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416B1 -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416B1
KR102161416B1 KR1020200087682A KR20200087682A KR102161416B1 KR 102161416 B1 KR102161416 B1 KR 102161416B1 KR 1020200087682 A KR1020200087682 A KR 1020200087682A KR 20200087682 A KR20200087682 A KR 20200087682A KR 102161416 B1 KR102161416 B1 KR 10216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wireless
protocol
port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20008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8Protocol analy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33Vulnerability analysis
    • H04W12/120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1Wireless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IDS];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W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창고(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202);
실외기(208); 냉동창고(201)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231); 및 컨트롤러(214);를 포함하며,
냉매가 실내기(202)와 실외기(203)를 순환되면서 냉동창고(201)의 온도가 유지되고, 컨트롤러(214)는, 실내기(202)에 구비된 증발기(210)에 설치된 온도센서(216)의 감지결과와 온도센서(23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증발기(210)에 설치된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FREEZ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REAL-TIME DEFROSTING}
본 발명은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장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거쳐서 다시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상변화와 온도변화를 통해서 냉동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통상,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냉동장치의 증발기에서 기화가 일어나면서, 증발기에 서리나 얼음이 발생되어 냉동장치의 효율이 나빠져서 증발기에 생긴 서리나 얼음을 제거하는 제상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종래의 냉동장치에서 제상동작에 주안점을 두도록 제어될 경우, 냉동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유지 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냉동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주안점이 되도록 제어되면, 제상동작을 위한 온도 제어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창고(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202); 실외기(208); 냉동창고(201)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231); 및 컨트롤러(214);를 포함하며, 냉매가 실내기(202)와 실외기(203)를 순환되면서 냉동창고(201)의 온도가 유지되고, 컨트롤러(214)는, 실내기(202)에 구비된 증발기(210)에 설치된 온도센서(216)의 감지결과와 온도센서(23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증발기(210)에 설치된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및 상기 냉동장치로부터 1킬로미터 이내에 설치되는 무선케어장치(100);를 포함하며,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상동작과 냉동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온도를 효율적이고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oT 기반으로 냉동장치가 구현될 경우에도, 안전하게 냉동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무선케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이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기록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관리'는 데이터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 및/또는 구성요소 B'는 '구성요소 A', '구성요소 B' 또는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장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운영체제, 펌웨어, 응용 프로그램, 통신부, 및 기타 리소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은 다른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예를 들면, 관리 프로그램)을 동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펌웨어, 통신부, 주변기기, 및 기타 리소스(하드웨어적 자원과 소프트웨어적 자원을 포함)는 서로 동작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한 한도에서 기재 또는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정보, 내역, 및/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페이크 디바이스'(fake device)는 불법적이거나 정당한 허락없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읽거나 변조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보안 공간'은 냉동창고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면 1킬로)이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물리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200)는 냉동창고(201)의 내부의 적재물(212)이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200)는 냉동창고(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내기(210, 211), 실외기(208),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231)(이하, '냉동창고용 온도센서'라고 함), 및 컨트롤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실내기(210, 211)는 제1실내기(202)와 제2실내기(2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매가 실내기(202)와 실외기(203)를 순환되면서 냉동창고(201)의 온도가 유지되고, 컨트롤러(214)는, 실내기(202)에 구비된 증발기(210)에 설치된 온도센서(216)의 감지결과와, 온도센서(23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증발기(210)에 설치된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실내기(202)는 증발기(210)를 포함하고, 제2실내기(204)는 증발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내기(202)는 또한 팽창밸브(미도시)와 압축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실내기(204)도 팽창밸브(미도시)와 압축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팽창밸브와 압축기에 대한 동작과 구성은 종래 널리 알려져있으므로, 본원 명세서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밸브와 압축기가 실내기(202, 204)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성에 따라서 팽창밸브와 압축기는 실내기(202, 204)가 아닌 실외기(208)에 위치될 수도 있다.
냉동장치(200)에서 냉매는 증발기(210, 211),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거쳐서 다시 증발기(210, 211)로 유입되어 순환된다. 증발기(210, 211)에서 출력되는 냉매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이고, 압축기(미 도시)로 들어가면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후에 응축기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된다. 실외기(208)의 응축기(미 도시)에서 출력된 액체 상태의 냉매는 팽창 밸브(미 도시)로 들어가고, 팽창 밸브(미 도시)는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출력한다. 팽창 밸브(미 도시)에서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는 증발기(210, 211)로 유입되고, 증발기(210, 211)에서 냉매가 잠열을 얻어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된다. 이후는 같은 방식으로 냉매가 순환된다.
