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302A -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302A
KR20220015302A KR1020210019065A KR20210019065A KR20220015302A KR 20220015302 A KR20220015302 A KR 20220015302A KR 1020210019065 A KR1020210019065 A KR 1020210019065A KR 20210019065 A KR20210019065 A KR 20210019065A KR 20220015302 A KR20220015302 A KR 2022001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cable
tip
tip body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497B1 (ko
Inventor
신남규
이동혁
박내현
김아람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0642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054209B/zh
Priority to US17/366,734 priority patent/US20220032319A1/en
Priority to DE102021208103.7A priority patent/DE102021208103A1/de
Publication of KR2022001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하는 공기에 이온을 생성하는 대전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로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이온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팁을 포함하는 고전압 팁부와, 상기 방전 팁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 팁부의 상기 방전 팁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도성 플레이트부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부와 상기 고전압 팁부가 안착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와, 상기 방전 팁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부와 상기 고전압 팁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덕트 및 제한된 유로공간에서 입자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은 대전과 집진이라는 2가지 과정을 포함하고, 먼지를 대전시키고 대전된 먼지를 집진 필터로 포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방법은 부직포에 의한 물리적 집진과, 유전체 필터에 의한 전기 집진, 및 정전 부직포에 의해 물리 집진 필터에 정전력을 부여하는 방식이 있다.
대전 방법은 확산 대전, 전기장 대전 및 하이브리드 대전(확산 및 전기장 대전)이 있다.
하이브리드 대전에 적용되는 전기장 대전은 큰 입자의 포집에 유리하고, 확산 대전은 작은 입자 포집에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9889호에는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설치프레임에 전도성 미세섬유 및 케이블을 고정하고 이들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설치프레임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전도성 미세섬유 및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설치개구가 형성되며, 설치개구를 통해 전도성 미세섬유와 케이블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전도성 미세섬유와 케이블이 설치프레임에 억지끼워맞춤(press-fit)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설치프레임의 일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설치개구를 형성하고, 미세섬유와 케이블을 수평방향으로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과정에서 과대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설치프레임의 파손이 유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전도성 미세섬유는 양단부가 고정된 바형상의 설치프레임으로서 양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설치프레임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억지끼워맞춤 결합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당히 작은 결합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설치프레임의 파손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또한,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설치프레임의 일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설치개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설치프레임 자체의 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대전장치의 작동 중에 상당히 작은 수준의 외력에 의해서도 손쉽게 부서지거나 파손이 발생하여 전도성 미세섬유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전도성 미세섬유를 통한 대전 효율 및 방전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98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전 팁 및 고전압 케이블을 지지하는 별도의 팁 홀더를 통해 방전 팁이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서 방전 팁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대전 효율 및 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전 팁과 그라운드 접지 전극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대전이 가능하고 방전팁에서 일정거리에 그라운드를 두어 방전을 유지시켜 방전 전류가 떨어지는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전 팁의 하부로 위치되는 그라운드 메쉬를 이용하여 방전 팁에 의해 발생한 이온의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도성 플레이트부와 고전압 팁부가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상부 프레임이 결합되어 견고하고 내구성이 확보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전 팁이 외부로 노출되고, 방전 팁이 고정된 고전압 팁부를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방전 팁에 연결된 결합된 고전압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전 팁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반대 방향으로 그라운드 메쉬를 위치시켜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팁 홀더를 토해 방전 팁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대전 효율 및 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팁 홀더를 통해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장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프레임의 강도를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고전압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홀더를 이용하여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그라운드 메쉬를 통해 방전 전류가 떨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이온 재분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있어서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제1 분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있어서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제2 분해 구성도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전도성 플레이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전도성 플레이트부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고전압 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고전압 팁 부의 개략적인 세부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고전압 팁 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부분 구성도이다.
도 13은 고전압 팁부의 접지 케이블이 하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접지 케이블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핀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구성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3에 도시한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그라운드 메쉬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하부 프레임에 있어서, 그라운드 메쉬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19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과 그라운드 메쉬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대전모듈에 있어서 그라운드 메쉬의 유무에 따른 방전 전류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부분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차량용 공기조화기(1)를 구성하는 어셈블리 구조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각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건물용 공기조화기, 가정용 공기조화기, 및 공기청정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 구비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용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 15)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는, 흡입구(20)가 형성되는 흡입본체(11)와 토출구(30)가 형성되는 토출본체(1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본체(11) 및 토출본체(15)는 공기가 유동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되어 있다.
흡입구(20) 및 토출구(30)는 각각 복수 개로 흡입본체(11) 및 토출본체(15)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에는 실내흡입구(21) 및 실외흡입구(22)가 포함될 수 있다. 실내흡입구(21)는 차량용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차량의 내부공기가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실외흡입구(22)는 차량의 외부공기가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있다.
