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261A - 휴대용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261A
KR20220014261A KR1020200170567A KR20200170567A KR20220014261A KR 20220014261 A KR20220014261 A KR 20220014261A KR 1020200170567 A KR1020200170567 A KR 1020200170567A KR 20200170567 A KR20200170567 A KR 20200170567A KR 20220014261 A KR20220014261 A KR 20220014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charge
support
ball joint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우
김동은
오민규
이득원
김대웅
권보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0817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996124A/zh
Priority to TW110127434A priority patent/TW202204023A/zh
Priority to JP2021122745A priority patent/JP2022025054A/ja
Priority to US17/386,050 priority patent/US20220032224A1/en
Priority to EP21187902.8A priority patent/EP3945259A1/en
Publication of KR2022001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며, 필터부와 팬모듈부가 내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상기 토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토출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토출부가 설정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토출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정화기{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상측으로 배출시키는 토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는 현대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 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를 걸러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정화기는, 도시화, 산업화, 및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필수 불가결한 기기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증가, 알레르기 환자의 증가, 및 생활 수준의 향상 등의 영향으로 그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다.
공기정화기가 일반 가정과 같이 100㎡ 이상을 넘어서는 환경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기기의 크기가 크게 되어도 된다. 이러한 기기에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에 대응하는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에 대응하는 필터,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대응하는 필터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필터를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룸, 차량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 활용성, 이동성, 에너지 소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보다는 크기가 작으면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더 적합하다. 이러한 배경아래에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집과 같은 한 장소에서 오래 머물기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이다.
선행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20-0037187)에서는,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전면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그러나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휴대가 용이하기 위해 제품의 외형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한 별도의 토출부가 구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37187호(2020.04.08 공개, 발명의 명칭: 휴대용 공기정화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토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부가 설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되므로 토출부와 연결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하우징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토출부가 회전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지지부에 구비된 볼조인트에 토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토출부는 볼조인트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회전가이드부에 의해 토출부의 회전 각도가 설정각도 이내로 한정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토출부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부에 걸리므로 토출부의 회전이 설정각도 이내로 이루어지므로, 토출부에 연결된 전선의 끊어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며, 필터부와 팬모듈부가 내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상기 토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토출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토출부가 설정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토출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는, 상기 토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중심에서 상기 토출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부재와 함께 이동이 구속되는 코어지지부 및 하측은 상기 코어부재에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되고, 상측은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재는, 외측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지지부에 연결된 하측에서 상기 볼조인트를 향한 방향을 향하여 횡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재는 원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할 수록 횡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볼조인트에 연결되거나 상기 볼조인트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와 마주하는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을 구비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에 걸려서 상기 토출부의 설정각도 이상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몸체부와, 상기 토출몸체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토출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오목한 홈 형상의 제1곡면홈을 구비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곡면홈과 연결되는 제2곡면홈이 내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조인트는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부는, 상기 볼조인트와 마주하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부가 설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출부에 걸리며 조작감을 제공하는 위치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알림부는, 상기 볼조인트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력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이동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부가 설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상기 이동돌기가 돌출되는 알림돌기부 및 알림돌기부와 마주하는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홈을 형성하는 알림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돌기부는, 상기 볼조인트에 구비된 장착홀부의 하측에 체결되는 제1조절볼트 및 하측은 상기 제1조절볼트에 지지되며 상측은 상기 이동돌기를 지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돌기를 가압하는 내측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며, 필터부와 팬모듈부가 내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몸체부와, 상기 토출몸체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토출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오목한 홈 형상의 제1곡면홈을 구비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곡면홈과 연결되는 제2곡면홈이 내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부재와 함께 이동이 구속되는 코어지지부 및 하측은 상기 코어부재에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되고, 상측은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는, 오목한 홈 형상의 상기 제1곡면홈이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몸체부의 중앙에 고정되는 제1지지몸체 및 상기 제1지지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부와 마주하는 제1날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날개부재와 제2지지부는 체결부재의 체결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 중공부를 구비하며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지지몸체의 내측에 상기 제2곡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는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에 의해 형성된 구 형상의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 형상의 볼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조인트의 외경은 상기 제2곡면홈의 하단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의 외측으로 상기 볼조인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와 상기 볼조인트 사이의 마찰력과,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볼조인트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볼조인트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반비례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는, 하우징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토출부가 회전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공기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가이드부에 의해 토출부의 회전 각도가 설정각도 이내로 한정되어 토출부에 연결된 전선의 끊어짐이나 손상을 방지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이동돌기가 토출부에 형성된 알림홈부에 걸리므로, 볼조인트가 초기 위치에 도달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가 회전가이드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가 회전지지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와 회전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지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외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1)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공기정화기(1)는, 하우징부(10)와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와 살균부(200)와 회전지지부(300)와 회전가이드부(400)와 위치알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는 입구부(22)를 구비하며, 필터부(40)와 살균부(200)와 팬모듈부(70)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하우징부(10)의 내측에는 원통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마찰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 기준선을 따라 입구부(22)와 필터부(40)와 살균부(200)와 팬모듈부(70)와 배출구(24)와 회전지지부(300)의 중심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부(10)를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되어 공기의 이동경로가 단축되며, 이로 인하여 공기의 유로 저항이 감소되어 공기정화 효율이 향상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1)가 수평면에 설치된 경우, 수직 기준선은 수직선과 일치한다. 또한 하우징부(1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휴대용 공기정화기(1)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세워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공기정화기(1)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또는 눕혀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와 같이 흔들림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휴대용 공기정화기(1)가 컵홀더와 같이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부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제1케이스부(20)로부터 토출부(140)가 위치되는 방향을 상부, 제1케이스부(20)로 부터 제2케이스부(30)가 위치되는 방향을 하부라고 할 때, "제1방향"은 상하방향 또는 축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1방향은, 수직방향과 동일한 의미로 불리울 수 있다. 그리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좌우방향, 수평방향 또는 반경방향을 의미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전반적인 구조]
본 실시예의 휴대용 공기정화기(1)는, 하우징부(10)와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와 회전지지부(300)와 회전가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공기정화기(1)는, 위치알림부(500)와 살균부(200)와 배터리(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부(10)는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측면과 저면 외관이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에 의해 형성된다.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21)에는, 필터부(40), 팬모듈부(70) 살균부(200)와 회전지지부(300) 및 배터리(240)를 포함한 전장부품 등이 수용된다.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는, 이와 같이 수용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필터부(40)는, 제1케이스부(20)의 수용공간(21)에 설치되며, 팬모듈부(70)와 입구부(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필터부(40)는 팬모듈부(70)의 하부에 배치되며,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입구부(2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부(40)를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는,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를 통과하며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상부로 토출된다.
