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592A -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592A
KR20220015592A KR1020200095780A KR20200095780A KR20220015592A KR 20220015592 A KR20220015592 A KR 20220015592A KR 1020200095780 A KR1020200095780 A KR 1020200095780A KR 20200095780 A KR20200095780 A KR 20200095780A KR 20220015592 A KR20220015592 A KR 20220015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gas
filter
li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316B1 (ko
Inventor
백기현
이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싱싱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싱싱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싱싱캔
Priority to KR102020009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3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65D81/267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the absorber being in sheet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용이성 등급제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와 뚜껑이 이종 소재로 만들어진 보관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하고,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이종인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시밍(seaming)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면 및/또는 측면에 설정된 형태로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Easily Separabl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용이성 등급제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와 뚜껑이 이종 소재로 만들어진 보관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만들고,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재활용 기반시설을 고려하여 생산단계에서부터 포장재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설계되도록 재활용 용이성 등급제의 등급기준이 개정되었다. 또한, 페드병 라벨 접착제의 단계적 저감과 함께, 라벨 분리배출 등 분리배출 문화 확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및 시민사회의 합동 실천운동이 추진되고 있다.
페트병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몸체 색상을 무색으로 하고, 라벨 또는 뚜껑과 같이 몸체와 이종 소재가 쉽게 제거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라벨의 제거는 절취라인홈 등을 삽입하여 소비자가 분리배출 시 최대한 제거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일본 방식과, 재활용 공정의 세척 과정에서 물에 뜨는지 여부를 우선시하는 비중분리의 유럽 방식으로 구분되어 원활하게 시행되고 있다. 또한, 페트병의 몸체와 동종 소재로 만들어진 뚜껑은 몸체와 뚜껑을 함께 배출하면 되므로 분리배출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페트병의 몸체와 이종 소재로 만들어진 뚜껑은 제품의 밀봉을 위해 몸체에 시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분리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1037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활용 용이성 등급제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와 뚜껑이 이종 소재로 만들어진 보관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분리가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이종인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시밍(seaming)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면 및/또는 측면에 설정된 형태로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절취선과 연결되어 상기 뚜껑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뚜껑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취되도록 작용 또는 작동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뚜껑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직선, 곡선, 사선,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선 또는 다중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뚜껑부와 동종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봉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은,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멤버레인 필터, 및 상기 멤버레인 필터 상에 배치되는 가스포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레인 필터는, 상기 멤버레인 필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필터본체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하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된 하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상면에 부착 형성되고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된 상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위치하여 가스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멤버레인막;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멤버레인막의 상면에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원웨이막 턱부와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에 고정 부착되어 형성되는 원웨이막; 및 상기 상부관통구에 삽입 수용되며, 하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최상측과 맞닿아 형성되고, 설정된 위치에 관통된 수용홀이 형성된 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가 상기 하부관통구로 유입되고, 다시 상기 멤버레인막, 상기 가이드부, 상기 원웨이막 및 상기 수용홀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가스포집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설정된 내측에 부착되는 탈취능을 가지는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내측 부위에 상기 필름층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집부는, 상기 멤버레인 필터 상에 배치된 다공성 가스포집층과, 상기 다공성 가스포집층 상에서 상기 밀봉판에 접합되는 클래딩층을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가스포집층의 상면 및 측면은 상기 클래딩층으로 밀봉되어 클래딩되고, 클래딩 및 조인트 지점에 밀봉 처리를 하여 상기 밀봉판에 접합되고, 상기 클래딩층은 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미세다공성 박막층 또는 ePTFE 미세다공성 박막의 개질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판 및 상기 