토출구(30)에는 전방토출구(31) 및 디프로스트 토출구(32)가 포함될 수 있다. 전방토출구(31)는 본체(11)에서 토출된 공기가 차량의 내부로 유동되는 출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디프로스트 토출구(32)는 본체(11)에서 토출된 공기가 차량의 유리창으로 유동되는 출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본체(11, 15)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미도시) 및 열교환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이와 같은 복수의 흡입구(20) 및 토출구(3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댐퍼(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는 실내흡입구(21) 및 실외흡입구(22)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댐퍼는 복수의 토출구(30)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가 설치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는 공기 중 먼지입자 등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포집장치(2000)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 등을 포집하여 공기 중에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는 후술할 고전압 팁부 및 전도성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대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팁에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전도성 플레이트부에는 그라운드 전극이 인가된다. 그에 따라,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는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고,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전도성 플레이트부는 고전압 팁과의 전위차를 발생시켜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포집장치(200)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에 의해 대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필터에 해당하며,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장치(200)는 부직포 등과 같은 다공성 섬유필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집장치(200)의 표면에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 코팅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를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입자 등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에서 발생된 이온과 결합되어 대전된다. 그리고, 대전된 먼지입자 등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또는 포집장치(2000)에 포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는 포집장치(2000)와 분리된 별개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는 서로 다른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을 통해 생산 및 유통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는 별도의 결합부재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기조화기(1)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가 설치되는 집진설치부(13)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는, 집진설치부(13)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흡입본체(11)에 형성된다.
특히, 집진설치부(13)는 흡입구(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이는,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가 포집장치(200)보다 먼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팬이 설치되는 팬 설치부(12)가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팬 설치부(12)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흡입본체(11)에 형성된다. 특히, 팬 설치부(12)는 집진설치부(13)에 대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본체(11)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흡입구(20), 집진설치부(13) 및 팬 설치부(12)가 차례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포집장치(2000) 및 팬을 차례로 통과하여 토출본체(15)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는 집진설치부(1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포집장치(2000)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보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를 차례로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는 포집장치(2000)에 안착된 상태로 집진설치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설치부(13)에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가 겹쳐져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각각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포집장치(2000)만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서 분리하여 교체 및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의 교체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집장치(2000)에 보다 많은 양의 먼지입자 등이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장치(2000)의 교체주기가 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를 교체할 필요없이, 포집장치(2000)만을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가 설치되는 집진설치부(13)가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집진설치부(13)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흡입본체(11)에 형성된다. 특히, 집진설치부(13)는 흡입구(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이는,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를 포집장치(2000)보다 먼저 통과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팬이 설치되는 팬 설치부(12)가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팬 설치부(12)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흡입본체(11)에 형성된다. 특히, 팬 설치부(12)는 집진설치부(13)에 대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본체(11)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흡입구(20), 집진설치부(13) 및 팬 설치부(12)가 차례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포집장치(200) 및 팬을 차례로 통과하여 토출본체(15)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는 집진설치부(1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포집장치(200)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보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포집장치(200)의 안착된 상태로 집진설치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집진설치부(13)에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가 겹쳐져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각각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포집장치(200)만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서 분리하여 교체 및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 및 포집장치(2000)의 교체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집장치(2000)에 보다 많은 양의 먼지입자 등이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장치(2000)의 교체주기가 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를 분리할 필요없이, 포집장치(200)만을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의 대전모듈(1100)과 커버모듈(1200)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는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입자 등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모듈(1100)과, 대전모듈(1100)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커버모듈(1200)을 포함한다.
대전모듈(1100)은 전체적으로 집진설치부(13)의 내부로 삽입되고 유동하는 공기 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하고, 커버모듈(1200)은 대전모듈(1100)이 삽입되는 집진설치부(13)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차단하는 마개 역할을 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커버모듈(1200)은 마개로서 기능하는 커버부(1210)와, 커버부(1210)에 내재되며 대전모듈(1100)에 공급될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공급부(미도시)에는 고전압 팁부(1130)의 방전 팁(1311)으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과, 후술하는 전도성 플레이트부의 접지를 위한 접기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10)의 전면(121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면(1212)이 형성된다. 돌출면(1212)의 후방 측에는 고전압공급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210)의 전면(1211)에는 고전압공급부로 외부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메인 커넥터(1213)에 일체로 또는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커버모듈(1200)의 측부에는 집진설치부(13)로의 탈착가능한 결합을 위한 후크 형태의 리테이너(1214)와 걸림돌기(121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대전모듈(1100)과 커버모듈(1200)은 상호간 탈착가능하게 볼트(b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대전모듈(1100)의 상부 프레임(1110)에 형성된 연결부(1111b)는 커버부(121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로 볼트(b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대전모듈(1100)의 하부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메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대전된 먼지입자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의 세부기술구성 및 유기적 결합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있어서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제1 분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있어서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제2 분해 구성도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전모듈(1100)은 상부 프레임(1110),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 고전압 팁부(1130) 및 하부 프레임(1140)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는 상부 프레임(1110)만이 분해된 분해 구성도이고, 도 5는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 하부 프레임(1140) 및 그라운드 메쉬(1150)이 추가로 분해된 분해 구성도이다.
