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584A -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584A
KR20220019584A KR1020200123287A KR20200123287A KR20220019584A KR 20220019584 A KR20220019584 A KR 20220019584A KR 1020200123287 A KR1020200123287 A KR 1020200123287A KR 20200123287 A KR20200123287 A KR 20200123287A KR 20220019584 A KR20220019584 A KR 2022001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fluororubber
protocol
por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604B1 (ko
Inventor
김성겸
Original Assignee
김성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겸 filed Critical 김성겸
Publication of KR2022001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1Wireless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IDS];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W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소화 비닐리덴과 퍼플루오르프로펜과의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불소의 함량이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Manufacturing apparatus and ordering system for special rubbers such as FKM, FFKM, HNBR, CSM, or EPICHLOROHYDRIN}
본 발명은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수 고무에는 FKM(불소고무), FFKM(PERFLUOR), HNBR(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CSM(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CO, ECO, GECO, PECO)와 같은 종류가 있다.
FKM(불소고무)는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가능하며, 오일이나 각종 용제, 산, 알칼리, 오존 등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이 있으므로, 다른 고무로는 적용될 수 없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고무이다.
FFKM(PERFLUOR)는 현존하는 고무들 중에서 최고의 내열성과 내약품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반 불소 고무나 실리콘 고무에 비하여 팽윤이 현저히 적고, 긴 수명의 실(Seal)을 제조할 수 있다.
HNBR(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은 높은 내열성이 요구되거나 가혹한 환경조건에서 NBR 대용으로 사용되며 전형적인 불소고무와 다르게 아민계 산화 방지제와 같은 첨가제 등에 대한 저항성이 있다.
CSM(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는 하이파론으로 가장 알려진 이 물질은 약간의 내유성과 열노화저항성과 더불어 탁월한 내오존성, 내산성, 그리고 내후성을 가지고 있다. CSM은 지붕재료, 연못 라이너와 강무기산에 대한 저항성을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할로겐화된 폴리에테르는 세가지 유형 단일 중합체(C0), 공중합체(ECO), 및 삼원공중합체(GECO, PECO)가 유용하다. 분자 구조상 이중결합이 없는 이 제품은 극히 낮은 가스 투과성, 좋은 내유성과 내오존성, 그리고 양호한 저온과 고온 범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소화 비닐리덴과 퍼플루오르프로펜과의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불소의 함량이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망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장치(3); 상기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조부(5);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 기초 데이터 - 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결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및 상기 기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부로서,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하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상기 제어장치(3)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어장치(3)는 상기 발주량에 맞도록 상기 불소 고무를 제조하도록 상기 제조부(5)를 제어하며, 상기 정보 수집부는 기초 데이터가 저장된 관리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기초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불소 고무 발주량을 결정하며, 상기 기초 데이터는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제품들의 매출량을 포함하는 것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불소 고무가 실제 사용되는 제품들의 실제 현황을 반영하여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불소 고무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소 고무의 종류와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기록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관리'는 데이터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유무선망'은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망('유선망'),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망('무선망'), 또는 유선망과 무선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 및/또는 구성요소 B'는 '구성요소 A', '구성요소 B' 또는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장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운영체제,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 통신부, 및 기타 리소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은 다른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예를 들면, 관리 프로그램)을 동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펌웨어, 통신부, 주변기기, 및 기타 리소스(하드웨어적 자원과 소프트웨어적 자원을 포함)는 서로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한 한도에서 기재 또는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정보, 내역, 및/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페이크 디바이스'(fake device)는 불법적이거나 정당한 허락없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읽거나 변조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수 고무의 한 종류인 불소 고무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불소 고무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소 고무는 물성과 특성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불소 고무는 불소화 비닐리덴과 퍼플루오르프로펜과의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불소 함량이 66%이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불소 고무를 예시적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다른 특수 고무들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즉, 후술하겠지만,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각각의 사용제품들의 매출량에 기초하여 각각의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 각각의 매출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는, 스마트 팩토리(1),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및 정보 수집부(#1, #2, #3, ...)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 팩토리(1)는 제어장치(3), 제조부(5), 센서(7), 및 무선보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와 정보 수집부(#1, #2, #3, ...)