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948A -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948A
KR20220015948A KR1020210096308A KR20210096308A KR20220015948A KR 20220015948 A KR20220015948 A KR 20220015948A KR 1020210096308 A KR1020210096308 A KR 1020210096308A KR 20210096308 A KR20210096308 A KR 20210096308A KR 20220015948 A KR20220015948 A KR 20220015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sanitizer
oil
phase
aqueous phase
sil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
박노영
손지현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제닉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오제닉스
Publication of KR2022001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인 연속상 내에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함량의 C2-C3의 알코올이 배합된 손 소독을 위한 새로운 제형으로 항균 및 살균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 배리어 기능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습성이 우수한 손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Micro-drople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함량의 C2-C3의 알코올이 배합된 손 소독을 위한 새로운 제형으로, 수상인 연속상 내에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에 관한 것이다.
손은 병원체가 인체에 침입하는 가장 큰 전파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코로나19, 신종플루 등과 같은 유행성 전염병의 발생 이후 손을 깨끗이 씻어 전염병을 예방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각인되었다. 그러나, 사람들과 접촉시마다 손을 비누로 씻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이에, 손을 물로 씻지 않고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손 소독제(Hand Sanitizers)가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손 소독제는 젤 타입과 액체 타입이며, 이의 주요성분으로는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과산화수소수, 염화벤잘코늄, 크레솔 등을 포함한다.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또는 이들이 들어간 손 소독제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손에 잔류하는 세균을 즉각적으로 없앨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에탄올이 60중량%이상 함유된 손 소독제는 박테리아 제거에 효과적이고, 이소프로판올은 99.99% 이상의 박테리아를 30초 안에 제거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또는 이들이 90중량%이상 함유하는 손 소독제의 경우 바이러스, 결핵균, 곰팡이 및 B형 간염바이러스(HBV)를 제거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또는 이들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손 소독제는 눈, 구강, 점막과 같은 예민한 부위 및 상처가 있는 피부에는 자극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가 약하고 민감한 사람에게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손 소독제의 잦은 사용은 손의 거칠음, 즉 피부 배리어 기능의 결손을 야기할 수 있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에 의한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배합함에도 손의 거칠음, 즉 피부 배리어 기능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습성이 우수한 손 소독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피부 배리어 기능의 결손을 방지하고 향상된 보습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고함량 C2-C3의 알코올 손 소독제를 위한 새로운 제형인,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상인 연속상 내에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 조성물로서,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유상 및 아크릴산계 중합체, C2-C3의 알코올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며, 상기 C2-C3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물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C2-C3의 알코올은 상기 손 소독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8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0.5중량% 수용액에서의 점도가 45,000 내지 60,000cps를 만족하는 (메타)아크릴산 및 C10-C30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100 내지 20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실록산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오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일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함께 상기 미세액적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는 100 내지 5000cps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세액적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10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산계 중합체, 염기, C2-C3의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상기 유상을 혼합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미세액적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 내에 포함되는 C2-C3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물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N1)는 100 내지 5000cps를 만족하고, 상기 수상의 점도(N1)와 상기 유상의 점도(N2)는 하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1]
0.1 ≤ N1/ N2 ≤ 0.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수상과 유상을 유화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상기 수상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유상을 1 내지 30중량부로 투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함량의 C2-C3의 알코올이 배합된 손 소독을 위한 새로운 제형으로 항균 및 살균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 배리어 기능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고 보습성에 탁월함을 보이는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피부에 대한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안정한 손소독제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세액적이 부드럽게 롤링되어 형성되는 피막은 C2-C3의 알코올 휘발에 따른 피부 건조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소독제를 반복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피부 보습능의 저하를 막고 피부거칠기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내수성 및 사용감에도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비교예2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샘플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하고, 중량%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 조성물 내에서 차지하는 중량%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은 특정된 요소, 재료 또는 공정과 함께 열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이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기술적 사상에 허용할 수 없을 만큼의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3의 알코올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상온(25℃)에서 고점도를 나타내는 중합체를 의미하며, 고분자량의 중합체 사슬 내 가교점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한 가교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실록산계 크로스폴리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배합함에도 손의 거칠음, 즉 피부 배리어 기능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고 보습성이 우수한 손 소독제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였다. 