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994A -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994A
KR20220019994A KR1020200100376A KR20200100376A KR20220019994A KR 20220019994 A KR20220019994 A KR 20220019994A KR 1020200100376 A KR1020200100376 A KR 1020200100376A KR 20200100376 A KR20200100376 A KR 20200100376A KR 20220019994 A KR20220019994 A KR 20220019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uman body
lumen
inner tube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723B1 (ko
Inventor
신경민
홍영일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10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7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the outer sleeve being split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09Cut-outs or sl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내강에 발생된 병변부위에 외부튜브가 도달할 때까지 외부튜브를 꺾임없이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시켜 스텐트를 안정적으로 병변부위에 시술해주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인체의 내강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튜브가 연결된 제1손잡이와;, 제1손잡이 및 외부튜브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밀대가 연결된 제2손잡이와;, 외부튜브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밀대와 연결된 제1내부튜브와;, 외부튜브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제1내부튜브와 연결되며, 제1내부튜브보다 지름이 작고, 제1내부튜브와 지름이 동일한 고정부가 구비된 제2내부튜브와;, 제2내부튜브에 연결되어 외부튜브에 일부가 끼워지면서 외부튜브에서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가이드팁과;, 제2내부튜브의 주변으로 고정부 및 가이드팁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체의 내강에 발생된 병변부위에 시술되는 스텐트가 외부튜브에 압착되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부 및 제1내부튜브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의 외측에 끼워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내부와 연결되는 제1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고, 각 제1구멍의 사이로 반대편에 위치되면서 내부와 연결되는 제2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끼움관을 포함하며, 외부튜브가 인체의 내강을 따라 이동 시, 끼움관은 다수의 제1,2구멍이 변형되어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되면서, 외부튜브는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Stent delivery system with enhanced flexible}
본 발명은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인체의 내강에 발생된 병변부위에 외부튜브가 도달할 때까지 외부튜브를 꺾임없이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시켜 스텐트를 안정적으로 병변부위에 시술해주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담도, 요도, 요관과 같은 인체의 내강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가 발생하면, 체액을 이동시켜주는 내강으로써의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종래에는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의 위치로 삽입장치를 통해 스텐트를 삽입하여 좁아진 내강을 확장시켰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파지몸체의 전방으로 외부튜브가 연결되고, 손잡이에 결합된 밀대의 전방으로 내부튜브가 연결되되, 상기 내부튜브의 전방에 스텐트가 장착되도록 직경이 작아지는 장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튜브를 파지몸체를 통해 외부튜브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배출홀을 통해 삽입하여 내부튜브의 전방으로 배출시키며, 장착부와 외부튜브에 의해 생성되는 장착공간에 스텐트를 가압장착 후 신체 협착진행부위나 협착부위와 같은 병변부위에 스텐트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 시술되도록 밀대를 밀어 내부튜브가 스텐트와 함께 외부튜브에서 배출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외,내부튜브의 전체 길이 중 전방 끝단에서 1/3지점에 외부튜브홀과 내부튜브홀을 내부로 연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부튜브홀을 통해 가이드와이어가 내부에서 전후로 유동 가능한 가이드튜브를 삽입하여 일끝단은 내부튜브홀에서 일치되게 노출시키고 타 끝단은 내부튜브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고정하여, 상기 외,내부튜브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하여 내부튜브의 전진으로 스텐트를 배출시켜 병변부위 확장하도록 시술할 때,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외,내부튜브홀, 가이드튜브를 순차적으로 삽입 후 가이드튜브의 전방으로 배출하여 병변부위로 안내할 수 있어, 상기 외,내부튜브홀에서 배출홀까지의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가 외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튜브(3)와, 가이드튜브(3)보다 지름이 크면서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텐트 시술 시 가이드튜브(3)를 밀대와 함께 미는 내부튜브(4)는 유연성 차이가 컸었다.
즉, 상기 내부튜브(4)는 가이드튜브(3)보다 유연성이 부족했었다.