를 특히 클라우드 기반 발주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시스템은, 스마트 팩토리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팩토리,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및 정보 수집부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제어장치(3), 제조부(5), 센서(7), 및 무선보안부는 근거리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N)(이하, '유무선망')에 의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1, #2, #3)는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 기초 데이터 -를 수집하여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한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예를 들면,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제품(예를 들면, 자동차 판매량과 식품 판매량(년간 또는 월간 자동차 판매량과 식품 판매량 - 예를 들면, 라면의 판매량))들의 매출량이 저장된 관리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관리 컴퓨터에는,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기초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기초 데이터는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제품들의 각각의 매출량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판매량과 식품 판매량을 예시적으로 기술하였지만,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제품의 판매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각각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N1)을 통해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관리 컴퓨터와 별도의 컴퓨터로 구성이 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복수의 정보 수집부는 관리 컴퓨터들에 각각 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관리 컴퓨터에 저장된 기초 데이터가 변경되면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복수의 정보 수집부들로부터 수집된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평균적으로 매출이 앞서의 기간(년간 또는 분기 또는 월간) 대비 증가나 감소량을 결정하고, 그러한 증가나 감소량에 반영하여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제품(이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에 기초하여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결정한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주기적(년도, 분기, 또는 월간)으로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제품의 매출량과, 불소 고무의 매출량의 상관 관계를 학습한다. 예를 들면, 월간 단위로 불소고무사용제품과 불소 고무의 상관관계의 학습은, 1999년 1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2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2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3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3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4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4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5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5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6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6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7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학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가 위와 같이 학습을 하고, 학습 데이터가 누적되면, 예를 들면 2020년 9월달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을 알면, 다음달 2020년 10월달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르게는,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1999년 1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3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2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4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3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5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4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6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5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7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6월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과 1999년 8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학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가 학습을 할 경우에는, 2020년 9월달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을 알면, 2개월 후의 2020년 11월달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예측하고자 하는 시기(이하, '추정시기') 보다 이전의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에 기초하여, 추정시기의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예측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제품들의 매출량에 기초하여, 종류별로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예측하고, 실제 불소 고무의 판매량을 확인하여, 가장 정확도가 높은 불소고무사용제품의 매출량을 이용하여 불소 고무의 판매량을 결정할 있다.
예를 들면,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1999년 1월의 자동차의 매출량과 1999년 2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2월의 자동차의 매출량과 1999년 3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3월의 자동차의 매출량과 1999년 4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4월의 자동차의 매출량과 1999년 5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5월의 자동차의 매출량과 1999년 6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 1999년 6월의 자동차의 매출량과 1999년 7월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학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가 위와 같이 학습을 하고, 학습 데이터가 누적되면, 예를 들면 2020년 9월달의 자동차의 매출량을 알면, 다음달 2020년 10월달의 불소 고무의 매출량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2020년 10월달의 불소고무의 실제 매출량을 얻고, 2020년 10월의 불소고무의 실제 매출량과, 2020년 10월달의 불소 고무의 예측 매출량을 비교하여, 자동차 매출량에 기초한 불소고무의 예측량에 대한 신뢰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신뢰지수는 예를 들면, 실제매출양/예측량의 백분율로 계산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불소사용제품별로, 매 주기마다 불소 고무의 매출량을 예측하고, 해당 매출량에 대한 신뢰지수를 산출한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불소사용제품별로 각각 산출된 신뢰지수들 중에서 현재 기준으로 가장 신뢰성이 높은 불소사용제품에 대한 불소사용제품의 이전 주기의 매출량을 이용하여 불소 고무의 매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예측된 불소 고무의 매출량은 불소 고무의 발주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 의해 결정된 불소 고무의 발주량은, 불소 고무 스마트 팩토리(1), 구체적으로, 제어장치(3)에게 제공된다.
