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421A - 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421A
KR20220014421A KR1020200092940A KR20200092940A KR20220014421A KR 20220014421 A KR20220014421 A KR 20220014421A KR 1020200092940 A KR1020200092940 A KR 1020200092940A KR 20200092940 A KR20200092940 A KR 20200092940A KR 20220014421 A KR20220014421 A KR 20220014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ser
auxiliary device
size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제창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0009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421A/en
Publication of KR2022001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6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1Interfaces to the user control is restricted to certain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ssisting device, which allows a user to wear the wearable assisting device fitted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to perform various walking trainings by each drive mode. In addition, third parties such as hospital staffs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can conveniently and systematically store, manage, and record walking training record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users performing walking training while wearing the wearable assisting device so that a training, medical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 may efficiently manage the user's training status, treatment or rehabilitation status. The method includes: registering a new user or selecting an existing user to designate a user of the wearable assisting device, inputting and managing a size by area of the wearable assisting de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of the designate user, and selecting and executing a plurality of drive modes in the wearable assisting device, using a control panel detachably mounted at a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in a wire or wireless scheme.

Description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본 발명은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본체와 통신 가능한 컨트를 패널을 이용하여, 신규 사용자의 등록 또는 기존 사용자를 선택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자를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영역별 사이즈를 입력 및 관리하고,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의 복수 개의 구동모드를 선택 및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 정보에 맞게 피팅된 착용형 보조장치를 착용하여 각각의 구동모드에 따른 다양한 보행훈련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병원 관계자, 재활 치료사 등의 제3자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를 착용하여 보행훈련을 수행하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보행훈련 기록 등을 편리하고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 및 기록할 수 있어 훈련, 의료 또는 재활 기관에서 사용자의 훈련상태, 치료 또는 재활상태의 관리가 모두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ntrol panel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body by wire or wirelessly, by selecting a new user registration or an existing user to designate a use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By inputting and managing the size of each area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and selecting and executing a plurality of driving modes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the user selects a wearable auxiliary device fitted to the user'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gait training according to each driving mode by wearing it, and in addition, a third party such as a hospital official, a rehabilitation therapist, etc. wears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to perform gait training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who perform gait training It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and systematically store, manage and record records, so that the management of a user's training state, treatment or rehabilitation state can all be effectively performed in a training, medical or rehabilitation institution. .

최근, 선천적 또는 후천적 장애인, 뇌졸중, 파킨슨병 등 뇌질환의 후유장애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독립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 또는 환자는 근력감소 또는 심폐기능 약화 위험이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sequelae of brain diseases such as congenital or acquired disabilities, stroke, Parkinson's disease, etc. is increasing, and the disabled 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walking independently are at risk of reduced muscle strength or weakened cardiopulmonary function.

따라서, 이러한 장애인 또는 환자의 경우, 훈련, 의료 또는 재활 기관에서 외골격 로봇 형태의 착용형 보조장치를 도입하여 재활치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행 또는 재활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disabled person or patient, a rehabilitation treatment system can be established by introduc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in the form of an exoskeleton robot in a training, medical or rehabilitation institution to perform walking or rehabilitation training.

여기서, 착용형 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양쪽 하지에 장착되고, 일어서기 모드, 서있기 모드, 앉기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보행 기능을 위한 구동모드가 제공될 수 있고, 착용형 보조장치는 훈련시 보행 시간이나 보행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is mounted on both lower extremities of the user, and a driving mode for various gait functions such as a standing mode, a standing mode, and a sitting mode may be provided.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peed.

한편,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보행 능력 또는 진단명 등에 따라 보조장치의 사이즈, 보조력 또는 보행 주기 등의 세팅이 수행되어야 한다.Meanwhile, i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ettings such as the size, auxiliary power, or gait cycle of the auxiliary device mus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walking ability, or diagnosis name.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별로 보조장치의 사이즈를 다르게 하거나, 사용자별로 보조력 또는 보행 주기를 세팅하기 위한 별도의 보행용 구동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한다면 착용형 보조장치의 비용을 더욱 크게 증가시킨다.If the size of the assistive device is different for each user's body size or a separate walking driving program for setting the assisting force or gait cycle for each user needs to be produced, the cost of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is further increased.

또한, 이러한 착용형 보조장치의 경우, 특정 사용자의 보행 또는 훈련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착용형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보행 또는 훈련 기록의 관리와 관리 편의성이 더욱 요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wearable assistive device, it should be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a specific user's gait or training record, and when multiple users use one wearable assistive device, the management and management convenience of the gait or training record is improved. more may be requested.

본 발명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본체와 통신 가능한 컨트를 패널을 이용하여, 신규 사용자의 등록 또는 기존 사용자를 선택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자를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영역별 사이즈를 입력 및 관리하고,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의 복수 개의 구동모드를 선택 및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 정보에 맞게 피팅된 착용형 보조장치를 착용하여 각각의 구동모드에 따른 다양한 보행훈련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병원 관계자, 재활 치료사 등의 제3자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를 착용하여 보행훈련을 수행하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보행훈련 기록 등을 편리하고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 및 기록할 수 있어 훈련, 의료 또는 재활 기관에서 사용자의 훈련상태, 치료 또는 재활상태의 관리가 모두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ntrol panel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body by wire or wirelessly, selects registration of a new user or an existing user, designates a use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designates the user of the designated user By inputting and managing the size of each region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based on the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gait training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nd in addition, a third party such as a hospital official or a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conveniently record gait training records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who perform gait training by wear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can be systematically stored, managed, and recorded, the management of the user's training status, treatment or rehabilitation status can all be effectively performed in a training, medical or rehabilitation institution. make it a task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좌우 고관절 구동기 및 좌우 슬관절 구동기를 구비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신규 사용자 등록 또는 기존 사용자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보조장치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따른 보조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 상기 컨트롤 패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 후 착용형 보조장치의 구동모드를 선택하는 구동모드 선택단계;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구동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좌우 고관절 구동기 및 상기 좌우 슬관절 구동기를 제어하여 선택된 구동모드를 실행하는 구동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 및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의 단계 진행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전환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설정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battery and a controller, a control panel having a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left and right hip actuators and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user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user of the auxiliary device by registering a new user or selecting an existing user through a touch input of the control panel; an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size of a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a driving mod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driving mod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a touch input of the control panel; a driving mode execu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eft and right hip joint actuators and the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s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to execute the selected driving mode; In response to the step progress of the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ation step, the drive mode selection step, and the drive mode execution step, the output contents of the display are switched, and the control signal or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is wired 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에서의 지정된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 경우 신규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사용자 고유정보,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신체정보 및 신규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signated user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is a new user, user-specific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the new user, user body information of the new user,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new user may be registered.

여기서, 상기 신규 사용자의 고유정보는 신규 사용자의 성명,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new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ew user's name, gender, and age.

그리고, 상기 신규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신규 사용자의 신장, 체중 및 세부 치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w user's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ew user's height, weight, and detailed dimension information.

이경우, 상기 세부 치수 정보는 좌우 발의 치수, 좌우 대퇴의 길이와 둘레, 좌우 하퇴의 길이와 둘레 또는 골반의 너비와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tailed dimens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dimensions of the left and right feet,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thighs, or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elvis.

또한, 상기 신규 사용자의 의료정보는 신규 사용자의 마비 부위, 기능적 보행지수(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및 진단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w user's medic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aralysis site of the new user, a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and a diagnosis name.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에서의 보조장치 사이즈는 직접 입력되거나, 신규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사용자의 사용자 신체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계산되거나, 기존 등록 사용자의 경우 상기 컨트롤 패널에 저장된 보조장치 사이즈를 호출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is directly entered, or automa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in the case of a new user, or the auxiliary device stored in the control panel in the case of an existing registered user It can be determined by calling the size.

여기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는 사용자의 골반의 후방을 감싸는 몸체유닛의 폭과 두께, 사용자의 좌우 대퇴를 지지하는 좌우 대퇴 지지유닛의 길이, 사용자의 좌우 하퇴를 지지하는 좌우 하퇴 지지유닛의 길이, 사용자의 좌우 대퇴와 하퇴를 감싸는 좌우 대퇴 착용유닛 및 좌우 하퇴 착용유닛의 크기 및 장착위치, 및 좌우 족유닛의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i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body unit surrounding the rear of the user's pelvis,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thigh support units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user,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lower leg support units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lower legs of the user, the us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mounting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thigh wearing unit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leg wearing unit surrounding the left and right thighs and lower thighs, and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foot units.

그리고,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표시 페이지를 터치하여 사이즈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이즈 표시 페이지를 터치하여 팝업되는 사이즈들 중 선택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표시 페이지 주변에 구비된 증감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여 사이즈를 증감시켜 결정할 수 있다.In the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ing step, a size is directly input by touching a size display page of the display, a size is selected from pop-up sizes by touching a size display page, or an increase/decrease icon provided around the size display page of the display. You can determine the siz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ize by inputting a touch.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는 복수 개의 모드 아이콘을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모드 아이콘은 시작하기 아이콘 및 모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may display a plurality of mode icons, and each of the mode icons may provide a starting icon and a mode setting icon.

그리고, 상기 구동모드는 일어서기 모드, 앉기 모드, 서있기 모드, 보행 모드, 계단 오르기 모드, 스쿼트 모드 중 복수 개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ode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des among a standing mode, a sitting mode, a standing mode, a walking mode, a stair climbing mode, and a squat mode.

또한,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모드실행 종료 아이콘, 실행중인 모드에서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the display may display a mode execution end icon and a driving mode change icon in the running mode.

