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941A -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941A
KR20220018941A KR1020210103333A KR20210103333A KR20220018941A KR 20220018941 A KR20220018941 A KR 20220018941A KR 1020210103333 A KR1020210103333 A KR 1020210103333A KR 20210103333 A KR20210103333 A KR 20210103333A KR 20220018941 A KR20220018941 A KR 2022001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substitute currency
accommodating part
reading means
substit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시게타
사토루 몬지
Original Assignee
엔제루 구루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제루 구루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제루 구루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G07F17/322Casino tables, e.g. tables having integrated screens, chip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48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non-monetary media of fixed value, e.g. casino chips of fixed val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3Card games, e.g. poker, canasta, black j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근접한 다른 에어리어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고, 소정의 에어리어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판독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은, 유기 테이블에 구비되고,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수용부 (102) 와, 수용부 (102) 에 수용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안테나 (104) 를 구비한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판독 수단은, 수용부 (102) 를 분할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영역 (R) 에 대응하여 복수의 안테나 (104) 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안테나 (104) 의 전자파가, 유기용 대용 화폐가 배치되는 수용부 (102) 이외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READING SYSTEM FOR GAME TOKENS}
본 발명은, 카지노나 다른 유기용 대용 화폐를 사용하는 게임 시설에 있어서, RFID 가 부착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지노 등의 유기장에 있어서 실시되는 많은 테이블 게임 중에는 바카라나 블랙잭이 있다. 카지노에 있어서는, 이러한 게임에 사용하기 위해 유기용 대용 화폐가 사용된다.
카지노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에 RFID 태그를 부착함으로써, 게임에서의 지불액, 회수액이 올바른지를 확인하거나, 유기용 대용 화폐의 소재나 소유자를 파악하여 관리하거나 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RFID 가 부착된 유기용 대용 화폐는 공지되었으며 특허문헌 1 (국제출원공개 제2008/120749호) 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출원공개 제2008/120749호
종래 카지노에서는 RFID 가 부착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사용하고, 베트 에어리어나 칩 트레이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를 판독함으로써, 특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파악하고, 부정의 방지 등에 사용해 왔다. 그러나, 베트 에어리어와 칩 트레이와 같이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한 영역이 근접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의 영역의 RFID 판독 장치가 다른 일방의 영역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도 판독해 버리거나, 각각의 판독 장치가 판독을 위해 발생시키는 전자파가 서로 간섭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근접한 영역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를 정확하게 구별하여 판독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베트 에어리어와 칩 트레이 사이의 구별 판독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 칩 트레이의 상하단이나 유기용 대용 화폐를 보관하는 캐비닛의 각각의 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정확하게 구별하여 판독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기 테이블에 구비되고,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안테나를 구비한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수용부를 분할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기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전자파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가 배치되는 상기 수용부 이외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자계가 상기 수용부 이외의 장소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해 버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3 개 이상의 배선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이 조밀한 부분과 성긴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되고, 상기 조밀한 부분의 각각의 상기 배선 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동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는 적어도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할당된 ID 가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있어도 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안테나가 발생시킨 전자파에 의해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상기 RFID 태그가 중복하여 판독된 경우, 당해 RFID 태그에 기억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수용부에 1 장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수용부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동일한 영역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의 세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1 개의 상기 안테나의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전부 사용하여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1 개의 리더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RFID 태그를 판독하는 1 개의 리더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사용하는 안테나를 변경하여 복수 회의 판독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사용하는 안테나를 변경하여 복수 회 판독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의 부근에 배치되어도 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베트 에어리어를 향하는 방향이어도 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선 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전체에 걸쳐서 줄무늬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기 테이블은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베트 에어리어를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어도 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선 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전체에 걸쳐서 줄무늬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선 부분이 상기 안테나의 1 개에 3 개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서로 중첩되는 배선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플레이어로부터 회수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회수 칩 수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상기 수용부의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상기 안테나와는 다른 회수 칩용 안테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수 칩 수용부 사이에, 상기 수용부의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상기 회수 칩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하고, 및/또는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하는, 실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는 적어도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할당된 ID 가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상기 회수 칩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보관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있어도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의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와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가 중복되는 경우,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수용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는 적어도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할당된 ID 가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보관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가져도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의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와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가 중복되는 경우,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칩 보관 에어리어와,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된 안테나를 갖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칩 보관 에어리어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의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과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을 갖고,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가 상기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자계가 상기 베트 에어리어 이외의 장소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해 버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 중 1 개가 다른 1 개를 넘도록 교차함으로써, 8 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복수의 상기 안테나를 갖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는 2 개 이상의 상기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여 복수 회 판독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기 테이블에 구비되고,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제 1 안테나를 구비한 제 1 판독 수단과,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제 2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수용부를 분할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기 제 1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 1 안테나의 전자파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가 배치되는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된 제 2 안테나를 갖고,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의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과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을 갖고,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가 상기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제 1 판독 수단과 상기 제 2 판독 수단을 동시에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자계가 서로 간섭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칩 수용 에어리어와,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각각 안테나를 갖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독립된 