뚜껑부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활용 용이성 등급제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와 뚜껑이 이종 소재로 만들어진 보관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분리가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뚜껑부의 절취선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외부의 유해 인자들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고, 내용물을 담는 역할을 하며 소비자에게 영양성분 또는 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용기 본체와 뚜껑이 이종 소재로 만들어진 보관 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뚜껑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뚜겅의 내측에 결합된 밀봉판의 일면에 가스포집부를 형성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별도로 준비된 필름층을 본체부(11) 등의 설정된 영역에 부착하여 탈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외측두껑부(13)가 본체부(11)의 상단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본체부(11), 본체부(11)와 이종인 소재로 형성되어 본체부(11)의 상부에 시밍(seaming) 결합되고, 본체부(11)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면 및/또는 측면에 설정된 형태로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뚜껑부(13), 및 뚜껑부(13)와 동종 소재로 형성되고, 뚜껑부(13)의 내측에 결합되어 본체부(11)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봉판(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는 보관용기(1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식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은 내용물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본체부(11)를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지는 원통형 용기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단면을 가지거나 높이에 따라(즉, 보관용기(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단면 기준의 평면 모양이 사각형에서 원형 등으로 일부 또는 전부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단면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판(1)은 본체부(1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방구를 1차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얇은 판을 지칭한다. 밀봉판(1)은 본체부(11)의 상부면에 형성된 테두리를 따라 별도의 접착제를 설정된 아래쪽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관용기(10) 내부의 압력 등에 의해 임의 탈락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봉판(1)은 보관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김치 등 내용물의 액체 성분(예: 김치 국물 등)이 임의로 보관용기(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비침투성의 금속 물질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부(13)는 본체부(11)의 상부(또는 일측이 될 수 있다) 개방부(개구부)를 추가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뚜껑을 지칭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개방부의 상부 및/또는 측면을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뚜껑부(13)는 본체부(11)와 이종인 소재로 형성되어 본체부(11)의 상부에 시밍(seaming)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부(13)는 밀봉판(1)과 함께 또는 별개(밀봉판(1)을 사용자 등이 뜯어낸 경우 등)로 보관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뚜껑부(13)는 내용물이 보관용기(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비침투성의 금속 물질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3)는 사용 이후 상기 본체부(11)로부터 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면 및/또는 측면에 설정된 형태로 물리적으로 형성된 절취선(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취선(20)은 직선, 곡선, 사선,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선 또는 다중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취선(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3)의 상면 및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개방부의 측면을 감싸는 뚜껑부(13)의 측면 및 상면에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3)는 절취선(20)과 연결되어 뚜껑부(13)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30)는 뚜껑부(13)의 절취선(20)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사용자의 파지(把持, Grip)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30)는 사용자에 의해 절취선(20)을 따라 뚜껑부(13)의 적어도 일부가 절취되도록 작용 또는 작동하여 본체부(11)로부터 뚜껑부(13)를 분리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30)는 사용자의 파지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절취선(20)에 힘을 전달하고, 절취선(20)을 따라 뚜껑부(13)가 절취되도록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30)는 실시 형태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3)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뚜껑부(13)의 상면에서부터 측면으로 뚜껑부(13)가 절취되도록 만들 수 있다. 또는, 손잡이(30)는 실시 형태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3)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뚜껑부(13)의 측면에서부터 상면으로 뚜껑부(13)가 절취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사용 이후 분리 배출, 즉 이종 소재로 구성된 본체부(11) 및 뚜껑부(13)를 손으로도 찢는 등의 동작으로 손쉽게 분리하여 재활용 가능(“재활용 용이성 등급제”, 환경부, 2020 포장재 재질 구조개선 등에 관한 기준 개정 사항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 하는 동시(뚜껑부(13)를 본체부(11)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에, 용기(10)의 사용 또는 보관(용기에 내용물을 담는 생산에서부터 유통, 매장 보관 등) 단계에서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과 같은 성분들이 외부로 임의 배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보호층(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3)의 상면 내측으로 형성된 밀봉판(1)을 이종 소재로 형성된 뚜껑부(13)로부터 보다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뚜껑부(13)의 설정된 위치에는 손잡이(30)가 뚜껑부(13)의 내측(일 예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판(1)의 중심 방향)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30)를 