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694A - Block dpcm 예측 방법을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Block dpcm 예측 방법을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694A
KR20220019694A KR1020217040470A KR20217040470A KR20220019694A KR 20220019694 A KR20220019694 A KR 20220019694A KR 1020217040470 A KR1020217040470 A KR 1020217040470A KR 20217040470 A KR20217040470 A KR 20217040470A KR 20220019694 A KR20220019694 A KR 20220019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dpcm
intra
information
current block
trans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고건중
정재홍
손주형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ublication of KR2022001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BLOCK DPCM 예측 방법을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 부호화란 디지털화한 정보를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거나, 저장 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신호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압축 부호화의 대상에는 음성, 영상, 문자 등의 대상이 존재하며, 특히 영상을 대상으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는 기술을 비디오 압축이라고 일컫는다. 비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 부호화는 공간적인 상관관계, 시간적인 상관관계, 확률적인 상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잉여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의 다양한 미디어 및 데이터 전송 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고효율의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비디오 신호의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제 1 값 및 제 2 값은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인트라 BDPCM 정보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크로마 성분에 상관 없이 루마 성분을 위해 파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BDPCM 활성 정보는 시퀀스(sequence) 로 시그널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파싱하지 않고, 변환 스킵 정보는 변환 스킵 정보의 값이 제1 추론값인 경우 변환 스킵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를 제 1 추론값으로 추론하는 단계 및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를 제 2 추론값으로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0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1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직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 이후에 복원될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파싱하고,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고,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고,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제 1 값 및 제 2 값은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 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인트라 BDPCM 정보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크로마 성분에 상관 없이 루마 성분을 위해 파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BDPCM 활성 정보는 시퀀스(sequence) 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파싱하지 않고, 변환 스킵 정보는 변환 스킵 정보의 값이 제1 추론값인 경우 변환 스킵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를 제 1 추론값으로 추론하고,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를 제 2 추론값으로 추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0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고,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1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직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 이후에 복원될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BDPCM 활성 정보, 인트라 BDPCM 정보,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생성하고,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생성하고,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BDPCM 활성 정보, 인트라 BDPCM 정보,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트라 BDPCM 정보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BDPCM 활성 정보, 인트라 BDPCM 정보,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의 코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픽쳐 내에서 코딩 트리 유닛이 코딩 유닛들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의 분할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샘플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Block DPCM(BDPCM)의 예측 모드 및 양자화된 잔차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 정의된 BDPCM 플래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코딩 유닛 신택스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코딩 유닛 신택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BDPCM의 적용 블록 크기 변수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12은 변환 유닛 신택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변환 유닛 신택스의 일부분 내에서 transform skip 플래그의 시그널링/파싱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BDPCM이적용된 블록의 화면내 예측 모드 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부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코딩은 경우에 따라 인코딩 또는 디코딩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디오 신호의 인코딩(부호화)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장치는 인코딩 장치 혹은 인코더로 지칭되며,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의 디코딩(복호화)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장치는 디코딩 장치 혹은 디코더로 지칭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코더 및 디코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사용된다. 정보(information)는 값(values), 파라미터(parameter), 계수(coefficients), 성분(elements) 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서, 경우에 따라 의미는 달리 해석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유닛'은 영상 처리의 기본 단위 또는 픽쳐의 특정 위치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루마(luma) 성분과 크로마(chroma)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이미지 영역을 가리킨다. 또한, '블록'은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들(즉, Cb 및 Cr) 중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지 영역을 가리킨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유닛', '블록', '파티션' 및 '영역' 등의 용어는 서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닛 또는 블록은 코딩 유닛(또는 코딩 블록), 예측 유닛(또는 예측 블록) 변환 유닛(또는 변환 블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픽쳐는 필드 혹은 프레임을 가리키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용어들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인코딩 장치(100)는 변환부(110), 양자화부(115), 역양자화부(120), 역변환부(125), 필터링부(130), 예측부(150) 및 엔트로피 코딩부(160)를 포함한다.
변환부(110)는 입력 받은 비디오 신호와 예측부(150)에서 생성된 예측 신호의 차이인 레지듀얼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 계수 값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이산 사인 변환(Discrete Sine Transform, DST) 또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산 코사인 변환 및 이산 사인 변환은 입력된 픽쳐 신호를 블록 형태로 나누어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변환에 있어서 변환 영역 내의 값들의 분포와 특성에 따라서 코딩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양자화부(115)는 변환부(110)에서 출력된 변환 계수 값을 양자화한다.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픽쳐 신호를 그대로 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예측부(150)를 통해 이미 코딩된 영역을 이용하여 픽쳐를 예측하고, 예측된 픽쳐에 원본 픽쳐와 예측 픽쳐 간의 레지듀얼 값을 더하여 복원 픽쳐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인코더와 디코더에서 미스매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코더에서 예측을 수행할 때에는 디코더에서도 사용 가능한 정보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코더에서는 부호화한 현재 블록을 다시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역양자화부(120)에서는 변환 계수 값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부(125)에서는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값을 이용하여 레지듀얼 값을 복원한다. 한편, 필터링부(130)는 복원된 픽쳐의 품질 개선 및 부호화 효율 향상을 위한 필터링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SAO) 및 적응적 루프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을 거친 픽쳐는 출력되거나 참조 픽쳐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호 픽쳐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DPB, 156)에 저장된다.
예측부(150)는 인트라 예측부(152)와 인터 예측부(154)를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부(152)는 현재 픽쳐 내에서 인트라(intra) 예측을 수행하며, 인터 예측부(154)는 복호 픽쳐 버퍼(156)에 저장된 참조 픽쳐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를 예측하는 인터(inter)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152)는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샘플들로부터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인트라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에 전달한다. 인트라 부호화 정보는 인트라 예측 모드, MPM(Most Probable Mode) 플래그, MPM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154)는 모션 추정부(154a) 및 모션 보상부(1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추정부(154a)는 복원된 참조 픽쳐의 특정 영역을 참조하여 현재 영역의 모션 벡터값을 획득한다. 모션 추정부(154a)는 참조 영역에 대한 모션 정보(참조 픽쳐 인덱스, 모션 벡터 정보 등)를 엔트로피 코딩부(160)로 전달한다. 모션 보상부(154b)는 모션 추정부(154a)에서 전달된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모션 보상을 수행한다. 인터 예측부(154)는 참조 영역에 대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에 전달한다.
