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217A -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217A
KR20220015217A KR1020200095468A KR20200095468A KR20220015217A KR 20220015217 A KR20220015217 A KR 20220015217A KR 1020200095468 A KR1020200095468 A KR 1020200095468A KR 20200095468 A KR20200095468 A KR 20200095468A KR 20220015217 A KR20220015217 A KR 2022001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location
external devic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화
박무석
윤병철
은정휘
조혁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217A/ko
Priority to PCT/KR2021/007632 priority patent/WO2022025426A1/ko
Publication of KR2022001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공간(a place) 상의 복수의 외부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외부 장치의 위치 및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상에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LOCATION OF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IoT 시스템 내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들과의 통신을 기반으로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은, 로봇 청소기의 먼지 센서를 통해 집 안 공간의 미세먼지 분포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는 집 안 공간의 미세먼지 분포 정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다만, 공기청정기의 역할은 사용자가 실제로 흡입하는 미세먼지나 공기 중 이물질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량적인 공기 중 미세먼지/이물질의 농도만 고려하여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여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추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실시간 위치에 따라 정의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공간(a place) 상의 복수의 외부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이 위치한 구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한 제1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에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의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2 스코어 및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위치한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3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의 오염 농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2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오염원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3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구역이 둘 이상 식별된 경우, 상기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각각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역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중 상기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공간 상의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사용자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 상의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한 제1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에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의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2 스코어 및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위치한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3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의 오염 농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2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오염원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3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구역이 둘 이상 식별된 경우, 상기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각각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역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중 상기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실제 생활 패턴이 반영된 공기청정기의 최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미 구축된 IoT 환경 내에서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위치 및 오염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종합적으로 반영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가 IoT 시스템 내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들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전자 장치가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스코어를 산출하여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전자 장치가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제2 스코어를 산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a 내지 도 8c는 전자 장치가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3 스코어를 산출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전자 장치가 산출된 제1 내지 제3 스코어를 기반으로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전자 장치가 대상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다른 공간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는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고려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 그리고
도 13은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이 공기청정기의 유무 및 새로운 공기청정기의 추가 여부에 따라 추천 위치를 식별/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가 IoT 시스템 내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추천 위치는, 기존에 IoT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던 공기청정기에 대한 추천 위치 또는 새롭게 설치되어 IoT 시스템에 추가될 공기청정기를 위한 추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로 구현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10)의 집(20) 안에 있는 에어컨(200-1), TV(200-2), 전등(200-3), 냉장고(200-4) 등 다양한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10)의 스마트폰(200-5)과도 연결될 수 있다. 