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459A -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459A
KR20220014459A KR1020200093662A KR20200093662A KR20220014459A KR 20220014459 A KR20220014459 A KR 20220014459A KR 1020200093662 A KR1020200093662 A KR 1020200093662A KR 20200093662 A KR20200093662 A KR 20200093662A KR 20220014459 A KR20220014459 A KR 2022001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cycled
functional
recycled paper
we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9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459A/ko
Publication of KR2022001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5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02Synthetic cellulose fibres
    • D21H13/08Synthetic cellulose fibres from regenerated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36Inorganic fibres or flakes
    • D21H13/38Inorganic fibres or flakes siliceous
    • D21H13/44Flakes, e.g. mica, vermiculit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1Waste products, e.g. sludg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2Rosin;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8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원료로서 고급펄프로 만들어진 폐우유팩이나 일회용 폐컵을 지료(紙料)로서 재활용하되 한지의 원료로서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강한 닥나무 펄프 지료액(紙料液)으로 섬유를 보강하고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기능성 광물질로서 황토와 미세한 입도의 옥분을 혼가 응집 침전시켜 초지기로 초지하여 생분해성으로서 표백제를 사용하지 않아 자연친화적이고 중성지로서 피부친화력이 좋은 한지 소재와 기능성 물질의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한데 어우러져 전통한지와 같이 자연스러운 색상의 심미적이면서 질기고 고우며 부드러운 물성의 자연친화적인 기능성 재생용지를 형성하고 용도에 따라 평활지, 주름지, 엠보싱지와 같은 초지 가공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 기능성 재생용지를 생산할 수 있어 쓰고 버려지는 폐우유팩과 일회용 폐컵을 이용한 자원 재활용으로 경제적이면서 환경보호적인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Antibacterial recycled 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주원료로서 고급펄프로 만들어진 폐우유팩이나 일회용 폐컵을 지료(紙料)로서 재활용하되 한지의 원료로서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강한 닥나무 펄프 지료액(紙料液)으로 섬유를 보강하고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기능성 광물질로서황토와 미세한 입도의 옥분을 혼가 응집 침전시켜 초지기로 초지하여 생분해성으로서 표백제를 사용하지 않아자연친화적이고 중성지로서 피부친화력이 좋은 한지 소재와 기능성 물질의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한데 어우러져전통한지와 같이 자연스러운 색상의 심미적이면서 질기고 고우며 부드러운 물성의 자연친화적인 기능성 재생용지를 형성하고 용도에 따라 평활지, 주름지, 엠보싱지와 같은 초지 가공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 기능성 재생용지를 생산할 수 있어 쓰고 버려지는 폐우유팩과 일회용 폐컵을 이용한 자원 재활용으로 경제적이면서환경보호적인 다목적의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 및 회사 등의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은 갈수록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편리한 만큼 사용후의 폐기물 처리가 커다란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신문폐지, 인쇄폐지, 포장폐지, 골판폐지, 잡폐지, 종이팩 등으로 구분되는 폐지는 국가적으로 자원절약 및 폐지의 재활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제지용 자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상기 폐지는 재활용 방법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있다.
