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665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665A
KR20220018665A KR1020200098978A KR20200098978A KR20220018665A KR 20220018665 A KR20220018665 A KR 20220018665A KR 1020200098978 A KR1020200098978 A KR 1020200098978A KR 20200098978 A KR20200098978 A KR 20200098978A KR 20220018665 A KR20220018665 A KR 20220018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user
electronic device
set distan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용
김대웅
신동헌
육형민
이영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665A/ko
Priority to PCT/KR2021/010361 priority patent/WO2022031088A1/ko
Publication of KR2022001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수신부; 및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영상수신부를 통해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하고,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에 영상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회의와 같이 영상통화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보다 대중화되고 있다.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전자장치에는, 영상통화 기능을 위한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를 포함하는 전면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그대로 상대방 측에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텔레비전과 같은 중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서는, 카메라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영상통화 시 사용자가 원치 않는 배경 등의 노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심리적 거부감이 초래될 수 있으며, 사생활, 즉,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또한, 영상통화에서 불필요한 대상까지 상대방에게 송출됨으로써 통화 집중도를 저해할 수 있으며, 이는 영상회의 등에서 업무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통화에서 불필요한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통화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수신부; 및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영상수신부를 통해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하고,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장치가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통화모드로 동작하여,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추출된 사용자의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장치가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대기모드로 동작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전 영역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추출한 사용자의 깊이 정보 또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설정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사용자가 설정거리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전자장치가 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소리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소리수신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소리수신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영상데이터에서, 설정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객체를 영상데이터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사용자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의 깊이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가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소리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영상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사용자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타겟 사용자를 식별하고, 소리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타겟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영상데이터에서 타겟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화면의 영역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하는 단계; 및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장치가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통화모드로 동작하여,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장치가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대기모드로 동작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전 영역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사용자가 설정거리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전자장치가 대기모드에서 영상통화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소리수신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소리수신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에서, 설정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객체를 영상데이터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사용자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사용자의 깊이 정보에 대응하도록 설정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사용자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타겟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타겟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영상데이터에서 식별된 타겟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화면의 영역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방법은,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하는 단계; 및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적어도 일부의 화면 영역에 선택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를 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상활 노출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통화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설정 거리가 결정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설정 거리가 조정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영상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영상통화 모드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대기모드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모드가 전환되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영상통화 모드로의 전환을 피드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다중사용자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타겟 사용자를 식별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타겟 사용자가 식별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타겟 사용자의 음성을 분리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8은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타겟 사용자의 음성을 분리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0)가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외부의 신호공급원, 즉,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예를 들면, 컨텐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트 데이터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00)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 전자장치(1)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에는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전자장치(1)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로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박스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의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단말장치(terminal apparatus)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과 같은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모니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가 텔레비전인 경우, 전자장치(1)는 직접 또는 전자장치(1)와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부가기기, 예를 들면, 셋탑박스(set-top box, STB), OC 박스(one-connect box), 미디어박스 등을 통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와 부가기기의 연결 방식은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무선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 컨텐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자장치(1)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에서, 방송 컨텐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 수신 가능하며, 신호공급원, 즉, 소스는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도 2의 15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F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DVI,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썬더볼트(Thunderbolt), RGB 케이블,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ecepteurs et Televiseur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영상통화(화상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장치(1)에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됨에 따라, 영상통화 기능이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10)에게 영상통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상통화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대방과 이루어지는 영상회의(화상회의)를 포함한다.
