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822A - Decorating Material - Google Patents

Decorat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822A
KR20220017822A KR1020210083157A KR20210083157A KR20220017822A KR 20220017822 A KR20220017822 A KR 20220017822A KR 1020210083157 A KR1020210083157 A KR 1020210083157A KR 20210083157 A KR20210083157 A KR 20210083157A KR 20220017822 A KR20220017822 A KR 20220017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rend
weight
parts
forc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5628B1 (en
Inventor
서지연
김원태
김헌조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US18/019,59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11562A1/en
Priority to PCT/KR2021/010328 priority patent/WO2022031071A1/en
Priority to EP21853309.9A priority patent/EP4194222A1/en
Publication of KR2022001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decorative material in which a print layer of various designs and colors that meets demands and needs is formed on a base layer so as to have clear and high adhesion.

Description

장식재{Decorating Material}Decorative Material

본 출원은, 장식재, 전사 필름 및 장식재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ecoration material, a transfer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coration material.

벽지, 벽 패널 및 바닥재 등의 장식재는, 기재층(basic material layer)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Decorative materials such as wallpaper, wall panels and flooring can be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a printed layer is formed on a basic material layer.

인쇄층을 형성할 때에는, 원하는 디자인과 색상을 자연스럽고, 정확하며, 선명하게 기재층상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When forming the print layer, it is necessary to naturally, accurately, and clearly form the desired design and color on the substrate layer.

또한, 인쇄층을 기재층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형성하는 것도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form the printed layer by firmly adhering to the base layer.

그렇지만, 기재층이 자연석이나 수지 패널인 경우에 위와 같은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However, when the base layer is a natural stone or a resin panel, it is not easy to form the printed layer as described above.

인쇄층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소위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방식이다. 그렇지만, 그라비어 방식으로는, 특정하게 정해진 한 가지 패턴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것에는 유리하지만, 제품별로 다양한 디자인을 다르게 인쇄할 수는 없어서, 급속하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디자인의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는 유연성은 떨어진다. A representative method of forming the printed layer is a so-called gravure printing method. However, the gravure method is advantageous for repeatedly forming one specific pattern, but it is not possible to print various designs differently for each product. The flexibility that can be formed is reduced.

또한,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 의해 형성된 인쇄층은, 일반적으로 단조롭고, 심미감이 제한된다.In addition, the printed layer formed by the gravure printing method is generally monotonous and has limited aesthetics.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소위 디지털 인쇄(digital printing) 방식이 알려져 있다. As a method of forming a printed layer, a so-called digital printing method is known.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기재층상에 직접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장식층을 형성한 장식재를 개시한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decorative material in which a decorative layer is formed directly on a base layer by a digital printing method.

디지털 인쇄 방식을 적용하면, 변화하는 수요에 맞추어 장식층의 디자인이나 색상을 변경하는 것에 유리하다. When digital printing is applied, it is advantageous to change the design or color of the decorative layer in response to changing demands.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에 직접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식 외에 소위 전사 필름을 사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method of using a so-called transfer film in addition to a method of directly forming a printed layer on a substrate layer may be considered.

전사 필름을 사용하면, 필요 및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인쇄층을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transfer film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inting layers of various designs can be easily formed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according to needs and requirements.

그렇지만, 전사 방식에서는 일단 전사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층을 기재층에 전사하기 때문에 인쇄층을 우수한 접착력으로 기재층에 형성하기가 어렵다.However, in the transfer method, since the printed layer formed on the transfer film is transferred to the base layer, it is difficult to form the printed layer on the base layer with excellent adhesion.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전사 필름의 인쇄층을 전사할 때에 접착층 등을 사용하는 방식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장식재의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und)을 증가시킨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using an adhesive layer or the like when transferring the printed layer of the transfer film can be considered, but in this case,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nent (TVOC) of the decorative material is increased.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975192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5192

본 출원은 장식재, 전사 필름 및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는 요구 및 필요에 부응한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선명한 인쇄층을 높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기재층에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decorative material, a transfer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corative material. On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ecorative material in which a bright printed layer of various designs and colors in response to demands and needs is formed on a base layer to have high adhesion.

본 출원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인쇄층을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ecorative material in which the printing layer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using a transfer method that does not use an adhesive.

본 출원은 또한 상기와 같은 장식재의 제조에 적합한 전사 필름 및 그 필름을 사용한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transfer film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film.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 및/또는 압력이 그 물성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 및/또는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을 의미한다.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or pressure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corresponding physical properties refer to propertie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or pressure.

본 출원에서 용어 상온은 가온 및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며, 예를 들면, 약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25℃ 또는 23℃ 정도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room temperature is a natural temperature that is not heated or reduced, and for example, may mean any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about 10°C to 30°C, a temperature of about 25°C or 23°C.

본 출원에서 용어 상압은, 특별히 줄이거나 높이지 않은 때의 압력으로서, 보통 대기압과 같은 1 기압 정도를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atmospheric pressure is a pressure when not particularly reduced or increased, and may be about 1 atmosphere, such as atmospheric pressure.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습도가 그 물성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상기 물성은, 측정 온도 및 압력 상태에서 특별히 조절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습도에서 측정한 물성을 의미한다. 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when the measured humidity affects the physical property value,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physical property means a property measured in natural humidity that is not specially adjusted in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nd pressure state do.

본 출원의 장식재는 적어도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장식재의 모식도이고, 기재층(100)상에 장식층(200)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다. The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t least a base layer and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the base layer.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ecorative material, and shows a form in which the decorative layer 200 is formed on the base layer 100 .

본 출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기재층(basic material)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기재층으로는, 벽체나 바닥용 타일 또는 벽지와 같은 기존 공지의 장식재에서 기재층으로서 사용되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으로는, PVC(poly(vinyl chloride))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 기재층이나 종이, 목질계 기재층 및/또는 세라믹계와 같은 무기질계 기재층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재층은 통상 보드 형태이지만, 본 출원에서 기재층의 형태 역시 제한되지 않고, 장식재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기재층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와 같은 사이즈도 목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basic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s the base layer, a material used as the base layer in conventionally known decorative materials such as wall or floor tiles or wallpaper may be used. As such a substrate layer, a plastic substrate layer such as PVC (poly(vinyl chloride)) o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an inorganic substrate layer such as paper, a wood-based substrate layer and/or a ceramic-based substrate layer, etc. may be exemplified. can Although the above substrate layer is usually in the form of a board, the form of the substrate lay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also not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substrate layer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decorative material. A size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may also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본 출원의 장식재는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는 장식층을 포함한다. 용어 장식층은, 목적하는 디자인과 색상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층이고, 이는 단층이거나 다층 구조일 수 있다.The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ecorative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The term decorative layer is a layer comprising a printed layer of a desired design and color, which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본 출원의 장식재에서 상기 장식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하여 높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식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는 1.6 Kgf/2.0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박리 강도는 다른 예시에서 1.8 Kgf/2.0cm 이상, 2.0 Kgf/2.0cm 이상, 2.2Kgf/2.0cm 이상, 2.4Kgf/2.0cm 이상, 2.6Kgf/2.0cm 이상, 2.8Kgf/2.0cm 이상, 3.0Kgf/2.0cm 이상, 3.2Kgf/2.0cm 이상, 3.4Kgf/2.0cm 이상, 3.6Kgf/2.0cm 이상, 3.8Kgf/2.0cm 이상 또는 4.0Kgf/2.0cm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박리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Kgf/2.0cm 이하, 9 Kgf/2.0cm 이하, 8 Kgf/2.0cm 이하, 7 Kgf/2.0cm 이하, 6 Kgf/2.0cm 이하, 5 Kgf/2.0cm 이하, 4.5 Kgf/2.0cm 이하 또는 4 Kgf/2.0c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In the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corative layer may exhibit high adhesion to the base layer. For example, the peel strength of the decorative layer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may be 1.6 Kgf/2.0 cm or more. The peel strength is 1.8 Kgf/2.0cm or more, 2.0 Kgf/2.0cm or more, 2.2Kgf/2.0cm or more, 2.4Kgf/2.0cm or more, 2.6Kgf/2.0cm or more, 2.8Kgf/2.0cm or more, 3.0 in another example. Kgf/2.0cm or more, 3.2Kgf/2.0cm or more, 3.4Kgf/2.0cm or more, 3.6Kgf/2.0cm or more, 3.8Kgf/2.0cm or more, or 4.0Kgf/2.0c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peel streng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usually 10 Kgf/2.0 cm or less, 9 Kgf/2.0 cm or less, 8 Kgf/2.0 cm or less, 7 Kgf/2.0 cm or less, 6 Kgf/2.0 cm or less, 5 Kgf/ It may be about 2.0 cm or less, 4.5 Kgf/2.0 cm or less, or 4 Kgf/2.0 cm or less.

상기 박리 강도는, 기재층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기재층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임의의 층간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어떤 단일 층의 일부만이 뜯어져서 박리되는 시점에서의 강도이다.The peel strength is the strength at the time when the decorative layer formed on the base layer is peeled off from the base layer, delamination occurs at any interlayer, or when only a part of a single layer is torn and peeled.

즉, 본 출원의 장식재는, 기재층과 그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장식층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데, 상기 기재층과 장식층 외의 다른 층도 존재할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기 다른 층은 상기 기재층과 장식층의 사이, 상기 기재층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기 장식층의 상부 또는 하부), 장식층이나 기재층도 단일층이 아닌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basically includes a base layer and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other layers other than the base layer and the decorative layer may also be present (for example, the other layer is the base material). Between the layer and the decorative layer,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ase layer or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decorative layer), the decorative layer or the base layer may also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instead of a single layer.

이러한 장식재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재층으로부터 장식층을 박리하게 되면, 기재층과 장식재에서 박리가 일어날 수도 있지만, 장식재의 전부가 기재층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일부가 뜯어지면서 떨어져 나오거나, 혹은 다층으로 되어 있는 장식층의 내부의 임의의 층간에서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장식층과 다른 층간의 박리, 기재층과 다른 층간의 박리 또는 다른층간에서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When the decorative layer is peeled from the base layer in order to measure the peel strength in such a decorative material, peeling may occur from the base layer and the decorative material, but all of the decorative material is not peeled off from the base layer, some of the decorative material is torn off, or In the interior of the multi-layered decorative layer, peeling may occur between any layers, or peeling between the decorative layer and other layers, peeling between the base layer and other layers, or peeling between other layers may occur.

