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126A -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 Google Patents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126A
KR20220018126A KR1020200098060A KR20200098060A KR20220018126A KR 20220018126 A KR20220018126 A KR 20220018126A KR 1020200098060 A KR1020200098060 A KR 1020200098060A KR 20200098060 A KR20200098060 A KR 20200098060A KR 20220018126 A KR20220018126 A KR 2022001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module
articulated bogie
wagon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7013B1 (en
Inventor
문형석
박정준
이상근
임성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013B1/en
Priority to PCT/KR2020/018299 priority patent/WO2021225246A1/en
Priority to EP20888732.3A priority patent/EP3933372A4/en
Publication of KR2022001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16Rotary-absorption dynamometers, e.g. of brake typ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which can conduct a field test that simulates direct driving by loading multiple air brake modules of railroad vehicles on two or more trains, and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air braking simulation applied to large-scale trains by using the articulated bogie to make the most of a space where the air brake modules can be loaded. The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includes a locomotive, two or more trains, a driving rail, and a braking module.

Description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본 발명은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공기제동장치 모듈 다수 개를 두 대 이상의 화차에 적재하여 직접 주행하며 시뮬레이션하는 필드 테스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절대차를 사용하여 공기제동장치 모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단위 화차에 적용되는 공기제동 시뮬레이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and more particularly, a field test simulating driving by loading a plurality of air braking system modules of a railway vehicle on two or more freight cars is possible, as well as a joint It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that enables the air braking simulation applied to large-scale freight cars to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by using the bogie to make the most of the space where the air brake module can be loaded.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화차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압 제동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화차용 공기압 제동장치의 제작에 있어서 제동시스템의 공지시간이나 완해시간, 제동압 등을 사전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험기를 이용하여 제동시스템을 실제 장착하기 전에 충분한 제동시험을 시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wagons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cargo use a pneumatic brake device using compressed air. For this reason, it is essential to conduct a sufficient braking test before actually installing the braking system using a separate tester.

그런데 종래의 제동시험기는 화차 한 량에 설치되는 제동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동시험을 수행하므로써, 한 량의 화차에 장착된 제동장치가 작동되는데 따른 공주시간이나, 완해시간, 제동압 등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다량의 화차에 설치되는 제동시스템에 관해서는 제동시험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raking tester performs a braking test on the basis of the braking system installed on one freight car, so that the idle time, release time, and braking pressur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system installed on one freight car are accurately measur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raking test could not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braking system installed in a large number of freight cars.

즉, 일반적으로 화차는 한량이 아닌 적게는 20 ~ 30량 정도부터 많게는 100량 이상까지 다량을 한꺼번에 편성하여 운행하게 되는데, 이처럼 다량의 화차가 편성되어 운행하는 경우에는 각 화차에 설치된 제동장치들은 모두 하나의 압축공기 공급관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축공기의 공급시간 지체에 따라 공주시간이나, 완해시간, 제동압 등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In other words, in general, a large number of wagons, ranging from 20 to 30 cars to 100 or more, are organized and operated at once. Since braking is performed by supplying compressed air using a single compressed air supply pipe, differences in idle time, relaxation time, braking pressure, etc. occur depending on the supply time delay of compressed air.

이러한 데이터는 기존의 한량 만을 시험하는 제동 시험기로는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량이 편성된 화차의 제동시스템에 관한 성능을 시험할 시험기가 없어서 다량의 화차를 편성할 때 제동시스템의 정확한 성능을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se data with the existing braking tester that tests only one quantity, there is no tester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braking system of a large number of trains, so when organizing a large number of cars, the exact performance of the braking system is analyz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n't be don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외에서는, 실험실 내부에 다수 개의 자동공기제동장치 시뮬레이터를 설치하여 제동시스템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테스트 방법은 실제 주행 상태에서 제동시스템을 테스트하는 필드 테스트가 불가능하고, 그라운드 테스트만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라운드 테스트를 위해서도 100량 이상의 화차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100대 이상의 시뮬레이터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verseas, a method of testing the braking system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automatic air braking system simulators inside the laboratory is used. It is impossible, and only ground test is possible, and for the ground test, more than 100 simulators must be installed to test more than 100 wagons, so it takes a lot of space for installation.

또한, 이와 같은 테스트 방법의 경우 테스트 도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 100대 이상의 시뮬레이터 중 어느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test method, 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tes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ich part of the 100 or more simulators has the error.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6616호에는 화차 편성 제동시험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공지의 화차용 제동시스템을 20 ~ 30량 정도 편성하여 각 제동시스템에 구성된 제동통에 압력센서를 부착한 후, 이 압력센서의 작동시간을 디지털타이머를 이용해 측정함으로써 다량의 화차의 제동시스템 편성에 따른 공주시간이나 완해시간, 제동압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제동시험이 가능한 화차가 20 ~ 30량 정도로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화차의 실제 주행 상태에서 제동시스템을 테스트하는 필드 테스트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6616 discloses a brake tester for trucks, and its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consists of 20 to 30 well-known brake systems for trucks and is installed in the brake box configured in each brake system. After attaching the pressure sensor, the operation time of the pressure sensor is measured using a digital timer, so that the idle time, relaxation time, and braking pressure can be accurately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system of a large number of wagon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is there a limit of 20 to 30 cars capable of a braking test, but also a field test that tests the braking system in the actual driving condition of the freight car is impossible.