위와 같은 픽쳐 예측이 수행될 경우, 변환부(110)는 원본 픽쳐와 예측 픽쳐 간의 레지듀얼 값을 변환하여 변환 계수 값을 획득한다. 이때, 변환은 픽쳐 내에서 특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정 블록의 크기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할 수 있다. 양자화부(115)는 변환부(110)에서 생성된 변환 계수 값을 양자화하여 엔트로피 코딩부(160)로 전달한다.
엔트로피 코딩부(16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인트라 부호화 정보, 및 인터 부호화 정보 등을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엔트로피 코딩부(160)에서는 가변 길이 코딩(Variable Length Coding, VLC) 방식과 산술 코딩(arithmetic coding)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길이 코딩(VLC) 방식은 입력되는 심볼들을 연속적인 코드워드로 변환하는데, 코드워드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발생하는 심볼들을 짧은 코드워드로, 자주 발생하지 않은 심볼들은 긴 코드워드로 표현하는 것이다. 가변 길이 코딩 방식으로서 컨텍스트 기반 적응형 가변 길이 코딩(Context-based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VLC)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산술 코딩은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들을 하나의 소수로 변환하는데, 산술 코딩은 각 심볼을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적의 소수 비트를 얻을 수 있다. 산술 코딩으로서 컨텍스트 기반 적응형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e, CABAC)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을 기본 단위로 캡슐화 된다. NAL 유닛은 부호화된 정수 개의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을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에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트스트림을 NAL 유닛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각각의 NAL 유닛을 복호화해야 한다. 한편,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의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은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SPS),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VPS) 등과 같은 상위 레벨 세트의 RBSP(Raw Byte Sequence Payload)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1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리하여 표시된 블록들은 인코딩 장치(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인코딩 장치(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인코딩 장치(100)의 각 엘리먼트의 동작은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디코딩 장치(2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25), 필터링부(230) 및 예측부(250)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하여, 각 영역에 대한 변환 계수, 인트라 부호화 정보, 인터 부호화 정보 등을 추출한다. 역양자화부(220)는 엔트로피 디코딩된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하고, 역변환부(225)는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레지듀얼 값을 복원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200)는 역변환부(225)에서 획득된 레지듀얼 값을 예측부(250)에서 획득된 예측값과 합산하여 원래의 화소값을 복원한다.
한편, 필터링부(230)는 픽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화질을 향상시킨다. 여기에는 블록 왜곡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블록킹 필터 및/또는 픽쳐 전체의 왜곡 제거를 위한 적응적 루프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을 거친 픽쳐는 출력되거나 다음 픽쳐에 대한 참조 픽쳐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호 픽쳐 버퍼(DPB, 256)에 저장된다.
예측부(250)는 인트라 예측부(252) 및 인터 예측부(254)를 포함한다. 예측부(250)는 전술한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를 통해 복호화된 부호화 타입, 각 영역에 대한 변환 계수, 인트라/인터 부호화 정보 등을 활용하여 예측 픽쳐를 생성한다. 복호화가 수행되는 현재 블록을 복원하기 위해서, 현재 블록이 포함된 현재 픽쳐 또는 다른 픽쳐들의 복호화된 영역이 이용될 수 있다. 복원에 현재 픽쳐만을 이용하는, 즉 인트라 예측만을 수행하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인트라 픽쳐 또는 I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인터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라고 한다. 인터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 중 각 블록의 샘플값들을 예측하기 위하여 최대 하나의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예측 픽쳐(predictive picture) 또는 P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라고 하며, 최대 두 개의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쌍예측 픽쳐(Bi-predictive picture) 또는 B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 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P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는 각 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최대 하나의 모션 정보 세트를 이용하고, B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는 각 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최대 두 개의 모션 정보 세트를 이용한다. 여기서, 모션 정보 세트는 하나 이상의 모션 벡터와 하나의 참조 픽쳐 인덱스를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부(252)는 인트라 부호화 정보 및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트라 부호화 정보는 인트라 예측 모드, MPM(Most Probable Mode) 플래그, MPM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52)는 현재 블록의 좌측 및/또는 상측에 위치한 복원된 픽셀들을 참조 픽셀들로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픽셀값들을 예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픽셀들은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 및/또는 상측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픽셀들은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의 픽셀들 중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픽셀들 및/또는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픽셀들일 수 있다. 이때,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에 인접한 좌측(L) 블록, 상측(A) 블록, 하좌측(Below Left, BL) 블록, 상우측(Above Right, AR) 블록 또는 상좌측(Above Left, AL)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54)는 복호 픽쳐 버퍼(256)에 저장된 참조 픽쳐 및 인터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인터 부호화 정보는 참조 블록에 대한 현재 블록의 모션 정보(참조 픽쳐 인덱스, 모션 벡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에는 L0 예측, L1 예측 및 쌍예측(Bi-prediction)이 있을 수 있다. L0 예측은 L0 픽쳐 리스트에 포함된 1개의 참조 픽쳐를 이용한 예측이고, L1 예측은 L1 픽쳐 리스트에 포함된 1개의 참조 픽쳐를 이용한 예측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1세트의 모션 정보(예를 들어,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가 필요할 수 있다. 쌍예측 방식에서는 최대 2개의 참조 영역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2개의 참조 영역은 동일한 참조 픽쳐에 존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픽쳐에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쌍예측 방식에서는 최대 2세트의 모션 정보(예를 들어,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가 이용될 수 있는데, 2개의 모션 벡터가 동일한 참조 픽쳐 인덱스에 대응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참조 픽쳐 인덱스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때, 참조 픽쳐들은 시간적으로 현재 픽쳐 이전이나 이후 모두에 표시(또는 출력)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54)는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참조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블록은 참조 픽쳐 인덱스에 대응하는 참조 픽쳐 내에 존재한다. 또한, 모션 벡터에 의해서 특정된 블록의 픽셀값 또는 이의 보간(interpolation)된 값이 현재 블록의 예측값(predictor)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서브펠(sub-pel) 단위의 픽셀 정확도를 갖는 모션 예측을 위하여 이를 테면, 루마 신호에 대하여 8-탭 보간 필터가, 크로마 신호에 대하여 4-탭 보간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서브펠 단위의 모션 예측을 위한 보간 필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인터 예측부(254)는 이전에 복원된 픽쳐로부터 현재 유닛의 텍스쳐를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ion)을 수행한다.
상기 인트라 예측부(252) 또는 인터 예측부(254)로부터 출력된 예측값, 및 역변환부(225)로부터 출력된 레지듀얼 값이 더해져서 복원된 비디오 픽쳐가 생성된다. 즉,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200)는 예측부(250)에서 생성된 예측 블록과 역변환부(225)로부터 획득된 레지듀얼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한다.
