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372A -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372A
KR20220017372A KR1020210102128A KR20210102128A KR20220017372A KR 20220017372 A KR20220017372 A KR 20220017372A KR 1020210102128 A KR1020210102128 A KR 1020210102128A KR 20210102128 A KR20210102128 A KR 20210102128A KR 20220017372 A KR20220017372 A KR 20220017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parameter
index
picture
predi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동규
최한솔
변주형
박승욱
임화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02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31003A1/ko
Priority to US18/019,342 priority patent/US20230283768A1/en
Priority to CN202180056938.3A priority patent/CN116097648A/zh
Publication of KR2022001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3Motion compensation with multiple frame prediction using two or more reference frames in a given predictio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시간적으로 이전에 부/복호화된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predicted)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 QP)를 생성함으로써,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한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 방법{Method for Predicting Quantization Parameter Used in Image Encoding/Decoding Device}
본 개시는 영상(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이전에 부/복호화된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함으로써,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한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비디오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나 정지 영상 데이터 등에 비하여 많은 데이터량을 가지기 때문에, 압축을 위한 처리 없이 그 자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서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많은 하드웨어 자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에는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며, 복호화기에서는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압축을 해제하고 재생한다. 이러한 비디오 압축 기술로는 H.264/AVC,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을 비롯하여, HEVC에 비해 약 30% 이상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킨 VVC(Versatile Video Coding)가 존재한다.
그러나, 영상의 크기 및 해상도, 프레임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부호화해야 하는 데이터량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압축 기술보다 더 부호화 효율이 좋고 화질 개선 효과도 높은 새로운 압축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해 양자화 그룹 단위로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따라서, 영상 부호화/복호화에 있어서,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이전에 부/복호화된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predicted)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 QP)를 생성함으로써,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한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장치가 수행하는, 현재블록에 대해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elta quantization parameter)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기복호화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영역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elta quantization parameter)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상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기복호화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참조영역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 산정부;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부호화 장치가 수행하는, 현재블록에 대해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블록에 대해 예측 정보,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elta quantization parameter)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기복호화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영역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이전에 부/복호화된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한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QTBTTT 구조를 이용하여 블록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광각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포함한 복수의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현재블록의 주변블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 QP의 산정에 이용되는 주변 블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블록에 기반하는 QP맵에 대한 개념적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블록에 기반하는 QP맵의 대표 QP를 산정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그룹별 QP에 기반하는 QP맵에 대한 개념적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블록에 기반하는 QP맵을 이용하여 예측 QP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의 유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QP맵으로부터 참조영역의 유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그룹별 QP에 기반하는 QP맵의 대표 QP를 산정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도시를 참조하여 영상 부호화 장치와 이 장치의 하위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픽처 분할부(110), 예측부(120), 감산기(130), 변환부(140), 양자화부(145), 재정렬부(150), 엔트로피 부호화부(155),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65), 가산기(170), 루프 필터부(180) 및 메모리(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영상(비디오)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로 구성된다. 각 픽처들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마다 부호화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처는 하나 이상의 타일(Tile) 또는/및 슬라이스(Slice)로 분할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타일을 타일 그룹(Tile Group)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각 타일 또는/슬라이스는 하나 이상의 CTU(Coding Tree Unit)로 분할된다. 그리고 각 CTU는 트리 구조에 의해 하나 이상의 CU(Coding Unit)들로 분할된다. 각 CU에 적용되는 정보들은 CU의 신택스로서 부호화되고, 하나의 CTU에 포함된 CU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보는 CTU의 신택스로서 부호화된다. 또한, 하나의 슬라이스 내의 모든 블록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보는 슬라이스 헤더의 신택스로서 부호화되며, 하나 이상의 픽처들을 구성하는 모든 블록들에 적용되는 정보는 픽처 파라미터 셋(PPS, Picture Parameter Set) 혹은 픽처 헤더에 부호화된다. 나아가, 복수의 픽처가 공통으로 참조하는 정보들은 시퀀스 파라미터 셋(SPS, Sequence Parameter Set)에 부호화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SPS가 공통으로 참조하는 정보들은 비디오 파라미터 셋(VPS, Video Parameter Set)에 부호화된다. 또한, 하나의 타일 또는 타일 그룹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정보는 타일 또는 타일 그룹 헤더의 신택스로서 부호화될 수도 있다. SPS, PPS, 슬라이스 헤더, 타일 또는 타일 그룹 헤더에 포함되는 신택스들은 상위수준(high level) 신택스로 칭할 수 있다.
픽처 분할부(110)는 CTU(Coding Tree Unit)의 크기를 결정한다. CTU의 크기에 대한 정보(CTU size)는 SPS 또는 PPS의 신택스로서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달된다.
픽처 분할부(110)는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픽처(picture)를 미리 결정된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CTU(Coding Tree Unit)들로 분할한 이후에, 트리 구조(tree structure)를 이용하여 CTU를 반복적으로(recursively) 분할한다. 트리 구조에서의 리프 노드(leaf node)가 부호화의 기본 단위인 CU(coding unit)가 된다.
트리 구조로는 상위 노드(혹은 부모 노드)가 동일한 크기의 네 개의 하위 노드(혹은 자식 노드)로 분할되는 쿼드트리(QuadTree, QT), 또는 상위 노드가 두 개의 하위 노드로 분할되는 바이너리트리(BinaryTree, BT), 또는 상위 노드가 1:2:1 비율로 세 개의 하위 노드로 분할되는 터너리트리(TernaryTree, TT), 또는 이러한 QT 구조, BT 구조 및 TT 구조 중 둘 이상을 혼용한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QTBT(QuadTree plus BinaryTree) 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QTBTTT(QuadTree plus BinaryTree TernaryTree)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BTTT를 합쳐서 MTT(Multiple-Type Tree)라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QTBTTT 구조를 이용하여 블록을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TU는 먼저 QT 구조로 분할될 수 있다. 쿼드트리 분할은 분할 블록(splitting block)의 크기가 QT에서 허용되는 리프 노드의 최소 블록 크기(MinQTSize)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QT 구조의 각 노드가 하위 레이어의 4개의 노드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플래그(QT_split_flag)는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된다. QT의 리프 노드가 BT에서 허용되는 루트 노드의 최대 블록 크기(MaxBTSize)보다 크지 않은 경우, BT 구조 또는 TT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BT 구조 및/또는 TT 구조에서는 복수의 분할 방향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노드의 블록이 가로로 분할되는 방향과 세로로 분할되는 방향 두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MTT 분할이 시작되면, 노드들이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플래그(mtt_split_flag)와, 분할이 되었다면 추가적으로 분할 방향(vertical 혹은 horizontal)을 나타내는 플래그 및/또는 분할 타입(Binary 혹은 Ternary)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된다.
