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366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366A
KR20220018366A KR1020200098816A KR20200098816A KR20220018366A KR 20220018366 A KR20220018366 A KR 20220018366A KR 1020200098816 A KR1020200098816 A KR 1020200098816A KR 20200098816 A KR20200098816 A KR 20200098816A KR 20220018366 A KR20220018366 A KR 20220018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ng device
heater
battery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924B1 (ko
Inventor
이원경
정헌준
김동성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9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9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H01L35/0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하는 광 흡수체, 광 흡수체가 표면에 증착되어 광 흡수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발생부 및 전력 발생부에서 생산된 전력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광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또는 증기화기를 포함한다.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히터 또는 증기화기에 전력을 제공하므로 수시로 배터리의 충전이 요구된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크기는 휴대하기 용이한 크기로 제작되므로, 배터리의 용량에 한계가 있고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특성상 배터리의 수시 충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의 방전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히터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한 후 히터에 남은 잔열은 방출되어 버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여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할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특성상 사용 환경이 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야외에서 태양광 또는 조명광이 있는 장소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경우 광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자가 충전이 가능하다면 충전 횟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이 높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광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하는 광 흡수체가 구비되어 광을 이용한 전력 생산이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본체,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하는 광 흡수체, 상기 광 흡수체가 표면에 증착되어 상기 광 흡수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제1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발생부 및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생산된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의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증가되고, 배터리의 충전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광 흡수체가 광을 흡수하고 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할 수 있어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배터리에서 고출력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방전이 종료된 후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과 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아 배터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제2 열전 소자에 광 흡수체가 증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어부가 전력 저장 소자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200), 제어부(500) 및 히터(1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증기화기(1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히터(1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200), 제어부(500) 및 히터(1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200), 제어부(500), 증기화기(11) 및 히터(1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증기화기(11) 및 히터(10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200), 제어부(500), 히터(100) 및 증기화기(11)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히터(100) 및/또는 증기화기(11)를 작동시켜, 궐련(20) 및/또는 증기화기(11)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00) 및/또는 증기화기(11)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궐련(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히터(10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200)는 히터(100) 또는 증기화기(11)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5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배터리(200), 히터(100) 및 증기화기(11)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00)는 배터리(20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되면, 히터(100)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0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0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0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0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히터(10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00)들은 궐련(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00)들 중 일부는 궐련(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0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1)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1)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1)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1)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1)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1)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1)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200), 제어부(500), 히터(100) 및 증기화기(11)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궐련(2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20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0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궐련(2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궐련(20)은 담배 로드(21) 및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21)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22)를 포함한다.
도 4에는 필터 로드(22)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은 하나의 래퍼(2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은 2 이상의 래퍼(24)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 및 필터 로드(22)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 또는 필터 로드(22)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에 있어서, 필터 로드(22)에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내지 도 3의 1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본체(600), 히터(100), 배터리(200), 광 흡수체(300), 전력 발생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600)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내부에 수용된 하우징으로 기능하며, 궐련(20)이 삽입되는 수용공간(60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600)의 일측에는 내부로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슬릿(61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6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광 흡수체(3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릿(610)을 통해 외기가 본체(6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의 클로저가 구비될 수 있다. 슬릿(610)을 통해 광이 본체(600)의 내부로 입사되어야 하므로 클로저는 광을 반사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600)의 외측에는 외부의 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에서 광을 집광하여 광 흡수체(300)로 전달하여 광 흡수체(300)가 열을 생성할 수도 있다.
히터(10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히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궐련(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봉침형 히터(100)일 수도 있다.