그 결과, 소정의 중합체 조합과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종래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적인 제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제형은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이 배합된 조성물로, 수상인 연속상 내에 비수상인 분산상을 미세액적 형태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형은 항균 및 살균에 대한 효과는 물론 피부거칠기 개선 및 향상된 보습성을 갖는다는 점,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연속상에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제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수상인 연속상 내에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아크릴산계 중합체, 실록산계 엘라스토머, C2-C3의 알코올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상기 C2-C3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물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유상에 포함되어 분산상인 미세액적을 형성하며,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 C2-C3의 알코올 및 잔량의 물은 연속상인 수상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유상은 실록산게 엘라스토머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추가로 오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손 소독제 조성물은 고함량의 C2-C3의 알코올이 배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 소독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8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 소독제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 40중량%이상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더라도 안정적인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C2-C3의 알코올은, 구체적으로 50 내지 7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55 내지 70중량%, 가장 구체적으로 60 내지 70중량% 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C2-C3의 알코올은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 소독제 조성물은 고함량의 C2-C3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제형이기 때문에 별도의 항균 및 살균 효과에 대한 평가없이도 이의 효과는 이론적으로 믿어진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손 소독제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쿠스 피오제네스(Streptococcus pyogenes) 308A,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1621,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1039,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9027,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 1082 E 및 엔테로박터 클로아케(Enterobacter cloacae) 1321 E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살균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손 소독제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1621에 대하여, 0.01이하의 MIC값을 갖는 항균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손 소독제 조성물은 312nm의 파장에서 최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투과율은 자외-가시 분광 광도계 (UV-3150 : 시마즈 제작소 제조)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소정의 중합체 조합과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더욱 안정한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제형임에도 불구하고 피부거칠기 개선 및 향상된 보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 대한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0.5중량% 수용액에서의 점도가 45,000 내지 60,000cps를 만족하는 (메타)아크릴산 및 C10-C30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크로스폴리머인 것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물성을 만족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를 채용하는 경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미세액적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경시변화에 보다 이점을 제공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친수성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상술된 물성을 만족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친수성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상술된 물성을 만족하는 아크릴산계 중합체; 및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과 고함량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은 물론 피부거칠기 개선 및 향상된 보습성에 있어서 상승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상온(25℃)에서 액상의 유분으로 팽윤된 팽윤물의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분은 실록산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부 도포시 피부거칠기 개선 및 향상된 보습성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 저점도, 예를 들면 100mPa·s 이하의 실록산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팽윤된 팽윤물의 형태로 배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A)와 실록산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B)의 혼합비율(중량비, A:B)은 1:99 내지 40:60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록산계 오일은 선형 실록산계 오일 및 고리형 실록산계 오일 등에서 제한되지 않고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디메치콘, 페닐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일 수 있다. 좋게는, 디메치콘, 페닐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C10-20알칸,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일 수 있다. 좋게는, C13-15알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팽윤물은 상술된 오일은 물론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네오펜틸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및 옥틸팔미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에스터계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상술된 오일을 더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오일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함께 상기 미세액적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손 소독제 조성물을 손 등의 피부에 도포할 시, 부드럽게 롤링되고 C2-C3의 알코올 휘발에 따른 피부 건조를 방지함과 동시에 향상된 피부 보습을 돕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100 내지 20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0 내지 180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300 내지 1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는 100 내지 5000cps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손 소독제 조성물은 상술된 수상의 점도를 만족함과 동시에 하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1]
0.1 ≤ N1/N2 ≤ 0.50
[상기 관계식1에서,
상기 N1은 수상의 점도이고,