또한,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 및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조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착용형 보조장치의 각각의 관절 구동기 또는 센서의 통신상태 정보 및 컨트롤 패널의 본체 장착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and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the display is at least one of battery remaining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joint actuator or senso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on the body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그리고,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크기 및 보조력 조절용 증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And,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and the increase/decrease for adjusting the assisting force can display icons,

여기서, 상기 일어서기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어서기 완료 후 관절 보조력 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보조력 유지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Here, in the setting menu of the standing mode, an assisting force maintenance icon for selecting whether to maintain joint assistive force after standing up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그리고,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일괄 증감하기 위한 일괄 증감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And,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at once A batch increase/decrease icon may be displayed for

또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에서 일률적으로 증감하기 위한 일괄 증감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s set to a preset size. A batch increase/decrease icon for uniformly increasing/decreasing in may be displayed.

또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에서 특정 크기로 일괄 수정하기 위한 일괄 수정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s set to a preset size. A batch edit icon for batch editing to a specific size may be displayed.

또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제3자 설정값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설정모드 설정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s set to a third party. A setting mode setting icon may be provided to replace the setting value.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구비하는 본체,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착용형 보조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하여 제어되는 좌우 고관절 구동기,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하여 제어되는 좌우 슬관절 구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한 착용형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and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housing, a control panel having a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and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left and right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arable auxiliary device that includes a hip joint actuator and a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and can be used as a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에 의하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태블릿 형태의 컨트롤 패널 상에서 GUI 방식의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영역별 사이즈를 입력 및 관리할 수 있어,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착용형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자별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 관리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별 착용형 보조장치의 착용시 피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each area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an be determined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based 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through a GUI-type control program on a tablet-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touch input. input and management, even when multiple users use the same wearable auxiliary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size managemen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each user, thereby reducing the fitting time when wear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each user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운동능력, 진단명 또는 각각의 관절의 상태 등에 따라 착용형 보조장치의 각각의 관절 구동기를 통해 제공되는 각각의 보조력의 크기를 동일한 상기 GUI 방식의 제어프로그램 상의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입력, 조절, 변경, 저장 또는 호출할 수 있고, 관절 구동기를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별 착용형 보조장치 구동 정보의 관리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여,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치료사 등에 의하여 진행되는 사용자 훈련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each auxiliary force provided through each joint actuato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exercise ability, diagnosis name, or the state of each joint, etc.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and simply input, adjust, change, save, or call on the same GUI-type control program, and intuitively control the joint actuator, thereby facilitating the management and handling of wearable auxiliary device driv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ceed with the user training process conducted by a therapist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on hardware or firmwa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은 일어서기 모드, 앉기 모드, 서있기 모드, 평지보행 모드, 계단오르기 모드 및 스쿼트 모드와 같이 착용형 보조장치의 보행 기능별 구동모드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동일한 상기 GUI 방식의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의 전환이 용이하고 착용형 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등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치료사 등에 의하여 진행되는 치료 또는 훈련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driving modes for each gait function of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such as a standing mode, a sitting mode, a standing mode, a flat walking mode, a stair climbing mode, and a squat mode. , since it is easy to switch the driving mode on the same GUI-type control program and monit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the efficiency of the treatment or training process performed by a therapist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about hardware or firmware can impro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정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터치입력이 가능한 태블릿 형태의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GUI 방식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고객목록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고객목록 표시화면에서 특정 사용자를 선택한 상태의 컨트롤 패널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도 6는 상기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사용자 신규 등록을 위한 신규 사용자 등록 화면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신규 사용자의 신체정보 입력화면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 입력화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화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일어서기 모드 설정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5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앉기 모드 설정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6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평지보행 모드 설정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7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앉기 모드의 실행화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평지보행 모드의 실행화면을 도시한다.
도 19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서있기 모드의 실행화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을 도시한다.
도 21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다수의 착용형 보조장치 사용자들의 사용기록 화면을 도시한다.
도 22은 도 21의 다수의 착용형 보조장치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훈련기록 화면을 도시한다.
1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ustomer list display screen on a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GUI method installed on a tablet-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touch input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control panel display screen in a state where a specific user is selected on the customer list display screen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shown in FIG. 4 .
6 shows a new user registration screen for new user registration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7 to 10 show a screen for inputting body information of a new user on a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11 and 12 show the size input screen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13 shows a mod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Fig. 14 shows a standing-up mode setting page among the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15 shows a sitting mode setting page among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16 shows a page for setting a flat walking mode among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17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sitt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18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flat walk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19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stand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Fig. 20 shows the main screen of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21 is a view showing the use record screen of a plurality of wearable auxiliary device user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22 shows a training record screen of a specific user among a plurality of wearable auxiliary device users of FIG. 21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정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1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는 장애인, 노약자 또는 환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하체에 착용하여, 보행 동작을 보조하는 로봇일 수 있다. 여기서 보행 동작을 보조한다는 의미는 하체의 운동 기능이 일부 존재하는 사용자의 독립적인 보행을 가능하도록 고관절과 슬관절에 부족한 근력 등을 보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1 (a) and 1 (b),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1000 is worn on the lower body of the disabled, the elderly, or a pati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to perform a walking motion. It may be an assisting robot. Here, the meaning of assisting the gait motion can be interpreted as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preserving muscle strength lacking in the hip and knee joints to enable independent walking of a user who has some movement function of the lower body.

본 발명의 착용형 보조장치(1000)는 제어부(미도시) 및 전원 제공을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는 본체(500),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2000), 상기 본체(500)가 후방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허리 영역을 감싸며 장착되고, 사용자의 허리 측면 영역으로 연장되는 몸체유닛(400), 사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된 상기 몸체유닛 양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상기 고관절 구동기(100a, 100b)에 의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상기 대퇴 지지유닛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100c, 100d), 상기 슬관절 구동기(100c, 100d)에 의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한 쌍의 족유닛(300a, 3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500 including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battery (not shown) for providing power, a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control panel 2000, the body 500 is mounted at the rear, is mounted to surround the user's waist area, the body unit 400 extending to the user's waist side area, the body extending to the user's hip joint side area A pair of hip actuators 100a and 100b mounted on both ends of the unit, the femoral support units 200a and 200b that are driven by the hip actuators 100a and 100b and provide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user's thighs, the above A pair of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mounted on the end of the femoral support unit, the lower thigh support unit (200c, 200d), which is driven by the knee actuators (100c, 100d) and provides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user's thigh; And it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foot units (300a, 300b) for supporting the user's feet.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은 사용자의 등판 후방에 배치되는 본체(500)와, 상기 본체(50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각각의 다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may include a main body 500 disposed behind the user's back plate, and a pair of leg unit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ain body 500 to support each leg of the user. .

상기 본체(500)는 몸체유닛(400)에 장착되며, 한 쌍의 다리 유닛 역시 몸체유닛(400) 양단에 장착될 수 있다.The body 500 is mounted on the body unit 400 , and a pair of leg units may also b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ody unit 400 .

여기서, 상기 다리 유닛은 고관절과 슬관절에 각각 관절 구동기(100)가 구비되어 대퇴와 하퇴에 보조 토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독립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Here, the leg unit is provided with a joint actuator 100 in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respectively, to provide auxiliary torque to the thigh and lower leg to assist the user in walking independently.

따라서, 각각의 다리 유닛의 고관절과 슬관절 대응영역에는 구동 토크 제공을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장치는 각각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관절 구동기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driving device for providing a driving torque may be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of each leg unit. Each driving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joint actuator each having a driving motor.

상기 관절 구동기(100a, 100b, 100c, 100d)를 사용자의 고관절과 슬관절 관절부위에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골반과 대퇴가 만나는 부위에 고관절 구동기(100a, 100b)가 설치되고, 대퇴와 하퇴 경계의 무릎 부위에 슬관절 구동기(100c, 100d)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착용형 보조장치(1000)는 사용자의 고관절과 슬관절에만 관절 구동기(100)가 구비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발목관절에도 별도의 구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joint actuators 100a, 100b, 100c, and 100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s hip and knee joint regions, respectively, and the hip joint actuators 100a and 100b are installed at the site where the pelvis and the thigh meet, and the knee of the thigh and lower thigh boundary The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may be installed in the region. I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shown in FIGS. 1 ( a ) and 1 ( b ), an example in which the joint actuator 100 is provided only for the user's hip and knee joints is shown, but if necessary, a separate driving device is also provided for the ankle joint. can be provided.

그리고, 각각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는 사용자의 대퇴와 하퇴를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6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관절 구동기(10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은 결국 착용유닛(600)를 통해 사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에 전달되어 독립 보행을 보조하게 될 수 있다.And, each of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has the user's thigh and lower leg at least for fixing to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One wearing unit 600 may be provided, and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each joint actuator 100 is eventually transmitted to the user's thigh or lower leg through the wearing unit 600 to assist independent walking.

이와 같은 한 쌍의 다리유닛은 사용자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전술한 상기 본체(500)는 사용자의 상체 등판 후방에 배치되므로, 상기 몸체유닛(400)을 통해 상기 본체가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유닛(400)은 사용자의 허리 영역을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몸체유닛(400)의 양단은 사용자의 허리 측면 영역으로 연장 구성될 수 있다.Such a pair of leg units is arranged along the side of the user, and since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500 is arranged behind the user's upper body back plate, the main body is mounted to the rear through the body unit 400, and the The body unit 400 is mounted to surround the user's waist area, and both ends of the body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the user's waist side area.

