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719A - 식물 재배기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719A
KR20220016719A KR1020200097020A KR20200097020A KR20220016719A KR 20220016719 A KR20220016719 A KR 20220016719A KR 1020200097020 A KR1020200097020 A KR 1020200097020A KR 20200097020 A KR20200097020 A KR 20200097020A KR 20220016719 A KR20220016719 A KR 20220016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tation shaft
baffles
plant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489B1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김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곤 filed Critical 김형곤
Priority to KR102020009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4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재배통에 개별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일부 수관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재배통에는 물이 제대로 공급되어 식물의 생산성과 설치 및 관리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배플을 이용하여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는 대형의 식물 재배 라인을 구축할 수 있고, 물 공급이 수관들의 일단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넓은 공간에 연속된 라인 형태의 대형 구조로 설치하더라도 급수관이 꼬이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공간 이용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기{PLANT CULTIVA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재배통을 구비하여 이를 회전시키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재배통에 개별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일부 수관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재배통에는 물이 제대로 공급되어 식물의 생산성과 설치 및 관리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배플을 이용하여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는 대형의 식물 재배 라인을 구축할 수 있고, 물 공급이 수관들의 일단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넓은 공간에 연속된 라인 형태의 대형 구조로 설치하더라도 급수관이 꼬이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공간 이용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친환경의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자 여러 종류의 관상용 초화류를 재배하고 있다. 이때 화분이나 초화류 재배 장치를 이용하는데, 종래의 화분이나 초화류 재배 장치는 단일 재배 공간을 가지는 구조로서 한 종류의 식물만을 담아서 재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관상용 초화류를 재배하여 자연적인 실내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야외에서는 일반적으로 노지에 이랑을 만든 후 그 위에 식물을 심어서 재배하게 된다. 또한, 동계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비닐 하우스 등의 설비가 도입되었으며,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도 그 내부에 있는 토양 위에 식물을 심어서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토양 위에 식물을 심어서 재배하는 경우 재배할 수 있는 공간에 한계가 있어 공간 이용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통상 대지 보다는 대기 중의 온도가 더 높은데 비닐 하우스 내부 토양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난방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공간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냉해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면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과 선행문헌 2는 단독 재배기로서 공간 이용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일부 있긴 하지만 제품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좁은 실내에서 소량의 식물을 재배하는 용도에 그칠 뿐, 비닐 하우스와 같은 넓은 공간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여러 대를 설치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물 공급시 각각의 장치 별로 물 공급 라인을 구비해야 하므로 물 공급 라인이 복잡해지면서 급수관이 꼬이는 등 공간 이용 활용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 1과 선행문헌 2의 재배기는 하나의 물 공급 라인을 이용하여 모든 재배통에 돌아가면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인데, 이 경우 하나의 물 공급 라인에 문제가 발생하면 모든 수관과 재배통에 물이 공급될 수 없기 때문에 만약 대형으로 제작한다 하더라도 설치 및 관리 상의 편의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1864228 등록실용 20-03386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재배통에 개별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일부 수관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재배통에는 물이 제대로 공급되어 식물의 생산성과 설치 및 관리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한 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는 대형의 식물 재배 라인을 구축할 수 있으며, 물 공급 라인을 단순화시켜 넓은 공간에 연속된 라인 형태의 대형 구조로 설치하더라도 급수관이 꼬이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공간 이용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탠드;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복수의 배플; 인접한 배플을 연결하고, 상기 배플에 원형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물 공급부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수관; 및 상기 각각의 수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수관으로부터 물을 각각 공급 받는 복수의 재배통; 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플과 바닥 면 사이에 상기 배플 회전시 마찰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배플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재배통의 바닥 면에 매립되어 상기 재배통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식물 재배기는, 상기 배플에 니플이 설치되고, 상기 니플의 양단에 수관이 하나씩 끼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관이 길게 연결되는 연속된 라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에 복수의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온풍기 또는 냉풍기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구를 통해 온풍 또는 냉풍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인접한 2개의 배플 사이에 상기 복수의 수관, 상기 복수의 재배통 및 상기 회전축을 커버하도록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배플을 연속하여 배치하고, 배플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수관을 설치하고, 각각의 수관 마다 재배통을 설치하되, 각각의 수관에 대응하는 재배통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복수의 재배통에 개별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일부 수관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재배통에는 물이 제대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의 생산성과 설치 및 관리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배플을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하고 이러한 배플들을 연결하도록 복수의 수관을 설치하여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는 대형의 식물 재배 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 공급이 수관들의 일단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물 공급 라인을 단순화시켜 넓은 공간에 연속된 라인 형태의 대형 구조로 설치하더라도 급수관이 꼬이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공간 이용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관과 재배통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수관의 물 분사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관과 배플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식물 재배기에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음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표시된 X, Y 및 Z는 각각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 1에서 재배통(71)은 다른 구성 요소와의 겹치는 형태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점선으로 표기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식물 재배기는, 회전축(51), 제1 및 제2 스탠드(10A, 10B), 복수의 배플(21, 31, 41), 복수의 수관(61) 및 복수의 재배통(71)을 포함한다.
