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286A -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286A
KR20220018286A KR1020200098603A KR20200098603A KR20220018286A KR 20220018286 A KR20220018286 A KR 20220018286A KR 1020200098603 A KR1020200098603 A KR 1020200098603A KR 20200098603 A KR20200098603 A KR 20200098603A KR 20220018286 A KR20220018286 A KR 20220018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manipulator
unit
controll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694B1 (ko
Inventor
김항래
Original Assignee
김항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항래 filed Critical 김항래
Priority to KR102020009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694B1/ko
Priority to PCT/KR2020/010959 priority patent/WO2022030673A1/ko
Publication of KR20220018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286A/ko
Priority to KR1020220037360A priority patent/KR2022004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7/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 G05G7/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 G05G7/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altering the ratio of motion or force between controlling member and controlled member as a fun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trolling member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손만으로도 드론 조종기를 사용하여 드론 조종이 가능하기에 나머지 한손으로는 사진찍기, 촬영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등과도 연결하여 화면상의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드론 조종기의 3차원 위치를 식별하여 드론을 조종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드론 조종을 이해할 수 있어 드론 조종을 쉽고 빠르게 습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드론 조작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종래의 드론 조종 모드를 익히고 익숙해져야 하는 시간과 노력의 투자없이 직관적으로 이해하여 쉽고 빠르게 드론 조종법을 익힐 수 있고, 동작명력 입력부를 누르지 않거나 해체했을 경우에는 드론은 호버링 명령 등을 수행하여 드론의 추락, 충돌, 오동작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손만으로도 드론 조종기를 사용하여 드론 조종이 가능하기에 나머지 한손으로는 사진찍기, 촬영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등과도 연결하여 화면상의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드론 조종기의 3차원 위치를 식별하여 드론을 조종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드론 조종을 이해할 수 있어 드론 조종을 쉽고 빠르게 습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드론 조작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종래의 드론 조종 모드를 익히고 익숙해져야 하는 시간과 노력의 투자없이 직관적으로 이해하여 쉽고 빠르게 드론 조종법을 익힐 수 있는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론 또는 무인비행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승선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작하여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멀티콥터 드론은 최초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으로 방송 등에서 촬영으로 많이 사용되며 최근 드론(무인 비행체)가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드론은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은 카메라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서 촬영을 하거나, 드론에 물건을 싣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용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을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은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하는 등의 레저 스포츠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종래보다 가볍고, 소형화되며,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기도 한다.
드론은 사람이 승선하지 않는 무인 비행체이므로, 보통 지상에 있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운용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드론은 사람의 조작이 필요한 수동운전에 의해 조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드론을 조작하는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Grab) 한 상태에서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는 조작의 난이성 때문에 드론을 조종하는데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고, 드론 조종 중에는 사진찍기, 촬영 등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판매되는 드론의 종류도 입문용, 중급용, 고급용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드론 유저들은 드론의 능숙한 조종을 위해 드론 조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드론이 레저 스포츠 등으로까지 그 활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드론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드론 컨트롤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430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한손만으로도 드론 조종기를 사용하여 드론 조종이 가능하기에 나머지 한손으로는 사진찍기, 촬영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등과도 연결하여 화면상의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드론 조종기의 3차원 위치를 식별하여 드론을 조종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드론 조종을 이해할 수 있어 드론 조종을 쉽고 빠르게 습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드론 조작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종래의 드론 조종 모드를 익히고 익숙해져야 하는 시간과 노력의 