그리고, 상기 본체(50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태블릿 형태의 컨트롤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제어부로 제어신호 또는 설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50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a tablet-type control panel having a display capable of a touch input. The control panel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or sett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by wire or wirelessly.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설정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및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100c, 100d)에서 출력되는 보조력 세기, 보조력의 인가 시간 또는 보조력 제공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Here, a control signal or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air of hip actuators 100a and 100b and a pair of knee joints constitut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rength of the assisting force output from the drivers 100c and 100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assisting force, or whether the assisting force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 바람직하게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OS와 제어 프로그램을 탑재한 태블릿 형태의 모바일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may preferably be configured as a tablet-type mobile device having a display capable of a touch input and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based OS and control program mounted thereon.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컨트롤 패널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터치 입력 이외에도 상기 컨트롤 패널이 장착된 본체에 장착된 스위치 또는 버튼의 조작 입력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for the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into the control panel, a manipulation input of a switch or button mounted on the main body on which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o a touch input through a display of the control panel.

이와 같은 컨트롤 패널이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본체(500)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제어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면, 치료사 등은 사용자가 착용형 보조장치를 착용하고 훈련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상태와 컨트롤 패널을 동시에 관찰 및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훈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When such a control panel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500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so that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signals is possible, the therapist, etc. allows the user to perform training while wear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user's state and the control panel at the same time and input control signals, enabling efficient training.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은 본체(5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본체의 제어부와 통신하며, 제어신호 또는 설정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50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of the main bod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control signals or setting information. do.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상기 본체(500)의 제어부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와이파이(wi-fi) 등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유선통신부를 매개로 직렬 통신, 이더넷 등을 포함한 유선 네트워크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의 전원부를 통해 충전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panel 2000 is a wireless network using a control unit of the main body 5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s a medium, such as Bluetooth, beacon, Wi-Fi, etc. method, or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including serial communication, Ethernet, etc. via a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harging through a power supply unit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mounted on the main bod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ng system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는 본체(500)에 각종 인디케이터를 점등 제어하는 조명 출력부, 음향 메시지 출력을 제어하는 음향 출력부, 각종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 패널(2000) 이외의 버튼식 제어신호 입력 및 유선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output unit for controlling lighting of various indicators on the main body 500, a sound output unit for controlling sound message output, a memory unit for storing various setting data, etc., a power supply unit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may be provided,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button-type control signal and wired data input and output other than the control panel 2000 may be provided.

이러한, 조명 출력부, 음향 출력부, 메모리부 및 입력부는 본체의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력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충전 제어될 수 있으며, 베터리가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교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각각 조명 출력부, 음향 출력부, 메모리부, 입력부, 관절 구동기, 본체에 장차된 상태의 상기 컨트롤 패널(2000) 및 착용형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으로 필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The lighting output unit, the sound output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input unit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of the main body.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charged by the control unit through external power, and the battery may be removable and replaceabl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the required power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lighting output unit, the sound output unit, the memory unit, the input unit, the joint actuator, the control panel 2000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respectively. can

그리고, 각각의 관절 구동기에는 별도의 구동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어부와 유선통신부를 매개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각종 센서류(ex 엔코더, 족저압 센서 등)의 신호를 취합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And, each joint actuato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riving control unit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control each driving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s a medium, and various types of sensors (ex encoder, The signal from the plantar pressure sensor, etc.) may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관절 구동기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 제어부는 각각의 구동모터의 구동 드라이버를 구비할 수 있고, 관절 구동기의 경량화를 위하여 상기 구동 드라이버는 상기 본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Each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joint actuator may include a driving driver of each driving motor, and the driving driver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weight reduction of the joint actuator.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를 구성하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2000)은 후술하는 GUI 방식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panel 2000, which constitutes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a dedicated control program server of the GUI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is connected to various Data transmission/reception is possible.

착용형 보조장치 및 컨트롤 패널(2000)은 복수 개가 동시에 운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컨트롤 패널은 하나의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의 정보 또는 제어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별도의. 데아터 베이스를 구비하여 자료의 관리, 저장 또는 공유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wearable auxiliary devices and control panels 2000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and a plurality of control panels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one server, and each user's information or control data is stored separately. A data base may be provided to enable management, storage, or sharing of data.

즉, 도 3에서 사용자 1 내지 사용자 3은 사용하는 보조장치와 그에 따른 컨트롤 패널이 바뀌어도 상기 데이터 베이스 또는 GUI 방식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서버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호출하는 경우 착용형 보조장치 또는 컨트롤 패널이 변경되더라도 사용자 정보를 통한 데이터 호출 및 데이터를 적용하여 기기를 변경 사용할 수 있다.That is, in FIG. 3, users 1 to 3 change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r the control panel when calling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or the GUI-type dedicated control program server even if the auxiliary device used and the control panel are changed accordingly. Even if it is, the device can be changed and used by applying data and data calls through user information.

또한, 이러한 착용형 보조장치를 통해 재활 또는 치료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정보를 호출하여 연속성 있는 훈련을 가능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such a wearable auxiliary device, even if the manager managing the rehabilitation or treatment is not the same,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inuous training by calling user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터치입력이 가능한 태블릿 형태의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GUI 방식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고객목록 표시화면을 도시하며,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고객목록 표시화면에서 특정 사용자를 선택한 상태의 컨트롤 패널 표시화면을 도시한다.4 is a view showing a customer list display screen on a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GUI method installed on a tablet-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touch input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shown in FIG. It shows a control panel display screen in a state where a specific user is selected on the customer list display screen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이와 같은 착용형 보조장치를 장애인 또는 환자에 착용시켜 보행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지정, 착용형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 구동모드 선택 및 구동모드 실행 등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gait training by wearing such a wearable assistive device on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patient, processes such as user designation, determining the size of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selecting a driving mode, and executing the driving mode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착용형 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몸체유닛의 폭, 대퇴 지지유닛과 하체 지지유닛의 길이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may be configured to respond to a variety of users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body unit, the length of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body support unit, etc. in response to the user's body siz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은 사용자를 지정하는 사용자 지정단계(S100), 착용형 보조장치 사이즈를 결정하는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S200),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구동모드를 선택하는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 및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구동모드를 실행하는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ccordingly, the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user (S100), an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size (S200), and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a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of selecting a driving mode of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신규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이미 내부에 등록이 되어있는 기존 사용자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 the control panel 2000 registers a new user or selects an existing user who has already been registered therein. It may include a designation step (S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S100)를 수행하는 동안에 사용자 목록(고객목록) 화면(10)에는 제어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는 기존 사용자들의 프로필(11)들이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기준은 예를 들면 등록된 사용자 성의 자음순서 또는 사용자의 프로필이 등록된 날짜의 순서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사용자들의 프로필(11)은 사용자의 성명, 성별, 나이 등과 같은 개략적인 신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기존 사용자의 관리를 위하여 병원 등 훈련, 의료 또는 재활 기관에서 부여하는 사용자 고유 식별 번호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panel 2000 displays profiles 11 of existing users registered in the control program on the user list (customer list) screen 10 while the user designation step S100 is performed. may be displayed sequentially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and the criterion may be, for example, a consonant order of a registered user's last name or an order of a date when a user's profile is registered. In addition, the profile 11 of the existing users may include the user's name, gender, age, etc., and outline personal information, etc., and a user provided by a training, medical or rehabilitation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for the management of the existing user.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또한, 상기 등록된 사용자들 중에서 특정 사용자의 탐색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름 또는 사용자 고유 식별 번호 등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를 탐색하는 기능의 사용자 검색창(12)이 상기 사용자 목록(고객목록) 화면(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arch of a specific user from among the registered users, a user search window ( 12) may be arranged on the user list (customer list) screen 1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목록(고객목록) 화면(10)에서 특정 사용자의 프로필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터치 입력된 프로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확인 영역(13), 상기 사용자가 바로 보행훈련을 시작하도록 상기 구동모드 선택 화면으로 넘어가는 보행훈련 선택 영역(14),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보조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로 전환되는 보조장치 사이즈 설정 페이지(15) 및 상기 사용자의 보행훈련 기록을 보여주는 보행훈련 기록 확인 영역(16)의 화면이 각각 출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when a specific user's profile is touch-inputted on the user list (customer list) screen 10, an information confirmation area 13 indicating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input profile, the The gait training selection area 14 that goes to the driving mode selection screen so that the user can start gait training immediately, the auxiliary device size setting page 15 that switches to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worn by the user, and the A screen of the gait training record confirmation area 16 showing the gait training record of the user may be output,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정보 확인 영역(13)을 터치 입력하면 선택된 프로필의 특정 사용자의 정보 열람 및 정보 수정 등이 가능한 프로필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의사 또는 재활 치료사 등의 제3자가 상기 사용자 목록(고객목록) 화면(10)에 표시된 정보 확인 영역(13)을 터치하여 착용형 보조장치(1000)를 착용하여 보행 훈련을 시작하려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을 저장, 관리 및 기록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업데이트된 정보를 편리하게 수정 또는 재입력이 가능하여 기존 사용자들의 프로필(11)에 포함된 정보의 누락 또는 입력 오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Here, when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area 13 is touched and inputted, a profile screen in which information viewing and information modification of a specific user of the selected profile is possible may be output. A third party, such as a doctor or a rehabilitation therapist, touches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area 13 displayed on the user list (customer list) screen 10 to wear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start gait training It is possible to store, manage, and record, an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modify or re-enter the updated information of the user, so that omission or input error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file 11 of existing users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도 6은 상기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사용자 신규 등록을 위한 신규 사용자 등록 화면을 도시하며, 도 7 내지 도 10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신규 사용자의 신체정보 입력화면을 도시한다.6 shows a new user registration screen for new user registration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and FIGS. 7 to 10 show a new user's body information input screen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2000)가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S100)를 수행시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 경우, 신규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사용자 고유정보, 신규 사용자 의료정보 및 사용자 신체정보를 등록하도록 하기 위한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이 상기 디스플레이(2100)의 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다.6 to 10 , if the user is a new user when the control panel 2000 performs the user designation step S100, user-specific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the new user, new user medical information, and the user's body A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for registering information may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100 .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에는 신규 사용자의 고유 정보, 예를 들면 신규 사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나이, 훈련, 의료 또는 재활 기관에서 신규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 고유정보(21)가 입력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contains the new user's uniqu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new user's name, gender, date of birth, age, training, medical or rehabilitation institution for a new user. User-specific information 21 includ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vidually given to each user may be input.

