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682A -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 Google Patents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682A
KR20220014682A KR1020200094605A KR20200094605A KR20220014682A KR 20220014682 A KR20220014682 A KR 20220014682A KR 1020200094605 A KR1020200094605 A KR 1020200094605A KR 20200094605 A KR20200094605 A KR 20200094605A KR 20220014682 A KR20220014682 A KR 2022001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lotion composition
weight
composition
pant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713B1 (ko
Inventor
구창회
손연정
정지용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7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61F2013/5111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the lotion having skin car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안정성이 증가된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또는 피부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약학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가공성과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위생용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가공성과 안정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된 조성물을 통하여, 그동안 적용하기 어려웠던 위생용품에의 적용이 가능해졌다. 즉, 본 개시의 제조 방법과 제조된 조성물을 통하여, D-판테놀의 피부 보습 및 항염 효과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Description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Lotion composition comprising D-panthenol and sanitary articles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는 안정성이 증가된 D-판테놀을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가공성과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위생용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자극이나 세균 침입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과 피부 내부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요인이나 자극에 의하여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보습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피부에는 두피 및 모발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기관도 외부 자극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고 보습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염증은 조직이나 세포에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나 자극에 대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원래대로 회복시키려는 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외상, 자외선, 화상, 고온, 방사능 등의 물리적인 원인과 화학적 요인 및 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 환경 오염 물질 등에 의한 복합적인 요인 및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 등이 있다.
염증 원인의 제거 또는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항염 작용을 통해 이러한 염증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피부 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 중 비스테로이드계로는 프루페나믹산, 이부프로펜, 벤지다민, 인도메타신 등이 있는데, 필수지방산의 일종인 아라키돈산이 사이클로옥시게나제 및 리폭시게나제와 반응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세포독(leukotriene, prostaglandin)을 생성시키는 경우 사이클로옥시게나제와 반응하여 생합성되는 염증 유발물질은 차단할 수 있지만, 리폭시게나제와 반응하여 발생되는 염증 유발물질은 차단하지 못하여 피부 염증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계 염증 치료제로는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등이 효과가 있으나, 인체에 각종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피부에 도포하면 도포 부위의 피부에 털이 많아지고 피부가 위축될 수 있으며, 피부색소가 적어지고 세균의 감염이 생기며, 여드름이 돋고, 피부가 얇아지고 실핏줄이 드러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처방(도포)을 중지하면 오히려 증상이 더 심해지므로 상기 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을 중지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아스피린, 인도메타신과 같은 종래의 염증 억제 성분들은 그 효과가 널리 인정되고 있으나 위장 장애, 항진성 혈관 확장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고, 현재까지 알려진 항염 성분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 측면, 제품 내 함유 시 안정성의 문제, 사용 함량 제한 등 법규 상의 문제들로 인해 그 사용 범위 및 수준이 제한적이다.
한편, 보습 기능은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기본적인 속성으로, 보습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피부 자체의 면역 기능과 보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보습 성분으로는 다가 알코올 혹은 다당류가 사용되고 있으나, 수산화기가 친수성을 띠어 피부에 도포 시에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흡습하여 표피의 수분을 유지하는 기작으로 작용하므로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감을 끈적이게 하고 다량을 제품에 함유할 경우 안정도에도 영향을 주며, 고가의 다당류의 경우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한편, 아기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성인 요실금 제품, 생리용품 등 일회용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친밀한 피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에 대한 우려가 있다. 기저귀로 인한 피부염은 피부 보호막의 기능적 손상에서 비롯되는 일반적인 피부 자극의 일종으로, 피부와 흡수성 표면 사이의 마찰 및 전단 스트레스(sheer stress)에 의한 신체적 손상, 소변에의 잦은 노출에 의한 과도한 수화, 대변 내 효소에 의한 손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피부 자극 문제를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체액의 직접 오염을 줄이고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전달하여 피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로션을 사용한다.
또한 일반적인 기저귀 착용 시, 로션 전달을 통한 피부 이점이 기대되는 흡수성 물품의 바디사이드 탑시트에 로션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단 로션이 피부에 전달되면 인공 장벽을 제공하여 체액의 직접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생산 과정에서 흡수성 물품에 로션을 적용하는 방법은 코팅, 스프레이, 인쇄, 압출 등 다양할 수 있다. 슬롯 코팅은 일반적인 로션 적용 방법으로서 슬롯 코팅기를 활용하여 부직포 위에 제형을 분사한다.
한편, D-판테놀(덱스판테놀, D-panthenol)은 비타민 B5의 전구체로서, 체내에서 분해되어 판토텐산으로 전환된다. D-판테놀은 피부의 보습 유지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어, 발진크림과 연고 등에 널리 사용된다. 특히, D-판테놀이 5%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보호막 강화, 피부 재생, 수분 공급에 현저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판테놀의 피부 보습 및 피부 보호막 복원 능력이 표피 재생을 촉진함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과 기저귀 발진에 국부적으로 도포된다. 또한,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상피화를 촉진시켜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5% D-판테놀 에멀전은 홍반테마 감소와 탄성 및 고체조직 재생 증가(Proksch, 등., 2017)하고, 5% D-판테놀을 매일 적용하면 유두 균열 완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us, 등., 2002). 나아가 D-판테놀은 피부 이식과 화상으로 인한 흉터를 매일 관리하는 데 좋은 영향을 미친다(Buttemeyer, 등., 1995).
