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777A -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 Google Patents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777A
KR20220015777A KR1020200096263A KR20200096263A KR20220015777A KR 20220015777 A KR20220015777 A KR 20220015777A KR 1020200096263 A KR1020200096263 A KR 1020200096263A KR 20200096263 A KR20200096263 A KR 20200096263A KR 20220015777 A KR20220015777 A KR 2022001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oes
information
exercis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8480B1 (en
Inventor
이청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올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올즈
Priority to KR102020009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480B1/en
Publication of KR2022001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2Details of the space or ground control seg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ritical Care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exercise of a user through information collected by using a shoe in which a GPS module and a sensor unit are embedded, to determine the user's emergency status, and to immediately specify the location of the user determined to be in an emergency state, thereby enhancing the user's health in normal times and being used for quick discovery of the user in case of an emerg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linked with an application comprises: a shoe including a GPS module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a sensor unit collecting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user terminal having a user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receiving and storing the wearing state information, the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and store the exercise amount of the user wearing the shoes, displaying the calculated user's exercise amount on a screen in various ways, calculating the non-wearing time of the user's shoes to determine the user's emergency status, and notifying a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of the user's emergency status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Description

앱과 연동하는 신발{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본 발명은 앱과 연동하는 신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측정과 위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GPS 모듈과 센서부가 내장되는 신발을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위급 상태로 판단된 사용자의 위치를 즉시 특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평상시 사용자의 건강 증진과 위급시 사용자의 신속한 발견에 이용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easuring a user's exercise amount and determining an emergency state by using a shoe in conjunction with an app,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information collected using a shoe with a built-in GPS module and a sensor 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user's exercise amoun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user's emergency state, and is configured to immediately specify the user's location determined as an emergency status technology that can be used for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각종 센서가 내장되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등의 건강관리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ealth management methods such as measuring a user's exercise amount using a smart phone or a wearable device having various sensors built-in are becoming common.

그러나 현재의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시계 형태의 제품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그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미착용한 상태로 외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팔동작만으로도 운동량이 측정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majority of current wearable devices are watches worn on the user's wrist, depending on the shape, the user may go out without wearing it, and the amount of exercise can be measured only with the user's arm movements. Disadvantages such as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신체 특성이나 개인 사정 등을 고려하여 착용 형태를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건강관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발생한 위험을 감지하는 등의 기능이 부가될 필요성이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wearing pattern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hysical characteristics or personal circumstances, and there is a need to add functions such as sensing a risk to the user as well as health management.

이와 관련되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982호의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9362호의 “다기능 스마트 신발”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In this regard, inventions such as "Activity monitoring method using a sensor shoe with a built-in acceleration sensor and a mobile application"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56982 and "Multifunctional smart shoes"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99362 have been proposed and published.

우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982호에는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활동량과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및 보호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주로 노인으로 구성되는 사용자의 활동량과 위험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First,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56982, the wearer's activity amount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collected using a shoe with a built-i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and provided to the terminals of users and guardians. An invention related to a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monitor the activity amount and risk situation of a user composed mainly of the elderly has been proposed.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9362호의 “다기능 스마트 신발”에는 센싱 모듈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신발을 이용하여 신발의 착용과 움직임을 포함하는 착용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착용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착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착용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smart sho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99362 uses a shoe with a built-in sensing module and a GPS module to obtain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wearing and movement of the sho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wearer by analyzing the wearing state informa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scuing the wearer by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신발을 착용한 상태인 사용자가 주요 활동지역 또는 미리 정해진 안전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나 사용자가 착용한 양측 신발에 동시에 일정 횟수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그리고 측정되는 활동량에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ventio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 a state of wearing shoes deviate from the main activity area or a predetermined safety area, or when the user wears both shoes at the same tim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shocks, and the measured activity It is configured to judge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when a sudden change occurs, so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사용자의 주요 활동지역을 산출하거나 안전 지역을 미리 지정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동거리의 제약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과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onventional inventions as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to calculate a user's main activity area or designate a safety area in advance, it may cause inconvenience and discomfort to the us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oving distance.