따라서, 본 출원에서 말하는 장식층의 박리 강도는, 기재층으로부터 장식층을 박리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박리 또는 떨어짐이 가장 먼저 발생하는 시점에서 측정된 박리 강도를 의미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eel strength of the decorative layer refers to the peel strength measured at the time when the above various kinds of peeling or peeling occurs first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decorative layer from the base layer.

상기 박리 강도는, KS M 3802, 장식실험실 테스트 규격을 참고하여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장식재를 가로가 20 mm이고, 세로가 250 mm이며, 두께가 약 5 mm인 도그본 형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그 후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에 시편의 양 끝을 고정하고, 약 200 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도 6은 상기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The peel strength is evaluated with reference to KS M 3802, decorative laboratory test standards. Specifically, a specimen is prepared by cutting the decora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dogbone having a width of 20 mm, a length of 250 mm, and a thickness of about 5 mm. After that, the specimen is maintained in hot water at about 80° C. for about 1 hour. Then, both ends of the specimen are fixed in a tensile tester, and the peel strength is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about 200 mm/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peel strength.

위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장 시험기로는 AMATEK LLOYD INSTRUMET의 소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load cell로는 5kN load cell을 사용할 수 있다. A small tensile tester of AMATEK LLOYD INSTRUMET can be used as the tensile tester used in the above process, and a 5kN load cell can be used as the load cell used.

본 출원에서는 특히 상기 장식층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사 방식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상기 높은 접착력을 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particular, even when the decorative layer is formed by a transfer method that does not use an adhesive, the high adhesive force can be achieved.

이러한 높은 접착력은 후술하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및/또는 잉크의 사용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Such high adhesive forc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use of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nd/or ink,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출원에서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장식층을 기재층에 높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재를 유해 물질이 없거나, 그 함량이 최소한으로 제한된 소재로만 장식재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since the decorative layer can be formed to have high adhesion to the base layer without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the decorative material can be made of only materials that do not contain harmful substances or whose content is limited to a minimum.

이에 따라서 본 출원의 장식재는 낮은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및 포름알데히드(HCHO) 함량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exhibit a low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TVOC) and formaldehyde (HCHO) content.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장식재의 TVOC 발생량은, 시간당 5 mg/m3 이하, 4.5 mg/m3 이하, 4 mg/m3 이하, 3.5 mg/m3 이하, 3 mg/m3 이하, 2.5 mg/m3 이하, 2 mg/m3 이하, 1.5 mg/m3 이하, 1 mg/m3 이하, 0.9 mg/m3 이하, 0.85 mg/m3 이하, 0.8 mg/m3 이하, 0.75 mg/m3 이하, 0.7 mg/m3 이하, 0.65 mg/m3 이하, 0.6 mg/m3 이하, 0.55 mg/m3 이하, 0.5 mg/m3 이하, 0.45 mg/m3 이하, 0.4 mg/m3 이하, 0.35 mg/m3 이하, 0.3 mg/m3 이하, 0.25 mg/m3 이하, 0.2 mg/m3 이하, 0.15 mg/m3 이하, 0.1 mg/m3 이하 또는 0.08 mg/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TVOC 발생량의 하한에는 제한이 없다. 유해 물질의 방출은 가급적 제한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TVOC 발생량의 하한은 시간 당 0 mg/m3 정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VOC generation amount of the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5 mg/m 3 or less, 4.5 mg/m 3 or less, 4 mg/m 3 or less, 3.5 mg/m 3 or less, 3 mg/m 3 or less, 2.5 mg/m 3 or less per hour. mg/m 3 or less, 2 mg/m 3 or less, 1.5 mg/m 3 or less, 1 mg/m 3 or less, 0.9 mg/m 3 or less, 0.85 mg/m 3 or less, 0.8 mg/m 3 or less, 0.75 mg /m 3 or less, 0.7 mg/m 3 or less, 0.65 mg/m 3 or less, 0.6 mg/m 3 or less, 0.55 mg/m 3 or less, 0.5 mg/m 3 or less, 0.45 mg/m 3 or less, 0.4 mg/ m 3 or less, 0.35 mg/m 3 or less, 0.3 mg/m 3 or less, 0.25 mg/m 3 or less, 0.2 mg/m 3 or less, 0.15 mg/m 3 or less, 0.1 mg/m 3 or less, or 0.08 mg/m 3 or less. There is no limit to the lower limit of the TVOC generation amount. Since the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needs to be limited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the lower limit of the TVOC generation amount may be about 0 mg/m 3 per hour.

본 출원의 장식재의 포름알데히드(HCHO) 발생량은, 시간당 0.1 mg/m3 이하, 0.09 mg/m3 이하, 0.08 mg/m3 이하, 0.07 mg/m3 이하, 0.06 mg/m3 이하, 0.05 mg/m3 이하, 0.04 mg/m3 이하, 0.03 mg/m3 이하, 0.02 mg/m3 이하, 0.015 mg/m3 이하 또는 0.01 mg/m3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포름알데히드(HCHO) 발생량의 하한에는 제한이 없다. 유해 물질의 방출은 가급적 제한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의 하한은 시간 당 0 mg/m3 정도일 수 있다.Formaldehyde (HCHO) generation amount of the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0.1 mg/m 3 or less, 0.09 mg/m 3 or less, 0.08 mg/m 3 or less, 0.07 mg/m 3 or less, 0.06 mg/m 3 or less, 0.05 per hour mg/m 3 or less, 0.04 mg/m 3 or less, 0.03 mg/m 3 or less, 0.02 mg/m 3 or less, 0.015 mg/m 3 or less, or 0.01 mg/m 3 or less. There is no limit to the lower limit of the amount of formaldehyde (HCHO) generated. Since the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needs to be limited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the lower limit of the amount of formaldehyde generated may be about 0 mg/m 3 per hour.

상기 TVOC 및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은 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KS M 0000-1 규격에 기재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TVOC and the amount of formaldehyde generated can be measured by a method known in the industry, for example, it can be confirm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KS M 0000-1 standard.

상기 장식층은, 예를 들면, 적어도 인쇄층 및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피착체에 따라서 접착성이 달라지는 층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어떤 피착체에 대해서는 낮은 접착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어떤 피착체에 대해서는 높은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장식재에서 장식층이 기재층에 대해서 전술한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도록 하는 동시에 특정 기재(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는 이형성이 발현될 수 있는 낮은 접착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에서 높은 접착력이 발휘되는 기재층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 예시에서 PVC(poly(vinyl chloride)) 기재층일 수 있다. The decorative layer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a printed layer and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s used herein, the term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refers to a layer whose adhesiveness varies depending on an adherend. For example,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can exhibit low adhesiveness to a certain adherend and at the same time exhibit high adhesiveness to a certain adherend. For examp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is a specific substrate (eg,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le allowing the decorative layer to exhibit the above-described high adhesion to the substrate layer in the decorative material. For a polyester film such as a film), it may be a layer that exhibits low adhesiveness in which releasability can be expressed. 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substrate layer exhibiting high adhesion in the above, in one example, it may be a poly(vinyl chloride) (PVC) substrate layer.

상기와 같은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특성은, 일 예시에서 상기 박리력 가변층이 포함하는 성분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리력 가변층이 후술하는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특성이 발휘될 수 있다. The properties of the adherend-dependent variable peel force layer as described above may be exhibited by a component included in the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one example. For example, when the peel force variable layer includes a silicone and/or a fluorine compound and polyvinyl chloride to be described later, the above properties may be exhibited.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상기와 같은 특성은, 장식재에 장식층이 전사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일단 전사된 장식층이 장식재 내의 다른 층(예를 들면, 장식재 내에서 장식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존재하게 되는 폴리염화비닐층)과 높은 접착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 properties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allow a decorative layer to be formed on the decorative material by a transfer process while at the same time that the decorative layer once transferred to another layer in the decorative material (for example, a decorative layer within the decorative material) polyvinyl chloride layer) present on the upper and/or lower part of the

이러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단층 구조이거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또한 인쇄층이 형성되기에 적합한 인쇄 적성(printability), 특히 디지털 인쇄용 잉크에 대해서 우수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is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also be formed to exhibit printability suitable for forming a printing layer, particularly excellent printability for ink for digital printing.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후술하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o be described later.

일 예시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기재에 따라서 전술한 이형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적용될 수 있는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In one exampl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include a silicone compound and/or a fluorine compound. Such a compound can cause the adherend-dependent variable peel force variable layer to exhibit the above-mentioned releasability depending on the substrat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silicone compound and/or fluorine compound that can be applied.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로는, 업계에서 이형 필름의 이형층에 통상 적용되는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화합물로는 Evonik사의 Protect 5000이나 5001 제품 등이 예시될 수 있고, 불소 화합물로는 3M사의 SRA-270이나 451 제품 등이 예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compound, a silicone or fluorine compound commonly applied to a release layer of a release film in the industry may be applied. As the silicone compound, Evonik's Protect 5000 or 5001 product may be exemplified, and as the fluorine compound, 3M's SRA-270 or 451 product may be exemplified.

본 출원의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 대신 다른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함께 다른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업계에서 장쇄 알킬계 이형제 및/또는 지방산 아미드계 이형제 등으로 알려진 재료가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ompound capable of exhibiting other releasability instead of the silicone compound and/or fluorine compound, or a compound capable of exhibiting other releasability together with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may include As the compound capable of exhibiting the other releasing property, for example, a material known in the industry as a long-chain alkyl-based releasing agent and/or a fatty acid amide-based releasing agent may be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재료와 함께 다른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은,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함께 적정 비율로 포함되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기재에 따라서 변화되는 접착 성능을 나타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include another polymer, for example, poly(vinyl chloride) (PVC) together with the material. Such polyvinyl chloride may be included in an appropriate ratio together with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dhesion performance of the adherend-dependent variable peel force variable layer depending on the substrate.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함께 상기 폴리염화비닐이 포함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피착체에 대해서는 낮은 박리력을 나타내지만,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다른 층에 대해서는 높은 박리력을 나타낼 수 있다. 장식재의 경우, 기재층 혹은 다른 층이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상기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장식재 내에서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다른 층(예를 들면 후술하는 투명층 등)과 계면 접착력을 상승시켜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높은 박리력이 확보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containing the polyvinyl chloride together with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exhibits low peel strength on an adherend such as a polyester film, but It may exhibit high peel strength for other layers comprising it. In the case of decorative materials, the base layer or other layers often contain polyvinyl chloride, and therefor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containing polyvinyl chloride is used in the decorative material as another layer containing polyvinyl chloride ( For example, it can contribute to securing high peeling force of the decorative layer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by increasing the interfacial adhesive force with the transparent layer to be described later).