타이밍에서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판독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식별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증감과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증감을 독립적으로 파악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악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 사이에서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이동을 검지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베트 에어리어로부터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로 이동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게임 결과에 기초한 회수 칩으로서 판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로부터 상기 베트 에어리어로 이동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게임 결과에 기초한 상환 칩으로서 판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ID 가 기록된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한 칩 배치부와,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판독 수단과, 상기 칩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각각의 상기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전자파에 의해 RFID 태그가 판독 가능해지는 각각의 판독 범위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안테나가 발생시킨 전자파에 의해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상기 RFID 태그가 중복하여 판독된 경우, 당해 RFID 태그에 기억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칩 배치부에 1 장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ID 가 기록된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한 칩 배치부와,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판독 수단과, 상기 칩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각각의 상기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전자파에 의해 RFID 태그가 판독 가능해지는 각각의 판독 범위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안테나가 발생시킨 전자파에 의해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상기 RFID 태그가 중복하여 판독된 경우, 당해 RFID 태그에 기억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칩 배치부에 1 장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를 판독 누락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상단 수용부 및 하단 수용부를 갖는 수용부와,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상단 판독 수단과,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하단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수용부는 상기 하단 수용부 상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고, 상기 상단 수용부가 상기 하단 수용부 상에 중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단 수용부는 폐쇄되고, 상기 상단 수용부를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단 수용부가 개방되어 하단 수용부로의 칩의 출납이 가능해지는 구성이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 또는 상기 하단 판독 수단 중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단 판독 수단과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하단 수용부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관리하기 쉬워진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단 수용부가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판독 수단 및/또는 상기 하단 판독 수단으로 RFID 태그를 판독한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은 상기 하단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실시한 판독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해도 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하단 수용부 및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고,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부터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공제함으로써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은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실시한 판독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 및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부터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공제함으로써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판독 수단과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부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를 갖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1 판독 수단과,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2 판독 수단을 갖고,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고, 및/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제 2 수용부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관리하기 쉬워진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판독 수단 및 제 2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제 2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부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를 갖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1 판독 수단과,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2 판독 수단을 갖고,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제 2 수용부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관리하기 쉬워진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고, 및/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 또한 상기 제 1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고, 및/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 또한 상기 제 1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으로서,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한 보관부와,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부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적어도 1 개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제 1 판독을 실시하고,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이다. 이 구성에 의해, 개방 상태에 있는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폐쇄 상태에 있는 수용부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관리하기 쉬워진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전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제 2 판독을 실시하고, 상기 제 1 판독의 결과와 상기 제 2 판독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직전에 개방 상태에 있었던 상기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판독의 결과 및 제 2 판독의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개방 상태에 있었던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폐쇄 상태에 있는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의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의 배치의 일례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의 배치의 일례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ID 의 특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의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ID 의 특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이중 칩 트레이의 외관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ID 의 특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판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ID 의 특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처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판독 시스템 (101) 의 개략도이다. 판독 시스템 (101) 은, 카지노에 있어서 딜러가 유지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보관하고,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판독 시스템 (101) 은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수용부 (102) 와,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안테나 (104) 와, 안테나 (104) 를 제어하는 RFID 리더 (105) 와, RFID 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제어부 (107)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 (104) 와 RFID 리더 (105) 의 조합은 판독 수단에 상당할 수 있다.
수용부 (102) 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용부 (102) 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지하기 위한 홈 (103) 을 구비하여, 홈 (103) 에 유기용 대용 화폐가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판독 시스템 (101) 은 수용부 (1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해, 전자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자계를 형성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안테나 (104) 와, 안테나 (104) 를 제어하는 RFID 리더 (105) 를 구비한다. 판독 시스템 (101) 은 복수의 RFID 리더 (105)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1 개의 RFID 리더 (105) 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복수의 RFID 리더 (105) 를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RFID 리더 (105) 를 1 개씩 순서대로 사용하여 판독을 실시해도 되고, 복수의 RFID 리더 (105) 중 몇 개인가를 동시에 사용하여 판독을 실시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안테나 (104) 를 사용하여 수용부 (102)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을 실시함으로써, 개개의 안테나 (104) 가 판독 가능하게 하는 범위는 종래보다 작은 영역이어도 되기 때문에, 안테나 (104) 가 발생시키는 자계를 작게 할 수 있고, 판독 시스템 (101) 의 부근 (베트 에어리어 등)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기 위한 다른 판독 장치가 발생시키는 자계와 간섭을 일으키기 어려워진다. 또한, 안테나 (104) 가 발생시키는 전자파가 딜러의 신체에 주는 영향도 작게 한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안테나 (104) 는 전자파를 발생시켜, 자계 (Z) 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범위 (R) 에 존재하고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하게 한다. 판독 시스템 (101) 이 구비하는 복수의 안테나 (104) 는 각각의 안테나 (104) 가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범위 (R) 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안테나 (104) 자체가 중첩되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안테나 (104)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FID 리더 (105) 는 안테나 (104) 에 접속되고, 안테나 (104) 를 사용하여 RFID 태그의 판독을 실시한다. 1 개의 RFID 리더 (105) 는 복수의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1 개의 안테나 (104) 에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1 개의 RFID 리더가 복수의 안테나 (104) 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104) 를 1 개씩 순서대로 사용하여 판독을 실시해도 되고, 복수의 안테나 (104) 중 몇 개인가를 동시에 사용하여 판독을 실시해도 된다.