그라운드 메쉬(1150)의 상부로 하부 프레임(1140)이 적층되고, 하부 프레임(1140)의 상부로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 고전압 팁부(1130) 및 상부 프레임(1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즉, 하부 프레임(1140)에는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와 고전압 팁부(1130)가 안착지지되고, 상부 프레임(1110)은 방전 팁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와 고전압 팁부(1130)를 커버하면서 하부 프레임(114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0)은 상부 외곽 프레임(1111) 및 상부 내측 프레임(1112)을 포함한다.
상부 외곽 프레임(1111)은 외곽부에 해당하고, 소정의 높이를 갖고 전체적으로 4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외곽 프레임(1111)의 단면은 하단이 개방되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ㄷ자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전도성 플레이트가 수용된다.
또한, 전도성 플레이트부가 배치되지 않는 상부 외곽 프레임(1111)의 내부공간에는 고전압 팁부(1300)의 고전압 케이블(1320)과 케이블 홀더(134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 외곽 프레임(1111)에는 하부 프레임(1140)과 결합되기 위한 하부 프레임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결합부는 복수의 후크 결합부(111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 결합부(1111a)는 상부 프레임(1110)을 하부 프레임(114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고, 후크 결합부(1111a)는 하부 프레임(1140)의 결합후크(1141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외곽 프레임(1111)은 전도성 플레이트 결합부(1111c)가 더 형성된다. 전도성 플레이트 결합부(1111c)는 전도성 플에이트가 삽입되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외곽 프레임(11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모듈(1200)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1111b)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외곽 프레임(1111)에는 케이블 홀더 결합부(1111d)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 결합부(1111d)에는 케이블 홀더(1134)가 커버 및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부 내측 프레임(1112)은 상부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고,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과 제2 상부 내측 프레임(1112b)을 포함한다.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은 고전압 팁 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상부 내측 프레임(1112b)은 전도성 플레이트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상부 내측 프레임(1112b)은 상부 외곽 프레임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대전공간으로 구획한다.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과 제2 상부 내측 프레임(1112b)은 상부 외곽 프레임(1111)와 동일하게 단면은 하단이 개방되고, 전체적으로 “Π”자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이에 대한 일레로서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만이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의 내부공간에는 고전압 팁부(1300)의 방전 팁(1131)에 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132)이 수용된다.
또한,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에는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 1112a”)가 형성되고,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 1112a”)에는 고전압 팁부(1130)의 고전압 팁 바디(1133)가 결합된다.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 1112a”)는 고전압 팁부(1300)의 방전 팁(1131)이 관통하는 개방부(도 12에 1112a'1, 1112a”1로 도시함)와, 고전압 팁 바디(1133)가 결합되는 고전압 팁 바디 상부 결합부(도 12에 1112a'2, 1112a”2로 도시함)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는 제1 상측 고전압팁 바디 결합부(1112a')와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를 포함한다.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는 고전압 케이블(132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제1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의 전방에 위치된다.
제1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는 고전압 팁 바디가 결합되고,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는 고전압 팁 바디가 결합되고, 고전압 팁 바디와 고전압 케이블(1320)을 동시에 커버한다.
즉, 하나의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이 복수개의 팁 홀드바디(1330)를 커버할 경우, 고전압 케이블(132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형성되는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는 고전압 팁 바디와 고전압 케이블(1320)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고전압 팁 바디와 고전압 케이블(1320)의 배치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2 상부 내측 프레임(1112b)은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 외곽 프레임(1111)의 내측에 위치된다.
하부 프레임(1140)은 하부 외곽 프레임(1141)과 하부 내측 프레임(1142)를 포함한다.
하부 외곽 프레임(1141)은 상부 외곽 프레임(111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외곽 프레임의 후크 결합부(1111a)에 삽입결합되기 위한 후크(1141a)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내측 하부 프레임(1142)는 하부 외곽 프레임(1141)의 내측으로 위치되고, 복수개의 제1 상부 내측 프레임(1112a)에 대응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내측 하부 프레임(1142)에는 케이블 안착홈(1142a)과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1142b)가 형성된다.
케이블 안착홈(1142a)은 고전압 팁부(1130)의 고전압 케이블(1320)이 안착되기 위한 것이고,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1142b)는 고전압 팁부(1130)의 팁 홀드바디(1330)가 안착되기 위한 것이다.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1142b)는 제1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 (1142b')와 제2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1142b”)가 형성된다.
제1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1142b')에는 고전압 팁 바디가 안착되고, 제2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1142b”)에는 고전압 팁 바디와 고전압 케이블(1320)이 안착된다.