배터리(200)는 히터(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배터리(200)의 전력 공급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 흡수체(300)는 빛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하는 물질이다. 광 흡수체(300)는 다중 대역의 광에 대한 흡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광 흡수체(300)는 본체(600)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발생부(400)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전력 발생부(400)는 제1 열전 소자(410) 및 제2 열전 소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 소자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하는 소자이다. 열전 소자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양 전극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lectromotance)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열전 소자(410) 및 제2 열전 소자(420)에 있어서, 고온으로 가열되는 전극을 고온부(411, 421)로 정의하고, 고온부(411, 4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냉각되는 전극을 저온부(412, 422)로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온부(411, 421)는 제1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전극을 의미하고, 저온부(412, 422)는 제1 온도 보다 낮은 제2 온도 이하의 온도로 가열되는 전극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열전 소자(410) 및 제2 열전 소자(420)는 고온부(411, 421)와 저온부(412, 422)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 재료는 n형 반도체 및 P형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반도체(330a)는 인(P), 비소(As), 안티몬(Sb), 비스무트(Bi) 등이 도핑된 반도체일 수 있다. 또한, P형 반도체는 붕소(B), 알루미늄(Al), 인듐(In), 갈륨(Ga) 등이 도핑된 반도체일 수 있다.
제2 열전 소자(420)는 히터(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히터(100)는 배터리(20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가열됨으로써 궐련(20)이나 액상 조성물 등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히터(100)에서 발생하는 열의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방출된다. 방출되는 열을 제2 열전 소자(420)가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전력 소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사용이 종료된 후 히터(100)에 남은 잔열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열전 소자(420)는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히터(1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전 소자(410)는 광 흡수체(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광 흡수체(300)는 본체(600)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열은 제1 열전 소자(410)로 전달되어 전력이 생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500)는 전력 발생부(400)에서 생산된 전력에 기초하여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 발생부(400)는 배터리(200)와 리드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전력 발생부(4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00)가 충전되도록 회로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200), 전력 발생부(400)가 전기적 접촉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상기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집광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광부(700)는 광을 집광하는 장치이다. 집광부(700)는 거울일 수 있고, 거울에 의한 전반사를 이용하여 집광할 수 있다. 또는 집광부(700)는 렌즈일 수도 있다. 집광부(700)는 본체(600)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광 흡수체(300)로 광을 전달할 수 있다.
집광부(700)는 슬릿(610)과 광 흡수체(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릿(610)을 통해 입사된 광은 집광부(700)로 조사되고, 집광부(700)에서 반사 및/또는 굴절에 의하여 광 흡수체(300)로 집광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구조에 의하여 외부의 광이 효율적으로 광 흡수체(300)로 전달될 수 있고, 광 흡수체(3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증가될 수 있다. 광 흡수체(3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증가될수록 제1 열전 소자(4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증가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00)는 궐련(20)이 삽입되는 수용공간(60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열전 소자(420)는 히터(100)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히터(1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열전 소자(420)가 히터(1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경우, 히터(100)를 향하도록 배치된 전극은 히터(100)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므로 고온부(421)가 된다. 고온부(421)의 반대편에 배치된 전극은 저온부(422)가 된다. 즉, 제2 열전 소자(420)에서 히터(100)를 향하는 내주면이 고온부(421)가 되고, 외주면이 저온부(422)가 된다. 히터(100)의 열에 의하여 제2 열전 소자(420)의 고온부(421)와 저온부(422)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고, 이 온도차에 의하여 제2 열전 소자(420)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제1 열전 소자(410)는 본체(6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이 입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전극은 고온부(411)가 된다. 고온부(411)의 반대편에 배치된 전극은 저온부(412)가 된다. 광 흡수체(300)는 제1 열전 소자(410)의 고온부(411) 표면에 증착되어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열은 제1 열전 소자(410)의 고온부(411)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기류 패스(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 소자의 기전력은 고온부(411, 421)와 저온부(412, 422)의 온도차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기류 패스(8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는 유로로서, 제1 열전 소자(410)의 저온부(412)를 냉각시킬 수 있다.
