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626A -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626A
KR20220019626A KR1020210093563A KR20210093563A KR20220019626A KR 20220019626 A KR20220019626 A KR 20220019626A KR 1020210093563 A KR1020210093563 A KR 1020210093563A KR 20210093563 A KR20210093563 A KR 20210093563A KR 20220019626 A KR20220019626 A KR 2022001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preambles
base station
grou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581B1 (ko
Inventor
박기윤
김석기
박옥선
신은정
신재승
최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389,65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00564B2/en
Publication of KR2022001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04W72/08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기술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품질 요구 정보들과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 품질 요구를 기준으로 상기 품질 요구 정보들과 상기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에 기반하여 프리앰블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메시지의 응답 신호인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RATUS FOR RANDOM ACCESS USING LAYERED PREAMBLES}
본 발명은 랜덤 액세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품질 요구에 따른 충돌 가능성과 수신 오류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될 수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을 수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에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에서 단말은 임의로 프리앰블(preamble)을 선택하여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시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단말이 동일한 하나의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이 균일한 프리앰블 자원을 전제로 하여, 단말의 품질 요구(quality-of-service, QoS)에 따라 접근 가능한 자원의 영역을 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기지국은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단말에게 충돌 가능성을 낮추어 줄 수는 있으나, 충돌을 회피한 이후에 수신 오류율을 낮추어 줄 수는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단말에게 충돌 가능성을 낮추어 주면서 충돌을 회피한 이후에 수신 오류율을 낮추어 줄 수 있는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품질 요구 정보들과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 품질 요구를 기준으로 상기 품질 요구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프리앰블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메시지의 응답 신호인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은 시퀀스 길이가 소수인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들로 이루어진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상호 상관도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제1 프리앰블 그룹과 제2 프리앰블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가 상기 제2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AZAC 시퀀스는 쟈도프 츄(Zadoff-Chu) 시퀀스(sequence)이고, 상기 소수는 389 및 139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송신 전력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송신 전력 정보들에 따른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은 품질 요구의 지연시간이 임계치 미만인 제1 유형의 단말들을 위한 프리앰블 그룹 1과 품질 요구의 지연시간이 임계치 이상인 제2 유형의 단말들을 위한 프리앰블 그룹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리앰블 그룹 1을 위한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프리앰블 그룹 2를 위한 송신 전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CH(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션(occasion) 번들 및 상기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 개수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RACH 오게이션에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시지는 MsgA이고, 상기 제2 메시지는 MsgB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프리앰블 그룹들,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소속 프리앰블들 및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정보들,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에 대한 정보들 및 상기 품질 요구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품질 요구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메시지의 응답 신호인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소속 프리앰블들 및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시퀀스 길이가 소수인 CAZAC 시퀀스들을 프리앰블들로 하는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상기 프리앰블들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상기 프리앰블들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상기 프리앰블들에서 제1 임계치 이상의 상호 상관도를 갖는 프리앰블들을 제외하는 단계;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나머지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상호 상관도를 기준으로 상기 나머지 프리앰블들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품질 요구 기준들을 구분하여 품질 요구 단계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하여 상기 품질 요구 단계들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선택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을 지시하는 품질 요구 지시자(specifier)들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프리앰블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을 포함한 다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제1 메시지들의 수신 신호 행렬에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의 프리앰블 행렬을 적용하여 상관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상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행렬에서 상기 검출한 소속 프리앰블들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를 제거한 상기 수신 신호 행렬에서 나머지 프리앰블 그룹들의 소속 프리앰블들을 검출하여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장치는,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품질 요구 정보들과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을 수신하고; 단말 품질 요구를 기준으로 상기 품질 요구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메시지의 응답 신호인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은 시퀀스 길이가 소수인 CAZAC 시퀀스들로 이루어진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상호 상관도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제1 프리앰블 그룹과 제2 프리앰블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가 상기 제2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송신 전력 정보들을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송신 전력 정보들에 따른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CH 오케이션 