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986A -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 Google Patents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986A
KR20220015986A KR1020210100349A KR20210100349A KR20220015986A KR 20220015986 A KR20220015986 A KR 20220015986A KR 1020210100349 A KR1020210100349 A KR 1020210100349A KR 20210100349 A KR20210100349 A KR 20210100349A KR 20220015986 A KR20220015986 A KR 2022001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water level
water
environmentally friendly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엔-푸 후앙
Original Assignee
티엔-푸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엔-푸 후앙 filed Critical 티엔-푸 후앙
Publication of KR2022001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수구를 막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가 개시된다. 상기 에어백 구조체는 에어백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몸체는 내부에 공기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공기 챔버로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에어백 몸체가 건물 바닥의 배수구를 잘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에어백 몸체를 팽창시킬 수 있다. 방수 작업을 점검하는 동안, 상기 에어백 몸체로 배수구를 막은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물을 축적시켜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유지하여 작업자가 방수 작업에 결함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점검한다.

Description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ENVIRONMENTALLY FRIENDLY INFLATABLE WATER SHUT-OFF AIRBAG STRUCTURE}
본 발명은 현대식 건물의 평지붕에 대한 폐쇄수 테스트(closed water test)에 사용되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 지붕의 사용 수명과 유지 관리 주기는 주로 사용된 재료와 수행되는 방수 작업에 의해 결정되는 내후성에 따라 달라진다. 대만과 같이 고온 다습한 기후를 특징으로 하는 지역의 건물에서는 지붕 방수가 특히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평지붕의 방수 작업은 지붕 펠트(roofing felt)나 기타 방수 재료를 설치하는 것을 수반한다.
지붕 펠트의 재료 및 설치 작업을 점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펠트 지붕에 누수 및 결로가 없고 필요한 방수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폐쇄수 테스트를 시행한다. 설치된 지붕 펠트가 테스트를 통과한 후에야 후속 지붕 그라우팅 작업(roof grouting work)을 착수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수 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해 지붕의 모든 배수구를 막아서, 물을 축적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72시간 이상) 동안 특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막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를 선정하는 것은 무작위적이다. 물병, 구겨진 모래 자루, 신문지로 가득 채운 비닐 봉지 등과 같은 시공 현장에서 이용 가능한 많은 폐기물이 사용되었다. 이들 물품은 무게가 가볍고 마찰이 적기 때문에 물에 뜨는 경향이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작업자는 나머지 파이프 또는 슬리브를 마개로 사용하여 배수구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프 또는 슬리브는 배수구에 맞게 제작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파이프 또는 슬리브는 떠내려가 배수구가 막히지 않게 할 수 있다. 테스트 동안 배수구들 중 임의의 배수구가 의도치 않게 막히지 않아서 수위가 특정 정도로 낮아지면 테스트는 실패한다. 이는 보유된 물을 헛되이 배수하고 지붕에 걸쳐 모든 배수구를 하나씩 점검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물을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다시 축적하고, 새로운 테스트 라운드에 또 다른 72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작업으로 인해 물 낭비 및 시간 지연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제거하는 물 차단 도구가 필요하다.
전술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를 제공한다. 팽창될 때,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는 배수구를 꼭 맞게 막을 수 있고, 축적된 물에 의해 구조체에 작용하는 부유력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마찰력이 있어서 이에 의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폐쇄수 테스트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는 건물의 바닥의 배수구를 막는데 사용되며, 관형 부분 및 내부에 제1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관형 부분을 둘러싸는 에어백을 갖는 팽창 부재로서, 상기 에어백이 팽창 시 팽창 부분이 확장되어 상기 배수구에 끼워질 때,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에어백에 의해 밀봉되는, 상기 팽창 부재; 및 상기 관형 부분에 수용되고 상기 관형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수위 조절기로서, 상기 제1 채널과 연통하는 제2 채널을 갖는 상기 수위 조절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팽창 부재의 에어백은 폐쇄수 테스트 동안 상기 배수구를 막을 수 있고, 과도한 물은 상기 수위 조절기를 통해 상기 배수구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어 과도한 물이 지붕에 과부하를 주거나 심지어 지붕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조절기의 나팔 형상의 입구 단부는 낙엽과 기타 이물질을 차폐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대야(basin) 형상의 성형 금형(forming mold)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형 금형은 팽창된 팽창 부재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폐쇄수 테스트 후 보호 모르타르 층을 그라우팅하는 동안 바닥 배수 격자(floor drain grating)를 수용하기 위한 사발(bowl)형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적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팽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에어백 몸체가 팽창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배수구의 형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라인(10-10)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팽창된 에어백이 배수구를 막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적용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위 조절기가 팽창 부재에 대해 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성형 금형 및 파이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성형 금형 및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적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는 팽창될 때 건물의 배수구(200)를 막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는 에어백 몸체(10)를 갖는다.