그래서, 인체의 내강(1)에 발생된 병변부위로 외부튜브(5) 이동 시, 인체의 내강(1) 특히, 굴곡진 형태의 인체의 내강(1)에서, 유연성 차이에 따라 가이드튜브(3)와 내부튜브(4)의 사이에서 꺾임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고, 동시에 외부튜브(5)도 꺾임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즉, 외부튜브(5)의 전방은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되지 못하면서 밀대 및 내부튜브(4) 및 외부튜브(5)의 미는 힘에 의해 꺾임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해, 외부튜브(5)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외부튜브(5)의 꺾임에 의해 스텐트를 병변부위에 시술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1298669호(2013. 8. 14.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인체의 내강에 발생된 병변부위에 외부튜브가 도달할 때까지 외부튜브를 꺾임없이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시켜 스텐트를 안정적으로 병변부위에 시술해주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내강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튜브가 연결된 제1손잡이와;, 제1손잡이 및 외부튜브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밀대가 연결된 제2손잡이와;, 외부튜브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밀대와 연결된 제1내부튜브와;, 외부튜브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제1내부튜브와 연결되며, 제1내부튜브보다 지름이 작고, 제1내부튜브와 지름이 동일한 고정부가 구비된 제2내부튜브와;, 제2내부튜브에 연결되어 외부튜브에 일부가 끼워지면서 외부튜브에서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가이드팁과;, 제2내부튜브의 주변으로 고정부 및 가이드팁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체의 내강에 발생된 병변부위에 시술되는 스텐트가 외부튜브에 압착되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부 및 제1내부튜브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의 외측에 끼워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내부와 연결되는 제1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고, 각 제1구멍의 사이로 반대편에 위치되면서 내부와 연결되는 제2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끼움관을 포함하며, 외부튜브가 인체의 내강을 따라 이동 시, 끼움관은 다수의 제1,2구멍이 변형되어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되면서, 외부튜브는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길이가 긴 끼움관이 제1,2구멍에 의해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효과가 있다.
즉, 스텐트가 설치되는 제2내부튜브의 한쪽과, 길이가 긴 끼움관이 끼워지는 제2내부튜브의 반대편 한쪽의 유연성 차이가 크지 않은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스텐트와 길이가 긴 끼움관 사이에서 제2내부튜브의 꺾임을 막아주면서 동시에 외부튜브의 꺾임을 막아주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에 발생된 병변부위에 외부튜브가 도달할 때까지 외부튜브를 꺾임없이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시켜 스텐트를 안정적으로 병변부위에 시술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끼움관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1,2구멍에 의해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용이하게 변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길이가 긴 끼움관이 홈에 의해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효과가 있다.
즉, 홈이 끼움관의 길이 방향 또는 나선 방향을 따라 사방에 형성되어 끼움관이 유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끼움관이 링 형태로 형성된 홈에 의해 유연성이 더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더 용이하게 변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끼움관이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유연성이 더욱 더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 형태에 맞게 더욱 더 용이하게 변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상세도 및 사용상태도 및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상세도 및 사용상태도 및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상세도 및 사용상태도 및 확대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상세도 및 사용상태도 및 확대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상세도 및 사용상태도 및 확대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상세도 및 사용상태도 및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의 스텐트 설치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담도, 요도, 요관과 같은 인체의 내강(1)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1a)가 발생할 때, 상기 병변부위(1a)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1)에 스텐트(2)를 시술하여 확장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튜브(110)가 연결된 제1손잡이(100)와;,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밀대(210)가 연결된 제2손잡이(20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밀대(210)와 연결된 제1내부튜브(22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제1내부튜브(220)와 연결되며, 상기 제1내부튜브(220)보다 지름이 작고, 상기 제1내부튜브(220)와 지름이 동일한 고정부(231)가 구비된 제2내부튜브(230)와;, 상기 제2내부튜브(230)에 연결되어 외부튜브(110)에 일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외부튜브(110)에서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가이드팁(240)과;, 상기 제2내부튜브(230)의 주변으로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체의 내강(1)에 발생된 병변부위(1a)에 시술되는 스텐트(2)가 외부튜브(110)에 압착되어 장착되는 장착공간(25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31)는 제2내부튜브(230)의 외면 한쪽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제1손잡이(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2내부튜브(220)(230) 및 가이드팁(24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260)가 포함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고정부(231) 및 제1내부튜브(220)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230)의 외측에 끼워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내부와 연결되는 제1구멍(310)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고, 각 상기 제1구멍(310)의 사이로 반대편에 위치되면서 내부와 연결되는 제2구멍(320)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끼움관(3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구멍(310)(320)은 일정한 간격으로 끼움관(300)의 외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관(300)은 제1,2구멍(310)(320)을 통해 유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C(polycarbonate), Nylon, MeTAL 중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의 내강(1)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1a)가 발생하면, 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인체 내부로 내시경을 밀어 넣어 시술할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260)를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켜서 시술할 위치 즉, 병변부위(1a)에 위치시킨 후,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밀어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가이드 와이어(260)를 따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으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끼움관(300)은 일직선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을 이동할 때, 제2내부튜브(230)는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의 제1구멍(31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안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1구멍(310)은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상기 끼움관(300)의 제1구멍(31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1구멍(310)은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의 