번들 및 상기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 개수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RACH 오게이션에서 전송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들의 다양한 품질 요구 수준들을 반영한 프리앰블들을 구성하여 단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은 다양한 품질 요구 수준들을 반영한 프리앰블들에서 원하는 품질 요구 수준에 따른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기지국에 전송하여 랜덤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품질 요구 수준들에 따른 프리앰블들을 구성하여 단말의 랜덤 액세스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품질 요구 수준들에 따른 프리앰블들을 구성하여 단말의 랜덤 액세스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품질 요구 수준을 요구하는 단말에 대한 프리앰블 충돌 가능성을 낮추어 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다양한 품질 요구 수준들을 수용할 수 있는 프리앰블 구성하여 단말에게 제공함으로써 프리앰블의 충돌을 회피한 이후에 수신 오류율을 낮추어 줄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리앰블 그룹들을 설정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프리앰블 선택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프리앰블 그룹별 프리앰블 인덱스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4의 프리앰블 검출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예들은 2 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2 step random access procedure)와 4 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4 step random access procedure)에 적용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terminal)(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UE(user equipment),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DL)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UL)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임의로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단말들이 동일한 하나의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접속하는 경우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프리앰블 충돌이 발생하면 기지국은 프리앰블을 수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프리앰블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충돌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프리앰블의 길이가 일정하면 프리앰블의 개수에 따라 상관도(correlation)도 함께 증가하여 늘어나는 프리앰블의 개수로 인해 기지국이 수신하는 수신 신호의 신호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단말이 요구하는 품질 요구(QoS)가 다양한 경우에 기지국은 이에 맞추어 한정된 프리앰블 자원을 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지국이 균일한 프리앰블 자원을 전제로 하여, 단말의 품질 요구(QoS)에 따라 접근 가능한 자원의 영역을 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기지국은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단말에게 충돌 가능성을 낮추어 줄 수는 있으나, 충돌을 회피한 이후에 수신 오류율을 낮추어 줄 수는 없다. 이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단말에게 충돌 가능성을 낮추어 주면서 동시에 충돌을 회피한 이후에 수신 오류율을 낮추어 줄 수 있는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품질 요구는 2단계로 가정할 수 있다. 하지만, 품질 요구는 여러 단계로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품질 요구의 파라미터는 지연 시간(latency)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품질 요구는 짧은 지연 시간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 품질 요구 단계 1과 상대적으로 긴 지연 시간을 허용하는 품질 요구 단계 2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짧은 지연 시간은 1ms 미만인 지연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긴 지연 시간은 1ms 이상인 지연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들은 짧은 지연 시간이 필요하여 품질 요구 단계 1을 만족해야 하는 제1 유형 단말들이 있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긴 지연 시간이 허용되어 품질 요구 단계 2를 만족해도 되는 제2 유형 단말들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310)과 N개의 단말들(320-1~320-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310)은 M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고, 단말들(320-1~320-N)은 1개의 송신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N개의 단말들(320-1~320-N)은 동기를 맞추어 기지국(320)에 프리앰블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M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N과 M은 자연수일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310)과 기지국(310)에 동기화된 많은 수의 단말들((320-1~320-N)로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수의 단말들(320-1~320-N)에서 일부의 단말들은 때때로 활성화되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기지국(31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활성화된 단말이 프리앰블 신호를 송출하면서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310)은 활성화된 단말로부터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여, 프리앰블을 검출할 수 있다. 기지국(310)은 검출한 프리앰블에 따라 활성화된 단말에게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보낼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여러 단말들이 같은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같은 프리앰블 신호를 기지국(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여러 단말들이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동일한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면 기지국(310)은 각 단말을 구분할 수 없어 단말들의 랜덤 액세스가 실패할 수 있다. 기지국(310)이 모든 단말(320-1~320-N)에게 고유한 프리앰블을 할당해 주면 충돌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하지만,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응용에서 단말들(320-1~320-N)이 매우 많을 수 있어, 모든 단말들(320-1~320-N)에게 고유한 프리앰블을 할당해 주면 신호 공간이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때, 전체 단말들(320-1~320-N)에 비해 활성 단말들의 비율이 작은 경우에는 프리앰블을 공유하더라도 기지국(310)이 충돌 위험을 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송출하는 프리앰블 신호는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이 낮을수록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송출하는 프리앰블 신호는 서로 직교하도록 신호 공간을 구성하면 기지국이 선형 수신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앰블 신호가 가지는 특성을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이라고 부르는데, 쟈도프 츄(Zadoff-Chu) 시퀀스(sequence), 올탑(Alltop) 시퀀스 등이 이를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 길이
Figure pat00001
가 소수인 시퀀스
Figure pat00002
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3
는 389 및 139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4
는 루트 시퀀스 인덱스(root sequence index)일 수 있고, 정수일 수 있으며,
Figure pat00005
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06
는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값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07
은 샘플 인덱스(sample index)일 수 있고, 정수일 수 있으며
Figure pat00008
일 수 있다.