상기에서 적용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장식재 등의 제조에 적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분으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대략 2,000 내지 50,000의 범위 내에 있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3,000 이상, 4,000 이상, 5,000 이상, 6,000 이상, 7,000 이상, 8,000 이상, 9,000 이상, 10,000 이상, 15,000 이상, 20,000 이상, 22,000 이상, 24,000 이상 또는 25,000 이상 이거나, 45,000 이하, 40,000 이하, 35,000 이하, 30,000 이하 또는 28,000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The polyvinyl chloride component that can be appli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mmon components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decorative materials and the like may be used. For example, as the polyvinyl chloride component, a component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about 2,000 to 50,000 may be used. In another exampl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vinyl chloride component is about 3,000 or more, 4,000 or more, 5,000 or more, 6,000 or more, 7,000 or more, 8,000 or more, 9,000 or more, 10,000 or more, 15,000 or more, 20,000 or more, 22,000 or more, 24,000 or more, or It may be 25,000 or more, 45,000 or less, 40,000 or less, 35,000 or less, 30,000 or less, or 28,000 or less.

이러한 PVC 성분은,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포함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30 내지 1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적절한 인쇄 적성과 내구성을 나타내면서, 기재에 따라서 목적하는 접착 성능이 발현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4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상 또는 75 중량부 이상이거나, 120 중량부 이하, 110 중량부 이하, 100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또는 8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Such a PVC component, when included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or exampl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30 to 1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Under such a ratio, the target adhesive performance can be expressed depending on the substrate, while the adherend-dependent variable peel force layer exhibits appropriate printability and durability. In another example, the ratio of polyvinyl chloride is 40 parts by weight or more, 50 parts by weight or more, 60 parts by weight or more, 70 parts by weight or more, or 75 parts by weight or more, or 120 parts by weight or less, 110 parts by weight or less, 100 parts by weight or less. , may be about 90 parts by weight or less or 85 parts by weight or less.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재료와 함께 수지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은 수성 에멀젼일 수 있으며, 이러한 에멀젼은 비이온성(non-ionic), 양이온성(cationic) 또는 음이온성(anionic) 에멀젼일 수 있다. 상기 수성 에멀젼은, 비이온성(non-ionic), 양이온성(cationic) 및/또는 음이온성(anionic)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 수성 매질에서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형성한 중합물이다.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include a resin emulsion together with the above material. The emulsion may be an aqueous emulsion, and the emulsion may be a non-ionic, cationic or anionic emulsion. The aqueous emulsion is a polymer formed by polymerizing monomers in an aqueous medium in the presence of a non-ionic, cationic and/or anionic surfactant.

수지 에멀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멀젼 및/또는 PVC(poly(vinyl chloride))계 수지 에멀젼이 사용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resin emulsion, and for example, an acrylic resin emulsion, a polyurethane-based resin emulsion, and/or a poly(vinyl chloride) (PVC)-based resin emulsion may be used.

상기에서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면, 대략 10 내지 90중량% 또는 20 내지 80중량%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대략 10 내지 90 중량% 또는 20 내지 80 중량%의 다른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다른 단량체로는, 에틸렌성 불포화(ethylenically unsaturated) 모노산(monoacid) 또는 다이산(diacid) 등이나 기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등이 예시될 수 있다.The acrylic resin contained in the acrylic resin emulsion in the above, for example, about 10 to 90% by weight or 20 to 80% by weight of (meth)acrylic acid ester; and approximately 10 to 90% by weight or 20 to 80% by weight of polymerized units of other monomers. As the other monomer in the above,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acid or diacid, or other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may be exemplified.

상기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테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스테아릴(stearyl)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meth)acrylic acid ester,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 acrylate, tert-bu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octyl (meth) acrylate, dodecyl (meth) acrylate, octadecyl (meth) Acrylate, octenyl (meth) acrylate and/or stearyl (meth) acrylate may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ethylenically unsaturated) 모노산(monoacid) 또는 다이산(diacid)으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또는 세네시오산(senecioic acid) 등이나 상기 다이산의 모노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acid or diacid, (meth)acrylic acid, crot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citraconic acid and/or senecioic acid ) and the like, and the monoalkyl ester compound of the diacid may be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기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상기에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20, 1 내지 16, 1 내지 12, 1 내지 8 또는 1 내지 4일 수 있고, 알킬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일 수 있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염화 비닐(vinyl chloride), 염화 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비닐 포르메이트(vinyl format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비닐 프로피오네이트(vinyl propionate), 비닐 부티레이트(vinyl butyrate), 비닐 이소부티레이트(vinyl isobutyrate), 비닐 발레레이트(vinyl valerate), 비닐 2-에틸헥사노에이트(vinyl 2-ethylhexanoate), 비닐 이소옥타노에이트(vinyl isooctanoate), 비닐 노노에이트(vinyl nonoate), 비닐 데카노에이트(vinyl decanoate), 비닐 피발레이트(vinyl pivalate), 비닐 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세틸비닐 에테르(cetylvinyl ether), 도데실 비닐 에테르(dodecylvinyl ether), 디-부틸 말레이트(di-butyl maleate), 디-2-에틸헥실 말레이트(di-2-ethylhexyl maleate), (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비닐술폰산(vinylsulfonic acid),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스티렌-p-술폰산 및/또는 알릴알코올(allylalcohol)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other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include hydroxyalkyl (meth)acrylates such as 2-hydroxyethyl (meth)acrylate (where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is 1 to 20, 1 to 16, 1 to 12, 1 to 8 or 1 to 4, and the alkyl group may be straight chain, branched chain or cyclic), ethylene, propylene, butylene, isobutylene, vinyl chloride, vinylidene chloride, (meta) ) Acrylonitrile, styrene, alpha-methylstyrene, vinyl format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isobutyrate , vinyl valerate, vinyl 2-ethylhexanoate, vinyl isooctanoate, vinyl nonoate, vinyl decanoate, Vinyl pivalate, vinyl versatate, cetylvinyl ether, dodecylvinyl ether, di-butyl maleate, di-2-ethyl Hexyl maleate (di-2-ethylhexyl maleate), (meth)acrylamide, N- (hydroxymethyl) acrylamide, N-isopropyl acrylamide, vinyl sulfonic acid (vinylsulfonic acid), 2-acrylamide-2-methyl Propanesulfonic acid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styrene-p-sulfonic acid and/or allyl alcohol (allylalcohol) may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필요한 경우에 상기 아크릴 수지는 임의적으로 가교 단량체(crosslinking mono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교성 단량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의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최대 3 중량% 정도까지 포함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acrylic resin may optionally include a crosslinking monomer, and the crosslinking monomer may be included, for example, up to about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monomers of the acrylic resin.

가교성 단량체로는, 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methylene-bis-(meth)acrylamides), 탄소수 2 내지 6의 이가 알코올(dihydric alcohol) 또는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디비닐디옥산, 디알릴 프탈레이트(diallyl phthalate), 이가 알코올(dihydric alcohol) 또는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의 디알릴 에테르 화합물 또는 트리알릴 에테르 화합물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crosslinking monomer, methylene-bis-(meth)acrylamide (methylene-bis-(meth)acrylamide), dihydric alcohol having 2 to 6 carbon atoms, or di(meth)acryl of polyhydric alcohol diallyl ether of late compound, poly(meth)acrylate compound, divinyldioxane, diallyl phthalate, dihydric alcohol or polyhydric alcohol (eg pentaerythritol) A compound or a triallyl ether compound and/or a diacrylate of polyethylene glycol or polypropylene glycol may be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수지 에멀젼은,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약 5 내지 7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이거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Such a resin emulsion may be included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a proportion of about 5 to 70% by weight. In another example, the ratio is 10 wt% or more, 15 wt% or more, 20 wt% or more, or 25 wt% or more, or 65 wt% or less, 60 wt% or less, 55 wt% or less, 50 wt% or less, 45 wt% or less It may be about 40 wt% or less, or 35 wt% or less.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은,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70 내지 1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에멀젼은 다른 예시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8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상, 110 중량부 이상 또는 115 중량부 이상이거나, 160 중량부 이하, 150 중량부 이하, 140 중량부 이하, 130 중량부 이하 또는 12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sin emulsio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70 to 1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In another example, the resin emulsion is 80 parts by weight or more, 90 parts by weight or more, 100 parts by weight or more, 110 parts by weight or more, 115 parts by weight or more, or 16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 150 parts by weight or less, 140 parts by weight or less, 130 parts by weight or less, or 125 parts by weight or less.

위와 같은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추가로 적절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Under the above ratio,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may exhibit an adhesive forc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substrate, and may further exhibit appropriate printability.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염은, 필요에 따라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해리되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인쇄 적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 있다. 금속염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적절한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Zn, Cu, Fe, Mn, Li, Ag, Mg 및/또는 Ca 등의 금속의 질산염(nitrate), 황산염(sulfate) 또는 염화염(chloride)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include a metal salt in addition to the component. These metal salts may be dissociated into cations and anions as necessary to improve printability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s the metal salt, an appropriate metal sal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a nitrate, sulfate or chloride salt of a metal such as Zn, Cu, Fe, Mn, Li, Ag, Mg and/or Ca. One or more of (chloride) may be selected and used.

상기 금속염은,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대략 1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또는 7 중량부 이상이거나, 18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9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 성능을 훼손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선시키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적절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The metal sal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about 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In another example, the ratio is 3 parts by weight or more, 5 parts by weight or more, or 7 parts by weight or more, or 18 parts by weight or less, 16 parts by weight or less, 14 parts by weight or less, 12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or less, or 9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less than. Under such a ratio,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can exhibit proper printability without impairing, and in some cases improving, the adhesive performanc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substrat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필러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서 상기 층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접착 성능 및/또는 인쇄 적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may include an inorganic fill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Such an inorganic filler may serv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layer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nd in some cases, the adhesive performanc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which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substrate, and / Alternatively, printability may be improved.