상기 N2는 유상의 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1(N1/N2)은 구체적으로 0.2 내지 0.45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2 내지 0.4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세액적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1000㎛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세액적의 평균 입경은 100㎛미만의 젤 타입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세액적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1000㎛의 젤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의 측면에서 100 내지 600㎛, 또는 150 내지 500㎛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다가 알코올은 보습성에 시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솔비톨, 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아도니톨, 트레이톨, 아라비톨 및 탈리톨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 조성물은, 손소독제의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균활성 물질 또는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크릴산계 중합체, 염기, C2-C3의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상기 유상을 혼합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미세액적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상 내에 포함되는 C2-C3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물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유화를 위한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미세액적 형태로 유상을 수상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항균 및 살균 효과의 발휘는 물론이고, 보습성이 우수하고 피부거칠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손 소독제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화를 위한 계면활성제는 유화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저분자량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분자량 계면활성제는 몰질량이 1,000g/mol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미세액적 간의 합일을 방지하여 수상에 미세액적이 안정하게 분산되며, 저온은 물론 고온에서도 경시변화에 불리함 없이 안정적인 분산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실록산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상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가 상술된 오일에 혼합되어 팽윤된 팽윤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목적하는 유상의 점도를 위해 추가적으로 팽윤물에 포함된 오일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좋게는 친수성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좋게는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록산계 오일은 디메치콘, 페닐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C10-20알칸,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함께 상기 미세액적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추가적으로 천연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오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상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실록산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상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실록산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오일과 함께, 천연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오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허나, 상기 유상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실록산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오일을 포함하지 않은 조건에서, 상기 천연 오일 및 에스터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오일만을 포함하는 경우, 안정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고, 반응기 벽면에 오일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공정상의 문제점을 야기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일 예로, 상기 천연 오일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 광물 또는 동물로부터 얻은 오일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해바라기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오렌지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레몬 오일, 잣 오일, 호호바씨 오일, 올리브 오일, 티트리 오일, 포도씨 오일, 햄프씨 오일, MCT 오일, 녹차씨 오일, 코코넛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다마스크장미꽃 오일, 브라질넛씨 오일, 드럼스틱씨 오일, 자몽씨 오일, 콩 오일 및 바닐라열매 오일 등의 식물계 오일;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류 등의 광물계 오일; 및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의 에스터 화합물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디(C12-13) 알킬 말레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디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들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오일은 상기 유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와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는 0 내지 50℃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들을 혼합하여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역시, 상술된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소정의 중합체 조합을 통해, 마일드한 공정 조건 중에도 고함량의 C2-C3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상에 포함되는 염기는 아크릴산계 중합체의 점도 형성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와 유상의 점도를 조절하여, 하기 관계식1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상의 점도(N1)는 100 내지 5,000cps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1]
0.1 ≤ N1/ N2 ≤ 0.50
[상기 관계식1에서,
상기 N1은 수상의 점도이고,
상기 N2는 유상의 점도이다.]
일 예로, 상기 관계식1(N1/ N2)은 0.2 내지 0.45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관계식1(N1/ N2)은 0.2 내지 0.4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상의 점도는 500 내지 4,000 cps를 만족하되, 상기 관계식1이 0.2 내지 0.4범위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상의 점도는 1,000 내지 2,000 cps를 만족하되, 상기 관계식1이 0.2 내지 0.35범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상기 수상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유상을 1 내지 30중량부로 투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상은 구체적으로 5 내지 20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8 내지 15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수상의 점도와 유상의 점도조건을 만족하도록 투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손 소독제 조성물은 향료, 산화방지제, pH조절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및 그 중량을 변경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온도는 모두 ℃ 단위이고, 사용량에 대한 단위 언급이 없다면, 중량%의 단위일 수 있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4 및 비교예1 내지 비교예2)
하기 표1의 조성에 따라,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 조성물(100g)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각 손 소독제 조성물에 대한 평가는 하기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5 내지 실시예6)
하기 표2의 조성에 따라,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손 소독제 조성물(100g)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각 손 소독제 조성물에 대한 평가는 하기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2
(비교예3)
하기 표3의 조성에 따라 손 소독제 조성물(100g)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B상을 A상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후, C상을 투입하고, D상을 서서히 투입하여 손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손 소독제 조성물에 대한 평가는 하기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3
(평가방법 및 결과)
1.보습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손 소독제 조성물의 보습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사 제조)를 이용하여, 각 손 소독제 조성물의 사용 전과 사용 직후에 동일한 부위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항온항습 조건; 실내온도 20~24℃ 습도 40~60%). 측정 시, 코니오미터 탐침(probe)을 피부에 접촉시켜 센서를 통해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다(피험자 21명). 상기 코니오미터는 피부를 기본적으로 부도체로 보고 수분이 많이 함유될수록 전기가 잘 통하는 성질을 응용한 장비로 탐침이 접촉하는 곳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값인 정전용량이 높을수록 피부 수분량이 많음을 의미한다.