또한, 사용자가 착용한 양측 신발에 동시에 발생하는 일정 횟수 이상의 충격이나 측정되는 활동량의 급격한 변동에 의한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의 판단은 부정확한 판단을 유발할 가능성이 상당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에서 그 기능이 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udgment of an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 due to a certain number of shocks occurring simultaneously on both shoes worn by the user or a sudden change in the amount of measured activity is highly likely to cause inaccurate judgment. In an emergency, that function may be useless.

마지막으로,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을 판단함에 있어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을 미착용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을 판단할 수 없게 되는 기능상의 한계가 발생한다.Finally, in determining an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s wearing shoes, so there is a functional limitation that makes it impossible to determine an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 that has occurred to the user when the user is not wearing shoes. Occur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거부감을 유발하지 아니하며 위치와 활동량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위급한 상태인 사용자의 신속한 발견과 평상시의 건강 증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configured to solve all of these problems, and it does not cause user objection, and it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and activity amount to use it for quick discovery of users in an emergency and health promotion in everyday life. The present invention is in deman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982호(2018. 05. 3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6982 (May 30, 20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9362호(2018. 09. 1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99362 (September 11, 2018)

본 발명에 의한 앱과 연동하는 신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The shoe interlocking with th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종래의 발명들은 사용자의 주요 활동지역을 산출하거나 안전 지역을 미리 지정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동거리의 제약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과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Conventional inventions proposed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watch-type wearable device ar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user's main activity area or to designate a safety area in advanc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and discomfort to the us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ovement distance. There are possible problems,

사용자가 착용한 양측 신발에 동시에 발생하는 일정 횟수 이상의 충격이나 측정되는 활동량의 급격한 변동에 의한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의 판단은 부정확한 판단을 유발할 가능성이 상당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에서 그 기능이 무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Judgment of an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 due to a certain number of shocks occurring simultaneously on both shoes worn by the user or a sudden change in the amount of measured activity is highly likely to cause inaccurate judgment, and in some cases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s Since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function may be useless, the purpose is to present a solution to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the above object,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GPS 모듈,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그리고 수집된 정보들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이 내장되는 사용자 신발; 및, 사용자 앱이 설치된 상태로,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 및 저장하고, 계산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 가능하며, 그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에 따른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동하는 신발을 제시한다.a user's shoe having a built-in GPS module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a sensor unit for collecting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th the user app installed, receiving and storing wearing state inform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and store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wearing the user's shoes, and display the calculated amount of exercise on the screen in various ways It is possible,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by calculating the time the user's emergency state is determined, the user terminal for notifying the user's emergency stat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o a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It presents shoes that link with th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위급 상태의 판단에 사용자 입력의 발생과 사용자 입력이 미발생한 시간을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occurrence of the user input and the time when the user input does not occur in the determination of the emergency state.

본 발명에 의한 앱과 연동하는 신발은,Shoes linked with th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주요 활동지역을 산출하거나 안전 지역을 미리 지정하고 그 지역의 이탈을 감지하는 방식을 대신해서 신발이 미착용된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동거리의 제약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과 불쾌감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Instead of calculating the user's main activity area or designating a safety area in advance and detecting departure from the area,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user's emergency state using the time when the shoes are not wor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comfort and discomfort of

사용자의 행위를 요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보다 유용할 수 있으며,It can be more useful because it is configured not to require user action,

긴급 상황 또는 응급 상황을 판단함에 있어, 신발이 미착용된 시간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가 미사용된 시간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판단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reflect not only the time when the shoes are not worn, but also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is not use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judgmen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앱과 연동하는 신발의 구성도.
도 2는 사용자 단말기가 기능을 수행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착용 상태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발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hoe that works with an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quence in which a user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s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user's emergency state using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user input generation.