D-판테놀 로션의 모든 피부 건강 상의 장점과 함께, 다른 로션의 사용법과 유사하게 피부 보호막 기능을 보호하고 회복시키기 위해 흡수성 물품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높은 D-판테놀 함량을 가지는 왁스 타입 로션 조성물은 흡수성 제품에 적용하기에 제조와 도포 과정에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D-판테놀은 친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농도로 포함될 경우 기존 왁스 베이스 제형에서 불안정성을 보이며, 제조 과정에서 침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D-판테놀과 기존 유화제의 비호환성으로 인해 D-판테놀의 침전과 반복적인 고온 조건에서 구성품 표면에서 수분이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한계가 존재했다. D-판테놀의 최적 용해 온도는 가공성을 위해 40 내지 60℃정도로 제안된다.
Proksch, 등., "Topical use of dexpanthenol: a 70th anniversary article", J Dermatolog Treat., 2017. 12.; 28(8): pp766-773. Kuscu, 등., "Collagenase treatment of sore nipples", Int J Gynaecol Obstet., 2002;76(1):81-2. Buttemeyer, 등., "[Treatment of burns]", Med Monatsschr Pharm. 1995; 18(2):31-9.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친수성을 가지는 D-판테놀을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가공성과 안정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 알코올, 글리세릴 올리에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된 유화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조성물이 우수한 가공성과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지방알코올, 글리세릴 올리에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된 유화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상기 로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상기 로션 조성물을 함유하는 위생용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위생용품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지방알코올, 글리세릴 올리에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된 유화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가공성과 안정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된 조성물을 통하여, 그동안 적용하기 어려웠던 흡수용품에의 적용이 가능해졌다. 즉, 본 개시의 제조 방법과 제조된 조성물을 통하여, D-판테놀의 피부 보습 및 항염 효과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에 대한 본 개시의 D-판테놀 로션 조성물의 피부장벽 강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시험군으로 5%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과 대조군으로 판테놀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을 가진 로션 조성물, 음성 대조군으로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무도포군을 포함하여 피부장벽 손상 전 및 직후, 조성물 사용 1일, 2일, 4일 및 8일에 경피수분손실량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에 대한 본 개시의 D-판테놀 로션 조성물의 피부장벽 강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시험군으로 5%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과 대조군으로 판테놀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을 가진 로션 조성물, 음성 대조군으로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무도포군을 포함하여 피부장벽 손상 전 및 직후, 조성물 사용 1일, 2일, 4일 및 8일에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D-판테놀 포함 조성물 적용된 위생용품의 흡수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D-판테놀 포함 조성물 적용된 위생용품의 역류량 및 누출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 또는 일측면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 또는 일측면들이나 이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개시에 기재된 본 개시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등가물은 본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해당 구성 "만으로 구성되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포함할 가능성을 배제하는 폐쇄형 용어(closed-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위생용품"은 착용자의 위생을 위해 소변, 배설물, 월경액 등과 같은 신체 삼출액을 흡수 및 함유하게 하는 용품을 의미한다. 본 개시 내에서는 "위생용품", "흡수성 위생용품", "흡수용품", "흡수성 물품", "흡수성 제품" 등이 서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위생용품 또는 흡수성 물품 등은 주로 일회용 흡수용품을 의미하며, 이것은 사용 후 세탁하거나 복원 또는 재사용하지 않는 용품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위생용품 또는 흡수성 물품 등은 예를 들어, 생리대, 팬티라이너 및 위생 팬티와 같은 여성용 위생 제품; 유아 및 실금 성인을 위한 기저귀 및 팬티형 기저귀; 실금용 패드; 기저귀 삽입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르는 위생용품 또는 흡수성 물품은 그것의 적어도 일부에 본 개시에 따른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이 도포되며, 이 로션 조성물은 정상적인 접촉, 착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체온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전달된다. 피부로 전달되었을 때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은 붉어짐, 홍반, 기저귀 피부염 및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는 것(항염/보습)과 같은 바람직한 피부 관리 또는 보호 이점을 제공한다.