제2구멍(32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안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2구멍(320)은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상기 끼움관(300)의 제2구멍(32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2구멍(320)은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관(300)은 제1,2구멍(310)(320)이 변형되어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상기 끼움관(300)은 제1,2구멍(310)(320)을 통해 유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원래 상태로 복원하려는 제1,2구멍(310)(320)의 복원력에 의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튜브(110)는 유연성이 향상된 끼움관(300)을 통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1내부튜브(220)도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병변부위(1a)에 위치되면, 제1손잡이(100)로 상기 외부튜브(110)를 당기면서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민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은 순차적으로 제1내부튜브(220) 및 끼움관(300) 및 제2내부튜브(230)의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팁(240)과 외부튜브(110)의 사이는 멀어지게 되고, 장착공간(250)에 장착된 스텐트(2)는 확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병변부위(1)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1)은 스텐트(2)에 의해 확장된다.
그리고, 도 2, 도 6 내지 도 8,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다수의 제1,2구멍(310)(320)이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외면에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6 내지 도 8,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의 내강(1)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1a)가 발생하면, 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인체 내부로 내시경을 밀어 넣어 시술할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260)를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켜서 시술할 위치 즉, 병변부위(1a)에 위치시킨 후,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밀어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가이드 와이어(260)를 따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으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끼움관(300)은 일직선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을 이동할 때, 제2내부튜브(230)는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1구멍(31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안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1구멍(310)은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상기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1구멍(31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1구멍(310)은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2구멍(32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안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2구멍(320)은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상기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제2구멍(32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2구멍(320)은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관(300)은 제1,2구멍(310)(320)이 변형되어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상기 끼움관(300)은 제1,2구멍(310)(320)을 통해 유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원래 상태로 복원하려는 제1,2구멍(310)(320)의 복원력에 의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튜브(110)는 유연성이 향상된 끼움관(300)을 통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1내부튜브(220)도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병변부위(1a)에 위치되면, 제1손잡이(100)로 상기 외부튜브(110)를 당기면서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민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은 순차적으로 제1내부튜브(220) 및 끼움관(300) 및 제2내부튜브(230)의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팁(240)과 외부튜브(110)의 사이는 멀어지게 되고, 장착공간(250)에 장착된 스텐트(2)는 확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병변부위(1)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1)은 스텐트(2)에 의해 확장된다.
그리고, 도 2, 도 9 내지 도 11,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고정부(231) 및 제1내부튜브(220)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230)의 외측에 끼워지며, 원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홈(330)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끼움관(3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홈(330)은 일정한 간격으로 끼움관(300)의 외면 사방에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관(300)은 홈(330)을 통해 유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C(polycarbonate), Nylon, MeTAL 중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9 내지 도 11,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의 내강(1)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1a)가 발생하면, 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인체 내부로 내시경을 밀어 넣어 시술할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260)를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켜서 시술할 위치 즉, 병변부위(1a)에 위치시킨 후,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밀어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가이드 와이어(260)를 따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으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끼움관(300)은 일직선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을 이동할 때, 제2내부튜브(230)는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의 홈(33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안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홈(330)은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상기 끼움관(300)의 홈(33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홈(330)은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또한, 굴곡진 상기 인체의 내강(1)의 안쪽과 바깥쪽 사이에 위치되는 끼움관(300)의 홈(330)은 굴곡진 상기 인체의 내강(1)의 안쪽을 향할수록 좁아지면서 굴곡진 상기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을 향할수록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관(300)은 홈(330)이 변형되어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상기 끼움관(300)은 홈(330)을 통해 유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원래 상태로 복원하려는 홈(330)의 복원력에 의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튜브(110)는 유연성이 향상된 끼움관(300)을 통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1내부튜브(220)도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병변부위(1a)에 위치되면, 제1손잡이(100)로 상기 외부튜브(110)를 당기면서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민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은 순차적으로 제1내부튜브(220) 및 끼움관(300) 및 제2내부튜브(230)의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팁(240)과 외부튜브(110)의 사이는 멀어지게 되고, 장착공간(250)에 장착된 스텐트(2)는 확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병변부위(1)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1)은 스텐트(2)에 의해 확장된다.