이렇듯 도 1에 도시된 외부 장치들(200-1, 2, 3, 4, 5) 및 서버(100)는 종래의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의 일 태양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집(20) 안의 외부 장치들(200-1, 2, 3, 4)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20)이 복수의 구역(거실, 방, 주방)으로 구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에는 구역 별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200-5)을 통해 에어컨(200-1), TV(200-2), 전등(200-3), 냉장고(200-4) 각각이 위치한 구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200-5)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결과, 전자 장치(100)로부터 외부 장치들(200-1, 2, 3, 4)이 위치한 구역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컨(200-1)이 사용자(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10)의 위치를 에어컨(200-1)이 위치한 거실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등(200-3)이 켜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10)의 위치를 전등(200-3)이 위치한 방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200-5)과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200-5)의 위치를 식별한 뒤, 스마트폰(200-5)이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렇듯,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들(200-1, 2, 3, 4, 5)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식별된 사용자(10)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0)는 집(20) 안에 설치될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200-5) 등을 통해 추천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통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단말 장치로 구현되거나, 세탁기, 냉장고, TV 등 가전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시스템을 위해 독립적으로 구현/설계된 제어 장치 내지는 중계 장치일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IoT 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Secur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등의 통신 규약(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ex.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상술한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또는 네트워크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방식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모리(120)는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등으로 구성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성된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에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외부 장치들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웹 주소 내지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본 개시의 후술할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의 식별 번호, 외부 장치의 위치, 외부 장치의 사용자 등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IoT 시스템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place)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공간은, 사용자의 집, 회사 등 다양한 장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공간 상의 복수의 외부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20)에는 공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에는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이 복수의 구역 중 어떤 구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구역은, 공간을 용도 기준 또는 면적 기준으로 나눈 개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공간이 집인 경우, 복수의 구역은 용도 기준으로 구분된 거실, 주방, 방, 화장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및 각 구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사용자 단말 장치 등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공간을 나타내는 맵(map)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120)에 저장된 경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의 맵 상 좌표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관련 내용은 도 4a의 실시 예와 함께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 내에 포함된 각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에어컨, TV, 냉장고 등 다양한 가전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센싱 목적을 위한 센서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센서는 인체 감지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 내지는 ToF(Time of Flight)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센서는 레이더/라이더 센서로 구현되거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밖에도, 센서는 인 감지를 위해 이용되고 있는 종래 개시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사용자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의 위치 및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120)에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구역 중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이 위치한 구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에어컨(200-1)의 위치가 공간 중 일 구역인 거실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컨(200-1)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10)가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에어컨(200-1)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10)가 감지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10)의 위치가 에어컨(200-1)이 위치한 거실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에어컨(200-1)을 통해 사용자(1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10)의 위치가 거실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식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IoT 시스템에 포함되고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도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공간 내 IoT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가 여러 명 등록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일 사용자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게임 플레이, 영상 컨텐츠 재생, 웹 서핑, 통화, 영상 통화 등 기설정된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중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물리적으로 근접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도 4a 내지 도 4c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들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메모리(120)에는 공간에 대한 맵(400)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이미지 센서 내지는 뎁스 센서를 구비한 외부 장치(ex. 로봇 청소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로봇 청소기(200-6)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 또는 맵 정보를 기반으로, 맵(400)을 생성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맵(400)은 복수의 구역들(거실(410), 방(420), 주방(430), 화장실(44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청소기(200-6)는 공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라이다 센서 내지는 3D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해당 공간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200-6)는 구조에 대한 정보 또는 구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맵(400)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조에 대한 정보는, 공간 내에 존재하는 구조물 또는 사물의 모양/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로봇 청소기(200-6)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 및/또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바닥에 구분선 내지는 턱이 있는 지점, 이동 가능한 폭이 좁아지는 지점, 벽이 있는 지점, 벽이 끝나는 지점, 문이 있는 지점 등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200-6)는 식별된 지점을 구역 간의 경계로 하여 맵(400) 상의 각 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구분된 맵(400) 상의 각 구역의 명칭(ex. 거실, 방, 주방 등)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5)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맵(4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5)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5)는 맵(400)을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사용자가 ㄷ디스플레이된 맵(400) 상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한 명칭을 설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도 있다.
