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566A - 파워 모듈 - Google Patents

파워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566A
KR20220015566A KR1020200095711A KR20200095711A KR20220015566A KR 20220015566 A KR20220015566 A KR 20220015566A KR 1020200095711 A KR1020200095711 A KR 1020200095711A KR 20200095711 A KR20200095711 A KR 20200095711A KR 20220015566 A KR20220015566 A KR 20220015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cket
power module
lev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566A/ko
Priority to PCT/KR2021/010053 priority patent/WO2022025730A1/ko
Priority to US18/018,006 priority patent/US20230276587A1/en
Priority to CN202180050030.1A priority patent/CN115885464A/zh
Publication of KR2022001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2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electrical distribution arrangements, e.g. power supply or data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측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 프레임; 상기 측판과 결합하는 브라켓 후크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하판 상에 배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브라켓 후크가 결합되는 브라켓 홈 및 상기 레버의 일 부분이 관통되는 레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홈 내에 삽입되는 레버 후크를 갖는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판, 및 상기 제2 판과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워 모듈{POWER MODULE}
본 실시예는 파워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로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POWER SUPPLY UNIT) 장치가 널리 이용된다. 파워 서플라이 유닛에는 팬 모듈, AC소켓, PFC 스위치, DCDC 컨버터 등과 같은 부품들이 실장된다.
최근 들어,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형 AC소켓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AC소켓이 대형화됨에 따라 기존 대비 LED 및 레버를 실장할 공간이 부족하면서 각 구성의 구조 변경 및 각 구성의 배치 변경의 필요성이 커졌다.
본 실시예를 통해, 대형 AC소켓을 적용하면서도 레버 및 LED가 배치되는 파워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은 측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 프레임; 상기 측판과 결합하는 브라켓 후크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하판 상에 배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브라켓 후크가 결합되는 브라켓 홈 및 상기 레버의 일 부분이 관통되는 레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홈 내에 삽입되는 레버 후크를 갖는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판, 및 상기 제2 판과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워 모듈은 AC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및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판은 상기 AC소켓의 제1 면과 접촉하고, 상기 레버의 상기 제2 판은 상기 AC소켓의 제2 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판과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판은 상기 제3 판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C소켓에 AC전원이 분리된 경우, 상기 레버는 상기 파워 모듈의 상기 측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AC소켓에 상기 AC전원이 결합한 경우, 상기 레버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C소켓은 상기 파워 모듈의 상기 측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레버 후크가 상기 제1 판으로부터 상기 제1 판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은 상기 파워 모듈 프레임의 하판과 상기 AC소켓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결합판은 상기 파워 모듈의 상기 측판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후크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브라켓의 바디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텐션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발광 소자의 플랜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대형 AC소켓을 적용하되 기존 대비 협소한 공간 내에 LED와 레버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파워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LED를 별도의 모듈화 형태로 제작하지 않고 범용 제품상태로 사용 가능하여 원가 절감 및 제품 공용화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파워 모듈 프레임을 벤딩하여 조립하고, 결합이 용이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립 공정이 용이한 파워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따른 파워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1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따른 파워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10)은 전원 공급 장치일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파워 서플라이 유닛(Power Supply Unit, PSU)일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입력 전력으로부터 필요한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회로 장치일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서버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주는 장치로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서버에 요구되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데이터센터에 포함되는 서버(Server), 스토리지(Storage), 랙(Rack) 및 네트워크 장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파워 모듈(10)의 단면도가 도시된 도 8을 참조하면, 파워 모듈(10)은 팬 모듈, AC 소켓, PFC 스위치, PSFP DCDC 컨버터, 플라이백 컨버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의 크기 및 실장되는 위치에 따라 각 구성들은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워 모듈(10)의 전체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모듈 프레임(100)은 파워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파워 모듈 프레임(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파워 모듈 프레임(100)은 측판(110), 하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110), 하판(12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측판(110), 하판(120)은 분리된 별도의 판이 용접 또는 스크류(screw)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측판(110), 하판(120)은 단일의 판으로 형성되는 파워 모듈 프레임(100) 전개도를 벤딩(bending)하여 용접 또는 스크류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전면부에는 AC소켓(400)과 팬 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파워 모듈 프레임의 측판(110)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 하판(120)의 측판(110)에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는 AC소켓(400) 및 팬 모듈(6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파워 모듈(1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전면에는 팬 모듈(600) 및 AC소켓(400)이 배치될 수 있다. AC소켓(400)의 크기는 입력되는 AC전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AC전원의 크기는 전력양에 따라 달라진다. 최근 파워 모듈의 전력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형 AC 전원 및 대형 AC소켓이 요구되고 있다.