필터부(40)는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입구부(22)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다. 또한 필터부(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40)는 단일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40)는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케이스(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필터케이스는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 고정되며, 필터케이스의 내측에는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팬모듈부(70)는, 제1케이스부(20) 내부의 수용공간(21)에 수용되며, 토출부(140)와 필터부(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팬모듈부(70)는 배출구(24)와 필터부(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팬모듈부(70)는 필터부(40)의 상부에 위치하며, 팬모듈부(70)의 상부에는 배출구(24)와 회전지지부(300)와 회전가이드부(400)와 토출부(140)가 위치한다. 이러한 팬모듈부(70)는, 입구부(22)를 통해 필터부(4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제1케이스부(20)의 상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토출부(140)의 회전중심은 팬모듈부(70)의 중심과 상하 방향으로 일치할 수 있다. 입구부(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며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를 차례로 통과하며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모듈부(70)가 사류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팬모듈부(70)는, 필터부(40)를 통과한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축방향과 반경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토출부(140)는 제1케이스부(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출구(24)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제1케이스부(20)의 상부에 회전지지부(300)가 구비되며, 토출부(140)는 회전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토출부(140)의 상하 양측은 개구되어 있으므로, 배출구(24)를 통해 토출부(140)의 하부로 이동된 공기는 토출부(140)의 상부를 통해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살균부(200)는 필터부(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살균부(200)는 필터부(40)와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며, 필터부(40)를 향하여 살균용 광선을 조사한다. 살균부(200)에서 조사되는 살균용 광선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살균용 광선이 입구부(22)를 통해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살균부(200)의 설치위치를 설정한다.
배터리(240)는, 제2케이스부(30)의 내측에 구비된 수용공간(21)에 설치되며, 살균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배터리(240)는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부품 배치 구조]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21)은, 제1영역(A)과 제2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용공간(21)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했을 때, 상부의 영역이 제1영역(A)이 되고, 그 하부의 영역이 제2영역(B)이 된다. 제1영역(A)과 제2영역(B)은 물리적으로 구획된 영역은 아니며, 단지 개념적으로만 구분된 영역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부(20)의 수용공간(21)은 제1영역(A)으로 설정되고, 제2케이스부(30) 내부의 수용공간(21)은 제2영역(B)으로 설정된다.
제1영역(A)에는,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1영역(A)에는 입구부(22)와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회전지지부(300)와 토출부(140)가 배치되므로, 제1영역(A)에서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토출부(140)를 통해 공기의 배출 방향이 조절된다.
제1케이스부(20)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통로로서 복수개의 입구홀(23)을 구비한 입구부(22)가 설치된다. 제1케이스부(20)의 상부에는 제1영역(A)에서 정화된 공기 토출을 위한 통로로서 배출구(24) 및 회전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부(1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는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를 연결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즉 제1영역(A)에는, 입구부(22)와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와 회전지지부(300)와 회전알림부 및 배출구(24)가 마련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1)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정화기의 내부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유로는 제1영역(A)에 형성된다.
제2영역(B)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2영역(B)에는, 피씨비를 포함한 제어부와 배터리(24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부(10)는 측방향 길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배치된 제1영역(A)이 하부에 배치된 제2영역(B)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휴대용 공기정화기(1)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상부의 제1영역(A)이 하부의 제2영역(B)보다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토출부(140)가 회전지지부(30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상부에서 정화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공기정화기(1)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기가 좀 더 용이해지게 된다.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의 바닥면에 휴대용 공기정화기(1)를 놓고 사용할 때, 휴대용 공기정화기(1)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휴대용 공기정화기(1)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사용하는 것보다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휴대용 공기정화기(1)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상부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된 토출부(140)를 통해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휴대용 공기정화기(1)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더욱 증가될 것이다.
[휴대용 공기정화기 부품의 세부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1)는, 하우징부(10)와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와 회전지지부(300)와 회전가이드부(400)와 위치알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기(1)는, 살균부(200)와 배터리(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케이스부]
하우징부(10)는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40)를 포함하며, 제1케이스부(20)는 내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되며, 하부 측면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케이스부(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부(20)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부(20)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부재는 끼움식으로 결합되거나 접착제나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95)에 의해서도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제1케이스부(20)의 하부 측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제1케이스부(20)의 상측을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이를 위해 제1케이스부(2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입구홀(23)을 구비한 입구부(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부(20)의 상측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배출구(2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22)가 제1케이스부(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입구부(22)와 이격된 상측에 필터부(40)가 설치되므로 필터부(40)의 전면적에 걸쳐서 균일하게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입구부(22)에 복수의 입구홀(23)이 형성되며, 이러한 입구홀(23)은 사선 형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가운데가 꺽인 부등호 형상의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4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터부(40)가 설치된 하우징부(10)의 측면에도 입구홀(23)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부(10)는 3개 이상의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케이스부]
제2케이스부(30)는 제1케이스부(20)의 하부에 연결되며, 제2케이스부(30)의 내측에는 배터리(240)를 포함한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가 모두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케이스부(30)만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제1케이스부(20)만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케이스부(3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2케이스부(30)의 외측 둘레를 손으로 잡기가 편하며, 대체로 원형단면의 홈부를 구비한 차량의 컵홀더에도 제2케이스부(30)를 거치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부(2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을 통과하며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곡면 형상을 이루는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을 접하며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제2케이스부(30)의 내측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2케이스부(30)가 컵홀더나 사용자의 손에 쥐어 졌을 때에도 제1케이스부(20)를 통한 공기의 흡입과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부]
필터부(40)는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입구부(22)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부(20)가 원형 파이프 형상이며,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필터부(40)도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 접하는 원기둥 형상이므로,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불순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40)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부(20) 내부에서 최대의 면적을 가지는 형태이다. 또한 필터부(40)는 실린더 형태로 제작되어 필터부(40)를 구성하는 원단의 상단과 하단이 절단되면, 압력손실이 최소화 되어 필터부(40)의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40)의 외경은 팬모듈부(70)로 공기가 흡입되는 벨마우스(132)의 흡입직경 이상으로 제작되므로, 필터부(40)의 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의 배치가 하우징부(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지고, 공기의 유동 또한 이와 동일한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팬모듈부(7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기의 유동은,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의 배치 방향과 동일한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선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면, 그만큼 공기 유동에 대한 저항이 낮아져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팬모듈부(70)에 의해 충분한 양의 공기 흡입과 그에 대응되는 충분한 양의 공기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공기 정화 성능이 그만큼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팬모듈부]
팬모듈부(70)는 필터부(40)와 상기 배출구(24)의 사이에 위치하며, 팬을 회전시켜 배출구(24)를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와 회전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저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사류팬 모듈인 팬모듈부(70)를 적용하면, 원통형인 제1케이스부(20)의 내측 형상과 일치하거나 대응되므로, 팬모듈부(70)의 고정이나 체결로 인해 제1케이스부(20)의 형상이 커지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정화기(1)를 차량에 사용시, 컵홀더 이내로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팬모듈부(70)에 원형 사류 팬모듈이 적용되므로, 유동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상부 토출형 소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팬모듈부(70)의 팬타입은 사류팬으로 이루어지며, 팬모듈부(70)의 내부구조는 사류팬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변경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팬부재(90)는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팬부재(90)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축만 팬부재(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팬부재(90)에 로터가 설치되며, 회전이 구속된 팬하우징(80)에 스테이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의 자기장이 변하므로, 로터와 함께 회전되는 샤프트가 팬부재(90)에 연결되어 로터와 팬부재(90)가 스테이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부재(90)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70)는 팬하우징(80)과 팬부재(90)와 팬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
팬하우징(80)은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팬부재(90)가 회전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80)은, 지지판(81)과 연결지지대(82)와 전선가이드(83)와 측면지지부(84)와 내측안내부(85)와 돌출보스(8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81)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81)의 중앙에는 구멍이 구비된다. 지지판(81)의 중앙에 모터가 설치되거나, 모터와 연결된 샤프트가 제1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81)은 코어부재(310)의 하측에 위치한다.