로봇 청소기(200-6)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및 해당 외부 장치의 맵(400) 상 위치(ex. 맵(400) 상 좌표)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200-6)는 촬영된 이미지를 객체를 식별하도록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여 에어컨(200-1), TV(200-2) 등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200-6)는 라이다 센서 등을 통해 로봇 청소기(200-6)의 현 위치(: 맵(400) 내의 위치)로부터 에어컨(200-1) 또는 TV(200-2)의 방향 및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200-6)는 에어컨(200-1) 또는 TV(200-2)의 맵(400) 상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된 맵(400)에는 에어컨(200-1) 및 TV(200-2)의 위치(: 좌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5)를 통해 중계 장치(200-7)의 맵(400) 상 위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결과, 메모리(120)에 저장된 맵(400)에는 중계 장치(200-7)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계 장치(200-7)는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들(200-1, 2 등) 간의 통신(ex. Wifi 등)을 중계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중계 장치(200-7)와 외부 장치들(200-1, 2) 간에 주고받는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맵(400) 상 중계 장치(200-7)의 위치를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에어컨(200-1) 및 TV(200-2) 각각의 맵(400) 상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중계 장치(200-7)로부터 외부 장치들(200-1, 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중계 장치(200-7)와 에어컨(200-1) 간의 거리 및 중계 장치(200-7)와 TV(200-2) 간의 거리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거리들을 이용하여 맵(400) 상 중계 장치(200-7)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에어컨(200-1)의 맵(400) 상 위치, TV(200-2)의 맵(400) 상 위치 및 식별된 거리들을 이용한 삼각 측량법을 통해 중계 장치(200-7)의 맵(400) 상 위치(ex. 맵(400) 상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에어컨(200-1) 및 TV(200-2) 외에 다른 외부 장치와 중계 장치 간에 주고 받는 신호의 세기를 추가로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5)와 외부 장치들(예를 들어, TV(200-2) 및 중계 장치(200-6) 간에 주고 받는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5)의 맵(400) 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맵(400) 상 복수의 구역(410, 420, 430, 440) 중 사용자 단말 장치(200-5)가 위치한 구역이 어디인지 식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5)는 TV(20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ex. Wifi direct 또는 블루투스 등)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중계 장치(200-6)로부터 수신된 신호(ex. Wifi)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TV(200-2)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5) 간의 거리 및 중계 장치(200-6)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5) 간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거리들, TV(200-2)의 맵(400) 상 위치 및 중계 장치(200-6)의 맵(400) 상 위치를 이용하여 맵(400) 상 사용자 단말 장치(200-5)의 위치(451)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5)의 위치(451)가 거실(410) 내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5)가 위치한 거실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4b 내지 도 4c와 달리,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5)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통해 획득된 GPS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5)의 맵(400) 상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내지는 중계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5) 간에 주고 받는 LTE 또는 5G 통신 기반의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맵(400) 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맵(400) 상 구역 별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5)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5)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인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5)가 거실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시스템에 포함되고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도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고, 더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도 기설정된 동작(ex. 게임 플레이, 영상 컨텐츠 재생, 웹 서핑, 통화, 영상 통화 등)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고, 더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식별될 수 없는 경우(ex. 맵(400)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는 외부 장치들의 맵(400) 상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등),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공간 내 IoT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가 여러 명 등록된 경우라면,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위치가 식별된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는,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on/off)에 대한 정보, 외부 장치가 수행하고 있는 동작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내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5a 내지 도 5c는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거실에 위치한 에어컨(200-1)으로부터 에어컨(200-1)의 전원 상태(on/off)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200-1)의 전원이 켜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에어컨(200-1)이 위치한 거실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거실에 위치한 TV(200-2)로부터 TV(200-2)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200-1)가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 제공되는 컨텐츠의 속성(ex. 