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596A -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 Google Patents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596A
KR20220017596A KR1020200097747A KR20200097747A KR20220017596A KR 20220017596 A KR20220017596 A KR 20220017596A KR 1020200097747 A KR1020200097747 A KR 1020200097747A KR 20200097747 A KR20200097747 A KR 20200097747A KR 20220017596 A KR20220017596 A KR 2022001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venturi tube
detergent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기
김병석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Priority to KR102020009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596A/ko
Publication of KR2022001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는,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 또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수도관 또는 배관을 통해 흐르는 수돗물을 개폐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에 구성되며, 중단의 내부 직경이 양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벤츄리관; 및 일측이 세제 저장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 바디를 통해 벤츄리관과 연결되어 세제를 자동 공급하도록 하는 용액 공급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VENTURI PIPE TYPE VALVE FOR SUPPLY OF DETERGENT}
아래의 실시예들은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venturi pipe) 구조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나 수두압 없이도 세제를 일정량 배출시킬 수 있는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가 주로 사용되는 개수대, 세면대, 싱크대, 양변기 중에서 싱크대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싱크대의 상면에 물이 토출되는 수전이 설치되고 수전 옆에 세제를 토출하는 디스펜서가 배치된다. 이렇게 수전 옆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펜서는 플라스틱 용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의 세제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종래에는 이 디스펜서를 수전 옆 싱크대의 상면에 비치한 후 리필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최근에는 액상의 세제를 저장하는 저장통 등을 싱크대 내부에 설치하고 토출 부위만을 싱크대 상면에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싱크대 상면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미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디스펜서에 저장된 세제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디스펜서의 상단 부분을 누르고, 가압력에 의해 토출되는 세제를 다른 손으로 파지한 그릇이나 수세미 등에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사용상에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9-0062151호는 이러한 세제 자동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세제 공급센서를 통해 피세정물을 감지하여 세제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세제 자동펌핑기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9-0062151호
실시예들은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 동작 시 밸브 바디 내부에 벤츄리관을 형상화하여 기존의 펌프나 수두압 없이도 세제를 일정량 배출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수도 메인 배관의 수돗물이 출수구 측으로 빠져 나갈 때 벤츄리관에 의해 용액 공급 배관을 통하여 세제를 출수구 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출수구 측에 연결된 변기 또는 싱크대 등의 배수로 등을 청소시킬 수 있는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는,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 또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수도관 또는 배관을 통해 흐르는 수돗물을 개폐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에 구성되며, 중단의 내부 직경이 양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벤츄리관; 및 일측이 세제 저장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 바디를 통해 벤츄리관과 연결되어 세제를 자동 공급하도록 하는 용액 공급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벤츄리관은, 상측이 밸브 바디의 입수구 측과 연결되고 하측이 출수구 측과 연결되며, 밸브의 동작에 따라 밸브 축과 연결된 개폐부를 이동시켜 벤츄리관의 상측을 개폐함에 따라 수돗물을 입수구 측에서 출수구 측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벤츄리관은, 수돗물을 진행 방향에 따라 점차 좁아지다 넓어지는 유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용액 공급 배관을 통해 세제를 인출시킬 수 있다.
