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823B1 -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823B1
KR102445823B1 KR1020210014208A KR20210014208A KR102445823B1 KR 102445823 B1 KR102445823 B1 KR 102445823B1 KR 1020210014208 A KR1020210014208 A KR 1020210014208A KR 20210014208 A KR20210014208 A KR 20210014208A KR 102445823 B1 KR102445823 B1 KR 10244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able
frame
discharge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297A (ko
Inventor
신남규
이동혁
박내현
김아람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0360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054207B/zh
Priority to US17/313,518 priority patent/US11980897B2/en
Priority to DE102021208220.3A priority patent/DE102021208220A1/de
Publication of KR2022001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팁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팁 홀더를 구비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팁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팁 홀더를 구비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은 대전과 집진이라는 2가지 과정을 포함하고, 먼지를 대전시키고 대전된 먼지를 집진 필터로 포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방법은 부직포에 의한 물리적 집진과, 유전체 필터에 의한 전기 집진, 및 정전 부직포에 의해 물리 집진 필터에 정전력을 부여하는 방식이 있다.
대전 방법은 확산 대전, 전기장 대전 및 하이브리드 대전(확산 및 전기장 대전)이 있다.
하이브리드 대전에 적용되는 전기장 대전은 큰 입자의 포집에 유리하고, 확산 대전은 작은 입자 포집에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9889호에는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설치프레임에 전도성 미세섬유 및 케이블을 고정하고 이들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설치프레임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전도성 미세섬유 및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설치개구가 형성되며, 설치개구를 통해 전도성 미세섬유와 케이블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전도성 미세섬유와 케이블이 설치프레임에 억지끼워맞춤(press-fit)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설치프레임의 일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설치개구를 형성하고, 미세섬유와 케이블을 수평방향으로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과정에서 과대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설치프레임의 파손이 유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전도성 미세섬유는 양단부가 고정된 바형상의 설치프레임으로서 양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설치프레임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억지끼워맞춤 결합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당히 작은 결합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설치프레임의 파손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또한,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설치프레임의 일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설치개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설치프레임 자체의 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대전장치의 작동 중에 상당히 작은 수준의 외력에 의해서도 손쉽게 부서지거나 파손이 발생하여 전도성 미세섬유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전도성 미세섬유를 통한 대전 효율 및 방전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98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전 팁 및 고전압 케이블을 지지하는 별도의 팁 홀더를 통해 방전 팁이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서 방전 팁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대전 효율 및 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팁 홀더를 이용하여 어퍼프레임과 로어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들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유동하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이온을 생성하는 대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대전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방전 팁, 적어도 하나의 팁 홀더, 전도성 플레이트, 및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과,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팁 홀더는 상기 어퍼프레임과 상기 로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팁 홀더의 상측은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팁 홀더의 하측은 상기 로어프레임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방전 팁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방전 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프레임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 홀더의 상측은 상기 어퍼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팁 홀더의 하측은 상기 로어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팁 홀더는, 상단면이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면이 상기 로어프레임에 결합되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 체결되는 한 쌍의 어퍼후크,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로어프레임에 체결되는 한 쌍의 로어후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어퍼후크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의 전단에 배치되는 전방어퍼후크,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방어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 팁은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 사이에서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방전 팁이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가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크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는,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로어후크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의 전단에 배치되는 전방로어후크,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방로어후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로어후크와 상기 후방로어후크는, 상기 로어프레임에 결합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가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홀 사이에는 상기 방전 팁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전방로어후크와 상기 후방로어후크가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결합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케이블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을 감싸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팁 홀더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상기 튜브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각각 별개로 제조되는 제1 반체와 제2 반체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반체와 상기 제2 반체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반체와 상기 제2 반체에 의해서 압박된다.
또한, 상기 제2 반체를 향하는 상기 제1 반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방전 팁에 공급될 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일단부가 상기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메인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전 팁 및 제2 방전 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상기 제1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단일의 메인 케이블의 타단부가 분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전모듈은, 내부에 상기 단일의 메인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로 분기되는 분기점이 매립되는 케이블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전모듈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커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공급부는 상기 커버모듈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팁 홀더를 토해 방전 팁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대전 효율 및 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팁 홀더를 통해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장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프레임의 강도를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는, 고전압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홀더를 이용하여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차량용 공기조화기 및 전기용 대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대전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대전모듈의 전방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퍼프레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로어프레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방전 팁 및 팁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전 팁 및 팁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방전 팁 및 팁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전 팁 및 팁 홀더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대전모듈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차량용 공기조화기(1)를 구성하는 어셈블리 구조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각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건물용 공기조화기, 가정용 공기조화기, 및 공기청정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 구비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용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 15)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는, 흡입구(20)가 형성되는 흡입본체(11)와 토출구(30)가 형성되는 토출본체(1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본체(11) 및 토출본체(15)는 공기가 유동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되어 있다.