제어부 (107) 는 RFID 리더 (105) 에 접속되고, RFID 리더 (105) 를 사용한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부 (102)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여 관리한다. 또한 특정된 ID 로부터 수용부 (102)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종류, 금액, 매수 등의 정보를 파악해도 되고, 파악된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 를 사용하여 안테나 (104)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안테나 (104) 의 배선을 나타낸 것이다. 안테나는 수용부 (102) 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테나를 배치한 기판 (도시 생략) 을 수용부 (102) 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안테나 (104) 를 설치해도 되고,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안테나 (104) 를 수용부 (102) 에 직접 설치해도 된다.
도 2 의 배치예에서는, 2 개의 안테나 (104a, 104b) 를 사용하여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배치예에 있어서, 안테나 (104a) 와 안테나 (104b) 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우선은 안테나 (104a) 를 사용하여 안테나의 구성을 설명한다. 안테나 (104a) 에는 소정 방향 (도면의 횡방향) 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이 복수 포함되고, 안테나 (104a) 의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이 종래의 안테나보다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서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은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이 조밀하게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각각의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이 형성하는 자계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해야 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매수가 적어진다. 그 때문에, 소정 방향의 배선 (108) 의 각각이 발생시키는 자계는 작아도 되고, 판독 시스템 (101) 의 부근 (베트 에어리어 등)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기 위한 다른 판독 장치가 발생시키는 자계와 간섭을 일으키기 어려워진다. 또한, 안테나 (104a) 가 발생시키는 전자파가 딜러의 신체에 주는 영향도 작게 한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도 2 의 배치예와 같은 배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배선을 소용돌이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도 2 의 배치예에서는, 안테나 (104a) 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이 조밀한 부분과 성긴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안테나 (104a) 에 전류가 흐를 때, 각각의 조밀한 부분에 포함되는 배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1A) 이 동 방향이 되기 때문에, 각각의 배선이 발생시키는 자계가 상쇄하지 않는다. 또, 성긴 부분의 양측에서 배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1A) 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전후 방향으로 확산되는 자계는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쇄하여 필요 이상으로 자계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확산되는 자계는 방향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넘어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 판독하기 쉬워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2 의 배치예에서는, 2 개의 안테나 (104a, 104b) 를 사용하여 동일한 범위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구성이다. 이들 안테나를,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안테나의 판독에 간섭하지 않고, RFID 태그를 판독 누락할 우려가 작아진다. 2 개의 안테나 (104a, 104b) 로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한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과 같은 배치에서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은 수용부 (102)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안테나 (104) 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 (Z) 가 수용부 (102)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 (T)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RFID 태그 (T) 를 판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취하는 경우, 수용부 (102) 에 최대량의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소정 방향의 배선 (108) 이 형성하는 자계 (Z) 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당해 소정 방향의 배선 (108) 에 직행하는 방향으로 나열되는 매수는 8 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은, 1 개의 안테나 (104) 에 포함되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복수의 안테나에 포함되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을 합계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도 4 에서는 소정 방향 (도 4 의 종방향) 으로 연장되는 배선 (108) 은 수용부 (102) 와 보관 장치의 부근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가 배치되는 베트 에어리어 (B) 의 경계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 방향의 배선 (108) 이 수용부 (102) 의 전체에 걸쳐서 줄무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판독 시스템 (101) 의 안테나 (104) 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 (Z) 가 베트 에어리어 (B) 를 향하는 방향으로 확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베트 에어리어 (B)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베트 에어리어 (B)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기 위한 다른 판독 장치가 발생시키는 자계와 간섭을 일으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판독 시스템 (101) 과 다른 판독 장치를 동시에 사용해도 판독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 에서는 상이한 안테나 (104) 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판독으로,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중복되어 판독되는 경우에 제어부 (107) 가 실시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판독 결과 Y11 은 제 1 안테나 (104) 를 사용한 판독으로 판독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나타낸다. 판독 결과 Y12 는 제 1 안테나 (104) 와는 상이한 제 2 안테나 (104) 를 사용한 판독으로 판독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나타낸다. 제어부 (107) 는 판독 결과 Y11 및 Y12 중 적어도 어느 것에 포함되어 있는 ID 에 대해,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수용부 (102) 에 1 장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판독 결과 Y13 을 얻고, 수용부 (102)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파악한다.
상기 수용부 (102) 에 인접하여 회수 칩 수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회수 칩 수용부는, 수용부 (102) 의 홈 (103) 과 동일한 구성을 한 홈을 갖는다. 회수 칩 수용부의 홈은, 수용부 (102) 의 홈 (103) 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회수 칩 수용부는, 플레이어로부터 회수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회수 칩 수용부에는, 수용부 (102) 의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안테나 (104) 와는 다른 회수 칩용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수 칩 수용부의 홈은, 수용부 (102) 의 복수의 홈 (103)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판독 시스템 (101) 은, 수용부 (102) 와 회수 칩 수용부 사이에는 실드 부재가 설치된다. 이 실드 부재에 의해, 수용부 (102) 의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안테나 (104) 가 회수 칩 수용부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또, 실드 부재에 의해, 회수 칩용 안테나가 수용부 (102) 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로써, 회수 칩 수용부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회수 칩) 를 수용부 (1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는 구별하여 판독할 수 있다.