상기한 폐지 종류 중 Liquid Packing Board (LPB)라고 불리우는 원지를 사용하는 폐우유팩은 최고급의 100% 천연펄프로 만들어지고 산림자원이 갖는 경제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일부 국가(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웨덴)에서만 생산되므로서 국내에서는 거의 값비싼 수입펄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가 매일 마시고 한번 사용 후 그대로 버린다면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아까운 자원과 외화를 낭비하게 됨으로써 한번 쓴 우유팩의 재활용이 중대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폐우유팩은 고급 셀룰로오스로 제조되고 표면에는 폴리에틸렌(PE)막이 형성되어 재생하기 위하여는 PE재질의 막을 분리, 제거하여야하므로 번거롭고 재생비용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마시고난 후 접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부피도 적게 나가 수거가 용이하며 별도로 잉크를 제거해내는 탈묵과정과 그것을 정선하고표백하는 표백과정이 별도로 필요 없고 다른 일반 폐지류에 비하여 경제성이 있어 이를 원료로 하는 재생 화장지 등의 용도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폐우유팩의 재활용 범위가 폐지를 물에 해섬해서 단순히 생산하는 일반 화장지 등에만 국한되므로써 고급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끔 인체에 무해한 고기능성의 재생종이로 확장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을 이용하여 고기능성의 재생용지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과 목재 펄프를 주원료로하고 이에 한지 원료를 보강 첨가함과 동시에 황토와 옥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광물질을 혼가 초지함으로써 인체친화적이면서 환경보호적이고 자원재활용효과가 있는 고품질의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을 재생 주원료로 하고 이에 천연의 지료(紙料)이며 인피섬유의 강인한 섬유질로서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강한 닥펄프를 혼가하되 기능성 광물질로서 황토와 옥분을 첨가함으로써 황토의 점성에 의한 질기고 부드러운 질감, 한지 고유의 질감과 원료물질 포섭력이한데 어우러지는 점성과 결속성의 결합에 의한 형태적 안정성과 항균 기능성을 복합적으로 구현하게 되는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용지 제조 방법은 지료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 형성된 재생용지에 있어서, 목재 펄프 45%(중량비)와 비닐 코팅막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미세하게 파쇄한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의 재생 지료 30%(중량비)에 증해한 닥나무 5%(중량비)와 황토분 15%(중량비), 320메시의 미분쇄한 옥분(玉粉)5%(중량비)를 혼합 고해한 혼합 지료에 표면제인 송진으로 황토분말과 옥분이 펄프 섬유에 고착될 수 있도록 24-48시간 숙성 응집후 생성된 지료를 초지기에서 황토분이 날리지 않고 부드러운 촉감이 형성되게끔 용도에 따라 0.1 ㎜이하의 압축된 두께의 평표면지, 주름지, 엠보싱지 형태로 선택적인 초지작업하고 건조 및 압착하여 항균 기능성의 위생적인 인체친화적 재생 용지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황토의 점성과 한지 원료인 장섬유로서 닥펄프의 원료물질 포섭력이 한데 어우러지는 점성과 결속성이 한데 어우러지는 인장 특성이 다른 섬유질의 치밀한 결합에 따른 형태적 안정성으로 먼지 발생이 없으면서 적절한 보습력을 유지하여 민감하고 여린 여성들과 아이들의 피부에도 자극이 없는 질기고부드러우면서 흡수력이 좋은 질감, 형광제나 표백제를 사용하지 않은 천연 색상의 미려한 색감, 특유의 향취,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의 재생원료를 유효하게 재활용 자원화하는 자원 절약과 인체에 무해한 생분해성 물질로서 분해가 잘되고 자연의 자정력(自淨力)이 있으며 용해성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로서 사용 후 자연분해되고흙으로 환원되어 2차 오염에 의한 환경 공해 없이 폐기처분이 가능한 환경보호 효과로 고급 화장지는 물론 미용용 여성 전용 세정지, 어린이 피부 제습지 등의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항균 위생 용지는 결합된 원료 물질의 복합 작용에 의한 항균, 소취 등의 기능성으로 인하여 별도의 소독 약품 첨가 없이도 통상의 함침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항균 위생 기능성의 물티슈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성 효과가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은 한지 지료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 형성된 재생용지에 있어서 목재 펄프 45%(중량비)와 비닐 코팅막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미세하게 파쇄한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의 재생 지료 30%(중량비)에 증해한 닥나무 5%(중량비)와 황토분 15%(중량비), 320메시의 미분쇄한 옥분(玉粉)5%(중량비)를 혼합 고해한 혼합 지료에 표면제인 송진으로 황토분말과 옥분이 펄프 섬유에 고착될 수 있도록24-48시간 숙성 응집후 생성된 지료를 초지기에서 황토분이 날리지 않고 부드러운 촉감이 형성되게끔 용도에 따라 0.1 ㎜이하의 압축된 두께의 평표면지, 주름지, 엠보싱지 형태로 선택적인 초지작업하고 건조 및 압착하여항균 기능성의 위생적인 인체친화적 재생 용지를 생산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공정 구성으로 생산된 재생 용지를 기지(基紙)로 하여 함수율이 30-40%(중량비) 되도록멸균된 증류수를 함침시키거나 도포하는 방법으로 위생적인 기능성 항균 물티슈를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기능성 재생 용지는 용도에 따라 일정 길이로 재단하거나 말아서 물티슈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항균 기능성이 있는 기지(基紙)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종래 물티슈 제작 방법과 같이 피부자극적인 세균 방지용 약품을 첨가하지 않아도 위생적인 물티슈(towelettes)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의 물티슈는 유통과정이나 공기 중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세균 오염도 2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목재 펄프를 주원료로 사용하되 폐지류 중에서도 고품질의 섬유질로 형성된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을 재생 지료로 사용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통상의 재생용지에 비하여 생산 원가를 낮추게 되어 경제적이다.