몇몇 요인들이 조합되어 기저귀 피부염이나 기저귀 발진의 발생을 가져온다. 젖은 피부는 살갗 쓸림을 가져오며 피부 아래에 더 쉽게 마찰되게 압박한다. 높은 수분 함량은 또한 자극성 물질에 의한 피부 침투가 증가할 수 있으며 세균 및 진균이 증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마찰과 소변 중 유레아의 암모니아로의 분해는 pH의 증가를 가져온다. 더 높은 pH 값은 장으로부터, 그리고 배설물 중의 미생물로부터 유래하는 효소(리파제 및 프로테아제)가 피부 아래에서 더 많은 정도로 분해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요인들이 서로 촉진되고 강화되는 악성 순환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피부염은 기저귀 피부염을 일으키고 유지하는 요인들이 상쇄되는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예방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를 가능한 건조하게 유지하고, 자주 피부를 환기시키고, 젖은 기저귀는 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한 매끄럽고 부드러운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기계적 전단력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기저귀와 피부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피부에 부드러운 보호 로션이나 크림을 공급함으로써 자극성 물질 및 효소의 침투에 대한 보호막을 강화하는 것이 더 가능하다. 더 심한 피부염의 경우에 미생물이 손상된 피부를 감염시킬 수 있고, 더 활성인 약을 사용한 치료가 필요하다. 코르티손 및 다양한 살진균 및 살균제를 갖는 연고가 사용된다.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은 위생용품의 일부에 도포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또는 투과성 탑시트(top-sheet)를 통해 접촉해있다. 또, 로션 조성물은 부직재료에 함유된 섬유 및 토우(Tow) 재료의 토우 섬유에 도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 및 피부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약학 조성물은 친수성이 강한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담체 성분으로 유화제 및 유성 성분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무게를 기준으로 (a) 약 0.1 내지 10 중량%(w/w)에 해당하는 유효성분으로서의 D-판테놀; (b) 적어도 약 50 중량%(w/w)에 해당하는 지방 알코올; (c) 약 17 내지 25 중량%(w/w)에 해당하는 유화제; 및 (d) 약 0.1 내지 10 중량%(w/w)에 해당하는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D-판테놀(D-pathenol)"은 일명 덱스판테놀(dexpanthenol)로 지칭되며, 5(w/w)%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보호막 강화, 피부 재생, 수분 공급에 현저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D-판테놀은 약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1 내지 10 중량%, 약 2 내지 9 중량%, 약 3 내지 7 중량%, 또는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D-판테놀은 약 5 중량%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은 고분자량의 곧은 탄소 사슬을 가지는 일차 알코올을 의미하며, 약제, 화장품, 세제, 플라스틱, 섬유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개시에서 지방 알코올은, 예를 들어, 베헤닐 알코올, C9-C11 알코올, C12-C13 알코올, C12-C15 알코올, C12-C16 알코올, C14-C15 알코올, 카프릴릭 알코올, 세틸 알코올, 코코넛 알코올, 데실 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탈로우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팜 알코올, 팜 커넬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탈로우 알코올, 트리데실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유화제(emulsifier)"는 서로 혼합하지 않는 2종의 액체(일반적으로 수성 액체와 유성 액체)를 함께 포함하는 에멀전(emulsion)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 분자 내에 친수기와 친유기 부분을 함께 함유하여 수성 액체와 유성 액체 경계면에 흡착층을 만들 수 있는 소위 표현 활성인 물질이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글리세릴 올리에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polyol)"은 다가 알코올을 의미하며, 즉 동일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가지는 알코올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폴리올은 탄소수 5개 이상의 다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헥산디올(1,2-hexandi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1,2-옥탄디올(1,2-octanediol), 데실렌글리콜(decylene glycol)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 개시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적용할 수 있는 통상적이고 공지된 성분으로, 항산화제, 보존제, 흡수제, 증점제, 추가의 유화제, 계면활성제, 향료, 소취제, 안정화제, 피부 보호제(피부 유연화제), 및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항산화제는 본 개시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아세틸 시스테인,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타이드, 에리소르빈산, 디아밀하이드로퀴논 및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항산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보존제는 본 개시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포타슘소르베이트, 디하이드로 아세트산, 펜탄디올, 및 소르브산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존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흡수제는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숙신에이트, 카올린, 옥수수 전분, 오트 전분, 시클로덱스트린, 탈크,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흡수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증점제는 카르복실산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산), 파라핀,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이소파라핀),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및 검(예를 들어, 한천, 알긴, 알긴산암모늄, 또는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증점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추가의 유화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밀납, 코코글리세리드, 세틸 팔미테이트,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60, 도데실벤젠술폰산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피이지-120메틸글루코오스디올리에이트, 및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향료는 허브, 일랑일랑 정유, 오렌지 정유, 카난가 정유, 계피정유, 케모마일 꽃추출물, 레몬 글래스 정유, 레몬 정유, 및 로즈마리 정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향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소취제는 과망간산 칼륨, 표백분, 편백나무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레몬즙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소취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카로티노이드, 레티놀, 티오글리세롤, 및 시스테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안정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 보호제 또는 피부 유연화제는 시어버터, 아이소아밀 라우레이트, 옥틸도데칸올,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알란토인, 베타글루칸, 히알루론산, 로즈마리 추출물,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콜로스트럼, 알란토인, 호호바오일, 그린티 오일, 알로에베라 오일, 라벤더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카렌둘라 오일, 아르간 오일 및 해바라기씨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피부 보호제 또는 피부 유연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pH 조절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및 탄산 칼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pH 조절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외용제, 또는 위생용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화장품은 화장수, 에센스, 선크림, 선로션, 크림류 등과 같은 기초 화장품; 가루분, 고형백분, 크림백분, 파운데이션, 입술연지, 눈썹연필, 미조료 등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 헤어 로션, 헤어 토닉, 액상 및 유상 정발료, 헤어 크림, 헤어 트리트먼트 크림, 샴푸, 헤어 스프레이 등과 같은 헤어케어 화장품; 팩과 같은 얼굴 케어 화장품; 또는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과 같은 바디케어 화장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및 겔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 