한편, 도 2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2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리하여 표시된 블록들은 디코딩 장치(2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디코딩 장치(2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디코딩 장치(200)의 각 엘리먼트의 동작은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픽쳐 내에서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이 코딩 유닛들(Coding Units, CUs)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비디오 신호의 코딩 과정에서, 픽쳐는 코딩 트리 유닛(CTU)들의 시퀀스로 분할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은 루마(luma) 샘플들의 NXN 블록과, 이에 대응하는 크로마(chroma) 샘플들의 2개의 블록들로 구성된다. 코딩 트리 유닛은 복수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상기에서 설명한 비디오 신호의 처리 과정, 즉 인트라/인터 예측, 변환, 양자화 및/또는 엔트로피 코딩 등의 과정에서 픽쳐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 단위를 가리킨다. 하나의 픽쳐 내에서 코딩 유닛의 크기 및 모양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코딩 유닛(혹은, 직사각형 블록)은 수직 코딩 유닛(혹은, 수직 블록)과 수평 코딩 유닛(혹은, 수평 블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 블록은 높이가 너비보다 큰 블록이며, 수평 블록은 너비가 높이보다 큰 블록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사각형이 아닌(non-square) 블록은 직사각형 블록을 가리킬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인코딩 장치(100) 및 디코딩 장치(200)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코딩 장치(100) 및 디코딩 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코딩 트리 유닛은 먼저 쿼드 트리(Quad Tree, QT) 구조로 분할된다. 즉, 쿼드 트리 구조에서 2NX2N 크기를 가지는 하나의 노드는 NXN 크기를 가지는 네 개의 노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쿼드 트리는 4진(quaternary) 트리로도 지칭될 수 있다. 쿼드 트리 분할은 재귀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깊이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한편, 전술한 쿼드 트리의 리프 노드(leaf node)는 멀티-타입 트리(Multi-Type Tree, MTT) 구조로 더욱 분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타입 트리 구조에서는 하나의 노드가 수평 혹은 수직 분할의 2진(binary, 바이너리) 혹은 3진(ternary, 터너리) 트리 구조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는 수직 바이너리 분할, 수평 바이너리 분할, 수직 터너리 분할 및 수평 터너리 분할의 4가지 분할 구조가 존재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트리 구조에서 노드의 너비 및 높이는 모두 2의 거듭제곱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너리 트리(Binary Tree, BT) 구조에서, 2NX2N 크기의 노드는 수직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2개의 NX2N 노드들로 분할되고, 수평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2개의 2NXN 노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터너리 트리(Ternary Tree, TT) 구조에서, 2NX2N 크기의 노드는 수직 터너리 분할에 의해 (N/2)X2N, NX2N 및 (N/2)X2N의 노드들로 분할되고, 수평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2NX(N/2), 2NXN 및 2NX(N/2)의 노드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타입 트리 분할은 재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멀티-타입 트리의 리프 노드는 코딩 유닛이 될 수 있다. 코딩 유닛이 최대 변환 길이에 비해 너무 크지 않으면, 해당 코딩 유닛은 더 이상의 분할 없이 예측 및 변환의 단위로 사용된다. 한편, 전술한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에서 다음의 파라메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에 정의되거나 PPS, SPS, VPS 등과 같은 상위 레벨 세트의 RBSP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1) CTU 크기: 쿼드 트리의 루트 노드(root node) 크기, 2) 최소 QT 크기(MinQtSize): 허용된 최소 QT 리프 노드 크기, 3) 최대 BT 크기(MaxBtSize): 허용된 최대 BT 루트 노드 크기, 4) 최대 TT 크기(MaxTtSize): 허용된 최대 TT 루트 노드 크기, 5) 최대 MTT 깊이(MaxMttDepth): QT의 리프 노드로부터의 MTT 분할의 최대 허용 깊이, 6) 최소 BT 크기(MinBtSize): 허용된 최소 BT 리프 노드 크기, 7) 최소 TT 크기(MinTtSize): 허용된 최소 TT 리프 노드 크기.
도 4는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의 분할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의 분할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기 설정된 플래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쿼드 트리 노드의 분할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qt_split_flag', 멀티-타입 트리 노드의 분할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mtt_split_flag', 멀티-타입 트리 노드의 분할 방향을 지시하는 플래그 'mtt_split_vertical_flag' 또는 멀티-타입 트리 노드의 분할 모양을 지시하는 플래그 'mtt_split_binary_flag'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딩 트리 유닛은 쿼드 트리의 루트 노드이며, 쿼드 트리 구조로 우선 분할될 수 있다. 쿼드 트리 구조에서는 각각의 노드 'QT_node' 별로 'qt_split_flag'가 시그널링된다. 'qt_split_flag'의 값이 1일 경우 해당 노드는 4개의 정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되며, 'qt_split_flag'의 값이 0일 경우 해당 노드는 쿼드 트리의 리프 노드 'QT_leaf_node'가 된다.
각각의 쿼드 트리 리프 노드 'QT_leaf_node'는 멀티-타입 트리 구조로 더 분할될 수 있다.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서는 각각의 노드 'MTT_node' 별로 'mtt_split_flag'가 시그널링된다. 'mtt_split_flag'의 값이 1일 경우 해당 노드는 복수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되며, 'mtt_split_flag'의 값이 0일 경우 해당 노드는 멀티-타입 트리의 리프 노드 'MTT_leaf_node'가 된다. 멀티-타입 트리 노드 'MTT_node'가 복수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될 경우(즉, 'mtt_split_flag'의 값이 1일 경우), 노드 'MTT_node'를 위한 'mtt_split_vertical_flag' 및 'mtt_split_binary_flag'가 추가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mtt_split_vertical_flag'의 값이 1일 경우 노드 'MTT_node'의 수직 분할이 지시되며, 'mtt_split_vertical_flag'의 값이 0일 경우 노드 'MTT_node'의 수평 분할이 지시된다. 또한, 'mtt_split_binary_flag'의 값이 1일 경우 노드 'MTT_node'는 2개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되며, 'mtt_split_binary_flag'의 값이 0일 경우 노드 'MTT_node'는 3개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트라 예측부는 현재 블록의 좌측 및/또는 상측에 위치한 복원된 픽셀들을 참조 픽셀들로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픽셀값들을 예측한다.