회전축(51)은 X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표면에 복수의 분사구(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51)은, 일단이 폐쇄된 상태가 될 수 있고, 타단은 연결관 또는 연결 호스 등의 연결부(53)를 통해 외부에 위치한 별도의 온풍기 또는 냉풍기 등의 송풍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축(51)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배플(21, 31, 41)과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복수의 배플(21, 31, 41)을 회전시키는 중심회전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바람을 이동시키고 공급하는 풍관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51)은 도면 상 X방향으로 회전축(51)의 우측 단부가 폐쇄된 상태이고, 좌측 단부가 연결부(53)와 연결되는 구조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와 반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회전축(51)이 온풍기와 연결된 경우, 온풍기를 작동시키면 연결부(53)를 통해 전달되는 온풍이 회전축(51)의 분사구(52)들을 통해 식물 재배기가 설치된 곳으로 분사되어 재배통(71) 주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51)의 타단이 냉풍기와 연결된 경우, 냉풍기를 작동시키면 연결부(53)를 통해 전달되는 냉풍이 회전축(51)의 분사구(52)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재배통(71)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탠드(10A, 10B)는 X방향으로 식물 재배기의 양단에 설치되고, 회전축(51)의 양단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스탠드(10A, 10B)는 바닥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수평부(11, 12)와, 제1 및 제2 수평부(11, 12)에서 Z방향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부(13, 1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수평부(11, 12)는 회전축(5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 수직부(13, 14)에는 회전축(51)의 양단이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지지되도록 회전축 결합공(13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직부(14)에는 회전축(51)의 일단과 연결되어 회전축(51)을 전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모터와 같은 구동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구동부(15)를 이용하면 별도의 수작업 없이 사용자의 설정 및 제어에 따라 회전축(51)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수관(61)들의 Y방향으로의 위치 및 Z방향으로의 높이를 연속으로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는 별도의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제어부를 이용하여 회전축(51)의 회전속도, 작동시간, 회전축(51)의 온/오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배플(21, 31, 41)은 대체로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X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51)이 관통하며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회전축 관통공(23, 33, 43)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축(51)이 회전할 때 연동하여 같이 회전하게 된다. 즉, 배플(21, 31, 41)은 회전축(51)과 별개로 자전하는 것이 아니며, 회전축(51)에 고정되어 회전축(51) 회전시 원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일 예로서, 배플(21, 31, 41)이 회전축(51)과 연동하여 회전축(51) 회전시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축(51)은 배플(21, 31, 41)의 회전축 관통공(23, 33, 43)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회전축(51)과 배플(21, 31, 41)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플은 2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배플(21, 31, 41)이 X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시 배플은 2개가 X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4개 이상이 X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배플(21, 31, 41)이 X방향으로 3개 이상 연이어 배치되면 배플의 설치된 개수만큼 X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는 식물 재배 라인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의 식물 재배기를 비닐 하우스 등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 공간에 맞게 배플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공간 이용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가 설치되는 현장의 공간에 맞게 복수 개의 배플을 X방향으로 길게 연결하여, X방향으로 길게 연속되는 식물 재배 라인을 구비하는 경우, 회전축(51)과 배플(21, 31, 41)의 결합 상태를 간편한 방법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일 예로서 회전축(51)과 배플(21, 31, 41)은 기어 맞물림의 구조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X방향으로 배플(21, 31, 41)의 설치된 간격에 맞춰 회전축(51)의 둘레에 복수의 톱니를 가지는 평기어를 각각 장착하고, 배플(21, 31, 41)의 회전축 관통공(23, 33, 43)의 내측 면에는 이러한 평기어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홈을 형성하여, 회전축(51)의 평기어와 배플(21, 31, 41)의 홈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축(51)과 배플(31, 41, 51)이 서로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용접과 같은 공정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회전축(51) 회전시 배플(21, 31, 41)이 연동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51)과 배플(21, 31, 41)을 결합할 수 있고, 필요시 배플(21, 31, 41)과 회전축(51)의 분리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배플(21, 31, 41)은 회전축(51)과 복수의 수관(61) 및 복수의 재배통(71)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당한 하중이 실리게 된다. 