통해 소비자는 사용이 완료된 뚜껑부(13)를 잡아 당겨(도 1a의 화살표 “T” 방향) 본체부(11)와 뚜껑부(13)를 분리하는 동시에, 뚜껑부(13)의 일측 등에 형성된 절취선(20)을 따라 뚜껑부(13)가 분리되도록 하여, 설정된 상면에 부착 형성된 밀봉판(1) 역시 뚜겅부(13)와 손쉽게 분리(일 예로 도 1a의 화살표 “t” 방향)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층(S)은 뚜껑부(13)와 상면에 위치하는 밀봉판(1) 사이에 형성되며, 뚜껑부(13)의 손쉬운 분리를 위해 형성된 절취선(20)을 통해 용기(10) 내부의 음식물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의 음식물(김치 등)의 발효나 상태 변화에 따른 발효가스 등이 용기(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층(S)은 이하 후술할 멤버레인 필터(100) 및/또는 가스포집부(50)의 구성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층(S)은 뚜껑부(13)와 상면에 위치하는 밀봉판(1) 사이에 별도의 부착 수단 없이, 밀실하게 사이에 끼워 형성되는 바, 밀봉판(1) 및/또는 뚜껑부(13)가 본체부(11) 등으로 분리되는 경우, 원래 설정된 위치에서 손쉽게 분리하여 폐기하거나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판(1)은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멤버레인 필터(100) 및 가스포집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에 채용될 수 있는 멤버레인 필터(10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되는 포장용기를 지칭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외부로 오픈(개방)된 개방부를 통해 내부로 김치 등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적당량을 내용물을 수용한 이후에는 밀봉판(1) 및/또는 뚜껑부(13)를 통해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폐쇄(밀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밀봉판(1)의 설정된 위치, 가스포집부(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멤버레인 밸브(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봉판(1)은 외부의 압력,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임의의 압력(상하측 또는 좌우측 에서의 누름 등)에 의해 찌그러지는 등의 형태 및/또는 모양의 변화가 가능하며, 이하 후술할 멤버레인 밸브(100) 역시 밀봉판(1)의 형태 변화(찌그러짐 등)에 따라 형태나 모양, 높이(상하, 좌우 폭 등)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전체 또는 일부가 가스의 흡착이 가능한, 즉 제올라이트 및/또는 활성탄 성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멤버레인 밸브(100)를 통과(이하 후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추가적으로 흡착하여 내용물의 상품성과 보관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의 밀봉판(1)은 상단 내부에 용기(10) 내부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속도 및/또는 배출양에 따라 색이 변화(변색)하는 배출 검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검침부는 내부가 관통된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가스의 산성도에 따라 색(Color)를 변화하는 리트머스와 같은 변색 물질이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가스와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지시약이나 탄산나트륨 등이 배출 검침부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스 흡착 등의 성능 개선을 위해 배출 검침부에는 이하 후술할 캡부(170)가 추가적으로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더불어, 가스포집부(50)는, 아래의 멤버레인 필터(100) 상에 배치된 다공성 가스포집층(52)과, 다공성 가스포집층(52) 상에서 밀봉판(1)에 접합되는 클래딩층(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가스포집층(52)의 상면 및 측면은 클래딩층(54)으로 밀봉되어 클래딩되고, 클래딩 및 조인트 지점에 밀봉 처리를 하여 밀봉판(1)에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래딩층(54)은 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미세다공성 박막층 또는 ePTFE 미세다공성 박막의 개질 박막층으로 형성되어 다공성 가스포집층(52)으로부터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구조와 형태, 특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는 필터본체부(110), 하부덮개(120), 멤버레인막(130), 가이드부(140), 원웨이막(150), 상부덮개(160) 및 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본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100)의 주요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내용물 포장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후술할 멤버레인막(130), 가이드부(140), 원웨이막(15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지지체를 지칭한다. 필터본체부(110)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외부 압력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도 제공될 수 있다. 필터본체부(110)는 하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덮개(120)와 체결될 수 있다.
하부덮개(120)는 필터본체부(110)의 하부면과 상면이 밀착되어 부착되는 부재로 설정된 위치에는 하부관통구(120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덮개(120)는 필터본체부(11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터본체부(110)가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적용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안정적 형태 유지(외부 압력 등으로 인해 필터(100)의 일단부가 심하게 찌그러지는 등으로 원래 설정된 형상이나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부피 상실의 상태 등 정상적이지 못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등을 방지)를 위해 비탄성체나 탄성력이 필터본체부(110)에 비해 낮은 소재로 형성(일 예로, 필터본체부(110)는 탄성 고무나 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하부덮개(120)는 탄성력이 없는 금속판이나 필터본체부(110)에 비해 탄성력이 약한 다른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관통구(120a)는 하부덮개(120)의 설정된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포장용기에 수용된 김치 등 내용물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김치 액상 등이 유입될 수 있는 관통구를 지칭한다.
멤버레인막(130)은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덮개(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기체와 액체의 분리막을 지칭한다. 즉 멤버레인막(130)은 하부관통구(120a)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와 같은 기체(탄산가스)는 이하 후술할 가이드부(140)를 따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반면(도 3의 “”참조), 김치 등에서 발생되는 김치 액즙 등과 같은 액상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분리막 역할을 수행(기체와 액체를 분리하고, 기체만을 선택적으로 상부로 배출 유도)한다.