추가적으로, 신규 사용자의 정보가 기존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와 서로 중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중복 확인 메뉴(22)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uplicate check menu 22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 prevent the new user's information from overlapping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s information.

또한, 상기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에는 신규 사용자의 마비 부위, 보행 능력을 평가하여 이를 수치화한 기능적 보행지수(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및 진단명 등의 의료정보(23)가 입력되는 입력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medical information 23 such as a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and a diagnosis name, which evaluates and quantifies the paralysis site and gait ability of the new user, is an input menu for entering may be provided.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시 고유정보(21) 및 의료정보(23)가 입력이 완료된 후 상기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에는 신규 사용자의 신장, 체중 및 세부 치수 정보 등의 신체정보(24)가 입력되는 입력 메뉴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신체정보(24)는 상기 컨트롤 패널이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S200)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영역별 사이즈의 자동 계산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7 to 10 , upon input of new user information, after the input of unique information 21 and medical information 23 is completed, the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displays the height, weight and details of the new user. It may be switched to an input menu screen in which body information 24 such as dimension information is input, wherein the body information 24 is the wearable assistant while the control panel performs the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ation step (S200). It may be used as data for automatic calculation of the size of each region of the apparatus 1000 .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에는 신규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세부 치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세부 치수 정보 입력 메뉴(25)가 출력되며, 부가적으로, 신규 사용자의 세부 치수 측정을 위한 측정 안내 이미지(i)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안내 이미지(i)는 신규 사용자의 세부 치수 측정시 측정 대상 위치 또는 시점과 종점 등을 설명하는 사진이나 영상, 그림, 이모티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정 안내 이미지(i) 근방에는 세부 치수 측정 방법과 관련된 설명이 부가 출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8 to 10 , the detailed dimension information input menu 25 for inputting detailed dimension information among the body information of the new user is output on the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and additionally As a result, a measurement guide image (i) for detailed dimension measurement of a new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Here, the measurement guide image (i) may include photos, images, pictures, emoticons, etc. that describe the location of a measurement target or a starting point and an end point when measuring detailed dimensions of a new user, and the measurement guide image (i) near the measurement guide image (i) A description related to a detailed dimension measurement method may be additionally output.

예들 들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사용자의 대퇴의 길이, 하퇴의 길이 또는 골반의 너비 측정시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의 밀리미터 단위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한다는 이미지와 설명이 함께 출력되어 측정 방법에서 오는 오차 또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to 10 , when measuring the length of the thigh, the length of the lower leg, or the width of the pelvis of the new user, an image and description are output together to allow the user to measure the length in millimeters in a seated state Therefore, errors or errors from the measurement method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에는 신규 사용자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거나 또는 정보 입력 도중에 입력된 정보를 프로그램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하기 아이콘(26)이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on the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 a save icon 26 for storing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new user is completed or information input during information input inside the program is displayed on the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can be output to

신규 사용자가 상기 신규 사용자 정보 입력 페이지(20)에 상기 고유정보(21), 의료정보(23), 신체정보(24) 및 세부 치수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상기 저장하기 아이콘(26)을 터치 입력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목록(고객목록) 화면(10)에 상기 신규 사용자의 프로필이 새롭게 추가되고, 기존 등록된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된 정보는 사용자 프로필(11)에 저장되어 다시 설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After the new user inputs all of the unique information 21, medical information 23, body information 24, and detailed dimension information on the new user information input page 20, touch input the save icon 26 4, the new user's profile is newly added to the user list (customer list) screen 10, and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user profile 11 like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It can be reset or modified.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S100)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내부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S200)가 진행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 panel 2000 determines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using an algorithm of an internal program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S100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ation step (S200) may proceed.

도 11 및 도 12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 입력화면을 도시한다.11 and 12 show the size input screen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S200)에서 착용형 보조장치(1000) 사이즈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기초로 제어 프로그램에 탑재된 알고리즘으로 자동으로 계산 또는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고, 또한 기존 등록 사용자의 경우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이미 저장된 착용형 보조장치(1000) 사이즈를 호출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e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ation step ( S200 ),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may be automatically calculated or manually input by an algorithm installed in a control program based 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n existing registered user It may be determined by calling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already stored in the control panel.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 사이즈는 도 1의 사용자의 골반의 후방을 감싸는 몸체유닛(400)의 폭과 두께, 사용자의 좌우 대퇴를 지지하는 좌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의 길이, 사용자의 좌우 하퇴를 지지하는 좌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길이, 사용자의 좌우 대퇴와 하퇴를 감싸는 좌우 대퇴 착용유닛(600) 및 좌우 하퇴 착용유닛의 크기 및 장착위치, 및 좌우 족유닛(300a, 300b)의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i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body unit 400 surrounding the rear of the user's pelvis in FIG. 1, and the left and right thigh support units 200a and 200b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user Length,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lower legs of the user, the size and mounting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thigh wearing unit 600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leg wearing unit covering the left and right thighs and lower legs of the user, and the left and right feet It may be determin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izes of the units 300a and 300b.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S100)에서 지정된 사용자의 좌우 발의 치수, 좌우 대퇴의 길이와 둘레, 좌우 하퇴의 길이와 둘레, 골반의 너비와 길이 등의 세부 치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영역별 사이즈가 설정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영역별 사이즈는 호출, 수정 및 저장이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type based on detailed dimens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imensions of the left and right feet of the user,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thighs,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elvis, designated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S100) The size of each area of the auxiliary device 1000 may be set, and the size of each area may be managed in a way that can be called, modified, and stored.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영역별 사이즈의 산출, 저장 또는 수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본인의 신체 조건에 가장 적합하도록 피팅된 사용자 맞춤형의 착용형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 panel 2000 can calculate, store, or modify the size of each region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based on the user's individual body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is a user who is best fitted to his or her body condition. A customized wearable assistive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표시 페이지(30)는 사용자의 골반부를 감싸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의 골반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몸체유닛(400)의 폭과 두께 사이즈가 입력되는 몸체유닛 사이즈 표시 페이지(31) 및 사용자의 좌우 대퇴, 하퇴, 족부를 모두 포함한 다리부를 감싸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의 다리유닛에서 대퇴 및 하퇴 각각의 사이즈가 입력되는 다리유닛 사이즈 표시 페이지(3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device size display page 30 is a body unit size display page 31 in which the width and thickness size of the body unit 400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elvis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urrounding the user's pelvis is input, and the user It may be composed of a leg unit size display page 32 in which the size of each of the thighs and lower legs is input in the leg uni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urrounding the leg including all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lower thighs, and feet.

또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표시 페이지(30)은 착용할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사이즈가 입력되는 사이즈 입력란, 상기 보조장치에서 사이즈가 입력되는 부위를 나타내는 이미지, 입력된 사이즈를 프로그램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하기 아이콘, 및 저장된 사이즈를 호출한 후 수정하기 위한 수정하기 아이콘 등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device size display page 30 stores a size input field in which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to be worn is input, an image representing a portion of the auxiliary device in which the size is input, and the input size in the program. A save icon for doing this, and an edit icon for correcting the saved size after calling it may be output together.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표시 페이지(30)에 구비된 상기 사이즈 입력란에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 사이즈의 영역별 값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의 내부 프로그램에 구현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 생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표시 페이지(30)을 터치하여 상기 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직접 터치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표시 페이지(30)을 터치하여 팝업되는 복수 개의 사이즈들(미도시) 중 원하는 사이즈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표시 페이지(30) 주변에 구비될 수 있는 증감 아이콘(미도시)을 눌러 사이즈를 증감시켜서 상기 보조장치의 영역별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ize input field provided on the auxiliary device size display page 30, the value for each area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ize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an algorithm implemented in the interna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as described above, and the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may be directly input by touching the auxiliary device size display page 30 , and a desired size among a plurality of sizes (not shown) popped up by touching the auxiliary device size display page 30 . can be selected, and by pressing an increase/decrease icon (not shown) that may be provided around the auxiliary device size display page 30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the size of each area of the auxiliary device can be determined.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상기 사이즈 결정단계(S200)에서 착용할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가 결정되면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ntrol panel 2000 , when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to be worn is determined in the size determination step S200 ,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may be performed.

도 13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화면을 도시한다.13 shows a mode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가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컨트롤 패널의 디스플레이에 모드 선택 페이지(40)가 출력되고, 상기 모드 선택 페이지(40)에는 복수 개의 모드 아이콘(41)이 출력되며, 각각의 상기 모드 아이콘(41)은 각각의 구동모드의 바로 시작 제어를 위한 시작하기 아이콘(42) 및 모드 설정 아이콘(43)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mode selection page 4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ontrol panel while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is performed, and a plurality of mode icons 41 are displayed on the mode selection page 40 . output, each of the mode icons 41 may provide a starting icon 42 and a mode setting icon 43 for immediate start control of each driving mode.