투자없이 직관적으로 이해하여 쉽고 빠르게 드론 조종법을 익힐 수 있는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동작명력 입력부를 누르지 않거나 해체했을 경우에는 드론은 호버링 명령 등을 수행하여 드론의 추락, 충돌, 오동작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조종기에 있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드론 조종기의 3차원 위치를 식별하는 센서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드론 조종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명령 입력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드론의 상승과 하강 명령을 담당하는 상승하강명령 입력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드론의 이동과 회전 명령을 담당하는 이동회전명령 입력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드론 조종기의 위치를 해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드론으로 제어부의 드론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드론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 연결 및 종래의 드론 조종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드론의 상태 정보, 드론 조종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 설정 정보, 비행모드, 드론 및 드론 조종기의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드론에 위치한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사진찍기, 촬영, 자동 이륙, 자동 착륙, 복귀, 물건 집기, 물건 높기, 살포 등의 명령을 담당하는 기능명령 입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기 구동명령 입력부를 누름으로써 드론 조종기를 구동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구동명령 입력부의 눌림을 해체하면 드론 조종기의 구동상태가 해체되는 동시에 작동 중인 드론은 호버링(hovering) 명령 또는 이전 명령을 계속 수행하거나 사용자 설정 명령, 복귀 명령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부는, 상기 이동회전명령 입력부를 누른 뒤,
상기 드론 조종기를 동서남북 방향으로 기우리면 동서남북 방향으로 드론의 이동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드론 조종기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드론의 제자리 회전명령 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상승하강명령 입력부를 누른 뒤,
상기 드론 조종기를 상하로 움직이면 드론의 고도변경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장치 연결부와;
상기 종래의 드론 조종기와 연결되는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와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는 외부 장치 또는 종래의 드론 조종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한손만으로도 드론 조종기를 사용하여 드론 조종이 가능하기에 나머지 한손으로는 사진찍기, 촬영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등과도 연결하여 화면상의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드론 조종기의 3차원 위치를 식별하여 드론을 조종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드론 조종을 이해할 수 있어 드론 조종을 쉽고 빠르게 습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드론 조작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종래의 드론 조종 모드를 익히고 익숙해져야 하는 시간과 노력의 투자없이 직관적으로 이해하여 쉽고 빠르게 드론 조종법을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작명력 입력부를 누르지 않거나 해체했을 경우에는 드론은 호버링 명령 등을 수행하여 드론의 추락, 충돌, 오동작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회전명령 입력부를 누른 드론 조종기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승하강명령 입력부를 누른 드론 조종기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와 종래의 드론 조종기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프로토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회전명령 입력부를 누른 드론 조종기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승하강명령 입력부를 누른 드론 조종기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조종기와 종래의 드론 조종기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프로토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위치하여 드론 조종기(200)의 3차원 위치를 식별하는 센서부(2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 조종기(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명령 입력부(3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의 상승과 하강 명령을 담당하는 상승하강명령 입력부(4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의 이동과 회전 명령을 담당하는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드론 조종기(200)의 위치를 해석하는 제어부(60)와; 상기 드론으로 제어부(60)의 드론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드론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7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스마트 폰 등으로 이루어진 외부 장치(2) 연결 및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8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드론의 상태 정보, 드론 조종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 설정 정보, 비행모드, 드론 및 드론 조종기의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에 위치한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사진찍기, 촬영, 자동 이륙, 자동 착륙, 복귀, 물건 집기, 물건 놓기, 살포 등의 명령을 담당하는 기능명령 입력부(10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는 도 7에서처럼, 센서부(20), 구동명령 입력부(30), 상승하강명령 입력부(40),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 기능명령 입력부(1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전달받아 드론, 디스플레이부(90), 외부 장치(2), 종래의 드론 조종기(1)에 명령을 전달하여 제어하고, 이때, 상기 구동명령 입력부(30)를 누르면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는 구동상태로써 명령을 수행할 상태가 되고, 상기 구동명령 입력부(30)의 눌림을 해체하면 드론 조종기(200)의 구동상태가 해체되는 동시에 작동 중인 드론은 호버링(hovering) 명령 또는 이전 