대안적으로, 각 노드가 하위 레이어의 4개의 노드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플래그(QT_split_flag)를 부호화하기에 앞서, 그 노드가 분할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CU 분할 플래그(split_cu_flag)가 부호화될 수도 있다. CU 분할 플래그(split_cu_flag) 값이 분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노드의 블록이 분할 트리 구조에서의 리프 노드(leaf node)가 되어 부호화의 기본 단위인 CU(coding unit)가 된다. CU 분할 플래그(split_cu_flag) 값이 분할됨을 지시하는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는 전술한 방식으로 제1 플래그부터 부호화를 시작한다.
트리 구조의 다른 예시로서 QTBT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노드의 블록을 동일 크기의 두 개 블록으로 가로로 분할하는 타입(즉, symmetric horizontal splitting)과 세로로 분할하는 타입(즉, symmetric vertical splitting) 두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BT 구조의 각 노드가 하위 레이어의 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분할 플래그(split_flag) 및 분할되는 타입을 지시하는 분할 타입 정보가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달된다. 한편, 해당 노드의 블록을 서로 비대칭 형태의 두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타입이 추가로 더 존재할 수도 있다. 비대칭 형태에는 해당 노드의 블록을 1:3의 크기 비율을 가지는 두 개의 직사각형 블록으로 분할하는 형태가 포함될 수 있고, 혹은 해당 노드의 블록을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하는 형태가 포함될 수도 있다.
CU는 CTU로부터의 QTBT 또는 QTBTTT 분할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고자 하는 CU(즉, QTBTTT의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블록을 '현재블록'이라 칭한다. QTBTTT 분할의 채용에 따라, 현재블록의 모양은 정사각형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일 수도 있다.
예측부(120)는 현재블록을 예측하여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예측부(120)는 인트라 예측부(122)와 인터 예측부(12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픽처 내 현재블록들은 각각 예측적으로 코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블록의 예측은 (현재블록을 포함하는 픽처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 기술 또는 (현재블록을 포함하는 픽처 이전에 코딩된 픽처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인터 예측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인터 예측은 단방향 예측과 양방향 예측 모두를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부(122)는 현재블록이 포함된 현재픽처 내에서 현재블록의 주변에 위치한 픽셀(참조 픽셀)들을 이용하여 현재블록 내의 픽셀들을 예측한다. 예측 방향에 따라 복수의 인트라 예측모드가 존재한다. 예컨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트라 예측모드는 planar 모드와 DC 모드를 포함하는 2개의 비방향성 모드와 65개의 방향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예측모드에 따라 사용할 주변 픽셀과 연산식이 다르게 정의된다.
직사각형 모양의 현재블록에 대한 효율적인 방향성 예측을 위해, 도 3b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성 모드들(67 ~ 80번, -1 ~ -14 번 인트라 예측모드들)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광각 인트라 예측모드들(wide angle intra-prediction modes)"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b에서 화살표들은 예측에 사용되는 대응하는 참조샘플들을 가리키는 것이며, 예측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예측 방향은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과 반대이다. 광각 인트라 예측모드들은 현재블록이 직사각형일 때 추가적인 비트 전송 없이 특정 방향성 모드를 반대방향으로 예측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이때 광각 인트라 예측모드들 중에서, 직사각형의 현재블록의 너비와 높이의 비율에 의해, 현재블록에 이용 가능한 일부 광각 인트라 예측모드들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45도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광각 인트라 예측모드들(67 ~ 80번 인트라 예측모드들)은 현재블록이 높이가 너비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태일 때 이용 가능하고, -135도보다 큰 각도를 갖는 광각 인트라 예측모드들(-1 ~ -14 번 인트라 예측모드들)은 현재블록이 너비가 높이보다 큰 직사각형 형태일 때 이용 가능하다.
인트라 예측부(122)는 현재블록을 부호화하는데 사용할 인트라 예측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트라 예측부(122)는 여러 인트라 예측모드들을 사용하여 현재블록을 인코딩하고, 테스트된 모드들로부터 사용할 적절한 인트라 예측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부(122)는 여러 테스트된 인트라 예측모드들에 대한 레이트 왜곡(rate-distortion) 분석을 사용하여 레이트 왜곡 값들을 계산하고, 테스트된 모드들 중 최선의 레이트 왜곡 특징들을 갖는 인트라 예측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부(122)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모드 중에서 하나의 인트라 예측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인트라 예측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주변 픽셀(참조 픽셀)과 연산식을 사용하여 현재블록을 예측한다. 선택된 인트라 예측모드에 대한 정보는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달된다.
인터 예측부(124)는 움직임 보상 과정을 이용하여 현재블록에 대한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인터 예측부(124)는 현재픽처보다 먼저 부호화 및 복호화된 참조픽처 내에서 현재블록과 가장 유사한 블록을 탐색하고, 그 탐색된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블록에 대한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현재픽처 내의 현재블록과 참조픽처 내의 예측블록 간의 변위(displacement)에 해당하는 움직임벡터(Motion Vector: MV)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움직임 추정은 루마(luma) 성분에 대해 수행되고, 루마 성분에 기초하여 계산된 움직임벡터는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 모두에 대해 사용된다. 현재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 참조픽처에 대한 정보 및 움직임벡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는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달된다.