즉, 하나의 내측 하부 프레임(1142)에 복수개의 팁 홀드바디(1330)가 안착될 경우 고전압 케이블(132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형성되는 제2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1142b”)에는 케이블 안착홈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전압 케이블(132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되는 고전압 팁 바디로 고전압 케이블이 안전하게 연장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1110)과 하부 프레임(1140)은 대전모듈(1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고전압 팁부(1130) 및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를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 프레임(1110)과 하부 프레임(1140)은 비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10)과 하부 프레임(1140)은 사출공정 등을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메쉬(1150)는 고전압 팁부(1300)의 방전 팁에서 발생한 이온의 적정한 분산효과와 필터의 기대수명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메쉬(1150)의 형상에 따라 방전 팁에서 발생시킨 이온을 당기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방전 팁에서 발생시킨 이온이 과다하면 당기는 세기를 줄이고, 이온이 부족하면 당기는 정도를 높인다.
그라운드 메쉬에 의해 출력전압이 하강되어, 저 오존 설계가 가능하고, 신뢰성이 향상되고, 이온 재분배를 통해 원패스 효율이 상승된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전도성 플레이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전도성 플레이트부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고전압 팁부(1300)와 함께 전기장(electric field)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metal plate)으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에는 접지를 위한 접지 케이블(1135)이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와 고전압 팁부(1130)의 방전 팁(1131)의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되며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전 팁(1131)과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의 사이에 고밀도의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방전 팁의 적층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소정의 먼지입자 등이 포집될 수 있다. 다만,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에 직접적으로 먼지입자 등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상부 프레임(1110)에 의해 커버된다.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방전 팁(1131)의 주위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방전 팁(1311)의 둘레를 둘러싸는 소정의 대전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대전공간은 방전 팁(1311)의 둘레를 둘러싸는 방향은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에 의해 폐쇄되고, 방전 팁(1311)의 상방향으로는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사각기둥 형상의 대전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자기장의 균일화 및 이온방출의 균일화를 위해서 대전공간은 정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방전 팁(1131)은 대전공간의 중심에 위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이온을 방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공간은 하나의 방전 팁(1131)을 감싸도록 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전공간은 방전 팁(1131)의 개수와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총 9개의 대전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개별 대전공간에 각각 방전 팁(1131)이 배치되거나, 일부 대전공간에만 방전 팁(1131)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총 5개의 방전 팁(1131)이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요구되는 이온방출량 또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서 구비되는 방전 팁(1311)의 개수는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총 5개의 방전 팁(1131)이 배치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1)와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22)를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1121)와 제2 플레이트(1122)는 서로 직교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1121)와 제2 플레이트(1122)는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1122)에 제1 플레이트(1121)가 삽입결합되어 제1 플레이트(1121)와 제2 플레이트(1122)의 상단부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21)는 배선 안착부(1121a), 제2 플레이트 삽입부(1121b), 단부 결합부(1121c)가 형성된다.
배선 안착부(1121a)는 고전압 팁부(1130)의 고전압 케이블(1132)이 안착되기 위한 것이다. 즉, 배선 안착부(1121a)는 제1 플레이트(112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방전 팁(1131)에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케이블(1132)이 홈 형상의 배선 안착부(1121a)에 안착됨에 따라 외부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고전압 케이블(1132)이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대전모듈(1100)로 구현된다.
제2 플레이트 삽입부(1121b)는 제1 플레이트(1121)의 하단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슬릿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부 결합부(1121c)는 제1 플레이트(1121)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112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1122)가 삽입결합되기 위한 것이고, 제1 플레이트(1121)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슬릿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2)는 제1 플레이트 삽입부(1122a), 단부 결합부(1122b) 및 그라운드 핀 안착부(1122c)가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 삽입부(1122a)에는 제2 플레이트(1122)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슬릿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121)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된다.
단부 결합부(1122b)는 제2 플레이트(1122)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1122)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슬릿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121)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된다.
그라운드 핀 안착부(1122c)에는 접지 케이블(1135)에 연결된 그라운드 핀(도 11에 1136로 도시함)이 삽입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도성 플레이트부(1120)는 제1 플레이트(1121)와 제2 플레이트(1122)에 의해 개별 대전공간이 구획되고, 도 7은 이에 대한 일례로서 9개의 대전공간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플레이트(1121)와 제2 플레이트(112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고전압 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고전압 팁 부의 개략적인 세부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고전압 팁 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4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부분 구성도이고, 도 13은 고전압 팁부의 접지 케이블이 하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접지 케이블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핀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 팁부(1130)는 방전 팁(1131), 고전압 케이블(1132), 고전압 팁 바디(1133), 케이블 홀더(1134), 접지 케이블(1135), 그라운드 단자(1136), 그라운드 연결 팁(1137)을 포함한다.
방전 팁(1131)은 직접적으로 방전이 발생시키는 방전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방전 브러시는 다수의 탄소 섬유(carbon fiber)로 구성될 수 있다. 탄소 섬유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직경을 갖는 극세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전압 케이블을 통해 탄소 섬유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에 의해 공기 중에 이온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방전 팁(113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유동방향(F)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프레임(1110)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방출되는 이온의 확산 효과가 극대화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입자가 균등하게 대전될 수 있다.