파워 모듈(10)의 전면에는 팬 모듈(600)을 배치하고,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는 AC소켓(400)의 크기를 최대로 확보하되, 레버(300)와 LED(500)를 함께 배치할 수 있다. 파워 모듈(10)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AC소켓(400)의 크기를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AC소켓(400)은 정면에서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수직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대형 AC소켓(400)이 적용됨에 따라 AC소켓(400)과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 사이에는 레버후크(311)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공간 및 레버(300)의 이동(stroke) 가능한 공간이 모두 확보되기 어려우므로, 레버(300)의 핸들(340)을 AC소켓(400)의 바닥면 및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하판(120) 측에 배치하여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파워 모듈(10)의 정면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AC소켓(400)과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레버(300)의 고정 공간에 LED(500)를 함께 배치하여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할 수 있다.
AC소켓(400)의 하부에 레버(300)를 배치하고, AC소켓(400)의 측부에 LED(500)가 배치될 수 있다. LED(500)를 지지하는 브라켓(200) 및 레버(300)의 제1 판(310)은 AC소켓(400)의 제1 면과 접촉하고, 레버(300)의 제2 판(320)은 AC소켓(400)의 제2 면과 접촉할 수 있고, AC소켓(400)의 제1 면 및 제2 면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C소켓(40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C소켓(400)과 측판(110) 사이의 소정 간격(D1)은 레버후크(311)가 레버(300)의 제1 판(310)으로부터 제1 판(310)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D2)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레버(300)의 핸들(340)을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의 수직인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레버후크(311)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AC소켓(400)과 측판(110) 사이의 소정 간격(D1)은 LED(500)의 지름(D3)보다 클 수 있다. AC소켓(400)과 측판(110) 사이에 LED홀(112)이 형성될 수 있고, LED홀(112)에 LED(50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LED(500)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LED(500)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LED(50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이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전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브라켓(200)의 지지부(230)는 LED(5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LED(5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고정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LED(500)는 에폭시(epoxy)와 리드선이 결합하는 부분에 플랜지(501)(flange)가 형성될 수 있다. LED(500)의 플랜지(501)는 LED(500)의 에폭시의 외주면보다 큰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30)의 고정홈(231)은 LED(500)의 플랜지(50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LED(500)를 지지할 수 있다. LED(500)는 지지부(230)의 고정홈(231)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브라켓(200) 내에서 LED(500)는 전, 후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 또는 지지 될 수 있다.