종류) 등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TV(200-2)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0)는 TV(200-2)가 컨텐츠를 재생 중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TV(200-2)는 사용자가 TV(200-2)가 위치한 거실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종류는 광고가 아닌 뉴스, 영화, 드라마 등 기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방에 위치한 전등(200-3)으로부터 전등(200-3)의 전원 상태(on/off)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등(200-3)의 전원이 켜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등(200-3)이 위치한 방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렇듯 도 3, 도 4a 내지 도 4c, 도 5a 내지 도 5c를 걸쳐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가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공간 내 복수의 구역 각각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을 식별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생활 패턴 정보는, 공간 내 복수의 구역 각각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상에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공간 내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일정 기간(ex. 일주일, 한달 등) 동안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한 결과, 공간 내 복수의 구역(거실, 방, 주방)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일별) 평균적으로 위치한 시간을 포함하는 생활 패턴 정보(610)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생활 패턴 정보(610)에 따라 복수의 구역들 별로 제1 스코어를 산정하고, 산출된 제1 스코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역을 추천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생활 패턴 정보(610)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구역 별 위치 시간을 각 구역 별 장소 가중치에 곱하여 구역들 별 제1 스코어(거실: 25.6, 방: 46.8, 주방: 7.6)를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장소 가중치는 구역 별로 기설정된 수치일 수 있으며, 도 6의 경우, 거실의 장소 가중치가 8로 설정되고, 방의 장소 가중치가 6으로 설정되고, 주방의 장소 가중치가 4로 설정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장소 가중치는 생활 패턴 정보(610)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생활 패턴 정보(610)에 따르면 사용자가 방에 위치한 시간이 가장 길기 때문에, 방의 장소 가중치는 더 높아지고 거실의 장소 가중치는 더 낮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구역 별 장소 가중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산정된 제1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역은 방이므로, 프로세서(130)는 방을 추천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비록 도 6의 경우 기설정된 장소 가중치의 개념이 적용되었으나, 프로세서(130)는 장소 가중치의 개념을 적용하지 않은 채 생활 패턴 정보(610)만 이용하여 제1 스코어를 산정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앞서 산출된 제1 스코어에, 복수의 구역 각각의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2 스코어 및 복수의 구역 각각에 위치한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3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전자 장치가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제2 스코어를 산출하여 이용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공기의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컨(200-1)으로부터 감지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공기의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200-8)로부터 감지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공기의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200-9)로부터 감지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에어컨(200-1)이 위치한 거실, 공기청정기(200-8)가 위치한 방, 공기질 센싱 장치(200-9)가 위치한 주방 각각의 오염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구역 별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들이 위치한 각 구역에 대한 제2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7b의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710)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거실, 방, 주방 각각에 대한 오염 농도를 8, 4, 15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구역 별 오염 농도에 구역 별 장소 가중치를 적용하여, 구역 별 제2 스코어(거실: 64, 방: 24, 주방: 60)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전자 장치가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3 스코어를 산출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원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기의) 오염원에 대응될 수 있는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오븐, 인덕션, 로봇 청소기,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창문(또는 창문 개폐 장치), 커튼 개폐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거실에 위치한 로봇 청소기(200-6)로부터 로봇 청소기(200-6)가 청소를 수행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5) 또는 리모컨 등으로부터 거실 내 창문(200-10)이 열려있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창문(200-1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5) 또는 다른 리모컨의 제어에 의해 창문(200-1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창문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이동에 따라) 방에 위치한 로봇 청소기(200-6)로부터 청소를 수행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주방에 위치한 인덕션(200-11)으로부터 인덕션이 조리를 수행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위치한 각 구역에 대한 제3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도 8b와 같이 오염원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810)를 획득하고, 오염원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3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b의 제3 스코어 정보(820)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구역 별로 적어도 하나의 오염원의 동작 시간을 모두 더한 뒤, 장소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3 스코어(거실: 15.2, 방: 3, 주방: 4.8)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거실의 경우, 프로세서(130)는 거실에서 로봇 청소기(200-6)가 동작한 시간(: 1.2시간)에 거실의 창문이 열려 있던 시간(: 0.7시간)을 더한 뒤 장소 가중치 8을 곱하여 제3 스코어(: 15.2)를 산출했다.
다만, 비록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특정 구역에 공기 청정기가 이미 위치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공기청정기가 위치한 구역의 제3 스코어를 산출함에 있어, 해당 구역 내 오염원의 동작 시간에서 공기청정기의 동작 시간을 차감한 뒤 장소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도 8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오염원 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동작 시간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오염원의 종류가 다른 경우, 설령 동일한 시간 동안 동작하더라도 오염 농도에 기여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 고려된 것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오염원의 종류 별로 가중치가 다르게 설정된 결과, 로봇 청소기(200-6)의 가중치는 1, 창문(200-10)의 가중치는 0.5, 인덕션(200-11)의 가중치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c의 제3 스코어 정보(820')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각 오염원의 동작 시간에 각 오염원의 종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c에서, 거실의 경우, 프로세서(130)는 거실에서 로봇 청소기(200-6)가 동작한 시간(: 1.2시간)에 로봇 청소기(200-6)의 가중치(: 1)를 곱한 값에 거실의 창문(200-10)이 열려 있던 시간(: 0.7시간)에 창문(200-10)의 가중치(: 0.5)를 곱한 값을 더하였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더해진 값에 장소가중치(8)를 곱하여 제3 스코어(: 12.4)를 산출했다.