먼저, 도 5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서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샘플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픽셀들은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 및/또는 상측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블록의 크기가 WXH이고 현재 블록에 인접한 단일 참조 라인(line)의 픽셀들이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경우, 현재 블록의 좌측 및/또는 상측에 위치한 최대 2W+2H+1개의 인접 픽셀들을 사용하여 참조 픽셀들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다중 참조 라인의 픽셀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중 참조 라인은 현재 블록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한 n개의 라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을 위해 다중 참조 라인의 픽셀들이 사용될 경우, 참조 픽셀들로 설정될 라인들을 지시하는 별도의 인덱스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참조 픽셀로 사용될 적어도 일부의 인접 픽셀이 아직 복원되지 않은 경우, 인트라 예측부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른 참조 샘플 패딩 과정을 수행하여 참조 픽셀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인트라 예측부는 인트라 예측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참조 샘플 필터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접 픽셀들 및/또는 참조 샘플 패딩 과정에 의해 획득된 픽셀들에 필터링을 수행하여 참조 픽셀들이 획득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는 이와 같이 획득된 참조 픽셀들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픽셀들을 예측한다.
다음으로, 도 6은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인트라 예측을 위해, 인트라 예측 방향을 지시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현재 블록이 인트라 예측 블록일 경우, 디코더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수신한다. 디코더의 인트라 예측부는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 모드 세트는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들(예, 총 67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 세트는 평면 모드, DC 모드 및 복수의(예, 65개의) 각도 모드들(즉, 방향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기 설정된 인덱스(즉,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0은 평면 모드를 지시하고,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1은 DC 모드를 지시한다. 또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2 내지 66은 서로 다른 각도 모드들을 각각 지시할 수 있다. 각도 모드들은 기 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의 서로 다른 각도들을 각각 지시한다. 예를 들어, 각도 모드는 시계 방향으로 45도에서 -135도 사이의 각도 범위(즉, 제1 각도 범위) 이내의 각도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각도 모드는 12시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2는 수평 대각(Horizontal Diagonal, HDIA) 모드를 지시하고,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18은 수평(Horizontal, HOR) 모드를 지시하고,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34는 대각(Diagonal, DIA) 모드를 지시하고,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50은 수직(Vertical, VER) 모드를 지시하며,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66은 수직 대각(Vertical Diagonal, VDIA) 모드를 지시한다.
한편, 기 설정된 각도 범위는 현재 블록의 모양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이 직사각형 블록일 경우 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초과하거나 -135도 미만 각도를 지시하는 광각 모드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이 수평 블록일 경우, 각도 모드는 시계 방향으로 (45+offset1)도에서 (-135+offset1)도 사이의 각도 범위(즉, 제2 각도 범위) 이내의 각도를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각도 모드 67 내지 76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이 수직 블록일 경우, 각도 모드는 시계 방향으로 (45-offset2)도에서 (-135-offset2)도 사이의 각도 범위(즉, 제3 각도 범위) 이내의 각도를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각도 모드 -10 내지 -1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offset1 및 offset2의 값은 직사각형 블록의 너비와 높이 간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offset1 및 offset2는 양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 모드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각도 모드들은 기본 각도 모드와 확장 각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장 각도 모드는 기본 각도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각도 모드는 기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표준의 인트라 예측에서 사용되는 각도에 대응하는 모드이고, 확장 각도 모드는 차세대 비디오 코덱 표준의 인트라 예측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각도에 대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본 각도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 {2, 4, 6, …, 66}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각도 모드이고, 확장 각도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 {3, 5, 7, …, 65}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각도 모드일 수 있다. 즉, 확장 각도 모드는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기본 각도 모드들 사이의 각도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확장 각도 모드가 지시하는 각도는 기본 각도 모드가 지시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각도 모드는 기 설정된 제1 각도 범위 이내의 각도에 대응하는 모드이고, 확장 각도 모드는 상기 제1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광각 모드일 수 있다. 즉, 기본 각도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 {2, 3, 4, …, 66}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각도 모드이고, 확장 각도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 {-10, -9, …, -1} 및 {67, 68, …, 76}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각도 모드일 수 있다. 확장 각도 모드가 지시하는 각도는 대응하는 기본 각도 모드가 지시하는 각도의 반대편 각도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각도 모드가 지시하는 각도는 기본 각도 모드가 지시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확장 각도 모드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 블록의 크기 및/또는 모양에 따라 추가적인 확장 각도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각도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 {-14, -13, …, -1} 및 {67, 68, …, 8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각도 모드로 정의될 수도 있다. 한편, 인트라 예측 모드 세트에 포함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총 개수는 전술한 기본 각도 모드와 확장 각도 모드의 구성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확장 각도 모드들 간의 간격은 대응하는 기본 각도 모드들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각도 모드들 {3, 5, 7, …, 65} 간의 간격은 대응하는 기본 각도 모드들 {2, 4, 6, …, 66}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확장 각도 모드들 {-10, -9, …, -1} 간의 간격은 대응하는 반대편의 기본 각도 모드들 {56, 57, …, 65}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확장 각도 모드들 {67, 68, …, 76} 간의 간격은 대응하는 반대편의 기본 각도 모드들 {3, 4, …, 12}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확장 각도 모드들 간의 각도 간격은 대응하는 기본 각도 모드들 간의 각도 간격과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인트라 예측 모드 세트에서 확장 각도 모드들의 개수는 기본 각도 모드들의 개수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 각도 모드는 기본 각도 모드를 기초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각 모드(즉, 확장 각도 모드)는 제1 각도 범위 이내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모드(즉, 기본 각도 모드)를 대체할 수 있다. 대체되는 기본 각도 모드는 광각 모드의 반대편에 대응하는 각도 모드일 수 있다. 즉, 대체되는 기본 각도 모드는 광각 모드가 지시하는 각도의 반대 방향의 각도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반대 방향의 각도로부터 기 설정된 오프셋 인덱스만큼 차이 나는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모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오프셋 인덱스는 1이다. 