LED(500)는 파워 모듈(10)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LED(500)의 색상은 녹색(GREEN), 황색(AMBER)으로 발광할 수 있고, 다양한 색으로 변형될 수 있다. LED(500)는 특정 색으로 온(ON)될 수 있고, 특정 주기로 깜빡일 수 있다. 사용자는 LED(500)의 상태를 보고 파워 모듈(1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전면을 향하여 측판(110)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은 브라켓 홈(111)이 형성되는 브라켓 결합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홈(111)은 브라켓 후크(211, 2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결합판(114)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에서 내측 방향으로 날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결합판(114)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에서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내측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상면(210)은 제1 브라켓후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후크(211)는 브라켓 결합판(114)에 형성되는 브라켓 홈(111)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브라켓후크(211)는 브라켓(200)의 상면(2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후크(211)는 브라켓(200)의 상면(210)과 평행한 제1 면(211a)과 브라켓(200)이 슬라이딩 결합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 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이 브라켓 결합판(114)으로 슬라이딩 결합시 제2 면(211b)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1 면(211a)의 단부가 브라켓 홈(111)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후크(211)의 일 단부는 브라켓 홈(111)에 끼워 맞춤 결합되어 후측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하면(220)은 브라켓(200)의 바디를 중심으로 브라켓(200)의 상면(210)과 서로 대칭을 이루며, 브라켓의 하면(220)은 제2 브라켓후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후크(221)에 대한 설명은 제1 브라켓후크(211)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제1 텐션홈(212)은 브라켓(200)의 상면(210)과 바디(2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상면(210)과 바디(240)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텐션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텐션홈(212)은 제1 브라켓후크(211)가 브라켓 홈(111)에 슬라이딩 결합시 브라켓(200)의 상면(210)이 바디(240)측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텐션홈(222)은 브라켓(200)의 하면(220)과 바디(2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하면(220)과 바디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텐션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텐션홈(222)은 제2 브라켓후크(221)가 브라켓 홈(111)에 슬라이딩 결합시 브라켓(200)의 하면(220)이 바디(240) 측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레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00)는 파워 모듈(10)이 데이터센터에 포함되는 장치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레버(300)의 핸들(340)을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에 수직인 내측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레버(300)의 레버후크(311)는 파워 모듈 프레임(100)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파워 모듈(10)을 분리할 수 있고, 레버(300)의 핸들(340)이 제자리에 돌아가면서 레버후크(311)가 파워 모듈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데이터센터에 포함되는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레버(300)는 제1 판(310), 제2 판(320), 제3 판(330), 및 핸들(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31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판(31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판(310)은 적어도 하나의 레버후크(311)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후크(311)는 파워 모듈 프레임(100) 측판(110)에 형성된 레버홈(113)에 삽입되어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1 판(310)은 적어도 하나의 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310)의 홀(312)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측판(110)에 형성된 홀에 대응할 수 있다.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홀 내에 스크류(미도시)를 결합하여 파워 모듈 프레임(100)과 레버(300)를 결합 할 수 있으며, 또는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일 부분을 절곡하여 절곡된 부분(미도시)를 제1 판(310)의 하나의 홀(312) 내에 압입하는 형식으로 고정 및 결합 할 수 있다.
제2 판(320)은 제1 판(310)과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판(32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하판(120)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판(320)은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하판(12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판(310)의 하단과 제2 판(320) 사이에 제1 연결부(3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판(320)은 제1 판(310)의 하단과 단차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2 판(320)은 제1 연결부(313)에 의해 제1 판(3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판(320)은 AC소켓(400)과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하판(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 될 수 있으며, 해당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할 수 있다.
제3 판(330)은 제2 판(320)과 연결되고, 파워 모듈 프레임(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판(330)과 제2 판(320) 사이에 제2 연결부(3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판(330)은 제2 판(320)과 단차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3 판(330)은 제2 연결부(321)에 의해 제2 판(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판(330)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AC소켓(400)에 AC전원이 삽입되는 경우, 레버(300)는 AC 전원 및 걸림부(33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C전원이 삽입되어 파워 모듈(10)이 동작하는 중에 파워 모듈(10)이 데이터센터에 포함되는 장치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AC소켓(400)에 AC전원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레버(300)를 움직이는 경우 레버(300)의 걸림부(331)가 AC전원에 걸리게 되어 파워 모듈(10)이 데이터센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도와준다.
