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839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839A
KR20220017839A KR1020210101186A KR20210101186A KR20220017839A KR 20220017839 A KR20220017839 A KR 20220017839A KR 1020210101186 A KR1020210101186 A KR 1020210101186A KR 20210101186 A KR20210101186 A KR 20210101186A KR 20220017839 A KR20220017839 A KR 2022001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button
document reading
display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코 시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2Other manual input means, e.g. digitisers or writing tab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9Personalising for a particular user or group of users, e.g. a workgroup or compan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버튼이 눌러지는 타이밍에 문서 판독 동작을 실행하고, 문서 판독 동작의 실행 동안 처리를 위한 설정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실 내에 설치되는 화상 처리 장치(예를 들어, 다기능 주변기기(MFP))가 더 다기능적이고 고기능적이 되었다. 이러한 발전으로, MFP의 메뉴 화면은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메뉴 화면 상의 원하는 버튼을 눌러서 버튼에 대응하는 처리를 위한 설정 화면을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설정을 행하고 처리의 실행을 지시할 수 있다. 각각의 버튼은 설정값과 연관되고, 사용자는 또한 버튼과 연관된 설정값을 메인 화면 상에서 원하는 설정값으로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버튼(이하, 커스텀 버튼)을 새롭게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커스텀 버튼이 눌러질 때, 버튼과 연관된 설정값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확인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 조작의 접수시에 버튼과 연관된 처리가 실행된다. 커스텀 버튼에 따라, 커스텀 버튼과 연관된 처리는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없이 단지 커스텀 버튼을 누루는 것만으로 즉시 실행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9-179380호는, 각각의 버튼에 대해, 처리 실행 방법을, 대응하는 버튼이 눌러질 때 확인 화면이 표시된 후에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 및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없이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환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대응하는 버튼이 눌러진 후에 바로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에 의해 우발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 전송 처리 같은, 적절하게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확인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처리 내용을 확인하도록 촉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처리 내용을 확인하도록 촉구하는 단계가 제공되는 경우, 그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시간량에 의해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이 지연된다. 특히, 문서 판독 동작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을 사용하는 경우, 버튼이 눌러지고 확인 화면이 표시된 후에 사용자가 미리정해진 조작을 행할 때에만 문서 판독 동작이 시작된다. 이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기 전에 긴 시간이 걸리며, 이는 유용성의 저하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처리를 오실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버튼과 연관된 처리를 신속하게 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표시 유닛, 제2 표시 유닛, 제1 실행 유닛 및 제2 실행 유닛을 포함한다. 제1 표시 유닛은 문서 판독 처리를 포함하는 제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표시 오브젝트를 메뉴 화면 상에 표시한다. 제2 표시 유닛은 사용자로부터 제1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된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할 때 제1 처리의 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 제1 실행 유닛은 제2 표시 유닛에 의한 확인 화면의 표시와 병행하여 제1 처리에 포함된 처리 중 문서 판독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한다. 제2 실행 유닛은, 미리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처리 중 문서 판독 처리에 후속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을 첨부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다기능 주변기기(MFP)(1)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의 조작/표시 유닛을 도시한다.
도 4는 포털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전송 처리 설정 화면의 예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커스텀 버튼을 등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커스텀 버튼 등록 처리 동안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e 내지 도 7g는 커스텀 버튼 실행 처리 동안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포털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커스텀 버튼 테이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스캔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 커스텀 버튼 테이블 정보의 예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적인 테이블이다.
도 10은 커스텀 버튼이 눌러질 때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커스텀 버튼이 실행을 위해 눌러질 때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커스텀 버튼이 눌러질 때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청구항에 따른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설명되어 있는 특징부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의 예로서 화상 처리 장치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화상 처리 장치의 예로서 스캐너 기능 및 프린터 기능 같은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주변기기(MFP)(1)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일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가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MFP(1)는, 기본 구성으로서, MFP(1)의 각 유닛, 조작/표시 유닛(112), 스캐너 유닛(123) 및 프린터 유닛(125)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유닛(100)을 포함한다. 조작/표시 유닛(112)은, 예를 들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패드 및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스타트 키 같은 하드웨어 키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조작/표시 유닛은 사용자가 MFP(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조작/표시 유닛(112)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버튼(또는 하드웨어 키)을 터치(조작)함으로써 정보를 MFP(1)에 입력할 수 있다.
스캐너 유닛(123)은 문서를 스캔한다. 프린터 유닛(125)은 기록 시트를 반송하고, 기록 시트에 화상 데이터를 가시 화상으로서 인쇄한다.
컨트롤러 유닛(100)은 버스(122)를 통해 스캐너 유닛(123)에 연결되고, 또한 버스(124)를 통해 프린터 유닛(125)에 연결된다. 컨트롤러 유닛(100)은 근거리 통신망(LAN)(113) 또는 광역 통신망(WAN)(114)을 통해 다른 장치에 연결되고, 데이터 입력/출력 제어 처리를 행한다.