본 발명은 앱과 연동하는 신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측정과 위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easuring a user's exercise amount and determining an emergency state using shoes linked with an app,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GPS 모듈(110),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120) 그리고 수집된 정보들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30)이 내장되는 사용자 신발(100); 및, 사용자 앱이 설치된 상태로,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 및 저장하고, 계산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 가능하며, 그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에 따른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통보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동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A user's shoe ( 100); An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app is installed, receiving and storing wearing state inform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and store the exercise amount of the user wearing the user's shoes 100, and to calculate the exercise amount of the user in various ways A user terminal 200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determines the user's emergency state by calculating the time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and notifies the user's emergency stat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It relates to shoes that link with th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상기 사용자 신발(100)은 사용자가 외출할 때 발에 착용하는 물건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고자 하는 신발 본연의 목적에 더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user's shoes 100 are items worn on the feet of the user when going out, and in addition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hoes to protect the user's feet,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measuring the amount of exercise. .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신발(100)의 내부에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GPS 모듈(110), 사용자의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부(120) 그리고 수집된 정보들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3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며, 상기 장치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또한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To this end, the inside of the user's shoes 100 is a GPS module 110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a sensor unit 120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llecting the user's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A communicat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 ,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s is also essential.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공지의 GPS 장치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 중 위도 및 경도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고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about latitude and longitude among information obtainable using a known GPS device, an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altitude if necessary.

또한, 상기 착용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상태 또는 미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운동 정보는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걷고 달리는 행동을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wearing state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or does not wear the user's shoes 100 ,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is for detecting the walking and running behavior of the user wearing the user's shoes 100 . means information.

따라서, 상기 센서부(120)는 압력을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용 모듈임이 바람직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sensor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used for detecting pressure and one or mor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s used for detecting motion,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 is preferably a Bluetooth modul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0 in a Bluetooth man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 내부에 구비되는 인솔(insole)의 내부 또는 하방측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발바닥 중 비교적 단단하고 돌출되어 하방으로의 가압에 유리한 뒤꿈치 등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or is provided on the in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insole provided inside the user's shoe 100, and is relatively hard and protrudes from the sole of the user's sole, and is protruded to one or more parts such as the heel, which is advantageous for downward pressure It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nse the state of wearing the user's shoes 100 .

또한, 상기 3축 가속도 센서 및 상기 통신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신발(100) 중 설포의 내부, 신발 굽의 내부 등 비교적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안전하고, 사용자 신발(100)의 형상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영향이 없으며,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re relatively safe from impacts from the outside, such as the inside of the tongue and the inside of the heel of the user's shoes 100 , and the effect on the shape of the user's shoes 100 .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or have no effect, and to be provided in a portion that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to the user who wears the user's shoes 100 .

또한, 상기 사용자 신발(100)의 내부에는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가진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는 GPS 모듈(110)과 센서부(120)를 통해 수집되는 위치 정보, 착용 상태 정보 그리고 운동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신발(100)과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통신이 제한되는 등 상기 정보들의 전송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도 그 정보들의 상실을 방지하고, 이후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태일 때 다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torage unit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user's shoes 100 , and the storage uni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GPS module 110 and the sensor unit 120 ,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By storing information, the loss of the information is prevented even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is impossible, such a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shoes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s restricted, and then transmitted agai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make it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신발(100)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위한 보관함 또는 정리대 형태의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배터리가 사용자 신발(100)의 굽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한 형태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in the form of a storage box or organizer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user's shoes 100, in this case, the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heel of the user's shoes 100 It would be the most desirable form.

