를 관리하는 시스템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5822호 (2003.11.0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8029호 (2013.06.14.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의 조합을 간편하게 생성, 설정하고, 생성, 설정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쉽게,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업무 및 특정 업무를 진행하거나, 진행할 담당자를 추적하여, 담당자에 의한 해당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선택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최적의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특정 공간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담당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의 상황을 확인,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에 설치되고, 해당 업무실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해당 업무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업무 스케줄을 상황에 맞게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
상기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와,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 간, 실시간 업무 상황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통신되어, 정보가 교환, 동기화되도록 하는 라우터통신장치;로 구성되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의 최적화된 업무 환경을 도모하고,
담당자에 의해 특정 업무를 수용하는 수요자는, 자신이 담당자로부터 수용해야 할 특정 업무 목록 및 업무의 스케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담당자의 업무 관리의 용이성과, 수요자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는,
담당자의 계정, 시스템의 환경 설정, 업무 목록, 시스템 정보, 기타 사항을 생성, 편집, 저장하는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특정 공간 내에 형성된 각각의 업무실의 현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각각의 업무실을 선택하여, 선택된 해당 업무실의 업무 목록, 업무 진행 상황, 업무 스케줄을 확인, 변경, 제어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로 구성되되,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는,
업무 목록이 정렬, 나열되고, 진행되어야 할 업무 목록을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
상기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되어 각각의 업무실에 배당된, 업무 목록이 입력되는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로 구성되고,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은,
업무의 특성에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가 정렬, 나열되고, 담당자가 진행할 업무아이콘객체를 선택하여, 업무 스케줄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
상기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에 정렬, 나열된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목록확인요소;
상기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로부터 한 번에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일괄선택요소;로 구성되어,
담당자가 생성시킬 업무 스케줄에 맞게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에 정렬, 나열된 업무아이콘객체를 선택하여,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로 업무 스케줄이 입력, 생성되도록 하고,
업무아이콘객체는,
업무 내용이 아이콘화되어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업무내용태그;
상기 업무내용태그의 하단부에 생성되어, 업무 내용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업무완료시간태그;
상기 업무내용태그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업무에 해당하는 담당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업무담당자태그;로 구성되어,
담당자 및 수요자가 직관적으로 업무 목록 및 업무의 진행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담당자가 각각의 태그를 터치하여, 이를 용이하게 생성, 설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의 조합을 간편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2. 또한, 특정 공간에 고정되어 설치될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담당자가 휴대용 단말 기기로, 특정 공간 내에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 관리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3. 특정 업무 및 담당자를 추적하여, 해당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선택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최적의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4. 또한, 담당자의 경우, 특정 업무의 지시를 구두 및 기타 수단을 통해 수행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생성,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5. 또한, 담당자가 편집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이 자동으로 실시간 동기화되어, 업무의 협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의 계획의 용이성 및 생성, 설정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의 관리의 용이성과, 생성, 설정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직관성을 극대화한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요소 중,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의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로부터 화면에 출력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요소 중,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의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요소 중,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의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화면에 출력되는 업무아이콘객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요소 중,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업무 모니터링 장치(1)에 있어서,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특정 공간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담당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의 상황을 확인,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에 설치되고, 해당 업무실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해당 업무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업무 스케줄을 상황에 맞게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
상기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와,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 간, 실시간 업무 상황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통신되어, 정보가 교환, 동기화되도록 하는 라우터통신장치(300);로 구성되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의 최적화된 업무 환경을 도모하고,
담당자에 의해 특정 업무를 수용하는 수요자는, 자신이 담당자로부터 수용해야 할 특정 업무 목록 및 업무의 스케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담당자의 업무 관리의 용이성과, 수요자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특정 업무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의 생성 및 특정 업무에 대한 정보(담당자 정보,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시간 정보 등)를 용이하게 설정하고,
생성, 설정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업무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생성, 설정된 특정 업무를 추적하여, 특정 업무를 추적,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조정, 설정, 제어하기 위한 업무 모니터링 장치(1)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과,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에 대한 업무 상황을 실시간 확인, 변경, 제어하는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는,
담당자의 계정, 시스템의 환경 설정, 업무 목록, 시스템 정보, 기타 사항을 생성, 편집, 저장하는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110);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특정 공간 내에 형성된 각각의 업무실의 현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각각의 업무실을 선택하여, 선택된 해당 업무실의 업무 목록, 업무 진행 상황, 업무 스케줄을 확인, 변경, 제어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로 구성되되,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110)는,
시스템의 전체 환경을 설정하는 메인시스템설정모듈(111);
특정 공간 내에 형성된 업무실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실현황확인모듈(112);
한 번의 선택으로, 상기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110) 또는,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로 변환되도록 하는 퀵모드전환실행모듈(113);로 구성되어,
담당자에 의한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110)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업무실현황확인모듈(112)은,
담당자가 특정 공간 내에 별도로 형성된 업무실의 번호(개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퀵모드전환실행모듈(113)은,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110)에 의해 출력되는 시스템의 기본 화면과,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각각의 업무실에 대한 화면이 용이하게 전환되도록 한다.