중앙 처리 유닛(CPU)(101)은 MFP(1)에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 및 제어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2)는 CPU(101)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하고, 또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리드 온리 메모리(ROM)(103)가 부트 ROM으로서 기능한다. ROM(103)은 시스템 부트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04)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화상 데이터, 및 후술되는 통신 유닛(111)에 포함되는 모든 무선 통신 정보를 저장한다.
MFP(1)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능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에 의해, MFP(1)에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RAM(102) 또는 HDD(104)에 저장된다.
조작/표시 유닛 인터페이스(I/F)(106)는 UI로서 기능하는 조작/표시 유닛(112)과 컨트롤러 유닛(100) 사이의 인터페이스 유닛이다. 조작/표시 유닛 I/F(106)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데이터를 조작/표시 유닛(112)에 출력한다. 조작/표시 유닛 I/F(106)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조작/표시 유닛(112)으로부터 CPU(101)에 전송하도록 기능한다. 통신 유닛(111)은 LAN(113) 및 WAN(114)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에 대해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한다. 통신 유닛(111)은 또한 근접장 통신(NFC) 같은 무선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전술된 기능 유닛은 시스템 버스(107)에 연결된다.
이미지 버스 I/F(105)는 시스템 버스(107)를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이미지 버스(108)에 연결하고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리지이다. 이미지 버스(108)는, 예를 들어 주변 컴포넌트 상호접속(PCI) 버스 또는 IEEE(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를 준수하는 버스이다.
이미지 버스(108) 상에 배치된 기능 유닛에서,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116)는 페이지 기술 언어(PDL) 코드를 비트맵 이미지로 로딩한다. 디바이스 I/F 유닛(117)은 스캐너 유닛(123) 또는 프린터 유닛(125)을 컨트롤러 유닛(100)에 연결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 유닛(118)은 스캐너 유닛(123)에 의해 스캐닝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 보정, 처리 또는 편집을 행한다. 프린터 화상 처리 유닛(119)은 프린터 유닛(125)에 적합한 인쇄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 보정 및 해상도 변환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화상 회전 유닛(120)은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킨다. 화상 처리 유닛(121)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BIG(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 MMR(Modified Modified Read) 또는 MH(Modified Huffman) 같은 압축/압축해제 처리와, PDF(Portable Document Format), TIFF(Tag Image File Format),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또는 암호화 같은 형식 변환 처리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행한다.
도 2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각각의 기능 유닛은 ROM(103) 또는 HHD(10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 실행된다.
MFP(1)에 설치될 애플리케이션의 예는, MFP(1)의 복사 기능을 이용하는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기능을 이용하는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 및 포털 화면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을 포함한다. 포털 화면은 사용자가 MFP(1)의 조작을 시작할 때 표시되는 메뉴 화면이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디폴트 설정으로 MFP(1)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 후에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1)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MFP(1)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RAM(102) 또는 HDD(104)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다.
MFP(1)에 설치된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 등은 CPU(101)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HDD(104)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 그룹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는 HDD(104)에 설정된 공통 데이터 유닛(2302)에 공통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식별(ID)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MFP(1)에 설치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다. 이 애플리케이션 ID는 공통 데이터 유닛(2302) 내에 공통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ID는 "100"이고,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ID는 "101"이며,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ID는 "102"이다.
화면 제어 유닛(2301)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행해지는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화면 제어 유닛(2301)은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것이 화면을 표시할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은 화면 제어 유닛(2301)으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사 데이터 유닛(2304)으로부터 화면 리소스 또는 설정값을 취득하고 취득된 정보를 조작/표시 유닛(112)에 표시한다. 표시될 데이터가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화면 제어 유닛(2301)은 공통 데이터 유닛(2302)으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데이터를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에 통지한다.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은 스캐너 유닛(123)에 의해 문서를 스캐닝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시트 등에 출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은 복사에 관한 데이터를 HDD(104)에 설정된 복사 데이터 유닛(2304)과 교환할 수 있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스캐너 유닛(123)에 의해 문서를 스캐닝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통신 유닛(111)을 통해 미리정해진 어드레스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어드레스 정보 같은 송신에 관한 데이터를 HDD(104)에 설정된 송신 데이터 유닛(2306)과 교환할 수 있다.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조작/표시 유닛(112) 상에 포털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포털 화면 상에 표시되는 버튼 배열 시퀀스 같은 포털 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HDD(104)에 설정된 포털 데이터 유닛(2308)과 교환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MFP(1)가 3개의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 및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MFP(1)는 또한 이들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인쇄 애플리케이션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설정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을 접수하고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도 3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의 조작/표시 유닛(112)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및 하드웨어 키의 예를 도시한다.