만약 배플이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공중에 떠 있는 구조라면 배플(21, 31, 41)에 실리는 하중으로 인해 회전축(51)이 아래쪽으로 휘거나 심한 경우 회전축(51)이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배플(21, 31, 41)이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바닥에 그대로 닿도록 놓여지면 회전축(51) 회전시 배플(21, 31, 41)의 가장자리 면이 바닥에 끌리면서 심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배플(21, 31, 41)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배플(21, 31, 41) 자체 또는 배플(21, 31, 41)과 연결된 수관(61)이나 회전축(51)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각각의 배플(21, 31, 41)과 바닥 면 사이에 회전 롤러(81)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롤러(81)는 배플(21, 31, 41)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분산시키면서, 배플(21, 31, 41) 회전시 회전 롤러(81)가 베어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마찰을 최대한 감소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롤러(81)는 배플(21, 31, 4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마찰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나에 배플 마다 Y방향으로 마주보게 각각 2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시 하나에 배플에 3개 이상의 회전 롤러가 설치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
수관(61)은 X방향으로 인접한 배플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다. 그리고, 복수의 수관(61)이 Y-Z 방향으로 볼 때 하나의 배플(21, 31, 41)에 원형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수관(61)을 설치하기 위해 배플(21, 31, 41)에는 원형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관 설치공(22, 32, 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전축(51)이 회전하여 배플(21, 31, 41)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면, 배플(21, 31, 41)에 설치된 복수의 수관(61)의 Y방향의 위치와 Z방향의 위치가 계속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관(61)은 배플(21, 31, 41)의 수관 설치공(22, 32, 42)에 일체형으로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수관 설치공(22, 32, 42) 내에서 헛돌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관(61)의 직경을 수관 설치공(22, 32, 4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관(61)이 수관 설치공(22, 32, 42) 내에서 헛돌게 배플(21, 31, 41)에 설치되면 후술하는 수관(61)에 결합되는 재배통(71)이 수관(61)에 일체형으로 접합되어 고정되더라도 회전축(51)의 회전 여부와 상관 없이 재배통(71)의 개방된 부분은 항상 상측을 향하는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재배통(71)에 수납된 식물이 바닥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관(61)은 일단에 연결 호스(62) 등이 각각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호스(62)는 외부의 물 공급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물 공급 장치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 수관(61)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수관만 연결 호스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 모든 수관이 각각의 연결 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관과 물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배통(71)은 배지통 또는 수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수관(61)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인접한 배플 사이에서 하나의 수관(61)에 하나의 재배통(71)이 각각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배통(71)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면 인접한 배플 사이에서 하나의 수관(61)에 2개 이상의 재배통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통(71)은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사용자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재배통(71)은 고리와 같은 고정 수단(72)을 이용하여 수관(6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리(72)는 수관(61)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관(61)이 헛돌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재배통(71)의 무게에 의해 회전축(51)의 회전 여부와 상관 없이 재배통(71)의 개방된 부분은 항상 상측을 향하게 되고, 재배통(71)의 Z방향으로 상측에는 항상 재배통(71)과 연결된 서로 대응하는 수관(61)이 하나씩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재배통(71)이 대지로부터 이격되어 식물이 대지로부터 부양되어 있는 상태로 재배되므로 냉해 피해가 덜하고 대지 보다는 대기 중의 온도가 더 높기 때문에 난방을 조금 덜 하더라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재배통(71)에는 배지, 토양 또는 물을 넣을 수 있고, 이러한 수납되는 물질의 구분에 따라 배지 재배, 토양 재배 또는 수경 재배의 형태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재배되는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키가 높지 않은 식물로서, 예를 들어 엽채류 또는 버섯 등을 키울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재배통(71)은 녹이 발생하지 않고 강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수관(61)에는 설치된 재배통(71)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물 공급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는 수관(61)의 하면에 X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물 분사공(63)일 수 있다. 