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902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902B1
KR102647902B1 KR1020200149597A KR20200149597A KR102647902B1 KR 102647902 B1 KR102647902 B1 KR 102647902B1 KR 1020200149597 A KR1020200149597 A KR 1020200149597A KR 20200149597 A KR20200149597 A KR 20200149597A KR 102647902 B1 KR102647902 B1 KR 10264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erosol
atomizer
cartridge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577A (ko
Inventor
이원경
정헌준
김동성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4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9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thermal device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수용된 수용공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무화기, 및 상기 무화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상기 무화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Thermochromic) 온도 의존성 재료를 포함한 수용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artridg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증기를 생성한 후 생성한 증기를 고체 상태의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殘量)을 확인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카트리지의 적절한 교체 시기를 알기가 어렵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모두 소비되었음에도 카트리지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느끼는 향미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확인하는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수용된 수용공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무화기; 및 상기 무화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상기 무화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Thermochromic) 온도 의존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본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보충 내지 교체 시기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상시 확인할 수 있게 구현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모두 소비되었음에도 보충 내지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탄맛을 느끼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무화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 의존성 재료가 갖는 색상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I-I 단면선을 기준으로 한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증기화기를 포함하지만,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현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증기화기가 생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증기화기가 생략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히터(130)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가열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히터(13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 제어부(120),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증기화기(140)를 작동시켜, 증기화기(14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14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증기화기(140)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 또는 증기화기(14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히터(130)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히터(1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11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가 가열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21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필터 로드(22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2 이상의 래퍼(24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 또는 필터 로드(22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에 있어서, 필터 로드(220)에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0)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및 도 2의 1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이하의 도면들에서 온도 의존성 재료의 색상은 점의 밀집도로 구분하였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수용된 수용공간(2),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수용공간(2)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무화기(4), 및 무화기(4)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무화기(4)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Thermochromic)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포함한 수용본체(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사용자가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색상 변화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殘量)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구현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에 의하면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보충 내지 교체 시기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수용공간(2)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통해 상시 확인할 수 있게 구현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모두 소비되었음에도 보충 내지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탄맛을 느끼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공간(2), 수용본체(3), 무화기(4), 및 온도 의존성 재료(5)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용공간(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수용한다. 수용공간(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일 수 있다. 수용공간(2)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은 예컨대,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 물질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은 수용본체(3)의 내부에서 액체 상태의 스펀지나 솜과 같은 다공성 소재에 의해 함침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수용본체(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의 본체로서 기능한다. 수용본체(3)는 전체적으로 직방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용본체(3)는 제 1 본체(31), 및 제 2 본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본체(31)는 무화기(4)를 둘러싸는 수용본체(3)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제 1 본체(31)에는 온도 의존성 재료(5)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본체(31)에 포함된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색상 변화를 식별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본체(31)는 생성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본체(32)는 수용공간(2)을 둘러싸는 수용본체(3)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제 2 본체(32) 및 제 1 본체(31)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수용본체(3)의 일 부분들일 수 있다. 제 2 본체(32)는 제 1 본체(31)와 구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본체(32)에는 온도 의존성 재료(5)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 1 본체(31) 및 제 2 본체(3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온도 의존성 재료(5)가 제 1 본체(31)에 포함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나, 이로부터 제 2 본체(32)에 포함된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확인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수용본체(3)는 무화기(4)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수용본체(3)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본체(31)는 무화기(4)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는 무화기(4)로부터 발생된 열이 제 1 본체(31) 로 전달되는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 1 본체(31)는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다음과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해 제 1 본체(31)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제 1 본체(31)와 함께 하나의 금형(metal mold) 안에서 동시에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제 1 본체(31) 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온도 의존성 재료(5) 및 제 1 본체(31)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사출성형된 이후, 나머지 하나가 사출성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본체(31)가 제 1 금형에서 먼저 사출성형된 이후, 온도 의존성 재료(5)가 제 2 금형에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사출성형된 제 1 본체(31) 에는 온도 의존성 재료(5)가 배치되기 위한 홈(Groove)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수용본체(3)의 외면(3a,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물감 으로 구현되어, 수용본체(3)의 외면(3a)에 칠해질 수 있다. 수용본체(3)의 외면(3a)은 외부를 향하는 제 1 본체(31)의 일 면일 수 있다.