터치 패널(300)은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액정 표시 유닛이다. 터치 패널(300)은 터치 패널 시트가 액정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터치 패널(300)은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오브텍트가 눌러질 때, 터치 패널(300)은 표시된 오브젝트가 눌러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CPU(101)에 전송한다. 이제 하드웨어 키가 설명될 것이다. 스타트 키(301)는 처리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예를 들어, 스캐닝 또는 복사 같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표시될 때, 스타트 키(301)가 눌러지는 경우, 처리가 시작된다. 2개의 컬러, 예컨대 녹색 및 적색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LED)(302)가 스타트 키(30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된다. 이들 컬러는, 스타트 키(301)가 눌러질 때 MFP(1)가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스톱 키(303)는 실행되는 동작의 중단을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숫자 키패드(304)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포함한다. 숫자 키패드(304)는 예를 들어 복사 매수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모드 키(305)는 MFP(1)에 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표시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키이다.
터치 패널(300)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화면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애플리케이션의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송신 설정 화면(500)은 사용자에 의해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선택될 때 표시되는 설정 화면이다. 송신 설정 화면(500)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영역(501), 및 예를 들어 컬러, 해상도, 파일 형식 및 시트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튼(502 내지 505)을 포함한다.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질 때, 화면은 각각의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진전된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디폴트 설정값과 연관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기본 송신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의 예는 컬러 선택 버튼(502), 해상도 선택 버튼(503), 문서 사이즈 선택 버튼(504) 및 파일 형식 선택 버튼(505)을 포함한다. 기타 기능 버튼(506)이 눌러질 때 표시되는 화면에서 전술한 기능 이외의 기능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변경될 수 있다. 설정 이력 버튼(507)은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사용된 송신 설정의 이력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자주 사용되는 설정 버튼(508)은 자주 사용되는 설정을 등록, 편집 또는 호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홈 버튼(509)은 후술되는 포털 화면(400)으로 복귀하기 위한 버튼이다. 기어 버튼(510)은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5a에 도시되는 디폴트 설정은, 컬러 선택 버튼(502)에 대해 "자동"이 설정되고, 해상도 선택 버튼(503)에 대해 "300 × 300 dpi"가 설정되고, 문서 크기 선택 버튼(504)에 대해 "자동 사이즈"가 설정되며, 파일 형식 선택 버튼(505)에 대해 "PDF"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어드레스 지정 버튼(511)이 눌러지면,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전송되는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어드레스 선택 방법, 즉 화면에서 MFP(1)에 등록된 어드레스 중에서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것 또는 화면에 어드레스를 직접 입력하는 것을 선택한 후에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스캐너 유닛(123)에 문서를 놓고 어드레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스타트 키(301)를 누르면, CPU(101)는 설정된 내용으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스캐너 유닛(123)은 사용자가 스타트 키(301)를 누르면 문서의 스캐닝을 실행하고, 스캐닝이 완료된 후에, 스캐너 화상 처리 유닛(118)은 설정 화면 상의 설정에 기초하여 전송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신 유닛(111)은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어드레스에 전송한다.
도 4는 터치 패널(300)에 표시되는 포털 화면(400)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포털 화면(400)에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표시 오브젝트, 즉 애플리케이션 처리 및 설정값과 연관되는 버튼 또는 키 같은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된다. 이 경우, 포털 화면(400)은, 예를 들어 디폴트 설정값(예를 들어, 공장-구성 초기값)과 연관되는 버튼(이하, 애플리케이션 버튼이라 칭함)(401 내지 403), 및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버튼과 연관된 디폴트 설정값을 변경함으로써 포털 화면(400) 상에 등록되는 버튼(이하, 커스텀 버튼이라 칭함)(404 내지 406)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버튼(402)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디폴트 설정값이 반영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을 위한 설정 화면이 송신 설정 화면(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커스텀 버튼(405 및 406)은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어드레스에 전송하는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을 위한 커스텀 버튼이다. 커스텀 버튼(406)이 눌러질 때,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을 확인하도록 촉구하기 위해 설정 확인 화면(709)이 표시된다. OK 버튼(716)이 눌러질 때, 커스텀 버튼(406)과 연관된 처리가 시작된다. 커스텀 버튼(405)은 설정 확인 화면(709)을 표시하는 단계 없이 커스텀 버튼(405)과 연관된 처리를 즉시 시작하기 위한 커스텀 버튼이다. 버튼이 눌러질 때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없이 버튼과 연관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즉시 실행이라 지칭한다. 커스텀 버튼(405 및 406)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407), 버튼 명칭(408) 및 커스텀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409)을 표시한다. 즉시 실행 버튼을 나타내는 즉시 실행 아이콘(410)이 또한 커스텀 버튼(405) 상에 표시된다. 즉시 실행 아이콘(410)은 즉시 실행 버튼에 대응하지 않는 커스텀 버튼(406) 상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슬라이더 바(411)는, 포털 화면(400)이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슬라이더 바(411)를 슬라이드시키거나, 화살표를 누르거나, 또는 포털 화면(400)을 플릭(flick)할 때, CPU(101)는 입력을 접수하고 이전 화면으로부터 전환된 화면 상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버튼 또는 커스텀 버튼을 HDD(104)로부터 호출하고, 애플리케이션 버튼 또는 커스텀 버튼을 표시한다.