방전 팁(1131)은 고전압 케이블(1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고전압 팁 바디(1133)에 지지된다.
방전 팁(1131)은 열수축튜브(1131')에 의해 고전압 케이블(1132)에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방전 팁(1131)은 복수의 방전 팁을 포함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31a, 1131b, 1131c, 1131d, 1131e)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팁 바디(1133)는 상부 프레임(1110)과 하부 프레임(1140) 사이에 위치되고, 고전압 팁 바디(1133)는 하부 프레임(1140)에 안착된 상태로 고전압 팁 바디(1133)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고전압 팁 바디(1133)는 방전 팁(1131) 및 고전압 케이블(1132)과는 별개로 제조되어 방전 팁(1131) 및 고전압 케이블(1132)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방전 팁(1131) 및 고전압 케이블(1132)을 금형에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팁 바디(1133)는 일측 바디와 타측 바디가 각각 사출성형되고, 일측 바디와 타측 바디 사이에 방전 팁(1131) 및 고전압 케이블(1132)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진 생태에서 일측 바디와 타측 바디에 의해 압박되면서 지지된다.
고전압 팁 바디(1133)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돌출형성된 한 쌍의 어퍼후크부(1133a)와 한 쌍의 로어후크부(1133b)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어퍼후크부(1133a)와 한 쌍의 로어후크부(1133b)는 각각 방전 팁(1131)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방전 팁(1131)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어퍼후크부(1133a)는 제1 어퍼후크(1133a') 및 제2 어퍼후크(1133a”)를 포함한다. 제1 어퍼후크(1133a')는 고전압 팁 바디(1133)의 상부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제2 어퍼후크(1133a”)는 고전압 팁 바디(1133)의 상부 타측단에 형성된다.
또한, 로어후크부(1133b)는 어퍼후크부(1133a)와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로어후크부(1133b)는 제1 로어후크(1133b') 및 제2 로어후크(1133b”)를 포함한다. 제1 로어후크(1133b')는 고전압 팁 바디(1133)의 하부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제2 로어후크(1133b”)는 고전압 팁 바디(1133)의 하부 타측단에 형성된다.
고전압 팁 바디(1133)의 하부의 최후단에 배치되는 제1 로어후크(1133b') 와, 본체부(1510)의 하단면의 최전단에 배치되는 제2 로어후크(1133b”)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팁 바디는 방전 팁 및 고전압 케이블을 금형에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접지 케이블(1135)은 그라운드 연결 팁(1137)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1136)에 연결된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케이블(1135)은 하부 프레임(1140)에 지지되고, 그라운드 연결 팁(1137)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11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라운드 단자(1136)에는 그라운드 연결 팁(1137)이 연결되고, 그라운드 단자(1136)는 제2 플레이트(1122)에 형성된 그라운드 핀 안착부(1122c)에 삽입결합된다.
고전압 팁부(1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이하 고전압 팁부(1130)과 상부 프레임(1110) 및 하부 프레임(114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110)에는 도12 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와 제2 상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가 형성된다.
제1 상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에는 방전 팁 관통홀부(1112a’1)와 어퍼후크 결합부(1112a'2)가 형성된다.
방전 팁 관통홀부(1112a'1)는 고전압 팁부(1130)를 커버하도록 상부 프레임(1110)이 하부 프레임(1140)에 결합될 경우 고전압 팁부(1130)의 방전 팁(1131)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어퍼후크 결합부(1112a'2)는 전술한 고전압 팁 바디(1133)의 한 쌍의 어퍼후크부(1133a)가 삽입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어퍼후크 결합부(1112a'2)는 어퍼후크부(1133a)에 대응되는 관통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퍼후크 결합부(1112a'2)는 방전 팁 관통홀부(1112a'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는 전술한 제1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12a”)와 동일하게 방전 팁 관통홀부(1112a”1)과 어퍼후크 결합부(1112a”2)가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하부 프레임(1140)은 도12 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41b')와 제2 하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41b”)가 형성된다.
제1 하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41b')와 제2 하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1141b”)에는 각각 로어후크 결합부(1141b'1,1141b”1)가 형성된다.
로어후크 결합부(1141b'1,1141b”1)는 전술한 고전압 팁 바디(1133)의 한 쌍의 로어후크부(1133b)가 삽입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로어후크 결합부(1141b'1,1141b”1)는 로어후크부(1133b)에 대응되는 관통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케이블(1132)은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a, 1132b, 1132c, 1132d, 1132e)을 포함하고,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별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면,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a, 1132b, 1132c, 1132d, 1132e)을 지지하고 보고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확보되어야 하고, 고전압공급부에 접속 단자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요구되는 케이블의 수량 또는 길이가 증가되고,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a, 1132b, 1132c, 1132d, 1132e)을 지지하고 커버하는 상부 프레임(1110)과 하부 프레임(1140)의 사이즈가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모듈(1100)은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a, 1132b, 1132c, 1132d, 1132e)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1134)를 구비한다.