실외기(208)는 응축기(미도시)를 포함하며 고온고압의 기체를 액체로 응축시킨다.
실외기(208)는 냉매가 이동되는 배관과 팬(fan)이 설치되어 있고, 그러한 냉매의 열을 식히기 위해서 팬(fan)이 가동된다.
컨트롤러(214)는 냉동장치(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214)는 냉동창고(201)의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고, 증발기들(210, 211)의 제상을 위해서, 제1실내기(202), 제2실내기(204), 및 실외기(208)의 동작을 제어한다.
냉동창고용 온도센서(231)는 냉동창고(201)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동창고(201)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는 컨트롤러(214)에 제공된다.
증발기(210)는 냉매의 증발을 위한 구성을 가지며, 증발기(210)는 증발기(210)의 내부에 설치된 냉매관 - 냉매가 이동되는 관 -에 설치되는 복수의 히터들(220, 222, 224)과 냉매관에 직접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216, 218)(이하, '증발기용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증발기(211)도 냉매의 증발을 위한 구성을 가지며, 증발기(211)는 증발기(211)의 내부에 설치된 냉매관 - 냉매가 이동되는 관 -에 설치되는 복수의 히터들(221, 222, 225)과 냉매관에 직접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들(217, 219)(이하, '증발기용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14)는 증발기(210)와 증발기(211)에 각각 설치된 증발기용 온도 센서들(216, 217, 218, 219)에 의해 감지된 감지결과와, 냉동창고(201)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용 온도 센서(217)에 의해 감지된 감지결과를 제공받고, 증발기(210)의 내부의 냉매관에 형성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히터들(220, 222, 224)의 히팅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상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14)는, 실내기(202)에 구비된 증발기(210)에 설치된 온도센서(216)의 감지결과와, 온도센서(23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증발기(210)에 설치된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14)는, 또한, 실내기(204)에 구비된 증발기(211)에 설치된 온도센서(217)의 감지결과와, 온도센서(23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증발기(210)에 설치된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14)는 증발기(210)에 설치된 증발기용 온도 센서들(216, 218)에 의해 감지된 냉매의 온도와, 냉동창고(101)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231)에 의해 감지된 냉동창고(101) 내부의 온도(이하, '룸 온도')(T_room)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들(220, 222, 224)의 온도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처럼, 증발기(210)에 복수의 온도 센서들(216, 218)이 설치된 경우, 컨트롤러(214)는 온도 센서들(216, 218)에 의해 감지된 온도 값들의 평균값(T_avg1)을 산출하고, 그러한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들(220, 222, 224)의 온도를 제어한다.
컨트롤러(214)는,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이 변화되면 제상동작을 수행한다. 즉, 컨트롤러(214)는,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 변화되면, 복수의 히터들(220, 222, 224)을 동작시켜서 제상 동작을 수행한다. 컨트롤러(214)는,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 변화되는 경우에만 제상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증발기(210)에 대한 기준값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냉동창고(101)를 동작하는 동안 증발기(210)에 얼음이나 서리가 끼지 않을 때의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차이값의 10% 를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만약,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가 섭씨 5도라면, 0.5도가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각들(t1, t2)에서의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을 측정하여, 평균값(T_avg1)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에 대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14)는 증발기(211)에 설치된 증발기용 온도 센서들(217, 219)에 의해 감지된 냉매의 온도와, 냉동창고(101)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231)에 의해 감지된 냉동창고(101) 내부의 온도('룸 온도')(T_room)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들(221, 223, 225)의 온도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처럼, 증발기(211)에 복수의 온도 센서들(217, 219)이 설치된 경우, 컨트롤러(214)는 온도 센서들(217, 219)에 의해 감지된 온도 값들의 평균값(T_avg2)을 산출하고, 그러한 평균값(T_avg2)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들(221, 223, 225)의 온도를 제어한다.