흡입구(20) 및 토출구(30)는 각각 복수 개로 흡입본체(11) 및 토출본체(15)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에는, 실내흡입구(21) 및 실외흡입구(22)가 포함될 수 있다. 실내흡입구(21)는 차량용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차량의 내부공기가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실외흡입구(22)는 차량의 외부공기가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있다.
토출구(30)에는, 전방토출구(31) 및 디프로스트 토출구(32)가 포함될 수 있다. 전방토출구(31)는 본체(11)에서 토출된 공기가 차량의 내부로 유동되는 출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디프로스트 토출구(32)는 본체(11)에서 토출된 공기가 차량의 유리창으로 유동되는 출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본체(11, 15)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미도시) 및 열교환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이와 같은 복수의 흡입구(20) 및 토출구(3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댐퍼(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는 실내흡입구(21) 및 실외흡입구(22)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댐퍼는 복수의 토출구(30)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공기 중 먼지입자 등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포집장치(200)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 등을 포집하여 공기 중에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후술할 방전 팁(1100) 및 전도성 플레이트(1200)를 구비한 대전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 팁(1100)에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전도성 플레이트(1200)에는 그라운드 전극이 인가된다. 그에 따라,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고,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방전 팁(1100)과의 전위차를 발생시켜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포집장치(200)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에 의해 대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필터에 해당하며,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장치(200)는 부직포 등과 같은 다공성 섬유필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집장치(200)의 표면에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 코팅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입자 등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에서 발생된 이온과 결합되어 대전된다. 그리고, 대전된 먼지입자 등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또는 포집장치(200)에 포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포집장치(200)와 분리된 별개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는 서로 다른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을 통해 생산 및 유통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는 별도의 결합부재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기조화기(1)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가 설치되는 집진설치부(13)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는, 집진설치부(13)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흡입본체(11)에 형성된다.
특히, 집진설치부(13)는 흡입구(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이는,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가 포집장치(200)보다 먼저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는 팬이 설치되는 팬 설치부(12)가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팬 설치부(12)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흡입본체(11)에 형성된다. 특히, 팬 설치부(12)는 집진설치부(13)에 대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본체(11)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흡입구(20), 집진설치부(13) 및 팬 설치부(12)가 차례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포집장치(200) 및 팬을 차례로 통과하여 토출본체(15)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는 집진설치부(1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포집장치(200)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보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흡입구(20)로 유입된 공기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를 차례로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포집장치(200)의 안착된 상태로 집진설치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설치부(13)에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가 겹쳐져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각각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포집장치(200)만 차량용 공기조화기(1)에서 분리하여 교체 및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 및 포집장치(200)의 교체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집장치(200)에 보다 많은 양의 먼지입자 등이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장치(200)의 교체주기가 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를 교체할 필요없이, 포집장치(200)만을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의 대전모듈(1000)과 커버모듈(200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입자 등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모듈(1000), 및 대전모듈(10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모듈(1000)은 전체적으로 집진설치부(13)의 내부로 삽입되고, 유동하는 공기 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커버모듈(2000)은, 대전모듈(1000)이 삽입되는 집진설치부(13)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차단하는 마개 역할을 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커버모듈(2000)은, 마개로서 기능하는 커버부(2100)와, 커버부(2100)에 수용되며 대전모듈(2000)에 공급될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공급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공급부(2200)에는 방전 팁(1100)으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1600)과, 후술하는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접지를 위한 접기 케이블(17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커버부(2100)의 전면(2111)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면(2112)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돌출면(2112)의 후방 측에는 고전압공급부(2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100)의 전면(2111)에는 고전압공급부(2200)로 외부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메인 커넥터(2113)가 일체로 또는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커버모듈(2000)의 양측에는 집진설치부(13)로의 탈착가능한 결합을 위한 후크 형태의 리테이너(2120)와 걸림돌기(21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모듈(1000)과 커버모듈(2000)은 상호간 탈착가능하게 볼트(b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대전모듈(1000)의 연결부(1411b)는 커버부(210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로 볼트(b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대전모듈의 세부 구성>
도 4는 대전모듈(10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대전모듈(1000)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프레임(1400)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의 대전모듈(1000)에 대해 설명한다.