대체되는 기본 각도 모드에 대응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는 광각 모드에 다시 매핑되어 해당 광각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각 모드 {-10, -9, …, -1}은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57, 58, …, 66}에 의해 각각 시그널링될 수 있고, 광각 모드 {67, 68, …, 76}은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 {2, 3, …, 11}에 의해 각각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 각도 모드를 위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가 확장 각도 모드를 시그널링하도록 함으로, 각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각도 모드들의 구성이 서로 다르더라도 동일한 세트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들이 인트라 예측 모드의 시그널링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 모드 구성의 변화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확장 각도 모드의 사용 여부는 현재 블록의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 확장 각도 모드가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기본 각도 모드만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이 정사각형이 아닌 블록인 경우 확장 각도 모드가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되고, 현재 블록이 정사각형 블록인 경우 기본 각도 모드만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참조 픽셀들 및/또는 보간된 참조 픽셀들을 결정한다.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가 특정 각도 모드를 지시할 경우, 현재 블록의 현재 픽셀로부터 상기 특정 각도에 대응하는 참조 픽셀 또는 보간된 참조 픽셀이 현재 픽셀의 예측에 사용된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세트의 참조 픽셀들 및/또는 보간된 참조 픽셀들이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참조 픽셀들 및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이 수행되고 나면, 디코더는 역변환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블록의 잔차 신호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값과 더하여 현재 블록의 픽셀 값들을 복원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의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13과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ock DPCM(BDPCM)의 예측 모드 및 양자화된 잔차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은 화면내(인트라) 예측 방법 중 하나 일 수 있다. BDPCM은 2개의 화면내(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면내 예측 모드 중 수직방향 예측 모드와 수평 방향 예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화면내 예측 모드 총 개수가 67개를 사용하는 경우 수직 방향 예측 모드의 인덱스는 50 일 수 있고 수평 방향 예측 모드는 18번 일 수 있다. BDPCM를 사용하는 경우 2개의 모드 중 하나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현재 코딩 블록에 대해 BDPMC이 적용되는 경우 참조 샘플은 필터링 되지 않은 샘플들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직 방향 예측 모드가 BDPCM에 적용되면 현재 코딩 블록의 너비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사용할 수 있고 각 샘플은 해당 열에 같은 값으로 예측할 수 있다. 수평 방향 예측 모드가 BDPCM에 적용되면 현재 코딩 블록의 높이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사용할 수 있고 각 샘플은 해당 행의 모든 샘플을 같은 값으로 예측할 수 있다. BDPCM이 적용된 블록은 변환 과정을 생략하고 잔차 신호 코딩하여 디코더로 알려 줄 수 있다. 도 8의 "A. BDPCM 예측 모드"는 잔차 신호 코딩에 관한 방법이다.
코딩 블록의 크기가 M(rows) x N(cols)이고
Figure pct00001
는 예측 잔자 신호일 수 있다. 예측 잔차 신호는 원본 샘플값과 참조 샘플로 예측된 예측값과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2
는 상기 예측 잔차 신호가 양자화 된 양자화 예측 잔차 신호 일 수 있다.
수직방향 BDPCM이 적용되면 다음과 같이 최종 값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수평방향 BDPCM이 적용되면 다음과 같이 최종 값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디코더는 인코더의 반대로 계산하여 양자화된 잔차 신호를 생성하고 예측 값에 더해서 복원 신호를 만들 수 있다.
도 9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에 정의된 BDPCM 플래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위 레벨에서 BDPCM 플래그를 정의하고 해당 기능을 on/off 할 수 있다. 상위 레벨순으로 나열하면 video parameter set, sequence parameter set, picture parameter set, 등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플래그를 sequence parameter set(SPS)에 정의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는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낸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710)를 수행할 수 있다.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1 과 같으면 BDPCM이 활성화됨을 지시한다. 그 값이 0과 같으면 BDPCM은 비 활성화됨을 지시할 수 있다. 지시하는 값은 반대로도 정의 가능하고 어떤 형태로든 활성화 비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에서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는 시퀀스 단위로 정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는 Coding Tree Unit(CTU),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타일 그룹(tile group), 픽처(picture), 서브 픽처(subpicture), 시퀀스(sequence), 또는 비디오(video) 단위 중 적어도 하나에 시그널링 될 수 있다.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Coding Tree Unit(CTU),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타일 그룹(tile group), 픽처(picture), 서브픽처(subpicture), 또는 비디오(video) 단위로 시그널링 되는 경우,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의 명칭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그 기능은 동일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는 별다른 조건 없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변환 유닛(transform unit)에서 존재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스킵 활성화 정보(sps_transform_skip_enabled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변환 유닛은 코딩 블록에 포함된 픽셀들을 변환하기 위한 유닛으로써, 코딩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변환 유닛은 현재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변환 스킵 활성화 정보(sps_transform_skip_enabled_flag)는 변환 스킵이 사용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변환 스킵 활성화 정보(sps_transform_skip_enabled_flag)는 시퀀스 단위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변환 스킵 활성화 정보(sps_transform_skip_enabled_flag)가 1 인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추후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변환 스킵 활성화 정보(sps_transform_skip_enabled_flag)가 0 인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고,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추후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중 디코더가 변환 스킵 정보를 파싱하지 않는다는 것은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중 인코더가 변환 스킵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변환 스킵 활성화 정보(sps_transform_skip_enabled_flag)가 1인 경우,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도 10는 코딩 유닛 신택스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예측하고자 하는 코딩 블록 단위로 필요한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며 인코더에서는 해당 조건에 맞게 시그널링하고 디코더에서도 해당 조건에 맞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해당 코딩 블록의 좌상측의 좌표 (x0, y0)에서 pcm_flag[x0][y0]가 pcm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0의 값과 같으면 treeType이 SINGLE_TREE 이거나 DUAL_TREE_LUMA인지 확인할 수 있다. treeType이 SINGLE_TREE 이거나 DUAL_TREE_LUMA인 경우,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는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1인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0인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0인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됨을 의미할 수 있고,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1인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는 intra_bdpcm_flag[x0][y0]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x0 및 y0는 현재 블록의 좌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x0 및 y0는 현재 블록의 좌상측 픽셀의 좌표일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파싱되기 위해서는 해당 코딩 유닛의 너비와 높이에 대한 조건과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의 활성화/비활성화 조건이 만족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너비와 높이는 모두 32와 같거나 작고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는 활성화를 지시하는 1과 같아야할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가 사용되었음을 지시하는 1과 같으면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x0][y0])를 시그널링/파싱 할 수 있다. 해당 플래그는 BDPCM에 적용된 예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예측 모드는 18번 수평 방향 예측 모드와 50 수식 방향 예측 모드 중 하나 일 수 있다.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x0][y0]) 값이 0이면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이고, 1이면 50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상위 레벨에서 정의된 sps_bdpcm_enabled_flag의 값에 의해 코딩 블록에서 BDPCM 기능의 사용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코딩 유닛 신택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BDPCM의 적용 블록 크기 변수를 포함한 도면이다.