좀 더 살펴보면,
상기 메인시스템설정모듈(111)은,
담당자의 계정을 생성하거나, 시스템에 로그인 하거나, 시스템의 보안을 설정하거나, 시스템을 종료시키거나 하는 담당자계정설정요소(111a);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화면, 소리 및 라우터통신장치(300)를 이용하여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100)과 연결되는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는 일반설정요소(111b);
업무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업무아이콘객체(IC)를 생성하는 업무목록커스텀요소(111c);
고객 정보 및 시스템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정보설정요소(111d);
특정 공간 내의 공지 사항 및 알림을 확인, 설정할 수 있는 기타설정요소(111e);로 구성되고,
일반설정요소(111b)는,
전체 시스템의 소리와 관련된, 예를 들어, 특정 업무 종료 알림음, 효과음 등을 일괄적으로 활성화, 비활성화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음향설정객체(111b-1);
시스템의 UI(user interface)의 다국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언어설정객체(111b-2);
시스템이 적용될 특정 공간의 하드웨어 장비의 성능에 맞게 시스템의 환경을 설정하는 시스템성능설정객체(111b-3);
시스템에 적용될 담당자 및 수요자의 인원 및 정보를 설정, 저장하는 시스템적용인원정보설정객체(111b-4);로 구성되어,
특정 공간에 최적의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의 사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시스템설정모듈(111)에 형성된 업무목록커스텀요소(111c)를 통해, 특정 업무에 해당하는 직관적인 업무아이콘객체(IC)를 다양하게 생성,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는,
업무 목록이 정렬, 나열되고, 진행되어야 할 업무 목록을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121);
상기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121)로부터 입력되어 각각의 업무실에 배당된, 업무 목록이 입력되는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122);로 구성되고,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121)은,
업무의 특성에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IC)가 정렬, 나열되고, 담당자가 진행할 업무아이콘객체(IC)를 선택하여, 업무 스케줄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
상기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에 정렬, 나열된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IC)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목록확인요소(121b);
상기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로부터 한 번에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IC)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일괄선택요소(121c);로 구성되어,
담당자가 생성시킬 업무 스케줄에 맞게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에 정렬, 나열된 업무아이콘객체(IC)를 선택하여,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122)로 업무 스케줄이 입력,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아이콘객체(IC)는,
업무 내용이 아이콘화되어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업무내용태그(IC-1);
상기 업무내용태그(IC-1)의 하단부에 생성되어, 업무 내용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업무완료시간태그(IC-2);
상기 업무내용태그(IC-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업무에 해당하는 담당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업무담당자태그(IC-3);로 구성되되,
업무완료시간태그(IC-2)는,
업무의 진행 시간 중, 시(時) 단위를 표시하는 시단위표식(IC-2a);
상기 시단위표식(IC-2a)의 하단에 위치하고, 업무의 진행 시간 중, 분(分) 단위를 표시하는 분단위표식(IC-2b);
상기 분단위표식(IC-2b)의 하단에 위치하고, 업무의 진행 시간 중, 초(秒) 단위를 표시되는 초단위표식(IC-2c);으로 구성되어,
담당자 및 수요자가 직관적으로 업무 목록 및 업무의 진행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담당자가 각각의 태그(IC-1, IC-2, IC-3)를 터치하여, 이를 용이하게 생성, 설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에는,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를 통해, 입력, 생성된 업무 스케줄을 담당자, 업무 내용별,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업무실별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추적정보전환모드부(13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업무 스케줄에 대한 해당 담당자, 업무 내용,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업무실별로 업무 목록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업무에 대한 스케줄 관리가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업무추적정보전환모드부(130)는,
업무 내용별로 업무 스케줄을 추적할 수 있는 업무내용별업무추적모듈(131);
담당자별로 업무 스케줄을 추적할 수 있는 담당자별업무추적모듈(132);
업무실별로 업무 스케줄을 추적할 수 있는 업무실별업무추적모듈(133);로 구성되어,
담당자의 선택에 의해 업무 스케줄이 정렬되고, 담당자가 자신의 업무 스케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최적의 업무 스케줄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담당자별업무추적모듈(132)을 통해, 담당자가 자신이 담당한 특정 업무를 추적하게 되면, 해당 담당자의 특정 업무가 잔여 시간 순으로 표시되어, 특정 업무를 진행하기까지의 명확한 잔여 시간을 파악할 수 있어, 스스로의 스케줄을 계획하고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에는,