제어장치(3)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고,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발주량에 따라서 제조부(5)가 불소 고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제조부(5)를 제어한다.
제조부(5)는 불소 고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들로 구성되며, 기계적, 전기적, 및 전자적인 구성부품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조부(5)는 불소 고무를 제조할 수 있는 재료들을 제공받아서 제어장치(3)의 제어하에 불소 고무를 제조할 수 있다.
센서(7)는 제조부(5)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들의 동작 상태나 결과를 감지하여 제어장치(3)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시스템은 특수 고무들에 적용될 수있으므로, 특히 '특수 고무들에 대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시스템'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특수 고무들에 대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시스템은 상술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와 정보 수집부의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특수 고무들에 대한 클라우드 기반 발주 시스템은, 불소 고무 뿐만 아니라,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에 대한 발주량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라우터(미 도시)가 유무선망(N)에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라우터는 외부 망(예를 들면, N1)과의 연결을 지원한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무선보안부의 감지 대상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는 유무선망(N)에 연결되는 임의의 모든 유무선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면, 적법한 권한을 가진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제어장치(3), 제조부(5), 센서(7))이나 권한을 가지지 못한 기기(예를 들면, 도 2에서 '15'로 표시된 기기들)가 무선보안부의 감지 대상이 되는 무선 디바이스이다.
무선보안부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고, 포트 스캐닝 동작은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다.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여기서, 응답은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배너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보안부는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으로부터 소정 거리(예를 들면, 1킬로미터) 이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거리는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이다. 바람직하게는, 무선보안부는 댁내에 위치되어 홈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무선보안부는, 구체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포트 스캐닝 동작은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다.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여기서, 응답은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배너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2에는, 본 시스템의 설명을 위해서, 무선장치(15: 15a, 15b, 15c, 15d)를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무선보안부는 도1를 참조하여 설명한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과의 통신을 해킹할 수 있는 위험한 디바이스(이하, '페이크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보안부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15)의 통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15)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에 따른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5)는 시스템(200)에 권한 없는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권한이 있는 적법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15)에서 권한 없는 디바이스('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5)는 스마트폰이나 무선통신이 가능한 노트북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보안부는 타입 추정동작 및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및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무선보안부는 무선 디바이스(15)가 출력하는 무선 신호들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보안부는 감지된 디바이스들 중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타겟 디바이스로서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은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무선보안부에 포함된 진단모듈(미 도시)은,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15)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5)의 갯수는 각각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갯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적거나 또는 많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15)가 타겟 디바이스라고 가정하고,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입 추정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은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과,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a), 타겟 디바이스(15b), 타겟 디바이스(15c), 및 타겟 디바이스(15d) 각각에 대하여 어떤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예를 들면, 풀 스캐닝(FULL SCNNING) 또는 스텔스 스캐닝(STEALTH SCANNING) 이라 불리우는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풀 스캐닝은 완벽한 TCP 세션(Session)을 맺어서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스텔스 스캐닝은 하프 스캔(half scan) 기술의 일종이며, 포트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고 그러한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response)이 오면 응답한 포트가 열려있는 것이고, 응답이 오지 않으면 포트가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스텔스 스캐닝은 예를 들면, FIN, NULL, 또는 XMASH 일 수 있다.
포트(Port)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며,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Protocol)은 예를 들면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의 예를 들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T)와 같은 것일 수 있다. 포트들은 번호로 구별되며, 이러한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사용된다.