유기용 대용 화폐에 내장되는 RFID 태그에는, 적어도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에 할당된 ID 가 기억되어 있다. 수용부 (102) 의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안테나 (104) 가 회수 칩 수용부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부 (107) 는, 수용부 (102) 및 회수 칩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한다. 제어부 (107) 는, 수용부 (102) 의 안테나 (104) 에 의해 판독된 ID 와 회수 칩용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수용부 (102) 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상기 대신에, 회수 칩용 안테나가 수용부 (102) 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 (107) 는, 수용부 (102) 의 안테나 (104) 에 의해 판독된 ID 와 회수 칩용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회수 칩 수용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판독 시스템 (201) 의 개략도이다. 판독 시스템 (201) 은, 카지노에 있어서 게임 참가인 (P) 이 게임 테이블 상에 배치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판독 시스템 (201) 은 게임 참가인 (P) 이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배치하기 위한 베트 에어리어 (B) 와, 딜러 (D) 가 보유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유지하기 위한 보관 에어리어 (209) 와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안테나 (204) 와, 안테나 (104) 를 제어하는 RFID 리더 (205) 와 RFID 리더 (205) 를 사용한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제어부 (207)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 (204) 와 RFID 리더 (205) 의 조합은 판독 수단에 상당할 수 있다.
베트 에어리어 (B) 는 게임 참가인 (P) 이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베트 에어리어에는 복수의 플레이어 포지션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의 플레이어 포지션에 베트 대상마다 상이한 배치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관 에어리어 (209) 는 딜러 (D) 가 보유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관 에어리어 (209) 는 칩 트레이나 보관고여도 된다.
판독 시스템 (201) 은 베트 에어리어 (B)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해, 전자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자계를 형성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안테나 (204) 와, 안테나 (204) 를 제어하는 RFID 리더 (205) 를 구비한다. 판독 시스템 (201) 은 복수의 RFID 리더 (205)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1 개의 RFID 리더 (205) 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안테나 (204) 는 전자파를 발생시켜, 자계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범위에 존재하고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하게 한다. 판독 시스템 (201) 이 구비하는 복수의 안테나 (204) 는 각각의 안테나 (204) 가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범위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되고, 안테나 (204) 자체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안테나 (204)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FID 리더 (205) 는 안테나 (204) 에 접속되고, 안테나 (204) 를 사용하여 RFID 태그의 판독을 실시한다. 1 개의 RFID 리더 (205) 는 복수의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1 개의 안테나 (204) 에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1 개의 RFID 리더가 복수의 안테나 (204) 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204) 를 1 개씩 순서대로 사용하여 판독을 실시해도 되고, 복수의 안테나 (204) 중 몇 개인가를 동시에 사용하여 판독을 실시해도 된다.
제어부 (207) 는 RFID 리더 (205) 에 접속되고, RFID 리더 (205) 를 사용한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베트 에어리어 (B) 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하여 관리한다. 또한 특정된 ID 로부터 베트 에어리어 (B) 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종류, 금액, 매수 등의 정보를 파악해도 되고, 파악된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파악된 정보와 카메라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특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나 종류, 매수, 금액 등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이 없는지 판정하고, 이상이 있으면 얼러트를 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 을 사용하여 안테나 (204)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안테나 (204) 의 배선을 나타낸 것이다. 안테나 (204) 는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배선 (208a) 과 경계를 따른 방향의 배선 (208b) 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 (204) 에 포함되는,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배선 (208a) 의 길이의 총계가 경계를 따른 방향의 배선 (208b) 의 길이의 총계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안테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는 보관 에어리어의 방향이나 딜러 (D) 의 방향으로는 확산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보관 에어리어 (209) 의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할 우려가 작아진다. 또 딜러 (D) 의 신체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 도 7 에서는 본 발명의 안테나 (204) 는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배선 (208a) 중 1 개가 다른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배선 (208a) 을 넘도록 교차함으로써 8 자 형상을 그리듯이 배선이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하면, 근접하는 가로지르는 방향의 배선 (208a) 에서는, 전류를 흘렸을 때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2A) 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하지 않는다. 또한, 근접하는 따른 방향의 배선 (208b) 은, 전류를 흘렸을 때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2A) 이 역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하여, 보관 에어리어 (209) 에 대한 영향을 더욱 작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8 에서는 상이한 안테나 (204) 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판독으로, 동일한 칩이 중복하여 판독되는 경우에 제어부 (207) 가 실시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판독 결과 Y21 은 제 1 안테나 (204) 를 사용한 판독으로 판독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나타낸다. 판독 결과 Y22 는 제 1 안테나 (204) 와는 상이한 제 2 안테나 (204) 를 사용한 판독으로 판독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나타낸다. 제어부 (207) 는 판독 결과 Y21 및 Y22 중 적어도 어느 것에 포함되어 있는 ID 에 대해,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베트 에어리어 (B) 에 1 장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판독 결과 Y23 을 얻고, 베트 에어리어 (B)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파악한다.