컨트롤러(214)는, 평균값(T_avg2)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이 변화되면 제상동작을 수행한다. 즉, 컨트롤러(214)는, 평균값(T_avg2)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 변화되면, 복수의 히터들(221, 223, 225)을 동작시켜서 제상 동작을 수행한다. 컨트롤러(214)는, 평균값(T_avg2)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 변화되는 경우에만 제상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증발기(211)에 대한 기준값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냉동창고(101)를 동작하는 동안 증발기(211)에 얼음이나 서리가 끼지 않을 때의 평균값(T_avg2)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값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차이값의 10% 를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만약, 평균값(T_avg2)과 룸 온도(T_room)와의 차이가 섭씨 5도라면, 0.5도 가 기준값이 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무선케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이하, "시스템")은 무선케어장치(100), 냉동장치(200), 및 IoT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시스템의 설명을 위해서, 무선장치(5: 5a, 5b, 5c, 5d)를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냉동장치(200)와 IoT 제어장치(300)는 서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통신이 가능하다. 냉동장치(200)와 IoT 제어장치(30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미 도시)를 각각 구비한다.
무선케어장치(100)는 냉동장치(200)로부터 1킬로미터 이내에 설치될 수 이다. 이러한,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검출 또는 판별할 수 있다.
냉동장치(200)는 냉동장치(200)에 의해 제어되는 냉동창고의 내부 온도(룸 온도)와, 다양한 센서들의 센서값(온도 센서들)과, 제상동작의 실시간 현황을 근거리 무선으로 IoT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제어장치(300)는 냉동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관리자가 볼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IoT 제어장치(300)와 광역통신망(미 도시)을 통해서 연결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케어장치(100)는 냉동장치(200)와 IoT 제어장치(300)간의 통신을 해킹할 수 있는 위험한 디바이스(이하, '페이크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통신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무선케어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5)의 통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5)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에 따른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5)는 냉동장치(200)와 IoT 제어장치(300)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디바이스이고,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5)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5)는 스마트폰이나 무선통신이 가능한 노트북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케어장치(100)는 타입 추정동작 및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및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무선케어장치(100)에 포함된 통신부(109)(도 5와 그 설명 참조)는 무선 디바이스(5)가 출력하는 무선 신호들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케어장치(100)는 통신부(109)에 의해 감지된 디바이스들 중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타겟 디바이스로서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은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무선케어장치(100)에 포함된 진단모듈(102)(도 5와 그 설명 참조)은,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고, 또한 타겟 디바이스(5)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5)의 갯수는 각각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갯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적거나 또는 많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5)가 타겟 디바이스라고 가정하고,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입 추정 동작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102)은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과,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a), 타겟 디바이스(5b), 타겟 디바이스(5c), 및 타겟 디바이스(5d) 각각에 대하여 어떤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예를 들면, 풀 스캐닝(FULL SCNNING) 또는 스텔스 스캐닝(STEALTH SCANNING) 이라 불리우는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풀 스캐닝은 완벽한 TCP 세션(Session)을 맺어서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스텔스 스캐닝은 하프 스캔(half scan) 기술의 일종이며, 포트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고 그러한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response)이 오면 응답한 포트가 열려있는 것이고, 응답이 오지 않으면 포트가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스텔스 스캐닝은 예를 들면, FIN, NULL, 또는 XMASH 일 수 있다.
포트(Port)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며,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Protocol)은 예를 들면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의 예를 들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T)와 같은 것일 수 있다. 포트들은 번호로 구별되며, 이러한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사용된다.
포트 번호는 예를 들면 3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포트 번호 포트 종류
0번 ~ 1023번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1024번 ~ 49151번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49152번 ~ 65535번 동적 포트(dynamic port)
한편, 잘 알려진 포트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20번 : FTP(data)
- 21번 : FTP(제어)
- 22번 : SSH
- 23번 : 텔넷
- 53번 : DNS
- 80번 : 월드 와이드 웹 HTTP
- 119번 : NNTP
- 443번 : TLS/SSL 방식의 HTTP
이러한 포트 번호들과 포트 종류는 예시적인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타겟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한다.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포트 스캐닝 동작을 통해서, 타겟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타겟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타겟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아낸다.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은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동작이다. 여기서,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것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또한,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타겟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각각 찾는다.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오픈 포트에 보낼 패킷(이하,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를 작성하는 동작,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은 예를 들면 스크립트(Script)일 수 있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알아낸 오픈 포트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해서, 포트 번호에 따라서 포트의 종류가 분류된 데이터(예를 들면, <표1>)(이하, '포트 종류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포트 종류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102)은,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서, 상기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5b)의 23번 포트는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고, 타겟 디바이스(5c)의 5555번 포트와 타겟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임을 알 수 있다.