케이블 홀더(1134)는 좌우방향 폭이 상하방향 높이 및 전후방향 두께보다는 더 크게 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 케이블 홀더(1800)의 내부에는 일단부가 전술한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케이블(1132')이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b, 1132c, 1132d, 1132e)로 분기되는 케이블 연결구조가 매립된다.
즉, 케이블 홀더(1134)는 이와 같인 메인 케이블(1132')과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a, 1132b, 1132c, 1132d, 1132e)사이의 분기점 또는 접점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단부가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케이블(1132')의 타단부는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1134d)을 관통하여 케이블 홀더(1134)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블(1132')의 타단부는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1134d) 상부 측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메인 케이블(1132')만이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고전압공급부의 접속부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홀더(1134)의 내부로 연장된 메인 케이블(1132')의 타단부는,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b, 1132c, 1132d, 1132e)로 분기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132a, 1132b, 1132c)은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1134c)을 관통하여 케이블 홀더(1134)의 외부로 돌출되고, 각각 제1 방전 팁 내지 제3 방전 팁(1131a, 1131b, 1131c)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1134)으로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방전 팁 내지 제3 방전 팁(1131a, 1131b, 1131c)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132a, 1132b, 1132c)은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1134c)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반대로,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4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31d, 1131e)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4 케이블 및 제5 케이블(1132d, 1132e)은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1134c)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 홀더(1134)의 전후방향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132a, 1132b, 1132c)이 돌출되는 위치는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1134c)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메인 케이블(1132c'), 제4 케이블 및 제5 케이블(1132d, 1132e)이 돌출되는 위치는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1134d)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1134c) 및 일측면(1134d)에 각각 동일한 개수의 케이블들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홀더(1134)의 전후방향 높이가 최소화 및 최적화되고, 이를 통해 대전모듈(1100)의 상하방향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케이블(1132')의 연결방향을 기준으로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에 제3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31c, 1131d, 1131e)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1134d)을 통해서 제3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c, 1132d, 1132e)이 연결되도록 하고,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1134c)을 통해서 메인 케이블(1132')과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1132a, 1132b)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케이블 홀더(1134)는 메인 케이블(1132')이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b, 1132c, 1132d, 1132e)로 분기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메인 케이블(1132')이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132a, 1132b, 1132c, 1132d, 1132e)로 분기되는 구조 및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하며, 상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블 홀더(1134)의 상면(1134a)과 하면(1134b)은 각각 상부 프레임(1110)과 하부 프레임(1140)에 면접촉되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케이블(1132')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케이블 홀더(1134)는 고전압공급부이 수용되는 커버모듈(1200)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1134)의 상면(1134a)에는 고정돌기(1134f)가 상부 프레임(1110)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1110)에는 고정돌기(1134f)에 대응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단일 케이블 홀더(1134)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 홀더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방전 팁(1131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케이블 홀더(1134')와 제2 케이블 홀더(1134”)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1134)와 유사하게 제1 케이블 홀더(1134')와 제2 케이블 홀더(1134”)는 각각 내부에 복수의 케이블들이 분기되는 케이블 연결 구조가 매립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1134)와 유사하게 제1 케이블 홀더(1134')와 제2 케이블 홀더(1134”)는 각각의 측면을 통해서 케이블들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1134)와는 달리 제1 케이블 홀더(1134')와 제2 케이블 홀더(1134”)의 측면을 통해서 연결되는 케이블들의 개수가 더 작게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메인 케이블(1132')이 연결된다.
메인 케이블(1132')은 제1 케이블 홀더(1134')의 내부에서 분기되고, 제1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을 통해 제4 케이블(1132d) 및 제5 케이블(1132e)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고, 제1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을 통해서 중간 케이블(1132f)이 돌출되어 연장된다.