커스텀 버튼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커스텀 버튼(404 내지 406)에 대한 정보는 포털 데이터 유닛(2308) 및 공통 데이터 유닛(2302)에 도 8에 도시되는 테이블 정보로서 저장된다. 정보의 예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자, 버튼 명칭, 및 아이콘 정보를 포함한다. 커스텀 버튼(404 내지 406)에 대한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버튼 정보 테이블(800)에 저장된다. 버튼 정보 테이블(800)은 커스텀 버튼이 포털 화면(400) 상에 표시되거나 각각의 커스텀 버튼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될 때 사용된다. 버튼 정보 테이블(800)에서, 커스텀 버튼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커스텀 버튼 번호(No.)가 애플리케이션 ID, 액션 ID, 아이콘 정보 및 버튼 명칭과 연관된다. 커스텀 버튼(404 내지 406)은 각각 커스텀 버튼 번호 1 내지 3에 대응한다.
애플리케이션 ID는 버튼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복사 애플리케이션(2303)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ID는 "100"이고,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ID는 "101"이다. 액션 ID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버튼과 연관된 설정값을 호출하는 식별자이다. 커스텀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질 때, 액션 ID는 눌러진 버튼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송신된다. 액션 ID가 송신된 애플리케이션은 액션 ID와 연관되어 저장된 설정값을 호출하고, 설정값을 사용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는 경우에, 이는 버튼이 즉시 실행 버튼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액션 ID가 "01"로 종료되는 경우에, 이는 버튼이 즉시 실행 버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이콘 정보는 아이콘(407)에 대응하는 비트맵 형식의 화상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로의 경로 같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눌러진 버튼이 즉시 실행 버튼에 대응하는 경우, 즉시 실행 아이콘(410)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명칭이 표시된다. 버튼 명칭은 버튼 명칭(408)에 표시된 내용을 나타낸다.
도 6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커스텀 버튼을 등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의 각각의 처리는 ROM(103) 또는 HHD(10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 실행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와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는 도 6의 좌측 부분에 도시되고,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는 도 6의 우측 부분에 도시된다. 여기서는,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로서 "A Corporation" 및 "B Corporation"이 설정되고, 컬러로서 "그레이스케일"이 설정되며, 파일 형식으로서 "JPEG"가 설정되도록 도 5a에 도시된 디폴트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커스텀 버튼 번호 3("고객에게 전송" 버튼(406))을 포털 화면(400)에 등록하는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송신 설정 화면(500) 상의 설정을 변경한 후에 기어 버튼(510)을 누르면, 도 7a에 도시되는 메뉴 리스트(701)가 표시된다. 단계 S601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포털 등록" 버튼(702)의 누름을 접수할 때, 커스텀 버튼 등록 모드로 진입한다. 이 경우에,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송신 설정 화면(500) 상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정보는 모든 설정에 대한 설정 정보일 수 있거나 디폴트 설정과는 상이한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 설정 화면(500) 상에 확인 화면(703)을 표시한다. 확인 화면(703)은 사용자에 의해 디폴트 설정으로부터 변경된 내용(예를 들어, 컬러 및 파일 형식 설정), 취소 버튼(704) 및 OK 버튼(705)을 표시한다.
단계 S603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취소 버튼(704) 및 OK 버튼(705) 중 어느 것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OK 버튼(705)이 눌러졌다고 판정하면(단계 S6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4로 진행된다. 단계 S604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버튼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취소 버튼(704)이 눌러졌다고 판정하면(단계 S603에서 아니오),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604에서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ID 및 아이콘 정보를 HDD(104)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정보를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HDD(104)에 설정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의 저장 영역(공통 데이터 유닛(2302) 및 송신 데이터 유닛(2306)을 포함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ID 및 아이콘 정보(애플리케이션 ID:(101), 아이콘 정보: send.bmp)를 취득한다. 그리고,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이들 정보를 화면 제어 유닛(2301)에 송신한다. 화면 제어 유닛(2301)은 이들 정보를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통지한다. 정보를 수신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의 저장 영역(공통 데이터 유닛(2302) 및 포털 데이터 유닛(2308)을 포함함)에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605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의해 커스텀 버튼 등록 처리가 실행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607 내지 S609는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의해 수행되는 커스텀 버튼 등록 처리를 나타낸다. 단계 S607에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단계 S604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으로부터 전송된 등록 요청의 접수 시에 등록되는 커스텀 버튼에 관한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설정 화면의 예로서, 도 7c는 버튼 표시 설정 화면(706)을 도시하고, 도 7d는 버튼 명칭 및 실행 설정 화면(707)을 도시한다. 버튼 표시 설정 화면(706)은 포털 화면(400)에 등록되는 버튼의 표시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다. 표시 위치를 선택한(이 경우에는 "6"이 선택됨) 후에 다음 버튼이 눌러질 때, 화면은 버튼 명칭 및 실행 설정 화면(707)으로 전환된다. 버튼 명칭 및 실행 설정 화면(707) 상에는, 버튼 표시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박스 및 커스텀 버튼을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ON/OFF 버튼(708)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설정(이 경우, "고객에게 전송"이 명칭으로서 설정되고 "OFF"가 즉시 실행 설정으로서 설정됨)을 하고 OK 버튼을 누르면, 처리는 단계 S608로 진행된다.