업무실별로 업무 목록, 업무 상황, 업무 스케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목록전체보기전환모드부(14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업무 스케줄의 관리의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에 설치되어,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로부터 생성, 편집된, 해당 업무실에서 진행되는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이 직관적으로 출력되고, 배당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상황에 맞게 편집하고, 라우터통신장치(300)를 통해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의 정보와 동기화되도록 하는,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는,
담당자에 의해 해당 업무실에 배정된 특정 업무 스케줄이 출력되는 배당업무출력부(210);
상기 배당업무출력부(210)로부터 출력되는 특정 업무 스케줄을 수용하는 수요자의 정보가 출력되는 수요자정보출력부(220);
해당 업무실 내에서 담당자가 해당 업무실에 배정된 업무 스케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배당업무스케줄편집부(230);
상기 배당업무스케줄편집부(230)에 의해 편집된 업무 스케줄이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와 실시간 동기화되도록 하는 업무목록동기화부(240);로 구성되어,
수요자는 자신이 수용해야 할 특정 업무 스케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담당자는 자신이 담당해야 하는 특정 업무를 직관적으로 확인, 담당자 및 수요자의 상황에 따라 배당된 특정 업무 스케줄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당업무출력부(210)는,
담당자에 의해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의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121)에 입력된 업무 목록이 출력되고,
수요자정보출력부(220)는,
예를 들어, 간단한 수요자의 정보, 즉, 성명, 나이, 성별, 생년월일 등의 신상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배당업무스케줄편집부(230)는,
담당자가, 담당자 및 수요자의 판단, 상황에 맞게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용이하게 변경(추가, 삭제, 담당자 변경, 특정 업무의 설정 시간 편집 등)할 수 있도록 하며,
업무목록동기화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당업무스케줄편집부(230)를 통해 편집되면, 편집된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이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에 실시간 전송되도록 하여, 항상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로부터 입력, 출력되는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과, 배당업무출력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이 동일하도록 동기화시킨다.
또한,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에는,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 또는 해당 업무실에 각각 설치되는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 간, 신호가 송, 수신되어,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장치간콜기능부(250);가 더 포함, 구성되어,
담당자가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100)을 통해,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업무실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시스템장치간콜기능부(250)를 통해, 담당자가 호출 신호를 참고하여, 업무 스케줄에 협조,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작성, 관리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는 공부방, 독서실, 학원 자습실의 경우,
학생들의 학습 시간 계획을 가능하게 하고,
터치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각각의 학습자들의 학습 시간 계획을 입력하면, 전체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장소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학습자의 학습 목록 및 기타 계획과 시간을 순차적으로 입력,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등록된 학습자의 정보를 기록, 저장하여, 학습 진도를 관리하거나, 추적 기능을 활용하여, 지도가 필요한 학습 및 활동을 지정하고, 추적할 수 있으며, 지도의 종류, 할당된 학습자의 고유 태그 정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피트니스 센터의 경우에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수많은 수요자가 동시에 지도를 받는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 수요자의 운동 프로그램의 순서와, 특정 시간을 지정, 모든 수요자에 대한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수요자들의 운동 목록과 시간을 입력하고, 수요자들에게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계획할 수 있고,
수요자들의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한 현황 파악이 용이하므로, 지도,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연습실이 있는 음악 학원의 경우,
각 수강생의 연습 시간 및 진도를 관리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즉, 지도가 필요한 연습에 대한 시간을 설정하면, 전체 연습실에 대한 현황 파악과, 이에 대한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한다.