위생용품은 물티슈, 티슈, 기저귀, 생리대, 위생 와이프, 습윤 와이프, 클리닝 와이프, 훼이셜 와이프, 스킨케어 와이프, 및 지한제 와이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본 개시에 따른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체 조성물 무게를 기준으로 (a) 약 0.1 내지 10 중량%(w/w)에 해당하는 유효성분으로서의 D-판테놀; (b) 적어도 약 50 중량%(w/w)에 해당하는 지방 알코올; (c) 약 17 내지 25 중량%(w/w)에 해당하는 유화제; 및 (d) 약 0.1 내지 10 중량%(w/w)에 해당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서 전체 조성물 무게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 중량%(w/w)에 해당하는 유효성분으로서의 D-판테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특히 D-판테놀과 폴리올 성분이 다른 성분들에 섞이기 전에 미리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판테놀은 점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의 원액을 이용하여 공정을 진행하거나 이를 높은 농도로 포함하는 경우 공정 용이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기구 표면에 잔존하여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개시에서는 D-판테놀과 폴리올과 혼합하는 경우에 D-판테놀의 점성이 크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방법에 있어 D-판테놀과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기 전에 폴리올을 먼저 혼합하여 조성물의 공정도와 회수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개시는 본 개시에 따른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10 중량%(w/w)에 해당하는 유효성분으로서의 D-판테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혼합하여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위생용품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생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D-판테놀과 폴리올 성분이 다른 성분들에 섞이기 전에 미리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조된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위생용품의 적어도 탑시트 층, 백시트(backsheet)층 및 탑시트 층과 백시트 층 사이의 흡수 코어 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생용품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측부 에지(peripheral side edge)를 포함하고,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측부 에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D-판테놀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높은 농도의 D-판테놀을 포함하면서도 안정적인 로션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합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조성물 6 조성물 7
지방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15% 57% 63% 56% 56% 56%
세테아릴 알코올 6%
베헤닐 알코올 15%
유화제 코코글리세라이드 43%
세틸 팔미테이트 22%
팔미트산 4%
글리세릴 올레이트 22% 17% 22% 2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3% 15% 5%
스테아르산 2%
피부
유연화제
아이소아밀 라우레이트 5% 5% 5% 5%
시어버터 90% 10%
옥틸도데칸올 10% 3% 10% 10%
폴리올 1,2-헥산디올 3% 2% 2% 2% 2%
유효성분 D-판테놀 5% 5% 5% 5% 5% 5% 5%
한편, 본 개시의 D-판테놀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D-판테놀 조성물이 위생용품 상에 적용되는 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 균일성을 가지는 안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D-판테놀은 점성이 약 10500 cPas/30 ℃로 매우 높아, D-판테놀을 포함하는 제제를 제조하는 과정은 매우 힘든 과정이며, 상대적으로 소실율이 높다. 따라서, 높은 농도의 D-판테놀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발명에 있어서, D-판테놀 조성물의 가공성과 안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폴리올 성분을 D-판테놀과 선-혼합시켰다. 해당 폴리올 성분으로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가지는 1,2-헥산디올이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혼합물의 점도는 현저히 낮아질 수 있었다.
실시예 1 :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
※ 1차 제조 조성물 안정성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1 내지 7을 제조하고 이들을 70℃ 오븐 조건에서 2주간 보관한 후, 침전 여부와 제형 유지 여부, 제형 균일 여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각 조성물의 안정성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정리하였다.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조성물 6 조성물 7
안정성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상기 실험을 통하여, 글리세릴 올레이트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를 일정 농도 이상으로 포함하고, 1,2-헥산디올을 포함하는 경우에 조성물의 안정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이 실온에서는 고체나 반고체 상태를 갖는 것이 위생용품에 적용 후 탑시트 등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유리하다. 이에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은 녹는점이 40 내지 50℃ 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반면, 로션은 60 내지 100℃에서 위생용품 등에 적용되는 것이 적절하며, 적용된 후에는 가능한 즉시 고체화되는 것이 제조 라인에서의 준비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적절하다.
준비된 로션 조성물은 용해된 뒤, 슬롯 코팅 방법을 통해 위생용품(기저귀)의 탑시트에 적용되었고, 착용시 탑시트와 착용자 피부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 유화제 함량이 조성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 안정 조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일단 유화제(글리세릴 올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글리세릴 올레이트를 조성으로 하여 확인하였다(표 3).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조성물 6
스테아릴알코올 70% 68% 65% 63% 60% 55%
글리세릴올레이트 15% 17% 20% 22% 25% 30%
아이소아밀라우레이트 5% 5% 5% 5% 5% 5%
옥틸도데카놀 3% 3% 3% 3% 3% 3%
D-판테놀 5% 5% 5% 5% 5% 5%
1,2-헥산디올 2% 2% 2% 2% 2% 2%
안정성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상기 결과에 의해 글리세릴 올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되는 유화제의 함량이 15% 초과 30% 미만인 경우에 구성이 조성물이 안정해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5% 이하에서는 조성물의 안정도가 떨어지고, 30%이상에서는 결정화가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 폴리올 종류가 조성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 안정 조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폴리올을 포함시켜 조성물을 안정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표 4).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스테아릴알코올 60% 60% 60% 60% 60%
글리세릴올레이트 22% 22% 22% 22% 22%
아이소아밀라우레이트 5% 5% 5% 5% 5%
옥틸도데카놀 3% 3% 3% 3% 3%
D-판테놀 5% 5% 5% 5% 5%
1,2-헥산디올 5%
펜틸렌 글리콜 5%
1,2-옥탄디올 5%
부틸렌 글리콜 5%
글리세린 5%
안정성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상기 결과를 통하여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올을 조성으로 했을 때는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 폴리올 함량이 조성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 안정 조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올을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시켜 조성물을 안정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올로써 1,2-헥산디올을 이용하였다(표 5).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조성물 6
스테아릴알코올 64.5% 64% 63% 60% 55% 50%
글리세릴올레이트 22% 22% 22% 22% 22% 22%
아이소아밀라우레이트 5% 5% 5% 5% 5% 5%
옥틸도데카놀 3% 3% 3% 3% 3% 3%
D-판테놀 5% 5% 5% 5% 5% 5%
1,2-헥산디올 0.5% 1% 2% 5% 10% 15%
안정성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상기 결과에 따르면, 조성물 안정성을 위해 폴리올 1 내지 10%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지방 알코올의 함량이 50% 미만인 제형은 녹는 점이 40 내지 60 ℃보다 낮아져 보관 및 적용에 적합하지 않게 되거나, 제형의 안정도가 떨어짐을 확인하였다(데이터 미개시).