가이드부(140)는, 전술한 멤버레인막(130)의 상측에서, 필터본체부(110)의 구획된 내부를 따라 상부로 올라가면서 단면이 좁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가스 배출을 유도하는 홈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0a 내지 140i와 같이 서로 다른 단면 크기로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로 적층 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140a)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수평 단면의 폭이 좁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단면 기준)이며, 제2 가이드부(140b)는 제1 가이드부(140a)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수평 단면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단면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여러 단으로 적층 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140)는 상측으로 이동할수록 상측 단면이 하측 단면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40a)와 제3 가이드부(140c)는 상측으로 좁아지는 일직선상으로 양 단부가 열맞춤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부(140b), 제4 가이드부(140d)는 각각 제1 가이드부(140a)와 제3 가이드부(140c)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좁아지는 별도의 일직선상으로 양 단부가 열맞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맞춤은 140i까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부 압력(밸브(100)의 전부 및/또는 일부의 누름 등)에 의해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필터본체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140) 역시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될 수 있다. 즉 필터본체부(110)의 압착이 발생하는 경우,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 역시 압착되며, 이 경우 내용물 용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가이드부(140)의 경로(폭)이 적어지게 되어 보다 원활한 외부로의 배출도 가능하게 된다. 일 예로 필터본체부(110)의 압착에 따라 제1 가이드부(140a)의 내부로 제2 가이드부(140b)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고, 다시 제3 가이드부(140c) 내부로 제4 가이드부(140d)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는 순차적 구조를 통해 필터본체부(110)의 압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착 구조로 복수개의 가이드부(140a 내지 140i)가 상호 수용됨으로써 각 가이드부(140a 내지 140i)가 상호 수용됨이 없이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필터본체부(110)의 압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필터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의 전체적인 높이도 낮게 형성되어, 가스가 통과해야 하는 가이드부(140)의 통로 길이 역시 줄어들게 하여, 가스가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또는 정해진 시간에 보다 많은 가스를 외부로 배출, 즉 가이드부(140)의 높이 조절을 통해 가스의 배출 속도 및/또는 배출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40a 내지 140i)는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단면의 폭과 높이가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40)가 유로(Path)와 같이 형성될 경우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경사가 점차 가파르고 유로의 폭은 좁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가이드부(14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보다 쉽게 접히거나 이웃하는 아래쪽 가이드부(일 예로 140a)에 상부 가이드부(일 예로 140b)에 보다 쉽게 삽입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본체부(110)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제공부(111)가 형성될 경우,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부 압력(누름 등)이 제공되고 있는 순간에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필터본체부(110)가 눌려 내부에 수용된 가이드부(140) 역시 전술한 구조와 형태를 따라 상호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어 전체적인 가이드부(14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고, 외부의 압력(밸브(100)를 누르는 등의 동작에 의해 발생)이 제거될 경우, 탄성제공부(111)의 자기 회복 탄성력에 의해 필터본체부(110)가 보다 신속하게 원래 형상과 모양으로 복귀하는 동시에, 필터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 역시 본래 설정된 형상과 모양으로 상호 분리(수용 해제)되어 원래 설정된 높이와 상호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본래의 설정된 가이드부(140) 높이와 이에 따른 가스의 외부 배출 속도 및/또는 배출양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밀봉판(1) 및/또는 용기(10)의 설정된 부분을 누르는 등의 동작에 의해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필터본체부(110) 몸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탄성제공부(111)가 원래 형성된 높이인 “”에 비해 좁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필터본체부(110)의 설정된 높이인 “”역시 이에 대응되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본체부(110) 높이가 낮아지게 됨에 따라 가이드부(140)의 설정된 높이 역시 “”에 비해 낮아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가이드부(140)를 통과하는 가스의 배출(유출) 경로가 짧아지게 된다. 