또한, 한의원, 한방 병원, 정형외과의 물리 치료실의 경우에는,
복잡한 치료 업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찜질, 침, 물리 치료, 부항, 사혈 등, 특정 시간의 타이머 기능이 필요한 업무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며, 별도로 나뉘어진 여러 개의 치료실에서도 환자가 받아야 할 치료에 대한 정확한 업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한 번의 터치로 치료 목록과 치료 시간을 설정하고, 치료 시간을 조절하거나, 치료 순서의 변경도 용이해지도록 한다.
또한, 전체 치료실의 업무 상황을 한 눈에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추적이 필요한 특정 업무를 지정하여 추적하고, 특정 업무의 내용과 치료실 번호를 시간순으로 제공하여, 치료 담당자의 최적의 동선을 제시한다.
또한, 치료실마다 모니터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모니터를 이용하여, 치료실에서 업무 제어를 할 수 있으며, 담당자가 별도의 휴대용 단말 기기를 소지하여, 언제, 어디서든, 모든 치료실 상황을 파악하고 업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한의원의 물리 치료실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는, 담당자인 한의원 원장 및 물리 치료사가 항상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다양한 조건으로 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 치료실로 치료 목록 및 치료 스케줄을 입력, 생성, 편집하여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는 하나 이상 형성된 물리 치료실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물리 치료실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가 자신이 받아야 할 치료의 목록, 치료 스케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치료를 진행하는 원장 및 물리 치료사는 자신이 진행해야 할 치료 목록을 확인, 치료를 진행함은 물론, 다양한 상황(예를 들어, 원장 및 물리 치료사의 스케줄 또는,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로부터 배당된 치료 목록 및 치료 스케줄을 변경, 추가,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업무 목록'이라 함은,
단순히, 배당된 업무의 종류 및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업무 스케줄'이라 함은,
상기 업무 목록이 진행되는 순서와, 진행 시간이 조합된 것으로, 업무의 시간적 개념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또한, '업무를 위한 최적의 환경'이라 함은,
담당자 및 수요자가 특정 업무 및 업무 스케줄을 진행, 수용함에 있어, 동선(動線)이 용이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참고하여,
업무아이콘객체(IC)는,
본 발명의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 목록 및 업무 스케줄을 구성하는 특정 업무가 무엇인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문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그 특정 업무가 '찜질'인 경우,
업무내용태그(IC-1)는,
'찜'을 크게 형성하고, '질'을 작게 형성하여, 누구나 그 특정 업무가 '찜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형성되고,
업무완료시간태그(IC-2)는,
상기 업무내용태그(IC-1)의 하단부에 특정 업무의 진행 시간(타이머 형식)이 누구나 그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형성되고,
업무담당자태그(IC-3)는,
상기 업무내용태그(IC-1)의 상단 일측에 특정 문자로 형성되어, 그 특정 업무를 진행하는 담당자가 누구인지를 업무 관련자들이 알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업무담당자태그(IC-3)는, 간단한 숫자로 표시될 수 있으며, 문자로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찜질'에 대한 특정 업무의 담당자가 1번 원장님일 경우,
숫자 '1'이 업무담당자태그(IC-3)로서 표시될 수 있고,
1번 원장님의 이름이 '명완철'일 경우,
업무담당자태그(IC-3)로서, '명' 또는 '완' 또는 '철'이 표시될 수 있다.