연결지지대(82)는 지지판(8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지지부(84)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지지대(82)는 복수로 구비되며, 막대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8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지지대(82)는 측면지지부(8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지지대(82)는 회전지지부(300)의 코어지지부(350) 하측에 위치한다. 연결지지대(82)가 지지판(81)을 중심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며, 연결지지대(82)의 마주하는 상측에 코어지지부(350)가 설치된다.
전선가이드(83)는 연결지지대(82)에 연이어 설치되며, 연결지지대(82)의 측면을 따라 전자기기의 전선(6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전선(6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전선가이드(83)는 연결지지대(82)의 측면 하부에 위치하는 돌기 형상이며, 지지판(81)에 설치된 모터의 전선(600)이 팬하우징(80)의 외측으로 연장 설치됨을 안내한다. 전선가이드(83)가 연결지지대(82)의 측면에 설치되어 전선(600)이 배치되기 위한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가이드(83)에 설치된 전선(600)은 연결지지대(82)의 측면에 위치한 오목한 홈에 배치되며, 전선가이드(83)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므로 전선(6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84)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이며, 상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측면지지부(84)의 외측은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접하며, 측면지지부(84)의 내측은 연결지지대(82)에 연결된다.
내측안내부(85)는 측면지지부(84)의 하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안내부(85)는 측면지지부(84)의 내측에 형성되며, 팬부재(90)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가 팬부재(90)의 외측면을 통해 팬부재(90)의 입구로 이동하는 회풍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보스(86)는 측면지지부(84)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후술할 팬베이스(130)의 결합돌기(134)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보스(86)는 측면지지부(84)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팬부재]
팬부재(90)는 팬하우징(8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토출부(140)를 향한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팬부재(90)로 사류팬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다른 종류의 팬도 본 발명에 의한 팬부재(90)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90)는, 허브(100)와 팬날개(110)와 쉬라우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저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00)는 팬하우징(80)의 중심에 위치하며,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허브(100)는, 팬부재(90)의 반경방향 중심에 배치되며,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 및 모터의 출력축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100)는, 허브판부(101)와 축결합부(102)와 내측돌출부(105)와 스커트부(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판부(101)는 지지판(81)과 나란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허브판부(101)에는 축결합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축결합부(102)는, 허브판부(101)의 반경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부(102)는 허브판부(101)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102)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의 축방향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결합부(102)에 샤프트가 끼워지는 형태로 축결합부(102)와 샤프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축결합부(10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1보강돌기(103)가 설치된다. 제1보강돌기(103)는 축결합부(10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축결합부(102)의 외측에 띠 형상의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축결합부(102)에 집중되는 응력은 제1보강돌기(103)를 통해 분산되므로 축결합부(102)의 구조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내측돌출부(105)는 허브판부(101)에서 지지판(81)이 설치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돌출부(105)는 허브판부(10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원호 방향으로 설치된다. 내측돌출부(10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다.
그리고 내측돌출부(105)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2보강돌기(106)가 설치된다. 제2보강돌기(106)는 내측돌출부(105)의 내측면을 따라 제1방향으로 설치되며, 제2보강돌기(106)의 하측은 축결합부(102)를 향하여 연장되는 띠 형상의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측돌출부(105)에 집중되는 응력은 제2보강돌기(106)를 통해 분산되므로 내측돌출부(105)의 구조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내측돌출부(105)의 내측에는 모터부의 로터가 고정될 수 있다.
스커트부(107)는, 허브판부(101)의 테두리에서 지지판(81)을 향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커트부(107)는, 허브판부(101)에서 제1방향을 따라 멀어질수록 제2방향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커트부(107)는 내측돌출부(105)의 외측에 위치하며, 스커트부(107)의 내경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할 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허브판부(101)와 스커트부(107)가 연결된 형상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스커트부(107)는 상측이 개구되고 하측은 허브판부(101)에 의해 막혀있는 깔대기 형상일 수 있다.
쉬라우드(120)는 팬날개(110)의 단부에 연결되며 환형으로 설치되며, 팬베이스(130)와 이격될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쉬라우드(120)는 스커트부(107)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쉬라우드(120)와 스커트부(107)는 팬날개(11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허브(100)의 외경과 쉬라우드(120)의 내경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작아질 수 있다.
쉬라우드(120)는, 허브(100)와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허브(1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쉬라우드(120)는, 팬날개(110)의 반경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허브(100)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팬날개(110)는, 허브(100)에 구비된 스커트부(107)와 쉬라우드(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쉬라우드(120)는 스커트부(107)와 대략 나란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쉬라우드(120)의 상측으로 갈수록 스커트부(107)와 쉬라우드(120)의 간격이 점점 더 벌어지는 형태로, 스커트부(107)와 쉬라우드(120)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쉬라우드(120)의 하측에 구비된 입구돌기(121)는 링 형상의 돌기이며, 깔대기 형상의 쉬라우드(120) 하측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다. 입구돌기(121)가 후술할 벨마우스(132)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쉬라우드(120)의 외측을 따라 쉬라우드(120) 하측에 구비된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회풍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팬날개(110)는 복수로 구비되며, 허브(10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팬날개(110)는 허브(100)를 중심으로 허브(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팬날개(110)는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복수개의 팬날개(110)는 허브(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날개(110)는, 축결합부(102)의 중심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원심방향을 따라 스커트부(107)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축결합부(102)의 외측에서 축결합부(102)를 향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할 때, 팬날개(110)의 반경방향 내측은 스커트부(107)에 연결되고, 팬날개(110)의 반경방향 외측은 후술할 쉬라우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커트부(107)는, 허브(100)의 구성 중 팬날개(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부분으로서, 팬날개(110)를 통과하는 공기와도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스커트부(107)는, 팬모듈부(7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와도 깊게 관련될 수 있다.