명령을 계속 수행하거나 사용자 설정 명령, 복귀 명령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하여 드론의 추락, 충돌, 오동작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구동명령 입력부(30) 대신에 몸체부(10)의 손잡이부(미도시)에 인체감지센서, 감압식 터치센서, 정전식 터치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손에서 드론 조종기가 떨어지면 구동명령 입력부의 누름 해체와 동일한 기능이 발행하며 지문 인식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부(80)를 통해 연결하여 드론의 상승, 하강, 회전, 이동 등의 제어명령을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를 사용하여 드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무선송수신부(70), 전원부(110), 기능 명령을 담당하는 기능명령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90)에 연결하는 연결부(80) 등은 종래의 드론 조종기(1)의 통신부, 전원부, 기능명령부, 디스플레이 연결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론의 상승, 하강, 동서남북 방향으로의 이동, 제자리 시계방향 회전, 제자리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해 센서부(20)의 센서는 변위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기울기 센서, 지자기센서, 중력센서, 방향센서 등이 적용되고, 상기 센서부(20)를 적용한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는 X, Y, Z 축의 어느 축을 사용해도 되며 하나 이상의 축과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력센서, 기울기 센서 등)로부터 센싱된 데이터 값을 가지고 드론 조종기(200)가 3차원 공간 X, Y, Z 축 상에서 어느 축으로 기울어졌는지를 식별하고, 방위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지자기 센서, 중력센서, 방향 센서 등)로부터 센싱된 데이터 값으로부터 어느 축으로 회전이 발생됐는지를 식별한다.
또한, 상기 드론 조종기(200)의 기울기와 회전을 식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부(20)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위치와 방위 데이터를 혼합해서 사용 가능하고 어느 축을 선택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만, 명시된 센서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0)는 도 4에서처럼,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를 누른 뒤, 상기 드론 조종기(200)를 동서남북 방향으로 기우리면 동서남북 방향으로 드론의 이동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드론 조종기(2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드론의 제자리 회전명령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20)는 도 5에서처럼, 상승하강명령 입력부(40)를 누른 뒤, 상기 드론 조종기(200)를 상하로 움직이면 드론의 고도변경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회전명령은 상승하강명령 입력부를 누를 경우에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 상승하강명령 입력부(40), 기능명령 입력부(100) 대신에 감압식 터치센서, 정전식 터치센서 등 다양한 센서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지문 인식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90)에서 구동명령, 상승하강명령, 이동회전 명령, 기능명령 등의 명령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승과 하강 명령은 드론 조종기(200)의 고도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20)의 센서(변위센서, 위치센서, 기압센서, 중력센서 등)에서 센싱된 데이터로부터 무선 드론 조종기의 고도를 식별하여 별도의 상승하강명령 입력부(40) 없이 드론 조종기의 윗쪽과 아랫쪽으로의 이동만으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이동, 회전 명령은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가 필요없이 드론 조종기의 상,하,좌,우 움직임과 회전만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드론 조종기(200)의 변위를 식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명시된 센서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80)는 도 1 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장치(2)와 연결되는 외부장치 연결부(81)와; 상기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 연결되는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2)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81)와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2)는 외부 장치(2) 또는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81)는 유선형 외부장치 연결부(83)과 무선형 외부장치 연결부(85)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선형 외부장치 연결부(83)는 커넥터 방식으로 외부장치(2)와 연결되고 무선형 외부장치 연결부(85)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외부장치(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2)는 유선형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4)와 무선형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6)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선형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4)는 커넥터 방식으로 종래 드론 조종기(1)와 연결되고 무선형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6)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종래 드론 조종기(1)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론과 드론 조종기(200), 드론 조종기(200)와 스마트 폰 등의 외부외부 장치(2) 및 드론 조종기(200)와 종래의 드론 조종기(1) 간의 통신은 무선통신 방식(블루투스, ZigBee, UWB, 비콘, Xbee 통신, Wifi 또는 RC(Radio Control) 통신 등도 사용 가능함) 사용이 가능하며 통신 간섭, 잡음 등으로 인한 통신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오류 검출 및 정정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프로토콜 프레임은 도 8에서처럼, 명령(command), 요청(request), 응답(response)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명령 프레임은 드론 조종기(200)에서 드론 및 드론 조종기(200)에서 종래의 드론 조종기(1)로 전달되는 명령 메시지로 헤더, 데이터 크기, 데이터 타입, 데이터, 오류 검출 및 정정으로 구성된다. 헤더는 동기를 맞추기 위한 SYN, 드론 조종기(200)와 종래의 드론 조종기(1) 상호간 인식을 위한 ID, 드론 조종기(200)에서 종래의 드론 조종기(1)로 보내는 데이터의 방향을 나타내는 FW로 구성된다.