또한, 상기 사용자 신발(100)의 외부 측에는 충전선의 연결을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충전 단자의 보호를 위한 덮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harging terminal for connecting a charging lin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ser's shoes 100,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cover for protecting the charging terminal is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무선통신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수신된 정보의 처리 및 표시가 가능한 공지의 스마트폰이며, 본 발명의 이용을 위한 사용자 앱의 설치를 전제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is a known smart pho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and display of the received information, it is premised on the installation of a user app for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공지의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모듈(130)과 페어링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 모듈(130) 간의 페어링은 항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paired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using a known pairing method, an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airing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is always performed. It is desirable to keep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의 통신 모듈(130)을 통해 전송되는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고, 수신 및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 및 저장할 수 있으며, 계산 및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nd store wearing state inform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of the user's shoes 100 , and receive and store The user's exercise amount can be calculated and stored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and the calculated and stored user's exercise amount can be converted into various types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various ways.

이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 및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에 따른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통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can determine the user's emergency status by calculating the time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based on the received and stored information, and the user's emergency status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t may be notified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

한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사용자 운동량의 계산과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의 계산 등은 사용자 신발(100)이 사용자의 오른발과 왼발에 모두 착용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On the other hand, unless there is a special circumstance, the calculation of the user's exercise amount by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alculation of the time when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are performed when the user's shoes 100 are worn on both the right and left feet of the user. condition is assumed.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 신발(100)을 구성하는 한 켤레의 신발 중 어느 한 쪽만을 착용하고 외출하는 상황이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점과, 사용자가 아닌 타인에 의하여 사용자 신발(100)을 구성하는 한 켤레의 신발 중 어느 하나가 일시적으로 가압될 수 있는 상황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This is a very unusual situation for the user to go out wearing only one of a pair of shoes constituting the user's shoes 100, and the user's shoes 100 by others other than the user. All situations in which any one of a pair of shoes may be temporarily pressurized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즉, 본 발명은 상기 GPS 모듈(110), 상기 센서부(120) 및 상기 통신 모듈(130) 등이 상기 사용자 신발(100)을 구성하는 한 켤레의 신발 각각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모듈(110), 센서부(120) 및 통신 모듈(130)이 한 켤레 중 어느 한 쪽에만 모두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는 센서부(120) 중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와 통신 모듈(130)만이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module 110 , the sensor unit 120 ,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each pair of shoes constituting the user shoes 100 , FIG. As shown in 3, the GPS module 110, the sensor unit 12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re all provided on only one side of the pair,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120. It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only the module 130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을 구성하는 한 켤레의 신발 전부로부터 위치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운동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나 한 켤레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위치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운동 정보가 전송되고, 다른 한 쪽으로부터 착용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운동량을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from all of a pair of shoes constituting the user's shoes 100 or location information and wearing state from any one of a pair. Only when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and wearing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user wears the user's shoes 100 and perform a function such as calculating the user's exercise amount.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로부터 위치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운동 정보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GPS 모듈(110), 센서부(120) 또는 통신 모듈(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이상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the user's shoes 100 ,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the GPS module 110 , the sensor unit 120 or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one or more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13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notify the user.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신발(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배터리의 잔량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s shoes 100 and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n the screen to notify the user.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하여 계산된 사용자 운동량은 사용자의 이동시간, 이동거리, 걸음수, 소비 칼로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 가능하며, 날짜별로 종합되어 구분되게 저장됨으로써 사용자 앱을 통한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s exercise amount calculated by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various ways such as the user's moving time, moving distance, number of steps, calories consumed, etc.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for user's health management.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다수의 압력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각각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걸이 또는 보행자세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gait or gait of the user by using each pressure value measured in real time by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즉, 사용자의 걸음걸이 또는 보행자세가 올바른 상태라면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되는 신발의 압력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각각의 압력값과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되는 신발의 압력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각각의 압력 값이 각 부위마다 동일한 범위내로 형성되어야 하나, 편차가 크게 발생할수록 사용자의 걸음걸이 또는 보행자세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if the user's gait or gait posture is correct, each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pressure sensors of the shoe worn on the user's left foot and the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pressure sensors of the shoe worn on the user's right foot are It should be formed within the same range for each part, but the greater the deviation, the worse the user's gait or gait can be determined.