최근 들어 남북 철도 연결사업이 가시화되는 등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는 대륙철도 노선에 대한 진행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고, 대륙철도의 경우 화차가 대단위로 운영될 것이 자명하므로, 대단위 화차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Recently, progress on a continental railroad line crossing the Eurasian continent is being attempted, such as the North-South rail connection project becoming visibl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braking simulation system for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6616호(2003. 12. 18. 공고)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36616 (2003. 12. 18.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각 화차에 설치되는 공기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 다수 개를 적재하여 직접 주행하며 시뮬레이션하는 필드 테스트에 관절대차를 사용하여 제동모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단위 화차에 적용되는 제동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ad a plurality of braking modules that modularize the air braking system installed in each freight car of a railroad car, and directly drive and simulate a field. By using the articulated bogie for testing to make the most of the space where the braking module can be loaded, we provide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the articulated bogie that enables the simulation of the braking system applied to large-scale freight cars to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have.

또한, 본 발명은 제동모듈의 필드 테스트에 관절대차를 사용함과 동시에 관절대차의 상부에 적재되는 제동모듈들이 전,후방과 링크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필드 테스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드 테스트를 위해 소요되는 시스템의 운용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joint bogie for the field test of the braking module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braking modules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joint bogie to be hinged by the front and rear links,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field tests and performing field test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that can reduce the operating cost of the system required for thi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제동시스템이 구비된 기관차와, 상기 기관차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고, 관절대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대 이상의 화차와, 상기 기관차와 화차가 주행하는 주행레일 및 철도차량 한 량에 구비되는 제동장치들을 적층이 가능한 형태로 모듈화한 제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동모듈은 상기 기관차의 제동시스템과 직렬로 연결되어 화차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ocomotive equipped with a braking system, two or more wagons connected to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ocomotiv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rticulated bogie, a running rail on which the locomotive and the wagon travel, and braking devices provided in one railroad vehic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aking module modularized in a stackable form, and the braking module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raking system of the locomotive and is loaded in multiple stages on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이때, 상기 제동모듈이 적재되는 화차의 상부는 각 화차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적재부와, 관절대차에 의해 지지되는 화차와 화차 사이의 연결부 상에 위치되는 제2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wagon on which the braking module is loaded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oading part positioned above each wagon and a second loading part positioned on a connection between the wagon and the wagon supported by the articulated bogie. do it with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적재부는 화차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에 다수 개의 제동모듈이 적재되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를 화차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part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on which a plurality of braking modules are loaded, and a hinge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part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to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그리고, 상기 기관차에는 제동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이동 및 제동모듈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 제동모듈의 제동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모듈에는 테스트 도중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수단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상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omotive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compressed air used for braking and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odule as a whole, and monitoring means for monitoring the braking performance of each braking module, and the braking module is provided with the braking module during the te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bnormality detection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to the monitoring means is provid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또한, 상기 제1적재부와 제2적재부의 상부 또는 서로 다른 화차에 구비된 제1적재부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제동시스템을 사용하는 철도차량의 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들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oading part and the second loading part or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oading part provided in different wagons, braking modules obtained by modularizing a braking system of a railroad vehicle using different braking systems are loaded. .

그리고, 상기 제동모듈의 그라운드 테스트를 위한 검수고와, 상기 주행레일과 검수고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이동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spection station for the ground test of the braking module, and a moving rail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driving rail and the inspection station.