반대로 멤버레인 필터(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전술한 “내지 H3”의 높이는 최초로 설정된 높이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길게 이어진 깔때기 모양의 유로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이는 산의 정상을 따라 중심부를 기준으로 빙빙 돌아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형성된 등산로와 같은 형태가 일 예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멤버레인 필터(100)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필터본체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되고,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140) 역시 전부 또는 일부가 압착(가이드부(140)의 상부 전부 또는 일부가 하부로 수용)되어 가이드부(140)의 전체적인 높이가 설정된 높이 대비(외부 압력이 없을 경우 대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압력이 제거될 경우, 필터본체부(110) 자체의 탄성 및/또는 전술한 탄성제공부(111)의 도움을 통해 필터본체부(110)는 다시 원래의 형상과 모양으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0) 역시 다시 원래의 형상과 모양으로 복귀하게 되면서, 다시 가이드부(140)의 설정된 높이(가스가 통과해야 하는 길)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설정된 내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40b, 140d, 140f, 140h)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은 가이드 돌기(140b, 140d, 140f, 140h)에 의해 일측으로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별도의 가스와 같은 탄산가스 및 김치 냄새 등 상품성을 저해할 수 있는 기체 성분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흡착제 성분으로 제올라이트와 활성탄이 될 수 있다. 또한 수분에 먼저 반응할 수 있는 화학적 특성(이 경우 가스와의 흡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을 고려하여, 흡착제를 내부에 수용하는 흡착 캡슐은 멤버레인막(130)을 통과한 가스 내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탄산나트륨(Na2CO3)을 일부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 내 포함된 수분을 1차적으로 흡착 캡슐을 통해 제거하고, 2차적으로 흡착제에 의해 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착(포집)함으로써 가스 및 가스 등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김치 발효 냄새 등)이 내용물 용기(10) 외측으로 판매과정에서 유출되고, 이에 의해 내용물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40)가 원래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부(140)의 표면에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에 멤버레인막(130)을 통과한 가스(일부 불쾌한 냄새를 포함할 수 있다)가 노출됨으로써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에 의해 가스(및/또는 김치 냄새 등)를 정상적으로 흡착(포집)할 수 있게 된다(매장 등에서 상품을 전시하는 단계 등 내용물이 소비자에게 노출된 상황에서 유리).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 및/또는 뚜껑부(13)의 일측이나 표면 등 설정된 위치에는 추가적으로 부착 또는 본체부(11) 및/또는 뚜껑부(1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필름층(14 및/또는 15)를 통해 용기(10) 자체로 가스를 흡수토록 하여 내용물의 상품성 증대 역시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본체부(110)의 압착(즉, 밸브(100)에 인위적인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경우) 필터본체부(110)의 압착에 따라 같이 압착되면서 높이가 낮아지는 가이드부(140) 역시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가이드부(140)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즉, 이웃하는 가이드부(140)간의 높이 간격이 상호 겹침 및/또는 수용에 따라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140)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의 전부 또는 일부 역시 상호 이웃하는 가이드부(140) 사이에 감쳐지게 되어 표면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 흡착 반응(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에 의한 반응)을 생략(이에 따라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내용물 용기(10) 내부의 가스 등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매장 전시 및 판매 전, 아직 최종 소비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생산이나 유통 단계에서, 포장용기(1) 내 가스를 최대한 제거해 도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에서 유리).
즉 김치 등 내용물을 생산하여 보관용기(10) 내부에 수용하는 생산, 제조 공정이나 매장 등으로 배송하는 과정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에 외부 압력을 부여하여 내부 가스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가이드부(140)의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에 포함된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의 가이드부(140) 표면 노출을 최소화하여 흡착제 및/흡착 캡슐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동시에,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내용물을 전시, 판매해야 하는 단계에서는 멤버레인 필터(100)에 가해진 외부 압력을 제거하여 가이드부(140)가 다시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가이드부(140) 표면에 부착 형성된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의 전부를 표면에 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멤버레인막(130)을 통과한 포장용기(1) 내부의 가스와 이에 포함된 불쾌할 수 있는 냄새 등을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통해 추가적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내용물의 상품성 및 보관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원웨이막(150)은 다단 또는 깔때기 모양 등으로 형성된 가이드부(140)의 일측에 부착 형성된 원웨이막 턱부(150a)와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단부는 가이드부(140)와 부착 형성되는 일방향 밸브부를 지칭한다. 즉 원웨이막(150)은 하방에서 설정된 압력 이상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에 한하여 일단부가 원웨이막 턱부(150a)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으로 가이드부(140)의 상측으로 유입되는 가스가 통과(가스가 유출되는 “자유상태”)하게 되는 반면(도 6의 “”참조), 포장용기(1)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원웨이막 턱부(150a)에 일단부가 밀착되어 외부로의 가스 배출이 차단(가스 유출이 차단되는 “제어상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막(150)이 “제어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수용홈(140a, 140c, 140e, 140g, 140i)에 형성된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에 의해 가스가 지속적으로 흡착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매장 전시 및 판매 상황에서 최대한 포장용기(1)의 최적 상태와 불쾌한 냄새 등이 