실시예 2 : D-판테놀 조성물의 피부 자극 테스트
※ D-판테놀 조성물의 피부 자극 테스트 방법
본 개시의 5%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고체상태; 상기 제조예 1의 조성물 4 조성)의 피부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개시의 5%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을 연구 대상자(32명)의 등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부위를 증류수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본 개시의 D-판테놀 로션 조성물을 35 mg씩 Van der Bend Chambers (Van der Bend, 브리엘, 네덜란드)에 적용시킨 후 시험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24시간 동안 피부에 폐쇄 첩포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및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시험부위의 자극유무는 Draize Dermal Irritation Scoring System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표 6). 이를 하기 평균 피부 자극도(Mean Irritation Index, M.I.I.) 계산 공식에 따라 산정한 후,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andard Evaluation Procedur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의 자극 분류법 기준을 반영한 피부 1차 자극 시험 결과 판정표(표 7)에 따라 자극군을 판정하였다.
홍반 가피 형성 부종 형성
증상 증상
홍반 없음 0 부종 없음 0
매우 약한 홍반
(거의 인지할 수 없음)
1 매우 약한 부종
(거의 인지할 수 없음)
1
명확한 홍반 2 약한 부종 (부풀어오름 때문에 부종 영역의 경계가 분명하게 구별됨) 2
일반에서 중증 홍반 3 일반 부종 3
중증 홍반 딱지 형성 4 중증 부종
(1mm 이상 부풀어 오르고, 노출 영역을 넘어서 확대됨)
4
Figure pat00001
자극군(Grade) M.I.I.
무자극 (Negligible) 0.00 ≤ M.I.I. < 0.50
미자극 (Slight) 0.50 ≤ M.I.I. < 2.00
중자극 (Moderate) 2.00 ≤ M.I.I. < 5.00
강자극 (Strong) 5.00 ≤ M.I.I. ≤ 8.00
※ 피부첩포 시험 결과
반응자 수 피부자극 정도 평균 피부자극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
1 2 3 4 1 2 3 4 1 2 3 4
홍반 12 10 1 - - 2 - - - - - - - 0.15
부종 0 - - - - - - - - - - - -
상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개시의 D-판테놀 포함 조성물의 평균 피부 자극도는 0.15로써, 표 7의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 이상반응 평가
최종 시험을 완료한 연구 대상자 32명에 대한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에 의한 이상반응 평가 결과, 연구기간 동안 패치 테스트에서 예상 또는 수반될 수 있는 피부 반응 이외의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3 : D-판테놀 로션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장벽 강화효과 평가
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에 대한 본 개시의 D-판테놀 로션 조성물의 피부장벽 강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시험은 헬싱키 선언에 근거하여 더마프로 기관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을 심의받아 피험자의 자발적 동의에 의해 윤리적 원칙에 따라 수행되었다.
시험군으로 5%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상기 제조예 1의 조성물 4)과 대조군으로 판테놀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을 가진 로션 조성물을 이용하였고,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무도포군을 포함하여 시험이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시험은 하기와 같이 진행되었다.
※ 시험 대상자
20 내지 49세의 정상 피부를 가진 남녀를 대상으로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험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기대 효능과 부작용을 설명하여 참여의사를 보이는 자에게 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시험에 참여시켰다. 피험자 수는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주식회사 더마프로 SOP에 준하여 20명 이상을 선정하여 시험을 시행하였다.
※ 시험 방법
8일동안 1일 2회(아침, 저녁), 시험부위(전박)를 물로만 세정한 후 적당량의 시험군과 대조군을 스패츌러를 이용하여 지정된 부위에 바른 뒤 흡수시키도록 하였다.
평가는 각 시점(피부장벽 손상 전 및 직후, 조성물 사용 1일, 2일, 4일 및 8일)에 경피수분손실량 측정, 피부 수분량 측정, 사진촬영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방문시점마다 시험군/대조군 사용량 및 사용확인서를 통해 사용 순응도를 확인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방문 시마다 시험부위를 세척한 다음에 항온항습실 (22±2℃, 50±5%)에 입실하였으며 20분 동안 안정을 취한 후 시험에 참여하였다.