대전모듈(10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400), 프레임(1400)에 설치되는 방전 팁(1100), 및 전도성 플레이트(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방전 팁(1100)과 함께 전기장(electric field)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metal plate)으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도성 플레이트(1200)에는 접지를 위한 접지 케이블(1700)이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도성 플레이트(1200)와 방전 팁(1100)의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되며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전 팁(1100)과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사이에 고밀도의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상하방향(U-D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평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소정의 먼지입자 등이 포집될 수 있다. 다만, 전도성 플레이트(1200)에 직접적으로 먼지입자 등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술하는 어퍼프레임(1400)에 의해 커버된다.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방전 팁(1100)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방전 팁(1100)를 감싸는 소정의 대전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대전공간은 전후방향(F-R방향) 및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전도성 플레이트(1200)에 의해 폐쇄되고, 상하방향(U-D방향)으로는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사각기둥 형상의 대전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자기장의 균일화 및 이온방출의 균일화를 위해서 대전공간은 정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방전 팁(1100)은 대전공간의 중심에 위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F)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이온을 방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공간은 하나의 방전 팁(1100)을 감싸도록 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전공간은 방전 팁(1100)의 개수와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총 9개의 대전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개별 대전공간에 각각 방전 팁(1100)이 배치되거나, 일부 대전공간에만 방전 팁(1100)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총 5개의 방전 팁(1100)이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요구되는 이온방출량 또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서 구비되는 방전 팁(1100)의 개수는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총 5개의 방전 팁(1100)이 배치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도성 플레이트(1200)는, 복수의 대전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플레이트(1210), 및 복수의 대전공간을 구획하는 내부 플레이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플레이트(1210)는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외둘레를 형성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히는, 외부 플레이트(1210)는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외부 플레이트(1210)를 이용하여 전방 측은 개방된 ㄷ자 형상의 사각틀 형상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모듈(2000)에 인접한 위치는 방전 팁(1100)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1600)에 대한 간섭을 외피하기 위해 외부 플레이트(1210)가 구비되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내부 플레이트(1220)는, 외부 플레이트(1210)가 형성한 공간을 개별 대전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플레이트(1220)는 전후방향(F-R방향) 또는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내부 플레이트(1220)는 외부 플레이트(1210)가 형성한 공간을 9개의 대전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플레이트(1210) 및 내부 플레이트(12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외부 플레이트(1210) 및 내부 플레이트(1220)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플레이트(1220)에는 개별 방전 팁(1100)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1600)이 통과하는 노치(122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400)은, 대전모듈(10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방전 팁(1100) 및 전도성 플레이트(1200)를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1400)은 비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400)은 사출공정 등을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프레임(1400)은 방전 팁(1100)과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1410)과, 방전 팁(1100)과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프레임(1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1410)과 로어프레임(1420)의 서로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탈착가능한 결합을 위해서 어퍼프레임(1410)에는 로어프레임(1420)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후크(1411a)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별 결합후크(1411a)는 다수의 후크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들 개별 결합후크(1411a)는 후술하는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4개의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1420)에는 개별 결합후크(1411a)가 각각 삽입되어 걸림을 형성하는 고리형상의 결합링(1421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링에 형성된 삽입홀에 결합후크(1411a)가 삽입되면서 걸림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다른 체결수단 또는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어퍼프레임(1410)과 로어프레임(1420)이 서로 체결되면서, 어퍼프레임(1410)과 로어프레임(1420) 사이에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외부 플레이트(1210)와 방전 팁(1100)이 끼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140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방전 팁(1100)은 고전압에 의해 방전하여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전 팁(1100)에 의해, 공기 중에 OH-, O- 등의 음이온 또는 H+ 등의 양이온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전 팁(1100)에는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6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방전 팁(1100)은 직접적으로 방전이 발생시키는 방전 브러시(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방전 브러시(1110)는 다수의 탄소 섬유(carbon fiber)로 구성될 수 있다. 탄소 섬유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직경을 갖는 극세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전압 케이블(1600)을 통해 탄소 섬유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에 의해 공기 중에 이온이 발생될 수 있다.
방전 팁(1100)은 상하방향(U-D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유동방향(F)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400)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방출되는 이온의 확산 효과가 극대화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입자가 균등하게 대전될 수 있다.
한편, 방전 팁(1100)은 팁 홀더(1500)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되며, 방전 팁(1100)은 팁 홀더(1500)를 통해서 견고하게 프레임(1400)에 고정될 수 있다.
방전 팁(1100) 및 팁 홀더(150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레임의 세부 구성>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1000)의 프레임(14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400)은, 전도성 플레이트(1200)와, 방전 팁(1100)의 팁 홀더(1500)를 상측에서 지지하거나 커버하는 역할을 하는 어퍼프레임(141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어퍼프레임(1410)은 어퍼아우터프레임(1411),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 제2 어퍼이너프레임(1413), 및 제3 어퍼이너프레임(1414)을 포함한다.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은 최외곽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전체적으로 4각형상을 갖는 외곽 테두리로서 기능한다.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은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ㄷ자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전도성 플레이트(1200)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플레이트(12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즉, 외부 플레이트(1210)의 상부는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에 의해서 커버된다.
한편,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외부 플레이트(1210)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해당하는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의 내부 공간에는 고전압 케이블(1600) 및 후술하는 케이블 홀더(1800)가 수용된다.