핸들(340)은 제3 판(330)과 연결될 수 있다. 핸들(340)은 사용자가 레버(300)를 이동시킬 때 잡는 부분으로서 통전 또는 감전되지 않도록 전류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파워 모듈 100: 파워 모듈 프레임
200: 브라켓 300: 레버
400: AC소켓 500: LED
600: 팬 모듈

Claims (9)

  1. 측판 및 하판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 프레임;
    상기 측판과 결합하는 브라켓 후크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하판 상에 배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브라켓 후크가 결합되는 브라켓 홈 및 상기 레버의 일 부분이 관통되는 레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홈 내에 삽입되는 레버 후크를 갖는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판, 및 상기 제2 판과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모듈은 AC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및 상기 레버의 상기 제1 판은 상기 AC소켓의 제1 면과 접촉하고,
    상기 레버의 상기 제2 판은 상기 AC소켓의 제2 면과 접촉하는 파워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판과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판은 상기 제3 판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파워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C소켓에 AC전원이 분리된 경우,
    상기 레버는 상기 파워 모듈의 상기 측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AC소켓에 상기 AC전원이 결합한 경우,
    상기 레버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파워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C소켓은 상기 파워 모듈의 상기 측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레버 후크가 상기 제1 판으로부터 상기 제1 판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큰 파워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파워 모듈 프레임의 하판과 상기 AC소켓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결합판은 상기 파워 모듈의 상기 측판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워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후크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브라켓의 바디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텐션홈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발광 소자의 플랜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
KR1020200095711A 2020-07-31 2020-07-31 파워 모듈 KR20220015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11A KR20220015566A (ko) 2020-07-31 2020-07-31 파워 모듈
PCT/KR2021/010053 WO2022025730A1 (ko) 2020-07-31 2021-08-02 파워 모듈
US18/018,006 US20230276587A1 (en) 2020-07-31 2021-08-02 Power module
CN202180050030.1A CN115885464A (zh) 2020-07-31 2021-08-02 电力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11A KR20220015566A (ko) 2020-07-31 2020-07-31 파워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566A true KR20220015566A (ko) 2022-02-08

Family

ID=8003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711A KR20220015566A (ko) 2020-07-31 2020-07-31 파워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6587A1 (ko)
KR (1) KR20220015566A (ko)
CN (1) CN115885464A (ko)
WO (1) WO20220257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46Y1 (ko) * 1991-12-03 1994-03-21 주식회사 금성사 발광다이오드의 고정구조
US5695367A (en) * 1994-09-30 1997-12-09 Daiichi Denso Buhin Co., Ltd.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TWI492031B (zh) * 2014-01-23 2015-07-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源供應器結構
US9720460B2 (en) * 2014-04-28 2017-08-0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wer supply chassis including a release lever
CN109728709B (zh) * 2017-10-30 2020-07-31 善元科技股份有限公司 卡簧结构及具有卡簧结构的电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6587A1 (en) 2023-08-31
CN115885464A (zh) 2023-03-31
WO2022025730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754B2 (en) Modular illustration lamp
US7976188B2 (en) LED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module using the same
US20150292681A1 (en) Led lamp
US20190383475A1 (en) Led lamp
US20140103615A1 (en) Shrinkable load supporter of a pushcart
US20140254156A1 (en) Lighting device
JP2011090668A (ja) サーバーキャビネ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サーバーシステム
US20150212260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backlight module
US20090189528A1 (en) Illuminating device
KR20220015566A (ko) 파워 모듈
US20240040739A1 (en) Power module
CN201084088Y (zh) 磁碟机组合
US8384276B2 (en) LED lamp structure
JP2016167440A (ja) 照明装置、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商取引システム
KR101177470B1 (ko) 조명 장치
US11859789B1 (en) Vehicle roof rack
JP2017147115A (ja) 照明装置
KR101843060B1 (ko) Led 면발광 등기구
CN210573132U (zh) 智能摄影led灯管
US9316389B2 (en) Modular LED heat-dissipating device
CN105024277B (zh) 一种半导体激光器与控制器一体化小型化结构
CN206973292U (zh) 灯具装置
JP7263799B2 (ja) 照明装置
CN218820238U (zh) 一种高散热剧场灯
CN215871608U (zh) 壳体结构和多媒体播放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