Figure pat00009
도 4는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에서 기지국은 품질 요구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S410). 여기서, 기지국은 일예로 품질 요구 단계를 2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품질 요구 단계는 여러 단계로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품질 요구 단계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지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품질 요구 단계를 짧은 지연 시간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 품질 요구 단계 1과 상대적으로 긴 지연 시간을 하용하는 품질 요구 단계 2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짧은 지연 시간은 1ms 미만인 지연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긴 지연 시간은 1ms 이상인 지연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프리앰블 그룹들을 설정할 수 있다(S420). 그리고, 기지국은 설정한 프리앰블 그룹들을 각 품질 요구 단계에 매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프리앰블 그룹들을 설정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리앰블 그룹들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은 수학식 1에 따라 시퀀스 길이가 소수
Figure pat00010
인 CAZAC 시퀀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S421). 그리고, 기지국은 생성한 CAZAC 시퀀스들을 프리앰블들로 하는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이루는 프리앰블들의 개수는
Figure pat00011
개일 수 있다. 일예로, 소수가 839이면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이루는 프리앰블들의 개수는 838*839=703,082일 수 있다. 그리고, 원시 프리앰블 그룹은 소수
Figure pat00012
가 839이면 집합
Figure pat00013
로 표현할 수 있고,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다음으로, 기지국은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구성하는 프리앰블들에서 상호 상관도가 높은 일부 프리앰블을 제외할 수 있다(S423). 즉, 기지국은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Figure pat00015
개의 프리앰블들에 대하여 상호 상관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상호 상관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프리앰블들을 제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값은 관리자에 의해 기지국에 미리 설정한 값일 수 있다. 특히,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여 도플러 천이(Doppler shift)가 생기거나, 단말이 송출한 신호가 여러 경로를 거쳐 기지국에 도달함으로 인해 지연확산(delay spread)이 발생하면, 인접한 사이클릭 시프트를 가지는 프리앰블 간섭이 증가하고 상관도가 높아질 수 있다. 기지국은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서 사이클릭 시프트
Figure pat00016
를 서브 샘플링(subsampling) 간격
Figure pat00017
로 하여 이에 해당하는 프리앰블들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호 상관도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할 수 있는 일부 프리앰블들을 제외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서 서브 샘플링(subsampling) 간격
Figure pat00018
가 22인 경우에 이에 해당하는 프리앰블들로 이루어진 원시 프리앰블 그룹은 집합
Figure pat00019
로 표현할 수 있으며, 아래 수학식 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20
는 샘플 개수를 의미할 수 있고, 소수
Figure pat00021
가 839일 수 있고, 서브 샘플링 간격
Figure pat00022
가 22이면
Figure pat00023
는 39이하일 수 있다. 집합
Figure pat00024
은 838*39=32682개의 원소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25
다음으로, 기지국은
Figure pat00026
개의 프리앰블들에서 남아 있는 나머지 프리앰블들로 이루어진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서 상호 상관도가 낮은 프리앰블
Figure pat00027
개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그룹 1을 형성할 수 있다(S424). 즉, 기지국은
Figure pat00028
개의 프리앰블에서 남아 있는 나머지 프리앰블들로 이루어진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서 상호 상관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인 프리앰블
Figure pat00029
개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그룹 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그룹 1은 제1 유형 단말들이 사용하기 적합한 프리앰블들일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은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서 상호 상관도가 낮은 일부 프리앰블들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제2 임계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임계값이 0인 경우, 샘플 인덱스
Figure pat00030
가 0인 프리앰블들에서 샘플 개수
Figure pat00031
가 39개가 되도록 사이클릭 시프트
Figure pat00032
를 취하여 직교하는 프리앰블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더 높은 제2 임계값을 허용함으로써, 샘플 인덱스
Figure pat00033
가 1인 프리앰블들에서 샘플 개수
Figure pat00034
가 25개가 되도록 사이클릭 시프트
Figure pat00035
를 추가하여
Figure pat00036
가 64개인 프리앰블 그룹 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프리앰블 그룹 1은 집합
Figure pat00037
로 표현할 수 있으며, 수학식 4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38
다음으로, 기지국은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서 프리앰블 그룹1을 제외하여 프리앰블 그룹 2를 형성할 수 있다(S425). 즉, 기지국은 일부 프리앰블을 제외한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이루는 집합
Figure pat00039
에서 프리앰블 그룹1의 집합
Figure pat00040