에어백 몸체(10) 내에는 공기 챔버(11)가 형성되고, 에어백 몸체(10)에는 공기 챔버(11)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2)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12)을 통해 에어백 몸체(10)의 공기 챔버(11) 내부로 공기가 직접 유입되어 에어백 몸체(10)가 팽창되면 건물의 평지붕의 배수구(200)를 완전히 막을 수 있다. 지붕 펠트가 설치되는 것과 관련된 중요 확인점(hold point)에서, 작업자는 에어백 몸체(10)를 사용하여 배수구(200)를 막고, 물의 지붕(바닥) 주위의 벽으로 형성된 공간에 축적된 물이 정해진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도입하여 지붕 펠트로 덮인 지붕 바닥에 물을 채운다. 그런 다음 설치되어 흠뻑 젖은 지붕 펠트 전체에 걸쳐 누수, 기포, 주름, 분리 또는 밀봉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점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에어백 몸체(10)에 의해 공간에 물을 보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어백 몸체(10)는 팽창 세그먼트(13)를 갖는다. 팽창 세그먼트(13)는 친환경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팽창 세그먼트(13)는 공기 챔버(11)를 둘러싼다. 그 안에서, 팽창 세그먼트(13)는 1차 팽창 구획(131), 및 1차 팽창 구획(131)에 연결된 2차 팽창 구획(132)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1차 팽창 구획(131)은 원형 단면을 갖고, 2차 팽창 구획(132)은 굴곡형 단면을 갖는다. 관통 구멍(12)은 1차 팽창 구획(131)과 2차 팽창 구획(132) 사이에 위치된다. 팽창된 에어백 몸체(10)가 배수구(200)에 설치될 때 1차 팽창 구획(131)이 배수구(200)에 끼워진다.
또한, 에어백 몸체(10)의 공기 챔버(11)는 1차 팽창 공동(111)과 2차 팽창 공동(112)으로 구성된다. 1차 팽창 공동(111)은 1차 팽창 구획(131)에 대응하고, 2차 팽창 공동(112)은 2차 팽창 구획(132)에 대응한다. 1차 팽창 공동(111)은 2차 팽창 공동(112)보다 큰 내부 직경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팽창 세그먼트(13)는 1차 팽창 구획(131)을 통과하는 축(L)에 의해 한정되고, 2차 팽창 구획(132)은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 및 제2의 2차 팽창 구획(132b)을 포함한다.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 및 제2의 2차 팽창 구획(132b)은 각각 1차 팽창 구획(131)으로부터 축(L)을 따라 에어백 몸체(10)의 단부로 테이퍼진다. 2차 팽창 공동(112)은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에 대응하는 제1의 2차 팽창 공동(112a), 및 제2의 2차 팽창 구획(132b)에 대응하는 제2의 2차 팽창 공동(112b)을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를 사용할 때,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은 배수구(200) 내에 끼워지는 반면,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과 반대쪽 제2의 2차 팽창 구획(132b)은 배수구(200) 외부로 노출되도록 에어백 몸체(10)를 설치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 몸체(10)에는 에어백 몸체(10)를 팽창시키는 공기 펌프 또는 팽창기를 연결시키기 위한 밸브 조립체(20)가 제공된다. 에어백 몸체(10)가 완전히 팽창될 때, 1차 팽창 공동(111)이 팽창되고 1차 팽창 구획(131)은 배수구(200)를 밀봉한다. 이때, 제1의 2차 팽창 공동(112a)과 제2의 2차 팽창 공동(112b)은 축(L)을 따라 각각 확장되기 때문에,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은 배수구(200)의 내벽으로부터 멀리 유지된다. 따라서, 지붕에 대해 폐쇄수 테스트를 하는 동안, 확장된 에어백 몸체(10)는 배수구(200)를 잘 막을 수 있고 1차 팽창 구획(131)과 배수구(200) 사이의 어떤 틈도 제거할 수 있어서, 지붕 바닥 위의 유체 또는 불순물이 배수구(20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구(200)의 밀봉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테스트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는 밸브 조립체(20)를 더 포함하고, 밸브 조립체는 에어백 몸체(10)의 관통 구멍(12)에 설치되고 공기 챔버(11)와 연통된다. 밸브 조립체(20)를 통해 에어백 몸체(10)의 공기 챔버(11)를 팽창시켜 에어백 몸체(10)의 팽창 세그먼트(13)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20)는 밸브 부품(21) 및 밸브 몸체(22)를 포함한다. 밸브 부품(21)은 밀봉 단부(211) 및 팽창 단부(212)를 갖는다. 밀봉 단부(211)는 에어백 몸체(10)의 관통 구멍(12)에 수용되고, 관통 구멍(12)의 둘레에서 밀봉된다. 