이에 외부의 물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이 연결 호스(62)를 거쳐 수관(61) 내부로 공급되고, 이 물이 물 분사공(63)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면서 재배통(71)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물 분사공(63)을 통해 하향 낙하 방식으로 재배통(71)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대기가 건조한 경우 식물의 잎과 가지 등에 우선적으로 직접 수분을 공급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3은 수관의 물 분사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는 노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수관(61')의 일면에는 물 배출부(91)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90)은 물 배출부(91)의 단부에서 길게 연장되는 연결관(92)을 포함하고, 연결관의 단부에는 재배통의 바닥 면에 매립되는 매립부(94)가 마련되고, 매립부(94)에 물 배출공(9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 배출공(93)은 바람직하게 노즐(90)의 길이 방향(X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 구조의 경우, 수관(61')에 앞서 실시 예와 같이 물 분사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노즐 방식의 경우, 식물의 뿌리가 위치한 부분에 물을 공급하여 뿌리를 통해 식물이 자체적으로 기관과 조직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앞서 도 2의 하향 낙하 방식의 물 공급 방식에 비해 배지, 토양, 수경 재배시 수분 공급에 보다 유리한 구조로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관과 배플의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배플(31)의 수관 설치공(32)에는 수관(61")이 직접 결합되는 대신에 니플(63)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니플63)의 양단에 수관(61")이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수관(61")이 회전축(51)의 길이 방향인 X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니플(63)은 내부에 턱(63b)이 형성되며 이에 니플(63)의 내부 통공(63b)은 수관(61")의 내부 통공(61a)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수관(61")을 니플(63)의 내측에 끼우면 수관(61")의 단부가 턱(63b)에 걸리면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고, 도면 상으로 좌측에 위치한 수관(61")을 통해 공급된 물이 니플(63)의 내부 통공(63a)을 거치면서 우측에 위치한 수관(61")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즉, 우측에 위치한 수관(61")으로 연속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에 X방향으로 길게 연속된 식물 재배 라인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의 식물 재배기를 비닐 하우스 등에 설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연속하여 배치되는 수관과 수관의 결합 구조 및 방법이 도 4 및 5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1의 식물 재배기에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기는 커버(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1)는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X방향으로 인접한 배플과 배플 사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복수의 수관(61), 복수의 재배통(71) 및 회전축(51)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X방향으로 인접한 배플과 배플 사이에는 커버 수납부(104)가 X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 수납부(104)는 바람직하게 배플의 상단 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수납부(104)는 내측에 커버 롤러(103)와 커버 스토퍼(102)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 롤러(103)에는 커버(101)의 단부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커버 롤러(103)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101)가 커버 롤러(103)에 감겨지면서 커버 수납부(104)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101)의 반대쪽 단부를 잡고 X방향으로 양쪽에 위치한 배플의 가장자리에 커버(101)의 X방향의 양 단이 덮혀지도록 하면서 커버(101)를 배플과 배플 사이에 터널식으로 씌우고, 최종적으로 커버(101)의 반대쪽 단부를 커버 수납부(104)에 설치된 커버 스토퍼(102)에 공지된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커버(101)가 수관(61), 재배통(71) 및 회전축(51)을 커버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가 처지는 형태나 방법은 특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의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X방향으로 양쪽에 위치한 배플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플 가장자리에 연결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를 배플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하면 커버 설치시 커버의 내측 면이 연결대에 지지되게 되므로 커버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연결대는 길고 얇은 파이프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0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커버 롤러(103)에 감아서 수납해 둘 수 있도록 커버 롤러(103)에는 회전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를 잡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커버(101)가 커버 롤러(103)에 감기면서 최종적으로 커버 수납부(104) 안에 감겨져 있는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커버 롤러(102)에 전동식 모터를 설치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감지 않더라도 자동 개폐 방식으로 간편하게 커버(101)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물 재배기에 커버(101)를 설치하면 재배통(71) 둘레가 외부로부터 폐쇄된 상태가 되므로, 앞서 설명한 회전축(51)의 분사구(52) 및 온풍기 또는 냉풍기를 이용하는 경우 재배통(71) 주변의 온도 조절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온도를 보다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겨울철 냉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냉해 방지시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커버(101)는 X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배플 사이의 공간을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설치하거나 설치 해제 하는 구조이므로, 식물의 종류 및 상태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구역만 선택적으로 커버(101)를 설치하거나 설치 해제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A, 10B: 제1 및 제2 스탠드