케이블 홀더(1800)가 수용되는 부분에는 케이블 홀더(1800)의 외형에 대응하는 제1 노치(1411d1)가 형성되고, 고전압 케이블의 일단부가 고전압 공급부(2200)에 접속될 수 있도록 고전압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 노치(1411d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은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내부에서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되며,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어퍼아우터프레임(1411)과 마찬가지로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은 하단이 개방되어 있고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ㄷ자 형상의 내부에는 방전 팁(1100)에 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600)이 수용된다.
또한,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에는 후술하는 팁 홀더(1500)의 상측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1412a)가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412a)는 팁 홀더(1500)의 상부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내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결합부(1412a)의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팁 홀더(1500)의 어퍼후크부(152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결합홀(1412b)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결합홀(1412b)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제1 결합부(1412a)의 상측면은 대부분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홀(1412c)을 통해 팁 홀더(1500)에 고정된 방전 팁(1100)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홀(1412c)은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의 양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개방홀(1412c)은 제1 결합부(1412a)의 상면을 소정의 깊이로 커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결합부(1412a)의 방전 팁(1100)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방전 팁(1100)의 방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에 바로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에는 2개의 팁 홀더(1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2개의 제1 결합부(14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결합부(1412a)에는 후단부(1411c)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방전 팁(110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600)이 진행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확장부(1412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부(1412d)를 통해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후단부(1411c)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방전 팁(110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600)은,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결합부(1412a)를 회피하고 우회하여 후단부(1411c)를 향해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확장부(1412d)와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 사이에는 두 고전압 케이블(1600)을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제1 격벽(1412e)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격벽(1412e)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후술하는 제2 격벽(1422e)과 함께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로부터 제1 결합부(1412a)까지 이어지는 내부 공간을 분할하게 된다.
한편, 제2 어퍼이너프레임(1413)은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내부에서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에 나란하게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어퍼이너프레임(1413)은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레이트(12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전된 먼지입자가 직접적으로 내부플레이트(1220)에 고착되는 비율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과 제2 어퍼이너프레임(1413)은 상호간 교대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한편, 제3 어퍼이너프레임(1414)은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과 제2 어퍼이너프레임(1413)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내부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제2 어퍼이너프레임(1413)과 마찬가지로 제3 어퍼이너프레임(1414)은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레이트(12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3 어퍼이너프레임(1414)과 제2 어퍼이너프레임(1413)은 상호간 교차점을 형성하도록 격자형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동일한 격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내부 플레이트(1220)의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고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플레이트(1200)와 팁 홀더(150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로어프레임(1420)은, 로어아우터프레임(1421)과 로어이너프레임(1422)을 포함한다.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은 최외곽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어퍼프레임(1410)의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개구된 하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전도성 플레이트(1200)의 외부 플레이트(1210)는 어퍼아우터프레임(1411)과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로어이너프레임(1422)은 전술한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의 개방된 하면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과 마찬가지로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로어이너프레임(1422)에는 전술한 제1 결합부(1412a)에 대응하여 제2 결합부(1422a)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1422a)에는 후술하는 팁 홀더(1500)의 하측이 결합된다.
제2 결합부(1422a)는 팁 홀더(1500)의 하부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내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2 결합부(1422a)의 하측면에는 후술하는 팁 홀더(1500)의 로어후크부(1530)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2 결합홀(1422b)가 형성된다.
한편,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에 바로 인접해서 배치되는 로어이너프레임(1422)에는 2개의 팁 홀더(15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2개의 제2 결합부(142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의 선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2 결합부(1422a)에는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의 후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방전 팁(110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600)이 진행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2 확장부(1422d)가 형성된다.
제2 확장부(1422d)를 통해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의 후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방전 팁(110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600)은,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의 선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2 결합부(1422a)를 회피하고 우회하여 후단부를 향해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확장부(1422d)와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의 선단부 사이에는 두 고전압 케이블(1600)을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제2 격벽(1422e)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격벽(1422e)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전술한 제1 격벽(1412e)과 함께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의 선단부로부터 제2 결합부(1422a)까지 이어지는 내부 공간을 분할하게 된다.
<방전 팁 및 팁 홀더의 세부 구성>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모듈(1000)의 방전 팁(1100) 및 팁 홀더(15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방전 팁(1100) 및 복수의 팁 홀더(150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개별 방전 팁(1100) 및 팁 홀더(1500)에 대해서 거의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팁 홀더(15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팁 홀더(15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의 팁 홀더(1500)는, 방전 팁(11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과는 별개로 제조되어 방전 팁(11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방전 팁(11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을 금형에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라 팁 홀더(1500)가 별개로 제조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팁 홀더(1500)는, 방전 팁(11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을 지지하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510)을 구비하며, 본체부(1510)는 제1 반체(1511)와 제2 반체(1512)를 포함한다. 제1 반체(1511)와 제2 반체(1512)는, 방전 팁(11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과는 별개로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방전 팁(11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반체(1511)와 제2 반체(1512) 사이에서 끼워진 생태에서 제1 반체(1511)와 제2 반체(1512)에 의해 압박되면서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1 반체(1511)는 고전압 케이블(1600) 및 방전 팁(1100)을 수용하며, 방전 팁(1100)을 지지하는 열수축튜브(1130) 및 고전압 케이블(160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케이블안착홈(1511)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반체(1511)는 고전압 케이블(1600) 및 방전 팁(11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2 반체(1512)보다는 더 큰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1 반체(1511)에는 후술하는 제2 반체(1512)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511a)이 형성되며, 결합홈(1511a)에는 제2 반체(1512)의 결합돌기(1512a)가 삽입된다.