를 제외하여 프리앰블 그룹3의 집합
Figure pat00041
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집합
Figure pat00042
는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43
한편, 3GPP NR 규격은 최대 2개 그룹(A/B)의 프리앰블을 지정해 둘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측정치와 메시지(MsgA)의 크기를 기준으로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3GPP NR 규격은 최대 64개의 프리앰블들을 2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제2 유형 단말에게 할당되는 프리앰블들을 지원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Figure pat00044
개의 프리앰블들로 구성된 프리앰블 그룹 2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프리앰블 그룹 2에 관한 설정 정보는 개수
Figure pat00045
, 그룹 A/B에 대한 전력 오프셋(power offset) 정보, 그리고 메시지의 긴급성에 따른 판단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Figure pat00046
를 설정함에 있어 최대값에 대한 비율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전력 오프셋을 0dB 이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단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S430). 이에 따라, 단말들은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는 설정된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정보들과 설정된 프리앰블 그룹들이 요구하는 품질 요구 정도를 알려주는 품질 요구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는 설정된 프리앰블 그룹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할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정보들은 설정된 프리앰블 그룹이 프리앰블 그룹 1과 프리앰블 그룹 2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정보들은 프리앰블 그룹 1에 포함되어 있는 소속 프리앰블들과 프리앰블 그룹 2에 포함되어 있는 소속 프리앰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그룹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할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는 프리앰블 그룹 1에는 제1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고, 프리앰블 그룹 2에는 제2 송신 전력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송신 전력이 제2 송신 전력보다 클 수 있다. 다음으로, 품질 요구 정보는 설정된 품질 요구 단계들이 품질 요구 단계 1과 품질 요구 단계 2로 이루어져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품질 요구 정보는 각각의 품질 요구 단계가 요구하는 품질 정도를 알려주는 품질 요구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품질 요구 정보는 품질 요구 단계 1이 지연 시간이 1ms 미만이라는 품질 요구 기준을 포함할 수 있고, 품질 요구 단계 2가 지연 시간이 1ms 이상이라는 품질 요구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품질 요구 정보는 요구 임계치를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을 지시하는 품질 요구 지시자(spec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품질 요구 지시자는 일예로 품질 요구가 요구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프리앰블 그룹 2에서 프리앰블을 선택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품질 요구 지시자는 품질 요구를 구성하는 지연 시간이 지연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프리앰블 그룹 2에서 프리앰블을 선택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지연 임계치는 1ms일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시스템은 프리앰블 그룹 2를 추가로 설정하여 그룹 A/B에 접속하려는 단말들의 접속 수요를 흡수할 수 있고, 그룹 A/B의 접속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들은 시스템 정보에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원하는 품질 요구에 따른 프리앰블들을 선택할 수 있다(S440). 일예로, 어느 하나의 단말이 1ms이하의 지연 시간을 품질 요구로 하는 경우에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소속 프리앰블들에서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프리앰블 선택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리앰블 선택 과정에서 단말들은 시스템 정보 및/또는 RRC 메시지에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의 품질 요구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이 원하는 품질 요구가 품질 요구 단계 1에 속하는지 품질 요구 단계 2에 속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S441). 이후에, 단말들은 품질 요구 정보를 기반으로 판별된 품질 요구 단계들에 따른 프리앰블 그룹들을 선택할 수 있다(S442). 일예로, 단말들은 원하는 품질 요구가 품질 요구 단계 1의 품질 요구 기준을 만족하면 프리앰블 그룹 1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들은 원하는 품질 요구가 품질 요구 단계 2의 품질 요구 기준을 만족하면 프리앰블 그룹 2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들은 선택한 프리앰블 그룹들에서 프리앰블들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S443).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말들은 선택한 프리앰블들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450). 