폐기물로서 버려지고 있는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은 식품용 고급펄프로 만들어지고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가용자원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펄프와 비닐을 펄프 손실율이 극소화되도록 분리하여 재생지료로서 사용하며, 이렇게 추출된 재생지료는 따로 색상을 입히거나 표백하지 않아도 자체의 기존색이 자연적으로 표출되어 질감이 하얗고 부드러우며 깨끗하기 때문에 종이질이 거칠고 색도가 어두운 신문지등의 다른 재생용지처럼 인체에 유해한 형광 증백제 및 표백제 등의 약품 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원료에다 천연의 지료(紙料)이며 인피 섬유의 장섬유로서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와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능성 광물질로서 미세한 메시의 황토 분말과 옥분을 첨가하여 종래의 재생용지에 비하여 물성이 향상된 기능성 재생용지를 생산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렇게 배합 초지함으로써 닥과 목재펄프, 재생 펄프, 황토와 옥분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강도 있게 결속되어 인피섬유의 강인한 섬유질에 의한 결속성과 황토의 점성에 의한 질기고 부드러운 질감의 결합에 의한 형태적인 안정성이 있으며 표면의 조직이 매끄럽고 부드러우면서 수분에 강한 기능성 재생용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질기고 부드러우며 보존성이 뛰어난 장섬유 형태의 천연 닥펄프는 인피섬 유의 강인한 섬유질로서 물에 젖으면 유연성이 증가되며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강하여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황토나 옥분을 잘 포섭하게 되어 섬유나 지류와의 결착력을 견고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바 초지시에 천연소재인 송진을 첨가함으로써 닥과 펄프의 섬유질과 원적외선 분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점착작용을 하여 건조후 표면 피막이 강하게 형성되어 수분에 강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비로 주원료인 목재 펄프45%와 재생 펄프30% 이외에 결속성이 우수한 장섬유 형태닥나무 원료 5%를 첨가하는 것은 원료 물질 포섭력을 강화시키는 것 이외에 경제적으로 재활용하기 조성비로서,상기 조성물에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생체 기능성 물질로서 다공질의 황토분 15%, 옥분 5%를 더 첨가함으로써 일반적인 25℃의 상온 환경에서 원적외선의 방사 강도가 최적화되는 임계치로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게끔 한 것으로서 이렇게 함으로써 수분해성 종이에 다공성을 부여함에도 불구하고 재생 종이의 강도와 인장력, 탄력성이 유지되어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찢어지거나 파열되지 않는 습윤 강도를 가지면서 공기는 투과하되 물은 투과하지 않게 하는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항균, 소취 기능으로 세균의 번식을 예방함과 동시에 항온항습효과로 최적의 함수량을 유지하는 복합 상승 효과로 방충, 항균, 방취, 습윤 기능과 한지와 황토가 혼합되는은은한 질감과 색조가 표현된 재생용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송진은 인피섬유와 잘 어울리는 궁합의 불연성의 천연 접착재 겸 표면제로서 종이를 강하게 하는 성질(인장력)이 있어 초지과정에서 소재인 닥과 펼프의 섬유질, 원적외선 분체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사이징 효과를 발현하는 로진 사이즈제(rosin size)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과도한 흡습작용을 억제하고 통기작용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효성분으로서 황토는 숨구멍의 역할을 하는 천연의 벌집구조로 된 다공 구조로서 응고력이 있어서 자체적인 강도를 가지며 통기성이 있어서 생체가 숨을 쉬게 하며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여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서 생체를 구성하는 분자가 공명, 공진되어 열에너지가 촉진되고 탈취 및 부패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 등 각종 세균의 방균 및 살균효과와 흡착력, 분해력이 있는 등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효과와 항균, 소취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황토를 침전 응집시키므로써 점성이 높아서 찰지고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황토가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탄산칼슘은 쉽게 부서 지지 않는 점력을 부여하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어 닥펄프나 목재 펄프의 섬유질과 옥분과의 결속력을 배가시키게 되며 표면은 넓은 벌집 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구조를 이루고 있어 피부 접촉시 매끄럽고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하면서도접촉 표면적을 