진단모듈(102)은, 오픈 포트의 종류에 맞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타겟 디바이스(5a)에게 전송한다.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한편,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진단모듈(102)은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 후 타겟 디바이스(5a)에게 전송한다.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결정한다. 만약,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상기 다른 프로토콜로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상기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이후, 타겟 디바이스(5a)는 타겟 디바이스(5a)로부터 응답이 올때까지 또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전송한다. 진단모듈(102)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 낸다.
진단모듈(102)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프로토콜 스캔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과, 그렇게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은, 통상적으로 서비스마다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한다. 즉, 프로토콜마다 주로 지원되는 서비스들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102)은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토콜-서비스 매핑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도,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별로 주로 사용되는 서비스가 정해져 있다는 경험에 기초한 것이다. 예를 들면,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은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예를 들면 IP TV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다. 즉, 서비스마다 주로 제공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타입을 정의한 데이터(이하,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가 준비되면, 진단모듈(102)은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서비스-타입 매핑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배너(Banner)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어떤 종류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진단모듈(102)은, 운영체제의 종류를 알면 서비스의 종류를 알거나 또는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추정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5)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예를 들면,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와 같은 것들이다. 여기서, 타이젠(Tizen)은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장치, TV, 냉장고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운영체제이고, 브릴로(Brillo)는 구글에서 발표된 안드로이드 기반의 임베디스 운영체제이고, 푸크시아(Fuchsia)는 구글에서 개발중인 운영체제로서 임베디드 시스템, PC, 스마트폰,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고, 라이트오에스(LiteOS)는 화웨이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스마트 홈,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카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이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통상적으로 타겟 디바이스가 어떠한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Service) 정보에는 '나의 아이폰'(My iPhone)과 같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결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에 의해 수행되는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제1추정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1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RTSP, RTP, 또는 RTCP 프로토콜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2추정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이다. 제2추정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타이젠(Tizen), 브릴로(Brillo), 푸크시아(Fuchsia), 또는 라이트오에스(LiteOS)를 언급한 설명 부분과 나의 아이폰(My iPhone)을 언급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비교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이다.
타입결정동작은,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에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을 결정하고,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가 서로 같을 경우에 제1추정동작 또는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들(5)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다.
한편, 타겟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가 없거나, 그러한 배너 정보와 서비스 정보에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타입 추정 동작(Type Assumption)은,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을 포함한다. 즉, 제2추정동작과 비교동작의 수행이 없이, 제1추정동작과 타입결정동작만으로 타입 추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 동작은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타겟 디바이스(5a)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5b)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5c)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5d)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때 상황에 맞도록 순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진단모듈(102)은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공격하고,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취약점(vulnerability)은 공격자가 디바이스의 정보 보증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약점을 의미한다.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Vulnerability)에서도, 취약점에 대하여 “Vulnerability refers to the inability (of a system or a unit) to withstand the effects of a hostile environment”라고 정의되어 있고, 본원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위키피디아에서 정의한데로 사용하기로 한다.
타겟 디바이스(5a)가 '타겟 디바이스' 인 경우를 예로 들면,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면 타겟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타겟 디바이스(5a)가 가진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지 못하면 타겟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고, 선택한 취약점을 이용해서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5)의 각각의 타입을 추정하고, 추정한 각각에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공격하고, 그러한 공격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5)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102)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구비된 기억장치(113)(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케어장치(100)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102)은 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무선케어장치(100)에 구비된 기억장치(113)(후술하기로 함)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는, 무선케어장치(100)가 접근가능하도록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기억장치(미 도시)에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5)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동작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디바이스(5)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동작은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이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가지는 취약점과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category_view.php" URL에 접근할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category_view.php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ㆍ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URL에 접근할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mydlink/get_TriggedEventHistory.as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router_info.xml?section=wps" URL에 접근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PIN 과 MAC 주소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router_info.xml?section=wps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라우터(router)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공격자가 HTTP POST 메소드로 "/wpsacts.php" URL에 접근할 시 데이터에 스크립트 구문을 넣을 수 있는 있음.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wpsacts.php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일 수 있다.
. 취약점: default / tluafed 계정의 백도어가 존재하는 취약점
.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POST/Login. htm
또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타입의 취약점을 가진 DVR 일 수 있다.