제 1 본체(31)에서의 온도 의존성 재료(5)의 배치 방식은 상술한 3가지 변형예 외에도, 다른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무화기(4)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생성한다. 무화기(4)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 상태의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무화기(4)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력공급기(40)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공급기(40)는 무화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만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와 함께 무화기(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용 칩이나 제어용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화기(4)는 제 1 본체(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로졸은 제 1 본체(31)의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무화기(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흡수하는 다공성 판(41), 다공성 판(41)에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부(42), 및 흡수부(42)에 감겨 있거나 흡수부(42)와 접촉하거나 흡수부(4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43)는 전력공급기(40)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저항성 발열체일 수 있다. 가열부(43)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가열부(4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4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흡수부(42)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은 가열부(43)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가열부(43)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부(43)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무화기(4)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2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무화기(4)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무화기(4)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으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다.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은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진동자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세라믹은 물리적인 힘(압력)에 의해 전기(전압)를 발생하고 역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진동(기계적인 힘)을 발생함으로써 전기와 기계적인 힘을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이다. 따라서 진동자에 인가된 전기에 의해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작은 진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진동자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에 의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진동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소자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무화기(4)는 수용공간(2)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에 따라 온도가 변화할 수 있다. 무화기(4)의 온도는 수용공간(2)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이 감소함에 따라 무화기(4)의 온도가 증가하는 원리를 식 Q=CMT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Q는 무화기(4)가 전력공급기(40)로부터 전달받는 열용량(KJ), C는 무화기(4)의 비열(KJ/Kg℃), M은 무화기(4)의 질량(Kg), T는 무화기(4)의 온도(℃)이다.
우선, 무화기(4)는 전력공급기(40)로부터 단위 시간당 일정한 열용량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다음,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에 충분한 양(제 1 잔량값)으로 수용된 경우, 무화기(4)의 흡수부(42)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흡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제 1 잔량값은 수용공간(2)의 전체 체적(Volume)의 90% 이상일 수 있다.
흡수부(42)에 묻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양이 많으면 무화기(4)의 전체적인 질량(M)은 증가하게 되고, 상기의 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무화기(4)의 온도(T)는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무화기(4)는 제 1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온도는 150℃~180℃일 수 있다. 제 1 본체(31)는 무화기(4)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대략적으로 40℃~60℃로 가열될 수 있다.
다음,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소비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에 충분하지 않은 양(제 1 잔량 값에 비해 더 적은 제 2 잔량값)으로 수용된 경우, 무화기(4)의 흡수부(42)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흡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제 2 잔량값은 수용공간(2)의 전체 체적의 50% 이상 90% 미만일 수 있다.