또한 판독 시스템 (201) 은 카메라 (212) 나 승패 판정 장치 (213) 등의 게임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 수단으로부터 취득된 베트 에어리어 (B) 상의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상태나 게임의 진행 상태와, RFID 리더 (205) 를 사용하여 취득된 베트 에어리어 (B) 상의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상태를 비교하여, 이상이 있는지를 판정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 (207) 는 얼러트를 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판독 시스템 (301) 의 개략도이다. 판독 시스템 (301) 은, 카지노에 있어서 딜러가 보유하여 보관 에어리어 (302)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와 게임 참가인 (P) 이 베트 에어리어 (B) 상에 배치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보관 에어리어 (302) 에 있는지 베트 에어리어 (B) 상에 있는지를 구별하여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판독 시스템 (301) 은 게임 참가인 (P) 이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배치하기 위한 베트 에어리어 (B) 와, 딜러 (D) 가 보유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유지하기 위한 보관 에어리어 (302) 와, 베트 에어리어 (B)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과, 보관 에어리어 (3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과, 각각의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제어부 (303) 를 구비하고 있다.
보관 에어리어 (302) 는 딜러 (D) 가 보유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
판독 시스템 (301) 은 보관 에어리어 (3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및 베트 에어리어 (B)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을 갖는다. 또한,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과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는, 각각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안테나와 RFID 리더를 합친 것에 상당한다.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과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은, 판독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거나 동기시키거나 하는 조치를 실시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도 되고, 동일한 타이밍에서 판독을 실시해도,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및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판독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판독 결과는 제어부 (303) 에 기억되어도 된다.
제어부 (303) 는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및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에 접속되고,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및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에어리어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한다. 또한, 제어부 (303) 는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4),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정보의 이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에어리어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증감을 파악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 (303) 는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에 기초하여, 일방의 에어리어로부터 사라진 ID 가 다른 일방의 에어리어에서 판독된 경우,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일방의 에어리어로부터 다른 일방의 에어리어로 이동한 것으로 판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 (303) 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베트 에어리어 (B) 로부터 보관 에어리어 (302) 로 이동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회수 칩으로 판정해도 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보관 에어리어 (302) 로부터 베트 에어리어 (B) 로 이동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상환 칩으로 판정해도 된다. 이 밖에도, 각각의 에어리어에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소실이나 출현, 이동과 그것들이 발생한 에어리어, 타이밍의 정보에 기초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구입이나 환금, 환전 등의 이벤트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판독 시스템 (301) 은 카메라 (306) 나 승패 판정 장치 (307) 등의 게임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 수단으로부터 취득된 게임의 상태와, 각각의 에어리어에서의 판독 수단을 기초로 하여 판정한 회수 칩, 상환 칩 등의 사이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 제어부 (303) 는 얼러트를 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판독 시스템 (401) 의 개략도이다. 판독 시스템 (401) 은, 카지노에 있어서 딜러 (D) 가 게임 테이블 상의 이중 칩 트레이에 배치한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이중 칩 트레이의 상단에 있는지 하단에 있는지를 구별한 후에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판독 시스템 (401) 은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수용하는 상단 수용부 (402) 및 하단 수용부 (403) 와,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하는 상단 판독 수단 (404) 및 하단 판독 수단 (405) 과, RFID 태그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제어부 (406)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단 판독 수단 및 하단 판독 수단은,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안테나와, 안테나를 제어하는 RFID 리더를 합친 것을 가리킨다.
도 11 은 판독 시스템 (401) 에서 사용되는 이중 칩 트레이의 외관도이다. 상단 수용부 (402) 는 이동 가능한 구성이고, 상단 수용부 (402) 가 하단 수용부 (403) 상에 중첩되어 하단 수용부 (403) 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와 상단 수용부 (402) 가 하단 수용부 (403) 상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 하단 수용부 (403) 가 개방된 상태의 2 개의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판독 시스템 (401) 은 하단 수용부 (403) 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 버튼 등의 검지 수단 (도시 생략) 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단 수용부 (402), 하단 수용부 (403) 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유지하기 위한 홈 (407)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홈 (407) 을 구비하지 않고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중첩시켜 보관해도 된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 (C) 는 칩 케이스 (CC) 에 들어간 상태에서 수용되어도 된다.
상단 판독 수단 (404) 은 상단 수용부 (4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한다. 하단 판독 수단 (405) 은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한다.