인터 예측부(124)는,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참조 픽처 또는 참조 블록에 대한 보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연속한 두 정수 샘플 사이의 서브 샘플들은 그 두 정수 샘플을 포함한 연속된 복수의 정수 샘플들에 필터 계수들을 적용하여 보간된다. 보간된 참조 픽처에 대해서 현재블록과 가장 유사한 블록을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하면, 움직임벡터는 정수 샘플 단위의 정밀도(precision)가 아닌 소수 단위의 정밀도까지 표현될 수 있다. 움직임벡터의 정밀도 또는 해상도(resolution)는 부호화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 예컨대, 슬라이스, 타일, CTU, CU 등의 단위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응적 움직임벡터 해상도(Adaptive Motion Vector Resolution: AMVR)가 적용되는 경우 각 대상 영역에 적용할 움직임벡터 해상도에 대한 정보는 대상 영역마다 시그널링되어야 한다. 예컨대, 대상 영역이 CU인 경우, 각 CU마다 적용된 움직임벡터 해상도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된다. 움직임벡터 해상도에 대한 정보는 후술할 차분 움직임벡터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인터 예측부(124)는 양방향 예측(bi-prediction)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양방향 예측의 경우, 두 개의 참조 픽처와 각 참조 픽처 내에서 현재블록과 가장 유사한 블록 위치를 나타내는 두 개의 움직임벡터가 이용된다. 인터 예측부(124)는 참조픽처 리스트 0(RefPicList0) 및 참조픽처 리스트 1(RefPicList1)로부터 각각 제1 참조픽처 및 제2 참조픽처를 선택하고, 각 참조픽처 내에서 현재블록과 유사한 블록을 탐색하여 제1 참조블록과 제2 참조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참조블록과 제2 참조블록을 평균 또는 가중 평균하여 현재블록에 대한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현재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한 두 개의 참조픽처에 대한 정보 및 두 개의 움직임벡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부호화부(1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참조픽처 리스트 0은 기복원된 픽처들 중 디스플레이 순서에서 현재픽처 이전의 픽처들로 구성되고, 참조픽처 리스트 1은 기복원된 픽처들 중 디스플레이 순서에서 현재픽처 이후의 픽처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순서 상으로 현재픽처 이후의 기복원 픽처들이 참조픽처 리스트 0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역으로 현재픽처 이전의 기복원 픽처들이 참조픽처 리스트 1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움직임 정보를 부호화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트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블록의 참조픽처와 움직임벡터가 주변블록의 참조픽처 및 움직임벡터와 동일한 경우에는 그 주변블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현재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머지 모드(merge mode)'라 한다.
머지 모드에서, 인터 예측부(124)는 현재블록의 주변블록들로부터 기 결정된 개수의 머지 후보블록(이하, '머지 후보'라 함)들을 선택한다.
머지 후보를 유도하기 위한 주변블록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픽처 내에서 현재블록에 인접한 좌측블록(L), 상단블록(A), 우상단블록(AR), 좌하단블록(BL), 좌상단블록(AL)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현재블록이 위치한 현재픽처가 아닌 참조픽처(현재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 참조픽처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음) 내에 위치한 블록이 머지 후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참조픽처 내에서 현재블록과 동일 위치에 있는 블록(co-located block) 또는 그 동일 위치의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이 머지 후보로서 추가로 더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방법에 의해 선정된 머지 후보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보다 작으면, 0 벡터를 머지 후보에 추가한다.
인터 예측부(124)는 이러한 주변블록들을 이용하여 기 결정된 개수의 머지 후보를 포함하는 머지 리스트를 구성한다. 머지 리스트에 포함된 머지 후보들 중에서 현재블록의 움직임정보로서 사용할 머지 후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를 식별하기 위한 머지 인덱스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머지 인덱스 정보는 부호화부(150)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달된다.
머지 스킵(merge skip) 모드는 머지 모드의 특별한 경우로서, 양자화를 수행한 후,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한 변환 계수가 모두 영(zero)에 가까울 때, 잔차신호의 전송 없이 주변블록 선택 정보만을 전송한다. 머지 스킵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움직임이 적은 영상, 정지 영상, 스크린 콘텐츠 영상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부호화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머지 모드와 머지 스킵 모드를 통칭하여, 머지/스킵 모드로 나타낸다.
움직임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모드이다.
AMVP 모드에서, 인터 예측부(124)는 현재블록의 주변블록들을 이용하여 현재블록의 움직임벡터에 대한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들을 유도한다.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들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변블록으로는, 도 4에 도시된 현재픽처 내에서 현재블록에 인접한 좌측블록(L), 상단블록(A), 우상단블록(AR), 좌하단블록(BL), 좌상단블록(AL)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현재블록이 위치한 현재픽처가 아닌 참조픽처(현재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 참조픽처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음) 내에 위치한 블록이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들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변블록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참조픽처 내에서 현재블록과 동일 위치에 있는 블록(collocated block) 또는 그 동일 위치의 블록에 인접한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방법에 의해 움직임벡터 후보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보다 작으면, 0 벡터를 움직임벡터 후보에 추가한다.
인터 예측부(124)는 이 주변블록들의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들을 유도하고,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들을 이용하여 현재블록의 움직임벡터에 대한 예측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현재블록의 움직임벡터로부터 예측 움직임벡터를 감산하여 차분 움직임벡터를 산출한다.
예측 움직임벡터는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들에 기 정의된 함수(예컨대, 중앙값, 평균값 연산 등)를 적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도 기 정의된 함수를 알고 있다. 또한,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변블록은 이미 부호화 및 복호화가 완료된 블록이므로 영상 복호화 장치도 그 주변블록의 움직임벡터도 이미 알고 있다. 그러므로 영상 부호화 장치는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차분 움직임벡터에 대한 정보와 현재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한 참조픽처에 대한 정보가 부호화된다.
한편, 예측 움직임벡터는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차분 움직임벡터에 대한 정보 및 현재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한 참조픽처에 대한 정보와 함께, 선택된 예측 움직임벡터 후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추가로 부호화된다.
감산기(130)는 현재블록으로부터 인트라 예측부(122) 또는 인터 예측부(124)에 의해 생성된 예측블록을 감산하여 잔차블록을 생성한다.