가. 피부장벽 손상 유도
전박 내측의 시험부위에 Standard D-squame Discs (Cuderm, USA)를 이용하여 테이프 박리(Tape-stripping)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경피수분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이 2 내지 2.5배 정도 증가되는 시점까지(약 20회) 피부를 손상시켰다.
나. 경피수분손실량 측정
경피수분손실량(TEWL)은 개방 챔버인 Tewameter(R) TM300 (Courage & Khazaka, 독일)를 이용하여 전박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을 각 60초씩 각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Tewameter(R) TM300은 개방 챔버 내의 확산 원리에 기초하고 있으며, 프로브의 온도와 습도 센서가 측정 부위의 단위 면적당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증발량 (g/hm2)을 측정한다.
피부장벽 손상 전 및 직후, 조성물 사용 1일, 2일, 4일 및 8일 후 시점에 시험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여 10 내지 50초 사이에 안정화되는 구간의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다. 피부 수분량 측정
피부 수분량은 Corneometer(R) CM 825 (Courage & Khazaka,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기기는 각질층 내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장비로써, 각질층은 전기에 대한 높은 저항을 갖고 있는데, 수분 함유시 교류파 전류를 가했을 때 저항이 감소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저항의 역수인 전도도(conductance)를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나타내게 된다
피부장벽 손상 전 및 직후, 조성물 사용 1일, 2일, 4일 및 8일 후 시점에서 시험 부위의 피부 수분량의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라. 안정성 평가
각 평가시점에서 문진과 시험자의 관찰에 의해 피부 자극감과 객관적 피부 자극을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SPSS Package Program (IBM, USA)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사전 동질성은 RM-ANOVA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정규성은 shapiro-wilk 및 첨도(kurtosis)와 왜도(skewness)를 통해 검증하였다. 동일 피험자에게서 반복 측정한 데이터에 존재하는 상호 의존성(교호 작용), 시점별 전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모수일 경우 반복측정 분산 분석법(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였으며 군간 비교는 사전 동질성을 만족하여 RM-ANOVA를 이용하였다(유의수준 p<0.05). 회복률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2
※ 실험 결과
가. 경피수분손실량 분석
(1) 시점별 전후 비교
피부장벽 손상 직후와 비교 시, 시험군과 대조군, 및 무도포군 모두 1일, 2일, 4일 및 8일 후 시점에서 경피수분손실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하기 표 9).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피부장벽 자연 회복 효과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대상군 측정시점 평균±편차 (g/m2h) p 값 회복률 (%)
시험군 피부장벽 손상 전 6.68±1.97 - -
피부장벽 손상 직후 15.26±3.56 - -
1일 후 10.08±2.10 0 60.32
2일 후 9.29±1.84 0 69.56
4일 후 8.49±1.85 0 78.88
8일 후 7.69±1.79 0 88.20
대조군 피부장벽 손상 전 6.47±1.81 - -
피부장벽 손상 직후 14.72±2.82 - -
1일 후 10.98±2.29 0 45.35
2일 후 9.72±2.38 0 60.61
4일 후 9.23±1.95 0 66.51
8일 후 8.76±1.95 0 72.20
무도포군 피부장벽 손상 전 6.99±1.85 - -
피부장벽 손상 직후 15.80±3.70 - -
1일 후 12.13±2.67 0 41.66
2일 후 10.54±2.05 0 59.67
4일 후 10.23±2.07 0 63.18
8일 후 9.38±1.93 0 72.83
(2) 군간 비교
군간 비교시 시험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이 조성물 사용 1일, 4일 및 8일 후 시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1일 후 시점에서 무도포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표 10, 도 1).
비교 p 값 1일 후
감소 유의미성
2일 후
감소 유의미성
4일 후
감소 유의미성
8일 후
감소 유의미성
시험군 vs 대조군 0.005 0.073 0.003 0.001
시험군 vs 무도포군 0.025 0.209 0.086 0.095
대조군 vs 무도포군 0.914 0.670 0.901 0.535
나. 피부 수분량 분석
(1) 시점별 전후 비교
피부장벽 손상 직후와 비교 시, 시험군은 손상 직후, 조성물 사용 1일, 2일 및 4일 후 시점에서, 대조군은 손상 직후 및 조성물 사용 1일 후 시점에서, 무도포군은 손상 직후, 1일, 및 2일 후 시점에서 피부 수분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표 11).
대상군 측정시점 평균±편차 (g/m2h) p 값 회복률 (%)
시험군 피부장벽 손상 전 28.14±7.65 - -
피부장벽 손상 직후 44.84±7.64 0 -
1일 후 35.88±7.05 0 53.61
2일 후 32.72±6.98 0.009 72.53
4일 후 33.12±6.17 0.009 70.19
8일 후 29.28±7.58 0.556 93.16
대조군 피부장벽 손상 전 28.58±7.02 - -
피부장벽 손상 직후 45.09±6.19 0 -
1일 후 32.73±5.20 0.001 74.85
2일 후 28.85±5.50 0.832 98.37
4일 후 29.08±5.78 0.722 96.96
8일 후 29.54±7.72 0.559 94.17
무도포군 피부장벽 손상 전 28.86±6.51 - -
피부장벽 손상 직후 43.58±5.51 0 -
1일 후 35.52±2.44 0 54.74
2일 후 32.95±3.79 0.014 72.20
4일 후 30.87±3.39 0.212 86.33
8일 후 29.04±4.78 0.907 98.76
(2) 군간 비교
군간 비교 시 시험군은 조성물 사용 1 일, 2 일 및 4 일 후 시점에서 대조군에 비해 피부 수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조성물 사용 2 일 시점에서 무도포군에 비해 피부 수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표 12, 도 2).