또한, 제1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중간 케이블(1132f)은 제2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을 통과해서 제2 케이블 홀더(1134”)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내부로 연장된 중간 케이블(1132f)은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132a, 1132b, 1133c)로 분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된 케이블 중에서 제1 케이블(1132a) 및 제2 케이블(1132b)은 제2 케이블 홀더(1134”)의 일측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연장되며, 제3 케이블(1132c)은 제2 케이블 홀더(1134”)의 타측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중간 케이블(1132f)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케이블 홀더(1134')와 제2 케이블 홀더(1134”)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들의 개수를 2개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블 홀더(1134')와 제2 케이블 홀더(1134”)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더 낮게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전모듈(1100)의 상하방향 높이가 추가적으로 더 낮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3에 도시한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저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그라운드 메쉬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하부 프레임에 있어서, 그라운드 메쉬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모듈(1100)은 하부 프레임(1140)에 그라운드 메쉬(1150)가 고정형으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1140)에는 그라운드 메쉬(1150)에 대향되어 하부로 돌출된 결합돌기(1143)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1143)는 하부 프레임(1140)의 가장자리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14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된 단부는 절개부에 의해 탄성력이 확보된다. 그라운드 메쉬(1150)에는 결합돌기(1143)에 대응되는 결합홀(115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1140)의 결합돌기(1143)가 그라운드 메쉬(1150)의 결합홀(1151)에 삽입결합될 경우, 결합돌기(1143)이 돌출 단부는 내측으로 가압되고, 결합홀(1151)을 통과한 후 그라운드 메쉬(1150)를 지지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과 그라운드 메쉬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모듈(1100)은 하부 프레임(1140)에 그라운드 메쉬(1150)가 탈착가능형으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1140)에는 그라운드 메쉬(1150)에 대향되어 하부에 가이드 홈부(1143')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홈부(1143')는 하부 프레임(114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부(1143')의 두께는 그라운드 메쉬(115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메쉬(1150)를 하부 프레임(1140)의 가이드 홈부(1143')를 삽입하여 그라운드 메쉬(1150)를 하부 프레임(114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도 21은 본 발명의 대전모듈에 있어서 그라운드 메쉬의 유무에 따른 방전 전류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전압에서 방전 전류 측정시 금속매쉬를 포함하는 대전장치는 금속매취를 포함하지 않는 대전장치에 비하여 효율이 향상되고, 동일 방전 전류에서 전압이 낮아 오존이 적게 발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대전모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의 개략적인 부분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과 비교하여 상부 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구조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3100)은 상부 프레임(3110), 전도성 플레이트부(3120), 고전압 팁부(3130) 및 하부 프레임(314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3110)에는 하부 프레임(314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후크(3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별 결합후크(3111a)는 복수의 후크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들 개별 결합후크(3111a)는 상부 프레임(3110)의 4개의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140)에는 개별 결합후크(3111a)가 각각 삽입되어 걸림을 형성하는 고리형상의 결합링(3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링(3141a)에 형성된 삽입홀에 결합후크(3111a)가 삽입되면서 걸림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200: 포집장치
1000: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100: 대전모듈
1110: 상부 프레임
1111: 상부 외곽 프레임
1111b: 연결부
1111c: 전도성 플레이트 결합부
1111d: 케이블 홀더 결합부
1111a: 후크 결합부
1112a”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
1112a': 바디 결합부
1112a'1: 방전 팁 관통홀부
1112: 상부 내측 프레임
1112a'2: 어퍼후크 결합부
1112a” 어퍼후크 결합부
1112a: 제1 상부 내측 프레임
1112b: 제2 상부 내측 프레임
1120: 플레이트부
1121c: 단부 결합부
1121a: 배선 안착부
1121b: 제2 플레이트 삽입부
1121: 플레이트
1122c: 그라운드 핀 안착부
1122b: 단부 결합부
1122a: 제1 플레이트 삽입부
1122: 제2 플레이트
1130: 고전압 팁부
1131: 방전 팁
1131': 열수축튜브
1132f: 중간 케이블
1133: 고전압 팁 바디
1133b: 로어후크부
1133a: 어퍼후크부
1133b': 제1 로어후크
1133a': 제1 어퍼후크
1133b” 제2 로어후크
1133a” 제2 어퍼후크
1134f: 고정돌기
1134a: 상면
1134d: 일측면
1134': 제1 케이블 홀더
1134” 제2 케이블 홀더
1134: 케이블 홀더
1134c: 타측면
1134b: 하면
1135: 접지 케이블
1136: 그라운드 단자
1137: 그라운드 연결 팁
1140: 하부 프레임
1141a: 결합후크
1141b': 제1 하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
1141b” 제2 하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
1141: 하부 외곽 프레임
1142b': 제1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
1142b” 제2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
1142a: 케이블 안착홈
1142: 프레임
1142b: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
1150 : 그라운드 메쉬
1200: 커버모듈
1210: 커버부
1211: 전면
1215: 걸림돌기
1300: 고전압 팁부
1311: 방전 팁
1320: 고전압 케이블
1330: 팁 홀드바디
1340: 케이블 홀더
1510: 본체부
1132: 고전압 케이블
1800: 케이블 홀더
1820: 제2 케이블 홀더
2000: 포집장치
3100: 대전모듈
3110: 상부 프레임
3111a: 결합후크
3120: 전도성 플레이트부
3130: 고전압 팁부
3140: 하부 프레임
3141a: 결합링

Claims (20)

  1. 유동하는 공기에 이온을 생성하는 대전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로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이온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팁을 포함하는 고전압 팁부;
    상기 방전 팁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 팁부의 상기 방전 팁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도성 플레이트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부와 상기 고전압 팁부가 안착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방전 팁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부와 상기 고전압 팁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방에 결합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방에 결합된 그라운드 메쉬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방에는 그라운드 메쉬를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메쉬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방에는 그라운드 메쉬에 대향된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메쉬는 상기 가이드 홈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기 위한 하부 프레임 결합부가 형성된 상부 외곽 프레임과,
    상기 상부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부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 결합부에 대응되는 결합후크가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내측 프레임은