이때,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에 따라 프리앰블 그룹 1에는 제1 송신 전력을 적용할 수 있고, 프리앰블 그룹 2에는 제2 송신 전력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들은 프리앰블들을 일정한 주파수와 시간 간격을 두고 다중화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단말들이 프리앰블들을 주파수와 시간 자원 공간에서 충분히 이격하여 전송하면 기지국은 필터링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3GPP NR 규격은 분할된 자원 공간 영역을 RACH(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션(occasion)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배치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및/또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설정한 RACH 오케이션들의 배치 정보를 단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들은 기지국에서 시스템 정보 및/또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RACH 오케이션들의 배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들은 자원 공간 상에서 인접한 복수의 RACH 오케이션들을 묶어 RACH 오케이션 번들(occasion bundle)을 구성할 수 있고,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오케이션의 개수를 설정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코드 랜덤 액세스(coded random access)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RACH 오케이션 번들은 주파수와 시간 축 상에 걸쳐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2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두 8개의 인접한 RACH 오케이션에 같은 프리앰블을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들이 임의로 4개 RACH 오케이션에 대해서는 뮤팅(muting)함으로써 기지국의 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들이 RACH 오케이션 번들을 구성할 수 있고,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기지국이 자원 공간 상에서 인접한 복수의 RACH 오케이션들을 묶어 RACH 오케이션 번들을 구성할 수 있고,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RACH 오케이션 번들 구성 정보와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의 개수의 설정 정보를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RACH 오케이션 번들 구성 정보와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의 개수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ACH 오케이션 번들 구성 정보와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의 개수의 설정 정보에 따라, RACH 오케이션 번들을 구성할 수 있고,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의 개수를 설정함으로써, 코드 랜덤 액세스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들은 다중경로(multi-path) 페이딩(fading) 채널에 대응하기 위하여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말들이 단일경로 페이딩 채널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고, 각 단말의 동기 오차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들에서 전송하는 프리앰블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수신한 프리앰블 신호들을 행렬로 표현하면
Figure pat00047
행렬인 수신 신호 행렬
Figure pat00048
로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49
여기서,
Figure pat00050
은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 개수일 수 있고,
Figure pat00051
은 프리앰블의 길이일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52
은 프리앰블 그룹 1에서 프리앰블 인덱스
Figure pat00053
을 선택한 단말들로부터 기지국에 이르는 무선 채널들의 합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54
은 프리앰블 그룹 2에서 프리앰블 인덱스
Figure pat00055
을 선택한 단말들로부터 기지국에 이르는 무선 채널들의 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56
은 프리앰블 그룹 1에서 선택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신호의 평균 수신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57
는 프리앰블 그룹 2에서 선택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신호의 평균 수신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라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61
은 프리앰블 그룹 1에 포함된 프리앰블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62
은 프리앰블 그룹 2에 포함된 프리앰블일 수 있다. 한편,
Figure pat00063
은 열잡음(thermal noise) 행렬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프리앰블 그룹별 프리앰블 인덱스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리앰블 그룹별 프리앰블 인덱스들에서 프리앰블 인덱스 1 내지
Figure pat00064
은 프리앰블 그룹 1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고, 제1 유형 단말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67
내지
Figure pat00068
는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프리앰들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유형 단말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리앰블 그룹 1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은 직교(orthogonal)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프리앰들은 직교하지 않을(non-orthogonal) 수 있다. 그리고, 프리앰블 그룹 1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은 높은 송신 전력을 가지고 송신될 수 있고,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은 프리앰블 그룹 1에 속하는 프리앰블들보다 낮은 송신 전력을 가지고 송신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수신한 수신 신호 행렬
Figure pat00069
로부터 단말들이 전송한 프리앰블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Figure pat00070
개의 가설을 검증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지국이 프리앰블의 개수에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계산상의 복잡도를 감당하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두 단계로 나누어 프리앰블을 검출할 수 있다(S460).
