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825A - 난방 배관 판넬 - Google Patents

난방 배관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825A
KR20220018825A KR1020200099398A KR20200099398A KR20220018825A KR 20220018825 A KR20220018825 A KR 20220018825A KR 1020200099398 A KR1020200099398 A KR 1020200099398A KR 20200099398 A KR20200099398 A KR 20200099398A KR 20220018825 A KR20220018825 A KR 2022001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fixing part
pipe
pane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손익수
Original Assignee
김종우
손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손익수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20009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825A/ko
Publication of KR2022001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시공 방식으로 시공되는 욕실 바닥에 난방 배관을 판넬의 휨 현상이나 들뜸 현상없이 일정한 패턴으로 시공할 수 있는 난방 배관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은, 난방 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관 고정부; 상기 배관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 고정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부; 상기 배관 고정부 및 변형 방지부의 각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웃한 난방 배관 판넬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 배관 판넬{A PANEL FOR ALIGNING THE HEATING PIPE}
본 발명은 난방 배관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 시공 방식으로 시공되는 욕실 바닥에 난방 배관을 판넬의 휨 현상 없이 일정한 패턴으로 시공할 수 있는 난방 배관 판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리모델링과 장수명(長壽命) 주택을 위하여 정부 시책으로 콘크리트 벽식 구조에서 기둥식 라멘 구조로 전환됨에 따라, 세대 각 실의 내부벽체가 습식(濕式)의 콘크리트 벽체가 아닌 건식(乾式)인 석고보드복합패널, 압출성형콘크리트패널, 경량복합콘크리트패널,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ALC)과 같은 경량벽체(輕量壁體)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건식 시공 방식의 경우, 건축물의 바닥 구조 중에서 특히, 화장실 바닥 구조는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슬라브층 위에 순차적으로 기포층, 무근층 및 타일 마감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포층은 시멘트 페이스트에 발포제를 섞거나 혹은 안정한 거품과 시멘트 페이스트를 섞어 내부에 많은 기포를 포함시킨 콘크리트 경량이고 흡음성 및 열의 차단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기포층은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슬라브층과 무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무근 콘크리트층 사이에서 밀도차를 갖도록 하여 층간 소음의 원인이 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 배관을 설치하여 단열을 통한 난방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렇게 상기 기포층에 난방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난방 배관을 일정한 패턴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요구에 의하여 개발된 종래의 난방 배관을 고정시키는 난방 배관 판넬(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공법으로 시공되는 욕실 바닥에 시공되는 자재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기포층(30) 내부에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난방 배관 판넬(50)에 의하여 욕실 바닥에 난방 배관(20)이 설치되기는 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난방 배관 판넬(5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52)이 상측으로 들리는 들뜸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식 시공 방식으로 시공되는 욕실 바닥에 난방 배관을 판넬의 들뜸 현상이나 휨 현상 발생없이 일정한 패턴으로 시공할 수 있는 난방 배관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은, 난방 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관 고정부; 상기 배관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 고정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부; 상기 배관 고정부 및 변형 방지부의 각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웃한 난방 배관 판넬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고정부와 상기 변형 방지부는, 중앙 부분이 상기 배관 고정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배관 고정부와 상기 변경 방지부는, 중앙 부분이 테두리 부분보다 3mm 정도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관 고정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높이로 기립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중앙에 원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난방 배관이 둥글게 감싸도록 고정하는 원형 고정부; 상기 테두리부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난방 배관이 진입하는 진입홈; 상기 테두리부 내부 중 상기 진입홈과 상기 원형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진입홈을 지난 상기 난방 배관이 상기 테두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평행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입홈은, 상기 4개의 테두리부에 각각 2개씩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진입홈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형 고정부는, 상기 마주보는 진입홈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형 내부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평행 고정부는, 상기 마주보는 진입홈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평행 고정부는, 상기 마주보는 진입홈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배관 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에는, 상기 다수개의 진입홈들 중 한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이웃한 진입홈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고정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반원형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측 테두리부; 상기 하측 테두리부 내부에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내측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에는, 상기 내측 보강부 중 상기 진입홈 설치 위치 하부에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벽체로 구성되는 진입홈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에는, 상기 내측 보강부 중 배관 고정 예정 위치를 따라 다른 부분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배관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에는, 상기 배관 보강부 중 상기 평행 고정부 하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평행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에 따르면 건식 시공 방식으로 시공되는 욕실 바닥에 난방 배관을 난방 배관 판넬의 휨 현상이나 들뜸 현상없이 일정한 패턴으로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판넬 자체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하여 시공 과정 및 시공 후에 판넬이 변형되거나 휘지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건식 공법으로 시공된 욕실 바닥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난방 배관 판넬이 시공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의 구조를 도시하는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의 단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공법으로 시공되는 욕실 바닥에 시공되는 자재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기포층(30) 내부에 설치된다. 이 난방 배관 판넬(100)에 의하여 욕실 바닥에 난방 배관(20)이 안정적으로 배열 및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은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고정부(110), 변형 방지부(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100)에서 상기 변형 방지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C)이 상기 배관 고정부(110)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독특한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형상은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사출을 위한 금형에 의하여 다수개의 반복 생산에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조된다.