또한, 상기 모드 선택 페이지(40)에는 보조장치 사이즈 설정 아이콘(44)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설정 아이콘(44)을 터치 입력하면, 전술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S200)의 보조장치 사이즈 표시 페이지(30)으로 되돌아가 설정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를 재확인하거나 입력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device size setting icon 44 may be provided on the mode selection page 40, and when the auxiliary device size setting icon 44 is touched and inputted, It may be configured to return to the auxiliary device size display page 30 to reconfirm the set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or to correct the input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에서 제공하는 상기 구동모드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일어서기 모드, 앉기 모드, 서있기 모드, 보행 모드, 계단 오르기 모드, 스쿼트 모드 중 복수 개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의 구동모드 중 상기 스쿼트 모드는 일어서기 및 앉기 동작이 번갈아 반복되는 모드일 수 있다. The driving mode provided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des among a standing mode, a sitting mode, a standing mode, a walking mode, a stair climbing mode, and a squat mod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Here, among the driving modes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the squat mode may be a mode in which standing and sitting motions are alternately repeated.

그리고, 상기 모드 선택 페이지(40)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모드 아이콘(41)은 각각의 구동모드의 명칭 또는 이미지 등이 표시되어 직관적으로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ode icons 41 provided on the mode selection page 40 may display the name or image of each driving mode to enable intuitive mode selection.

복수 개의 상기 모드 아이콘(41) 중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구동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아이콘(41)에 각각 제공되는 시작하기 아이콘(42)을 터치 입력하면, 선택된 구동모드에 따라 착용형 보조장치의 구동이 실행되는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When a start icon 42 provided to each of the mode icons 41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to be executed among the plurality of mode icons 41 is touched and inputted, driving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driving mode A driving mode execution step (S400) may be performed.

한편, 상기 구동모드 중 사용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평지보행 모드 시작하기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는 경우에 평지보행 모드가 바로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touches an icon to start the flat walking mode in a sitting state among the driving modes, it may be set so that the flat walking mode is not immediately executed.

즉, 사용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는 일어서기 모드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구동 가능한 모드는 제한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모드 아이콘(41) 중 실행 불가한 구동모드와 관련된 모드 아이콘은 비활성화,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at is, since only the standing mode can be performed while the user is sitting, the drivable mode may be limited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and in this case, one of the plurality of mode icons 41 cannot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The mode icon related to the driving mode may be deactivated, for example, converted to a state in which a touch input is impossible.

도 14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일어서기 모드 설정 페이지를 도시하며, 도 15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앉기 모드 설정 페이지를 도시하며, 도 16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평지보행 모드 설정 페이지를 도시한다.14 shows a standing mode setting page among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FIG. 15 shows a sitting mode setting page among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and FIG. 16 shows the control panel It shows the setting page for the flat walk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panel.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2000)가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가 수행되는 동안 화면에 출력된 상기 모드 선택 페이지(40)에 표시된 복수 개의 모드 아이콘(41)은 각각 모드 설정 아이콘(43)을 구비하고(도 13 참조), 상기 모드 설정 아이콘(43)을 터치 입력하면 선택된 상기 모드 아이콘(41)의 구동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페이지(50)가 출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mode icons 41 displayed on the mode selection page 40 displayed on the screen while the control panel 2000 is performing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is a mode setting icon ( 43) (refer to FIG. 13), and when the mode setting icon 43 is touched and inputted, a mode setting page 50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elected mode icon 41 may be output.

예를 들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상기 디스플레이(2100) 상에서 각각 일어서기 모드, 앉기 모드 및 보행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아이콘(41) 각각에 구비된 상기 모드 설정 아이콘(43)을 터치한 이후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에서 출력되는 구동토크의 다양한 제어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각각의 모드 설정 페이지(50)의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다.For example, the mode setting icon 43 provided in each of the mode icons 41 corresponding to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and the walking mode on the display 2100 shown in FIGS. 14 to 16 is touched. Then, an example of the screen of each mode setting page 50 for setting various control variables of the driving torque output from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is shown.

상기 구동모드를 구성하는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보행 모드, 상기 계단 오르기 모드,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에 표시된 설정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좌우 하지에 보조력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보조력 아이콘(51)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setting menu displayed on the mode setting page 50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constituting the driving mode, the dis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 assisting force icon 51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ssisting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extremities.

즉, 사용자의 신체 능력, 질환 또는 마비의 정도, 훈련상 필요성 등에 따라 좌우 하지에 제공되는 보조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좌우 하지 중 어느 하나의 다리에 제공되는 보조력의 제공을 선택할 수 있다.That is,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ck the assisting force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ability, the degree of disease or paralysis, training necessity, etc. can

상기 보조력 아이콘(51)은 좌우 각각의 하지에 보조력의 제공 여부를 서로 다른 색상, 예를 들면 유채색과 무채색 또는 고명도와 저명도 색상으로 구분되도록 하여 각각의 하지의 보조력 제공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assisting force icon 51 distinguishes whether assisting force is provided to each lower extremity on the left and right in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or high-brightness and low-brightness colors. can be configured to do so.

그리고, 상기 구동모드를 구성하는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보행 모드, 상기 계단 오르기 모드,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으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크기 아이콘(52) 및 보조력 조절용 증감 아이콘(53)이 출력될 수 있다.And, from the mode setting page 50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constituting the driving mode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An assisting force magnitude icon 52 and an assisting force adjustment increase/decrease icon 53 of each joint actuator may be output.

여기서,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은 착용형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좌우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및 좌우 슬관절 구동기(100c, 100d)의 보조력의 크기를 수치화하여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은 0 내지 20 사이의 숫자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숫자가 커질수록 각각의 관절 구동기로 전달되는 보조 토크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로,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에서 상기 보조 토크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 범위는 변경될 수 있으며, 숫자가 아닌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상기 보조력의 크기가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ssisting force magnitude icon 52 may be displayed by quantifying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the left and right hip joint actuators 100a and 100b and the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s 100c and 100d constituting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The force magnitude icon 52 may be displayed as a number between 0 and 20, and as the number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auxiliary torque transmitted to each joint actuator may be increased. This is one example, and the range of numbers indicat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torque in the auxiliary force size icon 52 may be changed, and the size of the auxiliary force may be configured to be guided by an image or text instead of a number.

그리고,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 주변에는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에 표시된 숫자의 증감을 위한 보조력 조절용 증감 아이콘(53)이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보조력 증감 아이콘(53)은 상기 보조장치의 각각의 관절 구동기로 전달되는 보조력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화살표(53a, 53b)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round the assisting force size icon 52, an assisting force adjustment increase/decrease icon 53 for increasing/decreasing the number displayed on the assisting force size icon 52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assisting force increase/decrease icon ( 5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rrows 53a and 53b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auxiliary force transmitted to each joint actuator of the auxiliary device.

보조력 조절용 증감 아이콘(53)의 화살표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입력한 경우,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중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최소 단위씩 변경할 수 있다.When any one of the arrows of the increase/decrease icon 53 for assisting force adjustment is touch-inputted,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may be changed by a minimum unit capable of increasing or decreasing.

한편, 상기 구동모드 중 일어서기 모드의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에 표시된 설정 메뉴에서 착용형 보조장치의 일어서기 완료 후 관절 구동기로의 보조력 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보조력 유지 아이콘(54)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and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s, as shown in FIG. 14 , in the setting menu displayed on the mode setting page 50, after the standing up of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is completed, whether to maintain the assisting force with the joint actuator is selected An assistive force maintenance icon 54 to do so may be display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어서기 모드가 수행되어 일어서기 동작이 완료된 후 특정 사용자는 스스로 직립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관절 구동기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물론, 하지의 운동능력과 힘이 충분한 사용자의 경우, 일어서기 동작 후 별도의 보조력이 제공될 필요가 없다More specifically, after the standing mode is performed and the standing motion is completed, it may be difficult for a specific user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by himself/herself. shall. Of course, in the case of a user with sufficient exercise ability and strength of the lower extremities,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auxiliary force after the standing motion.

따라서, 일어서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에 제공된 보조력 유지 아이콘(54)을 터치하여 상기 보조장치의 일어서기 동작 이후에도 보조력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주저 앉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보조력 유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by touching the assisting force maintenance icon 54 provided on the standing mode setting page 50 to maintain the assisting force even after the standing oper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the assisting force maintenance function to prevent the user from slumping or falling may optionally be provided.

또한, 상기 구동모드를 구성하는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보행 모드, 상기 계단 오르기 모드,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에 표시된 설정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100)의 화면에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일괄 증감하기 위한 일괄 증감 아이콘(55)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괄 증감 아이콘(55)은 각각의 상기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가 기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보조력 크기를 일률적으로 증감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괄 증감 아이콘(55)는 좌측 고관절 구동기와 슬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을 +1 크기 또는 -1 크기로 함께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tting menu displayed on the mode setting page 50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constituting the driving mode, the A batch increase/decrease icon 55 for collectively increasing/decreasing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100 . Here, the batch increase/decrease icon 55 may be provided to uniformly increase/decrease the preset amount of assisting force in a state wher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of the joint actuators is preset. That is, as shown in FIG. 14 , the collective increase/decrease icon 55 may provide a function of changing the auxiliary forces of the left hip joint actuator and the knee joint actuator to +1 magnitude or -1 magnitude together.