제2 반체(1512)는, 케이블안착홈(1511)이 형성된 제1 반체(1511)의 일측면에 결합하여, 고전압 케이블(1600) 및 방전 팁(11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전압 케이블(1600) 및 방전 팁(1100)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방전 팁(1100)의 위치 고정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반체(1511)를 향하는 제2 반체(1512)의 일측면에는 열수축튜브(113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1512b)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반체(1511)를 향하는 제2 반체(1512)의 일측면에는 제1 반체(1511)로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512a)가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체(1511) 와 제2 반체(1512)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는 각각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어퍼후크부(1520) 및 한 쌍의 로어후크부(1530)가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어퍼후크부(1520)와 한 쌍의 로어후크부(1530)는 각각 방전 팁(1100)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방전 팁(1100)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어퍼후크부(1520)는 본체부(1510)의 상단면(1540)의 최후단 측에 배치되는 후방어퍼후크(1521)와, 본체부(1510)의 최전단 측에 배치되는 전방어퍼후크(1522)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로어후크부(1530)는, 본체부(1510)의 하단면의 최후단에 배치되는 후방로어후크(1531)와, 본체부(1510)의 하단면의 최전단에 배치되는 전방로어후크(1532)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전 팁(1100)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어퍼후크부(1520) 및 한 쌍의 로어후크부(1530)는 각각 전술한 제1 결합홀(1412b) 및 제2 결합홀(1422b)에 체결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방전 팁(1100)이 상단면(1540)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1)는 어퍼후크부(1520)가 상단면(1540)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2)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팁 홀더(1500)는 방전 팁(11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을 금형에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라 팁 홀더(1500)와 방전 팁(1100)이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브러시 형태의 방전 브러시(1110)의 일단부와 고전압 케이블(1600)의 심선(1601)의 일단부를 단자부(1120)를 통해 연결한다. 고전압 케이블(1600)의 심선(1601)의 일단부는 피복(1602)이 벗겨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단자부(1120)는 방전 브러시(1110)의 일단부와 고전압 케이블(1600)의 심선(1601)의 일단부가 상호간 접촉된 상태에서 접점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커버하고, 접점 부분을 압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단자부(1120)를 통해 방전 팁(1100)의 방전 브러시(1110)가 케이블(1600)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방전 브러시(1110)와 단자부(1120)의 접점 부위를 열수축튜브(1130)가 감싸도록 열수축튜브(1130)를 도입한다. 이 때, 열수축튜브(1130)는 케이블(1600)과 단자부(1120)의 접점 부위까지 연장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출압에 의한 방전 브러시(11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수축튜브(1130)는 방전 브러시(1110)과 단자부(1120)의 접점 부위를 지나 방전 브러시(1110)의 하단 일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열수축튜브(1130)의 배치가 완료되면, 열수축튜브(1130)를 가열하여 수축시킨다. 열수축튜브(1130)의 수축에 의해서 방전 브러시(1110)와 단자부(1120)의 접점 부위에 대한 1차적인 기밀 상태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브러시(1110)의 지향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서 케이블(1600)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킨다.
도 12(c) 에는 방전 브러시(1110)가 수평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이 되도록 벤딩부(1610)가 절곡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품의 사양 및 요구되는 지향 각도에 따라서 벤딩부(1610)의 절곡 각도는 조정될 수 있다.
특히, 5개의 방전 팁(1100) 중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방전 브러시(1110)를 제외한 나머지를 내측을 향하도록 밴딩부(16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방전 팁(1100)의 방전 브러시(1110)에 대한 지향 각도 설정이 완료되면, 인서트 사출을 실행하기 위해서 방전 브러시(1110)의 지향 각도 설정이 완료된 상태로 방전 브러시(1110), 단자부(1120), 및 케이블(1600)을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 때, 사출압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방전 브러시(1110)는 직접적으로 사출압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열수축튜브(11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서트 사출이 완료되면, 열수축튜브(1130)는 일부는 팁 홀더(1500)의 상단면(1540)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팁 홀더(150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브러시(1110)와 단자부(1120)의 접점 부위는 금형의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고, 케이블(1600)과 단자부(1120)의 접점 부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형의 캐비티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형의 캐비티로의 배치가 완료되면, 인서트 사출이 진행되고 팁 홀더(1500)가 형성된다.