이때, 사용자의 걸음걸이 또는 보행자세는 우수, 좋음, 보통, 나쁨 등으로 등급화되어 사용자에게 통보될 수 있으며, 그 등급에 따라 자세의 교정을 위한 방안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ait or gait of the user may be graded as good, good, normal, bad, etc. and notified to the user,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ture may be provided together according to the grad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교정 방안에 따라 보행하며 자신의 걸음걸이 또는 보행자세를 교정함으로써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 신발(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신발 굽의 불균형한 마모를 방지하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duce foot fatigue by correcting his/her gait or gait while walking according to the correction method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nd an imbalance in the heel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user's shoe 100 . Various effects, such as preventing wear and tear, can be obtained.

그러나 자세의 교정을 위한 방안이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걸음걸이 또는 보행자세가 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은 사용자가 걸을 때마다 진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걸음걸이 또는 보행자세를 의식적으로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 신발(100) 각각의 내부에는 진동을 위한 진동 모터 또는 진동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However, if the user's gait or gait is not corrected even though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ture is provided, the user's shoes 100 vibrate whenever the user walks so that the user consciously adjusts his/her gait or gait. A vibration motor or a vibration element for vibration may be provided inside each of the user's shoes 100 for this purpos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을 이용한 위급 상태의 판단에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과 사용자 입력이 미발생한 시간을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reflect the occurrence of the user input and the time when the user input is not generated using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determination of the emergency state using the time when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there is.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신발을 하나 이상 소유할 수 있고, 외출 의사가 없거나 건강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한 시간이 경과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own one or more other types of shoes in addition to the user shoes 100,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may elapse without the user's shoes 100 being not worn due to no intention of going out or health problems. there is.

따라서, 단순히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만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은 착오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 착오에 따른 보호자와 관계 기관의 불필요한 조치를 유발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발명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자에 의하여 하루에도 다수회 이용될 가능성이 상당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determining the user's emergency state by simply calculating only the time when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may lead to an error, and cause unnecessary actions by the protector and related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error. As a solution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ser terminal 200,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used multiple times a day by the user, unless there is a special circumstance.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계산되는 경우라도 지정된 일정시간 내로 그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라면 사용자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0 within a specified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time when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is calculated as more than a specified time. If it occurs, the user may be considered to be in a normal state and not determined as an emergency state of the user.

그러나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계산되고 지정된 일정시간 내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위급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통보할 수 있다.However, if the time when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is calculated for more than a specified time and no user input has occurred within a specified time period,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tate and determines the emergency state. It can be notified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이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통보함과 동시에 지정된 관계 기관으로도 그 상태를 통보함으로써 응급 대원 등에 의한 확인, 구호 등의 조치가 신속하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notifies the user's emergency state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and at the same time notifies the designated related organization of the state, so that measures such as confirmation and relief by emergency personnel are promptly generated can make it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이라 함은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각종 버튼이나 그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입력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음성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작동 중인 상태를 전제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put refers to various button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00 composed of a known smart phone or various input button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by the user's touch or voice input. It means an input that is generated, and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200 is in an operating st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구비되는 각종 버튼이나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입력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일정시간 내에 지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것을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user's touch to various button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various input buttons appearing on the screen occurs more than a specified number of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s a criterion for judging a user input.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구비되는 각종 버튼이나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입력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10초 내에 3회 이상 발생하는 것을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시간 및 횟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user's touch to various button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various input buttons appearing on the screen occurs three or more times within 10 seconds as a criterion for judging a user input. and the time and number of times may be set in various ways.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의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외한 다른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any one or more functions other than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re executed by the user's voice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0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user input.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지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 사용자에 대한 확인 요청과 확인에 따른 회신 요청을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사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의 회신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지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와 지정된 관계 기관에 통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calculates the time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and before the specified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confirmation request for the user and a reply reques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are sent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in advance.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o, and when a specifi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without a reply from the guardian terminal 300, the user's emergency status may be notified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and a designated related organization. there is.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사용자의 위급 상태가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통보되는 경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위급 상태가 지정된 관계 기관으로 통보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조치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s emergency status is notified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by the user terminal 200, furthermore, when the user's emergency status is notified to the designated related organization, the corresponding action is taken will occur