또한, 상기 검수고에는 관절대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대 이상의 화차가 주차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공간이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동모듈들을 화차의 상부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제동모듈의 그라운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rking space is formed in the inspection station so that two or more wagon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rticulated bogie can be park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각 화차에 설치되는 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 다수 개를 적재하여 직접 주행하며 시뮬레이션하는 필드 테스트에 관절대차를 사용하여 관절대차의 상부에 위치되는 화차와 화차 사이의 연결부에도 제동모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동모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대단위 화차에 적용되는 제동시스템의 필드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n articulated bogie in a field test that simulates direct driving by loading a plurality of braking modules that are modularized of the braking device installed in each freight car of a railroad c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ight car and the freight car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culated bogie By allowing the braking module to be loaded in the connection part, the space where the braking module can be loaded can be used to the maximum, and accordingly,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field testing of the braking system applied to large-scale freight vehicles is excellent. ha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동모듈의 필드 테스트에 관절대차를 사용함과 동시에 관절대차의 상부에 적재되는 제동모듈들이 전,후방과 링크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필드 테스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곡선 구간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주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필드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외란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stable field test is possible as well as a more stable field test by using the joint bogie for field testing of the braking module and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braking modules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joint bogie to be hinged by the front and rear links. Si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stability in the section and reduce vibrations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it has the additional effect of reducing disturbances affecting the field tes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국가의 화차에 사용되는 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들을 각각 화차의 상부에 적재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제동시스템을 갖는 다른 나라의 철도차량과의 연동테스트가 가능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nterlocking tests with railway vehicles of different countries having different braking systems is possible by loading and connecting the braking modules, which are modularized braking devices used in different countries' wagons, on top of the wagons, respectively. have additio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필드 테스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관절대차가 적용된 화차 사이의 연결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화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적재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기관차와 화차에 구비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그라운드 테스트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field test using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eight cars to which the articulation bogie i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part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
Figure 4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locomotive and the freight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5 and 6 are views showing a ground test state using the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the articulated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the articulated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필드 테스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관절대차가 적용된 화차 사이의 연결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화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적재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기관차와 화차에 구비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그라운드 테스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ield test using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eight cars to which the articulated bogie is applied amo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part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nd 6 are views showing a ground test using the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the articulated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공기제동장치 모듈 다수 개를 두 대 이상의 화차에 적재하여 직접 주행하며 시뮬레이션하는 필드 테스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절대차를 사용하여 공기제동장치 모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단위 화차에 적용되는 공기제동 시뮬레이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기관차(110), 화차(120), 주행레일(130) 및 제동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ables a field test that simulates direct driving by loading multiple air brake module modules of a railroad car on two or more wagons, but also utilizes an articulated bogie to maximize the space in which the air brake module can be loaded. It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100 using an articulated bogie that enables more effective performance of air braking simulation applied to large-scale freight cars, and the configuration is largely as shown in FIG. , a freight car 120 , a running rail 130 , and a braking module 140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관차(110)는 제동모듈(140)의 필드 테스트(field tes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동모듈(140)이 적재된 화차(120)들을 견인하여 주행레일(130) 상을 주행함으로써 실제 철도차량의 주행과정에서의 제동시스템의 작동을 시뮬레이션하는 필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locomotive 110 serves to perform a field test of the braking module 140, and pulls the wagons 120 loaded with the braking module 140 to be described later. Thu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ield test simulating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system in the driving process of an actual railway vehicle by driving on the driving rail 130 .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관차(110)에는 후방에 연결되는 화차(120) 및 화차(120)에 적재되는 제동모듈(140)에 제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동시스템(1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동시스템(112)으로는 제동에 사용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각 제동모듈(1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기(compressor)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압축공기 공급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동시스템(112)의 구성은 기존의 기관차(110)에 구비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철도차량의 제동시스템(11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locomotive 110 is provided with a wagon 120 connected to the rear and a braking system 112 for supplying braking force to the braking module 140 loaded on the wagon 120 . A storage tank for storing compressed air used for braking, a compressor for supplying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each braking module 140, and compressed air by driving the compresso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compressed air supply pipe, etc.,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system 112 is the same as that of the braking system 112 of a railway vehicle using air pressure provided in the existing locomotive 110, so th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관차(110)에는 제어부(114)와 모니터링 수단(116)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부(114)는 화차(120)에 적재되는 제동모듈(14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116)은 화차(120)에 적재되는 각 제동모듈(140)에서의 제동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도중 특정 제동모듈(140)에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제동모듈(140)에 구비된 이상감지수단(142)으로부터의 신호가 모니터링 수단(116)에 현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이상이 발생된 제동모듈(140)을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제어부(114)를 통해 해당 제동모듈(14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locomotive 1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14 and a monitoring means 116 , and the control unit 11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odule 140 loaded on the wagon 120 . It serves to control overall, and the monitoring means 116 serves to monitor the braking performance of each braking module 140 loaded on the wagon 120, and during the simulation, a specific braking module (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raking module 140 , the signal from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142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braking module 140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monitoring means 116 , so that the driver can use the braking module 140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 to immediately check the control unit 114 to stop the driving of the corresponding braking module 140, and the like.

다음, 상기 화차(120)는 기관차(11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그 상부에 제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제동모듈(140)들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약 2량 내지 5량의 화차(12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화차(120)와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는 관절대차(articulated bogie)(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wagon 12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locomotive 110 and serves to load the braking modules 140 for braking simula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locomotive 110. 120) can be used, an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eight car 120 and the freight car 120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an articulated bogie (122).