평가는 하기 표4에 도시한 개선율(%)에 대한 계산식을 통해 도시되었다. 또한, 관련 데이터는 데이터 솔루션의 SPSS statistics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정규성 검정을 실시한 후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95%의 신뢰구간에서 유의확률 p <0.05 일 때, 시험제품 사용에 의해 개선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통계분석법으로는 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Independent samples t-test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 Mann Whitney u test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수득된 결과는, 하기 표4에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피부 수분 함유도가 증가하였으며(p < 0.05), 사용 직후 88.3%의 개선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손 소독제 조성물은 사용 후에도 상술된 개선율 범위 내의 수분 함유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3의 경우, 사용 직후 42.6%의 개선율이 확인되었으나 이후 빠르게 수분 함유도가 저하되었으며, 사용 ??시간 이후에서는 사용전 보다 현저히 낮은 피부 수분 함유도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안전성(이상반응 평가)
실시예1에서 제조된 손 소독제 조성물의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피험자가 손 소독제 조성물(실시예1)을 사용할 때마다 육안으로 이상반응을 확인하였다. 이상반응은 홍반 (Erythema), 부종(Edema), 인설(Scaling), 가려움(Itching), 자통(Stinging), 작열감 (Burning), 뻣뻣함(Tightness) 및 따끔거림(Prickling)의 반응정도로 평가되었다. 여기서, 반응정도는 3점 척도로 평가되었다.
0:none(이상반응 없음), 1:mild, 2:severe, 3:very severe(심각한 이상반응)
그 결과, 각 손 소독제 조성물 사용 직후 전체 피험자가 이상반응 없음에 답하였다.
3.기호도(설문평가)
실시예1에서 제조된 손 소독제 조성물에 대한 주관적 및 기호도 설문평가를 실시하였다(피험자 21명). 설문평가는 촉촉함, 매끄러움, 흡수성, 발림성 및 전반적 사용감에 대하여 5점 척도로 평가되었다.
Figure pat00005
4.제형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손 소독제조성물의 제형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형안정성은 냉장항온조(4±2℃), 상온항온조(25±2℃), 고온항온조(45±2℃) 및 사이클 챔버(Freeze-Thaw Chamber, -20 ℃에서 45 ℃를 1일 1회 주기로 순환)에 보관하고, 1주일 간격으로 4주일동안 각 시료의 상분리 여부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4주일동안의 제형안정성이 비교예 대비 우수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및 실시예3의 경우, 냉장, 상온, 고온 뿐만 아니라 사이클 챔버에서의 4주일동안의 제형안정성에 우수함을 보였다. 반면, 비교예1의 경우, 미세액적이 형성되지 않고 유화제형과 유사하게 제조되어, 본 발명에 적합한 규격을 만족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2의 경우 수상의 점도가 없어 수분내 유상이 제형 상부에 들뜨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5.항균활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손 소독제 조성물의 항균활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아가 희석(Agar dilution) 방법으로 7종의 균 즉, 스트렙토코쿠스 피오제네스(Streptococcus pyogenes) 308A,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1621,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1039,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9027,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 1082 E 및 엔테로박터 클로아케(Enterobacter cloacae) 1321 E를 접종한 후 37℃의 혐기 상태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초기균의 균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농도를 최소생육저해농도(MIC)(ug/ml)로 하여,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6.미세액적의 평균입경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손 소독제 조성물에서, 미세액적의 평균입경은 광학현미경(배율:x100)을 통해 측정되었다.