쉬라우드(120)와 스커트부(107) 사이를 연결하는 각각의 팬날개(110)는, 제1단부(111)와 제2단부(112)와 제1에지(113) 및 제2에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부(111)는, 팬날개(110)의 회전방향 선단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향은, 팬부재(9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제2단부(112)는, 팬날개(110)의 회전방향 후단에 배치되고, 축결합부(10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에지(113)는, 제1단부(111)의 일단 및 제2단부(112)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에지(113)는, 쉬라우드(120)의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에지(114)는, 제1단부(111)의 타단 및 제2단부(11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에지(114)는, 허브(100)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단부(111)의 일단과 제2단부(112)의 일단은, 쉬라우드(120)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부(111)의 타단과 제2단부(112)의 타단은 스커트부(107)의 외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단부(111)의 일단은, 제2단부(112)의 일단보다 허브판부(101)의 반경방향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부(112)의 타단은, 제1단부(111)의 타단보다 허브판부(101)의 반경방향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단부(111)의 일단 및 타단이 제2단부(112)의 일단 및 타단보다 회전방향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스커트부(107)는 회전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팬날개(110)는 허브(100) 중에서 스커트부(107)와 연결된다. 팬모듈부(7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스커트부(107)는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다.
[팬베이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베이스(130)는 팬하우징(80)의 하측에 결합되며, 필터부(40)를 통과한 공기가 팬부재(90)로 유입됨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팬베이스(130)는 필터부(40)와 팬부재(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팬베이스(130)의 테두리 형상은, 필터부(4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40)가 원기둥 형상이며, 필터부(40)의 테두리 형상이 원형일 때, 팬베이스(130)는 중공을 구비한 환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31)는, 필터부(40)와 팬부재(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31)는 환형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중앙에는 공기 이동을 위한 중공이 구비된다.
벨마우스(132)는 중공과 마주하는 베이스플레이트(131)의 내측에 환형으로 설치된다. 벨마우스(132)는 쉬라우드(120)의 입구돌기(121)의 하측을 감싸는 오목한 형상의 종단면을 구비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벨마우스(132)는, 베이스플레이트(131)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벨마우스(132)는 하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벨마우스(132)는, 적어도 일부분이 쉬라우드(12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벨마우스(132)는, 팬모듈부(70)의 입구에서 흡입 유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팬모듈부(70)의 흡입, 토출 성능이 향상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결합돌기(134)는 베이스플레이트(13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팬하우징(80)에 구비된 돌출보스(86)의 홈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팬하우징(80)의 하측에 팬베이스(130)를 고정시킨다.
결합돌기(134)와 돌출보스(86) 사이에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지점에서 팬베이스(130)와 팬하우징(8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팬베이스(130)와 팬하우징(8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팬베이스(130)와 팬하우징(80)의 사이에서 팬부재(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돌출리브(133)는 베이스플레이트(131)에서 돌출되며, 벨마우스(13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리브(133)는, 벨마우스(132)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벨마우스(132)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돌출리브(133)는, 베이스플레이트(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131)와 벨마우스(132) 및 돌출리브(13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리브(133)는 쉬라우드(120)의 외측면과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돌출리브(133)와 쉬라우드(12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리브(133)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리브(133)의 경사면은, 쉬라우드(120)와 설정간격 이격되며 쉬라우드(120)의 경사면과 나란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리브(133)의 경사면은 팬하우징(80)에 구비된 내측안내부(85)의 경사면과 같은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쉬라우드(120)와 스커트부(107)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의 일부가 쉬라우드(120)와 돌출리브(133) 사이의 공간을 통해 팬부재(90)의 입구로 이동하는 회풍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팬모듈부의 다른 예]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37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3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모듈부(370)의 외형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팬모듈부(370)의 내측에는 원형 사류 팬모듈이 적용되므로, 유동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상부 토출형 소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듈부(370)는 팬하우징(380)과 팬부재(90)와 팬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
팬하우징(380)의 외형은 사각형에 테두리를 포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380)은, 지지판(381)과 연결지지대(382)와 전선가이드(383)와 측면지지부(384)와 내측안내부(385)와 돌출보스(38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381)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381)의 중앙에는 구멍이 구비된다. 지지판(381)의 중앙에 모터가 설치되거나, 모터와 연결된 샤프트가 제1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지지대(382)는 지지판(38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지지부(384)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지지대(382)는 복수로 구비되며, 막대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38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지지대(382)는 측면지지부(384)에 연결될 수 있다.
전선가이드(383)는 연결지지대(382)에 연이어 설치되며, 연결지지대(382)의 측면을 따라 전자기기의 전선(6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전선(6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전선가이드(383)는 연결지지대(382)의 측면 하부에 위치하는 돌기 형상이며, 지지판(381)에 설치된 모터의 전선(600)이 팬하우징(380)의 외측으로 연장 설치됨을 안내한다. 전선가이드(383)가 연결지지대(382)의 측면에 설치되어 전선(600)이 배치되기 위한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가이드(383)에 설치된 전선(600)은 연결지지대(382)의 측면에 위치한 오목한 홈에 배치되며, 전선가이드(383)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므로 전선(6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384)는 사각 프레임 형상이며, 상하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측면지지부(384)의 외측은 사각형의 틀 형상이며, 측면지지부(384)의 내측은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사각형 또는 원형의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내측안내부(385)는 측면지지부(384)의 하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안내부(385)는 측면지지부(384)의 내측에 형성되며, 팬부재(90)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가 팬부재(90)의 외측면을 통해 팬부재(90)의 입구로 이동하는 회풍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보스(386)는 측면지지부(384)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후술할 팬베이스(430)의 결합돌기(134)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보스(386)는 측면지지부(384)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팬부재(90)는 사류팬을 사용하며, 이에 따른 설명은 앞에서 기술되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팬베이스]
사각형의 팬베이스(430)는 사각형의 팬하우징(380) 하측에 결합되며, 필터부(40)를 통과한 공기가 팬부재(90)로 유입됨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팬베이스(430)의 테두리 형상은, 팬하우징(38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하우징(380)이 사각 형상인 경우, 팬베이스(430)는 중공을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431)는 사각형의 판 형상이며 중앙에는 공기 이동을 위한 중공이 구비된다.