이렇게 상기 중앙 부분(C)이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면, 난방 배관이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테두리 부분(E)이 상측으로 휘어지는 힘과 상쇄되어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휨 현상 및 가장자리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부분(C)이 테두리 부분(E)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격(D)은 3mm 정도인 것이, 난방 배관이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평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인 배관 고정부(110)와 변형 방지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배관 고정부(110)는 난방 배관(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위치에서 진입하는 난방 배관(20)이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된 후, 다양한 위치로 진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 고정부(110)는 구체적으로,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1), 원형 고정부(112), 진입홈(113) 및 평행 고정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높이로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상부 테두리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상기 원형 고정부(112)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11)의 중앙에 원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난방 배관(20)을 둥글게 감싸도록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원형 고정부(112)는 상기 테두리부(111)의 어느 면에서 진입하는 난방 배관이더라도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여 90°, 180°정도 절곡시킨 상태로 배열할 수 있으면서도 난방 배관(20) 내부의 난방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진입홈(113)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11)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난방 배관(20)이 진입하는 공간이다. 즉, 상기 진입홈(113)은 상기 난방 배관(20)의 직경 정도의 깊이로 상기 테두리부(111)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홈이며, 상기 테두리부(113)의 각 면에 2개씩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113)의 각 면에 형성되는 2개의 진입홈(113) 사이의 간격(D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고정부(112)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홈(113)은, 상기 4개의 테두리부(111)에 각각 2개씩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부(111)에 형성되는 진입홈(113)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고정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주보는 진입홈(113)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들(L1, L2)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형 내부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난방 배관(20)의 휨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고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평행 고정부(114)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11) 내부 중 상기 진입홈(113)과 상기 원형 고정부(1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진입홈(113)을 지난 상기 난방 배관(20)이 상기 테두리부(1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평행 고정부(114)는 상기 진입홈(111)과 원형 고정부(112) 사이에서 한번 더 상기 난방 배관(20)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원형 고정부(112)의 외면에 감긴 상태의 상기 난방 배관(20)은 다시 펴지려는 성질 때문에 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데, 상기 평행 고정부(114)에 삽입되어 상기 원형 고정부(112)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평행 고정부(1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주보는 진입홈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L1, L2)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행 고정부(114)는 상기 마주보는 진입홈(113)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L1, L2)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4개의 배관 삽입홈(114a)들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부(110)에는 반원형 고정부(1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원형 고정부(115)는 상기 다수개의 진입홈(113)들 중 한 테두리부(111)에 형성되는 이웃한 진입홈(113)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 고정부(11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반형형 고정부(115)는 상기 원형 고정부(112) 사이를 지나가는 난방 배관(20)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원형 고정부(112)처럼 난방 배관(20)을 180°절곡한 상태로 배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변형 방지부(120)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고정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 고정부(110)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변형 방지부(120)는 상기 배관 고정부(110)의 하부에 상기 배관 고정부(110)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면에 시공된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형 방지부(120)를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테두리부(121)와 내측 보강부(122)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측 테두리부(121)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11)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11)와 마찬가지로 4각형의 하측 테두리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측 테두리부(121)도 상기 테두리부(111)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높이와 두께의 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부(111)와 달리 진입홈이 형성되지 않고 완전하게 연결된 상태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 보강부(122)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테두리부(121) 내부에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 보강부(122)도 상기 하측 테두리부(121)와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벽체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형 방지부(120)에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홈 보강부(12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입홈 보강부(123)는 상기 내측 보강부(122) 중 상기 진입홈(113) 형성 위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 보강부(122)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벽체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 고정부(110)를 이루는 상기 테두리부(111) 중에 절단된 부분인 상기 진입홈(113) 형성 부분이 가장 취약하여 자주 변형되므로, 상기 진입홈 보강부(123)가 이 부분을 더 강하게 보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부(120)에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보강부(12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 보강부(124)는 상기 내측 보강부(122) 중 배관 고정 예정 위치를 따라 다른 부분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렇게 배관 보강부(124)가 더 구비되는 것은 고온의 난방수가 흐르면서 배관 고정 예정 위치가 다른 부분보다 보강의 필요성이 크기 때문에 상기 배관 보강부(124)가 이 부분을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부(120)에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보강부(120) 중 상기 평행 고정부(114) 하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평행 보강부(12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130)는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고정부(110) 및 변형 방지부(120)의 각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웃한 난방 배관 판넬(100)과 체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체결부(130)는 하나의 난방 배관 판넬(100)을 다른 난방 배관 판넬(100)과 연결하여 일정한 면적의 난방 배관 판넬(100) 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난방 배관 판넬(100)을 4 측면으로 모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111)의 네 측면 모두에 형성되며, 수 체결부(131)와 암 체결부(132)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10 : 콘크리트 슬라브 20 : 난방 배관
30 : 기포층 40 : 마감재
50 : 종래의 난방 배관 판넬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판넬
110 : 배관 고정부 120 : 변형 방지부