일반적으로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자는 좌우 하지 중 어느 하나의 하지의 운동능력이 부족한 경우, 고관절과 슬관절 모두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조력의 일괄 증감 증감 기능도 제공하여 의사 또는 치료사 등이 훈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users of wearable assistive devices often have problems with both the hip and knee joints when on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extremities lacks exercise capacity. This can provide training convenienc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이 보조력의 상대적인 크기를 수치화하여 나타내도록 0 내지 20 사이의 숫자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일괄 증감 아이콘(55)은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에 입력된 숫자에서 증감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괄 증감 아이콘(55)은 예를 들면 '+1' 또는 '-1' 등과 같은 숫자 및 부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괄 증감 아이콘은 도 14에서 좌우 하지를 구별하여 보조력을 증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좌우 하지를 구별하지 않고 4개의 구동기의 보조력을 일괄적으로 증감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xiliary force size icon 52 is composed of a number between 0 and 20 to digitize the relativ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the batch increase/decrease icon 55 is the auxiliary force size icon 52 . To enabl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input in Although shown to be provided to increase and decrease the auxiliary force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lower extremities,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force of the four actuators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collectively.

또한, 상기 구동모드를 구성하는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보행 모드, 상기 계단 오르기 모드,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에 표시된 설정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에서 특정 크기로 일괄 수정하기 위한 일괄 수정 아이콘(56)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tting menu displayed on the mode setting page 50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constituting the driving mode, the A batch correction icon 56 for collectively modifying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from a preset size to a specific size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상기 일괄 수정 아이콘(56)은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20)을 통하여 설정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크기가 다른 크기로 일괄적으로 수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52)에서 설정될 수 있는 보조력 크기의 범위 내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atch correction icon 56 can be set in the assist force size icon 52 so that the assist force size of each joint actuator set through the assist force size icon 20 is collectively modified to a different size. It may consist of any combination of numbers within the range of the magnitude of the assisting force.

예를 들어,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20)이 보조력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0 내지 20 사이의 숫자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일괄 수정 아이콘(56)은 0, 5, 10, 15 및 20을 포함하는 특정 숫자들로 구성되고, 상기 일괄 수정 아이콘(56)에서 제공하는 특정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터치 입력하면,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가 상기 일괄 수정 아이콘(56)에서 터치된 특정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ssisting force magnitude icon 20 consists of a number between 0 and 20 representing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assisting force, then the batch edit icon 56 includes 0, 5, 10, 15 and 20 is composed of specific numbers, and when any one of the specific numbers provided by the batch modification icon 56 is touched and inputted, a number indicating the amount of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s displayed in the batch modification icon 56 It can be changed to a specific size touched.

도 14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100) 화면에 표시된 모드 설정 페이지에서 모든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가 '20'으로 세팅된 상태에서, 상기 일괄 수정 아이콘(56) 중 '15'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면 모든 구동기의 보조력이 '15'로 변경 설정될 수 있다.14 to 16 , in a state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auxiliary force of all drivers is set to '20' in the mode setting p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100, the '15' icon among the batch correction icons 56 If you touch input, the auxiliary power of all actuators can be changed and set to '15'.

또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보행 모드, 상기 계단 오르기 모드,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에 표시된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크기를 디폴트 설정값 또는 제3자 설정값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설정모드 설정 불러오기 아이콘(57)이 표시될 In addition,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n the setting menu displayed on the mode setting page 50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In order to replace the size with a default setting value or a third party setting value, the setting mode setting call icon 57 will be displayed.

여기서, 상기 설정모드 설정 불러오기 아이콘(57)을 터치 입력하면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보조력 크기가 디폴트 설정값 또는 제3자 설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Here, when the setting mode setting call icon 57 is touched and inputted,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de setting page 50 may be set as a default setting value or a third party setting value.

여기서, 상기 디폴트 설정값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 질환 또는 운동 능력 등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구동기의 보조력 설정값일 수 있다.Here, the default setting value may be an assisting force setting value of each actuator prese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disease, or exercise ability.

그리고, 상기 설정모드 설정 불러오기 아이콘(57)을 터치하여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의 화면에 제3자에 의해 결정된 설정값이 표시된 이후에도 상기 일괄 증감 아이콘(55) 또는 상기 일괄 수정 아이콘(56) 등을 터치 입력하면 상기 설정값의 수정이 가능하여 각각의 관절 구동기로의 보조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And, even after the setting value determined by a third party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de setting page 50 by touching the setting mode setting call icon 57, the batch increase/decrease icon 55 or the batch edit icon 56 ), etc., the set value can be modified, so that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to each joint actuator can be adjusted.

이외에도, 도 16를 참조하여 평지보행 모드 설정 페이지에 상기 보조장치가 평지보행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보행 주기 중 유각기 말기에 각각의 관절 구동기로의 보조력의 제공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유각기 말기 아이콘(58)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 16 , on the leveling gait mode setting page, it is possible to set whether or not to provide auxiliary power to each joint actuator at the end of the swing phase of the user's gait cycle while the auxiliary device executes the leveling gait mode A terminal icon 58 may be displayed.

구체적으로, 유각기 말기 아이콘(58)은 보행훈련 시 슬관절을 펴는 힘이 부족하여 이에 따라 유각기 말기에 보폭을 충분하게 형성하지 못하여 보폭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 유각기 말기에 상기 보조장치의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이 충분히 펴질 수 있도록 슬관절 구동기(100c. 100d)로의 구동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폭의 크기가 정상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late swing phase icon 58 lacks strength to straighten the knee joint during gait training, and accordingly, it is not possible to form a sufficient stride at the late swing phase. The support unit (200c, 200d)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knee joint actuator (100c. 100d) to be sufficiently stretched so that the size of the user's stride is normally formed.

그리고, 도 16의 상기 평지보행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설정 페이지(50)의 화면에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사용자가 평지 보행 중 상기 화면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설정, 증감, 수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아이콘들을 스스로 조작을 허용하는 설정에 대한 여부를 선택하는 셀프 조작 아이콘(59)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screen of the mode setting page 50 for executing the flat walking mode of FIG. 16 ,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n the setting menu of the screen while the user of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1000 is walking on the flat ground A self-manipulation icon 59 for selecting whether to set, increase, decrease, or modify the plurality of icons to allow self-manipulation may be displayed.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본체에는 컨트롤 패널과 별도로 착용형 보조장치의 제어 신호의 입력이 가능 별도의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본체(500) 또는 몸체유닛(400) 부근에 구비된 제어 스위치 또는 제어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eparately from the control panel, and the input unit may be provided with the main body 500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 )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trol switch or control button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ody unit 400 is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셀프 조작 아이콘(59)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에 구비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고, 반면에 사용자가 스스로는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에 구비된 상기 수동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by touching the self-manipulation icon 59, it is possible to set so that the user can send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while the user himself/herself The manual control provided i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may be enabled.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상기 평지보행 모드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로 전달되는 보조력의 유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보조력 유지시간 아이콘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보조력 유지시간 아이콘은 상기 보조력 크기 아이콘을 통해 설정된 크기의 보조력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총 다섯 단계로 나누어지고, '매우 느리게', '느리게', '보통', '빠르게' 및 '매우 빠르게' 등과 같은 선택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 등에 따라 보조력이 제공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And, in the flat walking mode shown in FIG. 16, an assisting force holding time icon that can set the holding time of the assisting force transmitted to each joint actuator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for example, the assisting force holding time icon is divided into a total of five sta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ime the assist force of the size set through the assist force size icon is maintained, and selections such as 'very slow', 'slow', 'normal', 'fast' and 'very fast' By providing a menu,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e during which the assisting forc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이와 같이 상기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50)의 화면에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가 실행되는 구동모드마다 상기 보조장치에서 출력되는 구동 토크의 제어변수 설정값이 모두 결정되면, 상기 화면의 하단에 출력된 설정값 저장 아이콘을 터치하여 상기 제어변수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In this way, on the screen of the mode setting page 50 shown in FIGS. 14 to 16 , the set values of the control variables of the driving torque output from the auxiliary device for each driv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is executed are all set values. When it is determined, the control variable setting value may be stored by touching the setting value storage icon output at the bottom of the screen.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의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40)의 화면으로 되돌아간 다음에, 실행하고자 하는 구동모드의 모드 아이콘(41)에 구비된 상기 시작하기 아이콘(42)을 눌러 선택된 구동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3, after returning to the screen of the mode setting page 40 of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the start provided in the mode icon 41 of the driving mode to be executed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 S400 )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pressing the following icon 42 .

도 17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앉기 모드의 실행화면을 도시하며, 도 18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평지보행 모드의 실행화면을 도시하며, 도 19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구동모드 중 서있기 모드의 실행화면을 도시한다.17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sitting mode among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FIG. 18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flat walking mode among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and FIG. It shows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tand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s on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각각의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100)의 화면에 사용자 정보, 훈련 시간(경과시간 또는 훈련 횟수),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배터리 잔량 정보, 컨트롤 패널의 배터리 잔량 정보, 착용형 보조장치(1000)의 각각의 관절 구동기 또는 센서의 통신상태 또는 연결상태 정보 및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의 본체(500) 장착여부('태블릿 분리됨' 또는 '태블릿 연결됨'과 같은 안내 문구 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100)의 화면에 모드실행 종료 아이콘(61)이 표시될 수 있다. In each driving mode execution step (S400), user information, training time (elapsed time or number of training), battery remaining information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remaining battery level information of the control panel,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100, Communication state or connec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joint actuator or senso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and whether the main body 500 of the control panel 2000 is mounted ('tablet detached' or 'tablet connected', etc. ),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in each driving mode execution step ( S400 ), a mode execution end icon 61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100 .

상기 모드실행 종료 아이콘(61)을 터치 입력하면 각각의 구동모드의 실행단계(S400) 종료되며,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의 상기 모드 선택 페이지(40)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mode execution end icon 61 is touched and inputted, the execution step S400 of each driving mode is terminated, and the screen of the mode selection page 40 of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may be switched.