기류 패스(800)는 제1 열전 소자(4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류 패스(800)는 제1 열전 소자(410)의 저온부(412)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공기가 기류 패스(800)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제1 열전 소자(410)의 저온부(412)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저온부(412)는 기류 패스(800)를 유동하는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기류 패스(800)를 유동하는 외부공기의 유동량 또는 유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제1 열전 소자(410)의 저온부(412) 및 고온부(411)의 온도 차이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전 소자(410)의 기전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광 흡수체(300)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증가된다.
또한, 제1 열전 소자(410)와 제2 열전 소자(420)의 사이에는 방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600)의 내부에서 제1 열전 소자(410)의 고온부(411)는 본체(60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저온부(412)는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반면, 제2 열전 소자(420)의 고온부(421)는 히터(100)가 배치된 본체(60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저온부(422)는 본체(60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열전 소자(410)와 제2 열전 소자(420)가 접촉될 경우, 전도 현상에 의하여 제1 열전 소자(410)의 고온부(411)의 열 에너지가 제2 열전 소자(420)의 저온부(422)로 흐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열전 소자(420)의 고온부(421)의 열 에너지가 제1 열전 소자(410)의 저온부(412)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경우, 고온부(411. 421)와 저온부(412, 422)의 온도차이가 감소하여 기전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제1 열전 소자(410)와 제2 열전 소자(420)를 이격시키고, 사이에 방열부(430)를 구비함으로써 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방열부(430)는 방열 필름일 수 있고, 폴리 이미드, 그라파이트 등의 소재나 그 외에도 우수한 방열 성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부(430)는 제1 열전 소자(410)와 제2 열전 소자(420)가 접촉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부(430)에 의하여 제1 열전 소자(410)와 제2 열전 소자(420)의 열 에너지가 상호 교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 생산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5와의 차이점은 히터(100)가 궐련(20) 내부를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궐련(20) 외부를 가열한다는 점이다. 이하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수용공간(601)에 삽입된 궐련(20)을 외부에서 가열하는 외부 가열형 히터(10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히터(100)는 궐련(20)을 가열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60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열전 소자(420)는 히터(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기 위하여 히터(1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열전 소자(420)는 히터(100)가 궐련(20)의 외부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도 적용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히터(100)는 필름형 발열체일 수 있다. 필름형 히터(100)는 수용공간(60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름형 히터(10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면상 발열체일 수 있다. 히터(100)는 수용공간(60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열전 소자(420)는 유연 열전 소자로서 히터(10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열전 소자(410)에 광 흡수체(300)가 증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효과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광 흡수체(300)는 제1 열전 소자(410)의 표면에 증착될 수 있다. 광 흡수체(300)에서 열이 발생하면 제1 열전 소자(410)로 전달되어 전력이 생산될 수 있다.
또한, 광 흡수체(300)는 광에 의하여 가열되는 금속 나노 입자(30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입자가 나노 크기일 때 금속의 자유 전자의 거동에 의해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은 도체인 금속 나노 입자(301) 표면에 광이 입사되면 광이 가지는 특정 에너지의 전자기장과의 공명으로 인하여 금속 표면의 자유 전자들이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슬릿(610)을 통해 입사된 광에서 조사된 광에 의하여 금속 나노 입자(301)들의 자유전자들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에 따라 집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진동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은 제1 열전 소자(410)로 전달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301)들은 다른 파장의 광에 의하여 각각 진동함으로써 열을 생성하는 복수 종류의 금속 나노 입자(30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파장의 광이 입사되더라도 플라즈몬 공명 현상에 의하여 열이 생성될 수 있다.
배터리(200)는 전력 발생부(400)에서 발생하는 전력에 의하여 충전될 수도 있고, 외부 전력에 의하여 충전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어 배터리(200)가 충전되는 경우 전력 발생부(400)에 의한 배터리(200)의 충전이 중단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전력이 인가된 상황에서 동시에 전력 발생부(400)에 의한 배터리(200)의 충전이 수행될 경우 배터리(200)의 과부하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500)가 동시 충전이 되지 않도록 회로를 제어하여 배터리(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제어부(500)가 전력 저장 소자(900)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회로는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개략적인 회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전력 저장 소자(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소자(900)는 전력 발생부(4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고용량의 커패시터인 슈퍼캡(supercap)일 수 있다.