무기 필러로는, 예를 들면, 카올린(Kaoline),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TiO2, Ca(OH)2, CaO, Al(OH)3, Al2O3 및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inorganic filler, for example, kaolin (Kaoline), silica (Silica), alumina (Alumina), TiO 2 , Ca(OH) 2 , CaO, Al(OH) 3 , Al 2 O 3 and calcium carbonate (Calcium) One or more selected from Carbonate) can be used.

무기 필러로는 예를 들면, 평균 입경(ISO 13320-1에 따른 D50 입경)이 대략 0.5μm 내지 14μm, 1μm 내지 12μm, 1 μm 내지 10 μm, 1 μm 내지 8 μm, 1 μm 내지 6 μm 또는 1μm 내지 4μm의 범위 내에 있는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The inorganic filler, for example,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particle diameter according to ISO 13320-1) of approximately 0.5 μm to 14 μm, 1 μm to 12 μm, 1 μm to 10 μm, 1 μm to 8 μm, 1 μm to 6 μm or 1 μm. Fillers in the range of from to 4 μm can be used.

무기 필러로는 또한 ISO 9277 규격에 따른 BET 비표면적(specific surface)이 대략 350 m2/g 이상, 450 m2/g 이상, 550 m2/g 이상 또는 650 m2/g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inorganic filler, those having a BET specific surface according to ISO 9277 standards of about 350 m 2 /g or more, 450 m 2 /g or more, 550 m 2 /g or more, or 650 m 2 /g or more may be used.

무기 필러로는 또한 소위 DOA(dioctyl) 흡수능(DOA absorption capacity)이 100 g 당 200 내지 300 ml, 220 내지 290 ml, 240 내지 280 ml 또는 250 and 270 ml의 범위 내 정도인 다공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norganic filler may also be used so-called DOA (dioctyl) having a porosity within the range of 200 to 300 ml, 220 to 290 ml, 240 to 280 ml or 250 and 270 ml per 100 g of DOA absorption capacity. have.

위와 같은 특성의 무기 필러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내구성, 인쇄 적성 및/또는 접착 성능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The inorganic filler having the above properties may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durability, printability and/or adhesion performanc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대략 2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 성능을 훼손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선시키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적절한 내구성 및/또는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또는 45 중량부 이상이거나, 95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또는 5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The inorganic filler may be used in an amount of about 2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Under such a ratio,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exhibits adequate durability and/or printability while not impairing, and in some cases improving, the adhesive performance varying depending on the substrat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can make it In another example, the ratio is 5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20 parts by weight or more, 25 parts by weight or more, 30 parts by weight or more, 35 parts by weight or more, 40 parts by weight or more, or 45 parts by weight or more. or 95 parts by weight or less, 90 parts by weight or less, 85 parts by weight or less, 80 parts by weight or less, 75 parts by weight or less, 70 parts by weight or less, 65 parts by weight or less, 60 parts by weight or less, or 55 parts by weight or less.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기타 필요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증점제, 레벨링제 및/또는 소포제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목적에 따라 선택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증점제는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레벨링제는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소포제 0.05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include other necessary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Examples of such additiv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ickeners, leveling agents and/or antifoaming agents, and the like.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ose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for example, if included,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0.1 to 2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and the leveling agent is 0.1 It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to 2 parts by weight, and the antifoam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0.05 to 2 parts by weight.

이러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Such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

예를 들어, 단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재된 성분들을 모두 적정 비율로 포함하는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를 코팅한 후에 적절한 건조 및/또는 경화 공정을 통해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formed as a single layer,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an appropriate ratio is prepared, and after coating it,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can be formed through an appropriate drying and/or curing process. have.

다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예를 들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계 화합물을 주로 포함하는 층과 상기 수지 에멀젼을 주로 포함하는 층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고, 그 층에 접하여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여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being formed as a multilayer,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be divided into, for example, a layer mainly containing the silicone and/or fluorine-based compound and a layer mainly containing the resin emulsion. For example, an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may be formed by forming a layer containing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and forming a layer containing the resin emulsion in contact with the layer.

이러한 경우에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다른 성분은, 상기 2개의 층 중에서 적절한 층에 나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언급한 PVC(poly(vinyl chloride))는 상기 2개의 층 중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에 포함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성분, 예를 들면, 금속염이나 무기 필러 등은 상기 수지 에멀젼이 포함되어 있는 층에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be present in an appropriate layer among the two layers.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PVC (poly(vinyl chloride)) may be included in the layer containing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among the two layers, and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metal salts or inorganic fillers, etc. may be included in the layer containing the resin emulsion.

일 예시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 상기 다층 구조는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층과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제 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층에는 상기 폴리염화비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층에는 상기 금속염 및 무기 필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 성분들의 함량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다. In an example, whe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has a multilayer structure, the multilayer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layer including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and a second layer including the resin emulsion. . In this case, the first layer may include the polyvinyl chloride, and the second layer may include the metal salt and inorganic filler. Even when the multi-layer structure is formed in this way, the content ratio of each compon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두께가 약 0.1 내지 20μ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약 0.3μm 이상, 0.5 μm 이상, 0.7 μm 이상, 0.9 μm 이상, 1 μm 이상 또는 1.5 μm 이상이거나, 19 μm 이하, 18 μm 이하, 17 μm 이하, 16 μm 이하, 15 μm 이하, 14 μm 이하, 13 μm 이하, 12 μm 이하, 11 μm 이하, 10 μm 이하, 9 μm 이하, 8 μm 이하, 7 μm 이하, 6 μm 이하, 5 μm 이하 또는 4 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Such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have a thickness in a range of about 0.1 to 20 μm. In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 is about 0.3 μm or more, 0.5 μm or more, 0.7 μm or more, 0.9 μm or more, 1 μm or more, or 1.5 μm or more, or 19 μm or less, 18 μm or less, 17 μm or less, 16 μm or less, 15 μm or less, 14 µm or less, 13 µm or less, 12 µm or less, 11 µm or less, 10 µm or less, 9 µm or less, 8 µm or less, 7 µm or less, 6 µm or less, 5 µm or less, or 4 µm or less.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 층의 두께는 적정한 비율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1 층)과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2 층)으로 나뉘는 경우에 상기 각 층은 각각 약 0.1 내지 10μm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층의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각각 약 0.3μm 이상, 0.5 μm 이상, 0.7 μm 이상, 0.9 μm 이상, 1 μm 이상 또는 1.5 μm 이상이거나, 10 μm 이하, 9 μm 이하, 8 μm 이하, 7 μm 이하, 6 μm 이하, 5 μm 이하 또는 4 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Whe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the thickness of each layer can be controlled at an appropriate ratio. For exampl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cludes a layer including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eg, the first layer) and a layer including the resin emulsion (eg, the second layer) layer), each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in the range of about 0.1 to 10 μm, respectively. In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 of each layer is about 0.3 μm or more, 0.5 μm or more, 0.7 μm or more, 0.9 μm or more, 1 μm or more, or 1.5 μm or more, or 10 μm or less, 9 μm or less, 8 μm or less, 7 μm, respectively. or less, 6 µm or less, 5 µm or less, or 4 µm or less.

또한, 상기 다층 구조에서 상기 2층의 비율,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2 층)의 두께(A)의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1 층)의 두께(B)에 대한 비율(A/B)은 약 0.4 내지 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비율(A/B)은 다른 예시에서 0.6 이상, 0.8 이상, 1 이상, 1.2 이상, 1.4 이상, 1.6 이상, 1.8 이상 또는 2 이상이거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atio of the two layers in the multilayer structure, for example, a layer comprising the silicone and/or fluorine compound in the thickness (A) of the layer comprising the resin emulsion (e.g., the second layer) The ratio (A/B) to the thickness (B) of (eg, the first layer)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0.4 to 10. In another example, the ratio (A/B) is 0.6 or more, 0.8 or more, 1 or more, 1.2 or more, 1.4 or more, 1.6 or more, 1.8 or more, or 2 or more, or 9 or less, 8 or less, 7 or less, 6 or less, 5 or less , 4 or less, 3 or less, or 2 or less.

위와 같은 두께 특성은 피착체에 따라서 접착력이 달라지고, 인쇄 적성이 우수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는 것에 유리할 수 있다.The above thickness characteristics may be advantageous in forming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having a different adhesive strength depending on the adherend and excellent printability.

장식재의 장식층은 또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은, 장식층 내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구조에서 장식층(200)의 기재층(100)를 향하는 면 및/또는 장식층(200)의 기재층(100)를 향하는 면과는 반대면에 상기 인쇄층이 존재할 수 있다. 인쇄층은 일 예시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서 상기 수지 에멀젼이 주로 존재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decorative layer of the decorative material may also include a printed layer. Such a printed layer may be formed o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the decorative layer. For example, in the structure of FIG. 1 , the printed layer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layer 200 facing the substrate layer 100 and/or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substrate layer 100 of the decorative layer 200 . can In one example, the printed layer may be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resin emulsion is mainly present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인쇄층은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쇄층은 예를 들면, 공지의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printed layer may be formed in a known manner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The printed layer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 known gravure printing method.

적절한 예시에서 상기 인쇄층은 소위 디지털 인쇄(digital printing) 방식으로 형성한 층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층은 디지털 인쇄층일 수 있다. 디지털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디지털 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a suitable example, the printed layer may be a layer formed by a so-called digital printing method. Accordingly, the printed layer may be a digital printed layer. A method of forming the digital prin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by applying a known digital printing method.

디지털 인쇄는, 공지된 인쇄 공법으로 전기 신호 제어형 잉크 토출 방식을 이용한 비접촉 인쇄 방식이며, 다품종 소/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디자인 자유도 및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디지털 인쇄 방식을 적용하면,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서 구현할 수 없는 전폭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그라비어 인쇄 방식과는 달리 구현할 수 있는 색의 수도 제한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색을 사용하여 멀티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인쇄 방식은 그라비어 인쇄 방식으로는 구현이 어려운 섬세한 연조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소위 3D 효과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인쇄 방식에 의하면 정교한 핀트 맞춤이 가능하고, 원하는 경우에 패브릭이나, 우드 등 천연 소재의 리얼리티도 극대화할 수 있다. Digital printing is a non-contact printing method using an electric signal control type ink ejection method as a known printing method, is advantageous for small/mass production of various types, and has excellent design freedom and quality. When the digital printing method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ull-width design that cannot be realized in the gravure printing method, and unlike the gravure printing method, since there is no limit on the number of colors that can be implemented, multi-color can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colors. In addition, the digital printing method can produce a delicate softening effect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with the gravure printing method, and a so-called 3D effec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printing method, precise focus adjustment is possible, and if desired, the reality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fabric or wood can be maximized.