흡수부(42)에 묻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무화기(4)의 전체적인 질량(M)은 감소하게 되고, 상기의 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무화기(4)의 온도(T)는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무화기(4)는 제 1 온도에 비해 높은 제 2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온도는 200℃~250℃일 수 있다. 제 1 본체(31) 는 무화기(4)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대략적으로 60℃~90℃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무화기(4)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한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무화기(4)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 받아 대략적으로 제 1 본체(31)와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무화기(4)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 의존성 재료(5)는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기준 온도는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색상이 변화하기 위한 온도로,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종류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무화기(4)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 기설정된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무화기(4)의 온도가 제 1 온도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초기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무화기(4)의 온도가 제 2 온도로 상승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색상과 다른 식별 색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식별 색상을 식별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 색상은 투명색일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제 1 본체(31)에 포함될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시온(示溫) 안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의존성 재료(5)는 가역적(Reversible) 시온 안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기(4)의 온도가 제 2 온도에서 초기 온도인 제 1 온도로 복귀된 이후 다시 제 2 온도로 상승되더라도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재사용 가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온도 의존성 재료(5)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본체(31)의 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사용자가 온도 의존성 재료(5)를 식별할 수 있는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제 1 본체(31)의 일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수용본체(3)의 외면(3a)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는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통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단계적으로 확인하는 실시예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수용본체(3)의 외면(3a)에서 수용본체(3)의 내면(3b)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제 1 본체(31)의 일 영역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는 제 1 본체(31)의 외측 의 영역 상에 배치되고, 제 3 온도 의존성 재료(53)는 제 1 본체(31)의 내측의 영역 상에 배치되며,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는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와 제 3 온도 의존성 재료(5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본체(3)의 내면(3b)은 무화기(4)를 향하는 제 1 본체(31)의 타 면일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서로 다른 초기 색상을 가질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의 기준 온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의 식별 색상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무화기(4)의 온도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하면,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순차적으로 각각의 식별 색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의 일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기준 온도가 서로 다르고, 식별 색상이 모두 투명색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7a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제 1 잔량값으로 수용공간(2)에 수용된 경우, 무화기(4)는 제 1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각각의 기준 온도가 제 1 온도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다음 도 7b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점차 소비됨에 따라 제 1 잔량값에 비해 더 작은 제 2 잔량값에 도달한 경우, 무화기(4)는 제 1 온도에 비해 더 높은 제 2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수용본체(3)의 외면(3a)을 향해 배치된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는 나머지 온도 의존성 재료들(52, 53)에 비해 먼저 기준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는 투명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가 투명색으로 변화함에 따라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의 색상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제 2 잔량값을 확인할 수 있다. 투명색은 내측에 배치된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의 일 색상일 수 있다. 따라서, 내측에 배치된 온도 의존성 재료를 식별할 수 있는 한 투명색에는 일부 다른 색상이 섞여 있을 수도 있다.
다음 도 7c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점차 소비됨에 따라 제 2 잔량값에 비해 더 작은 제 3 잔량값에 도달한 경우, 무화기(4)는 제 2 온도에 비해 더 높은 제 3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는 제 3 온도 의존성 재료(53)에 비해 먼저 기준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는 투명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가 투명색으로 변화함에 따라 제 3 온도 의존성 재료(53)의 색상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제 3 잔량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무화기(4)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복수 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식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에서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을 통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단계적으로 확인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 1 본체(31)에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온도 의존성 재료(5)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에서는 N(N은 2 이상의 정수)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5)가 수용본체(3)의 외면(3a)의 N개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수용본체(3)의 외면(3a)의 3개의 영역들(A1, A2, A3)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수용본체(3)는 온도 의존성 재료(5)들이 배치된 부분에 위치한 N개의 식별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식별표지들은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의미를 전달하는 표지일 수 있다. N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은 N개의 식별표지의 외측을 덮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본체(31)는 3개의 식별표지들(B1, B2, B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d에 도시된 식별표지들은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보충이 필요한 것을 알리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른 변형이 포함될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서로 다른 초기 색상을 가질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의 기준 온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의 식별 색상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무화기(4)의 온도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하면,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순차적으로 각각의 식별 색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의 일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기준 온도가 서로 다르고, 식별 색상이 모두 투명색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a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1 잔량값으로 수용공간(2)에 수용된 경우, 무화기(4)는 제 1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은 각각의 기준 온도가 제 1 온도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다음 도 8b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점차 소비됨에 따라 제 1 잔량값에 비해 더 작은 제 2 잔량값에 도달한 경우, 무화기(4)는 제 1 온도에 비해 더 높은 제 2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 1 영역(A1) 상에 배치된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는 나머지 온도 의존성 재료들(52, 53)에 비해 먼저 기준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는 투명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가 투명색으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영역(A1) 상에 배치된 제 1 식별표지(B1)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값이 정상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투명색은 내측에 배치된 제 1 식별표지(B1)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온도 의존성 재료(51)의 일 색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식별표지(B1)를 식별할 수 있는 한 투명색에는 일부 다른 색상이 섞여 있을 수도 있다.