또한, 사용자의 위급 상태가 통보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조치에 의하여 사용자가 구호될 수 있으나 이미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의 구호가 불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emergency state is notified, the user may be relieved by the corresponding measures, but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has passed, the user's relief may not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신발(100)을 미착용한 시간이 지정된 시간을 경과하기 전이라도 장시간 반응이 없는 사용자의 상태를 보호자가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의 잘못된 판단에 의한 불필요한 조치의 발생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불상사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guardian to check in advance the state of the user who has not reacted for a long time even before the time that the user does not wear the user's shoes 100 elapses the specified tim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easures due to subsequent erroneous judg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accidents or accidents over tim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확인 요청의 전송 후 회신 요청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한 보호자가 회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신 요청에 따른 회신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통보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a reply request after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request so that the guardian who has checked the user's status responds, and when a reply according to the reply request is received, even if a specified time elapses, the user's emergency status is not notified.

이때,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에 의한 회신 방식으로는 보호자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보호자 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guardian app installed in the guardian terminal 300 may be used as a reply method by the guardian terminal 3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마지막으로, 상기 사용자 신발(100)은 운동화, 등산화 등 여러 종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여러 켤레를 소유하고 외출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신발(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통합되어 저장 및 관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nally, the user's shoes 100 may be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shoes, such as sneakers and hiking boots, and the user may own several pairs and selectively wear the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oing out, and from each user's shoes 100 The transmitted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ted into the user terminal 200 to be stored and managed.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신발(100) 중 어느 하나만을 착용하고 다른 사용자 신발(100)을 장기간 미착용하는 경우라도 사용자의 위급 상태가 판단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장기간 미착용한 사용자 신발(100)에 대한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wears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user shoes 100 and does not wear the other user shoes 100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user's emergency state is not determined, and the user does not wear it for a long time using the user terminal 200 . Registration for one user's shoes 100 may be canceled.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introduced above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Also,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100 : 사용자 신발 → 110 : GPS 모듈
120 : 센서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보호자 단말기
100: user shoes → 110: GPS module
120: sensor unit
200: user terminal
300: guardian terminal

Claims (5)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GPS 모듈(110),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120) 그리고 수집된 정보들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30)이 내장되는 사용자 신발(100); 및,
사용자 앱이 설치된 상태로, 착용 상태 정보와 운동 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 및 저장하고, 계산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 가능하며, 그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에 따른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통보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동하는 신발.
A user's shoe ( 100); and,
With the user app installed, it receives and stores wearing state inform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and store the exercise amount of the user wearing the user's shoes 100, and display the calculated exercise amount on the screen in various ways. A user terminal 200 that can be displayed, calculates the time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determines the user's emergency status, and notifies the user's emergency statu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Shoes linked with th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을 구성하는 한 켤레의 신발 전부로부터 위치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운동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또는,
한 켤레의 신발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위치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운동 정보가 전송되고, 다른 한 쪽으로부터 착용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사용자 신발(10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동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00,
When location information,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all of a pair of shoes constituting the user's shoes 100, or
When location information, wearing state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one of a pair of shoes and wearing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worn the user's shoes 100 and the user's exercise amount Shoes that work with the app,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alcu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위급 상태의 판단에 있어 사용자의 터치 또는 음성 입력에 의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과 사용자 입력이 미발생한 시간을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동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00,
Shoes interlocking with an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occurrence of user input by the user's touch or voice input and the time when the user input does not occur in determining the emergency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신발(100)이 미착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지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 사용자에 대한 확인 요청과 확인에 따른 회신 요청을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로 사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의 회신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지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급 상태를 지정된 보호자 단말기(300)와 지정된 관계 기관에 통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동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200,
By calculating the time the user's shoes 100 are not worn,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 confirmation request for the user and a reply reques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in advance before a specified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a specifi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without a reply from the guardian terminal 300, the user's emergency status is communicated to the designated guardian terminal 300 and a designated related organization. shoes to d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발(100)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위한 보관함 또는 정리대 형태의 무선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동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Shoes interlocking with th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charging unit (not shown) in the form of a storage box or organizer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user's shoes (100).
KR1020200096263A 2020-07-31 2020-07-31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KR102398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63A KR102398480B1 (en) 2020-07-31 2020-07-31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63A KR102398480B1 (en) 2020-07-31 2020-07-31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77A true KR20220015777A (en) 2022-02-08
KR102398480B1 KR102398480B1 (en) 2022-05-16