히터(100)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는 상태에서, 제어부(500)가 전력 발생부(400)에서 발생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00)를 충전할 경우 충전과 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 저장 소자(900)는 전력 발생부(4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배터리(200)의 고출력 방전이 종료된 후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00)를 충전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소자(900)는 배터리(200) 및 전력 발생부(4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상황에 따라 전력 저장 소자(900)가 배터리(200)와 연결되거나 혹은 전력 발생부(400)와 연결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소자(900)는 전력 발생부(4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배터리(200)의 고출력 방전이 종료된 후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00)를 충전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소자(900)는 배터리(200) 및 전력 발생부(4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상황에 따라 전력 저장 소자(900)가 배터리(200)와 연결되거나 혹은 전력 발생부(400)와 연결되도록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력 저장 소자(900)와 전력 발생부(400) 사이에는 제2 스위칭 소자(SW2)가 배치되고, 전력 저장 소자(900)와 배터리(200) 사이에는 제1 스위칭 소자(SW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a는 배터리(200)가 히터(100)에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100)가 가열되는 상황에서 제어부(500)가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전력 저장 소자(900)와 전력 발생부(400)를 전기적 접촉시킨다.
배터리(200)로부터 히터(100)에 전력이 공급되어 히터(100)가 가열되면, 배터리(200)의 고방전이 수행되므로 제어부(500)는 전력 발생부(400)에 의한 배터리(200)의 충전이 되지 않도록 회로를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전력 저장 소자(900)와 전력 발생부(400)가 연결되도록 제2 스위칭 소자(SW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0)와 전력 저장 소자(900)가 연결되지 않도록 제1 스위칭 소자(SW1)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200)가 히터(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턴 온(turn on)시키고, 제1 스위칭 소자를 턴 오프(turn off)시킬 수 있다. 히터(100)의 열에 의하여 전력 발생부(400)는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은 전력 저장 소자(900)로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력 저장 소자(900)와 배터리(200)는 연결되지 않게 되어 배터리(200)의 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b는 히터(100)의 가열이 종료된 상황에서 제어부(500)가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히터(100)의 가열이 종료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부(500)는 전력 저장 소자(900)와 배터리(200)를 전기적 접촉시킨다.
히터(100)의 가열이 종료되면, 배터리(200)로부터 히터(100)에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히터(100)의 가열이 종료되더라도 히터(100)에 남은 열이 존재하므로 일정 시간동안 전력 발생부(400)에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전력 저장 소자(900)와 전력 발생부(400)의 연결을 해제하고, 전력 저장 소자(900)와 배터리(200)가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를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기준시간은 히터(100)의 가열이 종료되더라도 전력 발생부(400)가 남아있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스위칭 소자(SW1)를 턴온시키고, 제2 스위칭 소자(SW2)를 턴 오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터(100)의 가열 중에 전력 저장 소자(900)에 저장되었던 전력이 배터리(200)의 충전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히터(100)의 열을 흡수하여 전력 발생부(400)가 전력을 생산하되, 배터리(200)로부터 히터(100)에 전력이 공급되는 고출력 방전 중에는 배터리(200)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0: 히터
200: 배터리 300: 광 흡수체
301: 금속 나노 입자 400: 전력 발생부
410: 제1 열전 소자 411, 421: 고온부
412, 422: 저온부 420: 제2 열전 소자
430: 방열부 500: 제어부
600: 본체 601: 수용공간
610: 슬릿 700: 집광부
800: 기류 패스 900: 전력 저장 소자

Claims (13)

  1. 본체;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흡수하여 열을 생성하는 광 흡수체;
    상기 광 흡수체가 표면에 증착되어 상기 광 흡수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제1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발생부; 및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생산된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광 흡수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이 입사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과 상기 광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광을 집광하여 상기 광 흡수체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생부는 상기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제2 열전 소자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궐련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열전 소자는 상기 히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전 소자는 상기 히터를 향하도록 배치된 고온부 및 상기 고온부의 반대편에 배치된 저온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광이 유입되는 "?향?