변환부(140)는 공간 영역의 픽셀 값들을 가지는 잔차블록 내의 잔차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의 변환 계수로 변환한다. 변환부(140)는 잔차블록의 전체 크기를 변환 단위로 사용하여 잔차블록 내의 잔차신호들을 변환할 수 있으며, 또는 잔차블록을 복수 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서브블록을 변환 단위로 사용하여 변환을 할 수도 있다. 또는, 변환 영역 및 비변환 영역인 두 개의 서브블록으로 구분하여, 변환 영역 서브블록만 변환 단위로 사용하여 잔차신호들을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 영역 서브블록은 가로축 (혹은 세로축) 기준 1:1의 크기 비율을 가지는 두 개의 직사각형 블록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서브블록 만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플래그(cu_sbt_flag), 방향성(vertical/horizontal) 정보(cu_sbt_horizontal_flag) 및/또는 위치 정보(cu_sbt_pos_flag)가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된다. 또한, 변환 영역 서브블록의 크기는 가로축 (혹은 세로축) 기준 1:3의 크기 비율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해당 분할을 구분하는 플래그(cu_sbt_quad_flag)가 추가적으로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된다.
한편, 변환부(140)는 잔차블록에 대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변환을 위해, 다양한 타입의 변환 함수 또는 변환 행렬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가로 방향 변환과 세로 방향 변환을 위한 변환 함수의 쌍을 MTS(Multiple Transform Set)로 정의할 수 있다. 변환부(140)는 MTS 중 변환 효율이 가장 좋은 하나의 변환 함수 쌍을 선택하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잔차블록을 변환할 수 있다. MTS 중에서 선택된 변환 함수 쌍에 대한 정보(mts_idx)는 엔트로피 부호화부(155)에 의해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된다.
양자화부(145)는 변환부(140)로부터 출력되는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부(155)로 출력한다. 양자화부(145)는, 어떤 블록 혹은 프레임에 대해, 변환 없이, 관련된 잔차 블록을 곧바로 양자화할 수도 있다. 양자화부(145)는 변환블록 내의 변환 계수들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계수(스케일링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2차원으로 배열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적용되는 양자화 행렬은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재정렬부(150)는 양자화된 잔차값에 대해 계수값의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재정렬부(150)는 계수 스캐닝(coefficient scanning)을 이용하여 2차원의 계수 어레이를 1차원의 계수 시퀀스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정렬부(150)에서는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 또는 대각선 스캔(diagonal scan)을 이용하여 DC 계수부터 고주파수 영역의 계수까지 스캔하여 1차원의 계수 시퀀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대신 2차원의 계수 어레이를 열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직 스캔,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행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평 스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대각선 스캔, 수직 방향 스캔 및 수평 방향 스캔 중에서 사용될 스캔 방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5)는, CABAC(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e),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등의 다양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재정렬부(150)로부터 출력된 1차원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의 시퀀스를 부호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또한, 엔트로피 부호화부(155)는 블록 분할과 관련된 CTU size, CU 분할 플래그, QT 분할 플래그, MTT 분할 타입, MTT 분할 방향 등의 정보를 부호화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가 영상 부호화 장치와 동일하게 블록을 분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엔트로피 부호화부(155)는 현재블록이 인트라 예측에 의해 부호화되었는지 아니면 인터 예측에 의해 부호화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예측 타입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하고, 예측 타입에 따라 인트라 예측정보(즉, 인트라 예측모드에 대한 정보) 또는 인터 예측정보(머지 모드의 경우 머지 인덱스, AMVP 모드의 경우 참조픽처 인덱스 및 차분 움직임벡터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한다. 또한, 엔트로피 부호화부(155)는 양자화와 관련된 정보, 즉,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 및 양자화 행렬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한다.
역양자화부(160)는 양자화부(145)로부터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 계수들을 생성한다. 역변환부(165)는 역양자화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변환 계수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공간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잔차블록을 복원한다.
가산부(170)는 복원된 잔차블록과 예측부(120)에 의해 생성된 예측블록을 가산하여 현재블록을 복원한다. 복원된 현재블록 내의 픽셀들은 다음 순서의 블록을 인트라 예측할 때 참조 픽셀로서 사용된다.
루프(loop) 필터부(180)는 블록 기반의 예측 및 변환/양자화로 인해 발생하는 블록킹 아티팩트(blocking artifacts), 링잉 아티팩트(ringing artifacts), 블러링 아티팩트(blurring artifacts) 등을 줄이기 위해 복원된 픽셀들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필터부(180)는 인루프(in-loop) 필터로서 디블록킹 필터(182), SAO(Sample Adaptive Offset) 필터(184) 및 ALF(Adaptive Loop Filter, 186)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182)는 블록 단위의 부호화/복호화로 인해 발생하는 블록킹 현상(blocking artifact)을 제거하기 위해 복원된 블록 간의 경계를 필터링하고, SAO 필터(184) 및 alf(186)는 디블록킹 필터링된 영상에 대해 추가적인 필터링을 수행한다. SAO 필터(184) 및 alf(186)는 손실 부호화(lossy coding)로 인해 발생하는 복원된 픽셀과 원본 픽셀 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이다. SAO 필터(184)는 CTU 단위로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주관적 화질뿐만 아니라 부호화 효율도 향상시킨다. 이에 비하여 ALF(186)는 블록 단위의 필터링을 수행하는데, 해당 블록의 에지 및 변화량의 정도를 구분하여 상이한 필터를 적용하여 왜곡을 보상한다. ALF에 사용될 필터 계수들에 대한 정보는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182), SAO 필터(184) 및 ALF(186)를 통해 필터링된 복원블록은 메모리(190)에 저장된다. 한 픽처 내의 모든 블록들이 복원되면, 복원된 픽처는 이후에 부호화하고자 하는 픽처 내의 블록을 인터 예측하기 위한 참조 픽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 복호화 장치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와 이 장치의 하위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10), 재정렬부(515), 역양자화부(520), 역변환부(530), 예측부(540), 가산기(550), 루프 필터부(560) 및 메모리(5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영상 부호화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상 복호화 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블록 분할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복호화하고자 하는 현재블록을 결정하고, 현재블록을 복원하기 위해 필요한 예측정보와 잔차신호에 대한 정보 등을 추출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또는 PPS(Picture Parameter Set)로부터 CTU size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CTU의 크기를 결정하고, 픽처를 결정된 크기의 CTU로 분할한다. 그리고, CTU를 트리 구조의 최상위 레이어, 즉, 루트 노드로 결정하고, CTU에 대한 분할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CTU를 분할한다.