즉, 각 차량에 두 개의 대차가 구비된 일반 화차(120)의 경우, 차량과 차량 사이의 공간이 넓어 각 차량의 언더프레임 상부에만 제동모듈(140)을 설치할 수 있는 것임에 비해, 관절대차(122)가 적용된 철도차량은 차량과 차량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관절대차(122)의 상부에 위치되는 차량과 차량 사이의 공간에도 제동모듈(140)을 적재시킬 수 있게 되어 화차(120) 상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a general wagon 120 equipped with two bogies in each vehicle,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s wide, so that the braking module 140 can be installed only in the upper part of the underframe of each vehicle, whereas the articulated bogie ( In the railway vehicle to which 122) is applied, since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s relatively narrow, the braking module 140 can be loaded even in the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culated bogie 122, so the freight vehicle 120 This will allow the upper space to be used more efficiently.

또한, 관절대차(122)가 적용된 화차(120)를 이용할 경우 차상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필드 테스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곡선 구간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주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필드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외란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보일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gon 120 to which the articulated bogie 122 is applied is used, the height of the vehicle can be lowered, enabling a more stable field test, as well as improving stability in curved sections and reducing vibrations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It may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disturbance affecting the field test.

이때, 후술할 제동모듈(140)이 적재되는 화차(120)의 상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적재부(150)와 제2적재부(1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적재부(150,160)는 화차(120)의 상부에 적재되는 제동모듈(14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적재부(150)는 각 화차(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적재부(160)는 관절대차(122)에 의해 지지되는 이웃하는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 상에 설치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 a first loading unit 150 and a second loading unit 16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gon 120 on which the braking module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loaded. and the second loading units 150 and 160 serve to more stably support the braking module 140 loa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gon 120 , and the first loading unit 150 includes each wagon 120 . ), and the second loading unit 16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neighboring wagons 120 supported by the joint bogie 122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적재부(150,1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152,162)와, 힌지연결부(154) 및 고정수단(156,16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152,162)는 각각 화차(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동모듈(14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적재부(150)를 구성하는 각 화차(120)의 상부에는 제1지지플레이트(152)가 설치되고, 제2적재부(160)를 구성하는 이웃하는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의 상부에는 제2지지플레이트(162)가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parts 150 and 160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52 and 162, a hinge connection part 154 and fixing means 156 and 166. Firs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52 and 162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120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raking module 140, respectively. A first support plate 152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freight car 120 constituting the ) is installed.

다음, 상기 힌지연결부(154)는 제1지지플레이트(152)와 제2지지플레이트(162)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단부가 제1지지플레이트(152)와 제2지지플레이트(16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54a)와, 상기 연결부재(154a) 사이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힌지결합부(154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동모듈(140)의 필드 테스트 중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제2지지플레이트(162)의 상부에 적재되는 제동모듈(140)이 안정적으로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Next, the hinge connection part 154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 and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154a installed at the ends of each and a hinge coupling part 154b provided in a connecting part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154a are included. Even when driving in a curved section, the braking module 140 loa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loaded stat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동모듈(140)의 필드 테스트 도중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에 진입하게 되면 관절대차(122)의 상부에 위치되는 화차(120)와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 즉 관절대차(12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전방 화차(120)의 후단과, 후방 화차(120)의 전단 사이에 굴절각이 발생된다.In more detail, when a railway vehicle enters a curved section during the field test of the braking module 140,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wagon 120 and the wagon 120 positioned above the articulated bogie 122, that is, the articulated bogie ( A refraction angle is genera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ront wagon 120 positioned above the 122 and the front end of the rear wagon 120 .

그에 따라, 화차(120)와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 상에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162)가 화차(12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제2지지플레이트(162)가 변형 또는 파손될 위험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eight car 120 and the freight car 120 is fixed to the freight car 120, there is a risk that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is deformed or damaged. .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지지플레이트(152)와 제2지지플레이트(162)를 힌지연결부(154)에 의해 연결 설치하여, 곡선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제2지지플레이트(162)가 전,후방에 위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152)에 의해 지지되면서도 화차(120)와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각도 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지지플레이트(162)의 상부에 적재되는 제동모듈(140)들이 곡선 구간에서도 안정적인 적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upport plate 1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are connected by the hinge connection part 15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is installed in a curved section, the front and rear Braking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by allowing it to rotate free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angle a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eight car 120 and the freight car 12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positioned first support plate 152 . The modules 140 are configured to maintain a stable loading state even in a curved section.

이때, 제1지지플레이트(152)와 제2지지플레이트(16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54a)는 와이어, 체인, 벨트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154a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wire, a chain, a belt, and the like.

다음, 상기 고정수단(156,166)은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152,162)를 화차(120)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지지플레이트(152)의 경우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이나 고정프레임 등의 고정수단(156)에 의해 네 모서리 부분을 화차(120)의 상부에 고정시킨다.Next, the fixing means 156 and 166 serve to fix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52 and 16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gon 120 ,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52 , fastening bolts, etc. The four corners ar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gon 120 by means (not shown) or fixing means 156 such as a fixing frame.