그리고, 각각의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의 상기 모드 정보 출력영역(60)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가 실행중인 구동모드를 나타내는 구동모드 정보(62) 또는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의 모드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크기 정보(63)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드 정보(62) 또는 상기 보조력 크기 정보(63)는 정보 전달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텍스트가 아닌 그림이나 사진 등의 시각적 이미지가 추가 또는 대체될 수 있다.Then, the mode information output area 60 of each of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S400) is output to the display, and the driving mode information 62 indicating the driv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is running or the driving mod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assisting force 63 of each joint actuator set in the mode setting page of step S300 may be displayed together. Here, the driving mode information 62 or the assisting force magnitude information 63 may be added to or replaced with a visual image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 rather than text so that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tuitively.

이외에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드 정보 출력영역(6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각각의 구동모드를 실행한 훈련(경과) 시간 정보, 훈련일(오늘) 동안의 보행 횟수 정보, 현재 구동모드 중 보행횟수 정보, 보행 속도, 좌우 보행능력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사용자의 보행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가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 on the screen of the mode information output area 60 , information on the training (elapsed) time in which the user executed each driving mo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steps during the training day (today), and the current driv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gait motion may be output to the screen in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 S400 ) by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alking times, walking speed, and left and right walking ability among the modes.

또한,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2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100)의 화면에 실행중인 모드에서 전환 가능한 구동모드의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64)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 S400 ), a driving mode switching icon 64 of a driving mode switchable from the running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100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2000 .

일례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서있기 모드가 실행되다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평지보행 모드 시작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면 서있기 모드에서 평지보행 모드로 전환 실행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서있기 모드가 실행되다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계단 오르기 모드 시작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면 서있기 모드에서 계단 오르기 모드로 전환 실행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 if the standing mode is executed in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 S400 ) and touch input the icon to start the flat walking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the standing mode to the flat walking mode. Likewise, when the standing mode is executed and a stair climbing mode start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touched and inputted,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the standing mode to the stair climbing mode.

일반적으로,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서있기 모드를 실행하면 상기 보조장치(1000)의 좌우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및 좌우 슬관절 구동기(100c, 100d) 각각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일정한 구동력이 전달되고, 각각의 관절 구동기로 전달되는 미리 결정된 크기의 일정한 구동력을 통해 한 쌍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한 쌍의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이 전개되어 사용자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서있기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general, when the standing mode is executed in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S400),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hip joint actuators 100a and 100b and the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s 100c and 100d of the auxiliary device 1000, respectively. A pair of femoral support units (200a, 200b) and a pair of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are deployed through a constant driv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transmitted and transmitted to each joint actuator, allowing the user to stably on the ground Allows for standing motion.

한편,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가 선택된 상기 구동모드 실행 중 전환 가능한 다른 종류의 구동모드로의 전환을 더욱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의 모드 정보 출력영역(60)의 화면에 제공되는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64)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it more convenient for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to switch to another type of switchable driving mode during the selected driving mode execution, the control panel 2000 performs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S400). A driving mode switching icon 64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mode information output area 60 is provided.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64)은 해당 구동모드에서 연속적 수행이 가능한 다른 구동모드의 실행을 위한 모드 변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mode change icon 64 may provide a mode change function for executing another driving mode that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driving mode.

예를 들면, 서있기 모드에서 앉기 모드, 평지보행 모드, 계단 오르기 모드 또는 스쿼트 모드 등이 연속 수행이 가능한 구동모드이며, 반대로, 평지보행 모드에서는 서있기 모드, 계단 오르기 모드 또는 스쿼트 모드 등의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앉아있기 모드에서는 일어서기 모드만 연속 수행이 가능하다. 즉, 각각의 구동모드에서 연속 구동 또는 전환이 가능한 구동모드의 종류와 개수는 차이가 있다.For example, in standing mode, sitting mode, flat walking mode, stair climbing mode, or squat mode are driving modes that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can And, in the sitting mode, only the standing mode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That i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and number of driving modes that can be continuously driven or switched in each driving mode.

예를 들어, 서있기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모드 정보 출력영역(60)에 표시된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64) 중 평지보행 모드 시작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면 서있기 모드 중지 후 다시 평지보행 모드가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서있기 모드에서 연속적으로 평지보행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touch-input icon for starting the flat walk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 switching icons 64 displayed in the mode information output area 60 is performed while the standing mode is being performed, the flat walking mode is not performed again after stopping the standing mode. The level walking mode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standing mode.

만약, 상기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64)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의 모드 정보 출력영역(60)의 화면 하단에 구비된 상기 모드실행 종료 아이콘(61)을 눌러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의 모드 선택 페이지(40)으로 되돌아가서 다른 구동모드의 모드 아이콘(41)을 터치 입력하여 새로운 구동모드의 실행이 가능하지만,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64)이 제공되는 경우 연속 실행이 가능한 구동모드 간의 전환기능을 제공하여 훈련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f the driving mode change icon 64 is not provided, press the mode execution end icon 6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mode information output area 60 of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S400) to press the driving mode Return to the mode selection page 40 of the selection step S300 and touch and input the mode icon 41 of another driving mode to execute a new driving mode, but continuous execution when the driving mode switching icon 64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raining efficiency by providing a switching function between possible driving modes.

그리고, 상기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64)은 전환 가능한 구동모드의 시작하기 아이콘(66) 및 전환 가능한 구동모드의 설정값을 지정할 수 있는 전환 모드 설정 아이콘(65)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전환 모드 설정 아이콘(65)을 터치 입력하면 전환될 구동모드의 상기 모드 설정 페이지로 되돌아가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등을 재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환 모드 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전환될 구동모드의 설정값을 다시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모드실행 종료 아이콘(61)을 누르고,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의 상기 모드 선택 페이지(40)의 화면으로 되돌아가 상기 설정하기 아이콘(43)을 터치하여 설정값을 재설정하는 번거로움도 생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mode switching icon 64 may be provided with a start icon 66 of a switchable driving mode and a switching mode setting icon 65 capable of designating a set value of a switchable driving mode, the switching mode If you touch the setting icon 65, you can return to the mode setting page of the driving mode to be switched and reset the auxiliary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n order to designate the value again, press the mode execution end icon 61 in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S400), and return to the screen of the mode selection page 40 of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to set the setting icon The hassle of resetting the set value by touching (43) can also be omitted.

도 20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을 도시한다.Fig. 20 shows the main screen of the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100)의 메인화면(70)에는 사용자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S100)를 수행하기 위하여 신규 사용자를 등록하도록 하는 신규 등록 영역(71),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S100)에서 기존 사용자의 정보를 불러오도록 하는 고객 목록 영역(72),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구동모드가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에서 실행된 이후 상기 구동모드를 실행한 각각의 사용자들의 보행 정보를 불러오는 사용 기록 영역(73),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각각의 구동모드에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로의 보행력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하기 영역(74)을 포함할 수 있다.20, on the main screen 70 of the display 2100, a new registration area 71 for registering a new user in order to perform the user designation step S100, the user designation step ( Customer list area 72 for retrieving information of an existing user in S100), each of the driving modes executed after the driving mode selected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is executed in the driving mode executing step S400 A usage recording area 73 for retrieving gait information of users, and a setting area 74 for setting a walking force to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in each driving mode selected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 may be included.

한편, 도 20에 표시된 상기 메인화면(70)에서 상기 신규 등록 영역(71)의 화면을 터치 입력하면 도 6에 도시된 상기 신규 등록자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고, 상기 고객 목록 영역(72)의 화면을 터치 입력하면 도 1에 도시된 기존 등록 사용자 목록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사용 기록 영역(73)의 화면을 터치 입력하면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구동모드에 따라 도 14 내지 도 16와 같은 각각의 상기 구동모드에 따른 모드 설정 페이지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설정 하기 영역(74)의 화면을 터치 입력하면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설정 변경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creen of the new registration area 71 is touched and inputted on the main screen 70 shown in FIG. 20, the new registrant setting screen shown in FIG. 6 can be entered, and the customer list area 72 is When the screen is touched and inputted, the existing registered user list screen shown in FIG. 1 can be entered, and when the screen of the usage record area 73 is touched and inputted,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is shown in FIG. It can be switched to the screen of the mode setting page according to each driving mode as shown in FIGS. 16 to 16, and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setting area 74, it is possible to enter the setting change menu in which various settings can be changed. .

이와 같이, 상기 메인화면(70)을 총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지원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메인화면의 표시영역은 증감되어 추가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main screen 70 can be divided into four areas and used, thereby supporting the user's use of an intuitive interface and maximizing user convenience, and the display area of the main screen is increased or decreased. Additional areas may be provided.

도 21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용 제어프로그램 상의 다수의 착용형 보조장치 사용자들의 사용기록 화면을 도시하며, 도 22은 도 21의 다수의 착용형 보조장치 사용자들 중 특정 사용자의 훈련기록 화면을 도시한다. 21 shows a screen of use record of a plurality of wearable auxiliary device users on a dedicated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panel, and FIG. 22 shows a training record screen of a specific user among a plurality of wearable auxiliary device users of FIG. .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는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훈련장치일 수 있으므로, 상기 컨트롤 패널(200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S400)를 수행하는 동안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를 착용하여 보행훈련을 실행하면 보행 동작에 대한 보행 정보, 예를 들면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구동모드 별 사용자의 보행훈련 시작 시간, 보행훈련 횟수, 보행훈련 총시간, 보행속도 등을 내부 프로그램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를 각각의 사용자별로 그룹핑하여 이를 상기 보행훈련기록 화면(80)에 출력하여 다수 사용자의 훈련기록을 열람 또는 관리할 수 있다.Since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rain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multiple users, the control panel 2000 allows multiple users to When gait training is performed by wear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gait information on gait motion, for example, the user's gait training start time, number of gait training, and gait for each driving mode selected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S300) The total training time, walking speed, etc. are stored in the internal program, and the information is grouped for each user and outputted to the walking training record screen 80 to view or manage the training records of multiple users.