비교 p 값 손상 직후
증가
유의미성
1일 후
증가
유의미성
2일 후
증가
유의미성
4일 후
증가
유의미성
8일 후
증가
유의미성
시험군 vs 대조군 0.863 0.005 0.004 0.012 0.929
시험군 vs 무도포군 0.037 0.387 0.668 0.079 0.635
대조군 vs 무도포군 0.094 0.104 0.023 0.381 0.668
다. 안전성 평가
본 시험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에게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이 적용된 흡수용품 테스트
※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 적용된 흡수용품의 제조
본 개시의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상기 제조예 1의 조성물 4)을 기저귀에 다양한 양으로 도포하고, 이의 인공소변 흡수 속도와 흡수된 용액이 다시 배어나오는 양(역류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기존 로션(D-판테놀 미포함; 표 4)을 사용하였다.
성분명 함량 (%)
코코글리세리드 43
세틸 팔미테이트 22
베헤닐 알코올 15
스테아릴 알코올 15
비즈왁스 3
글리세릴올리에이트 2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도포하였다(표 14).
도포양
대조군(기존 로션 적용군; Code C) 0.017 g/1기저귀
시험군 1(D-판테놀 로션 조성물; Code D-1) 0.017 g/1기저귀
시험군 2(D-판테놀 로션 조성물; Code D-2) 0.034 g/1기저귀
시험군 3(D-판테놀 로션 조성물; Code D-3) 0.051 g/1기저귀
상기 제조한 시험군 1 내지 3 기저귀에 포함된 D-판테놀의 양은 아래와 같다(표 15). 아래 D-판테놀의 함량은 LC/MS를 통해 측정되었다.
함유 D-판테놀양
시험군 1(D-판테놀 로션 조성물; Code D-1) 25 ppm
시험군 2(D-판테놀 로션 조성물; Code D-2) 40 ppm
시험군 3(D-판테놀 로션 조성물; Code D-3) 57 ppm
※ D-판테놀 포함 로션 조성물 적용된 흡수용품의 흡수속도, 역류량 및 누출량 측정
상기를 통해 제조된 대조군 및 시험군 1 내지 3의 기저귀에 대하여 흡수속도(Intake speed), 역류량(Rewet), 누출량(Dampness) 을 측정하였다.
먼저, 흡수속도는 인공오줌이 기저귀에 흡수되는 시간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초시계로 그 시간을 측정하고, [흡수된 인공오줌의 양/흡수에 걸린 시간]으로 수치화하였다.
다음으로 역류량은 기저귀에 일정량의 인공오줌을 함습시킨 뒤 시험편에 가한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흡수체로부터 기저귀의 안감을 통하여 피부 방향으로 역류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누출량은 기저귀에 일정량의 인공오줌을 함습시킨 뒤 시험편에 가한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기저귀의 방수막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한편, 여기서 순도 99% 이상인 염화나트륨을 물에 용해시켜 0.9 ± 0.005%(w/w)의 농도로 조제한 용액을 인공오줌으로 사용하였다.
흡수속도는 3차에 걸쳐 인공오줌(1회 투여량: 60±1 ml)을 흡수시켜 측정한 시험결과는 도 3과 같다. 아울러, 2차 흡수가 종료된 후 기저귀 안감 측면에 역류용액 흡수용 거름종이를 깔고 저울추(질량: 4.5±0.1 kg, 밑면의 지름 : 110±3 mm )를 올려놓고 2분 동안 올려 놓고, 해당 거름종이의 전후 질량을 측정하여 역류량을 측정하였다.
한편, 누출량은 누출량 시험용 거름종이 2장을 기저귀 방수층 아래 고정시키고, 3차 흡수시간을 측정하고 3분 후 해당 거름종이의 전후 질량을 측정하여 측량하였다. 이의 결과는 도 4와 같다.
상기 실험을 통해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 적용 여부 및 적용 횟수는 흡수속도, 역류량 및 누출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개시의 로션 조성물이 위생용품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절히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제조예 및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7)

  1. (a)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D-판테놀;
    (b)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c)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7 내지 25 중량의 글리세릴 올레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d)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올;
    을 포함하는, 위생용품 적용을 위한 로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D-판테놀이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7 중량%으로 포함되는, 로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이 베헤닐 알코올, C9-C11 알코올, C12-C13 알코올, C12-C15 알코올, C12-C16 알코올, C14-C15 알코올, 카프릴릭 알코올, 세틸 알코올, 코코넛 알코올, 데실 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탈로우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팜 알코올, 팜 커넬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탈로우 알코올, 트리데실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로션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탄소수 5 이상을 갖는 것인, 로션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1,2-헥산디올(1,2-hexandi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1,2-옥탄디올(1,2-octanediol), 및 데실렌글리콜(decylene glycol)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로션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글리세릴 올레이트인, 로션 조성물.