Claims (5)

  1. 난방 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관 고정부;
    상기 배관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 고정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부;
    상기 배관 고정부 및 변형 방지부의 각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웃한 난방 배관 판넬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고정부와 상기 변형 방지부는,
    중앙 부분이 상기 배관 고정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부와 상기 변경 방지부는,
    중앙 부분이 테두리 부분보다 3mm 정도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높이로 기립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중앙에 원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난방 배관이 둥글게 감싸도록 고정하는 원형 고정부;
    상기 테두리부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난방 배관이 진입하는 진입홈;
    상기 테두리부 내부 중 상기 진입홈과 상기 원형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진입홈을 지난 상기 난방 배관이 상기 테두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평행 고정부;를 포함하는 난방 배관 판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홈은,
    상기 4개의 테두리부에 각각 2개씩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진입홈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판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측 테두리부;
    상기 하측 테두리부 내부에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내측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배관 판넬.
KR1020200099398A 2020-08-07 2020-08-07 난방 배관 판넬 KR20220018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98A KR20220018825A (ko) 2020-08-07 2020-08-07 난방 배관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98A KR20220018825A (ko) 2020-08-07 2020-08-07 난방 배관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25A true KR20220018825A (ko) 2022-02-15

Family

ID=8032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98A KR20220018825A (ko) 2020-08-07 2020-08-07 난방 배관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8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718Y1 (ko) 난방 배관 판넬
JP5721811B2 (ja) 吸遮音性能が改善された組立式壁体及びその組立式構造物
JP2001214562A (ja) 中空スラブ用埋込材及び該埋込材を持つ中空スラブ用基板並びに該埋込材を定着した中空スラブ構造を持つ構築物
US10683665B2 (en) Metal framing components for wall panels
KR101338944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101029839B1 (ko)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RU2211897C2 (ru) Самоподдерживающийся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з вспененных пластик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ментов перекрытий и стен зданий, а также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0940759B1 (ko) 균열 방지 타공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220018825A (ko) 난방 배관 판넬
KR20210032645A (ko) 난방 배관 판넬
KR100736752B1 (ko) 이형 빔을 이용한 i-슬래브 접합구조
KR102220518B1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20230171516A (ko) 건식 벽체 보강대용 면진 장치
KR200151940Y1 (ko) 조립식 난방배관용 방음온돌패널
KR20170058000A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RU57771U1 (ru) Перекрытие,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и элемен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JP2008095389A (ja) 遮音構造躯体
KR102416871B1 (ko) 석고보드용 하부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2599467B1 (ko) 단열 갱폼
KR102513855B1 (ko) 온돌바닥 미장 모르타르와 일체화되고, 난방효율 확보를 위해 모르타르 두께에 따른 배관 높이 고정이 가능한 고정패드
JP7331631B2 (ja) 基礎断熱構造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0954778B1 (ko) 보일러 배관용 조립식 단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9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020

Effective date: 202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