특히 본 출원에서는, 전술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인쇄층의 형성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higher quality printed layer by forming the printed layer on the above-described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by a digital printing method.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장식제에서는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잉크의 잉크 닷(dot)의 크기를 10μm 내지 100μm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 닷 크기는 Digital Microscope(Dino-Lite)로 인쇄층을 관찰하여 모니터에 보이는 형상(이미지)를 캡쳐한 후, 측정 비율을 입력하고, 실제 닷의 크기를 측정하며, 닷은 구 모양에서 지름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 닷 크기 제어를 통해서 보다 정교한 핀트에서 선명하고 미려한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잉크 닷의 크기는 15 μm 이상 또는 20 μm 이상이거나, 90 μm 이하, 80 μm 이하, 70 μm 이하, 60 μm 이하, 50 μm 이하, 45 μm 이하, 40 μm 이하, 35 μm 이하 또는 30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decorative ag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ize of the ink dot of the ink forming the print layer may be controlled within the range of 10 μm to 100 μm. This ink dot size is measured by observing the printed layer with a Digital Microscope (Dino-Lite), capturing the shape (image) visible on the monitor, inputting the measurement ratio, and measuring the actual dot size.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By controlling the ink dot size, it is possible to form a clear and beautiful printed layer with more precise focus. In another example, the size of the ink dot is 15 μm or more or 20 μm or more, 90 μm or less, 80 μm or less, 70 μm or less, 60 μm or less, 50 μm or less, 45 μm or less, 40 μm or less, 35 μm or less, or It may be on the order of 30 μm or less.

상기 인쇄층은, 우수한 색좌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색좌표는, 국제조명위원회(CIE, Commo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에서 규정한 색상 값인 CIE 색공간에서의 좌표이고, CIE 색공간에서의 임의의 위치는 L*, a*, b* 3가지 좌표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printed layer may exhibit excellent color coordinate characteristics. The color coordinates are coordinates in the CIE color space, which is a color value stipulated by the Commo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CIE), and any position in the CIE color space is L*, a*, b* three coordinate values. can be expressed as

상기 L*값은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L*이 0이면, 흑색(black)이고, L*이 100이면, 백색(white)이다. 상기 a*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적색(pure magenta)과 순수한 녹색(pure green) 중 어느 쪽으로 치우치는지를 나타내며, 상기 b*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황색(pure yellow)과 순수한 청색(pure blue) 중 어느 쪽으로 치우치는지를 나타낸다.The L* value indicates brightness. When L* is 0, it is black, and when L* is 100, it is white. The a* value indicates whether the color having the corresponding color coordinate is biased toward either pure red (pure magenta) or pure green (pure green), and the b* value indicates that the color having the corresponding color coordinate is pure yellow and pure Indicates which side of the blue (pure blue) is biased.

상기 a*값은 -a 내지 +a의 범위를 가지며, a*의 최대값(a* max)은 순수한 적색(pure magenta)을 나타내며, a*의 최소값(a* min)은 순수한 녹색(pure green)을 나타낸다. a*값이 음수이면 녹색에 치우친 색상이며, 양수이면 적색에 치우친 색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80과 a*=50를 비교하였을 때, a*=80이 a*=50보다 순수한 적색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The a* value has a range from -a to +a, the maximum value of a* (a* max) represents pure red (pure magenta), and the minimum value of a* (a* min) is pure green (pure green). ) is indicated. If the value of a* is negative, it means a color biased toward green, and if a* value is positive, it means a color biased toward red. For example, when a*=80 and a*=50 are compared, it means that a*=80 is located closer to pure red than a*=50.

상기 b*값은 -b 내지 +b의 범위를 가진다. b*의 최대값(b* max)은 순수한 황색(pure yellow)을 나타내며, b*의 최소값(b* min)은 순수한 청색(pure blue)을 나타낸다. b*값이 음수이면 순수한 청색에 치우친 색상이며, 양수이면 순수한 황색에 치우친 색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b*=80과 b*=20를 비교하였을 때, b*=80이 b*=20보다 순수한 황색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한다.The b* value ranges from -b to +b. The maximum value of b* (b* max) represents pure yellow, and the minimum value of b* (b* min) represents pure blue. If b* value is negative, it is a color biased toward pure blue, and if it is positive, it means a color biased toward pure yellow. For example, when b*=80 and b*=20 are compared, it means that b*=80 is closer to pure yellow than b*=20.

또한, 용어 색편차 또는 색좌표 편차는, CIE 색공간에서의 두 색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거리가 멀면 색상의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이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색상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ΔE*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color deviation or color coordinate deviation means a distance between two colors in the CIE color space. That is, the greater the distance, the greater the color difference, and the closer the distance, the less the color difference, which can be expressed as Δ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장식재에 대해서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색차값은 레드(Red) 색차값이 35.2 내지 35.5의 범위 내이며, 블루(Blue) 색차값이 31.2 내지 31.5의 범위 내이고, 옐로우(Yellow) 색차값이 45.1 내지 45.6의 범위 내일 수 있다.For the decorative material, the color difference value measured in SCI mode using a CM-5 color difference meter is in the range of 35.2 to 35.5 for red, and 31.2 to 31.5 for blue. The yellow color difference value may be in the range of 45.1 to 45.6.

또한, 상기 장식재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존재 여부에 따른 색차값의 차로 참조하면, Red는 a*, Blue와 Yellow는 b*값의 명기가 보다 명확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difference in color difference value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the decorative material, red for a* and blue and yellow for b* values may be more clearly specified.

예를 들면, 상기 장식재의 표면을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레드(Red)의 a*는 14.5 내지 15.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재의 표면을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옐로우(Yellow)의 b*는 18.0 내지 19.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For example, a* of Red measured in SCI mode using a CM-5 colorimeter on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material may be in the range of 14.5 to 15.5. In addition, b* of yellow measured in SCI mode using a CM-5 colorimeter on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material may be in the range of 18.0 to 19.0.

또한, 색차값의 특징으로 보이는 부분은. Yellow 색상의 b*값으로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없는 경우에서는 Yellow 색상의 b*가 6.09이고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적용한 경우는 b*가 18.24로 약 2배 정도의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잇는 경우에 더 좋은 발색(b*가 +쪽으로 갈수록 노란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 that appears to be a characteristic of the color difference value. It can be compared with the b* value of the yellow color.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s not present, b* of the yellow color is 6.09, and whe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s applied, b* is 18.24, which is about twice the difference. can fly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where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is present, better color development (yellow as b* is toward +) is exhibited.

이와 같은 인쇄층은,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공지의 인쇄 방식(예를 들면, 디지털 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Such a printed layer can be formed o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using a known printing method (eg, digital printing method).

통상 디지털 인쇄 방식은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Typically, digital printing is performed using water-based ink.

목적하는 물성, 예를 들면, 전술한 접착 성능의 발현을 위해서, 상기 인쇄층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인쇄층 및/또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폴리우레탄계 수지 성분은, 상기 장식층이 상기 기재층에 보다 강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폴리우레탄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폴리우레탄으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을 적용하는데, 본 출원에서는 상기 폴리올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이 적용된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절한 예시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이 적용된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the expression of desired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the adhesive performance described above, the printed layer and/or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when the printed layer is formed o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t may include a polyurethane-based resin. The polyurethane-based resin component may enable the decorative layer to be more strongly adhered to the base layer. At this time, as the polyurethane, a known polyurethane may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Usually, a reaction product of a polyol and an isocyanate is applied as a polyurethane. In the present application, as the polyol, a polyurethane to which a polyester polyol, a polyether polyol or a polycarbonate polyol is applied may be used, and in a suitable example, a polycarbonate polyol is applied Uretha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폴리우레탄으로는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5,000 내지 100,000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 7,000 이상, 9,000 이상, 11,000 이상, 13,000 이상, 15,000 이상, 17,000 이상 또는 19,000 이상이거나, 90,000 이하, 80,000 이하, 70,000 이하, 60,000 이하, 50,000 이하, 40,000 이하 또는 30,000 이하 정도일 수 있다.In addition, polyurethane may be used, for exampl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bout 5,000 to 100,000. In another exampl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7,000 or more, 9,000 or more, 11,000 or more, 13,000 or more, 15,000 or more, 17,000 or more, or 19,000 or more, 90,000 or less, 80,000 or less, 70,000 or less, 60,000 or less, 50,000 or less, 40,000 or less, or 30,000 or less may be to the extent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으로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0℃ 이하, -5℃ 이하, -10℃ 이하, -15℃ 이하 또는 -20℃ 이하이면서, 약 -100℃ 이상, -90℃ 이상, -80℃ 이상, -70℃ 이상, -60℃ 이상, -50℃ 이상, -40℃ 이상 또는 -3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urethane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0 ° C or less, -5 ° C or less, -10 ° C or less, -15 ° C or less, or -20 ° C or less, and about -100 ° C or more, -90 ° C or more, -80 ℃ or higher, -70 °C or higher, -60 °C or higher, -50 °C or higher, -40 °C or higher, or -30 °C or higher can be used.

이러한 폴리우레탄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하는 효과를 보다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By applying such polyurethane, the desired effect can be secured more advantageously.

폴리우레탄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약 50 내지 200 중량부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폴리우레탄이 목적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6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상 또는 105 중량부 이상이거나, 190 중량부 이하, 180 중량부 이하, 170 중량부 이하, 160 중량부 이하, 150 중량부 이하, 140 중량부 이하, 130 중량부 이하, 120 중량부 이하 또는 11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When included, polyurethane may be applied in a ratio of about 5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Under these ratios, the polyurethane can exhibit the desired properties. In another example, the ratio is about 60 parts by weight or more, 70 parts by weight or more, 80 parts by weight or more, 90 parts by weight or more, 100 parts by weight or more, or 105 parts by weight or more, or 190 parts by weight or less, 180 parts by weight or less, 170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about parts by weight or less, 160 parts by weight or less, 150 parts by weight or less, 140 parts by weight or less, 130 parts by weight or less, 120 parts by weight or less, or 115 parts by weight or less.