Family

ID=8025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263A KR102398480B1 (en) 2020-07-31 2020-07-31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48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076A (en) * 2008-09-17 2010-03-25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Responsing method and apparatus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KR20130073648A (en) * 2011-12-23 2013-07-03 노태형 Shoe possible to report of a unusual case
KR20170031891A (en) * 2015-09-14 2017-03-22 조태원 multi-function smart shoes
KR20170053222A (en) * 2015-11-06 2017-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mart insole and shoes with a sensor for emergency
KR20180056982A (en) 2016-11-21 2018-05-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ensor shoes with a acceleration sensor embedded and activity monitoring method using mobile application
KR102006027B1 (en) * 2012-11-09 2019-07-31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chargeable shoes and wireless charger used therei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076A (en) * 2008-09-17 2010-03-25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Responsing method and apparatus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KR20130073648A (en) * 2011-12-23 2013-07-03 노태형 Shoe possible to report of a unusual case
KR102006027B1 (en) * 2012-11-09 2019-07-31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chargeable shoes and wireless charger used therein
KR20170031891A (en) * 2015-09-14 2017-03-22 조태원 multi-function smart shoes
KR101899362B1 (en) 2015-09-14 2018-09-17 조태원 multi-function smart shoes
KR20170053222A (en) * 2015-11-06 2017-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mart insole and shoes with a sensor for emergency
KR20180056982A (en) 2016-11-21 2018-05-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ensor shoes with a acceleration sensor embedded and activity monitoring method using mobile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480B1 (en)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1541B1 (en) An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
KR100987273B1 (en)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EP2688472B1 (en)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physical rehabilitation
EP3033958B1 (en) Method of detecting a fall of a footwear user
CN204618208U (en) The wearable system of a kind of Real-Time Monitoring health, active state and environment
CN106200952A (en) A kind of method monitoring user behavior data and wearable device
US20110077904A1 (en) Mo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footwear for motion recognition
KR101461306B1 (en) Device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fall accident therefor
EP2774502A1 (en) Shoe comprising sensors
WO2014154352A1 (en) Human motion analysis method and device
CN110573075B (en) Walking teaching system and walking teaching method
US20160223356A1 (en) Light-emitting pedometer sneaker
JP2014007533A (en) Wanderer position management system
KR102398480B1 (en)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JP2016016067A (en) Activity amount measuring device, activity amount measuring method, and activity amount measuring program
CN107462152B (en) Wearable metering device
KR101179997B1 (en) Mobile body monitoring system
KR101201965B1 (en) Bio-signal Measuring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Insole for Shoes including the Same
KR101397997B1 (en) Safety system using health care u-helmet
CN205940619U (en) A wearable apparatus
KR102337525B1 (en) Shoes for fall accident prevention and walk correcting
CN110916671A (en) Intelligent running monitoring system
KR20200016439A (en) Walking monitoring system using sensing module mounted on wearer's shoes
US20210315488A1 (en) Analysing symmetry of limb function
Se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Clothing System Coping with Emergency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