BDPCM이 적용된 블록의 크기를 기 설정된 변수를 통해서 가변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혹은 기 설정된 다른 변수와 같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Value1)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Value2)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720)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를 시그널링/파싱하기 위한 조건은 코딩 블록 너비(cbWidth)가 제 1 값(Value1)과 같거나 작거나 코딩 블록 높이(cbHeight)가 제 2 값(Value2)과 같거나 작은 경우 일 수 있다. Value1과 Value2는 같거나 서로 다른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값(Value1) 및 제 2 값(Value2)은 transform skip에 적용된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일 수 있다. transform skip에 적용된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는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사이즈일 수 있다.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는 4 부터 32사이의 값일 수 있다.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신택스 변수 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2는 transform skip이 적용되는 최대 블록 크기를 지시하며 그 값은 0에서 3 사이일 수 있다. 해당 변수(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2)가 존재 않으면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해당 변수(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를 이용하여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변수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는 1<<(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2 + 2) 과 같이 설정된다.
다른 방법으로 transform skip 조건과 관련된 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2를 이용하지 하지 않고 별도의 BDPCM을 위한 블록 크기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수 MaxBdpcmSize를 이용할 수 있다. MaxBdpcmSize의 크기는 log2_bdpcm_max_size_minus2로 시그널링되는 값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MaxBdpcmSize은 1 <<(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2 + 2 )로 설정될 수 있다. 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2는 0에서 최대값 일 수 있고 최대값은 7, 6, 5, 4, 3, 2, 1 값들중 하나 일 수 있다. Transform skip 조건과 관련된 log2_transform_skip_max_size_minus2를 사용하는 경우 추가 변수 설정이 필요 없어,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추가적으로 전송될 정보가 없을 수 있다. 그렇지 않고 log2_bdpcm_max_size_minus2를 이용하는 경우, log2_bdpcm_max_size_minus2와 같은 추가 변수가 필요하게 되지만 블록의 크기의 자유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와 비슷한 방법으로 Value1과 Value2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의 시그널링/파싱 조건에 sps_bdpcm_enabled_flag를 포함시킬 수 있다. sps_bdpcm_enabled_flag && cbWidth <= Value1 && cbHeight <= Value2처럼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예측하고자 하는 코딩 블록 단위로 필요한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며 인코더에서는 해당 조건에 맞게 시그널링하고 디코더에서도 해당 조건에 맞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할 수 있다. 라인(1110)을 참조하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해당 코딩 블록의 좌상측의 좌표 (x0, y0)에서 pcm_flag[x0][y0]가 pcm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라인(1120)을 참조하면, 코딩 블록의 좌상측의 좌표 (x0, y0)에서 pcm_flag[x0][y0]가 pcm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0의 값과 같으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treeType이 SINGLE_TREE 이거나 DUAL_TREE_LUMA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reeType이 SINGLE_TREE 이거나 DUAL_TREE_LUMA인 경우,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는지 여부,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value1)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 또는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value2)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라인(1130)에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기재하고 있지 않으나,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는지 여부 역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값 및 제 2 값은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일 수 있다.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라인(1140)을 참조하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720)를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는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는 intra_bdpcm_flag[x0][y0]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x0 및 y0는 현재 블록의 좌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x0 및 y0는 현재 블록의 좌상측 픽셀의 좌표일 수 있다.
라인(1150)을 참조하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가 BDPCM의 사용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라인(1160)을 참조하면,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730)를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가 0인 경우 수평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가 1인 경우 수직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가 1인 경우 수평 모드를 나타낼 수 있고,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가 0인 경우 수직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는 BDPCM에 적용된 예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예측 모드는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50번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는 수평 방향 예측 모드이며 50번 인트라 예측 모드는 수직 방향 예측 모드일 수 있다.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x0][y0]) 값이 0이면 BDPCM 예측 방향은 수평방향을 나타내고,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x0][y0]) 값이 1이면 BDPCM 예측 방향은 수직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x0][y0]) 값이 0이면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지시하고, 1이면 50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상위 레벨에서 정의된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의 값에 의해 코딩 블록에서 해당 기능의 사용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는 크로마 성분 및 루마 성분 별로 파싱될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 및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는 크로마 성분에 상관없이 루마 성분을 위해 파싱될 수 있다 즉,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luma_flag) 또는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luma_dir_flag)를 파싱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chroma_flag) 또는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chroma_dir_flag)를 파싱할 수 있다.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luma_flag) 및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_luma_dir_flag)를 획득하는 과정은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chroma_flag) 및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chroma_dir_flag)를 획득하는 과정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루마 성분의 현재 블록 및 크로마 성분의 현재 블록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루마 성분의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위치는 크로마 성분의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위치와 다를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루마 코딩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루마 코딩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luma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유사하게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BDPCM 활성 정보(sps_bdpcm_enabled_flag)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크로마 코딩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현재 크로마 코딩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chroma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또한,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luma_flag)가 현재 루마 코딩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루마 코딩 블록에 대한 루마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luma_dir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chroma_flag)가 현재 크로마 코딩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크로마 코딩 블록에 대한 크로마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chroma_dir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값 및 제 2 값은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MaxTsSize)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는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luma_flag) 및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chroma_flag)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는 루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luma_dir_flag) 및 크로마 성분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chroma_dir_flag)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740)를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740)에 대해서는 도 8과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은 변환 유닛 신택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BDPCM이 적용된 코딩 블록은 변환 과정 없이 도 8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잔차 신호를 코딩할 수 있다. 해당 블록이 변환 과정을 적용하지 않도록 하는 신택스 변수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 일 수 있다. 즉,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해당 블록에 대하여 변환을 적용할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미리 지정된 값과 같은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1인 경우, 해당 변환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스킵될 수 있다. 또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0인 경우, 해당 변환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스킵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0인 경우, 해당 변환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스킵될 수 있다. 또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1인 경우, 해당 변환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스킵되지 않을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컬러 성분 별로 transform_skip_flag[x0][y0]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x0 및 y0는 해당 변환 블록의 좌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x0 및 y0는 해당 블록의 좌상측 픽셀의 좌표일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는 변환 블록 단위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코더는 변환 블록 단위로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를 시그널링/파싱 하기위한 조건으로 우선 tu_cbf_luma[x0][y0] 값이 1인지, treeType이 DUAL_TYPE_TREE_CHROMA와 다른지, 코딩 유닛의 너비와 높이가 32와 같거나 작은지 IntraSubPartitionsSplit[x0][y0] 이 ISP_NO_SPLIT과 같은지, cu_sbt_flag가 0 과 같은지,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 가 0과 같은지를 만족하여야 할 수 있다. 또한 transform_skip_enabled_flag && tbWidth<=MaxTsSize && tbHeight<=MaxTsSize 조건도 만족하여야 할 수 있다. tbWidth는 변환 블록의 너비를 나타내는 변수, tbHeight는 변환 블록의 높이를 나타내는 변수일 수 있다.