포장용기(1)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내용물 제조나 생산, 유통 과정 등 최종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접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멤버레인 필터(100)에 압력을 가한 상태(뚜껑부(13)를 제거한 상태에서 밀봉판(1)에 부착된 멤버레인 필터(100)를 직접 누르거나, 뚜껑부(13)가 본체부(11)에 체결된 상태에서, 뚜껑부(13)를 눌러 멤버레인 필터(100)까지 누르는 압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 등을 통해)에서 보다 최적화된 상태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보관용기(10)를 눌러 인위적인 내부 압력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수명을 보호(연장)하는 동시에, 원웨이막(150)을 “자유상태”로 만들어 보다 손쉽게 보관용기(10) 내 가스 등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부덮개(16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위치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밸브(100)에 외부 압력 등을 가하기 쉽도록 대응되는 필터본체부(110)의 상면에 비해 보다 넓은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6 및 도 7참조). 또한 상부덮개(160)는 하부덮개(120)와 같은 소재, 즉 필터본체부(110)에 비해 탄성력이 떨어지거나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맞닿아 위치하는 가이드부(140)의 상면(일 예로 140i 가 될 수 있다)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상부관통구(160a)가 설정된 위치(상부덮개(160)의 평면을 기준으로 중심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관통구(160a)는 이하 후술할 캡부(170)를 상부로부터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단면으로 형성되며, 필터본체부(110)의 내부에 수용 형성되는 가이드부(140)의 최상단부의 최외곽선과 하부면이 부착 형성된 관통구를 지칭한다.
캡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최외곽부재로 멤버레인막(130), 가이드부(140) 및 원웨이막(150)을 통과한 가스 등의 기체가 보관용기(10)의 외부로 배출을 허용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부(170)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올라이트 등과 같은 가스 흡착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부(170)는 상부관통구(160a)에 삽입 수용되는 부재로 상부관통구(160a)로 멤버레인 필터(100)가 임의 탈락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캡부(170)에 비해 좁은 단면(평면을 기준으로)으로 밀봉판(1)에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 안쪽으로 상부덮개(120)를 상면으로 하는 멤버레인 필터(100)를 넣고, 상기 구멍의 바깥쪽으로 캡부(170)를 위치한 이후, 밀봉판(1)에 멤버레인 필터(100)가 부착될 수 있다.
캡부(170)는 설정된 위치(일 예로 평면을 기준으로 중심부 등)에 수용홀(170a)과 손잡이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홀(170a)은 관통된 구멍(Hole)으로 가이드부(140) 및 원웨이막(150)을 통과한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홀(170a)은 내부에 가스 배출속도 및/또는 배출양에 따라 색이 변화(변색)하거나 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을 포함하는 가스 검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70b)는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의 교체 또는 가스 검침부 교체를 보다 손쉽게 지원할 수 있는 홈으로 손가락이나 손톱, 간단한 도구를 삽입하여 캡부(170)를 상부덮개(160)로부터 체결 해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멤버레인 필터(100)를 부착 형성한 내용물 용기(10)를 취급하는 생산자, 유통자, 상품 전시장 관리자 등은 캡부(170)에 부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가스 검침부의 색깔을 확인(변색 여부 확인)하여, 유통, 전시된 내용물 중 특히 가스 배출이 많거나 심한 상품을 바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손잡이부(170b)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손상이 많이 발생한 캡부(170)를 제거하는 한편, 새로운 캡부(170)를 제공하여 전시 중인 내용물에서 발생하는 가스 등을 새로운 캡부(170)에 포함된 흡착제 및/또는 흡착 캡슐(전술한 바와 같이 캡부(170) 자체에 형성되거나 수용홀(170a)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의 제공을 통해 지나친 가스 배출에 따른 내용물의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10)는 필름층(14, 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름층(14, 15)은 탈취용 마스터배치(masterbatch)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탈취용 필름을 본체부(11)의 일측 등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제공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마스터배치 조성물은 탄산수소나트륨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배치 조성물(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배치를 압출 성형(일 예로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로 압출 성형하고, 상기 트윈 스크류 익스크루더(twin screw extruder)는 95℃ 내지 200℃로 운전할 수 있다)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다시 본체부(11)의 일측 등 설정된 부위에 추가로 부착하거나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압출 성형되는 본체부(11) 등과 일체로 상기 압출 성형 공정 등에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층(14, 15)은 탄산수소나트륨이 0.2 중량% 내지 2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층(14 및/또는 15)은 탈취능 강화 및/또는 보강을 위해 탄산수소나트륨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킹 소다로 알려진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약알칼리성 천연물질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탈취제 중 하나이며, 냄새 분자를 중화시켜 휘발성 물질이나 중독성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아래와 같은 반응을 통하여 김치의 숙성과정중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유기산 성분인 아세트산(acetic acid)과 반응함으로써, 아세트산나트륨,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면서 김치의 신맛이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반응식 1. NaHCO3 + CH3COOH → CH3COONa + H2O + CO2).