벤츄리관은, 수돗물이 입수구 측에서 출수구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출수구 측에 진공을 발생시켜, 용액 공급 배관을 따라 세제를 인출시켜 수돗물과 함께 출수구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용액 공급 배관은, 밸브 바디의 출수구 측인 벤츄리관의 점차 좁아지다 넓어지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는, 제1 용액이 공급되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흐르는 제1 용액을 개폐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에 구성되며, 중단의 내부 직경이 양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벤츄리관; 및 일측이 제2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 바디를 통해 벤츄리관과 연결되어 제2 용액을 자동 공급하는 용액 공급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도 메인 배관의 수돗물이 출수구 측으로 빠져 나갈 때 벤츄리관에 의해 용액 공급 배관을 통하여 세제를 출수구 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출수구 측에 연결된 변기 또는 싱크대 등의 배수로 등을 청소시킬 수 있는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의 동작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의 동작 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기존의 세제 밸브는 외부에 세제통을 만들고 세제를 펌프하거나 세제의 수두압으로 세제를 밀어내는 구조이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 동작 시 밸브 바디 내부에 벤츄리관을 형상화하여 기존의 펌프나 수두압 없이도 세제를 일정량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의 동작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1)는 밸브 바디(110), 벤츄리관(120) 및 용액 공급 배관(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 바디(110)는 수돗물(a)이 공급되는 수도관 또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수도관 또는 배관을 통해 흐르는 수돗물(a)을 개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 바디(110)는 수도관 또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밸브 조절부(170)를 통해 밸브를 개폐함에 따라 수도관 또는 배관과 연결된 입수구 측(130)으로부터 출수구 측(140)으로 수돗물(a)을 흐르도록 하거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밸브 바디(110)의 일측은 수도관 또는 배관과 연결되어 수돗물(a)을 유입하며, 타측은 유입된 수돗물(a)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밸브 바디(110)의 입수구 측(130)과 출수구 측(140)은 'ㄱ'자 형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ㄱ'자 형태의 유로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밸브 바디(110)의 입수구 측(130)과 출수구 측(140)의 위치 및 유로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밸브 바디(110)의 상측에는 밸브 조절부(170)가 구성되어 회전 등의 조작을 통해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조절부(170)를 회전시켜 밸브를 동작시키는 경우(즉, 밸브를 여는 경우), 밸브 조절부(170)와 나사 결합부(151)를 통해 나사 결합된 밸브 축(150)이 나사산을 따라 상승 이동하여, 밸브 축(150)과 연결된 개폐부(160)가 밸브 바디(110)의 내부 유로를 개방시켜 수돗물(a)이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조절부(17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경우(즉, 밸브를 잠그는 경우), 밸브 조절부(170)와 나사 결합된 밸브 축(150)이 나사산을 따라 하강 이동하여, 밸브 축(150)과 연결된 개폐부(160)가 밸브 바디(110)의 내부 유로를 차단시켜 수돗물(a)이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벤츄리관(120)은 밸브 바디(110)의 내부 유로에 구성되며, 중단의 내부 직경이 양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츄리관(120)은 밸브 바디(110)의 내부 유로에 세로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 및 하측의 직경이 중단보다 크게 구성되고 중단의 직경이 상측 및 하측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벤츄리관(120)은 밸브 바디(110)의 내부 유로에 가로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의 직경이 중단보다 크게 구성되고 중단의 직경이 양측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벤츄리관(120)이 세로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관(120)은 밸브 바디(110)의 형태 및 내부 유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벤츄리관(120)은 상측이 밸브 바디(110)의 입수구 측(130)과 연결되고 하측이 출수구 측(140)과 연결되며, 밸브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밸브 축(150)과 연결된 개폐부(160)를 이동시켜 벤츄리관(12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돗물(a)을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츄리관(120)은 수돗물(a)을 진행 방향에 따라 점차 좁아지다 넓어지는 유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용액 공급 배관(200)을 통해 세제 저장부(300)에 있는 세제(b)를 벤츄리관(120)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벤츄리관(120)은 수돗물(a)이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이동함에 따라 출수구 측(140)에 진공을 발생시켜, 용액 공급 배관(200)을 따라 세제(b)를 인출시켜 수돗물(a)과 함께 출수구 측(14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용액 공급 배관(200)은 일측이 세제 저장부(300)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 바디(110)를 통해 벤츄리관(120)과 연결되어 세제(b)를 자동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용액 공급 배관(200)은 밸브 바디(110)의 출수구 측(140)인 벤츄리관(120)의 점차 좁아지다 넓어지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b)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120) 구조의 밸브(1)의 동작 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벤츄리관(120)의 내부 유로는 수돗물(a)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점차 좁아지다가 다시 원래의 크기로 넓어질 수 있다. 