팽창 단부(212)는 밀봉 단부(211)의 반대쪽에 있고 에어백 몸체(10)의 외부에 노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 단부(211)는 인접 부분(213) 및 밀봉 부분(214)을 갖는다. 인접 부분(213)은 관통 구멍(12)에 삽입되어 에어백 몸체(10)의 내벽에 인접된다. 밀봉 부분(214)은 인접 부분(213)의 반대쪽에 있고, 에어백 몸체(10)의 외벽에 고정되어 인접 부분(213)과 밀봉 부분(214) 사이의 관통 구멍(12)을 밀봉한다. 밸브 몸체(22)는 밸브 부품(21)의 팽창 단부(212)에 설치되고, 공기 펌프 또는 팽창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공기 펌프 또는 팽창기는 밸브 몸체(22)를 밀어서 열고 나서 공기 챔버(11)를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는 핸들링 부재(30)를 더 포함한다. 핸들링 부재(30)는 에어백 몸체(1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에어백 몸체(10)를 취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몸체(10)는 고정 부분(14)을 갖는다. 고정 부분(14)은 팽창 세그먼트(13)의 2차 팽창 구획(132)에 위치되고, 핸들링 부재(30)는 고정 부분(14)에 고정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부분(14)은 제1 와이어 권취 단부(141) 및 제2 와이어 권취 단부(142)를 포함한다. 제1 와이어 권취 단부(141)는 와이어가 팽창 세그먼트(13)의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 주위에 권취되어, 제1의 2차 팽창 구획(132a)의 단부가 팽창 세그먼트(13)의 일 단부에서 폐쇄된다. 제2 와이어 권취 단부(142)는 와이어가 팽창 세그먼트(13)의 제2의 2차 팽창 구획(132b) 주위에 권취되어, 제2의 2차 팽창 구획(132b)이 팽창 세그먼트(13)의 다른 단부에서 폐쇄된다. 핸들링 부재(30)는 제2 와이어 권취 단부(142)에 연결되어 배수구(200)로부터 에어백 몸체(1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한다.
테스트 후, 보유된 물을 배수할 때, 밸브 조립체(20)는 공기 챔버(11)로부터 공기를 방출하여 에어백 몸체(10)를 수축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 과정 동안, 핸들링 부재(30)는, 에어백 몸체(10)가 배수구(200)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200)를 손상시키지 않고 에어백 몸체(10)를 바로 인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후 사용을 위해 저장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다. 또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테스트 후 배수구(200)를 보수할 필요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시된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를 배수구(200)로부터 인출한 후, 선택적 공정으로서, 후속 지붕 그라우팅 작업을 위한 준비로서 금형(300)을 삽입할 수 있다. 금형(300)은 만곡된 헤드를 갖는다. 금형(300)의 만곡된 헤드를 배수구(200)에 놓은 상태에서, 배수구(200) 위의 그라우팅된 지붕에 바닥 배수 격자가 끼워지도록 사발형 오목부(400)를 형성하여 시공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는 팽창 부재(40)와 수위 조절기(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팽창 부재(40)는 제1 단부(41) 및 제2 단부(42)를 갖는다. 제2 단부(42)는 배수구(2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제1 단부(41)는 수위 조절기(50)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팽창 부재(40)는 관형 부분(43), 및 관형 부분(43)을 둘러싸는 에어백(44)을 갖는다. 관형 부분(43)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수위 조절기(50)는 조립 시 제1 단부(41)를 통해 관형 부분(43) 내로 삽입된다. 에어백(44)은 고무로 만들어진다. 관형 부분(43)은 제1 단부(41) 및 제2 단부(42)에 개방된 제1 채널(431)을 갖는다. 에어백(44)은 팽창 및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팽창 부재(40)가 배수구(200)에 놓일 때, 제1 채널(431)은 배수구(200)와 연통되고, 에어백(44)은 배수구(200)를 완전히 막을 수 있다. 건물 바닥(예를 들어, 평지붕 바닥)의 방수 작업을 위한 중요 확인점에서, 작업자는 물이 정해진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도입하여 방수 재료로 덮인 지붕에 물을 채울 수 있다. 그런 다음 설치되어 흠뻑 젖은 지붕 펠트 전체에 걸쳐 누수, 기포, 주름, 분리 또는 밀봉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점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물을 보유한다.