. 취약점: 권한 없는 사용자가 HTTP GET 메소드로 "/device.rsp?opt=user&cmd=list" URL에 접근하게 되면 관리자 계정이 평문(Plain text)으로 노출되는 취약점
ㆍ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 GET/device.rsp?opt=user&cmd=li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는 같은 종류의 기능을 가진 것이라도 취약점이 다르다면 서로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라우터들은 취약점이 서로 달라서, 따라서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또한, 상술한 DVR(Digital Video Recoder) 역시 취약점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타입의 타겟 디바이스로 구별된다.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제조사가 같고,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라고 하더라도 펌 웨어(firm ware)가 서로 다르다면 다른 타입으로 취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이 각각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될 경우, 진단모듈(102)은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해서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한다.
다르게는(alternatively),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가 대응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진단모듈(102)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110)가 타입별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차단동작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하는 동작이다.
차단동작은 페이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페이크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키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하며,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기기와의 통신이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102)은 취약점이 있는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5a)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가정하면,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5a)에 대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함으로써 블루투스 기기의 통신을 차단시킨다. 즉,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5a)에게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받은 페이크 디바이스(5a)는 그러한 메시지에 대응하느라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통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진단모듈(102)은 페이크 디바이스(5a)만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케어장치(100)는, 포트 스캐닝부(101), 프로토콜 스캐닝부(103), 타입 추정부(104), 판단부(108), 운영체제(107), 통신부(109), 취약점 공격부(110), 컴퓨터 프로세서(111), 주변 기기(112), 기억장치(113), 및 메모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부(101), 프로토콜 스캐닝부(103), 타입 추정부(104), 판단부(108), 및 취약점 공격부(110)를 진단모듈(102)로 통칭하기로 한다.
진단모듈(102)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타입 추정동작,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 스캐닝부(101)가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프로토콜 스캐닝부(103)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타입 추정부(104)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고, 판단부(108)는 페이크 디바이스 선별동작 및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포트 스캐닝부(101)는 상술한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포트 스캐닝부(101)는 포트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109)를 통해서 포트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5)에게 전송하고, 포트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무선 디바이스(5)에서 오픈된 포트를 결정한다.
프로토콜 스캐닝부(103)는 상술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스캐닝부(103)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고, 통신부(109)를 통해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5)에게 전송하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오픈된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취약점 공격부(110)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통신부(109)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판단부(108)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운영체제(107)는 하드웨어를 관리할 뿐 아니라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추상화 플랫폼과 공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고, 기억장치(113)와 메모리(115)는 각각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실행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세서(111)는 중앙처리장치(CPU)이며, 이러한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제어 장치, 또는 그 기능을 내장한 칩이다.
메모리(115) 및/또는 기억장치(113)에는 프로그램이 저장 또는 실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프로토콜-서비스 매핑(mapping) 데이터 또는 서비스-타입 매핑(mapping) 데이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5) 및/또는 기억장치(113)는, 또한, 각종 데이터를 임시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15) 및/또는 기억장치(113)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타입 추정부(104)는 상술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부(104)는 무선 디바이스(5)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포트 스캐닝부(101)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103)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결과를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스캐닝부(101)의 동작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부(103)의 동작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장치(113) 및/또는 메모리(115)에는 타입 추정부(104)의 타입 추정 결과가 저장된다. 타입 추정 결과는 무선 디바이스(5) 별로 타입이 대응된 데이터이다. 한편, 기억장치(113) 및/또는 메모리(115)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타입별로 취약점이 대응된 데이터임)는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이 가지는 취약점을 찾기 위해서 사용된다.
취약점 공격부(110)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아서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할수 있다. 이후,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통신부(109)를 통해서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판단부(108)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이 있으면 대상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고, 응답이 없으면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한다.