전자장치(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통화를 하는 사용자(10)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0)와, 사용자(10)로부터 발화된 음성/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microphone)(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20)와 마이크(30)가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카메라(20)와 마이크(30)의 개수, 형태 및 설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20)와 마이크(30) 중 적어도 하나는 외장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카메라(20) 또는 마이크(30)는 전자장치(1)와 이격 분리되어 마련되거나, 또는 전자장치(1)와 이격 분리된 다른 장치, 예를 들면, 리모컨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영상통화 기능이 활성화됨에 기초하여, 카메라(20)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마이크(30)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와, 마이크(30)에서 수신된 음성데이터는 전자장치(1)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는, 전자장치(1)로부터 영상통화의 상대방의 전자장치, 즉,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도 2의 2)로 송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영상통화의 상대방의 전자장치, 즉,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로부터 상대방을 촬영한 영상데이터와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상대방의 영상(11)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대방의 음성은 전자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의 스피커(loudspeaker)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통화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의 영상(11)이,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12)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영상(12)은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이 표시되는 위치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장치(1)는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컨텐트 제공을 위한 소스로서, 서버, 단말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들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통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15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컨텐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1)는, 도 2에 구성된 구성의 일부가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 예를 들면 구동부(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영상수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수신부(120)는 전자장치(1)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수신부(120)는 전자장치(1)의 일 위치 또는 전자장치(1)의 외부에 설치되는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20)는 카메라(2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카메라(20)와 무선 연결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수신부(120)는 후술하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51)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52)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depth)(이하, 거리 또는 심도 라고도 한다)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데이터는 깊이에 따라 분포되며, 예컨대 3차원 공간좌표와 같은 공간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데이터에는 각 픽셀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데이터에는 장면(scene)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대상)에 대한 깊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사용자와 같은 사람, 가구와 같은 물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에는 깊이 측정이 가능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20)는 영상의 깊이 정보와 3차원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RGB 카메라 또는 RGB-D 카메라(이하, RGB-depth 카메라 또는 RGB-깊이 카메라 라고도 한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20)는, IR 광이나 레이저 등의 전파측정시간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깊이를 추정할 수 있는 TOF(Time-of-Flight) 카메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상기와 같은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RGB 영상 정보와 함께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소정 객체, 예를 들면, 사용자(10)의 깊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소리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리수신부(130)는 전자장치(1)에 내장된 마이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3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에 대응하는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소리수신부(130)는 전자장치(1)의 일 위치 또는 전자장치(1)의 외부에 설치되는 마이크(30)를 통해 소리 즉,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소리수신부(130)는 마이크(3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마이크(30)와 무선 연결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리수신부(130)는 후술하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51)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52)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30)는 소정 방향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는 지향성 마이크(directional microphone)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3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구성된 마이크 어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상기와 같은 마이크(30)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음원, 예를 들면, 음성을 발화한 사용자(10)의 방향 및/또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소리수신부(130)는 입력된 소리, 즉, 사운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변환부는 아날로그 음파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소리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140)는 음향, 즉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140)는, 예를 들어, 가청주파수인 20Hz 내지 20KHz 대역의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140)는 복수의 채널의 오디오신호/소리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스피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자장치(1)가 서버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HDMI, HDMI-CFC, USB, 컴포넌트(Component), 디스플레이 포트(DP), DVI, 썬더볼트, RGB 케이블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소스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여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지상파/위성방송 등 방송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연결되거나, 케이블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등과 같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1)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하는 비디오/오디오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수신된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튜너와 디모듈레이터는 통합된 형태의 단일 칩으로 설계되거나, 상호 분리된 2개의 칩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외부 마이크 또는 마이크를 구비한 외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헤드셋,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과 같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통해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기기,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서버 등과 1:1 또는 1:N (N은 자연수)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기기에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각각 별개로 전송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는 전자장치(1)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전자장치(1)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프로세서(180)의 제어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억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으로 전자장치(1)와 외부장치 사이에 1 대 1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등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가 외부장치와 다이렉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70)에는 통신 대상 기기인 외부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성능에 따라 무선랜유닛과 무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자기장을 포함하는 EM 통신, 가시광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등의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외부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적외선 통신규격에 따라 IR(Infrared)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하거나, 다른 외부장치로 리모컨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른 방식의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와 리모컨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소리수신부(130)로서 마련된 마이크(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음성의 정보로서 소정 데이터를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태/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해당 사용자음성의 처리 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소리출력부(140)로서 마련된 내부 또는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로서, 사용자음성을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전자장치(1)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가 STT(speech to text)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전자장치(1)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해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음성에 대응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에서,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는, 서버와 이더넷 모뎀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리모컨과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1)에서,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서버 및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52)는 전자장치(1)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1)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프로세서(18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6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60)는 전자장치(1)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60)는 전자장치(1)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장치(1)로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예를 들면, 리모컨(remote control), 게임콘솔(game console),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등을 포함하며, 전자장치(1)와 이격 분리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터치제스처)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장치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하다.