벤츄리관(120)을 통과하는 수돗물(a)은 좁아진 유로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하며 압력이 낮아진다. 벤츄리관(120)의 압력이 낮아지는 구간에는 용액 공급 배관(200)이 연결되고, 압력에 의해 세제 저장부(300)에 저장된 세제(b)가 용액 공급 배관(200)을 따라 벤츄리관(120)의 출수구 측(140)으로 이동하고, 수돗물(a)과 함께 출수구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벤츄리관(120)이 세제 저장부(300)의 펌프 역할을 하여 세제(b)를 자동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벤츄리관(120)은 상측이 밸브 바디(110)의 입수구 측(130)과 연결되고 하측이 출수구 측(140)과 연결되며, 밸브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밸브 축(150)과 연결된 개폐부(160)를 이동시켜 벤츄리관(12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돗물(a)을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가 동작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벤츄리관(120)의 상측에 밸브 축(150)과 연결된 개폐부(160)가 배치되어 수돗물(a)이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개폐부(160)가 벤츄리관(120)의 상측을 막아 입수구 측(130)의 수돗물(a)이 출수구 측(140)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가 동작한 후의 상태에서, 벤츄리관(120)의 상측에 밸브 축(150)과 연결된 개폐부(160)가 배치되되, 개폐부(160)가 밸브 축(15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어 벤츄리관(120)의 상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수돗물(a)이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즉, 개폐부(160)가 벤츄리관(120)의 상측과 이격되어 입수구 측(130)의 수돗물(a)이 출수구 측(140)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벤츄리관(120)은 수돗물(a)이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용액 공급 배관(200)을 통해 세제(b)를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1)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밸브 조절부(170)를 회전시켜 밸브를 잠그는 경우, 밸브 조절부(170)의 내부와 나사 결합된 밸브 축(150)이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여 하강하며, 밸브 축(150)의 하단에 연결된 개폐부(160)가 벤츄리관(120)의 상측과 결합되어 내부 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160)가 벤츄리관(120)의 상측을 막아 입수구 측(130)의 수돗물(a)이 출수구 측(140)으로 흐르지 못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밸브 조절부(170)를 이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를 여는 경우, 밸브 조절부(170)의 내부와 나사 결합된 밸브 축(150)이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여 상승하며, 밸브 축(150)의 하단에 연결된 개폐부(160)가 벤츄리관(120)의 상측 부분을 개방시켜 내부 유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바디(110)의 내부 유로를 통해 수돗물(a)이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른다.
이 때, 벤츄리관(120)은 수돗물(a)을 진행 방향에 따라 점차 좁아지다 넓어지는 유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용액 공급 배관(200)을 통해 세제 저장부(300)에 있는 세제(b)를 벤츄리관(120)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돗물(a)과 함께 세제(b)가 입수구 측(130)에서 출수구 측(140)으로 흐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용액 공급 배관(200) 측에 별도의 개폐 수단을 구비하여 세제(b)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개폐 수단이 개방된 경우 수돗물(a)을 사용함에 따라 수돗물(a)과 함께 세제(b)가 토출되며, 개폐 수단이 폐쇄된 경우 세제(b)의 토출을 막아 수돗물(a)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도 메인 배관의 수돗물(a)이 출수구 측(140)으로 빠져 나가면서 벤츄리관(120) 현상이 발생하면서 용액 공급 배관(200)을 통하여 세제(b)를 출수구 측(140)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출수구 측(140)에 연결된 변기 또는 싱크대 등의 배수로 등을 청소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세제(b)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120) 구조의 밸브(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세제(b)뿐 아니라 다른 제2 용액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돗물(a)이 공급되는 수도관 또는 배관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돗물(a)뿐만 아니라 다른 제1 용액 및 제1 용액을 공급하는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관(120) 구조의 밸브(1)는, 제1 용액이 공급되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흐르는 제1 용액을 개폐하는 밸브 바디(110), 밸브 바디(110)의 