상기 요청 프레임은 드론 조종기(200)에서 드론 및 드론 조종기(200)에서 종래의 드론 조종기(1)로 전달되는 요청 메시지로 헤더, 크기, 타입, 에러 검출 및 정정으로 구성된다. 헤더는 동기를 맞추기 위한 SYN, 드론 조종기(200)에서 드론 및 드론 조종기(200)와 종래의 드론 조종기(1) 상호간 인식을 위한 ID, 드론 조종기(200)에서 드론 및 드론 조종기(200)에서 종래의 드론 조종기(1)로 보내는 데이터의 방향을 나타내는 FW로 구성된다.
상기 응답 프레임은 드론에서 드론 조종기(200) 및 종래의 드론 조종기(1)에서 드론 조종기(200)로 전달되는 응답 메시지로 헤더, 크기, 타입, 데이터, 오류 검출 및 정정으로 구성된다. 헤더는 동기를 맞추기 위한 SYN, 드론에서 드론 조종기(200) 및 드론 조종기(200)와 종래의 드론 조종기(1) 상호간 인식을 위한 ID, 드론에서 드론 조종기(200) 및 종래의 드론 조종기(1)에서 드론 조종기로 보내는 데이터의 방향을 나타내는 BW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데이터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SYN는 하나만 사용하나 열악한 무선환경 및 드론기기간 상호 간섭이 클 경우에는 동기를 맞추고 오류로 인한 오동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SYN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Checksum을 사용하나 오류 검출을 위해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사용할 수 있고 실시간 오류 정정을 위해 FECC(Forward Error Corrections Cod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드론 및 종래의 드론 조종기와의 연결을 위한 모든 제품에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81)와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2)는 유선 케이블로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마이크로 5핀, Type C, 애플 8핀 등의 커넥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드론의 카메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등의 외부 외부 장치(2)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120)이 몸체부(10)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20)은 드론 조종기(200)의 몸체부(10) 내,외부에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브라켓(120)은 스마트 폰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거나 드론 조종기(200)의 몸체부(10)에 별도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이외의 외부 장치와의 연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드론 조종기(200)와 스마트 폰과의 연결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블루투스, ZigBee, UWB, 비콘, Xbee 통신, Wifi 또는 RC (Radio Control) 통신 등)
그리고, 상기 드론 조종기(200)의 무선송수신부(안테나)는 1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는 미끄럼 방지 처리를 하거나 미끄럼 방지 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10)가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손목 걸이나 목에 거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와 종래의 드론 조종기(1) 연결은 도 6에서처럼, 종래의 드론 조종기(1) 내부나 외부에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무선송수신기, 커넥터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
여기서, 무선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종래의 드론 조종기(1)의 제어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며 고유의 ID 등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를 인식한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블루투스, ZigBee, UWB, 비콘, Xbee 통신, Wifi 또는 RC (Radio Control) 통신 등도 사용 가능함) 사용이 가능하며 연결방법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유선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연결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종래의 드론 조종기(1)의 제어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며 플러그 인 등의 방식으로 연결 즉시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를 인식한다. 다만, 연결방법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BI(Application Binary Interface) 등으로 구성하며 종래의 드론 조종기 제조사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드론 조종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 조종기(200)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드론 조종기(200)의 제어방법을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보다 쉽고 빠르게 드론 제어방법에 익숙해 질 수 있으며 간단히 드론 조종기(200)의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를 누루고 상하좌우로 기울임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회전 등으로 움직이면 되기때문에 사용자는 쉽고 빠르며 편리하고 안전하게 드론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때 기술되는 드론 조종기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실시예로 X, Y, Z의 어느 축을 사용해도 되며 다른 명령을 할당하거나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다른 한손으로는 드론 조종기(200)의 사진찍기, 촬영, 물건집기, 물건 내려놓기, 농약 살포 등의 기능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등과 연동된 화면의 메뉴를 선택하여 사진찍기, 촬영, 물건집기, 물건 내려놓기, 농약 살포 등의 동일한 기능 명령을 드론 제어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기능명령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드론 조종기(200)는 드론 조종기(200)의 3차원 위치 값으로부터 드론의 상승과 하강, 제자리에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동서남북 4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명령을 드론으로 송신하며 드론은 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드론 조종기(200)의 구동 명령 후 이동, 회전, 상승, 하강 명령을 수행하지 않을 시 드론은 호버링 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드론 조종기(200)가 상승하강이나 이동회전 명령 중 3차원 공간에서 평형상태일때는 호버링 명령을 수행한다.