입력장치는 전자장치(1)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가 되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 다시 말해, 핸드 제스처(hand gesture)(이하, 제스처 라고도 한다)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모션감지부는 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등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110) 주변의 베젤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30)와 같은 소리수신부(130)가 사용자입력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60)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 처리의 기준이 되는 설정 거리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설정 거리 또는 설정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를 설정 또는 조정(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전자장치(1)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70)는 전자장치(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을 수 있으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17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전자장치(1)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7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70)는 프로세서(18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전자장치(1)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UI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또는 이미지,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70)에는 전자장치(1)가 텔레비전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TV 어플리케이션 또는 TV 클라이언트와, 서버와 같은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가 재생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VOD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7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전자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7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51)를 통해 전자장치(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70), 프로세서(180) 내 롬(ROM)(도시되지 아니함), 램(RAM)(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장치(1)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전자장치(1)는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8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에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전자장치(1)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1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는, 예를 들어, H.264 디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 또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디코더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디코더로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영상처리부가 처리하는 컨텐트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컨텐트는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뿐 아니라, JPEG 파일과 같은 사진, 배경화면 등의 정지화상, UI의 메뉴항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에는 튜너,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8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0)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서버 등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장치(1)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에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프로그램은 컴퓨터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례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301). 여기서, 프로세서(180)는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영상통화 기능을 활성화하고,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소리수신부(130)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영상통화 기능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영상통화 요청이 수신되어,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영상데이터의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단계 301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302). 여기서, 설정 거리는 전자장치(1)의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의 거리로서, 후술하는 가상 객체가 생성되는 기준위치에 대응한다.
제1영상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경(foreground)을 포함하며, 제2영상데이터는, 예를 들면, 배경(backgroun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예를 들면, 사람이나 사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단계 302에서 구분된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303).
여기서, 프라이버시 처리는, 소정 영상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이 흐리게 표시되도록 하는 흐림효과 처리, 예를 들면, 블러(blur) 필터를 온(ON) 시키는 블러 처리 또는 탈초첨(아웃 포커스)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라이버시 처리는 제2영상데이터의 객체를 그래픽 등의 다른 이미지로 대체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제2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객체는 식별 불가능하게 표시됨으로써, 영상통화의 상대방에게 제공되더라도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된 영상은,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도 1의 12)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위와 같이 선택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된 영상이,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에 표시되도록, 관련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180)의 동작은 전자장치(1)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를 구분하고,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프로세서(18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전자장치에서 영상을 처리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통화모드(이하, 영상통화모드 라고도 한다)와 영상통화에 대한 대기모드(이하, 대기모드 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라고도 한다)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전자장치(1)가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통화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은 전자장치(1)에 디폴트로 미리 설치되거나, 앱스토어와 같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전자장치(1)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모드의 전자장치(1)에서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로서 설정 거리가 정의되며, 이 설정 거리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설정 거리가 결정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통화모드에서, 디스플레이(100)의 화면, 즉, 스크린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설정 거리(d)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설정 거리(d)에 대응하여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거리(d)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가상 객체(virtual object)(401)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객체(401)를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객체는 전자장치(1), 사용자(402) 등의 실제 객체(real object)와 구분되는 일종의 가상 UI(user interface)로서,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가상 객체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한 벽(wall)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상기와 같은 가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벽(이하, 블러(blur) 벽 이라고도 한다)을 촬영된 영상에 오버레이함으로써 보정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블러 벽 형태의 가상 객체(401)가 설정 거리(d)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서 생성됨으로써, 보정 영상에서 설정 거리(d)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이 프라이버시 영상 처리, 예컨대, 블러 처리되어 흐리게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러 벽 형태의 가상 객체(401)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결정된 설정 거리(d)의 이격된 정도 등에 따라 그 투명 정도 또는 색상이 변경 가능하다.