즉, 그 특정 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의 고유 특징을 살려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에는,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110)와,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 업무추적정보전환모드부(130), 업무목록전체보기전환모드부(140)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C1);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에는,
배당업무출력부(210)와, 수요자정보출력부(220), 배당업무스케줄편집부(230), 업무목록동기화부(240), 시스템장치간콜기능부(250)를 제어하는 제 2제어부(C2);
라우터통신장치(300)에는,
라우터통신장치(300)를 제어하는 제 3제어부(C3);가 구성되어,
각각의 기능 및 역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들(C1, C2, C3)은,
전산자원에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업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의 조합을 생성, 편집, 관리해야 하는 기술분야, 예를 들어, 한의원, 한방 병원, 정형외과의 물리 치료실, 음악 학원, 피트니스 센터, 공부방, 독서실, 학원 자습실 등의 시스템 관리 산업은 물론, 이와 같은 시스템을 제작하고, 구축하여 안정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관련 산업 및 서비스업, IT산업, 그리고, 시스템이 최적의 상태로 작동되도록 하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단말 기기 및 이를 포함한 장치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업무 모니터링 장치
100: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
110: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
111: 메인시스템설정모듈 111a: 담당자계정설정요소
111b: 일반설정요소 111b-1: 시스템음향설정객체
111b-2: 시스템언어설정객체 111b-3: 시스템성능설정객체
111b-4: 시스템적용인원정보설정객체 111c: 업무목록커스텀요소
111d: 시스템정보설정요소 111e: 기타설정요소
112: 업무실현황확인모듈 113: 퀵모드전환실행모듈
120: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 121: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
121a: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 121b: 업무아이콘목록확인요소
121c: 업무아이콘일괄선택요소 122: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
130: 업무추적정보전환모드부 131: 업무내용별업무추적모듈
132: 담당자별업무추적모듈 133: 업무실별업무추적모듈
140: 업무목록전체보기전환모드부
200: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 210: 배당업무출력부
220: 수요자정보추출부 230: 배당업무스케줄편집부
240: 업무목록동기화부 250: 시스템장치간콜기능부
300: 라우터통신장치
IC: 업무아이콘객체 IC-1: 업무내용태그
IC-2: 업무완료시간태그 IC-2a: 시단위표식
IC-2b: 분단위표식 IC-2c: 초단위표식
IC-3: 업무담당자태그
C1: 제 1제어부 C2: 제 2제어부
C3: 제 3제어부

Claims (3)

  1. 업무 모니터링 장치(1)에 있어서,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특정 공간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담당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의 상황을 확인,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
    특정 공간 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업무실에 설치되고, 해당 업무실의 실시간 업무 상황이 출력됨은 물론, 해당 업무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업무 스케줄을 상황에 맞게 변경,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
    상기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와, 업무실전용원격시스템장치(200) 간, 실시간 업무 상황 및 업무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통신되어, 정보가 교환, 동기화되도록 하는 라우터통신장치(300);로 구성되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의 최적화된 업무 환경을 도모하고,
    담당자에 의해 특정 업무를 수용하는 수요자는, 자신이 담당자로부터 수용해야 할 특정 업무 목록 및 업무의 스케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담당자의 업무 관리의 용이성과, 수요자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전체업무관리메인시스템장치(100)는,
    담당자의 계정, 시스템의 환경 설정, 업무 목록, 시스템 정보, 기타 사항을 생성, 편집, 저장하는 특정공간전체환경제어모드부(110);
    특정 업무가 진행되는 특정 공간 내에 형성된 각각의 업무실의 현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각각의 업무실을 선택하여, 선택된 해당 업무실의 업무 목록, 업무 진행 상황, 업무 스케줄을 확인, 변경, 제어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로 구성되되,
    업무실업무목록제어전환모드부(120)는,
    업무 목록이 정렬, 나열되고, 진행되어야 할 업무 목록을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121);
    상기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121)로부터 입력되어 각각의 업무실에 배당된, 업무 목록이 입력되는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122);로 구성되고,
    업무목록선택입력모듈(121)은,
    업무의 특성에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IC)가 정렬, 나열되고, 담당자가 진행할 업무아이콘객체(IC)를 선택하여, 업무 스케줄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
    상기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에 정렬, 나열된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IC)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목록확인요소(121b);
    상기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로부터 한 번에 다수 개의 업무아이콘객체(IC)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아이콘일괄선택요소(121c);로 구성되어,
    담당자가 생성시킬 업무 스케줄에 맞게 업무아이콘목록나열요소(121a)에 정렬, 나열된 업무아이콘객체(IC)를 선택하여, 업무목록입력확인모듈(122)로 업무 스케줄이 입력,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업무아이콘객체(IC)는,
    업무 내용이 아이콘화되어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업무내용태그(IC-1);
    상기 업무내용태그(IC-1)의 하단부에 생성되어, 업무 내용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업무완료시간태그(IC-2);
    상기 업무내용태그(IC-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업무에 해당하는 담당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업무담당자태그(IC-3);로 구성되어,