포트 스캐닝부(101)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부분은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포트 스캐닝 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부(103), 타입 추정부(104)도 포트 스캐닝부(101)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무선케어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무선케어장치(100)는 종래의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기술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에 대하여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할 때, 1차적으로 종래의 기술(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10-1563213(2015. 10. 20)(이 등록특허에 개시된 내용은 본원 발명과 모순되지 않는 한도에서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 결합됨)에 개시된 기술에 의해 먼저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단하고, 2차적으로 본원 발명에 의한 페이크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것이다. 상기 한국등록특허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채널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의 고유의 정보들이 변조된 것을 확인하되, 변조된 정보끼리 서로 모순되도록 변조되었을 경우에 페이크 디바이스로 판단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만약, 페이크 디바이스가 자신의 모든 정보들을 서로 모순됨이 없이 변조하였다면,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기술로는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원 발명은 그러한 경우라도,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페이크 디바이스가 맥 어드레스(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채널과 같은 정보를 변조할수는 있지만 펌 웨어(firm)는 변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냉동장치(200)와 IoT 제어장치(300)에 근접한 타겟 디바이스('타겟 디바이스'라고도 함)들 중에서 페이크 디바이스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별로 취약점을 대응시킨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 디바이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취약점을 찾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에서 선택된 취약점을 공격하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케어방법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케어장치(100)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한다.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는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단계(S200)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의 결과를 무선케어장치(100)가 기록매체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한편, 장치(100)가 아닌 다른 컴퓨터(미 도시)가 S100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는 무선케어장치(100)가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110)는 타입 추정부(104)에 의해 추정된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억장치(113)에는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저장되어 있으며, 취약점 공격부(110)는 그러한 타입별 취약점 데이터를 참조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취약점을 선택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를 공격하는 단계(S400)는, 무선케어장치(100)가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취약점 공격부(110)가 타겟 디바이스에게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선택된 취약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 취약점 공격부(110)는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예를 들면, 무선케어장치(100)의 판단부(108)는 타겟 디바이스가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할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고,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취약점 공격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취약점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다른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S100); 페이크(fake)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을 선택하는 단계(S300); S300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취약점을 공격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공격이 성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무선케어방법을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100)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즉,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포트 스캐닝 단계(S110)는 무선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 무선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는 80번 포트가, 무선 디바이스(5b)의 오프 포트는 23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c)의 오픈 포트는 5555번 포트이고, 무선 디바이스(5d)의 오픈 포트는 5559번 포트라는 것을 알게된다.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기 위한 단계이다. 즉,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오픈 포트는 포트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로 획득된 것이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5a)의 오픈 포트인 80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5b)의 23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5c)의 5555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무선 디바이스(5d)의 5559번 포트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찾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처럼,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무선 디바이스(5)의 모든 오픈 포트에 대하여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는 단계이다.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는,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상기 오픈 포트를 가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술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또는 동적 포트(dynamic port)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포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포트 종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포트 스캐닝 동작에 의해 획득된 오픈 포트의 종류를 알아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는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이므로, 웹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5a)로부터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IoT 디바이스(5a)의 80번 포트가 웹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월드 와이드 웹 HTTP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코롤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5)의 오픈 포트들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서, 상술한 동작들과 같이 응답이 올때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이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타겟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올때 까지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전송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오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응답이 오면 그러한 응답에 사용된 프로토콜을 해당 오픈 포트에서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라고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상술한 포토 스캐닝 단계(S110)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S120)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타입(type)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타입 추정 단계(S13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와,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프로토콜의 종류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술한 서비스의 종류로부터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들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과 도 2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에는 타겟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는, IoT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술한 포토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와 프로토콜 스캐닝(Protocol Scanning) 동작의 수행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다른 예를 들면, 타입 추정 단계(S130)는, 포트 스캐닝 동작,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 및 타입 추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추정동작, 제2추정동작, 비교동작, 및 타입결정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상과 같이,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케어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위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상과 같이,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무선케어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111)의 제어하에 메모리(115)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Open Port)를 찾는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 포트 스캐닝 단계(Port Scanning step)(S110)의 수행결과로 찾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프로토콜 스캐닝 단계(Protocol Scanning step)(S120), 상술한 스캔 단계들(S110, S1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단계(Type Assumption step)(S13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방법을 무선케어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위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 5a, 5b, 5c, 5d : 무선 디바이스