프로세서(180)는, 이렇게 생성된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도 1의 12)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영상통화의 상대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소정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의 설정 거리(d)를 결정하고, 설정 거리(d)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가상 객체(401)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은 미리 정해진 제스처(터치제스처 또는 핸드제스처), 미리 정해진 음성명령(키워드 또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의 특정 버튼에 대한 사용자조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상기의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장치(1)가 영상통화에 대한 통화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설정 거리(d)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설정 거리(d)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가상 객체(401)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 거리(d)는 사용자(402)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카메라(20)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수신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소정 객체, 즉, 사용자(402)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깊이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 거리(d)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설정 거리(d)는 상기한 사용자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설정 거리(d)는 영상통화 시 사용자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디폴트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설정 거리(d)는 사용자선택에 따라 조정, 즉,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설정 거리가 조정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조정된 설정 거리에 대응하여 기준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최초의 설정 거리(d1)를 결정하고,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설정 거리(d1)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블러 벽과 같은 가상 객체(501a)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를 이용하여, 설정 거리를 조정하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제스처(터치 제스처 또는 모션 제스처), 음성명령, 리모컨, 베젤터치 등을 이용하여, 설정 거리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가깝게 또는 멀게 조정하는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베젤터치는,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손 또는 손가락에 대한 터치감지가 가능한 베젤영역인 스크린 프레임의 일 영역, 예를 들면, 상부를 따르는 사용자의 터치를 포함하며, 터치방향, 즉, 오른쪽방향 또는 왼쪽방향에 대응하여 설정 거리가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가깝게 또는 멀게 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상부 스크린 프레임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면, 그 슬라이딩 거리 또는 정도(양)에 비례하여 설정 거리가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설정 거리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가깝게 조정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설정 거리(d1)보다 화면으로부터 가까워지도록 설정 거리(d2)를 변경, 즉, 조정하고, 변경된 설정 거리(d2)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가상 객체(501b)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설정 거리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멀게 조정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설정 거리(d1)보다 화면에서 멀어지도록 설정 거리(d3)를 변경, 즉, 조정하고, 변경된 설정 거리(d3)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가상 객체(501c)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 거리(d)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예를 들면, 1cm)로 화면에 가깝게 또는 멀게 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정 거리(d)가 조정되는 방식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이하,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에 대해 선택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통화모드와 대기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 영상통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자장치(1)가 영상통화에 대한 통화모드와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통화모드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80)는 영상통화 기능이 활성화됨에 기초하여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영상데이터는 깊이(depth)에 대응하여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설정 거리(d)를 기준으로,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에는 장면(scene)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대상)에 대한 깊이 정보가 포함되며, 프로세서(180)는 영상데이터에서 타겟 객체, 즉,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서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602)의 깊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추출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d), 즉, 가상 객체(601)가 생성되는 기준위치에 대한 타겟 객체, 즉, 사용자(602)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식은, 깊이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80)는, 별도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602)가 설정 거리(d)에 대응하는 기준위치보다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장치(1)가 통화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장치(1)가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설정 거리(d) 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거리(d) 보다 화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사용자(602)는 제1영상데이터에 포함되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가 부여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설정 거리(d) 보다 멀리 위치하는 배경 및 배경에 있는 객체들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와 같은 소정 영상효과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효과는, 일례로, 배경을 흐리게 표시되도록 하는 블러 처리 또는 탈초점(아웃포커스)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상효과는 배경의 객체들을 그래픽 등의 다른 이미지로 대체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효과의 적용 없이 선명하게 표시된 사용자(702)를 포함하는 제1영역과, 영상효과의 적용에 따라 블러 처리 또는 탈초첨 처리된 배경(703)을 포함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통화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노출을 원하지 않는 배경 등을 식별 불가능하게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영상효과가 적용되지 않는 타겟 객체로서 사용자(702)에 대해 시선 보정이 수행된 보정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시선 보정 방식은, 예를 들면,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 눈의 윤곽 및 눈동자에서 복수의 포인트(일례로, 눈의 윤곽 4 포인트 및 눈동자 1포인트)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고, 사용자 얼굴의 특징점, 