또한,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162)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필드 테스트 중인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관절대차(122)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 화차(120)와 후방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 각도변화에 의해 제2지지플레이트(162) 또한 회동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하므로, 제2지지플레이트(162)의 전방 또는 후방의 중심부나 양 모서리 부분을 힌지핀 등의 고정수단(166)에 의해 화차(120)의 상부에 고정시킨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front wagon 120 and the rear wagon 120 supported by the articulated bogie 122 when the railroad vehicle under field test travels in a curved section. Since the second support plate 162 also has to be rotatable by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connecting part of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gon 120 by

다음, 상기 주행레일(130)은 제동모듈(140)의 필드 테스트시, 기관차(110)와 이에 연결되는 두 대 이상의 화차(120)로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철도 선로 중 일부를 활용할 수 있다.Next, the running rail 130 serves as a track that allows a railroad vehicle including the locomotive 110 and two or more freight cars 120 connected thereto to run during the field test of the braking module 140, Some of the existing railroad tracks can be utilized.

다음, 상기 제동모듈(140)은 철도차량 한 칸, 즉 기관차(110)를 제외한 화차(120) 등의 철도차량 한 량에 구비되는 제동장치와, 상기 제동장치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비들을 적층이 가능한 형태로 모듈화한 것으로, 이러한 제동모듈(140)은 화차(120)의 상부에 적재된 상태로 필드 테스트 및 그라운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braking module 140 stacks a braking device provided in one railroad vehicle, that is, one railroad vehicle such as a freight car 120 excluding the locomotive 110, and equipment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the braking device. Modularized in this possible form, the braking module 140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eld test and a ground test while being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gon 120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동모듈(140)은 적층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하드케이스의 내,외측에 철도차량 한 량에 구비되는 제동장치들이 설치되는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동장치로는 제동에 사용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탱크와, 압축공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실린더와, 기관차(110)의 제동시스템(112)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 및 제동모듈(140) 내부에서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부와, 제동시스템(112)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 및 제동모듈(140)에서 사용되는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braking module 140 is provided with braking devices provided in one railroad car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ard case in a stackable form. Although not shown, the braking device is used for braking A compressed air tank for storing compressed air, a braking cylinder for generating braking force by pneumat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tank, a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braking system 112 of the locomotive 110 and a braking module 140 ) may include a valve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inside, and a piping unit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braking system 112 and the compressed air used in the braking module 140 move. .

또한, 상기 밸브부로는 압축공기탱크 및 제동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철도차량의 적재중량에 따라 제동력을 자동으로 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응하중밸브 및 철도차량의 적재중량을 감지한 후 공기압으로 변환하여 응하중밸브로 전달하는 부하감지밸브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ve unit includes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compressed air tank and the braking cylinder, a load-bearing valve for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braking force according to the loading weight of the railway vehicle, and the loading weight of the railway vehicle. It may include a load sensing valve, etc. that converts it to air pressure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load response valve.

상기와 같은 제동장치의 구성들, 즉 제동모듈(140)에 포함될 수 있는 제동장치의 구성들은 기존 철도차량 한 량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장치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각 구성의 설치 위치나 역할 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devic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braking module 14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devices installed in one existing railway vehicle,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철도차량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동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한 량에 설치되는 구성들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동모듈(140)을 구성하는 제동장치의 구성 또한 전체 철도차량에서 사용하는 제동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s installed in one vehicl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braking system used in the railway vehicle,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device constituting the braking module 140 also depends on the type of braking system used in the entire railway vehicle. may vary depending on

그리고, 상기 제동모듈(140)에는 기관차(110)에 구비된 제어부(114), 즉 제동모듈(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부하감지밸브에서 감지하는 부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하는 부하발생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밸브 및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동장치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비들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ad detected by the load sensing valve is applied to the braking module 140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4 provided in the locomotive 110 , that is, the control unit 114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odule 140 . A load generator that plays a role may be included, and in addition, various valve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compressed air and equipment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a braking device including sensors for detecting the sam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제동모듈(140)에는 이상감지수단(142)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이상감지수단(142)은 제동모듈(140)을 이용한 필드 테스트 도중 제동모듈(140)에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이상감지수단(142)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기관차(110)에 구비된 모니터링 수단(116)에 현시됨으로써 기관사가 필드 테스트 도중 이상이 발생된 제동모듈(140)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abnormality detection means 142 may be installed in the braking module 140 , and the abnormality detection means 142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in the braking module 140 during a field test using the braking module 140 . In the case of generating a signal,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142 is displayed on the monitoring means 116 provided in the locomotive 110, so that the engineer has an abnormality during the field test. )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제동시스템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고, 철도차량의 종류나 사용목적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동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철도차량 한 량에 설치되는 제동장치의 구성 또한 달라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braking system of railroad vehicles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and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type or purpose of use of the railroad vehicle. The composition will also be different.