넓게 하고 흡착효과를 좋게 함과 동시에 물이 시트를 투과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각섬석의 일종인 옥(玉)은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인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가 인체나 작물에 이로운 작용을 하게 되어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광물질로서 황토와 더불어 유효성분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시너지화되는 상승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물에 약하고 쉽게 찢어지는 결점을 가진 한지 원료와 기본적인 물성이 고화가 어려우며 건조되면 딱딱하고 균열이 생기고 물에 쉽게 분해되는 황토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내수성이 보강되게끔 지료로서 목재펼프와 재생 펄프에다 닥나무와 사이징제로서 송진을 첨가함으로써 황토와 한지 특유의 향취가 어우러지면서도황토나 옥,분이 탈리되지 않고 부스럼이 없이 매끄럽고 단단해짐으로써 물 빠짐이 없으며 사용시 별도의 항균제나 세정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되는 부드럽고 촉감이 좋으며 민감하고 여린 여성들과 아이들의 피부에도 자극이없으며 색상의 변화가 없으며 빛을 산란시켜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게 하는 기능성 재생 용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두께는 15g-35g/㎡ 의 평량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 범위내의 평량으로 시트를 형성함으로써 적절한 습윤강도와 유연성, 감촉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한 원적외선 방사체로서 황토에다 미분쇄한 옥분(玉粉)의 작용이 복합 시너지화됨으로서 흡습성, 소취성, 항균성이 더욱 보강되고 한지의 특성인 유연성과 표면 슬립성, 완충성, 보온성, 흡습성이 원적외선 방사체의 작용과 시트의 부드러움과 피부 접착성을 가일층 확대시키고 사용시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유성이나 수성 피부 모두에 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으로서 폐기시 공해발생의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재생용지는 별도의 항균제나 세정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황토의 수분 및 지방질 흡착작용으로 피부 접촉시 피부 모공속 노폐물 제거와 주름 제거효과, 피부 미백효과와 미네랄 성분에 의한 부드러운 속살 재생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살균처리나 세정제, 영양성분을 첨가하지 않고도 과도한 피지나 유분, 노폐물의흡착에 의한 클린싱이나 피부 자극이 극소화된 피부보호,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혈액순환이나 신진대사 촉진 등의 기능효과가 극대화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혼합 원료를 가지고 전통한지와 같은 자연스럽고 심미적인 질감의 재생용지로 초지함에 있어서 용도에 따라 0.1 ㎜이하의 압축된 두께의 부드럽고 평평한 평표면지, 주름이 형성된 주름지, 거친 요철의 엠보싱지 형태로 선택적인 초지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미용 티슈로 사용하여 피부에 접촉함에 있어 본 발명의재생용지가 표면이 평활하고 흡습효과가 양호한 지질의 평표면지로 형성되면 표면 조직이 매끄럽고 미세한 섬유질로서 은은한 황토 빛과 닥나무의 섬유질이 균일하게 퍼진 상태의 자연스럽고 다양하게 표출되는 문양에 의하여 외관이 시각적으로 미려하게 부드럽게 되며 정형 또는 무정형의 요철면이 형성된 거칠고 입체적인 표면의 엠보싱지나 주름지로 형성되면 피부 깊숙한 곳의 유분과 노폐물까지도 빨리 흡수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생종이는 황토와 미분쇄된 옥분과 닥펄프, 목재펄프가 혼합 일체화 되어 균분되기 때문에피부에 작용하는 원적외선 방사 비표면적이 커지게 되어 원적외선 방사 효율이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만들어져서 부드러운 감촉과 수분 흡착효과가 있는 0.1 ㎜이하의 얇은 시트 타입 재생종이를 기지(基紙)로 하고 함수율이 30-40%(중량비) 되도록 멸균된 증류수를 함침시키거나 스프레이 도포하는 방법으로위생적인 기능성 항균 물티슈를 형성하게 되면 펄프에 물에 젖으면 유연성이 증가하는 한지 및 물을 많이 함유할 수 있는 다공질 황토의 수분 흡착효과가 더해져 건조할 때 습기를 빨아들였다가 건조할 때 다시 내어놓는 습도 조절성으로 항상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피부와의 접촉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손 세정용이나 피부 청결 용도의 물티슈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황토 및 옥분으로 이루어지는 항균 기능성이 부가되어 통상의물티슈 제작 방법과 같이 피부자극적인 세균 방지용 약품을 첨가하지 않아도 위생적인 물티슈(towelettes)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의 물티슈는 유통과정이나 공기 중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세균 오염도 2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수분범위(함수율) 30∼40%는 본 발명의 기능성 재생종이와 상온(25℃)에서 어우러지는 최적의 비율이다.