    상기 고전압 팁부를 커버하는 제1 상부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부를 커버하는 제2 상부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 내측 프레임은 상기 상부 외곽 프레임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대전공간으로 구획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내측 프레임의 단면은 하단이 개방되고 전체적으로 “Π”자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전압 팁부의 고전압 팁 바디가 결합되는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가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는 상기 방전 팁이 관통하는 개방부와, 고전압 팁 바디가 결합되는 고전압 팁 바디 상부 결합부가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팁 바디 상부 결합부는 제1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와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는 상기 고전압 팁 바디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는 고전압 팁 바디가 결합되고, 상기 고전압 팁 바디와 고전압 케이블을 동시에 커버하고,
    상기 제2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상측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 보다 전방에 배치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결합후크가 형성된 하부 외곽 프레임과, 상기 하부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고, 고전압 케이블이 안착되는 케이블 안착홈과, 고전압 팁 바디가 안착되는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가 형성된 내측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는 제1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와 제2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에는 고전압 팁 바디가 안착되고,
    상기 제2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에는 고전압 팁 바디와 고전압 케이블이 안착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는 상기 제1 하측 고전압 팁 바디 안착부 보다 전방으로 배치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부는 복수의 제1 플레이트와 복수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서로 직교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배선 안착부, 제2 플레이트 삽입부, 단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선 안착부에는 상기 고전압 팁부의 고전압 케이블이 안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삽입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슬릿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부 결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삽입결합되도록 일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슬릿형상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삽입부, 단부 결합부 및 그라운드 핀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삽입부는 제2 플레이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슬릿형상이고,
    상기 단부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슬릿형상이고,
    상기 그라운드 핀 안착부에는 접지 케이블에 연결된 그라운드 핀이 삽입결합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팁부는
    상기 방전 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전압 케이블과,
    상기 방전 팁을 지지하는 고전압 팁 바디와,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홀더와,
    상기 플레이트부에 연결된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된 접지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팁 바디의 상부에는 상향 돌출된 어퍼후크부와, 상기 고전압 팁 바디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로어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어퍼후크부에 대응되는 상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로어후크부에 대응되는 하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가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방전 팁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방전 팁 관통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전압 팁 바디 결합부는 상기 방전 팁 관통홀부의 양측에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후크부는 제1 어퍼후크와 제2 어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퍼후크는 상기 고전압 팁 바디의 상부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어퍼후크는 상기 고전압 팁 바디의 상부 타측단에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후크부는 제1 로어후크와 제2 로어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어후크는 상기 고전압 팁 바디의 하부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로어후크는 상기 고전압 팁 바디의 하부 타측단에 형성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일단부가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메인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전 팁, 제2 방전 팁, 제3 방전 팀, 제4 방전 칩 및 제5 방전 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상기 제1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케이블과, 상기 제3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케이블과, 상기 제4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케이블과, 상기 제5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 상기 제2 케이블, 상기 제3 케이블, 제4 케이블 및 제5 케이블은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블, 상기 제2 케이블, 상기 제3 케이블, 제4 케이블 및 제5 케이블로 분기되는 분기점이 매립되는 케이블 홀더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1020210019065A 2020-07-30 2021-02-10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10249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642810.7A CN114054209B (zh) 2020-07-30 2021-06-09 电集尘用带电装置
US17/366,734 US20220032319A1 (en) 2020-07-30 2021-07-02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DE102021208103.7A DE102021208103A1 (de) 2020-07-30 2021-07-27 Elektrifizier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n Staubsamm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86 2020-07-30
KR20200095186 2020-07-30
KR1020200131335 2020-10-12
KR20200131335 2020-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302A true KR20220015302A (ko) 2022-02-08
KR102496497B1 KR102496497B1 (ko) 2023-02-06

Family

ID=8025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065A KR102496497B1 (ko) 2020-07-30 2021-02-10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4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83A (ko) * 2018-07-20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20200009889A (ko) 2018-07-20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20200081672A (ko) *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83A (ko) * 2018-07-20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20200009889A (ko) 2018-07-20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20200081672A (ko) *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497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23881A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including same
KR102586516B1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20110088742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EP1629894A1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and air purifier incorporating therein the dust collector
US20220032321A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CN114258324A (zh) 空气净化装置
KR102495016B1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20220015302A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CN114054209B (zh) 电集尘用带电装置
CN114054208B (zh) 电集尘用带电装置
KR102445823B1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CN114054207B (zh) 电集尘用起电装置
KR102077564B1 (ko)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495017B1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102611401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
KR102331012B1 (ko) 전기 집진기
KR102308868B1 (ko) 전기 집진기
KR101830182B1 (ko) 집진장치 및 공기조화기
KR20200007226A (ko) 전기 집진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