포트 번호는 예를 들면 3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포트 번호가 0번 ~ 1023번에 속하면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고, 포트 번호가 1024번 ~ 49151번에 속하면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이고, 포트 번호가 49152번 ~ 65535번에 속하면 동적 포트(dynamic port)이다. 한편, 잘 알려진 포트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20번: FTP(data), 21번: FTP(제어), 22번: SSH, 23번: 텔넷, 53번: DNS, 80번: 월드 와이드 웹 HTTP, 119번: NNTP, 443번: TLS/SSL 방식의 HTTP 이다. 이러한 포트 번호들과 포트 종류는 예시적인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타겟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한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포트 스캐닝 동작을 통해서, 타겟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타겟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아낸다.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동작이다. 여기서,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것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또한,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1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1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각각 찾는다.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오픈 포트에 보낼 패킷(이하,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를 작성하는 동작,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은 예를 들면 스크립트(Script)일 수 있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오픈 포트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서, 포트 번호에 따라서 포트의 종류가 분류된 데이터(예를 들면, <표1>)(이하, '포트 종류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포트 종류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은,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서, 상기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15b)의 23번 포트는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고, 타겟 디바이스(15c)의 5555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15d)의 5559번 포트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임을 알 수 있다.
진단모듈은, 오픈 포트의 종류에 맞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타겟 디바이스(15a)에게 전송한다.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한편,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진단모듈은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 후 타겟 디바이스(15a)에게 전송한다.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만약,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상기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후, 타겟 디바이스(15a)는 타겟 디바이스(15a)로부터 응답이 올때까지 또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전송한다. 진단모듈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 낸다.
진단모듈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프로토콜 스캔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과, 그렇게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은, 통상적으로 서비스마다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한다. 즉, 프로토콜마다 주로 지원되는 서비스들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은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도,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별로 주로 사용되는 서비스가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예를 들면 IP TV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다. 즉, 서비스마다 주로 제공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은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배너(Banner)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1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어떤 종류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진단모듈은, 운영체제의 종류를 알면 서비스의 종류를 알거나 또는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예를 들면,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와 같은 것들이다. 여기서, 타이젠(Tizen)은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장치, TV, 냉장고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운영체제이고, 브릴로(Brillo)는 구글에서 발표된 안드로이드 기반의 임베디스 운영체제이고, 푸크시아(Fuchsia)는 구글에서 개발중인 운영체제로서 임베디드 시스템, PC, 스마트폰,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고, 라이트오에스(LiteOS)는 화웨이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스마트 홈,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카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가 어떠한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나의 아이폰'(My iPhone)과 같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결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제1추정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1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2추정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2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를 언급한 설명 부분과 나의 아이폰(My iPhone)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비교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이다.
타입결정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에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을 결정하고,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같을 경우에 제1추정동작 또는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들(1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한편, 타겟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가 없거나, 그러한 배너 정보와 서비스 정보에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즉, 제2추정동작과 비교동작의 수행이 없이,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만으로 타입 추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타겟 디바이스(15a)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15b)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15c)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15d)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때 상황에 맞도록 순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진단모듈은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공격하고,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취약점(vulnerability)은 공격자가 디바이스의 정보 보증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약점을 의미한다.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Vulnerability)에서도, 취약점에 대하여 “Vulnerability refers to the inability (of a system or a unit) to withstand the effects of a hostile environment”라고 정의되어 있고, 본원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위키피디아에서 정의한데로 사용하기로 한다.
타겟 디바이스(15a)가 '타겟 디바이스' 인 경우를 예로 들면,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면 타겟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1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지 못하면 타겟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고, 선택한 취약점을 이용해서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15)의 각각의 타입을 추정하고, 추정한 각각에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1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구비된 기억 장치(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보안부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 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보안부에 구비된 기억 장치(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보안부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 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1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15)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동작은 예를 들면 진단모듈이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가지는 취약점과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category_view.php" URL에 접근할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category_view.php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ㆍ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URL에 접근할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router_info.xml?section=wps" URL에 접근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PIN 과 MAC 주소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router_info.xml?section=wps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POST 메소드로 "/wpsacts.php" URL에 접근할 시 데이터에 스크립트 구문을 넣을 수 있는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wpsacts.ph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일 수 있다.