* 향하도록 배치된 고온부 및 상기 고온부의 반대편에 배치된 저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흡수체는 상기 고온부의 표면에 증착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제1 열전 소자의 저온부를 냉각시키는 기류패스;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제2 열전 소자의 사이에 방열부가 구비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체는 광에 의하여 가열되는 금속 나노 입자들을 포함하여 열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들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에 의하여 각각 진동함으로써 열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생산된 전력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전력 발생부와 상기 배터리의 연결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 발생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 저장 소자;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력 저장 소자와 상기 전력 발생부를 전기적 접촉시키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히터에 전력 공급을 종료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전력 저장 소자와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 접촉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00098816A 2020-08-06 2020-08-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816A KR102587924B1 (ko) 2020-08-06 2020-08-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816A KR102587924B1 (ko) 2020-08-06 2020-08-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366A true KR20220018366A (ko) 2022-02-15
KR102587924B1 KR102587924B1 (ko) 2023-10-11

Family

ID=8032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816A KR102587924B1 (ko) 2020-08-06 2020-08-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42A1 (ko) * 2022-09-13 2024-03-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스틱형 흡연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922A (ko) * 2009-11-30 2011-06-08 최광식 자연수를 이용하는 수냉식 방열판을 갖춘 태양열 열전 발전 장치
KR20120107219A (ko) * 2011-03-21 2012-10-02 (주)메나리 전자담배
US20130220315A1 (en) * 2009-07-27 2013-08-29 Fuma International Llc Electronic vaporizer
US20150034102A1 (en) * 2013-07-11 2015-02-05 Farhad Faramarzian Solar Powered Electric Cigarette
KR20170020576A (ko) * 2015-08-12 2017-02-23 신수현 전자담배용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담배
KR20190038183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49415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78638A (ko) * 2016-11-18 2019-07-0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열 조립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는 방법
WO2019138043A1 (en) * 2018-01-12 2019-07-1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multiple sensors
KR102079458B1 (ko) * 2018-10-29 2020-02-19 박정용 급속 냉온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텀블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0315A1 (en) * 2009-07-27 2013-08-29 Fuma International Llc Electronic vaporizer
KR20110059922A (ko) * 2009-11-30 2011-06-08 최광식 자연수를 이용하는 수냉식 방열판을 갖춘 태양열 열전 발전 장치
KR20120107219A (ko) * 2011-03-21 2012-10-02 (주)메나리 전자담배
US20150034102A1 (en) * 2013-07-11 2015-02-05 Farhad Faramarzian Solar Powered Electric Cigarette
KR20170020576A (ko) * 2015-08-12 2017-02-23 신수현 전자담배용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담배
KR20190078638A (ko) * 2016-11-18 2019-07-0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열 조립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는 방법
KR20190038183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49415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19138043A1 (en) * 2018-01-12 2019-07-1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multiple sensors
KR102079458B1 (ko) * 2018-10-29 2020-02-19 박정용 급속 냉온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텀블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42A1 (ko) * 2022-09-13 2024-03-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스틱형 흡연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924B1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8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JP6923280B2 (ja) ヒータを備えた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0528277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ヒータ組立体
KR10226249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KR2021014246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30306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6702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61130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JP6978167B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58792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91144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22542298A (ja) ヒータ組立体、及び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2024026401A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2021013783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8792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17841B1 (ko)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4790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KR10233030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30302B1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9888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19143B1 (ko)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17840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20026434A (ko)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8710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30519A (ko) 집광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