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714A -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714A
KR20220017714A KR1020200098034A KR20200098034A KR20220017714A KR 20220017714 A KR20220017714 A KR 20220017714A KR 1020200098034 A KR1020200098034 A KR 1020200098034A KR 20200098034 A KR20200098034 A KR 20200098034A KR 20220017714 A KR20220017714 A KR 2022001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display
present
light
light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수
Original Assignee
장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수 filed Critical 장민수
Priority to KR102020009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714A/ko
Publication of KR2022001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40/00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2240/50Parameters or numerical values associated with holography, e.g. peel strength
    • G03H2240/62Sampling aspect applied to sensor or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기술분야 : 본 발명은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광포획을 이용하여 허공에 디스플레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터치를 인식하고 화면과 연동하거나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수단: 본 발명에 따른 도1 의 100에 1,2,3,6,7,8,9,10을 포함하거나 경우에 따라 도1의 100에 6,7,8,9,10은 외부에서 제공하여 장치를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4,5,11을 제공한다.
효과 등: 허공에 구현되는 생동감있는 디스플레이의 구현과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의 변화나 그것의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omitted}
본 발명은 광포획 또는 광집게 , optical trap, optical tweezer 등의 원리를 활용하거나 레이저 및 기타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복사압 원리를 이용한 일명 자유공간(FREE SPACE)디스플레이 또는 3D volumetric display
광포획,광집게 optical trap, optical tweezer 등의 원리 ,레이저 등의 광원의 복사압 원리를 이용하여 미세한 크기의 사물,소자,입자를 허공에 부양하게끔 하고 또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기술
본 발명은 허공에 하나가 아닌 여러개의 미세한 입자를 부양시켜 본 장치의 사용자에게 점차적으로 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여 제공하고 또 고화질을 구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원제공장치, 드라이브보드 , 전원공급 및 전기제어부 , 히트싱크, 등을 포함한 일명 레이저모듈과 , 빔스플리터 또는 D.O.E , 마이크로렌즈 ,를 포함하고 경우에따라서 콜리메이터 및 빔쉐이퍼 가 추가될수 있다. 또 내부또는 외부에 SLM , SLM에 투사하기위한 레이저 광원제공장치 , 광포획을 위해 별도로 제공되는 소모품 ,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탱크 ,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외부에 송출된 디바이스 광원에 소모품을 제공해주기위한 분사장치 , 또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상과 연동하기위한 센서 등을 포함한다.
본발명은 허공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도1의 100은 본 장치의 전체구성원을 의미한다.
도1의 1은 레이저모듈이다.
도1의 2는 빔스플리터 또는 D.O.E이다.
도1의 3은 마이크로 렌즈 이다.
도1의 4는 콜리메이터 이다.
도1의 5는 빔쉐이퍼 이다.
도1의 6은 레이저모듈 또는 광 제공장치이다.
도1의 7은 SLM이다.
도1의 8은 소모품을 제공하기위한 저장탱크이다.
도1의 9는 소모품이다.
도1의 10은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외부로 송출된 디바이스 광원에 소모품을 제공해주기위한 분사장치이다.
도1의 11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연동하기위한 센서또는 센서를 포함한 모듈 이다.
도1의 A는 소모품이 광포획된 상태이다.
도1의 B는 7을 통과 또는 투사한 6의 광원이 광포획된 지점에 투사중인 것을 설명한다.
도1의 C는 8과 연결된 분사장치인 10이 소모품인 9를 분사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1의 D는 1의 광원이 4, 5, 2, 3을 거쳐 여러 줄기의 광선으로 진행됨을 설명한다.
도1의 E는 1의 광원이 4, 5, 2, 3 방향으로 송출됨을 설명한다.
도1의 1,4,5,2,3,를 각 순서대로 배치하고 1의 광원을 4,5,2,3을 통해 송출하면 광포획을 위한 환경이 준비된다. 그 다음 8과 연결된 10이 1의 광원으로부터 장치 외부로 송출된 광원의 광포획 지점을 향해 9를 분사한다. 그러면 해당지점에 광포획이 되고 7을 통과 또는 투사한 6의 광원을 광포획된 지점에 송출하면 디스플레이가 구현된다. 이후 SLM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화면변화가 가능하다 또 이후 11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등을 감지해 화면변화 등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성, 그것의 화면변화 , 제어 방법의 구체적 방법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 이며 본 명세서에 게시된 기초사상에 따르는 최대한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Claims (10)