단계 S608에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설정 화면(706 및 707)에 입력 및 설정된 내용에 기초하여 커스텀 버튼 작성 처리를 실행한다. 커스텀 버튼을 작성하기 위해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이번에 등록되는 커스텀 버튼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액션 ID를 생성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액션 ID는 커스텀 버튼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될 때마다 "1"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다. 즉시 실행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액션 ID의 말미에 "01"이 추가된다. 즉시 실행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액션 ID의 말미에 "00"이 추가된다(이 경우,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대해 제2 커스텀 버튼이 등록되고, 즉시 실행 설정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액션 ID 2의 말미에 "00"이 추가된다).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이어서 버튼 명칭, 작성된 액션 ID,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으로부터 송신된 애플리케이션 ID, 및 아이콘 정보에 기초하여 커스텀 버튼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 커스텀 버튼 번호 3에 대응하는 "고객에게 송신" 버튼에 관한 정보는 도 8에 도시되는 버튼 정보 테이블(800)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HDD(104)에 설정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의 저장 영역에 등록된다.
단계 S609에서, 커스텀 버튼의 작성이 완료되면,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생성된 액션 ID 및 완료 통지를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송신하고, 따라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의해 수행되는 버튼 등록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606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단계 S609에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으로부터 전송된 액션 ID를 단계 S601에서 저장된 설정 정보와 연관시키고, 액션 ID 및 설정 정보를 HDD(104)에 설정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그 후 처리는 종료된다. 도 9는 HDD(104)의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 액션 ID와 연관된 설정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액션 ID와 연관지어져 저장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설정 정보 테이블(90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이콘 정보 및 설정 정보는 각각의 액션 ID와 연관지어 진다("A Corporation, B Corporation", "그레이스케일" 및 "JPEG"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는 액션 ID: 2 "00"와 연관지어져 저장된다).
포털 화면(400)에 표시된 커스텀 버튼이 눌러질 때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예시된 커스텀 버튼 3에 대응하고 즉시 실행 버튼에 대응하지 않는 커스텀 버튼(406)이 도 4에 도시된 포털 화면에서 눌러지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커스텀 버튼이 눌러질 때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의 각각의 처리는 ROM(103) 또는 HHD(10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 실행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는 도 10의 우측 부분에 도시되고,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의해 실행될 처리는 도 10의 좌측 부분에 도시된다.
단계 S1001에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이 포털 화면 상의 커스텀 버튼(406)의 누름을 검출할 때,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HDD(104)에 저장된 버튼 정보 테이블(800)을 참조하고 눌러진 커스텀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S1002에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HDD(104)로부터 커스텀 버튼(406)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및 액션 ID를 검출하고, 액션 ID를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한다. 이러한 경우,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애플리케이션 ID "101"을 갖는 송신 애플리케이션에 액션 ID 2 "00"을 통지한다. 단계 S1003에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에 의해 액션 ID 처리가 실행될 때까지 대기한다.
액션 ID를 수신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단계 S1007에서 HDD(104)에 저장된 설정 정보 테이블(900)을 참조하고, 수신된 액션 ID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S1008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접수된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는 경우(단계 S1008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9로 진행된다.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단계 S10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20으로 진행된다. 커스텀 버튼(406)에 대응하는 액션 ID는 "00"으로 종료되기 때문에, 처리는 단계 S1009로 진행된다.