에어백(44) 내부에는 공기 챔버(441)가 존재하고 공기 챔버(441)와 연통되는 밸브 부품(442)이 존재한다. 밸브 부품(442)은 위치적으로 제1 단부(41) 인근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백(44)은 내부 층(443), 외부 층(444), 제1 밀봉 부분(445) 및 제2 밀봉 부분(446)을 포함한다. 공기 챔버(441)는 내부 층(443)과 외부 층(444)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밀봉 부분(445)은 열 압착에 의해 제1 단부(41)에 형성되고, 제2 밀봉 부분(446)은 열 압착에 의해 제2 단부(42)에 형성된다. 밸브 부품(442)은 밸브 부품 파이프(442a)와 밸브 몸체(442b)를 갖는다. 밸브 부품 파이프(442a)는 에어백(44)과 연통되는 일 단부, 및 밸브 몸체(442b)가 제공된 다른 단부를 갖는다. 에어백(44)은 밸브 부품 파이프(442a)를 둘러싸는 연장 부분(447)을 갖는다. 또한, 연결 링(447a)이 연장 부분(447)의 외부 둘레에 제공된다.
수위 조절기(5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수위 조절기(50)가 관형 부분(43)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관형 부분(43)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수위 조절기(50)는 제1 채널(431)과 연통되는 제2 채널(51)을 갖는다. 수위 조절기(50)는 나팔 형상의 입구 단부(52), 및 입구 단부(52)의 반대쪽에 출구 단부(53)를 갖는다. 제2 채널(51)은 입구 단부(52)와 출구 단부(53) 사이에 연통된다. 출구 단부(53)는 관형 부분(43)에 수용된다. 수위 조절기(50)와 팽창 부재(40)는 서로 연통된다. 고무로 제조된 밀봉 층(54)이 수위 조절기(50)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다. 수위 조절기(50)가 팽창 부재(40)의 관형 부분(43) 내로 삽입될 때, 밀봉 층(54)은 수위 조절기(50)와 관형 부분(43)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위 조절기(50)의 외부 둘레에는 미끄럼 방지 부분(55)이 제공된다. 미끄럼 방지 부분(55)은 밀봉 층(54)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나선형 능선(ridge)으로 형성된다. 팽창 부재(40)의 관형 부분(53)에 수용된 수위 조절기(50)는 미끄럼 방지 부분(55)을 통해 팽창 부재(40)에 대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는 핸들링 코드일 수 있는 핸들링 부재(60)를 더 포함한다. 핸들링 부재(60)는 팽창 부재(40)의 연장 부분(447)에서 연결 링(447a)에 결합되는 결합 단부(61)를 갖는다. 폐쇄수 테스트를 완료한 후, 에어백(44)을 수축시키기 위해 밸브 부품(442)을 동작시키는 작업자는 팽창 부재(40)가 배수구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링 부재(60)의 자유 단부를 잡을 수 있다. 사용된 팽창 부재(40)는 차후 사용을 위해 저장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 공기 펌프 또는 팽창기를 밸브 부품(442)의 밸브 몸체(442b)에 연결하고 에어백(44)의 공기 챔버(441)를 공기로 채워, 에어백(44)의 외부 층(444)을 내부 층(443)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배수구(200)를 새지 않게 막아서, 팽창 부재(40)와 배수구(200) 사이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된 에어백(44)은 배수구(200)를 효과적으로 밀봉하며, 이에 폐쇄수 테스트의 정확도를 개선하고 전통적인 물 차단 방법에서 볼 수 있는 불량한 막힘으로 인한 물 낭비 및 시간 낭비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우천 시 빗물이 첨가되어 보유된 시험수가 미리 정해진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물은 수위 조절기(50)를 통해 배수구(200)로 방출될 수 있어, 과도한 물이 지붕에 과부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위 조절기(50)의 고도는 팽창 부재(40)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상의 필요에 따라, 작업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조절기(50)를 수직으로 상승시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의 전체 수직 길이를 증가시켜 더 높은 수위의 시험수가 요구되는 작업 환경에 에어백 구조체를 적응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성형 금형(70) 및 파이프(71)를 더 포함한다. 성형 금형(70)은 대야 형상이고, 파이프(71)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일 단부를 갖는다. 파이프(71)는 배수구(20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사용 시,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의 팽창 부재(40)는 성형 금형(70) 내로 파이프(71)에 삽입된 다음, 후속 지붕 그라우팅 작업을 위한 준비로서 배수구(200)를 막기 위해 에어백(44)을 팽창시킨다. 배수구에 놓인 성형 금형(70)을 통해 배수구 위의 그라우트된 지붕에 바닥 배수 격자가 끼워지도록 사발형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핸들링 부재(60)는 결합 단부(61)의 반대쪽에 매듭(62)을 더 가질 수 있다. 