도 8은 도 4의 프리앰블 검출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리앰블 검출 과정에서 기지국은 수신 신호 행렬
Figure pat00071
에 프리앰블 그룹 1의 프리앰블 행렬
Figure pat00072
을 수학식 7과 같이 곱하여 상관도
Figure pat00073
을 산출할 수 있다(S461).
Figure pat00074
이후에, 기지국은 산출된 상관도를 이용하여 단말들로부터 송신된 프리앰블 그룹 1에 포함된 프리앰블들을 검출할 수 있다(S462). 이때, 프리앰블 그룹 1에 포함된 프리앰블 간에는 직교성이 존재하므로 간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프리앰블로부터 간섭이 존재할 수 있지만, 수신 전력이 작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수신 성능 열화는 작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수신 신호 행렬
Figure pat00075
에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과정을 수행하여 아래 수학식 8과 같이 프리앰블 그룹 1에 속하는 검출된 프리앰블들을 제거할 수 있다(S463).
Figure pat00076
여기서,
Figure pat00077
는 프리앰블 그룹 1에서 검출한 프리앰블 인덱스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8에서
Figure pat00078
는 단위 행렬(unit matrix)
Figure pat00079
를 사용하여 다음 수학식 9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은 정사영 행렬(orthogonal projection) 행렬을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8을 직교 행렬
Figure pat00082
와 직교 행렬
Figure pat00083
에서 검출되지 않은 열 벡터로만 구성된 행렬
Figure pat00084
를 사용하여 다시 쓰면 다음 수학식 10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85
다음으로, 기지국은 검출된 프리앰블들이 제거된 수신 신호 행렬에서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을 검출할 수 있다(S464). 이때, 프리앰블 그룹2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을 선택하여 전송한 단말들의 개수가 적다면
Figure pat00086
중 대부분이 0일 수 있고, 0이 아닌
Figure pat00087
의 인덱스
Figure pat00088
의 집합을 구함으로써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을 검출할 수 있다. 열잡음 N 뿐만 아니라 무선채널 상태
Figure pat00089
역시 확률변수이기 때문에, 송출된 프리앰블 집합에 대한 변분추론(variational inference)이 필요하며 이를 수행하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CAVI(coordinated ascent variational inference)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각 프리앰블에 대한 활성 확률을 개별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복잡도로 수신 신호 행렬에서 프리앰블 그룹 2에 속하는 프리앰블들을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검출된 프리앰블들에 따른 프리앰블 응답 신호들을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S470).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품질 요구 정보들과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 품질 요구를 기준으로 상기 품질 요구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프리앰블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메시지의 응답 신호인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은 시퀀스 길이가 소수인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들로 이루어진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상호 상관도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제1 프리앰블 그룹과 제2 프리앰블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가 상기 제2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보다 작은,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AZAC 시퀀스는 쟈도프 츄(Zadoff-Chu) 시퀀스(sequence)이고, 상기 소수는 389 및 139중에서 어느 하나인,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송신 전력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송신 전력 정보들에 따른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은 품질 요구의 지연시간이 임계치 미만인 제1 유형의 단말들을 위한 프리앰블 그룹 1과 품질 요구의 지연시간이 임계치 이상인 제2 유형의 단말들을 위한 프리앰블 그룹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리앰블 그룹 1을 위한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프리앰블 그룹 2를 위한 송신 전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CH(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션(occasion) 번들 및 상기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 개수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RACH 오게이션에서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MsgA이고, 상기 제2 메시지는 MsgB인, 단말의 동작 방법.