예컨대, QTBTTT 구조를 사용하여 CTU를 분할하는 경우, 먼저 QT의 분할과 관련된 제1 플래그(QT_split_flag)를 추출하여 각 노드를 하위 레이어의 네 개의 노드로 분할한다. 그리고, QT의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노드에 대해서는 MTT의 분할과 관련된 제2 플래그(MTT_split_flag) 및 분할 방향(vertical / horizontal) 및/또는 분할 타입(binary / ternary)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리프 노드를 MTT 구조로 분할한다. 이에 따라 QT의 리프 노드 이하의 각 노드들을 BT 또는 TT 구조로 반복적으로(recursively) 분할한다.
또 다른 예로서, QTBTTT 구조를 사용하여 CTU를 분할하는 경우, 먼저 CU의 분할 여부를 지시하는 CU 분할 플래그(split_cu_flag)를 추출하고, 해당 블록이 분할된 경우, 제1 플래그(QT_split_flag)를 추출할 수도 있다. 분할 과정에서 각 노드는 0번 이상의 반복적인 QT 분할 후에 0번 이상의 반복적인 MTT 분할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CTU는 바로 MTT 분할이 발생하거나, 반대로 다수 번의 QT 분할만 발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QTBT 구조를 사용하여 CTU를 분할하는 경우, QT의 분할과 관련된 제1 플래그(QT_split_flag)를 추출하여 각 노드를 하위 레이어의 네 개의 노드로 분할한다. 그리고, QT의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노드에 대해서는 BT로 더 분할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분할 플래그(split_flag) 및 분할 방향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는 트리 구조의 분할을 이용하여 복호화하고자 하는 현재블록을 결정하게 되면, 현재블록이 인트라 예측되었는지 아니면 인터 예측되었는지를 지시하는 예측 타입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예측 타입 정보가 인트라 예측을 지시하는 경우,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는 현재블록의 인트라 예측정보(인트라 예측모드)에 대한 신택스 요소를 추출한다. 예측 타입 정보가 인터 예측을 지시하는 경우,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는 인터 예측정보에 대한 신택스 요소, 즉, 움직임벡터 및 그 움직임벡터가 참조하는 참조픽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는 양자화 관련된 정보, 및 잔차신호에 대한 정보로서 현재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재정렬부(515)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수행된 계수 스캐닝 순서의 역순으로, 엔트로피 복호화부(510)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된 1차원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의 시퀀스를 다시 2차원의 계수 어레이(즉, 블록)로 변경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520)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한다. 역양자화부(520)는 2차원으로 배열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서로 다른 양자화 계수(스케일링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역양자화부(520)는 영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양자화 계수(스케일링 값)들의 행렬을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의 2차원 어레이에 적용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부(530)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공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여 잔차신호들을 복원함으로써 현재블록에 대한 잔차블록을 생성한다.
또한, 역변환부(530)는 변환블록의 일부 영역(서브블록)만 역변환하는 경우, 변환블록의 서브블록만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플래그(cu_sbt_flag), 서브블록의 방향성(vertical/horizontal) 정보(cu_sbt_horizontal_flag) 및/또는 서브블록의 위치 정보(cu_sbt_pos_flag)를 추출하여, 해당 서브블록의 변환계수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공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함으로써 잔차신호들을 복원하고, 역변환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는 잔차신호로 “0”값을 채움으로써 현재블록에 대한 최종 잔차블록을 생성한다.
또한, MTS가 적용된 경우, 역변환부(530)는 영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시그널링된 MTS 정보(mts_idx)를 이용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적용할 변환 함수 또는 변환 행렬을 결정하고, 결정된 변환 함수를 이용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변환블록 내의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변환을 수행한다.
예측부(540)는 인트라 예측부(542) 및 인터 예측부(54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542)는 현재블록의 예측 타입이 인트라 예측일 때 활성화되고, 인터 예측부(544)는 현재블록의 예측 타입이 인터 예측일 때 활성화된다.
인트라 예측부(542)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로부터 추출된 인트라 예측모드에 대한 신택스 요소로부터 복수의 인트라 예측모드 중 현재블록의 인트라 예측모드를 결정하고, 인트라 예측모드에 따라 현재블록 주변의 참조 픽셀들을 이용하여 현재블록을 예측한다.
인터 예측부(544)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로부터 추출된 인터 예측모드에 대한 신택스 요소를 이용하여 현재블록의 움직임벡터와 그 움직임벡터가 참조하는 참조픽처를 결정하고, 움직임벡터와 참조픽처를 이용하여 현재블록을 예측한다.
가산기(550)는 역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잔차블록과 인터 예측부 또는 인트라 예측부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블록을 가산하여 현재블록을 복원한다. 복원된 현재블록 내의 픽셀들은 이후에 복호화할 블록을 인트라 예측할 때의 참조픽셀로서 활용된다.
루프 필터부(560)는 인루프 필터로서 디블록킹 필터(562), SAO 필터(564) 및 ALF(566)를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562)는 블록 단위의 복호화로 인해 발생하는 블록킹 현상(blocking artifact)을 제거하기 위해, 복원된 블록 간의 경계를 디블록킹 필터링한다. SAO 필터(564) 및 ALF(566)는 손실 부호화(lossy coding)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원된 픽셀과 원본 픽셀 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디블록킹 필터링 이후의 복원된 블록에 대해 추가적인 필터링을 수행한다. ALF의 필터 계수는 비스트림으로부터 복호한 필터 계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디블록킹 필터(562), SAO 필터(564) 및 ALF(566)를 통해 필터링된 복원블록은 메모리(570)에 저장된다. 한 픽처 내의 모든 블록들이 복원되면, 복원된 픽처는 이후에 부호화하고자 하는 픽처 내의 블록을 인터 예측하기 위한 참조 픽처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이전에 부/복호화된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함으로써,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한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은 부호화 장치 및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고, 영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복호화 장치 및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된다.