예를 들면, 코, 좌/우 관자놀이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머리 자세를 계산하여, 양 계산 결과를 조건으로 조합 및 분석에 따라 눈동자와 눈의 윤곽을 실제 정면에서 마주보는 듯한 실재감을 주도록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선 보정은 위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알려진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가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기준위치(601)보다 멀리 위치한 배경(703)을 포함하는 제2영역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도 1의 1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가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마이크(30)를 활성화, 즉, 온(ON) 시키도록 제어하여 소리수신부(130)를 통해 사용자(602)의 음성이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촬영된 영상에서 영상효과가 적용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타겟 객체로서 사용자(702)에 대한 얼굴 방향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얼굴 방향에 대응하도록, 외부장치(2)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얼굴 방향에 비주얼 틸트(visual tilt) 효과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상대방의 영상(도 1의 11)의 실재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설정 거리(d) 보다 멀리 위치한 배경(703)을 포함하는 제2영역이 영상효과 처리된 영상과, 마이크(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602)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를, 영상통화의 상대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로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대기모드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80)는 영상통화 기능이 활성화됨에 기초하여 영상수신부(120)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에는 장면(scene)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대상)에 대한 깊이 정보가 포함되며, 프로세서(180)는 영상데이터에서 타겟 객체, 즉,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서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802)의 깊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추출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d), 즉, 가상 객체(801)가 생성되는 기준위치에 대한 타겟 객체, 즉, 사용자(802)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식은, 깊이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80)는, 별도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802)가 설정 거리(d)에 대응하는 기준위치보다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장치(1)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영상데이터 전체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는, 일례로, 타겟 객체를 흐리게 표시되도록 하는 블러 처리 또는 탈초점(아웃포커스)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가 적용되도록 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는 영상데이터 내 객체를 그래픽 등의 다른 이미지로 대체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효과의 적용에 따라 블러 처리 또는 탈초첨 처리된 객체, 즉, 사용자(902)와 배경(903)으로 구성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라이버시 모드에서는, 설정 거리(d)에 대한 상대적 위치와 관계없이, 영상데이터의 모든 객체가 흐리게 표시됨으로써, 보다 강력한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도 9와 같이, 사용자(902) 및 배경(903)이 영상효과 처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도 1의 1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마이크(30)를 비활성화, 즉, 오프(OFF) 시키도록 제어하여 소리수신부(130)를 통해 사용자(602)의 음성이 수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에 따르면, 프로세서(180)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설정 거리(d)를 결정하고, 그 설정 거리(d)에 대응하여 기준위치(1001)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설정 거리(d)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를 제1영상데이터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의 대상인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즉, 스크린으로부터 기준위치보다 가까이 위치한 제1영상데이터에 포함된 객체(1002)에 대하여는 블러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가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스크린으로부터 기준위치보다 멀리 위치한 제2영상데이터에 포함된 객체(1003)에 대하여는 블러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장치(1)는, 기준위치보다 가까이 위치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영상효과 처리 없이 선명하게 표시되고, 기준위치보다 멀리 위치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소정 영상효과가 적용되어 흐리게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대상이 영상통화의 상대방에게 송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10)에 따르면,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구간에 대응하여 지정영역(1101)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영역(1101)은, 도 10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준위치의 앞뒤로 소정 거리의 구간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도 11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즉, 스크린으로부터 거리에 기초하여 구분된 영상데이터에 대해 선택적으로 영상효과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영역(1102) 내에 위치한 객체(1002)에 대하여는 블러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가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지정영역(1102)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위치한 객체(1103, 1104)에 대하여는 블러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장치(1)가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지정영역(1102)에 위치한 객체를 제외한 다른 객체들에 대해서는 소정 영상효과가 적용되어 흐리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대상이 영상통화의 상대방에게 송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에 따라 통화모드와 프라이버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가능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여 모드 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모드가 전환되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통화모드로의 전환을 피드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라이버시 모드(대기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120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라이버시 모드에서는, 사용자(802)가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으로부터 기준위치(801)보다 멀리 위치하며,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903)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602)가 설정 거리(d) 내, 즉, 기준위치보다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가깝게 진입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1202). 예를 들면,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602)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602)가 설정 거리(d) 내로 진입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잇다.