  8.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프리앰블 그룹들,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소속 프리앰블들 및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정보들,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에 대한 정보들 및 상기 품질 요구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품질 요구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그룹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메시지의 응답 신호인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소속 프리앰블들 및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시퀀스 길이가 소수인 CAZAC 시퀀스들을 프리앰블들로 하는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상기 프리앰블들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상기 프리앰블들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상기 프리앰블들에서 제1 임계치 이상의 상호 상관도를 갖는 프리앰블들을 제외하는 단계;
    상기 원시 프리앰블 그룹에 있는 나머지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상호 상관도를 기준으로 상기 나머지 프리앰블들을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의 상기 소속 프리앰블들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품질 요구 기준들을 구분하여 품질 요구 단계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하여 상기 품질 요구 단계들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선택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을 지시하는 품질 요구 지시자(specifier)들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상기 품질 요구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프리앰블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을 포함한 다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제1 메시지들의 수신 신호 행렬에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의 프리앰블 행렬을 적용하여 상관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상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행렬에서 상기 검출한 소속 프리앰블들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를 제거한 상기 수신 신호 행렬에서 나머지 프리앰블 그룹들의 소속 프리앰블들을 검출하여 상기 제1 메시지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방법.
  14.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품질 요구 정보들과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을 수신하고;
    단말 품질 요구를 기준으로 상기 품질 요구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소속 프리앰블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메시지의 응답 신호인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은 시퀀스 길이가 소수인 CAZAC 시퀀스들로 이루어진 원시 프리앰블 그룹을 상호 상관도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형성한 제1 프리앰블 그룹과 제2 프리앰블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가 상기 제2 프리앰블 그룹의 소속 프리앰블들의 상호 상관도보다 작은, 단말.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그룹들에 대한 송신 전력 정보들을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송신 전력 정보들에 따른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ACH 오케이션 번들 및 상기 RACH 오케이션 번들에 포함된 RACH 오케이션 개수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선택한 프리앰블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RACH 오게이션에서 전송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KR1020210093563A 2020-08-10 2021-07-16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10264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89,652 US11800564B2 (en) 2020-08-10 2021-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layered pream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38 2020-08-10
KR20200099838 202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626A true KR20220019626A (ko) 2022-02-17
KR102642581B1 KR102642581B1 (ko) 2024-02-29

Family

ID=8049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63A KR102642581B1 (ko) 2020-08-10 2021-07-16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756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수신기에서의 프리엠블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90129325A (ko) * 2008-06-12 2009-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그룹핑하는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756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수신기에서의 프리엠블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90129325A (ko) * 2008-06-12 2009-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그룹핑하는 통신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2005125 *
3GPP R1-2005386 *
3GPP R1-2005883 *
3GPP R1-200628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581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408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0754043B (zh) 用于新无线电的频率选择性上行链路预编码
KR102256464B1 (ko) 비인가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1160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2D data based on resource pattern
KR102225238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US11632280B2 (en) Reference signal arrangement
WO20220779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cch coverage enhancement
CN110741668A (zh) 用于经预编码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物理资源组大小
US20170048906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KR20200120620A (ko) 짧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US11800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layered preambles
EP37133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2d data on basis of resource pattern
WO2021009876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642581B1 (ko) 계층적 프리앰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220071950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추가 pqi를 사용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6521057B2 (ja)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KR102335764B1 (ko) 자원 패턴을 기반으로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87149A (ko) 비직교 통신 절차에서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KR1025227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 시퀀스를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13535B1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4021116A1 (en) Design and configuration of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1009875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1009874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30037471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169915A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