제어부 (406) 는 상단 판독 수단 (404) 및 하단 판독 수단 (405) 에 접속되고, 이것들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상단 수용부 (402) 및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하여 관리한다. 또한 특정된 ID 로부터 상단 수용부 (402) 및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종류, 금액, 매수 등의 정보를 파악해도 되고, 파악된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판독 수단 (404) 은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고 상단 수용부 (4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 또는 하단 판독 수단 (405) 은 상단 수용부 (4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고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서술한 다른 일방의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판독하지 않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개개의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자계를 작게 하는 구성이나, 배선을 조밀하게 함으로써 개개의 배선이 발생시키는 자계를 작게 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상단 수용부 (402) 와 하단 수용부 (403) 사이에 알루미늄판이나 페라이트 시트 등에 의해 정전 실드, 자기 실드 등의 실드 (도시 생략) 를 형성해도 된다. 혹은 하단 수용부 (403) 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일방의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의 밖에 다른 일방의 수용부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하단 수용부 (403) 를 개방한 상태에서 판독을 실시함으로써, 다른 일방의 수용부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판독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수단을 복수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2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상단 수용부 (402)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와 하단 수용부 (403)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에서는 상단 판독 수단 (404) 이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 (406) 는 상단 판독 수단 (404) 의 판독 결과 Y41 에 기초하여, 상단 수용부 (4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하고, 상단 판독 수단 (404) 의 판독 결과 Y41 과 하단 판독 수단 (405) 의 판독 결과 Y42 를 비교한다. 상단 판독 수단 (404) 과 하단 판독 수단 (405) 의 양방에서 판독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는 상단 수용부 (402) 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하단 판독 수단 (405) 의 판독 결과로부터 상단 판독 수단 (404) 의 판독 결과를 공제함으로써,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의 특정 결과 Y43 을 얻을 수 있다.
하단 판독 수단 (405) 이 상단 수용부 (4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어부는 하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하단 수용부 (4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하고, 상단 판독 수단 (404) 의 판독 결과와 하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를 비교하여, 전자로부터 후자를 공제함으로써, 상단 수용부 (4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의 특정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판독 시스템 (501) 의 개략도이다. 판독 시스템 (501) 은, 카지노에 있어서 복수의 단으로 나뉘어진 수용부를 가진 보관고에 보관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 (C) 가 보관고의 어느 단에 수용되어 있는지를 구별한 후에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판독 시스템 (501) 은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수용하는 상단 수용부 (502) 및 하단 수용부 (503) 와, 유기용 대용 화폐 (C) 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하는 상단 판독 수단 (504) 및 하단 판독 수단 (505) 과, 이들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제어부 (506)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단 판독 수단 및 하단 판독 수단은,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안테나와, 안테나를 제어하는 RFID 리더를 합친 것을 가리킨다.
판독 시스템 (501) 은 상단 수용부 (502) 와 하단 수용부 (503) 를 갖는다. 상단 수용부 (502), 하단 수용부 (503) 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또, 판독 시스템 (501) 은 추가로 상단 수용부 (502), 하단 수용부 (503) 각각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 버튼 등의 검지 수단 (도시 생략) 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단 수용부 (502), 하단 수용부 (503) 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유지하기 위한 홈 (도시 생략)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홈을 구비하지 않고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중첩시켜 보관해도 된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 (C) 는 칩 케이스 (CC) 에 들어간 상태에서 수용되어도 된다.
판독 시스템 (501) 은 상단 판독 수단 (504) 과 하단 판독 수단 (505) 을 갖는다. 상단 판독 수단 (504) 은 상단 수용부 (5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한다. 하단 판독 수단 (505) 은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한다.
제어부 (506) 는 상단 판독 수단 (504) 및 하단 판독 수단 (505) 에 접속되고, 이들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상단 수용부 (502) 및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하여 관리한다. 또한 특정된 ID 로부터 상단 수용부 (502) 및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종류, 금액, 매수 등의 정보를 파악해도 되고, 파악된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판독 수단 (504) 은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고 상단 수용부 (5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 또는 하단 판독 수단 (505) 은 상단 수용부 (5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고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서술한 다른 일방의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판독하지 않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개개의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자계를 작게 하는 구성이나, 배선을 조밀하게 함으로써 개개의 배선이 발생시키는 자계를 작게 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상단 수용부 (502) 와 하단 수용부 (503) 사이에 알루미늄판이나 페라이트 시트 등에 의해 정전 실드, 자기 실드 등의 실드 (도시 생략) 를 형성해도 된다. 혹은 일방의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일방의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의 밖에 다른 일방의 수용부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일방의 수용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판독을 실시함으로써, 다른 일방의 수용부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판독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수단을 복수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4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상단 수용부 (502)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와 하단 수용부 (503) 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에서는 상단 판독 수단 (504) 이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 (506) 는 상단 판독 수단 (504) 의 판독 결과 Y51 에 기초하여, 상단 수용부 (5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한다. 또 상단 판독 수단 (504) 의 판독 결과 Y51 과 하단 판독 수단 (505) 의 판독 결과 Y52 를 비교한다. 상단 판독 수단 (504) 과 하단 판독 수단 (505) 의 양방에서 판독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는 상단 수용부 (502) 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하단 판독 수단 (505) 의 판독 결과로부터 상단 판독 수단 (504) 의 판독 결과를 공제함으로써,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의 특정 결과 Y53 을 얻을 수 있다.