벨마우스(432)는 중공과 마주하는 베이스플레이트(431)의 내측에 환형으로 설치된다. 벨마우스(432)는 쉬라우드(120)에 구비된 입구돌기(121)의 하측을 감싸는 오목한 형상의 종단면을 구비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벨마우스(432)는, 베이스플레이트(431)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벨마우스(432)는 하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돌기(434)는 베이스플레이트(43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팬하우징(380)에 구비된 돌출보스(386)의 홈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팬하우징(380)의 하측에 팬베이스(430)를 고정시킨다. 결합돌기(434)와 돌출보스(386) 사이에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지점에서 팬베이스(430)와 팬하우징(38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팬베이스(430)와 팬하우징(38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팬베이스(430)와 팬하우징(380)의 사이에서 팬부재(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140)가 회전가이드부(4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14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3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140)가 회전지지부(3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140)는 하우징부(10)의 배출구(24)에 위치하며, 회전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팬모듈부(70)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토출부(140)는 회전지지부(300)에 구비된 구 형상의 볼조인트(3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회전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10)의 상측에 설치된 토출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며, 회전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팬모듈부(70)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140)는 토출몸체부(141)와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몸체부]
토출몸체부(141)는 하우징부(10)의 배출구(24)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몸체부(141)는, 제1토출부(150)와 제2토출부(160)와 코어장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부]
제1토출부(150)는, 볼조인트(360)의 일측(도 3기준 상측)에 위치하며,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베인(156)이 복수로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토출부(150)는, 제1토출코어(152)와 제1토출몸체(154)와 베인(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코어(152)는 볼조인트(360)의 상측에 위치하며, 원판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토출몸체(154)는 제1토출코어(152)와 이격되며, 제1토출코어(152)의 외측을 감싸는 환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몸체(154)의 외측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부(1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제1토출부(150) 회전시 하우징부(10)와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토출코어(152)와 제1토출몸체(154)는 복수의 베인(156)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1토출코어(152)와 제1토출몸체(154)와 베인(156)은 같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토출부]
제2토출부(160)는 볼조인트(360)의 타측(도 3기준 하측)에 위치하며, 제1토출부(150)에 연결되고, 제1토출부(150)와 함께 볼조인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토출부(160)는, 제2토출코어(161)와 제2토출몸체(162)와 토출코어지지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토출코어(161)는 코어장착부(170)를 사이에 두고 제1토출코어(152)에 결합된다. 제2토출코어(161)는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제2토출코어(161)의 내측에는 볼조인트(360)를 감싸는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2토출몸체(162)는 제2토출코어(161)와 이격되며, 제2토출코어(161)의 외측을 감싸는 환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토출몸체(162)의 외측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부(1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제2토출부(160) 회전시 하우징부(10)와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토출코어(161)와 제2토출몸체(162)는 복수의 토출코어지지부(163)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2토출코어(161)와 제2토출몸체(162)와 토출코어지지부(163)는 같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장착부]
제1토출부(150)와 제2토출부(160)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토출부(150)를 통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거나 제1토출부(150)를 통해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코어장착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장착부(170)는, 제1토출코어(152)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1토출코어(152)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171)과, 터치패널(171)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토출코어(152)를 향한 방향으로 화상정보를 제공하고, 터치패널(171)의 조작신호를 전달받는 피씨비를 포함한 디스플레이(172) 및 터치패널(171)과 디스플레이(172)를 감싸며 제1토출부(150)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73)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
제1지지부(180)는 토출몸체부(141)에 연결되거나 상기 토출몸체부(1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오목한 홈 형상의 제1곡면홈(182)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곡면홈(182)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조인트(360)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180)는 제1지지몸체(181)와 제1날개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181)는 오목한 홈 형상의 제1곡면홈(182)이 내측에 구비되며, 토출몸체부(141)의 중앙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몸체(181)는 제2토출부(160)의 하측에 결합된다. 제2토출부(160)에 구비된 제2토출코어(161)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제2토출코어(161)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1날개부재(183)는 제1지지몸체(18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지지부(190)와 마주하는 제1날개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부재(183)와 제2지지부(190)는 체결부재(195)의 체결로 고정되며, 제1날개부재(183)와 제2지지부(190)는 간격을 이루며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날개부재(183)는 원호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지지몸체(181)는 제1날개부재(183)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제1지지몸체(181)의 내측에는 제1곡면홈(182)이 형성되며, 하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
제2지지부(190)는 제1지지부(180)에 결합되며, 제1곡면홈(182)과 연결되는 제2곡면홈(192)이 내측에 구비된다. 제2곡면홈(192)은 볼조인트(360)의 구 형상 측면과 하측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190)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 중공부(193)를 구비하며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몸체(191)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93)와 마주하는 제2지지몸체(191)의 내측에는 제2곡면홈(192)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40)의 상측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며, 토출부(140)를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이 되는 위치를 토출부(140)의 초기위치로 설정한다. 토출부(14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제2곡면홈(192)의 하단 내경은 볼조인트(360)의 최대 외경 보다 작다. 때라서 볼조인트(360)의 하측에서 결합되어 제1지지부(180)에 제2지지부(190)가 고정되면서, 제2지지부(190)는 볼조인트(360)를 감싸는 형상으로 지지하므로, 볼조인트(360)가 제2지지부(19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360)가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80)와 볼조인트(360) 사이의 마찰력을 F1이라 하며, 제2지지부(190)와 볼조인트(360) 사이의 마찰력을 F2라 한다. 그리고 제1지지부(180)와 상기 제2지지부(190) 사이의 이격거리를 D라 할 때, F1과 F2는 D에 반비례 한다.
즉, 제1지지부(180)와 볼조인트(360) 사이의 마찰력과, 제2지지부(190)와 볼조인트(360) 사이의 마찰력은, 볼조인트(36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 사이의 이격거리와 반비례 할 수 있다. D가 크면 F1과 F2가 작아지며, D가 작으면 F1과 F2가 커진다.
따라서 토출부(140)가 볼조인트(360)를 중심으로 회전한 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토출부(140)가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체결부재(195)의 체결상태를 조절하여 D가 작아지도록 하므로 F1과 F2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F1과 F2가 커져서 토출부(140)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면, D가 커지도록 체결부재(195)를 조절하여 F1과 F2를 작게한다.
수동으로 토출부(140)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때 토출부(14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회전이 완료된 토출부(140)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토출부(14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80)에는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하는 제1곡면홈(182)이 구비되며, 제2지지부(190)에는 중공부(193)와 마주하는 제2지지몸체(19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오목한 홈 형상을 형성하는 제2곡면홈(192)이 구비된다. 토출부(14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제1곡면홈(182)에 볼조인트(360)의 상측이 삽입되며, 제2곡면홈(192)은 볼조인트(360)의 측면과 하부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는 볼조인트(36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체결부재(195)에 의해 제2지지부(190)는 제1지지부(180)에 고정되며, 제1지지부(180)는 토출몸체부(141)에 고정된다. 따라서 토출몸체부(141)오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는 단일 모듈을 형성하며, 볼조인트(36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살균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200)는, 필터부(40)와 제2케이스부(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필터부(40)를 향하여 살균용 광선을 조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200)는, 살균지지부(210)와 받침부(220)와 조사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지지부]
살균지지부(210)는 제1케이스부(20)와 제2케이스부(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케이스부(20)의 하부를 차폐한다. 또한 살균지지부(210)는 조사부(230)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10)에 연결되어 이동이 구속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입구부(22)를 통해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살균지지부(210)에 의해 제2케이스부(30)로 이동됨이 차단되어 팬모듈부(70)로 이동되는 공기 유량이 증가되어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받침부(220)는 살균지지부(210)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조사부(23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받침부(220)는 입구부(22)의 반경방향 중앙에 위치하며, 받침부(220)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공기와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받침부(220)는 살균지지부(210)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받침부(220)는 원기둥 또는 원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20)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횡단면이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이며, 입구부(22)가 형성된 제1케이스부(20)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공기와의 마찰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필터부(40)를 살균하기 위해 설치된 살균지지부(210)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입구부(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입구홀(23)의 경사진 형상에 의해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받침부(220)의 외측을 회전하며 필터부(40)가 설치된 상측으로 이동된다. 즉 살균부(200)가 제1케이스부(20)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입구부(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살균부(200)의 외측 둘레를 돌며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살균부(200)의 유로저항이 감소된다.