실시예:
1. 한지 지료로서 닥펄프와 목재펄프 제생지료, 기능성 광물질이 혼합 형성된 재생용지 제조공정
1-1. 혼합원료 제조공정
목재 펄프 45%(중량비)와 비닐 코팅막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미세하게 파쇄한 폐우유팩의 재생 지료 30% (중량비)에 증해한 닥나무 5%(중량비)와 황토분 15%(중량비), 320메시의 미분쇄한 옥분(玉粉) 5%(중량비)를 혼합 고해한 혼합 지료에 표면제로서 송진을 약간 량 넣고 황토분말과 옥분이 펄프 섬유에 고착될 수 있도록 24시간 숙성 응집후 혼합 지료를 생성하였다.
1-2.초지공정
(1)평표면지 형성공정
전 공정(1-1공정)에서 생성된 혼합 지료를 가지고 초지기에서 황토분이 날리지 않고 부드러운 촉감이 형성되게끔 0.1 ㎜ 압축 두께의 평표면지 형태로 통상의 초지방법으로 작업하고 건조 및 압착하여 항균 기능성의 위생적인 인체친화적 재생 용지를 얻었으며, 물성을 확인한 결과 표면 조직이 매끄럽고 미세한 섬유질로서 은은한 황토 빛과 닥나무의 섬유질이 균일하게 퍼진 상태의 자연스럽고 다양하게 표출되는 문양에 의하여 외관이 시각적으로 미려하고 황토분도 날리지 않으며 부드러운 촉감으로 피부 접촉성이 좋으며 황토와 옥, 닥펄프가 함께 어우러진 특유의 향이 발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정 크기로 재단하여 형성된 낱장형 티슈가 다수 개 포개져육면체 형상의 포장 박스에 수장된 포장 티슈를 제조하였다.
(2)엠보싱지 형성공정
전 공정(1-1공정)에서 생성된 혼합 지료를 가지고 초지기에서 황토분이 날리지 않고 부드러운 촉감이 형성되게끔 0.1 ㎜ 압축 두께의 원형 요철이 형성되는 엠보싱지 형태로 통상의 초지방법으로 작업하고 건조 및 압착하여항균 기능성의 위생적인 인체친화적 재생 용지를 얻었으며, 물성을 확인한 결과 거친 요철면이 형성되어 부드러우면서도 입체적인 표면 조직이 형성됨으로써 평표면지에 비하여 보습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롤 형태의두루말이 화장지로 제조하였다.