위 조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써, 위 조건들 중 일부는 다른 조건으로 대체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조건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만, 위 조건들 중 일부는 유지되어, 영상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BDPCM이 적용된 코딩블록은 transform skip이 적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정보를 시그널링/파싱 하지 않고 추론하여 transform skip 적용을 알 수 있다. 즉,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하여 변환을 적용하지 않을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1인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여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파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중 일부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파싱하지 않으므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존재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존재 않을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에 기초하여 transform_skip_flag를 추론하여 transform skip 적용 여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없고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가 1이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를 제 1 추론값으로 추론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1이라는 것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낼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의 값이 제1 추론값인 경우, 변환 스킵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없고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가 0이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를 제 2 추론값으로 추론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0이라는 것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의 값이 제 2 추론값인 경우, 변환 스킵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적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추론값은 1이고, 제 2 추론값은 0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추론값은 0이고, 제 2 추론값은 1일 수 있다.
BDPCM이 적용된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1이면 residual_ts_coding()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이 함수를 통해 도 8에서 변환된 잔차 신호가 코딩 될 수 있다. 추가하여 같은 방법으로 tbWidth와 tbHeight의 MinBdpcmSize 조건도 추가할 수 있다. 해당값은 상위 레벨에서 비슷한 방법으로 시그널링되고 계산될 수 있다. 도 13와 같은 조건에도 MinBdpcmSize조건을 추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3는 변환 유닛 신택스의 일부분 내에서 transform skip 플래그의 시그널링/파싱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상기 도 12와 유사한 실시예이다. BDPCM이 적용된 코딩블록은 transform skip이 적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정보를 시그널링/파싱 하지 않고 추론하여 transform skip 적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DPCM이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조건을 transform skip 플래그를 시그널링/파싱하는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도 13에서처럼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파싱하기 위한 조건으로써, (transform_skip_enabled_flag && tbWidth <= MaxTsSize && tbHeight <= MaxTsSize && (! intra_bdpcm_flag[x0][y0]))와 같은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transform_skip_enabled_flag가 1과 같고, tbWidth <= MaxTsSize을 만족하고, tbHeight <= MaxTsSize을 만족하고, intra_bdpcm_flag[x0][y0] 가 0과 같아야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파싱할 수 있다. 즉, transform skip 조건과 BDPCM이 적용되지 않은 블록에서만 transform_skip_flag[x0][y0]를 시그널링/파싱 하도록 할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를 시그널링/파싱 하기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라인(1310)을 참조하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tu_cbf_luma[x0][y0] 값이 1인지, treeType이 DUAL_TYPE_TREE_CHROMA와 다른지, 변환 블록의 너비(tbWidth)와 높이(tbHeight)가 32와 같거나 작은지 IntraSubPartitionsSplit[x0][y0] 이 ISP_NO_SPLIT과 같은지, cu_sbt_flag가 0 과 같은지,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가 0과 같은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0과 같다는 것은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라인(1320)을 참조하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transform_skip_enabled_flag && tbWidth<=MaxTsSize && tbHeight<=MaxTsSize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위 조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써, 위 조건들 중 일부는 다른 조건으로 대체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조건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만, 위 조건들 중 일부는 유지되어, 영상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BDPCM이 적용된 코딩블록은 transform skip이 적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정보를 시그널링/파싱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하여 변환을 적용하지 않을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1인 경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여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파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존재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존재 않을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에 기초하여 transform_skip_flag를 추론하여 transform skip 적용 여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없고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가 1이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를 1로 추론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1이라는 것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가 없고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x0][y0])가 0이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x0][y0])를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라 BDPCM 정보(intra_bdpcm_flag)가 0이라는 것은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코더는 중복되는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디코더는 파싱하지 않으므로써, 인코딩/디코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인코더는 transform_skip_flag를 생성하지 않아 인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비트스트림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코더는 파싱 과정 없이 정보를 추론함으로써 컴퓨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크로마 성분들 및 루마 성분 별로 파싱될 수 있다. 크로마 성분들은 Cb, Cr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Cb 및 Cr 별로 파싱될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크로마 성분에 상관없이 루마 성분을 위해 파싱될 수 있다.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루마 성분에 상관없이 크로마 성분을 위해 파싱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루마 성분에 대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획득할 수 있고, 크로마 성분에 대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가 없는 경우,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는 크로마 성분 및 루마 성분 별로 추론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추론할 수 있다. 또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루마 성분에 대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이용하여 크로마 성분에 대한 변환 스킵 정보(transform_skip_flag)를 추론할 수 있다.