그리고, 도 2, 도 12 내지 도 14,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다수의 홈(330)이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외면에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12 내지 도 14,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의 내강(1)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1a)가 발생하면, 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인체 내부로 내시경을 밀어 넣어 시술할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260)를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켜서 시술할 위치 즉, 병변부위(1a)에 위치시킨 후,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밀어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가이드 와이어(260)를 따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으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끼움관(300)은 일직선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을 이동할 때, 제2내부튜브(230)는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에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홈(33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안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홈(330)은 변형되면서 좁아지고, 상기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홈(330)이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에 이웃하게 위치되면 상기 홈(330)은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또한, 굴곡진 상기 인체의 내강(1)의 안쪽과 바깥쪽 사이에 위치되는 끼움관(300)의 홈(330)은 굴곡진 상기 인체의 내강(1)의 안쪽을 향할수록 좁아지면서 굴곡진 상기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을 향할수록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관(300)은 홈(330)이 변형되어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상기 끼움관(300)은 홈(330)을 통해 유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원래 상태로 복원하려는 홈(330)의 복원력에 의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튜브(110)는 유연성이 향상된 끼움관(300)을 통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1내부튜브(220)도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병변부위(1a)에 위치되면, 제1손잡이(100)로 상기 외부튜브(110)를 당기면서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민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은 순차적으로 제1내부튜브(220) 및 끼움관(300) 및 제2내부튜브(230)의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팁(240)과 외부튜브(110)의 사이는 멀어지게 되고, 장착공간(250)에 장착된 스텐트(2)는 확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병변부위(1)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1)은 스텐트(2)에 의해 확장된다.
그리고, 도 2, 도 15 내지 도 17,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끼움관(300)의 원주에 위치되는 다수의 홈(330)이 연결된다.
즉, 상기 홈(330)은 링 형태로 형성되면서 끼움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 즉,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홈(330)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유연성이 더 향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15 내지 도 17,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의 내강(1)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1a)가 발생하면, 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인체 내부로 내시경을 밀어 넣어 시술할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260)를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켜서 시술할 위치 즉, 병변부위(1a)에 위치시킨 후,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밀어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가이드 와이어(260)를 따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으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끼움관(300)을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끼움관(300)은 일직선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을 이동할 때, 제2내부튜브(230)는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의 홈(330)은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의 안쪽을 향할수록 좁아지면서 굴곡진 상기 인체의 내강(1)의 바깥쪽을 향할수록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관(300)은 홈(330)이 변형되어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상기 끼움관(300)은 넓은 면적의 홈(330)을 통해 유연성이 더 향상되기 때문에,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원래 상태로 복원하려는 홈(330)의 복원력에 의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튜브(110)는 유연성이 더 향상된 끼움관(300)을 통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1내부튜브(220)도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병변부위(1a)에 위치되면, 제1손잡이(100)로 상기 외부튜브(110)를 당기면서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민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은 순차적으로 제1내부튜브(220) 및 끼움관(300) 및 제2내부튜브(230)의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팁(240)과 외부튜브(110)의 사이는 멀어지게 되고, 장착공간(250)에 장착된 스텐트(2)는 확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병변부위(1)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1)은 스텐트(2)에 의해 확장된다.