인쇄층 및/또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포함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잉크 및/또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는 성분이 폴리우레탄을 포함시킬 수 있다. A method of including the polyurethane in the print layer and/or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ink forming the print layer and/or the component forming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include polyurethane.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잉크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적정 비율로 포함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디지털 인쇄에 적용되는 잉크(예를 들면, 수성 잉크)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폴리우레탄은 전술한 수지 에멀젼 대비 비율이 확보되고, 잉크가 인쇄 가능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으로 잉크에 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잉크가 대략 1 내지 10 mPa·s의 범위 내의 점도 및/또는 대략 10 내지 60 N/m의 표면 장력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이 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략 잉크 내에서의 폴리우레탄의 비율이 약 10 내지 90 중량% 정도가 될 수 있도록 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method of including the polyurethane in an appropriate ratio in the ink forming the print layer may be used. That is, the polyurethane may be included in ink (eg, water-based ink) that is typically applied to digital printing. In this case, the polyurethane may be blended with the ink at a level at which the ratio compared to the above-mentioned resin emulsion is secured and the ink can exhibit printable properties. For example, the polyurethane may be formulated at a level such that the ink exhibits a viscosity with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1 to 10 mPa·s and/or a surface tension of approximately 10 to 60 N/m, for example, It can be formulated so that the proportion of polyurethane in the ink is about 10 to 90 wt%.

장식재는 상기 기재층 및 장식층에 추가로 필요한 다른 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decorativ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other layer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base layer and the decorative layer.

예를 들면, 장식재는, 상기 기재층과 장식층의 사이에 소위 백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백색층은, 인쇄층의 색상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서 장식재의 제조에 통상 적용되는 층이다. 백색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색층은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색층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백색층의 두께도 적정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기재층(100)와 장식층(200)의 사이에 백색층(300)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or example, the decorative material may include a so-called white layer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decorative layer. This white layer is a layer usually applied in the manufacture of decorative materials in order to further emphasize the color of the printed lay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material for forming the white layer, and it may be formed using a known material. For example, the white layer may be formed using polyvinyl chloride. Accordingly, the white layer may include polyvinyl chloride. The thickness of the white layer may also be select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white layer 300 is present between the base layer 100 and the decoration layer 200 .

장식재는 또한 상기 장식층을 보호하는 층으로서, 상기 장식층상에 적절한 투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장식재의 장식층(200)상에 투명층(400)이 존재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투명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공지의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층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층은, 일 예시에서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층의 두께도 적정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략 0.05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서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장식재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적절한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decorative material may also include a suitable transparent layer on the decorative layer as a protective layer for the decorative layer. FIG. 3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transparent layer 400 is present on the decoration layer 200 of the decoration material of FIG. 1 .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layer, and for example, a transparent layer including a known material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may be used. Accordingly, the transparent layer may include polyvinyl chloride in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layer may also be select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for example, the thickness may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0.05 mm to 1.0 mm. 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an appropriate protective effect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ecorative material.

장식재는, 상기 투명층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층, 예를 들면, 공지의 UV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The decorative material may further comprise a suitable layer for protecting the surface, either alone or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layer, for example, a known UV coating layer.

또한, 장식재는,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 예를 들면, 장식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치수 안정성이나 시공층을 고려하여 소위 밸런스층(치수안정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층은, 예를 들어, 시공면과 접착되는 부분이고, 장식재의 표면을 보호하며, 습기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밸런스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층의 두께도 적정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0.01mm 내지 약 3.0mm의 범위 내에서 적정 두께가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coration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so-called balance layer (dimensional stability layer) in consideration of dimensional stability or construction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for example, on the surface on which the decoration layer is not formed. Such a balance layer is, for example, a portion that is adher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protects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material, and may serve to prevent moisture and the like. A material for forming the balance layer may be a known material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alance layer may also be adjust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for example, an appropriate thickness may be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about 0.01 mm to about 3.0 mm.

본 출원은 또한 전사 필름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전사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장식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전사 필름은, 예를 들면,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상에 형성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사 필름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적어도 일면,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상기 기재 필름을 향하는 면과는 반대측면에 인쇄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transfer film. The transfer film may be, for example, used for manufacturing the decorative material. The transfer film is, for example, a base film; and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In the transfer film,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or exampl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layer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facing the base film. .

전사 필름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피착면에 따라서 높은 접착력과 낮은 접착력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In the transfer film,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may simultaneously exhibit high adhesion and low adhesion depending on an adherend.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전사 필름에서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한 접착력은 1,000 gf/inch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접착력은 다른 예시에서 950 gf/inch 이하일 수도 있으며, 그 하한은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50gf/inch 이상, 100gf/inch 이상, 150gf/inch 이상, 200gf/inch 이상, 250gf/inch 이상, 300gf/inch 이상, 350gf/inch 이상, 400gf/inch 이상, 450gf/inch 이상, 500gf/inch 이상, 550gf/inch 이상, 600gf/inch 이상, 650gf/inch 이상, 700gf/inch 이상, 750gf/inch 이상, 800gf/inch 이상 또는 850 gf/inch 이상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exhibit a low adhesive force from the transfer film to the base film. For exampl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to the base film may be about 1,000 gf/inch or less. The adhesive force may be 950 gf / inch or less in another example, and the lower lim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50 gf / inch or more, 100 gf / inch or more, 150 gf / inch or more, 200 gf / inch or more, 250 gf / inch or more , 300gf/inch or more, 350gf/inch or more, 400gf/inch or more, 450gf/inch or more, 500gf/inch or more, 550gf/inch or more, 600gf/inch or more, 650gf/inch or more, 700gf/inch or more, 750gf/inch or more , 800 gf/inch or greater or 850 gf/inch or greater.

상기 접착력은 전술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상기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의 평가 시에 기재층에 대한 내용이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한 내용이 된다. 또한, 상기 접착력 측정 시에는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하는 공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The adhesive force may b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eel strength of the decorative layer to the base layer.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peel strength of the decorative layer to the base layer is evaluated, the content of the base layer becomes the content of the base film. 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specimen in hot water at about 80° C. for about 1 hour is not performed.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상기와 같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상기 기재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기재 필름의 두께 등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다.The type of the base film in which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exhibits the adhesive force as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film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base film may be a polyester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hickness of such a base film.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기재 필름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PVC(poly(vinyl chloride))층에 대해서는 높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PVC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면일 수 있다. 상기 PVC층에 대한 접착력(박리 강도)은 예를 들면, 1.6 Kgf/2.0cm 이상, 1.8 Kgf/2.0cm 이상, 2.0 Kgf/2.0cm 이상, 2.2Kgf/2.0cm 이상, 2.4Kgf/2.0cm 이상, 2.6Kgf/2.0cm 이상, 2.8Kgf/2.0cm 이상, 3.0Kgf/2.0cm 이상, 3.2Kgf/2.0cm 이상, 3.4Kgf/2.0cm 이상, 3.6Kgf/2.0cm 이상, 3.8Kgf/2.0cm 이상 또는 4.0Kgf/2.0cm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박리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Kgf/2.0cm 이하, 9 Kgf/2.0cm 이하, 8 Kgf/2.0cm 이하, 7 Kgf/2.0cm 이하, 6 Kgf/2.0cm 이하, 5 Kgf/2.0cm 이하, 4.5 Kgf/2.0cm 이하 또는 4 Kgf/2.0c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may exhibit the same low adhesion to the base film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exhibit high adhesion to the poly(vinyl chloride) (PVC) layer. In one example, the PVC layer may be a surface of the base layer. The adhesion (peel strength) to the PVC layer is, for example, 1.6 Kgf/2.0 cm or more, 1.8 Kgf/2.0 cm or more, 2.0 Kgf/2.0 cm or more, 2.2Kgf/2.0 cm or more, 2.4Kgf/2.0 cm or more, 2.6Kgf/2.0cm or more, 2.8Kgf/2.0cm or more, 3.0Kgf/2.0cm or more, 3.2Kgf/2.0cm or more, 3.4Kgf/2.0cm or more, 3.6Kgf/2.0cm or more, 3.8Kgf/2.0cm or more, or 4.0 It may be more than Kgf/2.0cm. The upper limit of the peel streng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usually 10 Kgf/2.0 cm or less, 9 Kgf/2.0 cm or less, 8 Kgf/2.0 cm or less, 7 Kgf/2.0 cm or less, 6 Kgf/2.0 cm or less, 5 Kgf/ It may be about 2.0 cm or less, 4.5 Kgf/2.0 cm or less, or 4 Kgf/2.0 cm or less.

상기 박리 강도의 측정 방법은 전술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측정 방법과 동일하다.The method for measuring the peel strength is the same as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base layer of the decorative layer described above.

위와 같은 전사 필름의 각 구성 요소,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과 인쇄층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기술한 장식재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과 인쇄층과 같다.Each component of the transfer film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nd the printed layer are the same as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nd the printed layer of the decorative material described above.

즉,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및/또는 인쇄층을 기재층에 전사함으로써 상기 장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That is, the decorative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by transferring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nd/or the printed layer of the transfer film to the base layer.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transfer film.

본 출원에 의하면, 전술한 장식재를 전사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기존 장식재 제조 공정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예를 들면, 디지털 인쇄 방식과 같은 새로운 방식으로 인쇄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경우, 전술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통해서 접착체 등 유해 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착력 등이 우수한 장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사 공정을 적용하는 경우, 공정 과정에서 열 등에 의한 장식재의 손상 등도 회피할 수 있으며, 일단 인쇄층을 형성한 후 전사에 의해 장식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하부의 기재층의 평탄성에 대한 의존성을 줄일 수 있으며, 공정의 불량에 따른 비용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forementioned decorative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transfer process. Through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the printed layer by a new method such as, for example, a digital printing method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existing decorativ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decorat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adhesion and the like can be manufactured without using a material that can generate harmful substances such as an adhesive through the above-described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In addition, when the transfer process is applied, damage to the decorative material due to heat or the like can be avoided during the process, and since the decorative material can be obtained by transferring once the printed layer is formed, the dependence on the flatness of the underlying substrate layer can be reduced, and costs due to defects in the process can also be reduced.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기재층상에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사 필름의 기재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is method includes, for example, contacting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of the transfer film on a base layer; and removing the base film of the transfer film.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일면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기재층과 접촉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인쇄층이 형성된 면 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기재층과 접촉할 수 있다.A specific method for performing the abov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may be applied. In addition, when a printed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the step of contacting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with the base layer,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The surface on which the printed layer is formed or the surface on which the printed layer is not forme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layer.