또한,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의 보행훈련 정보 영역(81) 중에서 특정 사용자의 보행 정보 영역을 터치 입력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사용자의 상세한 훈련 기록 정보가 포함되는 상세 보행훈련 정보 영역(82)이 표시될 수 있다. 상세 보행훈련 정보 영역(82)은 선택된 특정 사용자의 상세 보행 정보, 예를 들면 보행훈련 횟수, 보행날짜, 보행훈련 시작 시간, 보행훈련 횟수, 보행훈련 총시간, 보행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touch input of a specific user's gait information area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gait training information area 81, as shown in FIG. 22, detailed gait training information area 82 including detailed training reco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 may be displayed. The detailed gait training information area 82 may include detailed gai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pecific user, for example, the number of gait training, gait date, gait training start time, gait training number, total gait training time, gait speed, and the like.

따라서, 의사 또는 재활 치료사 등의 제3자가 상기 보행훈련기록 화면(80)에 표시된 복수명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보행 정보를 일괄적으로 저장, 관리 및 기록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수의 상기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상세한 보행훈련 기록 정보를 면밀히 검토 가능하므로 병원 등 훈련, 의료 또는 재활 기관에서 복수명의 사용자의 보행훈련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 third party, such as a doctor or a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collectively store, manage and record the gait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displayed on the gait training record screen 80,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informat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Because detailed gait training record information can be closely reviewed,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gait training for multiple users in training, medical or rehabilitation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0 : 본체
1000 : 착용형 보조장치
2000 : 컨트롤 패널
500: body
1000: wearable auxiliary device
2000: control panel

Claims (20)

배터리와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좌우 고관절 구동기 및 좌우 슬관절 구동기를 구비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신규 사용자 등록 또는 기존 사용자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보조장치의 사용자를 지정하는 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따른 보조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
상기 컨트롤 패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 후 착용형 보조장치의 구동모드를 선택하는 구동모드 선택단계;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구동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좌우 고관절 구동기 및 상기 좌우 슬관절 구동기를 제어하여 선택된 구동모드를 실행하는 구동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 및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의 단계 진행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내용을 전환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설정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having a main body provided with a battery and a control unit, a control panel having a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left and right hip actuators and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n
a user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user of the auxiliary device by registering a new user or selecting an existing user through a touch input of the control panel;
an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size of a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a driving mod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driving mod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a touch input of the control panel;
a driving mode execu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eft and right hip joint actuators and the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s to execute the selected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The control panel switches output contents of the display in response to the steps of the user designation step, the auxiliary device size determination step, the drive mode selection step, and the drive mode execution step, and inputs through the control panel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ignal or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or wireless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정단계에서의 지정된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 경우 신규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사용자 고유정보,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신체정보 및 신규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esignated user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is a new user, the user-specific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the new user, the user's body information of the new user, and the new user's medical information are registe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사용자의 고유정보는 신규 사용자의 성명,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ew user's unique information is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ew user's name, gender, and 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신규 사용자의 신장, 체중 및 세부 치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ew user's bod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ew user's height, weight, and detailed dimension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치수 정보는 좌우 발의 치수, 좌우 대퇴의 길이와 둘레, 좌우 하퇴의 길이와 둘레 또는 골반의 너비와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tailed size information includes the dimensions of the left and right feet,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thighs, or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elvi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사용자의 의료정보는 신규 사용자의 마비 부위, 기능적 보행지수(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및 진단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ew user's medic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ew user's paralysis site, a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and a diagnosis n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에서의 보조장치 사이즈는 직접 입력되거나, 신규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사용자의 사용자 신체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계산되거나, 기존 등록 사용자의 경우 상기 컨트롤 패널에 저장된 보조장치 사이즈를 호출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is directly entered, or automa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user designation step in the case of a new user, or the auxiliary device stored in the control panel in the case of an existing registered user How to use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calling the siz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는 사용자의 골반의 후방을 감싸는 몸체유닛의 폭과 두께, 사용자의 좌우 대퇴를 지지하는 좌우 대퇴 지지유닛의 길이, 사용자의 좌우 하퇴를 지지하는 좌우 하퇴 지지유닛의 길이, 사용자의 좌우 대퇴와 하퇴를 감싸는 좌우 대퇴 착용유닛 및 좌우 하퇴 착용유닛의 크기 및 장착위치, 및 좌우 족유닛의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i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body unit surrounding the rear of the user's pelvis,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thigh support units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user,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lower leg support units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lower legs of the user, the user's left and right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mounting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thigh wearing unit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leg wearing unit that wraps the thigh and lower leg, and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foot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 사이즈 결정단계에서 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표시 페이지를 터치하여 사이즈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이즈 표시 페이지를 터치하여 팝업되는 사이즈들 중 선택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표시 페이지 주변에 구비된 증감 아이콘을 터치 입력하여 사이즈를 증감시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auxiliary device, the size is directly input by touching the size display page of the display, or the size is selected from pop-up sizes by touching the size display page, or the size of the display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determined by increasing/decreasing the size by touch inputting the increase/decrease icon provided around the display p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는 복수 개의 모드 아이콘을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모드 아이콘은 시작하기 아이콘 및 모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displays a plurality of mode icons, and each of the mode icons provides a start icon and a mode setting ic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드는 일어서기 모드, 앉기 모드, 서있기 모드, 보행 모드, 계단 오르기 모드, 스쿼트 모드 중 복수 개의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ing mode is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ssist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modes among a standing mode, a sitting mode, a standing mode, a walking mode, a stair climbing mode, and a squat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모드실행 종료 아이콘, 실행중인 모드에서 구동모드 전환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iving mode execution step, the display displays a mode execution end icon and a driving mode switching icon in the runn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드 선택단계 및 상기 구동모드 실행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조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착용형 보조장치의 각각의 관절 구동기 또는 센서의 통신상태 정보 및 컨트롤 패널의 본체 장착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tep and the driving mode executing step, the display displays at least one of battery remaining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joint actuator or senso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on the main body. How to use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좌우 하지에 보조력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보조력 아이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 assisting force ic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ssisting force to the left and right lower extremities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is provided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 크기 및 보조력 조절용 증감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select an increase/decrease ic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and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How to use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어서기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일어서기 완료 후 관절 보조력 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보조력 유지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ssist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assistive force maintenance icon for selecting whether to maintain joint assistive force after standing 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e setting menu of the standing m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일괄 증감하기 위한 일괄 증감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s collectively increased or decreased on the display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atch increase/decrease icon is display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로 일률적으로 수정하기 위한 일괄 수정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s preset on the display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atch correction icon for uniformly correcting the size is display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어서기 모드, 상기 앉기 모드, 상기 서있기 모드, 상기 평지보행 모드, 상기 계단오르기 모드 및 상기 스쿼트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설정 메뉴에서 각각의 관절 구동기의 보조력의 크기를 제3자 설정값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설정 불러오기 아이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etting menu of at least one of the standing mode, the sitting mode, the standing mode, the flat walking mode, the stair climbing mode, and the squat mode,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of each joint actuator is set by a third party.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tting call icon is provided to replace it.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 및 배터리를 구비하는 본체;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착용형 보조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하여 제어되는 좌우 고관절 구동기;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하여 제어되는 좌우 슬관절 구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용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한 착용형 보조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and a control unit mounted in the housing and a battery;
a control panel having a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and being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left and right hip joint actuator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and a left and right knee joint actua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A wearable auxiliary device that can be used by the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19.
KR1020200092940A 2020-07-27 2020-07-27 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KR202200144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40A KR20220014421A (en) 2020-07-27 2020-07-27 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40A KR20220014421A (en) 2020-07-27 2020-07-27 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21A true KR20220014421A (en) 2022-02-07

Family

ID=8025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940A KR20220014421A (en) 2020-07-27 2020-07-27 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42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8258B2 (en)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rehabilitation training evaluation program
US11521107B2 (en) Learning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method, program, and trained model
CN114388096A (en)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100750597B1 (en) Gait trainer with exercise prescription capability
JP2001314538A (en) Control method for health enhancing apparatus through internet and health enhancing system using this method
US11521511B2 (en) Processing system, walking train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484753B2 (en) Walking train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CN112137836B (en) Learning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method, program, and learning completion model
KR20220014421A (en) Method of Using Wearable Assisting Device
JP70667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rthopedic implants and rehabilitation using wearable devices
WO2019132282A1 (en) Method for managing walking exercise for mobile device on basis of metronome
JP4024101B2 (en) Exercise guidance support system
JP7115423B2 (en) Gait train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CN113273960B (en) Wearable ophthalmopathy self-diagnosis equipment
JP6615308B1 (en) Electric training system and method, program
CA3138327C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patient compliance with a prescribed lower extremity partial weight-bearing rehabilitation program
US11871820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patient compliance with a prescribed lower extremity partial weight-bearing rehabilitation program
US11210966B2 (en)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method, and rehabilitation support program
JP7031467B2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WO2022059782A1 (en) Processing device, program,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JP7150988B2 (en) exercise load controller
EP4311488A1 (en)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user's exercise mo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30170541A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xercise posture evaluation information of user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JP2022051451A (en) Detector
KR20230171361A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