사출이 완료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600)과 단자부(1120)의 접점 부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팁 홀더(1500)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이들 접점 부위에 대한 2차적인 기밀 상태가 완료된다.
따라서 인서트 사출을 통한 제조에 의해서 개별 방전 브러시(1110), 케이블(1600), 및 팁 홀더(150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의 가공 편차가 종래에 비해서 현저히 줄어들 수 있으며, 방전 팁(1100)과 케이블(1600)의 접점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전 브러시(1110)와 케이블(1600)의 접점이 인서트 사출로 형성되는 팁 홀더(1500)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 등으로 인해 방전 팁(1100)과 케이블(1600) 사이의 단선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게 된다.
<고전압 케이블의 연결 구조>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개별 방전 팁(1100)의 배치 구조 및 개별 방전 팁(1100)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1600)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총 9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대전공간 중에 5개의 방전 팁(1100) 및 팁 홀더(1500)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방전 팁(1100) 및 팁 홀더(1500)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5개의 방전 팁(1100)을 구별하기 위해서 제1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10, 1120, 1130, 1140, 1150)으로 지칭하고, 5개의 팁 홀더(1500)를 구별하기 위해서 제1 팁 홀더 내지 제5 팁 홀더(1510, 1520, 1530, 1540, 155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10, 1120, 1130, 1140, 1150)은 각각 제1 팁 홀더 내지 제5 팁 홀더(1510, 1520, 1530, 1540, 1550)에 지지된 상태에서 동일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때, 가장 중앙에 배치되는 제3 방전 팁(1130)로부터 다른 방전 팁(1110, 1120, 1140, 1150)까지의 거리는 각각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방전 팁(1110, 1120, 1130, 1140, 1150)으로부터 이온이 고르게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고, 먼지입자에 대한 대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10, 1120, 1130, 1140, 1150)에는 각각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이 연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방전 팁(1110, 1120, 1130, 1140, 1150)과 개별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 사이의 접점 부위는 개별 팁 홀더(1510, 1520, 1530, 1540, 1550) 내부에서 보호된다.
이 때,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이 개별적으로 전술한 고전압공급부(2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별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면, 개별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을 지지하고 보고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확보되어야 하고, 고전압공급부(2200)에 접속 단자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요구되는 케이블의 수량 또는 길이가 증가되고,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프레임(1400)의 사이즈가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는 고전압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1800)를 구비한다.
도 1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800)는 좌우방향 폭이 상하방향 높이 및 전후방향 두께보다는 더 크게 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 케이블 홀더(1800)의 내부에는 일단부가 전술한 고전압공급부(2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케이블(1610)이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로 분기되는 케이블 연결구조가 매립된다.
즉, 케이블 홀더(1800)는 이와 같인 메인 케이블(1610)과 다수의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 사이의 분기점 또는 접점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일단부가 고전압공급부(2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케이블(1610)의 타단부는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면(1804)를 관통하여 케이블 홀더(180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블(1610)의 타단부는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면(1804) 상부 측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메인 케이블(1610)만이 고전압공급부(2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고전압공급부(2200)의 접속부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홀더(1800)의 내부로 연장된 메인 케이블(1610)의 타단부는,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로 분기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621, 1622, 1623)은 케이블 홀더(1800)의 우측면(1803)을 관통하여 케이블 홀더(1800)의 외부로 돌출되고, 각각 제1 방전 팁 내지 제3 방전 팁(1110, 1120, 113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기준으로 케이블 홀더(18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 방전 팁 내지 제3 방전 팁(1110, 1120, 113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621, 1622, 1623)은 케이블 홀더(1800)의 우측면(1803)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반대로,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4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40, 115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4 케이블 및 제5 케이블(1624, 1625)은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면(1804)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 홀더(1800)의 전후방향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621, 1622, 1623)이 돌출되는 위치는 케이블 홀더(1800)의 우측면(1803)에 상하방향(U-D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메인 케이블(1610), 제4 케이블 및 제5 케이블(1624, 1625)이 돌출되는 위치는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면(1804)에 상하방향(U-D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면(1804) 및 우측면(1803)에 각각 동일한 개수의 케이블들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홀더(1800)의 전후방향 높이가 최소화 및 최적화되고, 이를 통해 대전모듈(1000)의 상하방향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기준으로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에 제3 방전 팁 내지 제5 방전 팁(1130, 1140, 115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케이블 홀더(1800)의 좌측면(1804)을 통해서 제3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623, 1624, 1625)이 연결되도록 하고, 케이블 홀더(1800)의 우측면(1803)을 통해서 메인 케이블(1610)과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1621, 1622)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케이블 홀더(1800)는, 메인 케이블(1610)이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로 분기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메인 케이블(1610)이 제1 케이블 내지 제5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로 분기되는 구조 및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하며, 상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블 홀더(1800)의 상면(1801)과 하면(1802)은 각각 어퍼아우터프레임(1411)과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에 면접촉되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케이블(1610)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케이블 홀더(1800)는 고전압공급부(2200)가 수용되는 커버모듈(2000)에 인접한 위치로서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와 로어아우터프레임(1421)의 선단부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1800)의 상면(1801)에는, 케이블 홀더(1800)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1806)이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에는 고정돌기(1806)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는 단일 케이블 홀더(1800)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 홀더(1810, 1820)가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제3 방전 팁(1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케이블 홀더(1810)와 제2 케이블 홀더(18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1800)와 유사하게 제1 케이블 홀더(1810)와 제2 케이블 홀더(1820)는 각각 내부에 복수의 케이블들이 분기되는 케이블 연결 구조가 매립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1800)와 유사하게 제1 케이블 홀더(1810)와 제2 케이블 홀더(1820)는 각각의 측면을 통해서 케이블들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1800)와는 달리 제1 케이블 홀더(1810)와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측면을 통해서 연결되는 케이블들의 개수가 더 작게 유지된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케이블 홀더(181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메인 케이블(1610)이 연결된다.