상기 과정에서 적용되는 기재층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장식재의 기재층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에는 전술한 백색층 및/또는 밸런스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백색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백색층에 접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base layer applied in the above proc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base layer of the aforementioned decorative material may be used. The above-described white layer and/or the balance layer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When the white layer is formed,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white layer.

위와 같은 단계 후에 기재 필름을 제거한 후에 필요한 공지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의 제거 후에 상기 투명층이나 UV 코팅층 등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After removing the base film after the above steps, a necessary known proces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transparent layer or UV coating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after the base film is removed.

본 출원은 장식재, 전사 필름 및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요구 및 필요에 부응한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인쇄층을 선명하고 또한 높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기재층에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may provide a decoration material, a transfer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coration material.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corative material in which a print layer of various designs and colors to meet the demands and needs is formed on the base layer so as to have a clear and high adhesion.

본 출원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인쇄층을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상기와 같은 장식재의 제조에 적합한 전사 필름 및 그 필름을 사용한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may provide a decorative material in which the printing layer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using a transfer method that does not use an adhesive.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so provide a transfer film suitable for manufacturing the decorativ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film.

도 1 내지 3은 예시적인 장식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잉크 닷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장식재의 CIE 색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to 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emplary decorative material.
4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comparing ink dot siz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5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comparing CIE color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materials.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easuring peel strength.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below.

실시예 1.Example 1.

전사 필름의 제조Preparation of transfer film

2층 구조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2종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Evonik사의 Protect 5000 제품과 PVC(poly(vinyl chloride))를 용매인 물 내에 약 5:4의 중량 비율(실리콘계 화합물:PVC)로 용해시켜서 제 1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PVC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6,000 정도 수준인 것을 사용하였다.Two types of coating solutions were prepared in order to form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As a silicone-based compound, Evonik's Protect 5000 product and PVC (poly(vinyl chloride)) were dissolved in water as a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about 5:4 (silicone-based compound: PVC) to prepare a first coating solution. At this time, as the PVC,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26,000 was used.

한편,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 금속염인 MgCl2, 실리카(평균 입경(D50 입경): 약 1.8μm) 및 기타 성분(증점제, 레벨링제 및 소포제)를 6:0.5:3:0.5(수지 에멀젼:금속염:실리카:기타 성분)의 중량 비율로 용매인 물에 혼합하여 제 2 코팅액을 제조하였다.On the other hand, cationic acrylic resin emulsion, metal salt MgCl 2 , silica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particle diameter): about 1.8 μm) and other components (thickener, leveling agent and antifoaming agent) were mixed with 6:0.5:3:0.5 (resin emulsion:metal salt) : Silica: Other components) was mixed with water as a solvent in a weight ratio to prepare a second coating solution.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은,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대략 1:1:1의 중량 비율로 물에서 중합시켜 형성하였고, 이 때 계면 활성제로서, 아세트산을 상기 단량체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10 중량부로 사용하였다.The cationic acrylic resin emulsion was formed by 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 and hydroxyethyl methacrylate as monomers in water in a weight ratio of approximately 1:1:1, wherein, as a surfactant, acetic acid was used in an amount of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monomers.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의 일면에 우선 상기 제 1 코팅액을 코팅하고, 80℃의 온도에서 15초 동안 유지하여 두께가 약 1μm 정도인 제 1 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 1 층상에 제 2 코팅액을 코팅하고, 130℃의 온도에서 약 1분 동안 유지하여 두께가 약 2μm 정도인 제 2 층을 형성하여, 2층 구조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였다. First, the first coating solution was coated on one surface of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the first layer wa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80° C. for 15 seconds to form a firs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μm. Then, a second coating solution is coated on the first layer, and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30° C. for about 1 minute to form a secon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μm, thereby forming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formed.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을 약 3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과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중량 비율이 약 6:5 정도(수지 에멀젼:실리콘 화합물)가 되도록 형성하였다.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cludes the cationic acrylic resin emulsion in an amount of about 30% by weight, and the weight ratio of the cationic acrylic resin emulsion to the silicone compound is about 6:5 (resin emulsion: silicone compound) was formed.

이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인쇄층은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이 때 잉크로는, ㈜잉크테크사에서 입수한 수성 잉크 LK 시리즈 제품과 폴리우레탄을 약 6.6:3.5의 중량 비율(폴리우레탄:잉크 제품)로 혼합한 잉크를 사용하였다. 이 때 폴리우레탄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약 -25℃ 정도인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다.Then, a printed layer was formed o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The printed layer was formed by a digital printing method. In this case, as the ink, an ink obtained by mixing an aqueous ink LK series product obtained from Inktech Co., Ltd. and polyurethane in a weight ratio of about 6.6:3.5 (polyurethane: ink product) was used. In this case, as the polyurethane, a polyurethane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25°C was used as a polyurethane prepared using polycarbonate polyol.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기재 필름,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및 인쇄층이 순차 형성된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transfer film in which a base film, an adherend-dependent variable peel force layer, and a printing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was prepared.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내에 상기 폴리우레탄의 비율은 대략 22 중량% 정도이고, 상기 수지 에멀젼과 상기 폴리우레탄의 중량 비율은 약 6:6.6 정도(수지 에멀젼:폴리우레탄)가 되도록 하였다.The ratio of the polyurethane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of the transfer film is about 22 wt%, and the weight ratio of the resin emulsion and the polyurethane is about 6:6.6 (resin emulsion: polyurethane) made to be

장식재의 제조manufacture of decorative materials

상기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장식재 제조 시에 기재층으로는 바닥재의 기재층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PVC(poly(vinyl chloride)) 보드의 일면에 통상적인 PVC(poly(vinyl chloride)) 백색층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통상적인 밸런스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사용하였다.A decorative material was prepared using the transfer film. As a base layer in manufacturing decorative materials, a conventional PVC (poly(vinyl chloride)) white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a PVC (poly(vinyl chloride)) board that is commonly used as a base layer of flooring, and a normal balan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layered base layer was used.

상기 기재층의 상기 백색층상에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접촉시켰다. 그 후 기재 필름을 박리 후에 기재 필름이 박리된 면에 PVC(poly(vinyl chloride)) 투명층과 UV 코팅층을 각각 형성하여 장식재를 제조하였다.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of the transfer film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hite layer of the base layer. After the base film was peeled off, a PVC (poly(vinyl chloride)) transparent layer and a UV coating layer we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urface from which the base film was peeled to prepare a decorative material.

실시예 2.Example 2.

잉크로서,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지 않은 잉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재를 제조하였다.As the ink, a decorative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ink in which polyurethane was not mixed was us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잉크로서,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지 않은 잉크를 사용하고, 제 1 코팅액으로서,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지 않는 코팅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재를 제조하였다.A decorative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ink not containing polyurethane was used as the ink, and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no poly(vinyl chloride) (PVC) was used as the first coating solution.

시험예 1. 박리 강도 평가Test Example 1. Peel strength evaluation

장식재에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는, KS M 3802, 장식실험실 테스트 규격을 참고하여 평가하였다. 우선 장식재를 가로가 20 mm이고, 세로가 250 mm이며, 두께가 약 5 mm인 도그본 형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에 시편의 양 끝을 고정하고, 약 200 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은 상기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Peel strength of the decorative layer to the base layer of the decorative material was evaluated with reference to KS M 3802, decorative laboratory test standards. First, a specimen was prepared by cutting the decora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dogbone having a width of 20 mm, a length of 250 mm, and a thickness of about 5 mm. The specimen is then kept in warm water at about 80° C. for about 1 hour. Then, both ends of the specimen were fixed in a tensile tester, and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about 200 mm/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peel strength.

위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장 시험기로는 AMATEK LLOYD INSTRUMET의 소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사용 load cell로는 5kN load cell을 사용하였다.A small tensile tester of AMATEK LLOYD INSTRUMET was used as the tensile tester used in the above process, and a 5kN load cell was used as the load cell used.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박리 강도 측정 시에 임의의 층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단일 층이 찢겨져서 파손되는 시점에서의 강도를 박리 강도로 하였다. When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strength at the time when interlayer peeling occurred in an arbitrary layer or when a single layer was torn and broken was taken as the peel strength.

시험예 2. 접착력 평가Test Example 2. Adhesion evaluation

전사 필름에서 기재 필름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에 대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제1층+제2층)의 접착력은 상기 시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단, 이 경우,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하는 공정은 수행하지 않았다.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 first layer + second layer) from the transfer film to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which is a base film,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est Example 1. However, in this case,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specimen in hot water at about 80° C. for about 1 hour was not performed.

전사 필름을 가로가 20 mm이고, 세로가 250 mm이며, 두께가 약 5 mm인 도그본 형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에 시편의 양 끝을 고정하고, 약 200 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A specimen was prepared by cutting the transfer film in the form of a dogbone having a width of 20 mm, a length of 250 mm, and a thickness of about 5 mm. Then, both ends of the specimen were fixed in a tensile tester, and adhesion was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about 200 mm/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위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장 시험기로는 AMATEK LLOYD INSTRUMET의 소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사용 load cell로는 5kN load cell을 사용하였다.A small tensile tester of AMATEK LLOYD INSTRUMET was used as the tensile tester used in the above process, and a 5kN load cell was used as the load cell used.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측정 시에 임의의 층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단일 층이 찢겨져서 파손되는 시점에서의 강도를 접착력으로 하였다. When measured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strength at the time when interlayer peeling occurs in any layer or when a single layer is torn and broken was used as the adhesive force.

시험예 3. 잉크 닷 사이즈의 측정Test Example 3. Measurement of Ink Dot Size

인쇄층의 잉크 닷(Dot) 크기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Dino 장비(현미경) 및 소프트웨어(Dinocapture)를 사용하여 인쇄층을 230X배의 배율로 관찰하여 모니터에 보이는 형상(이미지)를 캡쳐한 후, 측정 비율을 입력하고, 실제 닷의 크기를 측정하며, 닷은 구 모양에서 지름을 측정하여 상기 크기를 구하였다.The ink dot size of the printed layer was confirmed as follows. Using Dino equipment (microscope) and software (Dinocapture), observe the printed layer at 230X magnification to capture the shape (image) seen on the monitor, input the measurement ratio, measure the actual dot size, The size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diameter in the shape of a silver sphere.