단계 S1009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문서 판독 동작을 시작한다. 단계 S1010에서, 설정 확인 화면이 터치 패널(300) 상에 팝업 화면으로서 표시된다. 즉, 문서 판독 동작 동안 설정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문서 판독 동작이 시작된 후에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그러나, 확인 화면이 표시되는 기간 동안 문서 판독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는 한, 동작 순서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서 판독 동작은 확인 화면이 표시된 후에 실행될 수 있다. 설정 확인 화면의 예에 대해서 도 7e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7e에 도시되는 설정 확인 화면(709)은 단계 S1007에서 검색된 설정 정보(커스텀 버튼(406)과 연관된 설정값)가 표시되고 변경 버튼(710 내지 712)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질 때 변경될 수 있는 화면이다. 문서 판독 동작이 이미 시작되었기 때문에, 판독을 위한 설정(예를 들어, 해상도 및 문서 사이즈)은 변경될 수 없다. 한편, 화상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설정 같은 문서 판독 처리 이외의 처리를 위한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도 7f는 변경 버튼(711)이 눌러질 때 표시되는 컬러 설정 화면(717)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컬러 설정 화면(717)에서 컬러 설정을 변경하고 OK 버튼을 누르면, 설정 변경이 반영된 설정 확인 화면(709)이 표시된다. 이 경우, 변경된 설정은 설정 정보 테이블(900)의 액션 ID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로서 일시적으로 연관되며, 따라서 이번에만 변경된 설정으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설정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통지가 발행될 수 있거나, 충돌이 발생하는 설정이 그레이아웃될 수 있어, 사용자가 설정을 선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설정 확인 화면(709)에는, 후속 처리에서 설정 확인 화면(709)을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체크박스(715)가 표시된다. 체크박스(715)가 체크될 때, 액션 ID는 "01"으로 종료되는 액션 ID로 변경되고, 따라서 확인 화면은 후속 처리에서 표시되지 않는다. 즉, 커스텀 버튼(406)은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된다. 도 10에 도시되는 흐름도의 설명이 계속될 것이다.
단계 S1011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설정 확인 화면(709)의 변경 버튼(710 내지 712) 중 어느 하나를 누름으로써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이 발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이 발행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101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12로 진행된다. 단계 S1012에서, 설정 정보가 변경되고, 그 후 처리는 단계 S1013으로 진행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이 발행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013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설정 확인 화면(709)에서 OK 버튼(716) 및 취소 버튼(714) 중 어느 것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OK 버튼(716)이 눌러졌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3에서 "OK"), 처리는 단계 S1015로 진행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취소 버튼(714)이 눌러졌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3에서 "취소"), 처리는 단계 S1017로 진행된다.
단계 S1014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단계 S1009에서 시작된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15로 진행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4에서 아니오), 단계 S1014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015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설정된 내용으로 커스텀 버튼과 연관된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는, 문서를 스캐닝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어드레스에 송신하는 처리인 문서 판독 처리 후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단계 S1016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단계 S1015의 송신 처리 동안 조작/표시 유닛(112)의 스톱 키(303)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스톱 키(303)가 눌러졌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17로 진행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스톱 키가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6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18로 진행된다.
단계 S1017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스캐닝된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액션 ID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복수의 문서가 자동 문서 공급기(ADF) 상에 설정되고 복수의 문서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처리가 취소되는 경우, 문서 판독 동작은 이러한 지점에서 중단되고, 스캐닝된 문서의 화상 데이터는 삭제된다. 화상 데이터가 삭제된 후에, 디스플레이는 포털 화면(400) 또는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을 위한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계 S1018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설정 확인 화면(709)에서 체크박스(715)가 체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체크박스(715)가 체크되었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8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19로 진행된다. 단계 S1019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액션 ID의 변경을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통지하고,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액션 ID 처리를 종료한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이 체크박스(715)가 체크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 S1018에서 아니오),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액션 ID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08에서,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 즉 눌러진 커스텀 버튼이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되는 경우(단계 S10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20으로 진행된다. 단계 S1020에서, 문서 판독 처리가 시작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즉시 실행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없이 버튼과 연관된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미리정해진 어드레스로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이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처리가 우발적으로 실행될 수 있고 데이터가 부정확한 어드레스로 송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설명을 계속한다. 단계 S1004에서,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은 액션 ID 변경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포털 애플리케이션(2307)이 액션 ID 변경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 S10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5로 진행된다. 단계 S1005에서, 단계 S1001에서 검색된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ID가 변경된다. 즉, 체크박스(715)가 체크되면 단계 S1005에서 액션 ID의 말미가 "00"에서 "01"로 변경되고, 단계 S1006에서, 즉시 실행을 나타내는 아이콘 정보가 HDD(104)로부터 취득되어 저장된다. 이어서, 버튼 실행 처리가 종료된다. 