다음 도 8c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점차 소비됨에 따라 제 2 잔량값에 비해 더 작은 제 3 잔량값에 도달한 경우, 무화기(4)는 제 2 온도에 비해 더 높은 제 3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 2 영역(A2) 상에 배치된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는 제 3 영역(A3) 상에 배치된 제 3 온도 의존성 재료(53)에 비해 먼저 기준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는 투명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온도 의존성 재료(52)가 투명색으로 변화함에 따라 제 2 영역(A2)에 배치된 제 2 식별표지(B2)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보충이 필요함을 확일 수 있다.
다음 도 8d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이 점차 소비됨에 따라 제 3 잔량값에 비해 더 작은 제 4 잔량값(제 4 잔량값은 0일 수 있음)에 도달한 경우, 무화기(4)는 제 3 온도에 비해 더 높은 제 4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 3 온도 의존성 재료(53)는 기준 온도에 도달하여 색상이 투명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3 온도 의존성 재료(53)가 투명색으로 변화함에 따라 제 3 영역(A3)에 배치된 제 3 식별표지(B3)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탄 맛 느끼지 않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을 보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무화기(4)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복수 개의 식별표지들(B1, B2, B3)을 식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에서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3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들(51, 52, 53) 및 3개의 식별표지들(B1, B2, B3)을 통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단계적으로 확인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 1 본체(31)에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온도 의존성 재료 및 식별표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는 무화기의 온도에 따라 온도 의존성 재료가 갖는 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무화기(4)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색상이 계속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식별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온도 의존성 재료(5)는 복수의 기준 온도에 도달할 때 마다 색상이 계속하여 변화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 및 커버(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결합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화기(4)에서 발생된 열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를 통해 커버(6)에 전달될 수 있다.
커버(6)는 이물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제 1 배출공(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출공(6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에 포함된 제 2 배출공(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커버(6)는 식별창(6a)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창(6a)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가 위치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본체(31)에 포함된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색상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본체(32)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10)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식별창(6a)은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색상을 외부에서 식별하도록 투명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창(6a)은 유리나 아크릴(Acrylic)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창(6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식별창(6a)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의존성 재료(5)가 포함된 부분에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10)는 식별창(6a)을 가공하는 공정 수를 감소시켜서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식별창(6a)은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버(6)는 무화기(4)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10)는 커버(6)가 식별창(6a)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또한 커버(6)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온도 의존성 재료(5)의 색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1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20)의 잔량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커버(6)는 무화기(4)에서 발생된 열을 수용본체(3)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커버(6)는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6)는 제 1 본체(31)가 위치한 부분에 온도 의존성 재료(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본체(3)에 포함된 온도 의존성 재료(5)에 관한 상술한 모든 실시예는 커버(6)에 포함된 온도 의존성 재료(5)에 관한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복수 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5)들은 커버(6)의 외면에서 커버(6)의 내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N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5)들은 커버(6)의 외면의 N개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6)는 N개의 온도 의존성 재료(5)들이 배치된 부분에 위치한 N개의 식별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6)에 포함된 온도 의존성 재료(5)는 수용본체(3)에 포함된 온도 의존성 재료(5)와 거의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도 10의 I-I 단면선을 기준으로 한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10)는 열전도체(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체(7)는 수용본체(3)로부터 커버(6)로 열전달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열전도체(7)는 수용본체(3)와 커버(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카트리지 조립체(10)는 수용본체(3)와 커버(6) 사이에 간극(60)이 형성되더라도, 커버(6)에 전달되는 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6)는 수용본체(3)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열전도체(70)는 구리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버(6) 및 수용본체(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본체(3)와 커버(6) 사이의 전체적인 이격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돌기는 C-Clip일 수 있다. C-Clip은 알파벳 C자 형상을 갖는 탄성력이 있는 클립을 의미한다. 돌기는 커버(6) 및 수용본체(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 카트리지 조립체
1 :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2 : 수용공간
20 : 에어로졸 생성 물질 3 : 수용본체
4 : 무화기 5 : 온도 의존성 재료
6 : 커버 7 : 열전도체
6a : 식별창

Claims (15)

  1.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액상 조성물이 수용된 수용공간;