  7.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D-판테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 알코올; 및 글리세릴 올레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적용을 위한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판테놀과 상기 폴리올을 다른 성분들에 섞이기 전에 미리 혼합하는 것인,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판테놀이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7 중량%으로 포함되는,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되는,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이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으로 포함되는,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7 내지 25 중량%으로 포함되는,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이 베헤닐 알코올, C9-C11 알코올, C12-C13 알코올, C12-C15 알코올, C12-C16 알코올, C14-C15 알코올, 카프릴릭 알코올, 세틸 알코올, 코코넛 알코올, 데실 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탈로우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팜 알코올, 팜 커넬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탈로우 알코올, 트리데실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탄소수 5 이상을 갖는 것인,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1,2-헥산디올(1,2-hexandi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1,2-옥탄디올(1,2-octanediol), 및 데실렌글리콜(decylene glycol)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로션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7항의 방법에 따라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로션 조성물을 위생용품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판테놀과 상기 폴리올을 다른 성분들에 섞이기 전에 미리 혼합하는 것인,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판테놀이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7 중량%으로 포함되는,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되는,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이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으로 포함되는,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로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7 내지 25 중량%으로 포함되는,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이 베헤닐 알코올, C9-C11 알코올, C12-C13 알코올, C12-C15 알코올, C12-C16 알코올, C14-C15 알코올, 카프릴릭 알코올, 세틸 알코올, 코코넛 알코올, 데실 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탈로우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팜 알코올, 팜 커넬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탈로우 알코올, 트리데실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탄소수 5 이상을 갖는 것인, 위생용품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1,2-헥산디올(1,2-hexandi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1,2-옥탄디올(1,2-octanediol), 및 데실렌글리콜(decylene glycol)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션 조성물이 위생용품의 탑시트에 적용되는 것인,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26. 제1항의 로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용품.
  27. 제26항에 있어서, 위생용품이 생리대, 팬티라이너, 위생 팬티, 기저귀, 실금용 패드, 또는 기저귀 삽입물인, 위생용품.
KR1020200094605A 2020-07-29 2020-07-29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KR10244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605A KR102440713B1 (ko) 2020-07-29 2020-07-29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605A KR102440713B1 (ko) 2020-07-29 2020-07-29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82A true KR20220014682A (ko) 2022-02-07
KR102440713B1 KR102440713B1 (ko) 2022-09-07

Family

ID=8025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05A KR102440713B1 (ko) 2020-07-29 2020-07-29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042A (ko) * 2001-10-01 2004-05-3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소수성 로션을 포함하는 생리대
KR20060123067A (ko) * 2003-09-11 2006-12-0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부 관리 국소 연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042A (ko) * 2001-10-01 2004-05-3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소수성 로션을 포함하는 생리대
KR20060123067A (ko) * 2003-09-11 2006-12-0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부 관리 국소 연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ttemeyer, et al., "[Treatment of burns]", Med Monatsschr Pharm. 1995; 18(2):31-9.
Kuscu, et al., "Collagenase treatment of sore nipples", Int J Gynaecol Obstet., 2002;76(1):81-2.
Proksch, et al, "Topical use of dexpanthenol: a 70th anniversary article", J Dermatolog Treat., 2017. 12.; 28(8): pp766-7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713B1 (ko)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3766T3 (de) Protonendonatoren in saugkörpern
JP4698830B2 (ja) 皮膚の健康を維持または向上させるための吸収製品
KR100374314B1 (ko)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흡수제품
TW418083B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a skin condition benefit
US1133132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or severe pruritus comprising the aqueous solubilized ursodeoxycholic acid
CN109044915B (zh) 一种婴幼儿护臀膏及其制备工艺
CA2687416C (en) Use of a lotion composition on an absorbent article for reducing adherence of feces or menses to the skin
CN104434768B (zh) 一种具有缓释功效的保湿化妆水及其制备方法
MX2008011419A (es) Articulos absorbentes con lociones.
EP2253665A1 (de) Gefriergetrocknete Zusammensetzung
CN110638727B (zh) 一种婴幼儿护臀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99088A1 (en) Topical skin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EP300340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buffered lactic acid
CN113975197B (zh) 一种含有聚谷氨酸钠的组合物及其应用的敷料
KR20080110054A (ko) 피부삼림욕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2440713B1 (ko) D-판테놀을 포함하는 로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CN103006477A (zh) 一种山茶油滋润霜
RU2207841C2 (ru) Композиции с антиферментативным действием, содержащие этилендиаминдиянтарную кислоту
Ricciatti-Sibbald et al. Dermatologic vehicles
CN117297992B (zh) 一种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Tajarudin et al. Prevention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Of Immobility Patients Using Aloe Verra Skin Barrier And Olive Oil
CN116585519A (zh) 一种桃叶植萃舒缓修复精华液一次性卫生用品护理基材、制备方法及应用
WO2024073721A1 (en) Methods and absorbent articles for inhibiting fecal protease activity
CN117298034A (zh) 一种治疗儿童湿疹的载药微乳-纳米凝胶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MXPA00002480A (en) A method for maintaining or improving skin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