  1. 도1의 100은 본 발명인 디바이스 장치의 전체구성을 설명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의 6,7,8,9,10은 기본적으로 장치의 내부에서 제공되나 외부에서 제공될수 있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의 4와 5와 11은 장치의 필수 구성품목이 아니며 필요시 장치에 제공될수 있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의 4와 5의 배열순서는 바뀔 수 있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 100의 전체구성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 구성이며 갈바노미터스캐너 ,각종렌즈, 마이크로렌즈, 거울, 센서 를 추가하여 구성할수 있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11은 6 또는 7의 대체수단인 기타 영상투사재생 장치와 연동될수 있으며 이때 영상투사재생 장치는 CPU,AP,AMD 를 자체 포함할수 있다.
  7.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의 6과 7을 대체하기 위해 빔프로젝터 등의 기타 영상 투사재생 장치 가 사용될수 있다.
  8.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의 9는 분말가루 또는 액체 또는 미세한 크기의 구형또는 구형에 가까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투명하지않은 고체이다.
  9. 청구항 8에 있어서 도1의 9는 셀룰로오스 성분의 분말가루 또는 흑액 또는 마이크로 글라스 비드 또는 텅스텐분말 이 사용된다.
  10. 도1 100에 이미 포함된 각 항목들을 개별적으로 추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수 있다.
    단 레이저 모듈 구성을 위한 드라이브 보드나 전기적제어부 히트싱크 등은 별도로 변형하여 포함할수 있다.
KR1020200098034A 2020-08-05 2020-08-05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KR20220017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34A KR20220017714A (ko) 2020-08-05 2020-08-05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34A KR20220017714A (ko) 2020-08-05 2020-08-05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14A true KR20220017714A (ko) 2022-02-14

Family

ID=8025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034A KR20220017714A (ko) 2020-08-05 2020-08-05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7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8535B (zh) 可調式焦距平面光學系統
JP6681887B2 (ja) 仮想画像生成器
TW202030453A (zh) 基於垂直腔表面發射雷射的投影機
US10001583B2 (en) Structured light projection using a compound patterned mask
US9462255B1 (en) Projection and camera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20170013251A1 (en) Three-dimensional projection
JP2017508955A (ja) カメラ装置
JP2007316461A (ja) プロジェクタ及び画像投写方法
TW201913181A (zh) 光學基站
KR20220017714A (ko)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US9969129B2 (en) Stereolithography machine with improved optical unit
JP6457185B2 (ja) 光学エンジ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プロジェクタ
KR20220017713A (ko)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화면을 크게 구현하는 방법
US201401116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image
TWI691736B (zh) 發光裝置及應用其之圖像採集裝置
JPWO2018056196A1 (ja) 表示システム
CN110891169B (zh) 一种基于光泳捕获的可交互体三维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20017715A (ko) 광포획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의 사용자 시력보호를 위한 방법
US20160033263A1 (en) Measurement device for the three-dimensional optical measurement of objects with a topometric sensor and use of a multi-laser-chip device
CN105759444A (zh) 基于透镜阵列的静态消散斑装置及激光投影仪
JP2019091024A (ja) 組み合わせ非球面レンズ及びアキシコンを有するレーザライン発生装置
TW202013053A (zh) 多影像投影機以及具有多影像投影機之電子裝置
TW202014790A (zh) 投影機、具有投影機的電子裝置、以及用來取得影像資料之深度資訊的方法
TWI826113B (zh) 以雷射束掃描器產生光場的近眼顯示裝置
TWI742473B (zh) 結構光發射模組及圖像採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