도 9는 전자 장치가 산출된 제1 내지 제3 스코어를 기반으로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생활 패턴에 따른 제1 스코어, 오염 농도에 따른 제2 스코어, 오염원에 따른 제3 스코어는 각각 그 중요도가 다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9에서 정보의 종류에 따른 가중치에 대한 정보(910)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스코어에 대한 가중치를 8로 설정하고, 제2 스코어에 대한 가중치를 6으로 설정하고, 제3 스코어에 대한 가중치를 4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각 스코어 별로 설정된 가중치를 곱한 뒤 모두 합산한 결과, 도 9와 같이 각 구역에 대한 합산된 스코어(거실: 638.4, 방: 592.8, 주방: 459.2)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합산 스코어가 가장 높은 거실을 향후 설치될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거실을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공기청정기의 새로운 추천 위치로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추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거실이 추천 위치라는 점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9에서 프로세서(130)는 제1 스코어, 제2 스코어 및 제3 스코어를 모두 이용하여 합산 스코어를 산출하였으나, 제1 스코어 및 제2 스코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제1 스코어 및 제3 스코어를 이용하는 실시 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구역 별 합산 스코어에 따라 추천 위치를 식별함에 있어, 오차 범위가 기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산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역과 합산 스코어가 두 번째로 높은 구역 간의 합산 스코어 차이가 오차 범위 내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합산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역을 곧바로 추천 위치로 식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듯 공간 내 복수의 구역 중 합산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역과 합산 스코어의 차이가 오차 범위 내인 구역이 하나 이상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합산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역 및 합산 스코어가 오차 범위 내인 구역을 모두 추천 위치에 대한 후보 구역들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합산 스코어에 대한 오차 범위가 50인 경우, 거실의 합산 스코어(: 638.4) 및 방의 합산 스코어(: 592.8) 간의 차이가 50보다 작으므로, 프로세서(130)는 거실 및 방을 모두 추천 위치에 대한 후보 구역들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후보 구역들 전부를 추천 위치들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다른 복수의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후보 구역들 중 단 하나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도 10은 전자 장치가 대상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다른 공간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거실 및 방이 후보 구역들로 판단된 상황을 전제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외부 장치들이 위치한 공간(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다른 공간들(21, 22, 23, 24)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집(20)의 사용자(10)와 근접한 주소지(ex. 동일한 아파트)에 주거하는 다른 사용자의 IoT 시스템에 포함된 외부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공기 청정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 및 다른 사용자들 각각의 IoT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는, 각기 별도의 사용자에 대한 IoT 정보로 등록되는 한편, 메모리(12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각기 다른 계정으로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다른 사용자의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구역들 각각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역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기반으로, 후보 구역들 중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간들(21, 22, 23, 24) 내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고려했을 때, 공기청정기가 거실에 설치된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프로세서(130)는 후보 구역들인 거실 및 방 중 거실을 단 하나의 추천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 등을 통해 거실이 추천 위치라는 점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해서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일 공간 내에 위치하고 IoT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 일 수 있다.
본 제어 방법은, 공간 상의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사용자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10). 여기서, 외부 장치의 센서는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상의 외부 장치의 위치 및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120). 구체적으로,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중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공간 내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공간 내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제어 방법에 있어, 이렇듯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상술한 실시 예들은 일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는 도 12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제어 방법은,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30). 구체적으로,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각각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을 식별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상에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140).
이 경우, 획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한 제1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스코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산출된 제1 스코어에 복수의 구역 각각의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2 스코어 및 복수의 구역 각각에 위치한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3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제어 방법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의 오염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제2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원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 중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제3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구역이 둘 이상 식별된 경우, 본 제어 방법은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획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구역들 각각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역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기반으로, 후보 구역들 중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역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고려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제어 방법은,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210).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S1210 - Y), 감지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220). 구체적인 예로, 공간 내 복수의 구역 중 사용자를 감지한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S12120 - N),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 중인지 식별할 수 있다(S1230).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가 게임 플레이, 컨텐츠 재생 등의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 중인 경우(S1230 - Y),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240).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GPS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판단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250). 즉,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공간 내 복수의 구역 중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 중이지 않은 경우(S1230 - N), 사용자 단말 장치 외에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 중인 외부 장치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260). 이를 위해,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TV, 에어컨, 전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 중인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S1260 - Y), 해당 외부 장치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270). 즉, 공간 내 복수의 구역 중 해당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TV가 드라마나 영화 등의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TV가 위치하는 구역에 사용자가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등이 켜진 경우, 전등이 위치하는 구역에 사용자가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에어컨이 켜진 경우, 에어컨이 위치하는 구역에 사용자가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내에 기 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있는지 여부 및 공기청정기가 추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추천 위치의 식별 및 제공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3은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이 공기청정기의 유무 및 새로운 공기청정기의 추가 여부에 따라 추천 위치를 식별/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제어 방법은, 공간(: 사용자의 집) 안에 기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3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에 사용자의 집에 대한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공기청정기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기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있는 경우(S1310 - Y), 도 11의 실시 예에 따라 추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320).