'대상블록(target block)'이라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현재블록 또는 코딩유닛(CU)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CU의 일부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장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복호화 장치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장치(600, 이하 'QP 생성장치')는, 양자화 그룹(quantization group) 단위로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predicted Quantization Parameter, 이하, '예측 QP')를 산정한 후, 예측 QP와 현재블록의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residual Quantization Parameter, 이하, '잔차 QP')를 가산하여 양자화 파라미터 QP를 생성한다. QP 생성장치(6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10), 메모리(570), 예측 QP 산정부(602) 및 가산기(60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측 QP 산정부(602) 및 가산기(604)는 역양자화부(520)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510)는, 복호화하고자 하는 현재블록에 대한 차분 QP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화한다.
메모리(570)는 복원된 픽처가 저장되는 복원픽처 버퍼 및 양자화파라미터 맵(이하, 'QP맵')이 저장되는 QP맵 버퍼를 포함한다. QP맵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된 복원 픽처는 참조픽처로 이용될 수 있고, 저장된 QP맵은 참조 QP맵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양자화 그룹의 주변 블록의 QP를 이용하여, 예측 QP를 생성할 수 있다. 예측 QP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가산기(604)는 예측 QP와 차분 QP를 가산하여 현재블록에 대한 QP를 산정한다.
이하, 도 7 및 도 12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자 하는 현재블록에 대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QP 생성장치(6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화하고자 하는 현재블록에 대한 차분 QP를 획득한다(S700).
한편, 양자화 그룹은 CTU일 수 있으며, CTU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CU의 그룹일 수 있다. 예측 QP는 양자화 그룹 단위로 산정될 수 있다. 현재블록이 양자화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즉, 양자화 그룹이 복수 개의 CU의 그룹인 경우, 복수 개의 CU에 대해 하나의 차분 QP가 복호화된다. 현재블록의 크기가 양자화 그룹의 크기와 같은 경우(즉, 현재블록의 크기가 양자화 그룹의 기정의된 최소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서 현재블록 단위로 양자화되는 경우), 차분 QP가 복호화된다.
QP 생성장치(600)는 양자화 그룹의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 QP를 산정한다(S702).
QP 생성장치(600)의 예측 QP 산정부(602)는 예측 QP를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양자화 그룹이 슬라이스의 첫 번째 양자화 그룹인 경우, 예측 QP 산정부(602)는 슬라이스 단위로 전송되는 QP를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 사용한다. 양자화 그룹이 슬라이스의 첫 번째 양자화 그룹이 아닌 경우,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측 QP 산정부(602)는 양자화 그룹의 첫 번째 픽셀의 상단 또는 좌측 픽셀을 포함하는 CU의 QP를 이용하여 예측 QP를 산정할 수 있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상단 CU의 양자화 파라미터와 좌측 CU의 양자화 파라미터 중 이용 가능한 파라미터를 가중 합산하여 예측 QP를 산정한다.
QP 생성장치(600)는 예측 QP와 차분 QP를 가산하여 현재블록에 대한 QP를 생성한다(S704).
한편, 양자화 그룹이 포함된 슬라이스가 인터 예측 기반의 슬라이스일 경우, 양자화 그룹의 첫 번째 CU에 대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참조픽처의 인덱스, 움직임벡터) 쌍을 기반으로 QP맵 상의 QP를 참조하여 예측 QP를 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QP맵은 QP맵 버퍼에 저장된 대표(representative) 양자화 파라미터(이하 '대표 QP')의 집합일 수 있다. 하나의 픽처에서 산정된 대표 QP들은 순차적으로, 또는 프레임의 영역별로 2차원 배열 형태로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처를 N×M 블록(여기서, N은 가로 방향의 픽셀의 개수, M은 세로 방향의 픽셀의 개수) 단위로 분할한 후, N×M 블록 각각이 대표 QP를 갖는, 픽처에 대한 QP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장치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N×M 블록과 겹치는 양자화 그룹의 QP를 이용하여 N×M 블록에 대한 대표 QP를 산정할 수 있다. 즉, 복호화 장치는, N×M 블록과 겹치는 양자화 그룹의 QP를 가중합하여 대표 QP를 산정할 수 있다. 이때, 가중합에 이용되는 가중치는, 각 양자화 그룹과 N×M 블록 간에 겹치는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산정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는, 메모리(570)에서, QP맵의 픽처별 저장, 삭제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때, QP맵에 대응되는 참조픽처에 대한 POC가 QP맵의 인덱스로 지정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는, QP맵의 인덱스, 가로/세로 방향의 개수, 또는 N과 M의 값을 이용하여 메모리(570) 상의 QP맵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세로 방향의 개수는, 하나의 픽처를 N×M 블록 단위로 분할하는 경우, 픽처의 가로/세로 방향의 분할 개수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9의 예시에서, 가로 방향의 개수와 세로 방향의 개수는 동일하게 4이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QP맵에 대응되는 참조픽처에 대한 인덱스가 QP맵의 인덱스로 지정될 수 있다.
한편, QP맵이 메모리(570)에 저장되는 순서는 복원된 픽처가 복원피처 버퍼에 저장되는 순서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특정 프레임 간격으로 QP맵이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특정 레이어 인덱스(layer index)를 갖는 프레임의 QP맵이 메모리(570)에 저장할 수 있다.
QP맵이 메모리(570)로부터 삭제되는 순서는 복원피처 버퍼로부터 복원된 픽처가 삭제되는 순서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n(여기서, n은 자연수) 프레임 지연 이후, 특정 프레임 간격으로 메모리(570)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QP맵은 QP맵 버퍼에 저장된, 양자화 그룹별 QP의 집합일 수 있다. 하나의 픽처에서 산정된 QP는 프레임의 영역별로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2에 예시된 흐름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자화 그룹이 포함된 슬라이스가 인터 예측 기반의 슬라이스일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 블록에 기반하는 QP맵을 이용하여 예측 QP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QP 생성장치(600)는, 양자화 그룹이 포함된 슬라이스가 인터 예측 기반의 슬라이스일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화하고자 하는 현재블록에 대한 참조픽처 인덱스 및 움직임벡터를 획득한다(S1200).
QP 생성장치(600)의 예측 QP 산정부(602)는, 참조픽처 인덱스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참조 QP맵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인덱스를 유도한다(S1202).