받침부(220)와 팬부재(90)의 회전중심과 후술할 회전지지부(300)의 코어부재(310)는 수직방향 일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 유동에 대한 저항이 낮아져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된다.
조사부(230)는, 받침부(220)의 상측에 장착되며, 필터부(40)를 향한 방향으로 살균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조사부(230)는, 입구부(22)의 반경방향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 기준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부(230)의 상측에 필터부(40)가 위치하는 경우, 비교적 적은 수의 살균광원(232)에 의해서 필터부(40)의 하단 전면적을 살균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사부(230)는 입구부(22)의 상단 보다 높거나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부(230)는, 인쇄회로기판(231)과 살균광원(232)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220)의 상측에 인쇄회로기판(231)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231)의 상측에 살균광선을 조사하는 살균광원(232)이 설치된다. 살균광원(232)은 UVC LED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필터부(40)에 있는 세균을 멸균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살균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살균부(200)의 살균광원(232)은 입구부(22)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살균광원(232)이 입구부(22)를 통해 제1케이스부(20)의 외측으로 조사됨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300)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140)와 회전지지부(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지지부(35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부(300)는 하우징부(10)에 연결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하우징부(10)의 배출구(24)에 위치한 토출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지부의 일측은 하우징부(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1곡면홈(182) 및 제2곡면홈(19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부가,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300)는, 코어부재(310)와 코어지지부(350)와 볼조인트(360)를 포함한다.
[코어부재]
코어부재(31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토출부(140)의 하측에 위치하며, 배출구(24)의 중심에서 토출부(14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재(310)는 제2지지부(190)의 하측에 위치하며, 배출구(24)의 중심에서 제2지지부(19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조인트(36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재(310)는, 외측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코어지지부(350)에 연결된 하측에서 볼조인트(360)를 향한 방향을 향하여 횡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되므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재(310)는 원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할 수록 횡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재(310)는, 코어베이스(312)와 코어몸체(314)와 코어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베이스(312)는 코어부재(310)의 하부를 형성하며 코어지지부(350)에 고정된다. 코어베이스(312)는 하우징부(1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다.
코어몸체(314)는 코어베이스(312)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원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코어연결부(320)는 코어몸체(314)의 내측에 위치알림부(50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 및 볼조인트(360)가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연결부(320)는 조인트안착부(330)와 내측체결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안착부(330)는 코어몸체(314)의 상측을 통해 볼조인트(360)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안착부(330)는, 볼조인트(360)와 마주하는 코어몸체(314)의 상측에 볼조인트(360)의 외측이 안착되는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지지부(332) 및 코어몸체(314)의 상단에 볼조인트(360)가 설치되 위한 홀을 형성하는 조인트연결홀(334)을 포함한다.
내측체결지지부(340)는 코어몸체(314)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볼조인트(360)와 위치알림부(500)의 제1조절볼트(52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체결지지부(340)는, 코어몸체(314)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1조절볼트(520)의 몸체가 통과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제1체결지지부(342) 및 제1체결지지부(342)의 상측에 위치하며 볼조인트(360)의 하측으로 연장된 장착돌기(369)의 외측을 감싸는 제2체결지지부(344)를 포함한다.
[코어지지부]
코어지지부(350)는 코어부재(3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부(10)의 내측에 고정되며, 코어부재(310)와 함께 이동이 구속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지지부(350)는, 제1코어지지부(352)와 제2코어지지부(354)와 연결대(3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어지지부(352)는 코어부재(310)의 하부와 결합되며 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코어지지부(352)의 내측에 코어베이스(312)가 결합되며, 제1코어지지부(352)와 이격된 외측에 링 형상으 제2코어지지부(354)가 설치된다. 제2코어지지부(354)는 하우징부(10)에 끼움식으로 고정되거나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등 다양한 고정방법에 의해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제1코어지지부(352)와 제2코어지지부(354)는 연결대(356)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대(356)는 제1코어지지부(352)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설치되거나 방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어지지부(352)는 팬모듈부(70)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되므로, 연결대(356)가 공기와 접촉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볼조인트]
볼조인트(360)는 코어부재(310)에 결합되며, 토출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볼조인트(360)의 하측은 코어부재(310)에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볼조인트(360)의 상측은 토출부(140)의 내측에 삽입되어 토출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360)의 상측은 제1곡면홈(182)과 제2곡면홈(192)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볼조인트(360)는 제1곡면홈(182)과 제2곡면홈(192)에 의해 형성된 구 형상의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 형상이며, 볼조인트(360)의 외경은 제2곡면홈(192)의 하단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2지지부(190)의 외측으로 볼조인트(3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볼조인트(360)의 단부는 구 형상이며, 토출부(140)의 내측에 위치하며 토출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볼조인트(360)의 상측은 구 형상이며, 구 형상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장착돌기(369)는 코어부재(3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조인트연결홀(334)을 통해 코어부재(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볼조인트(360)와 코어부재(310)는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되거나 핀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등 다양한 고정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360)는, 조인트몸체(362)와 장착돌기(369)를 포함한다. 조인트몸체(362)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며, 조인트몸체(362)의 내측에는 제1장착홀부(363)와 제2장착홀부(364)가 형성된다. 제1장착홀부(363)는 회전가이드부(400)의 가이드돌기(410)가 체결되기 위한 홈을 조인트몸체(362)의 외측에 형성한다.
또한 제1장착홀부(363)와 이격된 제2장착홀부(364)는 조인트몸체(3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제2장착홀부(364)는 조인트몸체(362)의 중앙에 위치하며, 위치알림부(500)의 알림돌기부(510)가 설치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장착홀부(364)는, 볼조인트(360)의 상단에서 볼조인트(36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소경홀부(368)와, 소경홀부(368)의 하측과 연통되며 하측을 향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대경홀부(366)를 포함한다. 대경홀부(366)의 내경은 소경홀부(368)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위치알림부(500)의 이동돌기(511)의 이동머리(512)는 대경홀부(366)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동돌기(511)의 이동머리(512)는 소경홀부(368)를 통해 볼조인트(36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착돌기(369)는 조인트몸체(36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장착돌기(369)의 내측에는 위치알림부(500)의 내측탄성부재(530)가 설치된다. 장착돌기(369)는 조인트연결홀(334)을 통해 코어부재(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체결지지부(344)의 내측에 위치한다. 장착돌기(369)는 제2체결지지부(344)의 내측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며, 장착돌기(369)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제1조절볼트(520)가 장착돌기(369)의 내측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장착돌기(369)의 외측과 제2체결지지부(344)의 내측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장착돌기(369)가 제2체결지지부(344)에 체결될 수도 있다.