이렇듯, 드론은 드론 조종기(200)의 명령에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0)는 드론 조종기(200)의 위치를 식별하여 회전 명령과 이동 명령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승하면서 회전하는 명령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며 어떠한 조합도 가능하며 2개 이상의 명령을 조합하여 동시에 수행 가능하다.
한편, 회전 명령과 이동 명령을 동시에 수행 중에도 하나의 명령을 취소하고 하나의 명령만으로 바로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을 수행하다 이동 중에 회전 명령을 멈추면서 전진 이동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다 우측 이동만 수행하는 등 어떠한 조합도 가능하며 2개 이상의 명령을 조합하여 동시에 수행 가능하다.
그리고, 상승과 하강 명령시에도 회전명령 및 이동명령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의 명령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드론 조종기(200)는 드론 조종기(200)의 기울어진 크기 및 회전의 크기값으로부터 드론의 상승, 하강, 제자리 시계 방향 회전, 제자리 반시계 방향 회전, 동서남북 이동 등 드론의 상승, 하강, 회전 및 이동 속도를 천천히 또는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론 조종기(200)는 드론의 이동을 동서남북 4방위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의 제어에 의해 360도 각도 중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며 상승과 하강, 회전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이동 등으로 드론 조종기의 위치 상태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자체 알고리즘으로 오류값을 보정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부(20)의 센서(진동센서, 변위센서, 위치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로부터 드론 조종기(200)의 상태변화를 식별하고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센싱 데이터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 다만, 명시된 센서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1 : 종래의 드론 조종기 2 : 외부 장치
10 : 몸체부 20 : 센서부
30 : 구동명령 입력부 40 : 상승하강명령 입력부
50 : 이동회전명령 입력부 60 : 제어부
70 : 무선송수신부
80 : 연결부 81 : 외부장치 연결부
82 :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 83 : 유선형 외부장치 연결부
84 : 유선형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 85 : 무선형 외부장치 연결부
86 : 무선형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
90 : 디스플레이부 100 : 기능명령 입력부
110 : 전원부 120 : 브라켓
200 : 드론 조종기

Claims (4)

  1.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조종기(200)에 있어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위치하여 드론 조종기(200)의 3차원 위치를 식별하는 센서부(2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 조종기(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명령 입력부(3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의 상승과 하강 명령을 담당하는 상승하강명령 입력부(4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의 이동과 회전 명령을 담당하는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드론 조종기(200)의 위치를 해석하는 제어부(60)와;
    상기 드론으로 제어부(60)의 드론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드론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7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2) 연결 및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8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드론의 상태 정보, 드론 조종기(200)의 상태 정보, 사용자 설정 정보, 비행모드, 드론 및 드론 조종기(20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드론에 위치한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사진찍기, 촬영, 자동 이륙, 자동 착륙, 복귀, 물건 집기, 물건 놓기, 살포의 명령을 담당하는 기능명령 입력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구동명령 입력부(30)를 누름으로써 드론 조종기(200)를 구동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구동명령 입력부(30)의 눌림을 해체하면 드론 조종기(200)의 구동상태가 해체되는 동시에 작동 중인 드론은 호버링(hovering) 명령 또는 이전 명령을 계속 수행하거나 사용자 설정 명령, 복귀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이동회전명령 입력부(50)를 누른 뒤,
    상기 드론 조종기(200)를 동서남북 방향으로 기우리면 동서남북 방향으로 드론의 이동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드론 조종기(2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드론의 제자리 회전명령 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상승하강명령 입력부(40)를 누른 뒤,
    상기 드론 조종기(200)를 상하로 움직이면 드론의 고도변경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생성된 신호는 제어부(6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80)는,
    상기 외부 장치(2)와 연결되는 외부장치 연결부(81)와;
    상기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 연결되는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2)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81)와 종래 드론 조종기 연결부(82)는 외부 장치(2) 또는 종래의 드론 조종기(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기.