100: 무선케어장치
101: 포트 스캐닝부
103: 프로토콜 스캐닝부
104: 타입 추정부
107: 운영체제
108: 판단부
109: 통신부
110: 취약점 공격부
111: 컴퓨터 프로세서
112: 주변 기기
113: 기억장치
115: 메모리
200: 냉동장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및
    상기 냉동장치로부터 1킬로미터 이내에 설치되는 무선케어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냉동장치는
    냉동창고(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202);
    실외기(208);
    냉동창고(201)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231); 및
    컨트롤러(214);를 포함하며,
    냉매가 실내기(202)와 실외기(203)를 순환되면서 냉동창고(201)의 온도가 유지되고,
    컨트롤러(214)는, 실내기(202)에 구비된 증발기(210)에 설치된 온도센서(216)의 감지결과와 온도센서(23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증발기(210)에 설치된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제어하며,
    증발기(210)에 설치된 제2 온도센서(218)가 더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214)는, 또한, 온도센서(216)에 감지된 온도와 온도센서(218)에 의해 감지된 온도의 평균값과, 온도센서(231)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제어하며,
    컨트롤러(214)는, 또한,
    상기 평균값과, 온도센서(217)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의 차이값의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히터(220)의 제상 동작을 수행하며,
    무선케어장치(100)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무선케어장치(100)는, 또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타입 추정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취약점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공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크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포트 스캐닝 동작과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이고,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오픈 포트를 찾는 동작이고,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포트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알아낸 오픈 포트(Open Port)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찾는 동작이며,
    상기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과, 오픈 포트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을 작성하여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토콜 확인용 패킷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인 것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배너(Banner) 정보와 서비스(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배너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타입 추정 동작은
    프로토콜 스캐닝 동작의 수행결과로 찾은 프로토콜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1추정동작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의 종류를 추정하는 제2추정동작과, 제1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와 제2추정동작에 의해 추정된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동작과,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를 경우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기 오픈 포트(Open Port)를 가진 무선 디바이스의 타입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와 무선케어장치가 통합된 시스템.
KR1020200087682A 2020-07-15 2020-07-15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KR10216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82A KR102161416B1 (ko) 2020-07-15 2020-07-15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82A KR102161416B1 (ko) 2020-07-15 2020-07-15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416B1 true KR102161416B1 (ko) 2020-09-29

Family

ID=7266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682A KR102161416B1 (ko) 2020-07-15 2020-07-15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3692B2 (en) 2021-08-31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169A (ko) * 2009-12-21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방법
KR20150118275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60103857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리프코리아 자동 제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KR101917293B1 (ko) *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5431A (ko) * 2018-01-10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19530040A (ja) * 2016-06-30 2019-10-17 スクエ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不正および改ざんに対するデバイスの論理的妥当性確認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169A (ko) * 2009-12-21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방법
KR20150118275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60103857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리프코리아 자동 제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JP2019530040A (ja) * 2016-06-30 2019-10-17 スクエ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不正および改ざんに対するデバイスの論理的妥当性確認
KR20190085431A (ko) * 2018-01-10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917293B1 (ko) *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3692B2 (en) 2021-08-31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5210C (en) Managing network interaction for devices
KR20160027037A (ko) IoT 자원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제어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트러스트 휴리스틱 모델
KR20150121091A (ko) 이종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적응적이고 확장가능한 범용 스키마
KR102161416B1 (ko)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KR102161417B1 (ko) 온도차 기반의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Sun et al. A castle of glass: Leaky iot appliances in modern smart homes
EP3649569B1 (en) Server and method for defending malicious code using same
KR20220032886A (ko) 실시간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KR20220032887A (ko) 온도차 기반의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KR102389936B1 (ko) 취약점 분석 및 이와 연계된 IoT 케어 시스템
KR102366304B1 (ko) 페이크 디바이스 탐지 방법 및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
KR102321689B1 (ko) 자율주행차량에서의 근접 디바이스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180638B1 (ko) 충돌관리와 비인가기기의 진단이 가능한 자율주행차량
KR102185847B1 (ko) 포트 스캐닝과 프로토콜 스캐닝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시스템
KR102159070B1 (ko)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및 IoT 케어 디바이스
KR102655602B1 (ko) IoT 케어 센서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59077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시스템
KR102389938B1 (ko) IoT 타입 분석 및 이를 이용한 불법 IoT 디바이스 탐지 시스템
KR102258729B1 (ko) 기악교육을 위한 ai 기반의 악기의 연주 동작의 자동 추적 및 매칭 시스템
KR102488604B1 (ko) Fkm, ffkm, hnbr, csm,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특수 고무들의 제조 장치 및 발주 시스템
KR102321683B1 (ko) 비인가 블루투스 기기를 선별적으로 차단할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2185843B1 (ko) 배너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및 IoT 케어 디바이스
KR20210137743A (ko) 페이크 디바이스 탐지 방법 및 무선 디바이스 케어 장치
KR20230061725A (ko) 비인가 블루투스 기기를 선별적으로 차단할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2439984B1 (ko)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