따라서, 상기 제동모듈(140)에 설치되는 제동장치의 세부 구성 및 제동장치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비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일례로 한국, 중국 및 러시아의 화차(120) 한 량에 설치되는 제동장치들과 상기 제동장치들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비들로 구성된 제동모듈(140)을 각각 제1 내지 제3제동모듈(140a,140b,140c)이라 하고, 기관차(110)에 연결되고 상부에 제동모듈(140)이 적재되는 화차(120) 두 량을 각각 제1 및 제2화차(120a,120b)라 할 경우, 제1화차(120a) 상부의 제1적재부(150) 상에는 제1제동모듈(140a)을 적재하고, 제1 및 제2화차(120a,120b) 사이의 연결부 상부의 제2적재부(160) 상에는 제2제동모듈(140b)을 적재하며, 제2화차(120b) 상부의 제1적재부(150) 상에는 제3제동모듈(140c)을 적재한 상태에서 필드 테스트 또는 후술할 그라운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device installed in the braking module 140 and the equipment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the braking device may also be changed in various ways. First to third braking modules 140a, 140b, and 140c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first to third braking modules 140 ,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locomotive 110 and configur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braking devices. If the two quantities of the wagons 120 on which the braking module 140 are loaded are first and second wagons 120a and 120b, respectively, on the first loading unit 150 above the first wagon 120a, the first The braking module 140a is loaded, and the second braking module 140b is loaded on the second loading unit 160 above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gons 120a and 120b, and the second wagon 120b A field test or a ground tes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while the third braking module 140c is loaded on the upper first loading unit 150 .

즉, 상기 제1적재부(150)와 제2적재부(160)의 상부 또는 서로 다른 화차(120)에 구비된 제1적재부(150)의 상부에 서로 다른 제동시스템을 사용하는 철도차량의 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140)들을 적재하여 필드 테스트 및 그라운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데, 그로 인해,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제동모듈(140)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물론, 서로 다른 제동시스템을 갖는 다른 나라의 철도차량과의 연동테스트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ading unit 150 and the second loading unit 160 o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ading unit 150 provided in different wagons 120 of a railroad vehicle using different braking systems. A field test and a ground test can be performed by loading the braking modules 140 in which the braking system is modularized. As a result, simulations for the braking modules 140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s well as other braking systems having different braking systems can be perform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imulate interworking tests with national railroad vehicl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수고(170)와 이동레일(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검수고(170)는 제동모듈(140)의 그라운드 테스트, 즉 지상에서 정지된 상태에서의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필드 테스트가 수행되는 주행레일(130)과 인접한 지역의 지상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100 using the articulated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spection station 170 and a moving rail 180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inspection station 170 serves to perform a ground test of the braking module 140, that is, a performance test in a stopped state on the ground, and is installed on the ground in an area adjacent to the driving rail 130 where the field test is performed. do.

이때, 상기 검수고(170)에는 관절대차(122)에 의해 연결되는 두 량 이상의 화차(120)가 주차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공간(172)이 형성되고, 상기 주차공간(172)의 주변에는 화차(120)에 적재된 상태의 제동모듈(140)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a parking space 172 is formed in the inspection station 170 so that two or more wagons 120 connected by an articulated bogie 122 can be parked, and a wagon is formed around the parking space 172 . Equipment for the performance test of the braking module 140 in the state loaded on the 120 is installed.

상기 주차공간(172)은 관절대차(122)의 상부에 위치되는 화차(120)와 화차(120) 사이 연결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두 량 내지 다섯 량 정도의 화차(120)를 주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arking space 172 may be formed to form a circular arc shape or a curved shape as a whole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wagon 120 and the wagon 12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culated bogie 122. It is configured so that about five to five cars 120 can be parked.

다음, 상기 이동레일(180)은 제동모듈(140)의 필드 테스트가 수행되는 주행레일(130)과, 검수고(170), 즉 검수고(170)에 형성된 주차공간(172)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필드 테스트가 완료된 제동모듈(140)들을 적재한 화차(120)는 기관차(110) 또는 별도의 트랙터(190)에 의해 주행레일(130)로부터 이동레일(180)을 통해 검수고(170)의 주차공간(172)으로 견인되어 주차됨으로써 화차(120)의 상부에 적재된 상태 그대로 제동모듈(140)의 그라운드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moving rail 180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rail 130 on which the field test of the braking module 140 is performed and the parking space 172 formed in the inspection station 170 , that is, the inspection station 170 . To be installed, the wagon 120 loaded with the braking modules 140 on which the field test has been completed is inspected through the moving rail 180 from the driving rail 130 by the locomotive 110 or a separate tractor 190 ( It is towed and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72 of 170) so that the ground test of the braking module 140 can be performed as it is loaded on the top of the wagon 120.