상기 표1 및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제 조성물은 70 내지 650nm의 범위를 갖는 안정적인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미세액적의 평균입경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7.점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손 소독제 조성물의 점도 측정은 Visco Star plus R(FUNGILAB)를 이용하여 R3~6, 1000rpm, 25℃, 20sec 조건에서 수행되며, 3회 측정된 평균값으로 계산되었다. 여기서, 상기 점도의 단위는 cps이다.
상기 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제 조성물은 550 내지 4000 범위의 수상점도를 나타냄과 동시에 관계식1을 만족하였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유상점도 또는 수상점도가 낮아 안정적인 제형을 형성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수상인 연속상 내에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유상, 및
    아크릴산계 중합체, C2-C3의 알코올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며, 상기 C2-C3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물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인 손소독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2-C3의 알코올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8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손소독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는,
    0.5중량% 수용액에서의 점도가 45,000 내지 60,000cps를 만족하는 (메타)아크릴산 및 C10-C30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크로스폴리머인 손소독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PEG-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인 손소독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계 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는 100 내지 20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손소독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실록산계 오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실록산계 오일은 상기 실록산계 엘라스토머와 함께 상기 미세액적 내에 포함되는 것인 손소독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는 100 내지 5000cps인 손소독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액적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1000㎛인 손소독제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것인 손소독제 조성물.
  11. 아크릴산계 중합체, 염기, C2-C3의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실록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상기 유상을 혼합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분산상인 유상이 미세액적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 내에 포함되는 C2-C3의 알코올의 함량은 상기 물의 함량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의 점도(N1)는 100 내지 5000cps를 만족하고,
    상기 수상의 점도(N1)와 상기 유상의 점도(N2)는 하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것인, 방법:
    [관계식1]
    0.1 ≤ N1/ N2 ≤ 0.50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과 유상을 유화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인,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상기 수상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유상을 1 내지 30중량부로 투입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210096308A 2020-07-31 2021-07-22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5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5756 2020-07-31
KR1020200095756 2020-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948A true KR20220015948A (ko) 2022-02-08

Family

ID=8025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308A KR20220015948A (ko) 2020-07-31 2021-07-22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9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850B1 (ko) 보습 손 세정제
JP3625214B2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US6333039B1 (en) Opaque skin sanitizing composition
US20020037268A1 (en) Antimicrobial sanitizing lotion with skin protection properties
PL194676B1 (pl) Kompozycja o działaniu przeciwko drobnoustrojom
US8815959B2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9515885A (ja) プレバイオティクス/プロバイオティクス添加剤入りの局所用洗浄組成物
BR112021010118A2 (pt) Composições para cuidados pessoais
JP2011074082A (ja) 防腐殺菌剤及び人体施用組成物
JP2017536360A5 (ko)
JP4429053B2 (ja) 油性洗浄料
JP2005068023A (ja) 皮膚外用剤
JP6608821B2 (ja) 水性媒体を含む組成物
JP4091566B2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KR20220015948A (ko) 미세액적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734293B2 (ja) 防腐殺菌剤及び人体施用組成物
KR20030061813A (ko) 피부 세정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102482158B1 (ko) 소독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83111A (ja) 消毒用組成物
KR20190042164A (ko)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성분을 함유한 무방부제 물티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2865A (ko) 고내상 수중유형 유화 알코올계 손소독제
WO2020089351A1 (de) Kosmetisches mittel zur behandlung eines keratinischen materials mit anti-pollution-wirkung
CA3109338A1 (en) Emulsion-based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ame
JPH0536404B2 (ko)
JP2023540871A (ja) エマルジョン剤形の消毒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