매듭(62)은 성형 금형(70) 상에 형성된 후크(70a)와 맞물려 팽창 부재(40)가 배수구(20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성형 금형(40)은 성형 금형(70)과 파이프(71)의 고도를 정확히 조절하여 바닥 배수 격자에 맞는 적절한 높이와 크기를 갖는 배수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눈금 표시(70b)가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에어백 몸체(10)는 가볍고 컴팩트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한편, 원치 않는 틈도 남기지 않고 배수구(200)를 효과적으로 막아서 물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폐쇄수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2. 밸브 조립체(20)를 통해 공기 챔버(11)로부터 직접 공기를 방출할 수 있고, 이에 수축된 에어백 몸체(10)를 핸들링 부재(30)를 사용하여 에어백 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는 에어백 몸체(10)가 배수구(200)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수구(200)로부터 에어백 몸체(10)를 제거하는 동안 배수구(200)가 손상될 위험을 제거하여 효율적인 폐쇄수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3.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 몸체(10)에 작용하는 압력은 팽창 세그먼트(13)의 1차 팽창 공동(111)과 2차 팽창 공동(112) 사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어서, 1차 팽창 구획(131)이 파손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배수구(200)를 새지 않게 막을 수 있으므로 에어백 몸체(1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4. 수위 조절기(50)는 팽창 부재(40)에 대해 고도 조절 가능하므로, 더 높은 수위의 시험수가 요구되는 다양한 작업 환경에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100)를 적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모든 균등한 변경 또는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5)

  1. 건물의 바닥의 배수구를 막는데 사용되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로서,
    관형 부분 및 내부에 제1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관형 부분을 둘러싸는 에어백을 갖고, 상기 에어백이 팽창 시 팽창 부분이 확장되어 상기 배수구에 끼워질 때,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에어백에 의해 밀봉되는, 팽창 부재; 및
    상기 관형 부분에 수용되고 수직으로 상기 관형 부분에 대해 이동되도록 구성된 수위 조절기로서, 상기 제1 채널과 연통되는 제2 채널을 갖는 상기 수위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공기 챔버 및 상기 공기 챔버와 연통되는 밸브 부품을 갖고, 상기 팽창 부재는 제1 단부 및 상기 배수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수위 조절기는 상기 제1 단부를 통해 상기 관형 부분 내로 삽입되고, 상기 밸브 부품은 위치적으로 상기 제1 단부 인근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내부 층, 외부 층, 제1 밀봉 부분 및 제2 밀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챔버는 상기 내부 층과 상기 외부 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밀봉 부분은 열 압착에 의해 제1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밀봉 부분은 열 압착에 의해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형 부분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밸브 부품은 밸브 부품 파이프 및 밸브 몸체를 갖고, 상기 밸브 부품 파이프는 상기 에어백에 연결된 일 단부, 및 상기 밸브 몸체가 제공된 타 단부를 갖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밸브 부품 파이프를 덮는 연장 부분을 갖고; 상기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는 핸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링 부재의 일 단부는 상기 팽창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링 부재는 상기 에어백의 연장된 부분 주위에 감긴 핸들링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기는 입구 단부 및 상기 입구 단부와 반대쪽에 출구 단부를 갖고, 상기 출구 단부는 상기 관형 부분 내로 삽입되고, 상기 수위 조절기는 밀봉 층으로 감싸지고; 상기 수위 조절기의 외부 둘레에는 상기 밀봉 층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미끄럼 방지 부분이 제공되고; 상기 입구 단부는 나팔 형상이고, 상기 수위 조절기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미끄럼 방지 부분은 나선형 능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과 상기 밀봉 층은 각각 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성형 금형과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성형 금형은 대야(basin) 형상이고,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일 단부를 갖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배수구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팽창 부재는 사용 시 상기 성형 금형과 상기 파이프 내로 삽입되고 나서 상기 에어백이 팽창 시 상기 배수구를 막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KR1020210100349A 2020-07-31 2021-07-30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KR20220015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26007A TWI753511B (zh) 2020-07-31 2020-07-31 環保充氣式水塞氣囊構造