현재블록의 참조픽처 인덱스가 복수 개일 경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픽처 인덱스를 이용하여, 예측 QP 산정부(602)는 메모리 내의 QP맵 버퍼에 저장된 참조 QP맵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인덱스를 유도할 수 있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양자화 그룹의 첫 번째 코딩유닛의 참조픽처 인덱스가 지정하는 참조픽처의 POC를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로 지정할 수 있다.
참조픽처의 POC를 갖는 참조 QP맵이 QP맵 버퍼 상에 없을 경우, 예측 QP 산정부(602)는, 인덱스를 유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인덱스 유도방법 1에서, 예측 QP 산정부(602)는 참조픽처의 POC에 가장 근접한 값을 갖는 참조 QP맵의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 QP 산정부(602)는, '현재픽처 POC(Picture Order Count) < 참조픽처 POC'인 경우, '현재픽처 POC < 참조 QP맵 인덱스'인 조건을 따를 수 있고, '현재픽처 POC > 참조픽처 POC'인 경우, '현재픽처 POC > 참조 QP맵 인덱스'인 조건을 따를 수 있다. 여기서, 현재픽처는 현재블록을 포함하는 픽처이다.
도 13에 예시된 인덱스 유도방법 1은, 현재픽처의 POC가 1이고, 두 개의 참조픽처에 대한 POC가 0과 5인 경우에 대해, QP맵 버퍼 상에서 참조 QP맵의 인덱스도 0과 5로 지정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인덱스 유도방법 2에서, 양자화 그룹의 첫 번째 코딩유닛에 대해, 예측 QP 산정부(602)는 QP맵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QP맵 중, 인덱스가 '현재픽처 POC < 인덱스 <= 참조픽처 POC' 또는 '현재픽처 POC > 인덱스 >= 참조픽처 POC' 이고, 현재픽처 POC와 차이가 가장 작은 인덱스를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로 지정할 수 있다.
도 13에 예시된 인덱스 유도방법 2는, 현재픽처의 POC가 1인 경우에, 현재픽처 POC와 차이가 가장 작아지도록, QP맵 버퍼 상에서 참조 QP맵의 인덱스를 0과 2로 지정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참조 QP맵으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영역을 유도한다(S1204). 이때,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에서 이용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픽처와 쌍을 이루는 움직임벡터가 참조영역을 지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은, 참조 QP맵에 포함된 N×M 블록 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도 14는, 두 개의 움직임벡터 mv1과 mv2를 이용하여, 예측 QP 산정부(602)가 참조 QP맵1과 참조 QP맵2 각각으로부터, 두 개의 참조영역을 유도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한편, 현재블록에 대한 참조픽처 POC와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가 상이할 경우, 예측 QP 산정부(602)는,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 (mvX, myY)에 대해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스케일링된 움직임벡터 (mvXscaled, mvXscaled)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POCcurrPic는 현재픽처의 POC이고, POCpredPic는 참조픽처의 POC이며, IDXpredQPmap은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영역에 해당하는 대표 QP를 가중합하여 예측 QP를 생성한다(S1206). 여기서, 가중치는, 대표 QP를 포함하는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와 현재픽처의 POC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장치는 복호화 장치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부호화 장치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부호화 장치에서는, 부호화하고자 하는 현재블록에 대한 차분 QP, 참조픽처 인덱스, 및 움직임벡터가 부호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후, 이들을 이용하여 예측 OP를 산정하는 과정은, 복호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방법과 동일하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QP맵이 양자화 그룹 별 QP의 집합인 경우, 예측 QP를 생성하는 과정(S1202 내지 S1206)은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QP 생성장치(600)의 예측 QP 산정부(602)는, 참조픽처 인덱스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참조 QP맵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인덱스를 유도한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양자화 그룹의 첫 번째 코딩유닛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인덱스 유도방법 1 또는 인덱스 유도방법 2를 이용하여, 참조 QP맵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인덱스를 유도할 수 있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참조 QP맵으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영역을 유도한다. 이때, 이때,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에서 이용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픽처와 쌍을 이루는 움직임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영역은,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벡터가 지정하는 지점을 좌상단으로 하고, 그 크기는 현재픽처 내의 양자화 그룹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참조영역에 대해, 예측 QP 산정부(602)는 참조영역과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겹치는 양자화 그룹의 QP를 가중합하여 대표 QP를 산정할 수 있다. 이때, 가중합에 이용되는 가중치는, 각 양자화 그룹과 참조영역 간에 겹치는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산정될 수 있다. 도 15는, 움직임벡터 mv1에 의한 참조영역, 및 참조영역과 겹치는 양자화 그룹의 QP를 이용하여, 예측 QP 산정부(602)가 대표 QP를 산정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예측 QP 산정부(60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영역에 해당하는 대표 QP를 가중합하여 예측 QP를 생성한다. 여기서, 가중치는, 대표 QP를 포함하는 참조 QP맵에 대한 인덱스와 현재픽처의 POC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산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5에 예시된 두 방법 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도 10의 경우, QP 생성장치(600)는 N×M 블록에 대한 대표 QP를 포함하는 QP맵을 생성하여 버퍼에 저장한 후, 참조 QP맵으로 이용한다. 이때, 대표 QP는 N×M 블록과 겹치는 양자화 그룹의 QP를 가중합하여 산정될 수 있다. 대표 QP에 기반하는 QP맵은, 생성 단계를 필요로 하나, 소요되는 저장 공간을 감소시키고, 접근이 단순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5의 경우, QP 생성장치(600)는 양자화 그룹의 QP를 포함하는 QP맵을 그대로 버퍼에 저장한 후, 참조 QP맵으로 이용한다. 추후, 대표 QP는 양자화 그룹과 동일한 크기의 참조영역과 겹치는, 참조 QP맵 상의 QP를 가중합하여 산정될 수 있다. 양자화 그룹에 기반하는 QP맵은, 사전 생성 단계를 필요로 하지는 않으나, 소요되는 저장 공간이 증가되고, 접근이 복잡해질 수 있다.