메인 케이블(1610)은 제1 케이블 홀더(1810)의 내부에서 분기되고, 제1 케이블 홀더(1810)의 좌측면(1824)을 통해 제4 케이블(1624) 및 제5 케이블(1625)이 상하방향(U-D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고, 제1 케이블 홀더(1810)의 우측면(1813)을 통해서 중간 케이블(1630)이 돌출되어 연장된다.
한편, 제1 케이블 홀더(1810)의 우측면(1813)으로부터 돌출된 중간 케이블(1630)은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좌측면(1824)을 통과해서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내부로 연장된 중간 케이블(1630)은 제1 케이블 내지 제3 케이블(1621, 1622, 1623)로 분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된 케이블 중에서 제1 케이블(1621) 및 제2 케이블(1622)은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우측면(1823)으로부터 상하방향(U-D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연장되며, 제3 케이블(1622)은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좌측면(1824)으로부터 상하방향(U-D방향)으로 중간 케이블(1630)과 나란하게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케이블 홀더(1810)와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들의 개수를 2개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블 홀더(1810)와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더 낮게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전모듈(1000)의 상하방향 높이가 추가적으로 더 낮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케이블 홀더(1810)의 상면(1811)과 제2 케이블 홀더(1820)의 상면(1821)에는, 이들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들(1816, 1826)이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의 선단부(1411d)에는 고정돌기(1806)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팁 홀더(1500) 및 고전압 케이블(1600)이 프레임(1400)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서 케이블 홀더(1800)를 통한 고전압 케이블(1600)의 정렬이 완료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팁 홀더(1510, 1520, 1530, 1540, 1510), 케이블 홀더(1800), 메인 케이블(1610) 및 개별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을 각각의 위치에 맞게 정렬한다.
정렬이 완료되면, 전도성 플레이트(1200)가 로어프레임(1420)에 배치된 상태에서, 개별 팁 홀더(1500)의 로어후크부(1530)를 로어프레임(1420)의 제2 결합부(1422a)의 제2 결합홀(1422b)로 삽입하여 로어후크부(1530)를 체결시킨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후크부(1530)의 체결이 완료되면, 케이블 홀더(1800), 메인 케이블(1610) 및 개별 케이블(1621, 1622, 1623, 1624, 1625)의 위치를 정렬한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프레임(1410)을 로어프레임(142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어퍼프레임(1410)의 이동 및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어퍼프레임(1410)을 로어프레임(1420)을 향해 하방으로 이동시켜, 어퍼프레임(1410)과 로어프레임(1420)을 결합한다.
이 때, 로어프레임(1420)의 체결후크(1421a)는 어퍼프레임(1410)의 체결홀(1411a)에 삽입되면서, 로어프레임(1420)의 로어아우터프레임(1421)과 어퍼프레임(1410)의 어퍼아우터프레임(1411)이 상호간 체결된다.
또한, 개별 팁 홀더(1510, 1520, 1530, 1540, 1550)의 어퍼후크부(1520)는 어퍼프레임(1410)의 제1 결합홀(1412b)에 삽입되면서, 로어프레임(1420)의 로어이너프레임(1422)과 어퍼프레임(1410)의 제1 어퍼이너프레임(1412)가 상호간 체결된다.