이때, 상기 검수고(170)에서 주차공간(172)에 주차된 상태의 화차(120) 상에 적재되어 있는 제동모듈(140)들에 대한 그라운드 테스트를 수행한 후, 기관차(110) 또는 별도의 트랙터(190)를 이용하여 주차공간(172)에 주차된 상태의 화차(120)를 이동레일(180)을 통해 주행레일(130)으로 이동시켜 필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after performing a ground test on the braking modules 140 loaded on the wagon 120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72 in the inspection warehouse 170 , the locomotive 110 or a separat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eld test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wagon 120 parked in the parking space 172 to the driving rail 130 through the moving rail 180 using the tractor 190 .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각 화차(120)에 설치되는 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140) 다수 개를 적재하여 직접 주행하며 시뮬레이션하는 필드 테스트에 관절대차(122)를 사용하여 관절대차(122)의 상부에 위치되는 화차(120)와 화차(120) 사이의 연결부에도 제동모듈(140)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동모듈(140)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대단위 화차(120)에 적용되는 제동시스템의 필드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관절대차(122)의 상부에 적재되는 제동모듈(140)들이 전,후방과 링크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필드 테스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곡선 구간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주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필드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외란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다른 국가의 화차(120)에 사용되는 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140)들을 각각 화차(120)의 상부에 적재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제동시스템을 갖는 다른 나라의 철도차량과의 연동테스트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100 using the articulated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raking modules 140 in which the braking device installed in each wagon 120 of the railway vehicle is modularized is loaded. So that the braking module 140 can be load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eight car 120 and the freight car 12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culated bogie 122 by using the articulated bogie 122 for a field test that simulates direct driving. By doing so, the space in which the braking module 140 can be loaded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and accordingly,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field testing of the braking system applied to the large-sized freight vehicle 120 can be reduced, and the articulated bogie 122 ), a more stable field test is possible by making the braking modules 140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hinge-coupled by a link with the front and rear, as well as improving stability in curved sections and reducing vibrations generated in the driving proc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disturbances affecting the field test, and at the same time, by loading and connecting the braking modules 140 in which the braking devices used in the wagons 120 of different countries are modularized, respectively, on the top of the wagons 120, It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simulate interlocking tests with railway vehicles of other countries that have braking systems.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동모듈(140)에 설치되는 제동 관련 부품이나 제동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비들을 공지된 제동 시스템의 종류에 맞추어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braking-related parts installed in the braking module 140 or equipment for testing braking performance are used in a known braking system.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being able to change and use according to the type.

본 발명은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공기제동장치 모듈 다수 개를 두 대 이상의 화차에 적재하여 직접 주행하며 시뮬레이션하는 필드 테스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절대차를 사용하여 공기제동장치 모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단위 화차에 적용되는 공기제동 시뮬레이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and more particularly, a field test simulating driving by loading a plurality of air braking system modules of a railway vehicle on two or more freight cars is possible, as well as a joint It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that enables the air braking simulation applied to large-scale freight cars to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by using the bogie to make the most of the space where the air brake module can be loaded.

100 :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110 : 기관차
112 : 제동시스템 114 : 제어부
116 : 모니터링 수단 120, 120a,120b : 화차
122 : 관절대차 130 : 주행레일
140, 140a, 140b, 140c : 제동모듈 142 : 이상감지수단
150 : 제1적재부 152 : 제1지지플레이트
154 : 힌지연결부 154a : 연결부재
154b : 힌지결합부 156, 166 : 고정수단
160 : 제2적재부 162 : 제2지지플레이트
170 : 검수고 172 : 주차공간
180 : 이동레일 190 : 트랙터
100: braking simulation system 110: locomotive
112: braking system 114: control unit
116: monitoring means 120, 120a, 120b: wagon
122: articulated bogie 130: running rail
140, 140a, 140b, 140c: braking module 142: abnormality detection means
150: first loading part 152: first support plate
154: hinge connection part 154a: connection member
154b: hinge coupling part 156, 166: fixing means
160: second loading part 162: second support plate
170: inspection high 172: parking space
180: moving rail 190: tractor

Claims (7)