하단 판독 수단 (505) 이 상단 수용부 (5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어부는 하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하단 수용부 (503)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하고, 상단 판독 수단 (504) 의 판독 결과와 하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를 비교하여, 전자로부터 후자를 공제함으로써, 상단 수용부 (502) 에 수용된 유기용 대용 화폐 (C) 의 ID 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101 : 판독 시스템
102 : 수용부
103 : 홈
104 : 안테나
105 : RFID 리더
107 : 제어부
108 : 소정 방향의 배선
Y11 : 제 1 안테나의 판독 결과
Y12 : 제 2 안테나의 판독 결과
Y13 : 수용부에 존재하는 ID
201 : 판독 시스템
204 : 안테나
205 : RFID 리더
207 : 제어부
208a :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배선
208b : 경계를 따른 방향의 배선
209 : 보관 에어리어
212 : 카메라
213 : 승패 판정 장치
Y21 : 제 1 안테나의 판독 결과
Y22 : 제 2 안테나의 판독 결과
Y23 : 베트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ID
301 : 판독 시스템
302 : 보관 에어리어
303 : 제어부
304 : 보관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5 : 베트 에어리어 판독 수단
306 : 카메라
307 : 승패 판정 수단
401 : 판독 시스템
402 : 상단 수용부
403 : 하단 수용부
404 : 상단 판독 수단
405 : 하단 판독 수단
406 : 제어부
Y41 : 상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
Y42 : 하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
Y43 : 하단 수용부에 존재하는 ID
501 : 판독 시스템
502 : 상단 수용부
503 : 하단 수용부
504 : 상단 판독 수단
505 : 하단 판독 수단
506 : 제어부
Y51 : 상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
Y52 : 하단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
Y53 : 하단 수용부에 존재하는 ID
B : 베트 에어리어
D : 딜러
P : 게임 참가인
C : 유기용 대용 화폐
T : RFID 태그
CC : 칩 케이스

Claims (45)

  1. 유기 테이블에 구비되고,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기 위한, 평면 상에 펼쳐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안테나를 구비한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수용부의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기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안테나의 전자파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가 배치되는 상기 수용부 이외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3 개 이상의 배선 부분을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이 조밀한 부분과 성긴 부분을 갖고,
    상기 조밀한 부분의 각각의 상기 배선 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동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는 적어도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할당된 ID 가 기억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에 보관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발생시킨 전자파에 의해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상기 RFID 태그가 중복하여 판독된 경우, 당해 RFID 태그에 기억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수용부에 1 장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수용부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 중 동일한 부분 영역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의 세트를 갖고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1 개의 상기 안테나의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전부 사용하여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1 개의 리더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RFID 태그를 판독하는 1 개의 리더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사용하는 안테나를 변경하여 복수 회의 판독을 실시하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사용하는 안테나를 변경하여 복수 회 판독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의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베트 에어리어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선 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전체에 걸쳐서 줄무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테이블은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베트 에어리어를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기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선 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전체에 걸쳐서 줄무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선 부분이 상기 안테나의 1 개에 3 개 이상 포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서로 중첩되는 배선 부분을 갖도록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플레이어로부터 회수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회수 칩 수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상기 수용부의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상기 안테나와는 다른 회수 칩용 안테나를 추가로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수 칩 수용부 사이에, 상기 수용부의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상기 회수 칩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하고, 및/또는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하는, 실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는 적어도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할당된 ID 가 기억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상기 회수 칩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보관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의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와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가 중복되는 경우,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수용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는 적어도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할당된 ID 가 기억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독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보관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의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와 상기 회수 칩용 안테나에 의해 판독된 ID 가 중복되는 경우, 당해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회수 칩 수용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19.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칩 보관 에어리어와,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된 안테나를 갖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칩 보관 에어리어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의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과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을 갖고,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가 상기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 중 1 개가 다른 1 개를 넘도록 교차함으로써, 8 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복수의 상기 안테나를 갖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가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는 2 개 이상의 상기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여 복수 회 판독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3. 유기 테이블에 구비되고,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제 1 안테나를 구비한 제 1 판독 수단과,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제 2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수용부를 분할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기 제 1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 1 안테나의 전자파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가 배치되는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된 제 2 안테나를 갖고,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의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과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을 갖고,
    상기 경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가 상기 경계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부분의 길이의 총계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4.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수용하는 칩 수용 에어리어와,
    게임 참가인이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베트 에어리어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각각 안테나를 갖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독립된 타이밍에서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판독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지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식별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증감과 상기 베트 에어리어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증감을 독립적으로 파악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악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와 상기 베트 에어리어 사이에서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이동을 검지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베트 에어리어로부터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로 이동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게임 결과에 기초한 회수 칩으로서 판정하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칩 수용 에어리어로부터 상기 베트 에어리어로 이동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게임 결과에 기초한 상환 칩으로서 판정하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29. ID 가 기록된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한 칩 배치부와,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판독 수단과,