그리고, 도 2,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은 띠를 감은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부(231) 및 제1내부튜브(220)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230)의 외측에 끼워지는 끼움관(3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관(300)은 코일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또한, 상기 끼움관(300)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C(polycarbonate), Nylon, MeTAL 중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텐트 전달 시스템(10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의 내강(1)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1a)가 발생하면, 인체의 표면을 일부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인체 내부로 내시경을 밀어 넣어 시술할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260)를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켜서 시술할 위치 즉, 병변부위(1a)에 위치시킨 후,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밀어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코일 형태의 끼움관(300)을 가이드 와이어(260)를 따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으로, 외부튜브(110) 및 제1,2내부튜브(220)(230) 및 코일 형태의 끼움관(300)을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코일 형태의 끼움관(300)은 일직선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굴곡진 인체의 내강(1)을 이동할 때, 제2내부튜브(230)는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코일 형태의 끼움관(300)은 더욱 더 향상된 유연성에 의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코일 형태의 끼움관(300)은 원래 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튜브(110)는 유연성이 더욱 더 향상된 끼움관(300)을 통해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1내부튜브(220)도 굴곡진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110)가 병변부위(1a)에 위치되면, 제1손잡이(100)로 상기 외부튜브(110)를 당기면서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를 민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200)의 밀대(210)의 미는 힘은 순차적으로 제1내부튜브(220) 및 끼움관(300) 및 제2내부튜브(230)의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팁(240)과 외부튜브(110)의 사이는 멀어지게 되고, 장착공간(250)에 장착된 스텐트(2)는 확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병변부위(1)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1)은 스텐트(2)에 의해 확장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손잡이 110 : 외부튜브
200 : 제2손잡이 210 : 밀대
220 : 제1내부튜브 230 : 제2내부튜브
231 : 고정부 240 : 가이드팁
250 : 장착공간 300 : 끼움관
310 : 제1구멍 320 : 제2구멍
330 : 홈 1000 : 스텐트 전달 시스템

Claims (6)

  1.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튜브(110)가 연결된 제1손잡이(100)와;,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밀대(210)가 연결된 제2손잡이(20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밀대(210)와 연결된 제1내부튜브(22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제1내부튜브(220)와 연결되며, 상기 제1내부튜브(220)보다 지름이 작고, 상기 제1내부튜브(220)와 지름이 동일한 고정부(231)가 구비된 제2내부튜브(230)와;, 상기 제2내부튜브(230)에 연결되어 외부튜브(110)에 일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외부튜브(110)에서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가이드팁(240)과;, 상기 제2내부튜브(230)의 주변으로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체의 내강(1)에 발생된 병변부위(1a)에 시술되는 스텐트(2)가 외부튜브(110)에 압착되어 장착되는 장착공간(250)을 포함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1) 및 제1내부튜브(220)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230)의 외측에 끼워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내부와 연결되는 제1구멍(310)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고, 각 상기 제1구멍(310)의 사이로 반대편에 위치되면서 내부와 연결되는 제2구멍(320)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끼움관(3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110)가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 시, 끼움관(300)은 다수의 제1,2구멍(310)(320)이 변형되어 상기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되면서, 외부튜브(110)는 상기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1,2구멍(310)(320)을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외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3.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튜브(110)가 연결된 제1손잡이(100)와;,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밀대(210)가 연결된 제2손잡이(20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밀대(210)와 연결된 제1내부튜브(22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제1내부튜브(220)와 연결되며, 상기 제1내부튜브(220)보다 지름이 작고, 상기 제1내부튜브(220)와 지름이 동일한 고정부(231)가 구비된 제2내부튜브(230)와;, 상기 제2내부튜브(230)에 연결되어 외부튜브(110)에 일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외부튜브(110)에서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가이드팁(240)과;, 상기 제2내부튜브(230)의 주변으로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체의 내강(1)에 발생된 병변부위(1a)에 시술되는 스텐트(2)가 외부튜브(110)에 압착되어 장착되는 장착공간(250)을 포함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1) 및 제1내부튜브(220)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230)의 외측에 끼워지며, 원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홈(330)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끼움관(3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110)가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 시, 끼움관(300)은 다수의 홈(330)이 변형되어 상기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되면서, 외부튜브(110)는 상기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홈(330)을 끼움관(300)의 나선 방향으로 외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관(300)의 원주에 위치되는 다수의 홈(33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6.