TW109126007 2020-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986A true KR20220015986A (ko) 2022-02-08

Family

ID=7791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49A KR20220015986A (ko) 2020-07-31 2021-07-30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4327U (ko)
KR (1) KR20220015986A (ko)
CN (1) CN216012598U (ko)
TW (1) TWI7535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6357A (zh) * 2022-10-17 2022-11-11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空天技术研究所 一种试验体冲击入水特性及柔性气囊水下特性的测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2633B (zh) * 2022-05-16 2023-05-05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应急堵漏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6057U (en) * 1999-11-10 2001-03-11 Hung Jr Jian Separator structure for drainage inlet
TW526308B (en) * 2001-07-10 2003-04-01 Shu-Jen Lin Arrangement method for drainage construction
CN203594099U (zh) * 2013-12-13 2014-05-14 周克珍 排水管道高压封堵器
CN208668564U (zh) * 2018-08-13 2019-03-29 宁波洛孚纳克塑业有限公司 一种充气管道堵头
TWM603045U (zh) * 2020-07-31 2020-10-21 黃添福 環保充氣式水塞氣囊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6357A (zh) * 2022-10-17 2022-11-11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空天技术研究所 一种试验体冲击入水特性及柔性气囊水下特性的测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3511B (zh) 2022-01-21
CN216012598U (zh) 2022-03-11
JP3234327U (ja) 2021-10-07
TW202206673A (zh)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5986A (ko) 환경친화적 팽창가능한 물 차단 에어백 구조체
US4417598A (en) Pneumatic valve
SU976019A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пластыр из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патрубка
CN205636766U (zh) 气动式嵌套抽水装置
WO1998029676A1 (en) Testing of plumbing installations and plumbing tool
WO1990014548A1 (en) Method of repairing live pipe at joint of existing gas pipes
US20150000019A1 (en) Self-Sealing Closet Flange
US6581938B2 (en) Flexible seal forming member
CN112081335A (zh) 一种防塌陷下沉式卫生间施工地砖及施工方法
JP3234982B2 (ja) 2重管式現場透水試験方法及び装置
NO137291B (no) Fremgangsm}te og anordning for tetning av r¦rledninger fra innsiden
CA2363763C (en) Drain gasket
KR100730653B1 (ko) 상ㆍ하수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를 위한 맨홀의 진공압 시험 장치
US20030074955A1 (en) Plumbing testing devices
US200502578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andoning a sewer pipe using a cured in place sewer plug
KR100300247B1 (ko) 가압팽창 멤브레인을 이용한 어스앵커
TWM618707U (zh) 環保充氣式水塞氣囊溢水裝置
TWM603045U (zh) 環保充氣式水塞氣囊構造
CN110965545B (zh) 一种施工沉降控制的建筑地基注浆预加固方法
US4911586A (en) Plug for pier hole
TWI764781B (zh) 環保充氣式水塞氣囊溢水裝置
US200300375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testing a liquid system
EP2322836A1 (en) Method to carry out a branching point of a pipe line under repair
CN114737611B (zh) 一种免砌检查井装置
JP4677052B1 (ja) 排水管の漏洩試験用閉塞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