2. 물티슈 제조공정
1공정의 재생용지 제조 공정에서 생산한 기능성 재생용지를 일정 크기로 재단하고 함수량이 30%정도 되도록 살__ 균 증류수에 1분간 담가 꺼내서 일회용 물티슈를 제조하고 방수가 되는 합성수지재 주머니에 내장하였다.이렇게 해서 형성된 본 발명의 물티슈를 사용한 결과 황토, 닥과 펄프가 어우러져 형태적 안정성이 좋고 질기고부드러운 촉감으로 피부와의 접촉성이 향상되고 먼지가 나지 않고 손에 오물도 묻지 않으며 위생적임과 동시에깨끗한 미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재생용지를 이용하여 화장용 티슈를 구성하고 시판되는 화장용 티슈와의 효능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서 30명의 여성에게 하루에 3회씩 5일간 사용하게 하고 세정력, 피부 감촉, 보습력,사용강도를 평가항목(효과 없음 1점-보통 3점-매우 만족5점)으로 정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용 티슈는 대조군에 비하여 부드럽고 흡수성이 좋은 촉감의 황토와 옥의 광물질 성분이 부가되는 복합 성분 및 질기고 부드러운 한지 성분의 기능성 시트로 된 복합 상승 시너지 효과로 피부 사용시 세정력, 피부보호 및 보습기능, 사용 강도면에서 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지료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 형성된 재생용지에 있어서,
    목재 펄프 45%(중량비)와 비닐 코팅막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미세하게 파쇄한 폐우유팩 또는 일회용 폐컵의 재생 지료 30%(중량비)에 증해한 닥나무 5%(중량비)와 황토분 15%(중량비), 320메시의 미분쇄한 옥분(玉粉)5%(중량비)를 혼합 고해한 혼합 지료에 표면제인 송진으로 황토분말과 옥분이 펄프 섬유에 고착될 수 있도록 24-48시간 숙성 응집후 생성된 지료를 초지기에서 황토분이 날리지 않고 부드러운 촉감이 형성되게끔 용도에 따라 0.1 ㎜이하의 압축된 두께의 평표면지, 주름지, 엠보싱지 형태로 선택적인 초지작업하고 건조 및 압착하여 항균 기능성의 위생적인 인체친화적 재생 용지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 용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항에서 제조한 기능성 재생용지를 일정 크기로 재단하고 함수량이 30-40%(중량비)가 되도록 살균 증류수에 1분간 담가 꺼내서 항균 기능성의 일회용 물티슈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
KR1020200093662A 2020-07-28 2020-07-28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4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662A KR20220014459A (ko) 2020-07-28 2020-07-28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662A KR20220014459A (ko) 2020-07-28 2020-07-28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59A true KR20220014459A (ko) 2022-02-07

Family

ID=8025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662A KR20220014459A (ko) 2020-07-28 2020-07-28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4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9397T3 (es) Material en forma de hoja depositada por vía húmeda de una composición de material microfibrilado
US6475501B1 (en) Antiviral compositions for tissue paper
MX2010010643A (es) Producto para la higiene o producto de limpieza que comprende por lo menos una hoja con dibujo y metodo para decorar la hoja con dibujo.
EP1221851B1 (en) Antiviral compositions for tissue paper
Kakonke et al. Review on the manufacturing and properties of nonwoven superabsorbent core fabrics used in disposable diapers
KR200381099Y1 (ko) 마사지팩용 마스크
JP2009517552A (ja) 古紙から製造される衛生用シート及び古紙から衛生用シートを作製する方法
KR20130115676A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100825593B1 (ko) 황토와 기능성 광물질을 혼합한 재생용지 제조방법
KR20220014459A (ko) 항균 재생용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68699B1 (ko) 위생용 친환경 자연분해 건식(습식) 물수건
KR101331073B1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200332089Y1 (ko) 마스크 팩용 부직포
JP3901575B2 (ja) 消臭用積層シート
KR102637800B1 (ko) 친환경 자연분해 엠보싱 물수건
KR101101449B1 (ko) 종이 성형물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종이성형물, 및 상기 종이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2665278B1 (ko) 승화성 물질로 처리된 상업 용품
KR200297619Y1 (ko) 한지 원료에 황토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함침된유분제거용 기능성 미용 티슈
CN210931095U (zh) 一种除臭柔纸巾
JP7035752B2 (ja) 機能性シートおよび機能性シートキット
JP7014023B2 (ja) 機能性シート
JPS6128077A (ja) 藍染した紙や布オムツと生理ナプキン.衛生紙
WO2016186538A1 (en) Wipe product
KR200311847Y1 (ko) 황토가 함유된 키친타월
JP2015167693A (ja) 吸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