프로세서(180)는, 단계 1202에서 사용자(602)가 설정 거리(d) 내로 진입하는 것이 식별됨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가 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203). 통화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프로세서(180)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위치보다 가깝게 위치한 사용자(702)를 포함하는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영상효과 적용 없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배경을 포함하는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영상효과가 적용되는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마이크(30)를 온(ON)시켜 사용자(1302)의 음성이 수신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단계 1203의 모드 전환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1204). 여기서, 피드백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소리출력부(140)를 통해 알람이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피드백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버시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서 사용자(1301)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에 대해 블러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가 적용되어 표시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식별되지 않는다.
이후, 도 12의 단계 1202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 거리(d) 내로 진입하면, 도 13과 같이, 사용자(1302)를 포함하는 제1영상데이터에 대해 영상효과가 적용되지 않음으로써, 영상에서 사용자(1302)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는 사용자(1302)에 대해 소정 애니메이션 효과(1303)를 부여하여, 통화모드로의 전환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사용자(1301)가 기준위치에 접근한 정도에 대응하여 애니메이션 효과의 정도, 즉,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준위치에 근접할수록 애니메이션 효과(1303)가 점차로 강해져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모드 전환을 피드백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 중인 전자장치(1)가, 사용자의 설정 거리(d) 내로 진입함에 따라 통화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반대의 경우도 구현 가능하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서 설정 거리(d), 즉, 기준위치(601) 보다 가깝게 위치하였던 사용자(602)가, 도 8과 같이, 설정 거리(d), 즉, 기준위치(801) 보다 멀리 이동하는 것으로 식별되면(802), 프로세서(180)는 전자장치(1)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소리출력부(140)나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영상통화 참가자를 타겟 사용자로 식별하여, 식별된 타겟 사용자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에 선택적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다중사용자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타겟 사용자를 식별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의 디스플레이(110)의 전면에 복수의 사용자(1402, 1403)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중 타겟 사용자로서 영상통화의 참가자, 즉, 발화자를 식별할 수 있다(1501).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타겟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80)는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1402, 1403) 각각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1401) 보다 가깝게 위치된 사용자 1(1402)을 타겟 사용자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80)는 촬영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1402, 1403) 각각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각 사용자의 획득된 깊이 정보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가깝게 위치된 사용자 1(1402)을 타겟 사용자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80)는 별도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1402, 1403) 각각의 위치(거리 및 각도)를 식별하고, 디스플레이(11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10)의 정면에 위치한 사용자 1(1402)을 타겟 사용자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해 단계 1501에서 식별된 타겟 사용자를 제외하고,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로서 소정 영상효과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1502). 즉, 복수의 사용자(1402, 1403) 중 타겟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 2(1403)에 대응하는 화면의 영역에 대해 블러 처리와 같은 영상효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타겟 사용자가 식별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501에서 식별된 타겟 사용자(1401)에 대응하는 사용자 1(1601)는 영상효과를 적용하지 않고 선명하게 표시되며, 다른 사용자, 즉, 사용자 2(1602)에 대해 영상효과가 적용되어 흐리게 표시된 화면(1600)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이렇게 생성된 화면(1600)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영상통화의 상대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2)로 전송함으로써, 영상통화의 참가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사용자(1402, 1403) 중 단계 1501에서 식별된 타겟 사용자(1402), 즉, 영상통화 참가지의 음성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1503).