. 취약점: default / tluafed 계정의 백도어가 존재하는 취약점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POST/Login. htm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 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사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device.rsp?opt=user&cmd=list" URL에 접근하게 되면 관리자 계정이 평문(Plain text)으로 노출되는 취약점
ㆍ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device.rsp?opt=user&cmd=li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는 같은 종류의 기능을 가진 것이라도 취약점이 다르다면 서로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라우터들은 취약점이 서로 달라서, 따라서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또한, 상술한 DVR(Digital Video Recoder) 역시 취약점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제조사가 같고,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라고 하더라도 펌 웨어(firm ware)가 서로 다르다면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이 각각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될 경우, 진단모듈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해서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한다.
다르게는(alternatively),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가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진단모듈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가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하는 동작이다.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키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기기와의 통신이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은 취약점이 있는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1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가정하면,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15a)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의 통신을 차단시킨다. 즉,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15a)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15a)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통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은 페이크 디바이스(15a)만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보안부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보안부는, 포트 스캐닝부, 프로토콜 스캐닝부, 타입 추정부, 판단부, 운영체제, 통신부, 취약점 공격부, 컴퓨터 프로세서, 주변 기기, 기억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부, 프로토콜 스캐닝부, 타입 추정부, 판단부, 및 취약점 공격부를 진단모듈로 통칭하기로 하고, 이러한 진단모듈은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운영체제나 진단모듈과 같은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되며, 다른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진단모듈은 상술한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 스캐닝부가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스캐닝부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타입 추정부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고, 판단부는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동작은 상술한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포트 스캐닝부는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포트 스캐닝부는 포트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를 통해서 포트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15)에게 전송하고,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무선 디바이스(15)에서 오픈된 포트를 결정한다.
프로토콜 스캐닝부는 상술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스캐닝부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를 통해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15)에게 전송하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오픈된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취약점 공격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판단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관리할 뿐 아니라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추상화 플랫폼과 공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고, 기억 장치와 메모리는 각각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실행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PU)이며, 이러한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제어 장치, 또는 그 기능을 내장한 칩이다.
메모리 및/또는 기억 장치에는 프로그램이 저장 또는 실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 또는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및/또는 기억 장치는, 또한, 각종 데이터를 임시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및/또는 기억 장치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타입 추정부는 상술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부는 무선 디바이스(1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포트 스캐닝부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결과를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스캐닝부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 장치 및/또는 메모리에는 타입 추정부의 타입 추정 결과가 저장된다. 타입 추정 결과는 무선 디바이스(15) 별로 타입이 대응된 데이터이다. 한편, 기억 장치 및/또는 메모리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임)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이 가지는 취약점을 찾기 위해서 사용된다.
취약점 공격부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아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수 있다. 이후,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통신부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판단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포트 스캐닝부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부분은 메모리에 로딩되어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부, 타입 추정부도 포트 스캐닝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에 근접한 타겟 디바이스('타겟 디바이스'라고도 함)들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보안부를 사용하여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복수의 IoT 기기들(#1, #2, #3), 월패드, 스위치, 및/또는 서버(300)에 권한 없는 무선 기기가 접근하는 것을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을 대응시킨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에서 선택된 취약점을 공격하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보안부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한다.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단계(S200)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의 결과를 무선보안부가 기록매체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보안부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는 타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억 장치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되어 있으며, 취약점 공격부는 그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무선보안부가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가 타겟 디바이스에게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선택된 취약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 취약점 공격부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예를 들면, 무선보안부의 판단부는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무선보안부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보안부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 무선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1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1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게된다.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단계이다. 즉,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도2_삭제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로 획득된 것이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1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1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1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처럼,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15)의 모든 오픈 포트에 대하여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단계이다.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1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IoT 디바이스(1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코롤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15)의 오픈 포트들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서, 상술한 동작들과 같이 응답이 올때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이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올때 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오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응답이 오면 그러한 응답에 사용된 프로토콜을 해당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라고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상술한 포토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상술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와,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1_삭제_삭제과 도2_삭제_삭제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는, IoT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술한 포토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다른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불소 고무 스마트 팩토리
3: 제어장치
5: 제조부
7: 센서
15, 15a, 15b, 15c, 15d : 무선 디바이스
100: 무선보안부
200: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

Claims (7)

  1. 불소화 비닐리덴과 퍼플루오르프로펜과의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불소의 함량이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
  2. 유무선 망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장치(3);
    상기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조부(5);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 기초 데이터 - 에 기초하여 발주량을 결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 및
    상기 기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부로서,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에게 제공하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불소 고무의 발주량을 상기 제어장치(3)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어장치(3)는 상기 발주량에 맞도록 상기 불소 고무를 제조하도록 상기 제조부(5)를 제어하며, 상기 정보 수집부는 기초 데이터가 저장된 관리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클라우드 기반 발주 서버(200)는 상기 기초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불소 고무 발주량을 결정하며, 상기 기초 데이터는 불소 고무가 사용되는 제품들의 매출량을 포함하는 것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팩토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무선보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보안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고,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인 것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인 것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배너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불소 고무의 제조를 위한 특수 고무 제조 장치.