    담당자 및 수요자가 직관적으로 업무 목록 및 업무의 진행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담당자가 각각의 태그(IC-1, IC-2, IC-3)를 터치하여, 이를 용이하게 생성, 설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100389A 2020-08-11 2020-08-11 업무 모니터링 장치 KR10241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89A KR102418880B1 (ko) 2020-08-11 2020-08-11 업무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89A KR102418880B1 (ko) 2020-08-11 2020-08-11 업무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00A true KR20220020000A (ko) 2022-02-18
KR102418880B1 KR102418880B1 (ko) 2022-07-11

Family

ID=8049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389A KR102418880B1 (ko) 2020-08-11 2020-08-11 업무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8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822B1 (ko) 2001-06-12 2003-11-14 김희선 무선 호출 및 타이머 일체형 시스템
KR101278029B1 (ko) 2011-06-30 2013-06-21 비오신코리아 주식회사 병원 운영 시스템
KR20180096230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워크 플로우 기반의 업무 관리 시스템
KR20180113480A (ko) * 2018-10-05 2018-10-16 최재호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105250A (ko) * 2018-02-27 2019-09-17 최재호 폴더 연동형 업무 평가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 평가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00080590A (ko) * 2018-12-27 2020-07-07 효성아이티엑스(주) 스마트 컨택 센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822B1 (ko) 2001-06-12 2003-11-14 김희선 무선 호출 및 타이머 일체형 시스템
KR101278029B1 (ko) 2011-06-30 2013-06-21 비오신코리아 주식회사 병원 운영 시스템
KR20180096230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워크 플로우 기반의 업무 관리 시스템
KR20190105250A (ko) * 2018-02-27 2019-09-17 최재호 폴더 연동형 업무 평가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 평가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80113480A (ko) * 2018-10-05 2018-10-16 최재호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80590A (ko) * 2018-12-27 2020-07-07 효성아이티엑스(주) 스마트 컨택 센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880B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 et al. The TA framework: Designing real-time teaching augmentation for K-12 classrooms
Shiwlani et al. Synergies of AI and Smart Technology: Revolutionizing Cancer Medicine, Vaccine Development, and Patient Care
US20040138925A1 (en) Resources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Yoo et al. A personalized mobile patient guide system for a patient-centered smart hospital: Lessons learned from a usability test and satisfaction survey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Parker et al. The provision of feedback through computer-based technology to promote self-managed post-stroke rehabilitation in the home
JP2015518581A (ja) 医療トレーニングシナリオを開発する方法および装置
Wang et al. The feasibility of an automatic prompting system in assisting people with traumatic brain injury in cooking tasks
Maria et al. The use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nursing practice
KR102418880B1 (ko) 업무 모니터링 장치
Rybarczyk et al. Tangible interface for a rehabilitation of comprehension in aphasic patients
JP2008275871A (ja) 医学教育支援システムおよび医学教育支援方法
Tengelin Creating proactive boundary awareness-Observations and feedback on lowerlevel health care managers’ time commitments and stress
Staehelin et al. Algorithmic Management for Community Health Worker in Sub-Saharan Africa: Curse or Blessing?
Nadeem et al. Smart UX-design for Rescue Operations Wearable-A Knowledge Graph Informed Visualization Approach for Information Retrieval in Emergency Situations
Lange Informatics nurse specialist: roles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Kanimozhi et al. A personal assistant in Chatbots with different technologies
Volland et al. A health information system that extends healthcare professional-patient communication
Siangpipop et al. Designing a Mobile App for Managing Alzheimer's Disease: A User-Centered
Sinfield et al. Developing a DBR Model for Designing Authentic Healthcare Solutions: Mobile and Wearable Technologies
Tengelin Creating proactive boundary awareness
Verma Modeling Digital Healthcare Services Using NLP and IoT in Smart Cities
Kirsch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cognition and behavior.
Alharbi A Review on Artificial Intelligence–Insights from Nursing Care and Implementation in Nursing Education
Bansal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Applications in the Healthcare Sector
Hoover From Beguiling to Belonging: The Evolution of Musical-Medical Partner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