일 실시에에서 프로세서(180)는, 마이크(30)에 의해 획득된 음성을 이용하여 타겟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타겟 사용자의 음성을 분리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7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지향성 마이크로 구현된 마이크(30)를 이용한 음원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30)가 좁은 지향성을 가지며 개별 온/오프가 가능하한 N개의 지향성 마이크로 구성된 경우,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를 통해 획득한 타겟사용자(140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사용자(1402)의 위치를 판별하고, 타겟사용자(1402)가 위치한 방향의 지향성 마이크를 활성화, 즉, 온(ON)하여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수신된 음성신호에 대해 감도 레벨에 따른 음성분리를 적용하여, 타겟사용자(1402)의 음성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8은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타겟 사용자의 음성을 분리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8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80)는 다중 마이크, 즉, 2개 이상의 스테레오로 구현된 마이크(31, 32)를 이용한 음원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다중 마이크로서, 예를 들면,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2개의 스테레오 마이크(31, 32)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사용자(1801, 1802) 중 카메라(20)를 통해 획득한 타겟사용자, 예를 들면, 사용자 1(180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사용자(1801)의 위치를 판별하고, 2개의 마이크(31, 32)를 통해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카메라(20)를 통해 획득된 각 사용자(1801, 1802)의 깊이 정보와 마이크(31, 32)를 통해 수신된 음성의 세기정보를 비교하여, 각 사용자(1801, 1802)의 음성신호를 분리 및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상기와 같이 분리된 음성신호 중 타겟 사용자(1801)의 음성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80)는 타겟 사용자(180)를 제외한, 기준위치보다 멀리 위치한 사용자의 소리는 레벨을 조정(감소)하거나, 변조 또는 음소거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상기와 같이 단계 1503에서 필터링, 즉, 분리된 타겟사용자(1402)의 음성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영상통화의 상대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2)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중 타겟 사용자의 음성이 영상통화 상대방에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504).
그에 따라,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영상통화 상대방인 타겟 사용자, 즉, 발화자의 음성만이 선명하게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불필요한 잡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호 간의 영상통화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 전자장치
20 : 카메라
30 : 마이크
110 : 디스플레이
120 : 영상수신부
130 : 소리수신부
140 : 소리출력부
150 : 인터페이스부
160 : 사용자입력부
170 : 저장부
180 : 프로세서
2 : 외부장치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수신부; 및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수신부를 통해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통화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대기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전 영역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추출한 사용자의 깊이 정보 또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설정거리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소리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소리수신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소리수신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설정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객체를 상기 영상데이터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사용자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깊이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거리를 결정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거리가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소리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사용자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타겟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소리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는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타겟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화면의 영역에 대해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12.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통화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영상통화 기능에 대한 대기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전 영역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설정거리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소리수신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소리수신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설정 거리에 대응하는 기준위치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객체를 상기 영상데이터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깊이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사용자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타겟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타겟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식별된 타겟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는 화면의 영역에 대해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영상통화 기능의 활성화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며 깊이 정보를 가지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설정 거리보다 가까운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제2영상데이터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1영역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의 제2영역은 프라이버시 보호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200098978A 2020-08-07 2020-08-0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8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78A KR20220018665A (ko) 2020-08-07 2020-08-0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10361 WO2022031088A1 (ko) 2020-08-07 2021-08-05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78A KR20220018665A (ko) 2020-08-07 2020-08-0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665A true KR20220018665A (ko) 2022-02-15

Family

ID=8011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978A KR20220018665A (ko) 2020-08-07 2020-08-0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8665A (ko)
WO (1) WO20220310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94A (ko) * 2008-03-19 200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0549A (ko) * 2010-12-02 2012-06-12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JP2012178621A (ja) * 2011-02-25 2012-09-13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電話装置
KR102044498B1 (ko) * 2012-07-02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44128A (ko) * 2013-10-16 201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굴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1088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0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보정 방법
EP2840800A1 (en) Content-based audio/video adjustment
CN106803984B (zh) 一种兼容vr和电视功能的方法和装置
US2012030103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10996117A (zh) 视频转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691405B2 (en) Sound control apparatus, sou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004991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4014141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738606A (zh) 音频文件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1008776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1379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0138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21009754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866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783529B (zh) 模式切換方法及其顯示設備
JP6029626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6097655A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2001884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611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69295B2 (en) Multiple output control based on user input
KR20240028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32693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2003286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