    상기 액상 조성물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잔량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무화기; 및
    상기 무화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상기 무화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Thermochromic) 온도 의존성 재료를 포함한 수용본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가 상기 수용본체의 외면에서 상기 수용본체의 내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가 상기 수용본체의 외면의 복수 개의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무화기의 온도가 상기 액상 조성물의 잔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하면 복수 개의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수용본체는 상기 무화기를 둘러싸고 상기 무화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금속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가 배치된 제 1 본체, 및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제 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본체는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가 배치되기 위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는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제 1 본체의 상기 홈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의 각각은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색상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의 상기 기준 온도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양이 기설정된 제 1 잔량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무화기의 온도는 제 1 온도에 도달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양이 상기 제 1 잔량값에 비해 더 적은 제 2 잔량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무화기의 온도는 상기 제 1 온도에 비해 더 큰 제 2 온도에 도달하고,
    상기 무화기가 상기 제 2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는 기설정된 초기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화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의 온도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잔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잔량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무화기의 온도가 단계적으로 상승하면, 복수 개의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투명색으로 변화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의 색상은 상기 무화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순차적으로 투명색으로 변화하고,
    상기 수용본체는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들이 배치된 부분에 위치한 복수 개의 식별표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는 가역성 시온(示溫) 안료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10. 삭제
  11.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본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온도 의존성 재료의 색상을 외부에서 식별하도록 투명 소재를 포함하는 식별창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본체로부터 열을 전달받되, 상기 무화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온도 의존성 재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수용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본체의 열을 상기 커버를 향해 전달하는 열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수용본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KR1020200149597A 2020-11-10 2020-11-1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KR10264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97A KR102647902B1 (ko) 2020-11-10 2020-11-1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97A KR102647902B1 (ko) 2020-11-10 2020-11-1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577A KR20220063577A (ko) 2022-05-17
KR102647902B1 true KR102647902B1 (ko) 2024-03-14

Family

ID=8180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597A KR102647902B1 (ko) 2020-11-10 2020-11-1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5849A (zh) * 2021-08-31 2024-04-05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括热致变色和导热元件的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933A (ko) * 2010-10-04 2012-04-13 김남숙 전자 담배
RU2722123C2 (ru) * 2015-12-31 2020-05-26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ее термоиндикатор
US10194691B2 (en) * 2016-05-25 2019-02-0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Non-combusting smoking article with thermochromatic label
JP6780907B2 (ja) * 2017-10-24 2020-11-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61132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577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85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US10966464B2 (e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having a liquid storage portion
RU27412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вейпинга
KR102592418B1 (ko) 재충진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에어로졸 발생 키트 및 시스템
CN111050573B (zh) 汽化器及具备该汽化器的气溶胶生成装置
WO2020115322A1 (en) An atomiser and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n atomiser
KR20210011831A (ko) 궐련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2822953A (zh) 气溶胶生成制品、气溶胶生成装置以及气溶胶生成系统
KR10264790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KR102625305B1 (ko) 히터의 가열 시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방법
KR102503276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710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3365515B (zh) 气溶胶生成装置和气溶胶生成系统
KR10236013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17841B1 (ko)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4302654A (zh) 包含导热材料的气溶胶生成物品
KR102330302B1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4521112A (zh) 气溶胶生成系统
KR102419143B1 (ko)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439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120709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カートリッジ
KR20240054848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에 수용되는 스틱
KR2022006466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7597037A (zh) 包括汽化器的气溶胶生成装置
CN117794406A (zh) 包括加热器模块的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