한편, 인트라 블록 복사(Intra Block Copy: IBC)는 SCC(Screen Content Coding)에서 이용되는 부/복호화 방법이다, 부호화 장치는 블록매칭(Block Matching: BM)을 수행하여 현재블록을 예측하기 위한 블록벡터(Blcok Vector: BV)를 찾는다. BV는 현재블록에 대해 참조블록을 지정하는 벡터로서, 참조블록은 현재 픽처 중 복원된 영역에 포함된다. 복호화 장치는, BV를 이용하여 참조블록을 생성함으로써, 현재블록을 예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IBC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부/복호화 장치는 이러한 BV가 지정하는 참조블록의 QP를 이용하여 양자화 그룹에 대한 예측 QP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순서도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순서도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순서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혹은 방법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가능한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자기 하드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4: 인터 예측부 190: 메모리
165: 역변환부
510: 엔트로피 복호화부 570: 메모리
544: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장치
602: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 산정부
604: 가산기

Claims (16)

  1. 영상 복호화 장치가 수행하는, 현재픽처에 포함된 현재블록에 대해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elta quantization parameter)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기복호화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영역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정보는 상기 현재블록의 참조픽처의 인덱스 및 움직임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픽처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은 각각은,
    서로 다른 기복호화된 참조픽처들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 각각은 대응하는 참조픽처 내의 블록들에 적용되었던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픽처 내에 영역들 단위로 생성된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2차원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 각각은,
    N×M 블록들(여기서, N은 가로 방향의 픽셀의 개수, M은 세로 방향의 픽셀의 개수) 단위로 분할된 하나의 픽처에 대해, 상기 N×M 블록들 각각에 대해 산정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포함된 N×M 블록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움직임벡터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M 블록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는,
    상기 N×M 블록이 포함된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응하는 참조픽처 내에서, 상기 N×M 블록과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N×M 크기의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블록들의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제1 가중치들을 기반으로 가중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들은,
    상기 블록들과 상기 N×M 크기의 영역 간에 겹치는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픽처 인덱스가 지정하는 참조픽처의 POC(Picture Order Count)를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한 인덱스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픽처의 POC와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이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참조픽처의 POC에 가장 근접한 인덱스를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의 인덱스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픽처의 POC와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이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픽처의 POC와 차이가 가장 작은 인덱스를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한 인덱스로 선정하되,
    상기 선정된 인덱스는 상기 현재픽처의 POC보다 크고 상기 참조픽처의 POC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참조픽처의 POC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현재픽처의 POC보다 작은 경우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픽처의 POC와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한 인덱스가 상이할 경우,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한 인덱스, 상기 현재픽처의 POC, 및 상기 참조픽처의 POC를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벡터를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제2 가중치들을 기반으로 가중합하여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방법.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치들은,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한 인덱스와 상기 현재픽처의 POC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현재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elta quantization parameter)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화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상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기복호화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참조영역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 산정부;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가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정보는 상기 현재블록의 참조픽처의 인덱스 및 움직임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 산정부는,
    상기 참조픽처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를 유도하고, 상기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유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가중합하여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은 각각은,
    서로 다른 기복호화된 참조픽처들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 각각은 대응하는 참조픽처 내의 블록들에 적용되었던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픽처 내에 영역들 단위로 생성된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2차원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생성장치.
  15. 영상 부호화 장치가 수행하는, 현재블록에 대해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블록에 대해 예측 정보,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elta quantization parameter)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기복호화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참조영역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블록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정보는 상기 현재블록의 참조픽처의 인덱스 및 움직임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픽처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참조영역을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은 각각은,
    서로 다른 기복호화된 참조픽처들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참조 양자화파라미터맵들 각각은 대응하는 참조픽처 내의 블록들에 적용되었던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픽처 내에 영역들 단위로 생성된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2차원 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0102128A 2020-08-04 2021-08-03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 방법 KR20220017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0227 WO2022031003A1 (ko) 2020-08-04 2021-08-04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 방법
US18/019,342 US20230283768A1 (en) 2020-08-04 2021-08-04 Method for predicting quantization parameter used in a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CN202180056938.3A CN116097648A (zh) 2020-08-04 2021-08-04 用于预测视频编码/解码装置中使用的量化参数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612 2020-08-04
KR20200097612 2020-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372A true KR20220017372A (ko) 2022-02-11

Family

ID=8026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128A KR20220017372A (ko) 2020-08-04 2021-08-03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3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7095A (ko) 인트라 예측을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20018447A (ko) 딥러닝 기반 인터 예측을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KR20220118351A (ko) 인트라 예측 신호와 인터 예측 신호의 가중 합을 이용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20071939A (ko)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4509216A (ja) イントラ予測モード誘導を用いるビデオコーディングのためのイントラ予測方法及び装置
US20230396795A1 (en) Inter prediction-based video encoding and decoding
KR20220077096A (ko) 블록병합을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20125175A (ko) 인트라 예측모드 유도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방법 및 장치
KR20220017372A (ko) 영상 부/복호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예측 방법
US20230308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using block merging
US20230283768A1 (en) Method for predicting quantization parameter used in a video encoding/decoding apparatus
KR20220118349A (ko) 인터 예측 기반의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KR20230026944A (ko) 개선된 인루프 필터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방법 및 장치
KR20220137549A (ko) 적응적 인트라 예측 정밀도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방법 및 장치
KR20220126226A (ko) 나선스캔 순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방법 및 장치
KR20220071931A (ko) 효율적인 예측 및 변환을 위한 블록 분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36162A (ko) 매핑 기반 비디오 코딩방법 및 장치
KR20210088448A (ko) 이종 해상도를 갖는 참조 픽처 기반의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KR20220071944A (ko) 성분 간 참조를 이용하는 잔차신호 생성방법과 장치
KR20220137553A (ko) 디코더 측면의 움직임 보상을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방법 및 장치
KR20230105647A (ko) 개선된 차분 움직임벡터 머지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30105648A (ko) 공간적 상관성을 이용하는 디코더측 움직임벡터 유도 방법
KR20230085063A (ko) 참조샘플라인의 유도 기반 인트라 예측을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방법 및 장치
KR20220025689A (ko) 딥러닝 기반 인루프 필터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KR20220071945A (ko) 기하학적 변환에 기반하는 블록 복사를 이용하는 인트라 예측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