KR1020200123287A 2020-08-10 2020-09-23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 KR102488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150 2020-08-10
KR20200100150 202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84A true KR20220019584A (ko) 2022-02-17
KR102488604B1 KR102488604B1 (ko) 2023-01-16

Family

ID=8049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87A KR102488604B1 (ko) 2020-08-10 2020-09-23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6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078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와이티 생산관리시스템(mes)의 제조생산설비 수집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경영예측 플랫폼 시스템
US20190089603A1 (en) * 2017-09-18 2019-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overy of iot devices
KR20190091636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안랩 디바이스의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JP2019137838A (ja) * 2018-02-09 2019-08-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190134879A (ko) * 2018-05-03 2019-12-05 손영욱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음성인식을 이용한 맞춤형 스마트팩토리 생산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078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와이티 생산관리시스템(mes)의 제조생산설비 수집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경영예측 플랫폼 시스템
US20190089603A1 (en) * 2017-09-18 2019-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overy of iot devices
KR20190091636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안랩 디바이스의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JP2019137838A (ja) * 2018-02-09 2019-08-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190134879A (ko) * 2018-05-03 2019-12-05 손영욱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음성인식을 이용한 맞춤형 스마트팩토리 생산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604B1 (ko)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249B2 (en) Predicting the risk associated with a network flow, such as one involving an IoT device, and applying an appropriate level of security inspection based thereon
US10855811B2 (en) Network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966319B2 (ja) 送信機指紋に基づいたユーザ装置のネットワーク位置決定方法及びシステム
US94509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to machine network security monitor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avaretto et al. When the price is your privacy: A security analysis of two cheap IoT devices
KR102310027B1 (ko) 결정 방법 및 대응하는 단말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저장 매체
KR102197846B1 (ko) 해외 역직구 이커머스 구현을 위한 자동화 플랫폼 시스템
CN111433772A (zh) 服务器以及使用其防御恶意代码的方法
KR102389936B1 (ko) 취약점 분석 및 이와 연계된 IoT 케어 시스템
KR102488604B1 (ko)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
KR102366304B1 (ko) 페이크 디바이스 탐지 방법 및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
KR102321689B1 (ko) 자율주행차량에서의 근접 디바이스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161417B1 (ko) 온도차 기반의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KR102161416B1 (ko)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KR102185847B1 (ko) 포트 스캐닝과 프로토콜 스캐닝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시스템
KR102180638B1 (ko) 충돌관리와 비인가기기의 진단이 가능한 자율주행차량
KR102159077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시스템
KR102655602B1 (ko) IoT 케어 센서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59070B1 (ko)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및 IoT 케어 디바이스
KR102389938B1 (ko) IoT 타입 분석 및 이를 이용한 불법 IoT 디바이스 탐지 시스템
KR102321683B1 (ko) 비인가 블루투스 기기를 선별적으로 차단할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28233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시스템
KR20180005359A (ko) Dns 주소의 변조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20210137743A (ko) 페이크 디바이스 탐지 방법 및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
KR102185843B1 (ko) 배너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및 IoT 케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