그리고, 식별된 추천 위치에 기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이미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13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 기저장된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외부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기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위치를 식별된 추천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식별된 추천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S1330 - N), 식별된 추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S1340). 이 경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기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위치 이동이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추천 위치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반면, 기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없는 경우(S1310 - N) 또는 기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있으나 식별된 추천 위치에 이미 해당 공기청정기가 위치한 경우(S1310 - Y, S1320, S1330 - Y), 새로운 공기청정기가 추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1350).
구체적으로, IoT 시스템에 새로운 공기청정기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전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 등을 통해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새로운 공기청정기의 추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새로운 공기청정기가 추가되는 경우(S1350 - Y), 역시 도 11의 실시 예를 이용하여 추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360). 다만, 만약 S1330 단계에서 이미 적어도 하나의 추천 위치가 식별된 경우라면, 이미 식별된 추천 위치를 제외한 다른 추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추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S1370). 이때,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새로운 공기청정기의 설치를 위한 추천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한 제어 방법은, 도 2를 통해 도시 및 설명한 전자 장치(100)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공간(a place) 상의 복수의 외부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각각이 위치한 구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한 제1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에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의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2 스코어 및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위치한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3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의 오염 농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2 스코어를 산출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오염원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3 스코어를 산출하는, 전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구역이 둘 이상 식별된 경우, 상기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각각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역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중 상기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공간 상의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사용자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 상의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상에서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간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생활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한 제1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제1 스코어에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의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2 스코어 및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위치한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에 대해 산출된 제3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오염 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염 농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의 오염 농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오염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2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오염원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한 구역에 대한 상기 제3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구역이 둘 이상 식별된 경우, 상기 공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청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각각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역들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기청정기의 수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구역들 중 상기 추천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95468A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5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468A KR20220015217A (ko)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07632 WO2022025426A1 (ko) 2020-07-30 2021-06-17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468A KR20220015217A (ko)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17A true KR20220015217A (ko) 2022-02-08

Family

ID=8003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468A KR20220015217A (ko)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5217A (ko)
WO (1) WO20220254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5617A (ko) * 2011-06-07 2012-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JP2016142489A (ja) * 2015-02-04 2016-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監視装置及び空気清浄機管理システム
EP3091300B1 (en) * 2015-03-27 2021-05-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air conditioner, and wearable terminal
KR102574860B1 (ko) * 2017-01-03 2023-09-06 코웨이 주식회사 생활 패턴을 이용한 로봇 청정기 제어 방법
KR102286137B1 (ko) * 2019-07-22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426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003B2 (en)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for depth determination
US117211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tegorizing motion events
US10008003B2 (en) Simulating an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construct a lookup table for depth determination
US10389954B2 (en) Using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windows
US9554064B2 (en) Using a depth map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loors, walls, and ceilings
US10401806B2 (en) Adaptive control systems for buildings
US9626849B2 (en) Using scene information from a security camera to reduce false security alerts
US94492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tegorizing motion event candidates
US9489745B1 (en) Using depth maps of a scene to identify movement of a video camera
US1079125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purposing IR transmitters
WO2018233438A1 (zh) 人脸特征点跟踪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US9886620B2 (en)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camera
KR101760741B1 (ko) 비콘을 이용한 사업장 내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통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5217A (ko) 공기청정기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851102A (zh) 输出音量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720821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3308365B1 (en) Using infrared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alse alert regions
EP4266253A2 (en) Using infrared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alse alert regions
Chen Vision-based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with Smartphone Sensors in Commercial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