또한 탄산수소나트륨을 9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80℃로 열처리할 경우에는 아세트산과 더 많이 반응할 수 있어 탈취효과가 더욱 효과적이다. 즉, 아래 반응식 2에서와 같이, 탄산수소나트륨은 열분해에 의하여 탄산나트륨,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고, 생성된 1몰의 탄산나트륨은 반응식 3과 같이 2몰의 아세트산과 반응하게 된다(반응식 2. 2NaHCO3 → Na2CO3 + H2O + CO2, 반응식 3. Na2CO3 + 2CH3COOH → 2CH3COONa + H2O + CO2).
한편, 가공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름층(14, 15)의 조성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은 열에 강하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주방용품 및 각종 용기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또한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어도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탈취제인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흩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혼합하여 작은 구형태나 칩형태의 마스터배치(master batch)가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마스터배치는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함유할 수 있다. 만약 탄산수소나트륨이 전혀 포함되지 않으면 제조된 필름에 탈취 기능이 없고,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된 필름의 인장강도나 연신율 등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술한 마스터 배치와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등을 설정된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필름층(14, 15)이 제조될 수 있다.
반면, 이와 달리 탄산수소나트륨 0 초과 20중량%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80 내지 100중량% 미만으로 함유된 마스터배치를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1)의 용기 형성, 즉 본체부(11)의 사출 성형 단계 등의 제조 공정에 설정된 플라스틱 등의 본체부(11) 형성 물질과 혼합하여 본체부(11)의 전체 또는 설정된 일부에 상기 마스터배치를 기반으로 하는 필름층(14)이 별도의 필름층의 부착 없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준비될 수도 있다(하나의 사일로에 넣어 일체로 제조).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는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상기 본체부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ilo에 넣어 일체로 제조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본체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필름층(14, 15)을 형성하고, 미리 성형 완료된 본체부(11) 및/또는 뚜껑부(13)에 별도 부착(본체부(11)의 내측 등에 압출 성형을 통해 준비된 필름층(14)을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추가로 형성하는 공정 등)하여 필름층(14, 15)을 형성할 수도 있다(본체부(11) 및/또는 뚜껑부(13)를 형성한 이후 별도로 준비된 필름층(14 및/또는 15)를 추가로 설정된 면에 부착).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필름층(14 및/또는 15)은 탄산수소나트륨 10 내지 20 중량%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8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마스터배치를 얻는 단계, 상기 마스터배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혼합하여 필름용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 혼합물을 100℃ 내지 180℃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여 40 내지 100 ㎛ 두께의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며, 이후 이러한 단계를 통해 준비된 필름층(14 및/또는 15)를 본체부(11)의 내측, 밀봉판(1)의 내측 및/또는 뚜껑부(13)의 내측이나 중앙부 등 설정된 위치에 별도 부착 등을 통해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층(14)은 본체부(11)의 일 측이나 측면, 바닥 등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뚜껑부(13)의 일측이나 몸체 등에도 필름층(15)이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여기서, 뚜껑부(13)에 형성된 필름층(15)은 뚜껑부(13)의 절취선(20)에 의해 개방부의 밀폐가 저하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층(15)은 절취선(20)이 형성된 뚜껑부(130)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활용 용이성 등급제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와 뚜껑이 이종 소재로 만들어진 보관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분리가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11: 본체부
1: 밀봉판
13: 뚜껑부
14 & 15: 필름층
20: 절취선
30: 손잡이
50: 가스포집부
52: 가스포집층
54: 클래딩층
100: 멤버레인 필터
110: 필터본체부
110a: 본체턱부
111: 탄성제공부
120: 하부덮개
120a: 하부관통구
130: 멤버레인막
140: 가이드부
140a: 가이드 수용홈
150: 원웨이막
150a: 원웨이막 턱부
160: 상부덮개
160a: 상부관통구
170: 캡부
170a: 수용홀(발효가스 검침부)
170b: 손잡이부

Claims (8)

  1.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이종인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시밍(seaming)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면 및/또는 측면에 설정된 형태로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뚜껑부;
    를 포함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절취선과 연결되어 상기 뚜껑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뚜껑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취되도록 작용 또는 작동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뚜껑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직선, 곡선, 사선,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단일선 또는 다중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뚜껑부와 동종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은,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멤버레인 필터; 및