[회전가이드부]
회전가이드부(400)는 토출부(140)와 회전지지부(300)에 각각 설치되며, 토출부(140)가 설정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토출부(140)의 회전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부(400)는 가이드돌기(410)와 가이드홈부(420)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410)는 볼조인트(360)에 연결되거나 볼조인트(36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볼조인트(3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돌기(410)는 볼트 형상이며, 볼조인트(360)의 외측에 걸리는 걸림머리(411)와, 걸림머리(411)에서 연장되어 볼조인트(360)의 내측에 체결되는 체결몸체(41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몸체(412)는 제1장착홀부(363)에 체결된다.
가이드홈부(420)는 가이드돌기(410)와 마주하는 토출부(140)의 내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부(420)는, 볼조인트(360)와 마주하는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부(420)는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1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180)의 내측에 제1홈부(421)가 형성되며, 제2지지부(190)의 내측에 제2홈부(422)가 형성된다.
토출부(140)의 회전각도인 설정각도가 30도인 경우, 조인트몸체(362)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홈부(4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의 각도는 30도이다. 만약 토출부(140)의 회전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조인트몸체(362)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홈부(4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의 각도도 변경된다. 따라서 가이드돌기(410)는 가이드홈부(420)의 내측에 삽입되며, 가이드돌기(410)가 가이드홈부(420)의 내측에 걸려서 상기 토출부(140)의 설정각도 이상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위치알림부]
위치알림부(500)는 토출부(140)가 설정위치에 있을 때 토출부(140)에 걸리며 조작감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토출부(140)의 설정위치는 토출부(140)를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되는 초기위치로 설정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토출부(140)의 다양한 회전 위치를 설정위치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알림부(500)는, 알림돌기부(510)와 알림홈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돌기부(510)는 볼조인트(360)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력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이동돌기(511)를 구비하고, 토출부(140)가 설정위치에 있을 때 볼조인트(360)의 외측으로 이동돌기(511)가 돌출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돌기부(510)는, 이동돌기(511)와 제1조절볼트(520)와 내측탄성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돌기(511)는 조인트몸체(362)에 구비된 제2장착홀부(36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돌기(511)는 볼트 형상이며, 이동머리(512)와 이동몸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머리(512)는 대경홀부(366)의 내측에 위치하며, 대경홀부(366)와 소경홀부(368) 사이에 구비된 단차에 걸려서 상측 이동이 구속된다. 이동머리(51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동몸체(514)의 상단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조절볼트(520)는 코어부재(310)에 구비된 제1체결지지부(34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몸체(362)의 내측에 구비된 대경홀부(366)에 제1조절볼트(520)가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제1조절볼트(520)가 대경홀부(366)의 내측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며, 제1체결지지부(342)의 내측에는 체결이 안될수도 있다.
내측탄성부재(530)의 하측은 제1조절볼트(520)에 지지되며 상측은 이동돌기(511)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탄성부재(530)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탄성력에 의해 이동돌기(511)를 가압한다.
알림홈부(540)는 알림돌기부(510)와 마주하는 상기 토출부(140)의 내측에 상기 이동돌기(511)가 삽입되어 걸리는 홈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홈부(540)는 제1지지부(180)에 형성된다. 제1지지몸체(181)의 하측에 오목한 형상의 알림홈부(540)가 형성되며, 토출부(14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알림홈부(540)는 이동돌기(511)와 마주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동돌기(511)가 알림홈부(540)의 내측에 삽입되어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한다.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제1케이스부(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22)가 설치되므로, 제1케이스부(20)의 외측에 있는 공기가 입구부(22)를 통해 제1케이스부(2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공기의 흡입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팬모듈부(70)의 작동에 의해, 휴대용 공기정화기(1) 외측의 공기가 휴대용 공기정화기(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휴대용 공기정화기(1) 외측의 공기는 기울어진 형상으로 설치된 입구홀(23)을 통과하며 살균지지부(210)의 외측 둘레를 회전하는 나선형의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제1케이스(2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상승하는 공기는 필터부(40)의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미세먼지/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및 세균/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 등이 걸러질 수 있다.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가 상하방향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면서 효과적인 공기의 흡입과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40)를 통과한 공기, 즉 정화된 공기는 팬모듈부(7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은 벨마우스(13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고, 이로써 팬모듈부(70)로의 원활한 공기 유입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팬모듈부(7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듈부(70)의 상측으로 토출된다. 팬모듈부(70)의 상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사류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사류방향은 상향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팬모듈부(70)의 하측 중앙부로 흡입된 공기는 팬모듈부(70)의 테두리 내측을 따라 환형으로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며, 회전지지부(300)의 코어지지부(3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즉 팬모듈부(70)에 사류팬을 적용하므로, 팬모듈부(7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하여 회전지지부(300)의 공기 이동통로와 유로방향이 일치되므로 유로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팬모듈부(70)의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 즉 정화된 공기는, 토출부(140)의 내측으로 하측으로 유입되어 토출부(140)의 상측으로 토출된다.