제동시스템이 구비된 기관차와,
상기 기관차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고, 관절대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대 이상의 화차와,
상기 기관차와 화차가 주행하는 주행레일 및
철도차량 한 량에 구비되는 제동장치들을 적층이 가능한 형태로 모듈화한 제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동모듈은 상기 기관차의 제동시스템과 직렬로 연결되어 화차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a locomotive equipped with a braking system;
two or more wagons connected to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ocomotiv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rticulated bogie;
a running rail on which the locomotive and the freight train travel; and
It is composed of a braking module in which the braking devices provided in one railroad vehicle are modularized in a form that can be stacked,
The braking module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raking system of the locomotive and is loaded in multiple stages on the upper part of the wag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모듈이 적재되는 화차의 상부는 각 화차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적재부와, 관절대차에 의해 지지되는 화차와 화차 사이의 연결부 상에 위치되는 제2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ortion of the wagon on which the braking module is loaded comprises a first loading part positioned above each wagon, and a second loading part positioned on a connection between the wagon and the wagon supported by the articulated bogie.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rticulated bogi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적재부는 화차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에 다수 개의 제동모듈이 적재되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를 화차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part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on which a plurality of braking modules are loaded, and a hinge connection part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to the upper part of the freight c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차에는 제동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이동 및 제동모듈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 제동모듈의 제동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모듈에는 테스트 도중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수단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상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omotive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compressed air used for braking and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odule as a whole, and monitoring means for monitoring the braking performance of each braking module,
The braking module of a railway vehicle using an articulated bogi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module is provided with an abnormality detection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to the monitoring means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during the tes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부와 제2적재부의 상부 또는 서로 다른 화차에 구비된 제1적재부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제동시스템을 사용하는 철도차량의 제동장치를 모듈화한 제동모듈들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rticulated bogie,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oading part and the second loading part or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oading part provided in different wagons, braking modules obtained by modularizing a braking system of a railway vehicle using different braking systems are loaded. Railroad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모듈의 그라운드 테스트를 위한 검수고와, 상기 주행레일과 검수고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이동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railway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spection station for the ground test of the braking module, and a moving rail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running rail and the inspection st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고에는 관절대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대 이상의 화차가 주차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공간이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동모듈들을 화차의 상부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제동모듈의 그라운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A parking space is formed in the inspection station so that two or more wagon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rticulated bogie can be parked. Railroad vehicle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an articulated bogi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KR1020200098060A 2020-05-08 2020-08-05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KR102387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60A KR102387013B1 (en) 2020-08-05 2020-08-05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PCT/KR2020/018299 WO2021225246A1 (en) 2020-05-08 2020-12-15 Brake simulation system for transcontinental railroad cars
EP20888732.3A EP3933372A4 (en) 2020-05-08 2020-12-15 Brake simulation system for transcontinental railroad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60A KR102387013B1 (en) 2020-08-05 2020-08-05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26A true KR20220018126A (en) 2022-02-15
KR102387013B1 KR102387013B1 (en) 2022-04-19

Family

ID=8032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060A KR102387013B1 (en) 2020-05-08 2020-08-05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0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7942A (en) * 2023-04-23 2023-05-23 眉山中车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Train braking simulation test marshalling system and marsha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16Y1 (en) 2003-09-19 2003-12-18 한국철도부품 주식회사 Freight car organization break tester
KR100493562B1 (en) * 2002-02-04 2005-06-08 윤대원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easuring braking-condition in railroad carriages
KR101486910B1 (en) * 2013-10-29 2015-02-04 디알에스테크 주식회사 electric locomotive access alarm system in railway vehicle b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62B1 (en) * 2002-02-04 2005-06-08 윤대원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easuring braking-condition in railroad carriages
KR200336616Y1 (en) 2003-09-19 2003-12-18 한국철도부품 주식회사 Freight car organization break tester
KR101486910B1 (en) * 2013-10-29 2015-02-04 디알에스테크 주식회사 electric locomotive access alarm system in railway vehicle b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7942A (en) * 2023-04-23 2023-05-23 眉山中车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Train braking simulation test marshalling system and marsha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013B1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508B2 (en) Freight car with lifting location and method
US6718886B2 (en) Ramp car
CN200989815Y (en) Rolling stock loading measuring device
KR102387013B1 (en)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els using articulated bogies
CN104228880B (en) Freight train is derailed real-time stably stop control method
Šťastniak et al. Investigation of strength conditions of the new wagon prototype type Zans
CN112763242B (en) Reliability evaluation test bed for rail state vehicle-mounted detection system
Zhang et al. An investigation into structural failures of Chinese high-speed trains
KR102430916B1 (en) Brake simula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
Nandan et al. Design, analysis and prototype development of railway wagons on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EP3933372A1 (en) Brake simulation system for transcontinental railroad cars
JP2000002606A (en) Wheel shift control system for gauge converter
KR102194170B1 (en) Braking simulation system using modularized braking simulators for railway vehicles
CN112026823A (en) 150t depressed center flat car and long and large goods car marshalling
US2006025782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railroad personnel in rail vehicle safety and maintenance
Cherkashin et al. An overview of rolling stock and track monitoring systems and guidelines to provide safety of heavy and long train operation in the Russian Railways
KR102263173B1 (en) Freight load detection system applied to 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Ermolenko et al. Force loading of wagon during interaction of truck and bodywork in curves paths
Bosso et al. Validation of a brake monitoring system using a multi-axle roller-rig
CN213301435U (en) Weighing and unbalance loading detection device for railway wagon
CN203658077U (en) Wagon bogie production quality detection system
RU2784784C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 loaded railway car
Aimar et al. Condition Monitoring and Comparison of Braking and Dynamics in Railway Freight Wagon
RU2689566C1 (en) Method for experimental inspection of technical conditions of arrangement and attachment of cargoes in freight open wagons and railway platform
CA3077857C (en) Freight car with lifting location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