액션 ID를 "01"로 종료되는 액션 ID로 변경함으로써 생성된 버튼이 후속 처리에서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흐름도는 문서를 스캐닝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어드레스로 송신하기 위한 커스텀 버튼이 눌러지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버튼이 문서 판독 동작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한, 임의의 버튼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은, 문서를 스캔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시스템에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 또는 문서를 스캔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MFP(1)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이 경우, 버튼이 눌러질 때, 문서 판독 동작이 시작되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시스템 상의 송신 목적지 및 확인 화면 상의 화상 저장 목적지를 확인하도록 촉구되어, 사용자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복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을 설정하는 경우에, 문서 판독 동작은 버튼의 누름과 동시에 시작되고, 사용자는 설정 확인 화면에서 출력에 대한 설정을 확인하도록 촉구되어, 사용자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된 흐름도의 처리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판독 동작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문서 판독 동작은 버튼이 눌러지는 타이밍에서 실행되고, 문서 판독 동작 동안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버튼이 눌러질 때 확인 화면 또는 설정 화면이 표시되고, 미리정해진 조작이 사용자로부터 접수될 때 문서 판독 동작이 시작되어 처리를 실행한다. 이 흐름도의 처리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판독 동작 동안 확인 화면이 표시되어, 버튼과 연관된 처리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처리보다 더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문서 판독 동작 동안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처리의 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촉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우발적으로 눌러지더라도 처리가 취소될 수 있고, 설정은 또한 확인 화면 상에서 변경될 수 있다. 문서를 스캐닝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어드레스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처리를 신속하게 실행하면서, 조작 오류에 의해 야기되는 오송신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상술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단계 S1008에서 눌러진 버튼이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문서 판독 동작이 단계 S1009에서 시작되는 예를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단계 S1008에서 눌러진 버튼이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문서 판독 동작 전에 설정 확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1에 도시되는 설정 확인 화면(110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상도의 설정과 같은 문서 판독을 위한 설정 또한 변경 버튼(1103)을 누름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이 시점에서 문서 판독 처리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설정 확인 화면(1100)에 표시되지 않는 다른 설정도 기타 설정 버튼(1106)을 누름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상술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OK 버튼(716)이 설정 확인 화면(709)에서 눌러지는 조건이 단계 S1013에서 충족되는 경우에 처리가 단계 S1015로 진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 OK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지 않는 한, 처리는 후속 단계로 진행되지 않는다.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단계 S1013에서 설정 확인 화면(709)에서 OK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도 처리가 단계 S1015로 진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 사이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정 확인 화면(709)은 단계 S1009에서 시작된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표시된다. 단계 S1013에서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되기 전에 설정 확인 화면(709)에서 취소 버튼(714)이 눌러지면(단계 S1013에서 "취소"), 처리는 단계 S1017로 진행되어 처리를 취소한다.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되기 전에 취소 버튼(714)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단계 S1013에서 "OK"), 단계 S1014에서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된 후에 처리는 단계 S1015로 진행된다.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부정확한 버튼이 눌러지면 처리는 취소될 수 있다. 정확한 버튼이 눌러지면, 처리는 설정 확인 화면(709) 상에서 OK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후속 단계로 진행되며, 이는 조작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문서 판독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설정 확인 화면(709)을 표시하는 것은 단지 예이다. 대안적으로, 설정 확인 화면(709)은 미리정해진 기간 동안 표시될 수 있고, 처리는 취소 버튼이 눌리지 않는 한 후속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커스텀 버튼을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하기 위해서, 버튼 명칭 및 실행 설정 화면(707)에서 즉시 실행 설정을 켜거나 설정 내용 확인 화면(709)에서 체크박스(715)를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되지 않은 커스텀 버튼이 미리정해진 횟수로 사용될 때 커스텀 버튼을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 사이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도 10에 도시되는 흐름도의 처리 대신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되는 흐름도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되는 흐름도는 단계 S1201 내지 S1207에 관하여 도 10에 도시되는 흐름도와 상이하다.
단계 S1201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눌러진 커스텀 버튼에 대응하는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는 경우(단계 S12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202로 진행된다. 액션 ID가 "00"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단계 S1201에서 아니오),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1202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눌러진 커스텀 버튼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의 카운트를 "1"만큼 증분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버튼의 사용 횟수가 카운트되고 저장된다. 이 경우에, 눌러진 커스텀 버튼에 대한 액션 ID에 대응하는 실행 횟수는 "1"만큼 증분되고 저장된다.
단계 S1203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도 9b에 도시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눌러진 커스텀 버튼의 실행 횟수가 미리정해진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미리정해진 값은 "10"인 것으로 가정한다. 실행 횟수가 "10"인 경우(단계 S12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204로 진행된다. 단계 S1204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도 7g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눌러진 커스텀 버튼을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하도록 사용자를 촉구하기 위한 화면(718)을 표시한다. 실행 횟수가 "1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단계 S1203에서 아니오),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1205에서, 송신 애플리케이션(2305)은 단계 S1204에서 표시된 화면 상에서 OK 버튼(719)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OK 버튼(719)이 눌러진 경우(단계 S12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206으로 진행된다. OK 버튼(719)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단계 S1205에서 아니오)(또는 취소 버튼이 눌러진 경우), 처리는 단계 S1207로 진행된다.
단계 S1207에서, 눌러진 커스텀 버튼에 대응하는 카운트는 "0"으로 리셋된다.
상술된 흐름도의 처리에 의해, 단계 S1204에서 표시된 화면에서 OK 버튼(719)이 눌러지면, 커스텀 버튼은 후속 처리에서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스텀 버튼을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의도적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커스텀 버튼을 미리정해진 횟수 사용하는 경우 커스텀 버튼을 즉시 실행 버튼으로서 설정하도록 사용자를 촉구할 수 있다.