토출부(140)는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토출부(140)의 설치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토출부(140)의 내측이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므로, 토출부(140)를 통해 방향이 전환된 공기의 토출저항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부(40)와 팬모듈부(70)와 토출부(140)가 상하 방향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면서 효과적인 공기의 흡입과 필터링 및 정화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부의 회전]
토출부(140)의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의 내측에 구 형상의 볼조인트(360)가 위치하므로, 토출부(140)는 볼조인트(36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300)에 구비된 볼조인트(360)에 토출부(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토출부(140)는 볼조인트(36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서큘레이터 기능을 하는 토출부(140)의 회전각도가 0도인 경우, 토출부(140)의 상측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토출부(140)의 제1지지부(180)에 형성된 알림홈부(540)는 알림돌기부(510)와 마주한다. 따라서 내측탄성부재(530)에 의해 가압되는 이동돌기(511)가 알림홈부(540)의 내측에 걸리므로, 사용자는 토출부(140)가 초기위치인 정위치에 위치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토출부(140)의 중앙에는 터치 패널 기능을 하는 코어장착부(170)가 설치되며, 코어장착부(170)에 연결된 전선(600)이 하우징부(10)의 하측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패널부가 별도의 회전 구속 없이 360도 회전하게 되면 전선(600)이 끊어지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회전가이드부(400)의 설치로 토출부(140)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 이내로 조절하여 전선(6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볼조인트(36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410)가 토출부(14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부(420)에 걸리므로, 토출부(140)의 회전이 설정각도 이내로 이루어져서, 토출부(140)에 연결된 전선(600)의 끊어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부(14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려 할 경우, 볼조인트(36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410)가 가이드홈부(420)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180)와 제2지지부(190)에 부딪히므로 토출부(140)의 회전이 설정각도 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조절볼트(520)가 장착돌기(369)에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이동돌기(511)의 상측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휴대용 공기정화기
10: 하우징부
20: 제1케이스부 21: 수용공간 22: 입구부 23: 입구홀 24: 배출구
30: 제2케이스부
40: 필터부
70,370: 팬모듈부
80,380: 팬하우징
81,381: 지지판 82,382: 연결지지대 83,383: 전선가이드 84,384: 측면지지부 85,385: 내측안내부 86,386: 돌출보스
90: 팬부재
100: 허브 101: 허브판부 102: 축결합부 103: 제1보강돌기 105: 내측돌출부 106: 제2보강돌기 107: 스커트부
110: 팬날개 111: 제1단부 112: 제2단부 113: 제1에지 114: 제2에지
120: 쉬라우드 121: 입구돌기
130,430: 팬베이스 131,431: 베이스플레이트 132,432: 벨마우스 133: 돌출리브 134,434: 결합돌기
140: 토출부
141: 토출몸체부
150: 제1토출부 152: 제1토출코어 154: 제1토출몸체 156: 베인
160: 제2토출부 161: 제2토출코어 162: 제2토출몸체 163: 토출코어지지부
170: 코어장착부 171: 터치패널 172: 디스플레이 173: 고정케이스
180: 제1지지부 181: 제1지지몸체 182: 제1곡면홈 183: 제1날개부재
190: 제2지지부 191: 제2지지몸체 192: 제2곡면홈 193: 중공부
195: 체결부재
200: 살균부
210: 살균지지부 211: 지지베이스 212: 고정테두리
220: 받침부 221: 받침기둥 222: 받침플레이트
230: 조사부 231: 인쇄회로기판 232: 살균광원
240: 배터리
300: 회전지지부
310: 코어부재 312: 코어베이스 314: 코어몸체
320: 코어연결부 330: 조인트안착부 332: 곡면지지부 334: 조인트연결홀
340: 내측체결부 342: 제1체결부 344: 제2체결부
350: 코어지지부 352: 제1코어지지부 354: 제2코어지지부 356: 연결대
360: 볼조인트 362: 조인트몸체 363: 제1장착홀부 364: 제2장착홀부 366: 대경홀부 368: 소경홀부
369: 장착돌기
400: 회전가이드부
410: 가이드돌기 411: 걸림머리 412: 체결몸체
420: 가이드홈부 421: 제1홈부 422: 제2홈부
500: 위치알림부
510: 알림돌기부 511: 이동돌기 512: 이동머리 514: 이동몸체 520: 제1조절볼트 530: 내측탄성부재
540: 알림홈부
600: 전선

Claims (15)

  1.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며, 필터부와 팬모듈부가 내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상기 토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토출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토출부가 설정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토출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토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중심에서 상기 토출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부재와 함께 이동이 구속되는 코어지지부; 및
    하측은 상기 코어부재에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되고, 상측은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외측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지지부에 연결된 하측에서 상기 볼조인트를 향한 방향을 향하여 횡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원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측을 향할 수록 횡단면적이 점차로 감소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볼조인트에 연결되거나 상기 볼조인트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와 마주하는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을 구비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에 걸려서 상기 토출부의 설정각도 이상의 회전이 구속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몸체부;
    상기 토출몸체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토출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오목한 홈 형상의 제1곡면홈을 구비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곡면홈과 연결되는 제2곡면홈이 내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에 의해 형성된 내측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볼조인트와 마주하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가 설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출부에 걸리며 조작감을 제공하는 위치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알림부는, 상기 볼조인트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력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이동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부가 설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볼조인트의 외측으로 상기 이동돌기가 돌출되는 알림돌기부; 및
    상기 알림돌기부와 마주하는 상기 토출부의 내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홈을 형성하는 알림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돌기부는, 상기 볼조인트에 구비된 장착홀부의 하측에 체결되는 제1조절볼트; 및
    하측은 상기 제1조절볼트에 지지되며 상측은 상기 이동돌기를 지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돌기를 가압하는 내측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0.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며, 필터부와 팬모듈부가 내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위치하며,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몸체부;
    상기 토출몸체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토출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오목한 홈 형상의 제1곡면홈을 구비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곡면홈과 연결되는 제2곡면홈이 내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부재와 함께 이동이 구속되는 코어지지부; 및
    하측은 상기 코어부재에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되고, 상측은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오목한 홈 형상의 상기 제1곡면홈이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몸체부의 중앙에 고정되는 제1지지몸체; 및
    상기 제1지지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부와 마주하는 제1날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는 체결부재의 체결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 중공부를 구비하며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지지몸체의 내측에 상기 제2곡면홈이 형성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제1곡면홈과 상기 제2곡면홈에 의해 형성된 구 형상의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 형상의 볼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조인트의 외경은 상기 제2곡면홈의 하단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의 외측으로 상기 볼조인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볼조인트 사이의 마찰력과,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볼조인트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볼조인트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반비례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20200170567A 2020-07-28 2020-12-08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14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817716.0A CN113996124A (zh) 2020-07-28 2021-07-20 便携式空气净化器
TW110127434A TW202204023A (zh) 2020-07-28 2021-07-26 可攜式空氣淨化器
JP2021122745A JP2022025054A (ja) 2020-07-28 2021-07-27 携帯用空気浄化機
US17/386,050 US20220032224A1 (en) 2020-07-28 2021-07-27 Portable air purifier
EP21187902.8A EP3945259A1 (en) 2020-07-28 2021-07-27 Portable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70 2020-07-28
KR20200093970 2020-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261A true KR20220014261A (ko) 2022-02-04

Family

ID=8026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567A KR20220014261A (ko) 2020-07-28 2020-12-08 휴대용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2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25054A (ja) 携帯用空気浄化機
KR101816568B1 (ko) 공기조화기
US20220026085A1 (en) Portable air purifier
CN113983629B (zh) 便携式空气净化器
JP2022023844A (ja) 斜流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斜流ファンモジュールを備える携帯用空気浄化機
KR20100062121A (ko) 공기청정기
US20220184542A1 (en) Portable air purifier
KR20170008991A (ko) 가습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TWI807424B (zh) 可攜式空氣淨化器
KR102536072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14261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84948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13879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13880A (ko) 사류팬 모듈 및 사류팬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84934A (ko) 안전형 팬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2580280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84950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CN217301007U (zh) 空气循环用小型风轮、风道组件和小型空气净化器
KR20240048452A (ko) 공기청정 모듈 및 공기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