KR1020200098603A 2020-08-06 2020-08-06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03A KR102380694B1 (ko) 2020-08-06 2020-08-06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0/010959 WO2022030673A1 (ko) 2020-08-06 2020-08-18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0037360A KR20220043095A (ko) 2020-08-06 2022-03-25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03A KR102380694B1 (ko) 2020-08-06 2020-08-06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60A Division KR20220043095A (ko) 2020-08-06 2022-03-25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286A true KR20220018286A (ko) 2022-02-15
KR102380694B1 KR102380694B1 (ko) 2022-03-29

Family

ID=801182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603A KR102380694B1 (ko) 2020-08-06 2020-08-06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0037360A KR20220043095A (ko) 2020-08-06 2022-03-25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60A KR20220043095A (ko) 2020-08-06 2022-03-25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80694B1 (ko)
WO (1) WO2022030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744B1 (ko) * 2018-11-29 2019-12-13 김항래 드리프팅 전동 보드
KR102446806B1 (ko) * 2022-04-08 2022-09-26 (주)네온테크 건 타입 드론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CN117173875B (zh) * 2023-11-03 2024-01-16 泉州云卓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分体式遥控器及路径自动识别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849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조이드론 원격 조종 장치
KR101956694B1 (ko) * 2017-09-11 2019-03-11 윤태기 드론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2821A (ko) * 2017-10-17 2019-04-25 권형진 조종 장치
KR102104309B1 (ko) 2018-02-06 2020-04-24 주식회사 조이드론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61B1 (ko) * 2012-07-16 2014-06-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조종 컨트롤러
KR101725649B1 (ko) * 2015-08-13 2017-04-11 임은석 무인 비행체 및 그 무인 비행체 조종을 위한 원격 조종기
KR20200041142A (ko) * 2018-10-11 2020-04-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비행체의 피드백 제어가 가능한 원격 조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849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조이드론 원격 조종 장치
KR101956694B1 (ko) * 2017-09-11 2019-03-11 윤태기 드론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2821A (ko) * 2017-10-17 2019-04-25 권형진 조종 장치
KR102104309B1 (ko) 2018-02-06 2020-04-24 주식회사 조이드론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694B1 (ko) 2022-03-29
WO2022030673A1 (ko) 2022-02-10
KR20220043095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694B1 (ko) 드론 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US11630457B2 (en) Multi-purposed self-propelled device
US11460837B2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actively engaged drive system
US11385645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20170189824A1 (en) Modular sensing device utilized with autonomous self-propelled device
KR20160016830A (ko) 다목적 자체 추진 장치
KR102449439B1 (ko) Hmd를 이용한 무인기 조종 장치
WO2017113648A1 (zh) 体感遥控器、体感遥控飞行系统和方法、无头控制方法
US20220350330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JP6533848B1 (ja) 飛行体
EP2994804B1 (en) Multi-purposed self-propelled device
CN108227721A (zh) 一种控制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