상술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문서 판독 동작을 포함하는 처리에 대응하는 커스텀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버튼이 눌러지는 타이밍에 문서 판독 동작이 시작되는 예를 도시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커스텀 버튼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버튼도 커스텀 버튼이 눌러지는 타이밍에 문서 판독 동작을 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애플리케이션 버튼(402)이 눌러질 때, 송신 애플리케이션 버튼(402)이 눌러지는 타이밍에 문서 판독 동작이 시작될 수 있으며, 판독 동작의 실행시에 설정 화면(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설정 변경을 접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상도의 설정 같은 문서 판독을 위한 설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대안적으로, 문서 판독 동작은, 애플리케이션 버튼(402)이 눌러지는 타이밍에 문서 판독 동작을 시작하는 대신에, 설정 화면(500) 상에서 문서 판독을 위한 설정이 수신되는 타이밍에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문서 판독 동작 동안 화상 데이터 송신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문서 판독 처리를 포함하는 제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메뉴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유닛;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할 때 상기 제1 처리의 내용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유닛;
    상기 제2 표시 유닛에 의한 상기 확인 화면의 표시와 병행하여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처리 중 상기 문서 판독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실행 유닛; 및
    미리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상기 처리 중 상기 문서 판독 처리에 후속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는 하나 이상의 설정값과 연관되며,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설정값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와 연관되는 상기 설정값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확인 화면 상에 표시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의 내용은 상기 제1 처리를 위한 설정이며, 상기 설정은 상기 확인 화면 상에서 변경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가능한 설정은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상기 문서 판독 처리 이외의 처리를 위한 설정인,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정해진 조건은 적어도 상기 확인 화면 상에서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미리정해진 조작의 접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정해진 조건은 적어도 상기 문서 판독 처리의 완료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의 취소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확인 화면 상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되는 경우, 상기 제1 처리가 취소되고 상기 문서 판독 처리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삭제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화면 상에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가 조작될 때 상기 확인 화면을 표시할지 여부에 대한 설정이 후속 처리에서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되는 타이밍에 상기 문서 판독 처리를 시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판독 처리를 포함하는 처리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문서를 스캐닝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처리인, 정보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판독 처리를 포함하는 처리는 복사 처리인, 정보 처리 장치.
  13.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위한 방법이며,
    문서 판독 처리를 포함하는 제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메뉴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할 때 상기 제1 처리의 내용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인 화면의 표시와 병행하여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처리 중 상기 문서 판독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는 단계; 및
    미리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상기 처리 중 상기 문서 판독 처리에 후속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컴퓨터가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방법은,
    문서 판독 처리를 포함하는 제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메뉴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을 접수할 때 상기 제1 처리의 내용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인 화면의 표시와 병행하여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처리 중 상기 문서 판독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는 단계; 및
    미리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되는 상기 처리 중 상기 문서 판독 처리에 후속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101186A 2020-08-05 2021-08-0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20017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33366 2020-08-05
JP2020133366A JP2022029839A (ja) 2020-08-05 2020-08-05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839A true KR20220017839A (ko) 2022-02-14

Family

ID=7727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186A KR20220017839A (ko) 2020-08-05 2021-08-0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350002B2 (ko)
EP (1) EP3951572A1 (ko)
JP (1) JP2022029839A (ko)
KR (1) KR20220017839A (ko)
CN (1) CN114070940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916A (ja) 1999-09-17 2001-04-06 Sony Corp 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5242994A (ja) 2004-01-27 2005-09-08 Ricoh Co Ltd サービス提供装置、情報処理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情報処理方法、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66137B2 (ja) * 2007-09-07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37287B2 (ja) * 2010-06-29 2014-07-0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505657B2 (ja) * 2011-08-25 2014-05-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ジョブ設定登録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6502637B2 (ja) * 2014-09-05 2019-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947105B2 (ja) 2018-03-30 2021-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CN110968374A (zh) 2018-09-29 2020-04-07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档信息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1572A1 (en) 2022-02-09
CN114070940A (zh) 2022-02-18
US20220256044A1 (en) 2022-08-11
JP2022029839A (ja) 2022-02-18
US20220046135A1 (en) 2022-02-10
US11611669B2 (en) 2023-03-21
US11350002B2 (en)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93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7500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printing based on selection of an object associated with user name and network domain name obtained from print data
US83396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messages in plural languages
US1172261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ing a history button to re-perform selected processing based on setting values for a selected document that was performed, control method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JP2019135814A (ja) 画像形成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747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1000667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1146359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o read card and provide at least a funcion using scanner or printer for improving user operability
US108874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s thereof
US115823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executes a process on image data correspondng to a selected profile
EP39515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6064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function in ac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changeable user's request,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US20180084122A1 (en)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37507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12015353A (zh) 图像形成装置、控制图像形成装置的方法以及存储介质
US9942439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17851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desired function can be selectively execute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8137823A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7957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at conduct a search for first and second attribute information of which are included in a plurality of destin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an address book
US10750034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reading apparatus
JP2023121085A (ja)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のための制御方法
AU20152649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347693B2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90068805A1 (en) Image communic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1068039A (ja) 画像処理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