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튜브(110)가 연결된 제1손잡이(100)와;, 상기 제1손잡이(100) 및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밀대(210)가 연결된 제2손잡이(20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밀대(210)와 연결된 제1내부튜브(220)와;, 상기 외부튜브(110)에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제1내부튜브(220)와 연결되며, 상기 제1내부튜브(220)보다 지름이 작고, 상기 제1내부튜브(220)와 지름이 동일한 고정부(231)가 구비된 제2내부튜브(230)와;, 상기 제2내부튜브(230)에 연결되어 외부튜브(110)에 일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외부튜브(110)에서 나머지 일부가 노출되는 가이드팁(240)과;, 상기 제2내부튜브(230)의 주변으로 고정부(231) 및 가이드팁(240)의 사이에 형성되며, 인체의 내강(1)에 발생된 병변부위(1a)에 시술되는 스텐트(2)가 외부튜브(110)에 압착되어 장착되는 장착공간(250)을 포함한 스텐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띠를 감은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31) 및 제1내부튜브(220)의 사이로 제2내부튜브(230)의 외측에 끼워지는 끼움관(3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110)가 인체의 내강(1)을 따라 이동 시, 끼움관(300)은 상기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되면서, 외부튜브(110)는 상기 인체의 내강(1) 형태에 맞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KR1020200100376A 2020-08-11 2020-08-11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KR10242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76A KR102421723B1 (ko) 2020-08-11 2020-08-11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76A KR102421723B1 (ko) 2020-08-11 2020-08-11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994A true KR20220019994A (ko) 2022-02-18
KR102421723B1 KR102421723B1 (ko) 2022-07-15

Family

ID=8049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376A KR102421723B1 (ko) 2020-08-11 2020-08-11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7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674A (ja) * 2000-05-04 2003-10-28 オレゴン ヘルス サイエンシーズ ユニバーシティー ステント移植片
US20090287146A1 (en) * 2000-02-11 2009-11-19 Ricci Donald R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00086294A (ko) * 2009-01-22 2010-07-30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KR20120079431A (ko) * 2011-01-04 2012-07-12 (주) 태웅메디칼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JP2020081501A (ja) * 2018-11-28 2020-06-0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カテーテル、及び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7146A1 (en) * 2000-02-11 2009-11-19 Ricci Donald R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3531674A (ja) * 2000-05-04 2003-10-28 オレゴン ヘルス サイエンシーズ ユニバーシティー ステント移植片
KR20100086294A (ko) * 2009-01-22 2010-07-30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KR20120079431A (ko) * 2011-01-04 2012-07-12 (주) 태웅메디칼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KR101298669B1 (ko) 2011-01-04 2013-08-21 신경민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JP2020081501A (ja) * 2018-11-28 2020-06-0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カテーテル、及び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723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450B2 (en) Blood vessel graft and graft introducer
EP1861156B1 (en) Access catheter having dilation capability
DE60142080D1 (de) Katheter zum Einsetzen eines Stents
EP2702964A1 (en) Stent
US9498356B2 (en) Flexible stent and delivery system
US20100121426A1 (en) Stent Introducer System
ATE399509T1 (de) Stent-einführsystem mit variabler länge
KR101250555B1 (ko) 스텐트
CN105744913A (zh) 用于在隆凸上展开管腔假体的系统和方法
KR101772489B1 (ko) 내시경 삽입이 가능한 스텐트 전달 장치
US20170261136A1 (en) Flexible tube and insertion apparatus
KR102421723B1 (ko)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JP6180760B2 (ja) カテーテル装置
US9402756B2 (en) Monorail
US9308359B2 (en) Pull-through medical device
EP3213722A1 (en) Catheter for stent operation
KR20220019993A (ko)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US20140100645A1 (en)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with an inner catheter having a flushing groove
JP7329043B2 (ja) 医療用管状体搬送装置
KR100354821B1 (ko)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JP6988028B2 (ja) チューブ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KR102235960B1 (ko) 길이 조절 가능한 내강용 스텐트
KR102136930B1 (ko) 이중 내강 시스 구조를 갖는 스텐트 로딩 장치 및 이의 스텐트 로딩 방법
JP2002224221A (ja) 内視鏡用カテーテル
CN109260577B (zh) 双向防移位胰管支架及置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