즉, 개별 팁 홀더(1510, 1520, 1530, 1540, 1550)를 통해서 어퍼프레임(1410)의 내측과 로어프레임(1420)의 내측이 상호간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로어프레임(1420)과 어퍼프레임(1410) 사이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를 통해 로어프레임(1420)과 어퍼프레임(1410)의 강도가 보강됨과 동시에 부품수가 절감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어프레임(1420)과 어퍼프레임(1410) 사이의 체결이 완료되면, 어퍼프레임(1410)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1411b)에 필터 커버모듈(2000)이 부착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10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000: 대전모듈
1100: 방전 팁 1200: 전도성 플레이트
1400: 프레임 1500: 팁홀더
1600: 고전압 케이블 1800: 케이블 홀더
2000: 커버모듈 2100: 커버부
2200: 고전압공급부

Claims (20)

  1. 유동하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이온을 생성하는 대전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로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이온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팁;
    상기 방전 팁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팁 홀더;
    상기 방전 팁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도성 플레이트; 및
    외체를 형성하고, 상기 팁 홀더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과,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팁 홀더는 상기 어퍼프레임과 상기 로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팁 홀더의 상측은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팁 홀더의 하측은 상기 로어프레임에 결합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팁 홀더의 상측은 상기 어퍼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팁 홀더의 하측은 상기 로어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3. 제2 항에서,
    상기 팁 홀더는,
    상단면이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면이 상기 로어프레임에 결합되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 체결되는 한 쌍의 어퍼후크;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로어프레임에 체결되는 한 쌍의 로어후크;
    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4. 제3 항에서,
    상기 한 쌍의 어퍼후크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의 전단에 배치되는 전방어퍼후크;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방어퍼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 팁은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 사이에서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5. 제4 항에서,
    상기 방전 팁이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가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크게 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6. 제4 항에서,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는,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7. 제4 항에서,
    상기 한 쌍의 로어후크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면의 전단에 배치되는 전방로어후크;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방로어후크;
    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8. 제7 항에서,
    상기 전방로어후크와 상기 후방로어후크는, 상기 로어프레임에 결합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9. 제7 항에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전방어퍼후크와 상기 후방어퍼후크가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홀 사이에는 상기 방전 팁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0. 제9 항에서,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전방로어후크와 상기 후방로어후크가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결합홀을 구비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1. 제3 항에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2. 제11 항에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을 감싸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팁 홀더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3. 제12 항에서,
    상기 튜브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4. 제11 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각각 별개로 제조되는 제1 반체와 제2 반체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반체와 상기 제2 반체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반체와 상기 제2 반체에 의해서 압박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5. 제14 항에서,
    상기 제2 반체를 향하는 상기 제1 반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안착홈에 형성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6. 제11 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방전 팁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7. 제11 항에서,
    상기 대전모듈은, 상기 방전 팁에 공급될 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일단부가 상기 고전압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의 메인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8. 제17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 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방전 팁 및 제2 방전 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상기 제1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방전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단일의 메인 케이블의 타단부가 분기되어 형성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19. 제18 항에서,
    상기 대전모듈은, 내부에 상기 단일의 메인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로 분기되는 분기점이 매립되는 케이블 홀더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20. 제19 항에서,
    상기 대전모듈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커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공급부는 상기 커버모듈에 구비되는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1020210014208A 2020-07-30 2021-02-01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10244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360837.7A CN114054207B (zh) 2020-07-30 2021-04-02 电集尘用起电装置
US17/313,518 US11980897B2 (en) 2020-07-30 2021-05-06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DE102021208220.3A DE102021208220A1 (de) 2020-07-30 2021-07-29 Elektrifizier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s Staubsammel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89 2020-07-30
KR1020200095187 2020-07-30
KR20200095189 2020-07-30
KR20200095187 2020-07-30
KR1020200131337 2020-10-12
KR20200131337 2020-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97A KR20220015297A (ko) 2022-02-08
KR102445823B1 true KR102445823B1 (ko) 2022-09-21

Family

ID=8025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08A KR102445823B1 (ko) 2020-07-30 2021-02-01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659A (ja) 2012-08-22 2014-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装置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81A (ko) * 2002-01-30 2003-08-09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케이블의 케이블 절연체의 표면 처리 방법
KR102636066B1 (ko) 2018-07-20 2024-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102599228B1 (ko) * 2018-12-28 2023-11-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659A (ja) 2012-08-22 2014-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装置及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97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066B1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CN110732410B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包括其的车辆用空调机
KR102599228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US20220032321A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KR102445823B1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102495017B1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CN114054207B (zh) 电集尘用起电装置
KR102495016B1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KR102496497B1 (ko) 전기 집진용 대전장치
US20220032322A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US20220032319A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US20210252950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220023883A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830182B1 (ko) 집진장치 및 공기조화기
KR20240048598A (ko) 전기 집진기
KR20230059422A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장치
EP3760935A1 (en) Air conditioner
KR20200107430A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
KR20230129098A (ko) 멀티채널 하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
KR20200007226A (ko) 전기 집진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