    상기 칩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각각의 상기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전자파에 의해 RFID 태그가 판독 가능해지는 각각의 판독 범위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안테나가 발생시킨 전자파에 의해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상기 RFID 태그가 중복하여 판독된 경우, 당해 RFID 태그에 기억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칩 배치부에 1 장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0. ID 가 기록된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한 칩 배치부와,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판독 수단과,
    상기 칩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ID 를 특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각각의 상기 안테나가 발생시키는 전자파에 의해 RFID 태그가 판독 가능해지는 각각의 판독 범위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안테나가 발생시킨 전자파에 의해 동일한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상기 RFID 태그가 중복하여 판독된 경우, 당해 RFID 태그에 기억된 ID 가 할당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상기 칩 배치부에 1 장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1.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는 상단 수용부 및 하단 수용부를 갖는 수용부와,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상단 판독 수단과,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하단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수용부는 상기 하단 수용부 상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고,
    상기 상단 수용부가 상기 하단 수용부 상에 중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단 수용부는 폐쇄되고, 상기 상단 수용부를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단 수용부가 개방되어 하단 수용부로의 칩의 출납이 가능해지는 구성이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 또는 상기 하단 판독 수단 중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단 판독 수단과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단 수용부가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판독 수단 및/또는 상기 하단 판독 수단으로 RFID 태그를 판독한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은 상기 하단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실시한 판독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하단 수용부 및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고,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부터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공제함으로써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은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실시한 판독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 및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고,
    상기 상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부터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특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공제함으로써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판독 수단과 상기 하단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하단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8.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부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를 갖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1 판독 수단과,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2 판독 수단을 갖고,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고, 및/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판독 수단 및 제 2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제 2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40.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와,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 가능한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부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 1 수용부 및 제 2 수용부를 갖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1 판독 수단과,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는 제 2 판독 수단을 갖고,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고, 및/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 또한 상기 제 1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고, 및/또는, 상기 제 2 판독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가 폐쇄된 상태 또한 상기 제 1 수용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용부에 보관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하지 않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43. RFID 태그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배치하기 위한 보관부와,
    판독 수단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부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적어도 1 개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제 1 판독을 실시하고,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도록 구성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전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판독 수단을 사용하여 제 2 판독을 실시하고, 상기 제 1 판독의 결과와 상기 제 2 판독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직전에 개방 상태에 있었던 상기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하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판독의 결과 및 제 2 판독의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개방 상태에 있었던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와 상기 폐쇄 상태에 있는 수용부에 배치된 유기용 대용 화폐를 구별하여 특정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KR1020210103333A 2020-08-07 2021-08-05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KR20220018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35193 2020-08-07
JP2020135193 2020-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941A true KR20220018941A (ko) 2022-02-15

Family

ID=8011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333A KR20220018941A (ko) 2020-08-07 2021-08-05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44517A1 (ko)
JP (1) JP2022031240A (ko)
KR (1) KR20220018941A (ko)
CN (1) CN114067500A (ko)
AU (1) AU2021212019A1 (ko)
WO (1) WO20220305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749A (ja) 2006-11-14 2008-05-29 Univ Of Ryukyus ネコブセンチュウ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9540B2 (ja) * 2006-06-06 2010-02-03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ゲーム用遊技台
JP5680929B2 (ja) * 2010-10-05 2015-03-04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テーブル装置
JP6250880B2 (ja) * 2010-10-27 2017-12-20 ゲーミング、パートナー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ユーエスエー、インク. Rfidチップトレイ
JP5798974B2 (ja) * 2012-04-13 2015-10-2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識別情報アクセス装置
JP5839504B2 (ja) * 2013-04-01 2016-01-0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トークンの収納装置
KR101754742B1 (ko) * 2016-02-29 2017-07-06 주식회사 알앤엠테크 카지노 테이블에서 카지노 칩 판독장치
EP3563913A4 (en) * 2016-12-30 2020-06-24 Angel Playing Cards Co., Ltd. GAME CURRENCY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BOX
US10782382B2 (en) * 2017-11-15 2020-09-22 Fortiss, Llc. RFID antenna array for gaming
JPWO2019221063A1 (ja) * 2018-05-14 2021-07-08 エンゼルグループ株式会社 テーブルゲームの管理システム及びゲーム管理システム
US20220375300A1 (en) * 2019-01-31 2022-11-24 Angel Group Co., Ltd.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749A (ja) 2006-11-14 2008-05-29 Univ Of Ryukyus ネコブセンチュウ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597A1 (ja) 2022-02-10
US20220044517A1 (en) 2022-02-10
JP2022031240A (ja) 2022-02-18
AU2021212019A1 (en) 2022-02-24
CN114067500A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811B1 (ko) 게임 관리 시스템
JP2023109958A (ja) 遊技用代用貨幣の管理システム
JP2021119983A (ja) 検査システム及び管理システム
JP3839307B2 (ja) ゲーム用チップ監視システム及びゲーム用遊技台
JP2023164944A (ja) ゲームテーブル読取システム
US11756370B2 (en) Double chip tray, chip tray, and game management system
JP7345508B2 (ja) ゲームテーブル読取システム
JP4409540B2 (ja) ゲーム用遊技台
KR20210033920A (ko) 게임 테이블 판독 시스템
JP2006231089A5 (ko)
JP2005144032A (ja) 遊技システム
KR20220018941A (ko)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시스템
KR20220014831A (ko) 카지노 용품의 관리 시스템
EP4220590A1 (en) Management system
US11887435B2 (en) Game system
JPH09122347A (ja) 抽選機能付き台間玉貸機
JP2002172263A (ja) 遊技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