    상기 멤버레인 필터 상에 배치되는 가스포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레인 필터는,
    상기 멤버레인 필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필터본체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하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된 하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상면에 부착 형성되고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된 상부덮개;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위치하여 가스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멤버레인막;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멤버레인막의 상면에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원웨이막 턱부와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에 고정 부착되어 형성되는 원웨이막; 및
    상기 상부관통구에 삽입 수용되며, 하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최상측과 맞닿아 형성되고, 설정된 위치에 관통된 수용홀이 형성된 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가 상기 하부관통구로 유입되고, 다시 상기 멤버레인막, 상기 가이드부, 상기 원웨이막 및 상기 수용홀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가스포집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설정된 내측에 부착되는 탈취능을 가지는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내측 부위에 상기 필름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집부는,
    상기 멤버레인 필터 상에 배치된 다공성 가스포집층과, 상기 다공성 가스포집층 상에서 상기 밀봉판에 접합되는 클래딩층을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가스포집층의 상면 및 측면은 상기 클래딩층으로 밀봉되어 클래딩되고, 클래딩 및 조인트 지점에 밀봉 처리를 하여 상기 밀봉판에 접합되고,
    상기 클래딩층은 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미세다공성 박막층 또는 ePTFE 미세다공성 박막의 개질 박막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판 및 상기 뚜껑부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1020200095780A 2020-07-31 2020-07-31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10241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80A KR102414316B1 (ko) 2020-07-31 2020-07-31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80A KR102414316B1 (ko) 2020-07-31 2020-07-31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592A true KR20220015592A (ko) 2022-02-08
KR102414316B1 KR102414316B1 (ko) 2022-06-30

Family

ID=8025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780A KR102414316B1 (ko) 2020-07-31 2020-07-31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57A (ja) * 1991-05-21 1994-02-01 Sweetheart Cup Co Inc 内容物変更防止容器アセンブリー及びその組立法
KR200432901Y1 (ko) * 2006-09-08 2006-12-07 안종희 발효식품 용기의 뚜껑
KR102110373B1 (ko) 2019-03-22 2020-05-14 노윤호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KR20200001461U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싱싱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57A (ja) * 1991-05-21 1994-02-01 Sweetheart Cup Co Inc 内容物変更防止容器アセンブリー及びその組立法
KR200432901Y1 (ko) * 2006-09-08 2006-12-07 안종희 발효식품 용기의 뚜껑
KR20200001461U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싱싱캔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KR102110373B1 (ko) 2019-03-22 2020-05-14 노윤호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316B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998B1 (en) Product container with integral selective membrane
CN101687572B (zh) 用于液体容器的分配封口
KR200493116Y1 (ko) 탈취 기능을 가지는 발효식품 용기
US20170001765A1 (en) Container
CN105228915B (zh) 一种用于纸容器的纸封
EP2683620B1 (en) combination of a closure and a product retaining container
CN1121892A (zh) 用于香味产品如咖啡及类似产品的排气阀
CA2884461C (en) Canister for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US20130334090A1 (en) Containers and Polymeric Films Having Embedded Micro-Porous Particles
US9051085B2 (en) Container with air freshener
KR102414316B1 (ko)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KR102405211B1 (ko) 분리 용이한 보관용기
RU2624436C2 (ru) Удаление кислорода
KR102062175B1 (ko) 단방향 발효가스 배출 봉투용 포장 밸브
US20070246380A1 (en) Additive carrying cartridge for mixing the additive with the content of a container
US20210086954A1 (en) Container lid having oxygen shielding properties
KR20120097736A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마개
US20090255932A1 (en) Venting cover and container with such venting cover
CA3072332C (en) Beverage containers with controlled oxygen transmission features
KR101469320B1 (ko) 선도 유지제 보관 용기, 이의 장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100038827A (ko) 김치 포장재와 포장용 포대
JP2006096421A (ja) 密封容器
JP4818552B2 (ja) 酸素吸収機能を有する容器用栓及びその製造方法
RO127952A2 (ro) Recipient compartiment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