도 14은 BDPCM이적용된 블록의 화면내 예측 모드 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BDPCM이 적용된 블록은 intra_bdpcm_dir_flag[x0][y0]의 값에 의해 인트라(화면내) 예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가 0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18번 모드)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intra_bdpcm_dir_flag)가 1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직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50 모드)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BDPCM이 적용된 블록에서 사용된화면내 예측 모드가 일반적인 화면내 예측 모드와 그 방식이 같아 해당 모드를 현재 예측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변수(IntraPredModeY[xCb][yCb])로 저장하여 일반 코딩 블록의 MPM유도시 사용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 이후에 복원될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현재 블록 이후에 복원될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후보로써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파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복수의 후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현재 블록 이후에 복원될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 복원된 코딩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후보로써 이미 복원된 코딩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파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복수의 후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은 BDPCM이 적용된 블록이 아닌 일반 블록이고 이미 복원된 이웃 블록 중 하나가 BDPCM이 적용된 블록이고 intra_bdpcm_dir_flag[x0][y0]이 0이면 IntraPredModeY[xCb][yCb]는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일반 코딩 블록을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기 위하여, 이미 복원된 이웃 블록의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MPM유도시 이미 복원된 이웃 블록의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BDPCM이 적용된 블록의 예측 모드는 최종 잔차 신호들이 최소화가 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예측 방법은 동일할 수 있으나 잔차의 패턴이 일반적인 상황과 다를 수 있어 기 설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BDPCM의 수평 방향 모드에 수직 방향으로, BDPCM의 수직 방향 모드에 수평 방향으로, 혹은 BDPCM의 두 방향에 하나의 모드로 DC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디코더 관점에서 기술되었으나 인코더에서도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내용중 파싱이라는 용어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중점 설명하였으나 인코더 측면에서는 비트 스트림에 해당 정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파싱이라는 용어를 디코더 동작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인코에서는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행위로까지 해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디코딩을 위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 및 상기 제 2 값은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 및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크로마 성분에 상관없이 루마 성분을 위해 파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DPCM 활성 정보는 시퀀스(sequence)로 시그널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파싱하지 않고,
    상기 변환 스킵 정보는 상기 변환 스킵 정보의 값이 제 1 추론값인 경우 상기 변환 스킵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변환 스킵 정보를 상기 제 1 추론값으로 추론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변환 스킵 정보를 제 2 추론값으로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0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1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직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현재 블록 이후에 복원될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10. 영상을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고,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고,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 및 상기 제 2 값은 변환 스킵을 허용하는 최대 블록 크기인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 및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크로마 성분에 상관 없이 루마 성분을 위해 파싱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DPCM 활성 정보는 시퀀스(sequence)로 시그널링 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파싱하지 않고,
    상기 변환 스킵 정보는 상기 변환 스킵 정보의 값이 제 1 추론값인 경우 상기 변환 스킵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에 대하여 변환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변환 스킵 정보를 상기 제 1 추론값으로 추론하고,
    상기 변환 스킵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변환 스킵 정보를 제 2 추론값으로 추론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를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0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고,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가 1인 경우 복수의 인트라 모드 중 수직 방향에 해당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선택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현재 블록 이후에 복원될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19. 인코딩을 위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BDPCM 활성 정보,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 및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21. 인코딩을 위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BDPCM 활성 정보,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 및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환 블록의 변환 스킵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23. 블록 기반 델타 펄스 코드 변조(Block-based Delta Pulse Code Modulation; BDPCM)의 활성 여부를 나타내는 BDPCM 활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BDPCM 활성 정보가 BDPCM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너비가 제 1 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가 제 2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트라 BDPCM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BDPCM을 적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BDPCM 활성 정보, 상기 인트라 BDPCM 정보, 및 상기 인트라 BDPCM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17040470A 2019-06-11 2020-06-10 Block dpcm 예측 방법을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19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8630 2019-06-11
KR1020190068630 2019-06-11
PCT/KR2020/007530 WO2020251260A1 (ko) 2019-06-11 2020-06-10 Block dpcm 예측 방법을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694A true KR20220019694A (ko) 2022-02-17

Family

ID=7378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470A KR20220019694A (ko) 2019-06-11 2020-06-10 Block dpcm 예측 방법을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12033A1 (ko)
EP (1) EP3985970A4 (ko)
JP (2) JP7358515B2 (ko)
KR (1) KR20220019694A (ko)
CN (1) CN113966610A (ko)
WO (1) WO2020251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89A1 (ko) * 2019-06-18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Bdpcm 기반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WO2020256391A1 (ko) 2019-06-18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EP3989577A4 (en) * 2019-06-18 2023-07-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VIDEO ENCODING/DECODING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A BITSTREAM
JP2022534238A (ja) * 2019-06-18 2022-07-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ブロックサイズに基づいてbdpcmを行う画像デコード方法及びその装置
EP3987785A1 (en) * 2019-06-20 2022-04-27 InterDigital VC Holdings France, SAS Lossless mode for versatile video coding
KR20220050203A (ko) * 2019-10-0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환 스킵 및 팔레트 코딩 관련 고급 문법 요소 기반 영상 또는 비디오 코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125B1 (ko) * 2009-09-22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가능한 영상 인코딩 시스템 및 방법
KR101726572B1 (ko) * 2013-05-22 2017-04-1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손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1323747B2 (en) * 2013-06-05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Residual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DPCM) extensions and harmonization with transform skip, rotation, and scans
GB2516425B (en) * 2013-07-17 2015-12-30 Gurulogic Microsystems Oy Encoder and decoder, and method of operation
US11470339B2 (en) * 2013-08-27 2022-10-11 Qualcomm Incorporated Residual prediction for intra block copying
US9380303B1 (en) * 2015-03-18 2016-06-28 Sony Corporation Adding run-mode to block-based DPCM codec
US11128876B2 (en) * 2019-03-12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Joint coefficient coding of transform skip and BDPCM mode for 4:4:4 color formats
WO2020218793A1 (ko) * 2019-04-20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Bdpcm에 기반한 영상 코딩 방법 및 그 장치
US11595668B2 (en) * 2019-05-22 2023-02-28 Lg Electronics Inc. Image decoding method using BDPCM and device therefor
WO2020235961A1 (ko) * 2019-05-22 2020-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JP2022534238A (ja) 2019-06-18 2022-07-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ブロックサイズに基づいてbdpcmを行う画像デコード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58515B2 (ja) 2023-10-10
US20220312033A1 (en) 2022-09-29
WO2020251260A1 (ko) 2020-12-17
EP3985970A4 (en) 2022-08-03
EP3985970A1 (en) 2022-04-20
JP2023165906A (ja) 2023-11-17
CN113966610A (zh) 2022-01-21
JP2022537805A (ja)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9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 using multiple transform kernels
EP4358514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863760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230174287A (ko) 복수개의 참조 라인을 위한 mpm 구성 방법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EP3985970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block dpcm prediction method
KR20210148321A (ko) 인트라 예측 기반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7379656B2 (ja) 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US119499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s using multiple transform kernels
US201600807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KR102625145B1 (ko)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10377519A1 (en) Intra prediction-base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210084567A (ko) 화면 내 예측 필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U2020407738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201600883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CN114567786B (zh) 以4:4:4色度格式进行视频编解码的方法和装置
KR20220036942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91208A (ko) 현재 픽쳐 참조를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33858A (ko) 비디오 코덱에서 인트라 예측에 따른 이차 변환 커널의 유도 및 매핑 방법
KR20200096385A (ko) 코딩블록과 변환 블록 간 화면내 예측 모드를 통합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55105A (ko) 비디오 코덱에서 신경망 네트워트를 이용한 필터 적용 방법
KR20220055101A (ko) 비디오 코덱에서 인루프 필터의 적용 방법
KR20200054052A (ko) 화면내 블록 복사를 사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35413A (ko) 비디오 코덱에서 행렬 기반 인트라 예측에 따른 명시적 주변환 커널 적용 방법
KR20210000829A (ko) 비디오 코덱에서 화면 내 예측 방법
KR20200041491A (ko) 효율적인 블록 분할 구조와 시그널링 방법을 이용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