11, 12: 제1 및 제2 수평부
13, 14: 제1 및 제2 수직부
15: 구동부
21, 31, 41: 배플
22, 32, 42: 수관 설치공
23, 33, 42: 회전축 관통공
51: 회전축
52: 분사구
53: 연결부
61, 61', 61": 수관
62: 연결 호스
63: 물 분사공
71: 재배통
81: 회전 롤러
90: 노즐
91: 물 배출부
92: 연결관
93: 물 배출공
94: 매립부
101: 커버
102: 커버 스토퍼
103: 커버 롤러
104: 커버 수납부

Claims (6)

  1.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스탠드;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복수의 배플;
    인접한 배플을 연결하고, 상기 배플에 원형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물 공급부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수관; 및
    상기 각각의 수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수관으로부터 물을 각각 공급 받는 복수의 재배통; 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바닥 면 사이에 상기 배플 회전시 마찰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배플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재배통의 바닥 면에 매립되어 상기 재배통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에 니플이 설치되고, 상기 니플의 양단에 수관이 하나씩 끼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관이 길게 연결되는 연속된 라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복수의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온풍기 또는 냉풍기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구를 통해 온풍 또는 냉풍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배플 사이에 상기 복수의 수관, 상기 복수의 재배통 및 상기 회전축을 커버하도록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KR1020200097020A 2020-08-03 2020-08-03 식물 재배기 KR10246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20A KR102467489B1 (ko) 2020-08-03 2020-08-03 식물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20A KR102467489B1 (ko) 2020-08-03 2020-08-03 식물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19A true KR20220016719A (ko) 2022-02-10
KR102467489B1 KR102467489B1 (ko) 2022-11-14

Family

ID=8025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20A KR102467489B1 (ko) 2020-08-03 2020-08-03 식물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4230A (zh) * 2023-09-12 2023-12-12 四川成都中农大现代农业产业研究院 基于智能补光调控的草莓现代化种植栽培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621Y1 (ko) 2003-10-24 2004-01-16 윤지영 회전식 자동급수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KR20160014876A (ko) * 2014-07-29 2016-02-12 주식회사 인송지이 식물재배장치
KR101653600B1 (ko) * 2016-04-15 2016-09-02 신호특장공업(주) 회전식 식물재배장치
KR101864228B1 (ko) 2017-04-10 2018-07-13 한아름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
KR20190026307A (ko) * 2017-09-05 2019-03-13 가온에너지 주식회사 회전형 수경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621Y1 (ko) 2003-10-24 2004-01-16 윤지영 회전식 자동급수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KR20160014876A (ko) * 2014-07-29 2016-02-12 주식회사 인송지이 식물재배장치
KR101653600B1 (ko) * 2016-04-15 2016-09-02 신호특장공업(주) 회전식 식물재배장치
KR101864228B1 (ko) 2017-04-10 2018-07-13 한아름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
KR20190026307A (ko) * 2017-09-05 2019-03-13 가온에너지 주식회사 회전형 수경식물 재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4230A (zh) * 2023-09-12 2023-12-12 四川成都中农大现代农业产业研究院 基于智能补光调控的草莓现代化种植栽培装置
CN117204230B (zh) * 2023-09-12 2024-04-05 四川成都中农大现代农业产业研究院 基于智能补光调控的草莓现代化种植栽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489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1045T3 (es) Granja modular con sistema de carrusel
US20180359946A1 (en) Apparatus for growing vegetables, mushrooms, ornamental plants and the like
JP5625202B2 (ja) 植物栽培システム
JP4880082B1 (ja) カプセル型野菜栽培装置
KR101424058B1 (ko) 산업용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
KR101893196B1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101430728B1 (ko) 다단 적층형 입체 녹화 식생 자원 재배 용기의 틸팅 장치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CA3028899A1 (en) A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absence of soil
KR200476709Y1 (ko) 수경재배장치
KR20220016719A (ko) 식물 재배기
CN105875251A (zh) 一种植物栽培架
KR101653600B1 (ko) 회전식 식물재배장치
JPH06125664A (ja) 植物の栽培装置及び栽培容器
JPS63126440A (ja) 水耕栽培装置
KR20110132698A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
CA1180898A (en) Installation for cultivating plants in a programmed milieu
KR200450678Y1 (ko) 회전식 다단 재배장치
KR101248986B1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내 재배부의 이송장치
KR102146069B1 (ko) 수경 재배 자동화 공정라인
KR20220091077A (ko) 스마트팜 수경재배장치
KR20180054239A (ko) 스마트팜 인삼 재배 시스템
KR100500019B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적층식 식물 재배장치
JPH01235525A (ja) 水耕栽培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使用する栽培ベッドおよび栽培ポット
JPH11206255A (ja) 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