도 4는 이와 같이 확인한 인쇄층 이미지이고, 도 4에서 (a) 내지 (c)는 비교예 1의 이미지이며, (d) 내지 (f)는 실시예 1의 이미지이다. 4 is an image of the printed layer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in FIG. 4 (a) to (c) are image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d) to (f) are images of Example 1.

시험예 4. CIE 색좌표 측정Test Example 4. CIE color coordinate measurement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각각의 경우의 CIE 색좌표를 측정하였다.CIE color coordinates in each case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measured.

이 때 색좌표는 Konica Minolta사의 CN-5 기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인쇄층을 형성 시에 레드, 블루 및 옐로우 색상을 각각 인쇄하여 색좌표 및 색차값을 평가하였다.At this time, the color coordinates were evaluated using a CN-5 instrument from Konica Minolta. In addition, color coordinates and color difference values were evaluated by printing red, blue, and yellow colors, respectively, when forming the printed layer.

도 5는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실시예에 대한 결과이며, (a)는 비교예에 대한 결과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such results, Fig. 5 (b) is a result for the Example, and (a) is a result for the 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1의 방식을 적용한 경우에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장식층의 레드 색차값, 블루 색차값 및 옐로우 색차값은 레드(red)의 a*는 약 13.8 정도이고, 옐로우(Yellow)의 b*는 18.2 정도이며, 블루(Blue)의 b*는 약 -13.4 정도였다.When the method of Example 1 is applied, the red color difference value, blue color difference value, and yellow color difference value of the decorative layer measured in SCI mode using a CM-5 colorimeter is about 13.8 for a* of red, b* of Yellow was about 18.2, and b* of Blue was about -13.4.

상기 시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The results of Test Examples 1 to 3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박리강도peel strength 접착력adhesion 잉크 닷 크기ink dot size 실시예1Example 1 약 4.0 Kgf/2.0cm 이상About 4.0 Kgf/2.0 cm or more 약 900 gf/inchabout 900 gf/inch 약 20~30 μmAbout 20-30 μm 실시예2Example 2 약 2.0 Kgf/2.0cm 이상About 2.0 Kgf/2.0 cm or more 약 900 gf/inchabout 900 gf/inch 약 35 μmabout 35 μ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약 1.0 Kgf/2.0cm 이하Approx. 1.0 Kgf/2.0 cm or less 약 900 gf/inchabout 900 gf/inch 약 40 μmabout 40 μm

표 1에서 박리 강도는 장식재에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이고, 접착력은 전사 필름에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기재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다. In Table 1, peel strength is the peel strength of the decorative layer to the base layer in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adhesive force is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the transfer film to the base film.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출원에서는 피착체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지고, 그러한 접착력의 변화가 전사 공정에 적합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효과적으로 형성되며, 그 가변층의 인쇄 적성도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rom the results in Table 1,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dhesive force varies depending on the adherend, and the change in the adhesive force effectively forms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suitable for the transfer process, and the printability of the variable layer is excellent. have.

또한, KS M 0000-1 규격에 따라 확인한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장식재는 모두 TVOC 발생량이 시간당 0.08 mg/m3 이하였고,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이 시간당 0.01 mg/m3 이하였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according to the KS M 0000-1 standard, the amount of TVOC generated per hour was 0.08 mg/m 3 per hour or less, and the amount of formaldehyde generated per hour was 0.01 mg/m 3 or less for all decorative materia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Claims (20)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은, 인쇄층 및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한 접착력이 180도의 박리 각도 및 200 mm/min의 박리 속도에서 1.6 kgf/2.0cm 이상 인 장식재.
base layer; and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the base layer,
The decorative layer includes a printed layer and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A decorative material wherein the adhesive force of the decorative layer to the base layer is 1.6 kgf/2.0 cm or more at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and a peeling rate of 200 mm/min.
제 1 항에 있어서, TVOC 발생량이 시간당 5 mg/m3 이하인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TVOC generated is 5 mg/m 3 or less per hour. 제 1 항에 있어서,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이 시간당 0.1 mg/m3 이하인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formaldehyde generated is 0.1 mg/m 3 or less per hour.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 기재층인 장식재. 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is a polyvinyl chloride bas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화합물; 및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에멀젼은 상기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70 내지 170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포함되어 있는 장식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comprises: a silicone resin or a fluorine compound; and a resin emulsion, wherein the resin emulsion is included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a ratio of 70 to 1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or fluorine compound. 제 5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130 중량부의 폴리염화비닐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further comprises 30 to 130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chlor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or fluorine compound. 제 5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20 중량부의 금속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urther comprises 1 to 20 parts by weight of a metal sal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제 5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 중량부의 무기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urther comprises 10 to 100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fill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제 5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증점제, 레벨링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ickener, a leveling agent, and an antifoaming agent. 제 1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다층 구조인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ing force variable layer has a multilayer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층 상에 형성된 투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layer formed on the decorative layer. 제 11 항에 있어서, 투명층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transparent layer comprises polyvinyl chloride.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층과 기재층의 사이에 백색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hite layer between the decorative layer and the base layer. 제 13 항에 있어서, 백색층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장식재.14. Th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white layer comprises polyvinyl chloride.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상에 형성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포함하며,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한 박리 강도가 1,000 gf/inch 이하이며,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폴리염화비닐층에 대한 접착력이 180도의 박리 각도 및 6 inch/분의 박리 속도에서 2.0 kgf/2.0cm 이상인 전사 필름.
base film; and an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The peel strength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to the base film is 1,000 gf/inch or less,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to the polyvinyl chloride layer has a peel angle of 180 degrees and 6 inches A transfer film of at least 2.0 kgf/2.0 cm at a peel rate of /min.
제 15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화합물; 및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에멀젼은 상기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70 내지 170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포함되어 있는 전사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comprises: a silicone resin or a fluorine compound; and a resin emulsion, wherein the resin emulsion is included 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in a ratio of 70 to 1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or fluorine compound. 제 16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130 중량부의 폴리염화비닐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필름.The transfer film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urther comprises 30 to 130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chlor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or fluorine compound. 제 16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20 중량부의 금속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필름.The transfer film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urther comprises 1 to 20 parts by weight of a metal sal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제 16 항에 있어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 중량부의 무기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필름.The transfer film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further comprises 10 to 100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fill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emulsion. 기재층 상에 제 15 항의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사 필름의 기재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재의 제조 방법.
Contacting the adherend-dependent peel force variable layer of the transfer film of claim 15 on the bas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material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base film of the transfer film.
KR1020210083157A 2020-08-05 2021-06-25 Decorating Material KR102575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19,599 US20230311562A1 (en) 2020-08-05 2021-08-05 Decoration material
PCT/KR2021/010328 WO2022031071A1 (en) 2020-08-05 2021-08-05 Decoration material
EP21853309.9A EP4194222A1 (en) 2020-08-05 2021-08-05 Decoration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60 2020-08-05
KR20200097860 2020-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822A true KR20220017822A (en) 2022-02-14
KR102575628B1 KR102575628B1 (en) 2023-09-07

Family

ID=802541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56A KR102575626B1 (en) 2020-08-05 2021-06-25 Decorating Material
KR1020210083157A KR102575628B1 (en) 2020-08-05 2021-06-25 Decorating Material
KR1020210102857A KR102514575B1 (en) 2020-08-05 2021-08-05 Decorating Material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56A KR102575626B1 (en) 2020-08-05 2021-06-25 Decorating Material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857A KR102514575B1 (en) 2020-08-05 2021-08-05 Decorating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756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578A (en) * 1998-05-29 1999-12-14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aterial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80105341A (en) * 2007-05-30 2008-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Vinyl chloride base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dioctyl terephthalate (dotp) for wallcoverings
KR101975192B1 (en) 2015-12-23 2019-05-08 (주)엘지하우시스 Ink receptive layer composition, deco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20200046476A (en) * 2018-10-24 2020-05-07 (주)엘지하우시스 Tile floo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559A (en) * 1993-08-10 1995-02-28 Kyodo Printing Co Ltd Image receiving sheet for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and its production
JPH09290575A (en) * 1996-04-24 1997-11-11 Nitto Denko Corp Sheet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JP2020044658A (en) * 2018-09-14 2020-03-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Ink receiving layer, receptor film, graphic film, license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578A (en) * 1998-05-29 1999-12-14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aterial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80105341A (en) * 2007-05-30 2008-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Vinyl chloride base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dioctyl terephthalate (dotp) for wallcoverings
KR101975192B1 (en) 2015-12-23 2019-05-08 (주)엘지하우시스 Ink receptive layer composition, deco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20200046476A (en) * 2018-10-24 2020-05-07 (주)엘지하우시스 Tile floo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628B1 (en) 2023-09-07
KR20220017821A (en) 2022-02-14
KR20220017865A (en) 2022-02-14
KR102514575B1 (en) 2023-03-29
KR102575626B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774B2 (en)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for thermal transfer using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thermal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US20050271864A1 (en) Method of providing printable decorative labels for custom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5123468B2 (en) Card pap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laying card
JP2015028168A (en) Composition, film and related methods
US10825610B2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US20100055371A1 (en) Multi-Layer Dry Paint Transfer Laminate Having Olefinic Release Layer and Water-Based Opaque Layer
KR102575628B1 (en) Decorating Material
US20230311562A1 (en) Decoration material
KR20230091453A (en) Decorating Material
KR20230091454A (en) Decorating Material
JP3040241B2 (en) Emulsion composition
KR20180061195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N111032354B (en) Pigmented PVC-based graphic films
JP5501123B2 (en) Printing set and printing image protection method
KR20230091452A (en) Mat
KR20200038001A (en) Thermal transcription film for embossing with anti-blocking property
KR102404801B1 (en) Decoration having ink receptive layer for conceal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53586B1 (en) A layer film sheet of intercepting light for personal computer printing
EP2734379B1 (en) Print medium
US9308764B2 (en) Sheet for ink-jet printing
KR20230086116A (en)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4034456A (en) Inkjet recording sheet and its formed piece
JP2023072194A (en) Interior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material
JP2022079263A (en) Adhesive sheet and printed material
JP2021020424A (en) Inkjet record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