내부 유로에 구성되며, 중단의 내부 직경이 양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벤츄리관(120), 및 일측이 제2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 바디(110)를 통해 벤츄리관(120)과 연결되어 제2 용액을 자동 공급하는 용액 공급 배관(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용액은 수돗물(a) 등이 될 수 있고, 제2 용액은 세제(b) 등 세정을 위한 용액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관(120) 구조의 밸브(1)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세제(b)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120) 구조의 밸브(1)의 구성과 중복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에 있어서,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 또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수도관 또는 배관을 통해 흐르는 수돗물을 개폐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에 구성되며, 중단의 내부 직경이 양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벤츄리관; 및
    일측이 세제 저장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 바디를 통해 벤츄리관과 연결되어 세제를 자동 공급하도록 하는 용액 공급 배관
    을 포함하는,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벤츄리관은,
    상측이 밸브 바디의 입수구 측과 연결되고 하측이 출수구 측과 연결되며, 밸브의 동작에 따라 밸브 축과 연결된 개폐부를 이동시켜 벤츄리관의 상측을 개폐함에 따라 수돗물을 입수구 측에서 출수구 측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이동을 제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벤츄리관은,
    수돗물을 진행 방향에 따라 점차 좁아지다 넓어지는 유로를 통과하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용액 공급 배관을 통해 세제를 인출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벤츄리관은,
    수돗물이 입수구 측에서 출수구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출수구 측에 진공을 발생시켜, 용액 공급 배관을 따라 세제를 인출시켜 수돗물과 함께 출수구 측으로 안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용액 공급 배관은,
    밸브 바디의 출수구 측인 벤츄리관의 점차 좁아지다 넓어지는 유로와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6. 제1 용액이 공급되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흐르는 제1 용액을 개폐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에 구성되며, 중단의 내부 직경이 양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벤츄리관; 및
    일측이 제2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 바디를 통해 벤츄리관과 연결되어 제2 용액을 자동 공급하는 용액 공급 배관
    을 포함하는,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KR1020200097747A 2020-08-05 2020-08-05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KR20220017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47A KR20220017596A (ko) 2020-08-05 2020-08-05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47A KR20220017596A (ko) 2020-08-05 2020-08-05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596A true KR20220017596A (ko) 2022-02-14

Family

ID=8025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747A KR20220017596A (ko) 2020-08-05 2020-08-05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5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151A (ko) 2017-11-28 2019-06-05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151A (ko) 2017-11-28 2019-06-05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US11021863B2 (en) Pre-primed siphonic toilet
JP5299832B2 (ja) 水洗大便器
KR20220017596A (ko) 세제 공급을 위한 벤츄리관 구조의 밸브
FI110538B (fi)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JP5821082B2 (ja) 洗浄タンクの給水装置
KR20030093374A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혼합 및 공급장치
KR100555834B1 (ko)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JP2013040452A (ja) 洗浄タンク装置
KR200383575Y1 (ko)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JP6187759B2 (ja) 水洗大便器装置
KR200409582Y1 (ko) 수도꼭지
JP2021175873A (ja) 水洗大便器
KR102446113B1 (ko) 기체공급밸브
KR102444132B1 (ko) 버블 싱크대
JP2020105885A (ja) 水洗大便器
KR200242795Y1 (ko) 시간절약형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02683133B1 (ko) 로탱크 양변기용 급수장치
US20220064931A1 (en) Flush toilet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200314022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200402548Y1 (ko) 수도꼭지용 절수장치
KR200285388Y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혼합 및 공급장치
KR101834444B1 (ko) 유속량 조절장치
JP2017079947A (ja) 混合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